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6044B1 - 대식세포 유래의 세포외 소낭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모발 재생 촉진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대식세포 유래의 세포외 소낭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모발 재생 촉진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6044B1
KR101986044B1 KR1020180026134A KR20180026134A KR101986044B1 KR 101986044 B1 KR101986044 B1 KR 101986044B1 KR 1020180026134 A KR1020180026134 A KR 1020180026134A KR 20180026134 A KR20180026134 A KR 20180026134A KR 101986044 B1 KR101986044 B1 KR 1019860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minutes
extracellular
cells
ma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6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병철
라먀락쉬미
간가다란프라카시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261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60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60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60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14Blood; Artificial blood
    • A61K35/15Cells of the myeloid line, e.g. granulocytes, basophils, eosinophils, neutrophils, leucocytes, monocytes, macrophages or mast cells; Myeloid precursor cells; Antigen-presenting cells, e.g. dendritic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4Liposomes; Ves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mammals or bir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61K9/127Liposom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4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baldness or alopec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Zoology (AREA)
  • Birds (AREA)
  • Hematology (AREA)
  • Immun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ell Bi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Vir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식세포 유래의 세포외 소낭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모발 재생 촉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세포외 소낭은 모유두 세포의 이동 및 증식을 증가시키고, 모발의 신장 및 재생을 촉진할 수 있다.

Description

대식세포 유래의 세포외 소낭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모발 재생 촉진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ng Fall-Out Of Hair Or Growing Hair Comprising Extracellular Vesicles Isolated From Macrophage}
본 발명은 대식세포 유래의 세포외 소낭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모발 재생 촉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탈모란 정상적으로 모발이 있어야 할 곳에 모발이 없는 상태를 말하며 유전적 요인이 가장 주요한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사회적 스트레스의 증가와 더불어 환경오염 및 인스턴트 식품 등 서구화된 식습관, 잦은 파마와 염색, 잘못된 두피 관리로 인하여 탈모 인구가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아직까지 탈모에 대한 명확한 원인은 규명되고 있지 않았고, 최근 들어 탈모증으로 고민하는 사람이 점점 늘어나고 있으며 , 탈모가 발생하는 연령층도 낮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탈모증의 치료법에 관해서도 아직까지 뚜렷한 효과를 지닌 것은 없으며, 동의보감에는 탈모에 관계되는 몇몇 복용하는 처방들이 기재되어 있고, 특정 한약처방을 주침해서 바르는 방법과 특정 혈위를 자극하는 방법 등이 있지만 효과에 있어서는 개인적 차이가 많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신약 소재는 아직까지 보고되지 않고 있다.
종래의 탈모증 치료방법으로는 여성 호르몬을 이용하는 치료제가 있으나 피부 염증 발생, 호르몬 투여에 의한 부작용 발생 등의 보고가 있어 현재는 사용이 중단되고 있다. 최근 사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발모제로는, 발모용 원료로 미국식품의약품안전청(FDA)에서 승인받아 발모 치료제로 사용되고 있는 미국특허 제3,382,247호의 미녹시딜(6-Amino-1,2-dihydro-1-hydroxy-2-imino-4-phenoxypyrimidine) 등이 있다. 그러나 미녹시딜의 경우 끈적이는 사용감과 피부에 자극을 유발하는 부작용이 보고된 바 있다.
상기 문제점으로 인하여 새로운 탈모 치료제 또는 발모제에 대한 요구가 필요한 실정이며, 본 발명자들은 대식세포 유래의 세포외 소낭이 모발의 재생 및 증식을 촉진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044999호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대식세포 유래의 세포외 소낭(extracellular vesicles)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모발 재생용 약학 조성물과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양상은 대식세포 유래의 세포외 소낭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모발 재생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세포외 소낭(extracellular vesicles)'은 직경 약 20 ㎚부터 크게는 직경 약 5 ㎛의 크기를 갖는 막 구조 소낭체를 의미한다. 세포외 소낭은 그 크기와 구성에서 이질성이 있고, 엑소좀(exosome), 마이크로소낭(microvesicle) 등의 다수의 상이한 종을 포함한다. 세포외 소낭은 분비하는 기원 세포(공여 세포)의 상태를 반영하며, 어떤 세포에서 분비되었는가에 따라 다양한 생물학적 활성을 나타내고, 세포들 사이에 유전 물질과 단백질을 옮기면서 세포 간 상호작용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엑소좀(exosome)'은 다양한 세포들로부터 분비되는 막 구조의 작은 소낭을 의미한다. 엑소좀의 직경은 대략 30 내지 1,000 ㎚이며, 다낭체와 원형질막의 융합이 일어나 세포 밖 환경으로 방출되는 소낭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세포외 소낭은 30 내지 200 ㎚ 크기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60 ㎚ 크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세포외 소낭은 모유두 세포(dermal papilla cell) 내로 유입되어 모유두 세포의 증식 및 이동을 촉진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모유두 세포'는 모낭의 기저부에 존재하는 세포로, 모낭을 구성하는 세포들에게 산소와 영양을 공급하여 모발의 성장과 모낭 주기 조절을 담당한다. 따라서 모유두세포의 증식이 촉진되면 모발이 건강해지고 모발 성장이 촉진되며 탈모를 방지할 수 있다. 모발의 성장은 모유두(dermal papilla)를 둘러싸고 있는 상피세포(epithelial cell)가 분열하여 모간(hair shaft)을 만들면서 진행되기 때문에 모유두세포는 상피세포의 분열을 조절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탈모 방지 또는 모발 재생용 약학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 대식세포 유래 세포외 소낭을 포함하는 이외에 방부제, 안정화제, 수화제 또는 유화 촉진제, 삼투압 조절을 위한 염 및/또는 완충제 등의 약제학적 보조제 및 기타 치료적으로 유용한 물질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으며,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다양한 경구 투여제 또는 비경구 투여제 형태로 제형화할 수 있다.
상기 경구 투여제는 예를 들면, 정제, 환제, 경질 및 연질 캅셀제, 액제, 현탁제, 유화제, 시럽제, 분제, 산제, 세립제, 과립제, 펠렛제 등이 있으며, 이들 제형은 유효성분 이외에 계면 활성제, 희석제(예: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만니톨, 솔비톨, 셀룰로오스 및 글리신), 활택제(예: 실리카, 탈크, 스테아르산 및 그의 마그네슘 또는 칼슘염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를 함유할 수 있다. 정제는 또한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전분 페이스트, 젤라틴, 트라가칸스, 메틸셀룰로오스, 나트륨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및 폴리비닐피롤리딘과 같은 결합제를 함유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전분, 한천, 알긴산 또는 그의 나트륨 염과 같은 붕해제, 흡수제, 착색제, 향미제, 및 감미제 등의 약제학적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정제는 통상적인 혼합, 과립화 또는 코팅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경구 투여 형태로는 경피 투여형 제형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주사제, 점적제, 연고, 크림, 젤, 스프레이, 현탁제, 유제, 패취 등의 제형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유효성분의 투여량 결정은 통상의 기술자의 수준 내에 있으며, 약물의 1일 투여 용량은 투여하고자 하는 대상의 진행 정도, 발병 시기, 연령, 건강상태, 합병증 등의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은 대식세포 유래의 세포외 소낭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모발 재생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세포외 소낭은 모유두 세포의 이동 및 증식을 증가시키고, 모발의 신장 및 재생을 촉진하므로 탈모 방지 또는 모발 재생용 화장료 조성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는 대식세포 유래 세포외 소낭 이외에 기능성 첨가물 및 일반적인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첨가물로는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엑기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 포함되는 배합 성분으로서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정제수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제형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목적하는 바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 크림, 모이스처크림, 에센스, 영양에센스, 헤어팩 및 비누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품 분야에서 공지의 방법의 의해 제제화될 수 있고, 그 자체 또는 화장품 분야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등과 혼합하여 화장품 분야에서 통상으로 허용되는 제제 등으로 제제화될 수 있으며, 이들은 피부외용적으로 적합한 양으로 예컨대, 하루 1회에서 5회 도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그 자체, 또는 이를 리포좀에 담지시킨 상태로, 마이크로니들에 의해 두피에 적용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니들은 통상의 아미크로니들 시술법에 적용될 수 있는 의료용 또는 화장품용 회전체에 장착된 롤러장치를 사용하여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은 ⒜ 대식세포 배양액을 100 내지 500 g에서 5분 내지 30분 동안 1차 원심분리하는 단계; ⒝ 상기 1차 원심분리 후 상등액을 회수하여 1,000 내지 3,000 g에서 10분 내지 30분 동안 2차 원심분리하는 단계; ⒞ 상기 2차 원심분리 후 상등액을 회수하여 5,000 내지 20,000 g에 10분 내지 60분 동안 3차 원심분리하는 단계; ⒟ 상기 3차 원심분리 후 상등액을 회수하여 50,000 내지 150,000 g에서 10분 내지 60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펠렛을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모발 재생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제조 방법은 ⒞ 단계 이후 상등액을 0.1 내지 1.0 ㎛ 필터로 여과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식세포 유래의 세포외 소낭은 모유두 세포의 이동 및 증식을 증가시키고, 모발의 신장 및 재생을 촉진할 수 있다.
도 1은 대식세포에서 유래한 세포외 소낭의 단백질 성분, 형태 및 크기를 확인한 결과를 보여준다.
도 2는 모유두 세포에 의한 대식세포 유래 세포외 소낭의 흡수 여부를 확인한 결과를 보여준다.
도 3은 대식세포 유래의 세포외 소낭에 의한 모유두 세포의 세포 증식 및 세포 이동 증가 여부를 확인한 결과를 보여준다.
도 4는 대식세포 유래의 세포외 소낭에 의한 세포 생장 인자의 발현 변화를 모유두 세포에서 확인한 결과를 보여준다.
도 5는 대식세포 유래의 세포외 소낭에 의한 모발 신장 효과를 확인한 결과를 보여준다.
도 6은 대식세포 유래의 세포외 소낭에 의한 진피 재생 효과를 확인한 결과를 보여준다.
이하 하나 이상의 구체예를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하나 이상의 구체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세포외 소낭 ( extracellular vesicles) 분리 및 특징 분석
1-1. 대식세포에서 세포외 소낭 분리
마우스 대식세포인 Raw 264.7 세포주(ATCC)는 FBS(fetal bovine serum)가 제거된 10% EV(extracellular vesicle) 및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Gibco, USA)을 포함하는 DMEM-high glucose(HyClone, USA) 배지를 이용하여 37℃ 및 5% CO2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대식세포의 세포외 소낭(extracellular vesicles; 이하, EV로 기재함)은 약 80% 정도 생장한 Raw 264.7 세포주의 배양배지에서 초원심분리로 분리하였다. 간략하게, 불필요한 세포 및 고형물(debris)을 제거하기 위하여 37℃에서 300 g로 10분, 2000 g로 20분 및 10,000 g로 30분 동안 원심분리하였다. 이후 상등액을 0.45 ㎛ 필터로 여과하고, 100,000 g에서 30분 동안 초원심분리하여 EV 펠렛을 수득하였다. 수득한 EV 펠렛에 PBS를 첨가하여 초원심분리로 펠렛을 세척하고, PBS를 50 내지 100 ㎕ 첨가하여 펠렛을 풀어준 후 -80℃에 보관하였다. 이하에서는 Raw 264.7 세포주로부터 분리한 세포외 소낭을 MAC-EV로 기재한다.
1-2. 웨스턴 블롯
Raw 264.7 세포주 또는 MAC-EV에 SDS 용해 버퍼(62.5 mM Tris pH 6.8, 2% SDS, 0.1% β-mercaptoethanol, 10% 글리세롤 및 프로테아제 저해제; Sigma, USA)를 첨가하여 용해시키고, 동일한 양의 단백질을 10% SDS-PAGE(SDS-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로 분리하였다. 이후 단백질을 PVDF 막(Polyvinylidene fluoride membrane; Millipore)으로 트랜스퍼(transfer)하고, 1차 항체와 하룻밤 동안 접촉시켰다. 다음으로 2차 항체와 접촉시킨 후, 제조사의 프로토콜에 따라 ECL(enhanced chemiluminescence; GE Healthcare)로 단백질 밴드를 확인하였다.
확인 결과, 도 1의 A에 나타난 바와 같이 Raw 264.7 세포주와 비교하여 MAC-EV에 Alix(cytoplasmic protein)가 풍부하게 존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골지(golgi), 미토콘드리아 및 ER(endoplasmic reticulum) 마커인 GM130, 사이토크롬 C(cytochrome C) 및 칼넥신(calnexin)의 발현을 확인한 결과, MAC-EV에는 거의 존재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분리한 MAC-EV가 세포에 의해 오염되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1-3. 투과 전자 현미경(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분석
MAC-EV 펠렛을 2% 파라포름알데하이드 100 ㎕에 부유시킨 후 이중 5 ㎕를 포름바르 카본(Formvar-carbon)이 코팅된 EM 그리드(electron microscopy grid)에 부착시키고, 그리드를 알루미늄 호일로 감싼 뒤 20분 동안 건조시켰다. 파라필름에 PBS 100 ㎕를 떨어뜨린 후 그리드를 PBS 방울 위로 이동시켜 세척하고, 그리드를 1% 글루타르알데하이드 50 ㎕에 다시 이동시켜 실온에서 5분 동안 방치하였다. 이후 그리드를 탈이온수로 2분 동안 세척한 후 2% 우라닐 아세테이트(uranyl acetate)로 염색하고, 동일한 과정을 7번 반복한 후 그리드를 완전히 건조시켰다. 건조된 그리드를 HT 7700 투과 전자 현미경(Hitachi, Tokyo, Japan)으로 확인하여 MAC-EV의 크기를 확인하였다.
확인 결과, 도 1의 B에 나타난 바와 같이 MAC-EV는 구형의 소낭 형태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1-4. 나노입자 추적 분석( Nanoparticle tracking analysis, NTA )
MAC-EV의 크기는 Nano Sight LM 10(Malvern Instrument)을 이용하여 제조사의 프로토콜에 따라 측정하였다. 간략하게, MAC-EV 샘플을 milli-Q water에 1,000배 희석한 후 멸균된 주사기로 장비의 챔버에 샘플을 주입하여 분석하였다. MAC-EV의 크기 측정은 총 3회 수행하였다.
측정 결과, 도 1의 C에 나타난 바와 같이 MAC-EV의 평균 크기는 128.8±45.6 ㎚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1-5. DP 세포에 의한 MAC-EV의 흡수 여부
두피로부터 성장기(anagen phase)에 있는 모낭(hair follicle)을 분리한 후 100 ㎜ 세포 배양 접시에 분주하여 모유두 세포(dermal papilla cell; 이하, DP 세포로 기재함)를 배양하였다. 배양 배지는 열-불활성화(heat-inactivated)된 10% FBS 및 0.25% 트립신을 포함하는 DMEM-low glucose(HyClone, USA) 배지를 이용하였다. 배양 접시에 세포가 가득 차면 계대배양하고, 계대수 2인 세포를 실험에 이용하였다.
MAC-EV와 DID(lipophilic dye)를 혼합하여 실온에서 20분 동안 반응시키고, PBS를 첨가하여 초원심분리(100,000 g에서 30분)로 세척하였다. DID로 표지된 MAC-EV(이하, DID-MAC-EV로 기재함) 10 ㎍ 또는 20 ㎍을 DP 세포와 37℃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키고, 메탄올을 첨가하여 세포를 고정(fixation)시켰다. 고정된 세포를 커버슬립(coverslips; Vector Laboratories, USA)에 부착시킨 후, 안티페이드 용액(antifade agent)을 떨어뜨리고, LSM 780 레이저 스캐닝 현미경(Carl Zeiss, Germany)으로 세포를 관찰하였다.
관찰 결과,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처리 농도에 의존적으로 DID-MAC-EV가 DP 세포로 흡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1-6. MAC-EV에 의한 DP 세포의 이동 및 증식 증가 여부
DP 세포를 96-웰 플레이트에 분주(5,000 세포/웰)하고, 웰에 세포가 가득 차면 10 ㎕ 파이펫 팁으로 웰에 스크래치를 만들었다. PBS로 웰을 세척한 후 MAC-EV를 첨가하여 0시간, 12시간 및 24시간 동안 배양하고, 배양 종료 후 세포 이미지를 확인하여 DP 세포의 이동 정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3의 A 및 B에 나타난 바와 같이 대조군과 비교하여 MAC-EV를 12시간 처리한 경우 세포 이동이 1.5배(10 ㎍) 또는 2배(20 ㎍) 증가하고, MAC-EV를 24시간 처리한 경우 세포 이동이 2배(10 ㎍) 또는 3배(20 ㎍)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DP 세포를 96-웰 플레이트에 분주(5,000 세포/웰)하고, MAC-EV를 첨가하여 37℃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CCK-8 solution kit (Dojindo Molecular Technologies)를 이용하여 450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세포 생존율을 확인하였다.
확인 결과, 도 3의 C에 나타난 바와 같이 MAC-EV 처리 농도가 증가할수록 DP 세포의 생존율이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5 내지 15 ㎍: p<0.05; 20 ㎍: p<0.01).
1-7. MAC-EV 처리에 의한 DP 세포 생장 인자(growth facto)의 발현 변화 확인
DP 세포를 96-웰 플레이트에 분주(5,000 세포/웰)하고, MAC-EV를 처리하여 37℃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제조사의 프로토콜에 따라 TRI reagent로 DP 세포로부터 RNA를 분리하고, high capacity cDNA Synthesis Kit (ABI, USA)로 cDNA를 합성하였다. RT-PCR(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은 당업계에 알려진 방법에 따라 수행하였다.
그 결과,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MAC-EV 처리에 의하여 VEGF (vascularendothelial growth factor, 혈관내피세포 생장인자) 및 KGF (keratinocyte growth factor, 케라틴세포 생장인자)의 mRNA 수준이 현저하게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VEGF의 mRNA 수준은 약 2배 내지 5배 증가하고, KGF의 mRNA 수준은 약 4배 내지 17배 증가하였다. 상기 실험 결과를 통하여 MAC-EV가 생장인자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활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2. MAC-EV의 모발 재생 효과 확인
2-1. MAC-EV의 모발 신장 효과 확인
상기 실시예 1-5에서 분리한 인간 모낭에 0.1, 0.5, 1 및 2 ㎍/㎖ 농도의 MAC-EV를 처리하여 3일 또는 6일 동안 조직 배양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MAC-EV 처리에 의하여 모발이 현저하게 신장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경향은 MAC-EV 처리 농도 및 처리 시간에 의존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2-2. MAC-EV의 모발 재생 촉진 효과 확인
실험 시작 2일 전 5.5주령의 수컷 Balb/c 마우스(Hamamatsu; shizuoka, Japan)에서 등쪽의 모발을 제거하고, 무작위로 네 그룹(n=7/그룹)으로 분류하였다: 대조군(control; PBS 100 ㎕ 투여), 고용량 MAC-EV 투여군(MAC-EV 100 ㎍ 투여), 저용량 MAC-EV 투여군(MAC-EV 50 ㎍ 투여) 및 양성 대조군(3% Minoxidil 투여). 마우스의 피하에 해당 물질을 각각 투여하고, 양성 대조군인 3% 미녹시딜은 일주일에 2회, 총 4주 동안 등 피부에 도포하였다.
그 결과, 실험 시작 21일 차에 MAC-EV 투여군 및 양성 대조군에서 털이 자라나고, 모발 성장기에 있는 모낭의 비율이 약 50%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대조군에서는 털이 성장하는 것을 관찰할 수 없었다. 실험 시작 28일 차, 대조군과 비교하여 MAC-EV 투여군 및 양성 대조군에서는 털이 완전하게 자라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험 종료 후 마우스의 등 피부를 분리하여 10% 포르말린으로 고정하고, 헤마토자일린(hematoxylin) 및 에오신(eosin)으로 염색하였다. 진피 두께 (dermis thickness)는 조직 이미지를 ZEN lite microscopic software (ZEN lite 2.3 -carl Zeiss, Germany)로 분석하여 확인하였다.
확인 결과,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대조군과 비교하여 MAC-EV 투여군 및 양성 대조군(Minoxidil)에서는 진피의 두께가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MAC-EV 투여군은 양성 대조군과 유사하거나 더 우수한 정도로 진피 두께를 증가시켜 현저히 우수한 효과를 보여주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7)

  1. 대식세포 유래의 세포외 소낭(extracellular vesicles)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모발 재생용 약학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외 소낭은 30 내지 200 ㎚ 크기인 것인 탈모 방지 또는 모발 재생용 약학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외 소낭은 모유두 세포(dermal papilla cell) 내로 유입되는 것인 탈모 방지 또는 모발 재생용 약학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외 소낭은 모유두 세포 내로 유입되어 모유두 세포의 증식 및 이동을 촉진하는 것인 탈모 방지 또는 모발 재생용 약학 조성물.
  5. 대식세포 유래의 세포외 소낭(extracellular vesicles)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모발 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6. ⒜ 대식세포 배양액을 100 내지 500 g에서 5분 내지 30분 동안 1차 원심분리하는 단계;
    ⒝ 상기 1차 원심분리 후 상등액을 회수하여 1,000 내지 3,000 g에서 10분 내지 30분 동안 2차 원심분리하는 단계;
    ⒞ 상기 2차 원심분리 후 상등액을 회수하여 5,000 내지 20,000 g에서 10분 내지 60분 동안 3차 원심분리하는 단계;
    ⒟ 상기 3차 원심분리 후 상등액을 회수하여 50,000 내지 150,000 g에서 10분 내지 60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펠렛을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모발 재생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 방법은 ⒞ 단계 이후 상등액을 0.1 내지 1.0 ㎛ 필터로 여과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탈모 방지 또는 모발 재생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20180026134A 2018-03-06 2018-03-06 대식세포 유래의 세포외 소낭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모발 재생 촉진용 조성물 KR1019860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6134A KR101986044B1 (ko) 2018-03-06 2018-03-06 대식세포 유래의 세포외 소낭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모발 재생 촉진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6134A KR101986044B1 (ko) 2018-03-06 2018-03-06 대식세포 유래의 세포외 소낭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모발 재생 촉진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6044B1 true KR101986044B1 (ko) 2019-06-04

Family

ID=66811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6134A KR101986044B1 (ko) 2018-03-06 2018-03-06 대식세포 유래의 세포외 소낭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모발 재생 촉진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60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70782A3 (en) * 2021-04-09 2022-10-19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Composition for hair regeneration comprising macrophage-derived extracellular vesicle mimetic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4999A (ko) 2015-10-16 2017-04-26 (주)프로스테믹스 줄기세포 유래 엑소좀을 포함하는 상처 치료, 피부 개선 및 탈모 방지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4999A (ko) 2015-10-16 2017-04-26 (주)프로스테믹스 줄기세포 유래 엑소좀을 포함하는 상처 치료, 피부 개선 및 탈모 방지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Parakkal, J. Ultrastructure research, Vol. 29, p. 210-217 (1969)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70782A3 (en) * 2021-04-09 2022-10-19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Composition for hair regeneration comprising macrophage-derived extracellular vesicle mimetics
CN115245520A (zh) * 2021-04-09 2022-10-28 庆北大学校产学协力团 含巨噬细胞来源的细胞外囊泡模拟物的毛发再生组合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405272B (zh) 包含作为白薇提取物的指标成分的芥子酸或具有其的白薇提取物的皮肤再生用化妆品组合物及伤口治疗用药学组合物
KR20150008009A (ko) 피부 질병 또는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 및 조성물
KR102257524B1 (ko) 피부 진정 및 재생효과를 지니는 병풀 유래 엑소좀 함유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7005244B2 (ja) 育毛剤
KR102045188B1 (ko) 지방줄기세포 유래의 엑소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의 피부염 개선 용도
KR20210011964A (ko) 피부 병태를 치료하는 방법
EP2431031A2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hair loss or for stimulating hair growth
EP2612654B1 (en) Cosmetic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elasticity
KR20170093283A (ko) Gdf11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그의 용도
KR101986044B1 (ko) 대식세포 유래의 세포외 소낭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모발 재생 촉진용 조성물
KR20160050173A (ko) 신규 펩타이드 및 성장인자 콤플렉스를 함유한 상처 재생 및 피부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US20140039204A1 (en) 7&#39;-phloroeckol compound for hair proliferation and a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same
TWI680770B (zh) 干擾素誘導性T細胞α趨化因子在製備用於美白皮膚的組合物中的用途
WO2013148377A1 (en) Methods for modulating hair growth using truncated laminin-511
KR100753437B1 (ko) 홍삼 조사포닌과 감초,비오틴(Biotin),쿠퍼 펩타이드(Copper peptide), 사이토카인(Cytokines)을 함유한 나노 리포좀 입자 및 이를 함유한 헤어 케어용 화장료
KR20160117015A (ko) 진세노사이드 Rg1을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WO2020111047A1 (ja) 頭皮頭髪用組成物
JP2022517983A (ja) クローナル幹細胞を含むアトピー皮膚炎の予防または治療用薬学的組成物
EP4070782A2 (en) Composition for hair regeneration comprising macrophage-derived extracellular vesicle mimetics
TWI742389B (zh) 促進黑色素生成的胜肽及其方法
KR102011826B1 (ko) 인터루킨 13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WO2022063307A1 (zh) 靶向tert在调节皮肤及毛发色素中的应用
KR101986092B1 (ko) 유두진피 섬유아세포의 고순도 분리 방법
KR101910595B1 (ko) 터티오펜 유도체를 함유하는 탈모치료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
JP2004189676A (ja) 損傷皮膚改善用外用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