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6471B1 - 미관이 유려한 폴딩도어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미관이 유려한 폴딩도어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6471B1
KR101686471B1 KR1020150168609A KR20150168609A KR101686471B1 KR 101686471 B1 KR101686471 B1 KR 101686471B1 KR 1020150168609 A KR1020150168609 A KR 1020150168609A KR 20150168609 A KR20150168609 A KR 20150168609A KR 101686471 B1 KR101686471 B1 KR 1016864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olding
connection frame
bar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8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갑
Original Assignee
김용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갑 filed Critical 김용갑
Priority to KR10201501686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64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64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64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2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folding wings
    • E05D15/264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folding wings for bi-fold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48Wings connected at their edges, e.g. foldable wings
    • E06B3/481Wings foldable in a zig-zag manner or bi-fold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2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folding wings
    • E05D2015/268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folding wings the wings being successively fold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xtensible Doors And Revolving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도어, 투명유리, 조인트등의 각각의 구성등이 결합되는 폴딩도어 시스템에 있어서, 도어를 열고 닫을 때에, 도어와 도어가 서로 원활하게 접히도록, 도어와 도어를 상호 연결시키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의 결합구조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폴딩도어 시스템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도어의 수직프레임에 부착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결합되는 연결프레임과; 상기 연결프레임에 결합되는 투명유리와; 상기 투명유리에 결합되는 연결프레임과; 상기 연결프레임에 결합되는 폴딩연결바 이루어진 미관이 유려한 폴딩도어 결합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는 구조가 간단하며, 결합구조가 단순하여, 결합시공비가 유리하며, 현장시공이 간단하며, 폴딩도어시스템의 투명유리의 공간을 증가시켜서, 사용자의 육안관찰을 유리하게 되는 미관이 유려한 폴딩도어 결합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Description

미관이 유려한 폴딩도어 결합구조{Joint structure for folding door}
본 발명은 도어, 투명유리, 조인트등의 각각의 구성등이 결합되는 폴딩도어 시스템에 있어서, 도어를 열고 닫을 때에, 도어와 도어가 서로 원활하게 접히도록, 도어와 도어를 상호 연결시키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의 결합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폴딩도어(Folding Door)는 말 그대로 접이문을 말하는 것으로, 건물벽체의 내외벽 대체용으로 사용할 수 있고 기계적 외력에 대응해 내구성이 보장되며 방음, 방풍의 효과가 있어 외부용으로도 적합하다. 또한, 제품에 유리를 적용하여 시야를 확보할 수 있으며 디자인이 우수하여 내부용으로도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폴딩도어는 공간을 가치 있게 활용하고자 기존 문들의 50% 개폐구조를 90% 이상으로 열리게 하여 주거용으로는 넓은 생활공간을 그리고 상가용으로는 고객들의 접근성을 용이하게 하여 주로 고급 레스토랑, 아파트, 주택, 상가 등의 출입구 또는 분합문에 쓰이는 추세이다.
이러한 폴딩도어는 벽체의 출입구 외측에 도어를 완전히 개방할 공간이 없는 곳에서 출입구를 완전히 개방할 수 있도록 설계되는데, 출입구 형태를 따라 문틀프레임을 구성하고, 복수개의 슬라이딩도어가 서로 회동가능하게 힌지에 의해 연결되며 슬라이딩도어 일단이 문틀프레임 일측에 회동되도록 연결된다.
통상적인 미닫이나 여닫이 문의 형태로 일정 공간의 개폐 수단을 구성하는 경우, 문을 형성하는 판재의 이동 경로 및 넓이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적 한계나 문 자체의 구조적 한계로 인하여, 실제로 개폐되는 면적의 크기는 해당 개폐 수단이 설치되는 벽면의 일부분에 한정된다.
이러한 개폐 면적의 극적인 확장을 가져온 개폐 수단으로서, 수개의 판형 도어편의 측면 가장자리가 연속적으로 상호 접이식으로 연결됨으로써, 병풍과 같은 형태로 접히고 펼쳐지는 구조의 폴딩 도어가 주목받고 있다.
폴딩 도어는, 도 1 등에도 도시된 바와 같이 폭이 좁고 상하로 긴 수 개의 판 형 도어(30)이, 양 측면에 인접한 다른 도어(30)들과 힌지 연결 등으로 인해 접힐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완전히 접히게 되는 경우 설치된 전체 면적이 완전히 개방되는 구조를 가진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짐으로써, 예를 들어 폴딩 도어가 커다란 홀 중앙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된 경우, 각각의 도어편을 나란하게 펼침으로써 상기 홀을 완벽하게 두 개의 분리된 공간으로 구분하는 벽면으로서 역할을 수행하게 됨과 동시에, 상기 도어편들이 상호 완전히 겹쳐지도록 접은 경우에는 다시 완벽한 하나의 홀을 이루도록 설치 면적의 대부분을 완전히 개방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하나의 공간을 여러 공간으로 나누거나 다시 통합하는 것을 용이하게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는 물론, 각각의 도어편의 판면을 유리 판재 등 투명 판재로 구성하게 된다면, 폴딩 도어 전면에 걸쳐 채광이 가능한 구조가 되므로, 출입 방향의 벽면 전체를 개방 가능한 구조로 구성함과 동시에 도어를 완전히 폐쇄한 후에도 넓은 면적에 걸쳐 채광이 용이한 형태의 출입 수단을 설치하고자 할 때 폴딩 도어는 기존의 개폐 수단에 비해 극적으로 유리한 이점을 제공한다.
종래의 폴딩도어의 도어와 도어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조인트는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2개의 원형형상의 원형바를 상호 연결한 폴딩연결바(35)을 형성하고, 상기 원형바에 대응되는 연결프레임 1(41)을 각각 양끝단부에 안착시키고, 도어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연결덮개(43)를 각각 덮어서 볼트결합하여, 도어와 도어를 연결시키는 결합구조를 적용하고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종래의 미관이 유려한 폴딩도어 결합구조를 살펴보면, 종래의 미관이 유려한 폴딩도어 결합구조의 구성인 폴딩연결바(35)는 2개의 원형바를 상호 연결시키는 연결편(35b)가 필요함으로, 원형바를 연결시키는 연결편(35b)이 부착되므로, 불필요한 수평길이가 증가되어, 폴딩도어시스템을 형성하는 투명유리의 수평투명공간이 감소되어, 육안관찰공간이 감소하게 되며, 상단부에 장착되는 연결덮개(43)의 구성이 양 끝단부에 각각 2개가 필요로 하여, 부품갯수가 증가하게 되며, 또한, 폴딩연결바(35)의 구성도 2개의 원형바와 1개의 연결편(35b)으로 형성되어, 소재의 체적도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폴딩연결바(35)의 원형바에 대응되는 연결프레임 1(41)이 부착되어, 힌지회전되며, 상기 연결프레임 1(41)에 접촉 부착되는 연결프레임 2(42)가 부가되며, 이에 투명유리가 장착되어, 통상의 폴딩도어시스템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종래의 투명유리를 장착하기 위하여, 종래의 폴딩연결바(35)는 연결프레임 1 및 2(41,42)의 2개의 연결프레임이 필요로 하며, 이로 인하여 투명유리의 수평길이가 감소하게 되어, 육안관찰범위가 감소하게 되며, 부품갯수가 증가하고, 시공단가도 증가되는 문제점도 있는 것이다.
대한민국 특허공보 10-1210591 대한민국 특허공보 10-1456898 대한민국 특허공보 10-155054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폴딩도어 시스템을 형성하는 구성들의 결합구조를 제공하여, 구조가 간단하고, 결합구조가 단순하여, 결합시공비가 유리하며, 현장시공이 간단하며, 상기 폴딩도어시스템을 이루는 결합구조 및 부품갯수를 감소하게 하며, 개개의 구조도 단순하여, 이에 연결되는 투명유리의 공간을 증가시켜서, 사용자의 육안관찰을 유리하게 되는 폴딩도어의 결합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폴딩도어 시스템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도어의 수직프레임에 부착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결합되는 연결프레임과; 상기 연결프레임에 결합되는 투명유리와; 상기 투명유리에 결합되는 연결프레임과; 상기 연결프레임에 결합되는 폴딩연결바 이루어진 미관이 유려한 폴딩도어 결합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며, 결합구조가 단순하여, 결합시공비가 유리하며, 현장시공이 간단하며, 폴딩도어시스템의 투명유리의 공간을 증가시켜서, 사용자의 육안관찰을 유리하게 되는 미관이 유려한 폴딩도어 결합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폴딩도어 시스템을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미관이 유려한 폴딩도어 결합구조를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폴딩도어의 힌지 회전결합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폴딩연결바 및 대응되는 연결덮개를 나타낸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폴딩덮개를 나타낸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연결덮개 내부에 안착된 연결프레임을 나타낸 개략도.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 1(first)", "제 2(second)"와 같은 용어는 설명을 위해 본원 및 첨부 청구항들에 사용되고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의 특징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미관이 유려한 폴딩도어 결합구조를 살펴보면,
폴딩도어 시스템(100)의 결합구조를 이루는 구성에서,
도어(30)의 수직프레임에 일측이 부착되고, 타측은 상기 연결프레임(40)의 원형바(40a)가 대응되어 안착되어서, 연결프레임(40)이 수평위치에서 90°각도로 힌지회전되도록 형성되는 지지대(45)와;
상기 일측의 원형바(40a)가 상기 지지대(45)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지지대(45)에 결합되며, 타측은 투명유리(20)가 장착되는 유리장착부(40b)가 형성되는 연결프레임(40)과;
상기 연결프레임(40)의 유리장착부(40b)에 양측단이 각각 고정부착되는 투명유리(20)와;
상기 투명유리(20)에 결합되며, 일측 또는 타측 중 어느 한측에 원형바(40a)가 형성되는 연결프레임(40)과
상기 연결프레임(40)에 결합되며, 상기 원형바(40a)가 일측과 타측에 각각 안착 대응되도록 공간부(35a)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35a)는 상기 연결프레임(40)이 수평위치에서 양측 방향으로 90°각도로 힌지회전되어 180°각도로 회동되며, 상기 원형바(40a)가 공간부(35a)에 결합됨으로 인해 평면상 타원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폴딩연결바(35)와;
상기 폴딩연결바(35)의 공간부(35a)와; 이에 대응되는 연결프레임(40)의 원형바(40a)가 평면상 타원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힌지 회전결합되도록 안착시키고, 상단 및 하단부에 각각 타원형상의 연결덮개(36)에 의하여 상호 결합시키며,
상기 연결덮개(36)의 양측단에는 각각 고정핀(37)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핀(37)에 회전베어링(38)이 장착되며, 상기 회전베어링(38)에 연결프레임(40)의 원형바(40a)가 부착되어, 상기 폴딩연결바(35)의 공간부(35a)에서 힌지 회전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도어(30)는 상호 90°각도범위내에서 접혀지도록 되어야 하므로, 상기 공간부(35a)는 상기 연결프레임(40)이 수평위치에서 90°각도로 힌지회전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폴딩도어 조인트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수개의 도어(30)가 상호 힌지결합되어, 접어지고, 펼쳐지는 폴딩도어 시스템(100)에서는 상기 도어(30)를 서로 연결시키고, 상호 힌지회전결합되도록 폴딩연결바(35)를 포함하는 조인트 구성이 적용되고 있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미관이 유려한 폴딩도어 결합구조를 살펴보면, 폴딩도어 시스템(100)의 결합구조를 이루는 구성중에서,
일측은 원형바(40a)가 형성되며, 타측은 투명유리(20)가 장착되는 유리장착부(40b)가 형성된 연결프레임(40)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연결프레임(40)을 형성하는 원형바(40a)는 일측과 타측에 각각 안착 대응되도록 공간부(35a)가 형성되는 폴딩연결바(35)에 안착되며, 이로 인해 안착된 원형바와 공간부가 평면상 타원형의 형상으로 결합되고, 상기 폴딩연결바(35)을 기준으로 상기 연결프레임(40)이 펼쳐지며, 접어지면서, 수평위치에서 90°각도의 범위에서 힌지회전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폴딩연결바(35)는 도어 프레임의 수평문틀에서 왕복수평이동되며, 연결프레임(40)은 장착된 유리(20)와 함께 수평위치에서 90°각도의 범위에서 힌지회전되며, 펼쳐지고 접어지면서, 폴딩도어시스템이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폴딩도어 시스템(100)의 결합구조를 이루는 구성중에 있어서,
도어(30)의 수직프레임에 부착되는 지지대(45)와;
상기 지지대(45)에 결합되는 연결프레임(40)과;
상기 연결프레임(40)에 결합되는 투명유리(20)와;
상기 투명유리(20)에 결합되는 연결프레임(40)과
상기 연결프레임(40)에 결합되는 폴딩연결바(35); 이루어진 미관이 유려한 폴딩도어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상기 각각의 구성의 상세한 기술적 특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지지대(45)의 일측은 도어(30)의 수직프레임에 부착되고, 타측은 상기 연결프레임(40)의 원형바(40a)가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연결프레임(40)의 원형바(40a)는 지지대(45)를 기준으로 수평위치에서 90°각도로 힌지회전 되도록 형성되며, 펼쳐지며, 접어지면서, 폴딩도어시스템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연결프레임(40) 일측의 원형바(40a)는 상기 지지대(45)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이며, 타측은 투명유리(20)가 장착되는 유리장착부(40b)가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연결프레임(40)의 유리장착부(40b)에 투명유리(20)가 고정되도록 부착 되며, 일측의 유리장착부(40b)에 상기 투명유리(20)가 고정되며, 타측의 원형바 (40a)는 폴딩연결바(35)에 안착되는 것이다.
상기 폴딩연결바(35)의 일측과 타측에는 각각 공간부(35a)가 마련되어서, 상기 원형바(40a)가 대응되어 안착되도록 형성되는 것이며, 공간부(35a)에 원형바(40a)가 안착되면 평면상 타원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폴딩연결바(35)을 기준으로 상기 연결프레임(40)이 펼쳐지며, 접어지면서, 수평위치에서 평면상 전후양방향 90°각도의 범위에서 힌지회전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폴딩연결바(35)의 공간부(35a)와; 이에 대응되는 연결프레임 (40)을 힌지 회전결합되도록 안착시키고, 상단 및 하단부에 안착부(35a)에 원형바(40a)가 안착되어 형성되는 평면상 타원형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타원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각각 1개의 연결덮개 (36)에 의하여 상호 결합시키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상기 연결덮개(36)의 양측단에는 각각 고정핀(37)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핀(37)에 회전베어링(38)이 장착되며, 상기 회전베어링(38)에 연결프레임(40)의 원형바가 안착되어, 상기 폴딩연결바(35)의 공간부(35a)에서 힌지 회전되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미관이 유려한 폴딩도어 결합구조를 이루는 구성인 폴딩연결바(35)는 일측과 타측의 양 끝단부에 원형바가 형성된 연결프레임(40)이 안착 대응되는 공간부(35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공간부(35a)에는 이에 대응되는 원형형상의 원형바(40a)가 일측에 형성된 연결프레임(40)이 안착되는 되도록 마련되는 것이며, 상기 연결프레임(40)의 타측에는 투명유리가 장착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공간부(35a)는 이에 대응되는 연결프레임(40)이 안착되는 기능과 함께 공간부(35a)을 중심으로 힌지회전되는 기능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다.
해당되는 폴딩도어의 특성상 도어(30)는 상호 90°각도범위내에서 접혀지도록 되어야 하므로, 상기 공간부(35a)는 상기 연결프레임(40)이 수평위치에서 90°각도로 힌지회전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폴딩연결바(35)는 폴딩도어(30)의 수직길이에 대응되는 사이즈로 형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폴딩조인트는 상기 폴딩연결바(35)와 이에 대응되어 연결되는 여결프레임(40)을 상호 결합시키는 연결덮개(36)을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연결덮개(36)는 상기 폴딩연결바(35)의 공간부(35a)와; 이에 대응되는 연결프레임(40)을 힌지 회전결합되도록 안착시키고, 상단 및 하단부에 각각 1개의 연결덮개(36)에 의하여 상호 결합시키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폴딩도어의 폴딩작동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연결덮개(36)의 내부의 양측단에는 각각 고정핀(37)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핀(37)에 회전베어링(38)이 장착되는 것이다.
상기 회전베어링(38)은 고정핀(37)을 회전중심으로 회전운동되는 것이며, 이러한 상기 회전베어링(38)에 연결프레임(40)의 원형바(40a)가 부착되는 것이다.
이로 인하여, 연결프레임(40)은 상기 폴딩연결바(35)의 공간부(35a)에서 원활하게 힌지 회전되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이는 현장에서 폴딩연결바(35)의 공간부(35a)에 이에 대응되는 연결프레임 (40)을 안착시키고, 상기 연결덮개(36)를 상단 및 하단부에 장착시키고, 결합시키는 것으로, 분해 및 결합이 용이한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는 상기 지지대(45)의 일측단에 안착되어 힌지회전되는 연결프레임(40)의 원형바(40a)의 수직길이상의 양측끝단부에도 통상의 회전베어링(38)에 의하여 원활하게 펼쳐지며, 접어지면서, 폴딩작동을 이루는 것임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20: 투명유리 30: 도어
35: 폴딩연결바 35a: 공간부
36: 연결덮개 37: 고정핀
38: 회전베어링
40 : 연결프레임
40a: 원형바 40b: 유리장착부
100: 폴딩도어 시스템

Claims (5)

  1. 폴딩도어 시스템(100)의 결합 구조에 있어서,
    도어(30)의 수직프레임에 일측이 부착되고, 타측은 연결프레임(40)의 원형바(40a)가 대응되어 안착되어서, 연결프레임(40)이 수평위치에서 90°각도로 힌지회전되도록 형성되는 지지대(45)와;
    상기 일측의 원형바(40a)가 상기 지지대(45)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지지대(45)에 결합되며, 타측은 투명유리(20)가 장착되는 유리장착부(40b)가 형성되는 연결프레임(40)과;
    연결프레임(40)의 유리장착부(40b)에 양측단이 각각 고정부착되는 투명유리(20)와;
    상기 투명유리(20)에 결합되며, 일측 또는 타측 중 어느 한측에 원형바(40a)가 형성되는 연결프레임(40)과
    상기 연결프레임(40)에 결합되며, 상기 원형바(40a)가 일측과 타측에 각각 안착 대응되도록 공간부(35a)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35a)는 상기 연결프레임(40)이 수평위치에서 양측 방향으로 90°각도로 힌지회전되어 180°각도로 회동되며, 상기 원형바(40a)가 공간부(35a)에 결합됨으로 인해 평면상 타원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폴딩연결바(35)와;
    상기 폴딩연결바(35)의 공간부(35a)와; 이에 대응되는 연결프레임(40)의 원형바(40a)가 평면상 타원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힌지 회전결합되도록 안착시키고, 상단 및 하단부에 각각 타원형상의 연결덮개(36)에 의하여 상호 결합시키며,
    상기 연결덮개(36)의 양측단에는 각각 고정핀(37)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핀(37)에 회전베어링(38)이 장착되며, 상기 회전베어링(38)에 연결프레임(40)의 원형바(40a)가 부착되어, 상기 폴딩연결바(35)의 공간부(35a)에서 힌지 회전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도어(30)는 상호 90°각도범위내에서 접혀지도록 되어야 하므로, 상기 공간부(35a)는 상기 연결프레임(40)이 수평위치에서 90°각도로 힌지회전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관이 유려한 폴딩도어 결합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50168609A 2015-11-30 2015-11-30 미관이 유려한 폴딩도어 결합구조 KR1016864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8609A KR101686471B1 (ko) 2015-11-30 2015-11-30 미관이 유려한 폴딩도어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8609A KR101686471B1 (ko) 2015-11-30 2015-11-30 미관이 유려한 폴딩도어 결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6471B1 true KR101686471B1 (ko) 2016-12-28

Family

ID=57724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8609A KR101686471B1 (ko) 2015-11-30 2015-11-30 미관이 유려한 폴딩도어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647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3094B1 (ko) * 2017-03-21 2017-12-28 김영원 커튼 월 폴딩 도어 프레임 구조
KR101818914B1 (ko) * 2017-05-11 2018-01-17 임명복 홀딩 도어
KR20180058541A (ko) * 2016-11-24 2018-06-01 우진글로벌 주식회사 조립식 힌지
CN109577806A (zh) * 2019-01-25 2019-04-05 廊坊首跃铝业有限公司 自由式子母折叠门
KR102356367B1 (ko) 2021-05-12 2022-02-08 이기현 모터부 조립 및 교체수리 용이한 모터작동 스윙 폴딩 도어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07633A (ja) * 1999-10-12 2001-04-17 Toso Co Ltd 折れ戸の角度保持機構付ヒンジ
KR20040034779A (ko) * 2002-10-17 2004-04-29 박창수 도어용 피벗힌지 및 피벗힌지용 베어링
KR101210591B1 (ko) 2011-08-25 2012-12-11 권오병 자립 메커니즘을 갖는 로봇
KR20140056592A (ko) * 2012-10-30 2014-05-12 윤충호 틈새가 없는 도어힌지
KR101456898B1 (ko) 2011-08-30 2014-10-31 홍성주 폴딩도어
KR101550547B1 (ko) 2014-07-23 2015-09-07 김기헌 프레임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폴딩도어 프레임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07633A (ja) * 1999-10-12 2001-04-17 Toso Co Ltd 折れ戸の角度保持機構付ヒンジ
KR20040034779A (ko) * 2002-10-17 2004-04-29 박창수 도어용 피벗힌지 및 피벗힌지용 베어링
KR101210591B1 (ko) 2011-08-25 2012-12-11 권오병 자립 메커니즘을 갖는 로봇
KR101456898B1 (ko) 2011-08-30 2014-10-31 홍성주 폴딩도어
KR20140056592A (ko) * 2012-10-30 2014-05-12 윤충호 틈새가 없는 도어힌지
KR101550547B1 (ko) 2014-07-23 2015-09-07 김기헌 프레임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폴딩도어 프레임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8541A (ko) * 2016-11-24 2018-06-01 우진글로벌 주식회사 조립식 힌지
KR102025325B1 (ko) 2016-11-24 2019-09-26 우진글로벌 주식회사 조립식 힌지
KR101813094B1 (ko) * 2017-03-21 2017-12-28 김영원 커튼 월 폴딩 도어 프레임 구조
KR101818914B1 (ko) * 2017-05-11 2018-01-17 임명복 홀딩 도어
CN109577806A (zh) * 2019-01-25 2019-04-05 廊坊首跃铝业有限公司 自由式子母折叠门
KR102356367B1 (ko) 2021-05-12 2022-02-08 이기현 모터부 조립 및 교체수리 용이한 모터작동 스윙 폴딩 도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6471B1 (ko) 미관이 유려한 폴딩도어 결합구조
KR101834971B1 (ko) 외관이 깨끗하며, 안정되고 원활한 폴딩기능을 갖는 폴딩도어 시스템
KR101686470B1 (ko) 폴딩도어용 조인트
KR101992670B1 (ko) 폴딩도어 회전장치
US7584776B2 (en) Portable wall-partition
KR101644233B1 (ko) 공간활용 여닫이문
JP2019082097A (ja) 拡張窓カバー
KR101064541B1 (ko) 폴딩 도어
EA032700B1 (ru) Ворота
KR101841725B1 (ko) 폴딩도어 구조
KR20120084853A (ko) 방충망의 힌지장치
US20170241194A1 (en) Shutter Within a Shutter and Methods for Forming Same
TWI753962B (zh) 用於門或窗的安裝組件以及使用其之門或窗組件
USD682381S1 (en) Combined awning and tent
US20200048900A1 (en) Door for a Partition Wall, and Partition Wall
KR101584861B1 (ko) 여닫이문으로 개폐되는 수납공간이 내장된 방문
KR101836111B1 (ko) 폴딩 도어
KR101484624B1 (ko) 스크린 칸막이용 프레임
KR20240019451A (ko) 도어폭 1대2의 단측 및 장측 도어의 공간활용 양방향 폴딩도어 조인트
TWM543920U (zh) 建築物的大門
NO320660B1 (no) Avskjermingsinnretning til a apne en innsats til en apning i en vegg, spesielt en dor eller et vindu.
KR101986578B1 (ko) 시공 및 조립이 용이한 방충망 도어 모서리 결합구조
GB2417883A (en) Modular showcase
JP7057078B2 (ja) 室内空間の採光構造
KR20080082384A (ko) 폴딩도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