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8973B1 -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8973B1
KR102108973B1 KR1020180051661A KR20180051661A KR102108973B1 KR 102108973 B1 KR102108973 B1 KR 102108973B1 KR 1020180051661 A KR1020180051661 A KR 1020180051661A KR 20180051661 A KR20180051661 A KR 20180051661A KR 102108973 B1 KR102108973 B1 KR 1021089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body
sealing
side portion
cover
inner circumfer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1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8022A (ko
Inventor
임성빈
Original Assignee
(주) 제이티
주식회사 명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제이티, 주식회사 명승 filed Critical (주) 제이티
Priority to KR10201800516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8973B1/ko
Publication of KR201901280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80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89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89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0068J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6Removable lids or covers having a peripheral channel embracing the rim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06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화장품 용기는, 내부공간에 내용물이 수용되고 상부가 개방되는 하부바디; 상기 상부를 덮도록 결합되며, 상기 하부바디의 내주에 형성된 지지턱에 지지되는 내부덮개; 상기 내부공간을 밀폐시키며, 상기 내부덮개와 상기 하부바디가 서로 밀착되는 부분을 따라 상기 밀착되는 부분에 인접한 양측을 모두 덮도록 점착되는 실링부; 및 상기 실링부를 덮으며 상기 하부바디와 결합되는 상부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덮개는, 일면으로부터 함몰된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하부바디의 내주를 대면하도록 형성되는 사이드부; 상기 사이드부의 상부에서 상기 지지턱에 걸리도록 형성되는 후크부; 및 상기 사이드부의 측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내주와 접촉하도록 형성되는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이드부의 상부와 상기 하부바디의 상면이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후크부의 두께와 상기 상면과 상기 걸림턱까지의 거리가 동일하게 형성된다.

Description

화장품 용기{Cosmetic container}
본 발명의 일실시예들은 하이드로겔 조성물이 수용되는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용겔을 포함하는 화장품은 휘발성 용매를 함유하고 있어 보관 중에 기밀이 유지되지 않게 되면 쉽게 변질하는 문제가 있다. 일 예로, 화장품 용기 내에 수납되는 하이드로겔 패치는 기밀이 제대로 유지되지 못할 경우에는 수분, 또는 휘발성 물질이 증발되어 고유 향이 소진되거나 딱딱하게 굳어져 사용수명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이유에서 하이드로겔 패치 등의 수용을 위한 화장품 용기는 내부에 수납된 하이드로겔 패치의 변질을 방지하기 위해 뚜껑의 닫음 시에 내부용기가 밀폐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기밀 화장품 용기는 종래에도 다양한 기술로 개시되고 있으나, 외부용기에 힌지 결합한 외부뚜껑이 대향 측에 구성된 로크부에 의해 개폐되는 로크개폐식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로크개폐식의 기밀 화장품용기에 있어, 수납용기(내부용기)에 충전된 화장품의 밀폐 수단으로서의 종래기술은 고무패킹(패킹)을 이용한 구조가 알려져 있다. 이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1987호(2006.11.21.)에도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고무패킹을 이용한 밀폐구조는 초기에는 밀폐력이 우수하나, 사용빈도가 많아져 개폐횟수가 많아지면서 고무의 탄성이 떨어져 밀폐력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고무는 플라스틱을 당기는 성질이 있어 커버를 열 때 소리가 발생해 사용에 불편을 초래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기존과는 다른 방법으로 이중 밀폐되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다 향상된 구조를 갖으며, 복합적인 기능을 갖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화장품 용기는, 내부공간에 내용물이 수용되고 상부가 개방되는 하부바디; 상기 상부를 덮도록 결합되며, 상기 하부바디의 내주에 형성된 지지턱에 지지되는 내부덮개; 상기 내부공간을 밀폐시키며, 상기 내부덮개와 상기 하부바디가 서로 밀착되는 부분을 따라 상기 밀착되는 부분에 인접한 양측을 모두 덮도록 점착되는 실링부; 및 상기 실링부를 덮으며 상기 하부바디와 결합되는 상부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덮개는, 일면으로부터 함몰된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하부바디의 내주를 대면하도록 형성되는 사이드부; 상기 사이드부의 상부에서 상기 지지턱에 걸리도록 형성되는 후크부; 및 상기 사이드부의 측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내주와 접촉하도록 형성되는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이드부의 상부와 상기 하부바디의 상면이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후크부의 두께와 상기 상면과 상기 걸림턱까지의 거리가 동일하게 형성된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사이드부의 상부의 너비가 상기 하부바디의 상면의 너비보다 넓게 형성된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에서 상기 후크부로 갈수록 상기 내주에 근접하도록, 상기 사이드부는 경사지게 형성된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부의 두께는 중앙부분에서 테두리부분으로 갈수록 두텁게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는 화장품 용기는 화장품의 수용되는 내부공간을 삼중으로 밀폐할 수 있으며, 내부공간의 팽창으로 인해, 밀폐가 해제되는 허용압력이 다른 용기에 비해 높다.
또한, 허용압력 이상에서 내부덮개가 변형되도록 이루어지므로, 화장품 용기가 항공기 내부와 같은 압력차가 큰 상황에서도 폭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화장품 용기의 전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화장품 용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상부 바디를 제거한 상태에서의 화장품 용기의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화장품 용기의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화장품 용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화장품 용기의 전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화장품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상부 바디를 제거한 상태에서의 화장품 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화장품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화장품 용기(100)는 상부바디(140), 하부바디(110), 내부덮개(120) 및 실링부(130)를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부바디(140)와 하부바디(110)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화장품 용기(100)의 외관을 형성한다. 상부바디(140)와 하부바디(110)는 각각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된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하부바디(110)는 내용물이 수용될 수 있도록 내부공간을 구비하며, 상부가 개방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하부바디(110)의 상부 외주를 따라 나사산이 형성된다. 상부바디(140)는 나사산에 대응되는 홈을 구비하며, 나사산을 따라 상부바디(140)가 회전함으로써 하부바디(110)에 결합된다.
하부바디(110)의 내주에 지지턱(118)이 형성되고, 지지턱(118)에 의해 지지되는 내부덮개(120)가 하부바디(110)의 개방된 상부를 덮도록 결합된다. 내부덮개(120)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수지로 형성된다. 내부덮개(120)의 상면에는 손잡이부가 형성된다.
실링부(130)는 하부바디(110)의 내부공간을 밀폐시키도록 하부바디(110)에 결합된다. 실링부(130)는 내부덮개(120)가 하부바디(110)에 결합된 상태에서 내부공간을 덮도록 내부덮개(120) 및 하부바디(110)에 결합된다. 실링부(130)는 실링지로 형성될 수 있다. 실링지는 폴리에스터 필름, 폴리올레핀 폼, 알루미늄 포일, 실런트 필름 등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서 본 바와 같이, 하부바디(110)의 내부공간에 내용물이 수용되고, 내용물을 덮도록 내부덮개(120)가 하부바디(110)에 결합된다. 내부덮개(120) 및 하부바디(110)를 덮도록 실링부(130)가 결합되면서 내부공간을 밀폐시킨다.
도 4를 참조하면, 내부덮개(120)는 베이스부(121), 사이드부(122), 후크부(123) 및 돌기부(124)를 포함한다. 베이스부(121)는 내부덮개(120)의 일면에서 함몰된 부분이다.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베이스부(121)의 상부에 내용물을 뜰 수 있게 형성된 스푼과 같은 도구가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부(121)가 일면으로부터 함몰되기 때문에, 실링부(130)와 베이스부(121) 사이에 빈 공간이 형성된다. 이로 인해 내부공간이 열에 의해 팽창되더라도 베이스부(121)가 실링부(130)를 직접 접촉하여 밀어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실링부(130)의 들뜸을 방지할 수 있다. 베이스부(121)의 두께는 중앙부분(d3)에서 테두리부분(d2)으로 갈수록 두텁게 형성된다. 중앙부분의 변형을 유도함으로써, 테두리부분에서의 변형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이로 인해, 중앙부분에서 테두리부분까지 그 두께가 같은 구조에 비해 허용압력에 다다를 때까지 내부공간을 좀 더 밀폐시킬 수 있다.
사이드부(122)는 베이스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며, 하부바디(110)의 내주와 대면하도록 형성된다. 사이드부(122)의 측면에는 돌기부(124)가 돌출되어 하부바디(110)의 내주와 접하도록 형성된다. 후크부(123)는 사이드부(122)의 상단에 형성될 수 있으며, 돌출된 부분이 지지턱(118)에 결리도록 형성된다. 후크부(123)의 측면은 하부바디(110)의 내주와 접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돌기부(124)와 후크부(123)가 각각 하부바디(110)의 내주에 접하도록 형성됨으로써, 내부공간을 이중으로 밀폐시킬 수 있다.
사이드부(122)는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허용압력 이상에서 내부공간의 가스가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즉, 허용압력 이상으로 내부가 부풀어 오르는 경우 사이드부(122)의 하부가 베이스부(121)의 중앙부분으로 이동하면서, 돌기부(124)와 내주와의 접촉이 해제될 수 있다. 후크부(123)와 하부바디(110)의 내주와의 밀착력은 돌기부(124)와 하부바디(110)의 내주와의 밀착력에 비해 약하기 때문에, 허용압력 이상에서 내부의 가스가 후크부(123)와 하부바디(110)의 내주 사이로 배출될 수 있다.
후크부(123)의 두께(d1)와 하부바디(110)의 상면에서 지지턱까지의 거리(t1)는 동일하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사이드부(122)의 상부와 하부바디(110)의 상면이 동일평면 상에 위치하게 된다. 실링부(130)는 사이드부(122)의 상부와 하부바디(110)의 상면을 동시에 덮으며, 사이드부(122)의 상부와 하부바디(110)의 상면에 각각 점착된다.
사이드부(122) 상부의 너비(w2)가 하부바디(110)의 상면의 너비(w1)보다 넓게 형성된다. 점착력이 하부바디(110)의 상면에 비해 떨어지고. 사이드부(122)가 탄성있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화장품 용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4)

  1. 내부공간에 내용물이 수용되고 상부가 개방되는 하부바디;
    상기 상부를 덮도록 결합되며, 상기 하부바디의 내주에 형성된 지지턱에 지지되는 내부덮개;
    상기 내부공간을 밀폐시키며, 상기 내부덮개와 상기 하부바디가 서로 밀착되는 부분을 따라 상기 밀착되는 부분에 인접한 양측을 모두 덮도록 점착되는 실링부; 및
    상기 실링부를 덮으며 상기 하부바디와 결합되는 상부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덮개는,
    일면으로부터 함몰된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하부바디의 내주를 대면하도록 형성되는 사이드부;
    상기 사이드부의 상부에서 상기 지지턱에 걸리도록 형성되는 후크부; 및
    상기 사이드부의 측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내주와 접촉하도록 형성되는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이드부의 상부와 상기 하부바디의 상면이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후크부의 두께와 상기 상면과 상기 지지턱까지의 거리가 동일하게 형성되고,
    상기 실링부는 상기 상부바디와 분리되며, 상기 실링부는 상기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한 상기 사이드부의 상부와 상기 하부바디의 상면을 동시에 덮도록 접착되고,
    상기 베이스에서 상기 후크부로 갈수록 상기 내주에 근접하도록, 상기 사이드부는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사이드부와 상기 내주 사이의 공간을 구획하도록 상기 돌기부는 상기 하부바디의 상면에 평행하게 상기 사이드부에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부의 두께는 중앙부분에서 테두리부분으로 갈수록 두텁게 형성되고,
    상기 돌기의 상면 높이와 상기 돌기의 하면 높이 사이에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이 위치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실링부는 폴리에스터 필름, 폴리올레핀 폼, 알루미늄 포일, 실런트 필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실링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부의 상부의 너비가 상기 하부바디의 상면의 너비보다 넓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3. 삭제
  4. 삭제
KR1020180051661A 2018-05-04 2018-05-04 화장품 용기 KR1021089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1661A KR102108973B1 (ko) 2018-05-04 2018-05-04 화장품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1661A KR102108973B1 (ko) 2018-05-04 2018-05-04 화장품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8022A KR20190128022A (ko) 2019-11-14
KR102108973B1 true KR102108973B1 (ko) 2020-05-12

Family

ID=68577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1661A KR102108973B1 (ko) 2018-05-04 2018-05-04 화장품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897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6272B1 (ko) 2021-07-06 2022-04-12 정규철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기밀 구조가 개선된 화장품 용기
KR102479322B1 (ko) 2021-08-11 2022-12-19 정규철 내용기와 캡 패킹 및 실링이 필요없는 화장품 용기
KR20230007763A (ko) 2021-07-06 2023-01-13 정규철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기밀 구조가 개선된 화장품 용기
KR102497536B1 (ko) 2021-08-11 2023-02-07 정규철 캡 패킹과 실링이 필요없는 화장품 용기
KR102499632B1 (ko) 2021-08-11 2023-02-13 정규철 내용기와 캡 패킹 및 실링이 필요없는 화장품 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6380B1 (ko) * 2020-06-29 2022-04-14 주식회사 삼화 크림 타입의 화장품 용기
KR102572894B1 (ko) * 2021-04-20 2023-08-29 이재성 용기와 뚜껑의 결착구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360832A1 (en) * 2014-05-30 2015-12-17 SBR Investments Company, L.L.C. Perfect seal canning lid device and system
KR101803794B1 (ko) * 2017-10-25 2017-12-01 주식회사 네스필러피케이지 원핸드 방식의 버튼 개폐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124960D0 (en) * 2001-10-17 2001-12-05 Rpc Containers Ltd Lid for container
FR2843689B1 (fr) * 2002-08-23 2005-04-08 Oreal Recipient a element de protection amovible, en particulier avant la premiere utilisa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360832A1 (en) * 2014-05-30 2015-12-17 SBR Investments Company, L.L.C. Perfect seal canning lid device and system
KR101803794B1 (ko) * 2017-10-25 2017-12-01 주식회사 네스필러피케이지 원핸드 방식의 버튼 개폐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6272B1 (ko) 2021-07-06 2022-04-12 정규철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기밀 구조가 개선된 화장품 용기
KR20230007763A (ko) 2021-07-06 2023-01-13 정규철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기밀 구조가 개선된 화장품 용기
KR102479322B1 (ko) 2021-08-11 2022-12-19 정규철 내용기와 캡 패킹 및 실링이 필요없는 화장품 용기
KR102497536B1 (ko) 2021-08-11 2023-02-07 정규철 캡 패킹과 실링이 필요없는 화장품 용기
KR102499632B1 (ko) 2021-08-11 2023-02-13 정규철 내용기와 캡 패킹 및 실링이 필요없는 화장품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8022A (ko) 2019-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8973B1 (ko) 화장품 용기
KR101685884B1 (ko) 재밀봉형 리필형 티슈 분배기
KR20190008836A (ko) 용기 및 뚜껑
KR101186260B1 (ko) 밀폐용기용 뚜껑 조립체
US3048299A (en) Re-usable plastic containers
CN106470914A (zh) 容器
JP4764198B2 (ja) 気密容器
KR101450113B1 (ko) 밀폐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KR102448889B1 (ko) 밀폐 기능의 내부마개를 갖는 화장품 용기
KR101312607B1 (ko) 실리콘용기
KR20130001718A (ko) 밀폐용기용 뚜껑 조립체
KR100656565B1 (ko) 이중 덮개를 갖는 밀폐 용기
KR20060120522A (ko) 밀폐용기의 2단 잠금장치
KR101510393B1 (ko) 밀폐용기용 뚜껑 조립체
KR101672236B1 (ko) 밀폐형 화장품 케이스
KR20160133081A (ko) 밀폐용기
JPH053149Y2 (ko)
KR200480741Y1 (ko) 발효식품용 누름 캡
KR102539851B1 (ko) 잠금날개를 갖춘 밀폐용기용 뚜껑
KR101807923B1 (ko) 기밀 결합 구조를 갖는 크림 타입의 화장품 용기
KR101961358B1 (ko) 밀폐 구조가 개선된 화장품 용기
JPH10287350A (ja) 食品のチューブ容器
KR950007265Y1 (ko) 밀폐반찬수납실이 구비된 도시락용기
US20210053732A1 (en) Container with multipurpose lid for extra storage
KR200279687Y1 (ko) 식품용기의 밀폐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