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3650B1 - Perpendicular wall type block assembly breast wall - Google Patents

Perpendicular wall type block assembly breast wal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3650B1
KR101983650B1 KR1020180144076A KR20180144076A KR101983650B1 KR 101983650 B1 KR101983650 B1 KR 101983650B1 KR 1020180144076 A KR1020180144076 A KR 1020180144076A KR 20180144076 A KR20180144076 A KR 20180144076A KR 101983650 B1 KR101983650 B1 KR 1019836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fitting
plate
fastening
bloc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407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의정
김철중
염익환
김영환
선종구
박승순
이영주
안창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에프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에프이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에프이앤씨
Priority to KR10201801440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365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36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365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83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mixed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46Production methods using prestressing techniqu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450/00Gas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rtical wall type block assembly retaining wall, including: a plurality of pillars installed by certain intervals; a plurality of blocks provided between the pillars; and a settling unit installed to provide prestress to the block in a longitudinal direction, thereby providing prestress to an excavated slope or a reinforced soil side, excluding a conventional base plate, providing stronger supporting force than expected soil pressure on a construction site, and minimizing the installation number of the pillar to reduce an installation cost of the pillar.

Description

직벽형 블록 조립식 옹벽{Perpendicular wall type block assembly breast wall}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ll-

본 발명은 옹벽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초판을 배제하고, 지중에 지주를 말뚝을 삽입한 후 지주에 프리캐스트 패널을 조립 및 설치하며, 적층된 프리캐스트 패널을 관통하여 지지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지주에 삽입되는 프리캐스트 패널로 인해 지주의 설치 개수를 최소화함과 더불어 토압에 대응하는 프리캐스트 패널의 단면을 최적화할 수 있고, 지지부재로 인해 프리캐스트 패널과 말뚝의 설치가 용이하면서 패널의 수직도 유지 역시 용이하도록 개발된 직벽형 블록 조립식 옹벽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taining wall, more particularly, to a retaining wall, in which a foundation plate is excluded, a pile is inserted into a ground, and a precast panel is assembled and installed in a pillar, This makes it possible to optimize the cross section of the precast panel corresponding to the earth pressure while minimizing the number of support posts due to the precast panel inserted into the support, To a vertical wall retaining wall which is also developed to facilitate maintenance of vertical orientation of the wall.

일반적으로 옹벽은 자연적으로 형성된 경사면이나 인위적으로 형성된 경사면, 예컨대 도로 및 철도 공사 등으로 인해 인위적으로 발생한 경사면에 시공된다. 이와 같은 옹벽은 그 설치형태에 따라 성토지 옹벽과 절개지 옹벽으로 분류할 수 있다. 여기서, 성토지 옹벽은 건축단지에 시공되는 것이고, 절개지 옹벽은 산을 가로지르는 형태로 도로를 건설하거나 산의 일부만을 깎아낼 경우 깎아낸 절토면과 시공기면 사이에 시공된다.Generally, the retaining wall is constructed on a naturally formed slope or an artificially formed slope, for example, an artificially generated slope due to road and railway construction. Such a retaining wall can be classified into a castle retaining wall and a cut-away retaining wall depending on the installation type. In this case, the castle retaining wall is to be constructed in the construction complex, and the cut-off retaining wall is constructed between the cut-off surface and the construction ground when the road is constructed or a part of the mountain is cut off.

근래 들어, 산업이 발달함에 따라 도로 및 철도를 신설하거나 단지 또는 용지를 조성하기 위하여 경사지, 산지 등의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토지의 이용도를 높이면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성토 또는 절토사면에 대한 붕괴 방지를 위한 다양한 형태의 옹벽이 시공되고 있다. In recent years, development of slopes and mountains has been actively carried out in order to newly establish roads and railways or to construct lands or papers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industries. Accordingly, Or various types of retaining walls for preventing collapse of slope slopes have been constructed.

이러한 옹벽의 시공은 자유사면으로 지반을 굴착하거나 또는 배면의 용지 경계, 지장물, 산림파괴를 막기 위해 흙막이 벽체를 가시설로 설치하고 단계적으로 전면지반을 굴착한 다음, 굴착면을 따라 옹벽 구조물을 축조하고 옹벽 배면을 보강토를 포함한 뒤채움 재료로 되메우기 진행 후 흙막이 가시설을 해체하는 순으로 진행될 수 있다. The construction of the retaining wall is to construct the retaining wall structure along the excavation surface by erecting the ground with free slope or by installing the retaining wall as a temporary structure in order to prevent the paper boundary, obstacle, and deforestation on the backside. And the back surface of the retaining wall is backfilled with a backfill material including the reinforcing soil, and the posture of the retaining wall is disassembled.

여기서, 일례로 종래의 옹벽이 선행특허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76291호(2006.04.26. 등록)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자면, 일정 간격으로 세워진 H빔(10), H빔(10)들 사이에 배치된 패널(11)들과, H빔(10)의 일부위에 장착된 보강블록(1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패널(11)은 일방향으로 곡면을 이루는 볼록부가 마련된 형태이다. 또한, 보강블록(12)은 대략 "C"자 형으로 제작되고, 옹벽이 설치된 후 외부에 노출된 H빔(10)의 일부위를 감싸도록 설치됨으로써, H빔(10)의 외부에 노출된 부위를 보호하면서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Here, for example, a conventional retaining wall is disclosed in a prior art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576291 (registered on Mar. 26, 2006). Briefly, the H beams 10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the panels 11 arranged between the H beams 10 and the reinforcing blocks 12 mounted on a part of the H beams 10 . At this time, the panel 11 is provided with a convex portion forming a curved surface in one direction. The reinforcing block 12 is formed to have a substantially C shape and is provided so as to surround a part of the H beam 10 exposed to the outside after the retaining wall is installed so that the reinforcing block 12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 beam 10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appearance while protecting the site.

여기서, 패널(11)의 양측부는 H빔(10)의 복부에 끼워져 설치된다. 즉, H빔(10)은 옹벽 설치후 일부위가 보강토에 접촉하게 되고, 타부위가 외부에 노출됨으로써, 보강토 또는 공기 중의 수분에 노출되어 녹슬게 된다. 이로 인해 H빔(10)을 한 장소에서 오래 사용하거나 여러 곳에서 반복적으로 사용할수록 사용 연한이 짧아지고, 지지강도가 점점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Here, both side portions of the panel 11 are fitted to the abdomen of the H beam 10. That is, after the retaining wall is installed, a portion of the H beam 1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reinforcing soil, and the other portion is exposed to the outside, thereby being rusted by exposure to moisture in the reinforcing soil or air. As a result, as the H beam 10 is used for a long time in a place or repeatedly used at various places, the use life is shortened and the supporting strength is gradually lowered.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76291호(2006.05.04. 공고)Korean Patent No. 10-0576291 (2006.04.04 Announcement)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92420호(2006.06.28. 공고)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0592420 (Bulletin of Jun. 28, 2006)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46161호(2010.03.11. 공고)Korean Patent No. 10-0946161 (Announced on Mar. 11, 2010)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74974호(2013.06.17. 공고)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274974 (Announced on June 17, 2013)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28302호(2015.06.11. 공고)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528302 (issued on June 11, 2015)

상기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일정 간격으로 세워진 지주들 사이에 프리스트레스를 제공한 블록을 설치하고, 적층된 블록들을 관통하여 지지부재를 설치함으로써, 현장의 토압보다 더 강한 지지력을 제공하고, 지주의 설치개수를 최소화하도록 한 직벽형 블록 조립식 옹벽을 제공함에 있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devis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o provide a structure in which a block provided with a prestress between pillars spaced at regular intervals and a support member penetrating through the stacked blocks, And to provide a wall-type block-assembled retaining wall that minimizes the number of installed supports.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일정 간격으로 세워진 지주를 감싸도록 블록이 설치되고, 블록들 사이의 틈새를 지수재로 폐쇄함으로써, 철재류인 지주가 보강토 또는 공중의 수분으로부터 차단되어 지주의 녹스는 현상이 방지되도록 한 직벽형 블록 조립식 옹벽을 제공함에 있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lock structure for a column, which is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and which blocks the gap between the blocks by an exponent so as to prevent the column from being blocked by moisture from reinforcing soil or air, And to provide a wall-type block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상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직벽형 블록 조립식 옹벽은, 옹벽에서, 일정 간격으로 다수 설치된 지주; 지주들 사이에 배치되는 다수의 블록;과 블록에 길이 방향으로 프리스트레스를 제공하도록 설치된 정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all-mounted type block retaining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ing: A plurality of blocks disposed between the struts, and a fusing unit installed to provide a prestres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lock.

여기서, 정착부는 블록에 평면상 길이 방향으로 매립된 쉬즈관, 쉬즈관을 통과하여 양측부가 끼움판 근처로 노출된 강연선, 노출된 강연선에 끼워지는 웨지플레이트, 웨지플레이트의 경사면에 끼워지면서 강연선을 파지하도록 장착된 웨지절편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할 수 있다. The fusing unit includes a sheath tube embedded in a planar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lock, a stranded wire having both sides thereof exposed near the fitting plate through the sheath tube, a wedge plate sandwiched between the exposed strand and a wedge plate, The wedge segments may be provided with at least one of the wedge segments.

또한, 지주는 양측 플랜지와 복부를 갖는 "H" 형상일 수 있다. Also, the struts may be in the " H " shape with both flanges and abdomen.

그리고 블록은 정면상 양측부는 지주의 플랜지들 사이에 끼워지거나, 지주를 감싸도록 가공될 수 있다. And the block may be inserted between the flanges of the support on both sides of the front face, or may be fabricated to surround the support.

여기서, 블록은 지주를 감싸도록 가공된 경우, 지주를 감싸는 끼움돌출부, 끼움돌출부 사이에 마련되어 지주를 수용하는 끼움홈, 평면상 길이 방향에 대해 중앙부에 가공된 장착구, 장착구 부위에서 평면상 폭 방향의 일면에 마련된 볼록부와, 양측부에서 볼록부까지 마련된 오목부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block may include a fitting protrusion for enclosing the support, a fitting groove provided between the fitting protrusion for accommodating the support, a mounting hole machined at the center with respect to the lengthwise direction, And a concave portion provided from both side portions to the convex portion.

또한, 블록은 끼움홈으로부터 외향 돌출되어 지주의 플랜지 사이에 끼워지도록 매립된 끼움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블록의 끼움돌출부와 끼움판 사이에 지주의 플랜지가 배치될 수 있다. Further, the block may further include a fitting plate embedded outwardly from the fitting groove so as to be fitted between the flanges of the legs. At this time, the flange of the support can be disposed between the fitting projection of the block and the fitting plate.

한편, 장착구를 통해 적층된 블록들을 관통 및 연결하여 블록들의 연동 구조 또는 각 블록에 토압 지지력을 조력하도록 배치된 지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support member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member arranged to penetrate and connect the stacked blocks through the mount to arrange the interlocking structure of the blocks or to support the earth pressure holding force on each block.

또한, 지주를 감싸도록 이웃하여 배치된 블록들의 틈새를 폐쇄하는 방수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Further, it may further include a waterproof means for closing the gap between the blocks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to surround the column.

여기서, 방수수단은 서로 이웃한 블록들의 끼움돌출부들 사이에 배치된 봉함재, 지수재와 실런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waterproof means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sealing material, an index material, and a sealant disposed between the fitting protrusions of adjacent blocks.

또한, 지주를 감싸도록 이웃한 블록들을 결합하는 체결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fastening means for fastening neighboring blocks to surround the strut.

여기서, 체결수단은 블록의 끼움돌출부에 매립되는 보조체결판, 블록에 매립되면서 일측부에 보조체결판이 고정되는 고정부재, 이웃한 블록의 끼움돌출부를 연결하여 위치되면서 보조체결판들을 연결하여 배치되는 체결판, 체결판을 관통하여 보조체결판에 체결되는 체결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Here, the fastening means includes an assisting fastening plate embedded in the fitting protrusion of the block, a fastening member fastened to the block with the fastening fastening plate on one side thereof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fastening plates of the neighboring blocks, And a fastening member passing through the fastening plate and the fastening plate and fastened to the assisting fastening plate.

그리고 지주를 감싸도록 블록들이 이웃하여 배치되고, 이웃한 블록들 사이를 방수수단이 폐쇄하여 끼움홈들에 의해 마련된 공간에 주입되며, 지주와 블록들의 토압에 대한 분산이 이루어지는 연동 구조를 갖도록 충전되는 충전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blocks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so as to surround the strut, the waterproof means is closed between the adjacent blocks, and is injected into the space provided by the fitting grooves. The struts and the blocks are charged so as to have an interlocking structure And a filler.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지주들 사이에 배치되는 블록에는 절토사면 또는 보강토 측으로 프리스트레스를 제공함으로써, 종래의 기초판을 배제하고, 현장의 예상 토압력보다 더 강한 지지력을 제공하며, 지주의 설치개수를 최소화하여 지주의 설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locks disposed between the struts are provided with a prestress on the cut slope or reinforcement soil side, thereby eliminating the conventional foundation plate, providing a bearing force stronger than the expected earth pressure of the sit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installation cost of the support by minimizing the installation number.

또한, 적층된 블록들을 관통하면서 연결하도록 지지부재를 설치하고, 횡으로 이웃한 블록들을 체결수단으로 결합하여 블록들이 연동 구조가 되도록 함으로써, 가해지는 토압에 대해 최대의 분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In addition, a support member is provided so as to connect the stacked blocks while penetrating through the stacked blocks, and the adjacent blocks are coupled by fastening means to provide the interlocked structure, thereby achieving the maximum dispersion effect on the applied earth pressure.

그리고 지주를 감싸도록 블록을 배치하고, 블록들 사이에 방수수단 및/또는 체결수단을 설치함으로써, 지주가 블록에 둘러싸여 외부의 공간, 절토사면 또는 보강토의 수분이 지주와 접촉하는 것을 미연에 차단하고, 이로 인해 지주의 녹스는 현상을 방지하면서 지주의 사용 연한 및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By arranging the block to surround the column and providing the waterproof means and / or the fastening means between the blocks, the column is surrounded by the block to prevent the moisture of the external space, cut slope or reinforcement from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column So that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use life and supporting force of the support while preventing the rust of the support.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도 1은 종래의 옹벽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직벽형 블록 조립식 옹벽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블록의 내부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블록의 "A"부위가 확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블록의 "B"부위 확대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는 도 2에 도시된 블록의 다른 실시 예이다.
도 9는 도 2에 도시된 블록의 결합부위가 확대 도시된 A-A선 측단면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orporated in and constitute a part of the specification,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scription, serve to further the understanding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invention, Should not be interpreted.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ventional retaining wall.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wall-type block-assembled retaining wal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block shown in Fig.
4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 A " portion of the block shown in Fig.
5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 B " region of the block shown in Fig.
6 to 8 show another embodiment of the block shown in Fig.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the line AA of FIG. 2 showing enlarged engaging portions of the blocks. FIG.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구성><Configura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직벽형 블록 조립식 옹벽은 도 2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100), 블록(200), 지지부재(300), 정착부(400), 방수수단(500), 체결수단(600)과 충전재(7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s shown in FIGS. 2 and 5, the wall-type block-type retaining wall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lumn 100, a block 200, a support member 300, a fixing unit 400, 500, a fastening means 600 and a filler 700.

지주(100)는 옹벽을 설치할 장소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 배치되고, 블록(200)이 끼워지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 지주(100)는 평면상 양측의 플랜지(110)와 플랜지(110)들을 연결하는 복부(120)로 구성된 대략 "H"자 형상의 철재 빔일 수 있다. A plurality of pillars (100) are dispos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a place where a retaining wall is to be installed, and the pillars (200) can be installed so as to be fitted. The pillars 100 may be a substantially "H" shaped steel beam composed of the abdomen 120 connecting flanges 110 and flanges 110 on both sides of the plane.

먼저, 블록(200)은 지주(100)들 사이에 배치되어 절토사면 또는 보강토의 토사를 지지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블록(200)은 도 2에서와 같이 지주(100)를 감싸듯이 설치되거나, 도 5 및 도 6에서와같이 지주(100)의 플랜지(110) 사이에 끼워져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블록(200)은 일정 크기 및 형상으로 미리 만들 수 있고, 추가로 프리스트레스를 제공하여 제작될 수도 있다. First, the block 20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struts 100 to support the slope of the cut slope or the soil of the reinforcing soil. At this time, the block 200 may be installed to surround the support 100 as shown in FIG. 2, or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flanges 110 of the support 100 as shown in FIG. 5 and FIG. In addition, the block 200 may be preliminarily formed in a predetermined size and shape, and may be manufactured by further providing a prestress.

먼저, 도 2의 경우 블록(200)의 양측부는 도 2와 도 3을 보면, 지주(100)가 끼워져 감싸지도록 끼움돌출부(210)와 끼움홈(220)이 마련될 수 있다. 또, 블록(200)의 양측 끼움돌출부(210)를 제외한 가운데 부위는 도 3에서 보듯이, 중앙에 지지부재(300)를 삽입하기 위한 장착구(230), 장착구(230)가 가공된 부위에 마련된 볼록부(240)와, 볼록부(240) 및 양측부 사이에 중량 및 제작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오목한 마련된 오목부(250)를 구비하여 제작된다. 여기서, 볼록부(240)와 오목부(250)는 평면상 위, 아래 양측면에 마련되거나, 옹벽 설치시 절토사면 반대측 일면에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양측부의 끼움돌출부(210)는 끼움홈(220)과 접하는 일면에 대해 도 5에서 보듯이 지주(100)의 끼움 작업이 좀 더 원활히 수행될 수 있는 경사지게 가공될 수 있다. 2 and 3, both sides of the block 200 in FIG. 2 may include a fitting protrusion 210 and a fitting groove 220 so that the pillars 100 are inserted and wrapped. As shown in FIG. 3, the block 200 has a mounting hole 230 for inserting the supporting member 300, a mounting hole 230 for mounting the mounting hole 230, And the concave portion 250 is formed between the convex portion 240 and the opposite side portions to reduce the weight and manufacturing cost. Here, the convex portion 240 and the concave portion 250 may be provided on both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plane, or may be provided only on one surface of the retaining wall opposite to the cut slope surface. The fitting protrusions 210 on both sides can be inclined so that the fitting operation of the struts 100 can be performed more smoothly, as shown in FIG. 5, with respect to one surface contacting the fitting groove 220.

이러한 블록(200)은 끼움판(2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끼움판(260)은 도 2와 도 9에서 보듯이 끼움홈(220)에 삽입되는 "H"형 지주(100)의 플랜지(110) 사이로 끼워짐으로써, 끼움홈(220)과 지주(100)의 끼움 결합 및 유지가 원활히 지속되도록 조력할 수 있다. 이러한 끼움판(260)은 도 2 내지 도 4에서 보면 끼움홈(220)에서 외향 돌출되고, 대략 "ㄷ"자 형상이면서 막힌 측면의 부위가 지주(100)의 플랜지(110) 사이에 끼워지고, 반대측 부위가 블록(200)에 매립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 끼움판(260)은 철재류의 지주(100)와 접촉되어 파손되지 않도록 철재, FRP 또는 플라스틱을 포함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끼움판(260)은 블록(200)의 높이와 동일한 최대 높이로 1개가 설치될 수 있고, 블록(200)의 높이보다 작은 높이로 1개 또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끼움판(260)의 형상은 "ㄷ"자 형상 이외에도 "ㅁ"자 또는 "11"자 형상을 포함한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 가능하고, 도 9에서와같이 평면상 종 방향 부위가 경사지거나 수평으로 제작될 수 있다. The block 200 may further include a fitting plate 260. As shown in FIGS. 2 and 9, the fitting plate 260 is inserted between the flanges 110 of the "H" -shaped pillars 100 inserted into the fitting grooves 220, so that the fitting grooves 220 and the pillars 100 ) Can be smoothly maintained. 2 to 4, the fitting plate 260 protrudes outwardly from the fitting groove 220, and a substantially "C" shaped and clogged side portion is sandwiched between the flanges 110 of the strut 100, And the opposite side portion may be embedded in the block 200. The fitting plate 260 may be made of steel, FRP, or plastic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struts 100 and not to be damaged. One or more fitting plates 260 may be provided at a maximum height equal to the height of the block 200 and one or a plurality of the fitting plates 260 may be installed at a height smaller than the height of the block 200. The shape of the fitting plate 260 may be variously formed in a variety of shapes including a "? &Quot; or " 11 " shape in addition to a " .

또한, 블록(200)은 도 2 및 도 3에서 보듯이 평면상 중앙부위에 장착구(230)가 가공될 수 있다. 이 장착구(230)는 절토사면 또는 보강토의 토압을 지지하는 지지력을 보강하기 위한 지지부재(300)가 삽입되도록 가공될 수 있다. 즉, 장착구(230)는 옹벽 설치시 다수 적층되는 블록(200)들을 지지부재(300)가 관통하여 설치되도록 가공될 수 있다. 이러한 장착구(230)는 평면상 최대 폭을 갖는 볼록부(240)가 마련된 부위에 가공됨으로써, 지지부재(300)의 토압 지지력을 블록(200)이 충분히 견딜 수 있다. 여기서, 지지부재(300)는 상하로 적층된 블록(200)들을 관통 및 연결하여 설치됨으로써, 지주(100)와 블록(200)의 설치가 용이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하고, 어느 부위의 블록(200)들에 가중된 토압을 이웃한 블록(200)들에게 충분히 분산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2 and 3, the block 200 may be formed with a mounting hole 230 at a central portion in a plane. The mounting hole 230 can be machined so as to insert a support member 300 for reinforcing a supporting force for supporting the soil pressure of the cut slope surface or the reinforcing soil. That is, the mounting hole 230 may be formed so that the support members 300 are installed to pass through the blocks 200 stacked at the time of installing the retaining wall. Such a mounting hole 230 is machined to a portion provided with the convex portion 240 having a maximum width in plan view, so that the block 200 can sufficiently bear the earth pressure holding force of the supporting member 300. The support member 300 guides the strut 100 and the block 200 to be easily installed by penetrating and connecting the blocks 200 stacked up and down. It is possible to sufficiently distribute the earth pressure to the neighboring blocks 200. [

한편, 지지부재(300)는 지주(100)들 사이에 배치된 블록(200)의 토압 지지력을 상승시키는 부재이다. 이 지지부재(300)는 도 2에서 보듯이, 옹벽이 설치된 이후 토압에 대해 블록(200)의 길이 방향에 대해 중간 부위 즉, 장착구(230)가 마련된 부위에서 가장 큰 힘이 가해지고, 이 힘을 최대한 분산시킬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재(300)는 원기둥, 삼각기둥, 사각기둥, 오각기둥 또는 육각기둥 등의 다양한 형태의 기둥일 수 있다. 이러한 지지부재(300)는 설치된 옹벽에서 최하위 블록(200)에서 최상위 블록(200)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단순히 삽입되거나, 볼트 또는 나사 결합 방식으로 블록(200)에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재(300)가 장착구(230)에 삽입된 후 숏크리트로 장착구(230)가 메워질 수 있고, 이를 통해 블록(200)에 가해지는 토압이 지지부재(300)로 전달되므로 블록(200)과 지지부재(300)가 연동하여 작용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upport member 300 is a member for raising the earth pressure holding force of the block 200 disposed between the pillars 100. As shown in FIG. 2, the support member 300 is subjected to the greatest force applied to the intermediate portion, that is, the portion where the mounting hole 230 is provided,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lock 200 with respect to the earth pressure after the retaining wall is installed. The force can be dispersed to the maximum extent. The support member 300 may be any of various types of columns such as a column, a triangular column, a square column, a pentagonal column, or a hexagonal column. This support member 300 is installed through the uppermost block 200 in the lowest block 200 in the installed retaining wall and can be simply inserted or fastened to the block 200 in a bolt or screw connection manner. In addition, since the support member 300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hole 230, the mounting hole 230 can be filled with the shotcrete, and the earth pressure applied to the block 200 is transmitted to the support member 300, The support member 200 and the support member 300 can work together.

한편, 정착부(400)는 블록(200)에 프리스트레스(prestress)를 제공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즉, 정착부(400)는 도 3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 블록(200)이 지지할 수 있는 토압력을 상승시키기 위해 블록(200)에 설치될 수 있다. 이 정착부(400)는 일례로 쉬즈관(410), 강연선(420), 웨지플레이트(430)와 웨지절편(440)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정착부(400)는 이들 부재의 구성 이외의 이미 알려진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Meanwhile, the fusing unit 400 may be installed to provide a prestress to the block 200. That is, as shown in FIGS. 3 to 5, the fusing unit 400 may be installed in the block 200 in order to raise the soil pressure that each block 200 can support. The fusing unit 400 may include a sheath tube 410, a strand 420, a wedge plate 430, and a wedge slice 440. On the other hand, the fusing unit 400 may have a known structure other than the structure of these members.

먼저, 쉬즈관(410)은 강연선(420)이 삽입되는 관이다. 이 쉬즈관(410)은 블록(200)을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여 매설될 수 있다. First, the sheath pipe 410 is a pipe into which the strand 420 is inserted. The sheath pipe 410 may be buried in the block 2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또한, 강연선(420)은 쉬즈관(410)을 통과하여 양단부가 끼움판(260) 근처에서 외부로 노출되고, 웨지플레이트(430)와 웨지절편(440)을 통과하여 위치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The stranded wire 420 may be installed such that both ends of the stranded wire 420 pass through the sheath tube 410 and are exposed to the outside in the vicinity of the fitting plate 260 and pass through the wedge plate 430 and the wedge slice 440.

또한, 웨지플레이트(430)는 쉬즈관(410)을 통과한 강연선(420)의 단부가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웨지플레이트(430)의 외면에는 나사부(431)가 가공되고, 이 나사부(431)에 인장기가 체결된 후 강연선(420)의 인장력을 조정할 수 있다. The wedge plate 430 may be disposed such that the end of the strand 420 passing through the sheath pipe 410 passes through the wedge plate 430. A threaded portion 431 is machin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wedge plate 430 and the tensile force of the stranded wire 420 can be adjusted after the tensile machine is fastened to the threaded portion 431.

그리고 웨지절편(440)은 강연선(420)을 파지하는 부재이다. 이 웨지절편(440)은 외면이 경사지게 가공되고, 웨지플레이트(430)의 역경사지게 가공된 면과 상응하여 강연선(420)을 단단히 고정시키도록 설치될 수 있다. The wedge slice 440 is a member holding the strand 420. The wedge slice 440 can be installed so that the outer surface thereof is processed to be inclined and the strand 420 is firmly fix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reverse sloped surface of the wedge plate 430.

따라서, 블록(200)가 평면상 절토사면 또는 보강토 측으로 볼록하게 제작되고, 강연선(420)을 잡아당겨 평평하게 한 후 지주(100)들 사이에 배치함으로써, 절토사면 또는 보강토의 토압 방향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지지력이 제공되고, 이로 인해 더 강한 토압을 지지할 수 있다.Therefore, the block 200 is made convex to the cut slope or the reinforcing soil side in a plane, and the strand 420 is pulled and flattened and disposed between the struts 100, so that the opposit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earth pressure direction of the cut slope or the reinforcing soil And therefore, a stronger earth pressure can be supported.

물론, 도 3의 블록(200)은 도 6에서 보듯이 정착부(400)를 배제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Of course, the block 200 of FIG. 3 may be manufactured without the fixing unit 400 as shown in FIG.

또한, 도 7 및 도 8에서 보듯이, 블록(200)의 양측부는 지주(100)의 플랜지(110)들 사이에 끼워지도록 가공될 수 있다. 이때, 양측부는 끼움판(260)이 배제되면서 끼움돌출부(210)와 끼움홀(220)이 가공된 형태일 수 있고, 도면에서와같이 평면상 양측면이 평평한 형태일 수 있다. 그리고 플랜지(110)들 사이에 끼워지는 블록(200)의 양측부는 평면상 상면, 하면 및 측면이 평평하고, 양측부를 연결하는 중간부위는 절토사면 또는 보강토 측으로 도 7에서와같이 완만한 곡면을 이루거나, 도 8에서와같이 굴절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곡면 및 굴절 형태의 블록(200)은 토압에 대한 지지력을 최대로 상승하기 위한 것으로, 필요에 따라 정착부(400)가 설치되거나 배제될 수 있다. 7 and 8, both sides of the block 200 may be machined to fit between the flanges 110 of the struts 100. [ At this time, the both side portions may have a shape in which the fitting projection 210 and the fitting hole 220 are processed while excluding the fitting plate 260, and both sides may be flat on the plane as shown in the drawing. Both sides of the block 200 sandwiched between the flanges 110 are planarly flat on the upper, lower and side surfaces, and the middle portion connecting the both sides is a slope slope or a reinforcing soil side with a gently curved surface as shown in FIG. 7 Or may be manufactured in a refracted form as shown in FIG. The curved and curved block 200 is designed to maximally increase the supporting force against the earth pressure, and the fusing unit 400 may be installed or excluded as needed.

한편, 방수수단(500)은 도 9에서 보듯이 지주(100)를 감싸면서 배치된 블록(200)들 간의 틈새를 폐쇄시킴으로써, 일측면의 절토사면 또는 보강토에 함유된 수분과, 반대 측면의 공기 중에 함유된 수분의 유입을 차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방수수단(500)은 봉함재(510), 지수재(520)와 실런트(5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절토사면 또는 보강토측의 틈새에는 봉함재(510), 지수재(520)와 실런트(530) 모두 부착 및 도포될 수 있고, 반대측 틈새에는 봉함재(510)만 부착될 수 있다. 물론 양측 틈새에 모두 부착 및 도포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waterproofing means 500 closes the gap between the blocks 200 arranged while surrounding the strut 100 as shown in FIG. 9, so that water contained in the cut slope or reinforcement soil on one side and air To block the inflow of water contained in the water. Accordingly, the waterproofing means 500 may include the sealant 510, the index material 520, and the sealant 530. For example, the sealing material 510, the index material 520, and the sealant 530 can both be adhered and applied to the cut slope or the gap on the reinforcing soil side, and only the sealing material 510 can be adhered to the opposite side gap. Of course, it can be attached and applied to both side gaps.

봉함재(510)는 양측에 배치된 블록(200)들의 끼움돌출부(210)들 사이에 배치되어 끼움돌출부(210)들 사이의 틈새를 폐쇄하고, 끼움돌출부(210)들 간의 접촉 또는 충격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도록 부착될 수 있다. 이 봉함재(510)는 지주(100)에 배치된 어느 일측 블록(200)의 끼움돌출부(210)에 부착되고, 타측 블록(200)이 배치된 후 수분에 의해 팽창되어 블록(200)들의 틈새를 폐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봉함재(510)는 수팽창재, 수팽창 지수재, 큰크리트 팽창재, 몰탈 팽창재, CSA 팽창재 등을 포함한 다양한 팽창재일 수 있다. 그리고 봉함재(510)가 블록(200)들 사이의 틈새를 폐쇄함으로써, 도 5에서 보듯이 블록(200)들 사이에는 지주(100)가 삽입된 폐쇄된 공간이 마련되고, 이 공간에 숏크리트를 포함하는 충전재(700)가 충전될 수 있다. The sealing member 510 is disposed between the fitting protrusions 210 of the blocks 200 disposed on both sides to close the gap between the fitting protrusions 210 and to fix the gap between the fitting protrusions 210 To prevent breakage. The sealing member 510 is attached to the fitting protrusion 210 of one side block 200 disposed on the strut 100 and is inflated by moisture after the other side block 200 is disposed, Lt; / RTI &gt; For this purpose, the sealing member 510 may be any of a variety of expanding materials including a water expanding material, a water expansion index material, a large cret expanding material, a mortar expanding material, a CSA expanding material and the like. As shown in FIG. 5, the sealing material 510 closes the gap between the blocks 200, and a closed space in which the column 100 is inserted is provided between the blocks 200, The filling material 700 including the filler can be charged.

지수재(520)는 끼움돌출부(210)들 사이의 틈새를 통해 절토사면 또는 보강토의 수분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지수재(520)는 어느 일측 블록(200)의 끼움돌출부(210)에 부착되고, 타측 블록(200)이 배치되여 틈새를 폐쇄할 수 있으며, 봉함재(510)와 더불어 수분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지수재(520)는 절토사면 또는 보강토측 일측부 및 반대측면의 틈새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의 틈새에 배치될 수 있다. The index material 520 may be adhered to prevent moisture from entering the cut slope or the reinforcing soil through the gap between the fitting projections 210. The index member 520 may be attached to the fitting protrusion 210 of one of the blocks 200 and the other block 200 may be disposed to close the gap and to prevent the inflow of water together with the sealing member 510 . And the index material 520 may be disposed in a gap between one or both of the cut slope or the gap on one side and the opposite side on the side of the reinforcing earth.

실런트(530)는 끼움돌출부(210)들 사이의 틈새를 마감하도록 부착 또는 도포될 수 있다. 이 실런트(530)는 블록(200)들이 설치된 후 틈새를 마감하도록 도포될 수 있다. 그리고 실런트(530)는 절토사면 또는 보강토측 일측부 및 반대측면의 틈새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의 틈새에 도포될 수 있다. The sealant 530 may be adhered or applied so as to close the gap between the fitting projections 210. [ The sealant 530 can be applied to close the gap after the blocks 200 are installed. And the sealant 530 may be applied to a gap in one or both of the cut slope or the gap on one side and the opposite side on the side of the reinforcing earth.

여기서, 봉함재(510), 지수재(520)와 실런트(530)는 블록(200)들이 설치된 이후, 봉함재(510), 지수재(520) 및 실런트(530)가 틈새로 주입될 수도 있고, 블록(200)에 봉함재(510)가 부착되고 그 외측으로 지수재(520) 및 실런트(530)가 주입될 수도 있다. 물론, 방수수단(5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구성은 종방향으로 설치됨은 물론, 높이 방향으로 적층된 블록(200)들 사이에 얇게 배치될 수도 있다. The sealant 510, the exponent 520 and the sealant 530 may be injected into the gap after the blocks 200 are installed, the sealant 510, the exponent 520, and the sealant 530 The sealing material 510 may be attached to the block 200 and the index material 520 and the sealant 530 may be injected outside the sealing material 510. [ Of course, the configuration of at least one of the waterproofing means 500 may be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s well as thinly disposed between the blocks 200 stacked in the height direction.

한편, 체결수단(600)은 도 4와 도 5에서 보듯이, 지주(100)를 감싸도록 배치된 양측 블록(200)을 서로 결합시켜 집중된 토압에 의해 상호 간의 분리를 방지하고, 어느 한 블록(200)에 집중된 토압을 이웃한 블록(200)에 분산시킬 수 있는 연동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이를 위해 체결수단(600)은 고정부재(610), 보조체결판(620), 체결판(630)과 체결부재(640)를 구비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4 and 5, the fastening means 600 is configured to couple the two side blocks 200 arranged to surround the column 100 to each other to prevent separation of each other by the concentrated earth pressure, 200 can be dispersed in the neighboring block 200. In this case, To this end, the fastening means 600 may include a fixing member 610, an auxiliary fastening plate 620, a fastening plate 630, and a fastening member 640.

고정부재(610)는 보조체결판(620)의 매립된 상태의 고정력을 상승시키는 부재이다. 이 고정부재(610)는 블록(200) 내부에 매립되면서 일정 길이를 가지는 강선 또는 강판이고, 하나 또는 2개 이상이며, 일측단 부위에 보조체결판(620)이 견고히 부착될 수 있다. 이 고정부재(610)는 경우에 따라 배제될 수도 있다. The fixing member 610 is a member for raising the clamping force of the auxiliary clamping plate 620 in the buried state. The fixing member 610 may be a steel wire or a steel plate having a certain length while being embedded in the block 200, and may have one or more than two, and the auxiliary fastening plate 620 may be firmly attached to one end portion thereof. This fixing member 610 may be excluded as the case may be.

보조체결판(620)은 블록(200)에 매립되면서 블록(200) 외부의 체결판(630)과 체결부재(640)를 통해 고정되는 부재이다. 이 보조체결판(620)은 체결부재(640)와의 체결을 위해 내면에 나사산이 가공된 체결홀이 가공되거나, 볼트가 관통 부착되어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보조체결판(620)읜 블록(200)의 양측단 부위의 끼움돌출부(210)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보조체결판(620)은 블록(200) 완성 후 홈을 만들어 바닥면에 부착하고, 이 홈을 숏크리트를 포함한 시멘트, 콘크리트 등의 재료로 메워 설치할 수도 있다. The auxiliary fastening plate 620 is a member fixed in the block 200 through the fastening plate 630 and the fastening member 640 outside the block 200. The auxiliary fastening plate 620 may be manufactured by machining a fastening hole having a threaded inner surface for fastening with the fastening member 640, or by attaching a bolt through the fastening plate 620. And the auxiliary fastening plate 620 can be positioned at the fitting protrusions 210 at both side ends of the block 200. [ Further, the auxiliary clamping plate 620 may be formed after the completion of the block 200 and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and the groove may be filled with a material such as cement, concrete, or the like containing shotcrete.

체결판(630)은 블록(200)의 외면에 밀착되어 체결부재(640)를 통해 블록(200) 내부의 보조체결판(620)과 결합되는 부재이다. 이 체결판(630)은 대응 배치된 블록(200)들의 끼움돌출부(210)들을 체결할 수 있도록 일측 블록(200)의 끼움돌출부(210)에 매립된 보조체결판(620)과, 타측 블록(200)의 끼움돌출부(210)에 매립된 보조체결판(620)을 연결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처럼 배치된 체결판(630)은 다수의 체결부재(640)를 통해 일측 블록(200)의 보조체결판(620) 및 타측 블록(200)의 보조체결판(620)과 체결될 수 있다. The clamping plate 630 is a member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block 200 and is coupled to the clamping plate 620 inside the block 200 through the clamping member 640. The fastening plate 630 includes an auxiliary fastening plate 620 embedded in the fitting protrusion 210 of the one block 200 and a fastening plate 620 fastened to the other fastening block 620 so as to fasten the fitting protrusions 210 of the blocks 200, 200 and the auxiliary clamping plate 620 embedded in the clamping protrusion 210 of the main body 200. The fastening plate 630 arranged in this way can be fastened to the auxiliary fastening plate 620 of the one block 200 and the auxiliary fastening plate 620 of the other block 200 through the fastening members 640.

따라서, 체결수단(600)은 1개의 지주를 감싸도록 배치된 2개의 이웃한 블록(200)이 고정부재(610)에 의해 견고히 고정되고, 블록(200)들이 벌어지는 현상을 최대한 억제하고, 봉함재(510), 지수재(520) 및 실런트(530)가 파손될 정도의 밀착 역시 최대한 억제할 수 있다. 이 체결수단(600)은 지주(100)를 감싸도록 배치된 종 방향의 양측 블록(200)을 결합시킬 수도 있고, 상하 횡 방향의 블록(200)들을 결합시키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Therefore, the fastening means 600 is configured such that two neighboring blocks 200 arranged to surround one strut are firmly fixed by the fixing member 610, and the phenomenon that the blocks 200 are opened is minimized,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adhesion to such an extent that the sealant 510, the index material 520, and the sealant 530 are broken. The fastening means 600 may be configured to couple the longitudinal side blocks 200 arranged to surround the pillars 100 or to couple the blocks 200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한편, 충전재(700)는 도 5에서 보면, 1개의 지주를 감싸도록 2개의 블록(200)이 배치되고, 양측 끼움돌출부(210)들 끼리의 틈새가 봉함재(510)에 의해 폐쇄되면, 지주(100)가 십입된 상태에서 끼움홈(220)들로 이루어진 폐쇄된 공간이 마련되며, 이 폐쇄된 공간을 채우기 위한 재료이다. 이 충전재(700)는 폐쇄된 공간에 주입되고,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단단히 경화될 수 있는 재료이고, 숏크리트이거나 시멘트 및 콘크리트 등의 다양한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 충전재(700)와 더불어 끼움판(260), 및 방수수단(500) 및 체결수단(600)에 의해 1개의 지주(100)와, 이 지주(100)를 감싸도록 배치된 2개의 블록(200)이 서로 견고히 밀착 및 결합됨으로써, 어느 한 곳에 집중되거나 좀 더 많은 토압이 제공될 때, 토압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5, when two blocks 200 are arranged to surround one strut and the gap between the two side fitting protrusions 210 is closed by the sealing material 510, A closed space composed of the fitting grooves 220 is provided in a state where the battery 100 is inserted, and is a material for filling the closed space. The filling material 700 is a material which is injected into a closed space and can be hardened when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and may be shotcrete or made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cement and concrete. And one block 100 and two blocks 200 arranged to surround the pillars 100 by the fitting plate 260 and the waterproofing means 500 and the fastening means 600 together with the filling material 700 Are strongly tightly adhered to and joined with each other, whereby the earth pressure can be effectively dispersed when concentrated in any one place or when more earth pressure is provide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s described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considere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equivalents of the claims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00:지주
110:플랜지 120:복부
200:블록
210:끼움돌출부
220:끼움홈 230:장착구
240:볼록부 250:오목부
260:끼움판
300:지지부재
400:정착부
410:쉬즈관 420:강연선
430:웨지플레이트 431:나사부
440:웨지절편
500:방수수단
510:봉함재 520:지수재
530:실런트
600:체결수단
610:고정부재 620:보조체결판
630:체결판 640:체결부재.
700:충전재.
100: holding
110: flange 120: abdomen
200: Block
210:
220: fitting groove 230: fitting hole
240: convex portion 250: concave portion
260:
300: support member
400: fusing unit
410: Shuzu pipe 420: Stranded wire
430: wedge plate 431: threaded portion
440: Wedge intercept
500: Waterproofing means
510: Sealing material 520: Index material
530: Sealant
600: fastening means
610: Fixing member 620: Auxiliary fastening plate
630: fastening plate 640: fastening member.
700: filler.

Claims (8)

옹벽에서,
일정 간격으로 다수 설치된 지주(100);
상기 지주(100)들 사이에 배치되는 정도의 크기이고, 평면상 양측부의 상부와 하부에 횡으로 돌출된 끼움돌출부(210), 끼움돌출부(210) 사이에 평면상 오목하게 마련된 끼움홈(220)과, 평면상 끼움홈(220)에 위치되고 양측부위가 매립되면서 중앙부위가 횡방향으로 돌출되어 폐쇄공간을 마련하도록 장착된 끼움판(260)을 포함하고, 한 쌍의 지주(100)가 횡방향으로 배치되면서 평면상 횡으로 마주하는 끼움홈(220)들이 지주(100)를 감싸도록 배치된 다수의 블록(200);과,
마주한 상기 블록(200)의 끼움홈(200)들 사이에 마련된 공간과 더불어 끼움판(260)에 의해 마련된 폐쇄공간에 주입되며, 돌출된 끼움판(260)의 중앙부위와 지주(100)를 매립하도록 충전되는 충전재(7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벽형 블록 조립식 옹벽.
On the retaining wall,
A plurality of pillars (100)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A fitting protrusion 210 protruding transversely 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both sides of the plane on the level of being disposed between the pillars 100; a fitting groove 220 formed in a plane concave between the fitting protrusions 210; , And a fitting plate (260) which is located in the plane fitting groove (220) and is mounted so as to provide a closed space by projecting the central portion in the lateral direction while both side portions are buried, and the pair of pillars (100) A plurality of blocks (200) arranged in a direction to face each other and arranged in a plane so as to face each other, the fitting grooves (220) surrounding the pillars (100)
Is inserted into the closed space provided by the fitting plate 260 together with the space provided between the fitting grooves 200 of the block 200 facing each other and the central portion of the fitting plate 260 protruded, And a filler (700) filled to fill the cavity.
제1항에서,
상기 지주(100)는 양측 플랜지(110)와 복부(120)를 갖는 "H" 형상이고,
상기 끼움판(260)은 "ㄷ"자 형상이고, 돌출된 중간부위가 양측 플랜지(110)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벽형 블록 조립식 옹벽.
The method of claim 1,
The pillars 100 are in the " H " shape with both flanges 110 and abdomen 120,
Characterized in that the fitting plate (260) is " C " shaped and the protruded intermediate portion is disposed between the flanges (110).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블록(200)은 평면상 횡방향에 대해 중앙부에 가공된 장착구(230), 장착구(230) 부위에서 평면상 폭 방향의 일면에 마련된 볼록부(240)와, 양측부에서 볼록부(240)까지 마련된 오목부(25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적층된 상기 블록(200)들의 장착구(230)를 관통하여 배치된 기둥형태의 지지부재(3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벽형 블록 조립식 옹벽.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block 200 includes a mounting hole 230 machined at a central portion with respect to a transverse direction in a plan view, a convex portion 240 provided on one surface in a plane widthwise direction at a portion of the mounting hole 230, And a concave portion (250) provided to the upper surface (240)
Further comprising: a support member (300) in the form of a column disposed through the mounting hole (230) of the stacked blocks (200).
제3항에서,
상기 블록(200)에 프리스트레스를 제공하도록 설치된 정착부(400);
상기 지주(100)를 감싸면서 마주한 블록(200)의 끼움돌출부(210)들의 틈새를 폐쇄하도록 설치된 방수수단(500);과
이웃한 상기 블록(200)들을 결합하도록 설치된 체결수단(60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정착부(400)는 블록(200)에 평면상 횡방향으로 매립된 쉬즈관(410), 쉬즈관(410)을 통과하여 양측부가 끼움판(260) 근처로 노출된 강연선(420), 노출된 강연선(420)에 끼워지는 웨지플레이트(430), 웨지플레이트(430)의 경사면에 끼워지면서 강연선(420)을 파지하도록 장착된 웨지절편(440)을 구비하고,
상기 방수수단(500)은 서로 이웃한 블록(200)의 끼움돌출부(210)들 사이에 배치된 봉함재(510), 지수재(520)와 실런트(5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구비하고,
상기 체결수단(600)은 블록(200)의 끼움돌출부(210) 부위에 매립되는 보조체결판(620), 보조체결판(620)보다 긴 길이를 가지고 블록(200)에 매립되면서 일측부가 보조체결판(620)에 고정되는 고정부재(610), 이웃한 블록(200)의 보조체결판(620)들을 연결하여 배치되는 체결판(630), 체결판(630)을 관통하여 보조체결판(620)에 체결되는 체결부재(64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벽형 블록 조립식 옹벽.
4. The method of claim 3,
A fusing unit 400 installed to provide a prestress to the block 200;
A waterproof means 500 installed to close the gap between the fitting protrusions 210 of the block 200 facing the strut 100;
Further comprising fastening means (600) installed to couple the neighboring blocks (200)
The fusing unit 400 includes a sheath pipe 410 embedded in the block 200 in a horizontal direction on a plane, a strand 420 exposed on both sides of the sheath pipe 260 near the sheath pipe 410, A wedge plate 430 fitted to the bent strand 420 and a wedge slice 440 fitted to the inclined surface of the wedge plate 430 so as to grip the strand 420,
The waterproofing means 500 includes at least one of a sealant 510, an index material 520 and a sealant 530 disposed between the fitting protrusions 210 of the adjacent blocks 200,
The fastening means 600 is longer than the auxiliary fastening plate 620 and the auxiliary fastening plate 620 that are embedded in the fitting projection 210 of the block 200 and is embedded in the block 200, A fixing member 610 fixed to the plate 620, a fastening plate 630 connected to the auxiliary fastening plates 620 of the adjacent block 200 and a fastening plate 630 fastened to the fastening plate 620 And a fastening member (640) fastened to the fastening member (640).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80144076A 2018-11-21 2018-11-21 Perpendicular wall type block assembly breast wall KR10198365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4076A KR101983650B1 (en) 2018-11-21 2018-11-21 Perpendicular wall type block assembly breast wal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4076A KR101983650B1 (en) 2018-11-21 2018-11-21 Perpendicular wall type block assembly breast wal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3650B1 true KR101983650B1 (en) 2019-06-03

Family

ID=66848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4076A KR101983650B1 (en) 2018-11-21 2018-11-21 Perpendicular wall type block assembly breast wal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365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4962B1 (en) * 2021-02-26 2021-08-30 주식회사 지구코퍼레이션 Sectionally devided precast culvert box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of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6291B1 (en) 2004-02-19 2006-05-04 주식회사 스마텍엔지니어링 Panel Assembly Type Breast Wall
KR100592420B1 (en) 1998-11-04 2006-06-22 도이체 톰손-브란트 게엠베하 Electromechanical components and how to produce them
KR100946161B1 (en) 2009-04-30 2010-03-11 박규완 Retaining wall
KR101130167B1 (en) * 2011-05-27 2012-03-28 안창일 Sound proof pannel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20120078565A (en) * 2010-12-31 2012-07-10 비더씨건설 주식회사 Retaining wall of cutting the ground
KR101274974B1 (en) 2012-10-11 2013-06-17 정택명 Earth retaining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528302B1 (en) 2014-05-26 2015-06-11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Self-retained wall sructures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531238B1 (en) * 2014-05-08 2015-06-24 (주)서현컨스텍 Buttress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KR101572571B1 (en) * 2015-04-09 2015-11-27 김규철 Retaining walls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20160119336A (en) * 2015-04-03 2016-10-13 주식회사 이앤앤이 Self supporting retaining wall and self supporting retaining wall structure using the same
KR101880257B1 (en) * 2017-02-09 2018-07-19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A structure of soil retaining plate and retaining wall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2420B1 (en) 1998-11-04 2006-06-22 도이체 톰손-브란트 게엠베하 Electromechanical components and how to produce them
KR100576291B1 (en) 2004-02-19 2006-05-04 주식회사 스마텍엔지니어링 Panel Assembly Type Breast Wall
KR100946161B1 (en) 2009-04-30 2010-03-11 박규완 Retaining wall
KR20120078565A (en) * 2010-12-31 2012-07-10 비더씨건설 주식회사 Retaining wall of cutting the ground
KR101130167B1 (en) * 2011-05-27 2012-03-28 안창일 Sound proof pannel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1274974B1 (en) 2012-10-11 2013-06-17 정택명 Earth retaining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531238B1 (en) * 2014-05-08 2015-06-24 (주)서현컨스텍 Buttress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KR101528302B1 (en) 2014-05-26 2015-06-11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Self-retained wall sructures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20160119336A (en) * 2015-04-03 2016-10-13 주식회사 이앤앤이 Self supporting retaining wall and self supporting retaining wall structure using the same
KR101572571B1 (en) * 2015-04-09 2015-11-27 김규철 Retaining walls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880257B1 (en) * 2017-02-09 2018-07-19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A structure of soil retaining plate and retaining wall us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4962B1 (en) * 2021-02-26 2021-08-30 주식회사 지구코퍼레이션 Sectionally devided precast culvert box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3397B1 (en) A Construction System of a Multi-Retaining Wall Structure for using Cell Frame-Work
KR100799358B1 (en) Combined retaining wall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reof
KR101364805B1 (en) Underground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with unit wall block
KR20110077334A (en) Retaining wall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retaining wall structure
KR101149895B1 (en) Reinforcement block for pillar of tunnel
KR100971200B1 (en) Precast box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using steel connection member
KR101255027B1 (en) Precast rahmen type box culvert
KR20190022132A (en) Top-down method using precast-concrete colum
KR20070095481A (en) Semi open cut type tunnel construction method at low overburden and arch type structure for tunnel construction
KR101983650B1 (en) Perpendicular wall type block assembly breast wall
KR101211469B1 (en) Retaining wall structure having prefabricated block and method for constructing retaining wall using the same
KR20120037212A (en) Excavation tunnel constructing method using vertical side wall and arch celling, and excavation tunnel using vertical side wall and arch celling constructed by this
KR100869764B1 (en) Earth of building land-side protection wall structure
KR101902786B1 (en) Under ground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using composite sheet pile and under ground structure therewith
JP6192972B2 (en) Calvert
KR102614942B1 (en) Construction structure for precast exterior panel of soil retaining wall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KR101390683B1 (en) Retaining wall using precast concrete panel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US5871307A (en) Pre-cast concrete panel wall
KR101015610B1 (en) Tunnel having inclined plate
KR200404658Y1 (en) Prefabricated Buttressed Retaining Wall
KR102123666B1 (en) Implant pile installer in architecture foundation system and a universal implant pile method
KR100964721B1 (en) Block for road extension
KR20120134677A (en) The precast concrete closed conduit that is reinforced by the shear connector and constructing method of it
KR20210098162A (en) Under ground structure using column steel pipe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736009B1 (en) Top-Down Construction Method For Underground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