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0571U - 자동차용 팔걸이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팔걸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0571U
KR20160000571U KR2020140005974U KR20140005974U KR20160000571U KR 20160000571 U KR20160000571 U KR 20160000571U KR 2020140005974 U KR2020140005974 U KR 2020140005974U KR 20140005974 U KR20140005974 U KR 20140005974U KR 20160000571 U KR20160000571 U KR 2016000057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
armrest
support
arm
lower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59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준
Original Assignee
이재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준 filed Critical 이재준
Priority to KR20201400059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0571U/ko
Publication of KR2016000057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057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60R5/0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도어트림에 팔걸이를 탈부착 할 수 있도록 구현된 자동차용 팔걸이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팔을 받치기 위한 팔 받침부; 상기 팔 받침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팔 받침부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하부에 형성되며, 자동차의 도어트림에 삽입되어 상기 도어트림과 탈부착하기 위한 탈부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팔걸이 {Automobile arm hanger}
본 고안은 자동차용 팔걸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도어트림에 팔걸이를 탈부착 할 수 있도록 구현된 자동차용 팔걸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팔걸이는 좌석의 측면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팔을 받쳐 편안하게 지지해줌으로써, 피로누적, 관절염 등과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 사용자에게 안락함을 제공하기 위한 도구이다.
통상 운전자는 왼손으로 핸들을 제어하고, 오른손을 이용하여 기어봉을 조작하여 차량을 운전하지만, 차량의 앞좌석에는 운전자의 팔을 받쳐주기 위한 팔걸이가 별도로 설치되어 있지 않다. 도어 내측면이 볼록하게 돌출되어 있지만, 팔을 거치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따라서 대부분의 운전자는 창문을 내려 창틀에 팔을 거치하거나, 쿠션 등과 같은 별도의 도구를 이용하여 팔을 받쳐 사용하고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134975호(1998.10.27 등록)는 운전석 쪽 도어에 설치되는 팔걸이가 운전자의 팔이 걸침에 따른 무게에 의해 상하로 움직이도록 함으로서, 운전자가 보다 편안함을 취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팔걸이 취부구조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 기재된 기술에 따르면, 자동차 도어 내측에 설치되며 탑승자의 편리함을 제공하기 위한 팔걸이에 있어서, 팔걸이의 상부가 중공을 이루며 이 팔걸이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커버와; 커버의 일단을 팔걸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축과; 이 고정축의 아랫면에 커버의 상하동작에 따라 부세력을 갖도록 한 탄성체가 설치되며, 고정축과 수평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부와; 이 지지부 일단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안내핀과; 이 안내핀은 상기 고정축으로 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 커버에 형성된 호형상의 안내구멍을 따라 유동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00106호(2005.10.26 등록)는 자동차의 도어에 설치되는 탈부착식 팔걸이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 기재된 기술에 따르면, 자동차용 팔걸이에 있어서, 하부가 밀폐된 파이프형태로 제작되어 중앙에 삽입공을 형성하되, 선단에 고정볼트가 삽입공으로 돌출되도록 나사 체결되고, 하단에 스톱볼트가 나사 결합되어 집개를 회동가능하게 구비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삽입공에 수용되도록 환봉형태로 제작되고, 고정볼트와 대응하는 외경부 일측에 "<"자 형태로 함몰된 고정홈이 다수로 형성되는 이송봉; 및 상기 이송봉의 선단에서 운전자의 팔을 지지하도록 완충재를 이용하여 유선형의 판 형태로 제작되어 설치되는 쿠션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서는 팔걸이를 자동차의 도어트림에 나사 등으로 고정 설치하여 차량이 손상되는 것이 대부분이며, 도어트림과 탈부착 가능하더라도 볼트 및 클램프를 이용하여 탈부착 하는 형태로 설치하고 분리할 때에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기술에서는 팔걸이를 사용자의 신체조건 또는 사용자의 자세에 따라 원하는 위치로 조절할 때, 팔 받침부가 수평을 유지할 수 없기 때문에 팔을 거치하는 데 불편함이 있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134975호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00106호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불편함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자동차의 도어트림에 팔걸이를 탈부착 할 수 있으며, 팔걸이를 슬라이드 시켜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현된 자동차용 팔걸이를 제공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본 고안의 한 특징에 따르면, 사용자의 팔을 받치기 위한 팔 받침부; 상기 팔 받침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팔 받침부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하부에 형성되며, 자동차의 도어트림에 삽입되어 상기 도어트림과 탈부착하기 위한 탈부착부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팔걸이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탈부착부는, 상기 도어트림에 삽입하기 위한 삽입부재; 및 상기 삽입부재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삽입부재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지지부는,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낮이 조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높낮이 조절부재는, 측면에 다수 개의 홀을 형성하는 제1 기둥; 측면에 다수 개의 홈을 형성하며, 상기 제1 기둥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제2 기둥; 및 상기 홀과 상기 홈 사이를 서로 결합시켜 상기 제1 기둥과 상기 제2 기둥을 고정시키기 위한 높낮이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팔 받침부와 상기 지지부 사이에 형성되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하기 위한 슬라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슬라이드부는, 상기 지지부의 상부 양측에 형성되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안내하기 위한 전후 슬라이드 안내부재; 및 상기 팔 받침부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전후 슬라이드 안내부재에 삽입되어, 상기 팔 받침부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하기 위한 전후 슬라이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슬라이드부는, 상기 전후 슬라이드 안내부재에 전후 방향으로 형성된 요철 형상의 패턴부재; 및 상기 전후 슬라이드 부재에 형성되며, 상기 패턴부재의 오목한 부분에 삽입되어 고정시키기 위한 슬라이드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탈부착부의 상부에 연결 형성되는 제1 연결부재; 상기 팔 받침부의 하부에 연결 형성되는 제2 연결부재; 및 상기 제1 연결부재와 상기 제2 연결부재 사이에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3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2 연결부재와 상기 제3 연결부재 사이에 형성되어,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하기 위한 좌우 슬라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좌우 슬라이드부는, 상기 제3 연결부재의 상부 양측에 형성되어,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안내하기 위한 좌우 슬라이드 안내부재; 및 상기 제2 연결부재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좌우 슬라이드 안내부재에 삽입되어, 상기 팔 받침부를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하기 위한 좌우 슬라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팔 받침부의 하부를 공기 흡착을 통해 고정시킴으로써, 자동차의 도어트림에 간편하게 탈부착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팔 받침부를 전후 및 좌우로 슬라이드 시킴으로써, 팔 받침부가 수평을 유지하면서 사용자의 신체조건 또는 사용자의 자세에 따라 위치를 알맞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편리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용 팔걸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용 팔걸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지지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있는 슬라이드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용 팔걸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용 팔걸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고안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에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를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고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구명조끼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용 팔걸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자동차용 팔걸이(10)는, 팔 받침부(100), 지지부(200), 탈부착부(300)를 포함한다.
팔 받침부(100)는, 하부에 지지부(200)를 형성하며, 사용자의 팔을 받친다.
일 실시 예에서, 팔 받침부(100)는, 사용자의 팔 형태에 따라 상부가 오목한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팔 받침부(100)는, 사용자의 팔을 편안하게 받치기 위해 상부면에 쿠션을 구비할 수 있다.
지지부(200)는, 팔 받침부(100)의 하부에 형성되고, 하부에 탈부착부(300)를 구비한다. 이때, 지지부(200)는 탈부착부(300)를 이용하여 자동차의 도어트림(50)에 설치한 후 사용자가 팔을 올렸을 때에 팔 받침부(100)를 지지한다.
일 실시 예에서, 지지부(200)는, 높낮이 조절부재를 형성하여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지지부(200)는, 가볍고 튼튼한 재질(예를 들어, 합성수지재, 플라스틱 등)로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지지부(200)는, 원기둥, 사각기둥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탈부착부(300)는, 지지부(200)의 하부에 형성되며, 자동차의 도어트림(50)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어, 도어트림(50)과 탈부착한다.
일 실시 예에서, 탈부착부(300)는, 운전석의 도어트림(50) 뿐만 아니라, 조수석 또는 뒷좌석의 도어트림에도 설치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자동차용 팔걸이(10)는, 팔 받침부(100)의 하부에 탈부착부(300)를 형성함으로써, 탈부착부(300)를 자동차의 도어트림(50)에 삽입하여 간편하게 탈부착 할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용 팔걸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자동차용 팔걸이(10)는, 삽입부재(310), 고정부재(320)를 포함한다.
삽입부재(310)는, 지지부(200)의 하부에 형성되며, 하부에 고정부재(320)를 구비하여 자동차의 도어트림(50)에 삽입한다.
고정부재(320)는, 삽입부재(310)의 하부에 형성되며, 공기 흡착을 이용하여 자동차의 도어트림(50)에 탈부착한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부재(320)는, 하부 측면에 형성되어, 자동차의 도어트림(50)에 형성된 홈의 측면에 탈부착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부재(320)는, 밀착력이 우수한 고무로 형성될 수 있으며, 고무 외에도 실리콘 등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부재(320)는, 자동차의 도어트림(50)에 단단하게 고정하기 위해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자동차용 팔걸이(10)는, 슬라이드부(400)를 더 포함한다.
슬라이드부(400)는, 팔 받침부(100)와 지지부(200) 사이에 형성되어, 팔 받침부(100)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자동차용 팔걸이(10)는, 팔 받침부(100)의 위치를 슬라이드부(400)를 통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시킴으로써, 팔 받침부의 수평을 유지하면서 사용자의 신체조건 또는 사용자의 자세에 따라 위치를 알맞게 조절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있는 지지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지지부(200)는, 높낮이 조절부재(210)를 포함한다.
높낮이 조절부재(210)는, 지지부(200)에 형성되어, 높낮이를 조절한다.
일 실시 예에서, 높낮이 조절부재(210)는, 제1 기둥(212), 제2 기둥(214), 높낮이 고정부재(21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둥(212)은, 측면에 다수 개의 홀(211)을 형성하며, 내부에 제2 기둥(214)을 삽입한다.
제2 기둥(214)은, 홀(211)과 대향하는 위치에 해당하는 측면에 다수 개의 홈(213)을 형성하며, 제1 기둥(212)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한다.
높낮이 고정부재(215)는, 홀(211)과 홈(213) 사이를 서로 결합시켜 제1 기둥(212)과 제2 기둥(214) 사이를 고정한다.
일 실시 예에서, 높낮이 고정부재(215)는, 체결할 수 있는 구조(예를 들어, 볼트, 스위치 등)로 형성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있는 슬라이드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슬라이드부(400)는, 전후 슬라이드 안내부재(410), 전후 슬라이드부재(420)를 포함한다.
전후 슬라이드 안내부재(410)는, 지지부(200)의 상부 양측에 형성되어, 전후 슬라이드부재(420)가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전후 슬라이드부재(420)는, 팔 받침부(100)의 하부에 형성되며, 전후 슬라이드 안내부재(410)에 삽입되어, 팔 받침부(100)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슬라이드부(400)는, 패턴부재(430), 고정부재(440)를 더 포함한다.
패턴부재(430)는, 전후 슬라이드 안내부재(410)에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며, 요철 형상의 패턴으로 구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패턴부재(430)는, 슬라이드 고정부재(440)가 볼록한 부분에 위치하면 슬라이드 되고, 전후 슬라이드부재(420)가 정지하였을 때 슬라이드 고정부재(440)가 오목한 부분에 위치하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슬라이드 고정부재(440)는, 전후 슬라이드부재(420)에 형성되며, 패턴부재(430)의 오목한 부분에 삽입되어 전후 슬라이드부재(420)를 고정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슬라이드 고정부재(440)는, 스프링, 구슬로 형성될 수 있다. 스프링이 전후 슬라이드부재(420)의 내측에 형성되며, 스프링의 일 말단은 전후 슬라이드부재(420)와 체결하고, 스프링의 다른 일 말단은 구슬과 체결할 수 있다. 따라서 전후 슬라이드부재(420)가 전후 슬라이드 안내부재(410)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할 때에, 패턴부재(430)의 볼록한 부분에 의해 구슬이 눌려 스프링이 탄성 압축되며, 볼록한 부분을 지나 오목한 부분에 배치되면 구슬이 오목한 부분에 삽입되어, 전후 슬라이드부재(42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슬라이드 고정부재(440)는 한 개 또는 그 이상의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용 팔걸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지지부(200)는, 제1 연결부재(220), 제2 연결부재(230), 제3 연결부재(240)를 포함한다.
제1 연결부재(220)는, 탈부착부(300)의 상부에 수직 방향으로 연결 형성되며, 상부가 제3 연결부재(240)와 연결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연결부재(220)는, 상하 방향으로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낮이 조절부재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연결부재(230)는, 팔 받침부(100)의 하부에 수직 방향으로 연결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연결부재(230)는, 상하 방향으로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낮이 조절부재를 형성할 수 있다.
제3 연결부재(240)는, 제1 연결부재(220)의 상부와 제2 연결부재(230)의 하부 사이에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지지부(200)는, 좌우 슬라이드부(500)를 더 포함한다.
좌우 슬라이드부(500)는, 제2 연결부재(230)와 제3 연결부재(240) 사이에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어, 팔 받침부(100)를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좌우 슬라이드부(500)는, 좌우 슬라이드 안내부재(510), 좌우 슬라이드부재(520)를 포함한다.
좌우 슬라이드 안내부재(510)는, 제3 연결부재(240)의 상부 양측에 형성되어, 좌우 슬라이드부재(520)가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일 실시 예에서, 좌우 슬라이드 안내부재(510)는, 좌우 방향으로 형성되는 요철 형상의 패턴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패턴은 고정부재가 볼록한 부분에 위치하면 슬라이드 되고, 좌우 슬라이드부재(520)가 정지하였을 때 고정부재가 오목한 부분에 위치하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좌우 슬라이드부재(520)는, 제2 연결부재(230)의 하부에 형성되며, 좌우 슬라이드 안내부재(520)에 삽입되어, 팔 받침부(100)를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좌우 슬라이드부재(520)는, 좌우 슬라이드 안내부재(510)에 형성된 패턴의 오목한 부분에 삽입되어, 좌우 슬라이드부재(520)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고정부재는 스프링, 구슬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스프링이 좌우 슬라이드부재(520)의 내측에 형성되며, 스프링의 일 말단은 좌우 슬라이드부재(520)와 체결하고, 스프링의 다른 일 말단은 구슬과 체결할 수 있다. 좌우 슬라이드부재(520)가 좌우 슬라이드 안내부재(510)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할 때에, 좌우 슬라이드 안내부재(510)에 형성된 패턴의 볼록한 부분에 의해 구슬이 눌려 스프링이 탄성 압축되며, 볼록한 부분을 지나 오목한 부분에 배치되면 구슬이 오목한 부분에 삽입되어, 좌우 슬라이드부재(520)를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부재는 한 개 또는 그 이상의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자동차용 팔걸이(10)는, 팔 받침부(100)를 슬라이드부(400)를 통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시키고, 팔 받침부(100)를 좌우 슬라이드부(500)를 통해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시킴으로써, 팔 받침부의 수평을 유지하면서 사용자의 신체조건 또는 사용자의 자세에 따라 위치를 알맞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편리하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용 팔걸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자동차용 팔걸이(10)는, 지지부(200)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1 힌지부재(610), 지지부(200)의 상부와 슬라이드부(400) 사이에 형성되는 제2 힌지부재(620)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힌지부재(610)를 통하여 지지부(200)를 회동시켜 팔 받침부(100)를 사용자 쪽으로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지지부(200)를 회동시키면 팔 받침부(100)도 함께 기울어져 팔을 올리기 불편한 형태가 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지지부(200)의 상부와 슬라이드부(400) 사이에도 제2 힌지부재(620)를 형성함으로써, 팔 받침부(100)의 수평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팔을 거치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고안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 자동차용 팔걸이
100 : 팔 받침부
200 : 지지부
210 : 높낮이 조절부재
211 : 홀
212 : 제1 기둥
213 : 홈
214 : 제2 기둥
215 : 높낮이 고정부재
220 : 제1 연결부재
230 : 제2 연결부재
240 : 제3 연결부재
300 : 탈부착부
310 : 삽입부재
320 : 고정부재
400 : 슬라이드부
410 : 전후 슬라이드 안내부재
420 : 전후 슬라이드부재
430 : 패턴부재
440 : 슬라이드 고정부재
500 : 좌우 슬라이드부
510 : 좌우 슬라이드 안내부재
520 : 좌우 슬라이드부재
600 : 제1 힌지부재
610 : 제2 힌지부재

Claims (10)

  1. 사용자의 팔을 받치기 위한 팔 받침부(100);
    상기 팔 받침부(100)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팔 받침부(10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200); 및
    상기 지지부(200)의 하부에 형성되며, 자동차의 도어트림(50)에 삽입되어 상기 도어트림(50)과 탈부착하기 위한 탈부착부(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팔걸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부착부(300)는,
    상기 도어트림(50)에 삽입하기 위한 삽입부재(310); 및
    상기 삽입부재(310)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삽입부재(310)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팔걸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200)는,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낮이 조절부재(2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팔걸이.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높낮이 조절부재(210)는,
    측면에 다수 개의 홀(211)을 형성하는 제1 기둥(212);
    측면에 다수 개의 홈(213)을 형성하며, 상기 제1 기둥(212)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제2 기둥(214); 및
    상기 홀(211)과 상기 홈(213) 사이를 서로 결합시켜 상기 제1 기둥(212)과 상기 제2 기둥(214) 사이를 고정시키기 위한 높낮이 고정부재(2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팔걸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팔 받침부(100)와 상기 지지부(200) 사이에 형성되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하기 위한 슬라이드부(4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팔걸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400)는,
    상기 지지부(200)의 상부 양측에 형성되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안내하기 위한 전후 슬라이드 안내부재(410); 및
    상기 팔 받침부(100)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전후 슬라이드 안내부재(410)에 삽입되어, 상기 팔 받침부(100)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하기 위한 전후 슬라이드부재(4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팔걸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400)는,
    상기 전후 슬라이드 안내부재(410)에 전후 방향으로 형성된 요철 형상의 패턴부재(430); 및
    상기 전후 슬라이드 부재(420)에 형성되며, 상기 패턴부재(430)의 오목한 부분에 삽입되어 고정시키기 위한 슬라이드 고정부재(4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팔걸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200)는,
    상기 탈부착부(300)의 상부에 연결 형성되는 제1 연결부재(220);
    상기 팔 받침부(100)의 하부에 연결 형성되는 제2 연결부재(230); 및
    상기 제1 연결부재(220)와 상기 제2 연결부재(230) 사이에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3 연결부재(2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팔걸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부재(230)와 상기 제3 연결부재(240) 사이에 형성되어,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하기 위한 좌우 슬라이드부(5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팔걸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슬라이드부(500)는,
    상기 제3 연결부재(240)의 상부 양측에 형성되어,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안내하기 위한 좌우 슬라이드 안내부재(510); 및
    상기 제2 연결부재(230)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좌우 슬라이드 안내부재(510)에 삽입되어, 상기 팔 받침부(100)를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하기 위한 좌우 슬라이드부재(5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팔
KR2020140005974U 2014-08-08 2014-08-08 자동차용 팔걸이 KR2016000057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5974U KR20160000571U (ko) 2014-08-08 2014-08-08 자동차용 팔걸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5974U KR20160000571U (ko) 2014-08-08 2014-08-08 자동차용 팔걸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571U true KR20160000571U (ko) 2016-02-17

Family

ID=55446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5974U KR20160000571U (ko) 2014-08-08 2014-08-08 자동차용 팔걸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0571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0966B1 (ko) * 2018-01-24 2019-09-30 주식회사 태산에프앤티 자동차의 컵홀더에 설치되는 탈부착식 팔걸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0966B1 (ko) * 2018-01-24 2019-09-30 주식회사 태산에프앤티 자동차의 컵홀더에 설치되는 탈부착식 팔걸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73360B2 (en) Flexible seatback system
US9873362B2 (en) Flexible seatback system
US10046683B2 (en) Suspension seat back and cushion system having an inner suspension panel
JP6598615B2 (ja) ヘッドレスト及び車両用シート
US7077478B2 (en) Seat for vehicle
CN104890552A (zh) 用于车辆座椅的饰板和泡沫总成
CN103079432B (zh) 座垫壳单元及车辆用壳体型座椅
CN108189719B (zh) 具有isofix接口的汽车座椅
US9216677B2 (en) Quick-connect trim carrier attachment
CA2915355A1 (en) Seat headrest
CN107804200B (zh) 一种用于车辆座椅的支撑组件
US10532677B2 (en) Lightweight modular back and cushion assemblies
EP2261075B1 (en) Cushion mat assembly for use in a vehicle seat
US10166894B2 (en) Seatback comfort carrier
KR20160000571U (ko) 자동차용 팔걸이
KR20110004602A (ko) 자동차용 테이블
CN202896330U (zh) 一种汽车座椅安装脚的装饰罩
CN202557474U (zh) 旅游车司机后软化翻转防护栏总成
CN214028341U (zh) 一种多功能紧靠型座椅骨架
CN212022851U (zh) 一种椅座及代步车
CN205930348U (zh) 一种汽车座椅
CN205553973U (zh) 一种汽车儿童安全座椅
CN212022850U (zh) 一种代步车座椅
CN220256752U (zh) 一种挂靠式按摩器
CN210454562U (zh) 弹簧夹式安装定位的头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