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2457B1 - 전동 카트 - Google Patents

전동 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2457B1
KR101992457B1 KR1020147012566A KR20147012566A KR101992457B1 KR 101992457 B1 KR101992457 B1 KR 101992457B1 KR 1020147012566 A KR1020147012566 A KR 1020147012566A KR 20147012566 A KR20147012566 A KR 20147012566A KR 101992457 B1 KR101992457 B1 KR 1019924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age
wheel
transportation device
drive
driv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2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00470A (ko
Inventor
에른스트 라우흐
슈테판 치켈리
Original Assignee
아우로테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우로테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아우로테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401004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04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24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24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026Propulsion aids
    • B62B5/0033Electric motors
    • B62B5/0036Arrangements of motors
    • B62B5/0043One motor drives one whee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5/00Bags for golf clubs; Stands for golf clubs for use on the course; Wheeled c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golf bags
    • A63B55/60Wheeled c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golf bags
    • A63B55/61Wheeled c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golf bags motori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 B62B3/02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folding down the body to the wheel carriage or by retracting projecting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 B62B3/027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collapsible shopping trolle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1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three-wheeled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026Propulsion aids
    • B62B5/0033Electric motors
    • B62B5/0036Arrangements of motors
    • B62B5/004Arrangements of motors in whee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10/00Space saving
    • A63B2210/50Size reducing arrangements for stowing or trans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ype or characteristics of transported articles
    • B62B2202/40Sport articles
    • B62B2202/404Golf articles, e.g. golf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5/00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80/00Land vehicles
    • Y10S280/05Motorized golf c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캐리지(2)(chassis), 지지 유닛(21') 및 가이드부(21)를 구비하는 운송 장치(1)에 관한 것으로서, 이때 상기 캐리지는 적어도 2개의 축 상에 장착된 적어도 3개의 휠(3, 4)을 지지하고, 상기 2개의 축 중에 하나의 축은 전기식으로 구동되는 단 하나의 중앙 휠(3)을 지지하는 구동 축(3')이며, 상기 지지 유닛은 타원형의 짐, 바람직하게는 골프 백(golf bag)을 수용하도록 설계되었으며,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는 조작 측에 핸들 영역을 가지며, 이 경우 작동 위치에서는 상기 구동 축(3')이 조작 측에 놓이게 되고, 상기 지지 유닛(21')은 실질적으로 상기 조작 측의 방향으로 상기 구동 축(3') 위로 가로로 돌출한다.

Description

전동 카트 {ELECTRIC CART}
본 발명은 캐리지(carriage), 지지 유닛 및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운송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때 상기 캐리지는 적어도 2개의 축 상에 장착된 적어도 3개의 휠을 지지하고, 상기 2개의 축 중에 하나의 축은 전기식으로 구동되는 단 하나의 중앙 휠을 지지하는 구동 축이며, 상기 지지 유닛은 타원형의 짐, 바람직하게는 골프 백(golf bag)을 수용하도록 설계되었으며,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는 조작 측에 핸들 영역을 가지며, 이 경우 작동 위치에서는 상기 캐리지 상에 있는 구동 축이 조작 측에 놓이게 된다.
구동되지 않기 때문에 약간 더 단순하지만 기본적으로 유사한 장치들은 선행 기술에서 "골프-카트"라는 명칭하에 매우 다양한 변형 예로 공지되어 있고, 골프 장비의 운송 측면에서 골프 선수들을 만족시키고 있으며, 골프 스포츠를 실행할 때에도 인기가 매우 높다. 이러한 장치로서는 2개의 자유 휠을 구비하는 단 하나의 축 위에 고정된 지지 유닛이 자주 언급된다.
특히 상대적으로 더 큰 거리를 지나온 경우에 처리를 간소화하기 위하여, 전기식으로 구동되는 상이한 유형의 골프-카트들이 이미 개발되었으며, 이 경우에 대부분은 2개의 메인 휠이 공동으로 또는 독립적으로 구동되고, 전체적으로 스스로 운전하는 캐리지를 형성하기 위하여 추가로 제 3의 휠이 제공되었다. 이와 같은 형태의 골프-카트는 US Des. 321,964호, US 3,635,301 A호 및 US 3,707,758 A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형태의 모든 골프-카트의 공통점은, 조종을 목적으로 카트를 기울일 때에는 모든 구동 휠이 바닥으로부터 들어 올려짐으로써 카트를 수동으로 밀거나 끌 수밖에 없는 상황이 초래되거나 또는 간격을 두고 배치된 적어도 2개의 구동 휠이 바닥에 그대로 머물게 되는 상황이 초래되고, 구동 장치에 의해 차단된 상기 2개 휠의 상대 운동으로 인해 조종이 불가능해지거나 적어도 상당히 어려워진다는 점이다.
CN 2 524 795 Y호는 서문에 언급된 유형의 골프-카트를 개시하고 있으며, 이 경우 지지 유닛은 공회전하는 2개의 대형 휠에 연결되어 있고, 이들 휠의 축 위로 돌출한다. 다른 하단부에서는 지지 유닛이 샤프트를 통해서 회전 가능한 포크(fork)에 연결되어 있다. 레버 형태의 가이드부가 상기 포크로부터 지지 유닛에 마주 놓인 측으로 뻗어나가고, 상기 가이드부의 단부에는 핸들이 장착되어 있으며, 이 핸들을 통해서 포크의 임팩트 구동 및 그와 더불어 골프-카트의 이동 방향이 제어될 수 있다. 가이드부를 이용해서 상기 장치를 기울이는 동작이 결국 구동 축을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면, 이 동작은 상기 가이드부에 마주 놓인 측에서의 지지 유닛의 위치로 인해 어떤 경우든지 매우 어려워지는데, 그 이유는 짐 혹은 장치의 무게 중심이 구동되지 않은 휠들을 구비하는 축에 더 가깝게 놓여 있어서, 이로 인해 야기되는 긴 레버 암 때문에 높은 전복 토크(overturning torque)가 짐으로 전달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짐이 실린 상태에서도 큰 에너지 소비 없이 간단히 기울어질 수 있는 서문에 언급된 유형의 운송 장치를 제작하는 것이며, 이 경우 기울어진 상태에서는 구동 장치와 최적의 조종 가능성 모두 포기할 필요가 없다. 그밖에, 운송 장치를 조작할 때에 실수로 다리가 충돌하는 상황을 피하기 위해서는, 조작 측에서의 캐리지의 폭이 가급적 적어야만 한다.
상기 과제는 동류의 운송 장치에서 본 발명에 따라, 지지 유닛이 실질적으로 조작 측의 방향으로 구동 축 위로 구동 축을 향하여 연장함으로써 해결된다. 이때 지지 유닛은 타원형의 짐을 지지할 목적으로 이용되는데, 다시 말해서 짐은 예를 들어 지지 유닛 상에서 적어도 2개의 지지 장소에 올려진다. 상기 지지 유닛의 연장 방향은 지지 장소들의 연결 선인데, 다시 말하자면 지지 유닛은 타원형 짐의 종축에 대하여 대체로 평행하다. 지지 유닛이 구동 축 위로 가로로 돌출하는 경우, 짐이 실린 상태에서 이와 같은 상황이 의미하는 바는, 타원형의 짐 혹은 이 짐의 세로 축도 마찬가지로 구동 축 위로 가로로 돌출한다는 것이다. 짐이 측면으로 미끄러져서 떨어지거나 굴러서 떨어지는 상황을 피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 유닛은 측면의 안전 돌출부를 구비하여서 형성될 수 있다. 측면의 안전 돌출부를 구비하는 지지 장소들은 예를 들어 휘어져 있거나 U자 형상을 갖는 수용 부재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특히 짐이 실린 상태에서는 장치의 무게 중심이 실질적으로 구동 축 혹은 구동된 휠 바로 위에 있지만, 어떤 경우든지 마주 놓인 캐리지 측에 배치된 축보다는 구동 축에 더 가깝다. 가이드부의 배치 상태는 전반적으로 지지 부재와 무관하게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다. 유일한 기준은, 상기 가이드부의 핸들 영역은 지지 부재(및 그와 더불어 소정의 짐)가 구동 축 위로 돌출하는 바로 그 운송 장치의 측에 배치되어야만 한다는 것이다. 가이드부로서는 예를 들어 구동 축의 측에서 캐리지로부터 뻗어나가는 로드(rod) 또는 브래킷(bracket)이 이용될 수 있다. 구동 축이 캐리지의 조작 측에 놓여 있기 때문에, 운송 장치는 가이드부의 피봇팅 동작에 의해서, 다시 말하자면 가이드부가 아래로 밀려짐으로써 구동 축 위로 기울어질 수 있다. 기울어진 상태에서는 단 하나의 휠, 즉 구동 축에 지지 되어 있는 휠 만이 바닥에 접촉하여 조종의 경우에 혹은 방향 변경시에 하나의 회전 점을 형성하게 되며, 이 회전 점을 중심으로 해서 장치는 가이드부의 측면 이동에 의해 큰 에너지 소비 없이도 상기 장치를 조종할 목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장치에서 특히 바람직한 사실은, 조작 측에서는 캐리지의 폭이 특별히 좁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사용자는 상기 장치를 밀거나 끌 때에 발을 측면에서 캐리지 옆에 놓을 수 있게 되어 실수로 캐리지에 충돌하지 않게 된다는 것이다. 이때 조작 측에 마주 놓인 측에 있는 2개의 휠은 운송 장치의 안정화를 위해서 이용된다.
바람직하게 구동된 휠은 허브 드라이브(hub drive)를 구비할 수 있다. 휠 내부에 통합된 허브 드라이브는 공간을 절약해줄 뿐만 아니라, 유리한 회전 토크로 인해 운송 장치의 비교적 경제적인 작동까지도 가능케 한다. 그밖에, 상기 허브 드라이브는 장치의 무게 중심을 가급적 구동 축 가까이 놓으려는 노력도 증진시킨다. 이와 같은 드라이브는 전기-자전거에 사용하기 위해서 대규모로 제작되기 때문에 구입 측면에서도 상대적으로 유리하다. 지형 상태 및 속도에 적응시키기 위하여 상기 허브 드라이브에는 기어가 장착될 수 있다.
가이드부가 작동 위치에서 캐리지로부터 출발하여 구동 축 너머까지 연장되면, 운송 장치를 기울일 때에 한 가지 유리한 레버 작용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운송 장치의 총 중량 및 공간 수요를 줄이기 위해서는 가이드부가 지지 유닛에 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상기 가이드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짐-수용 부재가 배치되어 있다. 운송 장치의 적은 총 중량은 여러 가지 이유에서 얻고자 노력할만한 가치가 있다: 총 중량이 적으면 전기 구동부의 작동 시간이 연장되고, 운송 장치를 사용할 장소로 그리고 사용할 장소로부터 운송하는 과정도 수월해진다. 그밖에, 이 경우에 타원형의 짐은 수용 부재(들)를 거쳐서 가이드부 상에 놓일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이와 같은 상황은 특히 골프 백에서 추가로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이로 인해 골프 백의 개구가 가이드부의 핸들 영역 바로 가까이에 배치됨으로써 가이드부와 소정의 골프 클럽 사이에서 신속하게 그립(grip)을 교체하는 과정이 수월해진다.
장치의 총 중량 및 공간 수요까지도 더욱 줄이기 위하여,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 된 휠들은 구동된 휠보다 작은 직경을 가질 수 있다. 특히 자유 휠들의 직경은 예상되는 그라운드에 따라서 가급적 작을 수 있지만, 그라운드에 존재할 수 있는 돌출부에 장치가 걸리지 않을 정도로 충분히 클 수도 있다. 구동 휠의 경우에는 직경이 바람직하게 구동 기능 및 예를 들어 원하는 회전 토크에 맞추어 튜닝 됨으로써, 일반적으로 구동 휠을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더 큰 직경이 나타나게 된다.
구동된 휠이 대체로 평평한 주행면(running surface)을 갖는 경우가 유리하다. 이 경우에는 휠의 전체 주행면이 반드시 평평할 필요는 없으며, 적어도 부분적으로 평평한 주행면은 바람직하게 원형의 주행면보다 폭 넓은 지지 스트립(strip)을 얻는다. 그럼으로써, 특히 기울어진 위치에서 운송 장치의 안정성이 개선되고, 운송 장치가 측면으로 전복되기가 어려워진다. 타이어 장비는 통고무(solid tire) 또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될 수 있거나, 또는 휠 림(wheel rim) 및 바퀴살(spoke)을 구비하지만 자전거의 경우보다 작은 휠 직경을 갖는 종래의 자전거-타이어 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운송 장치를 사용할 장소에, 예를 들면 골프장에 공간 절약 방식으로 운송할 수 있는 상황은 캐리지 및 가이드부의 운송 위치가 서로 포개질(fold together) 수 있는 경우에 가능해지며, 이 경우 상기와 같이 서로 맞닿은 운송 위치에서 가이드부는 축들을 연결하는 베이스부에 대하여 대체로 평행하게 배치되며, 그리고 이 경우 가이드부는 바람직하게 심지어 폴딩 조인트(folding joint)에 의해서 분리되고 접힐 수 있다. 따라서, 운송 장치의 공간 수요는 실질적으로 캐리지의 바닥면까지 그리고 높이 상으로 볼 때는 거의 구동 휠의 직경까지 축소된다.
구동되지 않은 휠들은 바람직하게 자체 축과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이 구동되지 않은 휠들을 운송 장치 내부에 공간 절약 방식으로 고정하기 위하여 보조 축 혹은 스터브 샤프트(stub shaft)가 캐리지에 제공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구동되지 않은 휠들이 캐리지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캐리지의 길이 연장부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음으로써, 결과적으로 운송 위치에서 운송 장치의 패킹(packing) 치수가 더욱 줄어들게 된다.
구동 휠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과 관련해서는, 구동 배터리가 캐리지 상에서 실질적으로 축을 구비하는 일 평면에 배치되는 경우가 바람직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따라서, 작동 시간 요구 조건에 따라 운송 장치의 두드러진 중량 비율을 필요로 하는 배터리는 바닥 가까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배치 방식은 장치의 무게 중심을 떨어뜨려서 안정성을 개선한다.
구동 혹은 구동 속도를 제어하기 위하여, 구동된 휠의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어 핸들이 핸들 영역에 배치됨으로써 운송 장치의 간단한 조작이 성취될 수 있다.
다수의 적용 예에서, 특히 상대적으로 더 큰 거리를 지나온 경우 및 존재 가능한 충전소로부터 상당히 큰 거리에 있는 경우에는 남아 있는 도달 거리에 대한 지표(indicator)를 제공하는 것이 유용하기 때문에, 운송 장치의 핸들 영역에는 구동 배터리의 배터리 충전 상태를 가시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디스플레이가 배치될 수 있다.
운송 장치를 기울이지 않고서 캐리지의 조종 가능성 혹은 방향 변경을 성취하기 위하여, 구동 축이 바람직하게 회전 가능한 포크를 통해 캐리지에 연결될 수 있다. 이로써, 구동 축은 제 2 축에 대하여 소정의 각을 형성한 상태로 회전될 수 있고, 자유 휠들에 대하여 평행한 일직선 배열 상태로부터 밖으로 피봇팅 될 수 있다.
회전 가능한 포크가 조종 구동부를 구비하는 제어 장치에 의해서 피봇팅 될 수 있으며, 이 제어 장치가 구동 휠을 제어할 목적으로도 설치되었다면, 상기 2개 구동부의 협력 동작은 예를 들어 운송 장치의 전복을 방지하기 위해 임팩트 구동된 구동 축의 구동 속도가 줄어들 정도까지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맥락에서는, 제어 장치가 원격 제어를 목적으로 무선 수신기에 연결되는 경우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운송 장치는 사용자에 의한 원격 제어를 통해서 제어될 수 있고, 수동으로 끌어당기거나 밀어주는 상황이 일어나지 않게 된다.
더욱 편안한 제어 상태는, 제어 장치가 GPS-시스템에 연결되고 바람직하게는 캐리지에 배치되어 장애물을 검출하기 위한 간격 센서에 연결되는 경우에 성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설치가 이루어진 경우에는, 운송 장치가 자율적으로 특정 포인트로, 예를 들면 골프장에 있는 특정 스테이션으로 이동할 수 있거나 예를 들어 골프 공 안에 표시하는 마킹 과정이 자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간격 센서에 의해서는, 장애물 또는 골프 선수와의 충돌이 피해질 수 있고 예를 들어 추적 모드가 구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운송 장치는 사전에 설정된 간격을 두고서 사용자를 뒤따르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특히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되지만, 이와 같은 실시 예들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각각의 도면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운송 장치를 작동 위치에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a는 도 1과 유사한 도면이지만, 배터리 케이스가 개방된 상태이며;
도 2b는 배터리 케이스가 개방되어 있고 2개의 추가 블레이드 휠(blade wheel)이 장착된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운송 장치를 다른 시각에서 바라보고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a 내지 도 3d는 작동 위치(도 3a)로부터 운송 위치(도 3d)로 넘어가는 상황에서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운송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4는 회전 가능한 포크 내부에 지지 된 구동 축을 구비하는 본 발명에 따른 운송 장치의 일 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골프 백이 실려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운송 장치의 추가의 일 변형 예에 대한 측면도이며; 그리고
도 6은 골프 백이 단지 부분적으로만 도시되어 있는 도 5에 도시된 운송 장치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1은 캐리지(2) 및 구동 축(3')(도 3a 참조) 상에 고정된 구동 휠(3) 그리고 구동되지 않은 2개의 휠(4)을 구비하는 운송 장치(1)를 보여주고 있다. 본 경우에는 프레임으로도 불리는 캐리지(2)는 다양한 재료를 사용해서 구성될 수 있다. 한 편으로는 관 혹은 성형 관 형태의 플라스틱- 혹은 금속 재료가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플라스틱, 스테인리스 강, 강철, 비철 중금속, 경금속, 예컨대 탄소 섬유로 이루어진 관과 같은 섬유 보강된 재료들과 같은 상이한 재료들의 조합도 사용될 수 있다. 조립시에는 캐리지(2)가 간단히 삽입되거나, 나사로 결합 되거나, 접착되거나, 납땜 되거나 용접된다. 이와 같은 결합 가능성들의 조합도 또한 가능하다. 캐리지 또는 프레임(2) 상에서, 프레임(2)에 연결된 2개의 수용 부재(5, 6) 위에 구동 휠(3)이 설치된다. 상기 수용 부재(5, 6) 위에는 또한 회전 가능한 브리지 구조물 형태의 휠 고정부가 캐리지 또는 프레임(2)에 설치될 수 있다(도 4 참조).
구동 휠(3)은 실질적으로 원통형으로 형성된 링 모양의 캐리어 바디(carrier body; 지지 몸체)로 이루어지며, 이 캐리어 바디에는 고무 코팅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원통형 캐리어 바디의 내부에서 중앙에는 구동 모터(7), 즉 허브 드라이브가 배치되어 있고, 중간 디스크(8) 혹은 바퀴살을 통해서 구동 휠(3)의 원통형 캐리어 바디에 연결되어 있다. 이로써, 상기 구동 모터(7)는 바람직하게 허브 드라이브로서 구현되었으며, 이 경우 구동 휠(3)의 고정자는 수용 부재(5, 6)를 통해 나사 결합 장치 혹은 다른 고정 장치를 통해서 캐리지 혹은 프레임(2)에 연결된다. 허브 드라이브(7)로부터 시작되는 전압-, 전력 공급- 및 조절 케이블(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음)은 허브 드라이브(7)로부터 뻗어나와 내부에서 캐리지(2) 내에 형성된 보어를 통해 전기식 전력 공급- 및 제어 장치(9)까지 뻗을 수 있다. 구동 휠(3)의 설치 장소는 캐리지 혹은 프레임(2)과 관련된 조작 측 설치 장소로서 명명된다. 허브 드라이브(7) 대신에 물론 다른 개별 휠-구동부도 생각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후방에 있지만, 장치(1)를 밀어준 상태에서는 전방에 있게 되는 상기 캐리지 혹은 프레임(2)의 영역, 다시 말해 구동 휠(3)에 마주 놓여 있는 영역에는, 장치(1)의 균형을 잡기 위한 샤프트(10)를 통해서 구동되지 않은 추가의 2개 휠(4)이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삽입 과정은 개별 단부에 있는 휠 샤프트(10)에 그루브가 제공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그루브 내부로는 추후에 휠 고정 장치가 삽입되어 맞물리며, 이때 상기 휠 고정 장치는 휠(4) 안에 배치되어 있다. 휠 샤프트(10)는 플라스틱 가이드 부싱(1)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 되어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플라스틱 가이드 부싱은 캐리어 바디(12) 내부에 장착 및 고정된다. 상기 캐리어 바디(12) - 본 경우에는 플레이트(3)로 구현됨 - 는 캐리지 혹은 프레임(2)에서 전방 프레임 영역에 고정 장치(14)에 의해서 나사 결합 및 고정되어 있다. 플라스틱 부싱(11) 및 캐리어 바디(12)의 고정은 납땜, 용접 또는 접착을 통해서도 이루어질 수 있거나, 또는 플라스틱 부싱(11) 및 캐리어 바디(12)의 조합체가 동일하게 캐리지 혹은 프레임(2)과 함께 제조될 수도 있다. 고정 핀(15)에 의해서는 휠 샤프트(10)가 측방으로 밀려지는 상황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된다.
고정 핀(15)이 담당하는 또 다른 과제는 캐리지 혹은 프레임(2)을 분리 가능하게 만드는 것이다. 이와 같은 분리 상황은 하나의 휠(4)이 휠 샤프트(10)에 의해 그루브 결합으로부터 분리됨으로써 이루어진다; 그 결과 스프링에 의해서 가이드 되는 고정 핀(15)이 들어 올려지고, 휠 샤프트(10)는 플라스틱 가이드 부싱(11)으로부터 빼내질 수 있게 된다. 상대적으로 작은 패킹- 및 운송 치수에 도달하기 위하여, 휠 샤프트(10) 상에 남아 있는 휠(4)이 그루브 결합을 통해 분리되어 운송 트렁크(본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음) 내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추가로, 휠(4)이 없는 휠 샤프트(10)는 운송 트렁크 내부에 저장될 수 있다. 휠(4)을 저장할 수 있는 한 가지 추가 가능성은, 빼내진 휠(4)을 캐리지(2)에 있는 고정 볼트(16, 17)에 고정함으로써 분실될 수 없게끔 하는 것이다. 상기 고정 볼트(16, 17)는 캐리지 혹은 프레임(2)에 구동 휠(3) 및 전방 휠(4) 이외에 추가의 보조 휠(도 2b 참조)이 장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보조 휠은 구동부 없이 구현될 수 있거나, 모터 및/또는 기어 부착 모터를 구동부로서 구비할 수 있다.
캐리지 혹은 프레임(2) 내에는 프레임 분기부(18, 19)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프레임 분기부는 T자-부재 또는 포크의 형태로 중앙 베어링(20)에 대한 연결을 만들어준다. 프레임 분기부(18, 19)와 베어링(20) 사이의 간격을 연결하기 위하여 연결 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베어링(20)은 Y자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Y자-연결부가 베어링(20) 내부에 있음으로써 눈에 보이지 않도록 구성된 부품으로서 설계될 수 있다. 베어링(20)의 목적은 프레임 분기부(18, 19)를 로드 형태의 가이드부(21)에 연결하는 것이며, 이 경우 상기 가이드 로드(21)는 링크(22) 안에 지지 되어 있고, 상기 링크(22)의 대응 측은 베어링(20) 내부에 고정되어 있다. 고정은 프레싱 삽입, 접착, 용접, 납땜 또는 그 밖의 기계적인 결합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가이드 로드(21) 상에는 고정 장치(23)가 설치될 수 있다. 이 고정 장치(23)는 스크린과 같은 함께 움직이는 부분들, 모든 종류의 고정부를 고정할 목적으로 이용되거나 또는 단순하게 구성될 수 있는 시트(seat)를 고정할 목적으로 이용된다. 상기 고정 장치(23)는 한 편으로는 가이드 로드(21)를 따라서 이동 및 고정될 수 있고, 다른 한 편으로는 이동 가능한 수용부(24)를 구비하며, 이때 상기 수용부를 통해서는 앞에서 언급된 대상물들이 고정될 수 있다. 이동 및 고정 과정은 나사-, 회전- 또는 클램핑 장치에 의해서 실시될 수 있다. 양산 또는 우산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스크린 로드가 바닥에 설치되거나 바닥 내부로 수 센티미터 삽입되어 고정 장치(23)에 연결될 수 있다. 이로써, 스크린의 전복 상황이 방지될 수 있고, 운송 장치(1) 상에서 이루어지는 종동 동작은 구동 작동 전에 스크린을 약간 들어올림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가이드 로드(21)는 하부 섹션(25) 및 상부 섹션(26)으로 분할되어 있으며, 이들 섹션(25, 26)은 고정부(27)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이때 고정부(27)는 자체적으로 분할되어 있으며, 이 경우 이들 분할된 부분은 축(28)을 통해 피봇팅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상기 축(28)에 의해서는 가이드 로드(21)가 포개질 수 있고, 이로써 운송 장치(1)는 전체적으로 하나의 매우 작은 패킹 치수로 통합될 수 있다. 하부 섹션(25) 그리고 상부 섹션(26)에서 이루어지는 가이드 로드(21)의 기계적인 지지 및 위치 고정 과정은 고정부(27)를 통해서 이루어지며, 이 경우 지지 포크(29)에 설치된 삽입 결합 부재(30)는 곧바로 고정부(27) 내부로 삽입 결합 되고, 로킹 장치(31)에 의해 고정된다. 그럼으로써, 가이드 로드(21) 및 지지 포크(29)는 서로 형상 결합 방식으로 결합 된다. 상기 지지 포크(29)는 양측에서 연결 바디(32, 33)를 통해 캐리지 혹은 프레임(2)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연결 바디(32, 33)는 재차 매우 적은 패킹 치수에 도달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 포크(29)가 전방 및 후방으로 포개질 수 있도록 구현되었다.
가이드 로드(21)의 상부 섹션(26)은 추가의 일 고정부(34)에서 종료되며, 이 경우 상기 고정부(34) 내부에는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 수동 핸들(35)이 수용되어 있다. 이 수동 핸들(35)에는 보어 또는 그루브가 제공되어 있다. 상기 수동 핸들(35)의 이동이 이루어져야만 하는 경우에는, 고정부(34) 내에서의 상기 수동 핸들(35)의 위치가 조절 및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은 상응하는 로킹 장치(36)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구동 축(3')이 수동 핸들(35) 바로 다음에 놓여 있는 축이기 때문에(샤프트(10)의 축(10')은 더 멀리 놓여 있음), 결과적으로 예를 들어 사용자의 체중을 사용해서 손쉽게 제공될 수 있는 압력을 수동 핸들(35)에 가하는 경우에는 운송 장치(1)가 구동 휠(3) 위로 기울어질 수 있게 된다.
수동 핸들(35)의 단부에는 제어 핸들(37)이 제공되어 있다. 핸들(38)은 키 스위치(39)가 통합되도록 수동 핸들(35) 상에 구현될 수 있다. 이 제어 핸들(37)은 다수의 기능적인 디스플레이 및 제어부(4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제어 핸들에는 정지-키 또는 속도 제어-키(41)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어 핸들(37)은 대부분 속도 제어 및 배터리 모니터링 기능을 갖춘 다기능 장치로서 제조된다. LED는 구동 모터(7)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모니터링 할 목적으로 이용된다. 축전 전압이 떨어짐에 따라 소형 램프는 차례로 꺼진다. 모터/기어 부착 모터(7)의 전력은 제어 핸들(37)에 의해서 0으로부터 100 %까지 무단으로 조절된다. 통상적인 가스 핸들-조절기에서와 같이, 복원 스프링은 가스 배출시에 이 스프링이 재차 자동으로 0의 위치로 되돌아가도록 보증해준다. 이와 같은 내용은 또한, 특정 템포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스프링이 모터 휠에서와 마찬가지로 정지되어야만 한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특정 속도에 고정하고자 한다면, 한 편으로는 복원 스프링을 분해할 수 있거나 템포 고정 기능을 갖춘 제어 핸들(37)을 삽입할 수 있다. 템포 고정 기능의 기능을 제공해주는 제어 핸들(37) 혹은 가스 핸들 모델의 경우에는, 상기 제어 핸들(37)이 릴리스 되더라도 모터(7)의 순간 전력은 하나의 키를 누름으로써 전기적으로 "동결"될 수 있다. 이때 속도 제어기의 릴리스 과정은 컨트롤러에 의해서 이루어지는데, 다시 말하자면 속도 제어기 단추가 재차 눌러지면 전력이 차단된다.
예컨대 골프 백, 쇼핑 백, 상자 등과 같은 짐 혹은 일상 용품들을 고정하기 위하여 가이드 로드(21)의 상부 섹션(26)에, 경우에 따라서는 하부 섹션(25)에 수용 부재(42)가 배치될 수 있으며, 이 수용 부재는 한 편으로는 고정 장착될 수 있거나 이동 가능하게 그리고 회전 가능하게 구현될 수 있다. 캐리지 혹은 프레임(2)의 좌측 (전방) 영역에는 제어- 및 전력 공급 유닛(9)이 설치되어 있다. 이 제어- 및 전력 공급 유닛(9)은 도면에 따르면 커버(43)를 갖춘 분리 가능한 하우징 및 캐리지 혹은 프레임(2) 내부에 설치된 하우징 바닥(44)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설치 위치는 다수의 가능성 중에 한 가지에 불과하기 때문에, 다른 설치 위치들도 가능하다. 하우징(43)은 수용 부재(42)에 대한 추가 지지부로서 사용될 수 있는 지지 장치(45)가 설치될 수 있도록 구현되었다. 이로써, 가이드 로드(21)는 수용 부재(42) 및 지지 장치(45)와 함께 골프 백을 수용하기 위한 하나의 지지 유닛(21')(도 2a 참조)을 형성하게 되며, 이 경우 상기 지지 유닛(21')의 2개의 지지 장소는 한 편으로는 지지 장치(45)에 의해서 그리고 다른 한 편으로는 수용 부재(42)에 의해서 형성되었다. 상기 수용 부재(42)는 자신의 U자 모양 형상으로 인해 지지 유닛(21')의 측면 안전 돌출부를 형성한다. 짐이 실린 상태에서, 다시 말하자면 골프 백이 실린 상태에서는 운송 장치(1)의 무게 중심이 베어링(20) 바로 위에 있다.
도 2a 및 도 2b는 제어- 및 전력 공급 유닛(9)이 개방된 상태에서 캐리지 혹은 프레임(2)을 보여주고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하우징 바닥(44)은 캐리지(2) 상에 올려져 있고, 바람직하게는 캐리지 상에 고정되어 있다. 압력 연결부(46)를 통해서는 하우징 커버(43)가 하우징 바닥(44)으로부터 들어 올려져서 하우징이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제어- 및 전력 공급 유닛(49)의 내부에는 전력 공급원(47), 제어 유닛(48) 그리고 충전 장치(49)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어 유닛(48) 그리고 상기 충전 장치(49)는 상응하는 덮개(50)가 추가의 보호 및 분리 효과를 제공해주도록 하우징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하우징 바닥(44)에는 캐리지(2) 내부와 연통하는 제어 유닛(48) 혹은 컨트롤러가 설치되어 있다. 컨트롤러 케이블(연결부)은 프레임 분기부(18, 19), 베어링(20) 및 가이드 로드(21)를 통해서 수동 핸들(35) 혹은 제어 핸들(37) 및 키 스위치(39)까지 뻗는다. 컨트롤러(48)와 구동 휠(3) 및 허브 드라이브(7)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추가의 케이블 연결도 마찬가지로 하우징 바닥(44) 및 프레임(2)을 통해서 만들어지며, 이로써 대략 프레임(2) 내에서 구동 휠(3)의 일 수용 부재(5, 6)의 영역에는 배출 개구가 형성된다.
운송 장치(1)가 측면으로 기울어지는 상황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동 휠(3)의 주행면은 평평하게 (굴곡지지 않게) 그리고 지나치게 좁지 않게 형성되었다. 예를 들어 장애물 또는 돌출부를 돌아가기 위하여, 구동 휠(3)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2) 내부에 피봇팅 가능하게 지지 된 것이, 아닌 경우에는, 방향 변경을 위해서 전방 휠(4)을 들어올리는 것이 필수적일 수 있다. 구동 휠의 주행면이 지나치게 좁고 평평한 경우 또는 주행면이 굴곡지지 않은 경우에, 구동되지 않은 휠(4)을 좌측 혹은 우측으로 기울이는 동작은 구동 휠(3)의 틸팅 에지(tilting edge)를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방을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캐리지(2)에서는 평평한 주행면을 갖는 구동 휠(3)이 테스트 되었다. 주행면은 금속, 플라스틱, 가황된 고무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주행면은 모방 절삭된 상태로 구현될 수도 있거나, 또는 양호한 바닥 접착 상태 혹은 바닥 결합 상태가 보증되도록 하기 위하여 돌출하는 프로필이 주행면 내부에 통합될 수도 있다.
캐리지(2)의 기하학적인 구조를 확정하기 위하여, 구동 휠(3)의 직경 및 폭을 다양하게 제조함으로써 바람직한 치수들이 경험적으로 결정되었다. 테스트에서는 표면의 형상도 고려되었다. 다시 말해, 구동 휠(3)의 폭 혹은 그와 더불어 지지 면이 예컨대 굴곡진 구동 휠 표면에 의해서 대략 0으로 되면, 구동 휠(3)의 틸팅 에지를 통해서 캐리지(2)의 신속한 측면 기울어짐이 이루어지게 된다. 직경 및 폭과 같은 구동 휠(3)의 기하학적인 관계를 확정하기 위한 테스트로부터는, 구동 휠(3)의 양호한 밸런스를 위해서는 폭이 특정 치수에 미달 되어서는 안 된다는 사실이 도출된다.
경험적이고 구조적인 생각들을 통해서 120 mm 내지 최대 300 mm의 최소 직경을 갖는 목적에 부합되는 구동 휠(3)이 얻어지며, 이 경우 상기 구동 휠(3)의 직경/폭 비율은 0.6 내지 3.25의 값, 바람직하게는 0.8 내지 2.5의 값을 취할 수 있다.
캐리지(2)에서 후방에 설치된 구동 휠(3)의 직경/폭 비율이 경험적으로 검출됨으로써 그리고 상기 캐리지(2)의 전방 영역에 설치된 2개의 전방 휠(4)로 인해 주행 안정성은 후방 영역에 2개의 구동 휠이 제공된 종래의 캐리지에 비해 훨씬 개선된다. 캐리지(2)는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기울어짐에 대하여 신뢰할만하게 보호된다. 바닥 접착 상태 및 곡선 주행시의 안전, 경사각 및 리드 각(lead angle)은 상기 캐리지(2)에 의해서 현저하게 개선된다.
도 2b에는 도 2a에 대하여 대략 90°만큼 회전된 시선에서 바라본 운송 장치(1)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배터리 케이스는 개방된 상태이다. 본 변형 예에서 제어- 및 전력 공급 유닛(9)의 하우징의 커버(43)는 대체로 평탄하다. 상기 커버(43)의 상부 면에는 지지 장치(45)가 배치되어 있으며, 이 지지 장치는 대략 반원 형태의 2개의 지지 텅(45') 및 하나의 중앙 관통 커프(kerf)를 구비한다. 지지 된 짐이 미끄러져 떨어지는 상황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 텅(45')에는 특정한 프로필이 제공되어 있다.
캐리지(2)에 있는 고정 볼트(16, 17)에서는 프레임(2)의 고정 볼트(16, 17)에 있는 2개의 추가 휠(4')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 되어 있음으로써, 운송 장치(1)는 총 5개의 휠(3, 4, 4')을 구비하게 된다.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 된 4개의 휠(4, 4')은 모두 분해될 수 있다. 2개의 추가 휠(4')이 구동 휠(3) 가까이에서 캐리지(2)를 지지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상기 구동 휠(3)은 부분적으로 하중을 받지 않게 된다. 구동 휠(3)에 대한 상기 추가 휠(4')의 직경 및 축 위치는, 이 추가 휠의 지지 면이 구동 휠(3)의 지지면 및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 된 다른 휠(4)의 지지 면과 함께 하나의 평면에 놓임으로써 모든 5개의 휠(3, 4, 4')이 동일시에 바닥에 접촉하도록 선택되었다. 캐리지(2) 상에서의 하중이 높은 경우에는 그로 인해 중량이 바람직하게 모든 5개의 휠(3, 4, 4')에 분배된다. 구동 휠(3)이 바닥 접착 기능을 상실하는 상황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추가의 휠(4') 혹은 이 추가 휠의 축은 가동적으로, 예를 들면 스프링 레그(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음)를 통해서 캐리지(2)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럼으로써, 하나 또는 2개의 휠(4')이 예를 들어 지형 내의 돌출부에 부딪혀서 캐리지가 들어 올려지게 되면, 상기 추가의 휠(4')이 느슨해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로, 상기 구동 휠(3) 혹은 이 구동 휠의 축(3')은 캐리지가 바닥으로부터 약간 들어 올려지는 경우에도 계속해서 바닥과의 접촉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 될 수도 있으며, 이와 같은 가능성은 예컨대 축(3')의 스프링 지지 방식에 의해서 성취될 수 있다.
도 2b에서는 이동 가능한 수용부(24)에 퀵 클램프(quick clamp)가 장착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예를 들어 스크린의 클램핑 및 릴리스 과정이 특히 간단하게 실행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특히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수용부(24)가 측면에서 지지 유닛(21') 혹은 가이드 로드(21)로부터 한 섹션만큼 멀리 연장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상기 수용부 내부에 수용된 스크린은 더 이상 지지 유닛(21') 내에 배치된 짐과 충돌하지 않게 된다.
도 3a 내지 도 3d는 도 1에 따른 운송 장치(1)를 다양한 위치에서 보여주고 있으며, 이 경우에는 특히 캐리지(2), 가이드 로드(21)의 하부 섹션(25) 및 상부 섹션(26)의 상대적인 배치 상태 그리고 지지 포크(29)의 상대적인 배치 상태가 각각의 도면에 상이하게 도시되어 있다: 도 3a에서 운송 장치(1)는 도 1에 도시된 작동 위치에 있다. 가이드 로드(21)의 섹션(25, 26)은 고정부(27)에 의해 서로 단단히 연결되어 있고, 지지 포크(29) 혹은 이 지지 포크의 삽입 결합부(30)는 고정부(27) 내부에 수용 및 고정되어 있다. 하부 섹션(25)이 지지 포크(29) 및 프레임(2)과 함께 하나의 삼각형 연결부를 형성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상기 가이드 로드(21)는 프레임(2)과 고정된 각을 형성하게 된다.
운송 장치를 접거나 포개기 위하여, 로킹 장치(31)의 로킹 결합이 해제됨으로써 삽입 결합부(30)와 고정부(27) 간의 연결 상태가 풀어진다. 그 다음에 지지 포크(29)가 우측으로(후방으로), 가이드 로드(2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젖혀짐으로써, 결과적으로 상기 지지 포크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2)에 대하여 대체로 평행하게 놓이게 된다.
도 3c에 도시된 위치에서는, 단지 베어링(20)을 통해서 프레임(2)과 피봇팅 가능하게 연결된 가이드 로드(21)만이 전방으로, 구동되지 않은 휠(4)의 축 위로 젖혀진다. 이때 가이드 로드(21)는 지지 장치(45)의 중앙 리세스 안에 놓여 있다(도 1 참조).
그밖에, (상부) 수용 부재(42)도 가이드 로드(21)에 일체형으로 포개져 있다.
도 3d는 마지막으로 운송 장치(1)의 완전히 서로 포개진 운송 위치를 보여주고 있으며, 이 경우에는 고정부(27)가 도 3c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출발해서 점차 로킹 해제되어 가이드 로드(21)의 상부 섹션(26)이 이 가이드 로드의 하부 섹션(25) 위에 포개져 있다. 추가로, 2개의 전방 휠(4)은 자신의 축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고정 볼트(16, 17)(도 3d에서는 단지 고정 볼트(16)만 볼 수 있음)에 고정될 수 있다.
도 4에는 일 변형 예에 따른 구동 휠-유닛이 도시되어 있으며, 이 경우 구동 휠(3)은 브리지 구조물(54) 내부에 피봇팅 가능하게 지지 되어 있고, 모터(61), 예컨대 기어 부착 모터를 통해서 회전- 또는 조종 동작으로 변위될 수 있다. 상기 구동 휠(3)은 휠 축(52)을 통해서 포크 형태로 형성된 장치(51)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포크 형태로 형성된 장치(51)는 베어링(53)을 통해 브리지(54)에 삽입되어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베어링(53)은 나사 결합에 의해 브리지(54)에 고정된다. 브리지(54)는 나사 결합부(55) 및 스페이서(56)(spacer) 그리고 연결 부재(57)에 의해 캐리지 혹은 프레임(2)(도 1 참조)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브리지(54)에는 호 모양의 슬롯(커넥팅 링크)이 형성되어 있고, 이 슬롯 내부로는 볼트(59)가 조종- 및 제어 레버로서 삽입되며, 이때 상기 볼트는 포크-장치(51)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볼트(59)는 예컨대 선형 모터로서 구현된 모터(61)의 피스톤(60)을 관통해서 고정 장치(62)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선형 모터(61)는 접속 케이블(63)을 통해 제어- 및 전력 공급 유닛(9)에 전기식으로 접속되어 있다. 브리지(54) 상에는 상기 선형 모터(61)를 지지하기 위하여 또 하나의 슬라이딩 플레이트(64)가 설치되어 있다. 이 슬라이딩 플레이트는 통상적으로 산업용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고, 필요한 경우에는 윤활 처리될 수도 있다. 상기 선형 모터(61)는 리프트 로드(65)의 후방부를 통해서, 슬라이딩- 및 회전 베어링으로서 작용을 하는 고정 볼트(66)에 연결되어 있으며, 이 경우 퓨즈 소자(67)는 강제 결합 방식의 결합을 만들어준다. 피스톤(60)의 위치가 모니터링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브리지(54) 상에는 피스톤(60)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 부재(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음)가 더 설치될 수 있다. 피스톤(60)의 위치 검출은 모터(61) 자체에 내장된 홀 센서(hall sensor)를 통해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선형 모터(61)가 제어 케이블(63)을 통해 이동 신호를 발송하면, 피스톤(60)은 전방으로 일 행정만큼 이동할 수 있거나, 또는 반대 방향으로의 신호가 발송되면, 피스톤은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볼트(59)와의 결합에 의해, 상기 피스톤은 커넥팅 링크(58) 내부에서도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된다. 이와 같은 이동 동작이 곡선 모양으로 진행됨으로써, 구동 휠(3)은 우측 또는 좌측으로 완전히 피봇팅 되어 방향 변경에 기여하게 된다. 곡선 모양의 이동 시퀀스에 의해 선형 모터(61)는 고정 볼트(66)를 중심으로 피봇팅 된다.
선형 모터(61)의 수평 배치 상태가 단 한 가지 가능한 실시 예가 된다는 것은 명백하다. 지지 작용을 통해 수직으로 설치된 모터도 마찬가지로 구동 휠(3)의 피봇팅 및 제어 동작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선형 모터(61)를 사용해서 구동 휠(3)을 제어함으로써 그리고 상기 선형 모터(61)의 피스톤(60)의 위치를 측정함으로써, 예컨대 골프-카트를 위한 자동 파일럿 시스템이 구성될 수 있다. 자동 파일럿 시스템은 이미 자체적으로 공지되어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자동 파일럿 시스템은 네트워크를 통해서 전원, 경로 제어 유닛(Course Compute Unit - CCU), 전기 제어 유닛(Electronic Control Unit - ECU) 및 구동 유닛(선형 모터)에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은 자동 파일럿 시스템은 주행 경로의 유지 및 제어를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자동 파일럿 시스템이 구성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캐리지(2)는 선형 피스톤 위치 피드백을 전기 제어 장치(ECU)로 전송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시스템의 네트워킹 능력으로 인해, 자동 파일럿-제어 경로 데이터는 다른 장치로 전달되어 사용될 수 있다.
캐리지(2)의 이동 방향이 존재 가능한 장애물을 기준으로 해서 설정될 수 있도록 하고 차량 위치의 검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GPS 자동 파일럿 시스템에 추가로, 종래에 공지되어 있기 때문에 상세하게 기술되지 않았고 반사 원리를 토대로 하는 단일- 또는 다중 채널 초음파 센서(68) 또는 광학 센서가 캐리지(2) 내에 통합될 수 있다(도 2 참조). 이와 같은 센서들은 초음파를 송신 및 수신하고, 획득된 데이터를 제어 장치로 전송하며, 이때 상기 제어 장치는 초음파 신호 전파 시간으로부터 센서에서 장애물까지의 간격을 산출한다. 장애물이 검출되고 유지될 최소 간격에 미달 되면, 상기 산출된 신호를 통해서 구동 모터(7)가 정지될 수 있고, 선형 구동부(61)는 상응하게 제어될 수 있다.
도 5에는 골프 백(69)이 실려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운송 장치(1)의 추가의 일 변형 예가 개략적인 측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골프 백(69)은 2개의 짐-수용 부재(42)에 의해서 지지 되어 있으며, 이들 수용 부재는 가이드부(21) 내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부(21)는 한 편으로는 베어링(20)을 통해 캐리지(2)와 피봇팅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다른 한 편으로는 지지부(70)를 통해 캐리지(2)에 지지 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부(21)의 상단부에는 핸들(38)이 배치되어 있고, 운송 장치(1)의 조작 측을 규정한다. 가이드부(21) 및 수용 부재(42)에 의해서 형성된 지지 유닛(21')의 하부 영역에서는 전기식으로 구동되는 휠(3)이 캐리지(2)에 지지 되어 있다. 조작 측에 마주 놓인 측에서 캐리지(2)에는 상대적으로 더 작은 2개의 휠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게 지지 되어 있다.
도 6의 평면도에는 골프 백(69)이 단지 부분적으로만 도시되어 있다.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 된 2개의 휠(4)은 샤프트(10)에 삽입되어 있다. 본 도면에서는, 가이드부(21)를 캐리지(2)에 연결하는 지지부(70)가 본 변형 예에서는 일 측면에 형성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밖에, 본 도면에서는, 베어링(20)이 2개의 프레임 분기부(18, 19)에 의해 캐리지(2)의 중앙에 고정되어 있다는 것도 알 수 있다. 이때 캐리지(2)의 폭은 실질적으로 구동 휠(3)의 폭에 의해서 사전에 결정되었으며, 상기 구동 휠의 폭은 - 위에서 설명했던 바와 같이 - 안정성 기준들을 토대로 해서 결정된다.
구동 휠(3)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니켈-카드뮴-, 니켈-금속 수소화물-, 리튬-이온- 또는 리튬-폴리머-축전지가 사용될 수 있다. 하지만, 니켈-카드뮴-축전지의 사용은 카드뮴의 독성 때문에 반대되고 있으며, 리튬-폴리머-축전지의 사용은 이러한 축전지-타입의 전기적인, 열적인 및 기계적인 높은 감도 때문에 반대되고 있다. 사용 가능한 축전지의 에너지 밀도는 30 내지 200 Wh/kg에 놓여 있고, 셀 전압은 1.2 내지 3.7 볼트의 범위 안에 놓여 있다. 그에 상응하게, 대부분은 병렬 및 직렬 배터리 시스템, 예를 들면 직렬로 접속된 3개의 축전지 및 병렬로 접속된 3개의 축전지로 구성된 배터리 시스템이 사용된다. 이와 같은 형태의 배터리 시스템은 통상적으로 플라스틱 하우징 및 셀 고정 시스템을 구비하고, 충전 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통신 시스템을 이용한다.
사용된 축전지와 관련된 작동 안전성을 보증하기 위하여, 배터리(47)에는 특수한 안전 메커니즘이 장착될 수 있다: 전류 흐름이 지나치게 높은 경우에는 전류가 자동으로 감소할 수 있다; 내부 압력이 높은 경우에는 부하 전류(load current)가 중단된다; 안전 밸브 및 목표 파괴 장소가 소정의 내부 압력에서 작동할 수 있음으로써, 결과적으로 셀의 폭발이 방지된다;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상부 및 하부 전압 한계가 모니터링 된다; 최대 충전- 및 방전 전류가 제시되며, 최소 및 최대 충전- 및 방전 온도가 고려된다. 사용된 배터리 시스템은 전체적으로 단락에 대해 안전하고, 불에 타지 않으며, 용융되지 않고, 폭발하지도 않는다. 계획 및 선택 단계에서는, 팩 구조 및 팩 내부의 열적인 상황에 주의를 기울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축전지를 충전하기 위하여 적합한 충전 장치가 제공되어 있으며, 본 경우에는 특히 축전지와 충전 장치의 협력에 주목해야만 한다. 충전 과정은 일반적으로 (별도의) 충전 장치 내에 있는 충전 조절기에 의해서 제어된다. 충전 전에는 존재 가능한 깊은(소모성) 방전(deep discharge)이 충전 회로에 의해서 확인된다.
본 실시 예에 도시된 골프-카트에서는 바람직하게 리튬-이온 축전지(47)가 사용되며, 이 경우 상기 축전지(47)의 용량은 개별 사용 목적에 맞추어, 다시 말하자면 예를 들어 통상적으로 골프장에서 지나온 간격에 맞추어 튜닝 된다. 그에 상응하게, 다양한 축전지-변형 예를 제시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운송 장치(1)가 사용자의 요구에 맞추어 튜닝 될 수 있기 때문이다. 통상적으로, 골프-카트는 전체 경기 일정 동안에 사용될 수 있어야만 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축전지는 밤새 충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략 1주 동안의 골프-여행을 위해서 충분한 용량을 갖는 축전지를 사용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리튬-이온-축전지의 사용은 전기-자전거에서 적합하다고 입증되었고, 다른 축전지-유형에 비해 훨씬 더 긴 사용 시간을 가능케 한다.
각각의 도면에 도시된 2-축 운송 장치 이외에,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 휠 및/또는 추가의 구동된 휠을 구비하는 추가의 축들을 제공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이것은 특히 가이드 로드(21)에 배치된 시트 링크 유닛과 관련해서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이로써 캐리지(2)의 하중이 더 양호하게 분배될 수 있기 때문이다. 캐리지(2)에 의해서 사용자를 위한 좌석 구역 또는 입석 구역이 제공된다면, 운송 장치(1)는 승객 운송을 위해서도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가이드 로드(21)가 실제로 직립 위치로 변환될 수 있음으로써, 결과적으로 캐리지(2) 상에 앉아 있거나 서있는 사용자를 위해, 구동부(7) 및 경우에 따라서는 서보 조종부(servo steering)의 조작 및 제어가 가능해진다.

Claims (16)

  1. 운송 장치(1)로서,
    2개 이상의 축들 및 상기 2개 이상의 축들에 장착된 3개 이상의 휠들(3, 4)을 갖는, 캐리지(carriage; 2)로서, 상기 축들 중의 하나는 상기 휠들 중에서 정확히 하나의 구동되는 중앙 휠(3)을 지지하는 구동 축(3')이고, 상기 구동되는 중앙 휠(3)은, 중앙에 장착되고, 중앙에서 상기 구동되는 중앙 휠(3)과 통합된 허브 모터(hub motor)를 구비하는 전기 구동식 원통형 휠로 구성되는, 캐리지(2);
    상기 캐리지 상에서 지지되고, 세장형(elongated)인 짐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지지 유닛(21'); 및
    상기 운송 장치의 조작 측(control side) 상의 핸들 영역을 갖도록 형성되는 가이드부(guide component; 21);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21)를 상기 구동 축(3')을 향하여 아래로 밀어줌으로써, 운송 장치(1)는 기울어진 작동 위치로 구동 축(3')을 중심으로 기울어질수 있고,
    상기 기울어진 작동 위치에서, 상기 캐리지(2)에서의 상기 구동 축(3')은 상기 조작 측에 존재하고, 상기 지지 유닛(21')은, 상기 하나의 구동되는 휠(3) 및 자유롭게 회전가능한(pivotable) 휠들(4)의 사이로부터 상기 하나의 구동되는 휠(3)의 수직방향 위를 향하여, 연장하여 기울어지며, 오직 하나의 구동되는 휠(3)만이 바닥과 접촉하고,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21)는 상기 2개 이상의 축들 사이에서 상기 캐리지(2)로 장착되는,
    운송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21)는 작동 위치에서는 캐리지(2)로부터 출발해서 구동 축(3') 너머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21)는 상기 지지 유닛(21')에 속하며, 이때 상기 가이드부(21)에는 적어도 하나의 짐-수용 부재(42)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 된 휠(4)은 상기 구동된 휠(3)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 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된 휠(3)은 평평한 주행면(running surface)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 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2) 및 상기 가이드부(21)는 하나의 운송 위치로 포개질(fold together) 수 있으며, 이때 하나로 포개진 운송 위치에서는 상기 가이드부(21)가 축들을 연결하는 캐리지(2)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운송 위치에서는, 구동되지 않는 휠(4)의 축(10)은 분해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캐리지(2)에는 상기 구동되지 않는 휠(4)을 공간 절약 방식으로 고정하기 위한 보조 축 혹은 스터브 샤프트(stub shaft)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 장치.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캐리지(2)에는 축(3', 10)을 구비하는 하나의 평면에 배터리(47)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 장치.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핸들 영역에는 상기 구동된 휠(3)의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어 핸들(37)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 장치.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핸들 영역에는 구동 배터리(47)의 배터리 충전 상태를 가시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디스플레이(40)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 장치.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축(3')은 회전 가능한 포크(51)를 통해 상기 캐리지(2)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가능한 포크(51)는 조종 구동부(61)를 구비하는 제어 장치(48)에 의해 피봇팅 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제어 장치(48)는 또한 구동 휠(3)을 제어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48)는 원격 제어를 위해 무선 수신기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 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48)는 장애물을 검출하기 위해 GPS-시스템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 장치.
  15.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21) 자체는 폴딩 조인트(27, 28)(folding joint)에 의해 분리되고 접힐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 장치.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48)는 장애물을 검출하기 위해 캐리지(2)에 배치된 간격 센서(68)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 장치.
KR1020147012566A 2011-10-11 2012-10-11 전동 카트 KR1019924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T5562011 2011-10-11
ATGM556/2011 2011-10-11
PCT/AT2012/050148 WO2013052977A1 (de) 2011-10-11 2012-10-11 Elektro-trolle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0470A KR20140100470A (ko) 2014-08-14
KR101992457B1 true KR101992457B1 (ko) 2019-09-30

Family

ID=48081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2566A KR101992457B1 (ko) 2011-10-11 2012-10-11 전동 카트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9555822B2 (ko)
EP (1) EP2766102B8 (ko)
JP (1) JP6195835B2 (ko)
KR (1) KR101992457B1 (ko)
CN (1) CN104220135B (ko)
AU (1) AU2012323806B2 (ko)
DK (1) DK2766102T3 (ko)
ES (1) ES2717930T3 (ko)
IN (1) IN2014KN01004A (ko)
MY (1) MY168898A (ko)
SG (1) SG11201402222VA (ko)
TR (1) TR201903920T4 (ko)
WO (1) WO201305297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5503B1 (ko) * 2020-07-02 2021-09-27 주식회사 동아에이블 가스압력용기용 운반 카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14100202U1 (de) * 2014-01-20 2015-04-21 Krones Ag Vorrichtung zum Transportieren von Behälterbehandlungsaggregaten
US9764752B2 (en) * 2014-12-19 2017-09-19 Unique Product & Design Co., Ltd. Compact wheeled carrier device with movable, stowable rear wheels and frame
FR3035064B1 (fr) * 2015-04-20 2018-07-06 Franck Jean Drouet Transporteur tricycle electrique a deplacement motorise ou manuel
TWI708900B (zh) * 2016-01-20 2020-11-01 奧地利商奧羅科技有限公司 旋轉式滑動軸承、具有旋轉式滑動軸承之裝置、具有旋轉式滑動軸承之裝置的用途及高爾夫球車
US10450027B2 (en) * 2016-07-20 2019-10-22 Coolryde B.V. Golf-bag carrying vehicle
GB2558539A (en) * 2016-11-21 2018-07-18 Motocaddy Ltd Golf trolley and notification system
DE102018000114B4 (de) * 2018-01-10 2021-01-28 Andreas ten Haaft Fahrzeug mehrspurig und neigbar, mit Schiebe- und Mitfahr-Eigenschaften
WO2019171137A1 (fr) * 2018-03-07 2019-09-12 Hit The Green Sàrl Chariot de golf à assistance electrique
CN108791230B (zh) * 2018-06-04 2023-07-14 西南交通大学 一种带空间自锁结构的电动车抬升装置
US10829141B2 (en) * 2018-07-03 2020-11-10 Zhongshan Aifubao Daily Products Co., Ltd. Trailer for stroller
DE202019101456U1 (de) * 2019-03-14 2019-03-21 Cybex Gmbh Kinderwagengestell und Kinderwagen
GB2592273B (en) * 2020-02-24 2023-11-15 Stewart Golf Ltd Foldable golf trolley
CN112590899A (zh) * 2021-01-13 2021-04-02 成都芬鑫迪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高温物体的多保护推车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635146Y (zh) 2003-06-04 2004-08-25 张大鹏 电动高尔夫球车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06008A (en) * 1954-05-14 1955-04-12 Robert H Voigt Powered golf bag carrier
US2812824A (en) * 1955-07-22 1957-11-12 Grace A Adams Self-propelling attachment for golf-bag carts
US3004619A (en) * 1958-08-21 1961-10-17 Tradall Sa Collapsible motor vehicle
US2962106A (en) * 1959-10-26 1960-11-29 Orival E Borst Motorized vehicle
US3369629A (en) * 1965-10-23 1968-02-20 Fore Motor Cart Company Foldable battery powered cart
US3635301A (en) 1969-02-19 1972-01-18 Harlequin Mfg Ltd Electrically powered vehicles
US3561555A (en) * 1969-05-29 1971-02-09 Haja Inc Power attachment unit for golf bag carts
US3704758A (en) 1970-05-18 1972-12-05 David Cropp Golf cart
US3871464A (en) * 1973-09-12 1975-03-18 John W Eden Self-propelled golf bag cart
US4061360A (en) * 1976-02-23 1977-12-06 Evans Frank E Collapsible golf bag cart
USD321964S (en) 1988-12-02 1991-11-26 Reinold Alterbaum Motor-driven golf-bag caddy
US5232065A (en) * 1991-11-20 1993-08-03 Cotton James T Motorized conversion system for pull-type golf carts
US5307889A (en) * 1993-01-04 1994-05-03 Bohannan William D Portable golf cart
US5375673A (en) * 1993-04-02 1994-12-27 Mccall; Amiel J. Golf bag card accessory drive unit
CA2093992A1 (en) * 1993-04-14 1994-10-15 Mark J. Lumbard Portable golf cart and riding apparatus
DE9311075U1 (de) 1993-07-24 1994-11-24 Strothmann, Rolf, Dr., 66123 Saarbrücken Elektrischer Antrieb eines von Hand gezogenen oder geschobenen, fahrbaren Gegenstands
JPH08229173A (ja) * 1994-12-27 1996-09-10 Fumio Mabuchi 一人用電動ゴルフカート
US5749424A (en) * 1995-01-26 1998-05-12 Reimers; Eric W. Powered cart for golf bag
US6168174B1 (en) * 1997-12-16 2001-01-02 Alexander Stewart MacDougall Golf bag push cart
US6581945B1 (en) * 1999-03-17 2003-06-24 Richard N. Shapiro Collapsible compact carrier device with collapsible wheel construction
JP2003038695A (ja) 2001-07-31 2003-02-12 Sanyo Electric Co Ltd 電動車
US6481518B1 (en) * 2001-08-07 2002-11-19 David Wu Motor drive mounting arrangement for golf cart
DE20112755U1 (de) 2001-08-08 2002-12-19 Hong Thomas Wen Yen Caddy
US7451848B2 (en) * 2001-10-26 2008-11-18 Flowers Michael J Foldable personal mobility vehicle
CN2524795Y (zh) 2001-11-23 2002-12-11 张大鹏 电动高尔夫球车
KR20030063751A (ko) * 2002-01-23 2003-07-31 재이손산업주식회사 카트 기능을 겸비한 스탠드 골프가방
US7967095B2 (en) * 2003-10-08 2011-06-28 Pride Mobility Products Corporation Collapsible vehicle
DE102004063916A1 (de) * 2004-01-21 2005-11-10 TÜV Automotive GmbH TÜV SÜD Gruppe Mehrspuriges Fahrzeug zum Durchführen von Crash-Versuchen
KR20050081862A (ko) * 2004-02-12 2005-08-19 미디어 파일 코포레이션 골프 승용 카트 및 카트 경보 장치
US7654356B2 (en) * 2007-07-17 2010-02-02 Pihsiang Machinery Manufacturing Co., Ltd. Folding electric scooter
US20090038864A1 (en) * 2007-08-07 2009-02-12 Sung Yol Yun Remotely controllable golf cart and method for steering a cart
TW200920654A (en) * 2007-11-02 2009-05-16 Sanyang Industry Co Ltd Driving wheel of motorcycle
US7661501B1 (en) * 2008-09-16 2010-02-16 Joab Jay Perdue Vehicle operated by multiple power sources
EP2199137B1 (de) * 2008-12-18 2012-06-20 Klingelnberg AG Radnebenmotor-Anordnung
US8567547B2 (en) * 2010-03-23 2013-10-29 Purdue Research Foundation Regenerative braking method
DE102011106561B4 (de) * 2010-06-21 2013-04-11 Constin Gmbh Lasten- und/oder Transportroll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635146Y (zh) 2003-06-04 2004-08-25 张大鹏 电动高尔夫球车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5503B1 (ko) * 2020-07-02 2021-09-27 주식회사 동아에이블 가스압력용기용 운반 카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N2014KN01004A (en) 2015-10-09
ES2717930T3 (es) 2019-06-26
EP2766102A1 (de) 2014-08-20
KR20140100470A (ko) 2014-08-14
JP6195835B2 (ja) 2017-09-13
US20140332299A1 (en) 2014-11-13
DK2766102T3 (en) 2019-04-08
CN104220135B (zh) 2018-08-10
US9555822B2 (en) 2017-01-31
NZ624777A (en) 2016-01-29
CN104220135A (zh) 2014-12-17
JP2015502185A (ja) 2015-01-22
AU2012323806B2 (en) 2017-05-25
SG11201402222VA (en) 2014-11-27
EP2766102B1 (de) 2018-12-26
TR201903920T4 (tr) 2019-04-22
EP2766102B8 (de) 2019-03-20
AU2012323806A1 (en) 2014-05-29
MY168898A (en) 2018-12-04
WO2013052977A1 (de) 2013-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2457B1 (ko) 전동 카트
US11478396B2 (en) Electrically driven wheeled walker
US7086491B2 (en) Personal compact cart
US7293619B2 (en) Front wheel motor driven-golf trolley
CA2447019A1 (en) Motorized towing apparatus
US10675206B2 (en) Electrically driven wheeled walker
WO2006028978A2 (en) Personal transport vehicle and method
US20100270764A1 (en) Adaptable Rugged Terrain Cart
AU2017274573B2 (en) A personal transporter
WO2014108275A2 (en) Skateboard and skateboard truck with axle-mounted motor
US20120012409A1 (en) Power-Assist Hand Truck or Platform Cart
JP3195395U (ja) 手押し式電動運搬台車
US20050230928A1 (en) Power assisted hand truck
US20210284222A1 (en) Motorized wheelbarrow
JP7037322B2 (ja) 運搬機
GB2104017A (en) Motorised golf trolley
JP3197342U (ja) 電動2輪荷車
NZ624777B2 (en) Electro-Trolley
GB2514106A (en) Wheel assembly for a golf trolley
US20100263949A1 (en) Motorized Platform
WO2022133321A1 (en) Gravity centering ca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