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1948B1 - 상수도 간이 수압 및 수질 모니터링 장치 - Google Patents

상수도 간이 수압 및 수질 모니터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1948B1
KR102001948B1 KR1020170156424A KR20170156424A KR102001948B1 KR 102001948 B1 KR102001948 B1 KR 102001948B1 KR 1020170156424 A KR1020170156424 A KR 1020170156424A KR 20170156424 A KR20170156424 A KR 20170156424A KR 102001948 B1 KR102001948 B1 KR 1020019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information
module
water quality
s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6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8964A (ko
Inventor
엄희정
Original Assignee
엄희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희정 filed Critical 엄희정
Priority to KR10201701564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1948B1/ko
Publication of KR201900589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89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19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19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7/00Measuring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by mechanical or fluid pressure-sensitive el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18Wa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상수도 간이 수압 및 수질 모니터링 장치는 지하에 매설된 상수도관에서 분기된 검출관 및 외부 전력공급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전원라인을 수용하는 보호모듈; 상기 검출관으로부터 전달받은 물의 수압을 측정하는 수압 센서; 상기 검출관으로부터 전달받은 물의 염소 농도를 측정하는 수질 센서; 상기 전원라인에 의하여 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수압 센서 및 상기 수질 센서로부터 수압 정보 및 수질 정보를 전달받아 외부로 출력하는 제어모듈; 및 보차도 경계석에 배치되어 상기 제어 모듈에서 출력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상수도 간이 수압 및 수질 모니터링 장치{APPARTUS FOR MONITORING WATER PREESURE AND PURITY OF WATER SUPPLY PIPE}
본 발명은 수압 및 수질 모니터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지하에 매설된 상수도관 내의 수압 및 수질을 측정하기 위한 상수도 간이 수압 및 수질 모니터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세계적으로 지속적인 인구증가와 고도산업의 사회화 발전으로 인구의 도시집중화 현상에 따라 수도의 수요증가가 점차적으로 가속화되고 있다.
특히, 물부족 현상 및 수질악화로 인한 수원 확보가 점점 어려워지고 있는 실정이고, 시가지에 부설되어 있는 수도관로의 주위환경이 오염되어 누수로 인하여 상수도 관로내 수질 오염현상을 가중시키며, 상수도 누수로 인하여 막대한 경제적 손실을 야기시키고 있다.
이러한 상하수도 시설들의 누수 여부를 파악하기 위하여, 현재의 상수도 누수 검출 시스템은 각 지역 상하수도 사업소에서 각 상하수도에 부착된 센서로부터 검출한 내용을 전달받은 후 현장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시스템의 경우 관리 비용이 많이 들고 검출 내용에 오차가 크며, 신속한 문제점 파악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나아가, 누수 확인을 위한 수압계가 메인 관로상에만 장착되기 때문에, 메인 관로가 아닌 서브 관로상에 누수 등이 발생할 경우, 누수 발생 영역의 정확한 확인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하기 선행기술문헌에는 미리 설정한 각 블록에서의 수압을 조절하여 누수 및 관망사고 발생 빈도를 줄이기 위한 지능형 상수도 관망 시스템 및 수압 조절 방법에 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는 개시하고 있지 않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65360호
본 발명의 상수도 간이 수압 및 수질 모니터링 장치는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해결과제를 목적으로 한다.
상수도의 메인 관로 뿐만 아니라 서브 관로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서브 관로 상의 누수 여부까지 확인하여 누수 발생 영역의 정확한 확인이 가능한 수압 및 수질 모니터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보행자나 차량의 이동시 방해받지 않음과 동시에, 차량에 탑승한 검침자가 차량에서 하차하지 않은 채로 해당 영역의 수압 및 수질을 확인할 수 있도록 배치된 수압 및 수질 모니터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상수도 간이 수압 및 수질 모니터링 장치는 지하에 매설된 상수도관에서 분기된 검출관 및 외부 전력공급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전원라인을 수용하는 보호모듈; 상기 검출관으로부터 전달받은 물의 수압을 측정하는 수압 센서; 상기 검출관으로부터 전달받은 물의 염소 농도를 측정하는 수질 센서; 상기 전원라인에 의하여 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수압 센서 및 상기 수질 센서로부터 수압 정보 및 수질 정보를 전달받아 외부로 출력하는 제어모듈; 및 상기 제어 모듈에서 출력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보호모듈은, 상기 검출관 및 전원라인을 수용하도록 형성된 원통 형상의 제1 보호모듈; 및 일측이 상기 제1 보호모듈의 상부와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내부에 상기 수압 센서, 수질 센서 및 제어모듈을 수용하는 제2 보호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보호모듈은 보차도 경계석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측 및 타측이 각각 보차도 경계석과 맞닿도록 배치되고, 상기 표시모듈은 상기 제2 보호모듈의 타측과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되 상기 보차도 경계석 상부에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호모듈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복수 개의 서브모듈이 상호 분리 가능하도록 적층되어 배치되고, 상기 서브모듈은, 일측이 상기 검출관과 연결되되 굴곡 가능하도록 형성된 메탈호스를 수용하는 제1 서브모듈; 일측은 상기 메탈호스와 연결되도록 상기 제1 서브모듈의 상부에 적층되고, 타측은 수압 센서 및 수질 센서가 배치되는 제2 서브모듈; 상기 제2 서브모듈의 상부에 적층되고, 내부에는 외부 전력공급원과 상기 제어모듈 사이를 연결하는 전원라인이 수용되는 제3 서브모듈; 상기 제3 서브모듈의 상부에 적층되고, 내부에는 상기 제어모듈이 수용되는 제4 서브모듈; 및 상기 제4 서브모듈의 상부에 적층되고, 내부에는 상기 제어모듈과 상기 표시모듈 사이를 연결하는 전원라인 및 단열재가 수용되는 제5 서브모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서브모듈의 타측에는 상기 제2 서브모듈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공기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수압 센서 및 수질 센서로부터 수압 정보 및 수질 정보를 전달받는 입력부; 상기 수압 정보 및 수질 정보를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표시모듈로 전달하는 출력부; 시간 경과에 따른 수압 정보 및 수질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보차도 경계석 주변의 휴대용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모듈은, 상수도관망 관련 시설물에 대하여 각각의 식별 정보, 위치 정보, 이미지 정보, 측정 정보, 대장 정보 및 비용 정보를 포함한 관리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며 저장된 상기 관리 정보를 웹상에서 제공하기 위한 통합 관리 서버와 연결하기 위하여 기설치된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망과 접속하도록 구성된 인터넷 접속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시모듈은, 상기 제어모듈이 출력한 수압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제1 표시부; 상기 제어모듈이 출력한 수질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제2 표시부; 검침자가 상기 표시모듈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발광부; 및 해당 상수도관의 기준수압, 기준수질, 위치좌표, 관망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가 수록된 식별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식별부는 QR 코드 또는 RFID 태그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수소 간이 수압 및 수질 모니터링 장치는 적은 비용으로 용이하게 설치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서브 관로에 용이하게 장착 가능하며, 이로 인하여 누수 발생 영역의 정확한 특정이 가능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아울러, 보차도 경계석에 설치되도록 구성되어 차량 및 보행자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는 동시에 검침자가 차량에 탑승한 채로 해당 상수도관의 수압 및 수질을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 간이 수압 및 수질 모니터링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 간이 수압 및 수질 모니터링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서의 표시모듈을 좀 더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 간이 수압 및 수질 모니터링 장치의 구성 중 제어모듈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 간이 수압 및 수질 모니터링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 간이 수압 및 수질 모니터링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 간이 수압 및 수질 모니터링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보호모듈(100), 수압 센서(210), 제어모듈(300) 및 표시모듈(400)로 구성된다.
보호모듈(100)은 지하에 매설된 상수도관에서 분기된 검출관(20) 및 외부 전력공급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전원라인(30)을 수용하는 구성이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 간이 수압 및 수질 모니터링 장치의 보호모듈(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보호모듈(101) 및 제2 보호모듈(102)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보호모듈(101)은 검출관(20) 및 전원라인(30)을 수용하도록 형성된 원통 형상의 구성이며, 제2 보호모듈(102)은 일측이 제1 보호모듈(101)의 상부와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구성이다.
제2 보호모듈(102)은 내부에 후술할 수압 센서(210) 및 제어모듈(300)을 수용하며, 나아가 수질 센서(220)도 수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제2 보호모듈(102)은 보차도 경계석(10)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측 및 타측이 각각 인접한 보차도 경계석(10)과 맞닿도록 배치되며, 이를 통하여 차량 및 보행자 통행에 장애가 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검침자가 차량에 탑승한 채로 용이하게 해당 상수도의 수압 및 수질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수압 센서(210)는 검출관(20)으로부터 전달받은 물의 수압을 측정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수압 센서(210)로 측정한 수압 정보의 변화량을 확인함으로써 상수도관의 누수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 간이 수압 및 수질 모니터링 장치는 수질 센서(220)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수질 센서(220)는 해당 상수도관을 흐르는 물에 포함된 염소의 농도를 측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모듈(300)은 전원라인에 의하여 전원을 공급받고, 수압 센서(210) 및 수질 센서(22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압 정보 및 수질 정보를 전달받아 외부로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제어모듈(300)의 구체적인 구성 및 기능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표시모듈(400)은 보차도 경계석(10)에 배치되어 제어 모듈(300)에서 출력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 간이 수압 및 수질 모니터링 장치에서의 표시모듈(4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보호모듈(102)의 타측과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되, 보차도 경계석(10) 상부에 노출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표시모듈(400)은 제1 표시부(410), 발광부(430) 및 식별부(440)를 포함하는데, 제1 표시부(410)는 측정된 수압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발광부(430)는 LED 등의 빛을 발산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으로, 야간에 검침자가 표시모듈(400)의 위치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마련된 구성이다.
식별부(440)는 해당 상수도관에 대한 정보가 수록된 구성으로, 구체적으로 해당 상수도관의 기준수압, 기준수질, 위치좌표 및 관망정보 등을 의미한다.
검침자는 식별부(440)를 통하여 해당 상수도관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식별부(440)는 QR 코드이거나 또는 RFID 태그일 수 있다.
즉, 검침자가 휴대하고 있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표시모듈(400)에 배치된 QR 코드를 촬영하여 해당 상수도관의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으며, RFID를 통하여 해당 상수도관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 간이 수압 및 수질 모니터링 장치에 대하여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하되,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 간이 수압 및 수질 모니터링 장치에서 이미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은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 간이 수압 및 수질 모니터링 장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 간이 수압 및 수질 모니터링 장치와 같이 보호모듈(100), 수압 센서(210), 수질 센서(220), 제어모듈(300) 및 표시모듈(400)을 구비한다.
특히,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 간이 수압 및 수질 모니터링 장치의 보호모듈(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복수 개의 서브모듈이 상호 분리 가능하도록 적층되어 배치된다.
이러한 서브모듈은 각각 수행하는 기능이 다르며, 상술한 바와 같이 상호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므로, 어느 하나의 서브모듈에 이상이 발생하였을때, 해당 서브모듈만 교체하면 되므로 유지 관리가 용이하고 유지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 간이 수압 및 수질 모니터링 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5개의 서브모듈, 즉 제1 서브모듈(110), 제2 서브모듈(120), 제3 서브모듈(130), 제4 서브모듈(140) 및 제5 서브모듈(150)로 구성된다.
제1 서브모듈(110)은 일측이 검출관(20)과 연결되되 내부에 굴곡 가능하도록 형성된 메탈호스(111)를 수용한다.
제2 서브모듈(120)은 제1 서브모듈(110)의 상부에 적층되는 구성으로, 일측은 메탈호스(111)와 연결되어 메탈호스(111)를 통하여 물이 유입되도록 구성되며, 타측은 수압 센서(210) 및 수질 센서(220)가 배치되어, 메탈호스(111)를 통하여 유입되는 물의 수압 및 수질을 검출하게 된다.
한편, 제2 서브모듈(120) 내부에 공기가 유입되는 경우, 정확한 수압의 측정이 어렵다는 점을 고려하여, 제2 서브모듈(120)의 타측에는 제2 서브모듈(120)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공기밸브(23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 서브모듈(130)은 제2 서브모듈(120)의 상부에 적층되는 구성으로, 내부에는 외부 전력공급원과 제어모듈(300) 사이를 연결하는 전원라인(31)이 수용된다.
나아가, 제3 서브모듈(130)에는 수압 센서(210)와 제어모듈(300) 사이, 수질 센서(220)와 제어모듈 사이를 연결하는 전원라인 또한 함께 수용된다.
제4 서브모듈(140)은 제3 서브모듈(130)의 상부에 적층되는 구성으로 내부에는 제어모듈(300)이 수용된다.
이러한 제어모듈(300)은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310), 출력부(320), 저장부(340) 및 근거리 무선 통신부(34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입력부(310)는 수압 센서(210) 및 수질 센서(220)로부터 수압 정보 및 수질 정보를 전달받는 기능을 수행하고, 출력부(320)는 수압 정보 및 수질 정보를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데이터로 변환하여 표시모듈(400)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저장부(330)는 시간 경과에 따른 수압 정보 및 수질 정보를 로데이터 형식으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근거리 무선 통신부(340)는 보차도 경계석(10) 주변의 휴대용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도록 마련된 구성이다.
한편, 이러한 제어모듈(300)은 통합 관리 서버와 연결하기 위하여 기설치된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망과 접속하도록 구성된 인터넷 접속부(35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통합 관리 서버란 상수도관망 관련 시설물에 대하여 각각의 식별 정보, 위치 정보, 이미지 정보, 측정 정보, 대장 정보 및 비용 정보를 포함한 관리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며, 저장된 상기 관리 정보를 웹상에서 제공하기 위한 서버를 말한다.
제5 서브모듈(150)은 제4 서브모듈(140)의 상부에 적층되는 구성으로, 내부에는 제어모듈(300)과 표시모듈(400) 사이를 연결하는 전원라인(32)이 수용되며, 나머지 공간에는 단열재(151)가 수용된다.
제5 서브모듈(150) 상부에는 볼트 부양식 철개(鐵蓋)(50)가 배치되어 서브모듈의 교체 또는 수리가 필요한 경우 철개를 개방하여 해당 서브모듈을 외부로 꺼낼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 간이 수압 및 수질 모니터링 장치의 표시모듈(4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보차로 경계석(10)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고, 다른 보차로 경계석(10)들과 함께 조립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1 표시부(410), 제2 표시부(420), 발광부(430) 및 식별부(440)를 구비하며, 제1 표시부(410)에는 제어모듈(300)이 출력한 수압 정보가 디스플레이되고, 제2 표시부(420)에는 제어모듈(300)이 출력한 수질 정보가 디스플레이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0: 보호모듈 210: 수압 센서
220: 수질 센서 230: 공기 밸브
300: 제어모듈 400: 표시모듈

Claims (8)

  1. 지하에 매설된 상수도관에서 분기된 검출관 및 외부 전력공급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전원라인을 수용하는 보호모듈;
    상기 검출관으로부터 전달받은 물의 수압을 측정하는 수압 센서;
    상기 검출관으로부터 전달받은 물의 염소 농도를 측정하는 수질 센서;
    상기 전원라인에 의하여 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수압 센서 및 상기 수질 센서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압 정보 및 수질 정보를 전달받아 외부로 출력하는 제어모듈; 및
    상기 제어 모듈(300)에서 출력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보호모듈은, 상기 검출관 및 전원라인을 수용하도록 형성된 원통 형상의 제1 보호모듈; 및 일측이 상기 제1 보호모듈의 상부와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내부에 상기 수압 센서, 수질 센서 및 제어모듈을 수용하는 제2 보호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보호모듈은 보차도 경계석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측 및 타측이 각각 보차도 경계석과 맞닿도록 배치되고,
    상기 표시모듈은 상기 제2 보호모듈의 타측과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되 상기 보차도 경계석 상부에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상수도 간이 수압 및 수질 모니터링 장치.
  2. 삭제
  3. 지하에 매설된 상수도관에서 분기된 검출관 및 외부 전력공급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전원라인을 수용하는 보호모듈;
    상기 검출관으로부터 전달받은 물의 수압을 측정하는 수압 센서;
    상기 검출관으로부터 전달받은 물의 염소 농도를 측정하는 수질 센서;
    상기 전원라인에 의하여 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수압 센서 및 상기 수질 센서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압 정보 및 수질 정보를 전달받아 외부로 출력하는 제어모듈; 및
    상기 제어 모듈(300)에서 출력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모듈은 보차도 경계석 상부에 노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보호모듈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복수 개의 서브모듈이 상호 분리 가능하도록 적층되어 배치되고, 상기 서브모듈은,
    일측이 상기 검출관과 연결되되 굴곡 가능하도록 형성된 메탈호스를 수용하는 제1 서브모듈;
    일측은 상기 메탈호스와 연결되도록 상기 제1 서브모듈의 상부에 적층되고, 타측은 수압 센서 및 수질 센서가 배치되는 제2 서브모듈;
    상기 제2 서브모듈의 상부에 적층되고, 내부에는 외부 전력공급원과 상기 제어모듈 사이를 연결하는 전원라인이 수용되는 제3 서브모듈;
    상기 제3 서브모듈의 상부에 적층되고, 내부에는 상기 제어모듈이 수용되는 제4 서브모듈; 및
    상기 제4 서브모듈의 상부에 적층되고, 내부에는 상기 제어모듈과 상기 표시모듈 사이를 연결하는 전원라인 및 단열재가 수용되는 제5 서브모듈;
    로 구성되는 상수도 간이 수압 및 수질 모니터링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서브모듈의 타측에는 상기 제2 서브모듈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공기밸브를 더 포함하는 상수도 간이 수압 및 수질 모니터링 장치.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수압 센서 및 수질 센서로부터 수압 정보 및 수질 정보를 전달받는 입력부;
    상기 수압 정보 및 수질 정보를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표시모듈로 전달하는 출력부;
    시간 경과에 따른 수압 정보 및 수질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보차도 경계석 주변의 휴대용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
    를 포함하는 상수도 간이 수압 및 수질 모니터링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수도관망 관련 시설물에 대하여 각각의 식별 정보, 위치 정보, 이미지 정보, 측정 정보, 대장 정보 및 비용 정보를 포함한 관리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며 저장된 상기 관리 정보를 웹상에서 제공하기 위한 통합 관리 서버와 연결하기 위하여 기설치된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망과 접속하도록 구성된 인터넷 접속부;
    를 더 포함하는 상수도 간이 수압 및 수질 모니터링 장치.
  7.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모듈은,
    상기 제어모듈이 출력한 수압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제1 표시부;
    상기 제어모듈이 출력한 수질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제2 표시부;
    검침자가 상기 표시모듈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발광부; 및
    해당 상수도관의 기준수압, 기준수질, 위치좌표, 관망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가 수록된 식별부;
    를 포함하는 상수도 간이 수압 및 수질 모니터링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부는 QR 코드 또는 RFID 태그인 상수도 간이 수압 및 수질 모니터링 장치.
KR1020170156424A 2017-11-22 2017-11-22 상수도 간이 수압 및 수질 모니터링 장치 KR1020019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6424A KR102001948B1 (ko) 2017-11-22 2017-11-22 상수도 간이 수압 및 수질 모니터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6424A KR102001948B1 (ko) 2017-11-22 2017-11-22 상수도 간이 수압 및 수질 모니터링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8964A KR20190058964A (ko) 2019-05-30
KR102001948B1 true KR102001948B1 (ko) 2019-07-22

Family

ID=66675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6424A KR102001948B1 (ko) 2017-11-22 2017-11-22 상수도 간이 수압 및 수질 모니터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194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6207B1 (ko) * 2010-12-14 2012-05-24 이메트릭스 주식회사 상하수도시설 컴팩트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2339B1 (ko) * 2012-02-10 2013-10-28 주식회사 광명전기 환경기초시설용 다이렉트 동적감시관리장치 및 방법
KR20150065360A (ko) 2013-12-05 2015-06-1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지능형 상수도 관망 시스템 및 수압 조절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6207B1 (ko) * 2010-12-14 2012-05-24 이메트릭스 주식회사 상하수도시설 컴팩트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8964A (ko) 2019-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09114B2 (en) Water meter and water supply management system using same
KR101322339B1 (ko) 환경기초시설용 다이렉트 동적감시관리장치 및 방법
CN102842013A (zh) 远程定位中基于rfid的引导
JP2008090599A (ja) 地中埋設設備の情報読み取り装置
KR100833495B1 (ko) 상수도시설물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A266239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water quality in a water distribution system
KR101122185B1 (ko) 정보인식수단을 이용한 지하시설물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50955B1 (ko) 상수도 누수 감지장치
JP5342309B2 (ja) 下水道管渠内の作業安全支援システム
KR100689108B1 (ko)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한 저수조 자동 제어시스템
KR20160120459A (ko) 매설 배관의 누수 검지 시스템
KR101562625B1 (ko) 지하매설관 특정위치 탐지시스템 및 방법
KR102001948B1 (ko) 상수도 간이 수압 및 수질 모니터링 장치
KR20100116815A (ko) 지리정보시스템 및 알 에프 아이디 태그 라디오 주파수 인식기술을 이용한 지하 시설물 관리 시스템
KR20020045430A (ko) 노후수도관로의 누수감시시스템
KR100504630B1 (ko) 수도관로용 원격 누수탐지모니터링시스템
KR20110030735A (ko) 상수도관 누수 측정장치
KR100481066B1 (ko) 전자 표지석을 이용한 시설물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2433351B1 (ko) 스마트 콘크리트 맨홀 및 그의 관리 운영 시스템
KR101759200B1 (ko) 센싱모듈이 적용되는 매설관로의 누수 검지 시스템
KR200426010Y1 (ko) 지그비 통신을 이용한 상수도 누수 감시 장치
KR101209201B1 (ko) 누수 탐지가 가능한 상수도관망 관리 시스템
KR20030030594A (ko) 지중 매설물 위치 인식시스템
KR20230086144A (ko) 지하 매설관의 누수배관 및 누수지반 모니터링 시스템
KR200318753Y1 (ko) 지하관로표시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