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4651B1 - 미세먼지·유해물질 저감형 이동식 매립폐기물 적층매립장치 - Google Patents

미세먼지·유해물질 저감형 이동식 매립폐기물 적층매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4651B1
KR101984651B1 KR1020180119199A KR20180119199A KR101984651B1 KR 101984651 B1 KR101984651 B1 KR 101984651B1 KR 1020180119199 A KR1020180119199 A KR 1020180119199A KR 20180119199 A KR20180119199 A KR 20180119199A KR 101984651 B1 KR101984651 B1 KR 1019846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thrust
trailer
trust
arcu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91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현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엔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엔텍
Priority to KR10201801191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46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46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4651B1/ko
Priority to DE202019004091.9U priority patent/DE202019004091U1/d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1/00Dumping solid was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1/00Dumping solid waste
    • B09B1/004Covering of dumping si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3/00Vehicles particularly adapted for collecting refu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30Landfill technologies aiming to mitigate methane emis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기존의 매립지용 에어돔의 경우에, 폭설과 폭우로 인해, 에어돔의 천장부위가 비나 눈의 무게를 이기지 못해 찢어져서, 붕괴되는 사고가 빈번하여, 에어돔 자체를 수거하고 처리하는데 시간과 비용이 많이 발생되는 문제점과, TFS(텐션드 페브릭 스트락쳐 : Tensioned Fabric Structure)의 막구조물 경우에, 한번 설치하는데 시간과 비용이 많이 발생 되고, 설치 후 다른 장소로 이동이 어려워 매립지용으로는 사용이 힘든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이동식 트러스트 장치(1), 트러스트 이송레일부(2)가 구성됨으로서, 매립폐기물을 적층매립시키도록 전후상하좌우의 밀폐된 공간을 형성시킨 후, 적층매립이 완료되면, 내부공간에 적층매립이 완료된 매립폐기물 무더기를 그대로 놔둔채, 바닥면에 트러스트이송레일부를 따라 X축방향, Y축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어, 매립폐기물 적층매립량을 기존에 80% 증가시킬 수 있고, 매립폐기물 적층매립속도를 기존에 비해 2배~4배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일반적인 콘크리트 건축물과 달리 양생기간이 필요치 않고, 자중이 적어 경량구조체의 지붕재로 사용할 수 있어, 사전주문 제작하여 현장설치를 하므로 설치시간을 기존에 비해 70% 단축시킬 수가 있고, 1차로, 상하좌우밀폐공간에서 발생되는 매립폐기물의 미세먼지를 외부로 퍼져나가는 방지할 수 있고, 2차로, 내부공간에서 매립폐기물을 적층매립시, 물분사와 집진장치를 통해 2차로 방지할 수 있어, 매립폐기물 적층매립시 발생되는 미세먼지 발생율을 기존에 비해 80% 차단시킬 수 있으며, 별도의 추가운송장비 설치없이, 이동식 트러스트 장치를 5km/h~30km/h의 속도로 자체동력수단과 무선 제어방식을 통해, 또 다른 이웃하는 매립폐기물 적층매립지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어, 매립폐기물 매립지 뿐만 아니라, 생활쓰레기매립지, 터파기 공사현장에 널리 응용시켜, 매립공사 및 터파기공사를 통한 미세먼지 분산과 발생을 80% 방지할 수 있는 미세먼지·유해물질 저감형 이동식 매립폐기물 적층매립장치 및 이를 통한 이동식 매립폐기물적층매립공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미세먼지·유해물질 저감형 이동식 매립폐기물 적층매립장치{THE APPARATUS OF MOVABLE CONSTRUCTION WASTE FOR LAMINATED LANDFILL}
본 발명은 사업장일반폐기물이나 지정폐기물 등과 같은 매립폐기물을 적층매립시키도록 전후상하좌우의 밀폐된 공간을 형성시킨 후, 적층매립이 완료되면, 내부공간에 적층매립이 완료된 매립폐기물 무더기를 그대로 놔둔채, 바닥면에 트러스트이송레일부를 따라 이동식 트러스트 장치만을 X축방향, Y축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미세먼지·유해물질 저감형 이동식 매립폐기물 적층매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돔은 지역 매립장(매립폐기물)에 주로 활용되고 있다.
매립장이 혐오시설이지만 에어돔으로 덮을 경우 미관상 거부감을 줄일 수 있고, 미세먼지의 배출을 저감시킬 수 있다.
하지만, 폭설과 폭우로 인해, 에어돔의 천장부위가 비나 눈의 무게를 이기지 못해 찢어져서, 붕괴되는 사고가 빈번하여, 붕괴된 에어돔은 수리가 매우 어렵고, 그 시간과 비용이 많이 발생되는 문제점과 함께 수리하는 기간 동안에는 매립된 폐기물이 외부로 그대로 노출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TFS(텐션드 페브릭 스트락쳐 : Tensioned Fabric Structure)의 막구조물이 제시된 바 있으나, 이는 한번 설치하는데 시간과 비용이 많이 발생 되고, 설치 후 다른 장소로 이동이 어려워 큰 면적을 사용하는 매립지용으로는 사용이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0469040호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매립폐기물을 적층매립시키도록 전후상하좌우의 밀폐된 공간을 형성시킨 후, 적층매립이 완료되면, 내부공간에 적층매립이 완료된 매립폐기물 무더기를 그대로 놔둔채, 바닥면에 트러스트이송레일부를 따라 X축방향, Y축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일반적인 콘크리트 건축물과 달리 양생기간이 필요치 않고, 자중이 적어 경량구조체의 지붕재로 사용할 수 있어, 사전주문 제작하여 현장설치할 수 있으며, 1차로, 상하좌우밀폐공간에서 발생되는 매립폐기물의 미세먼지나 유해물질 등이 외부로 퍼져나가는 방지할 수 있고, 2차로, 내부공간에서 매립폐기물을 적층매립시, 물분사와 집진장치를 통해 다시한번 미세먼지나 유해물질의 외부 방출을 방지할 수 있고, 별도의 추가운송장비 설치없이, 이동식 트러스트 장치를 5km/h~30km/h의 속도로 자체동력수단과 무선 제어방식을 통해, 또 다른 이웃하는 매립폐기물 적층매립지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미세먼지·유해물질 저감형 이동식 매립폐기물 적층매립장치 및 이를 통한 이동식 매립폐기물적층매립공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유해물질 저감형 이동식 매립폐기물 적층매립장치는
매립폐기물을 적층매립시키도록 전후상하좌우의 밀폐된 공간을 형성시킨 후, 적층매립이 완료되면, 내부공간에 적층매립이 완료된 매립폐기물 무더기를 그대로 놔둔채, 바닥면에 트러스트이송레일부를 따라 X축방향, Y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식 트러스트 장치(1)와,
바닥면에 X축, Y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이동식 트러스트 장치와 짝을 이루며, 이동식트러스트장치가 특정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안내시키는 트러스트 이송레일부(2)로 구성됨으로서 달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첫째, 매립폐기물을 적층매립시키도록 전후상하좌우의 밀폐된 공간을 형성시킨 후, 적층매립이 완료되면, 내부공간에 적층매립이 완료된 매립폐기물 무더기를 그대로 놔둔채, 바닥면에 트러스트이송레일부를 따라 X축방향, Y축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어, 매립폐기물 적층매립량을 기존에 80% 증가시킬 수 있다.
둘째, 매립폐기물 적층매립속도를 기존에 비해 2배~4배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일반적인 콘크리트 건축물과 달리 양생기간이 필요치 않고, 자중이 적어 경량구조체의 지붕재로 사용할 수 있어, 사전주문 제작하여 현장설치를 하므로 설치시간을 기존에 비해 70% 단축시킬 수가 있다.
셋째, 1차로, 상하좌우밀폐공간에서 발생되는 매립폐기물의 미세먼지나 유해물질이 외부로 퍼져나가는 방지할 수 있고, 2차로, 내부공간에서 매립폐기물을 적층매립시, 물분사와 집진장치를 통해 2차로 방지할 수 있어, 매립폐기물 적층매립시 발생되는 미세먼지 발생율을 기존에 비해 80% 차단시킬 수 있다.
넷째, 별도의 추가운송장비 설치없이, 이동식 트러스트 장치를 5km/h~30km/h의 속도로 자체동력수단과 무선 제어방식을 통해, 또 다른 이웃하는 매립폐기물 적층매립지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어, 매립폐기물 매립지 뿐만 아니라, 생활쓰레기매립지, 터파기 공사현장에 널리 응용시켜, 매립공사 및 터파기공사를 통한 미세먼지 분산과 발생을 80%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유해물질 저감형 이동식 매립폐기물 적층매립장치(A)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유해물질 저감형 이동식 매립폐기물 적층매립장치(A) 중 이동식 트러스트 장치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트러스트 장치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아치형 트러스트모듈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바라식 아치형 트러스트모듈의 아치형 트러스트모듈 + 자바라형 이동 트레일러모듈의 이동식 트레일러모듈로 이루어진 이동식 트러스트 장치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無(무)자바라식 아치형 트러스트모듈의 아치형 트러스트모듈 + 자바라형 이동 트레일러모듈의 이동식 트레일러모듈로 이루어진 이동식 트러스트 장치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無(무)자바라식 아치형 트러스트모듈의 아치형 트러스트모듈 + 無(무)자바라형 이동 트레일러모듈의 이동식 트레일러모듈로 이루어진 이동식 트러스트 장치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無(무)자바라식 아치형 트러스트모듈의 아치형 트러스트모듈 + 無(무)자바라형 이동 바퀴모듈의 이동식 트레일러모듈로 이루어진 이동식 트러스트 장치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자바라식 아치형 트러스트모듈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자바라식 아치형 트러스트모듈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無(무)자바라식 아치형 트러스트모듈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無(무)자바라식 아치형 트러스트모듈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원단부가 제2 아치형 트러스트부를 따라 덮개식으로 씌워져 형성되는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트레일러모듈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바라형 이동 트레일러모듈이 자바라식 아치형 트러스트모듈과 결합된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無(무)자바라형 이동 트레일러모듈이 無(무)자바라식 아치형 트러스트모듈과 결합된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無(무)자바라형 이동 바퀴모듈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無(무)자바라형 이동 바퀴모듈이, 고무자바라 및 이동 트레일러 없이, 이동바퀴와 이동수단만이 형성된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자바라형 이동 트레일러모듈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자바라형 이동 트레일러모듈가 박스형상의 열차구조로 형성된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이동 트레일러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도,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이동 트레일러부의 제1 구동바퀴 구성요소를 확대한 일실시예도,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無(무)자바라형 이동 트레일러모듈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도,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無(무)자바라형 이동 트레일러모듈이 박스형상의 병렬구조로 형성된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이동 트레일러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도,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無(무)자바라형 이동 바퀴모듈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도,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제어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회로도,
도 28은 본 발명에 따른 제1,2,3 구동바퀴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9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트러스트 장치가 매립폐기물 적층매립지의 바닥면에 형성된 트러스트이송레일부를 따라 X축방향, Y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30은 본 발명에 따른 전면밀폐커버모듈의 차량입구를 통해, 차량이 진입하면서 매립폐기물을 투하시키는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3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면밀폐커버모듈은 그대로 전면을 밀폐시킨상태로 있고, 후면밀폐커버모듈이 후면원단자동롤링부를 통해 후면이 개방된 상태에서 이동되어, 내부공간에 적층매립이 완료되면, 매립폐기물 무더기만을 남긴 채, 자바라식 아치형 트러스트모듈의 아치형 트러스트모듈 + 자바라형 이동 트레일러모듈의 이동식 트레일러모듈로 이루어진 이동식 트러스트 장치만을 이동시키는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첨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유해물질 저감형 이동식 매립폐기물 적층매립장치(A)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구성도에 관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유해물질 저감형 이동식 매립폐기물 적층매립장치(A) 중 이동식 트러스트 장치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도에 관한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트러스트 장치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에 관한 것으로, 이는 이동식 트러스트 장치(1), 트러스트 이송레일부(2)로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유해물질 저감형 이동식 매립폐기물 적층매립장치(A)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바라식 아치형 트러스트모듈의 아치형 트러스트모듈 + 자바라형 이동 트레일러모듈의 이동식 트레일러모듈로 이루어진 이동식 트러스트 장치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無(무)자바라식 아치형 트러스트모듈의 아치형 트러스트모듈 + 자바라형 이동 트레일러모듈의 이동식 트레일러모듈로 이루어진 이동식 트러스트 장치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無(무)자바라식 아치형 트러스트모듈의 아치형 트러스트모듈 + 無(무)자바라형 이동 트레일러모듈의 이동식 트레일러모듈로 이루어진 이동식 트러스트 장치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無(무)자바라식 아치형 트러스트모듈의 아치형 트러스트모듈 + 無(무)자바라형 이동 바퀴모듈의 이동식 트레일러모듈로 이루어진 이동식 트러스트 장치로 이루어진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트러스트 장치(1)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이동식 트러스트 장치(1)는 매립폐기물을 적층매립시키도록 전후상하좌우의 밀폐된 공간을 형성시킨 후, 적층매립이 완료되면, 내부공간에 적층매립이 완료된 매립폐기물 무더기를 그대로 놔둔채, 바닥면에 트러스트이송레일부를 따라 X축방향, Y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트러스트본체(10), 아치형 트러스트모듈(20), 이동식 트레일러모듈(30), 전면밀폐커버모듈(40), 후면밀폐커버모듈(50), 무선통신모듈(60), 스마트제어부(70)로 구성된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메인트러스트본체(1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메인트러스트본체(10)는 매립폐기물을 적층매립시키도록 전후상하좌우의 밀폐된 공간을 형성시키면서, 각 기기를 외압으로부터 보호하고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아치형상구조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아치형상으로 형성시키는 이유는 밀폐공간의 높이를 높게 형성시키고, 비나 눈과 같은 이물질이 외부표면에 적층되더라도 붕괴되지 않고, 좌우 측면을 물줄기를 따라 배수낙하되도록 유도시키기 위함이다.
상기 메인트러스트본체는 상단일측에 아치형 트러스트모듈이 형성되고, 아치형 트러스트모듈 하단에 이동식 트레일러모듈이 형성되며, 전면방향에 전면밀폐커버모듈이 형성되고, 후면방향에 후면밀폐커버모듈이 형성되며, 이동식 트레일러모듈의 내부공간 일측에 무선통신모듈이 형성되고, 무선통신모듈 일측에 스마트 제어부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메인트러스트본체는 내부공간 일측에, 물분사노즐과 물탱크로 이루어진 물분사장치(80)와, 미세먼지흡입팬과 흡입팬구동모터로 이루어진 집진장치(9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메인트러스트본체(10)는 가로 50m ~ 300m, 세로 50m ~ 500m, 높이 10m~20m 크기로 사용목적과 용도에 맞게 다양하게 형성된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아치형 트러스트모듈(2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아치형 트러스트모듈(20)은 메인트러스트본체의 상단인, 이동식 트레일러모듈의 상부면에 위치되고, 아치형상으로 탈부착 결합되어, 지붕역할을 수행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바라식 아치형 트러스트모듈(210), 無(무)자바라식 아치형 트러스트모듈(220)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구성된다.
[ 자바라식 아치형 트러스트모듈(210)]
상기 자바라식 아치형 트러스트모듈(210)은 이웃하는 아치형 트러스트 사이에 고무자바라형 원단이 연결막으로 형성되어, 지붕역할을 하면서, 충격완충과, 곡선레일을 따라 곡선주행되도록 보조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아치형 모듈본체(211), 제1 아치형 트러스트부(212), 제1 원단부(213), 고무자바라형 원단부(214)로 구성된다.
상기 제1 아치형 모듈본체(211)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기기를 외압으로부터 보호하고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아치형 트러스트부(212)는 제1 아치형 모듈본체의 상단부에 위치되어 뼈대를 형성하면서, 이동식 트레일러모듈의 상부면과 탈부착식으로 결합되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하단 트러스트(212a), 제1 중단 트러스트(212b), 제1 상단 트러스트(212c)가 하나의 세트를 이루며 하나의 제1 아치형 트러스트부를 형성시킨다.
그리고, 이렇게 구성된 제1 아치형 트러스트부와 또 다른 이웃하는 제1 아치형 트러스트부가 복수개로 병렬형태로 나열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 하단 트러스트(212a), 제1 중단 트러스트(212b), 제1 상단 트러스트(212c)는 스틸 TFS, 알루미늄 TFS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1 원단부(213)는 제1 아치형 트러스트부를 따라 덮개식으로 씌워져 형성되어, 외부에서 내부공간으로 이물질(비, 눈, 먼지)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내부공간에서 발생된 먼지(미세먼지)가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Polyester를 기초포로 한 PVDF 막재, PVF 막재, PTFE 막재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구성된다.
상기 PVDF 막재는 Polyester를 기초포로 하여 양면에 PVC, PVA, RUBBER등의 수지를 일정량 도포한 후 액상의 불소수지를 수회 코팅한 막재의 약칭이다.
상기 PVF 막재는 Polyester를 기초포로 하여 양면에 PVC, PVA, RUBBER등의 수지를 일정량 도포한 후, 불소필름을 막재 표면에 접착시킨 막재의 약칭으로서, PVC 막재는 난연성 특성을 가진다.
상기 PTFE(테프론)막재는 유리섬유(Fiber Glass)를 기초포로 사용하여 액상 불소수지를 수차례에 걸쳐 침투시켜 숙성시킨 원단으로 강한 인장강도를 가진다.
상기 고무자바라형 원단부(214)는 제1 아치형 트러스트부와 또 다른 이웃하는 제1 아치형 트러스트부와 연결되는 사이에 위치되어, 제1 아치형 트러스트부로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시키면서 곡선레일을 따라 제1 아치형 트러스트부가 곡선주행되도록 보조해주는 역할을 한다.
[無(무)자바라식 아치형 트러스트모듈(220)]
상기 無(무)자바라식 아치형 트러스트모듈(220)은 고무자바라형 원단없이 아치형 트러스트들끼리 결합되어, 지붕역할을 한다.
이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아치형 모듈본체(221), 제2 아치형 트러스트부(222), 제2 원단부(223)로 구성된다.
상기 제2 아치형 모듈본체(221)는 각 기기를 외압으로부터 보호하고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치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2 아치형 트러스트부(222)는 제2 아치형 모듈본체의 상단부에 위치되어 뼈대를 형성하면서, 이동식 트레일러모듈의 상부면과 탈부착식으로 결합되는 역할을 한다.
이는 제2 하단 트러스트(222a), 제2 중단 트러스트(222b), 제2 상단 트러스트(222c)가 하나의 세트를 이루며 하나의 제2 아치형 트러스트부를 형성시킨다.
그리고, 이렇게 구성된 제2 아치형 트러스트부와 또 다른 이웃하는 제2 아치형 트러스트부가 복수개의 병렬형태로 형성된다.
여기서, 제2 하단 트러스트(222a), 제2 중단 트러스트(222b), 제2 상단 트러스트(222c)는 스틸 TFS, 알루미늄 TFS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2 원단부(223)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아치형 트러스트부를 따라 덮개식으로 씌워져 형성되어, 외부에서 내부공간으로 이물질(비, 눈, 먼지)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내부공간에서 발생된 먼지(미세먼지)가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Polyester를 기초포로 한 PVDF 막재, PVF 막재, PTFE 막재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구성된다.
상기 PVDF 막재는 Polyester를 기초포로 하여 양면에 PVC, PVA, RUBBER등의 수지를 일정량 도포한 후 액상의 불소수지를 수회 코팅한 막재의 약칭이다.
상기 PVF 막재는 Polyester를 기초포로 하여 양면에 PVC, PVA, RUBBER등의 수지를 일정량 도포한 후 미국의 듀폰사에서 수입한 불소필림을 막재 표면에 접착시킨 막재의 약칭으로 PVC 막재는 난연성 제품이다
상기 PTFE(테프론)막재는 유리섬유(Fiber Glass)를 기초포로 사용하여 액상 불소수지를 수차례에 걸쳐 침투시켜 숙성시킨 원단으로 강한 인장강도를 가진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트레일러모듈(3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이동식 트레일러모듈(30)은 메인트러스트본체의 좌측면 일측과 우측면 일측에 형성되어, 상단방향으로 아치형 트러스트모듈을 탈부착결합시키고, 내부공간에 적층매립이 완료된 매립폐기물 무더기를 그대로 놔둔채, 매립폐기물 적층매립지의 바닥면에 형성된 트러스트이송레일부를 따라 자체 기계의 힘으로, X축방향 또는 Y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바라형 이동 트레일러모듈(310), 無(무)자바라형 이동 트레일러모듈(320), 無(무)자바라형 이동 바퀴모듈(330)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구성된다.
[ 자바라형 이동 트레일러모듈(310)]
상기 자바라형 이동 트레일러모듈(310)은 박스형상의 이동 트레일러 사이에 고무자바라가 형성되어, 충격완충과 함께, 상단방향으로 아치형 트러스트모듈을 탈부착결합시키고, 트러스트이송레일부를 따라 자체 기계의 힘으로, 메인트러스트본체를 X축방향 또는 Y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15 및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트레일러본체(311), 제1 이동 트레일러부(312), 제1 고무자바라부(313)로 구성된다.
상기 제1 트레일러본체(311)는 박스형상의 열차구조로 이루어져 각 기기를 외압으로부터 보호하고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박스형상의 열차구조로 이루어지고, 하단 좌우측면 일측에 제1 이동 트레일러부가 형성되고, 제1 이동 트레일러부와 이웃하는 또 다른 제1 이동 트레일러부 사이에 제1 고무자바라부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1 이동 트레일러부(312)는 제1 트레일러본체의 하단 좌우측면에 위치되어, 아치형 트러스트모듈을 탈부착결합시켜 지지해주면서 트러스트이송레일부를 따라 자체 기계의 힘으로 X축방향 또는 Y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구동모터(312a), 제1 구동바퀴(312b), 제1 조향장치부(312c), 제1 완충장치부(312d)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1 구동모터(312a)는 회전력을 생성시켜 제1 구동바퀴로 전달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구동바퀴(312b)는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X축방향 또는 Y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일측에 제동장치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1 조향장치부(312c)는 원격지의 중앙제어서버 및 현장의 스마트디바이스로부터 조향제어신호를 수신받아, 아치형 트러스트모듈을 X축방향 또는 Y축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조향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완충장치부(312d)는 제1 구동바퀴와 바퀴 프레임사이에 위치되어, 코니컬 스프링을 통해 충격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고무자바라부(313)는 제1 이동 트레일러부와 이웃하는 또 다른 제1 이동 트레일러부 사이에 위치되어, 충격완충과 함께, 상단방향으로 탈부착결합시킨 아치형 트러스트모듈이 레일을 따라 곡선이동시, 뒤틀리지 않게 휘어지면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無(무)자바라형 이동 트레일러모듈(320)]
상기 無(무)자바라형 이동 트레일러모듈(320)은 고무자바라 없이, 박스형상의 이동트레일러가 서로 결합 형성되어, 상단방향으로 아치형 트러스트모듈을 탈부착결합시키고, 트러스트이송레일부를 따라 자체 기계의 힘으로, 메인트러스트본체를 X축방향 또는 Y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16 및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트레일러본체(321), 제2 이동 트레일러부(322)로 구성된다.
상기 제2 트레일러본체(321)는 박스형상의 병렬구조로 이루어져 각 기기를 외압으로부터 보호하고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박스형상의 병렬구조로 이루어지고, 하단 좌우측면 일측에 제2 이동 트레일러부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2 이동 트레일러부(322)는 제2 트레일러본체의 하단 좌우측면에 위치되어, 아치형 트러스트모듈을 탈부착결합시켜 지지해주면서 트러스트이송레일부를 따라 자체 기계의 힘으로 X축방향 또는 Y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구동모터(322a), 제2 구동바퀴(322b), 제2 조향장치부(322c), 제2 완충장치부(322d)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2 구동모터(322a)는 회전력을 생성시켜 제2 구동바퀴로 전달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 구동바퀴(322b)는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X축방향 또는 Y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바퀴 프레임이 형성되고, 바퀴 프레임 일측에 제동장치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2 조향장치부(322c)는 원격지의 중앙제어서버 및 현장의 스마트디바이스로부터 조향제어신호를 수신받아, 아치형 트러스트모듈을 X축방향 또는 Y축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조향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 완충장치부(322d)는 제2 구동바퀴와 바퀴 프레임사이에 위치되어, 제2 구동바퀴와 바퀴 프레임사이에 위치되어, 코니컬 스프링을 통해 충격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無(무)자바라형 이동 바퀴모듈(330)]
상기 無(무)자바라형 이동 바퀴모듈(330)은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무자바라 및 이동 트레일러 없이, 이동바퀴와 이동수단만이 형성되어, 상단방향으로 아치형 트러스트모듈을 탈부착결합시키고, 트러스트이송레일부를 따라 자체 기계의 힘으로, 메인트러스트본체를 X축방향 또는 Y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17 및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구동모터(331), 제3 구동바퀴(332), 제3 조향장치부(333), 제3 완충장치부(334)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3 구동모터(331)는 회전력을 생성시켜 제3 구동바퀴로 전달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3 구동바퀴(332)는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X축방향 또는 Y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일측에 제동장치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3 조향장치부(333)는 원격지의 중앙제어서버 및 현장의 스마트디바이스로부터 조향제어신호를 수신받아, 제3 구동바퀴가 X축방향 또는 Y축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조향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3 완충장치부(334)는 제3 구동바퀴와 바퀴 프레임사이에 위치되어,제1 구동바퀴와 바퀴 프레임사이에 위치되어, 코니컬 스프링을 통해 충격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넷째, 본 발명에 따른 전면밀폐커버모듈(4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전면밀폐커버모듈(40)은 이동식 트레일러모듈과 아치형 트러스트모듈이 결합된 상태에서 차량입구쪽을 기준으로 한 전면을 원단을 통해 밀폐시켜, 외부에서 내부공간으로 이물질(비, 눈, 먼지)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내부공간에서 발생된 먼지(미세먼지)나 유해물질이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원단은 Polyester를 기초포로 한 PVDF 막재, PVF 막재, PTFE 막재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구성된다.
상기 PVDF 막재는 Polyester를 기초포로 하여 양면에 PVC, PVA, RUBBER등의 수지를 일정량 도포한 후 액상의 불소수지를 수회 코팅한 막재의 약칭이다.
상기 PVF 막재는 Polyester를 기초포로 하여 양면에 PVC, PVA, RUBBER등의 수지를 일정량 도포한 후, 불소필름을 막재 표면에 접착시킨 막재의 약칭으로서, PVC 막재는 난연성 특성을 가진다.
상기 PTFE(테프론)막재는 유리섬유(Fiber Glass)를 기초포로 사용하여 액상 불소수지를 수차례에 걸쳐 침투시켜 숙성시킨 원단으로 강한 인장강도를 가진다.
상기 전면밀폐커버모듈(40)은 일측에 차량입구가 형성된다.
또한, 전면밀폐커버모듈(40)은 전면원단자동롤링부(41)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전면원단자동롤링부(41)는 스마트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되어, 이동식 트레일러모듈과 아치형 트러스트모듈의 전면 일측에 위치되어, 이동식 트레일러모듈과 아치형 트러스트모듈을 통해 원단을 하상방향으로 자동으로 감아서 개방시키거나 또는 상하방향으로 자동으로 풀어서 원단을 통해 전면을 밀폐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전면원단개방모드, 전면원단밀폐모드로 구성된다.
상기 전면원단개방모드는 전후상하좌우의 밀폐된 공간형상에 따라 매립폐기물의 적층매립이 완료되었을 때, 내부공간에 적층매립이 완료된 매립폐기물 무더기를 그대로 놔둔채, 쏘옥 빠져나오도록 하기 위해, 전면원단개방이 스마트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것을 말한다.
또한, 전면원단밀폐모드는 전후상하좌우의 밀폐된 공간에 매립폐기물을 적층매립시, 내부공간에서 발생된 먼지(미세먼지)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전면원단밀폐가 스마트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에서는 전단원단밀폐모드를 통해, 전단원단을 밀폐시킨 상태에서도 적층매립이 완료된 매립폐기물 무더기를 그대로 놔둔채, X축, Y축으로 이송시키도록 구성된다.
다섯째, 본 발명에 따른 후면밀폐커버모듈(5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후면밀폐커버모듈(50)은 이동식 트레일러모듈과 아치형 트러스트모듈이 결합된 상태에서, 전면밀폐커버모듈의 반대편에 위치한 후면을 원단을 통해 밀폐시켜, 외부에서 내부공간으로 이물질(비, 눈, 먼지)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내부공간에서 발생된 먼지(미세먼지)나 유해물질이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후면원단자동롤링부(51)로 구성된다.
상기 후면원단자동롤링부(51)는 스마트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되어, 이동식 트레일러모듈과 아치형 트러스트모듈의 후면 일측에 위치되어, 이동식 트레일러모듈과 아치형 트러스트모듈을 통해 원단을 하상방향으로 자동으로 감아서 개방시키거나 또는 상하방향으로 자동으로 풀어서 원단을 통해 후면을 밀폐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후면원단개방모드, 후면원단밀폐모드로 구성된다.
상기 후면원단개방모드는 전후상하좌우의 밀폐된 공간형상에 따라 매립폐기물의 적층매립이 완료되었을 때, 내부공간에 적층매립이 완료된 매립폐기물 무더기를 그대로 놔둔채, 쏘옥 빠져나오도록 하기 위해, 후면원단개방이 스마트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것을 말한다.
또한, 후면원단밀폐모드는 전후상하좌우의 밀폐된 공간에 매립폐기물을 적층매립시, 내부공간에서 발생된 먼지(미세먼지)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후면원단밀폐가 스마트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것을 말한다.
여섯째,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모듈(6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무선통신모듈(60)은 메인트러스트본체의 내부공간 일측에 위치되어, 스마트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근거리에 위치한 스마트 디바이스 또는 원거리에 위치한 중앙관리서버로부터 이동방향 및 이동속도에 관한 제어명령신호를 수신받아 스마트제어부로 전송시키고, 스마트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현재 미세먼지·유해물질 저감형 이동식 매립폐기물 적층매립장치의 구동상태 및 고장유무를 근거리에 위치한 스마트 디바이스 또는 원거리에 위치한 중앙관리서버쪽으로 전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무선통신모듈로서 WiFi통신모듈이 구성된다.
상기 WiFi통신모듈은 무선기술을 접목한 것으로, 고성능 무선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무선랜 기술로 구성된다.
상기 무선랜은 네트워크 구축시 유선을 사용하지 않고 전파나 빛등을 이용하여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방식으로서, 2.4GHz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모듈은 근거리무선통신모듈, 이동통신(5G, 4G, 3G)모듈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이루어진다.
일곱째,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제어부(7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스마트제어부(70)는 각 기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면서,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전송된 이동방향 및 이동속도에 관한 제어명령신호에 따라 메인트러스트본체의 구동을 제어하고, 특정주기별로 현재 미세먼지·유해물질 저감형 이동식 매립폐기물 적층매립장치의 구동상태 및 고장유무를 무선통신모듈로 전송시키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마이크로컴퓨터로 구성된다.
즉,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단자 일측에 키패드부가 연결되어, 각 기기의 전원온오프 및 이동속도, 이동방향을 입력받고, 출력단자 일측에 제1 구동모터가 연결되어, 제1 구동모터쪽으로 출력신호를 보내어, 회전력을 생성시켜 제1 구동바퀴로 전달시키도록 제어하고, 또 다른 출력단자 일측에 제1 조향장치부가 연결되어, 아치형 트러스트모듈을 X축방향 또는 Y축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조향시키도록 제어하며, 또 다른 출력단자 일측에 제2 구동모터가 연결되어, 제2 구동모터쪽으로 출력신호를 보내어, 회전력을 생성시켜 제2 구동바퀴로 전달시키도록 제어하고, 또 다른 출력단자 일측에 제2 조향장치부가 연결되어, 아치형 트러스트모듈을 X축방향 또는 Y축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조향시키도록 제어하며, 또 다른 출력단자 일측에 제3 구동모터가 연결되어, 제3 구동모터쪽으로 출력신호를 보내어, 회전력을 생성시켜 제3 구동바퀴로 전달시키도록 제어하고, 또 다른 출력단자 일측에 제3 조향장치부가 연결되어, 제3 구동바퀴가 X축방향 또는 Y축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조향시키도록 제어하며, 또 다른 출력단자 일측에 후면원단자동롤링부가 연결되어, 이동식 트레일러모듈과 아치형 트러스트모듈을 통해 원단을 하상방향으로 자동으로 감아서 개방시키거나 또는 상하방향으로 자동으로 풀어서 원단을 통해 후면을 밀폐시키도록 제어하고, RX단자 일측에 수신용 무선통신모듈이 연결되어, 근거리에 위치한 스마트 디바이스 또는 원거리에 위치한 중앙관리서버로부터 이동방향 및 이동속도에 관한 제어명령신호를 수신받고, TX단자 일측에 송신용 무선통신모듈이 연결되어, 근거리에 위치한 스마트 디바이스 또는 원거리에 위치한 중앙관리서버쪽으로, 특정주기별로 현재 미세먼지·유해물질 저감형 이동식 매립폐기물 적층매립장치의 구동상태 및 고장유무를 송신시키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트러스트 이송레일부(2)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트러스트 이송레일부(2)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면에 X축, Y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이동식 트러스트 장치와 짝을 이루며, 이동식트러스트장치가 특정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안내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요홈형 강관재질로 이루어진 직선이송레일, 곡선이송레일로 구성된다.
매립폐기물적층매립지의 경우에 지상에서 지하로 수십m~수백m의 터파기 공사를 한 후, 경사진 이동로를 나선형구조로 형성시킨다.
이어서, 경사진 이동로 상에 트러스트 이송레일용 콘크리트 매설공사를 하여, 경사진 이동로 상에 트러스트 이송레일부를 형성시킨다.
상기 트러스트 이송레일부(2)는 하나의 이송레일로 이루어진 단일형 트러스 이송레일과, 두개의 이송레일로 이루어진 트윈형 트러스이송레일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유해물질 저감형 이동식 매립폐기물 적층매립장치의 구체적인 동작과정에 관해 설명한다.
[ 자바라식 아치형 트러스트모듈의 아치형 트러스트모듈 + 자바라형 이동 트레일러모듈의 이동식 트레일러모듈로 이루어진 이동식 트러스트 장치의 동작과정]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바라식 아치형 트러스트모듈의 아치형 트러스트모듈 + 자바라형 이동 트레일러모듈의 이동식 트레일러모듈로 이루어진 이동식 트러스트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에 관한 것이다.
먼저, 매립폐기물적층매립지를 형성하기 위해, 지상에서 지하로 수십m~수백m의 터파기 공사를 한 후, 경사진 이동로를 나선형구조로 형성시킨다.
다음으로, 경사진 이동로 상에 트러스트 이송레일용 콘크리트 매설공사를 하여, 경사진 이동로 상에 트러스트 이송레일부를 형성시킨다.
다음으로, 트러스트 이송레일부 상에 이동식 트레일러모듈 중 자바라형 이동 트레일러모듈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자바라형 이동 트레일러모듈의 상단면 일측에 아치형 트러스트모듈 중 자바라식 아치형 트러스트모듈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전면밀폐커버모듈이 이동식 트레일러모듈과 아치형 트러스트모듈이 결합된 상태에서 차량입구쪽을 기준으로 한 전면을 밀폐형성시킨다.
다음으로, 후면밀폐커버모듈이 전면밀폐커버모듈의 반대편에 위치한 후면을 밀폐형성시킨다.
다음으로,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밀폐커버모듈의 차량입구를 통해, 차량이 진입하면서 매립폐기물을 투하시킨다.
이때, 투하시킨 매립폐기물에서 발생되는 미세먼지를 1차로, 미세먼지·유해물질 저감형 이동식 매립폐기물 적층매립장치의 상하좌우밀폐공간을 통해 외부로 퍼져나가는 방지하고, 2차로, 메인트러스트본체의 내부공간에 형성된 물분사장치와 집진장치를 통해 내부공간에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포크레인을 통해 매립폐기물을 메인트러스트본체의 내부공간에서 적층시킨다.
다음으로, 메인트러스트본체의 내부공간에 매립폐기물의 적층매립이, 메인트러스트본체의 형상이 아치형상 또는 일정높이로 적층되어 완료되면,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해 스마트제어부쪽으로 이웃하는 또 다른 매립폐기물 적층매립지로 이동시키라는 이동방향 및 이동속도에 관한 제어명령신호를 송신시킨다.
다음으로, 스마트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후면밀폐커버모듈의 후면원단자동롤링부가 구동되어, 후면밀폐커버모듈의 원단을 하상방향으로 자동으로 감아서 후면을 개방시킨다.
다음으로, 스마트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자바라형 이동 트레일러모듈의 제1 구동모터를 구동시킨다.
이때, 제1 구동모터에서는 회전력을 생성시켜 제1 구동바퀴로 전달시킨다.
다음으로, 제1 구동바퀴가 구동되어, 자바라식 아치형 트러스트모듈의 아치형 트러스트모듈 + 자바라형 이동 트레일러모듈의 이동식 트레일러모듈로 이루어진 이동식 트러스트 장치를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X축방향 또는 Y축방향으로 이동시켜, 이웃하는 또 다른 매립폐기물 적층매립지쪽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도 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밀폐커버모듈은 그대로 전면을 밀폐시킨상태로 있고, 후면밀폐커버모듈이 후면원단자동롤링부를 통해 후면이 개방된 상태에서 이동되므로, 내부공간에 적층매립이 완료되면, 매립폐기물 무더기만을 남긴 채, 자바라식 아치형 트러스트모듈의 아치형 트러스트모듈 + 자바라형 이동 트레일러모듈의 이동식 트레일러모듈로 이루어진 이동식 트러스트 장치만을 이동시킨다.
다음으로, 또 다른 매립폐기물 적층매립지 상에 자바라식 아치형 트러스트모듈의 아치형 트러스트모듈 + 자바라형 이동 트레일러모듈의 이동식 트레일러모듈로 이루어진 이동식 트러스트 장치가 정위치되면, 스마트디바이스를 통해 스마트제어부를 통해 전후상하좌우공간을 밀폐시키라는 제어명령신호를 보낸다.
다음으로, 스마트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후면밀폐커버모듈의 후면원단자동롤링부가 구동되어, 상하방향으로 자동으로 풀어서 원단을 통해 후면을 밀폐시킨다.
끝으로, 전면밀폐커버모듈의 차량입구를 형성시킨다.
이때,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밀폐커버모듈의 차량입구를 통해, 차량이 진입하면서, 또 다른 이웃하는 매립폐기물 적층매립지상에 매립폐기물을 투하시킨다.
[無(무)자바라식 아치형 트러스트모듈의 아치형 트러스트모듈 + 자바라형 이동 트레일러모듈의 이동식 트레일러모듈로 이루어진 이동식 트러스트 장치의 동작과정]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無(무)자바라식 아치형 트러스트모듈의 아치형 트러스트모듈 + 자바라형 이동 트레일러모듈의 이동식 트레일러모듈로 이루어진 이동식 트러스트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에 관한 것이다.
먼저, 매립폐기물적층매립지를 형성하기 위해, 지상에서 지하로 수십m~수백m의 터파기 공사를 한 후, 경사진 이동로를 나선형구조로 형성시킨다.
다음으로, 경사진 이동로 상에 트러스트 이송레일용 콘크리트 매설공사를 하여, 경사진 이동로 상에 트러스트 이송레일부를 형성시킨다.
다음으로, 트러스트 이송레일부 상에 이동식 트레일러모듈 중 자바라형 이동 트레일러모듈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자바라형 이동 트레일러모듈의 상단면 일측에 아치형 트러스트모듈 중 無(무)자바라식 아치형 트러스트모듈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전면밀폐커버모듈이 이동식 트레일러모듈과 아치형 트러스트모듈이 결합된 상태에서 차량입구쪽을 기준으로 한 전면을 밀폐형성시킨다.
다음으로, 후면밀폐커버모듈이 전면밀폐커버모듈의 반대편에 위치한 후면을 밀폐형성시킨다.
다음으로,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밀폐커버모듈의 차량입구를 통해, 차량이 진입하면서 매립폐기물을 투하시킨다.
이때, 투하시킨 매립폐기물에서 발생되는 미세먼지를 1차로, 미세먼지·유해물질 저감형 이동식 매립폐기물 적층매립장치의 상하좌우밀폐공간을 통해 외부로 퍼져나가는 방지하고, 2차로, 메인트러스트본체의 내부공간에 형성된 물분사장치와 집진장치를 통해 내부공간에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포크레인을 통해 매립폐기물을 메인트러스트본체의 내부공간에서 적층시킨다.
다음으로, 메인트러스트본체의 내부공간에 매립폐기물의 적층매립이, 메인트러스트본체의 형상이 아치형상 또는 일정높이로 적층되어 완료되면,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해 스마트제어부쪽으로 이웃하는 또 다른 매립폐기물 적층매립지로 이동시키라는 이동방향 및 이동속도에 관한 제어명령신호를 송신시킨다.
다음으로, 스마트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자바라형 이동 트레일러모듈의 제1 구동모터를 구동시킨다.
이때, 제1 구동모터에서는 회전력을 생성시켜 제1 구동바퀴로 전달시킨다.
다음으로, 제1 구동바퀴가 구동되어, 無(무)자바라식 아치형 트러스트모듈의 아치형 트러스트모듈 + 자바라형 이동 트레일러모듈의 이동식 트레일러모듈로 이루어진 이동식 트러스트 장치를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X축방향 또는 Y축방향으로 이동시켜, 이웃하는 또 다른 매립폐기물 적층매립지쪽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도 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밀폐커버모듈은 그대로 전면을 밀폐시킨 상태로 있고, 후면밀폐커버모듈이 후면원단자동롤링부를 통해 후면이 개방된 상태에서 이동되므로, 내부공간에 적층매립이 완료되면, 매립폐기물 무더기만을 남긴 채, 無(무)자바라식 아치형 트러스트모듈의 아치형 트러스트모듈 + 자바라형 이동 트레일러모듈의 이동식 트레일러모듈로 이루어진 이동식 트러스트 장치만을 이동시킨다.
다음으로, 또 다른 매립폐기물 적층매립지 상에 無(무)자바라식 아치형 트러스트모듈의 아치형 트러스트모듈 + 자바라형 이동 트레일러모듈의 이동식 트레일러모듈로 이루어진 이동식 트러스트 장치가 정위치되면, 스마트디바이스를 통해 스마트제어부를 통해 전후상하좌우공간을 밀폐시키라는 제어명령신호를 보낸다.
끝으로, 전면밀폐커버모듈의 차량입구를 형성시킨다.
이때,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밀폐커버모듈의 차량입구를 통해, 차량이 진입하면서, 또 다른 이웃하는 매립폐기물 적층매립지상에 매립폐기물을 투하시킨다.
[無(무)자바라식 아치형 트러스트모듈의 아치형 트러스트모듈 + 無(무)자바라형 이동 바퀴모듈의 이동식 트레일러모듈로 이루어진 이동식 트러스트 장치의 동작과정]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無(무)자바라식 아치형 트러스트모듈의 아치형 트러스트모듈 + 無(무)자바라형 이동 바퀴모듈의 이동식 트레일러모듈로 이루어진 이동식 트러스트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에 관한 것이다.
먼저, 매립폐기물적층매립지를 형성하기 위해, 지상에서 지하로 수십m~수백m의 터파기 공사를 한 후, 경사진 이동로를 나선형구조로 형성시킨다.
다음으로, 경사진 이동로 상에 트러스트 이송레일용 콘크리트 매설공사를 하여, 경사진 이동로 상에 트러스트 이송레일부를 형성시킨다.
다음으로, 트러스트 이송레일부 상에 이동식 트레일러모듈 중 無(무)자바라형 이동 바퀴모듈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자바라형 이동 트레일러모듈의 상단면 일측에 아치형 트러스트모듈 중 無(무)자바라식 아치형 트러스트모듈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전면밀폐커버모듈이 이동식 트레일러모듈과 아치형 트러스트모듈이 결합된 상태에서 차량입구쪽을 기준으로 한 전면을 밀폐형성시킨다.
다음으로, 후면밀폐커버모듈이 전면밀폐커버모듈의 반대편에 위치한 후면을 밀폐형성시킨다.
다음으로,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밀폐커버모듈의 차량입구를 통해, 차량이 진입하면서 매립폐기물을 투하시킨다.
이때, 투하시킨 매립폐기물에서 발생되는 미세먼지를 1차로, 미세먼지·유해물질 저감형 이동식 매립폐기물 적층매립장치의 상하좌우밀폐공간을 통해 외부로 퍼져나가는 방지하고, 2차로, 메인트러스트본체의 내부공간에 형성된 물분사장치와 집진장치를 통해 내부공간에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포크레인을 통해 매립폐기물을 메인트러스트본체의 내부공간에서 적층시킨다.
다음으로, 메인트러스트본체의 내부공간에 매립폐기물의 적층매립이, 메인트러스트본체의 형상이 아치형상 또는 일정높이로 적층되어 완료되면,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해 스마트제어부쪽으로 이웃하는 또 다른 매립폐기물 적층매립지로 이동시키라는 이동방향 및 이동속도에 관한 제어명령신호를 송신시킨다.
다음으로, 스마트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후면밀폐커버모듈의 후면원단자동롤링부가 구동되어, 후면밀폐커버모듈의 원단을 하상방향으로 자동으로 감아서 후면을 개방시킨다.
다음으로, 스마트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無(무)자바라형 이동 바퀴모듈의 제3 구동모터를 구동시킨다.
이때, 제3 구동모터에서는 회전력을 생성시켜 제3 구동바퀴로 전달시킨다.
다음으로, 제3 구동바퀴가 구동되어, 無(무)자바라식 아치형 트러스트모듈의 아치형 트러스트모듈 + 無(무)자바라형 이동 바퀴모듈의 이동식 트레일러모듈로 이루어진 이동식 트러스트 장치를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X축방향 또는 Y축방향으로 이동시켜, 이웃하는 또 다른 매립폐기물 적층매립지쪽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도 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밀폐커버모듈은 그대로 전면을 밀폐시킨상태로 있고, 후면밀폐커버모듈이 후면원단자동롤링부를 통해 후면이 개방된 상태에서 이동되므로, 내부공간에 적층매립이 완료되면, 매립폐기물 무더기만을 남긴 채, 無(무)자바라식 아치형 트러스트모듈의 아치형 트러스트모듈 + 無(무)자바라형 이동 바퀴모듈의 이동식 트레일러모듈로 이루어진 이동식 트러스트 장치만을 이동시킨다.
다음으로, 또 다른 매립폐기물 적층매립지 상에 無(무)자바라식 아치형 트러스트모듈의 아치형 트러스트모듈 + 無(무)자바라형 이동 바퀴모듈의 이동식 트레일러모듈로 이루어진 이동식 트러스트 장치가 정위치되면, 스마트디바이스를 통해 스마트제어부를 통해 전후상하좌우공간을 밀폐시키라는 제어명령신호를 보낸다.
다음으로, 스마트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후면밀폐커버모듈의 후면원단자동롤링부가 구동되어, 상하방향으로 자동으로 풀어서 원단을 통해 후면을 밀폐시킨다.
끝으로, 전면밀폐커버모듈의 차량입구를 형성시킨다.
이때,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밀폐커버모듈의 차량입구를 통해, 차량이 진입하면서, 또 다른 이웃하는 매립폐기물 적층매립지상에 매립폐기물을 투하시킨다.
A : 미세먼지·유해물질 저감형 이동식 매립폐기물 적층매립장치
1 : 이동식 트러스트 장치
2 : 트러스트 이송레일부
10 : 메인트러스트본체
20 : 아치형 트러스트모듈
30 : 이동식 트레일러모듈
40 : 전면밀폐커버모듈
50 : 후면밀폐커버모듈
60 : 무선통신모듈
70 : 스마트제어부

Claims (11)

  1. 매립폐기물 적층매립지 상에 매립폐기물을 적층매립시키도록 전후상하좌우의 밀폐된 공간을 형성시킨 후, 전후상하좌우의 밀폐된 공간형상에 따라 매립폐기물의 적층매립이 완료되면, 내부공간에 적층매립이 완료된 매립폐기물 무더기를 그대로 놔둔채, 매립폐기물 적층매립지의 바닥면에 형성된 트러스트이송레일부를 따라 X축방향, Y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식 트러스트 장치(1)와,
    매립폐기물 적층매립지의 바닥면에 X축, Y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이동식 트러스트 장치와 짝을 이루며, 이동식 트러스트 장치가 특정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안내시키는 트러스트 이송레일부(2)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이동식 트러스트 장치(1)는 매립폐기물을 적층매립시키도록 전후상하좌우의 밀폐된 공간을 형성시키면서, 각 기기를 외압으로부터 보호하고 지지하는 메인트러스트본체(10)와,
    메인트러스트본체의 상단인, 이동식 트레일러모듈의 상부면에 위치되고, 아치형상으로 탈부착 결합되어, 지붕역할을 수행시키는 아치형 트러스트모듈(20)과,
    메인트러스트본체의 좌측면 일측과 우측면 일측에 형성되어, 상단방향으로 아치형 트러스트모듈을 탈부착결합시키고, 내부공간에 적층매립이 완료된 매립폐기물 무더기를 그대로 놔둔채, 매립폐기물 적층매립지의 바닥면에 형성된 트러스트이송레일부를 따라 자체 기계의 힘으로, X축방향 또는 Y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식 트레일러모듈(30)과,
    이동식 트레일러모듈과 아치형 트러스트모듈이 결합된 상태에서 차량입구쪽을 기준으로 한 전면을 원단을 통해 밀폐시켜, 외부에서 내부공간으로 이물질(비, 눈, 먼지)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내부공간에서 발생된 먼지(미세먼지)나 유해물질이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전면밀폐커버모듈(40)과,
    이동식 트레일러모듈과 아치형 트러스트모듈이 결합된 상태에서, 전면밀폐커버모듈의 반대편에 위치한 후면을 원단을 통해 밀폐시켜, 외부에서 내부공간으로 이물질(비, 눈, 먼지)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내부공간에서 발생된 먼지(미세먼지)나 유해물질이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후면밀폐커버모듈(50)과,
    메인트러스트본체의 내부공간 일측에 위치되어, 스마트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근거리에 위치한 스마트 디바이스 또는 원거리에 위치한 중앙관리서버로부터 이동방향 및 이동속도에 관한 제어명령신호를 수신받아 스마트제어부로 전송시키고, 스마트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현재 미세먼지·유해물질 저감형 이동식 매립폐기물 적층매립장치의 구동상태 및 고장유무를 근거리에 위치한 스마트 디바이스 또는 원거리에 위치한 중앙관리서버쪽으로 전송시키는 무선통신모듈(60)과,
    각 기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면서,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전송된 이동방향 및 이동속도에 관한 제어명령신호에 따라 메인트러스트본체의 구동을 제어하고, 특정주기별로 현재 미세먼지·유해물질 저감형 이동식 매립폐기물 적층매립장치의 구동상태 및 고장유무를 무선통신모듈로 전송시키도록 제어하는 스마트제어부(70)로 구성되고,
    상기 아치형 트러스트모듈(20)은 이웃하는 아치형 트러스트 사이에 고무자바라형 원단이 연결막으로 형성되어, 지붕역할을 하면서, 충격완충과, 곡선레일을 따라 곡선주행되도록 보조해주는 자바라식 아치형 트러스트모듈(210)과,
    고무자바라형 원단없이 아치형 트러스트들끼리 결합되어, 지붕역할을 하는 無(무)자바라식 아치형 트러스트모듈(220)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구성되며,
    상기 이동식 트레일러모듈(30)은 박스형상의 이동 트레일러 사이에 고무자바라가 형성되어, 충격완충과 함께, 상단방향으로 탈부착결합시킨 아치형 트러스트모듈을 트러스트 이송레일부의 레일을 따라 자체 기계의 힘으로 X축방향 또는 Y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자바라형 이동 트레일러모듈(310)과,
    고무자바라 없이, 박스형상의 이동트레일러가 서로 결합 형성되어, 상단방향으로 탈부착결합시킨 아치형 트러스트모듈을 트러스트 이송레일부의 레일을 따라 자체 기계의 힘으로 X축방향 또는 Y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無(무)자바라형 이동 트레일러모듈(320)과,
    고무자바라 및 이동 트레일러 없이, 이동바퀴와 이동수단만이 형성되어, 상단방향으로 탈부착결합시킨 아치형 트러스트모듈을 트러스트 이송레일부의 레일을 따라 자체 기계의 힘으로 X축방향 또는 Y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無(무)자바라형 이동 바퀴모듈(330)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자바라식 아치형 트러스트모듈(210)은 각 기기를 외압으로부터 보호하고 지지하는 제1 아치형 모듈본체(211)와,
    제1 아치형 모듈본체의 상단부에 위치되어 뼈대를 형성하면서, 이동식 트레일러모듈의 상부면과 탈부착식으로 결합되는 제1 아치형 트러스트부(212)와,
    제1 아치형 트러스트부를 따라 덮개식으로 씌워져 형성되어, 외부에서 내부공간으로 이물질(비, 눈, 먼지)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내부공간에서 발생된 먼지(미세먼지)가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제1 원단부(213)와,
    제1 아치형 트러스트부와 또 다른 이웃하는 제1 아치형 트러스트부와 연결되는 사이에 위치되어, 제1 아치형 트러스트부로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시키면서 곡선레일을 따라 제1 아치형 트러스트부가 곡선주행되도록 보조해주는 고무자바라형 원단부(21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유해물질 저감형 이동식 매립폐기물 적층매립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바라형 이동 트레일러모듈(310)은
    박스형상의 열차구조로 이루어져 각 기기를 외압으로부터 보호하고 지지하는 제1 트레일러본체(311)와,
    제1 트레일러본체의 하단 좌우측면에 위치되어, 아치형 트러스트모듈을 탈부착결합시켜 지지해주면서 트러스트이송레일부를 따라 자체 기계의 힘으로 X축방향 또는 Y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이동 트레일러부(312)와,
    제1 이동 트레일러부와 이웃하는 또 다른 제1 이동 트레일러부 사이에 위치되어, 충격완충과 함께, 상단방향으로 탈부착결합시킨 아치형 트러스트모듈이 레일을 따라 곡선이동시, 뒤틀리지 않게 휘어지면서 이송시키는 제1 고무자바라부(31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유해물질 저감형 이동식 매립폐기물 적층매립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 트레일러부(312)는
    회전력을 생성시켜 제1 구동바퀴로 전달시키는 제1 구동모터(312a)와,
    제1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X축방향 또는 Y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구동바퀴(312b)와,
    원격지의 중앙제어서버 및 현장의 스마트디바이스로부터 조향제어신호를 수신받아, 아치형 트러스트모듈을 X축방향 또는 Y축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조향시키는 제1 조향장치부(312c)와,
    제1 구동바퀴와 바퀴 프레임사이에 위치되어, 코니컬 스프링을 통해 충격을 완화시키는 제1 완충장치부(312d)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유해물질 저감형 이동식 매립폐기물 적층매립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80119199A 2018-10-05 2018-10-05 미세먼지·유해물질 저감형 이동식 매립폐기물 적층매립장치 KR1019846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9199A KR101984651B1 (ko) 2018-10-05 2018-10-05 미세먼지·유해물질 저감형 이동식 매립폐기물 적층매립장치
DE202019004091.9U DE202019004091U1 (de) 2018-10-05 2019-10-04 Feinstäube und Schadstoffe reduzierende bewegliche Anlage zum Aufhäufen und Verbergen der Deponieabfäl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9199A KR101984651B1 (ko) 2018-10-05 2018-10-05 미세먼지·유해물질 저감형 이동식 매립폐기물 적층매립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4651B1 true KR101984651B1 (ko) 2019-05-31

Family

ID=66657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9199A KR101984651B1 (ko) 2018-10-05 2018-10-05 미세먼지·유해물질 저감형 이동식 매립폐기물 적층매립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84651B1 (ko)
DE (1) DE202019004091U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67887B (zh) * 2020-04-09 2023-11-21 航天凯天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地埋式除尘系统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8646U (ko) * 1989-12-04 1991-08-09
JPH10299153A (ja) * 1997-04-28 1998-11-10 Maeda Corp ドーム屋根
JPH11310986A (ja) * 1998-04-30 1999-11-09 Mitsubishi Heavy Ind Ltd 開閉屋根構造
JP3078646U (ja) * 2000-12-28 2001-07-10 三研工業株式会社 移動上屋
JP2003236486A (ja) * 2002-02-19 2003-08-26 Maeda Corp 廃棄物の埋立て方法および廃棄物ピットの屋根体
KR100469040B1 (ko) 2002-07-03 2005-02-02 한국파라마운트 주식회사 폐기물 매립장의 건설방법
KR20090084190A (ko) * 2008-01-31 2009-08-05 두성중공업 주식회사 이동식 작업장
KR20110026633A (ko) * 2009-09-08 2011-03-16 장성준 폐기물 처리장용 레일 구동형 막 구조물
KR20140094185A (ko) * 2013-01-21 2014-07-30 김창환 터널식 조경 구조물 및 터널식 조경 구조물용 조립식 조경 구조물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8646U (ko) * 1989-12-04 1991-08-09
JPH10299153A (ja) * 1997-04-28 1998-11-10 Maeda Corp ドーム屋根
JPH11310986A (ja) * 1998-04-30 1999-11-09 Mitsubishi Heavy Ind Ltd 開閉屋根構造
JP3078646U (ja) * 2000-12-28 2001-07-10 三研工業株式会社 移動上屋
JP2003236486A (ja) * 2002-02-19 2003-08-26 Maeda Corp 廃棄物の埋立て方法および廃棄物ピットの屋根体
KR100469040B1 (ko) 2002-07-03 2005-02-02 한국파라마운트 주식회사 폐기물 매립장의 건설방법
KR20090084190A (ko) * 2008-01-31 2009-08-05 두성중공업 주식회사 이동식 작업장
KR20110026633A (ko) * 2009-09-08 2011-03-16 장성준 폐기물 처리장용 레일 구동형 막 구조물
KR20140094185A (ko) * 2013-01-21 2014-07-30 김창환 터널식 조경 구조물 및 터널식 조경 구조물용 조립식 조경 구조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03078646 U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202019004091U1 (de) 2020-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4651B1 (ko) 미세먼지·유해물질 저감형 이동식 매립폐기물 적층매립장치
CN111749474B (zh) 洁净厂房的施工方法
CN103009373A (zh) 具有曲面自适应吸附的磁轮式爬壁机器人
KR101938293B1 (ko) 대심도 광역철도 역사
EP2242690A2 (en) Osculating device for boarding bridge canopy
CN107178226A (zh) 整体自行式全封闭绿色施工围挡及其施工方法
US6752563B2 (en) Covered highway structure with means for easy and quick access to tunnel interior
CN108894534B (zh) 烧结脱硫厂房模块化拆除方法
KR101984652B1 (ko) 미세먼지·유해물질 저감형 이동식 매립폐기물 적층매립공법
CN111720152B (zh) 一种隧道排烟系统及隧道排烟控制方法
CN211122109U (zh) 一种隧道有毒有害气体检测用气体采集设备
KR20210037512A (ko) 풍력 발전용 강관형 타워의 현장 시공 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
CN111791963A (zh) 一种救援机器人的履带结构
JP2013217181A (ja) 清掃工場の解体工法
CN212890645U (zh) 一种救援机器人的履带结构
KR20090120371A (ko) 이동식 교량 점검차
KR20220083980A (ko) 오염정화회풍기일체형 이동식정화방법
RU65924U1 (ru) Модульное здание (варианты) и средство доставки модульного здания на строительную площадку
KR101504653B1 (ko) 관경에 맞게 길이조절이 가능한 라이닝장치를 구비하고 무인방식으로 동작이 가능한 노후관로 갱생용 라이닝장비
US20100325973A1 (en) building method and buildings
JP5726655B2 (ja) 搬送装置、作業システム、および搬送方法
RU2204526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монтажа и обслуживания строительных конструкций
CN116075097B (zh) 一种远程遥控装置
CN213536623U (zh) 水泥装车系统的收尘装置
CN211948024U (zh) 桥桩修复机器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