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9930B1 - 안전 보호장치를 구비한 방독 마스크 및 안전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안전 보호장치를 구비한 방독 마스크 및 안전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9930B1
KR101999930B1 KR1020180152334A KR20180152334A KR101999930B1 KR 101999930 B1 KR101999930 B1 KR 101999930B1 KR 1020180152334 A KR1020180152334 A KR 1020180152334A KR 20180152334 A KR20180152334 A KR 20180152334A KR 101999930 B1 KR101999930 B1 KR 1019999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safety module
module
gas mask
purification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23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범
유명곤
이영재
김명호
Original Assignee
김상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헌 filed Critical 김상헌
Priority to KR10201801523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99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99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99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4Gas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00Component parts for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A62B9/006Indicators or warning devices, e.g. of low pressure, contam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00Component parts for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A62B9/04Couplings; Supporting fram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53Sensor means for detecting worn on the body to detect health condition by physiological monitoring, e.g. electrocardiogram, temperature, breath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16Personal emergency signalling and security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hysi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 보호장치를 구비한 방독 마스크 및 안전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작업자의 입과 코 부위를 감싸는 상태로 안면에 밀착되며 전면에 흡입 결합부를 형성한 마스크 본체; 상기 흡입 결합부 내에 설치되며 오염된 공기를 정화시키는 정화필터; 상기 흡입 결합부의 단부에 설치되는 마감커버로 이루어지되, 상기 흡입 결합부의 호흡구와 정화필터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정화필터의 정화기능의 이상유무를 판독하며 이상 발생시 작업자에게 신호를 전달하는 경보부를 구비한 안전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안전모듈은 밀폐공간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가 정화필터의 정화기능 이상유무를 감지하고 이를 작업자에게 직접 경고신호를 전달하거나 외부의 관리서버와 연결되어 비상 상황에 대비할 수 있도록 하여 질식사고로 인한 인명피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안전 보호장치를 구비한 방독 마스크 및 안전 제어 방법{safety mask and safety control method with safety protection device}
본 발명은 안전 보호장치를 구비한 방독 마스크 및 안전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방독 마스크 내에 안전 보호장치를 설치하여 유해가스가 발생 작업장 등에서 질식사고에 의한 인명피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 보호장치를 구비한 방독 마스크 및 안전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회가 발전하고 산업화되면서 산업시설 뿐만 아니라, 사회 시설 전반에 걸쳐서 유해한 작업환경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에 대한 안전사고가 자주 발생하고 있으며, 대표적인 곳이 맨홀 내부, 지하저장조, 가스 충전소 등의 저장탱크, 집수정, 내부도색작업장 또는 기타 환기가 어려운 지하시설 내의 작업장 등이 있다.
예를 들어 대표적인 것이 지하에서 전기설비나 기타 관로설비 등의 작업을 위한 맨홀, 집수정 등이 있으며, 이러한 유해작업장의 내부에서 작업하는 작업자는 오존, 이산화질소, 아황산가스, 암모니아, 염산 등 다양한 유해가스의 발생으로 인하여 가스 중독, 호흡곤란 및 산소 결핍으로 인한 질식사 등으로 인한 인명피해를 입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이 맨홀 내부와 같은 유해작업장에서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이유는 맨홀 내부의 상황을 외부에서 실시간으로 확인하기 어려우며, 외부에서 맨홀 내부환경을 점검한 후 작업자가 진입하더라도 여러 가지 변수(작업시간, 정화 기능 등) 및 작업량에 따라서 내부 환경이 유해한 환경으로 변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의 건강 상태가 급속도로 나빠질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작업자는 정화필터의 기능이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는지를 판달할 수 없으므로 상기 정화필터의 기능이 상실한 상태에서도 계속 작업을 진행하게 됨에 따라 질식사 등으로 인한 인명피해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468976호(2014.11.28)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발명의 목적은 방독 마스크 내에 안전 보호장치를 설치하여 유해가스가 발생 작업장 등에서 질식사고에 의한 인명피해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안전 보호장치를 구비한 방독 마스크 및 안전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안전 보호장치를 구비한 방독 마스크는, 작업자의 입과 코 부위를 감싸는 상태로 안면에 밀착되며 전면에 흡입 결합부를 형성한 마스크 본체; 상기 흡입 결합부 내에 설치되며 오염된 공기를 정화시키는 정화필터; 상기 흡입 결합부의 단부에 설치되는 마감커버로 이루어지되, 상기 흡입 결합부의 호흡구와 정화필터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정화필터의 정화기능의 이상유무를 판독하며 이상 발생시 작업자에게 신호를 전달하는 경보부를 구비한 안전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전모듈은 중공의 형태이며, 상기 중공은 공기출입부를 형성하며 외측에는 전원 스위치 및 관리서버와 무선통신이 이루어지는 안테나 단자가 설치되는 모듈 본체, 상기 모듈 본체 내에 설치되며 산소농도를 감지하는 산소농도센서, 작업자의 호흡 상태 및 움직임을 감지하는 가속센서, 상기 산소농도의 이상 발생시 작업자에게 경보 신호를 전달하는 경보부, 상기 전원 스위치, 안테나 단자, 산소농도센서, 가속센서, 경보부의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흡입 결합부는 상기 안전모듈을 수용하는 제1 수용부와 상기 정화필터를 수용하는 제2 수용부가 단차부에 의해 구획되며, 상기 제1 수용부의 폐단부측 모서리와 상기 단차부의 모서리에는 긴밀한 밀폐 결합을 위한 실링부재가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 보호장치를 구비한 방독 마스크의 안전 제어 방법은, 상기 안전모듈 신호분석 단계에서 각각의 분석된 신호가 기준신호 이하일 경우 관리서버의 경보작동이 동작하는 비상알림 단계; 상기 비상알림 단계에 돌입되면 작업자에게 작업장 퇴거를 방송 또는 무전송출하는 퇴거조취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비상알림 단계에 돌입 후 퇴거조취 단계를 진행하기 전에 미리 관리자의 스마트폰으로 경보상황을 알리는 관리자 통보단계와, 관리자의 지시에 따라 퇴거되는 관리자 퇴거지시 단계를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퇴거조취 단계 후 관리서버에서 일정 시간동안 안전모듈의 신호를 인식하는 경우 119 신고 및 구조팀을 투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흡입 결합부의 흡입구와 정화필터 사이에 안전모듈을 구성함으로써, 안전모듈은 밀폐공간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가 정화필터의 정화기능 이상유무를 감지하고 이를 작업자에게 직접 경고신호를 전달하거나 외부의 관리서버와 연결되어 비상 상황에 대비할 수 있도록 하여 질식사고로 인한 인명피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 보호장치를 구비한 방독 마스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안전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듈의 정상 작동여부를 체크하는 점검 상황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 보호장치를 구비한 방독 마스크의 안전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안전 보호장치를 구비한 방독 마스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와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전 보호장치를 구비한 방독 마스크는 작업자의 입과 코 부위를 감싸는 상태로 안면에 밀착되며 전면에 흡입 결합부(110)를 형성한 마스크 본체(100), 상기 흡입 결합부(110) 내에 설치되며 오염된 공기를 정화시키는 정화필터(200), 상기 흡입 결합부(110)의 단부에 설치되는 마감커버(300) 및 상기 흡입 결합부(110)의 호흡구(111)와 정화필터(200)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정화필터(200)의 정화기능의 이상유무를 판독하며 이상 발생시 작업자에게 신호를 전달하는 경보부(415)를 구비한 안전모듈(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마스크 본체(100)는 작용자의 입과 코 부위를 완전히 감싸도록 안면 부위에 밀착되는 것으로, 안면 부위에 대한 착용감을 높일 수 있도록 탄성력을 가지는 실리콘 또는 고무 재질로 제작한다.
이러한 상기 마스크 본체(100)의 전면에는 후술할 정화필터(200), 마감커버(300) 및 안전모듈(400)이 결합되는 흡입 결합부(110)가 형성된다.
상기 흡입 결합부(110)의 선단부는 개방된 구조의 개구부를 형성하며 타측에는 정화된 공기를 착용자의 호흡기로 안내하는 호흡구(111)가 형성된다.
상기 호흡구(111)에는 착용자의 호흡 상태에 따라 탄력적으로 개폐작용이 이루어지는 플렉시블 소재의 호흡막(112)이 형성된다.
즉, 착용자가 공기를 흡입할 경우에는 상기 호흡막(112)이 개방하고, 착용자가 공기를 배출할 때에는 상기 호흡막(112)은 폐쇄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마스크 본체(100)에는 착용자가 호흡 후 내뱉는 날숨을 외부로 안내하는 배출부(미도시)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흡입 결합부(110)는 상기 안전모듈(400)을 수용하는 제1 수용부(113)와 상기 정화필터(200)를 수용하는 제2 수용부(114)가 단차부(115)에 의해 구획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수용부(113)보다 상기 제2 수용부(114)의 공간부 넓이를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차부(115)를 이용하여 제1 수용부(113)와 제2 수용부(114)를 구획하는 이유는 방독 마스크를 사용하는 장소에 따라 상기 안전모듈(400)을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작업장이 밀폐되지 않은 야외에서 작업을 진행할 경우 굳이 안전모듈(400)을 사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상기 정화필터(200)만 결합시킨 상태에서 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단차부(115)에 의해 상기 정화필터(200)는 유동하지 않고 안정된 고정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상기 제1 수용부(113)의 폐단부측 모서리와 상기 단차부(115)의 모서리에는 긴밀한 밀폐 결합을 위한 실링부재(116)가 각각 설치된다.
아울러, 상기 마스크 본체(100)의 양측면에는 착용자의 머리를 감싸는 상태로 하여 상기 마스크 본체(100)가 작업자 안면에 밀착되도록 하는 탄성밴드(120)가 설치된다.
상기 정화필터(200)는 상기 흡입 결합부(110) 내에 설치되는 것으로, 오염된 공기를 정화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정화필터(200)는 흡입 결합부(110)를 통해 유입되는 오염된 공기를 정화하여 작업자에게 깨끗한 공기를 공급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출원전 방독면 분야에서 당업자에 의해 널리 실시되고 있는 공지기술과 동일 내지 유사하므로 그 구체적인 구성 및 작용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마감커버(300)는 상기 흡입 결합부(110)의 단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정화필터(200) 및 안전모듈(400)이 유동하거나 이탈하지 못하도록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상기 마감커버(300)는 흡입 결합부(110)의 외주면에 나사체결이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안전모듈(400)은 상기 흡입 결합부(110)의 호흡구(111)와 정화필터(200)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정화필터(200)의 정화기능에 대한 이상유무를 판독하며 이상 발생시 작업자에게 신호를 전달하는 경보부(415)를 구비한 안전장치이다.
즉, 상기 안전모듈(400)은 밀폐공간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가 정화필터(200)의 정화기능 이상유무를 감지하고 이를 작업자에게 직접 경고신호를 전달하거나 외부의 관리서버(S)와 연결되어 비상 상황에 대비할 수 있도록 하여 질식사고로 인한 인명피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안전모듈(400)은 중공의 형태로써 중공은 공기출입부(401)를 형성한 도넛(donut)의 형태로써, 외측에는 전원 스위치(411) 및 관리서버(S)와 무선통신이 이루어지는 안테나 단자(412)가 설치되는 모듈 본체(410), 상기 모듈 본체(410) 내에 설치되며 산소농도를 감지하는 산소농도센서(413), 작업자의 호흡 상태 및 움직임을 감지하는 가속센서(414), 상기 산소농도의 이상 발생시 작업자에게 경보 신호를 전달하는 경보부(415), 상기 전원 스위치(411), 안테나 단자(412), 산소농도센서(413), 가속센서(414), 경보부(415)의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417) 및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416)로 구성된다.
상기 모듈 본체(410)의 일측에는 상기 정화필터(200)와 접촉하며 상기 정화필터를 통과하는 공기의 산소농도를 체크하는 구간 길이를 확보하기 위한 간격유지리브(42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모듈 본체(410)는 상기 정화필터(200)와 맞닿는 위치의 공기출입부(401)의 직경이 상기 정화필터(200)에 적용되는 필터의 직경과 동일한 크기를 가진다.
또한, 상기 모듈 본체(410)의 공기출입부(401)는 상기 정화필터(200)로부터 흡호구(111)쪽을 향해 폭이 줄어드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원 스위치(411)는 상기 정화필터(200)가 결합되는 압력 유무에 따라 전원이 온,오프되는 원터치 돌기로 이루어진다.
상기 안테나 단자(412)는 상기 모듈 본체(410)의 외주 둘레에 설치되는 것으로, 외부의 관리서버(S)와 무선통신을 위한 구성요소이다.
상기 경보부(415)는 상기 산소농도의 이상 발생시 작업자에게 경보 신호를 전달하는 것으로, 진동단자, LED램프, 음향단자 중 어느 하나를 또는 2개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자에 위험 상황임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상기 안전모듈(400)을 구성하여 밀폐된 위험 지역에서 작업하는 자업자가 흡입하는 공기의 산소농도 및 움직임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체크함으로써 질식사고로 인한 인명피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안전 보호장치를 구비한 방독 마스크의 안전 제어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상기 마스크 본체(100)의 안전모듈(400)의 정상 작동여부를 체크하는 점검 상황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상기 안전모듈(400)의 작동 점검은, 마스크 본체(100)의 흡입 결합부(110)에 안전모듈(400)과 정화필터(200)를 설치하고 상기 마감커버(300)로 체결을 완료하는 제1 단계를 진행한다.
그리고, 관리서버(S)로부터 안전모듈(400)의 전원 스위치(411), 가속센서(414), 산소농도센서(413) 및 경보부(415)의 작동이 순차적으로 인식되는지 판단하는 제2 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제2 단계가 모두 정상적으로 인식이 이루어지면 안전모듈 점검을 완료한다.
그리고, 상기 제2 단계를 진행하는데 있어, 상기 전원 스위치(411)가 인식되지 않는 경우에는 배터리(416)를 교체하는 제 3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제2 단계를 진행하는데 있어 상기 가속센서(414), 산소농도센서(413) 및 경보부(415)의 작동이 인식되지 않으면 안전모듈(400) 자체를 교체하는 제4 단계를 진행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 보호장치를 구비한 방독 마스크의 안전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작업자가 마스크 본체(100)의 흡입 결합부(110)에 안전모듈(400)을 결합하여 전원 스위치(411)를 온(ON)시키는 안전모듈 조립단계(S100)를 진행한다.
이후, 상기 안전모듈 조립단계(S100) 후 작업자가 상기 마스크 본체(100)를 착용하고 작업장에 들어서는 작업장 투입단계(S200)를 진행한다.
상기 작업장 투입단계(S200) 후 안전모듈(400)의 산소농도센서(413), 가속센서(414), 배터리(416) 용량의 정상 유무를 관리서버(S)로 송출하는 안전모듈 신호분석 단계(S300)를 진행한다.
상기 안전모듈 신호분석 단계(S300)가 정상 기준신호를 유지하는 경우 작업자는 설정된 시간 이내 작업을 실시하는 작업진행 단계(S400)를 수행한다.
상기 작업진행 단계(S400)를 완료한 후 작업장을 빠저나오는 작업 종료 및 퇴거 단계(S500)를 진행한다.
상기 작업 종료 및 퇴거 단계(S500) 후 방독 마스크의 흡입 결합부(110)로부터 정화필터(200)와 안전모듈(400)을 분리시키는 방독 마스크 해체 단계(S600)를 진행한다.
그 다음, 상기 방독 마스크 해체 단계(S600) 후 관리서버(S)에서 상기 안전모듈(400)의 전원 스위치(411) 오프(OFF)를 인식하는 경우 정상적으로 종료로 판단하고 시스템을 종료하는 정상종료 단계(S70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안전모듈 신호분석 단계(S300)에서 각각의 분석된 신호가 기준신호 이하일 경우 관리서버(S)의 경보작동이 동작하는 비상알림 단계(S800)를 진행한다.
상기 비상알림 단계(S800)에 돌입되면 작업자에게 작업장 퇴거를 방송 또는 무전송출하는 퇴거조취 단계(S900)를 진행한다.
한편, 상기 비상알림 단계(S800)에 돌입 후 퇴거조취 단계(S900)를 진행하기 전에 미리 관리자의 스마트폰(H)으로 경보상황을 알리는 관리자 통보단계(S1000)와, 관리자의 지시에 따라 퇴거되는 관리자 퇴거지시 단계(S1100)를 선택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퇴거조취 단계(S900) 후 관리서버(S)에서 일정 시간동안 안전모듈(400)의 신호를 인식하는 경우 119 신고 및 구조팀을 투입하는 단계(S1200)를 진행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0 : 마스크 본체 110 : 흡입 결합부
113 : 제1 수용부 114 : 제2 수용부
115 : 단차부 200 : 정화필터
300 : 마감커버 400 : 안전모듈
410 : 모듈 본체 411 : 전원 스위치
412 : 안테나 단자 413 : 산소농도센서
414 : 가속센서 415 : 경보부
416 : 배터리 417 : 제어부

Claims (7)

  1. 작업자의 입과 코 부위를 감싸는 상태로 안면에 밀착되며 전면에 흡입 결합부를 형성한 마스크 본체;
    상기 흡입 결합부 내에 설치되며 오염된 공기를 정화시키는 정화필터;
    상기 흡입 결합부의 단부에 설치되는 마감커버; 및,
    상기 흡입 결합부의 호흡구와 정화필터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정화필터의 정화기능의 이상유무를 판독하며 이상 발생시 작업자에게 신호를 전달하는 경보부를 구비한 안전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안전모듈은 내부에 중공의 공기출입부를 형성한 도넛(donut)의 형태로써, 외측에는 전원 스위치 및 관리서버와 무선통신이 이루어지는 안테나 단자가 설치되는 모듈 본체, 상기 모듈 본체 내에 설치되며 산소농도를 감지하는 산소농도센서, 작업자의 호흡 상태 및 움직임을 감지하는 가속센서, 상기 산소농도의 이상 발생시 작업자에게 경보 신호를 전달하는 경보부, 상기 전원 스위치, 안테나 단자, 산소농도센서, 가속센서, 경보부의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로 구성되고,
    상기 모듈 본체는 상기 정화필터와 맞닿는 위치의 공기출입부의 직경이 상기 정화필터에 적용되는 필터의 직경과 동일한 크기를 가지며,
    상기 흡입 결합부에는 방독 마스크를 사용하는 장소에 따라 상기 안전모듈을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상기 안전모듈을 수용하는 제1 수용부와 상기 정화필터를 수용하는 제2 수용부가 단차부에 의해 구획되며,
    상기 전원 스위치는 상기 정화필터가 결합되는 압력 유무에 따라 전원이 온,오프 제어하는 원터치 돌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보호장치를 구비한 방독 마스크.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기재된 안전 보호장치를 구비한 방독 마스크의 안전 제어 방법에 있어서,
    작업자가 마스크 본체의 흡입 결합부에 안전모듈을 결합하여 전원 스위치를 온(ON)시키는 안전모듈 조립단계;
    상기 안전모듈 조립단계 후 작업자가 상기 마스크 본체를 착용하고 작업장에 들어서는 작업장 투입단계;
    상기 작업장 투입단계 후 안전모듈의 산소농도센서, 가속센서, 배터리 용량의 정상 유무를 관리서버로 송출하는 안전모듈 신호분석 단계;
    상기 안전모듈 신호분석 단계가 정상 기준신호를 유지하는 경우 작업자는 설정된 시간 이내 작업을 실시하는 작업진행 단계;
    상기 작업진행 단계를 완료한 후 작업장을 빠저나오는 작업 종료 및 퇴거 단계;
    상기 작업 종료 및 퇴거 단계 후 방독 마스크의 흡입 결합부로부터 정화필터와 안전모듈을 분리시키는 방독 마스크 해체 단계;
    상기 방독 마스크 해체 단계 후 관리서버에서 상기 안전모듈의 전원 스위치 오프(OFF)를 인식하는 경우 정상적 종료로 판단하는 정상종료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보호장치를 구비한 방독 마스크의 안전 제어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모듈 신호분석 단계에서 각각의 분석된 신호가 기준신호 이하일 경우 관리서버의 경보작동이 동작하는 비상알림 단계;
    상기 비상알림 단계에 돌입되면 작업자에게 작업장 퇴거를 방송 또는 무전송출하는 퇴거조취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보호장치를 구비한 방독 마스크의 안전 제어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알림 단계에 돌입 후 퇴거조취 단계를 진행하기 전에 미리 관리자의 스마트폰으로 경보상황을 알리는 관리자 통보단계와, 관리자의 지시에 따라 퇴거되는 관리자 퇴거지시 단계를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보호장치를 구비한 방독 마스크의 안전 제어 방법.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퇴거조취 단계 후 관리서버에서 일정 시간동안 안전모듈의 신호를 인식하는 경우 119 신고 및 구조팀을 투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보호장치를 구비한 방독 마스크의 안전 제어 방법.
KR1020180152334A 2018-11-30 2018-11-30 안전 보호장치를 구비한 방독 마스크 및 안전 제어 방법 KR1019999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2334A KR101999930B1 (ko) 2018-11-30 2018-11-30 안전 보호장치를 구비한 방독 마스크 및 안전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2334A KR101999930B1 (ko) 2018-11-30 2018-11-30 안전 보호장치를 구비한 방독 마스크 및 안전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9930B1 true KR101999930B1 (ko) 2019-10-01

Family

ID=68207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2334A KR101999930B1 (ko) 2018-11-30 2018-11-30 안전 보호장치를 구비한 방독 마스크 및 안전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99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67533A1 (en) * 2020-02-21 2021-08-26 Mdesign Solutions Pte Ltd A face mask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17509A1 (en) * 2003-06-03 2007-01-25 Ingemar Emricson Device and method for a protective mask
KR101305359B1 (ko) * 2012-12-26 2013-09-06 주식회사 젬백스앤카엘 비상탈출용 방독호흡기
KR101468976B1 (ko) 2014-06-13 2014-12-04 주식회사 액트알엠티 방사성물질 유입방지용 방독마스크
KR20160001212U (ko) * 2015-07-06 2016-04-12 김경원 소방 인력 안전 관리용 작업자 단말기
KR101744246B1 (ko) * 2015-06-17 2017-06-07 김충범 마스크를 이용한 위치추적방법 및 시스템
KR101776138B1 (ko) * 2015-12-24 2017-09-11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임베디드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는 산업,재해 현장의 안전관리 단말과, 이를 이용한 안전관리시스템
KR20170103197A (ko) * 2016-03-03 2017-09-13 주식회사 카이렌 비상대피용 호흡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비상대피 관제시스템
WO2017181036A1 (en) * 2016-04-15 2017-10-19 Scott Technologies, Inc. Integrated thermophysiological stress warning device
KR101831666B1 (ko) * 2016-04-06 2018-02-23 김승현 방독마스크
KR101848276B1 (ko) * 2016-07-29 2018-04-12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재난대응을 위한 스마트 웨어러블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재난대응 시스템
KR20180049498A (ko) * 2016-11-03 2018-05-11 장혜경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대피안내기능을 가지는 방독면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17509A1 (en) * 2003-06-03 2007-01-25 Ingemar Emricson Device and method for a protective mask
KR101305359B1 (ko) * 2012-12-26 2013-09-06 주식회사 젬백스앤카엘 비상탈출용 방독호흡기
KR101468976B1 (ko) 2014-06-13 2014-12-04 주식회사 액트알엠티 방사성물질 유입방지용 방독마스크
KR101744246B1 (ko) * 2015-06-17 2017-06-07 김충범 마스크를 이용한 위치추적방법 및 시스템
KR20160001212U (ko) * 2015-07-06 2016-04-12 김경원 소방 인력 안전 관리용 작업자 단말기
KR101776138B1 (ko) * 2015-12-24 2017-09-11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임베디드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는 산업,재해 현장의 안전관리 단말과, 이를 이용한 안전관리시스템
KR20170103197A (ko) * 2016-03-03 2017-09-13 주식회사 카이렌 비상대피용 호흡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비상대피 관제시스템
KR101831666B1 (ko) * 2016-04-06 2018-02-23 김승현 방독마스크
WO2017181036A1 (en) * 2016-04-15 2017-10-19 Scott Technologies, Inc. Integrated thermophysiological stress warning device
KR101848276B1 (ko) * 2016-07-29 2018-04-12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재난대응을 위한 스마트 웨어러블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재난대응 시스템
KR20180049498A (ko) * 2016-11-03 2018-05-11 장혜경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대피안내기능을 가지는 방독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67533A1 (en) * 2020-02-21 2021-08-26 Mdesign Solutions Pte Ltd A face mask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74492A (en) Alarm system for respirator apparatus and method of use
US7101412B2 (en) Self-sealing protection filter port
RU2401141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щиты дыхания
KR101831666B1 (ko) 방독마스크
EP2588201B1 (en) Facepiece with open port
KR20110053107A (ko) 유해작업장 안전관리시스템
CN112074327B (zh) 用于呼吸产品的贴合性测试和监测的系统和方法
JP2006102324A (ja) 電動ファン付呼吸用保護具
KR101776138B1 (ko) 임베디드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는 산업,재해 현장의 안전관리 단말과, 이를 이용한 안전관리시스템
KR20110053826A (ko) 유해작업장 안전 모니터링을 위한 복합형 네트워크 시스템 및 방법
US11771927B2 (en) Rebreathing apparatus having inhaled oxygen mixing and exhaled carbon dioxide removal functions by electronic control
EP3365075A1 (en) Respirator mask with voice transmittal feature
KR101999930B1 (ko) 안전 보호장치를 구비한 방독 마스크 및 안전 제어 방법
KR20110053827A (ko) 유해작업장 상황에 따른 작업자 작업량 제한 규칙에 대한 방법
US20030168060A1 (en) Respirators
WO2013103343A1 (en) Breathing apparatus and method of use
KR20190115490A (ko) 자급식 호흡장치 모니터링 시스템 및 자급식 호흡장치 상태 판단 방법
KR20190001149A (ko) 위치 확인이 가능한 스마트 마스크 및 이를 이용한 피난 유도 시스템
KR101832801B1 (ko) 헬멧형 방독면
Bahadori Personnel protection and safety equipment for the oil and gas industries
KR102000336B1 (ko) 긴급 대피용 마스크 패키지 및 그의 사용 방법
CN107650763A (zh) 有毒有害气体环境中车辆驾驶员保护方法
JP2003062095A (ja) 緊急用防煙マスク
KR20160056220A (ko) 공기호흡기 면체에 결합되는 여과필터 장착용 커넥터
KR200150250Y1 (ko) 휴대용 송기마스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