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1782B1 - 지중매설물 위치감지 식별장치 - Google Patents

지중매설물 위치감지 식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1782B1
KR101741782B1 KR1020150094616A KR20150094616A KR101741782B1 KR 101741782 B1 KR101741782 B1 KR 101741782B1 KR 1020150094616 A KR1020150094616 A KR 1020150094616A KR 20150094616 A KR20150094616 A KR 20150094616A KR 101741782 B1 KR101741782 B1 KR 1017417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underground
buried
unit
position sen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46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4358A (ko
Inventor
정진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와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와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와텍
Priority to KR10201500946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1782B1/ko
Publication of KR201700043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43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17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17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15/00Tags attached to, or associated with, an object, in order to enable detection of the objec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3/00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ology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중매설물 위치감지 식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중매설물의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지중매설물 위치감지 식별장치(1)에 있어서,
상단부는 상부덮개(110)와 하단부는 고정받침부(120)로 이루어지고, 주파수 반응체(130)가 내삽되는 보호관(140)이 상기 고정받침부(120)의 상면 수직으로 형성되는 위치감지 식별부(100);와
상기 위치감지 식별부(100)와 결합할 수 있도록 관통된 홀이 형성된 삽입부(210)와 종단부끼리 체결하여 지중매설물의 직경에 맞게 고정되도록 하는 조임부(220)로 형성된 밴드형 고정유닛(200);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보호관(140) 내부 상부에는 돌출걸림부(150);와 상기 돌출걸림부(150)와 결합되고 주파수 반응체(130)를 고정할 수 있는 마감부재(1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주파수 반응체(130)는 특정 주파수에 반응하는 마그네틱 끈 또는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위치감지 식별부(100)는 밴드형 고정유닛(200)과 결합되는 분리형 또는 일체형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지중에 매설되는 관에 대한 위치정보를 보다 정확하게 탐지할 수 있도록 제공함으로서 오 굴착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매설되는 관의 목적에 따라 특정 주파수에 반응하는 주파수 반응체를 지중매설물 위치감지 식별장치의 보호관 내에 삽입하여 주파수 별로 또는 위치감지 식별부의 색상 및 재질 별로 매설된 관의 정보를 쉽게 알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지중매설물 위치감지 식별장치{Apparatus searching for the position of utility facilities}
본 발명은 지중매설물 위치감지 식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위치감지 식별부와 밴드형 고정유닛으로 이루어진 지중매설물 위치감지 식별장치로, 지중에 다양한 용도로 매설되는 관의 외주연에 결합하여 위치감지 식별부 내부에 삽입된 특정 주파수에 반응하는 주파수 반응체가 지표면에 가깝게 위치하도록 구성됨으로서, 매설되는 관의 정확한 위치정보를 탐지할 수 있도록 하는 지중매설물 위치감지 식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시화가 급속하게 진행되면서 일상생활 및 산업에 필수적인 전기, 통신, 상하수도 등의 기반시설에 대한 수요와 공급이 급속하게 증가됨에 따라 상하수도관, 도시가스 공급관, 전기 및 통신선로 등과 같은 연결설비의 설치도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연결설비는 미관, 설비 보호 또는 공간의 효율적 이용 및 안전사고 방지 등의 목적을 위해 지중에 매설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지중에 매설된 연결설비의 경우에는 그 매설위치 및 깊이에 대한 정확한 정도가 갖추어지지 않은 경우가 대부분이며, 시각을 통해 그 위치나 상태를 파악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시설물의 유지관리에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새로운 시설물을 설치하거나 건축물을 시공할 때, 기존에 매설된 연결설비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하지 못하여 공사에 소요되는 시간 및 물적 비용이 증가되기도 하며, 공사 중에 오 굴착으로 인하여 기존 연결설비를 파괴하는 경우에는 작업자 및 작업현장의 안전에 큰 위험요소가 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한 경제적 손실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지중에 매설된 각종 연결설비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여러가지 방법이 사용되고 있는데, 일반적으로 크게 지표투과 레이더 이용 방식과 탐지물체 이용 방식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지표투과 레이더 이용 방식은 공중에 있는 물체를 레이더로 탐지하는 것과 유사하게 전자파를 지하로 방사하고 지하로부터 반사되어 돌아오는 반사파를 분석하여 배관의 실제 위치를 탐지하는 것이고, 탐지물체 이용 방식은 지표면에서 매설 위치를 탐지할 수 있는 탐지물체, 예를 들면, 자성체를 배관에 부착하거나 함께 매설함으로써 탐지물체의 위치를 통해 매설배관의 위치를 간접적으로 탐지하는 것이다.
그러나, 지표투과 레이더 이용 방식은 설치비용 및 관리비용이 높으며 고가의 장비가 이용되므로 단지 지중에 매설된 관의 위치를 확인하는 용도로 사용하기에는 효율성이 떨어지며, 탐지물체 이용 방식은 탐지물체가 지중에 함께 매설되므로 매설깊이 또는 자연환경에 따라 정확한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능력이 떨어진다.
또한, 상기 두 가지 이용 방식의 공통적인 문제점은 지중에 매설되는 관의 종류에 따라 관리주체가 다르고, 다양하게 매설되어 있는 관의 정보도 쉽게 확인하기 어려워 연결설비에 대한 관리가 어렵다.
예를 들면, 상수도관은 지자체 및 수자원공사가 관리주체이며, 하수도관은 지자체 및 시설관리공단, 우수관은 지자체, 지역난방배관은 에너지관리공단 및 지역난방공사, 도시가스관은 한국가스 및 지역가스공사 그리고, 고압 및 특고압 전력케이블은 한국전력, 통신케이블과 LAN케이블은 한국통신 및 각 통신사업자에서 관리하므로 매설된 연결설비의 위치정보를 원활하게 공유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반면, 위치감지 식별장치에 관한 선행 기술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72944호의 "RFID와 자성체를 이용한 지하시설물 위치 식별자장치"는 지하에서의 RFID 태그와 리더기간의 인식거리를 넓혀주고 RFID리더기가 인식할 수 없는 심도는 자성체로부터 보내는 자기장을 자기센서를 통해 탐지할 수 있게 해주며 이를 이용하여 지하시설물 및 지하매설물의 정확한 인식정보 및 위치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선행 기술인 "RFID와 자성체를 이용한 지하시설물 위치 식별자장치"는 상술한 탐지물체 이용 방식의 문제점과 동일하게 지중에 매설되는 관의 매설깊이 또는 자연환경에 따라 정확한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능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72944호 (2012.08.0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르면 지중매설물 위치감지 식별장치는 지표면에 가깝게 설치될 수 있는 구성으로 매설깊이 및 자연환경에 영향을 받지 않고 지중에 매설되는 관의 위치정보를 정확히 제공하는데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지중매설물 위치감지 식별장치 내에 특정 주파수에 반응하는 주파수 반응체를 삽입하여 다양한 목적으로 지중에 매설되는 관의 목적에 따라 주파수를 달리하여 매설된 관의 종류와 매설된 관을 관리하는 관리주체를 용이하게 알 수 있도록 함으로서 오 굴착으로 인한 안전사고 발생 방지 및 각 관리주체의 협조로 인한 작업현장의 작업환경 개선을 제고하는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지중매설물의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지중매설물 위치감지 식별장치에 있어서,
상단부는 상부덮개,
하단부는 고정받침부로 이루어지고, 주파수 반응체가 내삽되는 보호관이 상기 고정받침부의 상면 수직으로 형성되는 위치감지 식별부;와
상기 위치감지 식별부와 결합할 수 있도록 관통된 홀이 형성된 삽입부,
종단부끼리 체결하여 지중매설물의 직경에 맞게 고정되도록 하는 조임부로 형성된 밴드형 고정유닛;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보호관 내부 상부에는 돌출걸림부;와
상기 돌출걸림부와 결합되고 주파수 반응체를 고정할 수 있는 마감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주파수 반응체는 특정 주파수에 반응하는 마그네틱 끈 또는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위치감지 식별부는 밴드형 고정유닛과 결합되는 분리형 또는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는 특허등록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지중매설물 위치감지 식별장치는 지표면에 가깝게 설치되는 구성으로 매설깊이 및 자연환경에 영향을 받지 않고 지중에 매설되는 관의 정확한 위치정보를 탐지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또한, 지중매설물 위치감지 식별장치 내에 특정 주파수에 반응하는 주파수 반응체를 삽입하여 다양한 목적으로 지중에 매설되는 관의 목적에 따라 관리주체별로 주파수 대역을 설정/관리함으로서 매설된 관의 종류와 매설된 관을 관리하는 관리주체의 정보를 용이하게 알 수 있어 오 굴착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이에 따라 각 관리주체의 협조로 인하여 작업환경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밴드형의 구성으로 매설되는 관의 외주연을 감싸 결합하여 고정하는 방식이므로 신규공사 및 개량공사 시에 용이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더하여서, 지중매설물 위치감지 식별장치의 구성요소인 위치감지 식별부의 색상 또는 재질을 달리하여 매설되는 관의 정보 뿐만 아니라 지표면에 가깝게 설치되므로 다른 매설물을 위한 굴착작업 시 매설된 관의 유무도 가시적으로 빠르게 확인할 수 있어 중복확인이 가능하다.
따라서, 매설된 관의 종류에 따라 특성을 고려하여 더욱 안정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안전사고 방지 및 작업환경을 개선하는 매우 효과적인 발명이라 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인 지중매설물 위치감지 식별장치의 상태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지중매설물 위치감지 식별장치의 분리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지중매설물 위치감지 식별장치의 구성요소 중 위치감지 식별부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지중매설물 위치감지 식별장치가 결합된 지중매설물의 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지중매설물 위치감지 식별장치가 지중매설물과 매설된 후의 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인 지중매설물 위치감지 식별장치의 선행 기술에 대한 실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지중매설물 위치감지 식별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인 지중매설물 위치감지 식별장치의 상태 사시도 및 분리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인 지중매설물 위치감지 식별장치의 구성요소 중 위치감지 식별부의 단면도와 지중매설물에 결합된 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
지중매설물의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지중매설물 위치감지 식별장치(1)에 있어서,
상단부는 상부덮개(110),
하단부는 고정받침부(120)로 이루어지고, 주파수 반응체(130)가 내삽되는 보호관(140)이 상기 고정받침부(120)의 상면 수직으로 형성되는 위치감지 식별부(100);와
상기 위치감지 식별부(100)와 결합할 수 있도록 관통된 홀이 형성된 삽입부(210),
종단부끼리 체결하여 지중매설물의 직경에 맞게 고정되도록 하는 조임부(220)로 형성된 밴드형 고정유닛(200);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보호관(140)의 내부는 일부 중공으로 이루어지되, 지표면에 가까워질 수 있도록 일정길이로 형성되어야 하며, 보호관(140) 내부에 삽입되는 주파수 반응체(130)는 특정 주파수에 반응하는 마그네틱 끈 또는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덮개(110)와 보호관(140)은 서로 탈부착이 가능한 결합방식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암나사와 수나사의 체결방식 또는 끼워맞춤 방식이 가장 일반적이지만 상부덮개(110)와 보호관(140)의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목적과 동일한 결합방식은 그 어떠한 방법으로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다만, 암나사와 수나사의 체결방식일 경우에는 보호관(140)의 상단부 일부가 수나사로 형성되고 상부덮개(110)의 내측면이 암나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본 발명의 가장 큰 목적인 상기 보호관(140) 내에 삽입되는 특정 주파수에 반응하는 주파수 반응체(130)가 지표면에 보다 가깝게 위치하게 하기 위함이다.
즉, 보호관(140)의 상단부 일부가 수나사가 아닌 암나사로 형성된다면, 암나사가 형성될 만큼의 가공구역 공간이 필요하고, 암나사가 형성될 경우에는 보호관(140)의 암나사로 형성된 부분에 상부덮개(110)가 결합되므로 상부덮개(110)로 인해 주파수 반응체(130)가 암나사가 형성된 가공구역 공간만큼 지표면에서 멀어지게 된다.
상기 보호관(140) 내부 상부에는 돌출걸림부(150);와
상기 돌출걸림부(150)와 결합되고 마그네틱 끈을 고정할 수 있는 마감부재(1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마감부재(160)에는 특정 주파수에 반응하는 다양한 주파수 반응체(130)의 특성에 따라 위치감지 식별부(100) 상부에 위치할 수 있도록 중심홀(160a);과 고정홀(160b);이 형성되고 상기 보호관(140) 상부에 구성된 돌출걸림부(150)에 끼워맞춤이 가능하도록 끼움결합부(160c);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위치감지 식별부(100)의 하단부에 형성된 고정받침부(120)는 지중매설물에 직접적으로 밀착하는 부분이므로 고정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일정면적을 가지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사각형의 고정받침부(120)를 실시 예로 하였으나, 원형 또는 다각형 및 십자모양으로 형성되어 지중매설물 외주연에 밀착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제작되어야 한다.
이는, 지중매설물에 고정된 본 발명인 위치감지 식별부(100)가 지중매설물과 함께 매설될 때, 뉘어지거나 밴드형 고정유닛(20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지표면 수직방향으로 최대한 곧게 고정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위치감지 식별부(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위치감지 식별부(100) 내에 삽입되어 있는 특정 주파수에 반응하는 주파수 반응체(130)를 지표면으로부터 가까운 곳까지 위치하도록 하는 목적 뿐만 아니라 자연환경 또는 지중환경으로부터 주파수 반응체(130)를 보호하기 위한 역할로도 활용된다.
반면, 상기 밴드형 고정유닛(200)에 형성된 삽입부(210)의 관통된 홀의 크기(직경)는 상기 위치감지 식별부(100)와 용이하게 결합되기 위하여 위치감지 식별부(100)의 보호관(140)의 크기(직경)를 고려하여 형성되어야 한다.
또한, 삽입부(210)의 홀은 상부덮개(110)의 크기(직경) 보다는 작게 형성되어 상술한 바와 동일하게 위치감지 식별부(100)가 밴드형 고정유닛(200)으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게 제작되어야 한다.
그리고, 상기 밴드형 고정유닛(200)의 조임부(220)는 예를 들어 호스밴드의 체결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작업자가 작업현장에서 다른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제작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도 2와 도 3,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 예를 참고하여 본 발명인 지중매설물 위치감지 식별장치(1)가 지중매설물(300)과 결합되는 과정을 자세히 설명하면, 먼저 상기 보호관(140) 내에 특정 주파수에 반응하는 주파수 반응체(130)를 삽입한다.
이때, 주파수 반응체의 특성에 따라 마감부재(160)를 이용하여 주파수 반응체(130)를 보호관(140) 내의 상부에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주파수 반응체(130)가 삽입된 보호관(140)을 밴드형 고정유닛(200)의 삽입부(210)에 삽입하고, 보호관(140) 상단부를 상기 상부덮개(110)와 결합시킴으로써, 지중매설물(300)과 결합을 할 수 있는 준비상태가 된다.
다음으로, 위치감지 식별부(100)과 밴드형 고정유닛(200)으로 구성된 지중매설물 위치감지 식별장치(1)를 위치감지 식별부(100)에 형성된 고정받침부(120)를 지중매설물(300)의 외주연에 밀착되도록 위치시키고 밴드형 고정유닛(200)의 조임부(220)를 통해 지중매설물(300)에 고정하여 결합시킨다.
이로 인해, 현장 시공 시 주파수 반응체(130)가 최대한 지표면 부근까지 위치하게 함으로서 지중매설물의 탐지를 용이하게 한다.
상기 마감부재(160)는 특정 주파수에 반응하는 주파수 반응체(130)가 예를 들어 마그네틱 끈과 같은 강체(rigid body)가 아닌 경우에 주로 사용되며 중심홀(160a)에 주파수 반응체(130)를 통과시키고 통과된 주파수 반응체(130)의 일부분을 고정홀(160b)에 고정하여 보호관(140) 내에 형성된 돌출걸림부(150)에 끼움결합부(160c)를 끼워맞춰 고정한다.
또한, 마감부재(160)는 상부덮개(110)와 동일하게 보호관(140)으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제작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마감부재(160)는 특정 주파수에 반응하는 주파수 반응체(130)의 특성과 작업자의 필요에 따라 사용될 수 있으므로 상기 마그네틱 끈을 이용한 설명은 단적인 일 실시 예일 뿐 사용범위를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인 지중매설물 위치감지 식별장치(1)를 탐지하는 탐지기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구성 및 특징과는 관계가 없으므로 설명을 생략하지만, 현재 사용 중인 탐지기 등을 이용하거나 또는 보완 사용이 가능한 방법으로 주파수 반응체(130)에 더욱 민감한 탐지기를 제작하여 다양한 목적에 따라 매설되는 관에 결합되는 주파수 반응체(130)의 주파수 대역을 세분화하여 지중매설물의 종류 및 크기와 상세정보 확인이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지중매설물의 목적에 따라 각 매설물에 결합되는 상기 위치감지 식별부(100) 의 색상 또는 재질을 다양하게 하여 현장작업 시 가시적으로도 확인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해당 색상 또는 재질에 맞는 지중매설물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어 더욱 안전하게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더하여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위치감지 식별부(100)와 밴드형 고정유닛(200)이 결합/분리되는 분리형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위치감지 식별부(100)와 밴드형 고정유닛(200)이 이미 결합되어 있는 일체형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작업자가 작업현장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설치 및 관리가 용이하므로 저비용 고효율로 운영관리가 가능하고 사용하는 종류와 형식을 달리하는 여러 매설물의 위치를 쉽게 식별할 수 있어 효율적인 지중매설물 관리를 제공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삶의 질 향상과 산업의 지속적인 발달로 인하여 지중매설물의 종류도 다양하게 증가 또는 추가되고 있으며, 도시의 지하에는 각종 시설의 파이프 관, 케이블 등이 매설되고 있다.
이에, 매설물에 대한 관리주체가 서로 달라 꾸준히 보수 및 교체와 신규설치가 이루어질 때마다 매년 크고 작은 안전사고와 오 굴착으로 인한 누수, 폭발, 정전사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인 지중매설물 위치감지 식별장치에 따르면 지표면에 가깝도록 설치되는 구성으로 매설된 관의 위치정보를 정확히 제공하여 작업 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정 주파수에 반응하는 주파수 반응체를 위치감지 식별부 내에 삽입하여 다양한 목적으로 매설되는 관을 주파수 별로 쉽게 알 수 있도록 하여 관리주체와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하고, 이로 인하여 작업환경을 개선할 수 있으므로 지중매설물의 관리주체와 건설현장 및 다양한 영역의 산업분야 증진에 기여하는데에 적용할 수 있다.
1 : 지중매설물 위치감지 식별장치
100 : 위치감지 식별부 110 : 상부덮개
120 : 고정받침부 130 : 주파수 반응체
140 : 보호관 150 : 돌출걸림부
160 : 마감부재 160a : 중심홀
160b: 고정홀 160c : 끼움결합부
200 : 밴드형 고정유닛 210 : 삽입부
220 : 조임부 300 : 지중매설물
400 : 선행 기술의 지하시설물 위치 식별장치

Claims (4)

  1. 지중매설물의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지중매설물 위치감지 식별장치(1)에 있어서,
    상단부는 상부덮개(110),
    하단부는 고정받침부(120)로 이루어지고, 내부는 일부 중공으로 이루어지되, 내부 상부에는 돌출걸림부(150)가 형성되어 특정 주파수에 반응하는 마그네틱 끈 또는 금속 재질의 주파수 반응체(130)가 내삽되어 내삽된 주파수 반응체(130)가 지표면에 가까워질 수 있도록 일정길이로 이루어진 보호관(140)이 상기 고정받침부(120)의 상면 수직으로 형성되는 위치감지 식별부(100);와
    상기 돌출걸림부(150)와 결합되고 주파수 반응체(130)의 특성에 따라 주파수 반응체(130)를 위치감지 식별부(100)의 보호관(140) 내부 상측에 위치할 수 있도록 주파수 반응체(130)를 고정할 수 있는 중심홀(160a)과 고정홀(160b)이 구비되고 상기 보호관(140) 상부에 구성된 돌출걸림부(150)에 끼워맞춤이 가능하도록 끼움결합부(160c)가 형성된 마감부재(160); 및
    상기 위치감지 식별부(100)와 결합할 수 있도록 관통된 홀이 형성된 삽입부(210),
    종단부끼리 체결하여 지중매설물의 직경에 맞게 고정되도록 하는 조임부(220)로 형성된 밴드형 고정유닛(200);으로 구성되되,
    상기 상부덮개(110)와 마감부재(160)는 보호관(140)으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한 결합방식으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받침부(120)는 일정면적으로 이루어진 다각형 또는 원형 또는 십자모양으로 형성되어 지중매설물의 외주연에 밀착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위치감지 식별부(100)가 지중매설물과 함께 매설될 때, 뉘어지거나 밴드형 고정유닛(20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지표면 수직방향으로 최대한 곧게 고정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매설물 위치감지 식별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50094616A 2015-07-02 2015-07-02 지중매설물 위치감지 식별장치 KR1017417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4616A KR101741782B1 (ko) 2015-07-02 2015-07-02 지중매설물 위치감지 식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4616A KR101741782B1 (ko) 2015-07-02 2015-07-02 지중매설물 위치감지 식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4358A KR20170004358A (ko) 2017-01-11
KR101741782B1 true KR101741782B1 (ko) 2017-05-31

Family

ID=57832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4616A KR101741782B1 (ko) 2015-07-02 2015-07-02 지중매설물 위치감지 식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17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4589Y1 (ko) * 2019-11-08 2021-11-09 주식회사 셈즈 매설관로 표시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2327B1 (ko) 2005-09-28 2006-02-24 주식회사동일기술공사 토목공사용 지중 구조물의 위치를 측량하는 측점 표시봉의설치 구조
JP4050175B2 (ja) * 2003-04-04 2008-02-20 株式会社リプロ 位置標示器
KR101435997B1 (ko) * 2014-01-16 2014-11-04 조선남 매설위치 및 관로정보의 확인이 가능한 매설배관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2944B1 (ko) 2009-07-07 2012-08-10 (주)희민테크코리아 Rfid 와 자성체를 이용한 지하시설물 위치 식별자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50175B2 (ja) * 2003-04-04 2008-02-20 株式会社リプロ 位置標示器
KR100552327B1 (ko) 2005-09-28 2006-02-24 주식회사동일기술공사 토목공사용 지중 구조물의 위치를 측량하는 측점 표시봉의설치 구조
KR101435997B1 (ko) * 2014-01-16 2014-11-04 조선남 매설위치 및 관로정보의 확인이 가능한 매설배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4358A (ko) 2017-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5997B1 (ko) 매설위치 및 관로정보의 확인이 가능한 매설배관
KR100908137B1 (ko) 배관재 연결부 감지장치
US20080190509A1 (en) End cap assembly
KR101562625B1 (ko) 지하매설관 특정위치 탐지시스템 및 방법
KR20090068191A (ko) 배관재 연결부 감지장치
US10502652B2 (en) System for monitoring pipeline leakage, pipeline element provided with the system, and method for mounting the monitoring system onto a pipeline
KR101741782B1 (ko) 지중매설물 위치감지 식별장치
KR20160080354A (ko) 맨홀 내부 무선 통신 장치
KR101598760B1 (ko) 위치 탐지 수단을 내장한 지중관로 스페이서
US8400156B2 (en) Installation of service tee marker fixture having disk marker and concentric attachment sleeve
KR100869052B1 (ko) 배관재의 누수와 파손 감지 및 관로 위치 확인이 용이한 감지관
KR100770154B1 (ko) 관로탐사선을 구비한 합성수지관
KR101567748B1 (ko) 매설위치 탐지가 용이한 지중 매설관
KR101397909B1 (ko) Rfid발전모듈을 갖는 상하수도관
KR101363371B1 (ko) 지중 관로 매설위치 및 깊이 표시장치
KR20080047714A (ko) 전자태그가 설치된 관체
US20190219624A1 (en) Buried gas pipeline multi-measurement device
KR100983103B1 (ko) 관로 확인용 자기마크 고정장치
CN204114445U (zh) 地下管线定位装置
CN112735254A (zh) 示踪线标识装置
US9466958B2 (en) Conduit end with demarcation
KR20200039968A (ko) 지중 선로 보호장치
GB2377584A (en) Position recording and relocation of buried installations
US20140247051A1 (en) Service tee marker fixture
US20070040375A1 (en) Locating appliance for a non-metallic piping memb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1050;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0224

Effective date: 20170322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