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8293B1 - 대심도 광역철도 역사 - Google Patents

대심도 광역철도 역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8293B1
KR101938293B1 KR1020150175259A KR20150175259A KR101938293B1 KR 101938293 B1 KR101938293 B1 KR 101938293B1 KR 1020150175259 A KR1020150175259 A KR 1020150175259A KR 20150175259 A KR20150175259 A KR 20150175259A KR 101938293 B1 KR101938293 B1 KR 1019382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platform
passage
vertica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5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8268A (ko
Inventor
우성원
김용만
윤희철
전진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Priority to KR10201501752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8293B1/ko
Publication of KR201700682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82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82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82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11/00Rescue devices or other safety devices, e.g. safety chambers or escape w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ulmo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 Alarm Systems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Abstract

대심도 광역철도 역사는 기존 지하철보다 더 깊은 대략 50m 이상의 심도를 통과하는 광역철도를 위한 것으로서, 지상의 출입구나 타 역사와 연결되는 대합실과, 대합실로 유입되는 승객을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공조 및 채광을 제어하는 수직 연결통로와, 수직 연결통로와 연결되어 광역철도가 정차하기 위한 플랫폼과, 플랫폼 및 지상을 연결하여 비상시 승객이 피난하기 위한 피난통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대심도 광역철도 역사{METRORAIL STATION OF DEEP UNDERGROUND SPACE}
본 발명은 대심도 광역철도 역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하 대심도를 통해 이동하는 광역철도를 이용하도록 하기 위한 역사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버스나 택시와 같이 육상 교통시설의 증가로 인해 교통체증이 증가하게 되고,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지하를 통과하는 지하철과 같은 교통수단의 활용이 증가하고 있다.
기존의 지하철은 대부분 1km 이하의 짧은 거리를 이동하는 근거리 이동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지하철은 서울 시내는 물론이고 서울 주변 도시로까지 확장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지하철이 주변 지역까지 확장됨으로 인해 경유역이 많아지게 되고, 환승시스템이 복잡해짐으로 인해 이동시간 및 탑승시간이 점차 증가하게 되어 지하철 본연의 기능이 점차 상실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지하철 노선보다 깊은 깊이로 굴착하여 광역도시간을 연결하기 위한 대심도 광역철도 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광역급행철도는 녹색교통 확충을 기초로 하는 수도권 신개념 광역교통수단으로서 소음/진동이 감소하고, 경관유지로 지상의 도시환경을 보전할 수 있으며, 혼잡한 지상에서의 대규모 도심지 토목공사를 지양할 수 있으며, 지상건설시 동반되는 토지공간의 확보의 어려움과 과다한 보상비 및 주변 주민의 건설반대 등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대심도 광역철도의 경우 기존 지하철 및 철도 노선등과 간섭될 가능성이 있고, 경우에 따라 고층건물 등의 지상 지장물 및 상하수도관, 가스관 등의 지중 지장물과 간섭될 가능성이 있다.
특히, 정거장 계획 구간의 경우에는 이러한 지장물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대심도의 터널 정거장으로 계획되어야 하며, 터널 정거장의 경우 환승계획, 기계 전기실 등의 기능실, 승강장 및 대합실 등의 계획을 철저하게 기획하여야 한다.
그리고, 터널 정거장이 대심도 내에 구축됨에 따라, 대심도까지 연결되는 환기 시스템 및 비상탈출로에 대한 대비책도 필요한 실정이다.
결국, 대심도 광역철도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대심도 터널 정거장에 대한 보다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계획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0968210호 한국등록특허 제10-0969228호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대심도 광역철도를 이용하도록 하기 위한 환기시스템 및 피난루트를 고려한 역사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의 대심도 광역철도 역사는 기존 지하철보다 더 깊은 심도를 통해 이동하는 광역철도를 위한 역사구조에 있어서, 지상의 출입구 또는 다른 지하철 역사와 연결되어 지하에 설치되는 대합실; 상기 대합실과 연결되고, 수직 방향으로 승객을 이동시키기 위한 수직 연결통로; 상기 수직 연결통로와 연결되고, 광역철도가 정차하기 위한 플랫폼;및 상기 플랫폼과 지상을 연결하는 피난통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수직 연결통로는 상기 대합실과 상기 플랫폼을 수직방향으로 연결하는 수직 구조체; 상기 수직 구조체의 중심을 관통하여 지표면에서부터 상기 수직 구조체의 하단까지 연장되고, 급배기 및 조광을 위한 채광 및 공조 복합유닛;및 상기 수직 구조체의 상단에서부터 하단까지 연결되는 비상계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채광 및 공조 복합유닛은 지표면에 설치되고, 외부 공기를 가압하여 지하로 전송하거나 지하 공기를 외부로 배기시키는 공조부; 지상에 설치되어 광을 포집하여 지하로 전달하는 광포집부; 상기 공조부 및 상기 광포집부와 상단이 연결되고, 하단이 수직 구조체의 하단까지 연장되어 공기를 광을 이동시키는 전송부;및 상기 전송부의 하단에 연결되고, 공기를 흡배기시키거나 광을 공급하는 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전송부는 반사체가 내주면에 도포된 반투명체의 원통관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플랫폼은 상기 수직 연결통로의 하단과 연결되고, 재난시에 양압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피난안전구역; 광역철도가 정차하여 승객이 승하차하는 승강장; 및 상기 피난안전구역 및 상기 플랫폼을 연결하는 플랫폼 연결통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피난통로는 상기 피난통로의 중심을 관통하여 지표면에서부터 상기 피난통로의 하단까지 연장되고, 급배기 및 조광을 위한 채광 및 공조 복합유닛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대심도 광역철도 역사는 수직 이동통로의 채광 및 공조 복합유닛과 상기 피난 통로의 채광 및 공조 복합유닛의 급배기를 조절하여 재난시 연기 유동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대심도 광역철도 역사에 의하면, 대심도 내의 급배기 및 채광을 일시에 해결할 수 있고, 대심도 구조에 적합한 플랫폼 및 이동순환루트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대심도 광역철도 역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대심도 광역철도 역사의 연결관계를 보인 구조도.
도 3은 도 1은 단면도.
도 4는 도 3의 부분 상세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대심도 광역철도 역사의 수직 연결통도 상단을 보인 단면도.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본 발명에 의한 대심도 광역철도 역사는 일반적인 지하철 터널보다 더 깊은 위치에 시공되는 대심도 광역철도와 연결되는 역사 구조물에 대한 것으로서, 대심도 광역철도는 대략 50미터 이상의 깊이를 통과하는 광역철도를 의미한다.
도 1 내지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대심도 광역철도 역사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대심도 광역철도 역사는 지상의 출입구 또는 다른 지하철 역사와 연결되어 지중에 설치되는 대합실과; 상기 대합실과 연결되어, 수직 방향으로 승객을 이동시키기 위한 수직 연결통로와; 상기 수직 연결통로와 연결되고, 광역철도에 승객이 탑승하기 위한 플랫폼과; 상기 플랫폼과 연결되어 지표면까지 승객을 피난시키기 위한 피난통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대심도 광역철도 역사는 지표면에 최소한으로 설치되는 출입구(10)와 연결되어 승객이 진입하여 머무르기 위한 대합실(100)을 포함한다. 대합실(100)은 일반적인 철도 이용과 관련된 제반 시설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합실(100)에는 수직방향으로 플랫폼(300)과 연결되기 위한 수직 연결통로(200)가 연결된다. 상기 수직 연결통로(200)는 수직 방향으로 구축되는 구조체로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원기둥 형태로 구축되는 구조체를 일 예로 설명한다.
상기 수직 연결통로(200)는 대합실(100)과 플랫폼(300)을 수직방향으로 연결하는 수직 구조체(210)와; 상기 수직 구조체(210)의 중심을 관통하여 지표면으로부터 수직 구조체(210) 하단까지 연장되는 채광 및 공조 복합유닛(220)과; 상기 채광 및 공조 복합유닛(220)의 둘레를 감싸면서 수직 구조체(210)의 상단에서부터 하단까지 연결되는 비상계단(230)을 포함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 구조체(210)의 상단부는 대합실(100)과 연결되고, 중앙에는 코어부(211)가 구비된다. 상기 코어부(211)는 채광 및 공조 복합유닛(220)이 관통하기 위한 구획부이고, 비상계단(230)으로 진입하기 위한 통로의 역할을 한다.
그리고, 코어부(211)를 중심으로 수직 구조체(210)의 둘레에는 다수개의 엘리베이터 유닛(212)이 배치된다. 엘리베이터 유닛(212)은 대심도를 통해 이동하는 승객을 운송해야 하기 때문에 방사상으로 다수개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엘리베이터 유닛(212)의 사이 공간에는 화장실 및 기타 유틸리티 공간이 구비될 수 있다.
수직 구조체(210)의 코어부(211)의 중심에는 채광 및 공조 복합유닛(220)이 구비된다. 채광 및 공조 복합유닛(220)은 옥외의 공기 및 빛을 유입시켜 대심도 내의 플랫폼(300)으로 공급하기 위한 역할을 한다.
채광 및 공조 복합유닛(220)은 지상에 설치되어 공기를 가압하여 지하로 전송하거나 지하의 공기를 외부로 배기시키는 공조부(221)와; 지상에 설치되어 광을 포집하여 지하로 전달하는 광포집부(222)와; 상기 공조부(221) 및 광포집부(222)와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수직 구조체(210)의 하단까지 연장되는 전송부(223)와; 전송부(223)의 하단에 연결되어 공기를 흡배기시키거나 광을 공급하는 공급부(224)를 포함한다.
공조부(221)는 통상의 구성을 포함하는 공조장치를 의미하고, 공조장치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를 가압된 상태로 지하로 전송하기 위한 가압펌프 및 기타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공조부(221)는 주로 공기를 지하로 공급하는 기능을 하지만, 재난시와 같은 상황에서는 공기를 지하로부터 배기시키는 기능을 할 수도 있다. 그리고, 광포집부(222)는 반원 형태의 글래스로 구성된 장치로서 광을 흡수시켜 전송부(223)를 통해 전달되도록 하기 위한 역할을 한다.
그리고, 공조부(221) 및 광포집부(222)와 일단이 연결되는 전송부(223)는 반사체가 내주면에 도포된 반투명체의 원통관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필요에 따라서 전송부(223)는 구간별로 완전 투명체로 구성되거나 반투명체로 구성되거나 불투명체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전송부(223)는 내부 중공을 통해 공조부(221)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대심도의 플랫폼(300)으로 공급하고, 광포집부(222)에 의해 포집된 광의 일부는 외부로 발산시키고 일부는 반사시킴으로써 대심도 내부까지 광이 도달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전송부(223)의 하단에 연결되는 공급부(224)는 전송부(223)를 통해 전달되는 공기 및 광을 지하의 플랫폼(300)에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수직 연결통로(200)의 둘레에는 비상계단(230)이 나선형으로 배치된다. 비상계단(230)은 비상시 엘리베이터가 작동하지 않을 경우 이용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수직 연결통로(200)의 상단에서부터 하단까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수직 연결통로(200)의 하단에는 광역철도가 정차하기 위한 플랫폼(300)이 연결된다. 플랫폼(300)은 수직 연결통로(200)의 하단과 연결되고 양압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피난안전구역(310)과; 상기 피난안전구역(310)과 연결되는 플랫폼 연결통로(320)와; 플랫폼 연결통로(320)와 연결되어 승하차를 위한 승강장(330)을 포함한다.
피난안전구역(310)은 수직 연결통로(200)와 플랫폼 연결통로(32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서 별도의 양압유지장치(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항상 양압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피난안전구역(310)이 양압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전자동문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화재시에 피난안전구역(310)으로는 공기가 유입되지 않기 때문에 플랫폼 연결통로(320)와 수직 연결통로(200) 사이에 연기가 유입되는 것을 서로 차단할 수 있다.
피난안전구역(310)은 플랫폼 연결통로(320)를 통해 승강장(330)과 연결된다. 플랫폼 연결통로(320)는 광역철도 선로의 하부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플랫폼 연결통로(320)를 통해 상부의 상행선 광역철도 승강장 또는 하행선 광역철도 승강장으로 진입할 수 있다.
광역철도가 정차하는 승강장(330)에는 지상과 연결되는 피난통로(400)가 연결된다. 상기 피난통로(400)는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피난용 계단으로써 대심도의 승강장(330)과 지상의 출입구(10)를 연결한다.
상기 피난통로(400)에도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채광 및 공조 복합유닛(220)이 구비될 수 있다. 채광 및 공조 복합유닛(220)은 지상의 공기를 승강장(330)으로 공급할 수 있고, 지상의 광을 끌어들여 피난통로(400) 내부 및 승강장에 광을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역사의 급배기를 컨트롤 하는 중앙제어부(도시되지 않음)는 수직 연결통로(200)의 채광 및 공조 복합유닛(220) 및 피난통로(400)의 채광 및 공조 복합유닛(220)이 공기의 흡기 및 배기를 제어함으로써 재난시의 연기의 유출입을 제어할 수 있다.
즉, 화재 발생지점을 중심으로 어느 일측의 채광 및 공조 복합유닛(220)이 흡기를 수행하고, 다른 일측의 채광 및 공조 복합유닛(220)이 배기를 수행함으로써 플랫폼(300) 내의 연기 유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출원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대합실 200 : 수직 연결통로
210 : 수직 구조체 220 : 채광 및 공조 복합유닛
230 : 비상계단 300 : 플랫폼
310 : 피난안전구역 320 : 플랫폼 연결통로
330 : 승강장 400 : 피난통로

Claims (7)

  1. 기존 지하철보다 더 깊은 심도를 통해 이동하는 광역철도를 위한 역사구조에 있어서,
    지상의 출입구 또는 다른 지하철 역사와 연결되어 지하에 설치되는 대합실;
    상기 대합실과 연결되고, 수직 방향으로 승객을 이동시키기 위한 수직 연결통로;
    상기 수직 연결통로와 연결되고, 상기 광역철도가 정차하기 위한 플랫폼;및
    상기 플랫폼과 지상을 연결하는 피난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플랫폼은,
    상기 광역철도가 정차하여 승객이 승하차하는 승강장;
    상기 승강장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승강장과 연결된 플랫폼 연결통로; 및
    일측이 상기 수직 연결통로의 하단과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플랫폼 연결통로와 연결되며, 재난시에 양압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피난안전구역
    을 포함하는 대심도 광역철도 역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연결통로는
    상기 대합실과 상기 플랫폼을 수직방향으로 연결하는 수직 구조체;
    상기 수직 구조체의 중심을 관통하여 지표면에서부터 상기 수직 구조체의 하단까지 연장되고, 급배기 및 조광을 위한 채광 및 공조 복합유닛;및
    상기 수직 구조체의 상단에서부터 하단까지 연결되는 비상계단을 포함하는
    대심도 광역철도 역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채광 및 공조 복합유닛은
    지표면에 설치되고, 외부 공기를 가압하여 지하로 전송하거나 지하 공기를 외부로 배기시키는 공조부;
    지상에 설치되어 광을 포집하여 지하로 전달하는 광포집부;
    상기 공조부 및 상기 광포집부와 상단이 연결되고, 하단이 수직 구조체의 하단까지 연장되어 공기를 광을 이동시키는 전송부;및
    상기 전송부의 하단에 연결되고, 공기를 흡배기시키거나 광을 공급하는 공급부를 포함하는
    대심도 광역철도 역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부는
    반사체가 내주면에 도포된 반투명체의 원통관으로 구성되는
    대심도 광역철도 역사.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구조체는,
    상기 수직 구조체의 중앙에 위치하고, 내부에 상기 채광 및 공조 복합유닛이 위치하는 코어부;
    상기 코어부를 중심으로 상기 수직 구조체의 둘레를 따라 설치된 다수의 엘리베이터 유닛; 및
    상기 다수의 엘리베이터 유닛 사이의 공간에 구비된 화장실 및 유틸리티 공간을 포함하는 대심도 광역철도 역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난통로는
    상기 피난통로의 중심을 관통하여 지표면에서부터 상기 피난통로의 하단까지 연장되고, 급배기 및 조광을 위한 채광 및 공조 복합유닛을 포함하는
    대심도 광역철도 역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연결통로의 채광 및 공조 복합유닛과 상기 피난 통로의 채광 및 공조 복합유닛의 급배기를 조절하여 재난시 연기 유동을 제어하는
    대심도 광역철도 역사.
KR1020150175259A 2015-12-09 2015-12-09 대심도 광역철도 역사 KR1019382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5259A KR101938293B1 (ko) 2015-12-09 2015-12-09 대심도 광역철도 역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5259A KR101938293B1 (ko) 2015-12-09 2015-12-09 대심도 광역철도 역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8268A KR20170068268A (ko) 2017-06-19
KR101938293B1 true KR101938293B1 (ko) 2019-01-14

Family

ID=59279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5259A KR101938293B1 (ko) 2015-12-09 2015-12-09 대심도 광역철도 역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82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93943A (zh) * 2019-01-31 2019-12-20 洛阳双瑞橡塑科技有限公司 一种隧道用疏散平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4818B1 (ko) * 2017-01-10 2018-06-07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대심도 광역 철도 역사의 서비스 시스템
KR20190088260A (ko) 2018-01-18 2019-07-26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완충장치
KR102021127B1 (ko) * 2019-06-25 2019-09-11 (주)선구엔지니어링 독립적인 노선 및 교통 신호체계를 구비한 트램 운행시스템
CN110439608A (zh) * 2019-07-29 2019-11-12 北玻院(滕州)复合材料有限公司 平台踏板及其制备设备、地铁隧道疏散平台和制备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2942B1 (ko) * 2012-12-28 2014-06-03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피난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2942B1 (ko) * 2012-12-28 2014-06-03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피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93943A (zh) * 2019-01-31 2019-12-20 洛阳双瑞橡塑科技有限公司 一种隧道用疏散平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8268A (ko) 2017-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8293B1 (ko) 대심도 광역철도 역사
KR102236488B1 (ko) 대심도 광역 철도의 피난 구조체
JP2008537709A (ja) チューブ車両、チューブネットワーク、個人交通システム、並びにその制御システム及び制御方法
CN102003207B (zh) 用于单洞双线磁悬浮隧道的疏散平台及安全通道结构
CN106917632B (zh) 通风装置
KR101723995B1 (ko) 대심도 광역 철도 역사의 화재 대비 구조체 및 시스템
CN206874284U (zh) 一种机动车与非机动车并存的盾构隧道断面布置
CN105350577B (zh) 一种水下复合式交通隧道
RU141153U1 (ru) Станционный комплекс метрополитена мелкого заложения
CN100543271C (zh) 磁悬浮隧道内部分区方法
CN108749821B (zh) 一种有轨电车地下车站
CN112681039B (zh) 多能公用基础设施走廊
CN100469976C (zh) 磁悬浮隧道内部分区结构
CN213768521U (zh) 一种用于有轨电车的地下车站
CN106907160A (zh) 一种机动车与非机动车并存的盾构隧道断面布置
CN205035706U (zh) 节地型立体叠加交通枢纽
CN200964554Y (zh) 一种磁悬浮隧道内部分区形式
JP2019534965A (ja) 都市輸送および物流システム
CN108252722B (zh) 一种基于盾构法的上下叠双侧式车站结构及其应用方法
CN103569138A (zh) 一种立体高速管道运输系统
CN208842394U (zh) 一种有轨电车地下车站
RU145031U1 (ru) Железнодорожный тоннель
Lyngby et al. Evacuation of an Hyperloop pod in a long tunnel
CN213039317U (zh) 一种盾构区间直出地面的疏散通道
KR101723988B1 (ko) 지하수 유동을 이용한 대심도 광역철도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광역철도 제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