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0778B1 - 온도센서하우징 - Google Patents

온도센서하우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0778B1
KR102040778B1 KR1020190023964A KR20190023964A KR102040778B1 KR 102040778 B1 KR102040778 B1 KR 102040778B1 KR 1020190023964 A KR1020190023964 A KR 1020190023964A KR 20190023964 A KR20190023964 A KR 20190023964A KR 102040778 B1 KR102040778 B1 KR 1020407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sensor
sensor
lead wire
socke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39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성
Original Assignee
김진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성 filed Critical 김진성
Priority to KR10201900239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07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07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07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08Protective devices, e.g. casi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14Supports; Fastening devices; Arrangements for mounting thermometers in particular lo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3/00Therm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K13/02Therm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temperature of moving fluids or granular materials capable of flow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도센서하우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관 내 수온측정을 위해 배관에 설치되는 온도센서하우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배관 내 수온을 측정하기 위한 온도센서(2)가 내장되는 온도센서하우징에 있어서, 상기 온도센서(2)를 통해 생성된 전기신호를 외부로 전송하기 위해, 외부리드선(4)과 내부리드선(3)이 통전되도록 각각 연결되는 단자가 설치되는 단자대(100)와; 상기 단자대(100)의 하측에서 결합되며, 상기 내부리드선(3)이 관통하는 관통홈(210)이 형성되는 센서헤드(200)와; 상기 배관에 설치되며, 내부에 상기 온도센서(2)가 삽입되는 삽입홈(410)이 형성되는 센서보호부(400)와; 상기 센서헤드(200)와 상기 센서보호부(40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삽입홈(410)과 상기 관통홈(210)을 차단하고 상기 내부리드선(3)과 상기 온도센서(2)를 통전시키는 중계부(300)를 포함하는 온도센서하우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온도센서하우징{Temperature sensor housing}
본 발명은, 온도센서하우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관 내 수온측정을 위해 배관에 설치되는 온도센서하우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온에 대응하여 열전적으로 작용하는 온도센서를 통해 생성된 전기적 신호를 리드단자를 통해 리드선을 타고 외부로 보내 배관 내의 수온을 측정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내부에 온도센가 설치되는 온도센서하우징을 배관에 설치하여야 한다.
이때 온도센서하우징은, 종래에 센서헤드와 캡이 나사 결합에 의해 체결 또는 분리되는 구조로서, 배관 주변의 어둡고 열악한 환경에서 온도센서하우징을 설치 및 점검하기 위한 작업자가 캡을 분리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분리한 상황에서 캡이 분실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종래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85966호는, 배관 주변의 어둡고 열악한 환경에서도 작업자가 용이하게 온도센서의 설치 및 점검 등의 작업이 가능하도록, 온도센서하우징의 캡이 센서헤드와 힌지구조를 통해 결합되어, 쉽게 개폐되는 고안을 개시하였다.
그러나, 종래 구조의 경우, 온도센서가 내장되어 배관 내부에 위치하는 센서보호부가 수압 또는 외부충격 등에 의하여 파손되는 경우, 내부가 관통되는 구조로 인해, 물이 누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온도센서의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리드선의 연결을 위한 내부공간이 존재하므로, 센서보호부가 파손되는 경우, 온도센서하우징을 통해 물이 누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센서보호부는, 배관에 설치되는 설치부분과 설치부분에 배관 내에 난방수 등에 접촉되는 부분이 용접 등으로 고정되는 구조이므로, 난방수의 수압 등에 따라 비교적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 KR20-0285966 Y1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센서보호부의 파손에도 물의 누출이 없는 온도센서하우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배관 내 수온을 측정하기 위한 온도센서(2)가 내장되는 온도센서하우징에 있어서, 상기 온도센서(2)를 통해 생성된 전기신호를 외부로 전송하기 위해, 외부리드선(4)과 내부리드선(3)이 통전되도록 각각 연결되는 단자가 설치되는 단자대(100)와; 상기 단자대(100)의 하측에서 결합되며, 상기 내부리드선(3)이 관통하는 관통홈(210)이 형성되는 센서헤드(200)와; 상기 배관에 설치되며, 내부에 상기 온도센서(2)가 삽입되는 삽입홈(410)이 형성되는 센서보호부(400)와; 상기 센서헤드(200)와 상기 센서보호부(40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삽입홈(410)과 상기 관통홈(210)을 차단하고 상기 내부리드선(3)과 상기 온도센서(2)를 통전시키는 중계부(300)를 포함하는 온도센서하우징을 개시한다.
상기 중계부(300)는, 일단에 상기 내부리드선(3)과 연결되는 제1단자부(310)와, 타단에 상기 온도센서(2)와 연결되고 상기 제1단자부(310)와 통전되는 제2단자부(320)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중계부(300)는, 상기 센서헤드(200) 측 끝단에 상기 제1단자부(310)가 구비되는 소켓부(330)와, 상기 센서보호부(400) 측 끝단에 상기 제2단자부(320)가 구비되고, 상기 소켓부(330)에 끼워져 결합되는 플러그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켓부(330)는, 외주연에 상기 관통홈(210)에 형성되는 제1암나사부(220)에 대응되는 제1수나사부(331)가 형성되어 볼트결합에 의해 상기 센서헤드(200)와 결합하는 소켓결합부(332)와, 상기 소켓결합부(332)로부터 반경방향으로 확장되어 형성되는 소켓플랜지부(3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러그부(340)는, 상기 센서보호부(40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제2암나사부(420)에 대응되는 제2수나사부(341)가 외주연에 형성되어 볼트결합에 의해 상기 센서보호부(400)와 결합하는 플러그결합부(342)와, 상기 플러그결합부(342)로부터 반경방향으로 확장되어 형성되어 상기 소켓플랜지부(333)와 면접촉하는 플러그플랜지부(3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러그플랜지부(343)와 상기 센서보호부(400)의 상면 사이에 제1실링부재(44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센서보호부(400)는, 상기 삽입홈(410)의 상기 중계부(300) 측에서 단차부분이 형성되도록 반경방향으로 확장되는 확장삽입홈(430)이 형성되며, 상기 플러그결합부(342)와 상기 단차부분 사이에 제2실링부재(450)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온도센서하우징은, 구조를 개선하여 내부에 설치되는 온도센서를 점검 및 교체가 용이하여 작업 능률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온도센서하우징은, 온도센서를 통해 생성된 전기신호를 외부로 전달하기 위하여 중계부를 설치함으로써, 센서를 통한 전기신호의 외부전달이 안정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온도센서하우징은, 배관 내에 설치되는 웰부의 파손에도 내부가 차단된 구조이므로, 배관 내 물의 외부 누출이 방지되어 온도센서하우징의 일부 손상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온도센서하우징의 모습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온도센서하우징의 모습을 보여주는 분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온도센서하우징의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온도센서하우징의 중계부의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온도센서하우징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온도센서하우징의 중계부의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온도센서하우징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온도센서하우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 내 수온을 측정하기 위한 온도센서(2)가 내장되는 온도센서하우징에 있어서, 상기 온도센서(2)를 통해 생성된 전기신호를 외부로 전송하기 위해, 외부리드선(4)과 내부리드선(3)이 통전되도록 각각 연결되는 단자가 설치되는 단자대(100)와; 상기 단자대(100)의 하측에서 결합되며, 상기 내부리드선(3)이 관통하는 관통홈(210)이 형성되는 센서헤드(200)와; 상기 배관에 설치되며, 내부에 상기 온도센서(2)가 삽입되는 삽입홈(410)이 형성되는 센서보호부(400)와; 상기 센서헤드(200)와 상기 센서보호부(40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삽입홈(410)과 상기 관통홈(210)을 차단하고 상기 내부리드선(3)과 상기 온도센서(2)를 통전시키는 중계부(30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온도센서하우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자대(100)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단자대(100)의 상부를 복개하는 캡(12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관은, 물을 공급하기 위한 수로가 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특히, 상기 배관은, 사용자가 난방 등을 위해 사용되는 난방수가 공급되는 수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온도센서하우징 및 온도센서(2)가 설치되어 사용자가 사용한 열의 양을 측정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배관은 온도센서하우징이 설치가능하도록, 내주면에 암나사부가 형성되는 설치개구가 형성될 수 있으며, 설치개구에 온도센서하우징을 설치함으로써, 난방수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온도센서(2)는, 배관에 흐르는 물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배관에 흐르는 물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구성이면 접촉식, 비접촉식 등 어떠한 구성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온도센서(2)는, 측온 저항체를 이용한 구성으로서, 온도 변화에 따른 저항체의 저항값을 통해 온도를 결정하며, 저항체로 백금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외부리드선(4)은, 온도센서(2)를 통해 생성된 전기신호를 전달받아 외부의 열량연산을 위한 연산부에 전달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외부리드선(4)은, 일단이 연산부에 연결되며, 타단이 후술하는 단자대(100)의 단자에 결합됨으로써, 내부리드선(3)과 통전되어 온도센서(2)를 통해 생성된 전기신호를 연산부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내부리드선(3)은, 온도센서(2)를 통해 생성된 전기신호를 전달받아 외부리드선(4)에 전달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내부리드선(3)은, 일단이 단자대(100)의 단자에 결합되고, 타단이 후술하는 중계부(300)에 결합됨으로써, 외부리드선(4) 및 온도센서(2)와 통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자대(100), 센서헤드(200) 및 센서보호부(400)는 인용한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 20-0285966호와 같거나 유사한 구성이므로, 이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단자대(100)는, 외부리드선(4)과 내부리드선(3)이 통전되도록 단자가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단자대(100)는, 온도센서(2)를 통해 생성된 전기신호를 외부로 전송하기 위해, 외부리드선(4)과 내부리드선(3)이 통전되도록 각각 연결되는 단자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자는, 통상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단자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단자대(100)를 관통하여 설치됨으로써, 외부리드선(4)이 단자대(100)의 상부면에서 단자와 결선되고, 내부리드선(3)이 단자대(100)의 하부면에서 단자와 결선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센서헤드(200)는, 단자대(100)의 하측에서 결합되며, 내부리드선(3)이 관통하는 관통홈(210)이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관통홈(210)은, 후술하는 중계부(300)와 볼트결합될 수 있도록, 제1암나사부(22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1암나사부(220)에 비해 작은 반경을 가짐으로써 단차지게 형성되어 탄성패킹(230)이 삽착되는 패킹삽착부(2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캡(120)은, 단자대(100)에 힌지결합되어 단자대(100)의 상부를 복개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캡(120)은, 단자대(100)와의 대향면에 설치되는 실링부재(12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실링부재(121)는 오링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센서보호부(400)는, 배관에 설치되며, 내부에 온도센서(2)가 삽입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센서보호부(400)는, 상단에 중계부(300)의 일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관통부(461)가 형성되는 결합부(460)와, 상기 결합부(460)에 끼워져 결합되는 웰부(47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웰부(470)는, 결합부(460)에 형성되는 관통부(461)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으며, 고정결합을 위해 용접 등으로 마무리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460)는, 상단에 중계부(300)의 일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관통부(461)가 형성되며, 웰부(470)가 결합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특히, 상기 결합부(460)는, 외주면에 배관에 형성되는 나사산에 대응되는 나사산(462)이 외주면에 형성됨으로써, 온도센서 및 온도센서하우징이 배관에 볼트결합으로 손쉽게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종래에는, 배관 내부에 설치되어 난방수 등에 접촉하는 웰부(470)가 강한 수압에 의해 결합부(460)로부터 떨어지거나 파손되는 경우, 온도센서(2)로부터 생성된 전기신호를 외부로 전달하기 위한 내부공간을 통해 난방수가 외부로 누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리드선(3)과 온도센서(2)를 통전시킴과 동시에 삽입홈(410)와 관통홈(210)을 차단하는 중계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계부(300)는, 센서헤드(200)와 센서보호부(400) 사이에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즉, 상기 중계부(300)는, 센서헤드(200)와 센서보호부(400) 사이에 설치되어, 삽입홈(410)과 관통홈(210)을 차단하고 내부리드선(3)과 온도센서(2)를 통전시키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중계부(300)는, 일체로 구성되어 일단이 센서헤드(200)에 결합되어 제1단자부(310)와 내부리드선(3)이 통전되도록하고, 타단이 센서보호부(400)와 결합하여 제2단자부(320)와 온도센서가 통전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중계부(300)는, 일단에 내부리드선(3)과 연결되는 제1단자부(310)와 타단에 온도센서(2)와 연결되고 제1단자부(310)와 통전되는 제2단자부(320)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중계부(300)는, 제1단자부(310) 및 제2단자부(320)가 통전되도록 내부에 삽입설치되는 금속 등의 도전부재(345)를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이로써 삽입홈(410)과 관통홈(210)을 차단하면서 제1단자부(310)에 연결되는 내부리드선(3)과 제2단자부(320)에 연결되는 온도센서(2)를 통전시킬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상기 중계부(300)는, 센서헤드(200) 측 끝단에 제1단자부(310)가 구비되는 소켓부(330)와, 센서보호부(400) 측 끝단에 제2단자부(320)가 구비되고, 소켓부(330)에 끼워져 결합되는 플러그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켓부(330)는, 센서헤드(200) 측 끝단에 제1단자부(310)가 구비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소켓부(330)는, 외주연에 관통홈(210)에 형성되는 제1암나사부(220)에 대응되는 제1수나사부(331)가 형성되어 볼트결합에 의해 센서헤드(200)와 결합하는 소켓결합부(332)와, 소켓결합부(332)로부터 반경방향으로 확장되어 형성되는 소켓플랜지부(3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켓결합부(332)는, 센서헤드(200)와 볼트결합에 의해 결합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소켓결합부(332)는, 센서헤드(200)와 볼트결합을 통해 결합하기 위하여, 관통홈(210)에 형성되는 제1암나사부(220)에 대응되는 제1수나사부(331)가 외주연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소켓결합부(332)는, 소켓플랜지부(333)보다 작은 반경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센서헤드(200) 측 끝단에 제1단자부(31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소켓결합부(332)는, 센서헤드(200)와 볼트결합됨으로써, 내부리드선(3)이 소켓결합부(332)의 제1단자부(310)에 접촉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소켓플랜지부(333)는, 소켓결합부(332)로부터 반경방향으로 확장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소켓플랜지부(333)는, 후술하는 플러그플랜지부(343)와 면접촉을 통해 결합될 수 있으며, 플러그플랜지부(343)와 나사결합을 통해 소켓부(330)와 플러그부(340)가 결합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켓플랜지부(333)는, 단차를 가지도록 원형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후술하는 플러그플랜지부(343)의 돌출부분(344)이 삽입되어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플러그부(340)는, 소켓부(330)에 끼워져 결합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플러그부(340)는, 센서보호부(400) 측 끝단에 제2단자부(320)가 구비되고, 소켓부(330)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플러그부(340)는, 온도센서보호부(40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제2암나사부(420)에 대응되는 제2수나사부(341)가 외주연에 형성되어 볼트결합에 의해 온도센서보호부(400)와 결합하는 플러그결합부(342)와, 플러그결합부(342)로부터 반경방향으로 확장되어 형성되어 소켓플랜지부(333)와 면접촉하는 플러그플랜지부(3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러그결합부(342)는, 온도센서보호부(400)와 결합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즉, 상기 플러그결합부(342)는, 센서보호부(400)와 볼트결합하기 위하여 센서보호부(40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제2암나사부(420)에 대응되는 제2수나사부(341)가 외주연에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플러그플랜지부(343)는, 소켓부(330)와 결합하기 위하여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플러그플랜지부(343)는, 플러그결합부(342)로부터 반경방향으로 확장되는 플랜지형상을 가짐으로써, 소켓플랜지부(333)와 면접촉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플러그플랜지부(343)는, 소켓플랜지부(333)와 단순 면접촉뿐만 아니라, 볼트 등을 통한 결합으로 소켓부(330)와 플러그부(340)를 결합시킬 수 있다.
한편, 플러그플랜지부(343) 또는 소켓플랜지부(33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에 오링홈(미도시)이 형성되어, 플러그플랜지부(343)와 소켓플랜지부(333)가 면접촉하는 위치에 오링(350)이 설치되어, 배관에 흐르는 물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플러그플랜지부(343)와 소켓플랜지부(333) 사이에 실링부재로서 오링(350)을 오링홈에 설치하여 물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서, 플러그플랜지부(343)에 소켓플랜지부(333)를 향해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출부분(344)이 소켓플랜지부(333)의 원형홈에 삽입되어 끼워짐으로써 플러그부(340)와 소켓부(330)가 서로 결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온도센서하우징의 온도센서(2)를 통해 생성된 전기신호의 외부 전송을 위한 다른 실시예를 이하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온도센서하우징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리드선(3) 및 온도센서(2)와 연결되는 센서리드선(6)을 각각 중계부(300)에 결합하기 위한 제1,2체결부(10, 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체결부(10)는, 내부리드선(3)이 관통하며, 내부리드선(3)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제1체결부(10)는, 내주면에 제1체결수나사부(11)가 형성되고, 제1체결수나사부(11)가 소켓결합부(332)로부터 센서헤드(200) 측으로 돌출되며 외주면에 제1체결수나사부(11)에 대응되어 형성되는 제1체결암나사부(335)에 볼트결합함으로써 중계부(300)와 결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단자부(310)가 중계부(300) 내의 도전부재(345)와 접촉하여 통전된 상태에서 제1체결부(10)를 중계부(300)에 결합함으로써, 높은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체결부(10)가 내부리드선(3)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내부리드선(3) 끝단에 반경방향으로 확장되어 구비되는 제1걸림부(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체결부(20)는, 제1체결부(10)와 같이 센서리드선(6)이 관통하며, 센서리드선(6)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제2체결부(20)는, 내주면에 제2체결수나사부(21)가 형성되고, 제2체결수나사부(21)가 플러그결합부(342)로부터 센서보호부(400) 측으로 돌출되며 외주면에 제2체결수나사부(21)에 대응되어 형성되는 제2체결암나사부(346)에 볼트결합함으로써, 중계부(300)와 결합할 수 있다.
한편 제1체결부(10)와 마찬가지로, 제2체결부(20)가 센서리드선(6)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센서리드선(6) 끝단에 반경방향으로 확장되어 구비되는 제2걸림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체결부(20) 또한 센서리드선(6)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온도센서하우징은,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구성의 결합부분에 설치되는 실링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플러그플랜지부(343)와 센서보호부(400)의 상면 사이에 제1실링부재(4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실링부재(440)는, 결합부분에서 물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면, 어떠한 구성도 가능하다.
상기 제1실링부재(440)는, 플러그플랜지부(343)와 센서보호부(400)의 대응면에 설치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플러그플랜지부(343) 및 센서보호부(400)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는 오링홈에 끼워져 삽입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센서보호부(400)의 삽입홈(410)이 중계부(300) 측에서 단차부분을 형성하도록 삽입홈(410)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확장되어 형성되는 확장삽입홈(430)과 플러그결합부(342) 사이에 제2실링부재(450)가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실링부재(450)는, 플러그결합부(342)와 확장삽입홈(430)을 통해 형성되는 단차부분 사이에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중계부(300)와 센서보호부(400) 사이를 통한 물의 외부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실링부재(450)는, 제1실링부재(440)와 같이, 단차부분의 상면 및 플러그결합부(342)의 단차부분 대향면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는 오링홈에 끼워져 삽입 설치될 수 있음은 또한 물론이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단자대 200: 센서헤드
300: 중계부 400: 센서보호부

Claims (7)

  1. 배관 내 수온을 측정하기 위한 온도센서(2)가 내장되는 온도센서하우징에 있어서,
    상기 온도센서(2)를 통해 생성된 전기신호를 외부로 전송하기 위해, 외부리드선(4)과 내부리드선(3)이 통전되도록 각각 연결되는 단자가 설치되는 단자대(100)와;
    상기 단자대(100)의 하측에서 결합되며, 상기 내부리드선(3)이 관통하는 관통홈(210)이 형성되는 센서헤드(200)와;
    상기 배관에 설치되며, 내부에 상기 온도센서(2)가 삽입되는 삽입홈(410)이 형성되는 센서보호부(400)와;
    상기 센서헤드(200)와 상기 센서보호부(40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삽입홈(410)과 상기 관통홈(210)을 차단하고 상기 내부리드선(3)과 상기 온도센서(2)를 통전시키는 중계부(300)를 포함하며,
    상기 중계부(300)는,
    일단에 상기 내부리드선(3)과 연결되는 제1단자부(310)와, 타단에 상기 온도센서(2)와 연결되고 상기 제1단자부(310)와 통전되는 제2단자부(320)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중계부(300)는,
    상기 센서헤드(200) 측 끝단에 상기 제1단자부(310)가 구비되는 소켓부(330)와, 상기 센서보호부(400) 측 끝단에 상기 제2단자부(320)가 구비되고, 상기 소켓부(330)에 끼워져 결합되는 플러그부(340)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리드선(3) 및 상기 온도센서(2)와 상기 중계부(300)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센서리드선(6)을 각각 상기 중계부(300)에 결합하며, 각각 상기 내부리드선(3) 및 상기 센서리드선(6)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1,2체결부(10, 20)를 포함하며,
    상기 제1체결부(10)는, 상기 내부리드선(3)을 상기 제1단자부(310)에 결합 및 통전시키기 위하여, 상기 내부리드선(3)의 끝단으로 이동을 통해 상기 내부리드선(3) 끝단에 반경방향으로 확장되어 구비되는 제1걸림부(12)에 간섭된 상태에서 상기 소켓부(330)에 볼트 결합되며,
    상기 제2체결부(10)는, 상기 센서리드선(6)을 상기 제2단자부(320)에 결합 및 통전시키기 위하여, 상기 센서리드선(6)의 끝단으로 이동을 통해 상기 센서리드선(6) 끝단에 반경방향으로 확장되어 구비되는 제2걸림부(22)와 간섭된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부(340)에 볼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센서하우징.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켓부(330)는,
    외주연에 상기 관통홈(210)에 형성되는 제1암나사부(220)에 대응되는 제1수나사부(331)가 형성되어 볼트결합에 의해 상기 센서헤드(200)와 결합하는 소켓결합부(332)와, 상기 소켓결합부(332)로부터 반경방향으로 확장되어 형성되는 소켓플랜지부(3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센서하우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부(340)는,
    상기 센서보호부(40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제2암나사부(420)에 대응되는 제2수나사부(341)가 외주연에 형성되어 볼트결합에 의해 상기 센서보호부(400)와 결합하는 플러그결합부(342)와, 상기 플러그결합부(342)로부터 반경방향으로 확장되어 형성되어 상기 소켓플랜지부(333)와 면접촉하는 플러그플랜지부(34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센서하우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플랜지부(343)와 상기 센서보호부(400)의 상면 사이에 제1실링부재(44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센서하우징.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센서보호부(400)는,
    상기 삽입홈(410)의 상기 중계부(300) 측에서 단차부분이 형성되도록 반경방향으로 확장되는 확장삽입홈(430)이 형성되며,
    상기 플러그결합부(342)와 상기 단차부분 사이에 제2실링부재(45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센서하우징.
KR1020190023964A 2019-02-28 2019-02-28 온도센서하우징 KR1020407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3964A KR102040778B1 (ko) 2019-02-28 2019-02-28 온도센서하우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3964A KR102040778B1 (ko) 2019-02-28 2019-02-28 온도센서하우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0778B1 true KR102040778B1 (ko) 2019-11-05

Family

ID=68577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3964A KR102040778B1 (ko) 2019-02-28 2019-02-28 온도센서하우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07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1613U (ko) * 2020-12-24 2022-07-01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측온 저항체 교정 및 정비 운송용 보관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5966Y1 (ko) * 2002-04-06 2002-08-22 신진계전 (주) 온도 센서 하우징
KR100856879B1 (ko) * 2007-04-05 2008-09-04 (주)두안 지하수 관측용 센서 키트
JP2014142327A (ja) * 2012-12-25 2014-08-07 Denso Corp センサ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5966Y1 (ko) * 2002-04-06 2002-08-22 신진계전 (주) 온도 센서 하우징
KR100856879B1 (ko) * 2007-04-05 2008-09-04 (주)두안 지하수 관측용 센서 키트
JP2014142327A (ja) * 2012-12-25 2014-08-07 Denso Corp センサ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1613U (ko) * 2020-12-24 2022-07-01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측온 저항체 교정 및 정비 운송용 보관함
KR200496555Y1 (ko) 2020-12-24 2023-02-24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측온 저항체 교정 및 정비 운송용 보관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80483B2 (en) Plug assembly for positioning within a passageway of a wellhead component
JP5930396B2 (ja) 管継手
US20190267822A1 (en) Charging Station Foundation and Charging Station
US6406307B2 (en) Annular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CN212303992U (zh) 充电插头
KR102040778B1 (ko) 온도센서하우징
KR101964000B1 (ko) Rf 동축 케이블 커넥터 모듈
CN102176585B (zh) 一种电连接器组件
CN207335947U (zh) 气压传感器
KR100517863B1 (ko) 열매체 전기보일러의 온수관 단부 밀폐장치
JP2004022172A (ja) トラッキング火災防止装置
KR100859901B1 (ko) 전열선 내장형 온수관의 밀폐구조
CN104078792B (zh) 电缆接头组件以及包括电缆接头组件的电气设备
CN109390767B (zh) 用于对插塞器连接部的密封进行检查的方法以及插塞器连接部
US20180216757A1 (en) Fluid sealing device and power cable line
CN214748615U (zh) 基于核工业检测的变送器壳体
CN205900922U (zh) 一种单芯测井仪器密封接头
RU2242069C2 (ru) Штепсельный соединитель
CN208127544U (zh) 高压连接器温度监测装置
KR101098379B1 (ko) 써지보호용 방수형 압력전송기용 보호케이스 및 이를 구비한 써지보호용 방수형 압력전송기 모듈
JP2007005034A (ja) 温度・圧力保護装置
CN218628521U (zh) 一种密封效果好的汽车水位传感器
CN109361095B (zh) 一种高灵敏性的热敏电阻安全插头
KR101336783B1 (ko) 방폭기기용 케이블 연결장치
CN220912511U (zh) 压力变送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