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5672B1 - 마스크 - Google Patents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5672B1
KR101995672B1 KR1020180078284A KR20180078284A KR101995672B1 KR 101995672 B1 KR101995672 B1 KR 101995672B1 KR 1020180078284 A KR1020180078284 A KR 1020180078284A KR 20180078284 A KR20180078284 A KR 20180078284A KR 101995672 B1 KR101995672 B1 KR 1019956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mask
exhaust port
user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8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승만
Original Assignee
박승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승만 filed Critical 박승만
Priority to KR10201800782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56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56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56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00Component parts for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A62B9/003Means for influencing the temperature or humidity of the breathing g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8Mouthpieces; Microphones; Attachment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ulmo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는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기구와 그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기구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흡입구와 배기구 사이에 배치되어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 및 상기 케이스의 흡기구로부터 배기구로 공기유동을 형성하는 팬을 포함하는 정화부, 사용자의 코와 입 주변을 가리는 안면부 및 관형으로 형성되어, 일단은 상기 케이스의 배기구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안면부의 내부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마스크 {MASK}
본 발명은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황사와 미세먼지의 증가로 공기가 점차 오염되면서 외출 시 마스크를 착용하는 경우가 급속도로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마스크는 단순히 부직포 형태의 시트로 코와 입 주변을 가리는 정도에 지나지 않아 초미세먼지를 제대로 차단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에 KF 80, KF 94 등 높은 등급의 보건용 마스크가 판매되고 있으나 이러한 마스크들은 미세먼지 차단효과가 높아질수록 산소투과율이 낮아져 오히려 호흡하기 어려운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외부의 오염된 공기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마스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호흡하기 쉬울 뿐만 아니라, 모바일디바이스를 함께 사용하기 용이한 마스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는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기구와 그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기구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흡입구와 배기구 사이에 배치되어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 및 상기 케이스의 흡기구로부터 배기구로 공기유동을 형성하는 팬을 포함하는 정화부, 사용자의 코와 입 주변을 가리는 안면부 및 관형으로 형성되어, 일단은 상기 케이스의 배기구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안면부의 내부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화부는 사용자의 머리나 목 뒤쪽에 배치되고, 상기 흡기구는 상기 케이스의 후면에 형성되며, 상기 배기구는 상기 케이스의 좌우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의 일단은 상기 케이스의 배기구에 삽입된 상태에서 인입되거나 인출될 수 있고, 상기 연결부의 일단의 둘레면에는 상기 케이스의 배기구에 연통되는 연통구가 형성되며, 상기 연통구상에는 상기 연결부가 인출입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한 도어가 설치되되, 상기 도어는 상기 케이스에 대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의 배기구와 상기 연결부의 일단에는 서로 대응되는 형태의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면부는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면부에는 상기 연결부의 타단에 이웃하게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구상에는 프로펠러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면부의 전면에는 상기 개구를 덮는 망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면부의 후면에는 날숨의 성분을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피드백을 제공하는 바이오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모바일디바이스에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는 이어폰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음성을 수집하는 것으로, 통화시 이용되거나 사용자의 모바일디바이스 또는 사물인터넷에 대한 음성입력수단으로 이용되기 위한 마이크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외부의 소리를 수집하여 상기 이어폰으로 송출하기 위한 마이크 및 상기 마이크를 선택적으로 활성화는 버튼이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머리나 목 뒤쪽에 배치되는 정화부를 이용하여 공기를 정화한 후 사용자의 코와 입 주변을 가리는 안면부의 내부로 공급함으로써, 외부의 오염된 공기를 효과적으로 차단하면서 정화된 공기로 용이하게 호흡을 할 수 있는 마스크를 제공한다.
또한 사용자의 모바일디바이스에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는 이어폰, 마이크 등이 설치됨으로써, 마스크를 벗지 않고도 예컨대 간편하게 통화를 할 수 있는 마스크를 제공한다.
특히 안면부가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짐으로써, 외관을 개선할 수 있는 마스크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우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좌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정화부의 배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A 선에 의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안면부의 배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정화부와 연결부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개요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100)의 우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100)의 좌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100)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100)의 정화부(110)의 배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A-A 선에 의한 단면도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100)의 안면부(120)의 배면도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100)의 정화부(110)와 연결부(130)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개요도이다.
우선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마스크(100)는 정화부(110), 안면부(120), 연결부(130) 및 이어폰(140)을 포함한다.
도 4와 5를 함께 참조하면 정화부(110)는 케이스(111), 필터(112), 팬(113), PCB(114) 및 배터리(115)를 포함한다.
케이스(111)는 내부에 공간을 구비하여,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기구(111A) 및 그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기구(111B)가 형성된다. 도면에서는 흡기구(111A)가 케이스(111)의 후면에 형성되고, 배기구(111B)가 케이스(111)의 좌우측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또한 원형의 흡기구(111A)가 두 개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는데, 필요에 따라 사각형의 흡기구가 형성되거나 흡기구가 한 개 또는 세 개 이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필터(112)는 케이스(111)의 흡기구(111A)와 배기구(111B) 사이에 배치되며, 팬(113)은 케이스(111)의 흡기구(111A)로부터 배기구(111B)로 공기유동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팬(113)이 작동하면 외부의 공기가 흡기구(111A)를 통해 케이스(111)로 흡입되고, 필터(112)에 의해 정화되어 배기구(111B)를 통해 케이스(111)로부터 배출된다. 이러한 필터(112)는 예컨대 판형의 프리필터와 3in1필터가 서로 적층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PCB(114)는 후술할 연결부(130)의 조작버튼에 따라 팬(113), 이어폰(140) 등의 동작을 제어하며, 배터리(115)는 이를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케이스(111)에는 흡기구(111A), 필터(112), 팬(113) 그리고 배기구(111B)로 이어지는 공기유로로부터 PCB(114)와 배터리(115)를 격리하여 수용하기 위한 격벽(111C)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공기유동에 대한 PCB(114)와 배터리(115)의 물리적인 간섭을 최소화하여 그 공기유동을 보다 원활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정화부(110)는 사용자의 머리나 목 뒤쪽에 배치되도록 설계된다. 이 경우 정화부(110)의 전면에는 착용감을 개선하기 위해 예컨대 가죽과 스펀지 등으로 구성되어 오목하게 형성된 쿠션(116)이 결합될 수 있다.
안면부(120)는 사용자의 코와 입 주변을 가리기 위한 것으로서, 인체공학적인 굴곡으로 적절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안면에 더욱 긴밀하게 접촉되기 위해 그 외곽을 따라 예컨대 실리콘 등으로 이루어진 실링부재(121)가 결합될 수도 있다.
안면부(120)에는 후술할 연결부(130)의 타단(132)에 이웃하게 개구(120A)가 형성되는데, 개구(120A)상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유롭게 회전가능한 프로펠러(내지 팬)(122)가 설치된다. 또한 안면부(120)의 전면에는 개구(120A)를 전체적으로 덮는 망(123)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안면부(120)의 후면에서 개구(120A) 주변에는 날숨의 성분을 분석하여 피드백을 제공하는 바이오센서(124)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산화탄소의 농도, 아세톤의 농도, 톨루엔의 농도 등을 측정하여, 만약 아세톤의 농도가 지나치게 높다면 사용자에게 당뇨의 위험이 있음을 알릴 수도 있고, 톨루엔의 농도가 지나치게 높다면 사용자에게 폐암의 위험이 있음을 알리 수도 있다. 단 바이오센서(124)의 구체적인 구성과 원리는 공지된 바와 같으므로 이에 대해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사용자에게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후술할 이어폰(140)을 통해 정보를 송출할 수도 있고, 사용자의 모바일디바이스(예컨대 스마트폰)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다만 이들은 단순한 예시에 불과하며 사용자에게 피드백을 제공할 수만 있다면 그밖에 다른 수단도 얼마든지 채용될 수 있다.
이러한 안면부(120)는 특히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부(130)는 관형으로 형성되어, 케이스(111)의 배기구(111B)로부터 안면부(120)의 내부로 연장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연결부(130)의 일단(131)은 케이스(111)의 배기구(111B)에 삽입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배기구(111B)로 인입되거나 배기구(111B)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이때 연결부(130)의 일단(131)과 배기구(111B)에는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 그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대응되는 형태의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130)의 일단(131)의 둘레면에는 케이스(111)의 배기구(111B)에 연통되는 연통구(131A)가 형성되는데, 연통구(131A)상에는 연결부(130)의 일단(131)이 인출입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한 도어(133)가 설치된다. 이러한 도어(133)는 케이스(111)에 대해 고정된다. 예를 들면 도어(133)에 홈이나 돌기가 형성되고 정화부(110)의 케이스(111)에 돌기나 홈이 형성되어, 이들이 함께 맞물림으로써 도어(133)가 케이스(111)에 대해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부(130)의 일단(131)이 케이스(111)의 배기구(111B)로 인입되면, 도어(133)는 도 7a에서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연결부(130)의 일단(13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반대로 연결부(130)의 일단(131)이 배기구(111B)로부터 인출되면, 도어(133)는 상대적으로 연결부(130)의 일단(131)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경우 연결부(130)의 일단(131)이 케이스(111)의 배기구(111B)로부터 최대로 인출될 때, 연통구(131A)는 도어(133)에 의해 완전히 폐쇄되지 않고 소정의 면적으로 개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폰(140)은 사용자의 모바일디바이스에 무선(예컨대 블루투스)으로 연결되어, 음악이나 통화시 상대방의 음성을 송출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이어폰(140)이 연결부(130)로부터 연장되어 사용자의 귀를 둘러싸는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이 경우 이어폰(140)은 사용자의 두상의 크기에 맞게 그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연결부(130)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이에 의하면 사용자가 마스크(100)를 착용한 후 흘러내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 이어폰(140)이 와이어로 연결되는 등 그밖에 달리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이어폰(140)에는 재생/일시정지 등을 수행하기 위한 터치식 버튼이 일체로 설치될 수 있다.
더욱이 연결부(130)에는 사용자의 모바일디바이스에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는 제1 마이크(134-1), 외부의 소리를 수집하는 제2 마이크(134-2)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마이크(134-1)는 통화시 이용될 수도 있고, 상시 또는 특정한 상황에 작동하여 사용자의 모바일디바이스나 사물인터넷에 대한 음성입력수단으로 이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제1 마이크(134-1)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음성을 통해 전화 또는 문자, 네비게이션 등 특정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거나, 날씨 또는 연락처 등 원하는 정보검색을 요청할 수 있다. 한편 제2 마이크(134-2)에 의한 외부의 소리는 이어폰(140)으로 송출할 수 있다.
나아가 연결부(130)에는 각종 조작버튼들이 함께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 전화가 올 경우 그 전화를 받음과 동시에 제1 마이크(134-1)를 활성화하는 통화버튼(134-3), 이어폰(140)의 음량조절버튼(134-4), 제2 마이크(134-2)를 선택적으로 활성화하여 이어폰(140)으로 송출하는 외부소리버튼(134-5), 팬(113)의 전원버튼(134-6), 팬(113)의 출력조절버튼(134-7) 등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130)의 타단(132)에는 장식용 LED 등이 부가적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이상으로 설명한 마스크(100)의 구성에 기초하여, 이하에서는 마스크(100)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마스크(100)의 정화부(110)가 머리나 목 뒤쪽에 배치되도록 하고, 안면부(120)가 코와 입 주변을 가리도록 착용한다.
또한 연결부(130)의 일단(131)이 정화부(110)의 배기구(111B)에 삽입되는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각 사용자의 두상의 크기에 맞게 연결부(130)의 길이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안면부(120)가 사용자의 안면에 긴밀하게 접촉되도록 한다.
이후 전원버튼(134-6)을 누르면 정화부(110)의 팬(113)이 작동하여 외부의 오염된 공기가 흡기구(111A)를 통해 흡입되고, 필터(112)에 의해 정화되어 배기구(111B)를 통해 배출된다. 이에 따라 정화된 공기는 연결부(130)의 연통구(131A)를 통해 안면부(120)의 내부로 유동한다.
이로써 사용자는 외부의 오염된 공기로부터 차단하면서, 정화된 공기로 호흡을 할 수 있다.
한편 정화된 공기가 연결부(130)의 타단(132)으로부터 나올 때, 그 공기유동으로 인해 연결부(130)의 타단(132)에 이웃하게 설치된 프로펠러(122)가 회전하게 된다.
이로써 안면부(120)의 내부의 공기가 개구(120A)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어 안면부(120)의 내부에 습기가 차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아울러 외부의 오염된 공기가 개구(120A)를 통해 안면부(120)의 내부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개구(120A)를 덮는 망(123)이 설치됨으로써, 외부의 오염된 공기가 안면부(12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스마트폰으로 전화가 올 경우 통화버튼(134-3)을 눌러, 마스크(100)를 벗지 않고도 이어폰(140)과 제1 마이크(134-1)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통화를 할 수 있다.
또한 외부소리버튼(134-5)을 눌러 주변상황을 용이하게 감지할 수도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는 범위까지 그 기술적 정신이 있다 할 것이다.

Claims (12)

  1.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기구와 그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기구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흡기구와 배기구 사이에 배치되어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 및 상기 케이스의 흡기구로부터 배기구로 공기유동을 형성하는 팬을 포함하는 정화부,
    사용자의 코와 입 주변을 가리는 안면부 및
    관형으로 형성되어, 일단은 상기 케이스의 배기구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안면부의 내부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의 일단은 상기 케이스의 배기구에 삽입된 상태에서 인입되거나 인출될 수 있고,
    상기 연결부의 일단의 둘레면에는 상기 케이스의 배기구에 연통되는 연통구가 형성되며,
    상기 연통구상에는 상기 연결부가 인출입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한 도어가 설치되되,
    상기 도어는 상기 케이스에 대해 고정되는 마스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부는 사용자의 머리나 목 뒤쪽에 배치되고,
    상기 흡기구는 상기 케이스의 후면에 형성되며, 상기 배기구는 상기 케이스의 좌우측면에 형성되는 마스크.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배기구와 상기 연결부의 일단에는 서로 대응되는 형태의 요철이 형성되는 마스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면부는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마스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면부에는 상기 연결부의 타단에 이웃하게 개구가 형성되는 마스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상에는 프로펠러가 설치되는 마스크.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안면부의 전면에는 상기 개구를 덮는 망이 설치되는 마스크.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안면부의 후면에는 날숨의 성분을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피드백을 제공하는 바이오센서가 설치되는 마스크.
  10.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모바일디바이스에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는 이어폰을 더 포함하는 마스크.
  11. 제10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음성을 수집하는 것으로, 통화시 이용되거나 사용자의 모바일디바이스 또는 사물인터넷에 대한 음성입력수단으로 이용되기 위한 마이크가 설치되는 마스크.
  12. 제10항에 있어서,
    외부의 소리를 수집하여 상기 이어폰으로 송출하기 위한 마이크 및
    상기 마이크를 선택적으로 활성화는 버튼이 설치되는 마스크.
KR1020180078284A 2018-07-05 2018-07-05 마스크 KR1019956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8284A KR101995672B1 (ko) 2018-07-05 2018-07-05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8284A KR101995672B1 (ko) 2018-07-05 2018-07-05 마스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5672B1 true KR101995672B1 (ko) 2019-09-30

Family

ID=68098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8284A KR101995672B1 (ko) 2018-07-05 2018-07-05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567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778000A1 (es) * 2020-05-31 2020-08-06 Villanueva Margarita Gutierrez Mascarilla reutilizable antimicrobiana con sistemas de proteccion facial y sistemas de auto desinfeccion, circulacion y purificacion de aire, que permite ingerir liquidos.
KR102209435B1 (ko) * 2020-08-28 2021-01-29 이영규 자동 개방형 스마트 마스크
AT524078A1 (de) * 2020-08-14 2022-02-15 Tsetinis Christoph Gesichtsmaske zur bereichsweisen Abdeckung eines Gesichts
KR20220150103A (ko) * 2021-05-03 2022-11-10 이정규 무선 마스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2519Y1 (ko) * 2004-03-19 2004-06-05 임완택 마스크용 필터 구조
KR101819953B1 (ko) * 2016-03-25 2018-01-18 신택선 강제 배기 마스크
KR20180070630A (ko) * 2015-10-15 2018-06-26 클리어 에어 테크놀로지 리미티드 호흡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2519Y1 (ko) * 2004-03-19 2004-06-05 임완택 마스크용 필터 구조
KR20180070630A (ko) * 2015-10-15 2018-06-26 클리어 에어 테크놀로지 리미티드 호흡기
KR101819953B1 (ko) * 2016-03-25 2018-01-18 신택선 강제 배기 마스크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778000A1 (es) * 2020-05-31 2020-08-06 Villanueva Margarita Gutierrez Mascarilla reutilizable antimicrobiana con sistemas de proteccion facial y sistemas de auto desinfeccion, circulacion y purificacion de aire, que permite ingerir liquidos.
WO2021245299A1 (es) * 2020-05-31 2021-12-09 Margarita Gutierrez Villanueva Mascarilla generadora de aire que aleja los virus y que integra desinfección portátil de luz ultravioleta uvc
AT524078A1 (de) * 2020-08-14 2022-02-15 Tsetinis Christoph Gesichtsmaske zur bereichsweisen Abdeckung eines Gesichts
KR102209435B1 (ko) * 2020-08-28 2021-01-29 이영규 자동 개방형 스마트 마스크
KR20220150103A (ko) * 2021-05-03 2022-11-10 이정규 무선 마스크
KR102636025B1 (ko) 2021-05-03 2024-02-13 이정규 무선 마스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5672B1 (ko) 마스크
EP3437984B1 (en) Mask for underwater use, in particular of the full face type, provided with a communication device
US10786691B2 (en) Breathing apparatus
KR102002878B1 (ko) 전동식 공기정화 마스크
CN210376932U (zh) 具备空气净化功能的眼镜
TW201350167A (zh) 呼吸裝置
KR20070042720A (ko) 방진마스크
US20210289875A1 (en) Personal Air Filtering Device with Automatic Control of Air Movement
CA3115322A1 (en) Air mask
CA2298577A1 (en) Radiotelephone with sliding acoustic member
CN205106452U (zh) 一种头戴式蓝牙耳机口罩
KR20180039468A (ko) 휴대용 다용도 헬멧
KR20120000306A (ko) 방독면용 음성전달 모듈
JP2007181570A (ja) 防護マスク
EP4267257A1 (en) Face masks
CN107822232B (zh) 电动口罩反冲洗一体机
CN203884742U (zh) 活动式口罩
KR101764118B1 (ko) 공기청정 기능을 갖는 기능성 마스크
US20230014547A1 (en) Mask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60075453A (ko) 공기청정 기능을 갖는 기능성 마스크
JP2005304635A (ja) マスクカバー
KR20180137850A (ko) 원활한 호흡이 가능한 레저용 전자마스크
KR20210101551A (ko) 마스크
CN207907387U (zh) 可净化室内空气的小型移动密闭隔音间
CN205494724U (zh) 一种鼻用空气过滤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