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7491B1 - 차량용 윈도우 레귤레이터 핸들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윈도우 레귤레이터 핸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7491B1
KR101987491B1 KR1020130121831A KR20130121831A KR101987491B1 KR 101987491 B1 KR101987491 B1 KR 101987491B1 KR 1020130121831 A KR1020130121831 A KR 1020130121831A KR 20130121831 A KR20130121831 A KR 20130121831A KR 101987491 B1 KR101987491 B1 KR 1019874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stopper
gear
bracket
regu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18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0928A (ko
Inventor
김도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218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7491B1/ko
Publication of KR201500809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09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74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74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38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 E05F11/42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operated by rack bars and toothed wheels or other push-pull mechanisms
    • E05F11/423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operated by rack bars and toothed wheels or other push-pull mechanisms for vehicle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B60J5/0416Assembly panels to be installed in doors as a module with components, e.g. lock or window lifter, attached thereto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71Toothed gearing
    • E05Y2201/716Pin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71Toothed gearing
    • E05Y2201/722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5Windows

Landscapes

  • Window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윈도우 레귤레이터 핸들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윈도우 글래스의 개폐를 위해 핸들을 360°회전 조작방식이 아닌 보다 간단한 방식으로 조작하도록 개선한 윈도우 레귤레이터 핸들 장치를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윈도우 글래스의 상승/하강 작동을 위한 레귤레이터 축을 회전시키도록 구비되는 핸들과; 상기 레귤레이터 축에 일체 회전되도록 결합되고 주연부를 따라 톱니가 형성된 기어와; 상기 핸들 내측에 탄성 지지되도록 설치되고 핸들의 상하방향 반복 회전 조작 동안 핸들과 함께 이동하면서 핸들의 일방향 회전력만을 상기 기어에 전달하도록 구비되는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 일측에는 기어의 톱니를 타고 이동하면서 핸들과 기어 간 공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스토퍼 타측에는 기어의 톱니에 걸림작용하여 핸들의 회전력을 기어에 전달하기 위한 걸림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차량용 윈도우 레귤레이터 핸들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윈도우 레귤레이터 핸들 장치{WINDOW REGULATOR HANDLE DEVICE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윈도우 레귤레이터 핸들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윈도우 글래스의 개폐를 위해 핸들을 360°회전 조작방식이 아닌 보다 간단한 방식으로 조작하도록 개선한 윈도우 레귤레이터 핸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도어 윈도우 레귤레이터는 수동식과 전동식으로 대별된다.
여기서, 수동식은 와이어 드럼이나 암에 설치된 섹터 기어에 피니언이 치합되어 설치되고, 피니온에 도어 트림 외부(실내)로 일단이 노출되도록 레귤레이터 축이 설치되며, 상기 레귤레이터 축에는 핸들이 설치되어 사용자가 핸들을 수동으로 회전 조작할 경우 도어 윈도우 글래스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에 반해 전동식은 와이어 드럼이나 섹터 기어가 전동모터에 의해 구동되도록 구성되어 전동모터의 구동력으로 도어 윈도우 글래스가 개폐될 수 있게 되어 있다.
현재 승용차의 경우 대부분 수동식을 사용하지 않고 전동식을 사용하고 있으나, 상용차의 경우에는 대형 트럭이나 중형 트럭에서 아직 저가형 수동식 레귤레이터를 적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저가형 사양에 주로 적용되고 있는 수동식 레귤레이터에서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귤레이터 축(1)의 치형부(도어 트림 외부로 노출됨)에 결합되어 있는 핸들(10a)을 조작수단으로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수동식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경우 핸들(10a)을 360°로 반복해서 회전 조작하여야만 윈도우 글래스를 상승/하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차량 운행 중 운전자가 핸들을 360°로 회전 조작하여 윈도우 글래스를 상승/하강시키는데 상당한 불편이 있을 뿐만 아니라, 주행 중 핸들 조작으로 인해 위험상황이 초래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서, 수동식 윈도우 레귤레이터가 적용되는 차량에서 윈도우 글래스의 개폐를 위해 핸들을 360°회전 조작방식이 아닌 보다 간단한 방식으로 조작하도록 개선한 윈도우 레귤레이터 핸들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윈도우 글래스의 상승/하강 작동을 위한 레귤레이터 축을 회전시키도록 구비되는 핸들과; 상기 레귤레이터 축에 일체 회전되도록 결합되고 주연부를 따라 톱니가 형성된 기어와; 상기 핸들 내측에 탄성 지지되도록 설치되고 핸들의 상하방향 반복 회전 조작 동안 핸들과 함께 이동하면서 핸들의 일방향 회전력만을 상기 기어에 전달하도록 구비되는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 일측에는 기어의 톱니를 타고 이동하면서 핸들과 기어 간 공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스토퍼 타측에는 기어의 톱니에 걸림작용하여 핸들의 회전력을 기어에 전달하기 위한 걸림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차량용 윈도우 레귤레이터 핸들 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스토퍼가 브라켓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브라켓이 핸들 내부에 설치된 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되도록 하여, 상기 스프링의 압축 및 탄성 복원에 의해 스토퍼와 브라켓의 탄력적인 전후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프링이 핸들 내부에 고정 장착된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브라켓이, 상기 스토퍼가 장착되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 내부로 삽입되어 브라켓의 전후 이동시 하우징 내측면에서 슬라이드 되면서 브라켓의 탄력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브라켓은 플레이트에 일체로 형성되어 하우징 내부 및 스프링 내측으로 길게 삽입되는 지지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토퍼는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브라켓에 장착된 스토퍼를 회전시켜 핸들의 회전력 작용시 스토퍼의 걸림면이 톱니에 걸림작용하여 회전되는 기어의 회전방향을 바꿔주기 위한 조작기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작기구는 상기 스토퍼에서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축부의 외주면에 치를 형성하여 구비되는 피니언과; 상기 피니언에 치합된 상태로 핸들 내외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전후진시 피니언과 스토퍼를 회전시키는 랙과; 상기 핸들 외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스토퍼를 회전시키기 위해 조작하게 되는 조작레버와; 상기 조작레버에 일체 회전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랙에 치합되어 조작레버의 회전력을 랙에 전달함으로써 랙을 전후진시키는 전달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윈도우 레귤레이터 핸들 장치가 적용되면, 사용자가 핸들을 360°회전 조작이 아닌 상하로만 반복 회전시키는 보다 간단한 방식의 조작을 수행하여 윈도우 글래스를 열거나 닫을 수 있게 되며, 결국 윈도우 글래스 개폐시의 조작 편의성 향상 및 운전 안전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윈도우 레귤레이터 핸들이 도어 패널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레귤레이터 핸들 장치가 도어 패널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들 장치에서 주요 구성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들 장치에서 스토퍼를 회전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들 장치에서 핸들 외부에 조작레버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들 장치에서 조작기구의 피니언과 랙, 전달기어, 조작레버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들 장치에서 조작기구의 작동상태 및 조작에 따른 스토퍼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수동식 윈도우 레귤레이터가 적용되는 차량에서 윈도우 글래스의 개폐를 위해 핸들을 360°회전 조작방식이 아닌 보다 간단한 방식으로 조작하도록 개선한 윈도우 레귤레이터 핸들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윈도우 레귤레이터 핸들 장치는 종래의 360°회전 조작방식이 아닌 핸들을 상하방향으로만 반복 회전 조작하는 것에 의해 윈도우 글래스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핸들을 레귤레이터 축에 결합된 일단부를 중심으로 360°가 아닌 보다 적은 각도(최대 180°보다 적은 각도 범위 이내)로 상하 반복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레귤레이터 축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며, 핸들을 상하로만 반복 조작하더라도 핸들의 조작력에 의해 레귤레이터 축이 윈도우 글래스를 열어주거나 닫아주는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하여 윈도우 글래스의 정상적인 상승/하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레귤레이터 핸들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10)의 일단부가 통상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도어 트림 외부(차량 실내)로 노출된 레귤레이터 축(도 1의 도면부호 1임)의 치형부에 결합된다.
또한 실시예의 경우도 윈도우 글래스의 개폐 조작을 위해 핸들(10)을 레귤레이터 축에 결합된 일단부를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방식이긴 하지만, 종래와 같은 360°회전이 아닌, 핸들(10)을 올렸다 내렸다 하는(또는 내렸다 올렸다 하는) 반복된 상하방향 회전 조작만으로 레귤레이터 축을 일방향 회전시킬 수 있는 장치 구성을 가진다.
이를 위해 실시예에서는 레귤레이터 축의 치형부에 결합되는 핸들(10) 내 구성요소로 톱니를 가지는 기어가 설치되고, 더불어 핸들(10)의 상하방향 반복 회전 조작시 상방 또는 하방의 조작력(핸들의 회전력)만을 선택적으로 기어에 전달하기 위한 스토퍼가 적용된다.
상기 기어(도 3에서 도면부호 11임)와 스토퍼(도 3에서 도면부호 12임)는 핸들(10)의 상하방향 반복 회전 조작 동안에 핸들을 위로 올릴 때와 내릴 때(상방 조작 또는 하방 조작) 중 어느 한 방향의 조작력만을 레귤레이터 축에 전달하게 되는데, 이는 윈도우 글래스를 올리는 과정(닫는 과정) 또는 내리는 과정(여는 과정) 동안 사용자의 조작력에 의해 레귤레이터 축이 정해진 한 방향(글래스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정해진 방향)으로만 회전될 수 있도록 해준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핸들 장치에서 주요 구성부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핸들(10)의 일단부(회전중심부) 내측에 위치하면서 레귤레이터 축(1)에 일체 회전되도록 결합되고 주연부를 따라 톱니(11b)가 형성되어 있는 기어(11)와, 상기 핸들(10) 내측에 탄성 지지되도록 설치되고 일측에는 기어(11)의 톱니(11b)를 타고 이동하면서 핸들(10)과 기어(11) 간 공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경사면(12a)이 형성되는 한편 타측에는 기어(11)의 톱니(11b)에 걸림작용하여 핸들(10)의 일방향 회전력(조작력)을 기어(11)에 전달하기 위한 걸림면(12b)이 형성된 스토퍼(12)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기어(11)는 레귤레이터 축의 치형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중앙홀(11a)을 가지며, 상기 중앙홀(11a)은 내주면에 치가 형성되어 레귤레이터 축(1)의 치형부와 치합되도록 되어 있다.
이에 기어(11)가 중앙홀(11a)을 통해 레귤레이터 축(1)의 치형부에 장착되면 양측(기어와 레귤레이터 축)이 서로 치합된 상태에서 일체 회전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특히 핸들(10)의 회전력이 스토퍼(12) 및 기어(11)를 통해 레귤레이터 축에 전달될 경우 통상의 윈도우 레귤레이터에서와 마찬가지로 레귤레이터 축에 입력되는 회전력에 의해 윈도우 글래스의 개폐가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스토퍼(12)는 핸들(10) 내부에 탄성 지지되어 설치되며,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10) 내부에 장착된 스프링(14)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브라켓(13)에 설치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브라켓(13)은 스토퍼(12)가 설치되는 플레이트(13a)와, 상기 플레이트(13a)에 일체로 형성되어 스프링(14) 내측으로 삽입되는 지지축(13b)으로 구성되고, 이때 핸들(10) 내부 일측과 플레이트(13a) 사이에 스프링(14)이 설치됨으로써 브라켓(13)이 스프링(14)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결합 구조를 가진다.
또한 스프링(14)은 핸들(10) 내측면에 설치된 하우징(15) 내부에 수용된 상태가 되도록 설치되며, 이때 상기 지지축(13b)은 하우징(15) 전방의 입구를 통해 하우징 내부로 길게 삽입된다.
또한 플레이트(13a)에는 하우징(15) 입구를 통해 그 내부로 삽입되어 브라켓(13)의 전후 이동시 하우징 내측면에서 슬라이드 되는 가이드(13c)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15)과 가이드(13c)는 플레이트(13a)를 포함한 브라켓(13) 전체가 안정적으로 전후 이동될 수 있도록 브라켓의 탄력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여기서, 브라켓(13) 및 스토퍼(12)의 전후 탄력 이동은 탄성 지지된 브라켓 및 스토퍼가 스프링(14)을 압축하면서 이동하였다가 스프링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다시 반대로 리턴 이동하는 동작을 의미한다.
또한 하우징(15)과 가이드(13c)는 핸들(10)의 회전 조작시에 브라켓(13)과 스토퍼(12)를 핸들과 함께 움직일 수 있게 고정해주는 역할을 하며, 이에 의해 핸들(10)이 조작될 때 그 조작방향에 대해서는 브라켓(13)과 스토퍼(12)가 핸들과 함께 움직이면서 기어(11)에 조작력을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플레이트(13a)에 설치되는 스토퍼(12)는 핸들(10)의 조작력이 기어(11)에 전달되지 않도록(핸들과 기어 간 공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경사면(12a)이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에는 기어(11)의 톱니(11b)에 걸림작용을 하는 수직의 걸림면(12b)이 형성되어, 걸림면(12b)이 기어(11)의 톱니(11b)에 걸리는 방향으로 핸들(10)이 조작되어 스토퍼(12)가 핸들(10)과 함께 이동될 때, 핸들(10)의 조작력이 기어(11)와 레귤레이터 축에 전달될 수 있게 된다.
결국, 스토퍼(12)의 걸림면(12b)이 기어(11)의 톱니(11b)에 걸리도록 핸들(10)이 회전 조작될 때에는(예를 들어, 핸들을 위로 들어올려 주는 조작시에는) 핸들(10)의 회전력이 기어(11)에 전달되어 레귤레이터 축을 회전시키고, 반대로 경사면(12a)에서 기어(11)의 톱니(11b)에 힘이 작용하도록 핸들(10)이 회전 조작될 때에는(예를 들어, 핸들을 아래로 내려주는 조작시에는) 경사면(12a)이 기어(11)의 톱니(11b)를 타고 이동하면서(스토퍼 및 브라켓이 스프링을 압축하면서 하우징 내측 방향으로 눌림) 조작력이 기어(11)에 전달되지 않고 핸들(10)이 헛돌게 된다.
한편, 윈도우 글래스를 열 때와 닫을 때 레귤레이터 축의 회전방향은 반대가 되어야 하므로 핸들(10)을 윈도우 글래스를 열거나 닫기 위한 조작방향(상하방향 중 기어에 힘이 전달되는 방향) 역시 서로 반대가 되도록 해야 한다.
이를 위해 스토퍼(12)는 브라켓(13)의 플레이트(13a)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핸들(10) 외부에서 스토퍼(12)를 회전시키는 별도의 조작기구(16)가 구비된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핸들 장치에서 스토퍼(12)를 회전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3이 핸들(10)을 상방으로 회전 조작할 때에만 스토퍼(12)의 걸림면(12b)과 기어(11)의 톱니(11b) 간 걸림작용에 의해 그 조작력이 기어(11)에 전달되는 상태를 나타낸다면, 도 4는 핸들(10)을 하방으로 회전 조작할 때에만 걸림면(12b)과 톱니(11b) 간 걸림작용에 의해 그 조작력이 기어(11)에 전달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의 상태에서 핸들(10)을 하방으로 회전 조작할 때의 조작력은 기어(11)에 전달되지 않으며, 스토퍼(12)가 핸들(10)과 함께 하방으로 이동할 때 스토퍼(12)의 경사면(12a)이 기어(11)의 톱니(11b)를 타고 넘어가면서(스토퍼가 눌림) 핸들(10)의 조작력이 기어(11)에 전달되지 않는 공회전 상태가 된다.
반면, 도 4의 상태에서는 핸들(10)을 상방으로 회전 조작할 때의 조작력이 기어(11)에 전달되지 않으며, 스토퍼(12)가 핸들(10)과 함께 상방으로 이동할 때 스토퍼(12)의 경사면(12a)이 기어(11)의 톱니(11b)를 타고 넘어가면서 핸들(10)의 조작력이 기어(11)에 전달되지 않는 공회전 상태가 된다.
만약, 도 3의 상태가 윈도우 글래스를 상승시키고자 할 때(열고자 할 때) 스토퍼(12)의 상태라 한다면, 도 4의 상태는 윈도우 글래스를 하강시키고자 할 때(닫고자 할 때) 스토퍼(12)의 상태가 된다.
상기 스토퍼(12)는 핸들(10) 외부에서 조작기구(도 5 내지 도 8에서 도면부호 16임)의 조작에 의해 도 3과 도 4의 상태가 선택되도록 회전되며, 상기 조작기구(16)는 핸들(10) 외부에 장착되는 조작레버(도 5 내지 도 8에서 도면부호 19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조작레버(19)를 회전시키는 방향에 따라 도 3의 상태 또는 도 4의 상태가 되도록 스토퍼(12)를 회전시키는 조작기구(16)가 구성되는 것이며, 도 5는 핸들(10) 외부에 조작레버(19)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서 도면부호 21은 핸들(10) 외측면에 후술하는 랙(도 6 내지 도 8에서 도면부호 18임)과 전달기어(도 6 내지 도 8에서 도면부호 20임)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케이스를 나타낸다.
또한 도 6은 조작기구(16)의 구성, 즉 피니언(17)과 랙(18), 전달기어(20), 조작레버(19)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들 장치에서 조작기구(16)의 작동상태 및 조작에 따른 스토퍼(12)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작기구(16)는 스토퍼(12)에서 플레이트(13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축부 외주면에 치를 형성하여 구비되는 피니언(17)과, 상기 피니언(17)에 치합된 상태로 핸들(10) 내외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랙(18)과, 상기 조작레버(19)에 일체 회전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랙(18)에 치합되어 조작레버(19)의 회전력을 랙(18)에 전달하여 랙을 전후진시키는 전달기어(2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사용자가 조작레버(19)를 회전시킬 경우, 전달기어(20)가 일체로 회전되면서 조작레버(19)의 조작력을 랙(18)에 전달하고, 이에 랙(18)이 전후진되면서 피니언(17)을 회전시키는바, 결국 스토퍼(12)가 도 3 및 도 7의 상태 또는 도 4 및 도 8의 상태가 되도록 회전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실시예의 핸들 장치에서는 사용자가 글래스를 열거나 닫고자 할 때, 먼저 조작레버(19)를 조작하여 스토퍼(12)를 열어주는 방향 또는 닫아주는 방향으로 회전시켜 준 뒤, 핸들(10)을, 360°회전 조작이 아닌, 올렸다 내리는 동작을 반복하거나 반대로 핸들을 내렸다 올리는 동작을 반복하여 글래스를 열거나 닫게 된다.
이때, 기어(11)의 톱니(11b)에 대한 스토퍼(12)의 일방향 걸림작용에 의해 핸들(10)의 조작력은 기어(11)를 일방향으로만 회전시키며(일방향으로만 회전력 전달이 이루어짐), 결국 기어(11)의 일방향 회전에 의해 레귤레이터 축이 글래스를 열어주는 방향 또는 닫아주는 방향으로만 일방향 회전된다.
또한 상기한 레귤레이터 축의 회전으로 윈도우 글래스의 하강(열림) 또는 상승(닫힘)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는바,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 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1 : 레귤레이터 축 10 : 핸들
11 : 기어 11a : 중앙홀
11b : 톱니 12 : 스토퍼
12a : 경사면 12b : 걸림면
13 : 브라켓 13a : 플레이트
13b : 지지축 13c : 가이드
14 : 스프링 15 : 하우징
16 : 조작기구 17 : 피니언
18 : 랙 19 : 조작레버
20 : 전달기어 21 : 케이스

Claims (6)

  1. 윈도우 글래스의 상승/하강 작동을 위한 레귤레이터 축을 회전시키도록 구비되는 핸들과;
    상기 레귤레이터 축에 일체 회전되도록 결합되고 주연부를 따라 톱니가 형성된 기어와;
    상기 핸들 내측에 탄성 지지되도록 설치되고 핸들의 상하방향 반복 회전 조작 동안 핸들과 함께 이동하면서 핸들의 일방향 회전력만을 상기 기어에 전달하도록 구비되는 스토퍼;
    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 일측에는 기어의 톱니를 타고 이동하면서 핸들과 기어 간 공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경사면이 형성되며, 스토퍼 타측에는 기어의 톱니에 걸림작용하여 핸들의 회전력을 기어에 전달하기 위한 걸림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토퍼가 브라켓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브라켓이 핸들 내부에 설치된 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되도록 하여, 상기 스프링의 압축 및 탄성 복원에 의해 스토퍼와 브라켓의 탄력적인 전후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스토퍼는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브라켓에 장착된 스토퍼를 회전시켜 핸들의 회전력 작용시 스토퍼의 걸림면이 톱니에 걸림작용하여 회전되는 기어의 회전방향을 바꿔주기 위한 조작기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윈도우 레귤레이터 핸들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이 핸들 내부에 고정 장착된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브라켓이,
    상기 스토퍼가 장착되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 내부로 삽입되어 브라켓의 전후 이동시 하우징 내측면에서 슬라이드 되면서 브라켓의 탄력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윈도우 레귤레이터 핸들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플레이트에 일체로 형성되어 하우징 내부 및 스프링 내측으로 길게 삽입되는 지지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윈도우 레귤레이터 핸들 장치.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작기구는,
    상기 스토퍼에서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축부의 외주면에 치를 형성하여 구비되는 피니언과;
    상기 피니언에 치합된 상태로 핸들 내외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전후진시 피니언과 스토퍼를 회전시키는 랙과;
    상기 핸들 외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스토퍼를 회전시키기 위해 조작하게 되는 조작레버와;
    상기 조작레버에 일체 회전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랙에 치합되어 조작레버의 회전력을 랙에 전달함으로써 랙을 전후진시키는 전달기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윈도우 레귤레이터 핸들 장치.
KR1020130121831A 2013-10-14 2013-10-14 차량용 윈도우 레귤레이터 핸들 장치 KR1019874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1831A KR101987491B1 (ko) 2013-10-14 2013-10-14 차량용 윈도우 레귤레이터 핸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1831A KR101987491B1 (ko) 2013-10-14 2013-10-14 차량용 윈도우 레귤레이터 핸들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0928A KR20150080928A (ko) 2015-07-13
KR101987491B1 true KR101987491B1 (ko) 2019-06-10

Family

ID=53792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1831A KR101987491B1 (ko) 2013-10-14 2013-10-14 차량용 윈도우 레귤레이터 핸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74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04498A (zh) * 2018-04-13 2018-08-17 苏州凯新分离科技有限公司 一种废水流道用翻转式过滤清淤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16224A (ja) 2003-06-27 2005-01-20 Shiroki Corp ウィンドレギュレータのワイヤ駆動装置
KR100811715B1 (ko) * 2006-11-17 2008-03-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윈도우 레귤레이터 핸들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0153A (ko) * 1997-11-17 1999-06-05 양재신 스피드 링 렌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16224A (ja) 2003-06-27 2005-01-20 Shiroki Corp ウィンドレギュレータのワイヤ駆動装置
KR100811715B1 (ko) * 2006-11-17 2008-03-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윈도우 레귤레이터 핸들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0928A (ko) 2015-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62661A1 (en) A lock activator
JP6264995B2 (ja) ドアポップアップ装置
US9637967B2 (en) Electrically powered vehicle tailgate operator
KR101886445B1 (ko)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의 직선형 센터레일 링크 구조
CN103556887B (zh) 一种带防误锁功能的中控门锁
CN106401324B (zh) 一种汽车门锁的电动儿童保险结构
KR20140138611A (ko) 작동 장치
CN109339617B (zh) 汽车自动门和汽车
US20130341972A1 (en) Roller blind apparatus for panoramic sunroofs
JP6350451B2 (ja) 車両用の蓋体開閉装置
KR101987491B1 (ko) 차량용 윈도우 레귤레이터 핸들 장치
KR101738040B1 (ko) 리어커튼과 파워트렁크의 모터 일원화 구조
CN1675442A (zh) 驱动装置和门关闭器
CN204436131U (zh) 一种手动与电动一体汽车车窗
CN205936035U (zh) 新型电控汽车尾门锁体装置
KR20110019642A (ko) 자동차용 도어 자동개폐장치
JP2015086588A (ja) 車両用ドア制動装置
US9410347B2 (en) Short drop mechanism for vehicle door
CN105909113A (zh) 玻璃升降器以及具有其的车辆
CN2797533Y (zh) 一种车用闭锁器
KR20070025696A (ko) 차량의 윈도우 글라스 승강장치
KR20070008237A (ko) 인사이드 핸들 모듈
CN102900290A (zh) 一种汽车门锁内外开一体式传动机构
KR20110139353A (ko) 자동차용 아웃사이드 핸들 구동장치
CN204531737U (zh) 新型中央电控门锁总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