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7909B1 - Rfid발전모듈을 갖는 상하수도관 - Google Patents

Rfid발전모듈을 갖는 상하수도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7909B1
KR101397909B1 KR1020130157089A KR20130157089A KR101397909B1 KR 101397909 B1 KR101397909 B1 KR 101397909B1 KR 1020130157089 A KR1020130157089 A KR 1020130157089A KR 20130157089 A KR20130157089 A KR 20130157089A KR 101397909 B1 KR101397909 B1 KR 1013979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pipe
stepped groove
drainage pipe
rf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7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거희
정재원
정한기
박점옥
조규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뉴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뉴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뉴보텍
Priority to KR10201301570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79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79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79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00Laying or reclaiming pipes; Repairing or join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024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land, e.g. above the ground
    • F16L1/06Accessories therefor, e.g. anchors
    • F16L1/11Accessories therefor, e.g. anchors for the detection or protection of pipes in the grou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7/00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 F16L17/02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outer surface of pipe and inner surface of sleeve or socket
    • F16L17/025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outer surface of pipe and inner surface of sleeve or socket the sealing rings having radially directed rib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Abstract

본 발명은 RFID발전모듈을 갖는 상하수도관에 관한 것으로서, 상수도용 또는 하수도용의 중공 몸체를 갖는 관체부; 상기 관체부의 일측 끝 부분에서 상기 관체부보다 직경이 크게 확관된 편각허용부; 상기 편각허용부보다 직경이 크게 상기 편각허용부에 연결되고, 다단으로 확장된 단차홈부; 상기 단차홈부에 연결되고, 벨(bell) 형상으로 확장된 끝단부; 상기 단차홈부에 장착되고, 수밀링 전방 위치에 경사면을 갖는 수밀링; 및 상기 관체부, 상기 편각허용부, 상기 단차홈부, 상기 끝단부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고, 상하수도관 정보를 기록 또는 저장하고 있는 RFID발전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RFID발전모듈을 갖는 상하수도관{WATER PIPES HAVING RFID ENERGY HARVESTING MODULE}
본 발명은 상수도 또는 하수도의 관로를 형성하고, 상하수도관에 대한 정보를 외부 관리시스템 쪽으로 제공할 수 있는 RFID발전모듈을 갖는 상하수도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하수도용 관종은 상수도용과 하수도용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수도용 관종은 닥타일주철관, 도복장 강관, 스테인리스강관, 에폭시수지분체 내외면 코팅강관, 폴리에틸렌 분체라이닝 강관, 원심력 철근 콘크리트관(흄관), 경질염화비닐 또는 폴리에틸렌 재질의 합성수지관 등이 있다.
하수도용 관종도 철근콘크리트관, 제품화된 철근콘크리트 직사각형 관거, 도관, 경질염화비닐관, 현장타설철근콘크리트관, 강화플라스틱복합관, 폴리에틸렌(PE)관, 닥타일주철관, 파형관 등이 있다.
특히 합성수지관은 가볍고 시공성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고, 시공방법 및 재질상 파열과 처짐 등의 한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합성수지관관의 제조업체가 제시한 시공순서 및 방법에 따라 신중히 시공하여야 한다.
예컨대, 경질염화비닐관의 경우, 합성수지관은 소켓접합, 고무링에 의한 결합, 접착제 중 어느 하나에 의한 결합 방법을 이용하여 배관 라인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합성수지관은 편수관 형태와 같이 관의 일측에 일체형으로 확관부(예: 슬리브부)를 형성하고 있고, 타측에 직관부를 형성하고 있다.
특히, 고무링을 이용한 결합 방법의 경우, 제조업체가 제시한 시공순서 또는 방법이 고려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작업자는 현장 작업 여건 또는 작업자의 경험에 의존하여, 일측 합성수지관의 직관부의 끝단을 타측 합성수지관의 확관부에 단순히 끼워 시공하는 경우가 많다.
이런 경우, 확관부의 내부에 위치한 링형상의 패킹, 즉 고무링이 삽입되어 들어오는 합성수지관의 직관부의 끝단과 접촉하면서, 고무링이 있던 위치로부터 이탈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런 경우, 고무링이 정상적으로 수밀을 유지할 수 없게 되어서, 오시공 또는 누수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발명의 배경이 되는 종래 기술에서는 단순히 고유 식별 아이디를 포함하고 있는 RFID 태그로부터 RFID 신호를 수신받아 지하시설물에 관한 정보를 관리하는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되어 있을 뿐, RFID 신호 수신율을 높일 수 있는 수단이 부재되어 있다.
또한, 발명의 배경이 되는 다른 종래 기술에서는 확관부의 내표면 일부에 고무링 설치용 홈부를 형성하고, 그 홈부에 고무링이 끼워져 있을 뿐, 채결하려는 합성수지관의 직관부의 끝단을 고무링의 내측 공간쪽으로 가이드하는 수단이 부재되어 있음에 따라, 역시 고무링이 밀리듯이 원래 위치에서 이탈되거나, 부분적으로 변형 또는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의 합성수지관의 확관부는 일반적인 합성수지관의 직관부의 끝단을 2차 확관 가공을 통해서 형성한 연유로 인하여, 상기 확관부의 두께가 상기 직관부의 두께보다 얇거나 동일하지 않음으로써, 확관부 손상이나 장기 내수형에 대응하기 어렵게 되어 있다.
특히, 고무링과 확관부의 설치 위치의 홈부 형상이 이론상 서로 형합될 수 있어야 하나, 실제로는 고무링과 항기 확관부의 설치 위치의 홈부 형상이 서로 기밀하게 접촉할 수 있을 정도로 정밀하게 제작되기 매우 어렵거나, 서로 대응되는 곡면끼리 곡면 기울기를 일치시키기 매우 어렵고, 고무링과 확관부의 접촉 시작 지점에 단턱 또는 틈새가 발생되어서, 그 단턱 또는 틈새가 걸림턱으로 작용될 수도 있으며, 또한, 현장 작업 또는 시공 여건 상, 일측 합성수지관이 타측 합성수지관의 중심에 정확하게 일치되어 삽입되지 못하기 때문에, 더더욱 일측 합성수지관의 직관부의 끝단이 타측 합성수지관의 확관부에 삽입되어 들어올 때, 상기 고무링이 상기 홈부에서 밀리거나 이탈되는 현상이 발생되는 상황이다.
또한, 밀림 자체를 방지하기 위하여 직관부의 내부에 요철을 형성하거나, 고무링 자체를 합성수지관에 일체형으로 성형하더라도, 삽입되어 들어오는 일측 합성수지관의 직관부의 끝단이 시공 작업 현장의 바닥에 부딪쳐서 날카로운 부위를 갖게 될 수 있고,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타측 합성수지관의 확관부의 고무링의 내측 공간쪽으로 가이드할 수 있는 수단이 부재되어 있는 경우, 여전히 상기 끝단과 상기 고무링이 서로 직접 접촉할 수 있고, 고무링의 이탈 또는 파손 문제에 자유로울 수 없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종래 기술의 일측 합성수지관과 타측 합성수지관이 결합 상태에서는 지반 침하시 허용 처짐각, 즉 편각이 발생될 수 있다.
여기서, 편각은 일측 합성수지관의 관 중심 라인과 타측 합성수지관의 관 중심 라인 사이의 각도를 의미할 수 있다.
이렇게 상기 편각을 허용할 수 없는 상태로 합성수지관들이 서로 연결되고, 특히, 고무링 또는 고무링용 홈부의 형상이 상기 편각을 고려하지 않은 상태로 제작되어 있음에 따라, 지반 침하로 인해 일측 합성수지관의 확관부의 홈부에 결합된 고무링의 림(rim) 부위가 타측 합성수지관에 의해 과도하게 눌려지고, 이에 따라 응력이 과도하게 발생될 수 있다. 이런 경우, 고무링의 수명이 단축될 수 있고, 지반의 형상 변화를 추종할 수 없어서, 안전성 높은 관로의 구축이 불가능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612700호(2006.08.08) 한국등록특허 제10-1197629호(2012.10.30)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상하수도관을 흐르는 유체로부터 발생되는 진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고, 변환된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서, 상하수도관 정보 등을 포함한 RFID 신호의 출력을 높여서 신뢰성 있게 외부 관리시스템 쪽으로 전송할 수 있는 RFID발전모듈을 갖는 상하수도관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삽입가이드부를 구비하여, 상하수도관의 결합시 수밀링의 밀림을 방지할 수 있는 RFID발전모듈을 갖는 상하수도관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수도용 또는 하수도용의 중공 몸체를 갖는 관체부; 상기 관체부의 일측 끝 부분에서 상기 관체부보다 직경이 크게 확관된 편각허용부; 상기 편각허용부보다 직경이 크게 상기 편각허용부에 연결되고, 다단으로 확장된 단차홈부; 상기 단차홈부에 연결되고, 벨(bell) 형상으로 확장된 끝단부; 상기 단차홈부에 장착되고, 수밀링 전방 위치에 경사면을 갖는 수밀링; 및 상기 관체부, 상기 편각허용부, 상기 단차홈부, 상기 끝단부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고, 상하수도관 정보를 기록 또는 저장하고 있는 RFID발전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발전모듈을 갖는 상하수도관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RFID발전모듈은, 상기 상하수도관의 관벽 내부, 혹은 관벽의 외표면 또는 내표면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 구비된 패치(patch)형 또는 판형의 패키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RFID발전모듈은, 상기 패키징에 구비되어서 일측 상하수도관에 위치하고, 상기 일측 상하수도관에 배관시키려는 타측 상하수도관의 영구자석의 자력을 센싱하는 홀센서; 상기 홀센서에 전기 회로적으로 결합되고, 칩셋 식별자 정보, 상하수도관 제품 정보, 배관 위치 정보, 배관 시공 날짜 정보, 영구자석 감지정보를 포함한 상기 상하수도관 정보를 기록 또는 저장하고 외부 관리시스템과 통신하는 칩셋; 상기 칩셋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패키징에 결합된 안테나; 상기 칩셋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배터리; 상기 배터리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원관리부; 및 상기 전원관리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상하수도관에서 발생되는 진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압전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관리부는, 상기 RFID발전모듈의 패키징 내부에 형성된 회로라인을 통해서 상기 압전소자의 초기 교류 전원을 미리 정한 크기의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배터리에 저장시키는 충전회로; 및 상기 배터리에 저장된 직류 전원 또는 초기 교류 전원 중 하나를 상기 칩셋 또는 상기 홀센서의 작동 전원으로 변환하여 공급하는 전원조정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수도용 또는 하수도용의 중공 몸체를 갖는 관체부; 상기 관체부의 일측 끝 부분에서 상기 관체부보다 직경이 크게 확관된 편각허용부; 상기 편각허용부보다 직경이 크게 상기 편각허용부에 연결되고, 다단으로 확장된 단차홈부; 상기 단차홈부에 연결되고, 벨(bell) 형상으로 확장된 끝단부; 상기 단차홈부에 장착되고, 수밀링 전방 위치에 경사면을 갖는 수밀링; 상기 관체부, 상기 편각허용부, 상기 단차홈부, 상기 끝단부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고, 상하수도관 정보를 기록 또는 저장하고 있는 RFID발전모듈; 및 상기 수밀링의 상기 경사면 및 상기 경사면 전방의 걸림턱을 덮을 수 있도록 상기 끝단부에 결합된 삽입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발전모듈을 갖는 상하수도관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밀링은, 상기 관체부의 중심 쪽으로 상기 끝단부의 내주면보다 돌출된 상기 경사면; 상기 단차홈부의 내표면 형상에 대응하게 형성된 링외표면; 상기 링외표면의 후방에 형성된 복수개의 림(rim); 및 상기 림에서 상기 경사면쪽으로 수평하게 연장되고, 복수개의 수밀돌기를 갖고, 상기 경사면에 연결된 링내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가이드부는 상기 끝단부에 끼워질 수 있도록 링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가이드부는, 상기 수밀링의 상기 경사면을 덮는 가이드경사부; 상기 가이드경사부에 일체형으로 연결되고 튜브 형상을 갖는 연장부; 상기 끝단부의 전방 테두리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연장부에서 바깥쪽으로 절곡된 지지부; 및 상기 끝단부의 외표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지지부에서 상기 가이드경사부쪽으로 절곡된 결속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속부는 상기 지지부의 내측면과 상기 결속부의 내표면 사이에 예각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속부는 상기 상하수도관의 상기 끝단부의 외표면 쪽으로 돌출된 고정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가이드부는 상기 수밀링의 재질보다 마찰력 발생이 적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RFID발전모듈을 갖는 상하수도관에 의하면, 패치 또는 얇은 판 형태의 압전소자에서 상하수도관의 진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여 축전지에 저장하고, 상기 축전지의 전력을 이용하여 고출력의 RFID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 RFID발전모듈이 상하수도관에 장착되어 있음에 따라, 지중 매설로 인해 자칫 RFID 신호가 미약하여 수신율이 떨어질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일측 상하수도관의 RFID발전모듈에는 홀센서가 더 구비되고, 상기 홀센서에 의해 감지될 수 있는 영구자석이 상기 일측 상하수도관 배관용 타측 상하수도관의 관체부의 끝단에 구비되어 있음에 따라, 일측 상하수도관과 타측 상하수도관의 배관 결합 상태에 상응한 영구자석 감지정보가 상기 RFID 신호 내에 포함되어서 외부 관리시스템에 전달됨으로써, 상기 외부 관리시스템에서 상하수도관의 배관 상태까지도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RFID발전모듈을 갖는 상하수도관에 의하면, 상하수도관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관체부와, 관체부보다 직경이 크게 확관된 편각허용부와, 편각허용부보다 직경이 크고 수밀링이 장착되는 단차홈부와, 단차홈부로부터 상하수도관의 끝단까지 벨(bell) 형상으로 확장된 끝단부를 제공하여, 지반 침하시 허용 처짐각, 즉 편각을 허용할 수 있고, 지반 침하로 인하여 수밀링에 국부적으로 과도한 응력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RFID발전모듈을 갖는 상하수도관은 끝단부에 끼워져 결합 또는 지지될 수 있는 삽입가이드부를 제공하여서, 그 삽입가이드부의 가이드경사부에 의해 끝단부의 내주면 및 수밀링의 경사면을 덮어서, 수밀링의 경사면 끝단과 단차홈부의 내표면 시작 지점에 형성된 걸림턱을 덮음으로써, 일측 상하수도관과 타측 상하수도관의 삽입 결합을 가이드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수밀링이 단차홈부로부터 국부적으로 또는 완전 이탈 또는 밀려서 분리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특히, 삽입가이드부의 표면이 금속성 표면으로서 매끈한 표면을 제공함에 따라, 타측 상하수도관의 끝단과의 접촉시 마찰력을 줄여서, 일측 상하수도관을 타측 상하수도관에 신속하고 원활하게 체결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RFID발전모듈을 갖는 상하수도관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상하수도관에 구비된 RFID발전모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상하수도관들의 결합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RFID발전모듈을 갖는 상하수도관의 분리 사시도.
도 5는 도 4에 삽입가이드부의 확대 단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삽입가이드부가 상하수도관에 결합된 단면도.
도 7 내지 도 9는 삽입가이드부를 갖는 상하수도관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응용예에 따른 RFID발전모듈을 갖는 상하수도관에 사용된 삽입가이드부의 확대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 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RFID발전모듈을 갖는 상하수도관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 1 실시예에 따른 상하수도관은 합성수지관 등을 지칭할 수 있지만, 금속 또는 비금속 재질의 관체일 수 있고, 단순히 합성수지관으로만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설명의 용이성을 위해서, 본 실시예는 합성수지관과 같은 관체 또는 튜브, 또는 편수관을 기준으로 설명될 수 있다.
예컨대, 본 실시예에 따른 상하수도관은 합성수지 원료를 공급하여 용융에 의해 압출하여 성형될 수 있고, 확관 과정을 통해서 하기에서 설명할 구성부를 가질 수 있으며, 용도에 따라 상수도용, 하수도용 등으로 사용될 수 있고, 단일층 또는 이층 혹은 상층으로 성형될 수도 있고, 사이즈별로 수십 미리에서 수백미리의 직경이나 관체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상하수도관은 수십년의 내구년한을 갖는 고성능 내충격성 공중합 복합폴리머관 또는 경질폴리염화비닐관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일측 상하수도관과 타측 상하수도관이 서로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본 실시예에 따른 일측 상하수도관은 상수도용 또는 하수도용 편수관, 또는 이중벽편수관 혹은 다중벽편수관 등에 해당하는 상하수도관일 수 있으므로, 특정 제품 또는 재질의 상수도관 또는 하수도관으로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하수도관은 상수도용 또는 하수도용의 파이프 혹은 튜브 형태의 중공 몸체를 갖는 관체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관체부(100)는 상하수도관의 직관부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하수도관은 일체형으로 압출되고, 직경을 확장시킨 편각허용부(200), 단차홈부(300), 끝단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편각허용부(200), 단차홈부(300), 끝단부(400)는 관체부(100)의 일측 부분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하수도관의 확관부 또는 슬리브부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상하수도관의 확관부 또는 슬리브부는 타측 상하수도관의 관체부(100a)가 끼워져서 결합되는 부분일 수 있다.
또한, 편각허용부(200)는 관체부(100)의 일측 끝 부분에서 관체부(100)보다 직경이 크게 확관되어 있을 수 있다.
편각허용부(200)는 일측 상하수도관과 타측 상하수도관이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지반 침하로 인하여 타측 상하수도관의 관체부(100a)가 일측 상하수도관을 기준으로 휘어질 수 있는 상태가 될 때, 타측 상하수도관의 관체부(100a)의 끝단 부위를 벤딩(곡면) 상태로 만들지 않고, 미리 정한 편각(예: 허용 처짐각) 범위 4 ~ 5ㅀ내에서 꺾인 직선 상태를 유지케 함으로써, 지반의 형상 변화를 추종하면서, 곡응력을 완화시킬 수 있고, 안정성 높은 관로를 구축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또한, 단차홈부(300)는 상대적으로 두껍은 부분에 해당하는 수밀링(500)의 링헤드부(510)와, 상기 링헤드부(510)의 후방에 일체형으로 다겹 구조를 이루도록 형성된 복수개의 림(520, 530)(rim)의 형상에 대응하게 형성되어서, 수밀링(500)을 안착 및 결합시키기 위한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단차홈부(300)는 상기 편각허용부(200)보다 직경이 크게 상기 편각허용부(200)에 연결되고, 다단으로 확장 또는 축소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단차홈부(300)는 수밀링(500)의 상부쪽 림(520)이 링헤드부(510) 쪽으로 연결되는 경사부위(521)(도 6 참조)를 단차홈부(300)의 단차부위(301)에 의해 지지함으로써, 수밀링(500)의 밀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단차홈부(300)의 수밀링(500)의 링헤드부(510)에 밀착되도록, 단차홈부(300)의 전방쪽의 직경이 점차적으로 줄어들도록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끝단부(400)는 상기 단차홈부(300)에 연결되고, 벨(bell) 형상으로 확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끝단부(400)의 전방 테두리면의 내경 또는 외경은, 끝단부(400)와 상기 단차홈부(300)간 연결 지점의 내경 또는 외경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벨 형상이 상기 끝단부(400)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끝단부(400), 단차홈부(300), 편각허용부(200)는 관체부(100)를 형성하는 1차 가공 공정 이후, 상기 관체부(100)의 일측 부분을 확관, 굴곡 및 후육하는 2차 가공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이때, 끝단부(400), 단차홈부(300), 편각허용부(200)가 각각 상기 관체부(100)와 동일한 벽 두께를 가질 수 있도록 후육시키면서 상기 2차 가공 공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렇게 상기 끝단부(400), 상기 단차홈부(300), 상기 편각허용부(200) 및 상기 관체부(100)는 모두 동일한 벽 두께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파손에 강할 뿐만 아니라, 장기 내후성이 뛰어날 수 있다.
특히, 상기 2차 가공 공정 도중에 하기에 상세히 후술할 RFID발전모듈(700)이 상하수도관의 관벽(pipe wall) 내부, 혹은 관벽의 외표면 또는 내표면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RFID발전모듈(700)은 편각허용부(200)의 관벽 내부에 구비될 수 있으나, 이 외에, 단차홈부(300), 끝단부(400) 등과 같이 상하수도관의 다른 위치에도 구비될 수 있으므로, RFID발전모듈(700)의 구비 위치는 편각허용부(200)만으로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상하수도관에 구비된 RFID발전모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일측 상하수도관 또는 타측 상하수도관의 관체부(100, 100a)의 관벽 내부, 혹은 관벽의 외표면 또는 내표면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도 3차 가공 공정을 통해 영구자석(800a)(도 2의 영구자석 도면부호 800)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영구자석(800a)은 RFID발전모듈(700)에 구비된 홀센서(710)에 의해 센싱될 수 있는 식별수단일 수 있다.
수밀링(500)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단차홈부(300)의 내표면을 기반으로 끼워지거나 또는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으로서, 미리 정한 두께를 갖고 수밀링 전방 위치에 경사면(511)을 갖는 링헤드부(510)와, 상기 링헤드부(510)의 후방에 일체형으로 다겹 구조를 이루는 복수개의 림(520, 5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수밀링(500)은 고무링, 패킹, 오링 등으로 호칭될 수 있다.
RFID발전모듈(700)은 상하수도관의 관벽(pipe wall) 내부, 혹은 관벽의 외표면 또는 내표면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 구비된 패치(patch)형 또는 판형의 패키징(701)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패키징(701)은 고온, 고압에 견딜 수 있고, 전파 수신율이 높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성형되어 있을 수 있고, 하기에 설명할 RFID발전모듈(700)용 구성품을 감싸서 보호하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RFID발전모듈(700)이 패치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스티커 등과 같은 구조로 상하수도관의 관벽의 외표면 또는 내표면에 접착될 수 있다.
RFID발전모듈(700)이 판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언급한 상하수도관의 후육 고정을 통해서 상하수도관의 관벽 내부에 일체형으로 합체 성형될 수 있다.
또한, RFID발전모듈(700)은 일측 상하수도관의 상기 패키징(701)에 구비되고, 배관하려는 타측 상하수도관의 대응 위치의 영구자석(800a)의 자력을 센싱하는 홀센서(710)와, 상기 홀센서에 전기 회로적으로 결합되고, 칩셋 식별자 정보, 상하수도관 제품 정보, 배관 위치 정보, 배관 시공 날짜 정보, 영구자석 감지정보 등과 같은 상하수도관 정보를 기록 또는 저장하고 외부 관리시스템과 통신하는 칩셋(72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RFID발전모듈(700)은 상기 칩셋(7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패키징에 결합된 안테나(730)와, 상기 칩셋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박판형 배터리(740)와, 상기 배터리(7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원관리부(750)와, 상기 전원관리부(75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하수도관에서 발생되는 진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박판형 압전소자(760)를 포함할 수 있다.
칩셋(720)은 배터리(740)의 작동 전원을 이용하여 출력이 높은 능동형 RFID 태그 칩셋이거나, 또는 배터리(740)의 작동 전원이 미약하거나 없는 경우에도 최소 작동이 가능한 수동형 RFID 태그 칩셋일 수 있고, RFID 통신 규격에 준하는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을 수 있다.
압전소자(760)는 상하수도관을 흐르는 유체의 유동에 의한 진동, 지중, 건물, 도로 등에서 발생되는 외부 진동을 이용하여 전기를 발전하는 발전 수단을 의미할 수 있다.
전원관리부(750)는 RFID발전모듈(700)의 패키징(701) 내부에 형성된 회로라인을 통해서 압전소자(760)의 초기 교류 전원을 미리 정한 크기의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배터리(740)에 저장시키는 충전회로(recharging circuit)와, 배터리(740)에 저장된 직류 전원 또는 초기 교류 전원 중 하나를 칩셋(720) 또는 홀센서(710)의 작동 전원으로 변환하여 공급하는 전원조정회로(power-conditioning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상하수도관의 결합 관계 및 RFID발전모듈이 작동 관계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상하수도관들의 결합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작업자는 통상적인 배관 공사를 통해서 일측 상하수도관과 타측 상하수도관을 서로 관통하게 연결할 수 있다.
이 경우, 수밀링(500)이 일측 상하수도관과 타측 상하수도관의 수밀을 유지시킬 수 있다.
이런 경우, 일측 상하수도관의 편각허용부(200) 쪽에 구비된 RFID발전모듈(700)과 타측 상하수도관의 관체부(100a)의 영구자석(800a)은 수직방향으로 이격된 상태로 위치될 수 있고, RFID발전모듈(700)의 홀센서가 상기 영구자석(800a)의 자력을 센싱할 수 있다(예: 자력 센싱시 정상적인 배관 상태로 체크 가능함). 이렇게 감지가 이루어지는 경우, 영구자석 감지정보(예: 영구자석 감지 유무에 따라 정상 배관 상태인지 또는 비정상 배관 상태인지 판단하기 위한 정보)가 RFID발전모듈(700)의 칩셋에 입력 및 저장될 수 있다.
RFID발전모듈(700)의 홀센서는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하여, 미리 정한 시간 또는 날짜 간격마다 영구자석의 유무를 체크하고, 체크 결과를 영구자석 감지정보로서 칩셋에 입력 시킬 수 있다. 만일 RFID발전모듈(700)의 홀센서가 영구자석(800a)을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 일측 상하수도관과 타측 상하수도관이 서로 분리된 상태로서 외부 관리시스템(미 도시)에 파악될 수 있다.
특히, 외부 관리시스템(미 도시)은 RFID 라이터 및 리더 및 정보 관리 수단을 갖는 것으로서, 배관 시공이 끝난 상하수도관에 대하여, 해당 상하수도관의 RFID발전모듈(700)의 칩셋과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외부 관리시스템은 RFID발전모듈(700)의 칩셋 식별자 정보를 인식할 수 있고, RFID발전모듈(700)의 칩셋에 상하수도관 제품 정보, 배관 위치 정보, 배관 시공 날짜 정보를 기록 또는 저장할 수 있다.
이후, 유지 보수, 관리, 교체, 배관 연결 이상 유무 파악이 필요한 경우, 외부 관리시스템은 RFID발전모듈(700)과 통신하여, RFID발전모듈(700)의 칩셋에 기록 또는 저장된 상하수도관 정보(예: 제품 정보, 배관 위치 정보, 배관 시공 날짜 정보, 영구자석 감지정보)를 획득함에 따라, 지중 매설된 상하수도관의 수명년한 관리, 배관 상태 양호 체크 등의 관리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제 2 실시예
이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RFID발전모듈을 갖는 상하수도관은 삽입가이드부를 더 포함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 2 실시예와 동일하다. 그러하므로, 도 1 내지 도 10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도면부호가 부여될 것이며, 이것들에 대한 설명은 여기에서 생략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RFID발전모듈을 갖는 상하수도관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 2 실시예 따른 상하수도관에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상하수도관의 직관부에 해당하는 관체부(100)로부터 편각허용부(200), 단차홈부(300) 및 끝단부(400)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특히, 삽입가이드부(600)는 배관 작업 도중에 수밀링(500)이 RFID발전모듈(700)의 아래쪽 부위로 밀려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삽입가이드부(600)는 조립형으로서 끝단부(400)에 결합된 것일 수 있으나, 삽입가이드부(600)의 재질이 마찰력이 적은 테프론 재질이고, 이중 사출 등을 통해서 일체형으로 끝단부(400)에 형성될 수 도 있다.
만일, 수밀링(500)이 오작업 또는 실수에 의해서 정위치인 단차홈부(300)에 있지 않고, 편각허용부(200) 쪽으로 밀려 이동됨에 따라, RFID발전모듈(700)과 영구자석(800a)의 사이의 틈에 개재되거나 부분적으로 낀 상태가 될 경우, 영구자석(800a)의 자력의 전도율에 변화가 발생되어서, RFID발전모듈(700)의 홀센서 쪽으로 원활하게 센싱이 되지 않는 바와 같이, 신뢰성 있는 센싱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는 홀센서 센싱상의 문제점을 야기시킬 수 있다.
그러나, 제 2 실시예에서는 삽입가이드부(600)에 의해서 수밀링(500)의 밀림 또는 이탈을 원천적으로 방지함으로써, 상기 홀센서 센싱상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즉, 삽입가이드부(600)는 타측 상하수도관의 관체부(100a)의 끝단이 일측 상하수도관 쪽으로 원활하게 삽입되게 가이드하여 수밀링(500)의 밀림을 방지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서, 상기 수밀링(500)의 상기 경사면(511) 및 상기 경사면 전방의 틈새 또는 걸림턱(도 6의 도면부호 90 참조)을 덮을 수 있도록 상기 끝단부(400)에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삽입가이드부(600)는 부분적으로 절곡된 형상의 부싱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5는 도 4에 삽입가이드부의 확대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삽입가이드부가 상하수도관에 결합된 단면도이다.
도 6을 먼저 참조하면, 수밀링(500)은 관체부(100)의 중심(CL) 쪽으로 상기 끝단부(400)의 내주면보다 돌출된 경사면(511)을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여기서, 경사면(511)은 수밀링(500)의 링헤드부(510)의 전방 아래쪽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수밀링(500)은 수밀링(500)의 경사면(511) 끝단으로부터 상부쪽 림(520) 쪽으로 연장되면서, 상기 단차홈부(300)의 내표면 형상에 대응하게 형성된 링외표면(51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수밀링(500)은 상기 링외표면(512)의 후방에 형성된 복수개의 림(520, 53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림(520, 530)은 상기 단차홈부(300)의 내표면에 밀착 및 지지되는 상부쪽 림(520)과, 상부쪽 림(520)의 아래에 이격 배치되고 수밀을 유지하는 하부쪽 림(530)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어 전체적으로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수밀링(500)은 상기 림(520, 530), 즉 더욱 상세하게, 상기 하부쪽 림(530)에서 상기 경사면(511)쪽으로 수평하게 연장되고, 복수개의 수밀돌기(550)를 갖고, 상기 경사면(511)에 연결된 링내표면(540)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수밀링(500)은 일측 상하수도관과 별개로 제작되어 조립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런 수밀링(500)의 경사면(511) 끝단은 수밀링(500)의 링헤드부(510)의 위쪽 부위(513)와 함께 뾰족한 형상을 이루고 있다.
따라서, 일정 곡률을 갖도록 일체로 확관되는 단차홈부(300)의 시작 위치, 즉 일측 상하수도관의 끝단부(400)와 단차홈부(300)가 자연스럽게 연결되는 곡면 형상의 부위, 즉 단차홈부(300)의 내표면 시작 지점에는 수밀링(500)의 경사면(511) 끝단이 위치하고 있음에 따라 틈새 또는 걸림턱(90)이 형성된다.
삽입가이드부(600)는 일측 상하수도관의 끝단부(400)에 끼워질 수 있도록 링형상을 갖는 것으로서, 수밀링(500)의 경사면(511) 끝단과 단차홈부(300)의 내표면 시작 지점에 형성된 걸림턱(90)을 덮을 수 있다.
즉, 삽입가이드부(600)는 수밀링(500)의 경사면(511)을 대신하여 도 4에 도시된 타측 상하수도관의 관체부(100a)의 끝단과 접촉함으로써, 타측 상하수도관의 관체부(100a)의 삽입을 가이드하거나, 베어링으로서 접촉에 의한 마찰력을 줄여주거나, 수밀링(500)의 표면 파손을 방지하는 다목적인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만일, 타측 상하수도관의 관체부(100a)의 끝단이 직접 수밀링(500)의 경사면(511)에 접촉할 경우, 수밀링(500) 자체가 고무재질로서 마찰력이 매우 크기 때문에, 상하수도관 설치 현장 상황이나 작업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일측 상하수도관과 타측 상하수도관의 중심이 서로 일치되지 않는 삽입 방향을 따라 관 체결이 이루어질 경우에는 관체부(100a)의 끝단의 삽입 과정 자체가 수밀링(500)을 밀어 내거나 이탈시킬 수 있게 된다.
이를 방지하면서, 위에 언급한 다목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삽입가이드부(600)의 상세 구성은 도 5를 통해서 상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삽입가이드부(600)는 도 4에 도시된 수밀링(500)의 상기 경사면(511)을 덮는 가이드경사부(610)와, 상기 경사면(511)의 경사 각도에 대응하게 절곡된 상태로서, 상기 가이드경사부(610)에 일체형으로 연결되고, 튜브 형상을 갖는 연장부(6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연장부(620)의 연장 길이는 상기 일측 상하수도관의 끝단부(400)의 돌출 길이에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연장부(620)의 외주면은 끝단부(400)의 내주면 또는 내표면에 밀착 또는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삽입가이드부(600)는 도 4에 도시된 상기 일측 상하수도관의 끝단부(400)의 전방 테두리면(401)에 밀착되도록, 상기 연장부(620)에서 바깥쪽으로 절곡된 지지부(630)와, 상기 끝단부(400)의 외표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지지부(630)에서 상기 가이드경사부(610)쪽으로 절곡된 결속부(6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삽입가이드부(600)는 가이드경사부(610), 연장부(620), 지지부(630) 및 결속부(640)를 일체형으로 형성하도록 얇은 판재의 절곡 가공에 의해 제작될 수 있고, 상하수도관의 표면 마찰력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매끄러운 표면을 가질 수 있다.
특히, 결속부(640)는 지지부(630)와 연결된 지점을 기준으로, 상기 지지부(630)의 내측면과 상기 결속부(640)의 내표면 사이에 예각(Q)을 형성하고 있을 수 있다.
이런 경우, 억지끼움 결합에 의해서, 결속부(640), 지지부(630) 및 연장부(620)에 의해 한정되는 끼움홈(650)에 상기 일측 상하수도관의 끝단부(400)가 결합 또는 고정 및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삽입가이드부(600)는 도 4에 도시된 수밀링(500)의 재질(예: 고무 재질)보다 마찰력 발생이 적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예컨대 스테인리스 재질, 구리, 알루미늄 재질 혹은 기타 합금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특정 금속재질로 한정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RFID발전모듈을 갖는 상하수도관의 체결 관계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7 내지 도 9는 삽입가이드부를 갖는 상하수도관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7 및 도 9를 참조하면, 수밀링(500)은 일측 상하수도관의 단차홈부(300)의 안쪽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일 수 있다.
이런 상태에서, 타측 상하수도관의 관체부(100a)가 일측 상하수도관의 끝단부(400)의 안쪽 구멍을 통해 삽입 형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특히, 현장 배관 작업 환경 여건이나, 작업자가 정밀한 중심 맞춤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경험에 의해 배관 연결 작업을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타측 상하수도관의 관체부(100a)의 끝단은 돌, 자갈, 흙, 또는 날카로운 물체 등과 같이 흠집을 발생시킬 수 있는 대상물이 즐비 하는 현장에서 적치 또는 운반 도중에 상기 대상물에 끌려서 날카로운 부위를 갖게 된다.
이 경우, 타측 상하수도관의 관체부(100a)는 일측 상하수도관의 끝단부(400)의 중심(CL)으로부터 벗어난 위치, 예컨대, 편심 높이(h) 만큼 위쪽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일측 상하수도관의 끝단부(400) 쪽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삽입가이드부(6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걸림턱(901) 또는 수밀링(500)의 경사면(511)을 가이드경사부(610)로 덮고 있고, 또한 상기 끝단부(400)의 내표면을 연장부(620)로 역시 덮고 있다.
이런 연유로 인하여, 편심 높이(H)로 이동된 상태, 또는 그렇지 않은 상태와 상관없이, 타측 상하수도관의 관체부(100a)의 끝단은 직접 수밀링(500)의 경사면(511)에 접촉하지 않고, 삽입가이드부(600)의 가이드경사부(610)에 접촉 및 가이드되어 원활한 삽입, 즉 수밀링(500)이 뒤로 밀리지 않은 삽입 및 체결이 이루어져서 도 9와 같은 상태가 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한편 타측 상하수도관의 관체부(100a)는 일측 상하수도관의 끝단부(400)의 중심(CL)을 기준으로 편각(R) 만큼 기울어진 상태에서 상하수도관의 끝단부(400) 쪽으로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끝단부(400)는 벨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편각(R) 상태에서도 일측 상하수도관과 타측 상하수고관의 배관이 가능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역시 삽입가이드부(6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걸림턱(901) 또는 수밀링(500)의 경사면(511)을 가이드경사부(610)로 덮고 있고, 또한 상기 끝단부(400)의 내표면을 연장부(620)로 역시 덮고 있다.
따라서, 타측 상하수도관의 관체부(100a)의 끝단은 직접 수밀링(500)의 경사면(511)에 접촉하지 않고, 삽입가이드부(600)의 가이드경사부(610)에 접촉 및 가이드되어 원활한 삽입, 즉 수밀링(500)이 뒤로 밀리지 않은 삽입 및 체결이 이루어져서 역시 도 9와 같은 상태가 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타측 상하수도관의 관체부(100a)와 일측 상하수도관이 서로 결합된 상태 이후에, 지반 침하로 인하여 허용 처짐각인 편각(R)이 발생될 수도 있다. 이때, 본 실시예는 상기 편각(R)을 허용할 수 있도록, 편각허용부(200)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수밀링(500)의 림(520, 530)이 과도하게 또는 국부적으로 눌리지 않게 될 수 있고, 수밀링(500)의 수명 또는 내구년한을 제대로 보장할 수 있고, 지반의 형상 변화를 추종할 수 있으며, 안전성 높은 관로의 구축을 가능케 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응용예에 따른 RFID발전모듈을 갖는 상하수도관에 사용된 삽입가이드부의 확대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응용예에 따른 삽입가이드부(600a)는 앞서 설명한 가이드경사부(610), 연장부(620), 지지부(630) 및 결속부(640)를 가지고 있되, 특히, 상기 결속부(640)는 상기 도 4에 도시된 상하수도관의 상기 끝단부(400)의 외표면 쪽으로 돌출된 고정편(641)을 더 포함하여, 더욱 견고하게 상기 끝단부(400)와 결합될 수 있다.
고정편(641)은 복수개로 결속부(64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각 고정편(641)은 그에 대응하는 위치의 결속부(640) 일부를 절취 및 절곡 가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 외에도 삽입가이드부(600a)를 일측 상하수도관에 고정하는 다양한 방법, 예컨대 상기 결속부(640)의 외측에 고정용 밴드 또는 나사 등을 더 부가하여 고정하거나, 결속부(640) 및 지지부(630)의 내측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상기 끝단부(400)와 접착에 의해 고정시키는 방법 등도 사용이 가능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설명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관체부보다 큰 사이즈로 확관된 형상을 갖는 곳에 편각허용부, 단차홈부, 벨 형상의 끝단부를 갖는 상하수도관을 제공하여, 지반 침하시 허용 처짐각, 즉 편각을 허용할 수 있고, 지반 침하로 인하여 수밀링에 국부적으로 과도한 응력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하수도관의 끝단부에 끼워져 결합되는 삽입가이드부에 의해 걸림턱을 덮어서, 일측 상하수도관과 타측 상하수도관의 삽입 결합을 가이드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수밀링이 단차홈부로부터 국부적으로 또는 완전 이탈 또는 밀려서 분리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일측 상하수도관을 타측 상하수도관에 신속하고 원활하게 체결시킬 수 있다.
100, 100a : 관체부 200 : 편각허용부
300 : 단차홈부 400 : 끝단부
500 : 수밀링 600, 600a : 삽입가이드부
610 : 가이드경사부 620 : 연장부
630 : 지지부 640 : 결속부
700 : RFID발전모듈 710 : 홀센서
800, 800a : 영구자석

Claims (11)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수도용 또는 하수도용의 중공 몸체를 갖는 관체부;
    상기 관체부의 일측 끝 부분에서 상기 관체부보다 직경이 크게 확관된 편각허용부;
    상기 편각허용부보다 직경이 크게 상기 편각허용부에 연결되고, 다단으로 확장된 단차홈부;
    상기 단차홈부에 연결되고, 벨(bell) 형상으로 확장된 끝단부;
    상기 단차홈부에 장착되고, 수밀링 전방 위치에 경사면을 갖는 수밀링;
    상기 관체부, 상기 편각허용부, 상기 단차홈부, 상기 끝단부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고, 상하수도관 정보를 기록 또는 저장하고 있는 RFID발전모듈; 및
    상기 수밀링의 상기 경사면 및 상기 경사면 전방의 걸림턱을 덮을 수 있도록 상기 끝단부에 결합된 삽입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가이드부는,
    상기 수밀링의 상기 경사면을 덮는 가이드경사부;
    상기 가이드경사부에 일체형으로 연결되고 튜브 형상을 갖는 연장부;
    상기 끝단부의 전방 테두리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연장부에서 바깥쪽으로 절곡된 지지부; 및
    상기 끝단부의 외표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지지부에서 상기 가이드경사부쪽으로 절곡된 결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발전모듈을 갖는 상하수도관.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수밀링은,
    상기 관체부의 중심 쪽으로 상기 끝단부의 내주면보다 돌출된 상기 경사면;
    상기 단차홈부의 내표면 형상에 대응하게 형성된 링외표면;
    상기 링외표면의 후방에 형성된 복수개의 림(rim); 및
    상기 림에서 상기 경사면쪽으로 수평하게 연장되고, 복수개의 수밀돌기를 갖고, 상기 경사면에 연결된 링내표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발전모듈을 갖는 상하수도관.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가이드부는 상기 끝단부에 끼워질 수 있도록 링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발전모듈을 갖는 상하수도관.
  8. 삭제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는 상기 지지부의 내측면과 상기 결속부의 내표면 사이에 예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발전모듈을 갖는 상하수도관.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는 상기 상하수도관의 상기 끝단부의 외표면 쪽으로 돌출된 고정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발전모듈을 갖는 상하수도관.
  11.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가이드부는 상기 수밀링의 재질보다 마찰력 발생이 적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발전모듈을 갖는 상하수도관.
KR1020130157089A 2013-12-17 2013-12-17 Rfid발전모듈을 갖는 상하수도관 KR1013979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7089A KR101397909B1 (ko) 2013-12-17 2013-12-17 Rfid발전모듈을 갖는 상하수도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7089A KR101397909B1 (ko) 2013-12-17 2013-12-17 Rfid발전모듈을 갖는 상하수도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7909B1 true KR101397909B1 (ko) 2014-05-27

Family

ID=50894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7089A KR101397909B1 (ko) 2013-12-17 2013-12-17 Rfid발전모듈을 갖는 상하수도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790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7360B1 (ko) * 2016-08-19 2018-05-11 권태윤 배관용 내진 고무링 조립체
KR102033881B1 (ko) 2019-08-14 2019-10-17 임준희 누수감지기능을 구비한 상하수도관
CN117702783A (zh) * 2024-02-05 2024-03-15 山西省交通规划勘察设计院有限公司 一种边坡岩土用高效吸排水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52742A (ja) 2004-08-09 2006-02-23 Ntn Corp 自己発電機能付rfid用タグを内蔵した軸受
JP2007041817A (ja) 2005-08-02 2007-02-15 Ricoh Co Ltd Rfidタグ及びrfidタグシステム
JP2007315028A (ja) 2006-05-25 2007-12-06 Sanritsu Giken Kk マンホールと下水本管との連結構造
JP2009534099A (ja) 2006-04-20 2009-09-24 ナイキ インコーポレーティッド データ送信機能を含む履物製品
KR101032096B1 (ko) 2010-03-23 2011-05-02 국제산업주식회사 고무링과 스토퍼를 이용한 상하수도관의 연결구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52742A (ja) 2004-08-09 2006-02-23 Ntn Corp 自己発電機能付rfid用タグを内蔵した軸受
JP2007041817A (ja) 2005-08-02 2007-02-15 Ricoh Co Ltd Rfidタグ及びrfidタグシステム
JP2009534099A (ja) 2006-04-20 2009-09-24 ナイキ インコーポレーティッド データ送信機能を含む履物製品
JP2007315028A (ja) 2006-05-25 2007-12-06 Sanritsu Giken Kk マンホールと下水本管との連結構造
KR101032096B1 (ko) 2010-03-23 2011-05-02 국제산업주식회사 고무링과 스토퍼를 이용한 상하수도관의 연결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7360B1 (ko) * 2016-08-19 2018-05-11 권태윤 배관용 내진 고무링 조립체
KR102033881B1 (ko) 2019-08-14 2019-10-17 임준희 누수감지기능을 구비한 상하수도관
CN117702783A (zh) * 2024-02-05 2024-03-15 山西省交通规划勘察设计院有限公司 一种边坡岩土用高效吸排水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25285B2 (en) Multi-piece inline jet-sonde
KR101397909B1 (ko) Rfid발전모듈을 갖는 상하수도관
KR101435997B1 (ko) 매설위치 및 관로정보의 확인이 가능한 매설배관
US949427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locating and restoring service lines in pipeline rehabilitation
US7878220B2 (en) Pipe plug with a locating appliance
EP3336268B1 (en) Sealing connector for pipes, such as for outlet pipes
KR20160120459A (ko) 매설 배관의 누수 검지 시스템
KR101424965B1 (ko) 수밀링 밀림 방지형 상하수도관
KR101007070B1 (ko) 공동주택 전기 배선용 전선이음장치
KR200487137Y1 (ko) 관로표시장치
KR101598760B1 (ko) 위치 탐지 수단을 내장한 지중관로 스페이서
KR100877415B1 (ko) 전자태그가 설치된 관체
JP2008248601A (ja) 下水管路
KR100752571B1 (ko) 지하수관정 오염방지장치
KR101842650B1 (ko) 내진성과 수밀성을 향상시킨 수관 파이프
KR100983103B1 (ko) 관로 확인용 자기마크 고정장치
KR100731957B1 (ko) 하수관 보호용 복합케이스
KR101741782B1 (ko) 지중매설물 위치감지 식별장치
CA3086864A1 (en) Tracer wire holder
KR101033644B1 (ko) 정보통신용 케이블 이음장치
KR100806932B1 (ko) 송배전케이블 이설장치
JP4681339B2 (ja) 通信用管路とハンドホールとの接続構造
KR101691433B1 (ko) 결로현상이 방지되는 온천 개발용 펌프의 시공방법
KR20200039968A (ko) 지중 선로 보호장치
CN210950239U (zh) 一种聚乙烯压力管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