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6103B1 - 풀 예취 장치 - Google Patents

풀 예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6103B1
KR101986103B1 KR1020120153669A KR20120153669A KR101986103B1 KR 101986103 B1 KR101986103 B1 KR 101986103B1 KR 1020120153669 A KR1020120153669 A KR 1020120153669A KR 20120153669 A KR20120153669 A KR 20120153669A KR 101986103 B1 KR101986103 B1 KR 1019861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front guide
blade
grass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36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9254A (ko
Inventor
사토시 마츠기
히로타카 토다
Original Assignee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792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92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61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61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7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with means for discharging mown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64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mounted on a vehicle, e.g. a tractor, or drawn by an animal or a vehicle
    • A01D34/66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mounted on a vehicle, e.g. a tractor, or drawn by an animal or a vehicle with two or more cutt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74Cutting-height adjustmen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81Casings; Housing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과제] 예취 잔여물이 발생하기 어려운 풀 예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해결 수단] 회전하면서 풀을 예취하는 블레이드(21)와, 상기 블레이드(21)의 회전 궤적을 따르도록 형성된 가이드(31)를 구비한 풀 예취 장치로서, 상기 가이드(31)는 상기 블레이드(21)의 회전 궤적의 전방측에 설치함과 아울러 풀 예취 작업의 진행 방향을 따라 작동하는 상기 블레이드(21)의 회전 궤적에 대응하는 부분의 하단 위치의 높이를 상기 블레이드(21)의 선단 위치보다 높게 구성하고, 상기 블레이드(21)가 풀 예취 작업의 진행 방향을 따라 작동한 후 진행 방향에 대해 횡단하도록 작동할 때까지의 상기 블레이드(21)의 회전 궤적에 대응하는 상기 가이드(31)의 하단 위치의 높이를 서서히 낮게 구성한다.

Description

풀 예취 장치{GRASS REAPING APPARATUS}
본 발명은 풀 예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승용형의 풀 예취기로서 주행 차체의 전방부에 리어 디스차지형의 풀 예취 장치를 배치한 풀 예취기가 이용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의 풀 예취 장치에서는 예취날 하우징의 내측에 3개의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 예취날이 설치되어 있고, 그들 회전 예취날의 전방측에는 회전 예취날의 단부의 궤적을 따른 원호 형상의 전방 가이드 판이 설치되어 있다.
이 전방 가이드판은 예취날 하우징의 천판으로부터 예취날 하우징 하향으로 돌출된 상태이며 그 돌출 길이가 회전 예취날의 높이와 동일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특허문헌 1의 풀 예취 장치에서는 지면으로부터의 높이를 기준으로 하면 회전 예취날의 높이가 전방 가이드 판의 하단의 높이와 동일하게 되어 있다.
일본 특허 제4546911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에 도시된 풀 예취 장치에서는 예취 잔여물이 발생할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풀 예취 장치의 과제를 고려하여 예취 잔여물이 발생하기 어려운 풀 예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제 1 본 발명은,
회전하면서 풀을 예취하는 블레이드와,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 궤적을 따르도록 형성된 가이드를 구비한 풀 예취 장치로서,
상기 가이드는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 궤적의 전방측에 설치함과 아울러 풀 예취 작업의 진행 방향을 따라 작동하는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 궤적에 대응하는 부분의 하단 위치의 높이를 상기 블레이드의 선단 위치보다 높게 구성하고,
상기 블레이드가 풀 예취 작업의 진행 방향을 따라 작동한 후 진행 방향에 대해 횡단하도록 작동할 때까지의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 궤적에 대응하는 상기 가이드의 하단 위치의 높이를 서서히 낮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 예취 장치이다.
이에 따라, 풀을 정밀도 좋게 예취할 수 있다.
제 2 본 발명은 상기 진행 방향에 대해 횡단하도록 작동한 후 진행 방향과 반대 방향을 따라 작동하는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 궤적에 대응하는 상기 가이드의 하단 위치의 높이를 동일한 높이 또는 대략 동일한 높이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풀 예취 장치이다.
이에 따라, 진행 방향과 반대 방향을 따라 작동하는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 궤적에 대응하는 근방을 통과하는 풀의 예취 잔여물이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제 3 본 발명은,
상기 블레이드 및 상기 가이드는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여 3세트 이상 설치되고,
좌단의 가이드와 우단 가이드 사이의 가이드는 블레이드가 풀 예취 작업의 진행 방향에 대해 횡단하도록 작동한 후 상기 진행 방향과 반대 방향을 따라 작동하는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 궤적에 대응하는 부분의 하단 위치의 높이를 서서히 높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풀 예취 장치이다.
이에 따라, 블레이드 사이 근방을 통과하는 풀의 예취 잔여물이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따르면, 예취 잔여물이 발생하기 어려운 풀 예취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풀 예취기의 좌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풀 예취기의 평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풀 예취 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풀 예취 장치의 배면도이고, 도 3(c)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풀 예취 장치의 좌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풀 예취 장치의 이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풀 예취 장치를 이면측으로부터 본 부분 생략 사시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풀 예취 장치로부터 벨트 커버를 제거한 상태의 평면도이고, 도 6(b)는 도 5(a)의 좌측면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풀 예취 장치의 프런트 가이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7(b)는 도 7(a)의 배면도이고, 도 7(c)는 도 7(a)의 좌측면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풀 예취 장치의 프런트 가이드와 회전 예취날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8(b)는 도 8(a)의 배면도이고, 도 8(c)는 도 8(a)의 좌측면도이다.
도 9(a)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풀 예취 장치의 제 1 프런트 가이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9(b)는 도 9(a)의 배면도이다.
도 10(a)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풀 예취 장치의 제 2 프런트 가이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10(b)는 도 10(a)의 배면도이다.
도 11(a)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풀 예취 장치의 제 3 프런트 가이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11(b)는 도 11(a)의 배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풀 예취 장치의 제 1 프런트 가이드, 제 2 프런트 가이드 및 제 3 프런트 가이드의 전개도이다.
도 13(a) ∼ 도 13(d)는 프런트 가이드의 각 위치에 있어서의 높이와 회전 예취날의 높이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a), (b)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형태 1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풀 예취 장치의 제 1 프런트 가이드, 제 2 프런트 가이드 및 제 3 프런트 가이드의 전개도이다.
도 15(a)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풀 예취 장치의 내측 리어 롤러의 다른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5(b)는 다른 구성의 내측 리어 롤러를 모어데크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6(a)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풀 예취 장치의 프런트 중앙 롤러의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16(b)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풀 예취 장치의 프런트 중앙 롤러의 다른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16(c)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풀 예취 장치의 프런트 중앙 롤러의 다른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의한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풀 예취 장치의 착탈 가능한 가이드를 설명하기 위한 이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의한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풀 예취 장치의 다른 가이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이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풀 예취 장치의 다른 가이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이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에 의한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풀 예취 장치의 다른 가이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이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에 의한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풀 예취 장치의 다른 가이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이면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에 의한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풀 예취기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실시형태 1)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실시형태 1의 풀 예취기의 측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형태 1의 풀 예취기의 평면 구성도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전방 방향은 풀을 예취할 때의 진행 방향(화살표 A 참조)을 전방 방향으로 하여 도시하고, 좌방향은 풀 예취기에 작업자가 승차하여 진행 방향을 보았을 경우의 왼쪽 방향(화살표 L 참조), 우방향은 풀 예취기에 작업자가 승차하여 진행 방향을 보았을 경우의 오른쪽 방향(화살표 R 참조)을 도시한다. 또한, 상방이 화살표 T로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 1의 풀 예취기는 승용형의 풀 예취기이며 작업자가 승차하는 주행 차체(1)와, 주행 차체(1)의 전방측에 연결된 디스차지형의 풀 예취 장치(2)를 구비하고 있다. 주행 차체(1)는 좌우 한 쌍의 전륜(3)과 좌우 한 쌍의 후륜(4)을 갖고, 주행 차체(1)의 후방부에는 엔진(5)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주행 차체(1)의 전방부에는 스텝 플로어(6)가 설치되어 있고, 스텝 플로어(6)의 상방에는 운전 좌석(7)이 배치되어 있다. 운전 좌석(7)의 전방에는 스티어링 포스트(8)가 설치되어 있고, 스티어링 포스트(8)의 상부에는 핸들(9)이 배치되어 있다.
스티어링 포스트(8)의 하측에는 미션 케이스(10)가 설치되어 있고, 이 미션 케이스(10)에 링크 기구(11)를 통해 풀 예취 장치(2)가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엔진(5)으로부터의 구동력을 미션 케이스(10)로부터 풀 예취 장치(2)로 전달하는 구동력 전달축(12)(도 2 참조)이 설치되어 있다.
이어서, 본 실시형태의 풀 예취 장치(2)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a)는 본 실시형태의 풀 예취 장치(2)의 평면도이며, 도 3(b)는 본 실시형태의 풀 예취 장치(2)의 배면도이며, 도 3(c)는 본 실시형태의 풀 예취 장치(2)의 좌측면도이다.
풀 예취 장치(2)는 제 1 회전 예취날(21), 제 2 회전 예취날(22), 제 3 회전 예취날(23)(자세하게는 후술함)과, 이들 회전 예취날을 수납하는 모어데크(mower deck)(20)와, 모어데크(20)의 상부에 설치된 구동력 전달축(12)으로부터의 구동력을 3개의 회전 예취날로 전달하는 전달 벨트(40)(후술함)와, 전달 벨트(40)을 덮는 벨트 커버(24)를 갖고 있다. 그리고, 모어데크(20)의 전후에는 접지하는 롤러가 설치되어 있다. 자세하게 설명하면 모어데크(20)의 전방측 중앙에는 프런트 중앙 롤러(25)가 설치되어 있고, 모어데크(20)의 전방측 좌우 각각에는 프런트 단부 롤러(26)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모어데크(20)의 후방측의 좌단 및 우단에는 단부 리어 롤러(27)가 설치되어 있고, 그 내측에는 또한 좌우 한 쌍의 내측 리어 롤러(28)가 설치되어 있다. 모어데크(20)의 좌우 각각의 측면에는 모어데크(20)를 보호하기 위한 프로텍터(29)가 설치되어 있다. 이 프로텍터(29)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후 방향으로 배치된 파이프 형상의 부재로서, 그 전방부(29a)가 수평방향 내측으로 만곡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4는 본 실시형태의 풀 예취 장치(2)의 이면도이다. 도 5는 모어데크(20)를 이면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며 프런트 가이드 및 회전 예취날 이외의 구성은 생략되어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풀 예취기의 좌측면측으로부터 횡방향으로 제 1 회전 예취날(21), 제 2 회전 예취날(22) 및 제 3 회전 예취날(23)이 배치되어 있다. 모어데크(20)는 평면으로 봤을 때 오각 형상의 천판(20a)을 갖고 있고, 그 오각 형상은 후방측에 형성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변과, 그 변의 양단으로부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2변과, 그 2변의 각각의 전단으로부터 전방 중앙측으로 연장되어 전단(20f)의 정점을 구성하는 2변으로 형성되어 있다.
모어데크(20)는 3개의 회전 예취날을 덮도록 형성되어 있고, 천판(20a)과, 천판(20a)의 전방측의 2변 중 좌측의 변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된 전방 좌벽부(20b)와, 천판(20a)의 전방측의 2변 중 우측의 변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된 전방 우벽부(20c)와, 천판(20a)의 좌측면측의 변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된 좌벽부(20L)와, 천판(20a)의 우측의 변으로부터 하방을 향해서 돌출되도록 형성된 우벽부(20R)와, 천판(20a)의 후방측의 변으로부터 경사진 후방을 향해서 돌출되도록 형성된 후단부(20E)를 갖고 있다.
그리고, 제 1 회전 예취날(21)의 전방측에는 제 1 회전 예취날(21)의 선단(21e)의 회전 궤적을 따라 천판(20a)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원호 형상의 제 1 프런트 가이드(31)가 형성되어 있고, 제 2 회전 예취날(22)의 전방측에는 제 2 회전 예취날(22)의 선단(22e)의 회전 궤적을 따라 천판(20a)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원호 형상의 제 2 프런트 가이드(32)가 형성되어 있고, 제 3 회전 예취날(23)의 전방측에는 제 3 회전 예취날(23)의 선단(23e)의 회전 궤적을 따라 천판(20a)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원호 형상의 제 3 프런트 가이드(33)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프런트 가이드(31)의 좌측의 둘레 단부를 제 1 프런트 가이드 좌측 둘레 단부(31L)로 하고, 제 1 프런트 가이드(31)의 우측의 둘레 단부를 제 1 프런트 가이드 우측 둘레 단부(31R)로 한다. 또한, 제 2 프런트 가이드(32)의 좌측의 둘레 단부를 제 2 프런트 가이드 좌측 둘레 단부(32L)로 하고 제 2 프런트 가이드(32)의 우측의 둘레 단부를 제 2 프런트 가이드 우측 둘레 단부(32R)로 한다. 또한, 제 3 프런트 가이드(33)의 좌측의 둘레 단부를 제 3 프런트 가이드 좌측 둘레 단부(33L)로 하고, 제 3 프런트 가이드(33)의 우측의 둘레 단부를 제 3 프런트 가이드 우측 둘레 단부(33R)로 한다.
자세하게는 후술하지만, 제 1 프런트 가이드 우측 둘레 단부(31R)와 제 2 프런트 가이드 좌측 둘레 단부(32L)는 인접하고 있고, 제 2 프런트 가이드 우측 둘레 단부(32R)와 제 3 프런트 가이드 좌측 둘레 단부(33L)는 인접하고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프런트 가이드(31)의 좌측 후방측에는 천판(20a)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만곡 가이드(34)가 형성되어 있고, 만곡 가이드(34)의 후단으로부터 좌측 후방측을 향해 천판(20a)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제 1 경사 가이드(3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3 회전 예취날(23)의 우측 후방에는 모어데크(20)의 우벽부(20R)의 내측으로부터 좌측 후방측을 향해 천판(20a)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제 2 경사 가이드(36)가 형성되어 있다. 제 2 프런트 가이드 좌측 둘레 단부(32L)와 제 3 프런트 가이드 우측 둘레 단부(33R)의 인접 부분으로부터 전후 방향으로 제 1 직선 가이드(50)가 천판(20a)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2 프런트 가이드(32)의 최전방부(32a, 후술함)와 우측면측의 둘레 단부 사이로부터 전후 방향으로 제 2 직선 가이드(51)가 천판(20a)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프런트 가이드(31), 만곡 가이드(34) 및 제 1 경사 가이드(35)에 의해 제 1 회전 예취날(21) 근방의 제 1 가이드(10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2 프런트 가이드(32), 제 1 직선 가이드(50) 및 제 2 직선 가이드(51)에 의해 제 2 회전 예취날(22) 근방의 제 2 가이드(10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3 프런트 가이드(33) 및 제 2 경사 가이드(36)에 의해 제 3 회전 예취날(23) 근방의 제 3 가이드(10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4에 있어서 상기 제 1 회전 예취날(21), 제 2 회전 예취날(22) 및 제 3 회전 예취날(23)은 각각 제 1 회전축(21a), 제 2 회전축(22a), 제 3 회전축(23a)을 중심으로 동일 방향(화살표 E 방향)으로 회전한다.
도 6(a)는 본 실시형태의 풀 예취 장치의 평면도이며, 벨트 커버(24)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b)는 도 6(a)의 좌측면도이다. 도 6(a), 도 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회전축(21a), 제 2 회전축(22a), 제 3 회전축(23a)에는 각각 제 1 풀리(37), 제 2 풀리(38), 제 3 풀리(39)가 배치되어 있다. 이들 제 1 풀리(37), 제 2 풀리(38) 및 제 3 풀리(39)에 전달 벨트(40)가 감아 걸어져 있어 구동력 전달축(12)으로부터의 구동력을 3개의 회전 예취날로 전달한다.
이어서, 제 1 프런트 가이드(31), 제 2 프런트 가이드(32) 및 제 3 프런트 가이드(33)의 구성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a)는 본 실시형태의 풀 예취 장치(2)의 평면도이며, 설명을 위해 프런트 가이드만 도시하고 있다. 도 7(b)는 도 7(a)의 배면도이며, 도 7(c)는 도 7(a)의 좌측면도이다. 또한, 도 8(a)는 모어데크 및 회전 예취날을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8(b)은 도 8(a)의 배면도이며, 도 8(c)는 도 8(a)의 좌측면도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프런트 가이드(31), 제 2 프런트 가이드(32) 및 제 3 프런트 가이드(33)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프런트 가이드 좌측 둘레 단부(31L)는 모어데크(20)의 좌벽부(20L)의 내측에 접하고 있다. 제 1 프런트 가이드 우측 둘레 단부(31R)는 제 2 프런트 가이드 좌측 둘레 단부(32L)와 인접하고 있다. 제 2 프런트 가이드 우측 둘레 단부(32R)는 제 3 프런트 가이드 좌측 둘레 단부(33L)와 인접하고 있다. 제 3 프런트 가이드 우측 둘레 단부(33R)는 모어데크(20)의 우벽부(20R)의 내측에 접하고 있다.
도 9(a)은 제 1 프런트 가이드(31)의 평면도이며, 도 9(b)는 제 1 프런트 가이드(31)의 배면도이다. 또한, 도 9(b)의 일점 쇄선은 전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9(a) 및 도 9(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프런트 가이드(31)는 좌측면측으로 연장되는 원호의 길이가 우측면측으로 연장되는 원호의 길이보다도 길게 형성되어 있다. 제 1 프런트 가이드(31)는 그 원호 형상 중에서 가장 전방측에 위치하고 있는 부분인 제 1 프런트 가이드 전방부(31a)로부터 제 1 프런트 가이드 좌측 둘레 단부(31L)까지 천판(20a)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높이가 서서히 낮게 되어 있다. 또한, 제 1 프런트 가이드 전방부(31a)로부터 우측의 둘레 단부로부터의 위치인 제 1 프런트 가이드 제 1 위치(31b)까지는 제 1 프런트 가이드(31)의 천판(20a)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높이가 서서히 완만하게 낮게 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프런트 가이드 제 1 위치(31b)로부터 제 1 프런트 가이드 우측 둘레 단부(31R)까지 천판(20a)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높이가 급격히 낮게 되어 있다.
도 10(a)는 제 2 프런트 가이드(32)의 평면도이며, 도 10(b)는 제 2 프런트 가이드(32)의 배면도이다. 또한, 도 10(b)의 일점 쇄선은 전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프런트 가이드는 좌측면측 및 우측면측으로 연장되는 원호의 길이가 동등하게 형성되어 있다. 제 2 프런트 가이드(32)는 그 원호 형상 중에서 가장 전방측에 위치하고 있는 부분인 제 2 프런트 가이드 전방부(32a)으로부터 좌측의 둘레 단부로부터의 위치인 제 2 프런트 가이드 제 1 위치(32b)까지는 제 2 프런트 가이드(32)의 천판(20a)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높이가 서서히 완만하게 낮게 되어 있다. 그리고, 제 2 프런트 가이드 제 1 위치(32b)로부터 제 2 프런트 가이드 좌측 둘레 단부(32L)까지 천판(20a)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높이가 급격히 낮게 되어 있다. 또한, 제 2 프런트 가이드(32)는 제 2 프런트 가이드 전방부(32a)으로부터 우측의 둘레 단부로부터의 위치인 제 2 프런트 가이드 제 2 위치(32c)까지는 제 2 프런트 가이드(32)의 천판(20a)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높이가 서서히 낮게 되어 있다. 그리고, 제 2 프런트 가이드 제 2 위치(32c)로부터 제 2 프런트 가이드 우측 둘레 단부(32R)까지 천판(20a)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높이가 급격히 낮게 되어 있다.
도 11(a)은 제 3 프런트 가이드(33)의 평면도이며, 도 11(b)은 제 3 프런트 가이드(33)의 배면도이다. 또한, 도 11(b)의 일점 쇄선은 전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3 프런트 가이드(33)는 원호 형상이며, 우측면측으로 연장되는 원호의 길이가 좌측면측으로 연장되는 원호의 길이보다도 길게 형성되어 있다. 제 3 프런트 가이드(33)는 그 원호 형상 중에서 가장 전방측에 위치하고 있는 부분인 제 3 프런트 가이드 전방부(33a)으로부터 제 3 프런트 가이드 제 1 위치(33b)까지는 제 3 프런트 가이드(33)의 천판(20a)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높이가 서서히 완만하게 낮게 되어 있다. 그리고, 제 3 프런트 가이드 제 1 위치(33b)로부터 제 3 프런트 가이드 좌측 둘레 단부(33L)까지 천판(20a)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높이가 급격히 낮게 되어 있다. 또한, 제 3 프런트 가이드(33)는 제 3 프런트 가이드 전방부(33a)로부터 제 3 프런트 가이드 우측 둘레 단부(33R)까지 천판(20a)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높이가 동일하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엄밀하게 동일한 높이일 필요는 없고 한쪽이 다른쪽보다 약간 높거나 또는 낮아도 좋다.
도 12는 제 1 프런트 가이드(31), 제 2 프런트 가이드(32) 및 제 3 프런트 가이드(33)를 연결한 상태의 전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프런트 가이드 전방부(31a), 제 2 프런트 가이드 전방부(32a) 및 제 3 프런트 가이드 전방부(33a)의 천판(20a)으로부터의 돌출된 높이(돌출 높이라고도 함)는 동일하다. 또한, 제 1 프런트 가이드 우측 둘레 단부(31R), 제 2 프런트 가이드 좌측 둘레 단부(32L), 제 2 프런트 가이드 우측 둘레 단부(32R) 및 제 3 프런트 가이드 좌측 둘레 단부(33L)는 천판(20a)으로부터 돌출된 높이가 동일하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프런트 가이드 좌측 둘레 단부(31L)의 돌출 높이는 제 1 프런트 가이드 전방부(31a)의 돌출 높이보다도 약 20cm 낮아지도록[즉 천판(20a)측에 가까워지도록] 형성되어 있다(도 12의 h1 참조). 또한, 제 1 프런트 가이드 우측 둘레 단부(31R), 제 2 프런트 가이드 좌측 둘레 단부(32L), 제 2 프런트 가이드 우측 둘레 단부(32R) 및 제 3 프런트 가이드 좌측 둘레 단부(33L)의 돌출 높이는 제 1 프런트 가이드 전방부(31a), 제 2 프런트 가이드 전방부(32a) 및 제 3 프런트 가이드 전방부(33a)의 천판(20a)으로부터의 돌출 높이보다도 약 60cm 낮게 되어 있다(도 12의 h2 참조).
또한, 도 8(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회전 예취날(21), 제 2 회전 예취날(22) 및 제 3 회전 예취날(23)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어 있고, 제 1 직선 가이드(50) 및 제 2 직선 가이드(51)는 천판(20a)으로부터의 돌출 높이가 제 1 회전 예취날(21), 제 2 회전 예취날(22) 및 제 3 회전 예취날(23)의 높이보다도 낮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13(a)∼도 13(d)는 프런트 가이드의 각 위치에 있어서의 높이와 회전 예취날의 높이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a)에는 제 1 프런트 가이드 전방부(31a)의 하단의 위치와 제 1 회전 예취날(21)의 위치의 관계만을 나타내고 있지만 제 1 프런트 가이드 전방부(31a), 제 2 프런트 가이드 전방부(32a) 및 제 3 프런트 가이드 전방부(33a)의 하단의 위치는 제 1 회전 예취날(21), 제 2 회전 예취날(22) 및 제 3 회전 예취날(23)의 위치와 실질상 일치하고 있다.
즉, 지면으로부터의 제 1 회전 예취날(21), 제 2 회전 예취날(22) 및 제 3 회전 예취날(23)의 높이와, 제 1 프런트 가이드 전방부(31a), 제 2 프런트 가이드 전방부(32a), 제 3 프런트 가이드 전방부(33a)의 하단의 위치의 높이는 실질상 동일한 높이로 되어 있다.
그로 인해, 제 1 프런트 가이드(31)의 좌측의 둘레 단부 및 우측의 둘레 단부, 제 2 프런트 가이드(32)의 좌측의 둘레 단부 및 우측의 둘레 단부 및 제 3 프런트 가이드(33)의 좌측의 둘레 단부의 위치, 즉 도 8 중 제 1 위치(41), 제 2 위치(42) 및 제 3 위치(43)에 있어서 프런트 가이드의 돌출 높이는 제 1 회전 예취날(21), 제 2 회전 예취날(22) 및 제 3 회전 예취날(23)보다도 낮게 되어 있다. 도 13(b)에는 제 1 프런트 가이드 좌측 둘레 단부(31L)의 하단[제 1 위치(41)]의 높이와 제 1 회전 예취날(21)의 높이의 위치 관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3(c)에는 제 1 프런트 가이드 우측 둘레 단부(31R) 및 제 2 프런트 가이드 좌측 둘레 단부(32L)의 하단[제 2 위치(42)]의 높이와 제 1 회전 예취날(21)의 높이의 위치 관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3(d)에는 제 2 프런트 가이드 우측 둘레 단부(32R) 및 제 3 프런트 가이드 좌측 둘레 단부(33L)의 하단[제 3 위치(43)]의 높이와 제 2 회전 예취날(22)의 높이의 위치 관계가 도시되어 있다.
즉, 제 1 위치(41)에서는 프런트 가이드의 하단의 위치는 지면으로부터 봤을 때 제 1 회전 예취날(21) 및 제 2 회전 예취날(22)의 위치보다도 h1 높게 되어 있다. 또한, 제 2 위치(42) 및 제 3 위치(43)에 있어서 프런트 가이드의 하단의 위치는 지면으로부터 봤을 때 제 1 회전 예취날(21), 제 2 회전 예취날(22) 및 제 3 회전 예취날(23)의 위치보다도 h2 높게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블레이드의 일례는 본 실시형태의 제 1 회전 예취날(21), 제 2 회전 예취날(22) 및 제 3 회전 예취날(23)에 대응한다. 또한, 본 발명의 가이드의 일례는 본 실시형태의 제 1 가이드(101), 제 2 가이드(102) 및 제 3 가이드(103)에 대응하고, 본 발명의 전방부의 일례는 본 실시형태의 제 1 프런트 가이드(31), 제 2 프런트 가이드(32) 및 제 3 프런트 가이드(33)에 대응한다. 또한, 본 발명의 「블레이드의 선단이 풀 예취 장치의 진행 방향을 향하는 위치에 대응하는 가이드 부위」의 일례는 본 실시형태의 제 1 프런트 가이드 좌측 둘레 단부(31L), 제 2 프런트 가이드 좌측 둘레 단부(32L), 제 3 프런트 가이드 좌측 둘레 단부(33L)에 대응하고, 본 발명의 「상기 블레이드의 선단이 상기 진행 방향에 대해 횡단하도록 움직이는 위치에 대응하는 가이드 부위」의 일례는 본 실시형태의 제 1 프런트 가이드 전방부(31a), 제 2 프런트 가이드 전방부(32a) 및 제 3 프런트 가이드 전방부(33a)에 대응한다. 또한, 본 발명의 「블레이드의 선단이 진행 방향으로부터 멀어지는 위치에 대응하는 가이드 부위」의 일례는 본 실시형태의 제 3 프런트 가이드 우측 둘레 단부(33R), 제 2 프런트 가이드 우측 둘레 단부(32R), 제 1 프런트 가이드 우측 둘레 단부(31R)에 대응한다. 본 발명의 「양단에 위치하는 가이드 중 블레이드의 선단이 진행 방향으로부터 멀어지는 위치에 대응하는 가이드 부위의 인접에 가이드가 존재하지 않는 한쪽의 가이드」의 일례는 제 3 가이드(103)에 대응한다. 본 발명의 「양단에 위치하는 가이드 중 다른 쪽의 가이드」의 일례는 본 실시형태의 제 1 가이드(101)에 대응하고, 본 발명의 「양단에 위치하는 가이드에 개재된 다른 가이드」의 일례는 제 2 가이드(102)에 대응한다.
본 실시형태의 풀 예취기에서는 제 1 회전 예취날(21), 제 2 회전 예취날(22) 및 제 3 회전 예취날(23)을 회전시키면서 주행 차체(1)를 전진시킴으로써 풀 또는 잔디를 예취할 수 있다.
종래의 풀 예취기에서는 지면으로부터의 프런트 가이드의 모든 하단의 높이는 지면으로부터의 회전 예취날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되어 있었기 때문에 제 1 위치(41), 제 2 위치(42) 및 제 3 위치(43)에서 풀 또는 잔디의 예취 잔여물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었다. 한편, 제 3 프런트 가이드 우측 둘레 단부(33R)에서는 예취 잔여물이 생기지 않았다.
여기에서, 제 1 위치(41)에서 예취 잔여물이 발생하는 이유로서는 제 1 위치(41)에서는 제 3 프런트 가이드 우측 둘레 단부(33R)와 달리 제 1 회전 예취날(21)의 선단이 후방측으로부터 근접해 오기 때문에 프런트 가이드에서 전방으로 넘어진 풀을 예취하기 어렵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제 2 위치(42) 및 제 3 위치(43)에서는 전방측으로부터 접근해 오는 회전 예취날과 후방측으로부터 접근해 오는 회전 예취날의 빈틈 부분이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위치(41), 제 2 위치(42) 및 제 3 위치(43)에 있어서의 프런트 가이드의 하단의 위치를 제 1 회전 예취날(21), 제 2 회전 예취날(22) 및 제 3 회전 예취날(23)의 위치보다도 지면으로부터 높게 함으로써 풀 예취기를 전진시켜 풀 예취 동작을 행할 때에 풀 또는 잔디의 예취 잔여물을 될 수 있는 한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프로텍터(29)의 전방부(29a)가 수평 방향 내측으로 만곡하도록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프로텍터와 모어데크 사이에 풀이 개재될 일이 없어 예취 후에 개재된 풀을 낙하시키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프로텍터의 전방부를 수평 방향 내측으로 만곡하도록 형성하고 있지 않을 경우 프로텍터와 모어데크 사이에 풀을 개재된 상태로 전진하여 풀이 잡아 뜯겨져 예취 흔적이 나쁘게 되는 경우가 있지만 이를 막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모어데크(20)의 양측면 전방 단부가 가장 장해물에 충돌하기 쉬운 부분이지만 여기가 프로텍터(29)에 의해 덮어져 있기 때문에 모어데크(20)를 보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면, 프로텍터(29)가 장해물에 충돌해서 만곡었더라도 모어데크(20) 본체로의 직접적인 충격이 적어 데미지를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잔디 예취 등, 풀을 개재할 일이 없을 경우에는 프로텍터(29)의 전방부를 수평 방향 내측이 아니라 상방으로 만곡해도 좋고 만곡되어 있는 전방부를 설치하지 않아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프런트 가이드(31)에 돌출 높이의 변화가 완만한 변화로부터 급격한 변화로 변하는 제 1 프런트 가이드 제 1 위치(31b)가 형성되어 있지만, 제 1 프런트 가이드 제 1 위치(31b)가 형성되어 있지 않고 제 1 프런트 가이드 전방부(31a)로부터 제 1 프런트 가이드 우측 둘레 단부(31R)까지 천판(20a)으로부터의 돌출 높이가 서서히 완만하게 낮아지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제 2 프런트 가이드(32) 및 제 3 프런트 가이드(33)도 동일하게 돌출 높이의 변화가 완만한 변화로부터 급격한 변화로 변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은 구성의 프런트 가이드의 전개도가 도 14(a)에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돌출 높이의 변화가 완만한 변화로부터 급격한 변화로 변하는 위치로 설정되어 있지 않고, 제 1 프런트 가이드 우측 둘레 단부(31R), 제 2 프런트 가이드 좌측 둘레 단부(32L), 제 2 프런트 가이드 우측 둘레 단부(32R) 및 제 3 프런트 가이드 좌측 둘레 단부(33L)의 돌출 높이가 제 1 프런트 가이드 전방부(31a), 제 2 프런트 가이드 전방부(32a) 및 제 3 프런트 가이드 전방부(33a)의 천판(20a)으로부터의 돌출 높이보다도 약 20cm 낮게[제 1 프런트 가이드 좌측 둘레 단부(31L)와 동일한 높이] 되어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은 구성의 프런트 가이드의 전개도가 도 14(b)에 도시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3개의 회전 예취날이 설치되어 있지만 1개의 회전 예취날이 설치되어 있는 풀 예취 장치라도 좋다. 이 경우, 회전 예취날의 단부가 후방측으로부터 근접해 오는 측의 프런트 가이드의 둘레 단부의 천판으로부터의 돌출 높이를 회전 예취날의 높이보다도 낮게 하면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모어데크(20) 내에 배치되어 있는 내측 리어 롤러(28)는 전방측(45a)이 천판(20a)으로부터 세워 설치되도록 배치된 브래킷(45)(도 4 참조)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지만, 도 15(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경사 형상 브래킷(46)에 내측 리어 롤러(28)가 장착되어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은 경사 형상 브래킷(46)을 도 1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경사면(46a)이 하측(도 1의 상태에서는 지면측)을 향하도록 배치함으로써 경사 형상 브래킷(46)의 경사면(46a)에서 풀이 매끄럽게 움직여 브래킷에 풀이 걸리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6(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방 좌벽부(20b)와 전방 우벽부(20c)에 의해 형성되는 전단(20f)의 전방측에 프런트 중앙 롤러(25)가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도 1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도 16(b)에서는 전방 좌벽부(20b)와 전방 우벽부(20c) 사이에 좌우로 연장된 전방 벽부(20d)가 또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전방 벽부(20d)와 병행하게 프런트 중앙 롤러(25)가 배치되어 있다.
도 16(a)의 구성에서는 전단(20f)에 코너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잔디를 상처를 입히거나 박리하거나 할 경우가 있지만 도 16(b)와 같이 선단의 코너가 형성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잔디를 상처를 입히거나 박리하거나 하는 것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16(b)의 구성의 쪽이 프런트 중앙 롤러(25)를 보다 모어데크(20)에 접근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전장을 짧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프런트 중앙 롤러(25)는 도 16(b)의 롤러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도 16(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2개의 분리된 롤러 부분(25a)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도 17은 본 실시형태의 모어데크를 이면측으로부터 본 도면이며, 가이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풀 예취 장치에는 제 1 프런트 가이드(31), 제 2 프런트 가이드(32), 제 3 프런트 가이드(33), 만곡 가이드(34), 제 1 경사 가이드(35), 제 2 경사 가이드(36), 제 1 직선 가이드(50) 및 제 2 직선 가이드(51)가 설치되어 있지만 만곡 가이드(34), 제 1 경사 가이드(35), 제 2 경사 가이드(36), 제 1 직선 가이드(50) 및 제 2 직선 가이드(51)가 착탈 가능하며 다른 형상의 가이드를 장착해도 좋다. 또한, 도 17에서는 착탈 가능한 가이드가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하의 도 18∼도 20에서도 동일하다.
예를 들면, 도 18에서는 만곡 가이드(34), 제 1 경사 가이드(35) 및 제 2 경사 가이드(36) 대신에 좌측 후방부 가이드(52) 및 우측 후방부 가이드(53)가 장착되어 있다. 좌측 후방부 가이드(52)는 모어데크(20)의 좌벽부(20L)의 내측으로부터 모어데크(20)의 후단부(20E)까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우측 후방부 가이드(53)는 모어데크(20)의 우벽부(20R)의 내측으로부터 모어데크(20)의 후단부(20E)까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 18에 도시하는 제 1 직선 가이드(50), 제 2 직선 가이드(51), 좌측 후방부 가이드(52) 및 우측 후방부 가이드(53) 대신에, 제 3 경사 가이드(54), 제 4 경사 가이드(55), 제 5 경사 가이드(56), 제 6 경사 가이드(57), 제 7 경사 가이드(58), 제 8 경사 가이드(59), 제 9 경사 가이드(60), 제 10 경사 가이드(61)가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제 3 경사 가이드(54)는 제 1 회전 예취날(21)의 후방측이며 모어데크(20)의 좌벽부(20L)의 내측으로부터 우측 후방을 향해서 배치되고, 제 3 경사 가이드(54)의 후단으로부터 제 4 경사 가이드(55)가 모어데크(20)의 후단부(20E)까지 우측 후방을 향해서 배치되어 있다. 제 5 경사 가이드(56)는 제 3 회전 예취날(23)의 후방측이며 모어데크(20)의 우벽부(20R)의 내측으로부터 좌측 후방을 향해서 배치되고, 제 5 경사 가이드(56)의 후단으로부터 제 6 경사 가이드(57)가 모어데크(20)의 후단부(20E)까지 좌측 후방을 향해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 2 프런트 가이드 좌측 둘레 단부(32L)로부터 우측 후방을 향해서 제 7 경사 가이드(58)가 배치되어 있고, 제 7 경사 가이드(58)의 후방에 간격을 두어 제 8 경사 가이드(59)가 우측 후방을 향해서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 2 프런트 가이드 우측 둘레 단부(32R)로부터 좌측 후방을 향해서 제 9 경사 가이드(60)가 배치되어 있고, 제 9 경사 가이드(60)의 후방에 간격을 두어 제 10 경사 가이드(61)가 좌측 후방을 향해서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19에서는 제 8 경사 가이드(59)와 제 10 경사 가이드(61)가 간섭하기 때문에 좌우 한 쌍의 내측 리어 롤러(28)의 대신에 중앙에 1개의 내측 리어 롤러(28)가 배치되어 있다. 이 내측 리어 롤러(28)도 도 18의 위치와 도 19의 위치 사이에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가이드를 착탈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풀의 상태에 따라 최적의 가이드 형상으로 작업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회전 예취날(21)을 둘러싸도록 제 1 프런트 가이드(31)의 후방측에 원호 형상의 제 1 리어 가이드(62)를 배치하고, 제 2 회전 예취날(22)을 둘러싸도록 제 2 프런트 가이드(32)의 후방측에 원호 형상의 제 2 리어 가이드(63)를 배치하고, 제 3 회전 예취날(23)을 둘러싸도록 제 3 프런트 가이드(33)의 후방측에 원호 형상의 제 3 리어 가이드(64)를 배치해도 좋다. 이와 같이 가이드를 배치함으로써 멀칭(mulching) 작업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21은 도 4의 변형예이다. 도 21과 도 4는 제 1 직선 가이드(50)에 상당하는 전방 만곡 후방 직선 가이드(65)의 형상이 다른 이외는 대체로 동일하므로 부호는 부분적으로 생략되어 있다. 도 21에 있어서의 도 4의 제 1 직선 가이드(50)에 상당하는 전방 만곡 후방 직선 가이드(65)의 전단은 제 1 프런트 가이드(31)의 후면에 장착되어 전방부를 원호 형상으로 형성하고 도중부로부터 후방을 향해서 직선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의 풀 예취 장치에 따르면, 예취 잔여물이 발생하기 어렵다는 효과를 발휘하고 승용의 풀 예취기에 장착되어 있는 풀 예취 장치 등으로서 유용하다.
1: 주행 차체 2: 풀 예취 장치
3: 전륜 4: 후륜
5: 엔진 6: 스텝 플로어
7: 운전 좌석 8: 스티어링 포스트
9: 핸들 10: 미션 케이스
11: 링크 기구 12: 구동력 전달 기구
20: 모어데크 21: 제 1 회전 예취날
22: 제 2 회전 예취날 23: 제 3 회전 예취날
24: 벨트 커버 25: 프런트 중앙 롤러
26: 프런트 단부 롤러 27: 단부 리어 롤러
28: 내측 리어 롤러 29: 프로텍터
31: 제 1 프런트 가이드 32: 제 2 프런트 가이드
33: 제 3 프런트 가이드 34: 만곡 가이드
35: 제 1 경사 가이드 36: 제 2 경사 가이드
37, 38, 39: 풀리 50: 제 1 직선 가이드
51: 제 2 직선 가이드

Claims (3)

  1. 회전하면서 풀을 예취하는 블레이드와,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 궤적의 전방측을 따르도록 형성된 프런트 가이드를 구비한 풀 예취 장치로서:
    상기 프런트 가이드는 풀 예취 작업의 진행 방향을 따라 작동하는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 궤적에 대응하는 부분의 하단 위치의 높이를 상기 블레이드의 선단 위치 보다 높게 구성하고,
    상기 블레이드의 선단이 상기 풀 예취 작업의 진행 방향을 향해 작동하는 범위에 대응하는 프런트 가이드의 부위의 하단 위치의 높이를 서서히 낮게 구성하고,
    상기 블레이드의 선단이 상기 풀 예취 작업의 진행 방향과 반대를 향해 작동하는 범위에 대응하는 프런트 가이드의 부위의 하단 위치의 높이를 동일한 높이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 예취 장치.
  2. 회전하면서 풀을 예취하는 블레이드와,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 궤적의 전방측을 따르도록 형성된 프런트 가이드를 구비한 풀 예취 장치로서:
    상기 프런트 가이드는 풀 예취 작업의 진행 방향을 따라 작동하는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 궤적에 대응하는 부분의 하단 위치의 높이를 상기 블레이드의 선단 위치 보다 높게 구성하고,
    상기 블레이드의 선단이 상기 풀 예취 작업의 진행 방향을 향해 작동하는 범위에 대응하는 프런트 가이드의 부위의 하단 위치의 높이를 서서히 낮게 구성하고,
    상기 블레이드의 선단이 상기 풀 예취 작업의 진행 방향과 반대를 향해 작동하는 범위에 대응하는 프런트 가이드의 부위의 하단 위치의 높이를 서서히 높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 예취 장치.
  3. 삭제
KR1020120153669A 2011-12-26 2012-12-26 풀 예취 장치 KR1019861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283062A JP5672230B2 (ja) 2011-12-26 2011-12-26 草刈装置
JPJP-P-2011-283062 2011-12-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9254A KR20130079254A (ko) 2013-07-10
KR101986103B1 true KR101986103B1 (ko) 2019-06-05

Family

ID=47631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3669A KR101986103B1 (ko) 2011-12-26 2012-12-26 풀 예취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2609804B1 (ko)
JP (1) JP5672230B2 (ko)
KR (1) KR101986103B1 (ko)
AU (1) AU2012271912B9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207459A1 (de) * 2012-05-04 2013-11-07 Deere & Company Mähgerät
KR101689855B1 (ko) * 2014-10-14 2016-12-26 명성테크 주식회사 다목적 제초장치
US20200281117A1 (en) * 2017-09-08 2020-09-10 Briggs & Stratton Corporation Multi-configurable mower deck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51924A (ja) 2000-03-15 2001-09-18 Iseki & Co Ltd ブレードモーアのモーアデッキ
JP2003235321A (ja) 2002-02-20 2003-08-26 Iseki & Co Ltd 草刈機の草除去装置
JP2004350629A (ja) 2003-05-30 2004-12-16 Kubota Corp モーア
US20080072561A1 (en) 2006-09-21 2008-03-27 Kubota Corporation Mower with baffl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26A (en) * 1852-06-15 Improvement in imitation stone
US4502271A (en) * 1983-01-28 1985-03-05 Outboard Marine Corporation Rear discharge multi-blade rotary mower
JPH01140221U (ko) * 1988-03-22 1989-09-26
JP3799848B2 (ja) * 1998-12-22 2006-07-19 井関農機株式会社 マルチングモア
JP4546911B2 (ja) * 2005-09-29 2010-09-22 株式会社クボタ リヤディスチャージ形草刈り装置
US7735306B2 (en) * 2005-09-29 2010-06-15 Kubota Corporation Rear discharge type mower apparatus
JP4537959B2 (ja) * 2006-01-12 2010-09-08 株式会社クボタ 草刈機
US7448194B2 (en) * 2006-08-29 2008-11-11 Kubota Corporation Mower deck with ventilation hole
US20090266043A1 (en) * 2007-08-01 2009-10-29 Shivvers Group Incorporated New mower deck enhancemen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51924A (ja) 2000-03-15 2001-09-18 Iseki & Co Ltd ブレードモーアのモーアデッキ
JP2003235321A (ja) 2002-02-20 2003-08-26 Iseki & Co Ltd 草刈機の草除去装置
JP2004350629A (ja) 2003-05-30 2004-12-16 Kubota Corp モーア
US20080072561A1 (en) 2006-09-21 2008-03-27 Kubota Corporation Mower with baff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2271912B2 (en) 2014-05-22
KR20130079254A (ko) 2013-07-10
AU2012271912A9 (en) 2014-07-03
JP5672230B2 (ja) 2015-02-18
JP2013132222A (ja) 2013-07-08
AU2012271912A1 (en) 2013-07-18
EP2609804A1 (en) 2013-07-03
AU2012271912B9 (en) 2014-07-03
EP2609804B1 (en) 2016-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6103B1 (ko) 풀 예취 장치
JP2016208950A (ja) ガード機構及び芝刈機
JP5530780B2 (ja) 歩行型芝刈機
US20220312681A1 (en) Gardening trimmer
JP2015052202A (ja) 歩行型作業機
JP2013132222A5 (ko)
JP6612121B2 (ja) 歩行型草刈機および草刈方法
JP6221898B2 (ja) 乗用草刈機
WO2020211374A1 (zh) 一种割草机器人
JP4546911B2 (ja) リヤディスチャージ形草刈り装置
KR200475786Y1 (ko) 예취기 날
JP4860450B2 (ja) 弾性履帯用芯金および弾性履帯
JP2019146508A (ja) 自走式作業機
CN209914490U (zh) 一种割草机器人
EP3061336B1 (en) Riding type mowing machine
JP5483519B2 (ja) 草刈り用作業機械
EP3812191B1 (en) Work machine
JP2017143772A (ja) 草刈り機用回転刃
JP5091703B2 (ja) 草刈機
JP7250335B2 (ja) 自走式作業機
JP2001218513A (ja) 草刈機及び草刈方法
JP7226705B2 (ja) 作業機
JP3751886B2 (ja) 乗用型芝刈り機
JP5057765B2 (ja) 草刈機においてカッターの回転による物の飛散を防止する方法及び草刈機
JP5913832B2 (ja) 電動乗用草刈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