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5482B1 - 라인마크 겸용 가스누출 검지공 - Google Patents

라인마크 겸용 가스누출 검지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5482B1
KR101985482B1 KR1020170175513A KR20170175513A KR101985482B1 KR 101985482 B1 KR101985482 B1 KR 101985482B1 KR 1020170175513 A KR1020170175513 A KR 1020170175513A KR 20170175513 A KR20170175513 A KR 20170175513A KR 101985482 B1 KR101985482 B1 KR 1019854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reinforcing
hole
circumferential surfac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5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4208A (ko
Inventor
우성진
우종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협성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협성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협성이엔지
Priority to KR10201701755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5482B1/ko
Publication of KR201900042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42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54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54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5/00Nails; Stap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라인마크 겸용 가스누출 검지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하에 매설된 가스배관으로부터 가스 누출 여부를 지면에서 간편하게 검지가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가스배관의 매설 과정에서 같이 설치되었던 기존의 검지공과 달리 가스배관의 매설에 따른 노면(다짐)공사가 완료된 후에 검지공을 설치가능하도록 하여 검지공이 설치된 주변 노면의 손상 및 파손을 최소화하는 한편, 검지공의 상부에 가스배관의 매설 위치, 방향, 분기 또는 종류 등을 확인할 수 있는 라인마크(표시못) 기능을 겸할 수 있는 라인마크 겸용 가스누출 검지공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라인마크 겸용 가스누출 검지공{Leakage checking hole for gas leakage of the underground buried gas-pipelines}
본 발명은 라인마크 겸용 가스누출 검지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하에 매설된 가스배관으로부터 가스 누출 여부를 지면에서 간편하게 검지가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가스배관의 매설 과정에서 같이 설치되었던 기존의 검지공과 달리 가스배관의 매설에 따른 노면(다짐)공사가 완료된 후에 검지공을 설치가능하도록 하여 검지공이 설치된 주변 노면의 손상 및 파손을 최소화하는 한편, 검지공의 상부에 가스배관의 매설 위치, 방향, 분기 또는 종류 등을 확인할 수 있는 라인마크(표시못) 기능을 겸할 수 있는 라인마크 겸용 가스누출 검지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 수용가로 공급되는 도시가스 등은 지하에 매설되는 형태로 관로를 형성하고, 이와 같은 관로는 다수개의 가스 배관이 상호 관이음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아울러, 상기한 관로는 한국가스공사로부터 천연가스를 공급받거나, LPG에 공기를 혼합하여 지구정압기, 지역정압기를 거쳐 일반 수용가로 공급되는 바, 지역정압기까지는 가스가 중, 고압의 상태로 공급되는 반면, 지역정압기에서 각 수용가로 공급되도록 설치되는 관로상에는 비교적 저압의 상태로 가스가 공급된다.
여기서, 상술한 관로의 대부분은 지하에 매설되는 구조로 공급라인을 형성하는 바, 자동차가 소통하는 차도나 사람들이 통행하는 인도 등 각 수용가로 연결되는 관로는 일정 깊이의 지면 하부로 매설된다.
이러한 관로는 장시간 사용되거나 주변환경의 변화 및 주변 구조물의 신설과 보수(예를 들면, 도로의 신설, 보수, 상, 하수도의 신설, 보수, 통신 케이블의 신설, 보수 등)로 인하여 지반이 물리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음, 아울러, 구조물들의 시설과 보수에 의하여 미세한 충격을 받는 일이 발생하는 바, 이러한 영향은 즉각적으로 배관에 영향을 주어 가스가 누출될 수도 있으나, 오랜시간이 경과하면서 점차 균열이 커지면서 가스가 누출되는 경우도 발생하게 된다.
이에 관로에서 가스가 누출되는지 여부를 검지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가스 배관의 매설 시 검지공을 설치하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검지공은 상술한 바와 같이, 지하에 매설된 가스배관으로부터 가스가 누출되는 여부를 검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한국가스안전공사에서는 검지공에 대하여 '보호용 철판 상부에 구멍을 뚫고 100m 간격으로 지면에서 검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말한다. 매설 설치된 배관의 가스누출유무의 확인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중압 이상의 배관이 도로 밑에 설치되는 경우에 적용한다. 그 재료는 KS D3507(배관용 탄소강관)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강관에 폴리에틸렌을 코팅한 것을 사용하고 검지공의 관경은 32mm이상이 되어야 한다. 또한, 상단은 이물질이 들어가지 않도록 캡을 씌우고 검지공 상단과 검지공 뚜껑 하단과는 8cm 이상 이격한다. 검지함의 설치장소는 가능한한 차량소통에 지장이 없는 곳으로 향후 점검이 용이한 곳에 설치한다. 검지공은 보호판의 중앙을 천공하여 용접하며, 용접열로 인한 보호판의 코팅손상이 최소가 되도록 하고 용접한 후 열에 의하여 손상된 부분은 프라이머(primer)를 도포하여 방식 처리한다.'라고 정의하고 있다.
이와 같은 검지공은 통상적으로 가스배관을 매설하는 과정에서 같이 설치되고 있는 것으로,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터파기한 지하에 가스배관을 설치하고 가스배관의 옆부분에 인접하여 관(pipe) 형태의 검지공을 수직방향으로 설치한 후, 터파기한 지면을 메우고 최상단부에 위치한 아스팔트 표면(표층) 부분에 검지공을 보호하기 위한 TB(Test Box)를 설치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검지공은 아스팔트 표장 시 TB 주변의 다짐공정을 충분히 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노면의 내구성이 저하되어 도 2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검지공 주변 노면의 크랙, 침하, 이탈, 탈락 등이 발생될 뿐만 아니라, 이러한 불량노면에 대한 유지관리 및 보수작업이 빈번하게 발생되므로, 많은 인력과 예산이 낭비되는 일이 반복되고 있으며, 불량한 노면 상태에 의한 교통사고 발생의 위험도 상존하여 심각한 인명피해를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지하에 매설된 가스배관을 지면에서는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가스배관의 매설 위치, 방향, 분기 또는 종류 등을 확인할 수 있는 라인마크(표시못)를 지면에 설치하여 이를 표시하도록 하는데, 기존의 검지공은 단순히 가스 누출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검사장치만을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표시못을 별도로 작업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지하에 매설된 가스배관으로부터 가스가 누출되는지 여부를 지면에서 간편하게 검지가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가스배관의 매설 과정에서 같이 설치되었던 기존의 검지공과 달리 가스배관의 매설에 따른 노면(다짐)공사가 완료된 후에 검지공을 설치가능하도록 하여 검지공이 설치된 주변 노면의 손상 및 파손을 최소화하는 라인마크 겸용 가스누출 검지공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가스배관의 매설 후, 노면(다짐)공사를 시방규정대로 수행할 수 있는 조건을 만들어 관로시공의 시공성 향상과 품질확보는 물론, 부실공사를 예방하여 경제적 손실예방 효과가 우수하고, 사업비 절감을 도모하는 라인마크 겸용 가스누출 검지공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검지공의 표시부 상부에 가스배관의 매설 위치, 방향, 분기 또는 종류 등을 확인할 수 있는 라인마크(표시못) 기능을 겸할 수 있도록 하는 라인마크 겸용 가스누출 검지공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기존에 검지공이 미설치되어 있는 지면에 최소비용으로 설치가 가능함은 물론, 현장 여건에 따라 다양한 간격(50~500m)으로 설치가 용이하여, 검지공 미설치구간의 가스누출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라인마크 겸용 가스누출 검지공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라인마크 겸용 가스누출 검지공은 누출된 가스가 통기할 수 있도록 중공(110)이 구비된 관 형태로 형성되며, 외주면 일측에는 조임홈(120)이 구비되고, 상단부에는 제1체결부(130)가 형성되어 설정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지중에 매설되는 검지부(100); 상기 검지부의 제1체결부에 대응되어 체결되도록 하부에는 제1결합부(210)가 구비되고, 외주면에는 하나 이상의 유동방지홈(220)이 형성되며, 상단부에 제2결합부(230)가 형성되는 보강부(200); 상기 보강부의 제2결합부에 대응되는 제2체결부(310)가 구비되어 상기 보강부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2체결부의 상부에는 상기 검지부의 중공과 연통되는 통공(320)이 구비되는 원판형의 커버(330)가 형성되되, 상기 커버는 통공의 내주면에 제3체결부(340)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표시부(300); 및 상기 표시부의 통공을 밀폐하도록 상기 통공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3체결부에 대응되어 체결되도록 외주면에 제3결합부(410)가 구비되는 록킹부(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검지부(100)는 내부식성을 보강하기 위해 상기 중공(110)의 내측에 스테인리스 재질의 보조관(140)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강부(200)는 하단부의 직경(d2)이 상단부의 직경(d1)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도록 외주면에 테이퍼부(20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300)는 지하에 매설된 가스 배관에 대한 식별정보(350)를 외부에서 관찰이 용이하도록 지면에 노출된 상기 표시부의 상부면에 상기 식별정보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라인마크 겸용 가스누출 검지공의 매설방법은 라인마크 겸용 가스누출 검지공(10)을 매설하는 방법에 있어서, 지면(20)상에 지하에 매설된 가스배관을 따라 설정된 간격만큼 마킹하는 단계(S100); 상기 지면상에 마킹된 부분을 코어드릴(700)이 장착된 천공기를 이용하여 설정된 깊이로 천공하여 매설공을 마련하는 단계(S200); 상기 매설공의 내측에 검지부(100), 보강부(200), 표시부(300) 및 록킹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검지공(10)을 매설하는 단계(S3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상기 코어드릴(700)은 상기 검지부(100)의 직경 및 길이에 대응되는 구경을 천공하기 위한 소형비트(710); 상기 소형비트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보강부(200)의 직경 및 길이에 대응되는 구경을 천공하기 위한 코어비트 형태의 중형비트(720); 및 상기 중형비트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표시부(300)의 직경 및 높이에 대응되는 구경을 천공하기 위한 코어비트 형태의 대형비트(730); 가 일체형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지하에 매설된 가스배관으로부터 가스가 누출되는지 여부를 지면에서 간편하게 검지가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가스배관의 매설 과정에서 같이 설치되었던 기존의 검지공과 달리 가스배관의 매설에 따른 노면(다짐)공사가 완료된 후에 검지공을 설치가능하도록 하여 검지공이 설치된 주변 노면의 손상 및 파손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스배관의 매설 후, 노면(다짐)공사를 시방규정대로 수행할 수 있는 조건을 만들어 관로시공의 시공성 향상과 품질확보는 물론, 부실공사를 예방하여 경제적 손실예방 효과가 우수하고, 사업비 절감의 장점이 있다.
또한, 검지공의 표시부 상부에 가스배관의 매설 위치, 방향, 분기 또는 종류 등을 확인할 수 있는 라인마크(표시못) 기능을 겸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기존에 검지공이 미설치되어 있는 지면에 최소비용으로 설치가 가능함은 물론, 현장 여건에 따라 다양한 간격(100~500m)으로 설치가 용이하여, 검지공 미설치구간의 가스누출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의 검지공에 대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라인마크 겸용 가스누출 검지공의 분해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라인마크 겸용 가스누출 검지공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라인마크 겸용 가스누출 검지공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검지부의 분해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보강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8b는 도 8a의 A-A'선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표시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표시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완충부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완충부의 분해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라인마크 겸용 가스누출 검지공의 매설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라인마크 겸용 가스누출 검지공의 매설방법에 의해 검지공이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코어드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라인마크 겸용 가스누출 검지공의 분해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라인마크 겸용 가스누출 검지공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라인마크 겸용 가스누출 검지공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검지부의 분해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보강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8b는 도 8a의 A-A'선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표시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표시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완충부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완충부의 분해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라인마크 겸용 가스누출 검지공의 매설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라인마크 겸용 가스누출 검지공의 매설방법에 의해 검지공이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코어드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4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라인마크 겸용 가스누출 검지공은 크게 검지부(100), 보강부(200), 표시부(300) 및 록킹부(40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검지부(100)는 누출된 가스가 통기할 수 있도록 중공(110)이 구비된 관 형태로 형성되며, 외주면 일측에는 조임홈(120)이 구비되고, 상단부에는 제1체결부(120)가 형성되어 설정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지중에 매설된다.
또한, 상기 검지부는 내수성 및 내식성이 우수한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스테인리스 계열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지부는 지면의 가장 표면층(아스콘-15cm 정도의 두께로 포장됨)보다 깊이 매설될 수 있도록 통상 20cm 내지 30cm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으나, 현장 여건에 따라 다양하게 제작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검지부는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부식성을 보강하기 위해 상기 중공(110)의 내측에 스테인리스 재질의 보조관(140)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검지부가 전부 스테인리스 재질로 제작될 경우, 생산원가가 높아짐에 따라 경제성이 낮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므로, 상기 검지부는 생산원가가 상대적으로 낮은 금속재질 또는 합성수지재(강화 플라스틱 등)로 형성되고, 스테인리스 재질의 상기 보조관(140)을 검지부의 중공 내측에 삽입고정함으로써,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강부(200)는 상기 검지부의 제1체결부에 대응되어 체결되도록 하부에는 제1결합부(210)가 구비되고, 외주면에는 하나 이상의 유동방지홈(220)이 형성되며, 상단부에 제2결합부(23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체결부 및 제1결합부는 나사형태로 체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현장 여건이나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암나사산/숫나사산 형태의 설계변경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동방지홈은 상기 보강부가 매설된 후, 외부요인에 의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보강부가 매설되는 표층(아스콘 부분)과 결합되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강부는 도 8a 내지 도 8b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단부의 직경(d2)이 상단부의 직경(d1)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도록 외주면에 테이퍼부(20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테이퍼부(210)는 도로의 재포장과 같은 유지보수 작업시에 검지공을 제거하는 경우, 하단부에 좁은 형태로 형성되어 지면으로부터 쉽게 제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표시부(300)는 상기 보강부의 제2결합부에 대응되는 제2체결부(310)가 구비되어 상기 보강부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2체결부의 상부에는 상기 검지부의 중공과 연통되는 통공(320)이 구비되는 원판형의 커버(330)가 형성되되, 상기 커버는 통공의 내주면에 제3체결부(340)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표시부는 상기 보강부의 제2결합부에 대응되어 체결되도록 제2체결부(310)가 형성되며, 상기 제2체결부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부면이 지면에 노출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표시부는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하에 매설된 가스 배관에 대한 식별정보(350)를 외부에서 관찰이 용이하도록 지면에 노출된 상기 표시부의 상부면에 상기 식별정보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식별정보는 가스배관의 방향, 가스의 종류, 매설깊이 또는 제조사를 포함하는 정보일 수 있으며, 양각 또는 음각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결합부 및 제2체결부는 나사형태로 체결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현장 여견이나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암나사산/숫나사산 형태의 설계변경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는 상부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난방지홈(36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난방지홈은 내측에 도난방지센서(미도시)가 내장될 수 있으며, 상기 도난방지센서에 식별코드와 일치하는 신호가 송신되는 별도의 해제부재(미도시)를 마련하여, 상기 해제부재 이외의 도구로 상기 표시부를 제거하는 경우, 관리자에세 알림메세지를 발송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도난방지홈이 둘 이상이 배치되는 경우, 임의의 형태로 배치하여 상기 도난방지홈의 갯수 및 배치와 일치하는 해제부재에 의해서만 제거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록킹부(400)는 상기 표시부의 통공을 밀폐하도록 상기 통공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3체결부에 대응되어 체결되도록 외주면에 제3결합부(41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3체결부 및 제3결합부는 나사형태로 체결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현장 여견이나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암나사산/숫나사산 형태의 설계변경이 가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록킹부는 기존의 표시못을 전부 제거해야하는 번거로움 없이, 상기 록킹부를 간단히 제거하여 가스 누출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보강부는 도 10 내지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면에 검지공의 매설이 완료된 후, 사람이나 자동차 등 지면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파손 또는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보강부의 하부에 완충부(500)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완충부는 상단부가 상기 보강부의 하부면 외측둘레를 따라 형성된 삽입공에 내장되고, 하단부는 지면에 접촉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고정플랜지(510), 연장부(520), 슬라이딩부(530), 지지플랜지(540) 및 완충스프링(550)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플랜지(510)는 상기 보강부의 하면에 고정볼트를 이용하여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연장부(520)는 고정플랜지(510)에서 일체로 하향 연장형성되되, 이러한 연장부(520)의 외주면에는 가이드돌기(56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부(530)는 연장부(520)의 외벽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 되는 부재로서, 이와 반대로 연장부(520)가 슬라이딩부(530)의 내벽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슬라이딩부(530)의 상하방향, 즉, 길이방향으로는 가이드슬롯(570)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가이드슬롯(570)에는 가이드돌기(560)가 끼워져 착석부(20)에 일측으로 힘이 쏠리는 경우에도 슬라이딩부(530)가 연장부(520)의 외벽을 따라 안정적으로 상하 작동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가이드돌기(560)와 가이드슬롯(570)에 의해 보강부가 좌우로 흔들리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플랜지(510)와 지지플랜지(540) 사이에는 완충스프링(550)이 설치되어 보강부에 가해지는 하중에 따라 완충스프링(550)의 탄성력은 증감되며, 이러한 완충스프링(550)에 의해 보강부에 가해지는 하중을 골고루 분산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완충스프링(550)의 상단과 하단이 고정플랜지(510)와 지지플랜지(540)에 각각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에 따라, 상기 고정플랜지(510)의 하면에는 완충스프링(550)의 상단이 끼워져 고정되는 제1고정부(미도시)가, 지지플랜지(540)의 상면에는 완충스프링(550)의 하단이 끼워져 고정되는 제2고정부(미도시)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완충부(50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가 구비되는데, 상기 보강부의 중앙을 중심으로 외곽 둘레를 따라 배치되어 효율적으로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완충부의 하부에는 보조완충부(600)가 설치될 수 있는데, 이러한 보조완충부(600)는 도 11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플랜지(610), 보조스프링(620)으로 구성된다.
상기 보조플랜지(610)는 지지플랜지(34)의 하부에 배치되는 부재이며, 이러한 보조플랜지(610)와 지지플랜지(34)의 사이에는 보조스프링(620)이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보조플랜지(610)와 보조스프링(620)의 외부에는 예컨대, 자바라(630)가 구비되어 보조플랜지(610)와 보조스프링(620)이 지지플랜지(540)의 하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보조완충부(600)는 상기 완충부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완충스프링(550)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할 수 있으므로, 상기 완충스프링(550)의 탄성복원력을 장기간 유지시킬 수 있고, 이에 수명이 오래가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라인마크 겸용 가스누출 검지공의 매설방법은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라인마크 겸용 가스누출 검지공(10)을 매설하는 방법에 있어서, 지면(20)상에 지하에 매설된 가스배관을 따라 설정된 간격만큼 마킹하는 단계(S100); 상기 지면상에 마킹된 부분을 코어드릴(700)이 장착된 천공기를 이용하여 설정된 깊이로 천공하여 매설공을 마련하는 단계(S200); 상기 매설공의 내측에 검지부(100), 보강부(200), 표시부(300) 및 록킹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검지공(10)을 매설하는 단계(S3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마킹은 통상적으로 50m 간격마다 하고 있으나, 현장 여건에 따라 100m 내지 500m 단위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기 코어드릴(700)은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검지부(100)의 직경 및 길이에 대응되는 구경을 천공하기 위한 소형비트(710); 상기 소형비트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보강부(200)의 직경 및 길이에 대응되는 구경을 천공하기 위한 코어비트 형태의 중형비트(720); 및 상기 중형비트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표시부(300)의 직경 및 높이에 대응되는 구경을 천공하기 위한 코어비트 형태의 대형비트(730); 가 일체형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지하에 매설된 가스배관으로부터 가스가 누출되는지 여부를 지면에서 간편하게 검지가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가스배관의 매설 과정에서 같이 설치되었던 기존의 검지공과 달리 가스배관의 매설에 따른 노면(다짐)공사가 완료된 후에 검지공을 설치가능하도록 하여 검지공이 설치된 주변 노면의 손상 및 파손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스배관의 매설 후, 노면(다짐)공사를 시방규정대로 수행할 수 있는 조건을 만들어 관로시공의 시공성 향상과 품질확보는 물론, 부실공사를 예방하여 경제적 손실예방 효과가 우수하고, 사업비 절감의 장점이 있다.
또한, 검지공의 표시부 상부에 가스배관의 매설 위치, 방향, 분기 또는 종류 등을 확인할 수 있는 라인마크(표시못) 기능을 겸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기존에 검지공이 미설치되어 있는 지면에 최소비용으로 설치가 가능함은 물론, 현장 여건에 따라 다양한 간격(100~500m)으로 설치가 용이하여, 검지공 미설치구간의 가스누출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검지부 110 ... 중공
120 ... 조임홈 130 ... 제1체결부
140 ... 보조관
200 ... 보강부 201 ... 테이퍼부
210 ... 제1결합부 220 ... 유동방지홈
230 ... 제2체결부
300 ... 표시부 310 ... 제2결합부
320 ... 통공 330 ... 커버
340 ... 제3체결부 350 ... 식별정보
400 ... 록킹부 410 ... 제3결합부
500 ... 완충부 600 ... 보조완충부
700 ... 코어드릴

Claims (1)

  1. 누출된 가스가 통기할 수 있도록 중공(110)이 구비된 관 형태로 형성되며, 외주면 일측에는 조임홈(120)이 구비되고, 상단부에는 제1체결부(130)가 형성되어 설정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지중에 매설되는 검지부(100); 상기 검지부의 제1체결부에 대응되어 체결되도록 하부에는 제1결합부(210)가 구비되고, 외주면에는 하나 이상의 유동방지홈(220)이 형성되며, 상단부에 제2결합부(230)가 형성되고, 하단부의 직경(d2)이 상단부의 직경(d1)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도록 외주면에 테이퍼부(201)가 형성되는 보강부(200); 상기 보강부의 제2결합부에 대응되는 제2체결부(310)가 구비되어 상기 보강부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2체결부의 상부에는 상기 검지부의 중공과 연통되는 통공(320)이 구비되는 원판형의 커버(330)가 형성되되, 상기 커버는 통공의 내주면에 제3체결부(340)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표시부(300); 및 상기 표시부의 통공을 밀폐하도록 상기 통공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3체결부에 대응되어 체결되도록 외주면에 제3결합부(410)가 구비되는 록킹부(400);를 포함하되,
    상기 보강부는, 외력에 의해 파손 또는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보강부의 하부에 완충부(5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완충부는, 상기 보강부의 하면에 고정되는 고정플랜지(510); 상기 고정플랜지에서 일체로 하향 연장형성되는 연장부(520); 상기 연장부의 외벽을 따라 상하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부(530); 상기 슬라이딩부의 단부에 형성되는 지지플랜지(540) 및 상기 고정플랜지와 지지플랜지 사이에 설치되어 보강부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하기 위한 완충스프링(500)을 더 포함하되,
    상기 검지부(100)는
    내부식성을 보강하기 위해 상기 중공(110)의 내측에 스테인리스 재질의 보조관(140)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마크 겸용 가스누출 검지공.

KR1020170175513A 2017-12-19 2017-12-19 라인마크 겸용 가스누출 검지공 KR1019854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5513A KR101985482B1 (ko) 2017-12-19 2017-12-19 라인마크 겸용 가스누출 검지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5513A KR101985482B1 (ko) 2017-12-19 2017-12-19 라인마크 겸용 가스누출 검지공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4489A Division KR101812798B1 (ko) 2017-07-03 2017-07-03 지하 매설배관의 가스누출 유무 확인을 위한 검지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4208A KR20190004208A (ko) 2019-01-11
KR101985482B1 true KR101985482B1 (ko) 2019-06-03

Family

ID=65028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5513A KR101985482B1 (ko) 2017-12-19 2017-12-19 라인마크 겸용 가스누출 검지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548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1557B1 (ko) 2020-03-12 2020-10-29 주식회사 삼천리이엔지 원격 유체누출 확인용 검침공
KR102445919B1 (ko) 2022-03-17 2022-09-20 주식회사 삼천리이엔지 수분 침투를 방지할 수 있는 원격 유체 누출 확인용 검침공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90957B (zh) * 2021-04-30 2022-11-01 中国地震局工程力学研究所 一种管道外壁检测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3087Y1 (ko) 2008-04-22 2009-01-08 포항도시가스 주식회사 지하 매설물 표시용 라인 마크
KR100881151B1 (ko) 2007-11-12 2009-02-02 이봉관 가스누출검사 겸용 라인마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96551B2 (ja) * 1989-02-07 1998-09-10 臼井国際産業株式会社 厚肉細径燃料噴射管及びその製造方法
JP2922847B2 (ja) * 1996-06-05 1999-07-26 株式会社ミヤナガ 多段ビット用ストッパ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1151B1 (ko) 2007-11-12 2009-02-02 이봉관 가스누출검사 겸용 라인마크
KR200443087Y1 (ko) 2008-04-22 2009-01-08 포항도시가스 주식회사 지하 매설물 표시용 라인 마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1557B1 (ko) 2020-03-12 2020-10-29 주식회사 삼천리이엔지 원격 유체누출 확인용 검침공
KR102445919B1 (ko) 2022-03-17 2022-09-20 주식회사 삼천리이엔지 수분 침투를 방지할 수 있는 원격 유체 누출 확인용 검침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4208A (ko) 2019-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2798B1 (ko) 지하 매설배관의 가스누출 유무 확인을 위한 검지공
KR101985482B1 (ko) 라인마크 겸용 가스누출 검지공
CA2762236C (en) Systems and methods for locating and restoring service lines in pipeline rehabilitation
Shou et al. Numerical analysis of the mechanical behaviors of pressurized underground pipelines rehabilitated by cured-in-place-pipe method
KR101677943B1 (ko) 매설관로 표지판
US7390142B2 (en) Underground storage tank access/isolation riser assembly, method, and kit
KR101985487B1 (ko) 관리자 편의성이 향상된 가스누출 검지장치
KR102021535B1 (ko) 지하 매설배관의 가스누출 유무 확인을 위한 비포장구간용 검지공
WO2018235980A1 (ko) 지하 매설배관의 가스누출 유무 확인을 위한 검지공 및 이의 매설방법
TWI668168B (zh) Oil leakage notification method for underground double-layered shell pipe with leak detection and double-shell structure of underground oil tank
KR200453127Y1 (ko) 관로 표지기
KR200411780Y1 (ko) 가스배관 보링 검지공 보호구
KR200414007Y1 (ko) 상수도, 하수도, 도로, 하천제방 및 매립장 침출수 배수공사에 사용되는 매설위치 표시기
Kuliczkowska Influence of PVC pipe deflection on the thickness of CIPP rehabilitation liners
Pietig The condition assessment of a 30-inch ductile iron water line by Waterone of Johnson County, Kansas
KR102445919B1 (ko) 수분 침투를 방지할 수 있는 원격 유체 누출 확인용 검침공
KR101741782B1 (ko) 지중매설물 위치감지 식별장치
JP4098041B2 (ja) 構造物の相対位置検出装置
KR102622455B1 (ko) 공동조사 복구 및 모니터링 캐비티플러그
KR200363943Y1 (ko) 자석이 내장된 지하매설관 탐지용 관로표지핀
KR101910492B1 (ko) 상수도관의 위험감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상수도관의 위험감지 방법
Al-Omari et al. Revolutionary Non-metallic Liners to Rehabilitate the Aged/Corroded Carbon Steel Water Injection Laterals
Sharff et al. Building knowledge from failure analysis of plastic pipe and other hydraulic structures
Matthews Demonstration and evaluation of innovative wastewater main rehabilitation technologies
Beamer et al. Several failures of a 16-inch PVC transmission main within 12 yea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