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2421B1 - 게임용 스마트 테이블 - Google Patents

게임용 스마트 테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2421B1
KR101992421B1 KR1020170153199A KR20170153199A KR101992421B1 KR 101992421 B1 KR101992421 B1 KR 101992421B1 KR 1020170153199 A KR1020170153199 A KR 1020170153199A KR 20170153199 A KR20170153199 A KR 20170153199A KR 101992421 B1 KR101992421 B1 KR 1019924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ball
movement
unit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31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6108A (ko
Inventor
김성은
Original Assignee
김성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은 filed Critical 김성은
Priority to KR10201701531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2421B1/ko
Priority to PCT/KR2018/014074 priority patent/WO2019098737A1/ko
Publication of KR201900561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61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24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24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7/00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e.g. balls, discs or blocks
    • A63F7/06Games simulating outdoor ball games, e.g. hockey or football
    • A63F7/068Games simulating outdoor ball games, e.g. hockey or football using magnetic pow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4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e.g. game controllers with detachable joystick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7/00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e.g. balls, discs or blocks
    • A63F7/06Games simulating outdoor ball games, e.g. hockey or footbal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7/00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e.g. balls, discs or blocks
    • A63F7/06Games simulating outdoor ball games, e.g. hockey or football
    • A63F7/0604Type of ball game
    • A63F7/0652Tenni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7/00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e.g. balls, discs or blocks
    • A63F7/06Games simulating outdoor ball games, e.g. hockey or football
    • A63F7/0668Games simulating outdoor ball games, e.g. hockey or football the ball being flicked with a finger or hit with a stick, cue or sliding disc which are not connected to the tabl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24Electric games; Games using electronic circui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24Electric games; Games using electronic circui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009/2483Other characteristics
    • A63F2009/2488Remotely play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게임용 스마트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서, 원격으로 게임용 스마트 테이블에 구비된 바(bar)를 조종하여 테이블 하부에 구비된 자석을 통해 이동하는 볼의 랠리를 제어하고, 상대편 테이블의 볼 이동상황은 테이블 중앙의 디스플레이에 실시간으로 표시되는 게임용 스마트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게임용 스마트 테이블은 상면의 좌우 양끝단에 각각 상하로 이동하는 바(Bar)가 배치되며, 상기 바에 부딪혀 상기 상면에서 좌우로 이동하는 볼이 배치되는 테이블 본체; 사용자의 입력을 받아 상기 바를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조종장치; 상기 테이블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조종장치로부터 상기 이동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제1통신부; 상기 제1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상기 이동 제어신호를 판독하여 상기 두 개의 바 중 판독된 결과에 대응되는 바를 상하로 구동시키는 바구동부; 상기 볼이 상기 바에 부딪히는 순간의 속도와 각도에 따라 상기 볼의 다음 이동경로를 산출하는 경로산출부; 상기 상면의 하단에 배치되며, 상기 상면의 상단에 위치한 볼을 자력으로 부착시켜, 상기 경로산출부에 의해 산출된 상기 이동경로에 따라 상기 볼을 이동시키는 제1자석을 구비하여, 상기 제1자석을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자석구동부; 및 상기 상면을 좌우로 나누는 중심선의 상단에 양면으로 디스플레이를 구비하고, 각각 상기 테이블 본체의 상면에서 이동하는 볼의 영상을 그래픽으로 표시하는 표시부;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게임용 스마트 테이블{SMART TABLE FOR GAMING}
본 발명은 게임용 스마트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서, 원격으로 게임용 스마트 테이블에 구비된 바(bar)를 조종하여 테이블 하부에 구비된 자석을 통해 이동하는 볼의 랠리를 제어하고, 상대편 테이블의 볼 이동상황은 테이블 중앙의 디스플레이에 실시간으로 표시되는 게임용 스마트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미국의 게임개발 업체인 아타리사가 1972년 출시한 아케이드 게임 퐁(PONG)은 탁구를 모방한 2차원 스포츠 게임으로 두명의 플레이어는 양측에 위치한 게임상의 라켓인 바(Bar)를 좌우 또는 위아래로 조작하여 이리저리 움직이는 공에 부딪히게 하여 상대편측으로 쳐내는 게임이다.
이때 바가 공에 부딪힐때의 각도, 공의 속도 및 바의 속도에 따라 공이 상대편 측으로 이동할 때의 각도와 속도가 다르게 제어되는데 이러한 퐁 게임은 단순하지만 재미가 있고 중독성이 있어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출시되었다.
이러한 퐁 게임은 공의 마찰력이 제로(ZERO)상태인 것을 가정하여 2차원 화면에서 끝임없이 움직이므로 화면이 아닌 실제 테이블에서는 공과 테이블간의 마찰력에 의해 구현이 어려운 점이 있었다.
한국공개실용 제20-2007-0000904호 한국등록특허 제10-0361031호
이에 본 발명은 실제 테이블에 내부 자석을 이용하여 볼과 바를 이동 시켜, 2차원에 구현된 퐁 게임을 실물 테이블 위에 그대로 재현하고, 게임 사용자 위치 기준으로 반대편 영역의 볼 이동 상황을 전면 중앙 스크린에 표시하는 게임용 스마트 테이블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게임용 스마트 테이블은 상면의 좌우 양끝단에 각각 좌우로 이동가능한 바(Bar)가 배치되며, 상기 바에 부딪혀 상기 상면에서 좌우로 이동하는 볼이 배치되는 테이블 본체; 사용자의 입력을 받아 상기 바를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조종장치; 상기 테이블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조종장치로부터 상기 이동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제1통신부; 상기 제1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상기 이동 제어신호를 판독하여 상기 두 개의 바 중 판독된 결과에 대응되는 바를 상하로 구동시키는 바구동부; 상기 볼이 상기 바에 부딪히는 순간의 속도와 각도에 따라 상기 볼의 다음 이동경로를 산출하는 경로산출부; 상기 상면의 하단에 배치되며, 상기 상면의 상단에 위치한 볼을 자력으로 부착시켜, 상기 경로산출부에 의해 산출된 상기 이동경로에 따라 상기 볼을 이동시키는 제1자석을 구비하여, 상기 제1자석을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자석구동부; 및 상기 상면을 좌우로 나누는 중심선의 상단에 양면으로 디스플레이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각각의 디스플레이는 각각 상기 디스플레이가 표시되는 영역의 반대편영역으로 상기 볼이 이동되면 상기 반대편 영역과 그 영역에서의 상기 볼의 실시간 움직임을 그래픽으로 표시하는 표시부; 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통신부는 상기 조종장치로부터 상기 바의 이동 방향, 이동 거리, 이동 속도를 각각 제어하는 이동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구동부는 상기 이동 제어신호에 포함된 상기 바의 이동 방향, 이동 거리 및 이동 속도에 따라 상기 바의 상하 이동을 제어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경로산출부는 상기 볼이 상기 바에 부딪히는 순간 상기 볼의 속도 및 각도와, 상기 바의 속도 및 이동방향을 이용하여 상기 볼의 반사각 및 회전력을 산출한 후, 상기 반사각 및 회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볼의 다음 이동경로 및 속도를 산출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자석구동부는, 상기 제1자석이 설치된 제1마운트; 상기 마운트를 좌우로 관통하는 제1가이드 레일; 상기 마운트를 상하로 관통하는 제2가이드 레일; 및 상기 제1가이드 레일과 상기 제2가이드 레일을 슬라이딩으로 이동시켜 상기 경로산출부에서 산출된 상기 이동경로에 따라 상기 제1자석을 이동시키는 제1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가이드 레일은 상기 상면의 하단에서 상하 방향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제2가이드 레일은 상기 상면의 하단에서 좌우 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테이블 본체의 좌우 양끝단에서 바라보는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상면 중 상기 표시부에 가려 보이지 않는 반대편으로 볼이 이동하면, 상기 테이블 본체의 반대편 영역과 상기 영역을 이동하는 볼과 상기 영역에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바의 영상을 그래픽으로 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게임용 스마트 테이블은 상기 상면 중 상기 표시부에 가려 보이지 않는 영역의 좌표를 상기 표시부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맵핑시켜 그래픽으로 구현하고, 상기 경로산출부에서 산출된 볼의 이동경로가 상기 보이지 않는 영역에 속하면, 상기 볼의 이동경로에 따라 상기 볼의 움직임을 그래픽으로 구현하여 상기 표시부에 송신하는 이미지 처리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바구동부는, 상기 상면의 하단에 배치되며, 상기 상면의 상단에 위치한 바를 자력으로 부착시키는 제2자석; 상기 제2자석이 설치된 제2마운트; 상기 제2마운트를 상하로 관통하는 가이드 바; 상기 가이드 바에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제2마운트와 상기 테이블 본체의 내부 벽체에 구비된 가이드 홈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2마운트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제3가이드 레일; 및 상기 제3가이드 레일을 슬라이딩으로 이동시켜, 상기 이동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2자석을 이동시키는 제2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가이드 레일은 상기 상면의 하단에서 상하 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바구동부는, 상기 상면에 상기 바가 이동되는 영역을 따라 형성된 가이드 홈; 상기 바에 부착되어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되는 제4가이드 레일; 및 상기 제4가이드 레일을 슬라이딩으로 이동시켜, 상기 이동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바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제3구동부; 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조종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입력을 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을 이용해 상기 바의 이동 방향, 이동 거리 및 이동 속도를 포함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신호생성부; 상기 생성된 제어신호를 상기 제1통신부에 송신하는 제2통신부; 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입력부는 기울기 및 가속도 센서, 터치패드, 조이스틱, 조그셔틀 중 어느 하나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조종장치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게임 모드에 대한 선택을 입력으로 받으며, 상기 조종장치에서 상기 게임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표시부에 상기 선택된 게임 모드에 대응되는 대전상대가 적어도 하나 이상 표시되고, 상기 조종장치는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상대 대전상대 중 어느 하나의 대전상대를 선택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조종장치에서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대전상대 중 컴퓨터가 대전상대로 선택되면, 상기 제1통신부는 상기 사용자의 대전상대에 대한 이동 제어신호를 상기 조종장치가 아닌 외부의 서버로부터 수신받아 상기 바구동부에 전송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실물 테이블 위에 퐁 게임을 구현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실감나는 게임을 수행 할 수 있도록 하고 게임 테이블 중앙에 디스플레이를 구현하여 실물 게임의 일부영역을 그래픽으로 표현하여 실제현실과 가상현실(VR : Virtual Reality)가 혼합된 혼합현실(MR : Mixed Reality) 방식의 게임을 제공한다.
이러한 혼합현실 방식을 통해 그래픽으로 구현된 영상에 각종 아이템이나 화면효과를 추가할 수 있어 게임의 흥미유발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게임용 스마트 테이블의 개략적인 외형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게임용 스마트 테이블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게임용 스마트 테이블의 테이블 본체 내부 구조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표시부의 영상표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표시부의 영상표시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바구동부의 자석구동방식에 대한 구조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바구동부의 레일구동방식에 대한 구조 예시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게임용 스마트 테이블의 개략적인 외형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게임용 스마트 테이블(100)은 사각형의 테이블 형태의 테이블 본체(110)와 조종장치(180)로 구비되며, 테이블 본체(110)의 상면의 양쪽 끝단에는 좌우로 움직이는 바(bar)(111)가 구비되고, 이러한 바(111)에 부딪히고 상면 위를 이동하는 볼(112)이 구비되며, 상면의 중앙 상단에는 양면 디스플레이로 구현된 표시부(120)가 구비된다.
바(111)는 조종장치(180)로부터의 이동 제어신호에 의해 이동 동작이 제어되며 볼(112)를 튕겨내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바(111)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바(bar) 형태로 도시하였으나 다른 예에서는 원기둥이나 원뿔 등의 형상으로도 구현이 가능하다. 예컨대 볼(112)과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조종장치(180)는 게임 사용자의 단말기 또는 리모컨 또는 조이스틱 등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조종장치(180)는 별도의 장치로 구비될 수도 있으나, 게임용 스마트 테이블(100)의 상면 일측에 장착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조종장치(180)를 통해 게임 사용자가 현재 볼(112)의 움직임을 보고 이동방향을 예측하여 바(111)를 좌우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면, 테이블 본체(110)의 상면 위에서 움직이던 볼(112)이 움직이는 바(111)에 부딪혀 반대편으로 튕겨 나가게 된다.
만약 볼(112)이 바(111)에 부딪히지 못하면 볼(112)은 반대로 튕겨 이동하지 못하고 바(111)가 이동하는 영역을 통과해 테이블 본체(110)의 기설정된 상면 끝에서 정지하게 되며, 이때, 볼(111)을 받아내지 못한 해당 바(111)를 조종하는 게임 사용자는 게임에서 패하게 된다.
테이블 본체(110)의 상면에는 기설정된 간격으로 다수의 LED가 설치될 수 있으며, 볼(112)이 테이블 본체(110)의 상면에서 이동할 때, 볼(112)이 지나는 곳에 설치된 LED를 발광시켜 시각적인 효과를 더 발생시킬 수도 있다.
한편, 상면 중앙의 양면 디스플레이(121,122)는 표시부(120)서 각각 게임이 진행되는 상면의 영상을 게임 사용자에게 표시해준다. 뿐만 아니라 게임의 진행상황이나, 스코어, 게임 대전 상대 등 게임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에서 보면, 일례로 테이블 본체(110) 우측에 위치한 제1사용자가 우측의 바(111)를 조종하는 상태인 경우, 제1사용자는 테이블 본체(110)의 상면 우측 절반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고, 그 상면 우측 절반 영역 위를 이동하는 볼(112)의 움직임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상면의 나머지 좌측 절반, 즉 상면의 좌측 절반 영역은 표시부(120)에 가려 보이지 않으며, 따라서 상대편으로 이동한 볼(112)의 움직임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게 된다. 이에, 표시부(120)의 각 디스플레이(121,122)에 각각 반대편의 영역을 표시하도록 하고, 나아가 반대편 영역의 상면에서 바(111)와 볼(112)을 각각 표시하도록 한다.
표시부(120)는 테이블 본체(110) 상면으로부터 기설정된 높이로 설치되기 때문에 표시부(120)의 하부에서 볼(112)은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므로 표시부(120) 아래를 지나 반대편으로 이동된 볼(112)은 표시부(120)에 가려 사용자의 눈에 보이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때, 테이블 본체(110)의 상면 좌측 절반은 표시부(120) 중 우측을 향해 설치된 디스플레이(121)에 영상 이미지로 표시된다. 즉, 볼(112)이 좌측 절반 측에서 움직이는 모습은 표시부(120)에 가려 육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없으며 대신 표시부(120)를 통해 그래픽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표시부(120)에는 반대편의 절반 영역과 그 위를 이동하는 볼(112)과 해당 영역에서 좌우로 이동하는 바(111)의 영상이 그래픽으로 표시된다.
표시부(120)에 표시되는 볼(112)의 이동 영상은 실제 상면을 이동하는 볼(112)을 촬영한 것이 아닌 볼(112)의 이동 경로를 미리 알고 있는 구성에서 볼(112)이 이동하는 경로를 이미지화하여 실제 볼(112)의 이동 타이밍에 맞추어 그래픽으로 표시된다.
이러한 표시가 가능한 것은 볼(112)의 이동이 자율 운동에 의한 이동이 아닌 미리 계산된 경로를 따라 인위적인 구동장치에 의해 이동되는 구성이므로 가능한 것이다.
볼(112)이 자율 운동을 수행하는 경우, 바(111)에서 미는 힘이 없다면 볼(112)과 상면과의 마찰력에 의해 볼(112)의 속도는 점점 떨어지게 되어 게임은 지속될 수 없다.
따라서 볼(112)을 바(111)로 밀어내는 힘이 없어도 볼(112)이 지속적으로 상면에서 좌우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테이블 본체(110)의 상면 하단에 자석을 배치하여 자석을 이용해 볼(112)을 고정시킨 후 미리 계산된 경로로 자석을 이동시켜 함께 고정된 볼(112)이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볼(112)의 이동을 위해 구동장치 및 다른 구성을 포함하는 게임용 스마트 테이블(100)의 개략적인 구성도를 도 2에 자세히 나타내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용 스마트 테이블(100)은 테이블 본체(110), 제1통신부(130), 바구동부(140), 경로산출부(150), 제1자석구동부(160), 표시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통신부(130), 바구동부(140), 경로산출부(150) 및 제1자석구동부(160)는 모두 테이블 본체(110) 내부에 배치되는 구성이다.
제1통신부(130)는 조종장치(180)로부터 바(111)의 이동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구성으로, 조종장치(180)가 테이블 본체(110)에 부착되지 않은 휴대용 단말기 등으로 구성된 경우, 제1통신부(130)는 조종장치(180)로부터 무선으로 제어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무선통신모듈을 구비하게 되고, 조종장치(180)가 테이블 본체(110)에 부착되어 있거나 케이블로 테이블 본체(110)와 유선 연결된 경우, 제1통신부(130)는 유선통신모듈을 구비하여 조종장치로부터 이동 제어신호를 수신하게 된다.
제1통신부(130)는 조종장치(180)뿐 아니라 외부의 서버와도 통신이 가능하며, 외부의 서버는 조종장치(180)와도 통신을 수행하여, 조종장치(180)를 통해 입력되는 게임 참여자의 아이디를 저장하고, 제1통신부(130)로부터, 해당 아이디의 시간별 게임 스코어, 개인 등수 등의 정보를 수신받아 저장할 수 있다.
게임 사용자는 조종장치(180)를 이용하여 이러한 게임관련 정보를 불러와 확인할 수 있으며, 또한 대전 상대가 없을때, 컴퓨터와의 게임을 선택하면, 제1통신부(130)는 외부의 서버로부터 기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수신받아 프로그램에 미리 설정된 상하 이동 제어신호를 바구동부(140)에 전달하여 1인 게임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조종장치(180)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게임 모드에 대한 선택을 입력으로 받을 수 있으며, 게임 모드를 선택하면 선택된 게임 모드에 따라 대전상대를 선택할 수 있는데, 이러한 과정은 표시부(120)를 통해 표시되며, 사용자는 표시부(120)에 표시된 게임 모드 및 대전상대를 확인한 후 조종장치(180)를 조작하여 대전상대를 선택할 수 있게된다.
예를 들어 게임 모드가 대전모드와 가상모드로 구분되어 있다면, 대전모드에서는 여러명의 실제 게임 사용자 중 한명을 선택할 수 있고 가상모드에서는 가상의 컴퓨터 프로그램에 저장된 대전상대 중 한명을 선택할 수 있도록 실시 예가 제공될 수 있다.
만약 조종장치(180)에서 대전상대로 컴퓨터가 선택되면, 이때, 제1통신부(130)는 사용자의 대전상대에 대한 이동 제어신호를 조종장치(180)가 아닌 외부의 서버부터 수신받아 바구동부(140)에 전달하여 사용자의 대전상대에 해당하는 측의 바(111)를 구동시키게 된다.
즉, 외부의 서버에서 제공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따라 대전상대로 선택된 컴퓨터측의 바(111)가 구동되는 것이다.
제1통신부(130)가 바(111)의 상하 이동 제어신호를 수신하면, 다음으로 바구동부(140)가 수신된 제어신호를 테이블 본체(110) 상면에 배치된 두 개의 바(111) 중 어떤 바(111)에 대한 제어신호인지를 판독하고 판독한 결과에 따라 선택된 바(111)를 제어신호에 따라 상하로 이동시킨다.
바구동부(140)는 테이블 본체(110)의 하단에 자석을 구비하여 바(111)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도 있으며, 또는 테이블 본체(110)의 하단에 레일을 설치하여 바(111)가 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바구동부(140)의 다양한 실시 예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경로산출부(150)는 볼(112)이 바(111)에 부딪히는 순간의 볼(112)과 바(111)의 속도 및 각도에 따라 볼(112)에 형성되는 반사각 및 회전력을 산출하여 볼(112)의 다음 이동경로 및 속도를 산출하게 된다.
볼(112)과 바(111)는 각각 이동하고 있는 상황에서 부딪히게 되는데 각각 이동 속도와 방향 그리고 부딪힘 각에 따라 볼(112)이 반사되는 각도, 반사될때의 회전력 및 바(111)에서 튕겨나가는 속도가 다르게 계산된다.
바(111)가 빠른 속도로 이동하는 도중 볼(112)이 바(111)가 이동하는 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비스듬히 부딪히는 경우, 기존 볼(112)이 이동하던 속도에 바(111)가 이동하던 속도가 합해져 볼(112)은 더 빠른 스피드와 큰 회전력을 갖게 되므로 큰 반사각으로 바(111)에서 튕겨져 나가게 될것이다.
경로산출부(150)는 바구동부(140)의 데이터를 통해 바(111)의 이동 방향 및 속도 정보를 알고 있으며, 볼(112)의 이동 방향 및 속도정보는 이전 타임에 산출된 볼(112)의 이동경로를 알고 있으므로 바(111)와 볼(112)의 이동 방향 및 속도 정보를 통해 바(111)에 볼(112)이 부딪힌 다음의 이동경로를 산출할 수 있게된다.
경로산출부(150)에서 볼(112)의 이동경로와 속도가 산출되면, 다음으로 제1자석구동부(160)가 산출된 이동경로에 따라 볼(112)을 이동시키는데 자력을 이용하여 이동시키게 된다.
제1자석구동부(160)는 제1자석(161)과 제1자석(161)이 설치된 마운트(162), 마운트(162)를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제1가이드 레일(163) 및 제2가이드 레일(164), 그리고 제1가이드 레일(163)과 제2가이드 레일(164)을 이동시켜 제1자석(161)을 산출된 볼(112)의 이동경로에 따라 이동시키는 제1구동부(165)를 포함하며, 이 모든 구성들은 테이블 본체(110)의 상면 하단에 배치된다.
제1자석(161)은 마운트(162)에 설치되어 상면 하단에서 제1 및 제2가이드 레일(163, 164)에 의해 이동되는데 이때, 볼(112)이 상면에 접촉되는 부분에도 자석을 구비하여 제1자석(161)과 볼(112)이 상면을 사이에 두고 자력에 의한 힘으로 붙어서 제1자석(161)이 이동함에 따라 볼(112)도 함께 이동하는 구조를 형성한다.
이러한 제1자석구동부(160)의 구조 및 구동방식에 대해서는 도 3을 통해 좀 더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게임용 스마트 테이블의 테이블 본체 내부 구조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테이블 본체(110)의 내부 공간 내벽에는 각각 가이드홈(113,115)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러한 가이드홈 중에서 Y방향으로 구비된 가이드홈(113)를 따라 제1가이드 레일(163)이 이동하고, X방향으로 구비된 가이드홈( 116)을 따라 제2가이드 레일(164)이 이동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제1자석(161)은 마운트(162)에 설치되고 제1가이드 레일(163)은 마운트(162)를 X방향으로 관통하여 설치되고, 제2가이드 레일(164)는 마운트(162)를 Y방향으로 관통하여 설치된다.
이에 따라서 제1가이드 레일(163)이 가이드홈(113)를 따라 이동하면 마운트(162)에 설치된 제1자석(161)은 Y방향, 즉 게임 사용자 입장에서 전후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제2가인드 레일(164)이 가이드홈(115)을 따라 이동하면 마운트(162)와 제1자석(161)은 X방향, 즉 좌우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제1 및 제2가이드 레일(163, 164)의 이동을 통해 마운트(162)에 설치된 제1자석(161)은 테이블 본체(110) 상면을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면을 사이에 두고 제1자석(161)에 의해 볼(112)이 상면에서 이동하게 된다.
제1 및 제2가이드 레일(163, 164)는 도 3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테이블 본체(110) 내부공간의 일측에 구비되어 있는 제1구동부(165)를 통해 이동되며, 이러한 구조로 구성된 제1자석구동부(160)는 제1구동부(165)를 통해 경로산출부(150)에서 산출된 볼(111)의 경로에 따라 마운트(162)를 이동시키기 위해 제1 및 제2가이드 레일(163, 164)를 구동시킨다.
이렇게 바구동부(140)를 통해 바(111)가 조종되고, 제1자석구동부(160)를 통해 볼(112)이 이동되어 테이블 본체(110)의 상면에서 퐁 게임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도 1에서 설명한 것처럼 테이블 본체(110) 상단의 표시부(120)는 상면에서 이루어지는 게임의 일부를 그래픽화하여 영상으로 표시해준다.
표시부(120)에서 게임 영상을 그래픽화하여 표시하는 예시화면을 도 4 및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테이블 본체(110)의 중앙부에 탁구나 배구 등의 네트와 같이 양면에 디스플레이(121,122)가 구비된 표시부(120)가 구성되어 있다. 이때, 표시부(120)에 의해 테이블 본체(110)의 상면 뒷쪽 절반 영역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는 상태인 것을 알 수 있다.
도 4는 일례로 볼(112)이 테이블 본체(110)의 우측 상면에서 움직이는 예를 도시하고 있고, 도 5는 다른 예로 볼(112)이 반대편 영역인 데이블 본체(110)의 좌측 상면으로 이동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4와 같이 볼(112)이 우측 상면에서 이동하는 동안에는 표시부(120)의 디스플레이(121)에는 반대편 영역인 좌측 상면이 표시된다. 이 경우 볼(112)이 우측 상면에서 움직이므로 반대편 영역인 좌측 상면에는 당연히 볼(112)이 없으므로 이러한 디스플레이(121)에는 볼(112)이 없이 좌측 상면만 표시되는 것이다. 이후에 우측 상면을 이동하는 볼(112)이 바(111)에 부딪혀 표시부(120)의 아랫쪽을 통과하여 도 5와 같이 반대편 영역인 좌측 상면으로 이동하게 되면, 표시부(120) 하단을 통과하는 순간부터는 표시부(120)의 디스플레이(121)에 좌측 상면과 그 위를 움직이는 볼(112)이 그래픽으로 표시된다. 이는 볼(112)이 표시부(120)의 하단을 통과하는 순간부터 표시부(120)에 가려서 실제 반대편인 좌측 상면은 육안으로는 보이지 않기 때문에 그래픽으로 표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표시부(120)는 볼(112)이 표시부(120)의 하단을 지나치는 순간부터 볼(112)의 이동을 실제와 동일하게 그래픽으로 구현하여 표시부(120)에 표시하게 된다. 이는 표시부(120)의 양면 디스플레이(121,122) 중 반대편 영역으로 볼(112)이 이동하는 경우에 그 반대편 영역에 대해 그래팩으로 표시하도록 한다.
이때, 표시부(120)에는 테이블 본체(110)의 반대편 영역의 상면과, 그 상면위의 볼(112) 및 바(111)의 이동이 그래픽으로 표시되는 것이다. 도 5에서 도면부호 112a는 반대면인 좌측 상면에 있는 실제 볼(112)(점선표시)에 대해 그래픽으로 표시된 영상이다.
게임용 스마트 테이블(100)은 표시부(120)에 볼(112)의 이동을 그래픽을 구현하기 위한 구성으로 이미지처리부(170)를 더 구비하게 되는데, 이미지처리부(170)는 표시부(120)에 가려져 보이지 않는 테이블 본체(110)의 상면을 표시부(120)의 화면 영역에 대응시켜 표시하고,경로산출부(150)를 통해 산출된 볼(112)의 다음 이동경로를 이용하여 볼(112)이 표시부(120) 하단을 통과하는 순간부터 실제 볼(112)의 움직임에 매칭된 표시부(120)의 좌표에 볼(112)을 그래픽(112a)으로 표시하여 게임 사용자로 하여금 보이지 않는 영역과 그 영역에서 움직이는 볼(112)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표시부(120)를 통해 볼(112)의 이동상황을 그래픽으로 표시하는 경우, 게임 내용 및 아이템 사용에 따른 효과를 그래픽으로 표현하여 부가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볼(112)이 표시부(120)의 하단을 지나친 직후 표시부(120)에 표시된 불 아이템을 통과하여 확득한다면, 볼(112)에 불 효과를 부가하여 표시부(120)에 표시할 수 있다.
이런 효과를 통해 게임에 시각적인 재미를 부여할 수 있으며, 각종 아이템을 적용하여 게임의 재미를 높일 수도 있다.
표시부(120)에는 볼(112)의 영상뿐 아니라 게임 사용자 및 대전상대의 아이디, 현재 스코어 등의 정보도 함께 표시될 수 있다.
한편, 게임용 스마트 테이블(100)은 조종장치(180)로부터 바(111)의 이동을 제어하는 신호를 수신하는데 이때 조종장치(180)를 제어하는 방식에 따라 바(111)의 이동방향 및 이동속도를 함께 제어할 수 있다.
조종장치(180)는 사용자의 입력을 받는 입력부(181), 입력부(181)의 입력을 이용하여 바(111)의 이동방향, 이동거리 및 이동속도를 포함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신호생성부(182) 및 생성된 제어신호를 제1통신부(130)에 송신하는 제2통신부(183)로 구성된다.
입력부(181)는 실시 예에 따라 기울기 및 가속도 센서, 터치패드, 조이스틱, 조그셔틀 중 어느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조종장치(180)의 입력부(181)에 대한 실시 예 중 기울기 및 가속도 센서를 적용한 실시 예를 좀 더 자세히 설명한다.
기울기 및 가속도 센서를 적용한 조종장치(180)는 내부에 조종장치(180)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기울기 측정부(184)와 가속도를 측정하는 가속도 측정부(185)를 포함하는 입력부(181)를 구비하고 있으며, 제어신호생성부(182) 및 무선통신이 가능한 제2통신부(183)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신호생성부(182)는 기울기 측정부(184)에서 측정된 기울기 값과, 가속도 측정부(185)에서 측정된 가속도를 이용하여 조종장치(180)의 기울어진 방향에 따라 바(111)의 이동방향을 생성하고, 기울어진 각도에 따라 바(111)의 이동거리를 생성하고, 기울어질 때의 가속도 값에 따라 바(111)의 이동속도를 생성한다.
기울기 측정부(184)에서는 좌우 뿐만 아니라 전후 기울기를 함께 측정할 수 있는데 다른 실시예에서 제어신호생성부(182)는 기울기 측정부(184)에서 측정된 좌우 기울기로 바(111)의 이동방향에 대한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기울어진 각도에 따라 바(111)의 이동거리를 생성하며, 전후 기울기로 바(111)의 이동 속도에 대한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이러한 경우 가속도 측정부(185)로 가속도를 측정할 필요없이 기울기 측정부(184)에서 측정한 좌우 및 전후 기울기 값 만으로 바(111)의 이동방향, 이동거리 및 이동속도에 대한 제어신호를 모두 생성할 수 있으므로 조종장치(180)를 좀더 간편하게 구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비용을 줄여 경제적인 효과를 증대시킬 수도 있다.
이렇게 생성된 바(111)의 이동방향, 이동거리, 이동속도에 대한 이동 제어신호를 제2통신부(183)를 통해 제1통신부(130)에 전송하면, 바구동부(140)는 제1통신부(130)로부터 바(111)의 이동 제어신호를 수신받아 바(111)를 이동시킨다.
즉, 사용자가 조종장치(180)를 기울이는 방향, 각도 및 속도에 따라 바(111)의 이동방향, 거리 및 속도를 제어하여 바(111)의 움직임을 좀더 정밀하게 제어하고 사용자의 움직임에 좀 더 연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조종장치(180)를 이용한 바(111)의 이동 및 속도 제어 방식은 이러한 예시에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실시 예로 구현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터치 패드와 같은 형태로 구현되어 손가락의 움직임에 따라 바(111)의 이동 방향, 거리 및 속도가 제어 될 수도 있으며, 조그셔틀이나 조이스틱을 제어하는 방향이나 속도에 따라 바(111)의 이동 방향, 거리 및 속도를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스마트폰과 같은 단말기에 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단말기에 설치되는 앱을 통해 게임 아이디 입력, 게임 캐릭터 설정, 게임 종류 선택, 네트워크 연동 등의 각종 기능들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이처럼 스마트폰과 같은 단말기를 조종장치(180)로 사용하는 경우, 제2통신부(183)는 앱을 구동시키는 서버와 통신을 실시하게 되고, 앱에서 선택되는 기능 및 입력되는 정보들은 제2통신부(183)를 통해 서버로 전송되며, 서버는 입력딘 정보를 저장하고 필요에 따라 다시 제2통신부(183)로 전송하여 표시부(120)에 정보를 표시하여 게임 사용자에게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바구동부(140)는 제1통신부(130)로부터 이동 제어신호를 수신받아 바(111)를 상면에서 좌우로 이동시키는데 이때, 바(111)를 이동시키는 구동방식으로 자석구동방식과, 레일구동방식 이 두가지 실시 예가 있다.
먼저 도 6에는 바구동부(140)의 자석구동방식에 대한 실시 예가 나타나있다.
도 6를 참조하면, 바구동부(140)는 제2자석(141), 제2마운트(142), 가이드 바(143), 제3가이드 레일(144) 및 제2구동부(14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2자석은 테이블 본체(110) 상면의 하단에 배치되며, 상면의 상단에 위치한 바를 자력으로 부착시키는 구성이다.
제2마운트(142)는 제2자석(141)을 포함하여 설치되고, 이러한 제2마운트는 가이드 바(143)에 의해 상하로 관통되어 설치되는데 가이드 바(143)는 테이블 본체(110) 내부 벽체에 상하로 고정되어 있다.
제3가이드 레일(144)는 일측이 제2마운트(142)에 고정되고 타측이 테이블 본체(110)의 내부 벽체에 구비된 가이드 홈(10)에 인입되어 있어, 가이드 홈(10)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면서 제2마운트(142)를 상하로 이동시키게 된다.
제2구동부(145)는 제1통신부(130)를 통해 이동 제어신호를 수신하면, 제3가이드 레일(144)를 상하로 이동시켜, 제2마운트(142)에 설치된 제2자석(141)을 이동 제어신호에 따라 이동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 상면에 위치한 바(111)는 제2자석(141)의 이동에 따라 상면에서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7에는 바구동부(140)의 레일구동방식에 대한 실시 예가 표시되어 있다.
도 7은 테이블 본체(110)의 긴축방향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을 참조하면, 바구동부(140)는 가이드홈(146), 제4가이드 레일(14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가이드홈(146)은 상면에 바(111)가 이동되는 영역을 따라 형성된 홈이며, 제4가이드 레일(147)은 이 가이드홈(146)을 따라 이동하고 제4가이드 레일(147)의 상면에 바(111)가 부착되어 제4가이드 레일(147)에 이동에 따라 상면에서 상하로 이동하게 되는 구조이다.
제3구동부(148)는 이동 제어신호에 따라 제4가이드 레일(147)을 이동시켜 바(111)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처럼 바구동부(140)는 다양한 실시 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바구동부(140)의 실시예는 본원발명의 도 6과 도 7에 나타낸 실시 예에 한정하지 않으며 또 다른 실시예에서 다른 구동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다양한 실시 예가 적용되는 게임용 스마트 테이블(100)을 통해 게임 사용자는 실제 테이블을 이용해 실감나는 퐁 게임을 즐길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가 혼합된 구성을 통해 현실 게임에 가상의 그래픽 이미지를 혼합하여 시각적인 흥미를 더 유발할 수 있는 게임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 예들의 내용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밝혀둔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비록 실시 예에 제시되지 않았지만 첨부된 청구항의 기재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본 발명에 대한 모조나 개량이 가능하며, 이들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함은 너무나 자명하다 할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게임용 스마트 테이블
110 : 테이블 본체 111 : 바
112 : 볼 120 : 표시부
130 : 제1통신부 140 : 바구동부
150 : 경로산출부 160 : 제1자석구동부
161 : 제1자석 162 : 제1마운트
163 : 제1가이드 레일 164 : 제2가이드 레일
165 : 제1구동부 170 : 이미지 처리부
180 : 조종장치 181 : 입력부
182 : 제어신호생성부 183 : 제2통신부

Claims (12)

  1. 상면의 좌우 양끝단에 각각 좌우로 이동가능한 바(Bar)가 배치되며, 상기 바에 부딪혀 상기 상면에서 좌우로 이동하는 볼이 배치되는 테이블 본체;
    사용자의 입력을 받아 상기 바를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조종장치;
    상기 테이블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조종장치로부터 상기 이동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제1통신부;
    상기 제1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상기 이동 제어신호를 판독하여 상기 두 개의 바 중 판독된 결과에 대응되는 바를 상하로 구동시키는 바구동부;
    상기 볼이 상기 바에 부딪히는 순간의 속도와 각도에 따라 상기 볼의 다음 이동경로를 산출하는 경로산출부;
    상기 상면의 하단에 배치되며, 상기 상면의 상단에 위치한 볼을 자력으로 부착시켜, 상기 경로산출부에 의해 산출된 상기 이동경로에 따라 상기 볼을 이동시키는 제1자석을 구비하여, 상기 제1자석을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자석구동부; 및
    상기 상면을 좌우로 나누는 중심선의 상단에 양면으로 디스플레이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각각의 디스플레이는 각각 상기 디스플레이가 표시되는 영역의 반대편영역으로 상기 볼이 이동되면 상기 반대편 영역과 그 영역에서의 상기 볼의 실시간 움직임을 그래픽으로 표시하는 표시부; 를 포함하는 게임용 스마트 테이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통신부는 상기 조종장치로부터 상기 바의 이동 방향, 이동 거리, 이동 속도를 각각 제어하는 이동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구동부는 상기 이동 제어신호에 포함된 상기 바의 이동 방향, 이동 거리 및 이동 속도에 따라 상기 바의 상하 이동을 제어하는 게임용 스마트 테이블.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산출부는 상기 볼이 상기 바에 부딪히는 순간 상기 볼의 속도 및 각도와, 상기 바의 속도 및 이동방향을 이용하여 상기 볼의 반사각 및 회전력을 산출한 후, 상기 반사각 및 회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볼의 다음 이동경로 및 속도를 산출하는 게임용 스마트 테이블.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자석구동부는,
    상기 제1자석이 설치된 제1마운트;
    상기 마운트를 좌우로 관통하는 제1가이드 레일;
    상기 마운트를 상하로 관통하는 제2가이드 레일; 및
    상기 제1가이드 레일과 상기 제2가이드 레일을 슬라이딩으로 이동시켜 상기 경로산출부에서 산출된 상기 이동경로에 따라 상기 제1자석을 이동시키는 제1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가이드 레일은 상기 상면의 하단에서 상하 방향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제2가이드 레일은 상기 상면의 하단에서 좌우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게임용 스마트 테이블.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테이블 본체의 좌우 양끝단에서 바라보는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상면 중 상기 표시부에 가려 보이지 않는 반대편으로 볼이 이동하면, 상기 테이블 본체의 반대편 영역과 상기 영역을 이동하는 볼과 상기 영역에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바의 영상을 그래픽으로 표시하는 게임용 스마트 테이블.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 중 상기 표시부에 가려 보이지 않는 영역의 좌표를 상기 표시부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맵핑시켜 그래픽으로 구현하고, 상기 경로산출부에서 산출된 볼의 이동경로가 상기 보이지 않는 영역에 속하면, 상기 볼의 이동경로에 따라 상기 볼의 움직임을 그래픽으로 구현하여 상기 표시부에 송신하는 이미지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게임용 스마트 테이블.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구동부는,
    상기 상면의 하단에 배치되며, 상기 상면의 상단에 위치한 바를 자력으로 부착시키는 제2자석;
    상기 제2자석이 설치된 제2마운트;
    상기 제2마운트를 상하로 관통하는 가이드 바;
    상기 가이드 바에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제2마운트와 상기 테이블 본체의 내부 벽체에 구비된 가이드 홈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2마운트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제3가이드 레일; 및
    상기 제3가이드 레일을 슬라이딩으로 이동시켜, 상기 이동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2자석을 이동시키는 제2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가이드 레일은 상기 상면의 하단에서 상하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게임용 스마트 테이블.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구동부는,
    상기 상면에 상기 바가 이동되는 영역을 따라 형성된 가이드 홈;
    상기 바에 부착되어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되는 제4가이드 레일; 및
    상기 제4가이드 레일을 슬라이딩으로 이동시켜, 상기 이동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바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제3구동부; 를 포함하는 게임용 스마트 테이블.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종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입력을 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을 이용해 상기 바의 이동 방향, 이동 거리 및 이동 속도를 포함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신호생성부;
    상기 생성된 제어신호를 상기 제1통신부에 송신하는 제2통신부; 를 포함하는 게임용 스마트 테이블.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기울기 및 가속도 센서, 터치패드, 조이스틱, 조그셔틀 중 어느 하나인 게임용 스마트 테이블.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종장치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게임 모드에 대한 선택을 입력으로 받으며, 상기 조종장치에서 상기 게임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표시부에 상기 선택된 게임 모드에 대응되는 대전상대가 적어도 하나 이상 표시되고, 상기 조종장치는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상대 대전상대 중 어느 하나의 대전상대를 선택하는 게임용 스마트 테이블.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종장치에서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대전상대 중 컴퓨터가 대전상대로 선택되면, 상기 제1통신부는 상기 사용자의 대전상대에 대한 이동 제어신호를 상기 조종장치가 아닌 외부의 서버로부터 수신받아 상기 바구동부에 전송하는 게임용 스마트 테이블.
KR1020170153199A 2017-11-16 2017-11-16 게임용 스마트 테이블 KR1019924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3199A KR101992421B1 (ko) 2017-11-16 2017-11-16 게임용 스마트 테이블
PCT/KR2018/014074 WO2019098737A1 (ko) 2017-11-16 2018-11-16 게임용 스마트 테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3199A KR101992421B1 (ko) 2017-11-16 2017-11-16 게임용 스마트 테이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6108A KR20190056108A (ko) 2019-05-24
KR101992421B1 true KR101992421B1 (ko) 2019-06-24

Family

ID=66539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3199A KR101992421B1 (ko) 2017-11-16 2017-11-16 게임용 스마트 테이블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92421B1 (ko)
WO (1) WO201909873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51569A (zh) * 2022-05-25 2022-11-01 张雨欣 一种智慧办公多投影位会议桌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217654A (ja) 2013-05-10 2014-11-20 株式会社タイトー ゲーム機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1031B1 (ko) 2000-06-14 2002-11-18 한국과학기술원 로봇축구게임장치
US7901290B2 (en) * 2004-08-16 2011-03-08 Robert Temple Table game
KR20070000904U (ko) 2007-07-19 2007-08-14 오인채 손축구게임세트
ES2374851T3 (es) * 2008-02-13 2012-02-22 Gerhard Kammerl Aparato para un juego de bolas de mesa.
KR101694772B1 (ko) * 2015-04-27 2017-01-10 최승신 골프스윙분석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217654A (ja) 2013-05-10 2014-11-20 株式会社タイトー ゲーム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98737A1 (ko) 2019-05-23
KR20190056108A (ko) 2019-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36772B2 (ja) プログラム及びゲーム装置
JP5436773B2 (ja) プログラム及びゲーム装置
US6767282B2 (en) Motion-controlled video entertainment system
Oda et al. Developing an augmented reality racing game
US9033795B2 (en) Interactive music game
JP5286267B2 (ja) ゲーム装置、ゲームプログラム及びオブジェクトの操作方法
JP3836154B2 (ja) スキーシュミレーション装置
US6347999B1 (en) Pinball simulator game system
KR100889786B1 (ko) 화상처리장치 및 게임장치
US20110172017A1 (en) Game machine, game program, and game machine control method
US10328339B2 (en) Input controller and corresponding game mechanics for virtual reality systems
KR101068726B1 (ko) 스크린 골프의 게임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9636578B1 (en) Golf club simulation apparatus
JP2012101026A (ja) プログラム、情報記憶媒体、ゲーム装置及びサーバシステム
KR101712836B1 (ko)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가상 골프를 위한 영상 구현 방법 및 이를 기록한 컴퓨팅 장치에 의해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JP3119263B1 (ja) ゲーム装置、ゲーム装置の制御方法、及びゲームの画面表示方法
KR101992421B1 (ko) 게임용 스마트 테이블
KR102127373B1 (ko) 스마트 게임 시스템
KR102127374B1 (ko) 스마트 게임 시스템
KR101843107B1 (ko) 리얼 그린을 구비한 스크린 골프 시스템
JP5190425B2 (ja) ゲーム制御プログラム、ゲーム装置、及びゲーム制御方法
JP2015008987A (ja) プログラムおよびゲーム装置
JP5452887B2 (ja) ゲーム装置、ペン入力デバイス
JP2010233751A (ja) プログラム、情報記憶媒体及び画像生成システム
KR100856927B1 (ko) 컴퓨터용 골프게임에서 그린면의 경사도를 표시하는 방법, 장치 및 이를 실행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