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9642A - 자동차용 도어 자동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도어 자동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9642A
KR20110019642A KR1020090077268A KR20090077268A KR20110019642A KR 20110019642 A KR20110019642 A KR 20110019642A KR 1020090077268 A KR1020090077268 A KR 1020090077268A KR 20090077268 A KR20090077268 A KR 20090077268A KR 20110019642 A KR20110019642 A KR 201100196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ink
motor
opening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7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80759B1 (ko
Inventor
최동욱
곽경택
전병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동아특수정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동아특수정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772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0759B1/ko
Publication of KR201100196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96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07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07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B60J5/0416Assembly panels to be installed in doors as a module with components, e.g. lock or window lifter, attached theret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40Actuators for moving a controlled member
    • B60Y2400/405Electric motors actua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71Toothed gearing
    • E05Y2201/716Pin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71Toothed gearing
    • E05Y2201/722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터의 회전력을 피니언기어에 전달하기 위해 구동축을 링크와 모터 사이에 수직방향으로 설치함으로써 모터를 도어의 하단으로 이동시키고, 기존의 리드스크류 대신 링크에 랙 & 피니언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구동부의 사이즈를 줄여 윈도우 레귤레이터 장치를 장착함과 동시에 윈도우 글래스를 완전 수납할 수 있는 자동차용 도어 자동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승객이 출입가능하도록 개폐되는 자동차용 도어 자동 개폐 장치에 있어서,
차체의 일측에 좌우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링크;
도어의 하단에 설치되어 구동력을 발생하는 모터; 및
상기 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링크를 당기거나 밀어서 도어를 개폐하도록 링크와 모터를 연결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 자동 개폐 장치를 제공한다.
도어, 개폐, 링크, 모터, 동력전달부

Description

자동차용 도어 자동개폐장치{Power door automatic open and close system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도어 자동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개폐 버튼 조작 만으로 도어의 개폐 기능을 자동으로 구현할 수 있는 자동차용 파워 도어 자동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종래에는 차량의 도어를 운전자가 키를 이용하여 직접 수동으로 개폐하거나 원격 리모컨을 이용하여 원거리에서 도어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였다.
최근 미국특허 US2009/0051192 A1에는 도어 이너 패널에 장착된 기어 박스가 모터에 의해 회전되고 기어 박스와 연결된 리드 스크류가 회전되어 차량의 도어를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는 승용차용 파워 도어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에서, 도어 자동개폐시스템은 차량 바디의 필러와 가까운 쪽부터 링크, 리드스크류, 기어박스, 모터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링크의 일단부가 차량 바디의 필러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링크의 타단부는 리드스크류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상기 리드스크류는 기어박스를 통해 모터에 연결되어 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고, 모터의 회전방향에 따라 링크를 당기거나 밀어서 도어를 개폐한다.
그러나, 상기 도어 자동개폐시스템은 장착 위치와 구조적 크기로 인하여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장착 공간이 부족하고, 시스템과의 간섭으로 도어 글래스를 완전히 수납(Full Down)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즉, 상기 리드스크류와 기어박스가 동일축 상에 배치되어야 자동으로 도어를 개폐하는 구조로 되어 있으나, 이럴 경우 글래스가 리드스크류 및 기어박스에 의해 간섭되어 도어 패널 안쪽으로 완전히 내려가지 못하고,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장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모터의 회전력을 피니언기어에 전달하기 위해 구동축을 링크와 모터 사이에 수직방향으로 설치함으로써 모터를 도어의 하단으로 이동시키고, 기존의 리드스크류 대신 링크에 랙 & 피니언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구동부의 사이즈를 줄여 윈도우 레귤레이터 장치를 장착함과 동시에 윈도우 글래스를 완전 수납할 수 있는 자동차용 도어 자동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은 승객이 출입가능하도록 개폐되는 자동차용 도어 자동 개폐 장치에 있어서,
차체의 일측에 좌우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링크;
도어의 하단에 설치되어 구동력을 발생하는 모터; 및
상기 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링크를 당기거나 밀어서 도어를 개폐하도록 링크와 모터를 연결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 자동 개폐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과제해결수단에 의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 자동 개폐 장치의 장점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모터가 도어 하단에 위치하고, 링크와 모터 사이에 상하방향으로 연결된 구동축을 통해 링크가 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도어를 개폐함으로써, 현 윈도우 레귤레이터 시스템의 적용에 의한 글래스 풀다운이 가능하다.
2. 마이컴이 내장된 콘트롤러에 의해 도어 개폐속도를 제어할 수 있고, 초음파 센서에 의해 장애물이 감지될 경우 콘트롤러 신호에 의해 파워 도어의 작동을 멈추게 할 수 있다.
3. 모터에 클러치가 내장되어 수동 조작시 무부하로 도어를 개폐할 수 있고, 링크에 링크홈을 형성하고 롤러를 장착하여 도어 체커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한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 자동 개폐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링크의 구성을 나타내는 확대도이고, 도 3은 도 2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서 래치 해제 액츄에이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확대도 및 이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현재 윈도우 레귤레이터 시스템을 장착하여 글래스(10)의 풀 다운이 가능함과 동시에 파워 도어 시스템을 구현함으로써 상품성을 극대화 한 점에 주안점이 있다.
본 발명은 종래 특허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리드스크류와 기어박스를 삭 제하는 대신에 링크(110)에 랙기어(111b) 및 피니언기어(117)를 적용하고,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구동축(120)을 통해 모터(140)의 회전력을 전달하게 함으로써, 모터(140)의 위치를 도어(100)의 하단에 배치하여 윈도우 레귤레이터 시스템을 장착가능할 뿐만 아니라 글래스(10)의 하강시 글래스(10)를 완전히 수납할 수 있는 차량용 파워 도어(100)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도어(100)를 개폐하는 랙 & 피니언기어(117)를 갖는 링크(110), 모터(140), 모터(140)의 회전력을 링크(110)에 전달하는 수직 구동축(120), 도어 래치를 해제하는 래치 해제 액츄에이터(130), 초음파센서, 콘트롤러 등을 포함한다.
상기 링크(110)는 도어(100)를 밀거나 당겨서 개폐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링크(110)의 일단부가 차체의 센터필러(1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100)는 승용차의 후석 승객용 오른쪽 도어(100)이고, 차체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좌우로 회전가능하여 개폐될 수 있다.
상기 링크(110)의 일측면에 랙기어(111b)가 형성되어 있고, 피니언기어(117)가 랙기어(111b)에 맞물림 가능하게 결합되어, 랙기어(111b)를 따라 차체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앞뒤로 이동가능하게 된다.
상기 피니언기어(117)는 마운팅 브라켓(113)을 통해 도어(100)의 이너패널(12)에 결합되고, 상기 마운팅 브라켓(113)은 도어(100)의 이너패널(12)과 결합되고, 링크(110)가 마운팅 브라켓(113) 사이를 관통할 수 있도록 두개의 마운팅 브라켓(113)이 링크(110)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이격설치되어 있다.
상기 피니언기어(117)는 랙기어(111b)와 맞물리며 전후로 회전가능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피니언축(118)에 지지되고, 피니언축(118)은 마운팅 브라켓(113)에 설치된 베어링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수직 구동축(120)은 피니언기어(117)에 모터(140)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수직 구동축(120)의 상단부가 피니언기어(117)의 하단에 유니버설 조인트로 연결되고, 수직 구동축(120)의 하단부가 모터(140)와 연결되어 있다.
이때, 상기 모터(140)는 내부에 클러치가 장착되어 수동으로 도어(100) 개폐시 작동 부하를 저감시킬 수 있고, 모터(140)의 회전수와 속도를 감지하는 속도센서가 내장되어 정보를 콘트롤러에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모터(140)와 피니언기어(117)를 연결하는 구동축(120)을 도어(100)의 상하방향으로 수직하게 설치하는데, 그 이유는 상기 모터(140)를 링크(110)의 동일축선 보다 아래에 위치하게 하여 현재 윈도우 레귤레이터를 장착함과 동시에 윈도우 글래스(10)의 하강시 글래스(10)를 완전히 수납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즉, 링크(110)의 동일축선(차체의 수평길이방향)에 수직하게 구동축(120)을 설치하고, 구동축(120)의 하단부에 모터(140)를 연결함으로써, 모터(140)를 도어(100)의 하단에 위치하게 할 수 있고, 윈도우 글래스(10)가 모터(140)나 구동축(120)에 의해 간섭되지 않고 도어(100)의 이너패널(12) 안쪽으로 하강하여 수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링크(110)에는 도어 체커 기능을 갖도록 형성된 링크홈(111a), 하우징(116), 롤러(121), 스프링(119)이 각각 설치되어 있고, 도어(100)의 최대 열림 각도를 제한하기 위해 링크(110)에 스토퍼(112)와 리미트 스위치(11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도어 체커는 도어(100)의 최대 열림량을 제어하면서 도어(100)의 작동감을 부여하는 장치로서, 상기 링크홈(111a)에서 도어(100)의 열림각도를 유지하여 경사로의 중력에 의해 도어(100)가 저절로 닫히거나 열리지 않게 함으로써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상기 링크홈(111a)은 링크(110)의 상면에 복수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116)은 상부 마운팅 브라켓(113)에 설치되고, 하우징(116)의 내부에는 스프링(119)이 설치되어 롤러(121)를 누르고 있으며, 롤러(121)는 도어(100) 개폐 시 링크(110)의 상면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링크홈(111a)에 일시적으로 잠겨 도어(100)의 작동감을 부여하며 도어(100)를 일시 정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마운팅 브라켓(113)에 리미트 스위치(114)가 설치되고, 리미트 스위치(114)는 도어(100)가 최대각도로 열릴 때 도어(100)의 작동을 멈추게 한다.
즉, 도어(100)가 최대로 열릴때 리미트 스위치(114)에 부착된 차단롤러(115)가 링크(110)의 끝단에 설치된 스토퍼(112)에 의해 눌림에 따라 리미트 스위치(114)의 누름스위치를 눌러 신호를 발생시키고, 콘트롤러가 리미트 수위치의 신호를 입력받아 모터(140)의 전원을 오프시켜 도어(100)의 작동을 멈춘다.
상기 래치 해제 액츄에이터(130)는 도어(100)의 자동 개폐 시작 직전에 래치 릴리즈 케이블(133)을 구동하여 도어(100) 래치를 해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래치 해제 액츄에이터(130)는 핸들케이블(132), 래치 릴리즈 케이블(133), 회전레버, 회전링크(138), 기어작동부(131)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핸들케이블(132)은 도어(100)의 이너패널(12)에 장착된 인사이드 핸들과 연결되어 있고, 래치 릴리즈 케이블(133)은 도어 래치와 연결되어 있으며, 핸들케이블(132)과 래치 릴리즈 케이블(133)은 도어 이너패널(12)의 내부에 설치된 마운팅 브라켓(134)의 상부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핸들케이블(132)의 선단에는 스토퍼가 설치되고, 제1회전레버(136)가 핸들케이블(132)의 선단에 스토퍼의 안쪽으로 결합되어 스토퍼에 의해 밖으로 빠지지 않고, 래치 릴리즈 케이블(133)의 선단에도 스토퍼가 설치되고 제2회전레버(137)가 래치 릴리즈 케이블(133)의 선단에 스토퍼 안쪽으로 결합되어 스토퍼에 의해 밖으로 빠지지 않게 된다.
상기 제1 및 제2회전레버(136,137)는 각각 상부판과 하부판이 서로 직각으로 일체 형성되고, 제1 및 제2회전레버(136,137)의 하부판이 포개어져 힌지핀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마운팅 브라켓(134)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회전레버(136,137)의 상부판은 좌우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고, 그 상부판의 일부분이 서로 겹쳐지게 포개짐으로써, 제1회전레버(136)가 핸들케이블(132)에 의해 당겨질 때 제1회전레버(136)의 일부분과 포개진 제2회전레버(137)의 상부판이 래치 릴리즈 케이블(133)을 당기게 된다.
상기 제1회전레버(136)의 하부판은 스프링(135)의 일단부와 결합되고, 이 스 프링(135)의 타단부는 마운팅 브라켓(134)에 고정되어, 이 스프링(135)을 통해 제1회전레버(136)를 초기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상기 제2회전레버(137)의 하부판은 연결로드(139)를 통해 회전링크(138)와 결합되고, 회전링크(138)의 회전에 의해 제2회전레버(137)의 하부판이 당겨지면 제2회전레버(137)의 상부판이 앞쪽으로 당겨지면서 래치 릴리즈 케이블(133)도 함께 당겨져 도어 래치가 해제된다.
상기 회전링크(138)는 회전축에 의해 기어작동부(131)의 상단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회전링크(138)의 하단부가 기어작동부(131)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함으로써 래치 릴리즈 케이블(133)을 당겨 도어 래치를 해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기어작동부(131)는 마운팅 브라켓(134)에 의해 도어(100)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고, 기어작동부(131)의 내부에는 복수의 기어들로 구성되고, 상기 기어들 중 일부가 회전링크(138)의 하부에 치합되어 회전링크(138)를 회전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어작동부(131)의 기어들은 일정한 기어비로 미도시된 모터에 의해 구동된다.
상기 초음파센서는 도어(100)의 일측에 설치되고, 도어(100) 외측의 장애물을 감지하여 콘트롤러가 도어(100)의 개폐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콘트롤러에 감지신호를 보낸다.
상기 콘트롤러는 시스템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특히 파워 오픈 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실내버튼 또는 리모콘 등으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래치 해제 액츄에이터(130)를 작동시켜 래치를 해제한 다음, 모터(140)를 구동하여 도어(100) 를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콘트롤러는 도어(100) 개폐시 모터(140)의 속도를 제어하여 도어(100)의 개폐시 처음 속도와 나중 속도를 느리게 하여 도어(100)가 부드럽게 작동하도록 할 수 있고, 도어(100)의 개폐 작동 중 초음파 센서와 모터(140)의 내부에 장착된 속도센서로부터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외부의 장애물이나 끼임을 감지하여 작동을 멈추거나 필요시 모터(140)를 역회전시켜 승객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100) 자동 개폐 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워 도어의 닫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워 도어의 열림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7 내지 도 9는 도어의 개폐시 도어 체커 장치의 작동상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의 파워 오픈(자동모드)시 래치 해제 액츄에이터(130)의 작동상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의 평상(수동모드)시 래치 해제 액츄에이터(130)의 작동상태도이다.
1. 자동 모드(파워 모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실내버튼 또는 리모콘 등을 이용하여 도어(100)를 자동으로 개폐하는 것이다.
먼저, 콘트롤러가 상기 실내버튼 또는 리모콘 등으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래치 해제 액츄에이터(130)를 작동시켜 도어 래치를 해제한다.
상기 래치 해제 액츄에이터(130)가 콘트롤러로부터 제어신호를 받으면 기어작동부(131)의 기어가 회전하면서 회전링크(138)를 회전시킨다.
상기 회전링크(138)의 상단부가 래치 릴리즈 케이블(133) 쪽(차체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뒤쪽)으로 회전하면서 연결로드(139)를 통해 제2회전레버(137)의 하부판을 잡아 당기고, 상기 제1회전레버(136)는 멈춘 상태로 제2회전레버(137)의 상부판이 회전하면서 제2회전레버(137)의 상단에 연결된 래치 릴리즈 케이블(133)을 잡아 당김에 따라 도어 래치가 해제되어 도어(100)가 개폐가능하게 된다.
그 다음, 상기 콘트롤러는 모터(140)에 작동신호를 보내어 모터(140)가 가동되면 모터(140)와 연결된 수직 구동축(120)이 회전하면서 피니언기어(117)에 동력이 전달되고, 이 피니언기어(117)가 회전하면서 이에 맞물린 랙기어(111b)를 따라 전후진된다.
즉, 상기 랙기어(111b)가 링크(110)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피니언기어(117)에 치합됨에 따라, 모터(140)로부터 구동축(120)을 통해 전달된 피니언기어(117)의 회전운동이 링크(110)에서 피니언기어(117)의 직선운동으로 전환된다.
따라서, 상기 피니언기어(117)가 구동축(120)을 통해 모터(14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랙기어(111b)가 형성된 링크(110)를 따라 전후진함으로써, 도어(100)가 자동으로 개폐된다.
여기서, 본 발명은 모터(140)의 회전력을 피니언기어(117)에 전달하기 위해 구동축(120)을 링크(110)와 모터(140) 사이에 수직방향(상하방향)으로 설치함으로써 모터(140)를 도어(100)의 하단으로 이동시키고, 기존의 리드스크류 대신 링 크(110)에 랙 &피니언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구동부의 사이즈를 줄여 윈도우 레귤레이터 장치를 장착함과 동시에 윈도우 글래스(10)를 완전 수납(full down)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콘트롤러를 통해 모터(140)의 속도를 제어하여 모터(140)의 작동 시점과 종점에 모터(140) 속도를 줄여 도어(100)의 부드러운 동작을 구현할 수 있고, 콘트롤러가 초음파 센서를 통해 외부 장애물이나 도어(100) 사이에 끼임을 감지하여 모터(140)의 작동을 멈추게 하거나 필요시 도어(100)를 반대로 회전시켜 승객의 손이나 발이 도어(100)와 차체 사이에 끼는 등의 안전사고의 위험을 예방할 수 있다.
2. 수동 모드(평상시)
승객이 인사이드 핸들을 수동으로 잡아당겨 도어(100)를 개폐하는 모드이다.
먼저, 사용자가 인사이드 핸들을 잡아 당기면, 인사이드 핸들에 연결된 핸들케이블(132)이 당겨지면서 제1회전레버(136)의 상부판이 앞쪽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1회전레버(136)의 상부판의 일부와 포개진 제2회전레버(137)의 상부판이 앞쪽으로 함께 회전하면서 래치 릴리즈 케이블(133)이 앞쪽으로 당겨짐에 따라 도어 래치가 해제되어 도어(100)가 개폐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인사이드 핸들을 놓으면 제1회전레버(136)의 하부판에 연결된 스프링(135)의 복원력에 의해 제1회전레버(136)의 하부판이 앞쪽으로 당겨져서 제1회전레버(136)의 상부판이 뒤쪽으로 회전하여 핸들케이블(132)이 뒤쪽으로 당겨져 인사이드 핸들이 원래 위치로 복귀된다.
또한, 상기 링크(110)에는 도어 체커 장치가 구현되어, 사용자가 도어(100)의 개폐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도어(100)를 열면 도어 체커기능을 갖는 롤러(121)가 링크(110)를 따라 이동하면서 첫번째 링크홈(111a)에 잠겨 사용자는 작동감을 느끼게 되고, 사용자가 도어(100)의 열림 각도를 더 크게 하고자 계속해서 힘을 가하면 상기 롤러(121)가 첫번째 링크홈(111a)에서 벗어나 링크(110)를 따라 이동하다가 두번째 링크홈(111a)에 잠겨 사용자가 작동감을 다시 느끼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도어(100)를 최대각도로 열면 롤러(121)가 두번째 링크홈(111a)을 벗어나 링크(110)의 거의 끝까지 이동하면 리미트 스위치(114)가 스토퍼(112)에 걸려 도어(100)의 최대 열림상태를 감지하고, 콘트롤러가 리미트 스위치(114)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모터(140)의 작동을 멈추어 도어(100)가 정지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 체커 장치를 링크(110)에 적용함으로써, 사용자는 수동 모드로 도어(100) 개폐시 도어(100)의 작동감을 느낄 수 있고, 경사로에서 도어(100)가 열려 있을 때 저절로 닫히거나 도어(100)가 잠기지 않았을 때 도어(100)가 저절로 열려 안전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터(140)의 내부에 클러치를 장착하여 수동으로 도어(100) 개폐시 무부하로 도어(100)를 작동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실시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들을 모두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 자동 개폐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도 1에서 링크의 구성을 나타내는 확대도
도 3은 도 2의 평면도
도 4는 도 1에서 래치 해제 액츄에이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확대도 및 이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워 도어의 닫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워 도어의 열림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7 내지 도 9는 도어의 개폐시 도어 체커 장치의 작동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의 파워 오픈(자동모드)시 래치 해제 액츄에이터의 작동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의 평상(수동모드)시 래치 해제 액츄에이터의 작동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윈도우 글래스 11 : 센터 필러
12 : 도어 이너 패널 100 : 도어
110 : 링크 111a : 링크홈
111b : 랙기어 112 : 스토퍼
113 : 마운팅 브라켓 114 : 리미트 스위치
115 : 차단롤러 116 : 하우징
117 : 피니언기어 118 : 피니언축
119 : 스프링 120 : 구동축
121 : 롤러 130 : 래치 해제 액츄에이터
131 : 기어작동부 132 : 핸들케이블
133 : 래치 릴리즈 케이블 134 : 마운팅 브라켓
135 : 스프링 136 : 제1회전레버
137 : 제2회전레버 138 : 회전링크
139 : 연결로드 140 : 모터

Claims (9)

  1. 승객이 출입가능하도록 개폐되는 자동차용 도어 자동 개폐 장치에 있어서,
    차체의 일측에 좌우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링크(110);
    도어(100)의 하단에 설치되어 구동력을 발생하는 모터(140); 및
    상기 모터(140)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링크(110)를 당기거나 밀어서 도어(100)를 개폐하도록 링크(110)와 모터(140)를 연결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 자동 개폐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링크(110)의 일측면에 형성된 랙기어(111b);
    상기 랙기어(111b)와 맞물리게 결합된 피니언기어(117); 및
    상기 모터(14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피니언에 전달하도록 피니언기어(117)와 모터(140) 사이에 연결된 구동축(1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 자동 개폐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120)은 피니언기어(117)와 모터(140) 사이에 상하방향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 자동 개폐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링크(110)에 도어 체커 기능을 갖도록 링크(110)에 형성된 복수의 링크홈(111a);
    상기 도어(100) 개폐시 링크(110)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링크홈(111a)에 잠길 경우 도어(100)의 작동감을 갖게하는 롤러(121);
    상기 롤러(121)를 내부에 수용하는 하우징(116); 및
    상기 하우징(116)의 내부에 설치되어 롤러(121)를 탄성지지하는 스프링(11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 자동 개폐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터(140)를 제어하여 도어(100)의 개폐속도를 제어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 자동 개폐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도어(100)에 장애물을 감지하는 초음파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도어(100) 개폐시 장애물이 감지될 경우 콘트롤러가 초음파센서로부터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도어(100)의 작동을 멈추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 자동 개페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어(100)는 자동 개폐 시작전에 도어 래치 릴리즈 케이블(133)을 구동하여 도어 래치를 해제하는 래치 해제 액츄에이터(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 자동 개폐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레이 해제 액츄에이터(130)는 도어 래치와 연결된 래치 릴리즈 케이블(133);
    상기 래치 릴리즈 케이블(133)의 끝단부를 당겨 도어 래치를 해제하도록 도어(10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레버; 및
    상기 회전레버의 하단부를 당겨 회전레버를 회전시켜주도록 도어(100)에 설치된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 자동 개폐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터(140)에 클러치가 장착되어 도어(100)를 수동으로 조작시 무부하로 개폐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 자동 개폐 장치.
KR1020090077268A 2009-08-20 2009-08-20 자동차용 도어 자동개폐장치 KR1010807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7268A KR101080759B1 (ko) 2009-08-20 2009-08-20 자동차용 도어 자동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7268A KR101080759B1 (ko) 2009-08-20 2009-08-20 자동차용 도어 자동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9642A true KR20110019642A (ko) 2011-02-28
KR101080759B1 KR101080759B1 (ko) 2011-11-07

Family

ID=43776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7268A KR101080759B1 (ko) 2009-08-20 2009-08-20 자동차용 도어 자동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075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37629A (zh) * 2013-08-13 2013-12-11 安徽工程大学 一种汽车车门开合装置
KR20180068018A (ko) * 2016-12-13 2018-06-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트럭의 캡 틸트 제어방법
KR20180132204A (ko) * 2017-06-01 2018-12-12 (주)현보 스마트 차량 도어 자동 개폐장치와 스마트 차량 도어 자동 개폐장치가 구비된 차량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44519B2 (en) 2017-04-11 2019-07-0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power door system
KR102466074B1 (ko) 2017-11-28 2022-11-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도어 찍힘방지용 도어체커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70153A (ja) * 2003-12-09 2005-06-30 Mitsuba Corp 車両用自動開閉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37629A (zh) * 2013-08-13 2013-12-11 安徽工程大学 一种汽车车门开合装置
CN103437629B (zh) * 2013-08-13 2016-02-17 安徽工程大学 一种汽车车门开合装置
KR20180068018A (ko) * 2016-12-13 2018-06-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트럭의 캡 틸트 제어방법
KR20180132204A (ko) * 2017-06-01 2018-12-12 (주)현보 스마트 차량 도어 자동 개폐장치와 스마트 차량 도어 자동 개폐장치가 구비된 차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0759B1 (ko) 2011-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78263B2 (en) Power swing door actuator with articulating linkage mechanism
US11220854B2 (en) Power swing door actuator with integrated door check mechanism
US10954702B2 (en) Leveled opening control
US6904717B2 (en) Method for controlling a power sliding van door
JP6487047B2 (ja) 電力駆動モジュールを備えた自動車用ドアシステム、ドア電力駆動モジュール、及びドアを作動させる方法
US6430875B1 (en) Electronic control and method for power sliding van door with rear-center-mounted drive
EP1157182B1 (en) Power sliding vehicle door
US7937893B2 (en) Intuitive handle switch operation for power sliding doors
US7698855B2 (en) Sliding-door opening control apparatus
US7472944B2 (en) Vehicle sliding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JP5724109B2 (ja) 車両用ドアの開放規制装置
KR101080759B1 (ko) 자동차용 도어 자동개폐장치
US5765886A (en) Power striker with inertially activated impact cycle
US20220127893A1 (en) Door presenting device for a motor vehicle door element
US20030140563A1 (en) Powered sliding panel with secondary articulation for a motor vehicle
KR20190107139A (ko) 폐쇄 보조 장치를 구비한 차량용 록
US20220205286A1 (en) Door presenting device for a motor vehicle door element
JP3711516B2 (ja) 車両用開閉体の開閉装置
US6922031B2 (en) Door actuation system with helical cable
JP3711515B2 (ja) 車両用開閉体の開閉装置
KR20070008237A (ko) 인사이드 핸들 모듈
JP2006207244A (ja) 車両用スライドドアの半開停止装置
JP6232616B2 (ja) 車両用ドアの操作装置
JP3754227B2 (ja) 車両用スライドドアの自動開閉装置
JP2007077694A (ja) 車両用スライドドアの安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