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1557B1 - 원격 유체누출 확인용 검침공 - Google Patents

원격 유체누출 확인용 검침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1557B1
KR102171557B1 KR1020200030582A KR20200030582A KR102171557B1 KR 102171557 B1 KR102171557 B1 KR 102171557B1 KR 1020200030582 A KR1020200030582 A KR 1020200030582A KR 20200030582 A KR20200030582 A KR 20200030582A KR 102171557 B1 KR102171557 B1 KR 1021715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sensor
sensor module
memory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05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환배
김양태
전찬수
박성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천리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천리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천리이엔지
Priority to KR10202000305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15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1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15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5/00Protection or supervision of installations
    • F17D5/005Protection or supervision of installations of gas pipelines, e.g. alar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3/00Therm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K13/02Therm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temperature of moving fluids or granular materials capable of flow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84Arrangements monitoring consumption of a utility or use of an appliance which consumes a utility to detect unsafe condition, e.g. metering of water, gas or electricity, use of taps, toilet flush, gas stove or electric kettl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센서모듈이 측정값을 메모리에 데이터로 저장한 상태에서 차량 등의 원격감지장치가 접근하면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통신칩을 통하여 원격감지장치에 전달하는 원격 유체누출 확인용 검지공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원격 유체누출 확인용 검침공은 중공이 구비된 연장관과 상부로는 커버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장관의 하부로는 누출된 가스가 관 내부로 통기할 수 있도록 통기공이 적어도 하나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의 중공에 수용되며 가스흡입홀이 형성되어 있는 수용관, 상기 수용관에 배치되는 전원공급부, 상기 수용관의 가스흡입홀과 연결되는 위치에 배치되어서 가스를 측정하는 가스센서, 및 상기 가스센서와 연결되는 센서모듈을 포함하는 검지부; 및 상기 하우징부로의 착탈하기 위한 공구가 결합되는 양각돌기가 상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로는 원통관이 하부로 연장되며, 상기 검지부 및 상기 하우징부와 각각 내외측으로 결합되는 표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부의 중공에 상기 검지부의 수용관이 이격되게 위치하는데, 그 사이에는 가스이동통로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센서모듈이 측정값을 메모리에 데이터로 저장한 상태에서 차량 등의 원격감지장치가 접근하면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통신칩을 통하여 원격감지장치에 전달하여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Description

원격 유체누출 확인용 검침공{Remote Leakage Inspection Device For Checking Fluid Leakage}
본 발명은 원격 유체누출 확인용 검지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센서모듈이 측정값을 메모리에 데이터로 저장한 상태에서 차량 등의 원격감지장치가 접근하면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통신칩을 통하여 원격감지장치에 전달하는 원격 유체누출 확인용 검지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시가스, LPG 가스, 중온수(50℃~105℃), 스팀(105℃~220℃), 상수도 등의 유체를 각 수용시설로 공급하기 위하여 지하에 매설되는 형태로 관로를 형성하고, 이와 같은 관로는 다수개의 배관이 상호 관이음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도시가스를 예를 들면, 한국가스공사로부터 천연가스를 공급받거나, LPG에 공기를 혼합하여 지구정압기, 지역정압기를 거쳐 일반 수용시설로 공급된다. 상기 지역정압기까지는 가스가 중, 고압 상태로 공급되는 반면, 지역정압기에서 각 수용시설로 공급되도록 설치되는 관로상에는 비교적 저압의 상태로 가스가 공급된다.
여기서, 상기 관로의 대부분은 지하에 매설되는 구조로 공급라인을 형성하며, 자동차가 소통하는 차도나 사람들이 통행하는 인도 등 각 수용시설로 연결되는 관로는 일정 깊이의 지면 하부로 매설된다.
이러한 관로는 장시간 사용하거나 주변환경의 변화 및 주변 구조물의 신설과 보수로 인하여 지반이 물리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이러한 영향은 즉각적으로 배관에 영향을 주어서 유체가 누출될 수 있거나, 오랜 시간이 경과하면서 점차 균열이 커지면서 유체가 누출될 수도 있다.
이에 도시가스, LPG 가스 등의 관로에서 가스가 누출되는지 여부를 검지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가스 배관의 매설 시 검지공을 설치하고 있다. 검지공은 지하에 매설된 가스배관으로부터 가스가 누출되는지 여부를 검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통상적으로 가스배관을 매설하는 과정에서 같이 설치된다.
그런데, 상술한 종래의 검지공은 검지공마다 개별적으로 가스누출탐지기를 사용하여 검지공에서 가스누출여부를 확인하여야 하므로, 인력과 시간적인 손실이 상당하다.
이에 더하여, 도시가스, LPG 가스 이외의 유체(중온수, 스팀, 상수도 등)에서도 유체 누출 정보를 빠르게 확인할 수 있는 유체의 누출을 확인용 검지공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81279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985482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2021535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센서모듈이 측정값을 메모리에 데이터로 저장한 상태에서 차량 등의 원격감지장치가 접근하면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통신칩을 통하여 원격감지장치에 전달하는 원격 유체누출 확인용 검지공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해결을 위한 본 발명의 원격 유체누출 확인용 검침공은 중공이 구비된 연장관과 상부로는 커버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장관의 하부로는 누출된 가스가 관 내부로 통기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통기공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의 중공에 수용되며 가스흡입홀이 형성되어 있는 수용관, 상기 수용관에 배치되는 전원공급부, 상기 수용관의 가스흡입홀과 연결되는 위치에 배치되어서 가스를 측정하는 가스센서, 및 상기 가스센서와 연결되는 센서모듈을 포함하는 검지부; 및 상기 하우징부로의 착탈하기 위한 공구가 결합되는 양각돌기가 상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로는 원통관이 하부로 연장되며, 상기 검지부 및 상기 하우징부와 각각 내외측으로 결합되는 표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부의 중공에 상기 검지부의 수용관이 이격되게 위치하는데, 그 사이에는 가스이동통로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검지부는 수용관의 하부에 배치되어서 온도를 측정하여 상기 센서모듈로 전달하는 온도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수용관의 하부단부에는 끼움돌기를 상기 하우징부의 하부에는 끼움홈을 구비하여, 상기 끼움돌기가 상기 끼움홈에 결합되어서 수용관이 안정적으로 하우징부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센서모듈은 PCB기판에 MCU,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통신칩, 가스센서의 측정값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센서모듈은 센서 트리거를 구비한 원격감지장치가 접근할 때, 이를 감지하여 센서모듈을 온(on)이 되도록 하여 원격감지장치와 통신하도록 하는 트리거용 홀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모듈은 평상시에는 오프(off) 상태를 유지하며, 가스누출시 및 저전압시에는 등이 점멸되어서 가스누출여부 및 배터리의 교환을 외부에 알려주도록 하는 점멸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가스누출 확인용 검침공.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표면부는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제조되어서 원통관 내부에 위치하는 점멸등의 빛이 외부로 투과될 수 있으며, 또한 전파가 투과되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양각돌기는 다면체로 각을 주어서, 외부에서는 여러 각도에서 표면부를 통하여 외부로 나오는 빛을 관측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센서모듈이 측정값을 데이터로 메모리에 저장한 상태에서, 원격감지장치가 접근하면,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통신칩을 통하여 원격감지장치에 전달할 수 있으며, 상기 원격감지장치은 센서 트리거 및 데이터 리더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센서모듈이 측정값을 메모리에 데이터로 저장한 상태에서 차량 등의 원격감지장치가 접근하면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통신칩을 통하여 원격감지장치에 전달하여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체누출확인을 위한 원격 검침공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검지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검지부의 결합 사시도의 일부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센서모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표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 검침공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스누출확인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부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체누출 확인을 위한 검침공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체누출확인을 위한 원격 검침공(10)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원격 검침공(10)은 중공(110)이 형성된 관 형태의 하우징부(100), 상기 하우징부(100)의 중공(110)에 삽입가능한 관 형태로서 관의 내부에는 유체누출 여부 및 온도를 확인할 수 있는 센서모듈(250)을 구비하는 검지부(200), 상기 하우징부(100)와는 내측으로 상기 검지부(200)와 외측으로 나사체결되는 표면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부(100)는 중공(110)이 구비된 연장관(130) 형태로서 상부로는 원판형의 커버(120)가 형성되어 있으며, 연장관(130)의 하부로는 누출된 가스 또는 유체가 관 내부로 통기할 수 있도록 통기공(150)이 적어도 하나 형성되어 있으며, 관의 상부 내측으로는 상기 표면부(300)와 나사체결을 위한 중공 나사산(14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부(100)는 지면의 표면층보다 깊이 매설될 수 있도록 통상 20~30cm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으며, 현장 여건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제작될 수 있다. 즉, 가스배관이 매설된 상부 지면의 표면을 드릴링 한 후에 상기 하우징부(100)를 지면에 매설한다.
상기 표면부(300)는 검지부(200)와 결합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부(100)의 내부에 검지부(200)가 삽입되며, 상기 표면부(300)와 상기 하우징부(300)가 결합된다.
상기 표면부(300)는 상기 하우징부(100)의 중공(110)을 밀폐하도록 하며, 상부면으로는 표면부(300)가 상기 하우징부(100)로의 착탈하기 위한 공구가 결합되는 양각돌기(310)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로는 원통관(320)이 하부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원통관(320)의 내외측에 각각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원통관(320)의 외측 나사산(321)은 상기 하우징부(100)의 중공 나사산(140)과 결합되며, 원통관(320)의 내측 나사산은 검지부(200)와의 결합을 위한 것이다.
이하, 검지부(200)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검지부(200)에는 가스센서와 온도센서를 구비하여, 지중에 매설된 가스배관 및/또는 열배관으로부터의 가스 및/또는 열수의 누출을 감지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검지부(200)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검지부(200)의 결합 사시도의 일부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검지부(200)는 가스 및 온도를 감지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하우징부(100)의 중공(110)에 수용되는 수용관(210), 상기 수용관(210)의 내부에 배치되는 온도센서(220), 전원공급부인 배터리(230), 가스센서(240), 및 센서모듈(250)을 포함한다.
상기 수용관(210)은 내부에 수용공간(211)이 형성된 원통형으로서 상부 외주면에는 결합나사산(21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용관(210)의 결합나사산(213)과 상기 표면부(300)의 내측나사산이 나사결합하여, 검지부(200)와 표면부(300)가 결합된다. (도 3 참조). 또한, 상기 수용관(210)의 상부에는 가스흡입홀(215)이 형성되어 있으며, 가스흡입홀(215)과 대응되는 상기 수용관(210)의 내부에는 가스센서(240)가 배치된다(도 3 참조). 한편, 상기 수용관(210)의 하부단부에는 끼움돌기(217)를 구비하여, 끼움돌기(217)가 상기 하우징부(100)의 하부의 끼움홈(160)에 결합되어서 수용관(210)이 안정적으로 하우징부(100)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도 6 참조).
상기 온도센서(220)는 상기 수용관(210)의 하단부에 위치하여, 온도변화를 감지하여, 센서모듈(250)에 측정값을 전달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온도센서(240)와 센서모듈(250)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온도센서(240)가 수용관(210)의 하단부에 위치하는 것은, 지면 하부의 온도 변화를 감지하여 열배관의 누수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지면 상부에 위치하는 경우에 지면의 온도 변화로 인하여 열배관의 누수를 감지에 오류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지면 하부에 위치하도록 한다.
상기 배터리(230)는 상기 센서모듈(25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통상의 건전지를 사용할 수 있으며, 또는 전원을 공급하는 형태라면 어느 것이라도 무방하다.
상기 가스센서(240)는 상기 가스누출시 가스를 감지하는 것으로서, 예컨대, 탄화수소계열인 메탄, 부탄, 프로판 등의 누출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센서모듈(250)은 PCB 기판 형식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온도센서(220) 및 가스센서(240)로부터의 측정값을 저장하고, 이를 원격으로 외부 원격감지장치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센서모듈(25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센서모듈(250)은 PCB기판(251)에 MCU(252),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통신칩(253), 온도센서(220)와 가스센서(240)의 측정값을 저장하는 메모리(254)와 회로구성을 위한 저항, 커패시터, 컨넥터 등의 전기 소자들이 배선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센서모듈(250)의 상부로는 안테나(255)가 배치되는데, 안테나(255)는 도면과 같이 PCB기판(251)에 매설되거나 또는 별도의 구성으로서 센서모듈(250)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센서모듈(250)의 하부로는 가스센서(24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센서모듈(250)의 상부로는 트리거용 홀센서(256) 및 점멸등(257)이 설치된다.
상기 트리거용 홀센서(256)는 센서 트리거를 구비한 차량 등으로 이루어진 원격감지장치가 접근할 때, 이를 감지하여 센서모듈(250)을 온(on)이 되도록 하여 원격감지장치와 통신하도록 하는 센서이다. (도 7 참조)
상기 점멸등(257)은 평상시에는 오프(off) 상태를 유지하며, 유체누출시에는 적색등이 점멸되어서 유체누출을 외부에 알려주며, 저전압시에는 녹색등이 점멸되어서 배터리의 교환을 외부에 알려준다. 점멸등(257)은 회사 내부 등 관리 가능한 곳에만 설치되며, 일반도로나 주택가에서는 설치하지 않는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표면부(3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표면부(300)는 상술하였듯이 상기 하우징부(100)로의 착탈하기 위한 공구가 결합되는 양각돌기(310)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로는 원통관(320)이 하부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표면부(300)가 검지부(200)와 결합하게 되면, 상기 원통관(320) 내부에는 상기 센서모듈(250)의 트리거용 홀센서(256)와 점멸등(257)이 위치하게 된다.
상기 표면부(300)는 아크릴 재질과 같이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제조되어서 원통관(320) 내부에 위치하는 점멸등(257)의 LED 빛이 외부로 투과될 수 있으며, 또한 전파가 투과되어서 센서모듈(250)이 외부와 통신할 수 있다.
상기 양각돌기(310)는 표면부(300)가 상기 하우징부(100)로의 착탈하기 위한 공구가 결합되는 역할을 하는 동시에, 양각돌기(310)를 다면체로 각을 주어서, 여러 각도에서 표면부(300)를 통하여 외부로 나오는 빛을 관측할 수 있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 검침공(10)의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검지부(200)와 표면부(300)를 결합한 상태에서, 표면부(300)의 외측나사산과 하우징부(100)의 중공 나사산이 결합하게 된다. 이때, 하우징부(100)의 중공에 검지부(200)의 수용관(210)이 이격되게 위치하는데, 그 사이에는 가스이동통로(270)가 형성된다.
지하에 매설된 가스관로에서 탄화수소 계열인 메탄, 부탄, 프로판 등과 같은 가스가 누출되면, 가스는 하우징부(100)의 하부의 통기공(130)을 통하여 하우징부(100) 내부에 인입하게 되며, 하우징부와 수용관 사이의 가스이동통로(270)를 따라서 하우징부(100)의 상부로 이동하며, 상기 수용관(210) 상부의 가스흡입홀(215)을 통하여 상기 수용관(210)의 내부로 가스가 진입하게 된다. 상기 수용관(210)의 가스흡입홀(215)과 대응되는 위치의 내부에는 가스센서(240)가 위치하여 가스를 감지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스누출확인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센서모듈(250)은 절전모드로 대기하다가 기설정된 스케줄에 따라서 일정시간 간격으로 온(on)된 후에 온도센서(120), 및 가스센서(240)로부터 온도와 가스누출여부를 측정하여 측정값을 메모리(254)에 저장한다. 센서모듈(250)은 감지값을 검침공의 ID, 측정시간, 현재전압, 시간, 온도, 가스누출여부 등의 데이터 형식으로 메모리(254)에 저장한 후에는 다시 절전모드로 전환된다.
이렇게 센서모듈(250)이 측정값을 저장한 상태에서, 차량 등의 원격감지장치(500)가 접근하면, 메모리(254)에 저장된 데이터를 통신칩(253)을 통하여 원격감지장치(500)에 전달한다.
상기 원격감지장치(500)은 센서 트리거(510) 및 데이터 리더기(520)를 구비하고
원격감지장치(500)가 원격 검지공에 접근하며서, 센서 트리거(510)가 트리거용 홀센서(256)에 온(on) 신호를 주어서, 센서모듈(250)이 저장된 데이터 전달하기 위한 준비를 하게 한다. 이어서, 센서모듈(250)은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데이터 리더기(520)를 통해 원격감지장치(500)에 전달하게 된다.
통상적으로, 센서모듈(250)이 트리거 신호에 의하여 온(on)된 후에 현재 측정값을 바로 원격감지장치(500)로 전달하려면 30초 이상 대기해야 한다. 하지만, 메모리(254)에 저장된 측정값을 원격감지장치(500)로 전달은 3초 이내로 전달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부의 사시도이다. 도 1의 하우징부(100)는 원판형의 커버(120)와 그 하부의 연장관(130)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로서의 하우징부(101)는 원판형의 커버(121)와 그 하부의 연장관(131)이 분리될 수 있으며, 서로 간에는 나사결합 등으로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그 외의 구성은 도 1과 동일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도면 및 상세한 설명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킨 것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됨은 물론이다.
10: 원격 검침공 100, 101: 하우징부
110: 중공 120, 121: 커버
130: 연장관 140: 중공 나사산
150: 통기공 160: 끼움홈
200: 검지부 210: 수용관
211: 수용공간 213: 결합나사산
215: 가스 흡입홀 217: 끼움돌기
220: 온도센서 230: 배터리
240: 가스센서 250: 센서모듈
251: PCB 기판 252: MCU
253: 통신칩 254: 메모리
255: 안테나 256: 트리거용 홀센서
257: 점멸등 270: 가스이동통로
300: 표면부 310: 양각돌기
320: 원통관 321: 외측나사산
500: 원격감지장치 510: 센서 트리거
520: 데이터 리더기

Claims (9)

  1. 중공이 구비된 연장관과 상부로는 커버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장관의 하부로는 누출된 가스가 관 내부로 통기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통기공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의 중공에 수용되며 가스흡입홀이 형성되어 있는 수용관, 상기 수용관에 배치되는 전원공급부, 상기 수용관의 가스흡입홀과 연결되는 위치에 배치되어서 가스를 측정하는 가스센서, 및 상기 가스센서와 연결되는 센서모듈을 포함하는 검지부; 및
    상기 하우징부로의 착탈하기 위한 공구가 결합되는 양각돌기가 상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로는 원통관이 하부로 연장되며, 상기 검지부 및 상기 하우징부와 각각 내외측으로 결합되는 표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부의 중공에 상기 검지부의 수용관이 이격되게 위치하는데, 그 사이에는 가스이동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센서모듈은 PCB기판에 MCU,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통신칩, 가스센서의 측정값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모듈은 센서 트리거를 구비한 원격감지장치가 접근할 때, 이를 감지하여 센서모듈을 온(on)이 되도록 하여 원격감지장치와 통신하도록 하는 트리거용 홀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유체누출 확인용 검침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지부는 수용관의 하부에 배치되어서 온도를 측정하여 상기 센서모듈로 전달하는 온도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유체누출 확인용 검침공.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관의 하부단부에는 끼움돌기를 상기 하우징부의 하부에는 끼움홈을 구비하여, 상기 끼움돌기가 상기 끼움홈에 결합되어서 수용관이 안정적으로 하우징부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유체누출 확인용 검침공.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모듈은 평상시에는 오프(off) 상태를 유지하며, 유체누출시 및 저전압시에는 등이 점멸되어서 유체누출여부 및 배터리의 교환을 외부에 알려주도록 하는 점멸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유체누출 확인용 검침공.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부는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제조되어서 원통관 내부에 위치하는 점멸등의 빛이 외부로 투과될 수 있으며, 또한 전파가 투과되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양각돌기는 다면체로 각을 주어서, 외부에서는 여러 각도에서 표면부를 통하여 외부로 나오는 빛을 관측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유체누출 확인용 검침공.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모듈이 측정값을 데이터로 메모리에 저장한 상태에서, 원격감지장치가 접근하면,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통신칩을 통하여 원격감지장치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유체누출 확인용 검침공.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감지장치은 센서 트리거 및 데이터 리더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유체누출 확인용 검침공.
KR1020200030582A 2020-03-12 2020-03-12 원격 유체누출 확인용 검침공 KR1021715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0582A KR102171557B1 (ko) 2020-03-12 2020-03-12 원격 유체누출 확인용 검침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0582A KR102171557B1 (ko) 2020-03-12 2020-03-12 원격 유체누출 확인용 검침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1557B1 true KR102171557B1 (ko) 2020-10-29

Family

ID=73129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0582A KR102171557B1 (ko) 2020-03-12 2020-03-12 원격 유체누출 확인용 검침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155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5919B1 (ko) 2022-03-17 2022-09-20 주식회사 삼천리이엔지 수분 침투를 방지할 수 있는 원격 유체 누출 확인용 검침공
US11519809B2 (en) * 2017-12-06 2022-12-06 Operations Technology Development, Nfp System and method for gas sensing and monitoring
KR20230001208U (ko) * 2021-12-06 2023-06-13 차강윤 지하 매설형 계측기용 계측기 케이스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14522A (ja) * 1994-10-13 1996-05-07 Kougi Kenkyusho:Kk 漏洩検知管
JPH11101705A (ja) * 1997-09-29 1999-04-13 Osaka Gas Co Ltd ガス漏洩検知装置
KR20100118533A (ko) * 2009-04-28 2010-11-05 임종완 엘이디를 사용한 통행 유도장치
KR20150108108A (ko) * 2014-03-17 2015-09-25 송창석 무전원 수도검침장치 및 이를 탑재한 수도검침시스템
KR101812798B1 (ko) 2017-07-03 2018-01-30 주식회사 협성이엔지 지하 매설배관의 가스누출 유무 확인을 위한 검지공
KR101985482B1 (ko) 2017-12-19 2019-06-03 주식회사 협성이엔지 라인마크 겸용 가스누출 검지공
KR102021535B1 (ko) 2018-12-13 2019-09-16 주식회사 협성이엔지 지하 매설배관의 가스누출 유무 확인을 위한 비포장구간용 검지공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14522A (ja) * 1994-10-13 1996-05-07 Kougi Kenkyusho:Kk 漏洩検知管
JPH11101705A (ja) * 1997-09-29 1999-04-13 Osaka Gas Co Ltd ガス漏洩検知装置
KR20100118533A (ko) * 2009-04-28 2010-11-05 임종완 엘이디를 사용한 통행 유도장치
KR20150108108A (ko) * 2014-03-17 2015-09-25 송창석 무전원 수도검침장치 및 이를 탑재한 수도검침시스템
KR101812798B1 (ko) 2017-07-03 2018-01-30 주식회사 협성이엔지 지하 매설배관의 가스누출 유무 확인을 위한 검지공
KR101985482B1 (ko) 2017-12-19 2019-06-03 주식회사 협성이엔지 라인마크 겸용 가스누출 검지공
KR102021535B1 (ko) 2018-12-13 2019-09-16 주식회사 협성이엔지 지하 매설배관의 가스누출 유무 확인을 위한 비포장구간용 검지공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19809B2 (en) * 2017-12-06 2022-12-06 Operations Technology Development, Nfp System and method for gas sensing and monitoring
KR20230001208U (ko) * 2021-12-06 2023-06-13 차강윤 지하 매설형 계측기용 계측기 케이스
KR200497782Y1 (ko) * 2021-12-06 2024-02-27 차강윤 지하 매설형 계측기용 계측기 케이스
KR102445919B1 (ko) 2022-03-17 2022-09-20 주식회사 삼천리이엔지 수분 침투를 방지할 수 있는 원격 유체 누출 확인용 검침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1557B1 (ko) 원격 유체누출 확인용 검침공
CN101415984B (zh) 连通件及套筒
CA2969017C (en) A valve arrangement, a method for identifying an underground valve of a valve arrangement and use of a use of valve arrangement
US20040065377A1 (en) Wear indicator and detector for hoses
KR101794968B1 (ko) 소화전을 이용한 상수도의 누수감지장치
KR102060812B1 (ko) 무선 점멸기 및 고장 감시기가 내장된 스마트 led 등기구
KR20160112125A (ko) 액체 이송 배관 리크 감지 시스템
US10502652B2 (en) System for monitoring pipeline leakage, pipeline element provided with the system, and method for mounting the monitoring system onto a pipeline
KR102124963B1 (ko) IoT 및 5G LoRa 통신 기반의 스마트 등기구 유지관리 방법 및 시스템
CN108758346A (zh) 一种用于阀门地下管网物联网智能控制系统
KR101562625B1 (ko) 지하매설관 특정위치 탐지시스템 및 방법
KR101626616B1 (ko) 상수도관 누수 측정장치
KR102445919B1 (ko) 수분 침투를 방지할 수 있는 원격 유체 누출 확인용 검침공
KR20020045430A (ko) 노후수도관로의 누수감시시스템
CN105042172A (zh) 智能水质监测水龙头
KR101655085B1 (ko) Eht 제어용 램프키트 시스템
ES2629485B1 (es) Estación de regulación y medición para suministro de gas
KR20180120997A (ko) 누수 탐지 시스템
US9593845B2 (en) Monitoring module for hot water heater diagnostic device
CN212510535U (zh) 一种埋地管道漏水检测报警系统及管道系统
KR20040020763A (ko) 수도관로용 원격 누수탐지모니터링시스템
US10794785B2 (en) Pressure indicating mechanical tee
CN205919817U (zh) 一种设备平整度检测装置
KR102001948B1 (ko) 상수도 간이 수압 및 수질 모니터링 장치
KR100206389B1 (ko) 개스파이프에서의 개스누출 감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