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9435B1 - 자동 개방형 스마트 마스크 - Google Patents

자동 개방형 스마트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9435B1
KR102209435B1 KR1020200109020A KR20200109020A KR102209435B1 KR 102209435 B1 KR102209435 B1 KR 102209435B1 KR 1020200109020 A KR1020200109020 A KR 1020200109020A KR 20200109020 A KR20200109020 A KR 20200109020A KR 102209435 B1 KR102209435 B1 KR 1022094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face
main body
opening
ma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9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규
Original Assignee
이영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규 filed Critical 이영규
Priority to KR10202001090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94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94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94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2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 A41D13/0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with controlled temperature
    • A41D13/0053Cooled 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84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with protection for the eyes, e.g. using shield or vis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22Ion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20Analytics; Diagnosi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30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3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environmental factors not covered by group F24F2110/00
    • F24F2130/10Weather information or forecas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2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ranspor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uzzy System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Zo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반의 마스크와 동일하게 사용자의 안면 하부측을 덮는 형태로 구성되되 슬라이드 방식으로 개폐되는 개방 장치를 구비하여 그 안면 하부가 필요에 따라 일시적으로 개방될 수 있도록 하고, 정화된 공기를 공급하는 정화 장치 등의 각종 장치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쾌적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 개방형 스마트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 개방형 스마트 마스크는 코의 일부와 입을 포함한 사용자의 안면 하부측을 덮는 형태로 구성되어 양 측의 귀걸이를 이용한 착용시 그 안면 하부와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되, 그 공간을 슬라이드 방식으로 개폐가능한 개폐부가 사용자의 안면에 직접 밀착되는 본체부의 전면에 구비되며, 외부의 공기를 정화하며 상기 공간의 내부로 공급하는 정화 장치가 상기 본체부의 양 측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구비되는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 개방형 스마트 마스크{Auto open type smart mask}
본 발명은 자동으로 개방될 수 있는 스마트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일반의 마스크와 동일하게 사용자의 안면 하부측을 덮는 형태로 구성되되 슬라이드 방식으로 개폐되는 개방 장치를 구비하여 그 안면 하부가 필요에 따라 일시적으로 개방될 수 있도록 하고, 정화된 공기를 공급하는 정화 장치 등의 각종 장치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쾌적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 개방형 스마트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개인의 위생을 위한 목적으로 코와 입을 가리는 물건을 마스크라 하며, 최근에는 황사, 미세먼지 그리고 코로나 바이러스(COVID-19)등의 각종 이슈로 인해 그 사용량이 이전에 비해 매우 크게 늘어난 상태이다.
이중, 황사와 미세먼지와 관련해서는 발생시기가 제한적이고, 날씨에 따라 대기중의 농도가 날마다 다르게 형성되는 등의 이유로 마스크의 착용이 항상 필수적인 것이 아니며, 대기중의 농도가 상당한 경우라도 마스크의 착용 여부가 개인의 자유에 의한 것이다.
그러나 최근 전세계적으로 유행중인 코로나 바이러스와 관련해서는 타인간의 대면이 발생하는 대부분의 장소에서의 마스크의 착용이 필수적이며, 장소에 따라서는 착용이 강제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마스크 착용시간의 증가에 따른 냄새, 피부 트러블, 귀의 통증, 화장 번짐, 여름철 체감 온도 상승 등의 다양한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이유로 상기와 같은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21877호의 “공기 분사형 스마트 마스크”,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32827호의 “스마트 마스크” 및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39282호의 “스마트 마스크” 등의 발명들이 제안되어 공개된 바 있다.
우선, 상기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21877호의 “공기 분사형 스마트 마스크”에는 사용자의 목 또는 어깨 주변에 안착된 상태로 정화된 공기를 내부 통로로 유입시키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분사하는 안면 커버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공기의 분사에 의해 상기 안면 커버부가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되지 않을 수 있도록 하고, 장시간 착용에 따라 귀에 발생하는 통증을 원천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마스크에 관한 발명이 제안되었다.
또한, 상기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32827호의 “스마트 마스크”에는 사용자의 안면을 덮어 밀폐하는 안면커버에 이산화탄소 등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날숨 배출모듈을 설치한 형태로 구성되되 상기 날숨 배출모듈을 착탈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어, 이산화탄소의 재흡입에 따른 악영향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하고, 안면커버의 주기적인 교체로 위생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마스크에 관한 발명이 제안되었다.
그리고 상기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39282호의 “스마트 마스크”에는 공기 정화부 및 제어부가 내장된 한 쌍의 귀마개부와 양단이 상기 귀마개부 각각에 연결되며 사용자의 안면과 일정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정화된 공기가 내측으로 공급되도록 구성되는 마스크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그 내측으로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 상기 마스크부가 사용자의 얼굴과 일정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불쾌감이 감소될 수 있도록 하는 마스크에 관한 발명이 제안되었다.
즉,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발명들은 마스크 내부의 환기 및 공기 청정을 위한 다양한 장치들이 부가된 상태로 구성되어 마스크를 착용한 사용자를 위한 위생 기능의 제공에 중점을 두고 있으나,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로는 음식물을 섭취할 수 없고, 타인과의 대화에 있어 의사전달이 불명확하게 되는 등의 모든 마스크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문제는 해결하지 못하고 있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발명들이 제시하고 있는 마스크 내부의 환기 및 공기 청정 기능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고, 더 나아가 냉방 기능 등의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로도 음식물을 섭취할 수 있도록 하고, 타인과의 대화에 있어 의사전달이 명확하게 될 수 있도록 하는 마스크에 관한 발명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21877호(2020. 03. 0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32827호(2020. 03. 27.)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39282호(2020. 04. 1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발명들의 한계를 개선하기 위한 발명으로써,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발명들은 마스크 내부의 환기 및 공기 청정을 위한 다양한 장치들이 부가된 상태로 구성되어 마스크를 착용한 사용자를 위한 위생 기능의 제공에 중점을 두고 있으나,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로는 음식물을 섭취할 수 없고, 타인과의 대화에 있어 의사전달이 불명확하게 되는 등의 모든 마스크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문제는 해결하지 못하고 있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고자,
코의 일부와 입을 포함한 사용자의 안면 하부측을 덮는 형태로 구성되어 양 측의 귀걸이를 이용한 착용시 그 안면 하부와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되, 그 공간을 슬라이드 방식으로 개폐가능한 개폐부가 사용자의 안면에 직접 밀착되는 본체부의 전면에 구비되며, 외부의 공기를 정화하며 상기 공간의 내부로 공급하는 정화 장치가 상기 본체부의 양 측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구비되는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개방형 스마트 마스크를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공지의 스마트폰으로 구성되고, 상기 자동 개방형 스마트 마스크의 제어를 위한 제어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상태로 상기 자동 개방형 스마트 마스크와 연동될 수 있는 사용자 단말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 개방형 스마트 마스크는,
본체부의 전면에 구비되는 개방 장치가 슬라이드 방식으로 자동으로 개방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사용자가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로도 음식물을 섭취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와 타인과의 대화에 있어 명확하게 의사전달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발생한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은 정화 장치 등의 각종 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장시간 착용하는 경우에도 쾌적한 상태를 항상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발생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 개방형 스마트 마스크의 외부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한 쌍의 개폐부가 개방되는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한 쌍의 개폐부가 서로 엇갈리는 형태로 구성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본체부에 가림착이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인공지능부의 작동 관계도.
본 발명은 자동으로 개방될 수 있는 스마트 마스크(100)에 관한 것으로써,
코의 일부와 입을 포함한 사용자의 안면 하부측을 덮는 형태로 구성되어 양 측의 귀걸이를 이용한 착용시 그 안면 하부와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되, 그 공간을 슬라이드 방식으로 개폐가능한 개폐부(120)가 사용자의 안면에 직접 밀착되는 본체부(110)의 전면에 구비되며, 외부의 공기를 정화하며 상기 공간의 내부로 공급하는 정화 장치(130)가 상기 본체부(110)의 양 측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구비되는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개방형 스마트 마스크(100)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우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자동 개방형 스마트 마스크(100)는 사용자의 안면 하부측에 직접 밀착되는 본체부(110), 본체부(110)의 전면에 설치되는 개폐부(120), 본체부(110)의 양 측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설치되는 정화 장치(130) 그리고 본체부(110)의 후면측에 체결되는 한 쌍의 귀걸이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된다.
즉, 상기 자동 개방형 스마트 마스크(100)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각종 마스크들과 동일하게 한 쌍의 귀걸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안면에 착용될 수 있으며, 착용시 사용자의 코와 입을 포함한 안면 하부측을 덮는 형태로 구성되어 황사, 미세먼지 그리고 비말 등으로부터 사용자의 호흡기를 보호한다.
이때, 상기 본체부(110)는 일측과 타측이 모두 개방된 상태로 사용자의 안면 하부측에 밀착될 수 있는 곡선 프레임의 형상으로 구성됨으로써, 사용자의 안면 하부측에 안정적으로 착용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착용시 그 안면 하부의 전방에 공기가 일시적으로 체류하는 체류 공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110)의 전면에는 개폐부(120)가 설치되어 본체부(110)의 일측면을 슬라이드 방식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그 양 측면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공기를 정화하는 정화 장치(130)가 설치됨으로써 정화된 공기가 본체부(110)의 내부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본체부(110)의 양 측면 중 어느 하나에만 정화 장치(130)가 설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자동 개방형 스마트 마스크(100)를 착용한 상태인 사용자의 호흡에 의하여 배출되는 이산화탄소 등에 의하여 빠르게 오염되는 본체부(11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환기 장치가 다른 한편에 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정화 장치(130)와 환기 장치는 모두 본체부(110)에 탈장착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어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장착되는 구성이 다르게 형성될 수 있으나, 정화된 공기의 공급을 위해 하나의 정화 장치(130)가 장착되고 오염된 공기의 배출을 위해 하나의 환기 장치가 장착되는 형태가 가장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자동 개방형 스마트 마스크(100)를 착용한 사용자는 마스크(100)를 착용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한 상태로 음식물을 섭취할 수 있고, 전화 통화 등 타인과의 대화에 있어 자신의 의사를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게 되며, 장시간의 착용에도 불구하고 공기의 정화 및 환기로 인한 쾌적한 상태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한 쌍의 개폐부(120)는 소형의 모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는 구동부와 함께 개방 장치를 구성하며, 상기 구동부에 의해 서로 다른 방향을 이동하며 본체부(110) 내부의 공간을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구동부가 한 쌍의 개폐부(120)를 구동시키는 방식으로는 슬라이드 방식으로 자동문을 개폐하는 공지의 방식이 이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상기 본체부(110)의 일측과 타측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슬라이드홈(111)이 형성되어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슬라이드 방식으로 이동하는 한 쌍의 개폐부(120) 각각이 본체부(110)의 외부를 향해 진출한 후 다시 내부를 향해 진입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한 쌍의 개폐부(120) 각각의 말단부는 단순히 서로 접촉하는 방식이 아닌 서로 맞물리는 형태로 구성되어 이음새를 통한 황사, 미세먼지 그리고 비말 등의 내부 유입이 원천적으로 차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개폐부(120) 각각의 말단부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엇갈리며 측면의 일부가 서로 밀착될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되되 서로 밀착되는 각 측면의 일부에 틈새를 통한 황사, 미세먼지 그리고 비말 등의 내부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다수의 돌기가 형성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가 한 쌍의 개폐부(120)를 구동시키는 다른 방식으로는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회전축에 플렉시블한 재질로 구성되는 개폐부(120)를 말았다 풀어주는 방식이 이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상기 본체부(110)의 일측과 타측에 슬라이드홈(111)이 형성될 필요가 없다.
그리고 이 경우에는 상기 한 쌍의 개폐부(120) 각각의 말단부가 서로 엇갈리며 측면이 서로 밀착되는 도 3과 같은 형태로 구성되어 틈새를 통한 황사, 미세먼지 그리고 비말 등의 내부 유입이 효과적으로 차단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자동 개방형 스마트 마스크(100)의 일측에는 개폐부(120)의 개폐를 위한 개폐용 스위치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개방 또는 폐쇄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자동 개방형 스마트 마스크(100)를 안면에 착용한 상태로 음식물을 섭취하거나 전화 통화 등 타인과 대화를 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자동 개방형 스마트 마스크(100)의 일측에 구비되는 스위치를 이용하여 개방 장치를 구동시킴으로써 자신의 입과 코를 포함한 안면 하부측이 외부를 향해 노출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음식물의 섭취나 대화가 완료된 후에는 다시 스위치를 이용하여 개방 장치를 구동시켜 개폐부(120)를 폐쇄함으로써 황사, 미세먼지 그리고 비말 등을 차단하는 마스크 본연의 기능이 발휘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110)의 내부에는 그 본체부(110)의 내부를 향해 플라즈마 이온을 방출하여 살균하는 플라즈마 이온기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플라즈마 이온기는 상기 자동 개방형 스마트 마스크(100)와 사용자의 안면 하부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플라즈마 이온을 방출함으로써 본체부(110) 내부의 공간이 살균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그 플라즈마 이온을 흡입한 사용자의 구강 및 비강의 내부가 살균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본체부(110)의 내부에 구비되는 플라즈마 이온기는 개폐부(120)가 폐쇄된 상태에서는 플라즈마 이온을 방출하지 않거나 설정된 주기에 따라 소량의 플라즈마 이온만을 방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라즈마 이온기는 개폐부(120)가 개방될 때마다 플라즈마 이온을 방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 방출되는 플라즈마 이온의 양은 개폐부(120)가 폐쇄된 상태에서의 방출량보다 다량으로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바이러스가 사멸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110)의 상부에는 황사, 미세먼지 그리고 비말 등으로부터 사용자의 안면 상부측, 특히 사용자의 눈을 보호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자의 안면 상부측을 가리는 형태로 구성되는 투명 재질의 가림창(140)이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림창(140)은 본체부(110)의 상부에 탈장착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에 따라 본체부(110)의 상부에는 가림창(140)의 장착을 위한 장착홈 등의 장착 수단이 형성될 수 있으며, 부가적으로는 외부 표면에 김 서림을 방지하기 위한 방지코팅과 향균 처리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110)의 내부에는 그 내부를 향하여 냉기를 방출하는 소형의 에어컨 장치(15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110)의 내부, 바람직하게는 본체부(110) 내부의 상부측 또는 하부측에는 그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160)가 구비될 수 있고, 사용자의 음성을 감지하는 음성 센서(17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에어컨 장치(150), 상기 온도 센서(160) 그리고 상기 음성 센서(170)의 활용은 아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자동 개방형 스마트 마스크(100)는 독자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나 사용자가 소유하는 공지의 스마트폰으로 구성되는 사용자 단말기(200)와 연계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기(200)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자신의 스마트폰에 제어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한 후 착용하고자 하는 자동 개방형 스마트 마스크(100)를 그 사용자 단말기(200)와 연동시켜야 한다.
이때, 연동을 위해 사용되는 방식으로는 블루투스 기술을 이용한 공지의 페어링 방식이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자동 개방형 스마트 마스크(100)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가 연동되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200)를 이용하여 자신이 착용한 자동 개방형 스마트 마스크(100)의 개방 장치를 구동시킬 수 있으며, 그 외에도 아래와 같은 다양한 기능의 실현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은 상기 자동 개방형 스마트 마스크(100)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가 연동된 상태에서 공지의 스마트폰으로 구성되는 사용자 단말기(200)에 전화가 수신되어 통화가 연결되는 경우에는 자동 개방형 스마트 마스크(100)의 개방 장치가 자동으로 구동되어 본체부(110)를 개방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통화 연결이 종료되는 경우에는 개방된 상태인 본체부(110)를 다시 폐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를 이용하여 전화를 발신하여 통화가 연결되는 경우에도 상기 자동 개방형 스마트 마스크(100)의 개방 장치가 자동으로 구동되어 개폐부(120)를 개방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통화 연결이 종료되는 경우에는 개방된 상태인 본체부(110)를 다시 폐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를 이용한 전화 통화의 실시만으로 상기 자동 개방형 스마트 마스크(100)가 자동으로 본체부(110)를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본체부(110) 내부의 온도에 따라서 정화 장치(130)에 의해 그 본체부(110)의 내부로 정화된 공기가 공급되는 속도가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환기 장치에 의해 본체부(110)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속도가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상기 본체부(110)의 내부로 정화된 공기가 공급되고 오염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속도의 향상에 의해 본체부(110) 내부의 온도를 저하시킬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하며, 이와 같은 본체부(110) 내부 온도의 저하를 위한 최선의 형태는 본체부(110)의 일측에 정화 장치(130)가 장착되고 다른 일측에 환기 장치가 장착되는 형태이다.
이와 같은 기능의 실현을 위하여, 본 발명은 기계 학습 엔진인 구글(Google)의 텐서플로(Tensorflow)를 이용하는 인공지능부(2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인공지능부(210)는 본체부(110) 내부의 온도 센서(160)에서 측정되는 온도와 수집 가능한 현재의 날짜와 현재의 기온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정화 장치(130)와 환기 장치, 특히 환기 장치를 구성하는 팬의 회전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인공지능부(210)는 공지의 스마트폰으로 구성되어 무선 인터넷 연결이 가능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의 일부 구성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인공지능부(210)는 무선 인터넷 연결을 통해 현재의 날짜 정보와 사용자 단말기(200)가 위치한 지역의 현재 기온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들과 본체부(110) 내부의 온도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본체부(110) 내부에서의 환기 속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하며, 이는 본체부(110) 내부의 온도가 조절되는 효과로 이어질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본체부(110) 내부에 소형의 에어컨 장치(150)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인공지능부(210)가 본체부(110) 내부의 온도 센서(160)에서 측정되는 온도와 무선 인터넷 연결을 통해 수집 가능한 현재의 날짜와 현재의 기온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에어컨 장치(150)의 가동을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은 상기 자동 개방형 스마트 마스크(100)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가 연동된 상태에서 발생하는 사용자의 음성을 감지하여 개폐부(120)가 개방되거나 폐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공지능부(210)는 본체부(110) 내부의 음성 센서(170)에서 감지되는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고, 인식된 음성이 의미하는 내용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필요나 의도에 따라 개폐부(120)가 개방되거나 폐쇄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인공지능부(210)는 본체부(110) 내부의 음성 센서(170)에서 감지하는 사용자의 음성에 포함된 특정 단어를 인식하여 개폐부(120)가 자동으로 개방되거나 폐쇄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인공지능부(210)에서 인식할 수 있는 특정 단어는 미리 세팅된 하나 이상의 단어일 수 있으나,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를 이용한 음성 인식 방법에 의하여 하나 이상의 단어를 더 추가할 수 있고, 입력을 통해 설정된 단어를 제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자동 개방형 스마트 마스크는 상기한 기능들의 구현을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는 개폐용 스위치로부터 전달되는 작동 신호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전달되는 작동 신호에 의하여 구동부를 제어하여 개폐부(120)가 개폐될 수 있도록 하고, 개폐부(120)가 개방될 때 플라즈마 이온이 방출될 수 있도록 하며, 개폐부(120)가 폐쇄된 상태에서 설정된 주기에 따라 소량의 플라즈마 이온이 방출 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본체부(110) 내부의 온도에 따라 정화 장치(130)와 환기 장치를 제어할 수 있으며, 에어컨 장치(150)의 가동을 제어할 수 있다.
위에서 소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써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 또는 축소되어 표현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100 : 마스크 → 110 : 본체부 → 111 : 슬라이드홈
120 : 개폐부
130 : 정화 장치
140 : 가림창
150 : 온도 센서
160 : 음성 센서
200 : 사용자 단말기 → 210 : 인공지능부

Claims (6)

  1. 자동 개방형 스마트 마스크(100)에 있어서,
    코의 일부와 입을 포함한 사용자의 안면 하부측을 덮는 형태로 구성되어 양 측의 귀걸이를 이용한 착용시 그 안면 하부와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되, 그 공간을 슬라이드 방식으로 개폐가능한 개폐부(120)가 사용자의 안면에 직접 밀착되는 본체부(110)의 전면에 구비되며, 외부의 공기를 정화하며 상기 공간의 내부로 공급하는 정화 장치(130)가 상기 본체부(110)의 양 측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구비되는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본체부(110)는,
    본체부(110)의 내부를 향하여 냉기를 방출하는 에어컨 장치(150); 본체부(110)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160); 및, 사용자의 음성을 감지하는 음성 센서(17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공지의 스마트폰으로 구성되고, 상기 자동 개방형 스마트 마스크(100)의 제어를 위한 제어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상태로 상기 자동 개방형 스마트 마스크(100)와 연동될 수 있는 사용자 단말기(20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사용자 단말기(200)는,
    상기 온도 센서(160)에서 측정되는 상기 본체부(110) 내부의 온도와 날짜 정보 그리고 사용자 단말기(200)가 위치한 지역의 현재 기온 정보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상기 에어컨 장치(150)을 가동을 제어하고, 상기 음성 센서(170)에서 감지되는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며, 인식된 음성이 의미하는 내용을 분석하여 상기 개폐부(120)의 작동을 위한 작동 신호를 생성하는 인공지능부(21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개방형 스마트 마스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10)의 내부를 향해 플라즈마 이온을 방출하여 살균하는 플라즈마 이온기(미도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개방형 스마트 마스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10)의 상부에는,
    사용자의 안면 상부측을 가리는 형태인 투명 재질의 가림창(140)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개방형 스마트 마스크.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개방형 스마트 마스크(10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와 연동된 상태에서, 그 사용자 단말기(200)에 전화가 수신되거나 그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전화가 발신되어 통화가 연결되는 경우에는 개방 장치가 자동으로 구동되어 본체부(110)를 개방하도록 구성되고,
    통화 연결이 종료되는 경우에는 개방 장치가 자동으로 구동되어 본체부(110)를 폐쇄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개방형 스마트 마스크.



  6. 삭제
KR1020200109020A 2020-08-28 2020-08-28 자동 개방형 스마트 마스크 KR1022094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9020A KR102209435B1 (ko) 2020-08-28 2020-08-28 자동 개방형 스마트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9020A KR102209435B1 (ko) 2020-08-28 2020-08-28 자동 개방형 스마트 마스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9435B1 true KR102209435B1 (ko) 2021-01-29

Family

ID=74236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9020A KR102209435B1 (ko) 2020-08-28 2020-08-28 자동 개방형 스마트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943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2365B1 (ko) * 2021-03-12 2021-08-23 주식회사 예진 속필터 교체형 마스크
KR102339083B1 (ko) * 2021-04-26 2021-12-14 주식회사 플라큐어 저온대기압 플라즈마 발생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2359502B1 (ko) * 2021-05-06 2022-02-09 이영희 강제 흡배기 기능을 갖는 마스크
KR102412492B1 (ko) * 2022-04-23 2022-06-22 윤성은 비밀폐형 바이러스 및 박테리아 차단장치
KR20230033779A (ko) * 2021-09-01 2023-03-09 주식회사 파커스 마스크 장치
KR20230169809A (ko) * 2022-06-09 2023-12-18 윤성은 비밀폐형 바이러스 및 박테리아 차단장치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9220A (ko) * 2004-04-06 2004-05-10 박춘배 방호두건용 보안경
KR20120013171A (ko) * 2010-08-04 2012-02-14 박경수 입가림 마스크
KR20190069754A (ko) * 2017-12-12 2019-06-20 김예린 인공지능형 마스크
KR101995672B1 (ko) * 2018-07-05 2019-09-30 박승만 마스크
KR102079044B1 (ko) * 2019-10-22 2020-02-20 주식회사 대성엠앤씨 온/오프라인에서의 원격강의와 주변기기의 통합제어가 가능한 스마트 전자교탁
KR20200021615A (ko) * 2018-08-21 2020-03-02 안하민 Iot기반 스마트 블라인드, 창문
KR20200021877A (ko) 2018-08-21 2020-03-02 주식회사 네패스 공기 분사형 스마트 마스크
KR102091347B1 (ko) * 2019-04-12 2020-03-19 이의용 필터 교환형 미세 먼지 마스크
KR20200032827A (ko) 2018-09-19 2020-03-27 주식회사 파이산업 스마트 마스크
KR20200039282A (ko) 2018-10-05 2020-04-16 전자부품연구원 스마트 마스크
KR20200083069A (ko) * 2018-12-31 2020-07-08 (주)루쏘코리아 스마트 웨어러블 공기정화기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9220A (ko) * 2004-04-06 2004-05-10 박춘배 방호두건용 보안경
KR20120013171A (ko) * 2010-08-04 2012-02-14 박경수 입가림 마스크
KR20190069754A (ko) * 2017-12-12 2019-06-20 김예린 인공지능형 마스크
KR101995672B1 (ko) * 2018-07-05 2019-09-30 박승만 마스크
KR20200021615A (ko) * 2018-08-21 2020-03-02 안하민 Iot기반 스마트 블라인드, 창문
KR20200021877A (ko) 2018-08-21 2020-03-02 주식회사 네패스 공기 분사형 스마트 마스크
KR20200032827A (ko) 2018-09-19 2020-03-27 주식회사 파이산업 스마트 마스크
KR20200039282A (ko) 2018-10-05 2020-04-16 전자부품연구원 스마트 마스크
KR20200083069A (ko) * 2018-12-31 2020-07-08 (주)루쏘코리아 스마트 웨어러블 공기정화기
KR102091347B1 (ko) * 2019-04-12 2020-03-19 이의용 필터 교환형 미세 먼지 마스크
KR102079044B1 (ko) * 2019-10-22 2020-02-20 주식회사 대성엠앤씨 온/오프라인에서의 원격강의와 주변기기의 통합제어가 가능한 스마트 전자교탁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2365B1 (ko) * 2021-03-12 2021-08-23 주식회사 예진 속필터 교체형 마스크
KR102339083B1 (ko) * 2021-04-26 2021-12-14 주식회사 플라큐어 저온대기압 플라즈마 발생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2359502B1 (ko) * 2021-05-06 2022-02-09 이영희 강제 흡배기 기능을 갖는 마스크
WO2022234932A1 (ko) * 2021-05-06 2022-11-10 이영희 강제 흡배기 기능을 갖는 마스크
KR20230033779A (ko) * 2021-09-01 2023-03-09 주식회사 파커스 마스크 장치
KR102663782B1 (ko) 2021-09-01 2024-05-08 (주)알록 마스크 장치
KR102412492B1 (ko) * 2022-04-23 2022-06-22 윤성은 비밀폐형 바이러스 및 박테리아 차단장치
WO2023204532A1 (ko) * 2022-04-23 2023-10-26 윤성은 비밀폐형 바이러스 및 박테리아 차단장치
KR20230169809A (ko) * 2022-06-09 2023-12-18 윤성은 비밀폐형 바이러스 및 박테리아 차단장치
KR102624762B1 (ko) * 2022-06-09 2024-01-12 윤성은 비밀폐형 바이러스 및 박테리아 차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9435B1 (ko) 자동 개방형 스마트 마스크
KR101854270B1 (ko) 방진 마스크
KR101710046B1 (ko) 안경 김서림 방지기능을 갖는 마스크
CN215270749U (zh) 杀菌防护罩
US20230191169A1 (en) Headpiece, face shield and method of using a headpiece
KR20210048117A (ko) 마스크
KR102412492B1 (ko) 비밀폐형 바이러스 및 박테리아 차단장치
KR20180080088A (ko) 미세먼지 차단용 마스크 고글
KR102373018B1 (ko) led 빛과 에어커튼 기능이 구비된 바이러스 차단용 마스크
US20220240604A1 (en) Portable protective device for preventing respiratory viruses
KR102281143B1 (ko) 사용자의 안면 전체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안면마스크
KR20220087713A (ko) 마스크용 환기 장치
KR102272576B1 (ko) 인공지능 마스크
KR20220145101A (ko) 살균기능을 갖는 플라즈마 페이스 쉴드
KR102359502B1 (ko) 강제 흡배기 기능을 갖는 마스크
KR102573128B1 (ko) 비말 감염 예방용 플라스틱 마스크
CN215873534U (zh) 面罩和面罩嵌件
KR102260526B1 (ko) 산소발생기능이 구비된 마스크
KR102476836B1 (ko) 투명마스크
WO2021187989A1 (en) A face mask, an air treatment unit and a protection system comprising the face mask and the air treatment unit
JP2021186627A (ja) 紫外線マスク
KR101672697B1 (ko) 방진 마스크
KR102613647B1 (ko) 김서림 방지용 보안경
CN213370069U (zh) 风帘头环装置
JP6916575B1 (ja) 送風機能付きフェイスシール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