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3197A - 비상대피용 호흡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비상대피 관제시스템 - Google Patents

비상대피용 호흡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비상대피 관제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3197A
KR20170103197A KR1020160025651A KR20160025651A KR20170103197A KR 20170103197 A KR20170103197 A KR 20170103197A KR 1020160025651 A KR1020160025651 A KR 1020160025651A KR 20160025651 A KR20160025651 A KR 20160025651A KR 20170103197 A KR20170103197 A KR 201701031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evacuation
oxygen
user
case
mixing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5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63558B1 (ko
Inventor
백미진
백경헌
백종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카이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카이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카이렌
Priority to KR10201600256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3558B1/ko
Publication of KR201701031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31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35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35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7/00Respiratory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7/00Respiratory apparatus
    • A62B7/02Respiratory apparatus with compressed oxygen or air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7/00Respiratory apparatus
    • A62B7/08Respiratory apparatus containing chemicals producing oxygen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7/00Respiratory apparatus
    • A62B7/10Respiratory apparatus with filter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00Component parts for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A62B9/02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00Component parts for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A62B9/02Valves
    • A62B9/022Breathing demand regu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00Component parts for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A62B9/04Couplings; Supporting fra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6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sensing the level of ambient illumination, e.g. dawn or dusk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71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detecting the proximity, the presence or the movement of an object or a pers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상대피용 호흡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비상대피 관제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비상대피용 호흡장치는 산소를 저장하는 산소저장부; 상기 산소저장부 및 외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산소저장부로부터 공급받은 산소와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외기가 혼합된 상태로 수용하는 혼합챔버; 및 사용자 안면의 호흡기를 덮도록 마련되어, 상기 혼합챔버에 혼합된 상태로 수용된 산소와 외기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안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비상대피용 호흡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비상대피 관제시스템 {BREATHING APPARATUS FOR EMERGENCY EVACUATION AND CONTROLLING SYSTEM OF EMERGENCY EVACUATION THEREWITH}
본 발명은 비상대피용 호흡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비상대피 관제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재 또는 가스 누출 등의 재난 발생시 산소 부족공간이 존재하더라도 호흡이 가능하도록 하는 공기정화 기능과 산소공급 기능을 함께 구현하여 누구나 불편함 없이 사용할 수 있는 비상대피용 호흡장치 및 이러한 비상대피용 호흡장치의 사용과 관련된 정보의 확보 및 대피 정보를 알려줄 수 있는 비상대피 관제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화재 또는 가스 누출 등의 재난 시 발생하는 인명사고는 화염에 의한 사망사고가 아니라, 대부분 유독가스, 또는 산소부족에 의한 질식사로 확인되고 있다.
화재 등 유독가스 유출시, 종래에는 주로 방독면, 또는 공기호흡기를 사용해 왔으나, 방독면은 기능의 한계성으로 인해, 또한 공기호흡기는 사용 불편성으로 인해 상기 질식사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특히, 방독면은 외기 공기를 정화하여 호흡하도록 하는 것이나, 유감스럽게도 유독가스에의 완전 대응이 불가하며, 산소 부족공간에서는 전혀 대응하지 못한다는 치명적인 단점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또한, 공기호흡기는 크기가 크고 및 무게가 무거운 문제로 인한 사용상의 불편성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전술한 바와 같은 방독면 및 공기호흡기를 사용자가 어디서 어떻게 착용하여 사용하고 있는지, 사용자가 정상적인 움직임으로 대피하고 있는지, 사용자가 올바른 방향으로 대피하고 있는지 여부 등을 확인하고 구조자에게 알려주는 관제시스템이 아직 존재하고 있지 않다는 점 또한 문제점으로 꾸준히 지적되고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서 언급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화재 또는 가스 누출 등의 재난 발생시 산소 부족공간이 존재하더라도 호흡이 가능하도록 하는 공기정화 기능과 산소공급 기능을 함께 구현하여 누구나 불편함 없이 사용할 수 있는 비상대피용 호흡장치를 제공하고, 이러한 비상대피용 호흡장치의 사용과 관련된 정보의 확보 및 대피 정보를 알려줄 수 있는 비상대피 관제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비상대피용 호흡장치는, 산소를 저장하는 산소저장부; 상기 산소저장부 및 외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산소저장부로부터 공급받은 산소와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외기가 혼합된 상태로 수용하는 혼합챔버; 및 사용자 안면의 호흡기를 덮도록 마련되어, 상기 혼합챔버에 혼합된 상태로 수용된 산소와 외기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안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혼합챔버는 상기 사용자 안면의 호흡기 전방에 비어있는 상기 안면부의 내부공간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비상대피용 호흡장치는, 상기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외기가 여과되어 상기 혼합챔버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외부와 상기 혼합챔버 사이에 마련되는 필터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비상대피용 호흡장치는, 상기 산소저장부 및 상기 필터부가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안면부가 일측 외부에 마련되며, 상기 사용자가 파지 가능하게 형성된 케이스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혼합챔버는 상기 산소저장부 및 상기 안면부와 서로 연통되도록 산소저장부와 상기 안면부 사이에 별도로 형성된 케이스 내부에 마련된 공간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케이스는 상기 안면부가 마련되는 일측에서 상기 일측에 반대되는 타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좁아지는 콘(corn)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산소저장부는 상기 케이스 타측에 마련된 제1 스위치가 작동할 때 상기 혼합챔버로 산소를 공급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스위치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1 스위치를 온(on)시킬 때, 상기 산소저장부가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이동되면서 상기 산소저장부의 배출부가 상대적으로 개방되도록 작동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산소저장부는 상기 케이스 일측에 마련된 제2 스위치가 작동할 때 상기 혼합챔버로 산소를 공급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제2 스위치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2 스위치를 온(on)시킬 때, 상기 케이스 내부에 고정된 상기 산소저장부의 배출부가 직접적으로 개방되도록 작동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산소저장부에서 상기 혼합챔버로 공급되는 산소가 기설정된 유량이 될 수 있도록, 상기 산소저장부의 배출부에는 유량조절기가 장착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부는 상기 케이스의 타측에 형성된 유입홀을 통해 상기 외부로부터 유입된 외기를 여과시켜서 상기 케이스 일측 내부에 장착된 상기 혼합챔버로 배출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혼합챔버에서 혼합된 상기 산소저장부로부터 공급받은 산소와 상기 필터부를 통해 여과된 외기는 상기 혼합챔버에서 상기 안면부로만 유동하도록 상기 혼합챔버와 상기 안면부 사이에 마련된 일방향 흡입밸브를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으며, 나아가 상기 사용자가 호흡한 이후에 배출되는 공기는 상기 안면부에서 상기 외부로만 유동하도록 상기 안면부에 마련된 일방향 배기밸브를 통해 상기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케이스의 타측에는 상기 사용자가 어두운 장소에서 상기 케이스를 파지할 수 있도록 자체적으로 발광하는 발광부가 구비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케이스의 타측에는 상기 사용자가 어두운 장소에서 주변 사물을 식별할 수 있도록 상기 사용자의 이동방향을 향해 발광하는 조명부가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전술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비상대피 관제시스템은 전술한 비상대피용 호흡장치를 각각의 일련번호를 부여하여 다수 보관하는 보관유닛; 및 전술한 비상대피용 호흡장치가 필요한 상황을 인지하는 경우, 상기 보관유닛을 개방하여 상기 사용자로 하여금 전술한 비상대피용 호흡장치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전술한 비상대피용 호흡장치는 상기 제어유닛과 통신할 수 있는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제어유닛은 전술한 비상대피용 호흡장치 각각에 포함된 통신모듈과 개별적으로 통신함으로써, 전술한 비상대피용 호흡장치의 사용여부 및 사용위치를 상기 일련번호별로 각각 확인하여 상기 사용자를 구조하는 구조자에게 상기 사용여부 및 상기 사용위치를 알려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상대피용 호흡장치에 의하면, 화재 또는 가스 누출 등의 재난 발생시 산소 부족공간이 존재하더라도 호흡이 가능하도록 하는 공기정화 기능과 산소공급 기능을 함께 구현하여 누구나 불편함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비상대피 관제시스템에 의하면, 이러한 비상대피용 호흡장치의 사용과 관련된 정보의 확보 및 대피 정보를 알려줘서 더욱 신속하고 정확하게 구조활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대피 관제시스템의 일례가 작동하는 개념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어유닛의 디스플레이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대피 관제시스템의 일례에서 사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대피용 호흡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횡방향으로 절개하였을 때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일 실시예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일 실시예가 사용될 때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 4와 동일하게 절개하였을 때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0, 도 12 및 도 14는 도 3에 도시된 일 실시예의 변형례들을 도시한 단면도 또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변형례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변형례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3에 도시된 일 실시예가 다른 방법으로 사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전방/후방 또는 상측/하측과 같이 방향을 지시하는 용어들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기재된 것들로서, 상대적인 방향을 지시하는 것이므로,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않는다고 할 것이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비상대피 관제시스템의 일례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대피 관제시스템의 일례가 작동하는 개념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모식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어유닛의 디스플레이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비상대피 관제시스템의 일례는 제어유닛(10) 및 보관유닛(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제어유닛(10)은 후술할 본 발명에 따른 비상대피용 호흡장치가 필요한 상황을 인지하는 경우에 보관유닛(20)을 개방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본 발명에 따른 비상대피용 호흡장치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때, 후술할 본 발명에 따른 비상대피용 호흡장치가 필요한 상황이라 함은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화재 또는 가스 누출 등의 재난이 발생되어 유독가스 또는 산소부족에 의한 질식사가 발생될 수 있는 상황을 말한다.
이러한 상황은 제어유닛(10)과 연결된 여러 센싱유닛(미도시)을 통해 확인될 수 있을 것이고, 이렇게 확인된 다양한 정보는 제어유닛(10)에 전달되어, 제어유닛(10)은 이러한 상황을 인지하게 될 것이다.
이와 같은 제어유닛(10)은 전술한 바와 같은 여러 센싱유닛(미도시)을 구비하는 별도의 설비로서 구축될 수도 있을 것이지만, 종래에 이용되고 있었던 119 본부 또는 비상관제센터에 마련되어 있는 시스템들에 포함되어 이들과 연동되도록 구축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제어유닛(10)을 어떻게 구축할 수 있는지 여부는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얼마든지 다양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보관유닛(20)은 후술할 본 발명에 따른 비상대피용 호흡장치를 다수 보관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보관유닛(20)은 후술할 본 발명에 따른 비상대피용 호흡장치를 보관할 수 있다면 어떠한 구조나 형태여도 무방하며,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도 당연하다. 다만 더욱 상세한 설명을 위하여 예를 들어 설명하면, 보관유닛(20)은 안내부(22), 확인부(24), 수동작동부(26), 배출구(28)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안내부(22)는 후술할 본 발명에 따른 비상대피용 호흡장치을 착용한 사용자가 어느 방향으로 대피를 하여야 하는지를 알려주는 구성요소로서, 사용자가 착용하고 있는 후술할 본 발명에 따른 비상대피용 호흡장치의 일련번호가 표시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본인의 위치를 더욱 쉽게 파악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확인부(24)는 평상시 후술할 본 발명에 따른 비상대피용 호흡장치가 제대로 보관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구성요소로서, 예를 들어 투명창일 수 있다.
또한, 수동작동부(26)는 제어유닛(10)의 명령에 의해 후술할 배출구(28)가 개방되어 후술할 본 발명에 따른 비상대피용 호흡장치가 배출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예상치 못한 장애로 인해 배출구(28)가 개방되지 않는 경우, 또는 관리자가 필요로 하는 경우 등에 있어서, 사용자가 보관유닛(20)에서 자유롭게 후술할 본 발명에 따른 비상대피용 호흡장치를 꺼낼 수 있도록 한 구성요소이다.
또한, 배출구(28)는 제어유닛(10)의 명령에 의해 개방되어 후술할 본 발명에 따른 비상대피용 호흡장치를 바닥에 흩뿌리는 역할을 하는 구성요소로서, 사용자로 하여금 후술할 본 발명에 따른 비상대피용 호흡장치를 더욱 빨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확인부(24)의 일례인 투명창을 깨거나 수동작동부(26)를 작동시켜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비상대피용 호흡장치를 직접적으로 꺼내어 사용할 수도 있겠지만, 사용자가 보다 신속하게 본 발명에 따른 비상대피용 호흡장치를 사용할 수 있도록, 배출구(28)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비상대피용 호흡장치를 바닥에 흩뿌리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될 수 있는 보관유닛(20)에는 후술할 본 발명에 따른 비상대피용 호흡장치를 각각의 일련번호를 부여하여 다수 보관할 수 있는데, 이때 일련번호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대피 관제시스템의 일례를 설치하는 설치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부여할 수 있다.
다만, 설치자의 선택에 따른다고 하더라도 후술할 본 발명에 따른 비상대피용 호흡장치 각각에 대하여 서로 다른 일련번호를 부여하여야 구조자에게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제어유닛(10)은 후술할 본 발명에 따른 비상대피용 호흡장치에 포함된 통신모듈(600)과 개별적으로 통신함으로써, 후술할 본 발명에 따른 비상대피용 호흡장치가 사용되고 있는지 여부, 사용되고 있는 위치 등의 다양한 정보를 제공받아서 구조자에게 제공하게 되는데, 전술한 일련번호가 동일한 경우 혼선이 올 수 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서, 제어유닛(10)은, 디스플레이부(12)를 통해, 후술할 본 발명에 따른 비상대피용 호흡장치의 사용여부 및 사용위치를 구조자에게 알려주게 되고, 이로부터 구조자는 아직 사용되고 있지 않은 후술할 본 발명에 따른 비상대피용 호흡장치의 개수를 파악하여 대피율을 확인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은 다양한 정보를 확인하는 것 이외에도, 후술할 본 발명에 따른 비상대피용 호흡장치를 사용하면서 대피하고 있는 사람(P)과 후술할 본 발명에 따른 비상대피용 호흡장치를 사용하고 있음에도 움직이지 않거나 다른 사고로 대피하고 있지 못한 사람(I)을 구별하여 움직이지 않거나 대피하고 있지 못한 사람(I)를 우선적으로 구조할 수도 있을 것이며, 나아가 전술한 안내부(22) 또는 별도의 장치(예를 들면, 안내방송이 가능한 스피커, 점멸등, 휴대용 단말기를 통한 빛/소리/동영상 정보 등)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비상대피용 호흡장치를 사용하는 사람(P)에게 대피하는 방향을 더욱 정확하게 안내할 수 있을 것이다.
안내부(22)는 후술할 본 발명에 따른 비상대피용 호흡장치을 착용한 사용자가 어느 방향으로 대피를 하여야 하는지를 알려주는 구성요소로서, 사용자가 착용하고 있는 후술할 본 발명에 따른 비상대피용 호흡장치의 일련번호가 표시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본인의 위치를 비롯하여 대피해야 하는 방향 등의 다양한 정보를 더욱 쉽게 파악하게 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어유닛(10) 및 보관유닛(20)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대피 관제시스템의 일례는, 권리범위의 제한없이 그 밖에도 다른 여러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 다른 관제시스템과 상호 연결되어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어서, 도 3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비상대피 관제시스템의 일례에 포함되는, 즉 보관유닛(20)에 보관되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대피용 호흡장치의 일 실시예(30)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대피 관제시스템의 일례에서 사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대피용 호흡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횡방향으로 절개하였을 때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일 실시예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일 실시예가 사용될 때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 4와 동일하게 절개하였을 때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한편, 도 8 내지 도 10, 도 12 및 도 14는 도 3에 도시된 일 실시예의 변형례들을 도시한 단면도 또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변형례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모식도이며,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변형례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5는 도 3에 도시된 일 실시예가 다른 방법으로 사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비상대피용 호흡장치의 일 실시예(30)는 산소저장부(100), 혼합챔버(200), 안면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나아가 필터부(400), 케이스(500), 통신모듈(600), 식별부(7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산소저장부(100)는 산소를 저장해두었다가 후술할 제1 스위치(110) 또는 제2 스위치(120, 120') 작동시 혼합챔버(200)로 산소를 공급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산소저장부(100)는 산소를 저장하였다가 필요시 혼합챔버(200)로 산소를 공급하기만 하면, 그 크기나 형상, 나아가 케이스(500) 내부에서의 위치 등에 대하여는 제한 없이 다양할 수 있다. 즉, 산소를 고압으로 저장하는 탱크의 형태일 수도 있고, 산소를 발생하는 장치 형태일 수도 있을 것이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비상대피용 호흡장치의 일 실시예(30)를 사용자가 한 손으로 파지하여야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중 하나인 누구나 불편함 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 가능한 크기여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비상대피용 호흡장치의 일 실시예(30)가 보관 또는 사용되는 환경이 고온이 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볼 때, 산소저장부(100)는 추가적인 폭발이 발생되지 않도록 소정의 내구성이 보장되어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은 산소저장부(100)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후술할 제1 스위치(110) 또는 제2 스위치(120, 120') 작동시 혼합챔버(200)로 산소를 공급하게 되는데, 이에 대하여는 각각의 구성요소에 대한 개별적인 설명을 마친 이후에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혼합챔버(200)는 산소저장부(100) 및 외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산소저장부(100)로부터 공급받은 산소와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외기가 혼합된 상태로 수용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혼합챔버(200) 또한 산소저장부(100)로부터 공급받은 산소와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외기가 혼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기만 하면, 산소저장부(100)와 유사하게, 그 크기나 형상, 나아가 케이스(500) 내부에서의 위치 등에 대하여는 제한 없이 다양할 수 있다.
즉,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혼합챔버(200)는 산소저장부(100) 및 안면부(300)와 서로 연통되도록, 산소저장부(100)와 안면부(300) 사이에 별도로 형성된 케이스(500) 내부에 마련된 공간일 수도 있으며, 또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혼합챔버(200)는 사용자 안면의 호흡기 전방에 비어있는 안면부(300)의 내부공간일 수도 있다.
한편, 안면부(300)는 사용자 안면을 향하도록 마련되는 구성요소로서, 혼합챔버(200)에서 혼합된 상태로 수용되어 있는 산소와 외기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혼합챔버(200)와 연통된다.
이러한 안면부(300)는, 사용자에게 산소와 외기를 제공하기 유리하도록 사용자의 안면을 향하고 있는데, 더욱 유리하게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안면의 호흡기, 즉 사용자의 코와 입을 덮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안면부(300)가 사용자 안면의 호흡기를 덮도록 구성되는 경우, 다양한 사용자의 안면에 대응하여 밀착될 수 있도록 실리콘과 같이 부드럽고 탄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유리하다.
또한, 이와 같이 안면부(300)가 부드럽고 탄성이 있는 재질로 구성되는 경우, 이를 압축시켜 케이스(500)의 일측에 마련된 커버(560)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비상대피용 호흡장치의 일 실시예(30)를 사용하기 전에 잘 보관할 수 있는 이점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와 같은 안면부(300)의 재질, 구조 등은, 사용자가 혼합챔버(200) 또는 후술할 필터부(400)를 통한 외기가 아닌 다른 외기를 마시지 않고, 혼합챔버(200)에서 혼합된 산소와 외기를 들어 마실 수 있기 용이하다면, 제한이 없다고 할 것이며,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음은 당연하다.
한편, 필터부(400)는 외부로부터 혼합챔버(200)로 유입되는 외기를 여과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외부와 혼합챔버(200) 사이에 마련되어 외기가 필터부(400)를 거쳐서 외부에서 혼합챔버(200)로 유동하도록 한다.
이러한 필터부(400)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대피용 호흡장치의 일 실시예(30)가 사용되는 장소에 유독가스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라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하지만 화재 또는 가스 누출 등의 재난 시 대부분의 경우 유독가스가 존재하므로, 본 발명에 따른 비상대피용 호흡장치의 일 실시예(30)에 포함되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이와 같은 필터부(400)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외기에서 인체에 유해한 성분을 여과할 수 있다면, 그 종류, 구조 등에 대하여는 제한이 없으며, 이 역시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하지만, 후술할 케이스(500) 내부에서 산소저장부(100)와 함께 더욱 컴팩트(compact)하게 위치하기 위해서, 필터부(400)는 산소저장부(100)의 외주면을 일부 또는 전체로 감싸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유리하다.
또한, 필터부(400)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대피용 호흡장치의 일 실시예(30)가 사용되기 이전에, 자연스럽게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습기 등에 의해 손상받을 수도 있으므로, 케이스(500)의 유입홀(520)에 대향하는 필터부(400)의 일부분에는 보호필름과 같은 별도의 구성이 추가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후술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의 호기시에는 산소저장부(100)에서 산소가 혼합챔버(200) 내로 공급되는데, 공급된 산소가 필터부(400)를 통해서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으므로, 혼합챔버(200)와 접하는 필터부(400)의 일부분에는 외부에서 혼합챔버(200)로만 공기가 유동할 수 있고 혼합챔버(200)에서 외부로는 공기가 유동할 수 없도록 하는 체크밸브와 같은 일방향 밸브가 추가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한편,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산소저장부(100), 혼합챔버(200), 안면부(300), 필터부(400)는 개별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어 본 발명에 따른 비상대피용 호흡장치의 일 실시예(30)가 사용될 수 있는 환경에 맞추어 최적화된 제품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하지만 예상치 못한 상황에서 전술한 각각의 구성요소들이 분리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비상대피용 호흡장치의 일 실시예(30)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비상대피용 호흡장치의 일 실시예(30)는 전술한 각각의 구성요소들이 내외부에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케이스(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케이스(500)는 산소저장부(100), 혼합챔버(200), 필터부(400)가 내부에 장착되고, 안면부(300)가 일측 외부에 마련되어, 사용자가 파지 가능하게 형성된 구성요소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전술한 각각의 구성요소들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500)에 장착될 수 있다. 즉, 케이스(500)의 일측 내부에 마련된 혼합챔버(200)를 중심으로, 케이스(500) 내부에 위치하는 산소저장부(100)와 케이스(500) 외부에 위치하는 안면부(300)는 서로 반대 방향에 위치할 수 있고, 필터부(400)는 산소저장부(100)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케이스(500) 내부에 장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른 구성요소들을 내부에 배치시켜 이들을 보호하는 케이스(500)는 사용자가 파지하기 좋은 크기와 형태를 갖는 것이 유리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비상대피용 호흡장치의 일 실시예(30)에 있어서 케이스(500)는 안면부(300)가 마련되는 일측에서 후술할 발광부(530) 또는 조명부(540)가 마련되는 타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좁아지는 콘(corn)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케이스(500)가 콘 형상으로 형성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보관유닛(20)에서 본 발명에 따른 비상대피용 호흡장치의 일 실시예(30)가 쏟아져서 나오더라도, 굴러서 멀리 이동하지 않고 외경이 좁은 타측 방향으로 형성된 가상의 중심을 기준으로 작은 원을 그리면서 회전할 것이기에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비상대피용 호흡장치의 일 실시예(30)를 쉽게 파지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케이스(500)가 콘 형상으로 형성되면 사용자의 손에 검지에서 계지 사이에 본 발명에 따른 비상대피용 호흡장치의 일 실시예(30)가 쉽게 걸쳐지기 때문에 사용자가 파지하기 용이할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비상대피용 호흡장치의 일 실시예(30)가 계지 방향으로 미끄러지는 것도 방지할 수 있어서 유리할 것이다.
하지만, 이와 같은 케이스(500)의 형상은 제한적이지 않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육면체형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고, 그 밖에 오각기둥과 같은 다각기둥형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즉, 케이스(500)의 형상으로 권리범위는 결코 제한되지 않는다고 할 것이다.
다만, 케이스(500)가 원통형으로 형성된 도 9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대피용 호흡장치의 일 실시예(30)에 대한 변형례의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비상대피용 호흡장치의 일 실시예(30)가 사용자의 손에 검지에서 계지 사이에 쉽게 걸쳐지지 않기 때문에 미끄러지기 쉬우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소정의 마찰력을 제공하는 슬립방지부(510)을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케이스(500)는 산소저장부(100)를 작동시키는 제1 스위치(110) 또는 제2 스위치(120, 120')의 구조 및 형상에 따라 그 구조 및 형상이 조금씩 변형될 수 있으나,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다만, 그 구조 및 형상이 어떻게 변형되는지는 제1 스위치(110) 또는 제2 스위치(120, 120')에 대하여 후술할 때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뿐만 아니라, 케이스(500)의 타측에는 필터부(400)와 연통되는 유입홀(520)이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유입홀(520)의 위치 및 구조는 필터부(400)의 구조 및 형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필터부(400)가 산소저장부(100)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케이스(500)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길게 형성되어 내부에 포함되는 경우라면, 유입홀(520)은 케이스(500)의 타측에 외주면을 따라 다수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홀(520)의 위치 및 구조는 제1 스위치(110)의 구조를 고려하여 케이스(500)의 타측 외주면이 아닌 케이스(500)의 타측에 형성된 단차진 부분에 필터부(4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 마련되도록 변형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례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않음을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나아가, 케이스(500)에는 발광부(530) 또는 조명부(540)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발광부(5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보관유닛(20)에서 본 발명에 따른 비상대피용 호흡장치의 일 실시예(30)가 쏟아져서 나올 때, 주변 환경이 어두운 경우에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비상대피용 호흡장치의 일 실시예(30)를 인식하지 못할 수 있음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되는 구성요소이다.
즉, 발광부(530)는 사용자가 어두운 장소에서 케이스(500)를 파지할 수 있도록 자체적으로 발광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비상대피용 호흡장치의 일 실시예(30)가 보관유닛(20)에서 쏟아져 나오는 경우에 있어서 받는 외력(예를 들면, 상호 간의 충돌 또는 바닥면과 부딪힐 때 받는 충격, 쏟아져 나올 때의 각도변화 등)을 인지하여 발광할 수도 있지만, 보관유닛(20)이 개방되는 것을 인지하여 발광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시점에서 발광할 수 있다.
이때, 다양한 시점은 후술할 통신모듈(600)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비상대피용 호흡장치의 일 실시예(30)가 제어유닛(10)과 통신하는 시점과 일치할 수 있는데,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이러한 발광부(530)는 야광 도료가 도포된 부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후술할 조명부(540)와 함께 케이스(500) 내부에 마련된 전력을 이용하여 발광하는 LED와 같은 조명 소재로 구성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발광부(530)는 케이스(500)의 어느 부분에 위치하여도 무방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LED와 같은 조명 소재로 구성되는 경우 전기적인 연결을 고려하여 케이스(500)의 타측에 위치하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한편, 조명부(540)는 사용자가 어두운 장소에서 주변 사물을 식별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이동방향을 향해 발광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조명부(540)는 발광부(530)가 사용자가 어두운 장소에서 주변 사울을 식별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발광한다면 케이스(500)에 마련되지 않아도 무방하나, 이 경우 사용자의 눈이 많이 부실 수 있기 때문에 발광부(530)와 별도로 사용자의 이동방향을 향해서만 발광하는 조명부(540)를 케이스(500)에 마련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또한, 이러한 조명부(540) 또한 케이스(500)의 어느 부분에 위치하여도 무방하지만, 사용자의 이동방향을 향해서 발광하여야 한다는 점을 고려하여 볼 때, 사용자의 안면에 인접한 케이스(500)의 일측보다는 이에 반대되는 케이스(500)의 타측에 마련되는 것이 유리하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조명부(540)가 작동하는 시점은 산소저장부(100)를 작동시키는 시점, 즉 제1 스위치(110) 또는 제2 스위치(120, 120')를 작동시키는 시점과 일치시킬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산소저장부(100)를 작동시킨다는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대피용 호흡장치의 일 실시예(30)를 갖고 대피하기 시작한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사용자가 대피하는 길을 환하게 비춰주기 위해서 조명부(540)는 적어도 이 시점부터는 작동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상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비상대피용 호흡장치의 일 실시예(30)는 산소저장부(100), 혼합챔버(200), 안면부(300), 필터부(400), 케이스(5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이에 제한적이지 않고 다른 여러 구성요소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은 당연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대피용 호흡장치의 일 실시예(30)는 다음과 같이 작동하여, 화재 또는 가스 누출 등의 재난 발생시 산소 부족공간이 존재하더라도 공기정화 기능과 산소공급 기능을 함께 구현하여 호흡이 가능하도록 한다.
먼저, 발광부(530)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비상대피용 호흡장치의 일 실시예(30)의 위치를 확인한 사용자는 케이스(500)를 파지하고, 케이스(500)에서 커버(560)를 이탈시켜 안면부(300)를 자신의 호흡기에 밀착시킨다.
이후, 사용자는 케이스(500)의 타측에 마련된 제1 스위치(110) 또는 제2 스위치(120, 120')를 작동시켜, 산소저장부(100)에서 혼합챔버(200)로 산소를 공급하도록 한다.
이때, 사용자는 케이스(500)에서 커버(560)를 이탈시켜 안면부(300)를 자신의 호흡기에 밀착시키기 이전에 제1 스위치(110) 또는 제2 스위치(120, 120')를 먼저 작동시키거나 동시에 작동시켜 산소저장부(100)에서 혼합챔버(200)로 산소를 먼저 공급하게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하지만, 필터부(400)를 먼저 이용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케이스(500)에서 커버(560)를 이탈시켜 안면부(300)를 자신의 호흡기에 밀착시킨 이후에 제1 스위치(110) 또는 제2 스위치(120, 120')를 작동시키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한편, 전술한 제1 스위치(110)는 케이스(500)의 타측에 마련된다면 어떠한 구조 및 형성도 무방하다. 그러나 보다 상세한 설명을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비상대피용 호흡장치의 일 실시예(30)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스위치(110)는 케이스(500)의 타측에 마련된 나사산 형태의 구조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가 케이스(500)의 타측 일부를 회전시키면 제1 스위치(110)는 온(on)이 되는데, 이때 산소저장부(100)는 케이스(500) 내부에서 이동하게 되면서 산소저장부(100)의 배출부가 상대적으로 개방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1 스위치(110)가 온(on)되면, 산소저장부(100)는 유량조절기(130)를 향해 이동하게 되고, 산소저장부(100)의 배출부가 유량조절기(130)와 연결되면서 자연스럽게 개방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비상대피용 호흡장치의 일 실시예(30)가 보관유닛(20)의 배출구(28)에서 배출될 때 충격으로 케이스(500)의 타단부가 이동되어 산소저장부(100)를 케이스(500) 내부에서 이동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 스위치(110)를 나사산 형태의 구조가 되도록 하였다. 하지만, 다른 구성요소로 인해 전술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면 나사산 형태의 구조가 아니라 단순히 케이스(500)의 타단부를 이동시키는 구조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홀(520)이 케이스(500)의 타측에 형성된 단차진 부분에 필터부(4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 마련되도록 변형되는 경우에 있어서는, 유입홀(520)을 막지 않도록 나사산이 일부만 형성되거나, 케이스(500)의 타단부와 필터부(400)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전술한 제2 스위치(120, 120') 또한 케이스(500)의 일측에 마련된다면 어떠한 구조 및 형성도 무방하다. 그러나 보다 상세한 설명을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비상대피용 호흡장치의 일 실시예(30)의 변형례들을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2 스위치(120)는, 유량조절기(130)와 연결되어 회전시 산소저장부(100)의 배출구를 직접적으로 개방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2 스위치(120)는 산소저장부(100)와 미리 연결되어 있는 유량조절기(130)에 장착되어, 제2 스위치(120)가 회전되면서 온(on)되면, 제1 스위치(110)의 작동과 달리 산소저장부(100)의 이동없이 산소저장부(100)의 배출구가 직접적으로 개방된다.
이때, 제2 스위치(120)가 회전되면서 온(on)된다는 것은 제2 스위치(120)를 작동시킨다는 의미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누름식 또는 관통식 형태로도 변형 가능하며, 이로 인해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않음은 당연하다.
또한,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제2 스위치(120')는, 유량조절기(130)뿐만 아니라 커버(560)와도 연결되어, 커버(560)를 케이스(500)로부터 이탈시킬 때 산소저장부(100)의 배출구를 직접적으로 개방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2 스위치(120')는 삽입구(124')에 삽입되어 있는 스위칭핀(122')이 삽입구(124')로부터 이탈할 때 온(on)이 되고, 제2 스위치(120')가 온이 되면, 제1 스위치(110)의 작동과 달리 산소저장부(100)의 이동없이 산소저장부(100)의 배출구가 직접적으로 개방된다.
이때, 삽입구(124')에서 스위칭핀(122')이 이탈될 때 제2 스위치(120')가 온(on)된다는 것과 관련하여, 삽입구(124') 단부에 가해지는 힘을 측정하여 전기적 신호를 제공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는데, 특히 전술한 조명부(540)의 작동도 전기적 신호로 제어하게 되는 만큼, 이러한 내용의 세밀한 설계는 본 명세서를 확인한 당업자라면 가능할 것이다.
한편,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스위치(110) 또는 제2 스위치(120, 120')를 작동시켜 산소저장부(100)의 배출부를 개방하게 되면, 산소저장부(100)에 저장되어 있던 산소는 혼합챔버(200)로 공급되게 되는데, 이때 공급되는 산소가 기설정된 유량이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유량조절기(130)가 필요할 것이다.
이때, 유량조절기(130) 또한 산소저장부(100)에서 혼합챔버(200)로 공급되는 산소가 기설정된 유량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면 그 구조나 형상에 있어서 제한이 없다. 다만,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스위치(120, 120')와 연동되는 경우에 있어서는 제2 스위치(120, 120')의 구조에 따라 일부 변형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와 같이 산소저장부(100)에서 혼합챔버(200)로 산소가 공급되면, 사용자의 흡기시 필터부(400)를 통해 여과되어 유입되는 외기와 혼합될 것이다.
또한, 사용자의 흡기시에는, 혼합챔버(200) 내에 존재하는 산소와 외기가 혼합챔버(200)와 안면부(300) 사이에 마련된 일방향 흡입밸브(31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이때, 일방향 흡입밸브(310)는 사용자가 흡기할 때에만 개방되어 혼합챔버(200)에서 안면부(300)로 혼합된 산소와 외기가 유동하도록 하는 밸브로서, 사용자가 호기할 때에는 폐쇄되어 사용자가 호흡한 이후에 배출되는 공기가 혼합챔버(200)로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이어서, 사용자의 호기시에는, 사용자가 호흡한 이후에 배출되는 공기는 안면부(300)에서 외부로만 유동될 수 있도록 안면부(300)에 마련된 일방향 배출밸브(32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일방향 흡입밸브(310)는 폐쇄될 것이며, 반대로 다시 사용자가 흡기를 할 때에는 이러한 일방향 배출밸브(320)는 폐쇄되어 외부에서 안면부(300)로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일방향 흡입밸브(310) 및 일방향 배출밸브(320)는 전술한 기능을 할 수 있으면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이로 인해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않음은 당연하다. 일례로, 일방향 흡입밸브(310) 및 일방향 배출밸브(320)는 체크밸브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은 사용자의 호흡과 관련하여, 혼합챔버(200)를 기준으로 재차 설명하면, 사용자의 흡기시에는 흡기 시간동안 필터부(400)를 통해 유입되는 외기, 흡기 시간동안 산소저장부(100)에서 배출되는 산소 및 호기 시간동안 산소저장부(100)에서 배출되어 미리 저장되어 있는 산소가 혼합챔버(20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되고, 사용자의 호기시에는 호기 시간동안 산소저장부(100)에서 배출되는 산소가 혼합챔버(200) 내에 저장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호흡을 하게 되는데, 주변 환경에 따라 산소저장부(100)를 통해 혼합챔버(200)로 공급되는 산소의 양과 필터부(400)를 통해 여과되어 혼합챔버(200)로 공급되는 외기의 양은 조절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주변환경에 따라 산소저장부(100)의 용량 및 필터부(400)의 활용정도의 상대 비율을 조절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한편, 사용자가 분당 20회, 회당 0.5L로, 5분 동안 호흡한다면, 또한 필터부(400)를 통해 유입되는 외기에 산소가 약 10% 포함(참고로, 일반 공기에는 산소가 약 20% 포함되어 있음)되어 있는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비상대피용 호흡장치의 일 실시예(30)가 사용된다면, 산소저장부(100)는 산소를 분압 10%로 공급하게 되고, 아래와 같은 [수학식 1]에 의해 총 5.0L의 산소가 필요할 것이다.
[수학식 1]
20회/분 * 0.5L/회 * 5분 * 10% = 5.0L
또한, 이때 산소저장부(100)의 내부압력이 200기압이라면, 아래와 같은 [수학식 2]에 의해 25cc의 부피를 갖는 산소저장부(100)가 필요할 것이다.
[수학식 2]
5.0L / 200기압 = 25cc
이상 설명한 산소저장부(100)의 용량는 하나의 예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이와 같이 산소저장부(100)는 큰 용량을 필요로 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비상대피용 호흡장치의 일 실시예(30)는 크기가 소형화될 수 있을 것이고, 이는 심지어 사용자가 자신의 가방(특히, 여성용 핸드백)에 이들을 비상용으로 하나씩 가지고 다니는 방향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그 개념을 확장시킬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이 호흡을 하면서 사용자는 재빨리 위험(피해)지역을 벗어나게 되는데, 이때 본 발명에 따른 비상대피용 호흡장치의 일 실시예(30)는 한 손으로 파지할 수 있기 때문에 적어도 한 손의 자유로움을 보장할 수 있다.
나아가, 경우에 따라 두 손 모두의 자유로움이 필요할 경우에 있어서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끈(C)을 케이스(500) 외측에 마련된 연결고리(550)에 끼우고 연결끈(C)으로 하여금 사용자의 머리를 둘러싸서 고정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비상대피용 호흡장치의 일 실시예(30)를 사용하게 되면 화재 또는 가스 누출 등의 재난 발생시 산소 부족공간이 존재하더라도 호흡이 가능하도록 하는 공기정화 기능과 산소공급 기능을 함께 구현하여 누구나 불편함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이렇게 사용자가 재빨리 위험(피해)지역을 벗어나는 과정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유닛(10)의 디스플레이부(12)에 표시되도록 하여, 구조자로 하여금 사용자가 위험(피해)지역을 잘 벗어나고 있음을 알려주게 된다.
만약,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비상대피용 호흡장치의 일 실시예(30)를 사용하면서도 일정 시간 동안 이동이 없는 경우에는, 다른 사고로 대피하고 있지 못한 사람(I)으로 판단하여 구조자는 해당 사람(I)를 우선적으로 구조할 수 있을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비상대피용 호흡장치의 일 실시예(30)는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대피 관제시스템과 연동되어, 이러한 비상대피용 호흡장치의 사용과 관련된 정보를 구조자에게 알려줘서 더욱 신속하고 정확하게 구조활동을 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비상대피용 호흡장치의 일 실시예(30)에 필요한 구성이 통신모듈(600)이라고 할 것인데, 통신모듈(600)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대피용 호흡장치의 일 실시예(30)와 본 발명에 따른 비상대피용 관제시스템과의 통신만 원활하게 되면 그 구성에 대하여는 어떠한 제한도 없으며, 이로 인해 권리범위도 제한되지 않음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즉, 통신모듈(6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별도의 설비로서 구축되거나 119 본부 또는 비상관제센터에 마련되어 있는 시스템들에 포함되어 이들과 연동되도록 구축될 수 있는 제어유닛(10)과 통신이 원활하게 되면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통신모듈(600)이 구동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전원이 필요할 것인데, 이러한 전원은 전술한 발광부(530) 또는 조명부(540)와 동일한 전원을 사용하도록 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비상대피용 호흡장치의 일 실시예(30)를 더욱 컴펙트한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통신모듈(600)은 케이스(500)의 타측에 마련되는 발광부(530) 또는 조명부(540)에 인근하여 장착될 수 있으며,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케이스(500)의 타측에 마련되어 있는 제1 스위치(110)와 연동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1 스위치(110)가 온(on)되면, 발광부(530)는 오프(off)되고, 조명부(540) 및 통신모듈(600)는 온(on)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이 발광부(530), 조명부(540) 통신모듈(600)이 하나의 전원을 사용하는 경우라면, 전원이 남아있는 양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식별부(700)가 추가적으로 마련되어 있으면 유리할 것이다.
이때, 식별부(700)는 단지 전술한 바와 같이 전원이 남아있는 양만을 확인하는데 그치지 않고, 본 발명에 따른 비상대피용 호흡장치의 일 실시예(30)가 제대로 작동하고 있는지, 산소저장부(100)에 산소가 남아있는 양도 확인할 수 있는 등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한편,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이들 또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제어유닛
12 : 디스플레이부
20 : 보관유닛
22 : 안내부 24 : 확인부
26 : 수동작동부 28 : 배출구
30 : 비상대피용 호흡장치
100 : 산소저장부
110 : 제1 스위치
120, 120' :제2 스위치
130 : 유량조절기
200 : 혼합챔버
300 : 안면부
310 : 일방향 흡입밸브
320 : 일방향 배기밸브
400 : 필터부
500 : 케이스
510 : 슬립방지부
520 : 유입홀
530 : 발광부
540 : 조명부
550 : 연결고리
600 : 통신모듈
700 : 식별부

Claims (17)

  1. 산소를 저장하는 산소저장부;
    상기 산소저장부 및 외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산소저장부로부터 공급받은 산소와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외기가 혼합된 상태로 수용하는 혼합챔버; 및
    사용자 안면의 호흡기를 덮도록 마련되어, 상기 혼합챔버에 혼합된 상태로 수용된 산소와 외기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안면부;를 포함하는,
    비상대피용 호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챔버는,
    상기 사용자 안면의 호흡기 전방에 비어있는 상기 안면부의 내부공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대피용 호흡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외기가 여과되어 상기 혼합챔버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외부와 상기 혼합챔버 사이에 마련되는 필터부를 더 포함하는,
    비상대피용 호흡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산소저장부 및 상기 필터부가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안면부가 일측 외부에 마련되며, 상기 사용자가 파지 가능하게 형성된 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비상대피용 호흡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챔버는,
    상기 산소저장부 및 상기 안면부와 서로 연통되도록 산소저장부와 상기 안면부 사이에 별도로 형성된 케이스 내부에 마련된 공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대피용 호흡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챔버를 중심으로 상기 케이스 내부에 장착된 상기 산소저장부와 상기 케이스 외부에 마련된 상기 안면부는 서로 반대측에 위치하며, 상기 필터부는 상기 산소저장부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상기 케이스 내부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대피용 호흡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안면부가 마련되는 일측에서 상기 일측에 반대되는 타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좁아지는 콘(corn)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대피용 호흡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산소저장부는 상기 케이스 타측에 마련된 제1 스위치가 작동할 때 상기 혼합챔버로 산소를 공급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 스위치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1 스위치를 온(on)시킬 때, 상기 산소저장부가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이동되면서 상기 산소저장부의 배출부가 상대적으로 개방되도록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대피용 호흡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산소저장부는 상기 케이스 일측에 마련된 제2 스위치가 작동할 때 상기 혼합챔버로 산소를 공급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 스위치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2 스위치를 온(on)시킬 때, 상기 케이스 내부에 고정된 상기 산소저장부의 배출부가 직접적으로 개방되도록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대피용 호흡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산소저장부에서 상기 혼합챔버로 공급되는 산소가 기설정된 유량이 될 수 있도록, 상기 산소저장부의 배출부에는 유량조절기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대피용 호흡장치.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케이스의 타측에 형성된 유입홀을 통해 상기 외부로부터 유입된 외기를 여과시켜서 상기 케이스 일측 내부에 장착된 상기 혼합챔버로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대피용 호흡장치.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챔버에서 혼합된 상기 산소저장부로부터 공급받은 산소와 상기 필터부를 통해 여과된 외기는 상기 혼합챔버에서 상기 안면부로만 유동하도록 상기 혼합챔버와 상기 안면부 사이에 마련된 일방향 흡입밸브를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대피용 호흡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호흡한 이후에 배출되는 공기는 상기 안면부에서 상기 외부로만 유동하도록 상기 안면부에 마련된 일방향 배기밸브를 통해 상기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대피용 호흡장치.
  14.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타측에는 상기 사용자가 어두운 장소에서 상기 케이스를 파지할 수 있도록 자체적으로 발광하는 발광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대피용 호흡장치.
  15.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타측에는 상기 사용자가 어두운 장소에서 주변 사물을 식별할 수 있도록 상기 사용자의 이동방향을 향해 발광하는 조명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대피용 호흡장치.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의 비상대피용 호흡장치를 각각의 일련번호를 부여하여 다수 보관하는 보관유닛; 및
    상기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의 비상대피용 호흡장치가 필요한 상황을 인지하는 경우, 상기 보관유닛을 개방하여 상기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의 비상대피용 호흡장치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는,
    비상대피 관제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의 비상대피용 호흡장치는 상기 제어유닛과 통신할 수 있는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의 비상대피용 호흡장치 각각에 포함된 통신모듈과 개별적으로 통신함으로써, 상기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의 비상대피용 호흡장치의 사용여부 및 사용위치를 상기 일련번호별로 각각 확인하여 상기 사용자를 구조하는 구조자에게 상기 사용여부 및 상기 사용위치를 알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대피 관제시스템.
KR1020160025651A 2016-03-03 2016-03-03 비상대피용 호흡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비상대피 관제시스템 KR1018635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5651A KR101863558B1 (ko) 2016-03-03 2016-03-03 비상대피용 호흡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비상대피 관제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5651A KR101863558B1 (ko) 2016-03-03 2016-03-03 비상대피용 호흡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비상대피 관제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3197A true KR20170103197A (ko) 2017-09-13
KR101863558B1 KR101863558B1 (ko) 2018-06-01

Family

ID=59967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5651A KR101863558B1 (ko) 2016-03-03 2016-03-03 비상대피용 호흡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비상대피 관제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3558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6979B1 (ko) * 2018-02-14 2019-05-09 이태훈 폐스마트폰을 이용한 재난 대피 시스템
KR102005077B1 (ko) * 2018-04-30 2019-07-29 (주)피노스토리 비상용 방독키트
KR101999930B1 (ko) * 2018-11-30 2019-10-01 김상헌 안전 보호장치를 구비한 방독 마스크 및 안전 제어 방법
KR20190125960A (ko) * 2019-05-07 2019-11-07 (주)피노스토리 비상용 방독키트
KR20200017981A (ko) * 2018-08-10 2020-02-19 김예림 화재 발생으로 인한 요구조자의 구조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200145177A (ko) * 2019-06-21 2020-12-30 박철웅 반려동물용 필터 교체형 마스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9826B1 (ko) * 2019-06-03 2022-08-04 이주연 하향 흡입 경로를 가지는 마스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73270A (ko) * 2008-05-10 2008-08-08 권칠성 화재대피용 방독마스크
KR20120019069A (ko) * 2010-08-24 2012-03-06 백종태 질식 방지를 위한 휴대용 산소호흡기
KR20120028683A (ko) * 2010-09-15 2012-03-23 백종태 재난 대처용품 보관장치
KR20120129703A (ko) * 2011-05-20 2012-11-28 백종태 능동적 배포형 산소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73270A (ko) * 2008-05-10 2008-08-08 권칠성 화재대피용 방독마스크
KR20120019069A (ko) * 2010-08-24 2012-03-06 백종태 질식 방지를 위한 휴대용 산소호흡기
KR20120028683A (ko) * 2010-09-15 2012-03-23 백종태 재난 대처용품 보관장치
KR20120129703A (ko) * 2011-05-20 2012-11-28 백종태 능동적 배포형 산소면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6979B1 (ko) * 2018-02-14 2019-05-09 이태훈 폐스마트폰을 이용한 재난 대피 시스템
KR102005077B1 (ko) * 2018-04-30 2019-07-29 (주)피노스토리 비상용 방독키트
WO2019212168A1 (ko) * 2018-04-30 2019-11-07 (주)피노스토리 비상용 방독키트
CN112041032A (zh) * 2018-04-30 2020-12-04 皮诺斯道瑞株式会社 应急用防毒套件
KR20200017981A (ko) * 2018-08-10 2020-02-19 김예림 화재 발생으로 인한 요구조자의 구조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1999930B1 (ko) * 2018-11-30 2019-10-01 김상헌 안전 보호장치를 구비한 방독 마스크 및 안전 제어 방법
KR20190125960A (ko) * 2019-05-07 2019-11-07 (주)피노스토리 비상용 방독키트
KR20200145177A (ko) * 2019-06-21 2020-12-30 박철웅 반려동물용 필터 교체형 마스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3558B1 (ko) 2018-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3558B1 (ko) 비상대피용 호흡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비상대피 관제시스템
KR101549684B1 (ko) 다인용 휴대 호흡기
US7748380B1 (en) Combined air-supplying/air-purifying system
JP2008535571A (ja) 密封形フィルタを利用する携帯用空気浄化システム
US10441827B2 (en) Hybrid self-rescue equipment
US9724484B2 (en) Breathing apparatus and method of use
KR101298769B1 (ko) 건물 내 구명 호흡 장치
KR101208662B1 (ko) 재난 대처용품 보관장치
KR101085706B1 (ko) 비상 조명등이 구비된 화재용 산소 호흡기
KR200388729Y1 (ko) 긴급 대피용 산소호흡기 및 랜턴을 겸비한 소화장치
KR20120019069A (ko) 질식 방지를 위한 휴대용 산소호흡기
JP2006506205A5 (ko)
KR101338497B1 (ko) 휴대용 산소호흡기
KR101293793B1 (ko) 휴대용 산소호흡기
KR20200104139A (ko) 산소량 표시장치를 갖는 마스크를 구비한 공기호흡장치
EP2429661B1 (en) Mask for breathing apparatus
KR200465483Y1 (ko) 긴급 상황에 사용 가능한 분산형 재난 대처용품
CN108853826B (zh) 一种手持式应急呼吸防护罐
KR101980853B1 (ko) 재 호흡 기능을 가진 안전 보호 장치 및 그 방법
KR20050092997A (ko) 비상용 산소공급장치
CN111632294B (zh) 带空气旁通阀的面罩和用该面罩的送风呼吸装置
KR102052952B1 (ko) 비상탈출용 방독호흡기
CN115707494B (zh) 紧急撤离用氧气面罩
CN213313020U (zh) 带空气旁通阀的面罩
KR20240059723A (ko) IoT 기반 산소호흡기 및 이를 이용한 위치 정보 알림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