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6578B1 - 시공 및 조립이 용이한 방충망 도어 모서리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시공 및 조립이 용이한 방충망 도어 모서리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6578B1
KR101986578B1 KR1020170020164A KR20170020164A KR101986578B1 KR 101986578 B1 KR101986578 B1 KR 101986578B1 KR 1020170020164 A KR1020170020164 A KR 1020170020164A KR 20170020164 A KR20170020164 A KR 20170020164A KR 101986578 B1 KR101986578 B1 KR 1019865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door
corner
connecting member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01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3705A (ko
Inventor
이제택
Original Assignee
이제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제택 filed Critical 이제택
Priority to KR10201700201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6578B1/ko
Publication of KR201800937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37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65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65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 E06B3/964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 E06B3/968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characterised by the way the connecting pieces are fixed in or on the frame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2009/527Mounting of screens to window or d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rchitecture (AREA)
  • Joining Of Corner Units Of Frames 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공 및 조립이 용이한 방충망 도어 모서리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 프레임의 구성하는 각 프레임간의 연결구조를 개선하여 시공 및 조립이 용이토록 하고, 도어를 교체, 수리, 시공, 조립하고자 하는 경우, 기존처럼 도어 프레임 모두 교체하는 것이 아니라, 도어의 힌지와 연결된 연결부재를 도어 프레임의 모서리 프레임에서 손쉽게 탈거하는 작업만으로, 도어 프레임의 분해 없이도 도어의 교체, 수리, 시공, 조립이 가능해지는 시공 및 조립이 용이한 방충망 도어 모서리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시공 및 조립이 용이한 방충망 도어 모서리 결합구조{SCREEN DOOR CORNER CONNECTING STRUCTURE FOR EASILY ASSEMBLYING AND REPLACEMENT}
본 발명은 도어의 시공, 교체, 수리 시 도어 프레임 전체를 분해하지 않고, 도어만 교체 수리 작업이 손쉽고 용이하게 가능한, 시공 및 조립이 용이한 방충망 도어 모서리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폴딩도어(Folding Door)는 말 그대로 접이문을 말하는 것으로, 건물벽체의 내외벽 대체용으로 사용할 수 있고 기계적 외력에 대응해 내구성이 보장되며 방음, 방풍의 효과가 있어 외부용으로도 적합하다.
또한, 제품에 유리를 적용하여 시야를 확보할 수 있으며 디자인이 우수하여 내부용으로도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폴딩도어는 공간을 가치 있게 활용하고자 기존 문들의 50% 개폐구조를 90% 이상으로 열리게 하여 주거용으로는 넓은 생활공간을 그리고 상가용으로는 고객들의 접근성을 용이하게 하여 주로 고급 레스토랑, 아파트, 주택, 상가 등의 출입구 또는 분합문에 쓰이는 추세이다.
이러한 폴딩도어는 벽체의 출입구 외측에 도어를 완전히 개방할 공간이 없는 곳에서 출입구를 완전히 개방할 수 있도록 설계되는데, 출입구 형태를 따라 문틀프레임을 구성하고, 복수개의 슬라이딩도어가 서로 회동가능하게 힌지에 의해 연결되며 슬라이딩도어 일단이 문틀프레임 일측에 회동되도록 연결된다.
하지만, 이러한 폴딩도어 등 각종 도어의 경우, 도어의 시공 및 조립 또는 수리 및 교체가 이루어져야 하는 경우, 도어를 설치한 도어문틀, 즉 도어프레임 까지 모두 교체해야만 하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6-0144601호(2016.12.19.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를 시공 및 조립하고자 하는 경우 및 교체 수리시, 도어를 설치 시공면에 함께 설치했던 도어 프레임까지 모두 분해하여 시공 및 조립해야하지 않아도 되도록 하기 위해, 도어 프레임에서 도어의 힌지부분이 연결되는 연결부재를 착탈가능하게 도어 프레임의 모서리 프레임 중 하나에 형성함으로써, 도어를 시공, 조립, 교체, 수리시 도어가 힌지로 연결된 연결부재를 모서리 프레임에서 탈거함으로써, 시공이 간편하고 손쉬어지도록 하고, 도어의 외곽에 설치된 수평 프레임 및 수직 프레밍 상호간 또한 체결이 용이한 구조로 개선한 시공 및 조립이 용이한 방충망 도어 모서리 결합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도어(D)의 상, 하측에 수평으로 설치되며, 양단에 제 1연결홀(11)이 형성되어 있는 수평 프레임(10); 상기 도어(D)의 양측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양단에 제 2연결홀(21)이 형성되어 있는 수직 프레임(20); 상기 수평 프레임(10)과 수직 프레임(20)이 교차되는 모서리부분에 설치되어, 수평 프레임(10)과 수직 프레임(20) 상호간이 양단에 대응체결되는 모서리 프레임(30); 상기 제 1연결홀(11)에 대응되도록 모서리 프레임(30)에 형성되어, 고정수단을 통해 수평 프레임(10)과 모서리 프레임(30)이 결합되도록 하는 수평홀(35); 상기 제 2연결홀(21)에 대응되도록 모서리 프레임(30)에 형성되어, 고정수단을 통해 수직 프레임(20)과 모서리 프레임(30)이 결합되도록 하는 수직홀(37); 상기 도어(D)의 힌지(H)가 대응체결될 수 있도록 저면에 힌지홀(4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모서리 프레임(30) 중, 도어(D)의 힌지(H)에 대응되는 모서리 프레임(30)에 착탈 가능하게 대응설치됨으로써, 도어(D)의 시공, 조립, 교체시 프레임의 분해없이, 상기 모서리 프레임(30)에서 탈거되며 도어(D)의 시공, 조립, 교체가 가능토록 하는 연결부재(4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어 프레임을 이루는 수평 프레임, 수직 프레임, 모서리 프레임 상호간의 체결이 용이하고 손쉬운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의 교체, 수리, 시공, 조립시, 도어와 연결된 연결부재를 모서리 프레임에서 탈거하는 작업만으로, 도어 프레임의 교체 없이 도어의 교체, 수리, 시공, 조립이 간단히 시행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공 및 조립이 용이한 방충망 도어 모서리 결합구조가 적용된 도어를 나타낸 일실시에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서리 프레임과 수평 프레임 및 수직 프레임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평면도.
도 3은 도 2에 연결부재가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평 프레임과 수직 프레임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일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시공 및 조립이 용이한 방충망 도어 모서리 결합구조가 적용된 모습을 나타낸 일실시예.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모서리 프레임에 연결부재의 장착 전 및 장착 후 모습을 나타낸 일실시예.
도 8은 도 6의 외측 모습을 나타낸 일실시예.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 1(first)", "제 2(second)"와 같은 용어는 설명을 위해 본원 및 첨부 청구항들에 사용되고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의 특징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살펴보면,
도어(D)의 상, 하측에 수평으로 설치되며, 양단에 제 1연결홀(11)이 형성되어 있는 수평 프레임(10); 상기 도어(D)의 양측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양단에 제 2연결홀(21)이 형성되어 있는 수직 프레임(20); 상기 수평 프레임(10)과 수직 프레임(20)이 교차되는 모서리부분에 설치되어, 수평 프레임(10)과 수직 프레임(20) 상호간이 양단에 대응체결되는 모서리 프레임(30); 상기 제 1연결홀(11)에 대응되도록 모서리 프레임(30)에 형성되어, 고정수단을 통해 수평 프레임(10)과 모서리 프레임(30)이 결합되도록 하는 수평홀(35); 상기 제 2연결홀(21)에 대응되도록 모서리 프레임(30)에 형성되어, 고정수단을 통해 수직 프레임(20)과 모서리 프레임(30)이 결합되도록 하는 수직홀(37);으로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어(D)의 힌지(H)가 대응체결될 수 있도록 저면에 힌지홀(4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모서리 프레임(30) 중, 도어(D)의 힌지(H)에 대응되는 모서리 프레임(30)에 착탈 가능하게 대응설치됨으로써, 도어(D)의 시공, 조립, 교체시 프레임의 분해없이, 상기 모서리 프레임(30)에서 탈거되며 도어(D)의 시공, 조립, 교체가 가능토록 하는 연결부재(4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40)는 상면에 제 1끼움부(41)를 형성하고, 후면에 제 2끼움부(42)를 형성하여, 상기 모서리 프레임(30)의 저면에 형성된 제 1끼움홈(33)과, 내주면에 형성된 제 2끼움홈(34)에 각각, 좌, 우 길이방향을 향해 슬라이딩 체결되어, 착탈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서리 프레임(30)은 양단부에 삽입부(31)가 연장형성되어, 상기 수평 프레임(10) 또는 수직 프레임(20)의 단부에 내설되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40)가 체결되는 모서리 프레임(30)은, 상기 연결부재(40)가 착탈가능하게 체결될 설치공간(α)을 확보하기 위해, 나머지 모서리 프레임(30)의 길이(L2)보다 상대적으로 더 긴 길이(L1)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서리 프레임(30) 및 연결부재(40)는 도어(D)의 시공면에 고정부재로 고정될 수 있는 고정홀(36, 44)이 각각 천공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2연결홀(11, 21)은 프레임의 내부 길이방향을 향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시공 및 조립이 용이한 방충망 도어 모서리 결합구조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시공 및 조립이 용이한 방충망 도어 모서리 결합구조는 수평 프레임(10), 수직 프레임(20), 모서리 프레임(30), 연결부재(40)를 포함한다.
상기 수평 프레임(10)은 도어(D)가 설치되는 상, 하단에 수평으로 대응설치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수평 프레임(10)은 내부가 비어있으며, 후술될 모서리 프레임(30)의 단부에 대응되도록, 중단이 절곡된 'ㄱ' 또는 'ㄴ'의 단면형상을 가지는 빔 형태를 가진다.
더불어, 이러한 수평 프레임(10)의 경우, 양단부에는 모서리 프레임(30)과 연결되기 위한 제 1연결홀(11)이 형성되어 있도록 하는데, 이러한 제 1연결홀(11)은 수평 프레임(10)의 비어있는 내부에 길이방향을 향해 형성되어 있도록 한다.
상기 수직 프레임(20)은 전술된 수평 프레임(10)과 함께 도어(D)의 테두리에 위치되는 것으로서, 도어(D)의 양측에 수직으로 세워져 설치되는 것이다.
이러한 수직 프레임(20)은 수평 프레임(10)과 마찬가지로 내부가 비어있으며, 후술될 모서리 프레임(30)의 단부에 대응되도록, 중단이 절곡된 'ㄱ' 또는 'ㄴ'의 단면형상을 가지는 빔 형태를 가진다.
또한, 양단부에는 모서리 프레임(30)과 연결되기 위한 제 2연결홀(21)이 형성되어 있도록 하는데, 이러한 제 2연결홀(21)은 수직 프레임(10)의 비어있는 내부에 길이방향을 향해 형성되어 있도록 한다.
상기 모서리 프레임(30)은 수평 프레임(10)과 수직 프레임(20)이 교차되는 모서리부분에 설치되어, 수평 프레임(10)과 수직 프레임(20) 상호간을 대응체결되도록 중단이 절곡된 형상을 가지는 것이다. 즉, 도어(D)의 상, 하단에 수평 프레임(10)이 설치되고, 좌, 우측에 수직 프레임(20)이 각각 설치됨으로써, 좌, 우측 상단 및 하단에 총 4개의 모서리 프레임(30)이 사용된다.
즉, 모서리 프레임(30)의 직교된 양단부에 수평 프레임(10)과 수직 프레임(20)이 각각 대응체결되는 것이다.
또한, 모서리 프레임(30)의 양단부에는 삽입부(31)가 각각 연장형성되어, 수평 프레임(10) 또는 수직 프레임(20)의 단부에 삽입부(31)가 내설되며 상호간 체결되는 구조를 가지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이러한 모서리 프레임(30)의 경우, 수평 프레임(10)과 고정수단(볼트 등, 이후 기재되는 고정수단에도 동일하게 적용.)을 통해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수평 프레임(10)의 제 1연결홀(11)과 대응되는 수평홀(35)이 지면과 수평을 이루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도록 하고, 수직 프레임(20)과 고정수단을 통해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수직 프레임(20)의 제 2연결홀(21)과 대응되는 수직홀(37)을 지면과 수직을 이루는 형태로 천공형성되어 있도록 한다.
이로써, 상기 모서리 프레임(30)의 수평홀(35)에서부터 수평 프레임(10)의 제 1연결홀(11)까지 고정수단으로 체결됨으로써, 모서리 프레임(30)과 수평 프레임(10)이 연결되고, 상기 모서리 프레임(30)의 수직홀(37)에서부터 수직 프레임(20)의 제 2연결홀(21)까지 고정수단으로 체결됨으로써, 모서리 프레임(30)과 수직 프레임(20)이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모서리 프레임(30)의 경우, 정면에서 봤을시에는 중단이 절곡된 단면 형상을 가지되, 이렇게 절곡된 양단부 또한 단면이 중단이 절곡된 'ㄱ' 또는 'ㄴ'의 단면형상을 가지도록 하여, 이러한 모서리 프레임(30)의 전면에는 후술될 연결부재(40)가 모서리 프레임(30)에 체결될 수 있는 설치공간(α)이 형성되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모서리 프레임(30)은 도어(D)의 시공면(벽)에 고정부재로 고정될 수 있는 고정홀(36)이 시공면을 향해 천공형성되어 있도록 한다.
상기 연결부재(40)는 전술된 다수의 모서리 프레임(30) 중 하나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더욱 자세히는 접철되는 구조의 도어(D) 일측의 힌지(H)가 위치되는 부분인, 좌측 상단측 모서리 프레임(30, ①)에 설치된다.
즉, 연결부재(40)는 수평 프레임(10)과 수직 프레임(20)으로 이루어지는 프레임 상에서, 좌측 상단 측에서 수평 프레임(10)과 수직 프레임(20)을 연결하는 모서리 프레임(30)에 설치되는 것으로, 전술된 모서리 프레임(30)의 내주면에 형성된 설치공간(α)에 대응설치된다.
상기 연결부재(40)는 상면에 'ㄱ'자 형태의 제 1끼움부(41)를 돌출형성하고, 후면에는 외부로 돌출되는 사각단면의 제 2끼움부(42)를 형성한다.
이로써, 상기 연결부재(40)는 모서리 프레임(30)의 전면의 설치공간(α) 내에서, 모서리 프레임(30) 저면에 형성된 제 1끼움홈(33)과, 내주면에 형성된 제 2끼움홈(34)에 각각, 좌, 우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체결되어, 모서리 프레임(30)에서 착탈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다시말해, 상기 연결부재(40)는 모서리 프레임(30)의 설치공간(α) 내에서 좌, 우로 슬라이딩 체결 및 탈거가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것이다.(설치공간(α) 내를 향해 좌측으로 슬라이딩 되면 체결, 체결된 상태에서 우측으로 슬라이딩 시켜 빼내면 탈거하거나, 또는 전면에서 밀어서 장착 또한 가능하다.)
물론, 이러한 연결부재(40)는 고정수단이 삽입되는 고정홀(44)을 복수개 형성하고 있으며, 이러한 고정홀(44)에 끼워진 고정수단은, 연결부재(40)가 설치된 모서리 프레임(30)에서, 상기 고정홀(44)에 대응되는 관통홀(32)을 관통하여, 도어(D)의 시공면까지 박히게 되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이러한 연결부재(40)의 저면에는 상기 도어(D)의 힌지(H)가 대응체결되는 힌지홀(43)이 형성되어 있도록 한다. 이로써, 도어(D)의 교체, 수리, 시공, 조립 등의 공정이 필요할 시에, 기존에는 도어(D)가 결합된 도어틀, 즉 수평 프레임(10) 및 수직 프레임(20) 모두를 전체 분해해야만 가능했으나, 본 발명의 경우, 도어(D)의 일측 상단 힌지(H)가 대응삽입되어있는 상기 연결부재(40)를 모서리 프레임(30)에서 탈거(고정홀(44)의 고정수단을 풀고, 모서리 프레임(30)에서 탈거)시키면 되는 것이다.
이로써, 수평 프레임(10)이나 수직 프레임(20) 등의 해체나 분해없이, 단순히 도어(D)의 힌지(H)가 끼워지는 연결부재(40)를 모서리 프레임(30)에서 탈거시킴으로써, 도어(D)의 시공, 조립, 교체가 가능토록 한 것이다.
더불어, 이러한 연결부재(40)의 구성으로 인하여, 상기 모서리 프레임(30)은 다수개 중, 도어(D)의 좌측 상단에 위치되는 모서리 프레임(30)(연결부재(40)가 설치되는 해당 모서리 프레임(30))은 상기 연결부재(40)가 착탈가능하게 체결될 설치공간(α)을 확보하기 위해, 나머지 모서리 프레임(30)의 길이(L2) 상대적으로 더 긴 길이(수평 프레임(10)과 연결되는 일측의 길이)(L1)를 가진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수평 프레임 11: 제 1연결홀
20: 수직 프레임 12: 제 2연결홀
30: 모서리 프레임 31: 삽입부
32: 관통홀 33: 제 1끼움홈
34: 제 2끼움홈 35: 수평홀
36, 44: 고정홀 37: 수직홀
40: 연결부재 41: 제 1끼움부
42: 제 2끼움부 43: 힌지홀
D: 도어 H: 힌지
α: 설치공간

Claims (7)

  1. 도어(D)의 상, 하측에 수평으로 설치되며, 양단에 제 1연결홀(11)이 형성되어 있는 수평 프레임(10);
    상기 도어(D)의 양측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양단에 제 2연결홀(21)이 형성되어 있는 수직 프레임(20);
    상기 수평 프레임(10)과 수직 프레임(20)이 교차되는 모서리부분에 설치되어, 수평 프레임(10)과 수직 프레임(20) 상호간이 양단에 대응체결되는 모서리 프레임(30);
    상기 제 1연결홀(11)에 대응되도록 모서리 프레임(30)에 형성되어, 고정수단을 통해 수평 프레임(10)과 모서리 프레임(30)이 결합되도록 하는 수평홀(35);
    상기 제 2연결홀(21)에 대응되도록 모서리 프레임(30)에 형성되어, 고정수단을 통해 수직 프레임(20)과 모서리 프레임(30)이 결합되도록 하는 수직홀(37);
    상기 도어(D)의 힌지(H)가 대응체결될 수 있도록 저면에 힌지홀(4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모서리 프레임(30) 중, 도어(D)의 힌지(H)에 대응되는 모서리 프레임(30)에 착탈 가능하게 대응설치됨으로써, 도어(D)의 시공, 조립, 교체시 프레임의 분해없이, 상기 모서리 프레임(30)에서 탈거되며 도어(D)의 시공, 조립, 교체가 가능토록 하는 연결부재(4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 및 조립이 용이한 방충망 도어 모서리 결합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40)는
    상면에 제 1끼움부(41)를 형성하고, 후면에 제 2끼움부(42)를 형성하여,
    모서리 프레임(30)의 저면에 형성된 제 1끼움홈(33)과, 내주면에 형성된 제 2끼움홈(34)에 각각, 좌, 우 길이방향을 향해 슬라이딩 체결되어, 착탈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 및 조립이 용이한 방충망 도어 모서리 결합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 프레임(30)은
    양단부에 삽입부(31)가 연장형성되어,
    상기 수평 프레임(10) 또는 수직 프레임(20)의 단부에 내설되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 및 조립이 용이한 방충망 도어 모서리 결합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40)가 체결되는 모서리 프레임(30)은,
    상기 연결부재(40)가 착탈가능하게 체결될 설치공간(α)을 확보하기 위해, 나머지 모서리 프레임(30)의 길이(L2)보다 상대적으로 더 긴 길이(L1)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 및 조립이 용이한 방충망 도어 모서리 결합구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40) 및 연결부재(40)가 결합되는 모서리 프레임(30)은
    도어(D)의 시공면에 고정부재로 고정될 수 있는 고정홀(44, 36)이 각각 천공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 및 조립이 용이한 방충망 도어 모서리 결합구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연결홀(11, 21)은
    프레임의 내부 길이방향을 향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 및 조립이 용이한 방충망 도어 모서리 결합구조.
  7. 삭제
KR1020170020164A 2017-02-14 2017-02-14 시공 및 조립이 용이한 방충망 도어 모서리 결합구조 KR1019865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0164A KR101986578B1 (ko) 2017-02-14 2017-02-14 시공 및 조립이 용이한 방충망 도어 모서리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0164A KR101986578B1 (ko) 2017-02-14 2017-02-14 시공 및 조립이 용이한 방충망 도어 모서리 결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3705A KR20180093705A (ko) 2018-08-22
KR101986578B1 true KR101986578B1 (ko) 2019-06-07

Family

ID=63452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0164A KR101986578B1 (ko) 2017-02-14 2017-02-14 시공 및 조립이 용이한 방충망 도어 모서리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657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5332Y1 (ko) * 2003-02-28 2003-06-02 한화종합화학 주식회사 창틀 조립구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84853A (ko) * 2011-01-21 2012-07-31 오흥권 방충망의 힌지장치
KR101779561B1 (ko) 2015-06-09 2017-09-19 주식회사 대원금속 폴딩도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5332Y1 (ko) * 2003-02-28 2003-06-02 한화종합화학 주식회사 창틀 조립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3705A (ko) 2018-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5763B1 (ko) 폴딩도어
CA2931720C (en) Connecting device and shower door assembly including the connecting device
JP2019082097A (ja) 拡張窓カバー
KR101236750B1 (ko) 롤 스크린 장치가 내장되게 한 시스템 창호
KR20170090662A (ko) 모서리 연결부재에 장착된 고정부재를 이용한 탈부착이 용이한 절첩식 방범 방충용 도어의 고정장치
KR101686471B1 (ko) 미관이 유려한 폴딩도어 결합구조
KR101986578B1 (ko) 시공 및 조립이 용이한 방충망 도어 모서리 결합구조
KR101303277B1 (ko) 미닫이 창호의 도어 어셈블리 및 이의 조립 방법
KR101591862B1 (ko) 커튼월과 스윙도어의 연결구조
KR101769180B1 (ko) 창호 구조보강용 수직부재
KR20150002067U (ko) 방범 기능을 갖는 안전 방충 프레임
KR20170106850A (ko) 폴딩도어 구조
CA2835898C (en) Adjustable transition for box evaporator coils
KR200387196Y1 (ko) 조립식창호
KR20140114329A (ko) 가스켓의 장착이 용이한 도어
KR101199509B1 (ko) 시스템 창호의 여닫이 구조
JP4759501B2 (ja) 建具
KR101400402B1 (ko) 접이식 프레임을 구비한 투명방음패널
EP2912250B1 (en) Roller shutter box
JP2007056506A (ja) 引込戸
KR101819537B1 (ko) 조립식 방범 창호
KR20170056871A (ko) 강도가 보강된 방화문
JP6647928B2 (ja) 建具
KR200367889Y1 (ko) 도어 프레임의 결로방지장치
JP6675034B2 (ja) 建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