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5303B1 - 전기 청소기 - Google Patents

전기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5303B1
KR101985303B1 KR1020177004445A KR20177004445A KR101985303B1 KR 101985303 B1 KR101985303 B1 KR 101985303B1 KR 1020177004445 A KR1020177004445 A KR 1020177004445A KR 20177004445 A KR20177004445 A KR 20177004445A KR 101985303 B1 KR101985303 B1 KR 1019853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container
cleaning unit
bottom wall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44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1764A (ko
Inventor
유키오 마치다
마사토시 다나카
히로미츠 이치카와
히로미츠 무라타
Original Assignee
도시바 라이프스타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시바 라이프스타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시바 라이프스타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317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17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53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53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68Arrangements for power supply of vacuum cleaners or the accessories thereof
    • A47L9/2873Docking units or charging st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2Dry filters
    • A47L9/122Dry filters fla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09Storing devices ; Supports, stands or holders
    • A47L9/0063External storing devices; Stands, casings or the like for the storage of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05Driving means for the brushes or agita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61Dust-loosening tools, e.g. agitators, brushes
    • A47L9/0466Rotating tools
    • A47L9/0477Rol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4Bags or the like; Rigid filtering receptacles; Attachment of, or closures for, bags or receptacles
    • A47L9/1409Rigid filtering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4Bags or the like; Rigid filtering receptacles; Attachment of, or closures for, bags or receptacles
    • A47L9/149Emptying means; Reusable ba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05Parameters or conditions being sens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68Arrangements for power supply of vacuum cleaners or the accessories thereof
    • A47L9/2884Details of arrangements of batteries or their instal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 A47L2201/02Docking stations; Docking operations
    • A47L2201/022Recharging of batter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 A47L2201/02Docking stations; Docking operations
    • A47L2201/024Emptying dust or waste liquid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 A47L2201/04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Automatic obstacl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 Electric Suction Cleaners (AREA)

Abstract

전기 진공청소기(1)는 자율적으로 피청소면을 이동하여 먼지를 포집하는 자율형 청소 유닛(2)과, 자율형 청소 유닛(2)에 유체적으로 연결 가능한 스테이션 유닛(5)을 구비하고 있다. 자율형 청소 유닛(2)은 자율형 청소 유닛(2)이 포집하는 먼지를 축적하고 또한 폐기구(41)가 설치되는 바닥벽(132)을 갖는 용기 본체(38)와, 폐기구(41)를 개폐하는 폐뚜껑(42)을 구비하고 있다. 스테이션 장치(5)는 폐기구(41)에 연결되는 분진 이송관(25)과. 분진 이송관(25)을 통해 용기 본체(38)로부터 폐기되는 먼지를 축적하는 2차 먼지용기(68)와, 2차 먼지용기(68)를 통해 먼지 이송관(25)에 흡입 부압을 생성시키는 2차 전동 송풍기(69)를 구비하고 있다. 용기 본체(38)의 바닥벽(132)의 내면(132a)에는 2차 전동 송풍기(69)가 생성시키는 부압에 의해 용기 본체(38) 내의 먼지(D)의 아래쪽으로 공기를 유통시키는 요철 형상의 통풍로(133)가 적어도 하나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전기 청소기{ELECTRIC VACUUM CLEANER}
본 발명에 따른 실시형태는 전기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피청소면을 이동하여 피청소면의 먼지를 포집하는 전기 진공청소기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종래의 전기 진공청소기는 본체 케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집진용기를 갖추고, 포집된 먼지를 집진용기에 축적한다. 집진용기에 포집된 먼지는, 본체 케이스에서 집진용기를 분리하여 집진용기의 상부 뚜껑을 열고 폐기된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13-144028호 공보
자율형 청소 유닛과, 자율형 청소 유닛으로부터 폐기되는 먼지를 축적하는 스테이션 유닛을 조합한 전기 진공청소기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종류의 전기 진공청소기는 자율형 청소 유닛으로부터 스테이션 유닛으로 먼지를 이송하기 위해 자율형 청소 유닛의 집진용기와 스테이션 유닛을 유체적으로 연결한다.
그리고 자율형 청소 유닛의 집진용기와 스테이션 유닛을 유체적으로 연결하기 위해서는 집진용기에 먼지 폐기구가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집진용기 내의 먼지는 집진용기의 바닥측에 축적되기 때문에, 집진용기의 폐기구는 집진용기의 바닥벽에 개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폐기구가 집진용기의 바닥벽 전면에 미치는 것은 별도로 하고, 폐기구가 집진용기의 바닥벽에 부분적으로 개구되어 있는 경우에는 바닥벽의 비개구부분(폐기구 이외의 부분)의 내면측에 먼지가 퇴적되어, 만일 스테이션 유닛측으로부터 부압을 작용시켜 먼지를 흡입하였다고 하여도 집진용기 내의 먼지를 폐기구로부터 꺼내기가 어려운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거실 내에 방치되어 있는 클립(clip)과 같이, 섬유 부스러기나 티끌에 비해 밀도가 높은 먼지가 바닥벽의 내면을 따라서 축적된 경우, 먼지의 주위에는 흡입 부압에 의한 공기의 유동이 발생하기 어려워 폐기구로 빨려들어가지 않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자율형 청소 유닛의 집진용기로부터 스테이션 유닛으로 먼지를 쉽게 폐기할 수 있는 전기 청소기를 제안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진공청소기는 자율적으로 피청소면을 이동하여 상기 피청소면의 먼지를 포집하는 자율형 청소 유닛과, 상기 자율형 청소 유닛에 유체적으로 연결 가능한 스테이션 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자율형 청소 유닛은 상기 자율형 청소 유닛이 포집하는 먼지를 축적하고 또한 먼지를 폐기하는 폐기구가 설치되는 바닥벽을 갖는 용기 본체와, 상기 폐기구를 개폐하는 폐기 뚜껑을 구비하고, 상기 스테이션 유닛은 상기 폐기구에 연결되는 먼지 이송관과, 상기 먼지 이송관을 통해 상기 용기 본체로부터 폐기되는 먼지를 축적하는 2차 먼지용기와, 상기 2차 먼지용기를 통해 상기 먼지 이송관에 흡입 부압을 발생시키는 2차 전동 송풍기를 구비하며,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바닥벽의 내면에는 상기 2차 전동 송풍기가 발생시키는 부압에 의해 상기 용기 본체 내의 먼지의 아래쪽에 공기를 유통시키는 요철 모양의 통풍로가 적어도 하나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진공청소기의 상기 통풍로는 상기 폐기구쪽을 향하여 공기를 유통시킨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진공청소기의 상기 통풍로는 각부(角部)가 둥글게 이루어진 모양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진공청소기의 상기 통풍로는 상기 바닥벽의 내면을 따라가는 방향에서의 폭 치수보다 상기 바닥벽의 두께 방향에서의 깊이 치수가 더 작고 바닥이 얕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진공청소기의 상기 통풍로는 상기 바닥벽의 두께 방향의 깊이 치수가 대략 일정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진공청소기의 상기 통풍로는 상기 바닥벽의 내면에 복수개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진공청소기의 상기 복수의 통풍로는 대략 등간격으로 늘어서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진공청소기의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바닥벽의 내면은 상기 폐기구를 향하여 하향 경사를 이루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진공청소기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진공청소기의 자율형 청소 유닛의 바닥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진공청소기의 스테이션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진공청소기의 스테이션 유닛을 나타낸 종단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진공청소기의 스테이션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진공청소기의 자율형 청소 유닛 및 스테이션 유닛의 연결 부분을 나타낸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진공청소기의 자율형 청소 유닛 및 스테이션 유닛의 연결 부분을 나타낸 종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진공청소기의 1차 먼지용기를 나타낸 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진공청소기의 용기 본체를 나타낸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진공청소기의 용기 본체를 나타낸 단면도.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진공청소기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진공청소기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진공청소기(1)는 자율적으로 피청소면을 이동하여 피청소면의 먼지를 포집하는 자율형 청소 유닛(2)과, 자율형 청소 유닛(2)의 충전 전극(3)을 갖는 스테이션 유닛(5)을 구비하고 있다. 전기 진공청소기(1)는 자율형 청소 유닛(2)을 거실의 피청소면의 전역에 걸쳐서 자율적으로 이동시켜 먼지를 포집하고, 그 후 자율형 청소 유닛(2)을 스테이션 유닛(5)에 복귀시켜 자율형 청소 유닛(2)이 포집한 먼지를 스테이션 유닛(5)측으로 이송하여 수집한다.
또한, 자율형 청소 유닛(2)이 스테이션 유닛(5)의 충전 전극(3)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위치란 스테이션 유닛(5)에 복귀하는 자율형 청소 유닛(2)의 복귀 위치이다. 자율형 청소 유닛(2)은 충전이 필요한 경우이거나 거실 청소를 마친 경우에는 이러한 복귀 위치로 복귀한다. 또한, 자율형 청소 유닛(2)이 스테이션 유닛(5)의 충전 전극(3)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위치는 자율 이동하는 자율형 청소 유닛(2)과 임의의 장소에 설치 가능한 스테이션 유닛(5)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에서 결정된다.
또한, 도 1에서 화살표 A는 자율형 청소 유닛(2)의 전진 방향, 화살표 B는 자율형 청소 유닛(2)의 후진 방향이다.  자율형 청소 유닛(2)의 폭 방향은 화살표 A 및 화살표 B에 직교하는 방향이다.
자율형 청소 유닛(2)은 전진하여 스테이션 유닛(5)에서 이탈하여서 거실 내를 자율적으로 주행하는 한편, 스테이션 유닛(5)으로 복귀할 때에는 후퇴하여 스테이션 유닛(5)에 연결한다.
자율형 청소 유닛(2)은 이른바 로봇 청소기이다. 자율형 청소 유닛(2)은 중공 원반 형상의 본체 케이스(11)와, 본체 케이스(11)의 후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1차 먼지용기(12)와, 본체 케이스(11) 내에 수용되어 1차 먼지용기(12)에 연결되는 1차 전동 송풍기(13)와, 피청소면의 자율형 청소 유닛(2)을 이동시키는 이동부(15)와, 이동부(15)를 구동시키는 구동부(16)와, 구동부(16)를 제어하여 피청소면의 본체 케이스(11)를 자율적으로 이동시키는 로봇 제어부(17)와, 전원으로서의 2차 전지(18)를 구비하고 있다.
스테이션 유닛(5)은 피청소면의 임의의 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스테이션 유닛(5)은 충전 전극(3)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위치(복귀 위치)로 향하는 자율형 청소 유닛(2)이 타고 오르는 받침대(21)와, 받침대(21)에 일체로 형성되는 먼지 회수부(22)와, 충전 전극(3)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위치(복귀 위치)로 향하는 자율형 청소 유닛(2)을 유도하는 한 쌍의 롤러(23)와, 자율형 청소 유닛(2)이 충전 전극(3)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위치 관계(복귀 위치)에 있어서, 자율형 청소 유닛(2)의 1차 먼지용기(12)에 기밀하게 연결되는 먼지 이송관(25)과, 먼지 이송관(25) 내로부터 돌출하는 레버(26)와, 상용 교류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이끌어내는 전원 코드(29)를 구비하고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자율형 청소 유닛(2)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진공청소기의 자율형 청소 유닛의 바닥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진공청소기(1)의 자율형 청소 유닛(2)은 본체 케이스(11)의 바닥면(11a)에 설치되는 센터 브러시(31)와, 센터 브러시(31)를 구동시키는 센터 브러시용 구동부(32)와, 본체 케이스(11)의 바닥면(11a)에 설치되는 좌우 한 쌍의 사이드 브러시(33)와, 사이드 브러시(33)의 각각을 구동시키는 좌우 한 쌍의 사이드 브러시용 구동부(35)를 구비하고 있다.
원반 형상의 본체 케이스(11)는 예를 들면 합성수지로 만들어졌으며, 피청소면을 쉽게 선회할 수 있다. 바닥면(11a)의 후반부의 폭 방향 중앙부에는 가로가 긴 흡입구(36)가 설치되어 있다.
흡입구(36)는 본체 케이스(11)의 폭 치수, 즉 직경 치수의 3분의 2 정도의 폭 치수를 가지고 있다. 흡입구(36)는 1차 먼지용기(12)를 거쳐 1차 전동 송풍기(13)에 유체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본체 케이스(11)는 바닥면(11a)에 먼지용기구(37)를 가지고 있다. 먼지용기구(37)는 흡입구(36)보다도 후방이고 1차 먼지용기(12)의 하부를 덮는 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먼지용기구(37)는 각부가 둥근 직사각형 모양으로 개구되어, 본체 케이스(11)에 장착된 1차 먼지용기(12)를 부분적으로 노출시키고 있다.
1차 먼지용기(12)는 1차 전동 송풍기(13)가 발생시키는 흡입 부압에 의해 흡입구(36)로부터 흡입되는 먼지를 축적한다. 먼지를 여과 포집하는 필터나, 원심 분리(사이클론 분리)나 직진 분리 등의 관성 분리에 의해 먼지를 축적하는 분리 장치 등이 1차 먼지용기(12)에 적용된다. 1차 먼지용기(12)는 흡입구(36)보다도 후방이고 본체 케이스(11)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1차 먼지용기(12)는 본체 케이스(11)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자율형 청소 유닛(2)이 포집하는 먼지를 축적하는 용기 본체(38)와, 본체 케이스(11)에 장착된 상태에서 먼지용기구(37)로부터 노출되는 연결부(39)와, 연결부(39)에 설치되어 용기 본체(38)의 먼지를 폐기하는 폐기구(41)와, 폐기구(41)를 개폐하는 폐기 뚜껑(42)을 구비하고 있다.
이동부(15)는 본체 케이스(11)의 바닥면(11a)에 배치되는 좌우 한 쌍의 구동바퀴(45)와, 본체 케이스(11)의 바닥면(11a)에 배치되는 선회륜(46)을 구비하고 있다.
한 쌍의 구동륜(45)은 본체 케이스(11)의 바닥면(11a)으로부터 돌출되어있으며, 자율형 청소 유닛(2)을 피청소면에 둔 상태에서 피청소면에 접지한다. 또한, 한 쌍의 구동륜(45)은 본체 케이스(11)의 전후 방향에서 대략 중앙부에 배치되고, 또한 흡입구(36)의 전방을 피해 본체 케이스(11)의 좌우 각각의 측부에 가까이 배치되어 있다. 한 쌍의 구동륜(45)의 회동축은 본체 케이스(11)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직선상에 배치되어 있다. 자율형 청소 유닛(2)은 좌우 각각의 구동륜(45)을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전진 또는 후퇴하고, 좌우 각각의 구동륜(45)을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선회한다.
선회륜(46)은 선회 가능한 종동륜이다. 본체 케이스(11)의 폭 방향의 대략 중앙부, 또한 앞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구동부(16)는 한 쌍의 구동륜(45)의 각각에 연결되는 한 쌍의 전동기이다. 구동부(16)는 좌우의 구동륜(45)을 각각 독립적으로 구동시킨다.
로봇 제어부(17)는 마이크로프로세서(도시 생략) 및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수행하는 각종 연산 프로그램, 파라미터 등을 저장하는 저장 장치(도시 생략)를 갖추고 있다. 로봇 제어부(17)는 1차 전동 송풍기(13), 센터 브러시용 구동부(32), 구동부(16) 및 사이드 브러시용 구동부(35)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2차 전지(18)는 1차 전동 송풍기(13), 센터 브러시용 구동부(32), 구동부(16), 사이드 브러시용 구동부(35) 및 로봇 제어부(17)의 전원이다. 2차 전지(18)는 예를 들어 선회륜(46)과 흡입구(36)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2차 전지(18)는 본체 케이스(11)의 바닥면(11a)에 배치되는 한 쌍의 충전 단자(47)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2차 전지(18)는 스테이션 유닛(5)의 충전 전극(3)에 충전 단자(47)가 접속됨으로써 충전된다.
센터 브러시(31)는 흡입구(36)에 설치되어 있다. 센터 브러시(31)는 본체 케이스(11)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 중심선 둘레로 회전 가능한 축 모양의 브러시이다. 센터 브러시(31)는 예를 들어 긴 축부(도시 생략)와, 축부의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며, 또한 축부의 길이 방향으로 나선 형상으로 늘어선 복수의 브러시(도시 생략)를 구비하고 있다. 센터 브러시(31)는 흡입구(36)로부터 본체 케이스(11)의 바닥면(11a)보다 아래쪽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자율형 청소 유닛(2)을 피청소면에 둔 상태에서 브러시를 피청소면에 접촉시킨다.
센터 브러시용 구동부(32)는 본체 케이스(11) 내에 수용되어 있다.
한 쌍의 사이드 브러시(33)는 센터 브러시(31)의 전진 방향에 대하여 좌우 각각의 측면 방향에 배치되어, 센터 브러시(31)가 닿지 않는 벽 가장자리의 피청소면의 먼지를 긁어 모아서 흡입구(36)로 보내는 보조적인 청소체이다. 각각의 사이드 브러시(33)는 피청소면의 수직선에 대해 약간 앞쪽으로 기우는 회전 중심을 갖는 브러시 베이스부(48)와, 브러시 베이스부(48)의 직경 방향으로 방사상으로 돌출된, 예를 들어 3개의 선 형상 청소체(49)를 구비하고 있다.
좌우 각각의 브러시 베이스부(48)는 흡입구(36) 및 좌우의 구동륜(45)보다 전방, 또한 선회륜(46)보다 후방에 위치하며, 흡입구(36)보다 좌우 각각의 측면에 가까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브러시 베이스부(48)의 회전 중심선은 피청소면의 수직선에 대하여 약간 앞쪽으로 기울어져 있다. 따라서 선형 청소체(49)는 피청소면에 대하여 앞쪽으로 기울어진 면을 따라 선회한다. 브러시 베이스부(48)보다 앞쪽으로 선회해 오는 선 형상 청소체(49)는 선단측만큼 피청소면에 대하여 가압되며, 브러시 베이스부(48)보다 뒤쪽으로 선회해 오는 선 형상 청소체(49)는 선단측만큼 피청소면에서 떨어져 있게 된다.
복수개의 선 형상 청소체(49)는 브러시 베이스부(48)로부터 방사상으로, 예를 들어 세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사이드 브러시(33)는 브러시 베이스부(48)마다 4개 이상의 선 형상 청소체(49)를 구비할 수도 있다. 각각의 선 형상 청소체(49)는 선단측에 청소 부재로서의 복수의 브러시 털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브러시 털은 본체 케이스(11)의 외주연보다 외측으로 확대되는 궤적을 그리며 선회한다.
각각의 사이드 브러시용 구동부(35)는 아래쪽으로 돌출되어 사이드 브러시(33)의 브러시 베이스부(48)에 연결되는 회전축을 구비하고 있다. 각각의 사이드 브러시용 구동부(35)는 피청소면의 먼지를 흡입구(36)로 긁어 모을 수 있도록 사이드 브러시(33)를 회전시킨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스테이션 유닛(5)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진공청소기의 스테이션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스테이션 유닛(5)의 받침대(21)는 스테이션 유닛(5)의 앞쪽으로 돌출하여 사각형 모양으로 퍼져 있다. 받침대(21)는 먼지 회수부(22)의 바닥에 연접하는 고층부(61)와, 고층부(61)에서 돌출되는 저층부(62)를 구비하고 있다. 저층부(62) 및 고층부(61)는 스테이션 유닛(5)의 폭 방향으로 띠 모양으로 뻗어 있다. 저층부(62)에는 한 쌍의 롤러(23)가 배치되어 있다. 고층부(61)에는 충전 전극(3) 및 먼지 이송관(25)의 입구가 배치되어 있다.
자율형 청소 유닛(2)은 한 쌍의 구동륜(45)을 저층부(62)에 올리고, 1차 먼지용기(12)를 고층부(61)의 위쪽에 배치하는 자세로 복귀 위치에 도달한다.
한 쌍의 롤러(23)는 받침대(21)의 저층부(62)의 좌우 각각의 단부, 즉 전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한 쌍의 롤러(23)는 자율형 청소 유닛(2)이 충전 전극(3)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위치(복귀 위치)로 향하는 방향(후진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 즉 자율형 청소 유닛(2)을 폭 방향으로 유도하는 한 쌍의 교차 방향 롤러(63)와, 자율형 청소 유닛(2)이 충전 전극(3)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위치(복귀 위치)에 도달하면 한 쌍의 구동륜(45)의 각각을 공전시키는 한 쌍의 정지용 롤러(65)를 구비하고 있다. 한 쌍의 롤러(23), 즉 한 쌍의 교차 방향 롤러(63) 및 한 쌍의 정지용 롤러(65)는 한 쌍의 구동륜(45)의 접지면으로서의 받침대(21)보다 돌출되어 있다.
한 쌍의 교차 방향 롤러(63)는 자율형 청소 유닛(2)이 충전 전극(3)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위치(복귀 위치)를 향해 이격 거리가 좁아지는 비평행 회전 중심(C1)을 가지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한 쌍의 교차 방향 롤러(63)는 받침대(21) 측으로부터 먼지 회수부(22)로 가까워지면서 서로 가까워지는 회전 중심(C1)을 가지고 있다.
한 쌍의 정지용 롤러(65)는 자율형 청소 유닛(2)이 충전 전극(3)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위치(복귀 위치)로 향하는 방향으로 교차하는 회전 중심(C2)을 가지고 있다.  한 쌍의 정지용 롤러(65)는 자율형 청소 유닛(2)이 충전 전극(3)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위치(복귀 위치)에 도달하면 한 쌍의 구동륜(45)의 각각을 공전시켜서 자율형 청소 유닛(2)의 진행(후퇴)을 저지한다. 또한, 한 쌍의 정지용 롤러(65)의 회전 중심(C2)은 자율형 청소 유닛(2)이 충전 전극(3)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위치(복귀 위치)로 향하는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받침대(21)는 자율형 청소 유닛(2)이 충전 전극(3)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위치(복귀 위치)로 향할 때 한 쌍의 구동륜(45)의 각각의 접지 면적을 줄여주는 요철 모양의 주행면(66)을 구비하고 있다. 주행면(66)은 한 쌍의 롤러(23), 즉 한 쌍의 교차 방향의 롤러(63) 및 한 쌍의 정지용 롤러(65)로 둘러싸인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주행면(66)은 받침대(21)의 일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선 형상의 요철, 격자 모양의 요철 또는 복수의 반구 형상의 요철이다.
먼지 회수부(22)는 먼지 이송관(25)을 통해 1차 먼지용기(12)에서 폐기되는 먼지를 축적하는 2차 먼지용기(68)와, 먼지 회수부(22) 내에 수용되어 2차 먼지용기(68)에 연결되는 2차 전동 송풍기(69)와, 상용 교류 전원에서 2차 전동 송풍기(69) 및 충전 전극(3)에 전력을 전달하는 전원 코드(29)를 구비하고 있다.
먼지 회수부(22)는 스테이션 유닛(5)의 후방에 배치되어 받침대(21)보다 위쪽으로 연장되는 각부가 둥근 직사각형 모양의 박스이다. 먼지 회수부(22)의 정면벽은 자율형 청소 유닛(2)의 후단부에 대응하는 원호 형상의 함몰부(71)를 구비하고 있다. 먼지 이송관(25)의 입구는 받침대(21)의 고층부(61)로부터 함몰부(71)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함몰부(71)는 자율형 청소 유닛(2)이 충전 전극(3)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위치(복귀 위치)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복귀 확인 감지부(72)가 설치되어 있다. 복귀 확인 감지부(72)는 가시광선이나 적외선을 이용하여 자율형 청소 유닛(2)과의 상대 거리를 감지하는 소위, 대물 센서이다.  복귀 확인 감지부(72)는 먼지 회수부(22)의 정면 방향에서 자율형 청소 유닛(2)과의 상대 거리를 감지하는 제1 센서부(73)와, 먼지 회수부(22)의 높이 방향에서 자율형 청소 유닛(2)과의 상대 거리를 감지하는 제2 센서부(75)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먼지 회수부(22)는 본체(81) 내에 수용되는 2차 먼지용기(68)를 덮어 가리는 뚜껑(82)을 구비하고 있다. 뚜껑(82)은 먼지 회수부(22)의 천장의 일부, 구체적으로는 오른쪽 반을 개폐한다. 뚜껑(82)의 하부에는 2차 먼지용기(68)가 배치되어 있다.
한 쌍의 충전 전극(3)은 먼지 이송관(25)의 입구를 사이에 두고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충전 전극(3)은 함몰부(71)의 좌우 가장자리의 정면에 배치되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진공청소기의 스테이션 유닛을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진공청소기의 스테이션 장치를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스테이션 유닛(5)의 먼지 회수부(22)는 먼지를 안내하는 통풍로인 먼지 이송관(25)을 갖는 본체(81)와, 본체(81) 내로부터 자유롭게 꺼낼 수 있도록 수납되어, 먼지 이송관(25)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2차 먼지용기(68)와, 2차 먼지용기(68)를 통해 먼지 이송관(25)에 흡입 부압을 발생시키는 2차 전동 송풍기(69)와, 본체(81) 내에 수용되는 2차 먼지용기(68)를 덮어 가리는 뚜껑(82)과, 뚜껑(82)에 설치되어 2차 먼지용기(68)가 본체(81) 내로부터 꺼내어져 있는 경우에는 2차 전동 송풍기(69)의 흡입측의 통풍로를 막는 오흡입저지부(83)와, 2차 먼지용기(68)와 2차 전동 송풍기(69)를 유체적으로 연결하는 하류관(85)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먼지 회수부(22)는, 오흡입저지부(83)에 설치되어, 뚜껑(82)이 닫히는 과정에서 2차 먼지용기(68)에 접촉할 때, 오흡입저지부(83)의 요동 각도를 규제하여 2차 전동 송풍기(69)의 흡입측의 통풍로를 막는 밀봉면(86)을 2차 먼지용기(68)를 향하게 하는 조부(爪))(87)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먼지 회수부(22)는 2차 전동 송풍기(69)의 흡입 부압을 감지하는 압력 감지부(91)와, 2차 먼지용기(68)에 축적되는 먼지가 미리 규정한 규정량에 도달하였음을 통지하는 통지부(92)와, 압력 감지부(91)의 감지 결과가 미리 규정한 흡입 부압보다 저압이 된 경우에는 통지부(92)를 작동시키는 제어부(93)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81)는 깊이 방향(자율형 청소 유닛(2)이 복귀할 때 진행하는 방향)으로 짧고, 폭 방향으로 길다. 본체(81)는 폭 방향에서의 한쪽 절반부, 구체적으로는 오른쪽 절반부에 2차 먼지용기(68)를 수용하는 먼지용기실(95)을 가지며, 폭 방향에서의 다른 쪽 절반부, 구체적으로는 왼쪽 절반부에 2차 전동 송풍기(69)를 수용하는 송풍기실(96)을 가지고 있다.
먼지 이송관(25)은 자율형 청소 유닛(2)이 충전 전극(3)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위치(복귀 위치) 관계에 있어서, 1차 먼지용기(12)의 연결부(39)에 접하여 폐기구(41)에 기밀하게 연결된다. 먼지 이송관(25)의 개구 가장자리, 즉 입구에는 환상 밀봉부재(25a)가 설치되어 있다. 밀봉부재(25a)는 자율형 청소 유닛(2)이 충전 전극(3)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위치(복귀 위치) 관계에 있어서 연결부(39)에 밀착된다. 먼지 이송관(25)은 받침대(21)의 고층부(61)에 배치되는 입구로부터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먼지 회수부(22) 내에 이르고, 먼지 회수부(22) 내에서 굴곡되면서 먼지용기실(95)과 송풍기실(96) 사이에서 위쪽으로 연장 형성되어 2차 먼지용기(68)의 측면 쪽에 다다른다. 먼지 이송관(25)은 스테이션 유닛(5)의 상부 방향으로 개구하는 입구와, 2차 먼지용기(68)를 향해 측면 방향으로 개구하는 출구를 갖고 있다.
먼지 이송관(25)의 입구에 배치되는 레버(26)는 먼지 회수부(22)의 정면 방향, 또한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후크(97)를 구비하고 있다.
2차 먼지용기(68)는 상면이 개방되고, 측면에 흡입구(101)를 갖는 먼지용기(102)와, 먼지용기(102)의 상면을 닫음과 동시에 토출구(103)를 가지는 뚜껑(105)과, 토출구(103)에 설치되는 넷 필터(net filter)(106)와, 뚜껑(105)으로부터 먼지용기(102)의 바닥면을 향하여 아래로 늘어진 먼지용기(102) 내를 흡입구(101)에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상류측 공간(107)과 토출구(103)에 연결되는 하류측 공간(108)으로 분할하며, 먼지용기(102) 내의 바닥에서 상류측 공간(107)과 하류측 공간(108)을 연결하는 칸막이판(109)과, 토출구(103)에 연결되어 뚜껑(105)의 위쪽으로 덮어 씌워지는 2차 필터(110)와, 2차 필터(110)의 하류측 통풍로를 분할하는 커버관(111)을 구비하고 있다.
먼지용기(102)는 하류측 공간(108)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류측 공간(107)의 바닥보다 아래로 불룩하게 돌출하는 팽출부(112)를 구비하고 있다.
2차 필터(110)는 하류관(85)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2차 먼지용기(68)는 뚜껑(105), 칸막이판(109) 및 2차 필터(110)를 일체로 개폐시키는 제1 힌지기구(115)와, 뚜껑(105) 및 칸막이판(109)을 일체로 요동시켜 2차 필터(110)의 여과면측의 공간을 개폐시키는 제2 힌지기구(116)를 구비하고 있다.
커버관(111)은 2차 필터(110)의 하류 통풍로를 하류관(85)에 연결하는 통풍로를 겸하고 있다. 커버관(111)은 뚜껑(105)과 함께 제1 힌지기구(115)에 의해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1 힌지기구(115)는 흡입구(101)의 상부에 있고, 흡입구(101)를 갖는 먼지용기(102)의 측벽의 상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제2 힌지기구(116)는 제1 힌지기구(115)에서 볼 때 뚜껑(105)의 반대편 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2차 전동 송풍기(69)는 흡입구를 위쪽으로 향해 본체(81)의 송풍기 실(96)에 수용되어 있다.
하류관(85)은 2차 전동 송풍기(69)의 흡입측의 통풍로로서, 먼지 이송관(25)의 위쪽에 배치되어 먼지 회수부(22)의 본체(81) 내를 폭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다. 하류관(85)의 입구는 먼지용기실(95)로 개구되어 있다. 하류관(85)의 출구는 2차 전동 송풍기(69)의 흡입구에 연결되어 있다. 하류관(85)은 2차 먼지용기(68)가 먼지용기실(95)에 수용되면 2차 먼지용기(68)의 2차 필터(110)의 하류측에 연결된다.
뚜껑(82)은 본체(81)에 요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뚜껑(82)은 2차 먼지용기(68)를 수용하는 먼지용기실(95)의 상면의 개구를 개폐한다.
오흡입저지부(83)는 뚜껑(82)에 요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오흡입저지부(83)는 2차 전동 송풍기(69)의 흡입 측의 통풍로의 완전 폐색을 방지하는 통풍구(121)를 가지고 있다.
자율형 청소 유닛(2)이 스테이션 유닛(5)의 복귀 위치로 돌아오면, 자율형 청소 유닛(2)의 충전 단자(47)는 스테이션 유닛(5)의 충전 전극(3)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때, 스테이션 유닛(5)의 먼지 이송관(25)은 1차 먼지용기(12)의 연결부(39)에 연결된다. 이후, 스테이션 유닛(5)은 2차 전동 송풍기(69)를 구동시켜서, 도 4 및 도 5 중의 실선 화살표 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1차 먼지용기(12)로부터 2차 먼지용기(68)로 먼지를 이동시킨다. 2차 먼지용기(68)는 굵고 거친 먼지를 넷 필터(106)로 포집하여 하류측 공간(108)에 축적한다. 넷 필터(106)에 포집되는 먼지는 하류측 공간(108)의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향해 적층되어 축적된다. 또한, 넷 필터(106)에 포집되는 먼지는 공기의 흐름에 따라 넷 필터(106)측으로 압력이 가해지면서 압축된다. 압축된 거친 먼지들은 미세한 필터 역할을 하여 공기에 포함된 미세한 먼지들을 포집한다. 압축된 거친 먼지들에 덧붙여지는 미세 먼지들은 거친 먼지에 얽혀 붙는 것이 있는 반면에, 거친 먼지로부터 이탈하여 하류측 공간(108)의 하부에 도달하는 것도 있다. 하류측 공간(108)의 아래로는 팽출부(112)가 있으며, 거친 먼지에서 이탈한 미세 먼지는 팽출부(112)로 떨어져 쌓인다. 팽출부(112)에서는 2차 먼지용기(68) 내를 상류측 공간(107)으로부터 하류측 공간(108)으로 U 자형으로 흐르는 공기가 쉽게 가라앉는다. 따라서 팽출부(112)에 쌓이는 미세 먼지는 2차 먼지용기(68) 내의 공기 흐름에 휩쓸려 갈 것 없이 팽출부(112)에 모이기 쉽다.
넷 필터(106)를 통과한 미세 먼지나, 압축된 거친 먼지를 통과한 미세 먼지는 2차 필터(110)에 의해 포집된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진공청소기의 자율형 청소 유닛 및 스테이션 유닛의 연결 부분을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6과 도 7은 자율형 청소 유닛(2)이 충전 전극(3)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위치, 즉 복귀 위치에 접근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자율형 청소 유닛(2)이 스테이션 유닛(5)에서 이격되는 경우에는 도 7로부터 도 6으로의 역순의 형태가 된다.
도 6과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자율형 청소 유닛(2)의 1차 먼지용기(12)는 본체 케이스(11)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자율형 청소 유닛(2)이 포집하는 먼지를 축적하는 용기 본체(38)와, 본체 케이스(11)에 장착된 상태에서 먼지용기구(37)로부터 노출되는 연결부(39)와, 연결부(39)에 설치되어 용기 본체(38)의 먼지를 폐기하는 폐기구(41)와, 폐기구(41)를 개폐하는 폐기 뚜껑(42)을 구비하고 있다.
연결부(39)는 용기 본체(38)에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연결부(39)는 먼지용기구(37)에 대응하여 각부가 둥근 직사각형 모양으로 돌출되어 있다. 연결부(39) 는 1차 먼지용기(12)가 본체 케이스(11)에 장착되면, 먼지용기구(37)에 끼워 맞춘다. 연결부(39)는 본체 케이스(11)의 외부 표면에 면한 외주연부를 갖는 한편, 폐기구(41)의 주연부에 함몰부를 가지고 있다. 이 함몰부의 중앙에는 폐기구(41)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함몰부에는 폐기 뚜껑(42)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연결부(39)는 1차 먼지용기(12)가 본체 케이스(11)에 장착된 상태에서 먼지용기구(37)를 접하는 곳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연결부(39)는 본체 케이스(11)의 내측에서 먼지용기구(37)로부터 관통하여 볼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된다. 먼지 이송관(25)은 먼지용기구(37)를 통해 연결부(39)에 도달할 수 있는 돌출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폐기구(41)는 1차 먼지용기(12)가 본체 케이스(11)에 장착된 상태에서 자율형 청소 유닛(2)의 아래쪽으로 개방되어 있다.
폐기구(41)는 자율형 청소 유닛(2)이 충전 전극(3)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위치(복귀 위치) 관계에 있어서, 자율형 청소 유닛(2)의 중앙보다 스테이션 유닛(5)에 가까운 측에 배치되어 있다.  즉, 폐기구(41)는 자율형 청소 유닛(2)이 후퇴 스테이션 유닛(5)에 접근하여 한 쌍의 구동륜(45)을 스테이션 유닛(5)의 받침대(21)에 실어 올리면 스테이션 유닛(5)의 먼지 회수부(22)에 접근한다.
폐기 뚜껑(42)은 자율형 청소 유닛(2)의 외관에 노출되어 있으며, 본체 케이스(11)의 외부 표면에 면해 있다. 폐기 뚜껑(42)은 스테이션 유닛(5)의 레버(26)를 걸치는 레버 리시버(lever receiver)(123)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폐기 뚜껑(42)도 연결부(39)와 마찬가지로 본체 케이스(11)에 장착된 상태에서 먼지용기구(37)를 접하는 곳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폐기 뚜껑(42)은 본체 케이스(11)의 내부에서 먼지용기구(37)로부터 관통하여 볼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된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따른 스테이션 유닛(5)의 레버(26)는 자율형 청소 유닛(2)이 충전 전극(3)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위치(복귀 위치)로 향하는 도중에 자율형 청소 유닛(2)의 폐기 뚜껑(42)에 걸리며, 자율형 청소 유닛(2)이 충전 전극(3)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위치(복귀 위치)에 도달하면 폐기 뚜껑(42)을 열어 폐기구(41)와 먼지 이송관(25)을 유체적으로 연결시킨다(도 7).
자율형 청소 유닛(2)의 폐기 뚜껑(42) 및 스테이션 유닛(5) 레버(26)는 자율형 청소 유닛(2)이 충전 전극(3)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위치로 향하는 방향에 교차하는 회전 중심선(C3)의 주위로 요동한다. 또한, 폐기 뚜껑(42)의 회전 중심선(C4) 및 레버(26)의 회전 중심선(C3)은 자율형 청소 유닛(2)이 충전 전극(3)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위치(복귀 위치)로 향하는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레버(26)의 회전 중심선(C3)은 자율형 청소 유닛(2)이 충전 전극(3)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위치(복귀 위치)로 향하는 방향에서 먼지 이송관(25)의 개구 가장자리부 중에서 자율형 청소 유닛(2)이 최초로 도달하는 가장자리, 즉 먼지 이송관(25)의 개구 가장자리의 전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레버(26)의 회전 중심선(C3)은 자율형 청소 유닛(2)이 충전 전극(3)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위치(복귀 위치)로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즉, 후크(97)는 자율형 청소 유닛(2)이 충전 전극(3)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위치(복귀 위치)로 향하는 방향으로 레버(26)의 회전 중심선(C3)이 이동함으로써, 자율형 청소 유닛(2)의 복귀 제어에서의 위치 정밀도의 차이에 영향을 받지 않고 레버 리시버(123)에 걸어 넣을 수 있다.
또한, 레버(26)의 회전 중심선(C3)은 자율형 청소 유닛(2)이 충전 전극(3)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위치(복귀 위치)로 향하는 방향에서 먼지 이송관(25)의 개구 가장자리부 중 자율형 청소 유닛(2)이 최초로 도달하는 가장자리부, 즉 먼지 이송관(25)의 개구 가장자리의 전단부에 설치되는 축 커버(125)에 의해 덮여 있다.
폐기 뚜껑(42)의 회전 중심선(C4)은 자율형 청소 유닛(2)이 충전 전극(3)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위치(복귀 위치)로 향하는 방향에서 폐기 뚜껑(42)의 먼 쪽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폐기 뚜껑(42)의 회전 중심선(C4)은 자율형 청소 유닛(2)이 충전 전극(3)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위치(복귀 위치)로 향하는 방향에서 레버 리시버(123)보다 먼 쪽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폐기 뚜껑(42)의 회전 중심선(C4)은 자율형 청소 유닛(2)이 충전 전극(3)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위치(복귀 위치)로 향하는 방향에서 폐기 뚜껑(42) 중에서 폐기구(41)에 접하거나 떨어지거나 하는 뚜껑 본체(126)보다 먼 쪽에 배치되어 있다.
이들 레버(26)의 회전 중심선(C3) 및 폐기 뚜껑(42)의 회전 중심선(C4)의 배치에 따라 폐기 뚜껑(42)은 레버(26)에 의해 열리면 자율형 청소 유닛(2)의 용기 본체(38)로부터 먼지 이송관(25)으로 먼지를 안내하는 경사면이 된다(도 7).
또한, 폐기 뚜껑(42)은 닫는 방향으로 코일 스프링(127)의 탄성력을 받고 있다.  폐기 뚜껑(42)은 자율형 청소 유닛(2)이 충전 전극(3)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위치(복귀 위치)로 향하는 추진력이 코일 스프링(127)의 탄성력을 능가함으로써 열린다. 코일 스프링(127)은 레버(26)에 의해 폐기 뚜껑(42)이 열리면 눌려져서 에너지를 축적하는 한편, 자율형 청소 유닛(2)이 스테이션 유닛(5)으로부터 이탈하여 레버 리시버(123)로부터 레버(26)가 이탈되면, 에너지를 방출하여 폐기 뚜껑(42)을 닫는다.
레버(26)는 기립하는(도 6) 방향으로 코일 스프링(도시 생략)의 탄성력을 받고 있다. 레버(26)는 자율형 청소 유닛(2)이 충전 전극(3)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위치(복귀 위치)로 향하는 추진력이 코일 스프링의 탄성력을 능가함으로써 쓰러져 들어간다. 코일 스프링은 레버(26)에 의해 폐기 뚜껑(42)이 열리면 눌려져서 에너지를 축적하는 한편, 자율형 청소 유닛(2)이 스테이션 유닛(5)로부터 이탈하여 레버 리시버(123)로부터 레버(26)가 이탈되면, 에너지를 방출하여 레버(26)를 기립시킨다.
도 8은 도 6의 Ⅷ-Ⅷ 선에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진공청소기의 1차 먼지용기를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진공청소기의 용기 본체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X-X 선에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진공청소기의 용기 본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자율형 청소 유닛(2)의 1차 먼지용기(12)는 대략 직사각형의 용기 본체(38)를 구비하고 있다.
용기 본체(38)는 평면상의 4개의 측벽(131)과, 바닥벽(132)을 가지고 있다. 용기 본체(38)의 상면벽에 상당하는 부분에는 본체 케이스(11)의 흡입구(36)로부터 용기 본체(38) 내로 흡입되는 먼지(D)와 공기를 분리하는 여과 필터(도시 생략)나, 사이클론 분리장치(도시 생략) 등이 배치되어 있다.
용기 본체(38)의 바닥벽(132)은 중앙부에 폐기구(41)를 가지고 있다. 폐기구(41)는 용기 본체(38)에 대하여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폐기 뚜껑(42)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닫혀 있다.
용기 본체(38)의 바닥벽(132)의 내면(132a)은 폐기구(41)를 향해 깔때기 모양으로 하향 경사(α)를 이루고 있다(수평선 h). 용기 본체(38)의 바닥벽(132)의 내면(132a)에는 2차 전동 송풍기(69)가 생성시키는 부압에 의해 용기 본체(38)의 먼지(D)의 하부로 공기를 유통시키는 요철 모양의 통풍로(133)가 형성되어 있다.
통풍로(133)는 폐기구(41)의 주위를 둘러싸는 오목부(135)로 이어지는 홈 모양의 구덩이이며, 통풍 각부가 둥글게 이루어진 모양의 홈이다. 통풍로(133)는 먼지(D)보다 용기 본체(38)의 바닥벽(132)의 내면(132a)에 가까운 측면에서 공기를 유통시킨다.  오목부(135)는 용기 본체(38)의 바닥벽(132)의 외면에 설치되는 연결부(39)의 뒤쪽에서 연결부(39)보다 작은 범위로 퍼져 있다.
통풍로(133)는 폐기구(41) 쪽을 향해 공기를 유통시킨다. 통풍로(133)는 용기 본체(38)의 바닥벽(132)의 내면(132a)을 따르는 방향에서의 폭 치수(w), 즉 홈의 폭 치수보다 바닥벽(132)의 두께 방향의 깊이 치수(d), 즉 홈의 깊이 치수가 더 작고 바닥이 얕다. 또한, 통풍로(133)는 용기 본체(38)의 바닥벽(132)의 두께 방향의 깊이 치수(d)가 대략적으로 일정하다.
통풍로(133)는 용기 본체(38)의 바닥벽(132)의 내면에 적어도 하나 형성되어 있고, 복수가 설치될 수도 있다. 통풍로(133)가 복수개인 경우, 복수의 통풍로(133)는 대략 등간격으로 나란하게 늘어서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통풍로(133)는 격자 모양으로 돌기(도시 생략)를 나란하게 늘어 놓은 것일 수도 있다. 또한 통풍로(133)는 폐기구(41)를 향해 연장된 홈이 아니라, 폐기구(41)의 주위를 둘러싸고 직선형 또는 곡선형으로 뻗은 홈일 수도 있다. 폐기구(41)의 주위를 둘러싸고 직선, 곡선 및 구불구불한 모양 중의 어느 하나의 모양으로 뻗은 홈이라고 해도 용기 본체(38) 내에 생기는 공기 흐름(F)을 유통시켜서, 용기 본체(38)의 바닥벽(132)에 쌓인 먼지를 띄워 올리는 분류(f)를 발생시키는 것이면 된다.
자율형 청소 유닛(2)이 스테이션 유닛(5)의 충전 전극(3)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위치에서 폐기 뚜껑(42)이 개방되어 폐기구(41)가 먼지 이송관(25)에 연결되면(도 7), 용기 본체(38)의 내부 공간은 먼지 이송관(25) 및 2차 먼지용기(68)를 통해 2차 전동 송풍기(69)에 유체적으로 연결된다. 이 상태에서 2차 전동 송풍기(69)를 운전시키면, 용기 본체(38)의 내부에는 본체 케이스(11)의 흡입구(36)로부터 공기가 유입된다. 용기 본체(38)에 흘러들어간 공기류(F)는 용기 본체(38) 내의 먼지 중 섬유 부스러기나 티끌처럼 상대적으로 밀도가 낮은 먼지를 함께 폐기구(41)로부터 먼지 이송관(25)로 유출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진공청소기(1)는 거실에 방치되어있는 클립처럼, 섬유 부스러기나 티끌에 비해 밀도가 높은 먼지(DH)가 용기 본체(38)의 바닥벽(132)의 내면(132a)을 따라 축적되어 있어도, 용기 본체(38) 내의 공기류(F)의 분류(f)가 밀도 높은 먼지(DH)의 아래쪽에서 통풍로(133)를 유통함으로써 용기 본체(38) 내의 거의 모든 먼지를 폐기구(41)로부터 먼지 이송관(25)으로 유출시킨다.
흐름 필드(flow field)에서 벽면에서 떨어진 곳에 비해 벽면 근처에서는 유속을 충분히 얻을 수 없다. 즉, 종래의 전기 진공청소기처럼 바닥벽의 내면이 평활면인 경우, 섬유 부스러기나 티끌에 비해 밀도가 높은 먼지(DH)가 바닥벽의 내면을 따라 축적되어 버리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전기 진공청소기(1)의 분류(f)를 생성시킬 수 없어, 밀도 높은 먼지(DH) 주위에 충분한 유속을 얻지 못하여, 밀도 높은 먼지(DH)를 폐기구로 유출시키는 것이 어렵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진공청소기(1)는 통풍로(133)에 의해 용기 본체(38)의 바닥벽(132)의 내면(132a)을 따라 축적된 밀도 높은 먼지(DH) 주위에 공기의 흐름(분류 f)을 생성시켜서 폐기구(41)로 유출시킬만한 유속을 얻을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전기 진공청소기라도 고출력의 2차 전동 송풍기를 사용하여 용기 본체 내의 공기류의 유량이나 유속을 높이면, 밀도 높은 먼지(DH)를 용기 본체 내로부터 유출시킬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진공청소기(1)라면 통풍로(133)의 분류(f)를 생성시키기 위해 비교적 낮은 출력의 2차 전동 송풍기(69)라고 하여도 밀도 높은 먼지(DH)를 포함하여 모든 먼지(D)를 용기 본체(38) 내로부터 유출시킬 수 있다.
또한, 요철 형상의 통풍로(133)는 밀도가 높은 먼지(DH)와 용기 본체(38)의 내면(132a)과의 접촉 면적을 작게 하여 밀도 높은 먼지(DH)를 폐기구(41)로 쉽게 유출시키기도 한다. 그리고 통풍로(133)는 밀도가 높은 먼지(DH)를 부양시킬 수 있으면, 용기 본체(38)의 공기류(F)에 의해서도 밀도가 높은 먼지(DH)를 폐기구(41)로 유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통풍로(133)는 반드시 폐기구(41)를 향해 연장된 홈 형상의 형태뿐만 아니라, 공기류(F)의 분류(f)를 생성시킬 수 있는 한, 어떠한 방향으로 향하고 있어도 좋고, 격자 모양으로 늘어선 돌기 사이에 공기류를 발생하는 것이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진공청소기(1)는 1차 먼지용기(12)의 바닥벽(132)의 내면(132a)에 2차 전동 송풍기(69)가 생성시키는 부압에 의해 용기 본체(38) 내의 먼지(D)의 하부로 공기를 유통시키는 통풍로(133)를 적어도 하나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용기 본체(38)의 먼지(D)를 원활하게 폐기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진공청소기(1)는 폐기구(41) 쪽을 향해 공기를 유통시키는 통풍로(133)를 갖춤으로써, 통풍로(133)로 흐르는 분류(f)로 떠오른 먼지(D)를 용기 본체(38) 내의 공기류(F)에 실어서 원활하게 폐기구(41)로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진공청소기(1)는 각부가 둥글게 이루어진 모양의 통풍로(133)를 갖춤으로써, 먼지(D)가 통풍로(133)의 각부 부분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여 보다 원활하게 폐기구(41)로 이끌어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진공청소기(1)는 1차 먼지용기(12)의 바닥벽(132)의 내면(132a)을 따르는 방향의 폭 치수(w)보다 바닥벽(132)의 두께 방향의 깊이 치수(d)가 짧고 바닥이 얕은 통풍로(133)를 갖추고 있기 때문에, 통풍로(133)의 유로 단면적을 최대한 억제하면서 먼지(D)의 바닥면에 의해 유속이 높은 분류(f)를 더 광범위하게 작용시켜 먼지(D)를 쉽게 떠오르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진공청소기(1)는 1차 먼지용기(12)의 바닥벽(132)의 두께 방향의 깊이 치수(d)가 대략 일정한 통풍로(133)를 갖추고 있기 때문에, 먼지(D)가 1차 먼지용기(12)의 바닥의 어느 부분에 치우쳐 있었다고 해도, 적절한 분류(f)를 발생시켜 먼지(D)를 폐기구(41)로 이끌어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진공청소기(1)는 통풍로(133)가 1차 먼지용기(12)의 바닥벽(132)의 내면(132a)에 복수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먼지(D)가 1차 먼지용기(12)의 바닥의 어느 부분에 치우쳐 있었다고 해도, 적절한 분류(f)를 발생시켜 먼지(D)를 폐기구(41)로 이끌어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진공청소기(1)는 대략 등간격으로 늘어선 복수의 통풍로(133)를 갖춤으로써, 1차 먼지용기(12)의 바닥벽(132)의 넓은 범위에 대략 균일한 분류(f)를 생성시켜서, 먼지(D)가 1차 먼지용기(12)의 바닥의 어느 부분에 치우쳐 있었다고 해도 먼지(D)를 폐기구(41)로 이끌어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진공청소기(1)는 용기 본체(38)의 바닥벽(132)의 내면(132a)이 폐기구(41)를 향해 내리막 경사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먼지(D)를 폐기구(41)로 쉽게 이끌어간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진공청소기(1)에 따르면, 자율형 청소 유닛(2)의 1차 먼지용기(12)로부터 스테이션 유닛(5)으로 먼지(D)를 쉽게 폐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형태를 설명하였지만, 이러한 실시형태는 예시로 제시한 것이며,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의도하지 않았다. 이러한 신규 실시형태는 다른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생략, 치환, 변경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 및 그 변형은 발명의 범위와 요지에 포함되는 것임과 동시에,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발명과 그 균등한 범위에 포함된다.
1: 전기 진공청소기 2: 자율형 청소 유닛
3: 충전 전극 5: 스테이션 유닛
11: 본체 케이스 11a: 바닥
12: 1차 먼지용기 13: 1차 전동 송풍기
15: 이동부 16: 구동부
17: 로봇 제어부 18: 2차 전지
21: 받침대 22: 먼지 회수부
23: 한 쌍의 롤러 25: 먼지 이송관
25a: 밀봉부재 26: 레버
29: 전원 코드 31: 센터 브러시
32: 센터 브러시용 구동부 33: 사이드 브러시
35: 사이드 브러시용 구동부 36: 흡입구
37: 먼지용기구 38: 용기 본체
39: 연결부 41: 폐기구
42: 폐기 뚜껑 45: 구동륜
46: 선회륜 47: 충전 단자
48: 브러시 베이스부 49: 선 형상 청소체
61: 고층부 62: 저층부
63: 교차 방향 롤러 65: 정지용 롤러
66: 주행면 68: 2차 먼지용기
69: 2차 전동 송풍기 71: 함몰부
72: 복귀 확인 감지부 73: 제1 센서부
75: 제2 센서부 81: 본체
82: 뚜껑 83: 오흡입 방지부
85: 하류관 86: 밀봉면
87: 조부((爪)) 91: 압력 감지부
92: 통지부 93: 제어부
95: 먼지용기실 96: 송풍기실
97: 후크 101: 흡입구
102: 먼지용기 103: 토출구
105: 뚜껑 106: 넷 필터
107: 상류측 공간 108: 하류측 공간
109: 칸막이판 110: 2차 필터
111: 커버관 112: 팽출부
115: 제1 힌지기구 116: 제2 힌지기구
121: 통기공 123: 레버 리시버
125: 축 커버 126: 뚜껑 본체
127: 코일 스프링 131: 측벽
132: 바닥벽 132a: 내면
133: 통풍로 135: 오목부

Claims (8)

  1. 자율적으로 피청소면을 이동하여 상기 피청소면의 먼지를 포집하는 자율형 청소 유닛과,
    상기 자율형 청소 유닛에 유체적으로 연결 가능한 스테이션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자율형 청소 유닛은,
    상기 자율형 청소 유닛이 포집하는 먼지를 축적하고, 또한 먼지를 폐기하는 폐기구가 설치되는 바닥벽을 갖는 용기 본체와,
    상기 폐기구를 개폐하는 폐기 뚜껑을 구비하고,
    상기 스테이션 유닛은,
    상기 폐기구에 연결되는 먼지 이송관과,
    상기 먼지 이송관을 통해 상기 용기 본체로부터 폐기되는 먼지를 축적하는 2차 먼지용기와,
    상기 2차 먼지용기를 통해 상기 먼지 이송관에 흡입 부압을 생성시키는 2차 전동 송풍기를 구비하고,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바닥벽의 내면에는 상기 2차 전동 송풍기가 생성시키는 부압에 의해 상기 용기 본체 내의 먼지의 아래쪽으로 공기를 유통시키는 요철 형상의 통풍로가 적어도 하나 설치되어 있는, 전기 청소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풍로는 상기 폐기구쪽으로 향해 공기를 유통시키는, 전기 청소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통풍로는 각부가 둥글게 이루어진 모양인, 전기 청소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통풍로는 상기 바닥벽의 내면을 따르는 방향에서의 폭 치수보다 상기 바닥벽의 두께 방향에서의 깊이 치수가 작고 바닥이 얕은, 전기 청소기.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통풍로는 상기 바닥벽의 두께 방향에서의 깊이 치수가 일정한, 전기 청소기.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통풍로는 상기 바닥벽의 내면에 복수로 설치되어 있는, 전기 청소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통풍로는 등간격으로 배열되는, 전기 청소기.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바닥벽의 내면은 상기 폐기구를 향해 내리막 경사를 이루고 있는, 전기 청소기.
KR1020177004445A 2014-08-20 2015-08-12 전기 청소기 KR1019853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167653A JP6522905B2 (ja) 2014-08-20 2014-08-20 電気掃除機
JPJP-P-2014-167653 2014-08-20
PCT/JP2015/072860 WO2016027745A1 (ja) 2014-08-20 2015-08-12 電気掃除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1764A KR20170031764A (ko) 2017-03-21
KR101985303B1 true KR101985303B1 (ko) 2019-06-03

Family

ID=55350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4445A KR101985303B1 (ko) 2014-08-20 2015-08-12 전기 청소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143348B2 (ko)
EP (1) EP3184015B1 (ko)
JP (1) JP6522905B2 (ko)
KR (1) KR101985303B1 (ko)
CN (1) CN106687019B (ko)
CA (1) CA2957883C (ko)
MY (1) MY183908A (ko)
WO (1) WO201602774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38892B2 (en) * 2012-10-05 2017-01-10 Irobot Corporation Robot management systems for determining docking station pose including mobile robots and methods using same
US9788698B2 (en) * 2014-12-10 2017-10-17 Irobot Corporation Debris evacuation for cleaning robots
ES2829919T3 (es) * 2014-12-24 2021-06-02 Irobot Corp Estación de evacuación
JP6486255B2 (ja) * 2015-09-30 2019-03-20 シャープ株式会社 自走式掃除機
JP6648618B2 (ja) * 2016-04-14 2020-02-14 三菱電機株式会社 ごみ回収装置、電気掃除機及び掃除機システム
US11172608B2 (en) 2016-06-30 2021-11-16 Tti (Macao Commercial Offshore) Limited Autonomous lawn mower and a system for navigating thereof
CN109874487B (zh) 2016-06-30 2022-11-04 创科(澳门离岸商业服务)有限公司 一种自主式割草机及其导航系统
CN106586130B (zh) * 2017-02-04 2018-10-30 唐山盈德众创空间有限公司 一种usb产品包装机上的吸尘装置
JP7117085B2 (ja) * 2017-06-23 2022-08-12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電気掃除装置
USD867987S1 (en) * 2017-09-15 2019-11-26 Beijing Rockrobo Technology Co., Ltd. Base station
JP7133790B2 (ja) 2017-09-28 2022-09-0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検出装置
JP7153858B2 (ja) 2017-09-28 2022-10-1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捕集装置及び検出装置
US20190142233A1 (en) * 2017-11-16 2019-05-16 Irobot Corporation Washable bin for a robot vacuum cleaner
KR102455228B1 (ko) 2017-12-04 2022-10-18 삼성전자주식회사 로봇 청소기
US10335001B1 (en) * 2018-03-08 2019-07-02 Jiangsu Midea Cleaning Appliances Co., Ltd. Dust collection box and robot vacuum cleaner
US10595696B2 (en) 2018-05-01 2020-03-24 Sharkninja Operating Llc Docking station for robotic cleaner
KR102137164B1 (ko) * 2018-06-15 2020-07-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안내 로봇
BR112020026071B1 (pt) * 2018-06-22 2022-02-22 Bissell Inc Sistema e bandeja de limpeza
US11497363B2 (en) 2018-07-20 2022-11-15 Sharkninja Operating Llc Robotic cleaner debris removal docking station
CN114557630B (zh) 2018-10-22 2023-12-29 奥马克罗知识产权有限公司 空气处理装置
KR20200073966A (ko) * 2018-12-14 2020-06-24 삼성전자주식회사 진공 청소기와 도킹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청소 장치
CN109480714B (zh) * 2018-12-25 2023-10-03 北京享捷科技有限公司 一种扫地机器人吸尘充电装置以及吸尘充电方法
UA41384S (uk) * 2019-03-18 2020-04-27 Бейцзін Сяомі Мо Зарядне пристосування для прибирального пристрою
USD951859S1 (en) * 2019-08-15 2022-05-17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Charging base for robot vacuum cleaner
USD953974S1 (en) * 2019-11-14 2022-06-07 Echo Incorporated Housing for charging station for a wheeled battery-powered device
USD903961S1 (en) * 2020-03-10 2020-12-01 Shenzhen Modern Business Trading Co., Ltd. Robotic vacuum cleaner
USD906608S1 (en) * 2020-03-25 2020-12-29 Shenzhen WoMei Tech Co., Ltd. Robotic vacuum cleaner
EP4195990A4 (en) * 2020-08-14 2024-05-15 Irobot Corp EVACUATION DOCK WITH FLUID MANAGEMENT
TWI751837B (zh) * 2020-12-15 2022-01-01 和碩聯合科技股份有限公司 充電裝置
USD981061S1 (en) * 2021-04-12 2023-03-14 Zhichang Technology (Suzhou) Co., Ltd. Cleaning robot workstation
CN115371194B (zh) * 2022-09-28 2024-04-26 金鹏节能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风幕机安装的防虫构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11676A1 (en) 2010-07-15 2012-01-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Robot cleaner, maintenance station, and cleaning system having the same
US20120291809A1 (en) 2011-01-07 2012-11-22 Tucker Kuhe Evacuation sta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4146A (ko) * 2006-01-06 2007-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청소기 시스템
US7861366B2 (en) * 2006-04-04 2011-01-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Robot cleaner system having robot cleaner and docking station
EP2023788B1 (en) * 2006-05-19 2011-09-07 iRobot Corporation Removing debris from cleaning robots
JP6010722B2 (ja) * 2010-08-01 2016-10-19 ライフラボ株式会社 ロボット掃除機、塵埃排出ステーション及び多段サイクロン掃除機
KR101496913B1 (ko) 2010-11-03 2015-03-02 삼성전자 주식회사 로봇청소기와 자동배출 스테이션 및 이를 가지는 로봇청소기 시스템
KR101970584B1 (ko) 2011-09-01 2019-08-27 삼성전자주식회사 청소 시스템과 그 메인터넌스 스테이션
EP2570067A1 (en) * 2011-09-01 2013-03-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Autonomous clean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5827137B2 (ja) 2012-01-13 2015-12-02 シャープ株式会社 集塵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自走式掃除機〔6〕
US9003600B2 (en) * 2012-04-18 2015-04-14 Shop Vac Corporation Vacuum cleaner with noise reduction recesses
US20130305481A1 (en) * 2012-05-15 2013-11-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aintenance system and cleaning system having the same
JP2014094233A (ja) * 2012-11-12 2014-05-22 Toshiba Corp 電気掃除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11676A1 (en) 2010-07-15 2012-01-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Robot cleaner, maintenance station, and cleaning system having the same
US20120291809A1 (en) 2011-01-07 2012-11-22 Tucker Kuhe Evacuation st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6042921A (ja) 2016-04-04
CA2957883C (en) 2019-03-12
WO2016027745A1 (ja) 2016-02-25
EP3184015A4 (en) 2018-05-30
US20170273532A1 (en) 2017-09-28
CN106687019B (zh) 2019-05-10
JP6522905B2 (ja) 2019-05-29
EP3184015B1 (en) 2019-08-07
KR20170031764A (ko) 2017-03-21
EP3184015A1 (en) 2017-06-28
US10143348B2 (en) 2018-12-04
MY183908A (en) 2021-03-17
CA2957883A1 (en) 2016-02-25
CN106687019A (zh) 2017-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5303B1 (ko) 전기 청소기
KR101985391B1 (ko) 전기청소기
KR101965776B1 (ko) 전기청소기
JP2016015974A (ja) 電気掃除機
JP6548875B2 (ja) 塵埃集塵部および電気掃除機
KR20180038514A (ko) 전기 청소 장치
JP6489893B2 (ja) 電気掃除機
JP2017104334A (ja) 電気掃除装置
JP2017104335A (ja) 電気掃除装置
JP2016041297A (ja) 集塵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自走式掃除機
JP6313142B2 (ja) 電気掃除機
JP2017055835A (ja) 電気掃除装置
JP5933097B2 (ja) 集塵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自走式掃除機
KR20240047182A (ko) 로봇 청소기 및 청소기 시스템
JP2017131339A (ja) 電気掃除装置
JP2016041300A (ja) 集塵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自走式掃除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