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0103A - 무선 마스크 - Google Patents

무선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0103A
KR20220150103A KR1020210057410A KR20210057410A KR20220150103A KR 20220150103 A KR20220150103 A KR 20220150103A KR 1020210057410 A KR1020210057410 A KR 1020210057410A KR 20210057410 A KR20210057410 A KR 20210057410A KR 20220150103 A KR20220150103 A KR 202201501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mask body
mask
wireless microphone
wireless ear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74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6025B1 (ko
Inventor
이정규
Original Assignee
이정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규 filed Critical 이정규
Priority to KR10202100574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6025B1/ko
Publication of KR202201501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01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60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60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084Means for fastening gas-masks to heads or helm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insertion or the connection of the batte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8Mouthpieces; Microphones; Attachment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16Earpieces of the intra-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25Accumulators or arrangements for charg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41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Zo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서, 코와 입의 호흡기를 가리는 마스크 본체; 상기 마스크 본체의 일측에 마련되고 일측 귀에 걸리되 적어도 일부분이 신축 가능한 재질로 제작되는 제1 귀걸이 밴드; 상기 마스크 본체의 타측에 마련되고 타측 귀에 걸리되 전체가 신축 가능한 재질로 제작되는 제2 귀걸이 밴드; 상기 마스크 본체에서 입 주변에 배치되되 소정의 전자기기와 연계한 말하기 모드를 제공하는 무선 마이크; 상기 마스크 본체의 양측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전자기기와 연계한 듣기 모드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이어폰; 상기 마스크 본체에 충전 가능하게 탑재되고 상기 무선 마이크와 상기 무선 이어폰과 연결되며, 상기 무선 마이크와 상기 무선 이어폰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충전식 배터리; 상기 마스크 본체에 마련되며, 상기 무선 마이크 및 상기 무선 이어폰을 온/오프(on/off) 구동시키는 온/오프 구동 스위치; 및 상기 온/오프 구동 스위치의 스위칭 동작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마이크 및 상기 무선 이어폰이 온/오프(on/off) 구동되게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 마스크{A wireless mask}
본 발명은, 무선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마스크 본체를 착용한 상태에서도 무선 마이크를 통한 말하기와 무선 이어폰을 통한 듣기가 가능하며, 이로 인해 전자기기와 연계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무선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마스크(mask)란 보건위생상 병균, 먼지 등의 흡입 및 비산을 막기 위하여 코와 입을 가리는 물건의 총칭이다. 즉 유해 가스와 연기 등이 있거나, 산소 결핍의 공기 중에서 호흡을 하기 위해 마스크를 착용할 수 있다.
통상의 마스크는 거즈나 부직포로 된 마스크이며, 주로 감기균의 배출 또는 유입을 저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마스크는 구조가 간단하고 비용도 저렴해서 감기 걸린 상태에서 대중교통을 이용하거나 사람이 많은 장소에 갈 때, 널리 활용된다.
마스크는 위의 단순 구조에서 벗어나 여러 기능이 부가된 기능성 마스크로 출시되는 실정이다. 즉 미세먼지 또는 황사의 호흡기 침입을 저지하기 위한 황사용 마스크, 무균실에 들어가기 위한 무균실용 마스크, 화학실험 시 사용될 수 있는 화학 마스크, 방독 마스크 등으로 나뉠 수 있다.
특히, 최근에는 코로나 등의 바이러스 차단을 위해, 혹은 전파를 방지하고자 방역 마스크가 보급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앞서 기술한 마스크들, 즉 기능성 마스크들은 각기 해당 목적에 맞게 사용되고 있는데, 어떠한 기능성 마스크일지라도 마이크와 스피커 등의 무선 기능이 탑재된 것은 아직 보급된 바 없다.
실제, 코로나가 아직 끝나지 않은 상황에서 예컨대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 말하고 듣기가 가능해지려면 그에 적합한 도구들, 즉 마이크와 이어폰을 추가로 더 착용해야 할 것인데, 그러면 마스크와의 간섭으로 인해 착용이 쉽지 않을뿐더러 사용상의 편의성도 떨어질 수밖에 없다는 점을 두루 고려해볼 때, 이에 적합한 무선 마우스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2-0004928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20-0002808호
본 발명의 목적은, 마스크 본체를 착용한 상태에서도 무선 마이크를 통한 말하기와 무선 이어폰을 통한 듣기가 가능하며, 이로 인해 전자기기와 연계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무선 마스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코와 입의 호흡기를 가리는 마스크 본체; 상기 마스크 본체의 일측에 마련되고 일측 귀에 걸리되 적어도 일부분이 신축 가능한 재질로 제작되는 제1 귀걸이 밴드; 상기 마스크 본체의 타측에 마련되고 타측 귀에 걸리되 전체가 신축 가능한 재질로 제작되는 제2 귀걸이 밴드; 상기 마스크 본체에서 입 주변에 배치되되 소정의 전자기기와 연계한 말하기 모드를 제공하는 무선 마이크; 상기 마스크 본체의 양측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전자기기와 연계한 듣기 모드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이어폰; 상기 마스크 본체에 충전 가능하게 탑재되고 상기 무선 마이크와 상기 무선 이어폰과 연결되며, 상기 무선 마이크와 상기 무선 이어폰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충전식 배터리; 상기 마스크 본체에 마련되며, 상기 무선 마이크 및 상기 무선 이어폰을 온/오프(on/off) 구동시키는 온/오프 구동 스위치; 및 상기 온/오프 구동 스위치의 스위칭 동작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마이크 및 상기 무선 이어폰이 온/오프(on/off) 구동되게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마스크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충전식 배터리의 충전을 위한 충전 단자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충전 단자부가 상기 제1 귀걸이 밴드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귀걸이 밴드는, 신축 가능한 재질로 제작되는 밴드 몸체부; 및 상기 밴드 몸체부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충전 단자부를 개폐하는 단자 커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본체의 내면에 교체 가능하게 탈부착하는 교체형 마스크 시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본체와 상기 교체형 마스크 시트에는 상기 마스크 본체에 대하여 상기 교체형 마스크 시트의 임의 이동이 저지되게 하는 제1 및 제2 착탈식 결합부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코와 입의 호흡기를 가리는 마스크 본체; 상기 마스크 본체에 연결되고 귀에 걸리는 한 쌍의 귀걸이 밴드; 상기 마스크 본체에서 입 주변에 배치되되 소정의 전자기기와 연계한 말하기 모드를 제공하는 무선 마이크; 상기 마스크 본체의 양측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전자기기와 연계한 듣기 모드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이어폰; 상기 귀걸이 밴드와는 별개로 마련되되 상기 마스크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전자식 목걸이줄; 상기 전자식 목걸이줄에 마련되며, 상기 전자식 목걸이줄이 상기 마스크 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때, 상기 무선 마이크와 상기 무선 이어폰과 연결되되 상기 무선 마이크와 상기 무선 이어폰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충전식 배터리; 상기 전자식 목걸이줄에 마련되며, 상기 전자식 목걸이줄이 상기 마스크 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때, 소정의 전자기기와 상기 무선 마이크 및 상기 무선 이어폰이 블루투스 방식으로 연결되게 하는 블루투스 모듈; 상기 마스크 본체와 상기 전자식 목걸이줄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며, 상기 블루투스 모듈을 온/오프(on/off) 구동시키는 온/오프 구동 스위치; 및 상기 온/오프 구동 스위치의 스위칭 동작에 기초하여 상기 블루투스 모듈의 동작을 통해 상기 무선 마이크 및 상기 무선 이어폰이 온/오프(on/off) 구동되게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마스크 본체에는 상기 전자식 목걸이줄이 전자식으로 연결 가능한 전자식 줄 접속부가 마련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마스크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마스크 본체를 착용한 상태에서도 무선 마이크를 통한 말하기와 무선 이어폰을 통한 듣기가 가능하며, 이로 인해 전자기기와 연계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 마스크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충전 단자부를 노출시킨 상태의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무선 마스크에 대한 제어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 마스크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분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무선 마스크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분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무선 마스크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무선 마스크에 대한 제어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어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작용)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 마스크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측면도, 도 3은 도 2에서 충전 단자부를 노출시킨 상태의 도면, 도 4는 도 1의 무선 마스크에 대한 제어블록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마스크(100)는 마스크 본체(110)를 착용한 상태에서도 무선 마이크(140)를 통한 말하기와 무선 이어폰(150)을 통한 듣기가 가능하며, 이로 인해 전자기기(미도시)와 연계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스마트폰과 연계한 말하기 듣기가 가능해진다. 여기서, 말하기 듣기란 스마트폰을 이용한 통화 혹은 음악 청취 등을 일컫는다.
이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마스크(100)는 마스크 본체(110)를 포함하며, 마스크 본체(110)에 아래의 구성들이 위치별로 탑재되는 형태를 취한다.
마스크 본체(110)는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마스크(100)를 착용할 때, 코와 입의 호흡기를 가리는 부분이다. 따라서, 마스크 본체(110)는 적어도 코와 입의 호흡기를 가릴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제작될 수 있다.
참고로, 마스크 본체(110)에 아래의 구성들이 위치별로 탑재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마스크 본체(110)는 일반 천 재질이 아닌 예컨대, 플라스틱 등의 하드 구조물일 수 있다. 물론, 이는 하나의 예에 불과하며, 마스크 본체(110)가 반드시 플라스틱으로 제작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는 마스크 본체(110)가 정면에서 볼 때, 대략 마름모 형태로 되었으나, 이 역시, 하나의 예에 불과할 뿐이다. 즉 마스크 본체(110)의 형상은 도시된 것을 벗어나 얼마든지 다양할 수 있는 바, 도면의 형상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마스크 본체(110)의 양 사이드에 제1 귀걸이 밴드(120)와 제2 귀걸이 밴드(130)가 마련된다. 제1 귀걸이 밴드(120)와 제2 귀걸이 밴드(130)는 귀에 걸려 마스크 본체(110)를 지지한다.
즉 제1 귀걸이 밴드(120)는 마스크 본체(110)의 일측에 마련되고 일측 귀에 걸리되 적어도 일부분이 신축 가능한 재질로 제작된다. 그리고, 제2 귀걸이 밴드(130)는 마스크 본체(110)의 타측에 마련되고 타측 귀에 걸리되 전체가 신축 가능한 재질로 제작된다.
이렇듯 제1 귀걸이 밴드(120)와 제2 귀걸이 밴드(130)는 그 역할과 기능은 동일하다. 다만, 구조는 약간 상이하다. 즉 제2 귀걸이 밴드(130)는 단순한 밴드라서 귀에 걸리는 형태로 제작된다.
하지만, 제1 귀걸이 밴드(120)는 제2 귀걸이 밴드(130)와 달리 귀에 걸리는 용도 외에도 충전식 배터리(160)를 충전하기 위한 라인을 이룬다.
이를 위해, 제1 귀걸이 밴드(120)에는 충전식 배터리(160)를 충전하기 위한 전선 라인으로서의 충전 단자부(125)가 마련된다.
그리고, 제1 귀걸이 밴드(120)는 신축 가능한 재질로 제작되는 밴드 몸체부(121)와, 밴드 몸체부(121)의 일측에 마련되며, 충전 단자부(125)를 개폐하는 단자 커버부(122)를 포함한다. 충전 단자부(125)와 단자 커버부(122)는 사출물이지만 밴드 몸체부(121)가 신축 가능한 재질로 제작되기 때문에 이러한 밴드 몸체부(121)를 이용하면 제1 귀걸이 밴드(120)를 귀에 거는 데 문제가 없다.
이에, 평상시 제1 귀걸이 밴드(120)를 도 1 및 도 2처럼 하나의 폐루프 형태로 만들어 귀에 걸어 사용할 수 있다. 그러다가 충전식 배터리(160)를 충전해야 하는 경우가 생기면 도 3처럼 단자 커버부(122)를 열어 충전 단자부(125)를 드러낸 후, 별도의 전원에 연결해서 충전식 배터리(160)를 충전하면 된다.
한편, 마스크 본체(110)에는 위치별로 무선 마이크(140), 무선 이어폰(150), 충전식 배터리(160), 온/오프 구동 스위치(165) 및 컨트롤러(170)가 탑재된다.
무선 마이크(140) 및 무선 이어폰(150)과 달리, 충전식 배터리(160), 온/오프 구동 스위치(165) 및 컨트롤러(170)는 별도의 PCB 상에 일체로 탑재될 수 있다.
무선 마이크(140)는 마스크 본체(110)에서 입 주변에 배치되되 소정의 전자기기와 연계한 말하기 모드를 제공한다. 블루투스 무선 마이크(140)일 수 있다.
무선 이어폰(150)은 마스크 본체(110)의 양측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마련되며, 전자기기와 연계한 듣기 모드를 제공한다. 이 역시, 블루투스 무선 이어폰(150)일 수 있다. 모노 타입인 경우라면 1개의 무선 이어폰(150)이 적용되면 된다. 만약, 스테레오 방식이라면 도면처럼 2개의 무선 이어폰(150)이 사용될 수 있다.
충전식 배터리(160)는 마스크 본체(110)에 충전 가능하게 탑재되고 무선 마이크(140)와 무선 이어폰(150)과 연결되며, 무선 마이크(140)와 무선 이어폰(150)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온/오프 구동 스위치(165)는 마스크 본체(110)에 마련되며, 무선 마이크(140) 및 무선 이어폰(150)을 온/오프(on/off) 구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온/오프 구동 스위치(165)를 눌려서 전자기기와 무선 마이크(140) 및 무선 이어폰(150)을 블루투스 연결 혹은 해제할 수 있다.
한편, 컨트롤러(170)는 온/오프 구동 스위치(165)의 스위칭 동작에 기초하여 무선 마이크(140) 및 무선 이어폰(150)이 온/오프(on/off) 구동되게 컨트롤한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컨트롤러(170)는 중앙처리장치(171, CPU), 메모리(172, MEMORY), 그리고 서포트 회로(173, SUPPORT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처리장치(171)는 본 실시예에서 온/오프 구동 스위치(165)의 스위칭 동작에 기초하여 무선 마이크(140) 및 무선 이어폰(150)이 온/오프(on/off) 구동되게 컨트롤하기 위해서 산업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컴퓨터 프로세서들 중 하나일 수 있다.
메모리(172, MEMORY)는 중앙처리장치(171)와 연결된다. 메모리(172)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서 로컬 또는 원격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또는 임의의 디지털 저장 형태와 같이 쉽게 이용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일 수 있다.
서포트 회로(173, SUPPORT CIRCUIT)는 중앙처리장치(171)와 결합하여 프로세서의 전형적인 동작을 지원한다. 이러한 서포트 회로(173)는 캐시, 파워 서플라이, 클록 회로, 입/출력 회로, 서브시스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컨트롤러(170)는 온/오프 구동 스위치(165)의 스위칭 동작에 기초하여 무선 마이크(140) 및 무선 이어폰(150)이 온/오프(on/off) 구동되게 컨트롤하는데, 이러한 일련의 컨트롤 프로세스 등은 메모리(172)에 저장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는 소프트웨어 루틴이 메모리(172)에 저장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루틴은 또한 다른 중앙처리장치(미도시)에 의해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는 소프트웨어 루틴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 중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처럼,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은 컴퓨터 시스템 상에서 수행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를 기반으로 작용을 하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마스크 본체(110)를 착용한 상태에서도 무선 마이크(140)를 통한 말하기와 무선 이어폰(150)을 통한 듣기가 가능하며, 이로 인해 전자기기와 연계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 마스크의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분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마스크(200) 역시, 마스크 본체(210)를 포함하며, 마스크 본체(210)에 제1 귀걸이 밴드(120)와 제2 귀걸이 밴드(130), 그리고, 무선 마이크(140), 무선 이어폰(150), 충전식 배터리(160), 온/오프 구동 스위치(165) 및 컨트롤러(170, 도 4 참조)가 위치별로 마련되는 구조를 취한다. 이들의 구성과 기능, 역할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앞서도 잠시 언급한 것처럼 마스크 본체(210)에는 위의 구성들이 설치 또는 탑재되어야 해서 마스크 본체(210)는 하드한 플라스틱으로 제작될 수 있다. 다만, 이러면, 일회용이 아니라서 주기적으로 세척해서 사용해야 할 것인데, 때에 따라 세척이 다소 불편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마스크(200)에는 마스크 본체(210)의 내면에 교체형 마스크 시트(280)가 교체 가능하게 탈부착한다.
교체형 마스크 시트(280)가 교체 가능하게 탈부착할 수 있도록, 마스크 본체(210)와 교체형 마스크 시트(280)에는 마스크 본체(210)에 대하여 교체형 마스크 시트(280)의 임의 이동이 저지되게 하는 제1 및 제2 착탈식 결합부(211,281)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착탈식 결합부(211,281)는 똑딱단추 형태일 수도 있고, 혹은 암수 벨크로 형태일 수도 있다. 어떠한 형태일지라도 교체형 마스크 시트(280)가 마스크 본체(210) 내에 부착된 후, 임의 이동이 저지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의성이 높아질 수 있다.
특히, 일회용인 교체형 마스크 시트(280)를 수시로 교체해서 사용하면 되기 때문에 청결에 매우 유리한 효과가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마스크 본체(210)를 착용한 상태에서도 무선 마이크(140)를 통한 말하기와 무선 이어폰(150)을 통한 듣기가 가능하며, 이로 인해 전자기기와 연계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무선 마스크의 정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분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마스크(300) 역시, 제2 실시예처럼 마스크 본체(310)를 포함하며, 마스크 본체(310)에 제1 귀걸이 밴드(120)와 제2 귀걸이 밴드(130), 그리고, 무선 마이크(140), 무선 이어폰(150), 충전식 배터리(160), 온/오프 구동 스위치(165) 및 컨트롤러(170, 도 4 참조)가 위치별로 마련되는 구조를 취한다. 이들의 구성과 기능, 역할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마스크 본체(310)는 마스크 시트부(380)가 결합되는 영영기 오픈(open)된 구조를 취한다. 이러한 마스크 본체(310)는 하드한 플라스틱 사출 구조물일 수 있다.
이러한 마스크 본체(310)의 내면에는 마스크 시트부(380)의 부착을 위한 시트 부착부(315)가 둘레 방향을 따라 마련된다. 마스크 시트부(380)는 예컨대, 벨크로일 수 있다.
마스크 시트부(380)는 실질적으로 입과 코 주변을 가리는 역할을 한다. 반드시 일회용이 필요는 없다. 이러한 마스크 시트부(380)를 시트 부착부(315)를 매개로 마스크 본체(310)에 부착하면 도 7처럼 하나의 완성된 무선 마스크(300)가 조립될 수 있으며, 이 상태로 착용하면 된다.
마스크 본체(310)는 반복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부재이므로, 한번 혹은 정해진 횟수만큼 무선 마스크(300)를 사용했다면, 마스크 시트부(380)만 떼어내고 그 자리에 새로운 것을 부착해서 사용하면 된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마스크 본체(110)를 착용한 상태에서도 무선 마이크(140)를 통한 말하기와 무선 이어폰(150)을 통한 듣기가 가능하며, 이로 인해 전자기기와 연계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무선 마스크의 정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무선 마스크에 대한 제어블록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마스크(400)에는 귀에 거는 한 쌍의 귀걸이 밴드(430) 외에 전자식 목걸이줄(490)이 더 연결된다. 전자식 목걸이줄(490)은 귀걸이 밴드(430)와는 별개로 마련되되 마스크 본체(4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한다. 마스크 본체(410)에 무선 마이크(140) 및 무선 이어폰(150)이 마련되는 것은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
전자식 목걸이줄(490)이 마스크 본체(410)에 전자식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마스크 본체(410)에는 전자식 목걸이줄(490)이 전자식으로 연결 가능한 전자식 줄 접속부(491)가 마련된다. 전자식 줄 접속부(491)는 자석 방식, 단추 방식, 후크 방식 등 다양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마스크(400)에도 충전식 배터리(460), 블루투스 모듈(462), 온/오프 구동 스위치(465) 및 컨트롤러(470)가 위치별로 더 마련된다.
충전식 배터리(460)는 전자식 목걸이줄(490)에 마련되며, 전자식 목걸이줄(490)이 마스크 본체(4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때, 무선 마이크(140) 및 무선 이어폰(150)과 연결되되 무선 마이크(140) 및 무선 이어폰(150)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블루투스 모듈(462)은 전자식 목걸이줄(490)에 마련되며, 전자식 목걸이줄(490)이 마스크 본체(4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때, 소정의 전자기기, 예컨대 스마트폰 등과 무선 마이크(140) 및 무선 이어폰(150)이 블루투스 방식으로 연결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온/오프 구동 스위치(465)는 블루투스 모듈(462)을 온/오프(on/off) 구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온/오프 구동 스위치(465)는 블루투스 모듈(462)에 탑재된다.
그리고, 컨트롤러(470)는 온/오프 구동 스위치(465)의 스위칭 동작에 기초하여 블루투스 모듈(462)의 동작을 통해 무선 마이크(140) 및 무선 이어폰(150)이 온/오프(on/off) 구동되게 컨트롤한다.
본 실시예처럼 전자식 목걸이줄(490)를 더 적용하되 전자식 목걸이줄(490)에 충전식 배터리(460), 블루투스 모듈(462), 온/오프 구동 스위치(465) 및 컨트롤러(470)가 탑재되게 하고, 전자식 목걸이줄(490)이 마스크 본체(410)에 전자식으로 결합한 상태에서 무선 마이크(140) 및 무선 이어폰(150)이 사용되게 하는 방식을 적용하더라도 본 발명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무선 마스크 110 : 마스크 본체
120 : 제1 귀걸이 밴드 121 : 밴드 몸체부
122 : 단자 커버부 125 : 충전 단자부
130 : 제2 귀걸이 밴드 140 : 무선 마이크
150 : 무선 이어폰 160 : 충전식 배터리
165 : 온/오프 구동 스위치 170 : 컨트롤러

Claims (6)

  1. 코와 입의 호흡기를 가리는 마스크 본체;
    상기 마스크 본체의 일측에 마련되고 일측 귀에 걸리되 적어도 일부분이 신축 가능한 재질로 제작되는 제1 귀걸이 밴드;
    상기 마스크 본체의 타측에 마련되고 타측 귀에 걸리되 전체가 신축 가능한 재질로 제작되는 제2 귀걸이 밴드;
    상기 마스크 본체에서 입 주변에 배치되되 소정의 전자기기와 연계한 말하기 모드를 제공하는 무선 마이크;
    상기 마스크 본체의 양측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전자기기와 연계한 듣기 모드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이어폰;
    상기 마스크 본체에 충전 가능하게 탑재되고 상기 무선 마이크와 상기 무선 이어폰과 연결되며, 상기 무선 마이크와 상기 무선 이어폰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충전식 배터리;
    상기 마스크 본체에 마련되며, 상기 무선 마이크 및 상기 무선 이어폰을 온/오프(on/off) 구동시키는 온/오프 구동 스위치; 및
    상기 온/오프 구동 스위치의 스위칭 동작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마이크 및 상기 무선 이어폰이 온/오프(on/off) 구동되게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마스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식 배터리의 충전을 위한 충전 단자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충전 단자부가 상기 제1 귀걸이 밴드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마스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귀걸이 밴드는,
    신축 가능한 재질로 제작되는 밴드 몸체부; 및
    상기 밴드 몸체부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충전 단자부를 개폐하는 단자 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마스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본체의 내면에 교체 가능하게 탈부착하는 교체형 마스크 시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마스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본체와 상기 교체형 마스크 시트에는 상기 마스크 본체에 대하여 상기 교체형 마스크 시트의 임의 이동이 저지되게 하는 제1 및 제2 착탈식 결합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마스크.
  6. 코와 입의 호흡기를 가리는 마스크 본체;
    상기 마스크 본체에 연결되고 귀에 걸리는 한 쌍의 귀걸이 밴드;
    상기 마스크 본체에서 입 주변에 배치되되 소정의 전자기기와 연계한 말하기 모드를 제공하는 무선 마이크;
    상기 마스크 본체의 양측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전자기기와 연계한 듣기 모드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이어폰;
    상기 귀걸이 밴드와는 별개로 마련되되 상기 마스크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전자식 목걸이줄;
    상기 전자식 목걸이줄에 마련되며, 상기 전자식 목걸이줄이 상기 마스크 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때, 상기 무선 마이크와 상기 무선 이어폰과 연결되되 상기 무선 마이크와 상기 무선 이어폰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충전식 배터리;
    상기 전자식 목걸이줄에 마련되며, 상기 전자식 목걸이줄이 상기 마스크 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때, 소정의 전자기기와 상기 무선 마이크 및 상기 무선 이어폰이 블루투스 방식으로 연결되게 하는 블루투스 모듈;
    상기 마스크 본체와 상기 전자식 목걸이줄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며, 상기 블루투스 모듈을 온/오프(on/off) 구동시키는 온/오프 구동 스위치; 및
    상기 온/오프 구동 스위치의 스위칭 동작에 기초하여 상기 블루투스 모듈의 동작을 통해 상기 무선 마이크 및 상기 무선 이어폰이 온/오프(on/off) 구동되게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마스크 본체에는 상기 전자식 목걸이줄이 전자식으로 연결 가능한 전자식 줄 접속부가 마련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마스크.
KR1020210057410A 2021-05-03 2021-05-03 무선 마스크 KR1026360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7410A KR102636025B1 (ko) 2021-05-03 2021-05-03 무선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7410A KR102636025B1 (ko) 2021-05-03 2021-05-03 무선 마스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0103A true KR20220150103A (ko) 2022-11-10
KR102636025B1 KR102636025B1 (ko) 2024-02-13

Family

ID=84045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7410A KR102636025B1 (ko) 2021-05-03 2021-05-03 무선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6025B1 (ko)

Citation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4928A (ko) 2001-12-12 2002-01-16 박영호 휴대폰 개폐장치
KR20120048432A (ko) * 2010-11-05 2012-05-15 (주)와이즈앤블루 마스크용 블루투스 무선 헤드셋
KR20170000048U (ko) * 2015-06-24 2017-01-03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마스크
KR200483250Y1 (ko) * 2016-10-01 2017-04-24 주식회사 그린전산 목걸이형 무선 이어폰 장치
KR20170078539A (ko) * 2015-12-29 2017-07-07 한가현 턱 움직임이 용이한 보건 마스크
KR20170132188A (ko) * 2015-04-03 2017-12-01 마이크로스페레 피티이. 엘티디. 호흡 마스크,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06328A (ko) * 2017-07-10 2019-01-1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마스크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1995672B1 (ko) * 2018-07-05 2019-09-30 박승만 마스크
CN210960526U (zh) * 2019-07-02 2020-07-10 西安理工大学 一种具有无线通话功能的降噪隔音口罩
KR20200120785A (ko) * 2019-04-11 2020-10-22 조동환 미세먼지 차단 마스크
KR20200002808U (ko) 2018-12-03 2020-12-29 미르호주식회사 구취 밀폐 감지 키트
US20210086005A1 (en) * 2015-01-16 2021-03-25 Patrick Damien O'Brien Facemask having integrated modules
KR102242838B1 (ko) * 2020-06-22 2021-04-20 최민석 음성 전달 제어가 가능한 스마트 마스크 및 이를 이용한 음성 전달 제어 시스템
CN112716081A (zh) * 2021-02-04 2021-04-30 中山市微视医用科技有限公司 一种多功能口罩

Patent Citation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4928A (ko) 2001-12-12 2002-01-16 박영호 휴대폰 개폐장치
KR20120048432A (ko) * 2010-11-05 2012-05-15 (주)와이즈앤블루 마스크용 블루투스 무선 헤드셋
US20210086005A1 (en) * 2015-01-16 2021-03-25 Patrick Damien O'Brien Facemask having integrated modules
KR20170132188A (ko) * 2015-04-03 2017-12-01 마이크로스페레 피티이. 엘티디. 호흡 마스크,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00048U (ko) * 2015-06-24 2017-01-03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마스크
KR20170078539A (ko) * 2015-12-29 2017-07-07 한가현 턱 움직임이 용이한 보건 마스크
KR200483250Y1 (ko) * 2016-10-01 2017-04-24 주식회사 그린전산 목걸이형 무선 이어폰 장치
KR20190006328A (ko) * 2017-07-10 2019-01-1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마스크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1995672B1 (ko) * 2018-07-05 2019-09-30 박승만 마스크
KR20200002808U (ko) 2018-12-03 2020-12-29 미르호주식회사 구취 밀폐 감지 키트
KR20200120785A (ko) * 2019-04-11 2020-10-22 조동환 미세먼지 차단 마스크
CN210960526U (zh) * 2019-07-02 2020-07-10 西安理工大学 一种具有无线通话功能的降噪隔音口罩
KR102242838B1 (ko) * 2020-06-22 2021-04-20 최민석 음성 전달 제어가 가능한 스마트 마스크 및 이를 이용한 음성 전달 제어 시스템
CN112716081A (zh) * 2021-02-04 2021-04-30 中山市微视医用科技有限公司 一种多功能口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6025B1 (ko) 2024-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054870A1 (en) Face Mask Communication System
KR102030473B1 (ko) 스마트 마스크
US20220054867A1 (en) Smart masks
JP2015505687A (ja) 改良型呼吸装置
CN204319547U (zh) 头戴式电动空气净化器
JP2015163090A (ja) 電動ファン付き呼吸用保護具
JP2019530298A (ja) 一体型骨伝導トランスデューサ付き呼吸マスク
KR20190006328A (ko) 마스크 및 그의 제어 방법
CN205106452U (zh) 一种头戴式蓝牙耳机口罩
KR200398317Y1 (ko) 이어-마이크 셋트 사용이 가능한 마스크
US20220321983A1 (en) Modular communication device
US20220095715A1 (en) Facemask With Electronic Components
KR101723663B1 (ko) 기능성 마스크
KR102636025B1 (ko) 무선 마스크
CN206182459U (zh) 具有通讯功能的智能头盔
US20220296940A1 (en) Communications Enabled Respirator Assembly
US20220176168A1 (en) Smart masks
CN104127965A (zh) 蓝牙防尘口罩
KR20200138924A (ko) 안면 마스크
CN112439134A (zh) 一种智能口罩
JP6867723B1 (ja) 音声入力装置
CN212416711U (zh) 一种智能口罩
US20240130894A1 (en) Eye mask with movable speakers
TWI693083B (zh) 口罩
TWI707708B (zh) 口罩配戴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