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9535B1 - 소음 저감 구조를 가진 청소기 - Google Patents

소음 저감 구조를 가진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9535B1
KR101989535B1 KR1020170139563A KR20170139563A KR101989535B1 KR 101989535 B1 KR101989535 B1 KR 101989535B1 KR 1020170139563 A KR1020170139563 A KR 1020170139563A KR 20170139563 A KR20170139563 A KR 20170139563A KR 101989535 B1 KR101989535 B1 KR 1019895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elt
shaft
teeth
drive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9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6227A (ko
Inventor
최태웅
Original Assignee
경성오토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성오토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경성오토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395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9535B1/ko
Publication of KR201900462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62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95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95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02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 A47L11/10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motor-driven
    • A47L11/12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motor-driven with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too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24Casings; Enclosures;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suppression or reduction of noise or vibr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02K7/116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ge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소음 저감 구조를 가진 청소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는, 모터의 구동축에 설치된 구동기어의 회전력을 종동기어로 전달하는 벨트를 구동기어의 중심측으로 눌러서 지지한다. 그러면, 상호 맞물리기 직전에 위치된 구동기어의 어느 하나의 치와 벨트의 어느 하나의 치 사이의 간격이 상대적으로 좁아지므로, 상호 맞물리기 직전에 위치된 구동기어의 어느 하나의 치는 짧은 거리를 이동하여 벨트의 어느 하나의 치에 부딪히면서 접촉한다. 이로 인해, 구동기어의 치가 벨트의 치에 부딪히면서 접촉할 때 발생하는 소음이 저감되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Description

소음 저감 구조를 가진 청소기 {CLEANER HAVING NOISE REDUCING STRUCTURE}
본 발명은 모터와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벨트 사이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시킨 소음 저감 구조를 가진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편리하고 효율적인 청소를 위하여 걸레를 장착하여 사용하는 걸레 장착형 청소기 또는 이물질을 흡입하는 진공 흡입형 청소기 등이 널리 사용된다.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받은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401914호(2014년 05월 30일)에 개시된 종래의 청소기에 대하여 상기 한국등록특허공보,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청소기의 동력원과 벨트 및 회전축의 연결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부 확대도이다.
상기 종래의 청소기는 베이스유닛(100)을 포함하고, 베이스유닛(100)의 저면에는 제1이동기구(310) 및 제2이동기구(320)가 각각 시소 형태로 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제1이동기구(310)와 제2이동기구(320)는 상호 간격을 가지며, 제1이동기구(310) 및 제2이동기구(320)의 저면에는 각각 걸레가 장착된다.
그리고, 베이스유닛(100)에는 제1이동기구(310) 및 제2이동기구(320)를 시소 형태로 운동시키기 위한 모터와 같은 동력원(400), 회전축(213), 전달기구(230) 및 왕복부재(220)가 설치된다.
상세히 설명하면, 동력원(400)의 구동력은 벨트(500)를 통하여 구동기구(211)로 전달되고, 구동기구(211)는 회전축(213)에 설치되어 회전축(213)을 회전시킨다. 그리고, 회전축(213)의 회전력은 전달기구(230)로 전달되고, 전달기구(230)는 회전축(213)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왕복부재(220)로 전달한다. 그러면, 왕복부재(220)가 직선운동하면서 걸레가 장착된 제1이동기구(310) 및 제2이동기구(320)를 각각 시소 형태로 운동시킨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력원(400)의 구동축(410)에는 구동기어(412)가 설치되고, 회전축(213)에 설치된 구동기구(211)의 외주면에는 벨트홈(211a)(상기 한국등록특허공보 참조)들이 형성된다. 그리고, 벨트(500)의 내면에는 구동기어(412)의 치(齒)(412a)들에 맞물리고, 벨트홈(211a)들에 삽입되어 맞물리는 치(齒)(510)들이 형성된다. 그리하여, 구동축(410)이 회전하면, 벨트(500)가 회전하고, 이로 인해 구동기구(211)가 회전한다.
이때, 상대적으로 고속으로 회전하는 구동축(410)의 회전속도를 감속시켜 회전축(213)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구동기구(211)의 직경은 구동기어(412)의 직경 보다 크게 마련된다. 즉, 구동기구(211)는 감속기어의 기능을 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청소기는 구동기어(412)의 치(412a)에 벨트(500)의 치(510)가 맞물리는 순간 큰 소음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구동기어(412)의 직경은 구동기구(211)의 직경 보다 작으므로, 벨트(5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기어(412)에서 멀어질수록 상호 대향하는 부위의 거리가 점점 멀어지는 ">" 형상을 이룬다. 따라서, 구동기어(412)의 치(412a)와 벨트(500)의 치(5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구동기어(412)의 이등분선(ℓ―ℓ)을 기준으로, 우측 부위에서 맞물리기 시작한다.
그러면, 이등분선(ℓ―ℓ)을 기준으로 좌측 부위에 위치된 상호 맞물리기 직전에 위치된 구동기어(412)의 어느 하나의 치(412aa)(도 2 참조)와 벨트(500)의 어느 하나의 치(511) 사이의 간격이 넓다(도 2 참조). 이로 인해, 구동기어(412)의 회전에 의하여, 상호 맞물리기 직전에 위치된 구동기어(412)의 어느 하나의 치(412aa)는 상대적으로 먼 거리를 이동하여 벨트(500)의 어느 하나의 치(511)에 부딪히면서 접촉하므로, 큰 소음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모든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모터와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벨트 사이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는, 본체; 상기 본체의 하면에 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걸레가 장착되는 운동판;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운동판을 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하며,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구동축을 가지는 모터; 상기 구동축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축과 함께 회전하는 구동기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종동축, 상기 종동축에 설치되어 상기 종동축과 함께 회전하며 상기 구동기어의 직경 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종동기어, 내주면에 상기 구동기어의 치(齒) 및 상기 종동기어의 치와 맞물리는 치가 형성되어 상기 구동기어의 회전력을 상기 종동기어에 전달하는 벨트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축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상기 운동판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벨트를 상기 구동기어의 중심측으로 눌러서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는, 모터의 구동축에 설치된 구동기어의 회전력을 종동기어로 전달하는 벨트를 구동기어의 중심측으로 눌러서 지지한다. 그러면, 상호 맞물리기 직전에 위치된 구동기어의 어느 하나의 치와 벨트의 어느 하나의 치 사이의 간격이 상대적으로 좁아지므로, 상호 맞물리기 직전에 위치된 구동기어의 어느 하나의 치는 짧은 거리를 이동하여 벨트의 어느 하나의 치에 부딪히면서 접촉한다. 이로 인해, 구동기어의 치가 벨트의 치에 부딪히면서 접촉할 때 발생하는 소음이 저감되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청소기의 동력원과 벨트 및 회전축의 연결 상태를 보인 개략 측면도.
도 2는 도 1의 "A"부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본체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동력전달부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모터 및 지지부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지지부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4에 도시된 모터 및 지지부의 개략 측면도.
도 9는 도 8의 "B"부 확대도.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정의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항목, 제2항목 및 제3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1항목, 제2항목 또는 제3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1항목, 제2항목 및 제3항목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
"및/또는"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항목, 제2항목 및/또는 제3항목"의 의미는 제1항목, 제2항목 또는 제3항목뿐만 아니라 제1항목, 제2항목 또는 제3항목들 중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된다 또는 설치된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설치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된다 또는 설치된다"라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한편,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형성된다, 결합된다, 설치된다"라고 언급된 때에는, 어떤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가 별도로 마련되어 형성되거나, 결합되거나, 설치된 것 뿐만 아니라, 어떤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가 하나의 몸체인 일체로 된 것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본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는 본체(11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체(110)는 상호 결합되며 상대적으로 상측에 위치되는 상부본체(111)와 하측에 위치되는 하부본체(115)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10)의 상면인 상부본체(111)의 상면에는 손잡이부(120)의 하단부측이 지지 설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손잡이부(120)의 상단부측을 잡고서 본체(11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손잡이부(120)에는 복수의 버튼이 설치될 수 있고, 손잡이부(120)의 내부에는 상기 버튼과 접속된 전원부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버튼을 조작함에 따라 상기 전원부의 전원이 후술할 모터(140)로 공급되거나, 차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는, 사용자가 청소를 하는 도중, 본체(110)의 이동방향을 용이하게 전환할 수 있도록, 본체(110)에 대하여 손잡이부(120)를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다. 즉, 손잡이부(120)는 본체(110)에 지지된 하단부측을 기준으로 본체(110)의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본체(110)의 하면인 하부본체(115)의 하면은 청소하고자 하는 바닥을 향할 수 있으며, 하부본체(115)의 하면에는 운동판(130)이 설치될 수 있다. 운동판(130)은 상호 간격을 가지는 한쌍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운동판(130)의 하면에는 바닥 등을 청소하기 위한 걸레가 장착될 수 있다.
각각의 운동판(130)은, 자신의 중심을 기준으로, 시소 형태로 운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모터(140)의 구동력에 의하여 시소 형태로 운동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작은 힘으로 본체(110)를 이동시키면서 청소를 할 수 있다.
하부본체(115)의 하면에는 전술한 모터(140) 및 모터(140)의 구동력을 운동판(130)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가 설치될 수 있다. 모터(140) 및 상기 동력전달부에 대하여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동력전달부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모터 및 지지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140)는 운동판(130)을 시소 형태로 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할 수 있으며,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구동축(14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는 구동축(141)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운동판(130)으로 전달할 수 있으며, 종동축(151), 구동기어(153), 종동기어(154), 벨트(156), 연결링크(158) 및 연결부재(159)를 포함할 수 있다.
종동축(151)은 하부본체(115)의 하면에 지지 설치될 수 있으며, 구동축(141)과 평행을 이룰 수 있다. 구동기어(153) 및 종동기어(154)는 구동축(141) 및 종동축(151)에 각각 설치되어, 구동축(141) 및 종동축(1511)과 각각 함께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벨트(156)는 구동기어(153) 및 종동기어(154)와 맞물려, 구동기어(153)의 회전력을 종동기어(154)에 전달할 수 있다. 벨트(156)에는 치(齒)(156a)가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벨트(156)의 치(156a)는 구동기어(153)의 치(153a) 및 종동기어(154)의 치(154a)와 맞물릴 수 있다.
구동축(141)은 고속으로 회전한다. 그런데, 구동축(141)의 회전속도와 대응되는 속도로 운동판(130)이 시소 형태로 운동하면, 운동판(130)이 너무 빨리 운동한다. 그러므로, 운동판(130)이 적절한 속도로 운동할 수 있도록, 구동축(141)의 회전속도를 감속시켜 운동판(130)으로 전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축(141)의 회전속도를 감속시켜 운동판(130)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종동기어(154)의 직경은 구동기어(153)의 직경 보다 클 수 있다. 그러므로, 종동기구(154)는 감속기어의 기능을 한다.
연결링크(158)는 종동축(151)의 일단부측 및 타단부측에 각각 설치될 수 있으며, 종동축(151)의 일단부측 및 타단부측에 설치된 연결링크(158)는 각각 한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하여, 종동축(151)이 회전함에 따라, 종동축(151)의 일단부측에 설치된 한쌍의 연결링크(158)는 상호 가까워지고 멀어지는 형태로 직선운동할 수 있고, 타단부측에 설치된 한쌍의 연결링크(158)는 상호 가까워지고 멀어지는 형태로 직선운동할 수 있다.
연결부재(159)는 연결링크(158)의 수와 대응되게 마련될 수 있다. 각 연결부재(159)의 상면에는 각 연결링크(158)가 연결될 수 있으며, 연결부재(159)는 연결링크(158)와 함께 직선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연결부재(159)의 하면에는 운동판(130)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종동축(151)의 일단부측에 설치된 어느 하나의 연결링크(158)에 연결된 연결부재(159) 및 타단부측에 설치된 어느 하나의 연결링크(158)의 연결부재(159)는 어느 하나의 운동판(130)에 연결되고, 종동축(151)의 타단부측에 설치된 다른 하나의 연결링크(158)에 연결된 연결부재(159) 및 타단부측에 설치된 다른 하나의 연결링크(158)의 연결부재(159)는 다른 하나의 운동판(13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로 인해, 각 운동판(130)은, 운동판(130)의 중심측을 기준으로, 시소 형태로 운동할 수 있다.
구동기어(153)의 치(153a)와 벨트(156)의 치(156a)가 맞물릴 때, 구동기어(153)의 치(153a)는 벨트(156)의 치(156a)에 부딪히면서 접촉하므로, 큰 소음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는, 구동기어(153)의 치(153a)와 벨트(156)의 치(156a)가 맞물릴 때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한 지지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170)에 대하여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지지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4에 도시된 모터 및 지지부의 개략 측면도이며, 도 9는 도 8의 "B"부 확대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170)는 본체(110)의 하부본체(115)측에 설치될 수 있으며, 벨트(156)를 구동기어(153)의 중심측으로 눌러서 지지할 수 있다. 지지부(170)는 프레임(171), 지지축(172), 이탈방지판(175), 탄성부재(177) 및 지지롤러(179)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71)은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부본체(115)에 시소 형태로 운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프레임(171)이 시소 형태로 운동할 수 있도록, 하부본체(115)의 하면에는 지지부재(116)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축(172)은 프레임(1171)의 내부 중앙부측에 형성되어 지지부재(116)의 상면에 탑재 지지되고, 이탈방지판(175)은 지지축(172)의 상측 부위를 덮는 형태로 지지부재(116)에 결합된다. 그러면, 프레임(171)이 지지축(172)을 매개로 지지부재(116)에 지지되며, 이탈방지판(175)에 의하여 지지부재(116)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프레임(171)이 원활하게 시소 형태로 운동할 수 있도록, 지지축(172)은 원기둥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지지부재(116)의 상면 및 이탈방지판(175)의 하면에는 지지축(172)의 하측 부위 및 상측 부위가 각각 삽입 지지되는 제1지지홈(116a) 및 제2지지홈(175a)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재(177)는 하단부측은 하부본체(115)의 하면에 지지되고, 상단부측은 프레임(171)의 일단부측이 지지되어, 프레임(171)의 일단부측을 상측으로 탄성 지지할 수 있다. 그러면, 프레임(171)의 타단부측은 탄성부재(177)에 의하여 하측으로 탄성 지지된 형태가 된다. 탄성부재(177)가 안정되게 프레임(171)의 일단부측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부본체(115)의 하면에는 탄성부재(177)가 삽입 지지되는 지지관(117)이 형성될 수 있다.
롤러(179)는 프레임(171)의 타단부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벨트(156)를 구동기어(153)의 중심측으로 눌러서 지지할 수 있다. 이때, 롤러(179)는 구동기어(153)의 중심과 종동기어(154)의 중심을 연결한 가상의 중심선(ℓ1―ℓ1)에 수직하면서 구동기어(153)를 이등분하는 이등분선(ℓ2―ℓ2)과 종동기어(154)를 향하는 구동기어(153) 사이에 위치된 벨트(156)의 부위를 눌러서 지지할 수 있다.
그러면, 상호 맞물리기 직전에 위치된 구동기어(153)의 어느 하나의 치(153aa)와 벨트(156)의 어느 하나의 치(156aa) 사이의 간격이 상대적으로 좁으므로, 구동기어(153)의 치(153a)가 벨트(156)의 치(156a)에 부딪히면서 접촉할 때 발생하는 소음이 저감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종동기어(154)의 직경이 구동기어(153)의 직경 보다 크므로, 벨트(156)는 구동기어(153)에서 종동기어(154)측으로 갈수록 상호 대향하는 부위의 거리가 점점 멀어지는 ">" 형상을 이룬다. 그런데, 이등분선(ℓ2―ℓ2)과 종동기어(154)를 향하는 구동기어(153) 사이에 위치된 벨트(156)의 부위가 롤러(179)에 의하여 하측으로 눌리므로, 롤러(179)에 의하여 지지된 벨트(156)의 부위는 중심선(ℓ1―ℓ1)과 대략 평행을 이룬다.
그러면, 구동기어(153)의 치(153a)와 벨트(156)의 치(156a)는 대략 이등분선(ℓ2―ℓ2) 상에서 접촉하기 시작하므로, 상호 맞물리기 직전에 위치된 구동기어(153)의 어느 하나의 치(153aa)와 벨트(156)의 어느 하나의 치(156aa) 사이의 간격이 상대적으로 좁다.
이로 인해, 상호 맞물리기 직전에 위치된 구동기어(153)의 어느 하나의 치(153aa)는 짧은 거리를 이동하여 벨트(156)의 어느 하나의 치(156aa)에 부딪히면서 접촉하므로, 상대적으로 작은 소음이 발생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는 모터(140)의 구동축(141)에 설치된 구동기어(153)의 회전력을 종동기어(154)로 전달하는 벨트(156)를 구동기어(153)의 중심측으로 눌러서 지지한다. 그러면, 상호 맞물리기 직전에 위치된 구동기어(153)의 어느 하나의 치(153aa)와 벨트(156)의 어느 하나의 치(156aa) 사이의 간격이 상대적으로 좁아지므로, 상호 맞물리기 직전에 위치된 구동기어(153)의 어느 하나의 치(153aa)는 짧은 거리를 이동하여 벨트(156)의 어느 하나의 치(156aa)에 부딪히면서 접촉한다. 이로 인해, 구동기어(153)의 치(153a)가 벨트(156)의 치(156a)에 부딪히면서 접촉할 때 발생하는 소음이 저감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본체
120: 손잡이부
130: 운동판
140: 모터
153: 구동기어
154: 종동기어
156: 벨트
170: 지지부

Claims (7)

  1. 본체;
    상기 본체의 하면에 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걸레가 장착되는 운동판;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운동판을 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하며,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구동축을 가지는 모터;
    상기 구동축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축과 함께 회전하는 구동기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종동축, 상기 종동축에 설치되어 상기 종동축과 함께 회전하며 상기 구동기어의 직경 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종동기어, 내주면에 상기 구동기어의 치(齒) 및 상기 종동기어의 치와 맞물리는 치가 형성되어 상기 구동기어의 회전력을 상기 종동기어에 전달하는 벨트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축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상기 운동판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벨트를 상기 구동기어의 중심측으로 눌러서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기어의 치는 상기 구동기어의 중심과 상기 종동기어의 중심을 연결한 가상의 중심선에 수직하면서 상기 구동기어를 이등분하는 이등분선 상의 부위에서 상기 벨트의 치와 접촉하여 맞물리기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이등분선과 상기 종동기어를 향하는 상기 구동기어 사이에 위치된 상기 벨트의 부위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하면에는 지지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는,
    시소 형태로 운동가능하게 상기 본체에 지지 설치된 프레임;
    하단부측은 상기 본체의 하면에 지지되고, 상단부측은 상기 프레임의 일단부측에 지지되어 상기 프레임의 일단부측을 상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
    상기 프레임의 타단부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벨트를 상기 구동기어측으로 눌러서 지지하는 지지롤러;
    상기 프레임의 내부 중앙부측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재의 상면에 지지되며, 상기 프레임의 시소운동을 지지하는 지지축;
    상기 지지축을 덮는 형태로 설치되어 상기 지지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지지축이 상기 지지부재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5. 삭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상면 및 상기 이탈방지판의 하면에는 상기 지지축이 삽입 지지되는 제1지지홈 및 제2지지홈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하면에는 상기 탄성부재가 삽입 지지되는 지지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KR1020170139563A 2017-10-25 2017-10-25 소음 저감 구조를 가진 청소기 KR1019895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9563A KR101989535B1 (ko) 2017-10-25 2017-10-25 소음 저감 구조를 가진 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9563A KR101989535B1 (ko) 2017-10-25 2017-10-25 소음 저감 구조를 가진 청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6227A KR20190046227A (ko) 2019-05-07
KR101989535B1 true KR101989535B1 (ko) 2019-06-14

Family

ID=66656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9563A KR101989535B1 (ko) 2017-10-25 2017-10-25 소음 저감 구조를 가진 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95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47870A (zh) * 2021-08-23 2021-11-16 北京小狗吸尘器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滚刷驱动机构及洗地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55526A1 (en) * 2011-09-07 2013-03-07 Bissell Homecare, Inc. Vacuum cleaner with belt drive disengage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1914B1 (ko) * 2012-07-27 2014-05-30 경성오토비스 주식회사 클러치와 직선이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청소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55526A1 (en) * 2011-09-07 2013-03-07 Bissell Homecare, Inc. Vacuum cleaner with belt drive disengag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6227A (ko) 2019-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31343B1 (en) Upright cleaner
KR100194378B1 (ko) 원격제어 자동이동 진공청소기
JP2006325724A (ja) 自走掃除機
KR20170058575A (ko) 진공청소기
KR101989535B1 (ko) 소음 저감 구조를 가진 청소기
JP2007000465A (ja) 電気掃除機
EP3372136A1 (en) Vacuum cleaner
AU1494799A (en) A clutch mechanism
JP2009017902A (ja) 電気掃除機の吸口体及びこれを用いた電気掃除機
KR100756322B1 (ko) 브러쉬장치 및 이를 포함한 진공청소기
US20110072611A1 (en) Suction head for a vacuum cleaner
KR20150048490A (ko) 로봇청소기
JP2017131440A (ja) 電気掃除機用の吸込口体および電気掃除機
KR20100088453A (ko) 진공 청소기의 노즐
JP2505882B2 (ja) 電気掃除機の吸込口体
EP4091516A1 (en) Vacuum cleaner
JP5622830B2 (ja) 電気掃除機の吸口体
JP2011160866A (ja) 床面吸込具、及び、この床面吸込具を用いた電気掃除機
CN220109666U (zh) 清洁设备、滚刷组件
KR20130032490A (ko) 청소 키트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 청소기
KR200148057Y1 (ko) 진공청소기
KR20010081426A (ko) 진공청소기의 걸레 부착용 흡입구체
CN108294689B (zh) 一种推进式双腔扫地机器人
KR200399761Y1 (ko) 진동 브러시 및 진동 걸레가 부착된 진공청소기의 흡입체
JP5154628B2 (ja) 電気掃除機の吸口体及びこれを用いた電気掃除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