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0966B1 - 자동차의 컵홀더에 설치되는 탈부착식 팔걸이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컵홀더에 설치되는 탈부착식 팔걸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0966B1
KR101990966B1 KR1020180008679A KR20180008679A KR101990966B1 KR 101990966 B1 KR101990966 B1 KR 101990966B1 KR 1020180008679 A KR1020180008679 A KR 1020180008679A KR 20180008679 A KR20180008679 A KR 20180008679A KR 101990966 B1 KR101990966 B1 KR 1019909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cylinder
vertical stand
cup holder
vehicle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86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지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산에프앤티
유지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산에프앤티, 유지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산에프앤티
Priority to KR10201800086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09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09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09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9Adaptations for additional use of the arm-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8Disposition of racks, clips, holders, containers or the like for supporting specific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컵홀더에 설치되는 탈부착식 팔걸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 자동차 실내에 해당하는 운전석 우측에는 컵홀더가 구비되어 있으나 팔걸이가 없는 자동차가 있다.
이를 감안하여 본 발명은 컵홀더에 착탈가능한 팔걸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의해 팔걸이를 제공하면 차량에 손상을 주지 않고 설치 및 분리가 간편함은 물론 핸들을 조작하는 운전자의 팔을 편안하게 지지하여 장시간 운전에 따른 피로누적 및 근육통, 관절염과 같은 직업병으로부터 운전자를 보호하여 안전운전을 도모할 수 있다.
구성은 다음과 같다.
컵홀더(1)에 수용되는 고정통(3)과, 상기 고정통(3) 내부 상단과 수직대(4) 하단이 나사결합되고 수직대 상단은 팔을 지지하는 팔받침대(5)가 연결되며,
상기 고정통(3)의 내 외벽 원주연에 돌출부(6)를 형성하여
상기 수직대 하단을 상기 고정통(3)에 나사결합 할 경우 상기 고정통(3)의 내측 돌출부(6)가 상기 수직대(4)의 외측 원주연에 의해 압박을 받아 상기 고정통(3)이 팽창하면서 외측 돌기(6')가 컵홀더(1)의 내벽을 압박하는 구성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컵홀더에 설치되는 탈부착식 팔걸이{ARMRES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컵홀더에 설치되는 탈부착식 팔걸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 자동차 실내에 해당하는 운전석 우측에는 컵홀더가 구비되어 있으나 팔걸이가 없는 자동차가 있다.
이를 감안하여 본 발명은 컵홀더에 착탈가능한 팔걸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의해 팔걸이를 제공하면 차량에 손상을 주지 않고 설치 및 분리가 간편함은 물론 핸들을 조작하는 운전자의 팔을 편안하게 지지하여 장시간 운전에 따른 피로누적 및 근육통, 관절염과 같은 직업병으로부터 운전자를 보호하여 안전운전을 도모할 수 있다.
통상 운전자는 왼손으로 핸들을 제어하고, 나머지 한손인 오른손을 이용하여 기어봉을 조작하여 자동차를 운전하지만, 근자에는 자동변속기의 도입으로 수시로 자동차속도에 대응하여 수동으로 기어를 변속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간소화되므로
운전이 보다 간편하게 편리하게 이루어진다. 그러나 왼손은 여전히 핸들을 잡고 자동차의 진행방향을 제어해야 하므로 팔의 근력이 약한 여성운전자나 노약자의 경우 쉽게 피로해져 장시간 운전하지 못함은 물론 이를 무시하고 운전을 생계수단으로 하는 버스, 택시, 화물차 기사들은 장거리 주행에 따른 피로누적으로 근육통, 관절염, 혈액순환장애로 인한 팔절임 등과 같이 직업병으로 인한 고충이 점점 심화되어가고 있다.
이에 자동차업계에서는 운전자의 왼 팔꿈치를 거치한 상태로 핸들을 조작할 수 있도록 운전석도어의 내측면을 볼록하게 돌출시키고, 상면을 평평하게 형성한 팔거치대를 구비하지만,
1톤 하물차의 경우 운전대 오른쪽 방향에 컵홀더는 있으나 팔거치대가 별도로 없어 애로사항에 있다.
팔거치대가 구비된 화물차의 경우 운전자의 체형에 따라 팔거리대의 각도가 조절되는 팔걸이대가 없어 사실상 무용지물이나 다름없는 실정이다. 다시 말해, 운전자의 습관에 따라 팔거리 방향(각도)이 다르므로 이에 대응해야 한다.
고정식(팔거리 수평방향으로 각도조절부분에 해당하는 경우) 팔거리만 하고 있는 실정이다.
참고로, 운전석 좌측에 팔걸이가 있는 경우 운전자가 운전석에 승하차 시 수시로 팔걸이를 접철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함께 교통사고로 인한 화재나 물에 침수 시 팔걸이가 비상탈출의 걸림돌이 되므로 운전자들이 설치를 기피하는 실정이다.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해 팔걸이를 제공하면 차량에 손상을 주지 않고 설치 및 분리가 간편함은 물론 핸들을 조작하는 운전자의 팔을 편안하게 지지하여 장시간 운전에 따른 피로누적 및 근육통, 관절염과 같은 직업병으로부터 운전자를 보호하여 안전운전을 도모할 수 있다.
특히 팔받침대가 소장각도 회전 후 원위치되는 구성을 제공하여 안전운전이 되돌고한다.
그리고 컵홀더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구성을 목적으로 한다.
첨부한 도면에 의해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컵홀더(1)에 수용되는 고정통(3)과, 상기 고정통(3) 내부 상단과 수직대(4) 하단이 나사결합되고 수직대 상단은 팔을 지지하는 팔받침대(5)가 연결되며,
상기 고정통(3)의 내 외벽 원주연에 돌출부(6)를 형성하여
상기 수직대 하단을 상기 고정통(3)에 나사결합 할 경우 상기 고정통(3)의 내측 돌출부(6)가 상기 수직대(4)의 외측 원주연에 의해 압박을 받아 상기 고정통(3)이 팽창하면서 외측 돌기(6')가 컵홀더(1)의 내벽을 압박하는 구조이다.
상기 수직대(4) 하단은 원주연의 중앙으로 갈수록 점차 지름이 좁아지는 경사각을 형성하여 상기 돌출부(6)를 경사각이 내려가면서 압박하는 구성이다.
상기 수직대(4)와 상기 팔받침대(5)의 연결은 팔받침대(5)가 수직대(4) 상단에서 코일스프링(10)에 의해 수평으로 소정각도 회전 후 원위치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직대(4) 상단 원주연 벽면에 상하 이동하는 잠금돌기(15)를 형성하되 상기 잠금돌기(25)는 수직대(4) 상측에서 상하로 이동하도록 하고 상기 팔받침대(5)는 상기 잠금돌기(15)가 상승하면 끼워지는 복수의 홈(16)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 의해 팔걸이를 제공하면 차량에 손상을 주지 않고 설치 및 분리가 간편함은 물론 핸들을 조작하는 운전자의 팔을 편안하게 지지하여 장시간 운전에 따른 피로누적 및 근육통, 관절염과 같은 직업병으로부터 운전자를 보호하여 안전운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하되,
특히, 팔받침대가 소장각도 회전 후 원위치되는 구성을 제공하여 안전운전이 되도록 한다. 그리고 컵홀더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자동차의 컵홀더에 설치되는 탈부착식 팔걸이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자동차의 컵홀더에 설치되는 탈부착식 팔걸이의 또 다른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사시도.
첨부한 도면에 의해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컵홀더(1)에 수용되는 고정통(3)과, 상기 고정통(3) 내부 상단과 수직대(4) 하단이 나사결합되고 수직대 상단은 팔을 지지하는 팔받침대(5)가 연결되며,
상기 고정통(3)의 내 외벽 원주연에 돌출부(6)를 형성하여
상기 수직대 하단을 상기 고정통(3)에 나사결합 할 경우 상기 고정통(3)의 내측 돌출부(6)가 상기 수직대(4)의 외측 원주연에 의해 압박을 받아 상기 고정통(3)이 팽창하면서 외측 돌기(6')가 컵홀더(1)의 내벽을 압박하는 구조이다.
상기 수직대(4) 하단은 원주연의 중앙으로 갈수록 점차 지름이 좁아지는 경사각을 형성하여 상기 돌출부(6)를 경사각이 내려가면서 압박하는 구성이다.
상기 수직대(4)와 상기 팔받침대(5)의 연결은 팔받침대(5)가 수직대(4) 상단에서 코일스프링(10)에 의해 수평으로 소정각도 회전 후 원위치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직대(4) 상단에 팔받침대(5) 하단에 형성한 구멍(5')에 끼워지고 수직대(4) 상단에 코일스프링(10) 일측을 연결하고 상기 코일스프링(10) 타측 연장부가 상기 팔받침대(5)의 전방에 연결함으로서 팔받침대(5)가 상기 수직대(4)를 중심축으로 하여 소정각도 회전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운전자가 팔받침대(5)에 팔을 올려놓고 팔을 이리저리 움직이면 팔받침대가 소정각도 회전하므로 고정식과 비교할 경우 팔 받침이 편리하다.
그 후 팔이 팔받침대(5)에서 벗어나면 코일스프링(10)의 복원력에 의해 팔받침대(5)는 원위치된다.
이처럼 항상 원위치되므로 운전자는 팔받침대(5)를 눈으로 확인하지 않아도 숙달되면 팔은 항상 동일한 위치로 가게된다.
여기서 참고로 본 발명은 팔꿈치부터 팔목 가까이 받쳐주는 팔받침대(5) 이므로 팔받침대가 원위치로 되돌아오지 않으면 운전중 팔받침대(5)를 확인해야 하는 번거러움이 있다. 이로 인해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상기 수직대(4) 상단 원주연 벽면에 상하 이동하는 잠금돌기(15)를 형성하되 상기 잠금돌기(15)는 수직대(4) 상측에서 상하로 이동하도록 하고 상기 팔받침대(5)는 상기 잠금돌기(15)가 상승하면 끼워지는 복수의 홈(16)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한 이유는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팔받침대(5)를 회전시켜 상태에서 고정하고자 하는 운전자를 위해 마련한 것이다.
이처럼 운전자가 원하는 각도로 회전시켜 그 각도에서 고정하면 된다.
상기 수직대(4) 상측에 관통공(61)을 형성하여 방향제(60)의 향이 배출되도록하고 상기 수직대 하단 내부에 방향제가 수용되는 구성이다.
상기 팔받침대(5)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상기 팔받침대(5)의 평면에 가이드되는 팔받침대연장부(5a)를 갖는 구성이다.
이처럼 팔받침대연장부(5a)를 갖도록 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손목까지 받침할 수 있어 편리하다.
1 : 컵홀더 3 : 고정통
4 : 수직대 5 : 팔받침대
5': 구멍 5a: 팔받침대연장부
6 : 돌출부 6': 돌기
10 : 코일스프링 15 : 잠금돌기
16 : 홈 60 : 방향제
61 : 관통공

Claims (4)

  1. 컵홀더(1)에 수용되는 고정통(3)과, 상기 고정통(3) 내부 상단과 수직대(4) 하단이 나사결합되고 수직대 상단은 팔을 지지하는 팔받침대(5)가 연결되며,
    상기 고정통(3)의 내 외벽 원주연에 돌출부(6)를 형성하여
    상기 수직대 하단을 상기 고정통(3)에 나사결합 할 경우 상기 고정통(3)의 내측 돌출부(6)가 상기 수직대(4)의 외측 원주연에 의해 압박을 받아 상기 고정통(3)이 팽창하면서 외측 돌기(6')가 컵홀더(1)의 내벽을 압박하는 구성을 포함한 것에 있어서,
    상기 수직대(4)와 상기 팔받침대(5)의 연결은 팔받침대(5)가 수직대(4) 상단에서 코일스프링(10)에 의해 수평으로 소정각도 회전 후 원위치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컵홀더에 설치되는 탈부착식 팔걸이.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수직대(4) 상단 원주연 벽면에 상하 이동하는 잠금돌기(15)를 형성하되 상기 잠금돌기(15)는 수직대(4) 상측에서 상하로 이동하도록 하고 상기 팔받침대(5)는 상기 잠금돌기(15)가 상승하면 끼워지는 복수의 홈(16)을 형성한 구성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컵홀더에 설치되는 탈부착식 팔걸이.
  4. 삭제
KR1020180008679A 2018-01-24 2018-01-24 자동차의 컵홀더에 설치되는 탈부착식 팔걸이 KR1019909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8679A KR101990966B1 (ko) 2018-01-24 2018-01-24 자동차의 컵홀더에 설치되는 탈부착식 팔걸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8679A KR101990966B1 (ko) 2018-01-24 2018-01-24 자동차의 컵홀더에 설치되는 탈부착식 팔걸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0966B1 true KR101990966B1 (ko) 2019-09-30

Family

ID=68098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8679A KR101990966B1 (ko) 2018-01-24 2018-01-24 자동차의 컵홀더에 설치되는 탈부착식 팔걸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09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2246U (ko) 2022-05-18 2023-11-27 주식회사 대신폴리텍 차량 주차 브레이크용 암레스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7675A (ko) * 2004-10-28 2006-05-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컵 홀더 삽입형 컵 어댑터
KR20160000571U (ko) * 2014-08-08 2016-02-17 이재준 자동차용 팔걸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7675A (ko) * 2004-10-28 2006-05-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컵 홀더 삽입형 컵 어댑터
KR20160000571U (ko) * 2014-08-08 2016-02-17 이재준 자동차용 팔걸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2246U (ko) 2022-05-18 2023-11-27 주식회사 대신폴리텍 차량 주차 브레이크용 암레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13675A (en) Interiorly adjustable outside rear view mirror for vehicles
KR101990966B1 (ko) 자동차의 컵홀더에 설치되는 탈부착식 팔걸이
USD877691S1 (en) Vehicle center console
CN111824032B (zh) 便携式终端设置系统、操控系统、保护系统以及方向盘
US2763188A (en) Rear vision mirror assembly
US20200001764A1 (en) Leg support for vehicle seat
US8939514B2 (en) Leg support for vehicle occupant
US6312039B1 (en) Ergonomic accelerator block
CN110316080B (zh) 车辆、车载显示终端系统及其控制方法
KR20070111315A (ko) 길이가 조절되는 버스 손잡이
US20180290572A1 (en) Padding and/or Expandable Armrest Integrated Into Upper Door of Vehicle
US1703704A (en) Automobile mirror
US5412511A (en) Holding device for interior mirrors in vehicles
EP0334416A1 (en) Internal rearview mirror with an adjustable support for motor vehicles
RU73289U1 (ru) Наружное зеркало заднего вида легкового автомобиля
GB2579542A (en) Vehicle seat support assembly
KR0125229Y1 (ko) 자동차용 시트의 높낮이 조절 장치
CN218085357U (zh) 车载显示装置
ITTO950123U1 (it) Appoggiabraccia centrale per sedili di autoveicoli, particolarmente autovetture.
KR101374620B1 (ko) 자동차 실내용 백밀러
USD860123S1 (en) Center console for automobile
CN109606705B (zh) 飞机油门台
JPH038513Y2 (ko)
KR0114247Y1 (ko) 자동차용 보조제동등
KR19990034578A (ko) 높낮이 조절형 아암레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