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9430B1 - 가발과, 가발의 테두리부재 제작방법 및, 가발의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가발과, 가발의 테두리부재 제작방법 및, 가발의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9430B1
KR101989430B1 KR1020180139807A KR20180139807A KR101989430B1 KR 101989430 B1 KR101989430 B1 KR 101989430B1 KR 1020180139807 A KR1020180139807 A KR 1020180139807A KR 20180139807 A KR20180139807 A KR 20180139807A KR 101989430 B1 KR101989430 B1 KR 1019894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
wig
knot
linear
fol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9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인표
Original Assignee
(주)하이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하이모 filed Critical (주)하이모
Priority to KR10201801398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94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94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94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3/00Wigs
    • A41G3/0066Planting hair on bases for wig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3/00Wigs
    • A41G3/0008Fastening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3/00Wigs
    • A41G3/0041Bases for wigs
    • A41G3/005Bases for wigs made of a net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3/00Wigs
    • A41G3/0075Methods and machines for making wig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5/00Hair pieces, inserts, rolls, pads, or the like; Toupées
    • A41G5/004Hair pieces
    • A41G5/0053Fastening thereof
    • A41G5/006Fastening thereof by threading with the remaining hair of the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발과 가발의 테두리부재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가발의 제작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가발은 제1 가발모가 식모되는 망 형태의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의 둘레를 따라 고정되고 제2 가발모를 구비하는 테두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테두리부재는, 상기 베이스부재의 가장자리를 따라 접합되는 네트부와, 선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부재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네트부에 고정되며, 복수의 상기 제2 가발모가 길이방향을 따라 매듭지어진 선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발과, 가발의 테두리부재 제작방법 및, 가발의 제작방법{WIG AND MANUFACTURING METHOD OF WIG'S EDG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가발과 가발의 테두리부재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가발의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테두리가 자연스럽게 연출되는 가발과 가발의 테두리부재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가발의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발은 얇은 두께의 네트에 일련의 모를 수제로 엮어서 형성된 완성네트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것으로, 머리가 없는 부분 또는 머리 전체에 착용하여 착용자의 헤어스타일을 돋보이게 하는 역할을 한다.
종래 가발은 테두리부분을 포함한 가발베이스의 전체에 수제를 하므로, 가발베이스의 가장자리 부분의 모발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위로 뜨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로 인해 가발 또는 부분가발과 착용자의 머리 사이의 경계가 부각되어 부자연스러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시간이 지나도 가발의 테두리부분의 모가 뜨지 않고 밀착되어 외곽 둘레의 경계 부분을 자연스럽게 연출하는 가발과 가발의 테두리부재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가발의 제작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가발은 제1 가발모가 식모되는 망 형태의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의 둘레를 따라 고정되고 제2 가발모를 구비하는 테두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테두리부재는, 상기 베이스부재의 가장자리를 따라 접합되는 네트부와, 선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부재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네트부에 고정되며, 복수의 상기 제2 가발모가 길이방향을 따라 매듭지어진 선형부를 포함한다.
가발의 테두리부재 제작방법은, 선형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로 매듭지어진 매듭부와 상기 매듭부에서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제2 가발모의 상부에 적어도 상기 매듭부와 겹치도록 네트부를 포개는 제1 단계와, 상기 네트부의 구멍을 통해 상기 연장부를 인출하는 제2 단계와, 상기 네트부의 하면에, 상기 선형부와 상기 매듭부가 놓인 상태에서, 상기 네트부가 상기 연장부의 반대방향으로 포개지도록 접는 제3 단계와, 상기 선형부 및 상기 매듭부가 상기 네트부의 포개진 내측부에 고정되게, 상기 네트부의 포개진 부분을 접합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한다.
가발의 제작방법은, 가발의 테두리부재를 제작하는 테두리부재 제작단계와, 베이스부재의 가장자리에 상기 테두리부재를 접합하는 테두리부재 접합단계와, 상기 베이스부재에 제1 가발모를 식모하는 식모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테두리부재 제작단계는, 선형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로 매듭지어진 매듭부와 상기 매듭부에서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제2 가발모의 상부에 적어도 상기 매듭부와 겹치도록 네트부를 포개는 제1 단계와, 상기 네트부의 구멍을 통해 상기 연장부를 인출하는 제2 단계와, 상기 네트부의 하면에, 상기 선형부와 상기 매듭부가 놓인 상태에서, 상기 네트부가 상기 연장부의 반대방향으로 포개지도록 접는 제3 단계와, 상기 선형부 및 상기 매듭부가 상기 네트부의 포개진 내측부에 고정되게, 상기 네트부의 포개진 부분을 접합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발과 가발의 테두리부재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가발의 제작방법을 이용하면 테두리부재에 네트부와 선형부 및 선형부에 매듭지어지고 네트부를 통해 인출되는 제2 가발모를 구비함으로써, 종래 테두리부분에 수제를 뜨는 경우와 달리, 시간이 지나도 모가 뜨지 않고 밀착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가발의 외곽 둘레의 경계 부분을 자연스럽게 연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발을 도시한 상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2 가발모와 선형부를 도시한 사시도 및 확대도.
도 3의 (a) 내지 도 3의 (b)는 본 발명에 따라 네트부에 접힘부를 형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네트부와 제2 가발모가 겹쳐진 상태의 상면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를 확대한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네트부를 통해 연장부를 인출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연장부가 인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네트부에 매듭부를 밀착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네트부에 접합라인을 형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테두리부재를 도시한 도면.
도 11a는 도 10의 상면을 확대한 확대도.
도 11b는 도 10의 하면을 확대한 확대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인 가발과 가발의 테두리부재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가발의 제작방법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적합한 실시예들이다. 다만, 본 발명이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하여 적용되거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가발(100)은, 베이스부재(200)와 테두리부재(300)를 포함한다.
베이스부재(200)는 제1 가발모(210)가 식모되는 망 형태로 마련된다. 베이스부재(200)는 착용자의 두피의 전부 또는 일부를 덮을 수 있다. 제1 가발모(210)는 베이스부재(200)에 식모될 수 있고, 인모 또는 천연모일 수 있다.
테두리부재(300)는, 베이스부재(200)의 둘레를 따라 고정되고 제2 가발모(350)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테두리부재(300)는 베이스부재(200)의 가장자리를 따라 고정되어 가발(100)의 외곽 둘레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가발모(350)는 테두리부재(300)에 구비되어, 제1 가발모(210)처럼 베이스부재(200)에 직접 식모되지 않고, 베이스부재(200)의 둘레에 고정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테두리부재(300)는 네트부(310)와 선형부(330)를 포함한다.
네트부(310)는 베이스부재(200)의 가장자리를 따라 접합된다. 또한 선형부(330)는 선형으로 형성되고 베이스부재(200)의 가장자리를 따라 네트부(310)에 고정되며, 복수의 제2 가발모(350)가 길이방향을 따라 매듭지어진다. 즉 테두리부재(300)는 네트부(310)와 선형부(330)와 선형부(330)에 매듭지어지는 제2 가발모(35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네트부(310)는 길게 형성되고 망 형태로 제공되며 베이스부재(200)에 둘레를 따라 길게 접합될 수 있고, 선형부(330)는 네트부(310)에 고정됨으로써 베이스부재(200)의 둘레에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선형부(330)에는 제2 가발모(350)가 선형부(33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로 매듭지어질 수 있다(도 1 참조). 이에 따라 제2 가발모(350)는 베이스부재(200)에서 연장되게 구비되어 가발(100)의 외곽 둘레의 모발을 형성할 수 있다.
네트부(310)는 접힘부(313)와 제1 파트(311) 및 제2 파트(312)를 포함할 수 있다.
접힘부(313)는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파트(311) 및 제2 파트(312)는 접힘부(313)의 양측에 구비되고 서로 포개지며 포개진 내부에 선형부(330)가 끼워질 수 있다. 여기서 접힘부(313)는 네트부(310)를 길이방향으로 접었다가 펴서 라인을 형성함으로써 마련될 수 있으나(도 3 참조), 접힘부(313)의 형성방식은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제1 파트(311)와 제2 파트(312)는 접힘부(313)를 기준으로 구분되고, 네트부(310)를 접힘부(313)를 따라 접음으로써 서로 포개진다. 서로 포개진 제1 파트(311)와 제2 파트(312)의 내측부에는 선형부(330)가 끼워질 수 있다.
제2 가발모(350)는 매듭부(351)와 연장부(355)를 포함할 수 있다. 매듭부(351)는 선형부(330)에 매듭지어지고 제1 파트(311)와 제2 파트(312)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연장부(355)는 매듭부(351)에서 연장되되 네트부(310)의 구멍(H)을 통해 인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가발모(350)의 매듭부(351)는 선형부(330)에 매듭지어진 상태로 네트부(310)의 포개진 내부에 구비되고, 연장부(355)는 네트부(310)의 구멍(H)을 통해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즉 제2 가발모(350)는 네트부(310)의 안쪽에 매듭부(351)가 고정되고 네트부(310)의 구멍(H) 사이로 연장부(355)가 빠져나오는 구조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발(100)은, 테두리부재(300)에 네트부(310)와 선형부(330) 및 선형부(330)에 매듭지어지고 네트부(310)를 통해 인출되는 제2 가발모(350)를 구비함으로써, 종래 테두리부분에 수제를 뜨는 경우와 달리, 시간이 지나도 모가 뜨지 않고 밀착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가발(100)의 외곽 둘레의 경계 부분을 자연스럽게 연출할 수 있다.
한편 도 2와 도 11a 및 도 11b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테두리부재(300)를 설명한다. 선형부(330)를 기준으로 착용자의 두피를 향하는 방향을 하방으로 정의하고 하방의 반대 방향을 상방으로 정의한다. 이때 매듭부(351)는 제2 가발모(350)를 이루는 모를 U자 형으로 구부린 상태에서 구부러진 모의 중간 부분인 고리파트(352)가 선형부(330)에 걸려 결속되어 마련되고, 연장부(355)는 고리파트(352)에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고리파트(352)는 선형부(330)에 상방에서 하방으로 걸려 선형부(330)와의 사이에 내측공간(S)을 형성하고, 연장부(355)는 내측공간(S)을 통과하여 연장됨으로써, 고리파트(352)가 연장부(355)의 상방에 위치하게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모를 U자 형태로 구부려서 구부러진 모의 중간 부분에 고리파트(352)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고리파트(352)를 선형부(330)의 상측에서 하방으로 감아서, 선형부(330)의 하부에서 선형부(330)와 고리파트(352) 사이에 내측공간(S)을 형성하고 내측공간(S) 사이로 연장부(355)를 통과시킬 수 있다. 여기서 연장부(355)가 통과하여 매듭이 지어진 후 선형부(330)에 걸린 부분은 결속파트(353)이다.
이에 따라 도 11a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착용자가 가발(100)을 착용한 상태에서 매듭부(351)는 고리파트(352)가 연장부(355)의 상부에 오도록 매듭지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고리파트(352)가 연장부(355)의 상부에 오도록 배치되면 연장부(355)가 매듭부(351)에 인접한 부분에서 하방을 눌린 상태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가발모(350)는 시간이 지나도 뜨지 않고 착용자의 두피에 밀착될 수 있다.
한편, 선형부(330) 및 매듭부(351)는 접힘부(313)에 밀착되게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네트부(310)는, 선형부(330)와 매듭부(351)가 접힘부(313)에 밀착된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매듭부(351)에 인접한 위치에서 제1 파트(311)와 제2 파트(312)가 재봉되어 형성된 접합라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도 8 및 도 9 참조).
구체적으로 제1 파트(311)와 제2 파트(312)를 재봉하여 접합하기 전에, 연장부(355)와 네트부(310)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당겨서, 매듭부(351)를 네트부(310)에 밀착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밀착시킨 상태에서 매듭부(351)와 선형부(330)에 인접한 부분을 재봉하여, 제2 가발모(350) 및 선형부(330)를 네트부(3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매듭부(351)를 네트부(310)에 밀착시켜서 고정함으로써 가발(100)의 둘레가 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미설명부호인 14는 재봉 접합을 위한 재봉틀이다. 다만, 네트부의 접합은 재봉틀(14)을 이용한 접합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한편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가발(100)은 스킨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킨부(400)는 베이스부재(200)의 전방에 접합되어 착용자의 이마라인에 부착될 수 있다. 스킨부(400)는 착용자의 피부와 유사한 색상 및 재질로 마련되어 자연스러운 이마라인을 연출할 수 있다. 그리고 테두리부재(300)는 베이스부재(200)의 가장자리 중 스킨부(400)가 접합된 부분을 제외한 부분에 접합될 수 있다.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가발(100)은 패치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패치부(500)는 베이스부재(200)의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되되, 베이스부재(200)의 착용자의 두피를 향하는 면에 접합될 수 있다. 그리고 네트부(310)는 베이스부재(200)와 패치부(500)의 사이에 접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패치부(500)는 착용자의 두피에 부착되고, 네트부(310)는 베이스부재(200)와 패치부(500) 사이에 개재된 상태로 접합될 수 있다. 다만 네트부(310)의 개재위치는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발(100)의 테두리부재(300) 제작방법을 설명한다. 가발(100)의 테두리부재(300) 제작방법은 제1 단계와 제2 단계와 제3 단계 및 제4 단계를 포함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단계는 선형부(33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로 매듭지어진 매듭부(351)와 매듭부(351)에서 연장되는 연장부(355)를 포함하는 제2 가발모(350)의 상부에 적어도 매듭부(351)와 겹치도록 네트부(310)를 포개어 수행된다.
구체적으로 제1 단계는, 제2 가발모(350)와 네트부(310)를 겹쳐서 포개는 단계이다. 여기서 제2 가발모(3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형으로 길게 형성된 선형부(330)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매듭지어질 수 있다. 제2 가발모(350)는 매듭부(351)와 연장부(355)를 포함한다.
제2 단계는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네트부(310)의 구멍(H)을 통해 연장부(355)를 인출하는 단계이다. 이때 일례로 수제바늘(13)을 사용하여 네트부(310)의 하방에서 상방으로 연장부(355)를 인출할 수 있다. 연장부(355)를 모두 인출하면 네트부(310)의 하방에 선형부(330)와 매듭부(351)가 놓이게 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제3 단계는 네트부(310)의 하면에, 선형부(330)와 매듭부(351)가 놓인 상태에서, 네트부(310)가 연장부(355)의 반대방향으로 포개지도록 접는 단계이다. 즉 선형부(330)와 매듭부(351)를 감싸도록 네트부(310)를 포개어 접을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제4 단계는 선형부(330) 및 매듭부(351)가 네트부(310)의 포개진 내측부에 고정되게, 네트부(310)의 포개진 부분을 접합하는 단계이다. 이에 따라 매듭부(351)와 선형부(330)가 네트부(310)에 밀착되게 접합된 상태로, 제2 가발모(350)가 네트부(310)에 고정될 수 있다. 즉 네트부(310)를 포개어 접합함으로써 제2 가발모(350)의 매듭부(351)가 네트부(310)에서 이탈되거나 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발(100)의 테두리부재(300) 제작방법을 이용하면, 제2 가발모(350)의 매듭부(351)가 네트부(310)의 포개진 내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연장부(355)가 인출될 수 있으므로, 제작된 테두리부재(300)를 가발(100)의 둘레에 적용 시에, 시간이 지나도 모가 뜨지 않고 밀착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가발(100)의 외곽 둘레의 경계 부분을 자연스럽게 연출할 수 있다.
한편, 제1 단계 전에, 네트부(310)를 길이방향을 따라 접어서 접힘부(313)를 형성한 후 네트부(310)를 펼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도 3 참조). 그리고 제1 단계는 선형부(330)와 접힘부(313)를 대응되게 위치시키고, 네트부(310)와 제2 가발모(350)를 임시로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도 4 참조).
구체적으로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네트부(310)를 마련하고(도 3의 (a) 참조), 네트부(3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반으로 접을 수 있다(도 3의 (b) 참조). 이후 다시 네트부(310)를 펴서 길이방향을 따라 중앙에 접힘 라인인 접힘부(313)를 형성할 수 있다(도 3의 (c) 참조). 그리고 이후에 접힘부(313)는 제2 가발모(350)의 매듭부(351)에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될 수 있고, 연장부(355)를 모두 인출한 후에 다시 접어서 고정하여 테두리부를 완성할 수 있다.
여기서 네트부(310)는 접힘부(313)를 기준으로 구분되는 제1 파트(311)와 제2 파트(31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3 단계는 선형부(330)와 매듭부(351)가 접힘부(313)에 인접하게 위치한 상태에서 제1 파트(311)와 제2 파트(312)가 포개지게 접힘부(313)를 접어서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제1 단계 및 제2 단계에서 연장부(355)를 인출하기 위해 몰드(11)를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단계는 제2 가발모(350)를 몰드(11)의 상면에 올려놓는 단계와, 네트부(310)를 제2 가발모(350)의 상부에 중첩되게 몰드(11)에 올려놓는 단계와, 네트부(310)와 제2 가발모(350)를 몰드(11)에 임시로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단계 이후에 네트부(310)와 제2 가발모(350)를 몰드(11)에서 분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몰드(11)에 제2 가발모(350)를 올려놓을 때, 매듭부(351)의 고리파트(352)가 연장부(355)의 상부에 오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네트부(310)를 제2 가발모(350)의 상부에 중첩되게 올려놓을 때 접힘부(313)와 선형부(330)가 일치되게 배치할 수 있다. 이 후 고정수단(12)을 통해 몰드(11)에 제2 가발모(350)와 네트부(310)를 임시로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제2 단계는 접힘부(313)에 인접하게 위치한, 네트부(310)의 구멍(H)을 통해 연장부(355)를 인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네트부(310)의 복수의 구멍(H) 중 접힘부(313)와 매듭부(351)에 인접한 위치(도 5의 A 영역 참조)에 위치한 구멍(H)을 통해 연장부(355)를 인출할 수 있다(도 6 참조). 이때 수제바늘(13) 등을 이용하여 연장부(355)를 모두 네트부(310)의 상부로 인출할 수 있다. 연장부(355)를 모두 인출한 후에는 몰드(11)에서 네트부(310)와 제2 가발모(350)를 분리할 수 있다(도 7 참조).
도 8을 참조하면 제3 단계는, 네트부(310)가 포개진 상태에서 연장부(355)와 네트부(310)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당겨서, 선형부(330) 및 매듭부(351)를 네트부(310)에 밀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장부(355)의 연장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네트부(310)를 포개어 접은 후, 네트부(310)와 연장부(355)를 반대 방향으로 잡아 당기면, 네트부(310)의 포개진 내측부에 위치한 선형부(330)와 매듭부(351)가 네트부(310)(구체적으로 접힘부(313))에 밀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밀착시키는 단계를 통해, 추후에 완성된 테두리부재(300)를 가발(100)에 적용 시에 제2 가발모(350)가 둘레 부분에서 뜨지 않고 두피에 밀착시킬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제4 단계는, 선형부(330) 및 매듭부(351)에 인접한 위치에서 제1 파트(311)와 제2 파트(312)를 재봉하여 접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 단계에서 선형부(330)와 매듭부(351)를 네트부(310)에 밀착시키고, 매듭부(351)(또는 접힘부(313))에 인접한 위치에서 서로 포개진 제1 파트(311)와 제2 파트(312)를 재봉하여 접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네트부(310)와 제2 가발모(350)의 매듭부(351)가 밀착된 상태에서 고정되고, 포개진 네트부(310)가 벌어지지 않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네트부(310)는, 제2 가발모(350)의 매듭부(351)가 밀착된 상태에서, 포개진 부분이 벌어지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가발(100)의 제작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발(100)의 제작방법은 상기한 가발의 테두리부재 제작방법을 이용한 것으로 상기한 설명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발(100)의 제작방법은, 테두리부재(300) 제작단계와, 테두리부재(300) 접합단계와, 식모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테두리부재(300) 제작단계는 가발(100)의 테두리부재(300)를 제작하는 단계이다.
테두리부재(300) 접합단계는 베이스부재(200)의 가장자리에 테두리부재(300)를 접합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종래 가발(100)의 테두리 부분도 모두 수제하던 것과 달리, 미리 제작된 테두리부재(300)를 베이스부재(200)의 가장자리에 접합할 수 있다.
식모단계는 베이스부재(200)에 제1 가발모(210)를 식모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상기한 테두리부재(300)가 접합되는 영역을 제외한 부분에 제1 가발모(210)를 식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테두리부재(300) 제작단계는, 선형부(33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로 매듭지어진 매듭부(351)와 매듭부(351)에서 연장되는 연장부(355)를 포함하는 제2 가발모(350)의 상부에 적어도 매듭부(351)와 겹치도록 네트부(310)를 포개는 제1 단계와, 네트부(310)의 구멍(H)을 통해 연장부(355)를 인출하는 제2 단계와, 네트부(310)의 하면에, 선형부(330)와 매듭부(351)가 놓인 상태에서, 네트부(310)가 연장부(355)의 반대방향으로 포개지도록 접는 제3 단계와, 선형부(330) 및 매듭부(351)가 네트부(310)의 포개진 내측부에 고정되게, 네트부(310)의 포개진 부분을 접합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발과 가발의 테두리부재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가발의 제작방법을 이용하면 테두리부재에 네트부와 선형부 및 선형부에 매듭지어지고 네트부를 통해 인출되는 제2 가발모를 구비함으로써, 종래 테두리부분에 수제를 뜨는 경우와 달리, 시간이 지나도 모가 뜨지 않고 밀착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가발의 외곽 둘레의 경계 부분을 자연스럽게 연출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지만,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100: 가발 200: 베이스부재
210: 제1 가발모 300: 테두리부재
310: 네트부 311: 제1 파트
312: 제2 파트 313: 접힘부
330: 선형부 350: 제2 가발모
351: 매듭부 352: 고리파트
353: 결속파트 355: 연장부
400: 스킨부 500: 패치부
H: 구멍 S: 내측공간

Claims (14)

  1. 제1 가발모가 식모되는 망 형태의 베이스부재; 및
    상기 베이스부재의 둘레를 따라 고정되고 제2 가발모를 구비하는 테두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테두리부재는,
    상기 베이스부재의 가장자리를 따라 접합되는 네트부; 및
    선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부재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네트부에 고정되며, 복수의 상기 제2 가발모가 길이방향을 따라 매듭지어진 선형부를 포함하고,
    상기 네트부는,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접힘부와, 상기 접힘부의 양측에 구비되고 서로 포개지며 포개진 내부에 상기 선형부가 끼워지는 제1 파트 및 제2 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가발모는, 상기 선형부에 매듭지어지고 상기 제1 파트와 상기 제2 파트 사이에 구비되는 매듭부와, 상기 매듭부에서 연장되되 상기 네트부의 구멍을 통해 인출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가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부를 기준으로 착용자의 두피를 향하는 방향을 하방으로 정의하고, 상기 하방의 반대 방향을 상방으로 정의할 때,
    상기 매듭부는 상기 제2 가발모를 이루는 모를 U자 형으로 구부린 상태에서 구부러진 모의 중간 부분인 고리파트가 상기 선형부에 걸려 결속되어 마련되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고리파트에서 연장되되,
    상기 고리파트는 상기 선형부에 상방에서 하방으로 걸려 상기 선형부와의 사이에 내측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내측공간을 통과하여 연장됨으로써, 상기 고리파트가 상기 연장부의 상방에 위치하게 마련되는, 가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부 및 상기 매듭부는 상기 접힘부에 밀착되게 마련되고,
    상기 네트부는, 상기 선형부와 상기 매듭부가 상기 접힘부에 밀착된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상기 매듭부에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제1 파트와 상기 제2 파트가 재봉되어 형성된 접합라인을 더 포함하는, 가발.
  5. 제1항에 있어서,
    착용자의 이마라인에 부착되게 상기 베이스부재의 전방에 접합되는 스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테두리부재는 상기 베이스부재의 가장자리 중 상기 스킨부가 접합된 부분을 제외한 부분에 구비되는, 가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의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되되, 상기 베이스부재의 착용자의 두피를 향하는 면에 접합되는 패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네트부는 상기 베이스부재와 상기 패치부의 사이에 개재되어 접합되는, 가발.
  7. 선형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로 매듭지어진 매듭부와 상기 매듭부에서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제2 가발모의 상부에 적어도 상기 매듭부와 겹치도록 네트부를 포개는 제1 단계;
    상기 네트부의 구멍을 통해 상기 연장부를 인출하는 제2 단계;
    상기 네트부의 하면에, 상기 선형부와 상기 매듭부가 놓인 상태에서, 상기 네트부가 상기 연장부의 반대방향으로 포개지도록 접는 제3 단계; 및
    상기 선형부 및 상기 매듭부가 상기 네트부의 포개진 내측부에 고정되게, 상기 네트부의 포개진 부분을 접합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계 전에, 상기 네트부를 길이방향을 따라 접어서 접힘부를 형성한 후 상기 네트부를 펼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네트부는 상기 접힘부를 기준으로 구분되는 제1 파트와 제2 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선형부와 상기 매듭부가 상기 접힘부에 인접하게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1 파트와 상기 제2 파트가 포개지게 상기 접힘부를 접어서 수행되는, 가발의 테두리부재 제작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제2 가발모를 몰드의 상면에 올려놓는 단계;
    상기 네트부를 상기 제2 가발모의 상부에 중첩되게 상기 몰드에 올려놓는 단계; 및
    상기 네트부와 상기 제2 가발모를 상기 몰드에 임시로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단계 이후에 상기 네트부와 상기 제2 가발모를 상기 몰드에서 분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가발의 테두리부재 제작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선형부와 상기 접힘부를 대응되게 위치시키고, 상기 네트부와 상기 제2 가발모를 임시로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발의 테두리부재 제작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접힘부에 인접하게 위치한, 상기 네트부의 구멍을 통해 상기 연장부를 인출하는, 가발의 테두리부재 제작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네트부가 포개진 상태에서 상기 연장부와 상기 네트부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당겨서, 상기 선형부 및 상기 매듭부를 상기 네트부에 밀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발의 테두리부재 제작방법.
  12. 삭제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선형부 및 상기 매듭부에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제1 파트와 상기 제2 파트를 재봉하여 접합하는, 가발의 테두리부재 제작방법.
  14. 가발의 테두리부재를 제작하는 테두리부재 제작단계;
    베이스부재의 가장자리에 상기 테두리부재를 접합하는 테두리부재 접합단계; 및
    상기 베이스부재에 제1 가발모를 식모하는 식모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테두리부재 제작단계는,
    선형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로 매듭지어진 매듭부와 상기 매듭부에서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제2 가발모의 상부에 적어도 상기 매듭부와 겹치도록 네트부를 포개는 제1 단계;
    상기 네트부의 구멍을 통해 상기 연장부를 인출하는 제2 단계;
    상기 네트부의 하면에, 상기 선형부와 상기 매듭부가 놓인 상태에서, 상기 네트부가 상기 연장부의 반대방향으로 포개지도록 접는 제3 단계; 및
    상기 선형부 및 상기 매듭부가 상기 네트부의 포개진 내측부에 고정되게, 상기 네트부의 포개진 부분을 접합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계 전에, 상기 네트부를 길이방향을 따라 접어서 접힘부를 형성한 후 상기 네트부를 펼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네트부는 상기 접힘부를 기준으로 구분되는 제1 파트와 제2 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선형부와 상기 매듭부가 상기 접힘부에 인접하게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1 파트와 상기 제2 파트가 포개지게 상기 접힘부를 접어서 수행되는, 가발의 제작방법.
KR1020180139807A 2018-11-14 2018-11-14 가발과, 가발의 테두리부재 제작방법 및, 가발의 제작방법 KR1019894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9807A KR101989430B1 (ko) 2018-11-14 2018-11-14 가발과, 가발의 테두리부재 제작방법 및, 가발의 제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9807A KR101989430B1 (ko) 2018-11-14 2018-11-14 가발과, 가발의 테두리부재 제작방법 및, 가발의 제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9430B1 true KR101989430B1 (ko) 2019-06-17

Family

ID=67064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9807A KR101989430B1 (ko) 2018-11-14 2018-11-14 가발과, 가발의 테두리부재 제작방법 및, 가발의 제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94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612891A (en) * 2021-10-11 2023-05-17 Gray Natasha Hair extensions, methods of making,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4723U (ja) * 1995-11-16 1996-05-31 株式会社アートオブヘアー 折り返し生え際部分を有するカツラ
KR20070091686A (ko) * 2004-12-28 2007-09-11 가부시키가이샤 아데랑스 가발 및 그 제조 방법
JP2015096659A (ja) * 2013-11-15 2015-05-21 株式会社アートネイチャー かつらベース、及び、かつら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4723U (ja) * 1995-11-16 1996-05-31 株式会社アートオブヘアー 折り返し生え際部分を有するカツラ
KR20070091686A (ko) * 2004-12-28 2007-09-11 가부시키가이샤 아데랑스 가발 및 그 제조 방법
JP2015096659A (ja) * 2013-11-15 2015-05-21 株式会社アートネイチャー かつらベース、及び、かつら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612891A (en) * 2021-10-11 2023-05-17 Gray Natasha Hair extensions, methods of making,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83551B2 (ja) かつら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457922B1 (ko) 탈부착이 용이한 헤어피스 및 헤어피스 셋트
US20050268929A1 (en) Hair extension attachment
JP2006132072A (ja) スキン網を用いた毛の手編方法及びこれにより製造された鬘
US7707656B2 (en) Head scarf and method of making it
JP2019039127A (ja) つけ髪並びにつけ髪製作方法及び施術方法
KR101252658B1 (ko) 붙임머리 가발의 제조와 시술방법 및 그 가발
KR101989430B1 (ko) 가발과, 가발의 테두리부재 제작방법 및, 가발의 제작방법
US9572656B2 (en) Skin wef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4486124B2 (ja) 天然毛皮製の毛皮及び毛皮レース、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
KR101852872B1 (ko) 가발 및 그 제작방법
KR101086890B1 (ko) 붙임머리, 그 제조방법 및 그 식모방법
US8266721B1 (en) Head wear specifically but not exclusively for people experiencing hair loss
KR101633079B1 (ko) 부분 가발 및 이의 제조방법
JP3185385U (ja) セパレート式着物の上衣、及びセパレート式着物
KR101584939B1 (ko) 가발, 가발 고정구 및 가발 제작방법
JP3203492U (ja) 立体衿
KR101378986B1 (ko) 스킨컬러베이스를 이용한 누디스킨형 패션가발
KR101998181B1 (ko) 붙임머리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붙임머리
KR101591174B1 (ko) 줄을 이용한 가발의 제조방법
KR200464605Y1 (ko) 재사용이 가능한 붙임머리
US2192550A (en) Wig with scalp-showing part
JP3177774U (ja) スカーフ
JP6081791B2 (ja) かつら
KR101625044B1 (ko) 슬림형 통가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