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9108B1 -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한 저수조 자동 제어시스템 - Google Patents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한 저수조 자동 제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9108B1
KR100689108B1 KR1020060046445A KR20060046445A KR100689108B1 KR 100689108 B1 KR100689108 B1 KR 100689108B1 KR 1020060046445 A KR1020060046445 A KR 1020060046445A KR 20060046445 A KR20060046445 A KR 20060046445A KR 100689108 B1 KR100689108 B1 KR 1006891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torage tank
unit
well
real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64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재신
Original Assignee
유재신
담양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재신, 담양군 filed Critical 유재신
Priority to KR10200600464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91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91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91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1/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 E03B11/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for public or like main water supp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8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the presence of persons in a body of water, e.g. a swimming pool; responsive to an abnormal condition of a body of wate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Economic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한 저수조 자동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취수정과 저장탱크의 상태를 감시 또는 제어할 수 있도록 보조제어기를 저수조관리자의 집에 구비함과 아울러 보조제어기에 시스템관리자의 PC를 유선으로 연결시켜 놓음으로써 저수조관리자와 시스템관리자가 동시에 저수조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시할 수 있어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한 저수조 자동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하수가 있는 취수정과, 상기 취수정의 지하수가 송수관을 통해 이동되어 저장되는 저장탱크와, 상기 저장탱크에 구비되어 저장된 지하수의 수위 및 온도를 감지하고 무선 변환하여 송신하는 송신부와, 상기 송신부의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취수정의 제어기에 전송하도록 상기 취수정에 구비된 수신부로 이루어져 저수조의 수위를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한 저수조 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22) 및 수신부(14)와 무선으로 송수신되고, 상기 취수정(10)과 저장탱크(20) 내의 지하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원격 감시 및 제어하기 위한 별도의 보조제어기(30)와; 상기 보조제어기(30)에 유선 연결되어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를 모니터링한 후 기존의 데이터와 변환된 데이터를 구별하여 자료화한 다음 통신매체(50)에 실시간으로 전송하여 외부에서 모니터링하도록 디스플레이하는 통신장치(4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취수정, 저장탱크, 보조제어기, 통신장치, 통신매체

Description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한 저수조 자동 제어시스템{AUTOMATIC CONTROL SYSTEM FOR WATER TANK HAVED REAL TIME MONITERING}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한 저수조 자동 제어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럭도,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한 저수조 자동 제어시스템의 개략적인 사용 상태를 보인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취수정 12: 제어기
14: 수신부 20: 저장탱크
22: 송신부 30: 보조제어기
32: 표시부 34: 조작부
40: 통신장치 50: 통신매체
본 발명은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한 저수조 자동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취수정과 저장탱크의 상태를 감시 또는 제어할 수 있도록 보조제어기를 저수조관리자의 집에 구비함과 아울러 보조제어기에 시스템관리자의 PC를 유선으로 연결시켜 놓음으로써 저수조관리자와 시스템관리자가 동시에 저수조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시할 수 있어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한 저수조 자동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수(地下水)를 포함한 상수(上水)나 침출수(浸出水) 또는 오폐수(汚廢水) 등(이하, 원수(原水)라 한다)이 존재하는 지점으로부터 소정의 위치에 설치된 저장탱크까지 송수관을 통해 이송시키기 위한 장치가 많이 개발되어 있다.
그리고 거리가 원거리(예로, 수십m에서 수km)일 경우에 취수정 및 저장탱크에 장착된 감지수단으로 각각의 수위를 감지하여 무선 또는 유선으로 송출하여 자동으로 원수의 저장량을 결정 및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종래에 원격에서 수위를 조절하는 장치는 단순하게 펌핑수단을 동작시켜 원수를 펌핑하여 취수된 원수를 소정의 거리까지 공급하는 송수관을 통해 소정용량의 저장탱크에 공급하고, 저수된 원수의 양 도는 수위를 감지하여 상기 펌핑수단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모터펌프와 같은 펌핑수단으로 취수정(집수지, 저수지 또는 지하 등)으로부터 원수를 취수한 후에 소정 거리에 설치된 저장탱크로 송수관을 통해 공급하고, 저장탱크에는 저수된 원수의 양 또는 수위를 감지수단에서 감지하여 배선된 전선을 통해 콘트롤러로 출력하고, 콘트롤러는 수신된 감지신호를 판단하여 펌핑수단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취수정의 원수량이 일정하지 않아 펌핑수단이 원수를 펌핑하여 취수하는 도중에 원수가 지속적으로 공급되지 않을 경우에는 펌핑수단이 무단으로 작동되어 열화되는 문제가 있었고, 또한, 저장탱크에 저수되는 원수를 정확하 게 감지하지 못하거나 유선을 통해 전송할 경우에 배선의 단락이나 단선으로 인하여 저수되는 원수의 수위에 대한 감지된 신호를 콘트롤러로 전송하지 못하게 되면 콘트롤러에서 펌핑수단을 정상적으로 제어하지 못하게 되므로 저장수단에 저수되는 원수가 범람하는 문제가 있었으며, 또한 상기 배선을 땅속에 매립하는 관계로 누전 및 과부하시 유지보수 등에 많은 어려움이 많고, 노후된 케이블을 수시로 교체해 주어야 하는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이에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385568호(2003.05.15, 발명의 명칭: 저수조 제어시스템)를 보면, 취수정의 수위를 감지하는 지하수 수위감지부와; 상기 지하수를 펌핑하는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모터구동부와; 상기 지하수 수위감지부와 모터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각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1전원부와; 상기 원수를 저장하는 저장수단의 수위를 감지하는 물탱크 수위감지부와; 상기 물탱크의 원수의 온도를 센싱하는 온도센서와; 상기 물탱크 수위감지신호와 온도신호를 무선으로 변환하여 송신하는 RF송신부와; 상기 RF송신부와 물탱크 수위감지부 및 온도센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2전원부 및 상기 RF송신부의 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제어부에 전송하는 RF수신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하수 수위감지부와 물탱크 수위감지부에 의한 전원의 도통으로 저수조의 수위를 용이하게 측정하고, 결빙으로 인한 기기의 파손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있다.
상기의 저수조 제어시스템은 취수정과 저장수단 간에 무선통신방식으로 손쉽게 저수조의 수위를 측정할 수 있으나, 유지관리시 관리자가 직접 저장수단에 비치되어 있는 콘트롤박스 등의 주제어부를 통해 저수조의 각종상태를 파악하거나 저수조를 제어하여야만 하는 단점이 있으며, 이 경우 우천시에는 관리작업이 불편하고 관리시간이 증가되는 등의 비효율적인 관리를 하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한 저수조 자동 제어시스템의 고장 또는 파손시 저수조관리자와 시스템관리자간의 실시간 통신이 어려워 A/S가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보수시간이 지체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관공서의 상,하수도 사업부에서의 주기적인 점검시 직접 저수조를 방문하여 점검을 하여야 됨으로써 시간 낭비 등의 비효율적인 면이 존재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저수조관리자의 집 내부에 취수정과 저장탱크의 상태를 감시 또는 제어할 수 있도록 보조제어기를 구비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저수조를 관리할 수 있으며, 보조제어기에 시스템관리자의 PC를 유선으로 연결시켜 놓음으로써 시스템관리자가 저수조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시함과 아울러 일별, 월별로 인터넷 등의 통신매체에 디스플레이시킴으로써 상,하수도 사업부에서 보다 용이하게 모니터링할 수 있는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한 저수조 자동 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지하수가 있는 취수정과, 상기 취수정의 지하수가 송수관을 통해 이동되어 저장되는 저장탱크와, 상기 저장탱크에 구비되어 저장된 지하수의 수위 및 온도를 감지하고 무선 변환하여 송신하는 송신부와, 상기 송신부의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취수정의 제어기에 전송하도록 상기 취수정에 구비된 수신부로 이루어져 저수조의 수위를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한 저수조 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 및 수신부와 무선으로 송수신되고, 상기 취수정과 저장탱크 내의 지하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원격 감시 및 제어하기 위한 별도의 보조제어기와; 상기 보조제어기에 유선 연결되어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를 모니터링한 후 기존의 데이터와 변환된 데이터를 구별하여 자료화한 다음 통신매체에 실시간으로 전송하여 외부에서 모니터링하도록 디스플레이하는 통신장치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보조제어기는 상기 취수정의 모터 동작상태, 지하수 상태, 지하수 수위와 저장탱크 내의 지하수 수위 및 온도와 약품투입기의 약품 유무상태와 상기 취수정과 저장탱크의 누수여부, 과부하 상태를 실시간으로 전송받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취수정과 저장탱크의 상태에 따라 상기 취수정과 저장탱크를 제어하기 위한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의 제어신호를 상기 취수정의 수신부와 상기 저장탱크의 송신부에 전송하고, 상기 취수정과 저장탱크의 상태를 수신받아 상기 표시부에 전송하는 통신부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한 저수조 자동 제어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한 저수조 자동 제어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럭도이고,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한 저수조 자동 제어시스템의 개략적인 사용 상태를 보인 상태도이다.
상기 도1 또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한 저수조 자동 제어시스템은 지하수가 있는 취수정(10)과, 상기 취수정(10)의 지하수가 송수관(11)을 통해 이동되어 저장되는 저장탱크(20)와, 상기 저장탱크(20)에 구비되어 저장된 지하수의 수위 및 온도를 감지하고 무선 변환하여 송신하는 송신부(22)와, 상기 송신부(22)의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취수정(10)의 제어기(12)에 전송하도록 상기 취수정(10)에 구비된 수신부(14)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취수정(10)의 제어기(12)는 지하수의 수위를 감지함과 아울러 지하수를 펌핑하기 위한 모터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기(12)에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저장탱크(20)에는 저장된 지하수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지하수 수위감지부와, 저장된 지하수의 온도를 센싱하는 온도센서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송신부(22)와 지하수 수위감지부 및 온도센서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 본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되어 등록된 공지의 기술인 관계로 더 이상 설명하지 않기로 하며,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주요부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취수정(10)의 수신부(14)와 상기 저장탱크(20)의 송신부(22)에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보조제어기(30)와, 상기 보조제어기(30)에 유선 연결되어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장치(4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보조제어기(30)는 저수조관리자의 집 내부에 설치되어 저수조관리자가 직접 저장탱크(20)로 이동하지 않고 상기 취수정(10)과 저장탱크(20) 내의 지하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원격 감시 및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상기 보조제어기(30)는 각종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32)와, 상기 표시부(32)에 표시된 취수정(10)과 저장탱크(20)의 상태에 따라 상기 취수정(10)과 저장탱크(20)를 제어하기 위한 조작부(34)와, 상기 취수정(10) 및 저장탱크(20)와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부(36)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32)는 상기 취수정(10)의 모터 동작상태, 지하수 상태, 지하수 수위와 저장탱크(20) 내의 지하수 수위 및 온도와 저장된 지하수에 투입되는 약품이 저장되는 약품투입기의 약품 유무상태와 상기 취수정(10)과 저장탱크(20)의 누수여부, 과부하 상태를 상기 통신부(36)를 통해 실시간으로 전송받아 표시하게 된다.
즉, 상기 취수정(10) 및 저장탱크(20)의 모든 상태를 실시간으로 전송받아 표시함으로써 저수조관리자는 한눈에 저수조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게 되어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저수조관리자가 저수조를 제어하는 경우에는 상기 조작부(34)를 조작하게 되면 상기 통신부(36)가 조작부(34)의 제어신호를 상기 취수정(10)의 수신부(14) 및 상기 저장탱크(20)의 송신부(22)에 전송하게 되어 취수정(10)과 저장탱크(20)의 상태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보조제어기(30)에 유선 연결되는 상기 통신장치(40)는 시스템관리자의 PC인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상기 보조제어기(30)의 신호를 실시간으로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 즉, 데이터를 모니터링한 후 기존의 데이터와 변환된 데이터 를 구별한 다음 일별, 월별로 자료화하여 통신매체(50)에 실시간으로 전송하게 된다.
이때, 상기 통신매체(50)는 인터넷인 것이 바람직하고, 관공서의 상,하수도 사업부에서는 상기 인터넷을 통해 현장에 구비된 저수조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살펴보면, 저장탱크(20)의 송신부(22)에서 저장된 지하수의 수위를 측정하여 취수정(10)의 수신부(14)에 보내게 되면, 수신부(14)에서는 상기 송신부(22)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수집하여 제어기(12)로 전송하게 되고, 상기 제어기(12)에서 모터를 구동시켜 지하수를 펌핑시킨 후 송수관을 통해 상기 저장탱크(20)에 공급하게 된다.
상기 저장탱크(20)에 일정 수위 이상의 지하수가 저장되어 지면, 상기 송신부(22)는 모터를 오프시키도록 수신부(14)에 신호를 전송하게 되고, 상기 제어기(12)는 상기 수신부(14)를 통해 수신된 신호에 따라 모터의 구동을 오프시키게 된다.
이때, 저수조관리자는 자신의 집에서 상기의 과정을 보조제어기(30)를 통해 손쉽게 파악하게 되고, 시스템관리자 또한 상기 보조제어기(30)에 연결된 통신장치(40)를 통해 실시간으로 저수조 상태를 파악할 수 있게 되며, 시스템관리자는 보조제어기(30)로부터 수신된 신호와 기존의 신호를 분석한 후 변환된 부분만을 인터넷에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시키게 되고, 관공서의 상,하수도 사업부에서는 상기 인터넷을 통해 현장에 구비된 저수조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저수조관리자와 시스템관리자가 현장에 구비된 저수조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이 가능함으로써 저수조관리자가 부재중 상태에서 저수조의 시스템이 오동작하는 경우 단시간내에 보다 손쉽게 보수할 수 있게 되어 보다 효율적으로 저수조를 유지 관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저수조관리자가 상기 보조제어기(30)를 조작하여 취수정(10) 및 저장탱크(20)의 상태를 여건에 따라 임의적으로 변환시킬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저수조관리자의 집 내부에 취수정과 저장탱크의 상태를 감시 또는 제어할 수 있도록 보조제어기를 구비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저수조를 관리할 수 있으며, 보조제어기에 시스템관리자의 PC를 유선으로 연결시켜 놓음으로써 시스템관리자가 저수조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시함과 아울러 일별, 월별로 인터넷 등의 통신매체에 디스플레이시킴으로써 상,하수도 사업부에서도 보다 용이하게 모니터링할 수 있어 저수조에 직접 방문하지 않고도 점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2)

  1. 지하수가 있는 취수정과, 상기 취수정의 지하수가 송수관을 통해 이동되어 저장되는 저장탱크와, 상기 저장탱크에 구비되어 저장된 지하수의 수위 및 온도를 감지하고 무선 변환하여 송신하는 송신부와, 상기 송신부의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취수정의 제어기에 전송하도록 상기 취수정에 구비된 수신부로 이루어져 저수조의 수위를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한 저수조 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22) 및 수신부(14)와 무선으로 송수신되고, 상기 취수정(10)과 저장탱크(20) 내의 지하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원격 감시 및 제어하기 위한 별도의 보조제어기(30)와;
    상기 보조제어기(30)에 유선 연결되어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를 모니터링한 후 기존의 데이터와 변환된 데이터를 구별하여 자료화한 다음 통신매체(50)에 실시간으로 전송하여 외부에서 모니터링하도록 디스플레이하는 통신장치(4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한 저수조 자동 제어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제어기(30)는, 상기 취수정(10)의 모터 동작상태, 지하수 상태, 지하수 수위와 저장탱크(20) 내의 지하수 수위 및 온도와 약품투입기의 약품 유무상태와 상기 취수정(10)과 저장탱크(20)의 누수여부, 과부하 상태를 실시간으로 전송받아 표시하는 표시부(32)와;
    상기 표시부(32)에 표시된 취수정(10)과 저장탱크(20)의 상태에 따라 상기 취수정(10)과 저장탱크(20)를 제어하기 위한 조작부(34)와;
    상기 조작부(34)의 제어신호를 상기 취수정(10)의 수신부(14)와 상기 저장탱크(20)의 송신부(22)에 전송하고, 상기 취수정(10)과 저장탱크(20)의 상태를 수신받아 상기 표시부(32)에 전송하는 통신부(3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한 저수조 자동 제어시스템.
KR1020060046445A 2006-05-24 2006-05-24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한 저수조 자동 제어시스템 KR1006891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6445A KR100689108B1 (ko) 2006-05-24 2006-05-24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한 저수조 자동 제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6445A KR100689108B1 (ko) 2006-05-24 2006-05-24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한 저수조 자동 제어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7069U Division KR200425726Y1 (ko) 2006-06-25 2006-06-25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한 저수조 자동 제어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9108B1 true KR100689108B1 (ko) 2007-03-02

Family

ID=38102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6445A KR100689108B1 (ko) 2006-05-24 2006-05-24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한 저수조 자동 제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9108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6255B1 (ko) * 2007-10-05 2008-02-22 (주)서흥이엔지 상수도시설용 통합관리시스템
KR101028894B1 (ko) * 2008-06-09 2011-04-12 (주)인투비 육상양식장용 저수위 감지 시스템
KR101608959B1 (ko) * 2015-08-28 2016-04-21 한삼코라 주식회사 소규모급수시설의 통합관리시스템
CN105951931A (zh) * 2016-05-12 2016-09-21 平玉兰 一种基于物联网的智能二次供水设备
KR102029265B1 (ko) * 2019-04-17 2019-10-08 (주)코반 인공지능 기반의 물탱크 안전 제어장치
WO2020023836A1 (en) * 2018-07-26 2020-01-30 Amtrol Licensing Inc. Well management system
KR20210019303A (ko) 2019-08-12 2021-02-22 국립생태원 생명유지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2277305B1 (ko) * 2020-12-04 2021-07-14 한국원자력환경공단 3차원 분포형 모니터링 시스템 및 3차원 분포형 모니터링 방법
US11530704B2 (en) 2018-07-26 2022-12-20 Amtrol Licensing Inc. Well management syste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3314A (ko) * 2004-10-14 2006-04-19 이종태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취수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3314A (ko) * 2004-10-14 2006-04-19 이종태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취수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60033314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6255B1 (ko) * 2007-10-05 2008-02-22 (주)서흥이엔지 상수도시설용 통합관리시스템
KR101028894B1 (ko) * 2008-06-09 2011-04-12 (주)인투비 육상양식장용 저수위 감지 시스템
KR101608959B1 (ko) * 2015-08-28 2016-04-21 한삼코라 주식회사 소규모급수시설의 통합관리시스템
CN105951931A (zh) * 2016-05-12 2016-09-21 平玉兰 一种基于物联网的智能二次供水设备
CN105951931B (zh) * 2016-05-12 2018-09-18 江苏力达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的智能二次供水设备
WO2020023836A1 (en) * 2018-07-26 2020-01-30 Amtrol Licensing Inc. Well management system
US10808384B2 (en) 2018-07-26 2020-10-20 Amtrol Licensing Inc. Well management system
US11530704B2 (en) 2018-07-26 2022-12-20 Amtrol Licensing Inc. Well management system
KR102029265B1 (ko) * 2019-04-17 2019-10-08 (주)코반 인공지능 기반의 물탱크 안전 제어장치
KR20210019303A (ko) 2019-08-12 2021-02-22 국립생태원 생명유지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2277305B1 (ko) * 2020-12-04 2021-07-14 한국원자력환경공단 3차원 분포형 모니터링 시스템 및 3차원 분포형 모니터링 방법
WO2022119296A1 (ko) * 2020-12-04 2022-06-09 한국원자력환경공단 3차원 분포형 모니터링 시스템 및 3차원 분포형 모니터링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9108B1 (ko)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한 저수조 자동 제어시스템
US10364816B2 (en) Remote pump managing device
KR100809735B1 (ko) 간이상수도 수질관리를 위한 통합관리시스템 및통합관리방법
KR200425726Y1 (ko)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한 저수조 자동 제어시스템
KR101626616B1 (ko) 상수도관 누수 측정장치
KR101756211B1 (ko) 유지 관리 편리성과 시설물 효율성 증대를 위한 마을 상수도 통합 관리 시스템
KR100901176B1 (ko) 지중 유체 관로 관리장치 및 방법
CN103294017A (zh) 一种基于Zigbee的家居漏湿监测装置
KR20020045430A (ko) 노후수도관로의 누수감시시스템
US6542827B1 (en) Well tending method and apparatus
KR20020017055A (ko) 휴대용 지하수 관측 시스템
KR101295851B1 (ko) 원격수위관리장치
KR20120083101A (ko) 펌프와 타이머를 이용한 급배수 조절 장치 및 그를 이용한 급배수 조절 방법
RU2380533C1 (ru) Мобильная станция контроля параметров бурения
KR20120016731A (ko) 취수 온라인 관리 시스템
CN203338083U (zh) 一种基于Zigbee的家居漏湿监测装置
KR200285474Y1 (ko) 상수도용 저수 제어 장치
KR200194031Y1 (ko) 전화선을 이용한 무인급수 제어장치
KR100363838B1 (ko) 인터넷을 이용한 아파트 관리시스템
KR100918799B1 (ko) 수밀시험장치
KR100437342B1 (ko) 상수도용 저수 제어 시스템
CN101842681A (zh) 燃料贮槽的传感器件结构
KR200393565Y1 (ko) 구역 및 제수변 소출력 유수량 관리 시스템
CN220085280U (zh) 一种无线通讯的生活污水监控设备
JP4697452B2 (ja) 広域分散用水分配管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8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