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7103B1 -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7103B1
KR101987103B1 KR1020180065232A KR20180065232A KR101987103B1 KR 101987103 B1 KR101987103 B1 KR 101987103B1 KR 1020180065232 A KR1020180065232 A KR 1020180065232A KR 20180065232 A KR20180065232 A KR 20180065232A KR 101987103 B1 KR101987103 B1 KR 1019871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peed
image
traffic
imag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52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드로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드로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드로미
Priority to KR10201800652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71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71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71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04N5/2257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ultimedia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버스에 설치된 영상수집장치에 의해 수집된 영상을 이용하여 교통정보를 생성 및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버스에 개별적으로 설치되어, 기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상기 버스가 주행 중인 기준차로 및 상기 기준차로 주변에 위치된 주변차로와 상기 주변차로에서 주행 중인 주변차량이 촬영된 제1 영상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제1 영상정보에 상기 제1 영상정보가 수집된 지점의 위치정보가 포함되는 추가정보를 부가하여, 제2 영상정보를 생성하는 영상수집장치; 상기 제2 영상정보를 상기 영상수집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2 영상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버스의 제1 속도정보 및 상기 주변차량의 제2 속도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제1 속도정보 및 제2 속도정보를 기반으로, 출발지점으로부터 목표지점까지 도착하는데 최소시간이 소요되는 추천경로 및 상기 추천경로의 예상 소요시간이 포함되는 교통정보를 생성하는 서버; 및 상기 서버에 상기 교통정보를 요청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교통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교통정보를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제1 속도정보와, 상기 제2 속도정보를 개별적으로 산출하여, 버스이용자를 위한 제1 교통정보 및 일반차량이용자를 위한 제2 교통정보를 개별적으로 생성한다. 이에 의해, 기존 버스를 이용하여 전체도로의 차량별 속도정보를 수집할 수 있고, 버스 및 일반차량에 따라 구분된 교통정보가 제공되어, 교통정보 제공 서비스의 이용 목적에 따라 더욱 정확한 교통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raffic information}
본 발명은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버스에 설치된 영상수집장치에 의해 수집된 영상을 이용하여 교통정보를 생성 및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통정보 수집을 위해, CCTV, 도로 주변에 설치되는 속도감지 센서 및 경로 검지기 등을 이용한 방식이 이용되고 있으나, 고정식 교통정보 수집장치는 일부 경로의 교통정보만 수집 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차량에 설치된 블랙박스와 같은 영상수집장치를 이용하여, 교통정보를 수집하는 방식이 이용되고 있으나, 개인용 차량에 영상수집장치가 설치되는 경우, 개인의 위치정보 등의 개인정보의 노출 위험이 있고, 택시 및 트럭과 같은 상업용 차량에 영상수집장치가 설치되는 경우, 상업용 차량의 운행 특성상 일부 도로에 대한 교통정보만이 수집될 뿐, 전체 도로의 교통정보까지 수집되기는 어려우며, 교통정보 수집을 목적으로 하는 별도의 차량이 마련되는 경우에는 추가 비용이 발생된다는 한계가 존재한다.
한편, 최근의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가 출발지점 및 목표지점을 설정하는 경우, 출발지점으로부터 목표지점에 도착하기까지의 최소 시간이 소요되는 추천경로 및 도착까지의 예상 소요시간 등의 교통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고 있다.
하지만, 버스전용차로가 포함된 경로는, 버스와 일반차량과의 속도 차가 발생하여, 버스와 일반차량의 교통정보에 차이가 발생하지만, 기존의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은 버스와 일반차량의 구분없는 일률적인 교통정보가 제공된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기존 차량에 설치되어 교통정보를 수집하되, 버스 및 일반차량 전용 교통정보가 별도로 생성되어, 버스 및 일반차량에 따라 구분된 교통정보를 제공 가능한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의 모색이 요구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744963호(발명의 명칭: 블랙박스 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교통정보 및 차량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교통정보 수집을 목적으로 하는 별도의 차량이 마련되지 않아도, 개인정보 노출의 우려가 없되, 특정 도로에 편향되지 않고, 고속도로 및 국도 등의 전체 도로의 교통정보를 수집 가능한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버스 및 일반차량의 전용 교통정보가 별도로 생성되어, 버스 및 일반차량에 따라 구분된 교통정보를 제공하는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은 복수의 버스에 개별적으로 설치되어, 기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상기 버스가 주행 중인 기준차로 및 상기 기준차로 주변에 위치된 주변차로와 상기 주변차로에서 주행 중인 주변차량이 촬영된 제1 영상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제1 영상정보에 상기 제1 영상정보가 수집된 지점의 위치정보가 포함되는 추가정보를 부가하여, 제2 영상정보를 생성하는 영상수집장치; 상기 제2 영상정보를 상기 영상수집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2 영상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버스의 제1 속도정보 및 상기 주변차량의 제2 속도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제1 속도정보 및 제2 속도정보를 기반으로, 출발지점으로부터 목표지점까지 도착하는데 최소시간이 소요되는 추천경로 및 상기 추천경로의 예상 소요시간이 포함되는 교통정보를 생성하는 서버; 및 상기 서버에 상기 교통정보를 요청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교통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교통정보를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제1 속도정보와, 상기 제2 속도정보를 개별적으로 산출하여, 버스이용자를 위한 제1 교통정보 및 일반차량이용자를 위한 제2 교통정보를 개별적으로 생성한다.
이때, 상기 추가정보는, 상기 제1 영상정보가 수집된 지점의 위치정보, 상기 제1 영상정보를 수집한 영상수집장치의 식별정보 및 상기 제1 영상정보가 수집된 시점(時點)의 시간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버는, 상기 제2 영상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제2 영상정보를 분석 대상이 되는 타깃 영상정보로 지정하고, 기수신된 제2 영상정보 중, 상기 지정된 타깃 영상정보와 동일한 식별정보를 갖되, 상기 지정된 타깃 영상정보와 가장 근접한 시점(時點)에 수신된 비교 영상정보를 선별하며, 상기 식별정보에 매칭되는 버스의 노선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선별된 비교 영상정보에 포함된 시간정보 및 위치정보와 상기 지정된 타깃 영상정보에 포함된 시간정보 및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속도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는, 상기 비교 영상정보 및 타깃 영상정보에 포함된 주변차량을 식별하되, 상기 비교 영상정보 및 타깃 영상정보에 공동적으로 포함된 식별차량을 추출하며, 상기 추출된 식별차량과 상기 버스와의 간격의 변화 값을 기반으로 상기 추출된 식별차량의 상대속도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상대속도정보와 상기 산출된 제1 속도정보를 합산하여 상기 제2 속도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버는, 복수의 상기 식별차량을 산출 대상으로 하여, 상기 제2 속도정보를 산출하되, 상기 추출된 식별차량의 차로가 변경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차로가 변경된 것으로 판단되는 식별차량을 상기 제2 속도정보의 산출 대상에서 제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는, 상기 버스의 노선정보가 상기 식별정보와 매칭되어 저장되되, 버스전용차로가 마련되는 제1 노선에 대한 제1 노선정보와 버스전용차로가 마련되지 않는 제2 노선에 대한 제2 노선정보로 구분되어 저장되고, 상기 노선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비교 영상정보가 수집된 지점에서부터 상기 타깃 영상정보가 수집된 지점까지의 수집경로를 생성하며, 상기 수집경로가 상기 제1 노선정보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제1 속도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수집경로의 제1 교통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속도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수집경로의 제2 교통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수집경로가 상기 제2 노선정보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제1 속도정보 및 상기 제2 속도정보를 기반으로 평균속도를 산출하여, 상기 평균속도를 기반으로 상기 수집경로의 제1 교통정보 및 제2 교통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버는, 상기 추출된 식별차량이 차량의 배면이 촬영된 것으로 판단되는 제1 차량과, 차량의 정면이 촬영된 것으로 판단되는 제2 차량을 구분하여, 상기 제1 차량만을 대상으로 상기 제2 속도정보를 산출하되, 상기 추출된 식별차량이 상기 제2 차량으로 판단될 경우, 상기 제2 차량을 기반으로 상기 상대속도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제1 속도정보에서 상기 산출된 제2 차량의 상대속도정보를 합산하여 상기 수집경로의 제3 속도정보를 산출하며, 상기 산출된 제3 속도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수집경로의 반대 차로의 제2 교통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서버에, 상기 출발지점으로부터 상기 목표지점까지의 도착하기 위한 교통정보를 요청하되, 상기 제1 교통정보 및 상기 제2 교통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교통정보를 선택하여 요청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제1 교통정보 및 제2 교통정보의 생성 과정에서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생성된 수집경로가 없는 미생성경로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될 경우, 미생성경로와 연결되는 전, 후단의 수집경로의 제1 속도정보의 평균값으로 상기 미생성경로의 제1 속도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전, 후단의 수집경로의 제2 속도정보의 평균값으로 상기 미생성경로의 제2 속도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서버에, 상기 출발지점으로부터 상기 목표지점까지의 도착하기 위한 교통정보를 요청하되, 상기 제1 교통정보 및 상기 제2 교통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교통정보를 선택하여 요청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제1 교통정보 및 제2 교통정보의 생성 과정에서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생성된 수집경로가 중복되는 다중생성경로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다중생성경로에 포함되는 수집경로들의 제1 속도정보의 평균값으로 상기 다중생성경로의 제1 속도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다중생성경로에 포함되는 수집경로들의 제2 속도정보의 평균값으로 상기 다중생성경로의 제2 속도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는, 상기 수신된 제2 영상정보를 복수의 제1 단위영역으로 분할하여, 분할된 각각의 제1 단위영역에 대하여 도로의 표면상태를 판단하는데 방해가 되는 객체가 존재하는지 판단하고, 적어도 하나의 제1 단위영역에 상기 객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기수신된 제2 영상정보 중 상기 제2 영상정보에 포함됨 위치정보가 기설정된 범위 이내인 제2 영상정보들과 비교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단위영역에 상기 객체가 존재하지 않는 상태의 데이터를 개별적으로 획득하고, 상기 객체가 존재하지 않은 상태의 데이터가 획득되면, 상기 객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단위영역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객체가 존재하지 않은 상태의 데이터로 교체하며, 상기 분할된 각각의 제1 단위영역 중 어느 제1 단위영역도 객체가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각각의 제1 단위영역에 대한 데이터를 모두 조합하여, 상기 촬영된 도로에 대한 도로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도로의 표면 파손 여부를 조사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정보 제공 방법은 하는 복수의 버스에 개별적으로 마련되되, 각각의 버스에 설치되는 영상수집장치에 의해, 기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상기 버스가 주행 중인 기준차로 및 상기 기준차로 주변에 위치된 주변차로와 상기 주변차로에서 주행 중인 주변차량이 촬영된 제1 영상정보가 수집되는 단계; 상기 영상수집장치에 의해, 상기 수집된 제1 영상정보에 상기 제1 영상정보가 수집된 지점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추가정보가 부가되어 제2 영상정보가 생성되고, 상기 생성된 제2 영상정보가 서버에 전송되는 단계; 상기 서버에 의해, 상기 영상수집장치로부터 수신된 제2 영상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상기 버스의 제1 속도정보 및 상기 주변차량의 제2 속도정보가 산출되는 단계; 사용자 단말에 의해, 출발지점으로부터 목표지점까지 도착하는데 최소시간이 소요되는 추천경로 및 상기 추천경로의 소요시간이 포함되는 교통정보가 서버에 요청되는 단계; 상기 서버에 의해, 상기 생성된 제1 속도정보 및 제2 속도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상기 요청된 교통정보가 생성되고, 상기 생성된 교통정보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된 교통정보가 출력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경로별 속도정보가 산출되는 단계는, 상기 서버에 의해, 상기 제1 속도정보와 상기 제2 속도정보가 개별적으로 산출되고, 상기 교통정보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되는 단계는, 상기 서버에 의해, 버스이용자를 위한 제1 교통정보 및 일반차량이용자를 위한 제2 교통정보가 개별적으로 생성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된다.
이에 의해, 기존 버스를 이용하여 전체도로의 차량별 속도정보를 수집할 수 있고, 버스 및 일반차량에 따라 구분된 교통정보가 제공되어, 교통정보 제공 서비스의 이용 목적에 따라 더욱 정확한 교통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의 교통정보 제공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동작특성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주변차량의 속도를 산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주변차량의 속도를 산출하는 과정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의 제1 교통정보 및 제2 교통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의 제1 속도정보, 제2 속도정보 및 제3 속도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순서도 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의 미생성경로 및 다중생성경로의 제1 속도정보 및 제2 속도정보를 산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의 미생성경로 및 다중생성경로의 제1 속도정보 및 제2 속도정보를 산출하는 과정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의 교통정보 제공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을 성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은, 교통정보 수집을 목적으로 하는 별도의 차량이 마련되지 않아도, 교통정보를 수집 가능한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버스 및 일반차량의 전용 교통정보가 별도로 생성되어, 버스 및 일반차량에 따라 구분된 교통정보를 제공 가능한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은, 영상수집장치(100), 서버(200) 및 사용자 단말(300)이 포함된다.
영상수집장치(100)는 기준차로, 기준차로의 주변에 위치하는 주변차로, 주변차로에서 주행 중인 주변차량이 포함된 제1 영상정보를 수집하고, 제1 영상정보에 위치정보가 포함된 추가정보를 부가하여, 제2 영상정보를 생성하며, 생성된 제2 영상정보를 서버(200)에 전송하기 위해 마련된다.
여기서, 기준차로란 영상정보수집장치(100)가 설치된 설치버스가 주행 중인 차로를 뜻한다.
이를 위해, 영상수집장치(100)는, 영상수집부(110), 위치수집부(120), 제1 제어부(130) 및 제1 통신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수집부(110)는, 기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기준차로, 주변차로 및 주변차량이 포함된 제1 영상정보를 수집하여, 제1 제어부(130)로 전송하기 위해 마련된다.
영상수집부(110)는 버스의 지붕, 차량 내측의 전면 유리 등에 설치될 수 있다.
특히, 영상수집부(110)가 버스의 지붕 전단에 설치되는 경우, 일반차량에 설치되는 것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고도에서 제1 영상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일반차량에 설치될 때보다 더 넓은 영역을 대상으로 하는 제1 영상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위치수집부(120)는, 설치버스의 위치정보를 수집하되, 영상수집부(110)에 의해 제1 영상정보가 수집되면, 제1 영상정보가 수집된 지점에서 수집된 위치정보를 제1 제어부(130)에 전송하기 위해 마련된다.
제1 제어부(130)는, 영상수집부(110), 위치수집부(120) 및 제1 통신부(140)를 제어하고, 영상수집부(110)로부터 전송받은 제1 영상정보에, 위치수집부(120)로부터 전송받은 위치정보가 포함되는 추가정보를 부가하여, 제2 영상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제1 제어부(130)는, 영상수집부(110)가 기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제1 영상정보를 수집하도록 하고, 위치수집부(120)가 위치정보를 수집하도록 하며, 제1 영상정보가 수집된 지점에서의 위치정보, 제1 제어부(130)가 포함된 영상수집장치(100)의 식별정보 및 제1 영상정보가 수집된 시점의 시간정보를 수신된 제1 영상정보에 부가하여 제2 영상정보를 생성하며, 생성된 제2 영상정보를 제1 통신부(140)를 통하여 서버(200)에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제어부(130)는, 위치수집부(120)가 항시 위치정보를 수집하되, 영상수집부(110)가 제1 영상정보를 수집하는 지점에서만 수집된 위치정보를 제1 제어부(130)에 전송하도록 할 수 있고, 영상수집부(110)에 제1 영상정보를 수집하도록 하는 명령신호를 발신함과 동시에 위치수집부(120)에 위치정보를 수집하도록 하는 명령신호를 발신하여, 제1 영상정보가 수집된 지점에서의 위치정보가 수집되도록 할 수 있다.
제1 통신부(140)는, 제1 제어부(130)가 생성한 제2 영상정보를 서버(200)에 전송하기 위해 마련된다.
한편, 서버(200)는 영상수집장치(100)로부터 제2 영상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2 영상정보를 기반으로 버스의 제1 속도정보 및 주변차량의 제2 속도정보를 개별적으로 산출하고, 산출된 제1 속도정보 및 제2 속도정보를 기반으로, 교통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300)에 전송하기 위해 마련된다.
여기서 교통정보란, 출발지점으로부터 목표지점까지 도착하는데 최소시간이 소요되는 추천경로 및 경로 별 예상 소요시간 등의, 도로 경로별 차량의 이동속도에 의해 도출 가능한 정보들을 의미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서버(200)는 클라우드 서버로 마련될 수 있다.
서버(200)는 저장부(210), 제2 제어부(220) 및 제2 통신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210)는, 영상수집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제2 영상정보들이 저장되고, 영상수집장치(100)들의 식별정보 및 설치버스들의 각각의 노선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210)에 저장되는 식별정보에는, 각 식별정보를 갖는 영상수집장치(100)가 설치되는 설치버스의 노선정보가 매칭되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각 식별정보에는 각 식별정보를 갖는 영상수집장치(100)가 설치된 설치버스가 운행되는 방면을 나타내는 운행정보가 부가될 수 있다.
여기서 운행정보란, A지점으로부터 B지점까지 운행되고, 다시 B지점으로부터 A지점까지 운행되는 버스가 B지점을 향해 운행 중인지 A지점을 향해 운행중인지를 구분하는 정보이다.
그리고 운행정보는 영상수집장치(100)로부터 수신받거나, 버스회사 또는 버스에 설치된 별도의 운영자 단말(미도시) 추가로 마련되어, 운영자 단말(미도시)로부터 수신받을 수 있다.
제2 제어부(220)는 저장부(210) 및 제2 통신부(230)를 제어하여, 수신된 제2 영상정보와 각각의 식별정보, 노선정보 및 운행정보가 저장부(210)에 저장되도록 하며, 제2 통신부(230)가 영상수집장치(100) 또는 사용자 단말(300)과 통신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제어부(220)는 수신된 제2 영상정보가 저장부(210)에 저장되도록 하되, 저장된 제2 영상정보가 저장된 시간으로부터 기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자동 삭제되도록 하여, 수신된 제2 영상정보가 기설정된 시간동안만 저장되도록 할 수 있어, 저장부(210)의 제한된 저장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제2 제어부(220)는, 영상수집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제2 영상정보를 기반으로 제1 속도정보, 제2 속도정보 및 제3 속도정보를 개별적으로 산출하고, 산출된 제1 속도정보, 제2 속도정보 및 제3 속도정보를 통해, 버스이용자를 위한 제1 교통정보 및 일반차량을 위한 제2 교통정보를 개별적으로 생성하기 위해 마련될 수 있으며, 제2 제어부(220)가 각각의 속도정보를 산출하고, 산출된 속도정보를 기반으로 각각의 교통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은 도 4 내지 8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제2 통신부(230)는 제1 통신부(140)로부터 제2 영상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교통정보의 요청을 수신하며, 요청된 교통정보가 제2 제어부(220)에 의해 생성되면, 생성된 교통정보를 사용자 단말(300)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300)은, 서버(200)에 교통정보를 요청하고, 수신하며, 수신된 교통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마련되며, 인터넷에 의해 길 찾기 서비스를 이용 가능한 PC, 자동차에 설치되는 내비게이션 장치, 내비게이션 앱이 설치된 스마트폰 및 스마트 패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 단말(300)은 입출력부(310), 제3 제어부(320) 및 제3 통신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부(310)는, 사용자가 이용을 원하는 교통수단, 출발지점 및 도착지점 등의 입력과,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교통정보의 출력을 위해 마련될 수 있으며, 터치스크린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제3 제어부(320)는, 입출력부(310)를 제어하여, 교통수단, 출발지점 및 도착지점 등을 사용자가 입력 또는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화면이 입출력부(310)에 출력되도록 하고, 입출력부(310)를 통해 교통수단, 출발지점 및 도착지점 등이 입력되면, 입력된 교통수단, 출발지점 및 도착지점에 대한 교통정보의 요청신호를 생성하여, 생성된 요청신호가 제3 통신부(330)를 통해 제2 통신부(230)에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제3 제어부(320)는 제3 통신부(330)가 제2 통신부(230)로부터 교통정보를 수신하면, 수신된 교통정보가 입출력부(310)를 통해 출력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의 교통정보 제공 과정을 살펴보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영상수집부(110)에 의해, 제1 영상정보가 수집될 수 있다(S310).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제어부(130)는, 위치수집부(120)에 의해, 제1 영상정보가 수집된 지점의 위치정보가 수집되도록 할 수 있다.
제1 영상정보가 수집되면, 제1 제어부(130)는 제1 위치정보가 수집된 지점의 위치정보, 제1 영상정보를 수집한 영상수집장치(100)의 식별번호 및 제1 영상정보가 수집된 시점의 시간정보가 포함되는 추가정보를, 수집된 제1 영상정보에 부가하여 제2 영상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2 영상정보를 제1 통신부(140)를 통해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S320).
제2 제어부(220)는 제2 통신부(230)를 통해, 제2 영상정보가 수신되면, 제2 영상정보를 기반으로 제1 속도정보 및 제2 속도정보를 개별적으로 산출할 수 있다(S330).
제2 제어부(220)는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버스이용자를 위한 제1 교통정보 또는 일반차량이용자를 위한 제2 교통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교통정보를 요청받을 수 있다(S340).
제2 제어부(220)는,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제1 교통정보 또는 제2 교통정보를 요청받으면,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산출된 제1 속도정보 및 제2 속도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요청된 제1 교통정보 또는 제2 교통정보를 생성하여, 생성된 제1 교통정보 또는 제2 교통정보를 제2 통신부(230)를 통해 제3 통신부(330)에 전송할 수 있다(S350).
제3 제어부(320)는, 제3 통신부(330)를 통해 제1 교통정보 또는 제2 교통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제1 교통정보 또는 제2 교통정보를 입출력부(310)가 출력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교통정보가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S360).
영상수집장치(100)는, 복수로 마련되어 복수의 버스에 개별적으로 설치되되, 마을버스, 시내버스, 고속버스 등의 다양한 버스에 설치되어 영상을 수집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본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은, 도심은 물론 고속도로 및 외곽도로까지 대부분의 도로에서의 영상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정보 수집장치 및 서버(200)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도면이고,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제어부(220)가 주변차량의 속도를 산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제어부(220)가 주변차량의 속도를 산출하는 과정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의 제1 교통정보 및 제2 교통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순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의 제1 속도정보, 제2 속도정보 및 제3 속도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순서도 이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이 교통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영상수집장치(100)가 하나의 버스의 지붕 전단에 일 열로 나열되도록 설치되어, 함께 제1 영상정보를 수집함으로써, 더 넓은 각도의 제1 영상정보가 수집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버스의 지붕 전단에는 복수의 영상수집부(110)만 설치되고, 복수의 영상수집부(110)와 연결되는 제1 제어부(130) 및 제1 통신부(140)는 버스의 실내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제어부(220)는, 영상수집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제2 영상정보를 기반으로 제1 속도정보, 제2 속도정보 및 제3 속도정보를 개별적으로 산출하고, 산출된 제1 속도정보, 제2 속도정보 및 제3 속도정보를 통해, 버스이용자를 위한 제1 교통정보 및 일반차량을 위한 제2 교통정보를 개별적으로 생성하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제어부(220)는, 제2 통신부(230)를 통해 제2 영상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제2 영상정보를 분석 대상이 되는 타깃 영상정보로 지정하고, 기수신되어 저장부(210)에 저장된 제2 영상정보 중, 지정된 타깃 영상정보와 동일한 식별정보를 갖되, 지정된 타깃 영상정보와 가장 근접한 시점(時點)에 수신된 비교 영상정보를 선별할 수 있다.
제2 제어부(220)는, 타깃 영상정보가 지정되고 비교 영상정보가 선별되면, 지정된 타깃 영상정보에 포함된 식별정보에 매칭되는 노선정보의 경로 상에서, 비교 영상정보에 포함된 위치정보에서부터 타깃 영상정보에 포함된 위치정보까지의 경로를 추출하여, 타깃 영상정보가 수집된 지점에서부터 비교 영상정보가 수집된 지점까지의 수집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제2 제어부(220)는, 수집경로가 생성되면, 수집경로의 거리를 산출하고, 산출된 수집경로의 거리와 비교 영상정보에 포함된 위치정보 및 시간정보 그리고 타깃 영상정보에 포함된 위치정보로 및 시간정보를 통하여, 제1 속도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즉, 제1 속도정보는 수집경로 상에서, 설치버스의 평균 속도가 될 수 있다.
제2 제어부(220)는, 비교 영상정보와 타깃 영상정보에 포함된 주변차량을 통해 제2 속도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주변차량이란, 비교 영상정보 또는 타깃 영상정보에 포함되는 모든 차량에 해당할 수 있으나, 버스와 주변차량의 구분을 위하여, 설치버스와 동일한 차로에서 주행 중인 차량은 제외한 주변차로를 주행중인 차량에 해당할 수 있다.
예들 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수집장치(100)가 설치된 버스(b)가 운행 중인 차로가 기준차로(W3) 이고, 기준차로를 제외한 다른 차로들이 주변차로(W1, W2, W4)가 되며, 영상수집장치(100-1, 100-2, 100-3)에 의해 수집된 영상정보에 포함되는 차량들(C-1, C-2, C-3, C-4, C-5, C-5) 중, 기준차로를 주행 중인 차량(C-4)를 제외한, 주변차로를 주행 중인 차량들(C-1, C-2, C-3, C-5, C-6)이 주변차량에 해당할 수 있다.
제2 제어부(220)는, 비교 영상정보와 타깃 영상정보에 포함된 주변차량을 식별하여, 비교 영상정보 및 타깃 영상정보에 동시에 포함되는 식별차량을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제어부(220)는 딥 러닝을 통하여 주변차량을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a에 도시된 비교 영상정보에 포함된 주변차량(C-3, C-4, C-5, C-6, C-7, C-8, C-9)을 식별하고, 도 5b에 도시된 타깃 영상정보에 포함된 주변차량(C-3, C-4, C-9, C-10)을 식별하여, 비교 영상정보 및 타깃 영상정보에 동시에 포함된 식별차량들(C-3, C-4, C-9)을 추출할 수 있다.
제2 제어부(220)는 식별차량이 추출되면, 추출된 식별차량과 버스와의 간격의 변화 값을 기반으로 추출된 식별차량의 상대속도정보를 산출하고, 산출된 상대속도정보와 산출된 제1속도정보를 합산하여 제2 속도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즉, 제2 속도정보는 수집경로 상에서, 주변차량들의 평균 속도가 될 수 있다.
도 6을 예로 하여, 제2 제어부(220)는 비교 영상정보 상에서의 식별차량(C-1a)의 설치버스와의 거리(l1)와 타깃 영상정보 상에서의 식별차량(C-1b)의 설치버스와의 거리(l2)를 통해 수집경로 상에서, 식별차량(C-1a, C-1b)의 설치버스와의 거리 차를 산출할 수 있고, 산출된 거리 차와 비교 영상정보 및 타깃 영상정보에 포함된 시간정보를 통해서 식별차량(C-1a, C-1b)의 비교 영상정보 대비 타깃 영상정보 상에서의 상대속도정보를 산출하고, 상대속도와 제1 속도정보를 합산하여 제2 속도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제어부(220)는, 이와 같이 산출된 식별차량의 거리 차가 0.02km이고, 비교 영상정보 및 타깃 영상정보에 포함된 시간정보의 시간 차가 0.01h이며, 제1 속도정보가 60km/h라고 한다면, 식별차량의 상대속도정보가 2km/h로 산출되고, 제1 속도정보와 합산되어 제2 속도정보는 62km/h로 산출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식별차량이 추출되어 복수의 제2 속도정보가 산출되는 경우, 산출된 제2 속도정보들의 평균값을 통해 수집경로 상의 제2 속도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제2 제어부(220)는 제2 속도정보의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도 6에 도시된 식별차량(C-1, C-2) 중 비교 영상정보 및 타깃 영상정보 상에서의 차로가 변경된 식별차량(C-2a, C-2b)은 제2 속도정보의 산출 대상에서 제외할 수 있다.
만약, 제2 제어부(220)는 차로가 변경된 차량은 제2 속도정보의 산출 대상에서 제외되는 경우, 차로가 변경되지 않은 식별차량이 존재하지 않고, 차로가 변경된 식별차량만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차로가 변경된 식별차량을 대상으로 하여 제2 속도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제어부(220)는 추출된 식별차량이 차량의 배면이 촬영된 제1 차량인지, 차량의 정면이 촬영된 제2 차량인지를 식별할 수 있다.
도 5를 예를 들면, 제2 제어부(220)는 식별차량들(C-3, C-4, C-9) 중 차량의 배면이 촬영된 제1 차량들(C-3, C-4)와 차량의 정면의 촬영된 제2 차량(C-9)를 식별하여, 제1 차량들(C-3, C-4)만을 대상으로 제2 속도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제2 제어부(220)는 도 5와 같이 제2 차량(C-9)이 존재하는 경우, 제2 차량(C-9)을 기반으로 상대속도정보를 산출하고, 산출된 제1 속도정보에 산출된 제2 차량(C-9)의 상대속도정보를 합산하여, 수집경로의 제3 속도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수집경로의 제3 속도정보는 수집경로의 시점과 종점이 전환된 수집경로의 반대 차로를 수집경로로 하는 제2 속도정보로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제2 제어부(220)는 산출된 제1 속도정보가 20km/h이고, 산출된 제2 차량(C-9)의 상대속도정보가 -35km/h인 경우, 수집경로의 제3 속도정보는 -15km/h로 산출될 수 있고, 이때, 수집경로의 반대 차로를 수집경로로 하는 제2 속도정보는 제3 속도정보에 음수를 곱한 값인 15km/h로 산출될 수 있다.
한편, 저장부(210)는, 각각의 노선정보는 버스전용차로가 마련되는 제1 노선정보와 버스전용차로가 마련되지 않는 제2 노선정보로 구분되어 저장될 수 있다.
제1 노선정보와 제2 노선정보가 구분되어 저장되고, 수집경로가 제1 노선정보에 포함되는 경우, 제2 제어부(220)는 제1 속도정보를 기반으로 수집경로의 제1 교통정보를 생성하고, 제2 속도정보를 기반으로 수집경로의 제2 교통정보를 생성함으로써, 버스전용차선이 마련되는 경로에서의 버스를 위한 교통정보와 일반차량을 위한 교통정보를 별도로 생성할 수 있다.
만약, 수집경로가 제2 노선정보에 포함되는 경우, 제2 제어부(220)는 제1 속도정보 및 제2 속도정보를 기반으로 평균속도를 산출하여, 평균속도를 기반으로 수집경로의 제1 교통정보 및 제2 교통정보를 구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수집경로 상에서 버스와, 일반차량의 교통정보에 차이가 없다 가정되어 제1 교통정보 및 제2 교통정보가 동일한 교통정보가 생성된다.
구체적으로, 제2 제어부(220)는 수집경로에서의 산출된 제1 속도정보와, 식별차량들을 기반으로 산출된 각각의 제2 속도정보들을 모두 합산 후, 식별차량의 수에 1을 더한 값을 나눔으로서, 평균속도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210)는 제1 노선정보에 버스전용차로 시행시간이 매칭되어 저장되는 경우, 제2 제어부(220)는 수집경로가 제1 노선정보에 포함되더라도, 교통정보를 생성하는 시점의 시간이 시행시간에 포함되지 않으면, 제2 노선정보에 포함되는 것으로 판단하여 제1 교통정보 및 제2 교통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을 이용한 교통정보 제공 방법을 제1 교통정보 및 제2 교통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을 중심으로 정리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영상수집부(110)에 의해, 제1 영상정보가 수집될 수 있다(S705).
제1 영상정보가 수집되면, 제1 제어부(130)는 제1 위치정보가 수집된 지점의 위치정보, 제1 영상정보를 수집한 영상수집장치(100)의 식별번호 및 제1 영상정보가 수집된 시점의 시간정보가 포함되는 추가정보를, 수집된 제1 영상정보에 부가하여 제2 영상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2 영상정보를 제1 통신부(140)를 통해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S710).
제2 통신부(230)를 통해, 제2 영상정보가 수신되면, 제2 제어부(220)는 수신된 제2 영상정보를 타깃 영상정보로 지정할 수 있다(S715).
타깃 영상정보가 지정되면, 제2 제어부(220)는 지정된 타깃 영상정보와 동일한 식별정보를 갖되, 최근 시점에 수신된, 비교 영상정보를 선정할 수 있다(S720).
비교 영상정보가 선정되면, 제2 제어부(220)는 저장부(210)에 기저장된 설치버스의 노선정보, 비교 영상정보에 포함된 위치정보 및 시간정보, 타깃 영상정보에 포함된 위치정보 및 시간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제1 속도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S725).
제1 속도정보가 산출되면, 제2 제어부(220)는, 산출된 상대속도정보 및 제1 속도정보를 기반으로 제2 속도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S730).
제2 제어부(220)는 제2 속도정보가 산출되고,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제1 교통정보 또는 제2 교통정보를 요청받으면(S740), 제1 교통정보 또는 제2 교통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포함되는 수집경로 중 제1 노선정보에 포함되는 수집경로가 있는지 판단하고(S745), 제1 노선정보에 포함되는 수집경로가 존재한다면(S745-Y) 제1 노선정보에 포함되는 수집경로에서는 제1 속도정보를 기반으로 제1 교통정보를 생성하고(S750), 제2 속도정보를 기반으로 제2 교통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755).
만약, 제2 제어부(220)는 제1 교통정보 또는 제2 교통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포함되는 수집경로 중 제1 노선정보에 포함되지 않고, 제2 노선정보에 포함되는 수집경로가 존재한다면(S745-N), 제2 노선정보에 포함되는 수집경로에서는 평균속도정보를 기반으로 제1 교통정보 및 제2 교통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760).
요청된 전체경로의 제1 교통정보 또는 제2 교통정보가 생성되면, 제2 제어부(220)는 제2 통신부(230)를 통해 사용자 단말(300)에 생성된 전체경로의 제1 교통정보 또는 제2 교통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765).
요청한 제1 교통정보 또는 제2 교통정보가 제2 통신부(230)로부터, 제3 통신부(330)를 통해 수신되면, 제3 제어부(320)는 수신된 제1 교통정보 또는 제2 교통정보가 입출력부(310)를 통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S770).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을 이용한 교통정보 제공 방법을 제2 속도정보가 산출되는 과정을 중심으로 정리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영상수집부(110)에 의해, 제1 영상정보가 수집될 수 있다(S805).
제1 영상정보가 수집되면, 제1 제어부(130)는 제1 위치정보가 수집된 지점의 위치정보, 제1 영상정보를 수집한 영상수집장치(100)의 식별번호 및 제1 영상정보가 수집된 시점의 시간정보가 포함되는 추가정보를, 수집된 제1 영상정보에 부가하여 제2 영상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2 영상정보를 제1 통신부(140)를 통해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S810).
제2 통신부(230)를 통해, 제2 영상정보가 수신되면, 제2 제어부(220)는 수신된 제2 영상정보를 타깃 영상정보로 지정할 수 있다(S815).
타깃 영상정보가 지정되면, 제2 제어부(220)는 지정된 타깃 영상정보와 동일한 식별정보를 갖되, 최근 시점에 수신된, 비교 영상정보를 선정할 수 있다(S820).
비교 영상정보가 선정되면, 제2 제어부(220)는 저장부(210)에 기저장된 설치버스의 노선정보, 비교 영상정보에 포함된 위치정보 및 시간정보, 타깃 영상정보에 포함된 위치정보 및 시간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제1 속도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S825).
제1 속도정보가 산출되면, 제2 제어부(220)는, 비교 영상정보 및 타깃 영상정보에 모두 포함되는 식별차량을 추출하고(S830), 추출된 식별차량이 정면이 촬영된 제1 차량인지 배면이 촬영된 제2 차량인지를 식별함으로써, 추출된 식별차량 중 정면이 촬영된 제2 차량이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S835).
제2 차량이 존재하면(S835-Y), 제2 제어부(220)는 제2 차량을 기반으로 제2 차량의 상대속도정보를 산출하고, 제2 차량의 상대속도정보와 제1 속도정보를 합산하여, 수집경로의 제3 속도정보를 산출하고, 수집경로의 제3 속도정보를 기반으로 수집경로와 반대 차로인 수집경로의 제2 속도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S840).
제2 차량이 존재하지 않거나(S840-N), 제2 차량을 기반으로 제3 속도정보가 산출되면, 제2 제어부(220)는 식별된 제2 차량의 비교 영상정보에서의 버스와의 거리 및 타깃 영상정보에서의 버스와의 거리의 차를 이용하여 식별된 제2 차량의 상대속도정보를 산출하고, 산출된 상대속도정보 및 제1 속도정보를 합산하여 수집경로의 제2 속도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S850).
제2 제어부(220)는 제2 속도정보가 산출되고,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제1 교통정보 또는 제2 교통정보를 요청받으면(S855), 제1 속도정보 및 제2 속도정보를 기반으로 요청받은 제1 교통정보 또는 제2 교통정보를 생성하고, 제2 통신부(230)를 통해 제3 통신부(330)에 전송할 수 있다(S860).
요청한 제1 교통정보 또는 제2 교통정보가 제2 통신부(230)로부터, 제3 통신부(330)를 통해 수신되면, 제3 제어부(320)는 수신된 제1 교통정보 또는 제2 교통정보가 입출력부(310)를 통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S865).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의 미생성경로 및 다중생성경로의 제1 속도정보 및 제2 속도정보를 산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의 미생성경로 및 다중생성경로의 제1 속도정보 및 제2 속도정보를 산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9 내지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교통정보 및 제2 교통정보 생성 과정에서 미생성경로 및 다중생성경로가 발생하는 경우, 미생성경로 및 다중생성경로의 제1 속도정보 및 제2 속도정보를 산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 단말(300)은 출발지점으로부터 목표지점까지 도착하기 위한 교통정보가 요청되되, 제1 교통정보 및 제2 교통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교통정보를 선택하여 서버(200)에 요청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제1 교통정보가 선택되어 요청되면, 제2 제어부(220)는, 기저장된 버스노선정보 및 기설정된 시간 내에 산출된 복수의 수집경로별 제1 속도정보를 취합하여, 출발지점으로부터 목표지점까지의 도착을 위해, 버스를 이동수단으로 하되, 최소시간이 소요되는 제1 추천경로 및 제1 추천경로의 예상 소요시간이 포함된 제1 교통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300)에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제2 교통정보가 선택되어 요청되면, 제2 제어부(220)는 기설정된 시간 내에 산출된 복수의 수집경로별 제2 속도정보를 취합하여, 출발지점으로부터 목표지점까지의 도착을 위해, 일반차량을 이동수단으로 하되, 최소시간이 소요되는 제2 추천경로 및 제2 추천경로의 예상 소요시간이 포함된 제2 교통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300)에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제1 교통정보 및 제2 교통정보가 모두 선택되어 요청되면, 제2 제어부(220)는 제1 추천경로 및 제2 추천경로 중 더 적은 시간이 소요되는 추천경로 및 소요시간이 포함되는 제1 교통정보 또는 제2 교통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3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제어부(220)는 사용자 단말(300)에 요청에 의해, 산출된 수집경로별 제1 속도정보 및 제2 속도정보를 취합하여, 요청된 출발지점부터 도착지점까지의 전체경로의 제1 속도정보 및 제2 속도정보를 생성하며, 전체경로의 수집경로별 제1 속도정보 및 제2 속도정보를 기반으로 제1 교통정보 및 제2 교통정보를 생성하게 되며, 이때, 전체경로 중 산출된 제1 속도정보 및 제2 속도정보가 없는 미생성경로 또는 산출된 제1 속도정보 및 제2 속도정보가 중복되어 존재하는 다중생성경로가 발생할 수 있다.
미생성경로가 발생하는 경우, 제2 제어부(220)는 미생성경로와 연결되는 전, 후단의 수집경로의 제1 속도정보의 평균값으로 미생성경로의 제1 속도정보를 산출하고, 전, 후단의 수집경로의 제2 속도정보의 평균값으로 미생성경로의 제2 속도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다중생성경로가 발생하는 경우, 제2 제어부(220)는 다중생성경로에 포함되는 수집경로들의 제1 속도정보의 평균값으로 다중생성경로의 제1 속도정보를 산출하고, 다중생성경로에 포함되는 수집경로들의 제2 속도정보의 평균값으로 다중생성경로의 제2 속도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예들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경로에 제1 다중생성경로, 제2 다중생성경로 및 제3 다중생성경로가 발생한 경우, 제1 다중생성경로에 포함된 제1 경로의 제1 속도정보가 a, 제2 경로의 제1 속도정보가 b라고 하면, 제1 다중생성경로의 제1 속도정보는 (a+b)/2로 산출될 수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경로에 미생성경로가 발생한 경우, 발생된 미생성경로의 전단의 수집경로의 제1 속도정보가 c, 발생된 미생성경로의 후단의 수집경로의 제1 속도정보가 d라고 하면, 미생성경로의 제1 속도정보는 (c+d)/2로 산출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을 이용한 교통정보 제공 방법을 다중생성경로 및 미생성경로의 제1 속도정보 및 제2 속도정보가 산출되는 과정을 중심으로 정리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영상수집부(110)에 의해, 제1 영상정보가 수집될 수 있다(S1005).
제1 영상정보가 수집되면, 제1 제어부(130)는 제1 위치정보가 수집된 지점의 위치정보, 제1 영상정보를 수집한 영상수집장치(100)의 식별번호 및 제1 영상정보가 수집된 시점의 시간정보가 포함되는 추가정보를, 수집된 제1 영상정보에 부가하여 제2 영상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2 영상정보를 제1 통신부(140)를 통해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S1010).
제2 통신부(230)를 통해, 제2 영상정보가 수신되면, 제2 제어부(220)는 수신된 제2 영상정보를 기반으로 수집경로별 제1 속도정보 및 제2 속도정보를 개별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S1015).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제1 교통정보 또는 제2 교통정보를 요청받으면(S1020), 제2 제어부(220)는 수집경로별 제1 속도정보 및 제2 속도정보를 기반으로 요청된 제1 교통정보 또는 제2 교통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1025).
제2 제어부(220)는 요청된 제1 교통정보 또는 제2 교통정보의 생성과정에서 다중생성경로가 발생하였는지 판단하고(S1030), 다중생경경로가 발생하였다면(S1030-Y), 다중생경경로에 포함되는 수집경로의 제1 속도정보들 및 제2 속도정보들 각각의 평균값을 통해 다중생성경로의 제1 속도정보 및 제2 속도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S1035).
그리고 제2 제어부(220)는 생성된 다중생성경로의 산출된 제1 속도정보 및 제2 속도정보를 포함하여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요청된 제1 교통정보 또는 제2 교통정보를 재생성할 수 있다(S1055).
제1 교통정보 또는 제2 교통정보가 재생성되었거나, 요청된 제1 교통정보 또는 제2 교통정보의 생성과정에서 다중생성경로가 발생하지 않았다면(S1030-N), 제2 제어부(220)는 요청된 제1 교통정보 또는 제2 교통정보의 생성과정에서 미생성경로가 발생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다(S1045).
만약, 미생성경로가 발생하였다면(S1045-Y), 제2 제어부(220)는 미생성경로의 전단, 후단의 수집경로의 제1 속도정보 및 제2 속도정보의 평균값을 통해 미생성경로의 제1 속도정보 및 제2 속도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S1050).
그리고 제2 제어부(220)는 산출된 미생성경로의 제1 속도정보 및 제2 속도정보를 포함하여, 요청된 제1 교통정보 또는 제2 교통정보를 완성할 수 있으며(S1055),
제1 교통정보 또는 제2 교통정보가 완성되거나, 다중생성경로의 제1 속도정보 및 제2 속도정보를 포함하여 제1 교통정보 또는 제2 교통정보가 재생성되는 과정에서 미생성경로가 발생되지 않은 경우(S1045-N), 제2 제어부(220)는 생성된 제1 교통정보 또는 제2 교통정보를 사용자 단말(300)에 전송할 수 있고(S1060), 사용자 단말(300)은 수신된 제1 교통정보 또는 제2 교통정보가 입출력부(310)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제1 교통정보 또는 제2 교통정보가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S1065).
한편, 제2 제어부(220)는, 수신된 제2 영상정보를 기반으로 도로의 표면 파손 여부를 조사하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제어부(220)는 제2 영상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제2 영상정보를 복수의 제1 단위영역으로 분할하여, 분할된 각각의 제1 단위영역에 대하여 도로의 표면상태를 판단하는데 방해가 되는 객체가 존재하는지 판단하고, 적어도 하나의 제1 단위영역에 객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기수신된 제2 영상정보 중 제2 영상정보에 포함됨 위치정보가 기설정된 범위 이내인 제2 영상정보들과 비교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1 단위영역에 객체가 존재하지 않는 상태의 데이터를 개별적으로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제어부(220)는 객체가 존재하지 않은 상태의 데이터가 획득되면, 객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단위영역에 대한 데이터를 객체가 존재하지 않은 상태의 데이터로 교체할 수 있다.
또한, 제2 제어부(220)는 분할된 각각의 제1 단위영역 중 어느 제1 단위영역도 객체가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각각의 제1 단위영역에 대한 데이터를 모두 조합하여, 촬영된 도로에 대한 도로데이터를 생성하여, 도로의 표면 파손 여부를 조사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제어부(220)는 도로데이터가 생성되면, 상기 생성된 도로데이터를 복수의 제2 단위영역으로 분할하여, 분할된 각각의 제2 단위영역 중 균열이 발생된 제2 단위영역이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제2 제어부(220)가 제2 단위영역 중 균열이 발생된 제2 단위영역이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머신러닝이 사용될 수 있다.
제2 제어부(220)는 콘벌루션 신경망(Convolutional Neural Network)을 이용하여, 분할된 각각의 제2 단위영역 중 균열이 발생된 제2 단위영역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도록, 상기 분할된 각각의 제2 단위영역에 대한 이미지데이터를 메타 데이터에 따라 필터링되도록 하여 복수의 콘벌루션 계층(Convolutional layer)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제어부(220)는 수신된 제2 영상정보 상에 도로의 표면 파손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표면 파손이 존재하는 제2 영상정보를 추출하여, 추출된 제2 영상정보를 기반으로 파손정보를 생성하여, 생성된 파손정보를 제2 통신부(230)를 통해 도로를 관리하는 기관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2 제어부(220)는 사용자 단말(300)의 요청에 의해 제1 교통정보 또는 제2 교통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추천경로에 파손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파손정보를 사용자 단말(300)에 전송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파손된 도로에 의한 위험을 대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본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은, 버스를 이용하여 교통정보를 수집할 수 있고 버스 및 일반차량에 따라 구분된 교통정보가 제공되어, 교통정보 제공 서비스의 이용 목적에 따라 더욱 정확한 교통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영상수집장치 110: 영상수집부
120: 위치수집부 130: 제1 제어부
140: 제1 통신부 200: 서버
210: 저장부 220: 제2 제어부
230: 제2 통신부 300: 사용자 단말
310: 입출력부 320: 제3 제어부
330: 제3 통신부
B: 영상수집장치가 설치된 버스
C: 주변차량
W: 차로

Claims (11)

  1. 복수의 버스에 개별적으로 설치되어, 기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상기 버스가 주행 중인 기준차로 및 상기 기준차로 주변에 위치된 주변차로와 상기 주변차로에서 주행 중인 주변차량이 촬영된 제1 영상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제1 영상정보에 상기 제1 영상정보가 수집된 지점의 위치정보가 포함되는 추가정보를 부가하여, 제2 영상정보를 생성하는 영상수집장치;
    상기 제2 영상정보를 상기 영상수집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2 영상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버스의 제1 속도정보 및 상기 주변차량의 제2 속도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제1 속도정보 및 제2 속도정보를 기반으로, 출발지점으로부터 목표지점까지 도착하는데 최소시간이 소요되는 추천경로 및 상기 추천경로의 예상 소요시간이 포함되는 교통정보를 생성하는 서버; 및
    상기 서버에 상기 교통정보를 요청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교통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교통정보를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제1 속도정보와, 상기 제2 속도정보를 개별적으로 산출하여, 버스이용자를 위한 제1 교통정보 및 일반차량이용자를 위한 제2 교통정보를 개별적으로 생성하며,
    상기 추가정보는,
    상기 제1 영상정보가 수집된 지점의 위치정보, 상기 제1 영상정보를 수집한 영상수집장치의 식별정보 및 상기 제1 영상정보가 수집된 시점(時點)의 시간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제2 영상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제2 영상정보를 분석 대상이 되는 타깃 영상정보로 지정하고,
    기수신된 제2 영상정보 중, 상기 지정된 타깃 영상정보와 동일한 식별정보를 갖되, 상기 지정된 타깃 영상정보와 가장 근접한 시점(時點)에 수신된 비교 영상정보를 선별하며,
    상기 식별정보에 매칭되는 버스의 노선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선별된 비교 영상정보에 포함된 시간정보 및 위치정보와 상기 지정된 타깃 영상정보에 포함된 시간정보 및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속도정보를 산출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비교 영상정보 및 타깃 영상정보에 포함된 주변차량을 식별하되, 상기 비교 영상정보 및 타깃 영상정보에 공동적으로 포함된 식별차량을 추출하며,
    상기 추출된 식별차량과 상기 버스와의 간격의 변화 값을 기반으로 상기 추출된 식별차량의 상대속도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상대속도정보와 상기 산출된 제1 속도정보를 합산하여 상기 제2 속도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서버는,
    복수의 상기 식별차량을 산출 대상으로 하여, 상기 제2 속도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추출된 식별차량의 차로가 변경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차로가 변경된 것으로 판단되는 식별차량을 상기 제2 속도정보의 산출 대상에서 제외하되,
    복수의 상기 식별차량이 상기 차로가 변경된 것으로 판단되는 식별차량만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차로가 변경된 식별차량을 상기 제2 속도정보의 산출 대상에서 제외하지 않고 상기 차로가 변경된 식별차량을 대상으로 하여 상기 제2 속도정보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버스의 노선정보가 상기 식별정보와 매칭되어 저장되되, 버스전용차로가 마련되는 제1 노선에 대한 제1 노선정보와 버스전용차로가 마련되지 않는 제2 노선에 대한 제2 노선정보로 구분되어 저장되고,
    상기 노선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비교 영상정보가 수집된 지점에서부터 상기 타깃 영상정보가 수집된 지점까지의 수집경로를 생성하며,
    상기 수집경로가 상기 제1 노선정보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제1 속도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수집경로의 제1 교통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속도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수집경로의 제2 교통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수집경로가 상기 제2 노선정보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제1 속도정보 및 상기 제2 속도정보를 기반으로 평균속도를 산출하여, 상기 평균속도를 기반으로 상기 수집경로의 제1 교통정보 및 제2 교통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추출된 식별차량이 차량의 배면이 촬영된 것으로 판단되는 제1 차량과, 차량의 정면이 촬영된 것으로 판단되는 제2 차량을 구분하여, 상기 제1 차량만을 대상으로 상기 제2 속도정보를 산출하되,
    상기 추출된 식별차량이 상기 제2 차량으로 판단될 경우, 상기 제2 차량을 기반으로 상기 상대속도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제1 속도정보에서 상기 산출된 제2 차량의 상대속도정보를 합산하여 상기 수집경로의 제3 속도정보를 산출하며,
    상기 산출된 제3 속도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수집경로의 반대 차로의 제2 교통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서버에, 상기 출발지점으로부터 상기 목표지점까지의 도착하기 위한 교통정보를 요청하되, 상기 제1 교통정보 및 상기 제2 교통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교통정보를 선택하여 요청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제1 교통정보 및 제2 교통정보의 생성 과정에서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생성된 수집경로가 없는 미생성경로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될 경우,
    미생성경로와 연결되는 전, 후단의 수집경로의 제1 속도정보의 평균값으로 상기 미생성경로의 제1 속도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전, 후단의 수집경로의 제2 속도정보의 평균값으로 상기 미생성경로의 제2 속도정보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서버에, 상기 출발지점으로부터 상기 목표지점까지의 도착하기 위한 교통정보를 요청하되, 상기 제1 교통정보 및 상기 제2 교통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교통정보를 선택하여 요청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제1 교통정보 및 제2 교통정보의 생성 과정에서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생성된 수집경로가 중복되는 다중생성경로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다중생성경로에 포함되는 수집경로들의 제1 속도정보의 평균값으로 상기 다중생성경로의 제1 속도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다중생성경로에 포함되는 수집경로들의 제2 속도정보의 평균값으로 상기 다중생성경로의 제2 속도정보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수신된 제2 영상정보를 복수의 제1 단위영역으로 분할하여, 분할된 각각의 제1 단위영역에 대하여 도로의 표면상태를 판단하는데 방해가 되는 객체가 존재하는지 판단하고,
    적어도 하나의 제1 단위영역에 상기 객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기수신된 제2 영상정보 중 상기 제2 영상정보에 포함됨 위치정보가 기설정된 범위 이내인 제2 영상정보들과 비교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단위영역에 상기 객체가 존재하지 않는 상태의 데이터를 개별적으로 획득하고,
    상기 객체가 존재하지 않은 상태의 데이터가 획득되면, 상기 객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단위영역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객체가 존재하지 않은 상태의 데이터로 교체하며,
    상기 분할된 각각의 제1 단위영역 중 어느 제1 단위영역도 객체가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각각의 제1 단위영역에 대한 데이터를 모두 조합하여, 상기 촬영된 도로에 대한 도로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도로의 표면 파손 여부를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
  11. 복수의 버스에 개별적으로 마련되되, 각각의 버스에 설치되는 영상수집장치에 의해, 기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상기 버스가 주행 중인 기준차로 및 상기 기준차로 주변에 위치된 주변차로와 상기 주변차로에서 주행 중인 주변차량이 촬영된 제1 영상정보가 수집되는 단계;
    상기 영상수집장치에 의해, 상기 수집된 제1 영상정보에 상기 제1 영상정보가 수집된 지점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추가정보가 부가되어 제2 영상정보가 생성되고, 상기 생성된 제2 영상정보가 서버에 전송되는 단계;
    상기 서버에 의해, 상기 영상수집장치로부터 수신된 제2 영상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상기 버스의 제1 속도정보 및 상기 주변차량의 제2 속도정보가 산출되는 단계;
    사용자 단말에 의해, 출발지점으로부터 목표지점까지 도착하는데 최소시간이 소요되는 추천경로 및 상기 추천경로의 소요시간이 포함되는 교통정보가 서버에 요청되는 단계;
    상기 서버에 의해, 상기 생성된 제1 속도정보 및 제2 속도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상기 요청된 교통정보가 생성되고, 상기 생성된 교통정보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된 교통정보가 출력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속도정보가 산출되는 단계는,
    상기 서버에 의해, 상기 제1 속도정보와 상기 제2 속도정보가 개별적으로 산출되고,
    상기 교통정보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되는 단계는,
    상기 서버에 의해, 버스이용자를 위한 제1 교통정보 및 일반차량이용자를 위한 제2 교통정보가 개별적으로 생성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되며,
    상기 추가정보는,
    상기 제1 영상정보가 수집된 지점의 위치정보, 상기 제1 영상정보를 수집한 영상수집장치의 식별정보 및 상기 제1 영상정보가 수집된 시점(時點)의 시간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제1 속도정보는,
    상기 제2 영상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서버에 의해, 상기 수신된 제2 영상정보를 분석 대상이 되는 타깃 영상정보로 지정하고, 기수신된 제2 영상정보 중, 상기 지정된 타깃 영상정보와 동일한 식별정보를 갖되, 상기 지정된 타깃 영상정보와 가장 근접한 시점(時點)에 수신된 비교 영상정보를 선별하며, 상기 식별정보에 매칭되는 버스의 노선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선별된 비교 영상정보에 포함된 시간정보 및 위치정보와 상기 지정된 타깃 영상정보에 포함된 시간정보 및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되며,
    상기 제2 속도정보는,
    상기 서버에 의해, 상기 비교 영상정보 및 타깃 영상정보에 포함된 주변차량을 식별하되, 상기 비교 영상정보 및 타깃 영상정보에 공동적으로 포함된 식별차량을 추출하며, 상기 추출된 식별차량과 상기 버스와의 간격의 변화 값을 기반으로 상기 추출된 식별차량의 상대속도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상대속도정보와 상기 산출된 제1 속도정보를 합산하여 산출되며,
    상기 제1 속도정보 및 상기 제2 속도정보가 산출되는 단계는,
    상기 서버에 의해, 복수의 상기 식별차량을 산출 대상으로 하여, 상기 제2 속도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추출된 식별차량의 차로가 변경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차로가 변경된 것으로 판단되는 식별차량을 상기 제2 속도정보의 산출 대상에서 제외하되, 복수의 상기 식별차량이 상기 차로가 변경된 것으로 판단되는 식별차량만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차로가 변경된 식별차량을 상기 제2 속도정보의 산출 대상에서 제외하지 않고 상기 차로가 변경된 식별차량을 대상으로 하여 상기 제2 속도정보를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정보 제공 방법.
KR1020180065232A 2018-06-07 2018-06-07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9871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5232A KR101987103B1 (ko) 2018-06-07 2018-06-07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5232A KR101987103B1 (ko) 2018-06-07 2018-06-07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7103B1 true KR101987103B1 (ko) 2019-09-30

Family

ID=68098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5232A KR101987103B1 (ko) 2018-06-07 2018-06-07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71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3994B1 (ko) * 2020-12-11 2021-12-02 주식회사 데이터위즈 교통 수집 데이터 제공 시스템의 교통 수집 데이터 제공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2583A (ko) * 1997-06-20 1999-01-15 홍용남 교통량 측정 시스템
KR20080004170A (ko) * 2006-07-05 2008-01-09 전자부품연구원 차량용 주변 차량 정보 제공 시스템
KR20150039230A (ko) * 2013-09-30 2015-04-10 주식회사 비트컴퓨터 차량 주변의 도로 교통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도로 교통 정보 시스템
KR101744963B1 (ko) 2015-03-17 2017-06-09 주식회사 아이티텔레콤 블랙박스 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교통정보 및 차량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2583A (ko) * 1997-06-20 1999-01-15 홍용남 교통량 측정 시스템
KR20080004170A (ko) * 2006-07-05 2008-01-09 전자부품연구원 차량용 주변 차량 정보 제공 시스템
KR20150039230A (ko) * 2013-09-30 2015-04-10 주식회사 비트컴퓨터 차량 주변의 도로 교통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도로 교통 정보 시스템
KR101744963B1 (ko) 2015-03-17 2017-06-09 주식회사 아이티텔레콤 블랙박스 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교통정보 및 차량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3994B1 (ko) * 2020-12-11 2021-12-02 주식회사 데이터위즈 교통 수집 데이터 제공 시스템의 교통 수집 데이터 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50973B2 (ja) 燃費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燃費情報表示方法
CN102770893B (zh) 用于产生和提供交通相关信息的方法和系统
US9336682B2 (en) Navigation system for vehicle and navigation service method for the same
US20220228882A1 (en) Dynamic Change of Map Origin
JP2015075398A (ja) 車両用車線案内システム及び車両用車線案内方法
CA2609681A1 (en) Method for determining traffic information, and a device arranged to perform the method
KR102227561B1 (ko) 블록체인 기반의 경로 안내 및 교통흐름제어 시스템 및 방법
CN111489557B (zh) 停车场停车管理装置以及停车场停车管理方法
US11768085B2 (en) Map tile optimization based on tile connectivity
JP2010117864A (ja) 駐車場内情報提供システム
KR101987103B1 (ko)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210107020A (ko) 자율 주행 차량 중의 센서 동기화 데이터 분석을 위한 시스템
JP2004139284A (ja) 車両用情報処理装置
JP2020144747A (ja) 路面情報登録システム及び路面情報登録装置
JP2020080462A (ja) 画像管理装置、路面情報管理システム、車両、プログラム、及び、画像管理方法
KR102181032B1 (ko) 실시간 도로교통정보 제공 서버 및 이의 동작 방법
JP4865922B1 (ja) 走行情報演算装置、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および走行情報演算方法
JP7348725B2 (ja) 配信システム、配信方法および車載装置
JPWO2018179956A1 (ja) 駐車場情報管理システム、駐車場案内システム、駐車場情報管理プログラムおよび駐車場案内プログラム
EP3028922B1 (fr) Procédé de discrimination de la présence d'un véhicule ferroviaire sur un canton, procédé de calcul d'un intervalle de sécurité et dispositif associé
JP2014122859A (ja) 道路情報収集装置及び道路情報収集プログラム
JP4783437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に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2020060932A (ja) 車載装置
JP2012032284A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FR2556864A1 (fr) Systeme de surveillance de l'exploitation d'une ligne comportant une pluralite de stations, equipement de station et afficheur pour ce syste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