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8423B1 - 음향을 이용한 진동 시스템 - Google Patents

음향을 이용한 진동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8423B1
KR101988423B1 KR1020180134319A KR20180134319A KR101988423B1 KR 101988423 B1 KR101988423 B1 KR 101988423B1 KR 1020180134319 A KR1020180134319 A KR 1020180134319A KR 20180134319 A KR20180134319 A KR 20180134319A KR 101988423 B1 KR101988423 B1 KR 1019884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signal
bit
unit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4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지승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츠나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츠나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츠나인
Priority to KR10201801343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8423B1/ko
Priority to EP19796970.2A priority patent/EP3790289A4/en
Priority to PCT/KR2019/001680 priority patent/WO2019212132A1/ko
Priority to US16/604,569 priority patent/US11323814B2/en
Priority to CN201980025188.6A priority patent/CN112075089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84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84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2Spatial or constructional arrangements of loudspeakers
    • H04R5/023Spatial or constructional arrangements of loudspeakers in a chair, pill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향을 이용한 진동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음향을 이용해 음향의 비트를 체감할 수 있도록 진동을 생성하는 시스템으로서, 무게와 부피가 최소화되어 간편하게 휴대가 가능하거나 운반이 용이하고, 사용자가 현재 감상 중인 음향의 박자에 맞게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다양한 느낌의 진동을 생성하여 사용자의 체감 효과를 한층 더 높일 수 있도록 하며, 제조 비용이 획기적으로 절감될 수 있는 진동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음향을 이용한 진동 시스템{Vibration system using sound}
본 발명은 음향을 이용한 진동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음향을 이용해 음향의 비트를 체감할 수 있도록 진동을 생성하는 시스템으로서, 무게와 부피가 최소화되어 간편하게 휴대가 가능하거나 운반이 용이하고, 사용자가 현재 감상 중인 음향의 비트에 맞게 진동을 생성하며, 더 나아가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다양한 느낌의 진동을 박자에 맞게 생성하여 음향을 감상하는 사용자의 체감 효과를 한층 더 높일 수 있도록 하며, 제조 비용이 획기적으로 절감될 수 있는 진동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음향장치, TV, 모니터, 극장의 스크린 등을 통해 영상이나 음악을 감상할 때 주로 시각이나 청각에만 의존하는 기존의 방식과는 다른 독특하고 다양한 체험을 원하는 현대인의 심리를 반영하여 인간의 오감 중 촉감 즉, 기분 나쁘지 않을 정도의 간단한 신체 자극을 통해 영상이나 음악에 동기된 환경 효과를 연출함으로써, 영상이나 음악에 더욱 몰일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어 왔다.
일 예로서, 극장이나 놀이공원의 대형 이벤트 홀, 입체 영화관 등의 의자에 않아 영화를 감살할 경우 영상 속의 여러가지 상황을 간접적으로나마 체험할 수 있도록 음향 진동 장치를 구비한 음향 진동 체감 의자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음향진동 체감의자 중에서 대표적인 것으로서, 트랜스듀서 등과 같은 진동장치를 구비한 음향 진동 체감용 의자가 있으며, 이는 사운드와 의자가 동기화되어 영상의 사운드에 따라 의자가 진동하는 시스템으로서 고가의 트랜스듀서, 아날로그 주파수 필터, 앰프등을 포함한 고비용의 장비입니다.
또한, 이러한 음향 진동 체감용 의자는 아날로그 음향 신호를 단순히 아날로그 주파수 필터 등을 통해 주파수 대역별 아날로그 음향 신호로 분리한 후 이를 직접 트랜스듀서와 같은 진동부에 직접 입력하여 진동을 구현하는 장치로서, 아날로그 음향 신호의 세기에 수동적으로만 반응할 뿐 사용자 임의로 진동의 변경이나 추가가 불가능 합니다.
따라서, 음향을 이용해 음향의 비트를 체감할 수 있도록 진동을 생성하는 시스템으로서, 무게와 부피가 최소화되어 간편하게 휴대가 가능하거나 운반이 용이하고, 사용자가 실제로 체감하는 음향의 비트와 박자에 맞게 다양한 진동 효과를 주어 사용자의 흥을 한층 더 돋울 수 있도록 하며, 제조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진동 시스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음향을 이용해 음향의 비트를 체감할 수 있도록 진동을 생성하는 진동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무게와 부피가 최소화되어 간편하게 휴대가 가능하거나 운반이 용이하고 제조 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진동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사용자가 실제로 체감하는 음향의 비트와 박자에 맞게 다양한 진동 효과를 주어 사용자에게 음악 감상의 효과를 한층 더 높일 수 있는 진동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음향을 이용한 진동 시스템으로서, 휴대 단말기에 설치되는 휴대 단말기용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휴대 단말기용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의 진동 제어신호에 따라 진동을 생성하는 진동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용 어플리케이션은 푸리에 변환 연산을 통해 상기 휴대 단말기의 마이크부에 의해 입력된 신호를 디지털화한 신호, 또는 인터넷 스트리밍을 통해 전송 받은 디지털 음향 신호, 또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내부 저장소에 보관된 음원 파일로부터의 디지털 음향 신호를 N개의 주파수 대역별 음향 신호로 분할하는 고속 푸리에 변환부, 상기 N개의 주파수 대역별 음향 신호로부터 특정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를 선택하고 이로부터 비트를 생성하는 비트 생성부, 및 상기 비트 생성부로부터 생성된 비트에 따른 진동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진동 신호 생성부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디지털 음향 신호를 고속 푸리에 변환 처리하여 상기 진동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음향을 이용한 진동 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비트 생성부는 평균 파워 계산부, 비트 검출부, 주기 검출부 및 출력비트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평균 파워 계산부는 상기 고속 푸리에 변환부에서 출력되는 N개의 주파수 대역별 디지털 음향 신호의 이동 평균 파워를 실시간으로 계산하고, 상기 비트 검출부는 상기 평균 파워 계산부로부터 주파수 대역별 디지털 음향 신호의 이동 평균 파워를 입력받아 비트를 검출하기에 가장 적절한 특정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를 선택하고, 선택된 음향 신호의 크기 변화를 통해 비트를 검출하며, 상기 주기 검출부는 상기 비트 검출부에서 검출되는 비트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선택된 음향 신호의 악보에서의 마디를 찾고, 상기 출력 비트 생성부는 상기 비트 검출부에서 검출한 비트와 상기 주기검출부에서 찾은 선택된 음향 신호의 악보에서의 마디로부터 출력 비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을 이용한 진동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비트를 검출하기에 가장 적절한 특정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는 상기 이동 평균 파워가 가장 큰 음향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을 이용한 진동 시스템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비트 검출부는 상기 선택된 음향 신호가 이의 이동 평균 파워의 일정 배수 이상의 크기를 갖는 음향 신호 크기의 피크를 비트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을 이용한 진동 시스템을 제공한다.
나아가, 상기 선택된 음향 신호의 악보에서의 마디, 즉 시간 축에 따라 진행되는 악보에서의 하나의 마디가 연주되는 시간 간격과 각 마디의 시작 시간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을 이용한 진동 시스템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진동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실장되어 진동을 생성하는 진동부, 상기 진동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진동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진동부를 제어하는 진동 제어부, 상기 진동부 및 상기 진동 제어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을 이용한 진동 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진동부는 하나 이상의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을 이용한 진동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진동 제어부는 상기 진동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회로를 포함하는 수신부 및 상기 진동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진동부에 구동 신호를 보내는 구동 회로를 포함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을 이용한 진동 시스템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진동 제어 신호는 상기 진동 장치에 포함되는 복수 개의 진동 모터 각각에 대한 진동 제어 신호를 모두 포함하고, 상기 진동 제어 신호는 진동 모터의 회전 강약 조절을 위해 펄스폭 변조 방식을 따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을 이용한 진동 시스템을 제공한다.
나아가, 상기 휴대단말기용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진동의 크기와 방식을 선택할 수 있는 메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을 이용한 진동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음향을 이용한 진동 시스템은 디지털 음향 신호를 고속 푸리에 변환 연산으로 처리하여 디지탈 적으로 비트와 악보의 마디에 해당하는 비트 주기를 검출 함으로써 진동부에 다양한 리듬의 진동 및 효과를 추가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체감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향을 이용한 진동 시스템은 무게와 부피가 최소화되어 간편하게 휴대가 가능하거나 운반이 용이하고 제조 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향을 이용한 진동 시스템의 개요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향을 이용한 진동 시스템의 구동 방식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향을 이용한 진동 시스템의 세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3에서 세부 구성 중 비트생성부의 세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진동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 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향을 이용한 진동 시스템의 개요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향을 이용한 진동 시스템은 휴대 단말기(200)에 설치되어 상기 휴대 단말기(200)를 통해 시스템 외부의 음원(100)으로부터 제공된 디지털 음향 신호 또는 제공된 아날로그 음향 신호로부터 변환된 디지털 음향 신호를 입력받거나 상기 휴대 단말기(200)의 내부 저장소에 저장된 음원 파일로부터의 디지털 음향 신호를 처리하는 휴대 단말기용 어플리케이션(300), 상기 휴대 단말기용 어플리케이션(300)을 통해 처리된 음향 신호에 따라 생성된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이에 따라 진동을 생성하는 진동 장치(4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원(100)는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음향(sound)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일반적으로 스피커를 보유한 음향기기, TV, 모니터, 음원 스트리밍 서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200)는 음향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는 입력부 또는 음원 파일이 저장된 저장부, 입력된 또는 저장된 음향 신호를 처리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처리부, 생성된 제어 신호를 무선 또는 유선으로 전송하는 전송부 등을 구비할 수 있다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스마트폰, 테블릿P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휴대 단말기(200)는 외부로부터 음향 신호를 입력받지 않고 내부 저장소에 저장된 음원 파일을 처리하고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상기 진동 장치(400)는 상기 휴대 단말기(200)로부터 전송된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이에 따라 진동부를 구동하는 진동 제어부, 상기 진동 제어부에 의해 구동되는 진동 모터 등의 하나 이상의 진동 유닛을 포함하는 진동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의자, 소파, 쿠션, 방석, 등받이, 깔개 패드, 가방, 멜빵, 의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방석, 등받이, 깔개 패드 등은 착석이 가능한 모든 형태의 장소에서 활용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향을 이용한 진동 시스템의 구동 방식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향을 이용한 진동 시스템은 아래 단계들을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구동되고, 아래 각각의 단계들은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외부의 음원(100)으로부터의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음향 신호를 휴대 단말기(200)로 입력하는 단계(S100),
휴대 단말기(200)에 설치된 프로그램(300)에 의해 음향 신호를 제어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S200),
휴대 단말기(200)에 설치된 프로그램(300)이 변환된 제어 신호를 진동 장치(400)로 전송하는 단계(S300), 및
진동 장치(400)는 휴대 단말기(200)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진동 장치를 구동하여 진동을 생성하는 단계(S400).
구체적으로, 단계(S100)에서 휴대 단말기(200)는 예를 들어 마이크 등을 통해 음향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고, 단계(S200)에서 휴대 단말기(200)에 설치된 프로그램은 예를 들어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으로 다운로드 받아 설치될 수 있으며, 단계(S300)에서 제어신호의 전송은 블루투스, 와이파이 등의 무선 통신이나 USB 케이블 등을 통한 유선 통신으로 수행될 수 있고, 단계(S400)에서 진동 유닛은 예를 들어 BLDC 진동 모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향을 이용한 진동 시스템의 세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200)는 마이크부(210)에 의해 음원(100)으로부터 제공되는 디지털 음향 신호 또는 제공된 아날로그 음향 신호로부터 A/D 변환부(220)에 의해 변환된 디지털 음향 신호를 입력받거나, 상기 휴대 단말기(200)의 내부 저장소에 보관된 음원 파일로부터의 디지털 음향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200)에 설치된 프로그램으로서 휴대 단말기용 어플리케이션(300)을 통해 상기 음향 신호를 처리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휴대 단말기용 어플리케이션(300)은 고속 푸리에 변환부(310)에서 고속 푸리에 변환(Fast Fourier Transition; FFT) 연산을 통해 입력된 디지털 음향 신호를 N개의 주파수 대역 별 신호로 분할하고, 비트 생성부(320)에서 특정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를 선택하고 이로부터 비트를 생성하며, 진동 신호 생성부(330)에서 상기 비트생성부(320)로부터 생성된 비트에 따른 진동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이를 진동 장치(400)로 전송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고속 푸리에 변환(FFT)은 입력된 디지털 음향 신호를 수학적 연산에 의해 각 주파수 대역별 N개의 디지털 신호로 분할하는 수단으로 종래 아날로그 음향 신호를 아날로그 주파수 필터에 의해 주파수 대역별로 분할하는 것과 달리 음향 신호의 누락이나 추가 없이 각 주파수 대역별 음향 신호로 정밀하게 분할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서 세부 구성 중 비트 생성부의 세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휴대 단말기용 어플리케이션(300)에서 비트 생성부(320)는 평균 파워 계산부(321), 비트 검출부(322), 주기 검출부(323), 출력 비트 생성부(32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평균 파워 계산부(321)는 상기 고속 푸리에 변환부(310)에서 출력되는 N개의 주파수 대역별 디지털 음향 신호, 특히 저주파 대역의 디지털 음향 신호의 이동 평균 파워(moving average power)를 실시간으로 항상 계산한다. 여기서, 음향 신호의 이동 평균 파워는 단순히 특정 순간의 신호의 크기(볼륨)가 아니라 상기 특정 순간의 신호와 그 이전의 일정 시간 동안의 신호의 크기(볼륨)를 평균한 값으로 신호의 전반적인 크기(볼륨)의 추세를 나타내는 인자이다.
또한, 상기 비트 검출부(322)는 상기 평균 파워 계산부(321)로부터 주파수 대역 별 디지털 음향 신호의 이동 평균 파워를 입력받아 비트를 검출하기에 가장 적절한 특정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 예를 들어, 전반적인 신호의 크기(볼륨)의 변화가 큰 음향 신호를 선택한다. 비트는 주로 드럼 소리와 같은 저주파 대역의 소리이므로 일반적으로 저주파 대역 신호 중 하나가 선택된다. 선택된 특정 주파수 대역 신호를 실시간으로 관찰하여 피크값을 갖는 지점을 비트로 검출한다.
여기서, 선택된 특정 주파수 대역 신호 크기의 피크값은 잘못된 비트 검출을 방지하기 위해 이동 평균 파워의 일정 배수 이상, 예를 들어 2배 이상의 크기를 갖는 시점으로 제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주기 검출부(323)는 상기 비트 검출부(322)에서 연속적으로 검출되는 비트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선택된 음향 신호의 악보에서의 마디를 찾는다. 악보에서의 마디를 찾는다는 의미는 시간 축에 따라 진행되는 악보에서 하나의 마디가 연주되는 시간 간격(주기)과 각 마디의 시작 시간을 찾는 것을 의미한다. 실시간으로 연주되는 음향에서 악보의 마디를 찾게 되면 박자에 맞는 다양한 리듬의 진동을 자유롭게 추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출력 비트 생성부(324)는 상기 비트 검출부(322)에서 검출한 비트와 상기 주기 검출부(323)에서 찾은 선택된 음향 신호의 악보에서의 마디, 즉 각 마디가 연주되는 시간 간격(주기)과 각 마디의 시작 시간으로부터 실제 음향이 갖는 박자에 맞추어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다양한 리듬의 출력 비트를 생성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진동 신호 생성부(330)는 상기 출력 비트 생성부(324)에서 생성된 출력 비트에 기초하여 상기 진동 장치(400)의 진동부(420)의 진동 모터 등을 구동할 진동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통신 규약에 맞추어 블루투스, 와이파이, 유선통신 등을 통해 상기 진동 장치(400)의 진동 제어부(410)로 전송하게 된다. 여기서,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상기 출력 비트의 리듬, 강도나 길이, 깊이 등에 대한 다양한 변화를 줄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동 제어 신호는 상기 진동 장치(400)의 진동부(420)에 포함되는 진동 모터 등의 진동 유닛이 복수개인 경우 각각의 진동 유닛에 대한 진동 제어 신호를 모두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진동 제어 신호는 진동 유닛으로서 진동 모터의 회전 강약 조절을 위해 펄스폭 변조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 단밀기용 어플리케이션(300)은 사용자가 진동의 크기와 방식을 선택할 수 있는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향의 볼륨에 따라 진동의 크기가 자동 조절되거나, 사용자가 임의로 진동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미리 설정된 리듬 중 하나를 선택하게 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리듬의 진동을 박자에 맞춰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 개의 진동 유닛은 동일하게 또는 상이하게 구동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빠른 비트에 상응하는 진동은 의자나 패드의 등받이 부분에 구비된 진동 유닛에 의해 구현되고, 느린 비트에 상응하는 진동은 의자나 패드의 착석부 부분에 구비된 진동 유닛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고, 일정한 시간 패턴에 따라 등받이 부분 및 착석부 부분에 각각 구비된 진동 유닛이 동일하게 구현되는 것과 상이하게 구현되는 것이 교대로 반복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음향을 이용한 진동 시스템은 음향의 비트를 다양한 방식으로 체감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진동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향을 이용한 진동 장치(400)는 하우징(440), 상기 하우징(440) 내부에 실장되어 진동을 생성하는 진동부(420), 상기 휴대 단말기용 어플리케이션(300)로부터 진동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진동 제어 신호에 따라 진동부(420)에 포함된 진동 모터 등의 진동 유닛을 구동하는 진동 제어부(410), 상기 진동부(420) 및 상기 진동 제어부(410)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4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440)은 진동 장치(400)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재질과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상기 진동부(420)는 진동 모터 등의 진동 유닛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진동 유닛은 상기 하우징(440) 내부에서 다양한 배치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동 제어부(410)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회로 등의 수신부 및 제어 신호에 따라 각각의 진동 유닛에 구동 신호를 보내는 구동 회로 등의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원부(430)는 축전지 또는 전원 케이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향을 이용한 진동장치(400)는 종래 음향 진동 장치에 구비된 트랜스듀서가 필요 없고 진동 모터 등의 진동 유닛에 의해 진동이 구현되기 때문에 무게와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간편하게 휴대가 가능하거나 이동이 용이하며, 제조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 청구 범위의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100 : 음원 200 : 휴대단말기
300 : 휴대단말기용 어플리케이션 400 : 진동장치

Claims (10)

  1. 음향을 이용한 진동 시스템으로서,
    휴대 단말기에 설치되는 휴대 단말기용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휴대 단말기용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의 진동 제어 신호에 따라 진동을 생성하는 진동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용 어플리케이션은 푸리에 변환 연산을 통해 상기 휴대 단말기의 마이크부에 제공된 아날로그 음향 신호로부터 변환된 디지털 음향 신호, 인터넷을 통한 스트리밍 디지털 음향 신호, 또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내부 저장소에 보관된 음원 파일로부터의 디지털 음향 신호를 N개의 주파수 대역별 음향 신호로 분할하는 고속 푸리에 변환부, 상기 N개의 주파수 대역별 음향 신호로부터 특정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를 선택하고 이로부터 비트를 생성하는 비트 생성부, 및 상기 비트 생성부로부터 생성된 비트에 따른 진동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진동 신호 생성부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디지털 음향 신호를 고속 푸리에 변환 처리하여 상기 진동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비트 생성부는 평균 파워 계산부, 비트 검출부, 주기 검출부 및 출력 비트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평균 파워 계산부는 상기 고속 푸리에 변환부에서 출력되는 N개의 주파수 대역별 디지털 음향 신호의 이동 평균 파워를 실시간으로 계산하고,
    상기 비트 검출부는 상기 평균 파워 계산부로부터 주파수 대역별 디지털 음향 신호의 이동 평균 파워를 입력받아 비트를 검출하기에 가장 적절한 특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선택하고, 선택된 음향 신호 크기의 피크값을 갖는 시점을 비트로 검출하며,
    상기 주기 검출부는 상기 비트 검출부에서 검출되는 비트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음향 신호의 악보에서의 마디를 찾고,
    상기 출력 비트 생성부는 상기 비트 검출부에서 검출한 비트와 상기 주기 검출부에서 찾은 선택된 음향 신호의 악보에서의 마디로부터 박자에 맞는 출력 비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을 이용한 진동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를 검출하기에 가장 적절한 특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는 상기 이동 평균 파워의 변화가 가장 큰 저주파 대역의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을 이용한 진동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 검출부는 상기 선택된 주파수 대역 신호에서 이의 이동 평균 파워의 일정 배수 이상의 크기를 갖는 피크값의 지점을 비트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을 이용한 진동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음향 신호의 악보에서의 마디는 시간 축에 따라 진행되는 악보에서의 하나의 마디가 연주되는 시간 간격과 각 마디의 시작 시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을 이용한 진동 시스템.
  6.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실장되어 진동을 생성하는 진동부, 상기 진동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진동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진동부를 제어하는 진동제어부, 및 상기 진동부 및 상기 진동 제어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을 이용한 진동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부는 하나 이상의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을 이용한 진동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제어부는 상기 진동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회로를 포함하는 수신부 및 상기 진동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진동부에 구동 신호를 보내는 구동 회로를 포함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을 이용한 진동 시스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제어 신호는 상기 진동 장치에 포함되는 복수 개의 진동 모터 각각에 대한 진동 제어 신호를 모두 포함하고, 상기 진동 제어 신호는 진동 모터 회전의 강약 조절을 위해 펄스폭 변조 방식을 따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을 이용한 진동 시스템.
  10.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용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진동의 크기와 방식을 선택할 수 있는 메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을 이용한 진동 시스템.
KR1020180134319A 2018-04-30 2018-11-05 음향을 이용한 진동 시스템 KR1019884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4319A KR101988423B1 (ko) 2018-11-05 2018-11-05 음향을 이용한 진동 시스템
EP19796970.2A EP3790289A4 (en) 2018-04-30 2019-02-12 VIBRATION SYSTEM WITH SOUND
PCT/KR2019/001680 WO2019212132A1 (ko) 2018-04-30 2019-02-12 음향을 이용한 진동 시스템
US16/604,569 US11323814B2 (en) 2018-04-30 2019-02-12 Vibration system using sound
CN201980025188.6A CN112075089B (zh) 2018-04-30 2019-02-12 利用声音的振动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4319A KR101988423B1 (ko) 2018-11-05 2018-11-05 음향을 이용한 진동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8423B1 true KR101988423B1 (ko) 2019-06-12

Family

ID=66846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4319A KR101988423B1 (ko) 2018-04-30 2018-11-05 음향을 이용한 진동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842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6424A (ko) * 2012-07-05 2014-0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원기반 체감진동 구현방법
KR20150143908A (ko) * 2014-06-13 2015-12-24 주식회사 체어로 진동판과 스피커가 구비된 입체의자 및 상기 입체의자가 복수로 구동되는 네트워크 시스템
KR20180012397A (ko) * 2016-07-27 2018-02-06 주식회사 이스트컨트롤 디지털 음원 관리 시스템 및 방법, 디지털 음원 재생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6424A (ko) * 2012-07-05 2014-0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원기반 체감진동 구현방법
KR20150143908A (ko) * 2014-06-13 2015-12-24 주식회사 체어로 진동판과 스피커가 구비된 입체의자 및 상기 입체의자가 복수로 구동되는 네트워크 시스템
KR20180012397A (ko) * 2016-07-27 2018-02-06 주식회사 이스트컨트롤 디지털 음원 관리 시스템 및 방법, 디지털 음원 재생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75306B2 (ja) 身体運動時の音響的フィードバックを制御する方法および装置
US20170182284A1 (en) Device and Method for Generating Sound Signal
JP2009512107A (ja) オーディオ情報の再生制御
US11877975B2 (en) Method and system for multimodal stimulation
JPWO2016027366A1 (ja) 振動信号生成装置及び振動信号生成方法
GB2397736A (en) Visualization of spatialized audio
JP2009177574A (ja) ヘッドホン
JP5381293B2 (ja) 放音制御装置
US11642698B2 (en) Vibration device using sound and system comprising the same
JP2011130099A (ja) 入眠起床用音環境生成装置
JP2017012302A (ja) 音源装置
KR101988423B1 (ko) 음향을 이용한 진동 시스템
JP2010259456A (ja) 放音制御装置
KR101947955B1 (ko) 음향을 이용한 진동장치 및 시스템
CN112075089B (zh) 利用声音的振动系统
JP7140237B2 (ja) 振動体感装置
JP6322780B1 (ja) 触覚コンテンツ生成装置、音響コンテンツ生成装置、音響再生装置、触覚コンテンツ生成方法および音響コンテンツ生成方法
WO2009081972A1 (ja) 他動運動装置と該装置用アダプタ
US20180117277A1 (en) Audio signal generation device, audio signal generation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JP2018064216A (ja) 力覚データ生成装置、電子機器、力覚データ生成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WO2020080204A1 (ja) 音響コンテンツ生成装置、音響コンテンツ生成方法、音響コンテンツ再生装置、音響コンテンツ再生方法、音響コンテンツ再生用プログラム、音響コンテンツ提供装置および音響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
WO2004110333A1 (en) Massaging apparatus responding to sound and health-care machine having the apparatus
JP6661210B1 (ja) 音響コンテンツ生成装置、音響コンテンツ生成方法、音響コンテンツ再生装置、音響コンテンツ再生方法、音響コンテンツ再生用プログラム、音響コンテンツ提供装置および音響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
WO2011155028A1 (ja) 体感振動装置
KR200286413Y1 (ko) 소리 감지형 진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