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4898B1 -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증강현실 기반의 항공 경로 안내 방법 - Google Patents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증강현실 기반의 항공 경로 안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4898B1
KR101994898B1 KR1020140104523A KR20140104523A KR101994898B1 KR 101994898 B1 KR101994898 B1 KR 101994898B1 KR 1020140104523 A KR1020140104523 A KR 1020140104523A KR 20140104523 A KR20140104523 A KR 20140104523A KR 101994898 B1 KR101994898 B1 KR 1019948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image
risk
mobile terminal
dangerous obj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45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0033A (ko
Inventor
정광모
이상원
Original Assignee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자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1045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4898B1/ko
Publication of KR201600200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00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48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48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5/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aircraft, e.g. air-traffic control [ATC]
    • G08G5/0047Navigation or guidance aids for a single aircra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Navigation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증강현실 기반의 항공 경로 안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에 설치된 카메라 모듈을 통해 실 영상을 획득하는 실영상 획득단계와, 지피에스 정보와 지향각 정보 및 외부의 지리정보시스템이 제공하는 지리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기초로 영상 공간 정보를 획득하는 영상공간정보 획득단계와, 위험정보 획득부가 위험 객체들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위험 데이터베이스를 탐색하여 위험 객체가 존재하는지 여부 및 상기 위험 객체의 좌표를 획득하는 위험정보 획득단계와, 가상이미지 합성부가 상기 위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위험 객체에 대응하는 가상 이미지를 상기 위험 객체의 좌표에 매핑하여 상기 가상 이미지를 상기 모바일 단말에 설치된 카메라 모듈을 통해 획득한 실 영상에 합성하는 가상이미지 합성단계 및 상기 실 영상에 상기 가상 이미지가 합성된 안내 영상을 출력하는 안내영상 출력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항공기 특히, 경항공기 조종사에게 운항과 관련하여 존재하는 위험 요소들에 대한 정보를 강조한 가상 이미지를 실영상에 합성하여 제공함으로써, 항공기 운항의 안전성이 크게 강화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증강현실 기반의 항공 경로 안내 방법{FLIGHT PATH GUIDING METHOD BASED ON AUGMENTED REALITY USING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증강현실 기반의 항공 경로 안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항공기 특히, 경항공기 조종사들의 조종 안전성 확보를 위해, 육안 및 계기 비행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상황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증강형실 기반의 3차원 가상공간 항공 경로 안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행기 내에 설치된 MFD(Multi Function Display)를 통해 비행경로 및 운항정보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조종사에게 경로를 안내해 주는 형태의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또한 관련 서비스를 스마트폰 상에서 네비게이션의 형태로 제공하는 방식도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방식은 출발지와 목적지 사이의 경로 정보를 단순히 표시하는 형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조종사가 항공기 운항과 관련하여 외부 환경에 대한 위험요소의 유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기상 상황 악화시에 헬기의 아파트 충돌 사고, 훈련중인 경비행기의 추락 사고 등과 관련하여 조종사는 운항중에 항상 위험요소에 노출되어 있는 상황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평상시 조종사가 보기 어려운 위험 상황이나, 외부 환경의 악화로 인해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없는 위험 상황에서, 조종사에게 안전 비행을 위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항공기 운항과 관련한 안전 사고 발생 위험을 줄일수 있는 방안이 시급히 요구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027533호(등록일자: 2011년 03월 30일, 명칭: 영상 감시 장치 및 그 방법)
본 발명은 항공기 특히, 경항공기 조종사에게 운항과 관련하여 존재하는 위험 요소들에 대한 정보를 강조한 가상 이미지를 실영상에 합성하여 제공함으로써, 항공기 운항의 안전성을 크게 강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평상시 조종사가 보기 어려운 위험 상황이나, 외부 환경의 악화로 인해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없는 위험 상황에서, 조종사에게 안전 비행을 위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항공기 운항과 관련한 안전 사고 발생 위험을 줄일수 있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증강현실 기반의 항공 경로 안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저비용으로 항공기의 운항 안정성을 강화할 수 있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증강현실 기반의 항공 경로 안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증강현실 기반의 항공 경로 안내 방법은 모바일 단말에 설치된 카메라 모듈을 통해 실 영상을 획득하는 실영상 획득단계와, 영상공간정보 획득부가 상기 모바일 단말에 설치된 지피에스 모듈을 통해 획득한 지피에스 정보와 자이로센서를 통해 획득한 상기 카메라 모듈의 지향각 정보 및 외부의 지리정보시스템이 제공하는 지리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기초로 영상 공간 정보를 획득하는 영상공간정보 획득단계와, 위험정보 획득부가 위험 객체들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위험 데이터베이스를 탐색하여 위험 객체가 존재하는지 여부 및 상기 위험 객체의 좌표를 획득하는 위험정보 획득단계와, 가상이미지 합성부가 상기 위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위험 객체에 대응하는 가상 이미지를 상기 위험 객체의 좌표에 매핑하여 상기 가상 이미지를 상기 모바일 단말에 설치된 카메라 모듈을 통해 획득한 실 영상에 합성하는 가상이미지 합성단계 및 상기 실 영상에 상기 가상 이미지가 합성된 안내 영상을 출력하는 안내영상 출력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증강현실 기반의 항공 경로 안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위험정보 획득단계는 위험 데이터베이스 탐색부가 상기 위험 데이터베이스를 탐색하는 위험 데이터베이스 탐색단계와, 위험객체 판단부가 상기 지피에스 정보로부터 계산된 현재 위치와 상기 지향각 정보로부터 계산된 진행 경로에 따라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에 상기 위험 객체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위험객체 존재여부 판단단계 및 상기 위험 객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위험객체좌표 획득부가 상기 위험 객체의 좌표를 획득하는 위험객체좌표 획득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증강현실 기반의 항공 경로 안내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가상 이미지는 상기 위험 객체를 시각적으로 강조한 영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증강현실 기반의 항공 경로 안내 방법은 상기 안내 영상의 출력 이전, 이후 또는 상기 안내 영상의 출력과 동시에, 위험 경고부가 상기 위험 객체의 존재를 알리는 위험경고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증강현실 기반의 항공 경로 안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은 경비행기를 조종하는 이용자가 소지한 단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증강현실 기반의 항공 경로 안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위험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모바일 단말의 저장 공간에 구축되어 있으며, 외부의 위험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는 정보에 의해 업데이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항공기 특히, 경항공기 조종사에게 운항과 관련하여 존재하는 위험 요소들에 대한 정보를 강조한 가상 이미지를 실영상에 합성하여 제공함으로써, 항공기 운항의 안전성이 크게 강화되는 효과가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평상시 조종사가 보기 어려운 위험 상황이나, 외부 환경의 악화로 인해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없는 위험 상황에서, 조종사에게 안전 비행을 위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항공기 운항과 관련한 안전 사고 발생 위험을 줄일수 있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증강현실 기반의 항공 경로 안내 방법이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저비용으로 항공기의 운항 안정성을 강화할 수 있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증강현실 기반의 항공 경로 안내 방법이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증강현실 기반의 항공 경로 안내 방법이 수행되는 시스템 구성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증강현실 기반의 항공 경로 안내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에 앞서 도 1을 참조하며 본 발명의 기본적인 개념을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촬영영상 1, 2는 모바일 단말에 탑재되어 있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한 실제 영상이고, 출력영상 1, 2는 본 발명에 따라 촬영영상 1, 2에 위험요소들을 강조한 가상 이미지를 합성한 영상이다. 즉, 촬영영상 1의 경우, 바다 영상이 있는 경우, 주변 지형정보가 잘 안보일 수 있어서, 안전사고 발생의 위험이 있다. 따라서, 출력영상 1에 표시된 바와 같이 이를 명확하게 표시하는 가상 이미지를 합성시켜 제공함으로써, 조종사가 구분이 어려운 지형정보를 쉽고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촬영영상 2에는 위험요소인 전력선이 포함되어 있으나, 촬영영상 2를 통해서는 이에 대한 식별이 매우 어렵다. 그러나 출력영상 2를 통해, 이 전력선을 강조한 가상 이미지를 합성시켜 제공하면, 조종사가 위험 요험요소인 전력선을 쉽고 명확하게 식별할 수 있으므로, 운항 안전성이 크게 향상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증강현실 기반의 항공 경로 안내 방법이 수행되는 시스템 구성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증강현실 기반의 항공 경로 안내 방법이 수행되는 시스템은 카메라 모듈(20), 지피에스 모듈(30), 자이로센서(40), 영상공간정보 획득부(50), 위험정보 획득부(60), 가상이미지 합성부(70), 위험 경고부(80) 및 안내영상 출력부(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이 구성요소들이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단말에 구현되고, 경항공기를 조종하는 조종사가 모바일 단말에 구비된 카메라 모듈(20)이 경항공기가 운항하는 경로 아래에 위치하는 지표면 또는 해수면을 촬영하도록, 이 모바일 단말을 조종석에 거치한 상태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카메라 모듈(20)은 모바일 단말에 설치되어 있으며, 경항공기가 운항하는 경로 또는 이 경로 인근에 위치하는 지표면 또는 해수면 영상 즉, 실 영상을 촬영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지피에스 모듈(30)은 지피에스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수단이다. 모바일 단말의 현재 위치는 이 지피에스 정보로부터 계산되며, 조종사 또는 경비행기의 현재 위치는 모바일 단말의 현재 위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자이로센서(40)는 카메라 모듈(20)의 지향각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수단이다. 카메라 모듈(20)의 지향각은 카메라 모듈(20)이 지표면 또는 해수면을 바라보는 각도에 대한 정보이다.
영상공간정보 획득부(50)는 지피에스 모듈(30)을 통해 획득한 지피에스 정보와 자이로센서(40)를 통해 획득한 카메라 모듈(20)의 지향각 정보 및 외부의 지리정보시스템이 제공하는 지리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기초로 영상 공간 정보를 획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위험정보 획득부(60)는 위험 객체들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위험 데이터베이스를 탐색하여 위험 객체가 존재하는지 여부 및 위험 객체의 좌표를 획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이러한 위험정보 획득부(60)는 위험 데이터베이스 탐색부(62), 위험객체 판단부(64) 및 위험객체좌표 획득부(6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위험 데이터베이스 탐색부(62)는 위험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탐색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위험 데이터베이스는 모바일 단말의 저장 공간에 구축될 수 있으며, 외부의 위험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는 정보에 의해 업데이트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위험객체 판단부(64)는 지피에스 모듈(30)로부터 제공받은 지피에스 정보로부터 계산된 현재 위치와 자이로센서(40)로부터 제공받은 지향각 정보로부터 계산된 진행 경로에 따라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험 객체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위험객체좌표 획득부(66)는 위험 객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위험 객체의 좌표를 획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가상이미지 합성부(70)는 위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위험 객체에 대응하는 가상 이미지를 위험 객체의 좌표에 매핑하여 가상 이미지를 모바일 단말에 설치된 카메라 모듈(20)을 통해 획득한 실 영상에 합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가상 이미지는 위험 객체를 시각적으로 강조한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위험 객체가 전력선인 경우, 가상 이미지는 이 전력선의 두께를 확대하여 붉은색으로 표현함으로써 조종사의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는 이미지일 수 있다. 위험 객체가 고층 빌딩인 경우, 가상 이미지는 고층 빌딩 형상을 갖는 이미지에 특정 색상을 부가한 이미지일 수 있다.
위험 경고부(80)는 위험 객체의 존재를 조종사에게 알리는 기능을 수행한다.
위험 경고부(80)는 청각적인 경고 방식을 사용하거나 또는 시각적인 경고 방식을 사용하거나 청각적인 경고 방식과 시각적인 경고 방식을 동시에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위험 경고부(80)에 의한 경고는 안내 영상의 출력 이전, 이후 또는 상기 안내 영상의 출력과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안내영상 출력부(90)는 실 영상에 가상 이미지가 합성된 안내 영상을 모바일 단말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증강현실 기반의 항공 경로 안내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증강현실 기반의 항공 경로 안내 방법은 경로설정 단계(S10), 실영상 획득단계(S20), 지피에스 정보 획득단계(S30), 지향각 정보 획득단계(S40), 영상공간정보 획득단계(S50), 위험정보 획득단계(S60), 가상이미지 합성단계(S70), 위험경고 단계(S80) 및 안내영상 출력단계(S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경로설정 단계(S10)에서는, 조종사가 모바일 단말의 화면을 통해 제공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발지와 목적지를 입력함으로써 항공 경로를 설정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실영상 획득단계(S20)에서는, 모바일 단말에 설치된 카메라 모듈(20)을 통해 실 영상을 획득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실 영상은 경항공기가 운항하는 경로 또는 이 경로 인근에 위치하는 지표면 또는 해수면을 향해 촬영한 영상이다.
지피에스 정보 획득단계(S30)에서는, 모바일 단말에 설치된 지피에스 모듈(30)을 통해 지피에스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모바일 단말의 현재 위치는 이 지피에스 정보로부터 계산되며, 조종사 또는 경비행기의 현재 위치는 모바일 단말의 현재 위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지향각 정보 획득단계(S40)에서는, 모바일 단말에 설치된 자이로센서(40)를 통해 카메라 모듈(20)의 지향각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카메라 모듈(20)의 지향각은 카메라 모듈(20)이 지표면 또는 해수면을 바라보는 각도에 대한 정보이다.
영상공간정보 획득단계(S50)에서는, 영상공간정보 획득부(50)가 모바일 단말에 설치된 지피에스 모듈(30)을 통해 획득한 지피에스 정보와 자이로센서(40)를 통해 획득한 카메라 모듈(20)의 지향각 정보 및 외부의 지리정보시스템이 제공하는 지리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기초로 영상 공간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위험정보 획득단계(S60)에서는, 위험정보 획득부(60)가 위험 객체들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위험 데이터베이스를 탐색하여 위험 객체가 존재하는지 여부 및 위험 객체의 좌표를 획득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위험 데이터베이스는 모바일 단말의 저장 공간에 구축될 수 있으며, 외부의 위험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는 정보에 의해 업데이트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험정보 획득단계(S60)는 위험 데이터베이스 탐색단계(S62), 위험객체 존재여부 판단단계(S64) 및 위험객체좌표 획득단계(S6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위험 데이터베이스 탐색단계(S62)에서는, 위험 데이터베이스 탐색부(62)가 모바일 단말의 내부 저장 공간에 구축되어 있는 위험 데이터베이스를 탐색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위험객체 존재여부 판단단계(S64)에서는, 위험객체 판단부(64)가 지피에스 정보로부터 계산된 현재 위치와 지향각 정보로부터 계산된 진행 경로에 따라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험 객체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위험객체좌표 획득단계(S66)에서는, 위험객체 판단부(64)에 의해 위험 객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위험객체좌표 획득부(66)가 위험 객체의 좌표를 획득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가상이미지 합성단계(S70)에서는, 가상 이미지 합성부가 위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위험 객체에 대응하는 가상 이미지를 위험 객체의 좌표에 매핑함으로써, 가상 이미지를 모바일 단말에 설치된 카메라 모듈(20)을 통해 획득한 실 영상에 합성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가상 이미지는 위험 객체를 시각적으로 강조한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위험 객체가 전력선인 경우, 가상 이미지는 이 전력선의 두께를 확대하여 붉은색으로 표현함으로써 조종사의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는 이미지일 수 있다. 위험 객체가 고층 빌딩인 경우, 가상 이미지는 고층 빌딩 형상을 갖는 이미지에 특정 색상을 부가한 이미지일 수 있다. 이들 이외에도, 가상 이미지는 해안선을 강조한 이미지이거나, 산의 능선을 강조한 이미지 등일 수 있다.
위험경고 단계(S80)에서는, 위험 경고부(80)가 위험 객체의 존재를 알리는 조종사에게 경고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위험에 대한 경고는 청각적인 방식 또는 시각적인 방식 또는 청각적인 방식과 시각적인 방식을 동시에 사용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위험 경고부(80)에 의한 경고는 안내 영상의 출력 이전, 이후 또는 상기 안내 영상의 출력과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안내영상 출력단계(S90)에서는, 실 영상에 가상 이미지가 합성된 안내 영상을 모바일 단말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출력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항공기 특히, 경항공기 조종사에게 운항과 관련하여 존재하는 위험 요소들에 대한 정보를 강조한 가상 이미지를 실영상에 합성하여 제공함으로써, 항공기 운항의 안전성이 크게 강화되는 효과가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평상시 조종사가 보기 어려운 위험 상황이나, 외부 환경의 악화로 인해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없는 위험 상황에서, 조종사에게 안전 비행을 위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항공기 운항과 관련한 안전 사고 발생 위험을 줄일수 있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증강현실 기반의 항공 경로 안내 방법이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저비용으로 항공기의 운항 안정성을 강화할 수 있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증강현실 기반의 항공 경로 안내 방법이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20: 카메라 모듈 30: 지피에스 모듈
40: 자이로센서 50: 영상공간정보 획득부
60: 위험정보 획득부 62: 위험 데이터베이스 탐색부
64: 위험객체 판단부 66: 위험객체좌표 획득부
70: 가상이미지 합성부 80: 위험 경고부
90: 안내영상 출력부 S10: 경로설정 단계
S20: 실영상 획득단계 S30: 지피에스 정보 획득단계
S40: 지향각 정보 획득단계 S50: 영상공간정보 획득단계
S60: 위험정보 획득단계
S62: 위험 데이터베이스 탐색단계
S64: 위험객체 존재여부 판단단계
S66: 위험객체좌표 획득단계 S70: 가상이미지 합성단계
S80: 위험경고 단계 S90: 안내영상 출력단계

Claims (6)

  1.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증강현실 기반의 항공 경로 안내 방법에 있어서,
    모바일 단말에 설치된 카메라 모듈을 통해 실 영상을 획득하는 실영상 획득단계;
    영상공간정보 획득부가 상기 모바일 단말에 설치된 지피에스 모듈을 통해 획득한 지피에스 정보와 자이로센서를 통해 획득한 상기 카메라 모듈의 지향각 정보 및 외부의 지리정보시스템이 제공하는 지리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기초로 영상 공간 정보를 획득하는 영상공간정보 획득단계;
    위험정보 획득부가 위험 객체들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위험 데이터베이스를 탐색하여 위험 객체가 존재하는지 여부 및 상기 위험 객체의 좌표를 획득하는 위험정보 획득단계;
    가상이미지 합성부가 상기 위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위험 객체를 시각적으로 강조하는 영상을 포함하는 가상 이미지를 상기 위험 객체의 좌표에 매핑하여 상기 가상 이미지를 상기 모바일 단말에 설치된 카메라 모듈을 통해 획득한 실 영상에 합성하는 가상이미지 합성단계; 및
    상기 실 영상에 상기 가상 이미지가 합성된 안내 영상을 출력하는 안내영상 출력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위험정보 획득단계는
    위험 데이터베이스 탐색부가 상기 위험 데이터베이스를 탐색하는 위험 데이터베이스 탐색단계;
    위험객체 판단부가 상기 지피에스 정보로부터 계산된 현재 위치와 상기 지향각 정보로부터 계산된 진행 경로에 따라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에 상기 위험 객체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위험객체 존재여부 판단단계; 및
    상기 위험 객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위험객체좌표 획득부가 상기 위험 객체의 좌표를 획득하는 위험객체좌표 획득단계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증강현실 기반의 항공 경로 안내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영상의 출력 이전, 이후 또는 상기 안내 영상의 출력과 동시에,
    위험 경고부가 상기 위험 객체의 존재를 알리는 위험경고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증강현실 기반의 항공 경로 안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은 경비행기를 조종하는 이용자가 소지한 단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증강현실 기반의 항공 경로 안내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모바일 단말의 저장 공간에 구축되어 있으며, 외부의 위험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는 정보에 의해 업데이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증강현실 기반의 항공 경로 안내 방법.
KR1020140104523A 2014-08-12 2014-08-12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증강현실 기반의 항공 경로 안내 방법 KR1019948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4523A KR101994898B1 (ko) 2014-08-12 2014-08-12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증강현실 기반의 항공 경로 안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4523A KR101994898B1 (ko) 2014-08-12 2014-08-12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증강현실 기반의 항공 경로 안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0033A KR20160020033A (ko) 2016-02-23
KR101994898B1 true KR101994898B1 (ko) 2019-07-01

Family

ID=55449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4523A KR101994898B1 (ko) 2014-08-12 2014-08-12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증강현실 기반의 항공 경로 안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48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6131B1 (ko) * 2017-04-07 2018-06-08 국방과학연구소 선택적 3차원 전술상황전시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90533A (ko) 2018-01-25 2019-08-02 (주)이지위드 공간상 좌표를 마커로 활용하는 실시간 동기화된 증강현실 콘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614495B1 (ko) * 2019-08-02 2023-1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Xr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614496B1 (ko) * 2019-08-09 2023-1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Xr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240059164A (ko) 2022-10-27 2024-05-07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60830A1 (en) * 2002-01-15 2003-07-24 Information Decision Technologies, Llc Method and system to display both visible and invisible hazards and hazard information
WO2012004622A1 (en) 2010-07-07 2012-01-12 Vincent Daniel Piraud An augmented reality method, and a corresponding system and software
WO2014003698A1 (en) 2012-06-29 2014-01-03 Tusaş-Türk Havacilik Ve Uzay Sanayii A.Ş. An aircraft vision system
KR101352844B1 (ko) 2011-12-06 2014-02-0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기상 정보를 활용한 도로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413011B1 (ko) * 2013-01-17 2014-07-02 국방과학연구소 위치 정보 기반 증강현실 시스템 및 제공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6690A (ko) * 1998-10-22 2000-05-15 정선종 여객기 승객 서비스 개선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101557663B1 (ko) * 2009-07-09 2015-10-07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증강 현실을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과 그를 위한 시스템, 서버 및 휴대용 단말기
KR101232864B1 (ko) * 2010-02-25 2013-02-19 김희남 이동 단말에 대한 주변 정보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027533B1 (ko) 2010-09-17 2011-04-07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영상 감시 장치 및 그 방법
KR102021050B1 (ko) * 2012-06-06 2019-09-11 삼성전자주식회사 내비게이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 이동 단말 및 서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60830A1 (en) * 2002-01-15 2003-07-24 Information Decision Technologies, Llc Method and system to display both visible and invisible hazards and hazard information
WO2012004622A1 (en) 2010-07-07 2012-01-12 Vincent Daniel Piraud An augmented reality method, and a corresponding system and software
KR101352844B1 (ko) 2011-12-06 2014-02-0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기상 정보를 활용한 도로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WO2014003698A1 (en) 2012-06-29 2014-01-03 Tusaş-Türk Havacilik Ve Uzay Sanayii A.Ş. An aircraft vision system
KR101413011B1 (ko) * 2013-01-17 2014-07-02 국방과학연구소 위치 정보 기반 증강현실 시스템 및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0033A (ko) 2016-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4898B1 (ko)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증강현실 기반의 항공 경로 안내 방법
US9997078B2 (en) Obstacle determination and display system
US11365014B2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tracking and navigation
US8896685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information relating to vacant spaces of a parking lot
EP3121763B1 (en) Helo bumper system using a camera for obstacle detection
US9366765B2 (en) Handheld GIS data collection device target augmentation
US8462205B2 (en) Landing Aid Device and Method
CN111540059A (zh) 提供加强环境感知的增强视频系统
US20080208468A1 (en) Forward looking virtual imaging
WO2018167771A1 (en) Gradual transitioning between two-dimensional and three-dimensional augmented reality images
EP3125213A2 (en) Onboard aircraft systems and methods to identify moving landing platforms
US10382746B1 (en) Stereoscopic augmented reality head-worn display with indicator conforming to a real-world object
JP2023067985A (ja)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KR20130076844A (ko) 무인항공기를 활용한 해파리 및 이안류와 녹조감시방재시스템
CN113034982A (zh) 一种基于wqar数据融合的飞行设备进离场监测方法
US2013026184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nonprotected-area awareness and alerting
EP3717957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ynthetic information on a see-through device
US20160362190A1 (en) Synthetic vision
US20180293796A1 (en) Method and device for guiding a user to a virtual object
US10565882B1 (en) Vertical situation display past and projected path depiction
US11409280B1 (en) Apparatus, method and software for assisting human operator in flying drone using remote controller
US20110254707A1 (en) Device for aiding flight for an aircraft
JP6890759B2 (ja) 飛行経路案内システム、飛行経路案内装置及び飛行経路案内方法
JP2011195005A (ja) 画像表示装置および画像表示装置用プログラム
JP6724653B2 (ja) 車両用表示装置、表示方法および表示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