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6191B1 - 밀폐력이 증대된 포장용기 - Google Patents

밀폐력이 증대된 포장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6191B1
KR102136191B1 KR1020200022407A KR20200022407A KR102136191B1 KR 102136191 B1 KR102136191 B1 KR 102136191B1 KR 1020200022407 A KR1020200022407 A KR 1020200022407A KR 20200022407 A KR20200022407 A KR 20200022407A KR 102136191 B1 KR102136191 B1 KR 1021361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contact
hermetic
lower case
sea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2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석훈
Original Assignee
장석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석훈 filed Critical 장석훈
Priority to KR10202000224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61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61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61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2Casings characterised by a hinged c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06Accessories

Abstract

본 발명은 밀폐력이 증대된 포장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내측에 내용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하부케이스; 및 상기 하부케이스 상에 장착되는 상부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케이스는, 상기 상부케이스의 최외측에서 상기 상부케이스의 내측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밀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밀착부는, 아래로 돌출된 밀착벽; 및 상기 밀착벽의 하부에서 아래로 연장되어 형성되되, 외측으로 젖혀진 상태로 형성된 곡선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케이스가 상기 하부케이스에 장착됨에 따라, 상기 하부케이스가 상기 밀착벽 및 곡선부에 밀착되면서 상기 수용공간이 밀폐되는 포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밀폐력이 증대된 포장용기{A package container with increased sealing}
본 발명은 밀폐력이 증대된 포장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내용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하부케이스에 상부케이스가 장착된 상태에서, 내용물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부케이스와 상부케이스가 다수의 접점에서 밀착되되, 이러한 다수의 접점에서 어느 한 접점에서의 밀착력이 다른 접점에서의 밀착력을 강화시킬 수 있음에 따라 밀폐력이 증대되는 포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포장용기는 내측에 화장료, 식료품 및 기타 내용물 등이 수용된 상태에서, 사용 상태에 따라 상부케이스를 하부케이스에 장착시키거나 탈착시켜 하부케이스에 형성된 수용공간이 개폐되는 용기이다.
이러한 포장용기는 화장품 용기, 식료품 용기 또는 기타 내용물이 수용되는 포장용기일 수 있다.
포장용기의 일종인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케이스가 하부케이스에 장착된 상태에서 화장료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밀폐력을 증대시킨 종래기술 대한민국 특허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477270호를 살펴본다.
종래기술은 외측용기 및 내측용기로 이루어진 화장용 콤팩트 용기에 있어서 내측용기의 밀폐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 화장용 콤팩트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내측덮개에 형성된 밀폐부와, 내측본체에 형성된 내측돌출부 및 외측돌출부가 상호 맞물리어 내측용기를 밀폐하게 되는 구조를 가진 화장용 콤팩트 용기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종래기술은 밀폐력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상호 맞물리는 이중 밀폐구조를 유지하고 있을 뿐인 바, 사용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상호 맞물림에 간극이 생성되고, 결국 오랜 사용 기간이 지난 후에는 상부케이스가 하부케이스에 장착된 상태라도 내용물이 생성된 간극으로 통하여 외부로 누출될 가능성이 높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에, 밀폐력을 증대시킨 상태에서 사용 시간이 지나도 여전히 밀폐력이 유지될 수 있는 포장용기에 대한 연구가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상부케이스가 하부케이스에 장착됨에 따라 밀폐력이 증대되고, 나아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여전히 초기의 밀폐력이 유지되는 포장용기를 제안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상부케이스가 하부케이스의 상에 장착됨에 따라,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가 다수의 접점에서 밀착되되, 어느 하나의 접점에서의 밀착력이 다른 접점에서의 밀착력을 강화시키도록 하여, 전체적으로 다수의 접점에서의 밀착력으로 밀폐력이 증대되는 포장용기를 제안하고자 한다.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기는, 내측에 내용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110)이 형성된 하부케이스(100); 및 상기 하부케이스(100) 상에 장착되는 상부케이스(200)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케이스(200)는, 상기 상부케이스(200)의 최외측에서 상기 상부케이스(200)의 내측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밀착부(220)를 포함하며,
상기 밀착부(220)는, 아래로 돌출된 밀착벽(222); 및 상기 밀착벽(222)의 하부에서 아래로 연장되어 형성되되, 외측으로 젖혀진 상태로 형성된 곡선부(224)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케이스(200)가 상기 하부케이스(100)에 장착됨에 따라, 상기 하부케이스(100)가 상기 밀착벽(222) 및 곡선부(224)에 밀착되면서 상기 수용공간(110)이 밀폐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부케이스(100)는, 상기 하부케이스(100)의 최외측에서 상기 하부케이스(100)의 내측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상기 밀착부(220)가 삽입되는 밀착부삽입홈(150)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케이스(200)가 상기 하부케이스(100)에 장착됨에 따라, 상기 밀착부(220)가 상기 밀착부삽입홈(150)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밀착벽(222) 및 곡선부(224)가 상기 밀착부삽입홈(150)의 내측에 밀착되면서 상기 수용공간(110)이 밀폐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밀착부삽입홈(150)은 상기 하부케이스(100)의 최외측에서 상기 하부케이스(100)의 내측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된 제1밀폐측면(125)과, 상기 제1밀폐측면(125)에서 상기 하부케이스(100)의 내측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된 제2밀폐벽(130)의 외측방향의 측면인 제2밀폐측면(135)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상부케이스(200)가 상기 하부케이스(100)에 장착됨에 따라, 상기 밀착부(220)가 상기 밀착부삽입홈(150)에 삽입되면서 상기 제2밀폐측면(135)이 상기 밀착벽(222)의 내측방향의 측면을 밀면서 밀착되고, 상기 곡선부(224)의 일측이 상기 제1밀폐측면(125)에 밀착되면서 상기 수용공간(110)이 밀폐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부케이스(100)는, 상기 밀착부삽입홈(150)의 내측의 상기 제2밀폐측면(135)의 하부에서 외측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되, 상기 제2밀폐벽(130)보다 위로 돌출된 길이가 더 짧은 제2보조밀폐벽(14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상부케이스(200)가 상기 하부케이스(100)에 장착됨에 따라, 상기 밀착부(220)가 상기 밀착부삽입홈(150)에 삽입되면서 상기 제2밀폐측면(135)이 상기 밀착벽(222)의 내측방향의 측면을 밀면서 밀착되고, 상기 곡선부(224)의 일측이 상기 제1밀폐측면(125)에 밀착되고, 상기 곡선부(224)의 일측에서 내측방향으로 연장된 상기 곡선부(224)의 타측이 상기 제2보조밀폐벽(140)에 밀착되면서 상기 수용공간(110)이 밀폐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케이스(200)는, 상기 밀착부(220)에서 상기 상부케이스(200)의 내측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보조밀착부(240)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밀착부(220)와 상기 보조밀착부(240) 사이에 제2밀폐벽삽입홈(230)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케이스(200)가 상기 하부케이스(100)에 장착됨에 따라, 상기 제2밀폐벽삽입홈(230)으로 상기 제2밀폐벽(130)이 삽입되면서 상기 제2밀폐벽(130)의 상단(132)이 상기 제2밀폐벽삽입홈(230)의 상단(232)에 밀착되고, 상기 밀착부(220)가 상기 밀착부삽입홈(150)에 삽입되면서 상기 제2밀폐측면(135)이 상기 밀착벽(222)의 내측방향의 측면을 밀면서 밀착되고, 상기 곡선부(224)가 외측방향으로 밀리면서 상기 곡선부(224)의 일측이 상기 제1밀폐측면(125)에 밀착되고, 상기 곡선부(224)의 일측이 상기 제1밀폐측면(125)에 밀착됨에 따라 상기 곡선부(224)가 내측방향으로 밀리면서 상기 곡선부(224)의 타측이 상기 제2보조밀폐벽(140)에 밀착되면서 상기 수용공간(110)이 밀폐된다.
상술한 과제해결수단으로 인하여, 상부케이스가 하부케이스 상에 장착됨에 따라 다수의 접점에서 밀착되되, 어느 하나의 접점에서 밀착력이 다른 접점의 밀착력에 영향을 강화시키는 방식으로 밀착되어, 전체적으로 다수의 접점으로 포장용기의 밀폐력을 증대시킨다.
구체적으로, 상부케이스가 하부케이스에 장착됨에 따라, 제2밀폐벽삽입홈으로 제2밀폐벽이 삽입되면서 제2밀폐벽의 상단이 제2밀폐벽삽입홈의 상단에 밀착되고, 밀착부가 밀착부삽입홈에 삽입되면서 제2밀폐측면이 밀착벽의 내측방향의 측면을 밀면서 밀착되고, 곡선부가 외측방향으로 밀리면서 곡선부의 일측이 제1밀폐측면에 밀착되고, 곡선부의 일측이 제1밀폐측면에 밀착됨에 따라 곡선부가 내측방향으로 밀리면서 곡선부의 타측이 제2보조밀폐벽에 밀착되는 방식으로 밀폐력이 증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기를 펼쳐진 상태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기의 펼쳐진 상태에서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기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성을 위해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또는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기에 수용되는 내용물은 화장료, 식료품 또는 기타 내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기는 하부케이스(100) 및 상부케이스(200)를 포함한다.
하부케이스(100)의 내측에는 내용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110)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케이스(200)는 하부케이스(100) 상에 장착되어 하부케이스(100)의 내측에 형성된 수용공간(110)을 폐쇄하거나, 하부케이스(100) 상으로부터 분리되어 수용공간(110)을 개방한다. 상부케이스(200)는 하부케이스(100)와 분리된 상태에서 하부케이스(100) 상에 장착될 수 있거나, 또는 하부케이스(100)의 일측에 힌지결합되어, 힌지축을 축으로 하여 회동하면서 하부케이스(100) 상에 장착될 수 있다.
내용물이 유입되거나 유출되는 수용공간(110)의 상부 또는 일부만이 제2밀폐벽(130)에 의해 둘러싸여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전체 수용공간(110)이 제2밀폐벽(130)에 의해 둘러싸여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수용공간(110)에 내용물이 수용된다. 이러한 수용공간(110)은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는 형태의 수용공간(110)이라면 내용물이 수용되는 공간의 형태에 상관없이 어떠한 형태의 수용공간(142)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하부케이스(100)는, 하부케이스(100)의 최외측에서 위로 돌출되어 형성된 제1밀폐벽(120) 및 제1밀폐벽(120)에서 하부케이스(100)의 내측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제2밀폐벽(1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밀폐벽(120)은 하부케이스(100)의 최외측에 형성된 테두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2밀폐벽(130)은 제1밀폐벽(120)으로부터 하부케이스(100)의 내측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위로 돌출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밀폐벽(120)과 제2밀폐벽(130) 사이에는 밀착부삽입홈(150)이 형성될 수 있는데, 밀착부삽입홈(150)에는 후술할 밀착부(220)가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에서, 후술할 제1밀폐측면(125)은 이러한 제1밀폐벽(120)에서 내측방향으로 형성된 측면이다.
하부케이스(100) 상에 상부케이스(200)가 장착되는 경우, 이러한 제1밀폐벽(120)의 상단(122)이 상부케이스(200)의 상단면에 밀착될 수 있다.
밀착부삽입홈(150)의 다른 양상으로, 제1밀폐벽(미도시)이 하부케이스(100)의 테두리로부터 내측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이 형태에서, 제1밀폐벽(미도시)은 제2밀폐벽(130)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밀폐벽(미도시)과 제2밀폐벽(130) 사이에 밀착부삽입홈(15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에서, 후술할 제1밀폐측면(125)은 이러한 제1밀폐벽(미도시)에서 내측방향으로 형성된 측면일 수 있다.
상술한 밀착부삽입홈(150)의 2가지 양상을 고려하였을 때, 제1밀폐측면(125)은 하부케이스(100)의 최외측에서 하부케이스(100)의 내측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제2밀폐벽(130)은 제1밀폐벽(120)에서 하부케이스(100)의 내측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위로 돌출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밀폐벽(120)과 제2밀폐벽(130) 사이에 밀착부삽입홈(150)이 형성되어 있다. 다시 말해, 밀착부삽입홈(150)의 외측방향의 내측면은 제1밀폐벽(120)의 제1밀폐측면(125)으로 구성되며, 밀착부삽입홈(150)의 내측방향으로 내측면은 제2밀폐벽(120)의 제2밀폐측면(135)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부케이스(200)가 하부케이스(100) 상에 장착되는 상태에서, 이러한 제2밀폐벽(130)은 후술할 상부케이스(200)에 형성된 제2밀폐벽삽입홈(230)에 삽입되어, 제2밀폐벽(130)의 상단(132)이 제2밀폐벽삽입홈(230)의 상단(232)에 밀착될 수 있다.
밀착부삽입홈(150)의 내측에서, 제2보조밀폐벽(135)은 제2밀폐벽(120)의 제2밀폐측면(135)의 하부에서 외측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보조밀폐벽(140)의 위로 돌출된 길이가 제2밀폐벽(130)보다 더 짧을 수 있다.
제2밀폐벽(130)의 제2밀폐측면(135)과 밀착벽(222)의 밀착으로 밀폐 기능을 발휘하고, 제1밀폐벽(120)의 제1밀폐측면(125)과 곡선부(224)의 일측의 밀착으로 밀폐 기능을 발휘하고, 제2보조밀폐벽(140)은 곡선부(224)의 일측으로부터 내측방향으로 연장된 곡선부(224)의 타측이 밀착되도록 구성되어 밀폐 기능을 발휘한다.
제2밀폐벽(130)과 제2보조밀폐벽(140)은 일체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부케이스(200)가 하부케이스(100) 상에 장착되는 상태에서, 밀착부삽입홈(150)의 내측으로 후술할 상부케이스(200)의 밀착부(220)가 삽입됨과 동시에 제2밀착벽(130)이 상부케이스(200)의 제2밀폐벽삽입홈(230)에 삽입된다.
상부케이스(200)가 하부케이스(100) 상에 장착되는 상태에서, 제2밀착벽(130)이 상부케이스(200)의 제2밀폐벽삽입홈(230)에 삽입됨에 따라 제2밀착벽(130)의 상단(132)이 제2밀폐벽삽입홈(230)의 상단(232)에 밀착된다는 것은 상술한 바와 같다.
상부케이스(200)가 하부케이스(100) 상에 장착되는 상태에서, 밀착부(220)가 밀착부삽입홈(150)에 삽입됨에 따라, 밀착부(220)의 밀착벽(222) 및 곡선부(224)가 밀착부삽입홈(150)의 내측면을 구성하는 제1밀폐측면(125) 및 제2밀폐측면(135)에 밀착되면서 밀폐력이 증대되며, 나아가 곡선부(224)가 밀착부삽입홈(150)의 내측에 형성된 제2보조밀폐벽(140)에 밀착되면서 밀폐력이 증대된다.
상부케이스(200)는, 상부케이스(200)의 최외측에서 상부케이스(200)의 내측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밀착부(220)를 포함한다.
상부케이스(200)가 하부케이스(100) 상에 장착되는 상태에서, 밀착부(220)는 아래로 돌출된 밀착벽(222) 및 밀착벽(222)의 하부에서 아래로 연장되어 형성되되, 아래로 내려갈수록 외측으로 젖혀진 상태로 형성된 곡선부(224)를 포함한다.
밀착부(220)의 재질은 플렉서블한 재질일 수 있다. 상부케이스(200)가 하부케이스(100) 상에 장착되는 상태에서, 제2밀폐벽(130)이 밀착부(220)의 밀착벽(222)을 밀면서 밀착벽(222)의 내측으로 밀착되면, 이에 밀착벽(222)은 외측방향으로 밀리게 된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밀착부(220)는 플렉서블한 재질임이 바람직하다.
곡선부(224)는 밀착벽(222)의 하부에 연장되어 아래로 돌출되어 형성되되, 외측으로 젖혀진 형태로서 아래로 갈수록 외측으로 더 젖혀진 형태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곡선부(148)도 플렉서블한 재질일 수 있다. 제1밀폐벽(130)이 밀착벽(222)을 밀면서 밀착된 상태에서, 밀착벽(222)이 외측방향으로 밀리게 되고, 밀착벽(222)에 연장되어 형성된 곡선부(224) 또한 외측방향으로 밀리게 된다. 곡선부(224)의 일측이 제1밀폐벽(120)으로 밀리면서 제1밀폐측면(125)에 밀착되고, 이와 동시에 반동으로 곡선부(148)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된 곡선부(148)의 타측이 다시 내측방향으로 밀리게 된다. 이렇게 다시 내측방향으로 밀리게 된 곡선부(148)의 타측이 제2보조밀폐벽(140)에 밀착되게 된다.
상부케이스(200)에서, 보조밀착부(240)는 밀착부(220)에서 상부케이스(200)의 내측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보조밀착부(240)와 밀착부(220) 사이에 제2밀폐벽삽입홈(230)이 형성된다.
상부케이스(200)가 하부케이스(100) 상에 장착되는 상태에서, 제2밀폐벽(130)이 제2밀폐벽삽입홈(230)에 삽입되고, 제2밀폐벽(130)의 상단(132)이 제2밀폐벽삽입홈(230)의 상단(232)에 밀착되어 밀폐력을 증대시킨다.
본원 발명에 따른 포장용기의 밀폐력 증대를 설명한다.
상부케이스(200)가 하부케이스(100) 상에 장착됨에 따라, 밀착부(220)가 밀착부삽입홈(150)으로 삽입되고, 제1밀착벽(130)이 제1밀착벽삽입홈(230)에 삽입된다.
밀착부(220)가 밀착부삽입홈(150)으로 삽입되는 과정 중, 제2밀폐벽(130)의 제1밀폐측면(135)이 밀착벽(222)의 내측방향의 측면을 외측방향으로 밀면서 밀착되고, 제2밀폐벽(130)의 상단(132)이 제2밀폐벽삽입홈(230)의 상단면에 밀착되어 우선적으로 2접점에서 밀착되어 밀폐된다.
다음으로, 밀착벽(222)이 외측방향으로 밀리면서 밀착벽(146)의 하부에 연장되어 형성된 곡선부(224) 또한 외측방향으로 밀린다. 곡선부(224)가 외측방향으로 밀리면서 곡선부(224)의 하부의 일측이 제1밀폐측면(125)에 밀착된다. 곡선부(224)의 하부의 일측이 제1밀폐측면(125)에 밀착됨과 동시에 제1밀폐측면(125)으로의 밀착에 따른 반동으로 다시 곡선부(148)의 하부가 내측방향으로 밀리면서, 곡선부(224)의 하부의 일측에서 내측방향으로 연장된 곡선부(224)의 하부 타측이 보조밀폐벽(244)에 밀착된다. 제1밀폐측면(125) 및 보조밀폐벽(140)과 곡선부(230)의 2접점 밀착으로 밀폐된다.
결국, 하부케이스(100)와 상부케이스(200)가 하부케이스(100) 상에 장착됨에 따라, 4 접점에서 밀착되어 밀폐력이 증대되되, 4 접점은 서로 간의 밀착력에 영향을 주어 밀착력을 강화시키는 방식으로 하여 밀폐력이 증대된다.
이상, 본 명세서에는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하부케이스
120: 제1밀폐벽 122: 상단 125: 제1밀폐측면
130: 제2밀폐벽 132: 상단 135: 제2밀폐측면
140: 제2보조밀폐벽
150: 밀착부삽입홈
200: 상부케이스
220: 밀착부 222: 밀착벽 224: 곡선부
230: 제2밀폐벽삽입홈
240: 보조밀착부

Claims (5)

  1. 내측에 내용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110)이 형성된 하부케이스(100); 및
    상기 하부케이스(100) 상에 장착되는 상부케이스(200)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케이스(200)는, 상기 상부케이스(200)의 최외측에서 상기 상부케이스(200)의 내측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밀착부(220)를 포함하며,
    상기 밀착부(220)는,
    아래로 돌출된 밀착벽(222); 및
    상기 밀착벽(222)의 하부에서 아래로 연장되어 형성되되, 외측으로 젖혀진 상태로 형성된 곡선부(224)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케이스(100)는, 상기 하부케이스(100)의 최외측에서 상기 하부케이스(100)의 내측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상기 밀착부(220)가 삽입되는 밀착부삽입홈(150)을 포함하며,
    상기 밀착부삽입홈(150)은 상기 하부케이스(100)의 최외측에서 상기 하부케이스(100)의 내측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된 제1밀폐측면(125)과, 상기 제1밀폐측면(125)에서 상기 하부케이스(100)의 내측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된 제2밀폐벽(130)의 외측방향의 측면인 제2밀폐측면(135)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하부케이스(100)는, 상기 밀착부삽입홈(150)의 내측의 상기 제2밀폐측면(135)의 하부에서 외측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되, 상기 제2밀폐벽(130)보다 위로 돌출된 길이가 더 짧은 제2보조밀폐벽(14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상부케이스(200)는, 상기 밀착부(220)에서 상기 상부케이스(200)의 내측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보조밀착부(240)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밀착부(220)와 상기 보조밀착부(240) 사이에 제2밀폐벽삽입홈(230)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케이스(200)가 상기 하부케이스(100)에 장착됨에 따라, 상기 제2밀폐벽삽입홈(230)으로 상기 제2밀폐벽(130)이 삽입되고, 상기 밀착부(220)가 상기 밀착부삽입홈(150)에 삽입되면서 상기 제2밀폐측면(135)이 상기 밀착벽(222)의 내측방향의 측면을 밀면서 밀착되고, 상기 곡선부(224)가 외측방향으로 밀리면서 상기 곡선부(224)의 일측이 상기 제1밀폐측면(125)에 밀착되고, 상기 곡선부(224)의 일측이 상기 제1밀폐측면(125)에 밀착됨에 따라 상기 곡선부(224)가 내측방향으로 밀리면서 상기 곡선부(224)의 타측이 상기 제2보조밀폐벽(140)에 밀착되면서 상기 수용공간(110)이 밀폐되는 포장용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케이스(200)가 상기 하부케이스(100)에 장착됨에 따라, 상기 제2밀폐벽삽입홈(230)으로 상기 제2밀폐벽(130)이 삽입되면서 상기 제2밀폐벽(130)의 상단(132)이 상기 제2밀폐벽삽입홈(230)의 상단(232)에 밀착되는 포장용기.
KR1020200022407A 2020-02-24 2020-02-24 밀폐력이 증대된 포장용기 KR1021361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2407A KR102136191B1 (ko) 2020-02-24 2020-02-24 밀폐력이 증대된 포장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2407A KR102136191B1 (ko) 2020-02-24 2020-02-24 밀폐력이 증대된 포장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6191B1 true KR102136191B1 (ko) 2020-07-21

Family

ID=71832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2407A KR102136191B1 (ko) 2020-02-24 2020-02-24 밀폐력이 증대된 포장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619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22337A (ja) * 1997-02-20 2001-11-13 チャールズ チャン 密封容器及び封止体構造
JP2005304572A (ja) * 2004-04-16 2005-11-04 Yoshida Industry Co Ltd 気密容器
JP4781554B2 (ja) * 2001-04-18 2011-09-28 吉田プラ工業株式会社 気密容器
KR20160122973A (ko) * 2015-04-15 2016-10-25 조지원 진공 밀폐 타입의 화장품용 컴팩트 리필 케이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22337A (ja) * 1997-02-20 2001-11-13 チャールズ チャン 密封容器及び封止体構造
JP4781554B2 (ja) * 2001-04-18 2011-09-28 吉田プラ工業株式会社 気密容器
JP2005304572A (ja) * 2004-04-16 2005-11-04 Yoshida Industry Co Ltd 気密容器
KR20160122973A (ko) * 2015-04-15 2016-10-25 조지원 진공 밀폐 타입의 화장품용 컴팩트 리필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3482B1 (ko) 밀폐용기
KR101685884B1 (ko) 재밀봉형 리필형 티슈 분배기
KR102108973B1 (ko) 화장품 용기
CN106043963B (zh) 微波炉用容器
KR101733281B1 (ko) 진공 밀폐 타입의 화장품용 컴팩트 리필 케이스
KR20200123790A (ko)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KR102136191B1 (ko) 밀폐력이 증대된 포장용기
JP7419925B2 (ja) 高気密密閉機構およびこれを備える容器
KR102096424B1 (ko) 밀폐력이 증대된 포장용기
KR100656565B1 (ko) 이중 덮개를 갖는 밀폐 용기
KR20060120522A (ko) 밀폐용기의 2단 잠금장치
KR101845361B1 (ko) 트레이 용기 구조체
KR101859941B1 (ko) 밀폐용기
JP4195602B2 (ja) 密閉式仕切り容器
JPH05330566A (ja) 密閉容器
CN218432639U (zh) 容器罐
KR200314922Y1 (ko) 밀폐용기용 뚜껑의 밀폐구조
KR100386498B1 (ko) 냉장고용 식품저장용기
KR200327600Y1 (ko) 음식물 보관용기의 사각커버
KR102563913B1 (ko) 고온고압 공기배출용 포장용기
KR200311105Y1 (ko) 밀폐용기용 뚜껑
KR200316253Y1 (ko) 보조손잡이가 구비된 밀폐용기
KR20030064084A (ko) 용기 뚜껑 밀폐용 클립
KR20040083327A (ko) 보조손잡이가 구비된 밀폐용기
KR20160100782A (ko) 밀폐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