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9953B1 - 강제 배기 마스크 - Google Patents

강제 배기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9953B1
KR101819953B1 KR1020160035999A KR20160035999A KR101819953B1 KR 101819953 B1 KR101819953 B1 KR 101819953B1 KR 1020160035999 A KR1020160035999 A KR 1020160035999A KR 20160035999 A KR20160035999 A KR 20160035999A KR 101819953 B1 KR101819953 B1 KR 1018199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sensor
exhaust fan
exhaust
threshold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59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1134A (ko
Inventor
신택선
Original Assignee
신택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택선 filed Critical 신택선
Priority to KR10201600359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9953B1/ko
Publication of KR201701111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11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99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99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00Component parts for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A62B9/003Means for influencing the temperature or humidity of the breathing ga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06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with pumps for forced venti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3/00Adaptive control systems, i.e. systems automatically adjusting themselves to have a performance which is optimum according to some preassigned criterion
    • G05B13/02Adaptive control systems, i.e. systems automatically adjusting themselves to have a performance which is optimum according to some preassigned criterion electric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2/00Control of humidity
    • G05D22/02Control of humidity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3/00Control of temperature
    • G05D23/19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G05D23/1917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using digital mea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7/00Simultaneous control of variable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5D1/00 - G05D25/00
    • G05D27/02Simultaneous control of variable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5D1/00 - G05D25/00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H04W4/00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스크에 형성된 배기통로와 배기통로에 장착된 배기팬을 통해 마스크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강제 배기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안면에 부착되 입과 코를 덮도록 제작된 마스크에 있어서, 마스크의 외부와 내부를 연통하도록 마스크에 배기통로가 형성되고, 배기통로 단부에 배기팬이 장착되고, 배기팬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마스크 내부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센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마스크 내부에 특정 가스가 밀집되 특정 가스의 농도가 증가되는 것이 방지되며, 마스크 내부의 온도 및 습도가 적정치로 유지되는 효과가 있는, 강제 배기 마스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강제 배기 마스크{FORCED VENTILATION MASK}
본 발명은 강제 배기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마스크 내부를 센싱하고, 센싱값이 한계치 이상일 때, 마스크 내부 공기를 강제적으로 마스크 밖으로 배출하는 강제 배기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방독마스크는 오염지역, 각종 위급상황, 공기가 오염될 수 있는 산업분야, 방사성 물질에 노출될 수 있는 원자력 발전소 등에서 발생되는 유해성 오염물질이 인체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안면에 착용하는 것으로서, 크게 눈과 호흡기를 포함하여 안면 전체를 보호하는 전면형 방독 마스크(FULL FACE GAS MASK, 방독면)와, 호흡기만을 보호하는 반면형 방독 마스크(HALF FACE GAS MASK)로 구분할 수 있다.
이 중에서 반면형 방독마스크는, 전면형 방독마스크에 비하여 구조가 간단하고 착용감이 좋기 때문에, 굳이 눈까지 보호할 필요가 없는 산업분야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최근 유동인구가 많고 화재 등의 사고 위험이 많은 공공장소, 예컨대 극장이나 지하철 등에는 방독마스크의 비치가 의무화되어 있고, 이에 따라 방독면 보관함을 비치하여 방독마스크를 보관하고 있다.
이러한 방독마스크는 주로 전면형 방독마스크로서, 마스크본체를 재사용할 수 있고, 정화통을 교체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는데, 고무 소재로 이루어진 마스크본체와 정화통을 각각 별도로 보관하고 있다.
즉, 정화통을 마스크본체에 조립한 상태로 보관할 경우, 정화통의 필터 소재인 활성탄이나 종이 여과재가 공기 중의 수분과 불순물을 흡착함으로써 정화효율이 급격히 떨어져, 정작 필요한 경우에 정화능력을 발휘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으므로, 정화통을 비닐 등의 포장지로 포장하여 별도로 보관하게 된다.
이에 반하여, 방진 마스크(DUSTPROOF MASK)는 공기 중 부유하는 유해 분진을 흡입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사용되는 마스크를 지칭한다.
방진 마스크는, 방독 마스크 중 반면형 방독 마스크의 형상과 유사하게 제작된다.
그러나, 방진 마스크는, 정화통이 장착되는 방독 마스크와는 달리 유해분진이 여과되는 투과성 재질로 마스크 본체가 제작되거나, 비투과성 재질로 마스크 본체가 제작될 경우에도 정화통보다 작은 크기의 필터가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에 따라, 마스크 내부에 마스크 본체 또는 작은 크기의 필터로 여과하기 힘든 유해 가스가 밀집되 유해 가스의 농도가 높아질 가능성이 있었으며, 마스크 내부 온도 및 습도 조절에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마스크가 피부와 완전히 밀착되기 어렵기 때문에 유격이 발생되는 것이 불가피하다. 즉, 마스크와 피부 사이 유격을 통해 유해가스가 마스크 내부로 유입될 가능성이 높다.
또한, 일산화탄소와 같은 유해가스는 감지할 수 있는 냄새가 없으므로, 유격을 통해 마스크 내부로 유입되거나, 마스크의 필터 성능이 저하되 유입되더라도 이를 알 방도가 없다.
또한,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마스크 내부 온도 또는 습도가 적정치 보다 높아져 착용자가 불쾌감을 느끼게될 여지가 크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57107호(2001.11.30.)
이에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본 발명의 목적은, 마스크 내부를 센싱하고, 센싱값이 한계치 이상일 때, 마스크 내부 공기를 강제적으로 마스크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마스크 내부에 유해 가스가 밀집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마스크 내부 온도 및 습도를 조절할 수 있는 강제 배기 마스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마스크 내부에 특정 유해가스의 농도가 증가되는 것을 감지하고, 이를 착용자에게 알릴 수 있는, 강제 배기 마스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강제 배기 마스크는, 안면에 부착되 입과 코를 덮도록 제작된 마스크에 있어서, 마스크의 외부와 내부를 연통하도록 마스크에 배기통로가 형성되고, 배기통로 단부에 배기팬이 장착되고, 배기팬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마스크 내부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센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센서는, 마스크 내부 가스를 검출하는 가스센서, 마스크 내부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 또는 마스크 내부 습도를 검출하는 습도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센서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배기팬으로 작동신호를 전달하도록 센서와 배기팬 사이에 제어회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어회로는, 센서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계측치로 환산하고, 계측치를 기입력된 작동조건과 비교해 배기팬의 작동속도를 도출하는 제어알고리즘과, 제어알고리즘으로부터 수신된 작동신호에 따라 배기팬에 전력을 인가하는 배기팬제어부와, 계측치가 최고 임계값 이상으로 일정시간 이상 지속되면 소리를 발생하는 알람스피커와, 제어회로를 외부 단말기와 무선으로 연결시키는 블루투스 통신모듈 및, 배기팬 또는 센서에 온오프신호를 송신하는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외부 단말기는, 블루투스 통신 모듈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연결되는 블루투스 통신부와, 특정 가스의 농도 최저 임계값 및 최고 임계값, 마스크 내부 온도 최저 임계값 및 최고 임계값 또는, 마스크 내부 습도 최저 임계값 및 최고 임계값을 작동조건으로 입력받는 입력프로그램과, 센서를 통해 획득된 특정 가스의 농도, 마스크 내부 온도 또는 마스크 내부 습도 및, 특정 가스의 농도 임계값, 마스크 내부 온도 임계값 또는 마스크 내부 습도 임계값이 표시되는 출력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입력프로그램을 통해 작동조건을 변경할 수 있다.
위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마스크 내부에 특정 가스가 밀집되 특정 가스의 농도가 증가되는 것이 방지되며, 마스크 내부의 온도 및 습도가 적정치로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마스크 내부에 특정 유해가스의 농도가 증가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으며, 이를 착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강제 배기 마스크의 예시도,
도 2는 도 1의 강제 배기 마스크의 요부 단면도,
도 3은 도 1의 강제 배기 마스크에 구비된 제어회로와 외부 단말기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을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 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마스크에 형성된 배기통로와 배기통로에 장착된 배기팬을 통해 마스크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강제 배기 마스크(M)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강제 배기 마스크(M)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면에 부착되 입과 코를 덮도록 제작된 마스크(M)에 있어서, 마스크(M)의 외부와 내부를 연통하도록 마스크(M)에 배기통로(100)가 형성되고, 배기통로(100) 단부에 배기팬(200)이 장착되고, 배기팬(2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마스크(M) 내부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센서(30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마스크(M)는, 소정 두께를 갖는 천연섬유로 제작된다. 배기통로(100)는 곡률을 갖는 마스크(M)의 외측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마스크(M)의 외측면으로부터 소정 깊이를 유지하며 마스크(M)의 일측으로부터 마스크(M)의 높이방향 중심축을 향해 천공됨으로써 형성된다. 마스크(M)의 폭방향 양측 단부에는 각각 고정끈(L)이 구비된다.
배기통로(100)의 길이방향 단부가 마스크(M) 내부를 향해 개구됨으로써 마스크(M) 내측면에 배기구멍(110)이 형성된다. 배기팬(200)은 배기구멍(110)에 장착된다.
배기통로(100) 상측 또는 좌우측에 마스크(M) 내부로 외부공기를 유도하는 흡기통로(미도시) 및 흡기팬(미도시)이 구비될 수도 있다.
센서(300)는, 마스크(M) 내부 가스를 검출하는 가스센서(310), 마스크(M) 내부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320) 또는 마스크(M) 내부 습도를 검출하는 습도센서(330)를 포함한다.
센서(30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배기팬(200)으로 작동신호를 전달하도록 센서(300)와 배기팬(200) 사이에 제어회로(400)가 구비된다.
제어회로(400)는, 센서(300) 및 제어회로(400)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제어회로(400) 일측에 구비된 배터리 장착부(430)와, 센서(300)를 통해 획득된 마스크(M) 내부에 존재하는 특정 가스의 농도, 마스크(M) 내부 온도 또는 마스크(M) 내부 습도가 임계값 이상일 때 소리가 발생되도록 제어회로(400)에 구비된 알람스피커(410)를 포함한다.
알람스피커(410)는, 센서(300)를 통해 지속적으로 계측되고 있는 마스크(M) 내부에 존재하는 특정 가스의 농도, 마스크(M) 내부 온도 또는 마스크(M) 내부 습도가 임계값 이상으로 일정시간 이상 지속되면 제어회로(400)로부터 작동신호를 받아 소리를 발생하게 된다.
또한, 제어회로(400)는, 센서(400)로부터 수신된 계측신호를 계측치로 환산하고, 계측치를 기입력된 작동조건과 비교해 배기팬(200)의 작동속도를 도출하는 제어알고리즘(460)과, 제어알고리즘(460)으로부터 수신된 작동신호에 따라 배기팬(200)에 전력을 인가하는 배기팬제어부(440)와, 제어회로(400)를 외부 단말기(500)와 무선으로 연결시키는 블루투스 통신모듈(420) 및, 배기팬(200), 센서(300)에 온오프신호를 송신하는 스위치(450)를 포함한다.
외부 단말기(500)는, 블루투스 통신 모듈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연결되는 블루투스 통신부(530)와, 특정 가스의 농도 최저 임계값 및 최고 임계값, 마스크(M) 내부 온도 최저 임계값 및 최고 임계값 또는, 마스크(M) 내부 습도 최저 임계값 및 최고 임계값을 작동조건으로 입력받는 입력프로그램(510)과, 센서(300)를 통해 획득된 특정 가스의 농도, 마스크(M) 내부 온도 또는 마스크(M) 내부 습도 및, 특정 가스의 농도 임계값, 마스크(M) 내부 온도 임계값 또는 마스크(M) 내부 습도 임계값이 표시되는 출력프로그램(520)을 포함한다. 입력프로그램(510)을 통해 작동조건을 변경할 수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강제 배기 마스크(M)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제어회로(400)는 스위치(450) 조작에 따라, 배기팬(200), 센서(300)에 온신호를 인가한다.
제어회로(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각종 센서(300)는, 마스크(M) 내부에 존재하는 특정 가스의 농도, 마스크(M) 내부 온도, 마스크(M) 내부 습도를 지속적으로 계측하며 제어회로(400)로 측정신호를 송신하게 된다.
제어회로(400)는, 제어알고리즘(460)을 통해, 센서(300)로부터 수신한 측정신호를 계측치로 환산하고, 계측치와 입력프로그램(510)을 통해 입력받은 작동조건과 비교한 뒤, 비교 결과에 따라 배기팬제어부(440) 작동신호를 송신한다. 작동조건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입력프로그램(510)을 통해서, 입력 받거나 변경된다.
제어알고리즘(460)은, 환산된 특정 가스 농도, 마스크(M) 내부 온도 및 마스크(M) 내부 습도의 계측치가 모두, 작동조건으로 입력받은 최저 임계값 보다 작을 경우, 배기팬(200)이 저속으로 작동되도록, 배기팬제어부(440)에 저속 작동신호를 송신하게 되며, 배기팬제어부(440)는 배기팬(200)을 저속으로 작동 시킨다.
또한, 제어알고리즘(460)은, 환산된 특정 가스 농도, 마스크(M) 내부 온도 및 마스크(M) 내부 습도의 계측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최저 임계값과 최고 임계값 사이인 경우, 배기팬(200)이 중속으로 작동되도록 배기팬제어부(440)에 중속 작동신호를 송신하게 되며, 배기팬제어부(440)는 배기팬(200)을 중속으로 작동 시킨다.
또한, 제어알고리즘(460)은, 환산된 특정 가스 농도, 마스크(M) 내부 온도 및 마스크(M) 내부 습도의 계측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최고 임계값을 초과한 경우, 배기팬(200)이 고속으로 작동되도록 배기팬제어부(440)에 고속 작동신호를 송신하게 되며, 배기팬제어부(440)는 배기팬(200)을 고속으로 작동 시킨다.
환산된 특정 가스 농도, 마스크(M) 내부 온도 및 마스크(M) 내부 습도의 계측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최고 임계값을 초과한 상태로 10초가 경과되면, 제어알고리즘(460)은 소리가 발생되도록 알람스피커(410)에 알람 작동신호를 송신하며, 알람스피커(410)는 알람 작동신호를 수신해 소리를 발생시켜 착용자에게 위험을 알린다.
특정 가스는, NO2, H2S, CO, O3 등 일 수 있으며, 각각의 가스에 따라 농도 최저 임계값 및 농도 최고 임계값이 설정될 수 있다.
배기팬제어부(440)를 제어알고리즘(460)으로부터 수신한 작동신호에 따라, 배기팬(200)이 저속, 중속, 고속 중 어느 한 속도로 작동되도록 전력을 가감해 배기팬(200)에 인가한다.
외부단말기(500)에 구비된 블루투스 통신부(530)와 제어회로(400)에 구비된 블루투스 통신 모듈(420)이 연결될 경우, 특정 가스의 농도 최저 임계값 및 최고 임계값, 마스크(M) 내부 온도 최저 임계값 및 최고 임계값 및, 마스크(M) 내부 습도 최저 임계값 및 최고 임계값이 출력프로그램(520)을 통해 출력되며, 특정 가스의 농도 계측치, 마스크(M) 내부 온도 계측치, 마스크(M) 습도 계측치도 출력프로그램(520)을 통해 출력된다.
이때, 외부단말기에 구비된 입력프로그램(510)을 통해 특정 가스의 농도 최저 임계값 및 최고 임계값, 마스크(M) 내부 온도 최저 임계값 및 최고 임계값 및, 마스크(M) 내부 습도 최저 임계값 및 최고 임계값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변경함으로써, 작동조건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알람스피커(410) 작동유무, 알람스피커(410)를 통해 발생되는 소리의 종류 선택 및 발생 소리 크기 조절, 배기팬(200)의 작동속도가 변경될 경우에 외부단말기의 진동유무, 외부단말기(500)가 제어회로(400)로부터 특정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외부단말기(500) 진동 또는 알림 소리발생 유무 및 그 종류 및 크기 설정값 변경 등을 외부단말기(500)를 통해 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배기통로
110: 배기구멍
200: 배기팬
300: 센서
310: 가스센서
320: 온도센서
330: 습도센서
400: 제어회로
410: 알람스피커
420: 블루투스 통신모듈
430: 배터리 장착부
440: 배기팬제어부
450: 스위치
460: 제어알고리즘
500: 외부 단말기
510: 입력프로그램
520: 출력프로그램
530: 블루투스 통신부
M: 마스크
L: 고정끈

Claims (5)

  1. 안면에 부착되 입과 코를 덮도록 제작된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의 외부와 내부를 연통하도록 상기 마스크에 배기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배기통로에 배기팬이 장착되며,
    상기 배기팬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마스크 내부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센서가 구비되며,
    상기 센서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배기팬으로 작동신호를 전달하도록 상기 센서와 상기 배기팬 사이에 제어회로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회로는,
    상기 센서로부터 수신된 측정신호를 계측치로 환산하고, 계측치를 기입력된 작동조건과 비교해 상기 배기팬의 작동속도를 도출하는 제어알고리즘;
    상기 제어알고리즘으로부터 수신된 작동신호에 따라 상기 배기팬에 전력을 인가하는 배기팬제어부;
    상기 계측치가 최고 임계값 이상으로 일정시간 이상 지속되면 소리를 발생하는 알람스피커;
    상기 제어회로를 외부 단말기와 무선으로 연결시키는 블루투스 통신모듈; 및
    상기 배기팬, 상기 센서에 온오프신호를 송신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강제 배기 마스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마스크 내부 가스를 검출하는 가스센서, 상기 마스크 내부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 또는 상기 마스크 내부 습도를 검출하는 습도센서를 포함하는, 강제 배기 마스크.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단말기는,
    상기 블루투스 통신 모듈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연결되는 블루투스 통신부;
    상기 마스크 내부에 존재하는 특정 가스의 농도 최저 임계값 및 최고 임계값, 상기 마스크 내부 온도 최저 임계값 및 최고 임계값 또는, 상기 마스크 내부 습도 최저 임계값 및 최고 임계값을 작동조건으로 입력받는 입력프로그램;
    상기 센서를 통해 획득된 상기 특정 가스의 농도, 상기 마스크 내부 온도 또는 상기 마스크 내부 습도 및, 상기 특정 가스의 농도 임계값, 상기 마스크 내부 온도 임계값 또는 상기 마스크 내부 습도 임계값이 표시되는 출력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입력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작동조건을 변경하는, 강제 배기 마스크.



KR1020160035999A 2016-03-25 2016-03-25 강제 배기 마스크 KR1018199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5999A KR101819953B1 (ko) 2016-03-25 2016-03-25 강제 배기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5999A KR101819953B1 (ko) 2016-03-25 2016-03-25 강제 배기 마스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1134A KR20170111134A (ko) 2017-10-12
KR101819953B1 true KR101819953B1 (ko) 2018-01-18

Family

ID=60141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5999A KR101819953B1 (ko) 2016-03-25 2016-03-25 강제 배기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995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5672B1 (ko) * 2018-07-05 2019-09-30 박승만 마스크
KR102114009B1 (ko) * 2019-07-11 2020-05-22 주식회사 이화네트웍스 소형 산소 공급 장치를 장착한 ict기반의 스마트 페이스 가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42868A1 (en) * 2018-03-19 2019-09-25 Koninklijke Philips N.V. A mask-based breath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CN111246920B (zh) * 2017-09-01 2021-08-10 皇家飞利浦有限公司 基于面罩的呼吸装置和控制方法
WO2019139374A1 (ko) * 2018-01-12 2019-07-18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센서가 내장된 코마스크
CN108549438B (zh) * 2018-04-16 2023-11-21 中山大学新华学院 一种用于调节口罩温湿度的控制系统及控制方法
EP3616758A1 (en) * 2018-08-27 2020-03-04 Koninklijke Philips N.V. System and method for configuring air flow in an air mask
WO2019229023A2 (en) * 2018-05-30 2019-12-05 Koninklijke Philips N.V. System and method for configuring air flow in an air mask
CN109430972A (zh) * 2018-12-12 2019-03-08 北京大恒创新技术有限公司 主动排气式口罩及其控制系统
KR102030473B1 (ko) * 2019-03-07 2019-10-10 박길용 스마트 마스크
KR102246412B1 (ko) 2019-03-07 2021-04-29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온화한 조건의 수첨탈산소 반응에 의한 리그닌 열분해 생성 페놀로부터 btx 방향족의 생산량을 높이는 촉매 및 이를 이용한 btx방향족의 선택적 생산방법
CN111053983A (zh) * 2020-02-18 2020-04-24 李刚 一种防护用智能式穿戴面罩
IT202000011320A1 (it) * 2020-05-15 2021-11-15 Westeam Italia Srls Mascherina di protezione individuale perfezionata
KR102484402B1 (ko) * 2020-05-22 2023-01-04 (주)신신플러스 전동식 공기 정화 호흡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41479A (ja) 2008-08-06 2010-02-18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通信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41479A (ja) 2008-08-06 2010-02-18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通信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5672B1 (ko) * 2018-07-05 2019-09-30 박승만 마스크
KR102114009B1 (ko) * 2019-07-11 2020-05-22 주식회사 이화네트웍스 소형 산소 공급 장치를 장착한 ict기반의 스마트 페이스 가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1134A (ko) 2017-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9953B1 (ko) 강제 배기 마스크
KR20170111132A (ko) 강제 흡배기 마스크
EP3398657B1 (en) Harmful-substance-blocking health mask using air curtain
JP5739897B2 (ja) 電動ファン付き呼吸用保護具を制御する方法
CN105476116B (zh) 一种带有传感器的动力呼吸口罩
CN109641139B (zh) 提升使用者舒适性的呼吸面罩
CN101516451B (zh) 送风式面罩装置
EP2752829B1 (en) Wearable low pressure warning device with audio and visual indication
FI89332B (fi) Andningsapparat
EP2486959B1 (en) Respiratory device
KR20110053107A (ko) 유해작업장 안전관리시스템
JP6274912B2 (ja) 電動ファン付き呼吸用保護具
US10276022B2 (en) Breathing apparatus with one or more safety sensors
JP2018089158A (ja) 呼吸用保護具
CN205411955U (zh) 智能导流口罩
CN210747484U (zh) 一种矿工井下工作头盔
JP2002539441A (ja) 空気中に含まれるガスおよび煙のセンサ装置と検出方法
JP5823799B2 (ja) ブロワー付マスク装置
KR102080261B1 (ko) 유해가스 검출 방독면
KR101999930B1 (ko) 안전 보호장치를 구비한 방독 마스크 및 안전 제어 방법
GB2393402A (en) Warning device containing perfume for a respiratory protection product
KR101150344B1 (ko) 전동식 호흡장치
CN207941107U (zh) 一种预警式电动防毒面具
CN207236160U (zh) 一种可吹口哨的防雾霾口罩
CN201815012U (zh) 电动送风呼吸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