KR101995861B1 - 신축이음장치 - Google Patents

신축이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5861B1
KR101995861B1 KR1020180154863A KR20180154863A KR101995861B1 KR 101995861 B1 KR101995861 B1 KR 101995861B1 KR 1020180154863 A KR1020180154863 A KR 1020180154863A KR 20180154863 A KR20180154863 A KR 20180154863A KR 101995861 B1 KR101995861 B1 KR 1019958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
expansion joint
finger plate
hole
re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48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창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얼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얼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얼테크
Priority to KR10201801548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58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58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58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E01D19/065Joints having sliding pl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E01D19/062Joints having intermediate beam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01D19/086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Abstract

본 발명은 신축이음장치 또는 후타부의 파손시 보강재의 별도 용접 없이도 충분한 강도를 부여하도록 신축이음장치와 그 주변을 보수할 수 있으며, 특히, 용접 공정을 생략함으로써 신축이음장치의 보수에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시키고 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는 신축이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신축이음장치{An expansion joint}
본 발명은 신축이음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파손된 신축이음장치 또는 후타부를 보수할 때 보강재를 이용해 긴급보수가 가능한 신축이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수의 교각을 가지는 길이가 긴 교량이나 고가도로 등은 온도 변화에 따른 지반의 수축 또는 팽창에 대응하기 위하여 복수의 교량 상판을 길이 방향으로 연이어 설치하고, 그 연이어 설치된 교량 상판의 각 끝단과 끝단 사이에 신축이음장치가 설치된다.
상기와 같아 교량 상판의 각 끝단과 끝단 사이에 신축이음장치를 설치하는 이유는, 온도 변화에 따른 상판의 수축 또는 팽창을 보상하고, 차량 통과시 상판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고 상판 간의 유격 공간을 보상하여 차량의 원활한 통행을 유도하며, 우수가 교량의 하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방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신축이음장치는 통상 상판의 각 끝단과 끝단 사이에 매설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설치하게 되는데 콘크리트의 경화 팽창 내지 건조 수축에 따라 체적이 변하고 이 상태에서 차량이 통과함에 따라 콘크리트층이 쉽게 균열이 발생한다. 이러한 현상이 심화되면 콘크리트층이 파손되어 도로를 어지럽히거나 도로에 불규칙한 요철을 형성해 통행하는 차량에 치명적인 위험을 초래한다. 또한, 콘크리트층이 파손된 상태에서 차량의 통행이 지속되면 설치되어 있던 신축이음장치까지 파손될 우려가 있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축이음장치의 파손시 신축이음장치를 고정시키는 고정볼트가 풀리거나 강핑거판이 파단되어 도로를 어지럽히며 이는 차량 통행의 안전에 위해를 끼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종래에는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링재 등으로 급하게 임시 보수를 한 뒤 신축이음장치와 그 주변을 전체적으로 개량하였다. 이럴 경우, 중복 작업 및 보수가 필요 없는 부분까지 함께 교체해야 한다는 점 때문에 비용이 많이 발생함은 물론 공사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의 신축이음장치 보수 방법은 균열된 콘크리트층을 충분한 깊이까지 파내어 설치단면을 확보하고 보강재를 설치단면에 내설한 뒤 신축이음장치에 용접 설치한 후 보수용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하여 신축이음장치를 보수하였다.
신축이음장치의 보수를 위해선 주변 차량의 운행을 통제하여 안전 작업구역을 확보한 뒤 실시해야 하는데 위와 같은 종래의 방법으로 신축이음장치를 보수할 경우 보강재를 용접하기 위한 용접 공정을 반드시 필요로 하기에 작업시간이 길어지고, 작업 공정이 복잡해지며 이에 따라 차량의 운행 통제 시간이 늘어 도로 정체가 심화되는 비효율적인 측면이 뒤따랐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83313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신축이음장치 또는 후타부의 파손시 보강재의 별도 용접 없이도 충분한 강도를 부여하도록 신축이음장치와 그 주변을 보수할 수 있으며, 특히, 용접 공정을 생략함으로써 신축이음장치의 보수에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시키고 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는 신축이음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지면층의 상면과 동일선상에 배치되는 핑거플레이트; 상기 핑거플레이트의 하면에 설치되는 베이스거더; 및 상기 핑거플레이트와 베이스거더를 상호 체결하는 메인볼트;를 포함하며, 상기 핑거플레이트와 베이스거더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외측면에는 보수공이 형성되고 상기 보수공에는 몰탈 콘크리트가 유입되는 것을 막도록 유입방지테이프가 부착되되, 상기 유입방지테이프가 부착된 상태에서 신축이음공간으로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후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신축이음장치의 보수 시 유입방지테이프가 제거된 보수공으로 보강부재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신축이음장치의 보수 시 상기 핑거플레이트와 베이스거더를 동시에 구속하는 브라켓부재가 핑거플레이트와 베이스거더의 외측면에 설치되되, 제1 체결볼트가 브라켓부재를 관통하여 핑거플레이트에 형성된 보수공에 체결되고, 제2 체결볼트가 브라켓부재를 관통하여 베이스거더에 형성된 보수공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핑거플레이트는, 판상의 핑거본체; 상기 핑거본체에서 착탈되는 복수 개의 단위핑거부재; 및 상기 핑거본체와 복수 개의 단위핑거부재를 상호 결속하는 복수 개의 핑거결합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핑거플레이트의 하부 유간에 설치되는 배수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배수부는, 베이스거더의 내측면에 장착되는 수직부재; 상기 수직부재에 장착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레일을 형성한 가이드부재; 상기 수직부재와 가이드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방수부재; 및 상기 가이드레일에 접속하는 가이드돌기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배수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신축이음장치를 보수하는 방법에 있어서, 유입방지테이프가 노출되도록 베이스거더의 깊이까지만 균열된 후타부를 제거하는 단계; 유입방지테이프를 제거하여 보수공을 개방하는 단계; 개방된 상기 보수공에 보강부재를 결합시키는 단계; 및 후타부의 제거된 부분에 보수용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신축이음장치의 보수를 위해 유입방지테이프만 제거하게 되면 보강부재를 결합시키기 위한 보수공이 개방되므로 보수공에 보강부재를 나사체결 방식으로 결합시키기만 하면 핑거플레이트와 보강부재의 용접결합 없이도 충분한 기계적 결합을 유도할 수 있으며, 보강부재와 핑거플레이트를 서로 용접하지 않으므로 신속하고 간편하게 보수를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 후타부와 핑거플레이트가 보다 견고한 기계적 결합력을 가짐으로써 보수된 신축이음장치가 보다 향상된 체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신축이음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b는 보강부재를 이용해 신축이음장치를 보수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보강부재와 핑거플레이트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신축이음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b는 브라켓부재를 이용해 신축이음장치를 보수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브라켓부재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핑거플레이트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6a은 후타부가 파손되어 종래의 신축이음장치의 단위핑거부재가 지면층의 상부로 노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b는 종래 신축이음장치의 고정볼트가 풀리거나 강핑거판이 파단되어 도로를 어지럽힌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c는 실링재를 이용해 파손된 신축이음부재와 그 주변을 긴급 보수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배수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이물질유입방지재를 포함한 배수부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한 쌍의 핑거플레이트의 설치를 위한 스크류잭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신축이음장치가 보수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신축이음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지면층(3)의 상면과 동일선상에 배치되는 핑거플레이트(10), 상기 핑거플레이트(10)의 하면에 설치되는 베이스거더(20) 및 상기 핑거플레이트(10)와 베이스거더(20)를 상호 체결한 상태에서 신축이음공간의 철근 구조물(2)과 결합되는 메인볼트(30)를 포함하며, 상기 핑거플레이트(10)와 베이스거더(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외측면에는 보수공(11)이 형성되고 상기 보수공(11)에는 몰탈 콘크리트가 유입되는 것을 막도록 유입방지테이프(12)가 부착되되, 상기 유입방지테이프(12)가 부착된 상태에서 신축이음공간으로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후타부(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베이스거더(20)는 유간(4)을 기준으로 좌, 우 한 쌍으로 구비되며 필요에 따라 철근 구조물(2)에 이음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메인볼트(30)의 관통을 위한 베이스공(21)이 관통 형성되며 핑거플레이트(10)를 하부에서 지지하면서 후타부(1)에 완전히 매립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후타부(1)는 신축이음공간과 치환되는 콘크리트 구조물로서 신축이음공간에 신축이음장치를 배치시키고 콘크리트를 타설하면 신축이음장치와 기계적으로 결합되어 일체화된다. 후타부(1)에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구조를 가지는 정착연결재가 배치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수직 또는 수평 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앵커가 설치되거나 루프 형태의 철근이 식립되는 등 다양한 실시예의 정착연결재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정착연결재에는 이형루프(L)가 포함될 수 있는데, 이형루프(L)의 외주면에는 이형루프(L)의 경로를 따라 돌기를 반복적으로 형성하고 있어 콘크리트와의 기계적인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핑거플레이트(10)는 베이스거더(20)의 상부에 안착되는 판상의 부재로, 유간(4)을 기준으로 좌, 우 한 쌍으로 구비된다. 핑거플레이트(10)에는 메인볼트(30)가 장착되되 상기 베이스공(21)과 연통되는 볼트장착공(13)이 형성될 수 있으며 후타부(1)와 인접한 면을 향해 보수공(11)이 형성된다.
후타부(1)의 주 파손 위치가 핑거플레이트(10)와 접촉되는 점임을 고려하여 보수공(11)을 후타부(1)에 인접한 면에 형성하게 되면 신축이음장치의 보수를 위한 핑거플레이트(10)의 노출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즉, 후타부(1)의 제거를 최소화함으로써 보다 신속하게 보수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볼트장착공(13)은 핑거플레이트(10)를 상, 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수공(11)은 상기 핑거플레이트(10)의 후타부(1)와 인접한 면에서부터 메인볼트(30)를 향해 볼트장착공(13)의 수직인 방향으로 핑거플레이트(10)에 관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수공(11)의 내주면에는 후술 될 보강부재(40) 또는 제1 체결볼트(51)와의 나사결합을 위한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신축이음장치의 보수 시 유입방지테이프(12)가 제거된 보수공(11)으로 보강부재(40)가 체결되고 보강부재(40)가 체결된 그대로의 상태에서 보수용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방식으로 신축이음장치의 보수를 수행할 수 있다. 신축이음장치를 보수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신축이음장치의 최초 설치 시에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방지테이프(12)가 보수공(11)을 막고 있기 때문에 후타부(1)를 형성하기 위한 몰탈 콘크리트의 타설에도 보수공(11)에 몰탈 콘크리트가 유입되지 않는다.
따라서, 신축이음장치의 보수를 위해 유입방지테이프(12)만 제거하게 되면 보강부재(40)를 결합시키기 위한 보수공(11)이 개방되므로 보수공(11)에 보강부재(40)를 나사체결 방식으로 결합시키기만 하면 핑거플레이트(10)와 보강부재(40)의 용접결합 없이도 충분한 기계적 결합을 유도할 수 있다.
보강부재(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 형태로 수직 절곡된 형태를 이루며 일단은 개방된 보수공(11)에 나사 체결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되고 타단은 하방으로 연장되어 철근 구조물(2)과 접촉된다. 보강부재(40)의 형태는 위에 언급한 형태 외에 '
Figure 112018121621095-pat00001
', '
Figure 112018121621095-pat00002
', '
Figure 112018121621095-pat00003
' 등 다양한 형태로 변형실시될 수 있음을 밝힌다.
도 1b는 보강부재(40)를 이용해 신축이음장치를 보수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정리하면, 보강부재(40)와 핑거플레이트(10)를 서로 용접하지 않으므로 신속하고 간편하게 보수를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 후타부(1)와 핑거플레이트(10)가 보다 견고한 기계적 결합력을 가짐으로써 보수된 신축이음장치가 보다 향상된 체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도 3 내지 4에는 신축이음장치의 보수 시 상기 핑거플레이트(10)와 베이스거더(20)를 동시에 구속하는 브라켓부재(50)가 핑거플레이트(10)와 베이스거더(20)의 외측면에 설치되되, 제1 체결볼트(51)가 브라켓부재(50)를 관통하여 핑거플레이트(10)에 형성된 보수공(11)에 체결되고, 제2 체결볼트(52)가 브라켓부재(50)를 관통하여 베이스거더(20)에 형성된 보수공(22)에 체결되는 실시예를 예시한다.
즉, 전술한 보강부재(40)를 대신하여 브라켓부재(50), 제1 체결볼트(51) 및 제2 체결볼트(52)가 적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거더(20)의 하면에도 보수공(22)이 형성된다.
베이스거더(20)의 보수공(22)도 상기 핑거플레이트(10)의 보수공(11)과 동일하게 유입방지테이프(23)가 부착되어 최초 신축이음장치의 설치시 몰탈 콘크리트의 유입을 막는다.
브라켓부재(50)는 핑거플레이트(10)의 외측면과 베이스거더(20)의 하면에 동시에 접촉되며 각각의 보수공(11, 22)과 연통되는 제1 체결공(53) 및 제2 체결공(54)이 관통된다. 제1 체결볼트(51)가 제1 체결공(53)과 핑거플레이트(10)의 보수공(11)을 상호 결속하고, 제2 체결볼트(52)가 제2 체결공(54)과 베이스거더(20)의 보수공(22)을 상호 결속하여 브라켓부재(50)의 장착이 이루어진다.
한편,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거더(20)에 형성된 보수공(22)은 핑거플레이트(10)의 보수공(11)과 평행하도록 베이스거더(20)의 외측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메인볼트(30)가 반복적인 하중에 의해 파절되면 이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나사산과 나사축이 뭉개지거나 틀어지기 때문에 새로운 메인볼트(30)를 볼트장착공(13)과 베이스공(21)에 연통시키기 쉽지 않았다.
신축이음장치의 보수를 위해 통상 핑거플레이트(10)와 베이스거더(20)를 서로 용접하거나 메인볼트(30)를 체결하기 위한 새로운 탭작업을 하게 되는데 개방된 보수공(11, 22)을 이용해 브라켓부재(50)를 장착시키게 되면 보수작업에 있어서도 별도의 탭작업을 하거나 용접하지 않고서도 핑거플레이트(10)와 베이스거더(20)를 기계적으로 결합시키는 보수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핑거플레이트(10)는 판상의 핑거본체(14), 상기 핑거본체(14)에서 착탈되는 복수 개의 단위핑거부재(15) 및 상기 핑거본체(14)와 복수 개의 단위핑거부재(15)를 상호 결속하는 복수 개의 핑거결합볼트(16)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때, 도 5의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핑거본체(14)와 단위핑거부재(15)의 접촉면은 사선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단위핑거부재(15)가 핑거본체(14)에서 자유롭게 착탈될 수 있도록 하여 핑거플레이트(10)가 유간(4) 내에서 협착되었을 때 효율적인 대처가 가능하도록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타부(1)가 파손되면 후타부(1)에 의해 지지되어 있던 핑거플레이트(10)가 편심으로 기울어지면서 단위핑거부재(15)가 지면층(3)의 상부로 돌출되는데 이 상태에서 차량이 통행하게 되면 차량의 타이어가 훼손되거나 차량 통행 자체에 심각한 위협을 가할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이 핑거플레이트(10)가 전도되면 핑거플레이트(10) 전체를 교체해야 하는 비효율적인 보수작업을 수행해야 하는데, 본 발명에 따른 신축이음장치는 핑거플레이트(10)의 교체 없이 지면층(3)의 상부로 돌출된 단위핑거부재(15)만 핑거본체(14)에서 탈거하면 되므로 보수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신축이음장치는 핑거플레이트(10)의 하부 유간(4)에 설치되는 배수부(6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배수부(60)는 신축이음장치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작용을 담당하며 이를 위해 배수부(60)는 베이스거더(20)의 내측면에 장착되는 수직부재(61), 상기 수직부재(61)에 장착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레일(62')을 형성한 가이드부재(62), 상기 수직부재(61)와 가이드부재(62) 사이에 개재되는 방수부재(63) 및 상기 가이드레일(62')에 접속하는 가이드돌기(64')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배수재(고무재 등)(64)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수직부재(61)는 후타부(1)의 유간(4)을 향한 내측면에 부착 설치되는 판상의 부재로 좌, 우 한 쌍으로 구비되며 수직부재(61)에는 후타부(1)로 수분이 침투되지 않도록 방수부재(63)가 부착된다.
가이드부재(62)는 낙하되는 빗물을 받치는 배수재(64)를 좌, 우 양 측에서 지지하며 배수재(64)가 가이드부재(62)의 가이드레일(62')을 따라 슬라이딩되거나 끼움되면서 유간(4)에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구조를 갖춘다.
본 실시예에서는 원 형태의 가이드돌기(64')와 가이드레일(62')의 형태를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가이드부재(62)에서 배수재(64)를 슬라이딩시키거나 끼움 이동시킬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선택이 가능하다.
배수재(64)에 받아진 빗물은 배수재(64)와 연결된 별도의 배수라인을 향해 외부로 배수된다.
이와 같이 배수부(60)가 구성되면 비좁은 유간(4)에 배수재(64)를 설치할 때 설치 공간이 좁더라도도 배수재(64)를 유간(4)에 슬라이딩시켜 설치하면 되므로 설치 공정이 간소화되며, 배수재(64)를 교체하거나 수리할 때 보다 간편하게 작업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한편, 배수부(6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재(64)로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이물질유입방지재(65)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이물질유입방지재(65)는 배수재(64)의 상부에 배치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신축이음장치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핑거플레이트(10) 사이 간격을 수축 또는 신장되게 조절하는 스크류잭(SJ)에 의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신축이음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겠다. 본 작용에서는 신축이음장치를 보수하는 과정을 예로 들어 설명하겠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신축이음장치가 보수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타부(1)에 균열 또는 신축이음장치의 부분 파손이 발생하면 균열된 후타부(1) 부분을 제거한다. 이때, 유입방지테이프(12)가 노출되도록 베이스거더(20)의 깊이까지만 균열된 후타부(1)를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메인볼트(30)가 파단된 상태를 예시한다.
종래의 신축이음장치의 경우 후타부(1)의 균열 또는 신축이음장치의 부분 파손이 발생하면 통상 보강재를 핑거플레이트(10) 또는 베이스거더(20)에 용접하여 보수하기 때문에 용접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후타부(1)를 충분한 깊이까지 제거해야 한다. 이 과정에서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철근 구조물(2)의 간섭에 의해 후타부(1)를 제거하기 난해한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신축이음장치는 제거되는 후타부(1) 부분을 최소화함으로써 보수작업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방지테이프(12)를 제거하여 보수공(11)을 개방한다. 신축이음장치가 최초 설치될 때 보수공(11)이 상기 유입방지테이프(12)에 의해 막혀있었기 때문에 보수공(11)으로 몰탈 콘크리트가 유입되지 않아 보수공(11)이 온전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된 상기 보수공(11)에 보강부재(40)를 결합시키고 실링재(H)로 메인볼트(30)의 파단 지점을 채운다. 보수공(11)과 보강부재(40)는 나사체결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필요에 따라 철근 구조물(2)까지 길게 연장된 보강부재(40)를 사용할 수 있다.
즉, 보강부재(40)를 적용할 때 핑거플레이트(10)와 보강부재(40) 사이를 용접하지 않으므로 보수에 소요되는 시간을 대폭 절약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0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타부(1)의 제거된 부분에 보수용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보수 과정을 마무리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핑거플레이트 20: 베이스거더
30: 메인볼트 40: 보강부재
50: 브라켓부재 60: 배수부

Claims (5)

  1. 지면층의 상면과 동일선상에 배치되는 핑거플레이트;
    상기 핑거플레이트의 하면에 설치되는 베이스거더; 및
    상기 핑거플레이트와 베이스거더를 상호 체결하는 메인볼트;를 포함하며,
    상기 핑거플레이트의 외측면에는 보수공이 형성되고 상기 보수공에는 몰탈 콘크리트가 유입되는 것을 막도록 유입방지테이프가 부착되되, 상기 유입방지테이프가 부착된 상태에서 신축이음공간으로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후타부가 형성되며,
    상기 핑거플레이트에는 상기 메인볼트가 장착되는 볼트장착공이 형성되며,
    상기 볼트장착공은 핑거플레이트에 상, 하 방향으로 관통되며 상기 보수공은 상기 핑거플레이트의 후타부와 인접한 면에서부터 메인볼트를 향해 볼트장착공의 수직인 방향으로 관통되며, 보수공의 내주면에는 보강부재와의 나사결합을 위한 나사산이 형성되며,
    신축이음장치의 보수 시 유입방지테이프가 제거된 보수공으로 보강부재가 체결되되, 보강부재가 체결된 상태에서 보수용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방식으로 신축이음장치의 보수가 수행되며,
    상기 보강부재는 '┐'자 형태로 수직 절곡된 형태를 이루며 일단은 개방된 보수공에 나사 체결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되고 타단은 하방으로 연장되어 철근 구조물과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이음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핑거플레이트는,
    판상의 핑거본체;
    상기 핑거본체에서 착탈되는 복수 개의 단위핑거부재; 및
    상기 핑거본체와 복수 개의 단위핑거부재를 상호 결속하는 복수 개의 핑거결합볼트;를 포함하며,
    상기 핑거본체와 단위핑거부재의 접촉면은 사선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이음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핑거플레이트의 하부 유간에 설치되는 배수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배수부는,
    베이스거더의 내측면에 장착되는 수직부재;
    상기 수직부재에 장착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레일을 형성한 가이드부재;
    상기 수직부재와 가이드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방수부재; 및
    상기 가이드레일에 접속하는 가이드돌기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배수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이음장치.
KR1020180154863A 2018-12-05 2018-12-05 신축이음장치 KR1019958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4863A KR101995861B1 (ko) 2018-12-05 2018-12-05 신축이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4863A KR101995861B1 (ko) 2018-12-05 2018-12-05 신축이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5861B1 true KR101995861B1 (ko) 2019-07-04

Family

ID=67259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4863A KR101995861B1 (ko) 2018-12-05 2018-12-05 신축이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586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38925A1 (en) * 2001-03-27 2002-10-03 Ming-Huang Chang Vibration resistive instant responding roadway or bridge expansion joint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KR20090083313A (ko) 2009-07-07 2009-08-03 웅진엔지니어링(주) 신축이음장치 및 교량 받침부의 콘크리트층을 보수하는 방법
KR100911839B1 (ko) * 2009-03-09 2009-08-11 (주)하이로드 지하차도용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38925A1 (en) * 2001-03-27 2002-10-03 Ming-Huang Chang Vibration resistive instant responding roadway or bridge expansion joint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KR100911839B1 (ko) * 2009-03-09 2009-08-11 (주)하이로드 지하차도용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90083313A (ko) 2009-07-07 2009-08-03 웅진엔지니어링(주) 신축이음장치 및 교량 받침부의 콘크리트층을 보수하는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23937B2 (ja) 落橋防止構造
KR100558373B1 (ko) 교량의 신축이음 장치
KR101784721B1 (ko) 배수시트 교체가 용이한 도로교 핑거형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US6898910B2 (en) Precast composite header joint system and a method for forming and installing the same
KR100814958B1 (ko) 신축이음장치의 재설치공법
KR101995861B1 (ko) 신축이음장치
JP5958907B2 (ja) 既設コンクリート床版の部分的修復工法
KR20130041045A (ko) 교량 신축이음장치의 누수방지 겸용 배수장치
KR200453460Y1 (ko) 교량 신축이음부의 누수 방지기능을 갖는 매립 레일형 신축이음 장치
KR102209681B1 (ko) 신축이음장치
JP3197281U (ja) 道路用伸縮継手
CN113430924A (zh) 一种预制梁端伸缩缝锚固系统
KR100578554B1 (ko) 사각 및 횡단 맨홀 보수방법 및 그를 위한 지지구
JP6153187B1 (ja) 道路橋地覆拡幅ユニット
KR102410140B1 (ko) 암거 구조물 저판 보수 및 보강방법
KR100436896B1 (ko) 교량의 교대뒷채움부 시공 방법
KR100449899B1 (ko) 2아치터널 및 그 시공방법
KR101292694B1 (ko) 교량의 신축이음누수방지 시공방법
KR102376748B1 (ko) 아스팔트 포장도로 보수용 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수공법
KR100981875B1 (ko) 교량의 상부구조물 인상장치
KR100718297B1 (ko) 가드레일용 지주의 지지장치
KR102378715B1 (ko) 아스팔트 포장도로 보강장치 및 보수공법
CN112195768B (zh) 一种公路桥梁伸缩缝结构及维修加固施工方法
KR20030086446A (ko) 신 2아치터널 및 그 시공방법
KR200219065Y1 (ko) 높이조절 블럭이 내장된 맨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