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6045B1 - 자동 개폐기능을 갖는 포장팩용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개폐기능을 갖는 포장팩용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6045B1
KR101986045B1 KR1020180032951A KR20180032951A KR101986045B1 KR 101986045 B1 KR101986045 B1 KR 101986045B1 KR 1020180032951 A KR1020180032951 A KR 1020180032951A KR 20180032951 A KR20180032951 A KR 20180032951A KR 101986045 B1 KR101986045 B1 KR 1019860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opening
cover plate
fixed frame
clos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29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현
Original Assignee
이승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현 filed Critical 이승현
Priority to KR10201800329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60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60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60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 B65D47/08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integrally formed with the base element provided with the spout or discharge passage
    • B65D47/082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integrally formed with the base element provided with the spout or discharge passage and elastically biased towards the open position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B65D43/162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the container, the lid and the hinge being made of one pie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22Devices for holding in closed position, e.g. cl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개폐기능을 갖는 포장팩 용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탄성구조를 구비시켜 덮개판을 여는 과정에서 덮개판이 탄성구조의 탄성력에 의해 자동으로 젖혀져 회동하도록 함에 따라 사용 편의성을 높이도록 하되,
탄성구조를 적용함에 있어서 덮개판의 구조를 개선하여 덮개판 자체적으로 탄성력 발휘 가능 구조를 구현함에 따라, 기존에 비해 제작이 쉽고 제작단가가 상승되지 않아 제품의 대중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기술이다.
그리고 덮개판의 구조개선을 통한 탄성력 발생과 더불어 덮개판의 탄성력발생효율을 더욱 높이기 위한 구조가 추가적으로 구비되도록 한 기술이다.
또한 덮개판을 통한 직접적인 탄성력 발휘구조를 구현함에 있어서, 반복사용에 의한 덮개판의 탄성력 저하 현상을 최소화 하여 제품의 수명을 최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 기술이다.

Description

자동 개폐기능을 갖는 포장팩용 개폐장치{Switching device for packaging pack having automatic opening / closing function}
본 발명은 내부에 물티슈 등의 내용물이 수용된 포장팩에 부착되어 포장팩의 인출구를 개폐하는 용도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탄성구조를 적용하여 개폐장치의 덮개판이 탄성력에 의해 자동으로 젖혀져 열릴 수 있도록 하되 탄성작용 구조를 최대한 단순화하면서도 충분한 탄성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함에 따라, 개폐장치 전체가 동시에 함께 사출성형이 가능하고 제작단가도 낮출 수 있도록 하여 제품의 대중성을 최대화 할 수 있는 기술이다.
최근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물티슈 패키지는 수분이 함유된 티슈들이 파우치 형태의 포장팩 내부에 적층 위치되고 포장팩 상부면에 형성된 인출구를 통해 외부로 한장씩 인출되어 사용되는 형태이다.
이때 포장팩 표면 중 인출구 상에는 인출구의 개폐를 위한 별도의 개폐장치가 부착 설치되는데, 개폐장치는 상하부가 개방된 링 형태의 고정틀이 포장팩 표면 중 인출구 주변을 둘러싸는 형태로 부착고정되고 고정틀의 일측테두리에는 덮개판이 연결되어 연결지점을 중심으로 상하 회동하면서 고정틀의 상부를 덮거나 열어 개폐하는 형태이다.
이러한 개폐장치는 최근들어 다양한 편의 기능이 부가되는 형태로 개선되어 제안되고 있는데, 그 중 일 예로 탄성구조를 적용하여 덮개판이 탄성력에 의해 자동으로 젖혀져 열려지도록 한 구조가 제안되어 있다.
해당 종래기술들은 탄성력 발휘를 위해 별도의 탄성구조물을 조립 설치되는 등 별개의 형태로 구비되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이 경우 탄성부의 구현으로 인해 불가피하게 개폐장치 전체 제작이 복잡 및 어려워지고 제작비용이 증가되는 등의 여러 문제점이 수반될 수밖에 없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탄성구조를 구비시켜 덮개판을 여는 과정에서 덮개판이 탄성구조의 탄성력에 의해 자동으로 젖혀져 회동하도록 함에 따라 사용 편의성을 높이도록 하되,
탄성구조를 적용함에 있어서 덮개판의 구조를 개선하여 덮개판 자체적으로 탄성력 발휘 가능 구조를 구현함에 따라, 기존에 비해 제작이 쉽고 제작단가가 상승되지 않아 제품의 대중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덮개판의 구조개선을 통한 탄성력 발생과 더불어 덮개판의 탄성력발생효율을 더욱 높이기 위한 구조가 추가적으로 구비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덮개판을 통한 직접적인 탄성력 발휘구조를 구현함에 있어서, 반복사용에 의한 덮개판의 탄성력 저하 현상을 최소화 하여 제품의 수명을 최대화시킬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해결과제의 해결을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물티슈가 수용되어 있고 상부에 인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포장팩에 부착되어 상기 인출구를 개폐하기 위해 사용되는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포장팩 표면 중 상기 인출구 주변에 부착되어 상기 인출구를 둘러싸는 형태로 위치되고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고정틀, 판재 형태이고 일측단부가 상기 고정틀의 일측단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연결지점을 중심으로 상하 회동 가능하며 회동 과정에서 상기 고정틀 상부를 덮거나 개방하여 개폐하는 덮개부, 상기 고정틀과 덮개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덮개부가 상기 고정틀 상부를 덮었었을 때 상기 덮개부와 고정틀을 상호 분리 가능하도록 체결하는 열림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부는 접이라인이 좌우 횡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접이라인을 기준으로 전측 구간이 위쪽을 향하도록 절곡되어 경사진 형태이며, 상기 덮개부가 아래쪽으로 회동하여 상기 고정틀 상부를 덮는 과정에서 상기 덮개부 중 위쪽을 향해 경사진 구간이 상기 접이라인을 중심으로 눌려져 아래쪽으로 추가로 회동하여 상기 열림제어부를 통해 상기 고정틀과 체결되고, 상기 덮개부 중 위쪽을 향해 경사진 구간이 상기 접이라인을 중심으로 아래쪽을 향해 눌려져 회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접이라인에는 이와 반대되는 쪽으로 탄성력이 발휘되며 이 상태에서 덮개부가 상기 열림제어부를 통해 상기 고정틀과 체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접이라인은 상기 덮개부가 상기 고정틀을 덮은 상태에서 덮개부의 후측 중 상기 고정틀과의 연결지점보다 전측에 위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부의 상부면과 하부면 중 상기 접이라인 상에는 접이라인의 두께를 증가시켜 탄성력 저하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두께보강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덮개부의 하부면 중 상기 접이라인 후측지점에는 지지부재가 아래쪽을 향해 돌출형성되어 하단부가 상기 고정틀 내부 바닥에 접촉되어 있고, 상기 덮개부 중 위쪽을 향해 경사진 구간이 아래쪽으로 눌려 회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지지부재의 하단부가 상기 고정틀 내부 바닥에 접촉된 상태에서 눌려 아래쪽으로 회동하여 상기 고정틀과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부는 일측단부가 상기 고정틀의 후측단부와 일체로 연결되어 있고 연결지점을 중심으로 상하 회동 가능한 연결편, 판재 형태이고 일측단부가 상기 연결편 중 상기 고정틀과의 연결지점과 반대되는 쪽 지점과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연결편과 함께 상하 회동 가능하며 회동 과정에서 상기 고정틀 상부를 덮거나 개방하여 개폐하는 덮개판을 포함하고, 상기 접이라인은 상기 연결편과 상기 덮개판 간의 경계지점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덮개판은 상기 접이라인을 중심으로 위쪽을 향해 기울어져 경사져 있다.
그리고 상기 두께보강리브는 상기 접이라인의 형성 경로 상에 국부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틀은 하부면이 상기 포장팩 표면에 부착되고 상기 인출구와 상하 동일선상의 지점에는 관통홀이 상하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후측단부가 상기 연결편과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바닥판재, 상기 바닥판재의 상부면의 테두리로부터 위쪽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상기 바닥판재의 상부면을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후측부 중 상기 연결편과 상기 바닥판재 간 연결구간의 전측지점에는 상기 연결편의 좌우폭에 해당하는 길이만큼 돌출 형성되지 않은 비 돌출구간을 갖는 외곽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부는 상기 연결편과 덮개판이 상기 바닥판재와의 연결지점을 중심으로 상하 회동하고 상기 덮개판이 상기 외곽돌출부 상부를 개폐하며 상기 연결편은 상기 외곽돌출부의 비 돌출구간을 개폐하고, 상기 접이라인은 상기 외곽돌출부의 비 돌출구간 내측단부와 동일선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별도의 구성요소가 추가되지 않고 덮개부에 접이라인을 형성시켜 덮개부 중 접이라인 전측 구간이 위쪽을 향해 경사진 형태로 구현되어 덮개부가 고정틀을 덮는 과정에서 자체적으로 탄성력이 발휘되어 추후 자동 열림이 가능하기 때문에,
기존 탄성구조에 의한 자동열림 기능을 갖는 개폐장치에 비해 구조가 훨씬 간소해져 제작이 쉽고 제작단가의 상승 우려가 전혀 없으며 높은 사용상 편리성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덮개부 중 접이라인 전측에 위쪽을 향해 경사진 구간이 접이라인을 중심으로 추가적으로 아래쪽으로 회동하여 접이라인 형성지점에 탄성력이 발휘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접이라인 부분에 두께보강리브가 접이라인 형성 경로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형성되어 해당 지점의 두께가 증가됨에 따라,
반복 사용으로 인해 접이라인 부분의 반복적인 각도변화에 의해 탄성력이 저하되는 현상을 최소화하여 덮개부의 자동열림 작동 수명을 최대화할 수 있다.
그리고 덮개부의 하부면 중 접이라인 후측지점에 지지부재가 아래쪽으로 돌출 형성됨에 따라, 덮개부 중 위쪽으로 경사진 구간이 아래쪽으로 추가 회동하는 과정에서 지지부재가 지렛대의 받침점 역할을 하기 때문에 접이라인 지점에 탄성력이 원활하게 집중되어 작용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지지부재와 고정틀 내부 바닥면 간 접촉지점이 접이라인 후측지점에 형성됨에 따라 해당 지점이 덮개부와 고정틀 간 체결지점인 열림제어부와의 거리가 점으로부터 최대한 멀리 형성될 수 있으므로, 덮개부가 자체 탄성력에 의해 위쪽으로 자동 회동하는 과정에서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회동범위가 더욱 크게 형성되어 90도 이상으로 완전히 회동하여 젖혀질 수 있게 된다.
이 외에 접이라인이 덮개부와 고정틀 간 연결기능을 하는 연결편과 고정틀 상부를 실질적으로 덮는 덮개판 간 경계지점에 형성됨에 따라, 덮개판이 접이라인을 중심으로 아래쪽으로 눌려 회동하는 과정에서 덮개판이나 연결편의 휨 현상 등이 발생되지 않은 상태로 정상적인 밀폐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특히 덮개부가 고정틀 상부를 덮는 과정에서 덮개부의 연결편과 덮개판이 각각 고정틀 외곽돌출부의 비 돌출구간과 외곽돌출부 상부를 동시에 덮는 구조인 경우,
접이라인이 외곽돌출부의 비 돌출구간 내측단부와 동일선상을 이루어도록 형성됨에 따라,
덮개판이 접이라인을 중심으로 추가 회동하여 외곽돌출부 상부를 덮는 과정에서 연결편과 덮개판이 접이라인의 각도변화로 인해 휨 현상 등 별도의 변형이 발생되지 않은 상태로 각각 비 돌출구간과 외곽돌출부 상부를 정확히 덮을 수 있으므로, 덮개판이나 연결편의 형상 변화로 인한 밀폐성 저하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 일 실시예 중 덮개부가 완전히 젖혀져 고정틀이 완전히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
도2는 도1의 다른 방향의 사시도
도3은 도1 및 도2의 평면도
도4는 도1 내지 도3의 측단면도
도5는 덮개부가 90도 회동한 상태의 사시도
도6은 도5의 측단면도
도7은 덮개부 중 연결편이 비 돌출구간을 덮은 상태에서 덮개판은 경사기울기에 의해 고정틀 상부를 덮지 않은 상태의 사시도
도8은 도7의 측단면도
도9는 도7 및 도8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덮개판을 강제로 누름에 따라 덮개판이 접이라인을 중심으로 아래쪽으로 눌려 추가 회동하여 고정틀에 체결되고 접이라인에는 반대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되고 있는 상태의 측단면도
도10은 도9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열림제어부를 눌러 덮개판과 고정틀 간의 체결을 해제한 상태의 측단면도
도11은 도10의 상태에서 덮개부 전체가 접이라인에 작용된 탄성력에 의해 위쪽으로 젖혀져 고정틀이 자동으로 개방된 상태의 측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여러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참고로 아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이 물티슈용 포장팩에 부착되어 포장팩의 인출구 주변을 밀폐시키거나 개방하는 용도로 기재되었으나, 본 발명의 적용 범위는 물티슈용 포장팩에 국한되지 않고 포장팩 내부에 밀폐 보관이 필요한 내용물이 수용된 상태에서 인출구를 통해 해당 내용물을 외부로 인출시킬 수 있는 형태의 포장팩에 모두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개폐기능을 갖는 포장팩 용 개폐장치(1)는 도1 내지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고정틀(4)과 덮개부(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고정틀(4)은 본 발명에 의한 개폐장치(1)를 포장팩(2) 표면에 부착시키는 매개체 역할과 동시에 후술하는 덮개부(12)와 함께 포장팩(2)의 인출구(3) 외부 주변에 밀폐공간을 형성시키는 역할을 하는 요소이다.
이러한 고정틀(4)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처럼 바닥판재(5)와 외곽돌출부(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닥판재(5)는 고정틀(4) 중 포장팩(2) 표면과 직접적으로 맞닿아 부착되는 부분으로 전체적으로 판재 형태이고 중앙 부근에는 관통홀(8)이 상하 관통 형성된 형태이다.
참고로 관통홀(8)은 일정 면적을 갖는 기본적인 홀 형태이거나 절개라인 형태의 슬릿홀(slit) 형태등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이러한 바닥판재(5)는 하부면이 포장팩(2) 표면에 부착되되 포장팩(2)의 인출구(3)가 관통홀(8) 내에 위치되도록 함에 따라 관통홀(8) 테두리가 인출구(3) 주변을 둘러싸는 형태로 위치된다.
바닥판재(5)에는 필요에 따라 제1보조밀폐부(10)가 형성될 수 있는데, 제1보조밀폐부(10)는 후술하는 덮개부가 고정틀(4) 상부를 덮었을 때 고정틀(4) 내에서 관통홀(8) 내부가 추가적으로 밀폐된 구조를 이루도록 하는 용도이다.
제1보조밀폐부(10)는 바닥판재(5)의 상부면 중 관통홀(8) 주변을 완전히 둘러싼 상태로 위쪽을 향해 벽체 형태로 돌출된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바닥판재(5)와 함께 고정틀(4)을 구성하는 외곽돌출부(6)는 후술하는 덮개부(12)가 덮여졌을 때, 고정틀(4)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요소로서, 저네적으로 일정 두께와 높이를 가지며 바닥판재(5)의 상부면 테두리로부터 위쪽을 향해 돌출되어 제1보조밀폐부(10)의 사방을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외곽돌출부(6)는 바닥판재(5)의 테두리 전체에 걸쳐 모두 형성되지 않고 도면처럼 바닥판재(5)의 후측단부 중간지점으로부터 좌우 일정길이 구간에는 형성되지 않는 형태이고, 이렇게 바닥판재 후측지점에 일정 구간 돌출 형성되지 않은 지점이 비 돌출구간(7)이 된다.
참고로 비 돌출구간(7)이 형성되는 실시 예의 경우 비 돌출구간(7)의 좌우 길이는 후술할 덮개부(12)의 연결편(13) 좌우폭과 동일하도록 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고정틀(4)은 전체적으로 상부가 개방되고 바닥이 전체 또는 일부가 막혀 있는 상태로 포장팩 표면에 부착된 구조를 갖는다.
참고로 고정틀(4)의 구조는 위 설명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외곽돌출부(6)와 비 돌출구간(7)이 형성되지 않은 상태로 구현되어, 후술하는 덮개부(12)가 바닥판재 상부를 직접적으로 덮거나 개방하는 형태 등 포장팩(2) 표면에 부착된 상태에서 덮개부(12)와 더불어 포장팩(2)의 인출구(3)를 개폐할 수 있는 형태라면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틀(4)에는 열림제어부(11)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열림제어부(11)는 후술하는 덮개부(12)가 고정틀(4) 상부를 덮었을 때 고정틀(4)과 덮개부(12)를 상호 분리 가능하도록 체결시켜 덮개부(12)가 원치 않게 열리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요소이다.
이러한 열림제어부(11)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데, 일 예로 고정틀(4)의 전측단부 부근 중 덮개부(12)가 고정틀(4) 상부를 덮었을 때 덮개부(12) 전측단부가 위치하는 부근에 돌기나 홈 형태로 형성되어 덮개부(12)가 집적적으로 접촉되어 걸림이 이루어지거나 덮개부와 고정틀(4)에 모두 형성되어 상호 간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열림제어부(11)에 대한 또 다른 실시 예로서, 도면과 같이 외곽돌출부(6)가 형성되었을 경우, 외곽돌출부(6)의 전측단부 중간지점이 좌우 간격을 두고 절개되고 절개지점 사이 구간이 열림제어부(11)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도10과 같이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열림제어부(11)를 눌렀을 때 바닥판재(5)와의 연결지점을 중심으로 상하 약간 회동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열림제어부(11)에는 돌기나 홈 형태의 걸림구조가 구비되어 덮개부(12)가 고정틀 상부를 덮었을 때 덮개부(12)의 전측단부가 걸림구조에 직접적으로 걸림이 이루어지거나 덮개부(12)에도 이와 대응되는 걸림구조가 구비되어 걸림구조 간의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따라서 덮개부(12)가 고정틀 상부를 덮고 있는 상태에서 덮개부는 걸림구조 간의 걸림에 의해 원치 않게 열리는 현상이 방지되고, 이 상태에서 열림제어부(11)를 손가락으로 눌러 약간 회동시키면 덮개부(12) 고정틀(4) 간의 걸림구조 간 체결이 해제되는 구조를 갖게 된다.
이처럼 열림제어부(11)는 특정 형태로 국한되지 않고 고정틀(4)과 후술할 덮개부(12)의 형태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고정틀(4)에는 덮개부(12)가 연결 설치된다.
상기 덮개부(12)는 고정틀(4)의 상부를 덮거나 개방하여 고정틀(4) 내부에 존재하는 포장팩(2)의 인출구를 실질적으로 개폐하는 요소임과 동시에 자체적으로 탄성력을 발휘하여 덮개부(12) 자체가 자동으로 위쪽으로 회동하여 고정틀을 개방할 수 있도록 하는 요소이다.
이러한 덮개부(12)는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는데, 연결편(13)과 덮개판(1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연결편(13)은 덮개부(12) 전체를 고정틀(4)에 연결하는 연결 매개체 역할을 함과 동시에 후술할 덮개판(14)의 탄성력 발휘를 위한 접이라인(16)이 형성되는 요소이다.
연결편(13)은 전체적으로 좌우 길이방향을 갖는 판재 형태이고 일측단부가 고정틀(4) 바닥판재(5)의 후측단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으며 연결지점을 중심으로 상하 회동 가능한 형태이다.
이때 만약 고정틀(4)에 외곽돌출부(6)가 형성되었을 경우 연결편(13)의 좌우폭은 외곽돌출부(6)의 비 돌출구간(7) 좌우폭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추후 덮개부(12)가 고정틀 상부를 덮는 과정에서 연결편(13)이 비 돌출구간(7)을 덮을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연결편(13)의 형상은 특정 형태로 국한되지 않고 고정틀(4)에 외곽돌출부(6)가 형성되지 않는 구조에서도 단순히 후술하는 덮개판(14)과 고정틀(4)을 연결하는 기능과 덮개판(14)과의 연결지점에 후술할 접이라인(16)을 형성시킬 수 있는 형태라면 다양하게 선택되어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편(13)은 하나만 형성되거나 좌우 간격을 두고 복수개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연결편(13)과 함께 덮개부(12)를 구성하는 덮개판(14)은 덮개부(12) 중에서 실질적으로 고정틀(4) 상부를 덮어 고정틀 내 인출구(3)의 개폐기능을 발휘하는 요소이다.
이러한 덮개판(14)은 전체적으로 고정틀 상부 전체를 덮을 수 있을 정도의 면적을 갖는 판재 형태이고 후측단부가 연결편(13) 중 고정틀(4)과 연결된 쪽 단부와 반대 되는 쪽 단부에 일체로 연결되고, 연결편(13)과 함께 상하 회동 가능한 구조로 설치된다.
이 상태에서 덮개판(14)은 아래쪽으로 회동하여 고정틀의 상부를 덮는데, 만약 도면과 같이 고정틀(4)에 외곽돌출부(6)가 형성되어 있을 경우 외곽돌출부(6)의 상부를 덮게 되며, 이로 인해 고정틀(4) 내부에는 밀폐공간(9)이 형성된다.
그리고 덮개판(14)이 고정틀(4)상부를 덮은 상태에서의 하부면 중 고정틀(4)의 제1보조밀폐부(10)와 상하 동일선상의 지점에는 제1보조밀폐부(10)와 동일한 형태의 제2보조밀폐부(15)가 형성되고, 덮개판(14)이 고정틀(4)의 상부를 완전히 덮었을 때 제1보조밀폐부(10)가 제2보조밀폐부(15)에 끼워짐에 따라 고정틀(4) 내부의 밀폐공간(9) 내에서 관통홀(8) 내부가 추가적으로 밀폐된 구조를 갖게 된다.
참고적으로 제1보조밀폐부(10)와 제2보조밀폐부(15) 간 삽입 구조는 위 설명과 반대되는 구조로 구현이 가능하며, 더 나아가 필요에 따라 제1보조밀폐부(10) 및 제2보조밀폐부(15)는 생략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구조에 의해 덮개부(12)가 아래쪽으로 회동하면 덮개부 전체가 고정틀 상부 전체를 덮개되고, 만약 고정틀(4)에 외곽돌출부(6)가 형성되었을 경우 연결편(13)이 외곽돌출부(6)의 비 돌출구간(7)을 덮게되며 덮개판(14)이 외곽돌출부(6)의 상부 중 나머지 구간 전체를 덮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덮개부(12)에 접이라인(16)이 형성된다.
접이라인(16)은 덮개부(12)가 특정지점을 중심으로 각도가 변화되도록 하여, 고정틀(4) 상부를 덮는 과정에서 덮개부(12) 자체적으로 탄성력을 발휘하도록 함으로써 추후 고정틀 내부를 개방하고자 할 때 덮개부(12)가 자체 탄성력을 통해 자동으로 위쪽을 향해 회동하여 열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접이라인(16)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는데,
만약 도면과 같이 덮개부(12)가 연결편(13) 및 덮개판(14)의 구조로 이루어져 있을 경우, 연결편(13)과 덮개판(14)의 경계지점을 좌우 횡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이 경우 덮개부(12)는 덮개판(14)이 접이라인(16)을 중심으로 위쪽을 향해 기울어지도록 경사진 형태를 갖게 되며 덮개판(14)의 전측단부가 접이라인(16)이 형성된 지점보다 위쪽에 위치된 구조를 갖게 된다.
따라서 도7 및 도8과 같이 사용자가 덮개판(14)을 강제로 누르지 않은 상태로 덮개부(12)가 고정틀(4) 상부를 덮은 상태에서는 덮개판(14)이 고정틀(4)상부를 완전히 덮지 않고 위쪽으로 경사진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덮개판(14)을 강제로 누르면 덮개판(14)은 접이라인(16)을 중심으로 아래쪽으로 추가 회동하면서 고정틀(4) 상부를 완전히 덮음과 동시에 전측단부가 열림제어부(11)를 통해 고정틀(4)과 분리 가능하도록 체결되어 덮음 상태가 유지된다.
이렇게 덮개판(14)이 사용자의 강제 누름에 의해 눌려져 접이라인(16)을 중심으로 아래쪽으로 회동하는 과정에서 접이라인(16)에는 반대되는 쪽 방향으로 탄성력이 발휘되고, 이 상태에서 덮개판(14)이 고정틀(4)에 체결됨에 따라 덮개판(14)은 고정틀(4)을 완전히 덮고 있는 상태에서 접이라인(16) 부근에 형성된 탄성력에 의해 위쪽으로 회동하려는 힘이 계속 작용된 상태가 유지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열림제어부(11)를 통해 덮개판(14)과 고정틀(4) 간 체결이 해제되는 순간 덮개판(14)은 탄성력에 의해 스스로 위쪽으로 들어올려져 회동함과 동시에 연결편 또한 함게 들어올려져 위쪽으로 회동됨에 따라, 결국 덮개부 전체가 위쪽으로 자동 회동하여 고정틀(4)이 개방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별도의 추가 구성요소가 추가로 구비되지 않고 단순히 덮개부의 구조를 개선하는 것만으로 탄성력에 의한 덮개부의 자동열림구조가 구현되는 것이다.
참고로 접이라인(16)의 형성 지점은 덮개부(12)의 구조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는데, 기본적으로 접이라인(16)은 덮개부(12)의 후측지점에 치우친 형태로 위치되도록 하여 탄성력이 덮개부 전체면적에 걸쳐 작용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덮개판(14)이 90도 이상의 각도로 완전히 젖혀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기본적으로 접이라인(16)은 덮개부(12) 후측단부와 고정틀(4) 간 연결지점보다 전측에 형성됨에 따라 원활한 탄성력작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덮개부(12)가 연결편(13)과 덮개판(14)으로 구성된 경우, 연결편(13)과 덮개판(14) 간 경계지점에 형성되도록 함에 따라, 덮개판(14)이 강제적으로 눌려 아래쪽으로 회동하는 과정에서 연결편(13)이나 덮개판(14)의 휨 현상 등이 발생될 가능성을 방지한다.
또한 만약 고정틀(4)에 외곽돌출부(6)가 형성된 경우, 연결편(13)이 외곽돌출부(6)의 비 돌출구간(7)을 덮은 상태가 되는데, 이때 연결편(13)과 덮개판(14)의 연결지점이 비 돌출구간(7)의 내측단부 테두리와 동일선상을 이루게 되므로, 접이라인이 이 상태에서 연결편(13)과 덮개판(14) 간 경계지점에 형성됨에 따라 접이라인의 형성지점이 결국 비 돌출구간(7)의 내측단부 테두리와 동일선상에 형성되므로, 이 상태에서 접이라인(16)에 탄성력이 발휘될 경우 연결편(13)이 변형되어 비 돌출구간(7)의 완전한 덮힘이 불가능하거나 덮개판(14)이 변형되어 고정틀 상부의 완전한 덮힘이 불가능하는 현상 발생 가능성을 최소화될 수 있다.
이 외에 도면과 같이 덮개부(12)의 접이라인(16) 상에는 두께보강리브(17)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두께보강리브(17)는 덮개판(14)의 추가 회동에 의해 접이라인(16) 부분의 각도변화가 반복적으로 이루어짐에 따른 탄성력저하 현상을 최소화 하기 위한 요소이다.
이러한 두께보강리브(17)는 덮개부(12)의 상부면 중 접이라인(16) 형성경로 상에 형성되에 따라, 두께보강리브(17)가 형성된 지점의 두께가 타 지점에 비해 두껍게 형성된다.
따라서 이렇게 접이라인(16) 상에 두께보강리브(17)에 의한 두께 보강이 이루어짐에 따라, 덮개판(14)의 반복적인 추가 회동 시 접이라인(16)의 탄성력 저하 현상 발생 가능성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참고로 두께보강리브(17)는 별도로 제작되어 해당 지점에 부착될 수도 있지만 덮개부(12)의 사출 성형 과정에서 덮개부와 일체로 성형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두께보강리브(17)는 덮개부(12)의 상부면 외에 하부면 중 접이라인(16)의 현성 경로 상에 형성될 수도 있고 덮개부(12)의 상부면과 하부면 모두에 형성될 수도 있다.
더 나아가 두께보강리브(17)는 접이라인(16)의 형성경로 전체에 걸쳐 형성될 수도 있고, 국부적으로 한개만 형성되거나 간격을 두고 복수개 배열된 형태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덮개부(12)나 고정틀(4)에는 지지부재(18)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지지부재(18)는 덮개판(14)이 사용자에 의해 강제적으로 눌려 아래쪽으로 추가 회동하는 과정에서 덮개판(14)의 추가 회동에 필요한 받침점 역할을 하여 덮개판(14)의 추가 회동 과정에서 발생되는 탄성력이 접이라인(16)에 집중되도록 함과 동시에 덮개판(14)이 탄성력에 의해 위쪽으로 회동할 때 지렛대 원리의 받침점 역할을 하여 탄성력이 덮개판에 원활하게 작용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지지부재(18)는 도면과 같이 덮개부(12)가 고정틀(4)을 덮고 있는 상태에서 덮개부(12)의 하부면 중 접이라인(16) 후측 지점으로부터 하측을 향해 돌출된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지지부재(18)는 덮개판(14) 전체와 함께 상하 회동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만약 덮개부(12)가 연결편(13)과 덮개판(14)으로 구성된 구조일 경우, 덮개판(14)이 사용자에 의해 강제적으로 눌려 아래쪽으로 추가 회동이 이루어지기 직전에 지지부재(18)의 하단부가 고정틀(4)의 내부 바닥면에 안착되고, 이 상태에서 덮개부(12)가 눌려져 추가 회동되는 과정에서 연결편(13)은 지지부재(18)에 의해 아래쪽으로 회동되는 것이 차단됨과 동시에 덮개부(12)는 지지부재(18)를 받침점으로 하여 접이라인(16)을 중심으로 아래쪽으로 추가 회동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지지부재(18)가 형성됨에 따라 덮개판(14)이 강제적으로 눌려 아래쪽으로 추가 회동되는 과정에서 연결편(13)이 불필요하게 덮개판(14)과 함께 아래쪽으로 추가 회동되는 현상을 방지하고 덮개판(14)의 추가 회동에 의한 탄성력이 접이라인(16)에 집중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지지부재(18)는 덮개부(12)의 하부면 중 접이라인(16) 보다 후측에 위치될 경우 덮개판(14)이 사용자에 의해 추가적으로 아래로 회동하는 과정에서 탄성력이 접이라인(16)에 보다 집중될 수 있게 된다.
물론 지지부재(18)가 접이라인(16)보다 전측에 위치되더라도 충분한 탄성력 발휘에 악영향을 미치지는 않는다.
참고로 지지부재(18)는 덮개부(12)의 하부면이 아니라 고정틀의 내부 바닥면으로부터 위쪽을 향해 돌출되는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재(18)는 단순 돌기 형태로 구현될 수 있기 때문에 별도로 제작하여 덮개부에 부착설치될 수도 있지만 덮개부의 사출 성형 과정에서 함께 동시에 성형되도록 할 수 있다.
이 외에에 지지부재를 별도로 형성시키지 않고, 덮개부(12)의 제2보조밀폐부(15)의 돌출길이를 길게 형성시킴에 따라, 덮개부(12)가 아래쪽으로 회동하는 과정에서 제2보조밀폐부(15)의 후측단부 지점이 고정틀의 바닥에 접촉되면서 지지부재의 역할을 하게 되고 이 경우 제2보조밀폐유도부가 지지부재의 기능도 함께 발휘하게 된다.
참고로 이러한 지지부재(18)는 반드시 구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덮개부의 형태에 따라 얼마든지 생략 가능하다.
1;개폐장치 2;포장팩
3;인출구 4;고정틀
5;바닥판재 6;외곽돌출부
7;비 돌출구간 8;관통홀
9;밀폐공간 10;제1보조밀폐부
11;열림제어부 12;덮개부
13;연결편 14;덮개판
15;제2보조밀폐부 16;접이라인
17;두께보강리브 18;지지부재

Claims (5)

  1. 내부에 물티슈가 수용되어 있고 상부에 인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포장팩에 부착되어 상기 인출구를 개폐하기 위해 사용되는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포장팩 표면 중 상기 인출구 주변에 부착되어 상기 인출구를 둘러싸는 형태로 위치되고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고정틀,
    판재 형태이고 일측단부가 상기 고정틀의 일측단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연결지점을 중심으로 상하 회동 가능하며 회동 과정에서 상기 고정틀 상부를 덮거나 개방하여 개폐하는 덮개부,
    상기 고정틀과 덮개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덮개부가 상기 고정틀 상부를 덮었었을 때 상기 덮개부와 고정틀을 상호 분리 가능하도록 체결하는 열림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부는 접이라인이 좌우 횡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접이라인을 기준으로 전측 구간이 위쪽을 향하도록 절곡되어 경사진 형태이고,
    상기 덮개부가 아래쪽으로 회동하여 상기 고정틀 상부를 덮는 과정에서 상기 덮개부 중 위쪽을 향해 경사진 구간이 상기 접이라인을 중심으로 눌려져 아래쪽으로 추가로 회동하여 상기 열림제어부를 통해 상기 고정틀과 체결되며,
    상기 덮개부 중 위쪽을 향해 경사진 구간이 상기 접이라인을 중심으로 아래쪽을 향해 눌려져 회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접이라인에는 이와 반대되는 쪽으로 탄성력이 발휘되며 이 상태에서 덮개부가 상기 열림제어부를 통해 상기 고정틀과 체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개폐기능을 갖는 포장팩 용 개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이라인은 상기 덮개부가 상기 고정틀을 덮은 상태에서 덮개부의 후측 중 상기 고정틀과의 연결지점보다 전측에 위치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개폐기능을 갖는 포장팩 용 개폐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의 상부면과 하부면 중 상기 접이라인 상에는 접이라인의 두께를 증가시켜 탄성력 저하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두께보강리브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개폐기능을 갖는 포장팩 용 개폐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의 하부면과 고정틀의 내부 바닥면 중 어느 하나 이상에서 상기 접이라인 후측지점에는 지지부재가 돌출형성되어 상기 덮개부가 상기 고정틀 상부를 덮는 과정에서 다른 하나와 접촉됨에 따라,
    상기 덮개부 중 위쪽을 향해 경사진 구간이 아래쪽으로 눌려 상기 접이라인을 중심으로 추가 회동하여 상기 고정틀 상부를 덮음과 동시에 상기 고정틀과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개폐기능을 갖는 포장팩 용 개폐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일측단부가 상기 고정틀의 후측단부와 일체로 연결되어 있고 연결지점을 중심으로 상하 회동 가능한 연결편,
    판재 형태이고 일측단부가 상기 연결편 중 상기 고정틀과의 연결지점과 반대되는 쪽 지점과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연결편과 함께 상하 회동 가능하며 회동 과정에서 상기 고정틀 상부를 덮거나 개방하여 개폐하는 덮개판을 포함하고.
    상기 접이라인은 상기 연결편과 상기 덮개판 간의 경계지점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덮개판은 상기 접이라인을 중심으로 위쪽을 향해 기울어져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개폐기능을 갖는 포장팩 용 개폐장치.

KR1020180032951A 2018-03-22 2018-03-22 자동 개폐기능을 갖는 포장팩용 개폐장치 KR1019860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2951A KR101986045B1 (ko) 2018-03-22 2018-03-22 자동 개폐기능을 갖는 포장팩용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2951A KR101986045B1 (ko) 2018-03-22 2018-03-22 자동 개폐기능을 갖는 포장팩용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6045B1 true KR101986045B1 (ko) 2019-06-05

Family

ID=66844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2951A KR101986045B1 (ko) 2018-03-22 2018-03-22 자동 개폐기능을 갖는 포장팩용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604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951Y2 (ja) * 1988-08-11 1994-03-16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弾性反転する蓋板付き容器等
JPH10338256A (ja) * 1997-06-06 1998-12-22 Hiroshi Yoshihara ワンプッシュオープンキャップ機構
KR200478494Y1 (ko) * 2015-06-23 2015-10-14 박진성 물티슈 포장팩용 반자동 개폐 뚜껑
KR20170122917A (ko) * 2016-04-28 2017-11-07 (주)올곧은컴퍼니 인출 보정수단을 구비한 물티슈 캡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951Y2 (ja) * 1988-08-11 1994-03-16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弾性反転する蓋板付き容器等
JPH10338256A (ja) * 1997-06-06 1998-12-22 Hiroshi Yoshihara ワンプッシュオープンキャップ機構
KR200478494Y1 (ko) * 2015-06-23 2015-10-14 박진성 물티슈 포장팩용 반자동 개폐 뚜껑
KR20170122917A (ko) * 2016-04-28 2017-11-07 (주)올곧은컴퍼니 인출 보정수단을 구비한 물티슈 캡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38686A (en) Cosmetic case
US20180042414A1 (en) Drink cup lid
KR101508440B1 (ko) 뚜껑부착 용기
JP2015514538A (ja) 取っ手連動型密閉鍋
JP2016179862A (ja) 容器
KR101986045B1 (ko) 자동 개폐기능을 갖는 포장팩용 개폐장치
JP7090489B2 (ja)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キャップ付き容器
JP5966240B2 (ja) 容器
JP2011251706A (ja) 飲料容器の蓋構造
KR20170105238A (ko) 자동 열림 기능을 갖는 물티슈용 인출구 개폐장치
KR20090107738A (ko) 밀폐용기
WO2007148853A1 (en) Easy opening airtight container
KR102032049B1 (ko) 자동 열림기능을 갖는 포장팩용 개폐장치
JP5243178B2 (ja) 密閉容器
JP7236963B2 (ja) コンパクト容器
JP3770447B2 (ja) 蓋付き注出キャップ
US10130214B2 (en) Thermos flask
KR20040081086A (ko) 음식물 보관용기
CN218594984U (zh) 一种包装盒
CN220743990U (zh) 一种滑扣密封保鲜盒
KR102136191B1 (ko) 밀폐력이 증대된 포장용기
JP2002315622A (ja) 気密化粧料容器
KR20170105232A (ko) 자동 열림 기능을 갖는 물티슈용 인출구 개폐장치
JP7363458B2 (ja) ウェットティッシュ用包装容器
KR102558379B1 (ko) 다양한 형태의 토출구가 구비된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