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8242A - 원격으로 배관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원격으로 배관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8242A
KR20190118242A KR1020180041357A KR20180041357A KR20190118242A KR 20190118242 A KR20190118242 A KR 20190118242A KR 1020180041357 A KR1020180041357 A KR 1020180041357A KR 20180041357 A KR20180041357 A KR 20180041357A KR 20190118242 A KR20190118242 A KR 201901182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circuit
magnetic force
inner container
inner spac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13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9252B1 (ko
Inventor
박혜린
김지효
배석모
Original Assignee
옴니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옴니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옴니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413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9252B1/ko
Publication of KR201901182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82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92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92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7/00Investigating resistance of materials to the weather, to corrosion, or to light
    • G01N17/02Electrochemical measuring systems for weathering, corrosion or corrosion-protection measure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격으로 배관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관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모니터링 장치는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폐쇄된 중공의 원통 형상의 외부용기와, 상기 외부케이스 내부에 포개어지고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폐쇄된 중공의 내부 공간을 가지는 원통 형상의 내부용기와, 상기 외부용기와 상기 내부용기 사이에 충진되는 단열재와, 상기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전자 회로와, 상기 내부 공간에 수용되며 상기 전자 회로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상기 내부용기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내부 공간을 밀봉하는 덮개를 포함하는 모니터링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원격으로 배관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장치{Apparatus for monitoring pipeline remotely}
본 발명은 배관 모니터링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격으로 가스, 수도 등의 배관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지하에 매설된 수도, 가스 등의 배관, 특히 가스 배관의 경우에는 외부의 충격 등의 외력으로 파손, 또는 침수의 위험이 존재하여 지속적인 모니터링(monitoring)이 필요하다. 그리고 이러한 배관에는 방식(防蝕)의 목적으로 방식 전위를 인가하여, 방식 전류를 흘려주게 되는데, 이러한 방식 전류 또한 목적하는 소정의 범위 안에서 작동되는지도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였다. 그러나 지하에 매설된 배관에는 이들 모니터링을 위한 단말기가 개발되지 않았는바, 이들 배관의 각종 상태나 조건들을 감시하기 위해서는 직접 매설된 배관의 위치로 작업자가 찾아가 수작업을 통해 모니터링을 하거나, 직접 모니터링을 위한 장비를 현장에서 지하로 투입하여 모니터링하는 것이 통상적이었다.
한국공개특허 제2007-0044738호 2007년 04월 30일 공개 (명칭: 방식 감지 시스템)
본 발명의 목적은 원격으로 배관을 모니터링하는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원격 모니터링을 위한 전자장치 및 배터리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 배관을 모니터링하는 장치의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관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모니터링 장치는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폐쇄된 중공의 원통 형상의 외부용기와, 상기 외부케이스 내부에 포개어지고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폐쇄된 중공의 내부 공간을 가지는 원통 형상의 내부용기와, 상기 외부용기와 상기 내부용기 사이에 충진되는 단열재와, 상기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전자 회로와, 상기 내부 공간에 수용되며 상기 전자 회로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상기 내부용기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내부 공간을 밀봉하는 덮개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장치는 상기 덮개 내에 형성되는 자력 스위치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자력 스위치는 불활성 기체가 충진된 캡슐과, 상기 캡슐의 양단으로 돌출되며 상기 전자 회로와 연결되는 제1 리드 및 제2 리드와, 상기 제1 리드 및 제2 리드 각각으로부터 상기 캡슐 내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호간에 소정 길이만큼 오버랩되는 부분을 가지며, 오버랩되는 부분이 소정 높이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1 및 제2 접속 블레이드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자력 스위치에 자력이 형성되면, 상기 제1 및 제2 접속 블레이드가 상호 접속하여 상기 자력 스위치가 켜지고, 상기 자력 스위치가 켜짐에 따라 상기 제1 리드 및 제2 리드에 연결된 상기 전자 회로에 리셋 신호가 인가되어 상기 전자 회로가 초기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회로는 상기 자력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자력스위치는 불활성 기체가 충진된 캡슐과, 상기 캡슐의 양단으로 돌출되며 상기 전자 회로와 연결되는 제1 리드 및 제2 리드와, 상기 제1 리드 및 제2 리드 각각으로부터 상기 캡슐 내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호간에 소정 길이만큼 오버랩되는 부분을 가지며, 오버랩되는 부분이 소정 높이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1 및 제2 접속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외부용기의 외주면의 소정 영역에 상기 내부 공간 상의 상기 자력스위치의 위치를 나타내는 리셋감지마크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리셋감지마크에 영구자석을 포함하는 초기화도구가 접근되면, 상기 자력 스위치에 자력이 형성된다. 상기 형성된 자력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접속 블레이드가 상호 접속하여 상기 자력 스위치가 켜지고, 상기 자력 스위치가 켜짐에 따라 상기 제1 리드 및 제2 리드에 연결된 상기 전자 회로에 리셋 신호가 인가되어 초기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덮개는 원판 형상이며 상기 내부용기의 상부의 테두리에 결합되는 상판과, 원형 고리 형상이며 상기 상판의 하면의 테두리 부분에 부착되며 상기 상판과 상기 내부용기가 결합할 때, 상기 상판의 하부 테두리 부분과 상기 내부용기 상부 테두리 부분의 사이에 개재되는 패킹과, 상기 상판의 하부에서 상기 패킹 안쪽 영역에 부착되는 단열판을 포함한다.
상기 전자 회로는 배관의 관대지전위차를 측정하는 측정모듈과, 상기 측정모듈이 측정한 배관의 관대지전위차를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장치는 단부에 토양 및 상기 배관에 연결되는 복수의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내부 공간에서 상기 측정모듈과 연결되며, 상기 덮개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케이블을 더 포함한다.
상기 장치는 상기 내부 공간에서 배치되어 내부 공간의 습기를 제거하는 제습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링 장치.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중의 단열 구조를 통해 완전히 밀봉된 상태의 구조를 제공한다. 초기화스위치를 통해 영구자석을 포함하는 초기화도구를 이용하여 하우징의 덮개를 분리하지 않고도 하우징 내에 밀봉된 전자회로를 초기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다층 밀봉 구조 및 덮개를 분리하는 횟수의 최소화를 통해 하우징 내부의 전자장치가 외기 혹은 수분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터리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수명이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비해 자주 관대지전위차를 원격으로 관리서버에 보고할 수 있어, 보다 정밀한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으로 배관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침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침장치의 하우징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침장치의 덮개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침장치에 포함되는 전자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침장치의 초기화를 위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검침장치의 초기화를 위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으로 배관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으로 배관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은 검침장치(10), 관리서버(20) 및 관리장치(30)를 포함한다.
검침장치(10)는 배관(1)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지중에 매설되며, 배관(1)의 전위와 지중의 토양(2)의 전위의 차를 나타내는 관대지전위차를 측정한다. 그리고 검침장치(10)는 측정된 관대지전위차를 관리서버(20)로 전송한다.
관리서버(20)는 검침장치(10)로부터 수신된 관대지전위차를 누적하여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관리서버(20)는 누적하여 저장된 관대지전위차를 통해 배관(1)에 대한 상태 정보를 생성하고, 필요한 경우, 배관(1)에 대한 상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관리장치(30)는 관리서버(20)에 접속하여 저장된 관대지전위차를 통해 배관(1)의 상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상태 정보를 통해 부식 환경의 평가, 타 시설물에 의한 전기 간섭 여부, 전기방식시설의 기능 진단 및 양극의 보수 혹은 보강 시기 예측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면, 보다 자세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침장치(10)의 전체적인 구성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침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침장치(10)는 중공의 내부 공간을 가지는 원통형의 하우징(H)과 하우징(H)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전자장치(E)를 포함한다.
전자장치(E)는 관대지전위차를 측정하고, 측정된 관대지전위차를 전송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전자장치(E)는 전자회로(400) 및 전자회로(4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500)를 포함한다.
검침장치(10)는 지중에 매립된 상태로 운영된다. 이러한 경우, 온도 변화로 인해 결로가 발생하면, 결로로 인한 수분은 전자장치(E)에 치명적이다. 따라서 하우징(H)은 전자장치(E)를 보호하기 위해 다중 구조로 이루어지며, 밀폐된다. 즉, 하우징(H)은 외부용기(100), 내부용기(200) 및 덮개(300)를 포함한다.
또한, 설명되지 않은 도면 부호 600은 케이블이고, 하우징(H)의 내부 공간의 전자장치(E)와 연결되고, 하우징(H)의 덮개를 관통하여 외부로 인출된다. 인출된 케이블(600)의 말단의 전극은 배관(1) 및 토양(2)과 연결된다.
게다가, 설명되지 않은 도면 부호 700은 제습재이며, 제습재(700)는 하우징(H)의 내부 공간의 전자장치(E)가 위치하지 않은 영역에 배치되어 내부 공간의 습기를 제거한다.
다음으로, 보다 자세히, 하우징(H)의 세부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침장치의 하우징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침장치의 덮개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H)은 외부용기(100), 내부용기(200) 및 덮개(300)를 포함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H)은 외부용기(100)와 내부용기(200) 사이에 충진되는 단열재(150)를 더 포함한다.
외부용기(100)는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폐쇄된 중공의 내부 공간을 가지는 원통 형상이다. 내부용기(200) 또한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폐쇄된 중공의 내부 공간을 가지는 원통 형상이다. 내부용기(200)는 외부용기(100)에 포개어져 결합된다. 외부용기(100)와 내부용기(200)가 결합될 때, 외부용기(100)와 내부용기(200) 사이에 단열재(150)가 충진된다. 충진 시, 단열재(150)는 겔 상태의 실리콘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부용기(100)와 내부용기(200) 사이에 겔 상태의 실리콘을 주입하면, 실리콘이 고화되면서 외부용기(100)와 내부용기(200) 사이에 단열층을 형성할 수 있다.
덮개(300)는 전체적으로 원판 형상이며, 내부용기(200)의 상부에 결합되어 내부용기(200)의 내부 공간을 밀봉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덮개(300)는 상판(310), 패킹(320) 및 단열판(330)을 포함한다.
상판(310)은 전체적으로 원형이며, 테두리를 따라 나사 결합을 위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내부용기(200)의 상부의 테두리 또한 나사 결합을 위한 홈이 형성되며, 상판(310)은 내부용기(200)의 상부의 테두리에 나사 결합 등을 통해 결합되어 고정된다.
패킹(320)은 원형의 고리 형상이고, 상판(310)의 하면의 테두리 부분에 부착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덮개(300)의 상판(310)과 내부용기(200)가 결합할 때, 패킹(320)은 덮개(300)의 상판(310)의 하부 테두리 부분과 내부용기(200) 상부 테두리 부분의 사이에 개재된다. 이에 따라, 패킹(320)은 상판(310)의 하부 테두리 부분과 내부용기(200) 상부 테두리 부분의 사이의 틈새에 물이나 공기가 침투하지 못하도록 끼워 넣어지는 형태로 결합된다. 이로써, 상판(310)의 하부 테두리 부분과 내부용기(200) 상부 테두리 부분의 사이가 밀봉된다.
단열판(330)은 원판 형상이며, 상판(310)의 하부에서 패킹(320) 안쪽 영역에 부착된다. 단열판(330)은 단열 재료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덮개(300)의 상판(310)과 내부용기(200)가 결합되면, 단열판(330)은 덮개(300) 외부에 대해 내부용기(200)의 내부 공간을 단열한다.
다음으로, 하우징(H)의 내부 공간, 즉, 내부용기(200)의 내부 공간에 형성되는 전자장치(E)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침장치에 포함되는 전자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자장치(E)는 전자회로(400) 및 배터리(500)를 포함한다. 특히, 전자회로(400)는 통신모듈(410) 및 측정모듈(42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모듈(410) 및 측정모듈(420)은 상호 독립된 기판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통신모듈(410) 및 측정모듈(420) 중 어느 하나가 불량 혹은 고장이 발생한 경우, 해당 모듈만을 수리 혹은 교체하기 때문에 고장 및 수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측정모듈(420)은 관대지전위차를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케이블(600)은 그 말단에 복수의 전극을 포함하며, 복수의 전극은 매설된 배관(1) 및 토양(2) 표면과 연결된다. 측정모듈(420)은 케이블(600)을 통해 배관(1)에 대한 토양(2)의 전위(Volt), 즉, 관대지전위차를 측정한다. 케이블(600)의 전극으로 포화황산동전극(Cu/CuSO4) 혹은 염화은(Ag/AgCl) 전극을 사용할 수 있다.
측정모듈(420)이 측정한 관대지전위차에 의해 다음의 표 1과 같이 판단할 수 있다.
관대지전위차(mV) 부식성
>0 아주큼(외부간섭 영향)
0~(-)400 큼(외부간섭 영향)
(-)400~(-)850 보통(자연전위 또는 방식전위 미달)
(-)850~(-)2500 적음(적정한 방식전위)
<(-)2500 아주 적음(과방식)
관대지전위차는 포화황산동 전극기준으로 -400 내지 -600 mV 범위를 나타내며 이러한 상태는 배관(1)이 매설된 토양 내에서 약한 속도로 부식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관로에 전기 방식을 실시한 경우, 일반 토양에서의 방식전위 기준치(건설교통부 방식기술편람 기준)는 -850 ㎷ 내지 -2500 ㎷이며, 방식전위가 타 구간에 비해 지나치게 높으면 방식시설이 제 기능을 다하지 못하고 있거나, 타 시설물의 전기 간섭 등에 의한 양극화(Anode) 현상으로 부식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만약, 양극화(Anode) 현상과 반대 현상이면 방식 전류의 과다 또는 타 시설물의 전기 간섭 등에 의한 음극부(Cathode)로서 과방식이 되고 있는 상태이며, 전력이 낭비될 뿐 만 아니라 과방식이 계속되면 알칼리에 의해 피막이 열화 또는 박리되고 수소발생이 심하면 배관(1) 자체가 수소취성(Hydrogen Embrittlement)화 될 수 있다. 측정모듈(420)은 케이블(600)의 전극을 배관(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10m 내지 30m 간격) 이격된 위치에서 배관(1)의 복수의 부분에 연결하고, 배관(1)의 복수의 부분에 대한 토양(2)의 전위(Volt), 즉, 관대지전위차를 측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관(1)의 복수의 부분에 대한 토양(2)의 전위(Volt), 즉, 관대지전위차를 거리에 따라 도시할 경우에, 배관(1)의 국부적인 방식전위 불량 지점을 정확히 찾을 수 있다. 또한, 만약 간섭 문제일 경우에 방식전위의 경향을 정확히 파악하여 간섭 지점과 간섭원인을 알 수 있다.
통신모듈(410)은 관리서버(20)와 통신하기 위한 것이다. 통신모듈(410)은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서버(20)로부터 명령을 수신하거나, 관리서버(20)로 측정모듈(420)이 측정한 관대지전위차를 전송할 수 있다. 통신모듈(110)은 LET-M 규격을 준용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모듈(110)은 안테나(411) 및 신호처리부(413)를 포함한다.
안테나(411)는 무선(RF: Radio Frequency) 송수신 기능을 수행한다. 즉, 안테나(411)는 무선으로 송신 신호를 송신하고, 무선으로 수신 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안테나(411)는 고유의 안테나 이득(antenna gain)으로 송신신호의 방사 파워(Total Radiate Power; TRP)를 결정한다. 여기서, 안테나 이득은 안테나(411)의 형태 또는 전기적 특성에 따라 결정된다. 즉, 안테나(411)에 송신 파워(conduction power)로 송신 신호 입력 시, 송신 파워에 안테나 이득이 부가되어, 송신 파워로부터 방사 파워가 결정된다. 그리고 안테나(411)에서 방사 파워로 송신 신호가 출력된다. 더욱이, 안테나(411)는 일정 형상의 방사 패턴에 따라 송신 신호를 송신하거나, 수신 신호를 수신한다. 여기서, 방사 패턴은 안테나(411)에서 출력하기 위한 송신 신호의 방사 파워에 따라 형성된다. 즉, 방사 패턴은 송신 신호의 방사 파워에 따라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안테나(411)는 전방향에 있어서 비대칭적으로 형성되는 방사 패턴으로 송신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또는, 안테나(411)는 전방향에 있어서 대칭적으로 형성되는 방사 패턴으로 송신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신호처리부(413)는 송수신되는 신호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송수신되는 신호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를 포함한다. 신호처리부(413)는 무선 송신부와 무선 수신부를 포함한다. 무선 송신부는 송신 신호를 처리하여 안테나(411)에 전달한다. 무선 수신부는 안테나(411)로부터 전달되는 수신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복조하여 출력한다. 무선 송신부는 송신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주파수를 상승 증폭 시켜 안테나(411)로 전달한다. 이를 위하여, 신호처리부(413)는 믹서(mixer: MIX), 트랜시버(tranceiver: TRC), 파워증폭기(power amplifier: PA), 듀플렉서(duplexer: DX), 필터(IF Filter), 모뎀(MODEM), 코덱(CODE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침장치의 초기화를 위한 스위치의 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침장치의 초기화를 위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덮개(300) 상판(310)을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며, 도 7은 도 6의 A-A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300) 상판(310) 내에 소정 깊이에 매립된 형태로 초기화스위치(34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초기화스위치(340)와 전자회로(400)의 연결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도 8의 v 부분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초기화스위치(340)는 캡슐(341), 제1 및 제2 리드(342, 343) 및 제1 및 제2 접속 블레이드(344, 345)를 포함한다.
캡슐(341)은 양단이 폐쇄된 관 형상이며, 캡슐(341)의 내부 공간은 진공으로 형성되며, 불활성 기체가 채워진다. 제1 및 제2 리드(342, 343) 각각 캡슐(341)의 양단에서 돌출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제1 및 제2 리드(342, 343)는 자성체이며 도체인 재질로 이루어진다. 또한, 제1 및 제2 블레이드(344, 345)는 각각 제1 및 제2 리드(342, 343)로부터 캡슐(341) 내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제1 및 제2 블레이드(344, 345) 또한 자성체이며 도체인 재질로 이루어진다. 특히,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블레이드(344, 345)는 상호 간에 소정 길이(D) 만큼 오버랩되는 부분을 가지며, 오버랩되는 부분은 소정 높이(h) 만큼 이격되어 형성된다.
초기화스위치(340)와 전자회로(400)는 초기화스위치(340)의 제1 및 제2 리드(342, 343)로부터 전선을 통해 전자회로(400)와 연결된다. 초기화스위치(340)가 매립된 덮개(300) 상부에 영구자석을 포함하는 초기화도구(미도시)를 가져가면, 초기화스위치(340)에 자력이 형성되고, 형성된 자력에 의해 제1 및 제2 블레이드(344, 345)의 오버랩 부분이 자기흡인력에 접촉된다. 이에 따라, 초기화스위치(340)가 켜지면서 전자회로(400)에 리셋 신호가 인가되어 전자회로(400)가 초기화된다. 이러한 동작에 따라 영구자석을 포함하는 초기화도구를 하우징(H)의 덮개(300)에 가져가면, 검침장치(10)의 하우징(H)의 덮개(300)를 분리하지 않고도 하우징(H) 내에 밀봉된 전자회로(400)를 초기화시킬 수 있다.
전술한 도 6 내지 도 9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따르면, 초기화스위치(340)는 덮개(300) 상판(310) 내에 소정 깊이에 매립되었다. 이러한 실시예의 대안적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검침장치의 초기화를 위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초기화스위치(340)는 덮개(300) 상판(310) 내에 소정 깊이에 매립되는 것이 아니라, 전자 회로(400)에 포함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회로(400) 상에 초기화스위치(340)가 형성된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용기(100)의 외주면의 소정 영역에 하우징(H)의 내부 공간 상의 자력스위치(430)의 위치를 나타내는 리셋감지마크(460)가 형성된다. 즉, 리셋감지마크(460)는 리셋감지마크(460)가 형성된 위치의 하우징(H)의 내부 공간에 초기화스위치(340)가 위치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외부용기(100)의 외주면의 소정 영역에 형성된 리셋감지마크(460)에 영구자석을 포함하는 초기화도구(미도시)를 가져가면, 초기화스위치(340)에 자력이 형성되고, 형성된 자력에 의해 제1 및 제2 블레이드(344, 345)의 오버랩 부분이 자기흡인력에 접촉된다. 이에 따라, 초기화스위치(340)가 켜지면서 전자회로(400)에 리셋 신호가 인가되어 전자회로(400)가 초기화된다. 이와 같이, 초기화도구를 하우징(H)의 덮개(300)에 가져가면, 검침장치(10)의 하우징(H)의 덮개(300)를 분리하지 않고도 하우징(H) 내에 밀봉된 전자회로(400)를 초기화시킬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검침장치(10)의 하우징(H)은 다중의 밀봉 구조를 통해 하우징(H) 내부의 전자장치(E)를 보호한다. 또한, 하우징(H)은 단열재(150) 및 단열판(330)을 통해 수분으로부터 그 내부의 전자장치(E)를 보호한다. 더욱이, 본 발명은 하우징(H)의 밀봉 구조에 따라 안테나(110)를 외부에 노출시키지 않지만 통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영구자석을 포함하는 초기화도구를 이용하여 검침장치(10)의 하우징(H)의 덮개(300)를 분리하지 않고도 초기화스위치(340)를 통해 하우징(H) 내에 밀봉된 전자회로(400)를 초기화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덮개(300)를 분리하는 횟수가 현저하게 줄어들어 하우징(H) 내부의 전자장치(E)를 외기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몇 가지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제시된 권리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균등론에 따라 다양한 변화와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1: 배관 2: 토양
10: 검침장치 20: 관리서버
30: 관리장치 H: 하우징
E: 전자장치 100: 외부용기
150: 단열재 200: 내부용기
300: 덮개 310: 상판
320: 패킹 330: 단열판
340: 초기화스위치 341: 캡슐
342: 제1 리드 342: 제2 리드
343: 제1 접속 블레이드 344: 제2 접속 블레이드
400: 전자회로 410: 통신모듈
411: 안테나 413: 신호처리부
420: 측정모듈 430: 초기화스위치
431: 캡슐 342, 343: 리드
344, 345: 블레이드 360: 리셋감지마크
500: 배터리 600: 케이블

Claims (7)

  1. 배관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모니터링 장치에 있어서,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폐쇄된 중공의 원통 형상의 외부용기;
    상기 외부케이스 내부에 포개어지고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폐쇄된 중공의 내부 공간을 가지는 원통 형상의 내부용기;
    상기 외부용기와 상기 내부용기 사이에 충진되는 단열재;
    상기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전자 회로;
    상기 내부 공간에 수용되며 상기 전자 회로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상기 내부용기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내부 공간을 밀봉하는 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회로는 상기 자력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자력스위치는
    불활성 기체가 충진된 캡슐과,
    상기 캡슐의 양단으로 돌출되며 상기 전자 회로와 연결되는 제1 리드 및 제2 리드와,
    상기 제1 리드 및 제2 리드 각각으로부터 상기 캡슐 내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호간에 소정 길이만큼 오버랩되는 부분을 가지며, 오버랩되는 부분이 소정 높이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1 및 제2 접속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링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용기의 외주면의 소정 영역에 상기 내부 공간 상의 상기 자력스위치의 위치를 나타내는 리셋감지마크가 형성되며,
    상기 리셋감지마크에 영구자석을 포함하는 초기화도구가 접근되면, 상기 자력 스위치에 자력이 형성되고,
    상기 형성된 자력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접속 블레이드가 상호 접속하여 상기 자력 스위치가 켜지고, 상기 자력 스위치가 켜짐에 따라 상기 제1 리드 및 제2 리드에 연결된 상기 전자 회로에 리셋 신호가 인가되어 초기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링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원판 형상이며, 상기 내부용기의 상부의 테두리에 결합되는 상판;
    원형 고리 형상이며, 상기 상판의 하면의 테두리 부분에 부착되며 상기 상판과 상기 내부용기가 결합할 때, 상기 상판의 하부 테두리 부분과 상기 내부용기 상부 테두리 부분의 사이에 개재되는 패킹; 및
    상기 상판의 하부에서 상기 패킹 안쪽 영역에 부착되는 단열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링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회로는
    배관의 관대지전위차를 측정하는 측정모듈; 및
    상기 측정모듈이 측정한 배관의 관대지전위차를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링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단부에 토양 및 상기 배관에 연결되는 복수의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내부 공간에서 상기 측정모듈과 연결되며, 상기 덮개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케이블;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링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공간에서 배치되어 내부 공간의 습기를 제거하는 제습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링 장치.
KR1020180041357A 2018-04-10 2018-04-10 원격으로 배관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장치 KR1020392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1357A KR102039252B1 (ko) 2018-04-10 2018-04-10 원격으로 배관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1357A KR102039252B1 (ko) 2018-04-10 2018-04-10 원격으로 배관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8242A true KR20190118242A (ko) 2019-10-18
KR102039252B1 KR102039252B1 (ko) 2019-10-31

Family

ID=68421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1357A KR102039252B1 (ko) 2018-04-10 2018-04-10 원격으로 배관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925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1144U (ko) * 2020-11-13 2022-05-20 차강윤 배관 상태 모니터링을 위한 배터리 분리형 계측기 케이스
KR20230001208U (ko) * 2021-12-06 2023-06-13 차강윤 지하 매설형 계측기용 계측기 케이스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4149Y1 (ko) * 2001-08-28 2001-11-23 인천도시가스주식회사 매설 가스배관의 방식전위 측정함
KR20060013160A (ko) * 2004-08-06 2006-02-09 김무중 휴대용 수중 전자계측기
KR20070044738A (ko) 2005-10-25 2007-04-30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방식 감지 시스템
KR20080093668A (ko) * 2007-04-18 2008-10-22 주식회사삼원이엔씨 방식전위측정용 테스트박스
KR20140071290A (ko) * 2014-04-04 2014-06-11 강남도시가스(주) 전위측정 스마트 단자함
KR20160026370A (ko) * 2014-09-01 2016-03-09 (주) 소프트랩 저전력 기반의 고속 이동식 지하 매설배관 방식전위 측정 시스템
KR101775611B1 (ko) * 2016-07-15 2017-09-07 티텍 주식회사 무선온도센서모듈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4149Y1 (ko) * 2001-08-28 2001-11-23 인천도시가스주식회사 매설 가스배관의 방식전위 측정함
KR20060013160A (ko) * 2004-08-06 2006-02-09 김무중 휴대용 수중 전자계측기
KR20070044738A (ko) 2005-10-25 2007-04-30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방식 감지 시스템
KR20080093668A (ko) * 2007-04-18 2008-10-22 주식회사삼원이엔씨 방식전위측정용 테스트박스
KR20140071290A (ko) * 2014-04-04 2014-06-11 강남도시가스(주) 전위측정 스마트 단자함
KR20160026370A (ko) * 2014-09-01 2016-03-09 (주) 소프트랩 저전력 기반의 고속 이동식 지하 매설배관 방식전위 측정 시스템
KR101775611B1 (ko) * 2016-07-15 2017-09-07 티텍 주식회사 무선온도센서모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1144U (ko) * 2020-11-13 2022-05-20 차강윤 배관 상태 모니터링을 위한 배터리 분리형 계측기 케이스
KR20230001208U (ko) * 2021-12-06 2023-06-13 차강윤 지하 매설형 계측기용 계측기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9252B1 (ko) 2019-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67373C2 (ru) Улучшенные форм-фактор и защита от электромагнитных помех для беспроводных адаптеров технологического устройства
CA2091551C (en) Utility meter transponder/antenna assembly for underground installations
CN207556743U (zh) 海底壳体组件和海底传感器
KR102039252B1 (ko) 원격으로 배관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장치
RU2436205C2 (ru) Регулируемая опора антенны для промышленных установок
US9714858B2 (en) Consumption meter housing with feed through for external communication equipment
CN204014303U (zh) 带有防湿密封的电子模块的工业过程现场装置
CN102353628B (zh) 一种埋地钢质管道阴极保护极化测试探头及测试方法
US20110227721A1 (en) Leak detection system for pipes
BR112014011011B1 (pt) Seções de estrutura de poços
CN108709917A (zh) 管式tdr土壤水分传感器
ES2611994B1 (es) Dispositivo medidor de magnitudes físicas sobre cables conductores eléctricos con aislamiento perimetral exterior
KR200486933Y1 (ko) 방식전위 측정함용 용기 구조체
CN110748801A (zh) 管道泄漏检测方法、装置及系统
CN208188032U (zh) 管式tdr土壤水分传感器
KR101328290B1 (ko) 측정 기구
RU2704416C2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эксплуатации и контроля эксплуатационной скважины или скважины подземного хранилища текучей среды
EP3938736B1 (en) An electronic device for the detection and monitoring of parameters associated with a phyisical quantity
US10164320B1 (en) System and method for sealing potting material from an antenna cavity
KR20000071948A (ko) 피씨에스 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자기우량계
US20230387569A1 (en) Sealing utility meter transceiver enclosures
US20040206492A1 (en) Borehole sounding device with sealed depth and water level sensors
CN215494124U (zh) 一种提高密封性的超声波测距装置
CN109856653A (zh) 一种深海探测平台多功能通用天线装置
RU2774558C1 (ru) Система дистанционного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контроля и эксплуатации трубопроводов теплотрас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