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0955B1 - 상수도 누수 감지장치 - Google Patents

상수도 누수 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0955B1
KR101250955B1 KR1020110053281A KR20110053281A KR101250955B1 KR 101250955 B1 KR101250955 B1 KR 101250955B1 KR 1020110053281 A KR1020110053281 A KR 1020110053281A KR 20110053281 A KR20110053281 A KR 20110053281A KR 101250955 B1 KR101250955 B1 KR 1012509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housing
water
water suppl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32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4408A (ko
Inventor
오광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솔
Priority to KR10201100532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0955B1/ko
Publication of KR201201344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44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09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09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2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vibr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5/00Protection or supervision of installations
    • F17D5/02Preventing, monitoring, or locating loss
    • F17D5/06Preventing, monitoring, or locating loss using electric or acoustic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04Analysing solid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lectricity, gas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Abstract

상수도 관에 설치되어 상수도관을 통해 전달되는 물의 소리를 감지하는 소리 감지센서와, 소리 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와, 소리 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정보를 분석하여 해당 상수도관의 누수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결과를 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누수 감지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상수도 누수 감지장치{A LEAK SENCING APPARATUS}
본 발명은 정수장에서 공급되어 최종적으로 각 공급처(가정, 사무실, 공장, 공공장소 등)로 수돗물을 공급하는 동안 상수도관에서 발생하는 누수를 감지하기 위한 상수도 누수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돗물은 정수장에서 정수 처리된 뒤, 시의 경우 각 구별로 큰 관을 통해 공급되고, 각 구에서는 중블록, 소블록 등으로 분류되어 수돗물을 공급하고 있다.
그리고 각 분배점 사이에는 수도 미터기가 설치되어 있어 분배되는 지역으로 공급되는 수돗물의 유량을 측정하게 된다. 아파트단지와 같은 대단위 시설에는 큰 관을 통하여 한꺼번에 수돗물을 공급하도록 상수도관이 설치되기도 한다.
그리고 일반 가정 주택, 상가 건물 밀집 지역 등은 도로 아래 매설된 큰 관에서 작은 관으로 연결하여 최종 사용처로 수돗물을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작은 관을 '지선'이라고 할 때, 대부분의 누수는 지선에서 발생하게 된다. 즉, 지선은 관이 가늘기 때문에 압력을 크게 받고, 주택 밀집 지역에서는 조인트 등으로 연결하여 길게 연결하기 때문에, 접합 및 연결부분에서 누수가 쉽게 발생 된다.
이와 같이 각 지선에서 발생하는 누수량을 집계하게 되면, 전체적으로는 수돗물의 대략 20% 이상이 누수로 인하여 낭비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이 많은 양의 수돗물이 누수됨으로써, 비용의 낭비는 물론, 누수 위치에서의 압력변화에 의해 이물질, 세균, 중금속 등이 상수도관으로 유입되어 수질을 오염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누수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노후되거나 파손된 상수도관을 교체 및 수리하여야 하는데, 종래의 누수 탐지 기술로는 소량의 누수를 탐지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정확하게 가정마다 연결된 지선을 감지하는 것이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즉, 일예로서 현재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장(10)에서 공급되는 전체 유량을 측정하기 위해 메인관(11)에 수도 미터기(31)가 설치되고, 각 구(21,22,23)별로 분배되는 분배관(12) 마다 각 구(21,22,23) 별로 공급되는 유량을 측정하기 위한 수도 미터기(32)가 설치된다. 그리고 각 구(23)에서 각 소블록(예를 들어 동 단위)으로 분류되는 분배관들(13)에도 수도 미터기(33)가 설치되어 각 소블록으로 공급되는 수돗물의 유량을 측정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각 분배관(13)에서 각 가정이나 사무실 등으로 분배되어 최종 사용처에서 사용되는 수돗물의 유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수도 미터기(34)가 설치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현재로서는 정수장(10)에서 공급된 수돗물의 총량을 수도 미터기(31)에서 측정한 측정값을 근거로 하여, 각 수도 미터기들(32)(33)에서 측정된 수돗물의 공급량을 측정하고, 각 가정 등 최종 사용처에서의 사용량을 수도 미터기(34)를 통해 측정하게 되면, 어느 소블록에서 누수가 발생하였는지에 대해서는 알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소블록 단위로는 누수발생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나, 구체적으로 어느 가정집으로 연결된 연결관(지선)에서 누수가 발생하는지 확인하기가 쉽지 않으며, 일일이 관리자가 연결관의 누수를 감지해야 하므로,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많은 인력이 요구되므로 비 경제적인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각 가정의 수도 미터기(34)를 수시로 점검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며, 현실적으로는 점검인력의 부족으로 인하여 1개월에서 길게는 3개월 단위로 누수 여부를 직접 확인할 수밖에 없으므로, 수개월 동안 발생하는 누수로 인한 피해를 방지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대부분의 지선 즉, 각 가정으로 연결되는 상수도관은 지하 또는 건물 등에 매설되어 있기 때문에 누수를 확인하는 것이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각 사용처(사용자)가 직접 누수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쉽지않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최종 사용처로 공급되는 상수도의 누수를 효과적으로 감지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상수도 누수 감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상수도 누수 감지장치는, 상수도 관에 설치되어, 상기 상수도관을 통해 전달되는 물의 소리를 감지하는 소리 감지센서와; 상기 소리 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와; 상기 소리 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정보를 분석하여 해당 상수도관의 누수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결과를 상기 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소리 감지센서는, 적어도 일부분이 금속재질로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통신부 및 제어유닛이 설치되는 빈 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금속재질 부분으로부터 연결되어 상기 상수도관에 연결되어, 상기 상수도관을 통해 전달되는 소리를 상기 하우징 내부로 전달하는 소리 전달부재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소리 전달부재를 통해 상기 하우징 내부로 전달되는 소리에 의해 떨리는 떨림판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떨림판의 떨리는 소리를 수집하여 상기 제어유닛으로 전달하는 소리 수집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금속재질로 형성되며, 폐쇄된 일단부 상기 소리 전달부재가 연결되고, 개방된 타단부로부터 일정 깊이로 빈 공간이 형성되는 제1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의 개방된 타단부에 접하여 결합되어 밀폐된 내부공간을 형성하며, 내부에 상기 제어유닛과 상기 통신부 및 상기 소리 수집부가 설치되는 제2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의 폐쇄된 일단부의 내측으로부터 상기 제2하우징 쪽으로 돌출되어 상기 떨림판을 지지하는 금속 재질의 떨림판 지지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2하우징은 비금속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소리 연결부재를 통해 전달되는 소리는 상기 제1하우징, 상기 떨림판 지지돌기를 통해 상기 떨림판으로 전달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떨림판은 상기 제1하우징의 개방된 타단부의 내경에 대응되는 외경을 가지며, 그 중심에서 상기 떨림판 지지돌기와 연결되며, 상기 떨림판에 이격되어 마주하는 위치에 상기 소리 수집부가 설치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전원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출력부는, 상수도관의 누수정보를 음성 또는 경보음으로 출력하는 스피커와; 상기 상수도관의 누수정보를 화면을 통해 디스플레이해주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상수도관의 누수정보를 온/오프 점등을 통해 표시하는 점등유닛;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누수 감지센서에서 감지된 누수 정보를 원격으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상수도관에 설치되는 수도 미터기로부터 유량 감지데이터를 전달받아, 유량의 변화를 분석하고 수도 사용량을 검침하는 유량분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소리 감지센서는 수도 미터기가 설치되는 수도 미터기함 또는 제수변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출력부는, 상기 수도 미터기함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수도관에 설치되어 수도 사용유량을 감지하는 수도미터기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상수도 누수 감지장치 및 누수 감지 시스템에 따르면, 외부로 노출된 상수도관에 설치가 용이하며, 상수도관을 통해 전달되는 소리 크기를 감지하여 누수 여부 및 누수 발생위치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누수를 확인하기 위해 매몰된 상수도관을 외부로 노출시켜 확인할 필요가 없으며, 수도 미터기를 설치하기 위해 외부로 노출된 부분에 누수 감지장치를 설치하는 간단한 방법에 의해서 상수도의 누수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누수 감지센서에서 감지된 누수 정보를 검침원은 물론 각 사용처의 사용자가 직접 시각 또는 청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정보를 출력하여 제공함으로써,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누수 감지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 누수 감지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 누수 감지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상수도 누수 감지장치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 누수 감지장치를 나타내 보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a는 정상적인 경우의 소리 크기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b는 누수 발생시 소리 크기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 누수 감지장치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 누수 감지 장치(60)는 상수도관(50,50')에 연결되게 설치되어 상기 상수도관(50,50')을 통해 전달되는 물의 소리를 감지하는 소리 감지센서(100)와, 통신부(200)와, 제어유닛(300), 전원공급부(400), 수압센서(500), 유량분석부(600) 및 출력부(800)를 구비한다.
상기 상수도관(50,50')은 각 단위블록(구 또는 동 단위)과 같은 비교적 큰 단위로 구분되는 큰 상수도관에서 각 가정집이나 사무실 등으로 연결하는 지선에 해당되는 것으로서, 정수장의 물을 최종 목적지로 분기하여 공급하도록 설치된 관에 해당된다. 여기서 상기 단위블록은 예를 들어 도시를 기준으로 할 때, 각 구의 동이나 아파트 단지, 도로를 기준으로 구분된 블록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소리 감지센서(100)는 상수도관(50)에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그 상수도관(50)을 통해 전달되는 소리의 크기를 감지함으로써, 누수 여부 및 누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상수도관(50)은 대부분이 땅속에 매몰되어 있거나 건물 내부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로 노출된 부분 즉, 수도 미터기(700)가 설치된 부분(수도 미터기함)에 굴착 작업 없이 설치되거나, 또는 지하에 매몰된 상수도관 및 밸브를 점검할 수 있도록 마련된 소위 제수변 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소리 감지센서(10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과, 소리 전달부재(120)와, 떨림판(130)과, 소리 수집부(140) 및 체결부(150)를 구비한다.
상기 하우징(110)은 그 내부에 일정 공간이 형성되며, 외부와 완전히 차단된 구성을 가진다. 상기 하우징(110) 내부에 통신부(200)와, 제어유닛(300) 및 전원공급부(400)가 설치된다.
상기 하우징(110)은 금속재질로 형성된 제1하우징(111)과, 제1하우징(111)과 결합되는 제2하우징(113) 및 지지돌기(115)를 구비한다. 상기 제1하우징(111)은 폐쇄된 일단부에 상기 소리 전달부재(120)가 연결되고, 개방된 타단부로부터 일정 깊이로 빈 공간이 형성된 구성을 가진다. 상기 소리 전달부재(120)와 제1하우징(111)은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금속재질로 형성되며,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용접 등의 방법에 의해 결합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소리 전달부재(120)와 제1하우징(111)을 동일한 금속재질로 형성하게 되며, 상수도관(50)에 접촉되도록 설치되는 소리 전달부재(120)를 통해 전달되는 소리가 손실 없이 제1하우징(111)으로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게 되어 소리 센싱을 통한 누수 감지 신뢰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하우징(111)의 내부의 바닥으로부터 개방단부까지 상기 떨림판 지지돌기(115)가 돌출되게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떨림판 지지돌기(115)도 제1하우징(111)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또한, 더욱 바람직하게는 떨림판 지지돌기(115)는 소리 전달부재(120)와 일체로 형성되어 제1하우징(111)을 관통하여 제1하우징(111) 내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좋다. 따라서 소리 전달부재(120) 및 떨림판 지지돌기(115)를 통해 제1하우징(111) 내부에 설치되는 떨림판(130)으로 소리가 직접 전달될 수 있게 되어, 소리를 보다 효과적으로 수집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떨림판 지지돌기(115)는 제1하우징(111)의 밀폐된 일단부의 내부 바닥 중앙부분에서 개방된 타단부 까지 연장되게 설치된다.
상기 제1하우징(111)의 개방단부에서 확장형성된 플랜지부(111a)에는 오링(161)이 장착되는 장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실링부재(161)를 사이에 두고 제2하우징(113)과 마주하여 상호 상보적으로 결합되며, 하우징(110) 내부가 외부와 차단되어 밀폐되도록 견고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2하우징(113)은 제1하우징(111)의 개방된 타단부에 접하여 결합되어 밀폐된 내부공간을 이루며, 그 내부에 상기 제어유닛(300), 통신부(200) 및 전원공급부(400)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소리 수집부(140)도 상기 제2하우징(113) 내부에 상기 떨림판(130)과 마주하도록 설치되어 떨림판(130)의 떨림시 발생되는 소리를 효과적으로 수집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제2하우징(113)은 비금속 재질, 예를 들어 플라스틱과 같은 수지 재질로 형성된다. 제2하우징(113)의 개방된 단부에서 확장형성된 플랜지부(113a)는 제1하우징(111)의 플랜지부(111a)와 접하여 결합되는 곳으로서, 추가적인 실링부재(161)가 설치될 수 있도록 홈 또는 원형 띠 형상으로 실링부재 장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떨림판(130)은 얇은 금속판으로서, 그 중앙부분이 상기 떨림판 지지돌기(115)의 단부에 나사 등에 의해 연결되어 지지된다. 이러한 떨림판(130)은 원 형상으로서, 상기 제1하우징(111)의 개방 단부의 내경에 대응되는 지름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소리 전달부재(120)와 제1하우징(1110 및 떨림판 지지돌기(115)를 통해 떨림판(130)으로 소리가 전달되며, 떨림판(130)이 전달된 소리 즉, 음파에 의해 진동함으로써 소리가 증폭되어 상기 소리 수집부(140)에서는 소리를 보다 효과적으로 수집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소리 수집부(140)는 상기 떨림판(130)과 이격되어 마주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2하우징(113) 내부에 설치된다. 이러한 소리 수집부(140)는 상기 제어유닛(300) 즉, 회로기판에 설치되는 소리 수집용 센서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리 수집부(140)에서 수집된 소리는 상기 제어유닛(300)으로 전달된다.
상기 체결부(150)는 소리 전달부재(120)가 상수도관(50)에 접촉된 상태로 연결되어 상수도관(50)을 통해 전달되는 소리가 소리 전달부재(120)로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소리 전달부재(120)에 체결되는 제1클램퍼(151)와, 제2클램퍼(152)를 구비한다. 제1 및 제2클램퍼(151,152)는 상수도관(50)을 감싸도록 결합되며, 서로의 일단이 서로 움직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볼트 및 너트 등에 의해 견고하게 결합되어 상수도관(50)에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소리 전달부재(120)의 외주에는 나사선이 형성되어 조임너트(153)가 설치되고, 상기 조임너트(153)를 조정하여 상기 소리 전달부재(120)가 제1클램퍼(151)를 통과하여 상수도관(50)에 견고하게 밀착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체결부(150)도 금속재질로 형성됨으로써 상수도관(50)을 통해 소리 전달부재(120)로 소리가 효과적으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200)는 제2하우징(113) 내부에 설치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유닛(300)에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200)에서 발송되는 데이터는 예를 들어 검침원들이 검침을 위해 휴대하고 다니는 PDA와 같은 휴대단말기(900)로 근거리 통신을 통하여 제공될 수 있다. 즉, 휴대단말기(900)가 일정 거리 인접하여 각각의 사용처별로 구비된 누수 감지장치(60)의 통신부(200)로 정보제공을 요청하게 되면, 요청신호에 반응하여 통신부(200)는 검침정보는 물론 누수감지 관련 정보도 휴대단말기(900)로 제공하게 된다.
상기 제어유닛(300)은 상기 제2하우징(113) 내부에 설치되는 회로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소리 수집부(140)와 상기 통신부(200) 및 전원공급부(400) 각각이 연결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회로기판 형태로 설치되는 제어유닛(300)에는 상시 소리 수집부(140)가 설치될 수 있고, 또한 상기 통신부(200) 및 전원공급부(400)로서 배터리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유닛(300)은 소리 수집부(140)에서 수집된 소리를 분석하여 해당 상수도관(50)에서 누수가 발생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즉, 누수 지점이 소리 감지센서(100)를 연결한 지점에서 가까울 경우 높은 음(고 주파수)의 소리가 난다(예를 들어 쐐~ 하는 소리). 반대로 누수 지점이 소리 감시센서(100)에서 멀 경우 낮은 음(저주파수)의 소리가 난다(예를 들어 웅~ 하는 소리). 따라서 이러한 소리가 전달되어 떨림판(130)이 떨리는 소리를 수집하여 측정된 소리의 크기를 제어유닛(300)에서 확인함으로써 누수가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도 6a 및 도 6b는 정상적인 경우의 소리의 크기형태와 누수 발생시의 소리 크기의 형태를 예로 들어 보인 것으로서, 누수 발생시에는 누수로 인하여 기본적으로 집안에서 상수도를 사용하는 때보다 더 큰 소리가 발생하게 되며, 상수도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도 일정 크기 이상의 소리를 지속적으로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소리의 크기형태를 통해서 누수 여부 및 누수 확률값을 산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어유닛(300)에서는 측정된 소리 크기가 일정 크기 이상으로 특정 시간대에서 일정 주기 이상 지속 될 경우, 물이 누수되는 것으로 판단하고, 그 누수 확률값을 산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제어유닛(300)은 누수 확률값과, 측정된 소리 크기에 따른 데이터와 자신의 고유 식별정보(ID)를 함께 매칭시켜서 통신부(200)를 통해 휴대용 단말기(900)로부터 자료 요청이 있을 경우, 제공하게 된다.
즉, 각 구역별 각 지선 즉, 최종 목적지로 연결되는 상수도관(50)에 설치되는 누수 감지센서(100)는 각각의 고유 식별정보(ID)를 가지며, 고유 식별번호(ID)와 함께 전달되는 누수 감지데이터를 통해서 감지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전원공급부(400)는 상기 제2하우징(113)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소리 수집부(140)와 통신부(200), 제어유닛(300) 및 출력부(800)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400)는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상기 수압센서(500)는 상기 상수도관(50,50')에 설치되어 수압을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상수도관(50,50')의 지상으로 노출된 부분(수도 미터기(700)가 상수도관(50)과 연결되는 소위 연결조인트 부분)에 설치된다. 이러한 수압센서(500)는 상수도관(50,50')을 통해 이동하는 상수도물의 수압을 측정하고, 측정된 정보는 제어유닛(300)으로 전달된다. 제어유닛(300)은 수압의 변화를 측정하여 누수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즉, 누수가 발생할 경우 수용처로 인입되는 수압이 미리 측정되어 설정된 수압보다 낮아지게 되므로, 수압의 변화량을 통해 누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각각의 최종 사용처로 공급되는 수돗물의 수압은 차이가 발생할 수 있으나, 지역별, 구역별로 일정한 수압이 유지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이러한 지역 및 구역별 평균 수압을 기준으로 하여 측정된 수압과 비교하여 누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미리 사용처별로 정상적인 수압을 측정하여 정상적인 수압을 각 사용처별로 획득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각 사용처별 정상적인 수압과 사용처별 측정된 수압을 비교하여 그 차이가 오차범위를 벗어날 경우 누수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유량 분석부(600)에서는 수도 미터기(700)에서의 유량측정치를 분석하여 누수 여부를 판단함은 물론, 유량측정치를 검침정보로 활용하여 제어유닛(300)으로 전달한다. 즉, 유량 분석부(600)에서는 사용유량의 급격한 증가시 사용처 내부에서의 누수 발생 등으로 유추하여 이상신호 정보를 제어유닛(300)으로 전달하여 제어유닛(300)에서 이를 참고하여 누수여부를 판단하거나, 이상신호를 출력부(800)를 통해 사용자가 즉시 확인할 수 있도록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즉시 관리센터 등에 신고하거나, 스스로 확인하는 등 후속조치를 즉시 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누수 감지장치(100)는 상기 수도 미터기(7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수도 미터기(700)가 소리 감지센서(100)와 결합된 상태로 수도관(50)에 연결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누수 감지장치(100)에 수도 미터기(700)를 일체화하여 구성함으로써, 제품을 단순화하고, 설치, 보관 및 관리가 편리한 이점이 있다.
한편, 출력부(800)는 스피커(810), 디스플레이부(820), 점등유닛(830)을 구비한다. 상기 스피커(810)를 통해서는 누수 발생시 경고음이나, 특정 멘트가 출력될 수 있다. 즉, 제어유닛(300)에서 누수가 발생한 것이 확인된 경우에, 제어유닛(300)은 스피커(810)를 통해서, 예를 들어 "누수징후가 있으니 상수도 관리 기관에 신고하십시오 전화번호는 0000입니다. 옥내 누수의 경우 수도 요금이 과도하게 나올 수 있습니다."와 같은 멘트가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스피커(810)를 통해서 비프음과 같은 특정 주파수의 경고음이 발생되어 누수 발생에 대한 경보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이러한 스피커(810)는 소리 감지센서(100)에 결합된 상태로 계량기 함 내부에 설치될 수도 있고, 별도로 계량기 함 외부에 설치되어 사용자에게 쉽게 누수정보를 알려줄 수도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820)는 LCD를 포함하며, 누수 발생정보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여 보여주며, 이 또한 소리 감지센서(100)에 직접 설치될 수도 있고, 별도로 계량기 함 외부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수시로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점등유닛(830)은 다수의 점등 가능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LED를 포함한다. 이러한 점등유닛(830)은 정상적인 경우(누수가 발생되지 않는 경우에는 녹색 LED 점등), 비정상적인 경우(누수가 발생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에는 적색 LED 점등) 각각에 대해 서로 다른 색상으로 점등되도록 제어유닛(300)에 의해 제어된다. 이러한 점등유닛(830)도 소리 감지센서(100)에 결합되어 계량기 함 내부에 설치되거나, 또는 외부에 별도로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출력부(800)를 구비하는 구성을 가짐으로써, 검침원은 물론 사용처의 사용자도 누수 발생 사실을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되며, 따라서 누수 발생에 따른 문제를 조기에 처리하도록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집주인은 상수도의 누수 사실을 관리 기관으로 즉시 알려주어 처리하거나, 스스로 해결할 수 있는 경우 스스로 해결함으로써 과도한 물 사용으로 인한 비용의 발생을 줄이고, 사용자의 민원을 대폭 줄일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소리 감지센서 110..하우징
120..소리 전달부재 130… 떨림판
140..소리 수집부 200..통신부
300..제어유닛 400..전원공급부
500..수압센서 600..유량분석부
700..수도 미터기 900..휴대용 단말기

Claims (10)

  1. 상수도 관에 설치되어, 상기 상수도관을 통해 전달되는 물의 소리를 감지하는 소리 감지센서와;
    상기 소리 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와;
    상기 소리 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정보를 분석하여 해당 상수도관의 누수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결과를 상기 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소리 감지센서는,
    적어도 일부분이 금속재질로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제어유닛이 설치되는 빈 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금속재질 부분으로부터 연결되어 상기 상수도관에 연결되어, 상기 상수도관을 통해 전달되는 소리를 상기 하우징 내부로 전달하는 소리 전달부재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소리 전달부재를 통해 상기 하우징 내부로 전달되는 소리에 의해 떨리는 떨림판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떨림판의 떨리는 소리를 수집하여 상기 제어유닛으로 전달하는 소리 수집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금속재질로 형성되며, 폐쇄된 일단부 상기 소리 전달부재가 연결되고, 개방된 타단부로부터 일정 깊이로 빈 공간이 형성되는 제1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의 개방된 타단부에 접하여 결합되어 밀폐된 내부공간을 형성하며, 내부에 상기 제어유닛과 통신부 및 상기 소리 수집부가 설치되는 제2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의 폐쇄된 일단부의 내측으로부터 상기 제2하우징 쪽으로 돌출되어 상기 떨림판을 지지하는 금속 재질의 떨림판 지지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2하우징은 비금속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소리 연결부재를 통해 전달되는 소리는 상기 제1하우징, 상기 떨림판 지지돌기를 통해 상기 떨림판으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누수 감지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떨림판은 상기 제1하우징의 개방된 타단부의 내경에 대응되는 외경을 가지며, 그 중심에서 상기 떨림판 지지돌기와 연결되며,
    상기 떨림판에 이격되어 마주하는 위치에 상기 소리 수집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누수 감지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전원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누수 감지장치.
  6. 제1항, 제4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수도관의 누수정보를 음성 또는 경보음으로 출력하는 스피커와;
    상기 상수도관의 누수정보를 화면을 통해 디스플레이해주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상수도관의 누수정보를 온/오프 점등을 통해 표시하는 점등유닛;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누수 감지장치.
  7. 제1항, 제4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누수 감지센서에서 감지된 누수 정보를 원격으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누수 감지장치.
  8. 제1항, 제4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수도관에 설치되는 수도 미터기로부터 유량 감지데이터를 전달받아, 유량의 변화를 분석하고 수도 사용량을 검침하는 유량분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누수 감지장치.
  9. 제1항, 제4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리 감지센서는 수도 미터기가 설치되는 수도 미터기함 또는 제수변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출력부는, 상기 수도 미터기함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누수 감지장치.
  10. 제1항, 제4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수도관에 설치되어 수도 사용유량을 감지하는 수도미터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누수 감지장치.
KR1020110053281A 2011-06-02 2011-06-02 상수도 누수 감지장치 KR1012509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3281A KR101250955B1 (ko) 2011-06-02 2011-06-02 상수도 누수 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3281A KR101250955B1 (ko) 2011-06-02 2011-06-02 상수도 누수 감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4408A KR20120134408A (ko) 2012-12-12
KR101250955B1 true KR101250955B1 (ko) 2013-04-09

Family

ID=47902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3281A KR101250955B1 (ko) 2011-06-02 2011-06-02 상수도 누수 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095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3382B1 (ko) 2020-04-10 2020-12-22 주식회사 케이스마트피아 스마트미터링 기반 옥내 누수 감지 시스템
KR20210140787A (ko) 2020-05-14 2021-11-23 주식회사 케이스마트피아 스마트미터링 기반 옥내 누수 감지 시스템 및 옥내 누수 감지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1442B1 (ko) * 2013-06-26 2013-12-13 (주)피피아이평화 누수 감지 센서를 갖는 스마트 파이프
KR101953035B1 (ko) * 2017-09-11 2019-02-27 주식회사대한송유관공사 배관 상태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KR102458172B1 (ko) * 2022-06-17 2022-10-25 주식회사 태현이엔지 상수도관 수질에 따른 자동 드레인시스템
KR102557224B1 (ko) * 2022-09-07 2023-07-21 주식회사 정이노베이션 수도계량기 관리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7246B1 (ko) 2009-08-07 2010-03-11 오광석 상수도 누수 감지시스템 및 상수도 누수 감지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7246B1 (ko) 2009-08-07 2010-03-11 오광석 상수도 누수 감지시스템 및 상수도 누수 감지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3382B1 (ko) 2020-04-10 2020-12-22 주식회사 케이스마트피아 스마트미터링 기반 옥내 누수 감지 시스템
KR20210126474A (ko) 2020-04-10 2021-10-20 주식회사 케이스마트피아 스마트미터링 기반 옥내 누수 감지 시스템 및 옥내 누수 감지 방법
KR20210140787A (ko) 2020-05-14 2021-11-23 주식회사 케이스마트피아 스마트미터링 기반 옥내 누수 감지 시스템 및 옥내 누수 감지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4408A (ko) 2012-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2361B1 (ko) 상수도 누수 감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상수도 누수 감지시스템
US10209114B2 (en) Water meter and water supply management system using same
KR101250955B1 (ko) 상수도 누수 감지장치
KR100947246B1 (ko) 상수도 누수 감지시스템 및 상수도 누수 감지방법
EP1805492B1 (en) Tracking vibrations in a pipeline network
CA2889284C (en) Detecting leaks in a fluid distribution system
US20050060105A1 (en) Tracking vibrations in a pipeline network
KR101406507B1 (ko) 음향/압력 복합센서를 구비한 상수도관용 누수감지장치
KR102296295B1 (ko) 원격검침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수도 계량기 및 디지털 수도 계량기 관리 시스템
US20150070189A1 (en) AMR Transmitter And Method Using Multiple Radio Messages
US10386261B2 (en) High repetition rate thermometry system and method
KR101382232B1 (ko) 소음 수준 및 분포를 이용한 상시 누수진단 시스템
KR102193382B1 (ko) 스마트미터링 기반 옥내 누수 감지 시스템
Cole Methods of leak detection: an overview
KR100406239B1 (ko) 노후수도관로의 누수감시시스템
KR102460023B1 (ko) 스마트 워터 시티 구축을 위한 다항목 수질 측정을 사용한 통합정보 제공 시스템
KR102391995B1 (ko) 스마트미터링 기반 옥내 누수 감지 시스템 및 옥내 누수 감지 방법
KR101185368B1 (ko) 누수음 발생 및 발생지점의 방향 체크가 가능한 누수탐지장치
KR20210032373A (ko) 누수 여부 탐지 시스템
KR20050026445A (ko) 상수도 자동 압력 및 현장 음 전송장치
KR101382231B1 (ko) 음의 연속성을 이용한 누수진단 시스템
KR102495230B1 (ko) 통신 출력 횟수 확인을 위한 카운터 단말기
CN207528302U (zh) 一种利用超声波传感器进行液位监测装置
KR102313851B1 (ko) 누수음 관리 운영 시스템
KR102248302B1 (ko) 자동누수경보 기능을 갖춘 원격자동검침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