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1208U - 지하 매설형 계측기용 계측기 케이스 - Google Patents

지하 매설형 계측기용 계측기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1208U
KR20230001208U KR2020210003708U KR20210003708U KR20230001208U KR 20230001208 U KR20230001208 U KR 20230001208U KR 2020210003708 U KR2020210003708 U KR 2020210003708U KR 20210003708 U KR20210003708 U KR 20210003708U KR 20230001208 U KR20230001208 U KR 2023000120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trument
fastening part
case
inner housing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37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7782Y1 (ko
Inventor
차강윤
Original Assignee
차강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강윤 filed Critical 차강윤
Priority to KR20202100037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7782Y1/ko
Publication of KR2023000120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120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77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778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24Housings ; Casings for instruments
    • G01D11/245Housings for sens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24Housings ; Casings for instruments
    • G01D11/26Windows; Cover glasses; Sealings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24Earth materia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지하 매설형 계측기용 계측기 케이스에 관해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계측기 케이스는 지하에 매설되는 계측기가 담겨지는 계측기 케이스로서, 뚜껑 본체부와 상기 뚜껑 본체부의 하면에 구비된 제1 및 제2 체결부를 구비하되, 상기 제2 체결부는 상기 제1 체결부의 외측에서 상기 제1 체결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된 뚜껑 부재, 상기 제1 체결부에 체결되는 것으로 상기 계측기의 센서 유닛 및 통신 유닛이 담겨지는 내부 하우징 및 상기 제2 체결부에 체결되는 것으로 상기 내부 하우징을 수용하면서 상기 내부 하우징 아래에 상기 계측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가 수용되는 배터리 수용공간을 갖는 외부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계측기 케이스는 상기 제1 및 제2 체결부를 이용한 이중 잠금 방식으로 상기 센서 유닛을 그 내부에 내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지하 매설형 계측기용 계측기 케이스{Instrument case for underground laying type measuring instrument}
본 고안은 계측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하에 매설되는 계측기가 담겨지는 계측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송유관을 비롯한 다양한 배관에 대한 상태 점검 및 모니터링은 배관 관련 사고나 문제를 예방하고 대처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땅속에 매설된 배관의 손상이나 상태 변화는 사람이 눈으로 직접 확인하기 어렵기 때문에, 전기적인 신호 계측을 통해 배관의 상태를 감지하고 모니터링하기 위한 계측기가 사용된다. 이러한 계측기를 사용하면, 배관이 과도하게 부식된 경우, 배관이 부식되어 내부 물질이 누출(ex, 누유)되는 경우, 지진 등 천재지변으로 인해 배관이 손상된 경우, 허가 받지 않은 외부 굴착공사 등에 의해 배관이 파열되는 경우 또는 고의적으로 배관을 훼손하여 기름 등을 절도하려는 경우와 같은 문제가 발생되었을 때, 그와 같은 상태 변화 및 손상 문제를 전기적인 신호 계측을 통해 감지하고 모니터링할 수 있다.
상기한 계측기는 배관의 전류, 전압, 온도 등을 센싱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전기적 신호의 미세한 변화(ex, 누설 전류에 의한 전류 변화 등)를 감지하여 배관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최근 개발된 PDMS(pipeline damage monitoring system)는 송유관에 인접하게 설치된 센서(계측기)를 이용해서 도유 장치 설치에 따른 전류의 차이를 감지할 수 있어 도유의 사전 예방 및 실시간 감시를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이다. 한편, PCM(pipeline current mapper)은 매설 배관의 피복 손상 여부를 탐측하는데 사용되는 탐측기이다.
그런데 배관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계측기(센서)를 땅속에 매설하여 설치하고 이를 유지/관리함에 있어서, 계측기의 구성뿐 아니라 이를 케이싱하는 케이스의 역할이 중요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 상기한 계측기의 설치 및 유지/관리에 유리하고, 아울러, 신뢰성, 내구성 및 안정성을 확보하는데 유리한 계측기 케이스의 구성 및 디자인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55846호(2016.09.02)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지하 매설형 계측기(센서)의 설치 및 유지/관리에 유리하고 신뢰성, 내구성 및 안정성을 확보하는데 유리한 계측기 케이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지하 매설형 계측기(센서)에 대한 습기 및 이물질의 침투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계측기 케이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지하에 매설되는 계측기가 담겨지는 계측기 케이스로서, 뚜껑 본체부와 상기 뚜껑 본체부의 하면에 구비된 제1 및 제2 체결부를 구비하되, 상기 제2 체결부는 상기 제1 체결부의 외측에서 상기 제1 체결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된 뚜껑 부재; 상기 제1 체결부에 체결되는 것으로, 상기 계측기의 센서 유닛 및 통신 유닛이 담겨지는 내부 하우징; 및 상기 제2 체결부에 체결되는 것으로, 상기 내부 하우징을 수용하면서 상기 내부 하우징 아래에 상기 계측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가 수용되는 배터리 수용공간을 갖는 외부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체결부를 이용한 이중 잠금 방식으로 상기 센서 유닛을 그 내부에 내장하도록 구성된 지하 매설형 계측기용 계측기 케이스가 제공된다.
상기 제1 체결부는 제1 내경을 갖는 환형(ring shape)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상기 제1 체결부의 내측면에 제1 나사산 영역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체결부는 상기 제1 내경 보다 큰 제2 내경을 갖는 환형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상기 제2 체결부의 내측면에 제2 나사산 영역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내부 하우징은 상기 제1 나사산 영역에 체결되는 제1 대응 나사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케이스는 상기 제2 나사산 영역에 체결되는 제2 대응 나사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내경은 상기 제1 내경의 약 1.3배 내지 2.5배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제1 체결부는 상기 뚜껑 본체부의 하면에서 제1 길이 만큼 돌출될 수 있고, 상기 제2 체결부는 상기 뚜껑 본체부의 하면에서 상기 제1 길이 보다 큰 제2 길이 만큼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 체결부의 하단은 상기 제2 체결부의 하단 보다 상기 뚜껑 본체부의 하면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길이는 상기 제1 길이의 약 1.5배 내지 3배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계측기는 땅속에 매설된 배관의 손상이나 상태 변화를 전기적인 신호 계측을 통해 감지하고 모니터링하거나, 땅속 토양의 특성을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지하 매설형 계측기의 설치 및 유지/관리에 유리하고 신뢰성, 내구성 및 안정성을 확보하는데 유리한 계측기 케이스를 구현할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지하 매설형 계측기에 대한 습기 및 이물질의 침투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계측기 케이스를 구현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계측기 케이스를 사용하면, 계측기의 설치 및 관리가 용이할 수 있고, 매설 설치된 계측기의 신뢰성, 내구성, 안정성 등이 향상될 수 있다. 특히, 계측기의 센서 유닛에 대한 습기 및 이물질의 침투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기 때문에, 습기 등의 침투에 의한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지하 매설형 계측기용 계측기 케이스가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 이미지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지하 매설형 계측기용 계측기 케이스의 뚜껑 부재의 하면부를 보여주는 사진 이미지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지하 매설형 계측기용 계측기 케이스의 내부 하우징을 보여주는 사진 이미지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지하 매설형 계측기용 계측기 케이스의 외부 케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지하 매설형 계측기용 계측기 케이스의 뚜껑 부재의 상면부 측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지하 매설형 계측기용 계측기 케이스의 뚜껑 부재의 하면부 측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지하 매설형 계측기용 계측기 케이스의 뚜껑 부재의 상면부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지하 매설형 계측기용 계측기 케이스의 뚜껑 부재의 하면부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지하 매설형 계측기용 계측기 케이스의 뚜껑 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계측기가 내장된 계측기 케이스를 땅속에 매설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설명할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더욱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고, 본 고안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고안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의 용어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이라는 용어는 언급한 형상, 단계,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단계,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연결"이라는 용어는 어떤 부재들이 직접적으로 연결된 것을 의미할 뿐만 아니라, 부재들 사이에 다른 부재가 더 개재되어 간접적으로 연결된 것까지 포함하는 개념이다.
아울러, 본원 명세서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원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약", "실질적으로" 등의 정도의 용어는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 오차를 감안하여, 그 수치나 정도의 범주 또는 이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영역이나 파트들의 사이즈나 두께는 명세서의 명확성 및 설명의 편의성을 위해 다소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상세한 설명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지하 매설형 계측기용 계측기 케이스(1000)가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 이미지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계측기 케이스(1000)는 지하에 매설되는 계측기가 담겨지는 케이스일 수 있다. 계측기 케이스(1000)는 뚜껑 부재(100)와 뚜껑 부재(100)에 체결되는 내부 하우징(도시 안됨)(도 3의 200) 및 뚜껑 부재(100)에 체결되면서 상기 내부 하우징을 수용하는(즉, 케이싱하는) 외부 케이스(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부 하우징은 외부 케이스(3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외부 케이스(300)는 상기 내부 하우징을 수용하면서 상기 내부 하우징 아래에 상기 계측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도시 안됨)가 수용되는 '배터리 수용공간'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내부 하우징에는 상기 계측기의 센서 유닛(도시 안됨) 및 통신 유닛(도시 안됨)이 담겨질 수 있다. 뚜껑 부재(100)와 외부 케이스(300)가 상호 체결되는 영역에는 이들 사이에 오링(O-ring) 부재(5)가 배치될 수 있다. 외부 케이스(300)의 하면부에는 복수의 받침편(70)이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받침편(70)은 경우에 따라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다. 조립된 상태의 계측기 케이스(1000)는 전체적으로 원통형 구조나 그와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지하 매설형 계측기용 계측기 케이스의 뚜껑 부재(100)의 하면부를 보여주는 사진 이미지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뚜껑 부재(100)는 뚜껑 본체부(10)와 뚜껑 본체부(10)의 하면에 구비된 제1 체결부(21) 및 제2 체결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뚜껑 본체부(10)는 원판이나 그와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체결부(22)는 제1 체결부(21)의 외측에서 제1 체결부(21)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체결부(21)에 상기 내부 하우징이 체결될 수 있다. 제2 체결부(22)에 상기 외부 케이스(도 1의 300)가 체결될 수 있다.
제1 체결부(21)는 제1 내경을 갖는 환형(ring shape)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 체결부(21)는 뚜껑 본체부(10)의 하면의 중심을 둘러싸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 체결부(21)의 내측면에는 체결을 위한 제1 나사산 영역(S11)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나사산 영역(S11) 자체를 '제1 체결부'라고 지칭할 수도 있다.
제2 체결부(22)는 상기 제1 내경 보다 큰 제2 내경을 갖는 환형(ring shape)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2 체결부(22)는 제1 체결부(21)와 동심을 가지면서 제1 체결부(21)를 둘러싸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2 체결부(22)의 내경(상기 제2 내경)은 제1 체결부(21)의 내경(상기 제1 내경) 보다 클 수 있다. 제2 체결부(22)의 내측면에는 체결을 위한 제2 나사산 영역(S12)이 구비될 수 있다. 제2 나사산 영역(S12) 자체를 '제2 체결부'라고 지칭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체결부(22)의 내경(상기 제2 내경)은 제1 체결부(21)의 내경(상기 제1 내경)의 약 1.3배 내지 2.5배 정도 또는 약 1.3배 내지 2배 정도에 해당할 수 있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할 때, 제1 및 제2 체결부(21, 22)에 각각 상기 내부 하우징(도 3의 200) 및 상기 외부 케이스(도 1의 300)를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고, 상기 내부 하우징에 대한 실링(밀봉)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설명하면, 뚜껑 본체부(10)의 하면에 환형 구조를 갖는 돌출부(21)가 구비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돌출부(21)의 내측면에 제1 나사산 영역(S11)이 형성됨으로써 상기한 '제1 체결부'가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돌출부(21)의 바깥쪽 가장자리에 환형 구조를 갖는 제2 체결부(22)가 돌출될 수 있고, 제2 체결부(22)의 내측면에 제2 나사산 영역(S12)이 형성되었다고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체결부(21)는 뚜껑 본체부(10)의 하면에서 제1 길이(높이) 만큼 돌출될 수 있고, 제2 체결부(22)는 뚜껑 본체부(10)의 하면에서 상기 제1 길이(높이) 보다 큰 제2 길이(높이) 만큼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체결부(21)의 하단(도 2의 도면에서는 상단)은 제2 체결부(22)의 하단(도 2의 도면에서는 상단) 보다 뚜껑 본체부(10)의 하면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나사산 영역(S11)의 하단(도 2의 도면에서는 상단)은 제2 나사산 영역(S12)의 하단(도 2의 도면에서는 상단) 보다 뚜껑 본체부(10)의 하면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길이(높이)는 상기 제1 길이(높이)의 약 1.5배 내지 3배 정도 또는 약 1.5배 내지 2.5배 정도에 해당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내부 하우징(도 3의 200)은 상기 외부 케이스(도 1의 300) 보다 뚜껑 본체부(10)의 하면에 가깝게, 즉,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할 때, 상기 내부 하우징(도 3의 200)으로의 수분 및 이물질의 침투가 더욱 효과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지하 매설형 계측기용 계측기 케이스의 내부 하우징(200)을 보여주는 사진 이미지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내부 하우징(200)은 하우징 본체부(30) 및 하우징 본체부(30)의 상부에 구비된 제1 대응 체결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 본체부(30)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 구조나 그와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 대응 체결부(40)는 환형 구조나 부분적 환형 구조 또는 그와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 대응 체결부(40)는 하우징 본체부(30) 보다 작은 외경을 가질 수 있다. 제1 대응 체결부(40)의 외측면에는 제1 대응 나사산 영역(S21)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대응 나사산 영역(S21)은 뚜껑 부재(도 2의 100)의 제1 나사산 영역(도 2의 S11)에 체결될 수 있다. 즉, 제1 대응 나사산 영역(S21)과 제1 나사산 영역(도 2의 S11)을 상호 맞물려 결합(체결)함으로써, 내부 하우징(200)을 뚜껑 부재(도 2의 100)의 제1 체결부(도 2의 21)에 체결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내부 하우징(200)의 내부에는 상기 계측기의 센서 유닛 및 통신 유닛이 담겨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센서 유닛은 내부 하우징(200)의 하면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센서 유닛 위쪽에 상기 통신 유닛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통신 유닛은 안테나 부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 유닛을 상기 센서 유닛 보다 위쪽에 배치함으로써, 상기 통신 유닛이 지표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고, 통신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센서 유닛 및 상기 통신 유닛은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지하 매설형 계측기용 계측기 케이스의 외부 케이스(3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외부 케이스(300)는 케이스 본체부(50) 및 케이스 본체부(50)의 상부에 구비된 제2 대응 체결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 본체부(50)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 구조나 그와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2 대응 체결부(60)는 환형 구조나 부분적 환형 구조 또는 그와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2 대응 체결부(60)는 케이스 본체부(50) 보다 작은 외경을 가질 수 있다. 제2 대응 체결부(60)의 외측면에는 제2 대응 나사산 영역(S22)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대응 나사산 영역(S22)은 뚜껑 부재(도 2의 100)의 제2 나사산 영역(도 2의 S12)에 체결될 수 있다. 즉, 제2 대응 나사산 영역(S22)과 제2 나사산 영역(도 2의 S12)을 상호 맞물려 결합(체결)함으로써, 외부 케이스(300)를 뚜껑 부재(도 2의 100)의 제2 체결부(도 2의 22)에 체결할 수 있다. 외부 케이스(300)의 하면부에는 복수의 받침편(70)이 구비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복수의 받침편(70)은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다.
외부 케이스(300)는 그 내부에 내부 하우징(200)을 수용하면서 내부 하우징(200) 아래에 상기 계측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250)가 수용되는 배터리 수용공간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외부 케이스(300)의 내부에는 배터리(250) 및 내부 하우징(200)이 위치할 수 있고, 이때, 배터리(250) 위쪽에 내부 하우징(200)이 배치될 수 있다.
내부 하우징(200) 내에 배치되는 센서 유닛과 통신 유닛은 제1 배선 부재(W10)에 의해 배터리(2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배선 부재(W10)는 내부 하우징(200)의 하면부 등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홀(관통홀)을 통해서 내부 하우징(200)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상기 센서 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배선 부재(W2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제2 배선 부재(W20)는 외부 케이스(300)의 내부로 인입된 후, 외부 케이스(300)의 하면부 등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홀(관통홀)을 통해서 외부 케이스(300)의 바깥쪽으로 인출될 수 있다. 제2 배선 부재(W20)는 지하에 매설된 별도의 부재나 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계측기 케이스(1000)는 제1 및 제2 체결부(21, 22)를 이용한 '이중 잠금 방식'으로 상기 센서 유닛을 그 내부에 내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체결부(21)에 내부 하우징(200)이 체결될 수 있고, 제2 체결부(22)에 외부 케이스(300)가 체결될 수 있으며, 외부 케이스(300)는 내부 하우징(200)을 케이싱할 수 있다. 따라서, 내부 하우징(200) 내에 배치된 상기 센서 유닛은 내부 하우징(200) 및 외부 케이스(300)에 의해 이중 봉인될 수 있다.
계측기 케이스(1000)를 지하에 매설하여 사용하는 중에 진동 등에 의해서 외부 케이스(300)의 체결이 다소 헐거워지더라도, 내부 하우징(200)은 외부 케이스(300)의 안쪽에서 외부 케이스(300)와 별개로 제1 체결부(21)에 체결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의 습기나 이물질 등이 내부 하우징(200)으로 침투해 들어오는 것이 효과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지하 매설형 계측기에 대한 습기 및 이물질의 침투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계측기 케이스를 구현할 수 있고, 계측기의 신뢰성, 내구성, 안정성 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계측기 케이스(1000)는 비교적 단순한 구조를 갖고 비교적 작은 사이즈(컴팩트한 사이즈)를 갖기 때문에, 설치 및 유지/관리 등의 측면에서 유리할 수 있다.
특히,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체결부(21)는 뚜껑 본체부(10)의 하면에서 제1 길이(높이) 만큼 돌출될 수 있고, 제2 체결부(22)는 뚜껑 본체부(10)의 하면에서 상기 제1 길이(높이) 보다 큰 제2 길이(높이) 만큼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체결부(21)의 하단(도 2의 도면에서는 상단)은 제2 체결부(22)의 하단(도 2의 도면에서는 상단) 보다 뚜껑 본체부(10)의 하면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내부 하우징(도 3의 200)은 상기 외부 케이스(도 4의 300) 보다 뚜껑 본체부(10)의 하면에 가깝게, 즉,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할 때, 상기 내부 하우징(도 3의 200)으로의 수분 및 이물질의 침투가 더욱 효과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계측기 케이스(1000)에 적용되는 상기 계측기는, 예를 들어, 땅속에 매설된 배관의 손상이나 상태 변화를 전기적인 신호 계측을 통해 감지하고 모니터링하거나, 땅속 토양의 특성을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계측기는 땅속에 매설된 배관의 손상이나 상태 변화를 전기적인 신호 계측을 통해 감지하고 모니터링하는 계측기(즉, 배관 상태 모니터링을 위한 계측기)일 수 있다. 상기 계측기는 배관과 인접한 땅속에 매설되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계측기의 적어도 일부가 땅속에 매설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계측기는 배관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계측기와 배관 사이의 전기적 연결은 간접적인 연결일 수 있지만, 경우에 따라, 직접적인 연결일 수도 있다. 일례로, 상기 계측기는 배관과 연결된 테스트 박스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계측기는 상기 테스트 박스를 통해서 배관과 연결되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계측기는 땅속 토양의 특성, 예를 들어, 토양의 PH, 토양의 수분, 토양의 염도, 토양의 온도, 토양의 전기적 저항 등을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토양의 특성 측정은 배관이 매설된 주변 토양에 대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토양의 특성을 측정함으로써, 배관에 대한 전기적 계측 또는 모니터링이 가능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지하 매설형 계측기용 계측기 케이스의 뚜껑 부재(100)의 상면부 측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지하 매설형 계측기용 계측기 케이스의 뚜껑 부재(100)의 하면부 측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지하 매설형 계측기용 계측기 케이스의 뚜껑 부재(100)의 상면부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지하 매설형 계측기용 계측기 케이스의 뚜껑 부재(100)의 하면부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뚜껑 부재(100)는 뚜껑 본체부(10)와 뚜껑 본체부(10)의 하면에 구비된 제1 체결부(21) 및 제2 체결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뚜껑 본체부(10)는 원판이나 그와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체결부(22)는 제1 체결부(21)의 외측에서 제1 체결부(21)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체결부(21)에 상기 내부 하우징(도 3의 200)이 체결될 수 있다. 제2 체결부(22)에 상기 외부 케이스(도 4의 300)가 체결될 수 있다. 편의상, 도 6 및 도 8 등에는 제1 및 제2 체결부(21, 22)에 형성된 나사산 영역(즉, 상기 제1 및 제2 나사산 영역)을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나사산 영역들은 도 2에 도시하고 설명한 바와 같이 형성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 표기된 각 영역의 치수(단위: mm)는 예시적인 것이고, 경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 밖에도, 도 5 내지 도 8의 뚜껑 부재(100)는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구성 및 특징을 가질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지하 매설형 계측기용 계측기 케이스의 뚜껑 부재(100)의 측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뚜껑 부재(100)의 제1 체결부(21)는 뚜껑 본체부(10)의 하면에서 제1 길이(H1) 만큼 돌출될 수 있고, 제2 체결부(22)는 뚜껑 본체부(10)의 하면에서 상기 제1 길이(H1) 보다 큰 제2 길이(H2) 만큼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체결부(21)의 하단은 제2 체결부(22)의 하단 보다 뚜껑 본체부(10)의 하면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나사산 영역(S11)의 하단은 제2 나사산 영역(S12)의 하단 보다 뚜껑 본체부(10)의 하면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길이(H2)는 상기 제1 길이(H1)의 약 1.5배 내지 3배 정도 또는 약 1.5배 내지 2.5배 정도에 해당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내부 하우징(도 3의 200)은 상기 외부 케이스(도 4의 300) 보다 뚜껑 본체부(10)의 하면에 가깝게, 즉,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할 때, 상기 내부 하우징(도 3의 200)으로의 수분 및 이물질의 침투가 더욱 효과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에 표기된 각 영역의 치수(단위: mm)는 예시적인 것이고, 경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1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계측기가 내장된 계측기 케이스(1000)를 땅속에 매설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계측기가 내장된 계측기 케이스(1000)를 땅속에 매설할 수 있다. 여기서, 참조번호 2000은 지면(지표면)을 나타낸다. 계측기 케이스(1000)의 상면은 지면(2000)과 대체로 평행을 이루면서 노출될 수 있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 계측기 케이스(1000)의 매설 깊이는 달라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지하 매설형 계측기의 설치 및 유지/관리에 유리하고 신뢰성, 내구성 및 안정성을 확보하는데 유리한 계측기 케이스를 구현할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지하 매설형 계측기에 대한 습기 및 이물질의 침투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계측기 케이스를 구현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계측기 케이스를 사용하면, 계측기의 설치 및 관리가 용이할 수 있고, 매설 설치된 계측기의 신뢰성, 내구성, 안정성 등이 향상될 수 있다. 특히, 계측기의 센서 유닛에 대한 습기 및 이물질의 침투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기 때문에, 습기 등의 침투에 의한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고안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예들 들어,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에 따른 계측기 케이스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때문에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하여 질 것이 아니고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5 : 오링 부재 10 : 뚜껑 본체부
21 : 제1 체결부 22 : 제2 체결부
30 : 하우징 본체부 40 : 제1 대응 체결부
50 : 케이스 본체부 60 : 제2 대응 체결부
70 : 받침편 100 : 뚜껑 부재
200 : 내부 하우징 250 : 배터리
300 : 외부 케이스 1000 : 계측기 케이스
S11 : 제1 나사산 영역 S12 : 제2 나사산 영역
S21 : 제1 대응 나사산 영역 S22 : 제2 대응 나사산 영역
W10 : 제1 배선 부재 W20 : 제2 배선 부재

Claims (5)

  1. 지하에 매설되는 계측기가 담겨지는 계측기 케이스로서,
    뚜껑 본체부와 상기 뚜껑 본체부의 하면에 구비된 제1 및 제2 체결부를 구비하되, 상기 제2 체결부는 상기 제1 체결부의 외측에서 상기 제1 체결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된 뚜껑 부재;
    상기 제1 체결부에 체결되는 것으로, 상기 계측기의 센서 유닛 및 통신 유닛이 담겨지는 내부 하우징; 및
    상기 제2 체결부에 체결되는 것으로, 상기 내부 하우징을 수용하면서 상기 내부 하우징 아래에 상기 계측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가 수용되는 배터리 수용공간을 갖는 외부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체결부를 이용한 이중 잠금 방식으로 상기 센서 유닛을 그 내부에 내장하도록 구성된, 지하 매설형 계측기용 계측기 케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부는 제1 내경을 갖는 환형(ring shape) 구조를 갖고, 상기 제1 체결부의 내측면에 제1 나사산 영역이 구비되며,
    상기 제2 체결부는 상기 제1 내경 보다 큰 제2 내경을 갖는 환형 구조를 갖고, 상기 제2 체결부의 내측면에 제2 나사산 영역이 구비되며,
    상기 내부 하우징은 상기 제1 나사산 영역에 체결되는 제1 대응 나사산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외부 케이스는 상기 제2 나사산 영역에 체결되는 제2 대응 나사산 영역을 포함하는 계측기 케이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내경은 상기 제1 내경의 1.3배 내지 2.5배에 해당하는 계측기 케이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부는 상기 뚜껑 본체부의 하면에서 제1 길이 만큼 돌출되고,
    상기 제2 체결부는 상기 뚜껑 본체부의 하면에서 상기 제1 길이 보다 큰 제2 길이 만큼 돌출되며,
    상기 제1 체결부의 하단은 상기 제2 체결부의 하단 보다 상기 뚜껑 본체부의 하면에 가깝게 배치된 계측기 케이스.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길이는 상기 제1 길이의 1.5배 내지 3배에 해당하고,
    상기 계측기는 땅속에 매설된 배관의 손상이나 상태 변화를 전기적인 신호 계측을 통해 감지하고 모니터링하거나, 땅속 토양의 특성을 측정하도록 구성된 계측기 케이스.
KR2020210003708U 2021-12-06 2021-12-06 지하 매설형 계측기용 계측기 케이스 KR2004977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3708U KR200497782Y1 (ko) 2021-12-06 2021-12-06 지하 매설형 계측기용 계측기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3708U KR200497782Y1 (ko) 2021-12-06 2021-12-06 지하 매설형 계측기용 계측기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1208U true KR20230001208U (ko) 2023-06-13
KR200497782Y1 KR200497782Y1 (ko) 2024-02-27

Family

ID=86745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3708U KR200497782Y1 (ko) 2021-12-06 2021-12-06 지하 매설형 계측기용 계측기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7782Y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2380U (ko) * 1996-12-03 1998-09-05 김영상 풀통
KR20160001258U (ko) * 2014-10-07 2016-04-18 코렐테크놀로지(주) 전위 측정용 이중 구조의 기준전극
KR101655846B1 (ko) 2016-04-15 2016-09-08 그린계기 주식회사 계량기함 커버
KR20190076189A (ko) * 2017-12-22 2019-07-02 (주)한국플랜트관리 수분 유입 차단용 가스센서 모듈
KR20190118242A (ko) * 2018-04-10 2019-10-18 옴니시스템 주식회사 원격으로 배관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장치
KR102171557B1 (ko) * 2020-03-12 2020-10-29 주식회사 삼천리이엔지 원격 유체누출 확인용 검침공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2380U (ko) * 1996-12-03 1998-09-05 김영상 풀통
KR20160001258U (ko) * 2014-10-07 2016-04-18 코렐테크놀로지(주) 전위 측정용 이중 구조의 기준전극
KR101655846B1 (ko) 2016-04-15 2016-09-08 그린계기 주식회사 계량기함 커버
KR20190076189A (ko) * 2017-12-22 2019-07-02 (주)한국플랜트관리 수분 유입 차단용 가스센서 모듈
KR20190118242A (ko) * 2018-04-10 2019-10-18 옴니시스템 주식회사 원격으로 배관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장치
KR102171557B1 (ko) * 2020-03-12 2020-10-29 주식회사 삼천리이엔지 원격 유체누출 확인용 검침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7782Y1 (ko) 2024-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43226B1 (en) Apparatus for protecting sensors within a well environment
US11971318B2 (en) Pressure monitoring system and housing therefor
US11680483B2 (en) Plug assembly for positioning within a passageway of a wellhead component
US7007545B1 (en) Method and measurement probe for the performance of measurements in water supply systems
KR101341442B1 (ko) 누수 감지 센서를 갖는 스마트 파이프
KR200497782Y1 (ko) 지하 매설형 계측기용 계측기 케이스
US20220170812A1 (en) Pressure seal with built in testing system
SA95150562B1 (ar) اكتشاف التآكل المحتمل لماسورة مركبة مقواة بالفولاذ
AU768095B2 (en) Method and measuring head for carrying out measurements in water supply systems
US20160177702A1 (en) Carrier mechanism and installation method for downhole gauge
KR200496855Y1 (ko) 배관 상태 모니터링을 위한 배터리 분리형 계측기 케이스
KR101932518B1 (ko) 리크감지센서용 케이스
KR100869692B1 (ko) 지중 케이블배관의 침수점검장치
KR102040778B1 (ko) 온도센서하우징
US8408076B2 (en) Weight sensor device
CA2822403A1 (en) Automatic meter reading components
BR112014022072B1 (pt) Transdutor óptico e conjunto de alimentação de passagem
KR101918622B1 (ko) 배관에 설치되는 계측기의 보호장치
US20070040375A1 (en) Locating appliance for a non-metallic piping member
KR101119825B1 (ko) 정전용량센서를 이용한 유체관 연결부의 리크감지장치
US20240191363A1 (en) Cathodic Protection Unit
KR100246202B1 (ko) 전압검출장치 내장용 특고압 지중선로 직선접속재
KR20240008521A (ko) 이형 압전소자를 이용한 누수센서
KR200346620Y1 (ko) 수도미터기의 보호통
JP2005289427A (ja) 地下タンクの漏れ防止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