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4805B1 - Underground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with unit wall block - Google Patents
Underground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with unit wall block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64805B1 KR101364805B1 KR1020120065289A KR20120065289A KR101364805B1 KR 101364805 B1 KR101364805 B1 KR 101364805B1 KR 1020120065289 A KR1020120065289 A KR 1020120065289A KR 20120065289 A KR20120065289 A KR 20120065289A KR 101364805 B1 KR101364805 B1 KR 10136480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block
- block wall
- ground
- cover plate
- upper cov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09412 basement excav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9000012779 reinforcing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03566 sealing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11178 precast concre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11513 prestressed concre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3673 groundwat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claims 3
- 239000006096 absorb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1
- 238000004873 anchoring Methods 0.000 claims 1
- 230000003139 buffer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05266 cast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056 comp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15 formwork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635 polyureth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814 polyureth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452 restrai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294 Reinforcing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60 aram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235 aromatic polya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26 aspha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87 granular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65 in-situ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51 stiffen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78 waterproof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12—Consolidating by placing solidifying or pore-filling substances in the soil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4—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resilient or elastic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20/00—Temporary installations or construc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3—Injection of material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46—Production methods using prestressing techniqu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Soi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Bulkheads Adapted To Foundation Con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위블록벽체를 이용한 박스 및 라멘교 형태의 지하구조물 및 이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지하구조물의 시공이 용이하고 프리캐스트 도는 프리스트레스 부재를 이용한 공법으로서, 가설토류벽 기능을 겸비한 측벽부재를 구축한 후에 상부 덮개판을 가설한 후 조기에 지상부를 완성시키고, 내부를 굴착하고 구축하는 지하구조물 급속시공이 가능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단위블록벽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 시공 방법은, 단위 벽체가 좌우 대칭으로 교대로 반복해서 일렬로 연결되며, 강재 지보공이 결합된 단위블록벽체를 지중에 일정간격으로 두고 양측으로 상부가 지면과 같거나 지면보다 돌출되도록 삽입 설치하는 제1단계와; 단위블록벽체 상단부에 대응되는 높이로 상부 덮개판을 설치하는 제2단계와; 상부 덮개판의 상부 및 측면에 지반보강매트를 부착하고, 복토하여 차량 및 사람이 통행가능토록 하는 제3단계와; 단위블록벽체 사이의 토사를 차량 및/또는 사람이 통행이 가능한 깊이까지 지반굴착하는 제4단계와; 토사가 제거된 후 지반을 정지하는 제5단계와; 보강재를 적정 각도로 절곡하여 하부 바닥판과 중첩하는 제6단계와; 정지된 지반에 버림 콘크리트 타설 후 상기 제6단계에서 절곡된 보강재와 일체로 부착하여 하부 바닥판을 시공하는 제7단계와; 상기 제5단계 이후 단위블록벽체의 이음부에 시일재를 부착하여 방수기능을 강화하는 제8단계로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nderground structure in the form of a box and a ramen bridge using a unit block wall,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The construction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is easy and a method using a precast or prestress member is constructed to construct a sidewall member having a temporary earth wall function.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upper cover plate, and then to complete the ground early, the purpose of the rapid construction of underground structures to excavate and build inside. In the underground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unit block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nit walls are connected in a row in a symmetrical alternating manner, the unit block wall combined with the steel support hol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ground and the upper surface on both sides A first step of inserting the same or protruding from the ground; A second step of installing an upper cover plate at a height corresponding to an upper end of the unit block wall; Attaching a ground reinforcing mat to the upper and side surfaces of the upper cover plate and covering the ground to allow vehicles and people to pass; Ground excavation of soil between the unit block walls to a depth where vehicles and / or people can pass; A fifth step of stopping the ground after the soil is removed; A sixth step of bending the reinforcement at an appropriate angle and overlapping the bottom plate; A seventh step of constructing a lower bottom plate by integrally attaching the reinforcing material bent in the sixth step after casting the discarded concrete on the stationary ground; After the fifth step is an eighth step of attaching the sealing material to the joint of the unit block wall to strengthen the waterproof func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단위블록벽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또는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형식의 상부 덮개판과 하부 단위블록벽체를 일체화하여 지하구조물을 조성하고, 상부를 바로 복토하여 상부의 차량 및 사람의 통행을 재개한 후, 하부 단위블록벽체 사이의 토사를 굴착하고 구축하는 지하구조물 및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nderground structure using a unit block wall, and more particularly, to form an underground structure by integrating an upper cover plate and a lower unit block wall of a precast concrete or prestressed concrete type, and covering the upper part of the upper part direct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underground structures and construction methods for excavating and constructing soils between lower unit block walls after resuming traffic of vehicles and people.
일반적으로, 지하구조물은 박스 또는 라멘교의 형태로 시공되어지며, 특히 라멘교는 주교체에 라멘구조를 시공한 다리로서, 보통 다리는 상부구조와 이를 받치는 하부구조로 되어 있으나, 라멘교나 박스교는 이것을 일체로 구성한 것으로, 역학적 성상은 아치교와 유사하다. 지점의 구조에 따라 여러 가지 종류가 있고, 몇 개의 경간을 하나로 연결시킨 연속 라멘교 또는 박스교 등의 특수한 것도 있다.In general, the underground structure is constructed in the form of a box or ramen bridge. Especially, the ramen bridge is a bridge in which the ramen structure is constructed in the main replacement, and the normal bridge has an upper structure and a substructure supporting it. It is an integral part of the body, and its mechanical properties are similar to those of arch bridges. There are various types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branch, and there are special ones such as a continuous ramen bridge or a box bridge connecting several spans into one.
이러한 구조물은 교량의 상부구조와 하부구조가 하나로 강결됨으로서, 전체 구조의 강성을 높이는 동시에 지간내에 발생하는 휨 모멘트의 크기를 줄이는 대신 이를 교대가 부담하게 하는 교량의 한 형태이다. 이와 같은 구조물은 횡단육교 및 소하천에 적용되는 교량으로 주변에서 흔히 볼수 있는 구조물이다.Such a structure is a type of bridge in which the superstructure and undercarriage of the bridge are consolidated into one, thereby increasing the rigidity of the entire structure and simultaneously reducing the magnitude of the bending moment occurring in the ground. Such a structure is a bridge that is commonly used in cross-section overpasses and small rivers, and is a structure commonly seen in the vicinity.
다시 말해서, 종래 기술의 시공은 다수의 거푸집과 동바리를 현장에서 설치하기 때문에 시공이 불편하고 어려우며, 동바리 및 거푸집의 장기 사용과 상부 교통을 오랜 시간 동안 통제하여야 하기 때문에 직접 공사비뿐만 아니라 간접공사비가 증가하고 한 경간의 길이가 짧게 시공될 수 밖에 없는 단점이 있다.In other words, the prior art construction is inconvenient and difficult to install a large number of formwork and dongbari in the field, and the indirect construction cost as well as the direct construction cost increases because the long-term use of the ridge and formwork and upper traffic must be controlled for a long time. And there is a drawback that the length of one span can only be constructed.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단위벽체블록과 단위 상부 덮개판으로 구조를 일체 시공할 수 있도록 하고, 조속한 시일내에 상부를 복토하여 교통의 흐름을 원활히 하며, 공사비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단위블록벽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 및 이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o allow the unit wall block and the unit upper cover plate to be integrally constructed, to cover the upper part as soon as possible to facilitate the flow of traffic, and to minimize the construction cost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underground structure using a unit block wall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상기에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단위블록벽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 및 이 시공 방법으로서, 단위 벽체가 좌우 대칭으로 교대로 반복해서 일렬로 연결되며, 강재 지보공이 결합된 단위블록벽체를 지중에 일정간격으로 두고 양측으로 상부가 지면과 같거나 지면보다 돌출되도록 삽입 설치하는 제1단계와; 단위블록벽체 상단부에 대응되는 높이로 상부 덮개판을 설치하는 제2단계와; 상부 덮개판의 상부 및 측면에 지반보강매트를 부착하고, 복토하여 차량 및 사람이 통행가능토록 하는 제3단계와; 단위블록벽체 사이의 토사를 차량 및/또는 사람이 통행이 가능한 깊이까지 지반굴착하는 제4단계와; 토사가 제거된 후 지반을 정지하는 제5단계와; 보강재를 적정 각도로 절곡하여 하부 바닥판과 중첩하는 제6단계와; 정지된 지반에 버림 콘크리트 타설 후 상기 제6단계에서 절곡된 보강재와 일체로 부착하여 하부 바닥판을 시공하는 제7단계와; 상기 제5단계 이후 단위블록벽체의 이음부에 시일재를 부착하여 방수기능을 강화하는 제8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underground structure using unit block walls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the same, in which unit walls are alternately arranged in a row in a symmetrical manner, and unit blocks are combined with steel support holes in the ground. A first step of inserting and installing the upper portion to be equal to the ground or protruding from the ground to both sides; A second step of installing an upper cover plate at a height corresponding to an upper end of the unit block wall; Attaching a ground reinforcing mat to the upper and side surfaces of the upper cover plate and covering the ground to allow vehicles and people to pass; Ground excavation of soil between the unit block walls to a depth where vehicles and / or people can pass; A fifth step of stopping the ground after the soil is removed; A sixth step of bending the reinforcement at an appropriate angle and overlapping the bottom plate; A seventh step of constructing a lower bottom plate by integrally attaching the reinforcing material bent in the sixth step after casting the discarded concrete on the stationary ground; And an eighth step of attaching a sealing material to the joint of the unit block wall after the fifth step to strengthen the waterproof function.
본 발명에 따른 단위벽체블록을 이용한 지하구조물 및 이 시공 방법에 의하면, 프리캐스트 형태의 단위벽체블록과 상부 덮개판을 이용하여 일체로 급속시공 한 후, 바로 상부에 토사를 복토하여 상부의 차량 및 사람 등의 통행을 재게하고, 단위벽체블록과 상부 덮개판 사이의 토사를 굴찰하고 구조물을 구축함으로써 지하구조물의 시공에 따른 상부 교통체증의 해소와 이에 따른 간접공사비 절감이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underground structure using the unit wall block and the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rapid construction integrally using the unit wall block and the upper cover plate of the precast form, the soil of the upper part and the top of the vehicle and By reconstructing traffic such as people, excavating the earth and sand between the unit wall block and the upper cover plate, and constructing the structure, it is possible to solve the traffic congestion cau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and thereby reduce the indirect construction cost.
그리고 프리캐스트 또는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형태의 단위벽체블록을 이용한 지하구조물 급속시공법을 이용하여 현장에서 일체화 시공함으로서 공정을 단순화하고, 지하구조물 시공의 경제성을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implify the process and increase the economic efficiency of underground construction by using the construction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using the rapid construction of underground structures using unit wall blocks in the form of precast or prestressed concrete.
도 1은 단위블록벽체 지하구조물의 전체 조립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단위블록벽체 지하구조물 조립 분해 사시도,
도 3은 단위블록벽체의 주요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단위블록벽체의 보호쉬트의 적용 예,
도 5는 정착수단 적용 예,
도 6은 지반보강매트 적용 예를 나타낸 것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assembly state of the unit block wall underground struct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unit block wall underground structure assembly;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structure of the unit block wall;
4 shows an application example of a protective sheet of a unit block wall;
5 is a fixing means application example,
6 shows an example of applying the ground reinforcing mat.
본 발명에 의한 프리캐스트 또는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형태의 단위블록벽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은, 벽체와 상부, 하부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벽체를 단위블록벽체(100), 상부를 상부 덮개판(200), 하부를 하부 바닥판(300)이라 할 수 있다.The underground structure using the unit block wall in the form of precast or prestressed concre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wall, an upper portion, and a lower portion, wherein the wall is a
단위블록벽체(100)와 상부 덮개판(200)은 분리되지 않고 라멘 또는 박스형식으로 일체화됨으로서 시공된다.The
상부 덮개판(200)이 단위블록별체(100)와 일체 시공된 후 상부 덮개판(200)의 상부면과 측면에는 지반보강매트(400)를 설치하고, 지반보강매트(400)를 고정하기위한 별도의 정착고리(410) 또는 정착바(420)에 의해 구조물과 일체화 된다.After the
지반보강매트(400)는 단위블록벽체의 최 상단부 또는 상부 덮개판(200)의 하단부의 일단에 부착고정하고, 지반보강매트(400) 상부에 토사를 덮고 다짐기구를 이용하여 밀실하게 다짐을 실시한다.The
지반보강매트(400)와 토사 보강 및 다짐시공은 계획 도로면까지 반복적으로 시공하여 구축한다. 이와 같은 공정은 지반보강매트(400)에 토사를 쌓아올려 다짐하는 작업을 반복수행하여 지반침하를 방지하는 기능한다.Ground reinforcement mat (400) and soil reinforcement and compaction construction is constructed by repeatedly constructing the planned road surface. Such a process functions to prevent ground subsidence by repeatedly performing a work of stacking soil to be ground on the
지반보강매트(400)은 지오그리드와 구속부재를 이용한 복합 강성층을 노상에 구축하는 공법으로서, 지진에 의한 포장의 붕괴를 방지함과 동시에 아스팔트 포장 노면에서의 균열이나 단차의 발생을 억제하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지반보강매트(400)는 지진직후라도 긴급 차량 등의 통행이 가능하여 인명구조나 구조물자 운반 등의 초동 대응이 가능하다.The
지반보강매트(400)은 지오 그리드의 부설과 구속 부재의 설치가 용이하고, 복합 강성층을 노상에 노출할 뿐 이므로, 단기간에 시공이 가능하다. 또한 철거가 용이하고 사용한 입상재의 재이용도 가능하며 시공비가 저렴하다.The
지반보강매트(400)의 주요 기능으로는 절토 및 성토경계부의 붕괴방지, 구조물 전후 또는 매설물 주위의 함몰 및 단차발생을 억제하고, 연약지반 성토 및 절토 경계부의 부동침하를 방지한다.
The main function of the
단위블록벽체(100)는 내부에 강재 지보공(500)이 삽입되어 일체화 구축되고, 단위블록벽체(100)와 강재 지보공(500)의 경계부분에는 단위블록벽체(100)가 지반에 삽입될 때 파손되는 경우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보강부재(130)가 일체화 구축된다.The
단위블록벽체(100)하단에는 지반 근입을 용이하게 하고 단위블록벽체(100)를 보호하기 위한 보강부재(130)가 설치되고, 보강부재(130)와 서로 연결되며 단위블록벽체에 부착되는 보호 쉬트(140)를 부착한다.A
단위블록벽체(100)에 부착되는 보호 쉬트(140)는 내부 쉬트(150) 및 외부 쉬트(170)로 구분되고, 내부 쉬트(150)와 외부 쉬트(170) 사이에는 보강재(160)가 형성되며, 상기 보강재는 철근이나 강재 또는 아라미드와 같은 복합재료로 구성된 봉 형태의 로드와 그물망 형태의 강재 와이어 메쉬 또는 복합재료로 만들어진 그리드로 형성된다.The
내부 쉬트(150)의 일정 면에는 절취부(151)이 형성되어 절취가 가능하다.A
보강재(160)는 내부 쉬트(150)를 절취 후 상기 하부 바닥판(300)용 연결부(310)와 중첩되도록 절곡이 가능하고, 절곡 되어진 보강재(160)는 하부 바닥판(300)과 일체로 형성된다. The
도 2 내지 도 3에서 보이는 것처럼, 단위블록벽체(100)는 콘크리트와 강재의 합성벽체로서 H-Pile, 쉬트파일과 강관파일 등에 의해 구성된다.2 to 3, the
단위블록벽체(100)와 상부 덮개판(200)이 부착되는 면의 사이에는 탄성재(600)를 설치된다.An
탄성재(600)를 이루는 주요 구성 재료로는 고무 및 폴리우레탄을 이용하고, 탄성재(600)는 순수 단위 재료로 구성된 일반패드 및 강성 보강을 위한 보강 판이 하나 이상 탄성재 내부에 삽입되어 일체화된 복합패드로 구성된다. 상기 보강 판은 두께가 얇은 강재판 또는 복합재료판을 사용한다.Rubber and polyurethane are used as the main constituent materials of the
단위블록벽체(100)는 가로길이(L)가 세로길이(H)보다 짧은 사각형 형상으로, 내부에는 강재 지보공(500)이 하나 또는 그 이상 설치되고, 강재 지보공(500)의 설치 개수는 지반의 수평지지력에 따라 그 개수가 달라진다.The
하나 이상으로 연속된 단위블록벽체(100)를 서로 연결하여 연속지하 벽체부(110)를 구성하기 위한 요홈부(120)가 형성된다. 요홈부(120)의 형상은 요철형상, 원호형상, 사각형 등 다양한 형상의 요홈부(120)가 구축될 수 있다.One or more continuous
요홈부(120)의 측면과 끝단에는 단위블록벽체(100)의 근입시 수직 충격력을 감소시키고, 방수 등을 목적으로 고무와 같은 재질의 탄성쉬트가 부착되며, 요홈부(120)의 하부 끝단에는 고무 또는 폴리우레탄이 주 재료인 충격완충재(125)가 설치된다.To the side and end of the
단위블록벽체(100)의 상부면은 탄성재(600)가 삽입할 수 있도록 삽입홈(610)이 형성되고, 탄성재를 관통하며 상부 덮개판(200)과 체결하기 위한 수직 체결공(710)이 형성된다.The upper surface of the
단위블록벽체(100)와 상부 덮개판(200)을 연결하기 위한 정착수단(700)이 구성된다. 여기서, 정착수단(700)은 수직 체결공(710)이 포함되며, 그 수단으로는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와 너트의 일종인 앵커 바(720) 또는 다월 바, 사전에 매입된 쉬스관에 케이블을 삽입 연결하여 외부에서 긴장시키는 방법 등이 있다.Fixing means 700 for connecting the
서로 연속하게 밀착되어 지반에 근입된 단위블록벽체(100)를 상호 연결하기 위하여 연결수단(800)이 설치된다. 단위블록벽체(100)의 측면에 연속된 단위블록벽체를 일체시키기 위한 수평 체결공(810)이 하나 이상 설치되고, 수평 체결공(810) 내부에 삽입되어 단위블록벽체를 일체 거동하도록 하는 케이블(820) 및 정착바(830)가 설치되어 정착된다. 구체적으로 연결수단(800)은 상기 정착수단(700)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가능하다.Connection means 800 are installed to interconnect the
단위블록벽체(100)와 일체화 되는 강재 지보공(500)의 일면에 작은 구멍이 다수 뚫린 파형강판을 절곡한 강재 지보공(500)이 설치된다. 강재 지보공(500)의 종류로는 파형절곡강판(510), 강재 유공관(520)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강재 지보공(500)은 단위블록벽체(100)까지 일체로 부착되어 연약지반에서의 지하수 배수 및 지반 그라우팅을 통해 지반을 개량이 가능하다. On one surface of the
상부 덮개판(200)은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210) 또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220) 형식으로 별도의 제작장에서 사전에 제작된다. 단위블록벽체(100)와 부착되는 상부 덮개판(200) 양 단면 하단부에는 단위블록벽체(100)와 결합하기 위해 형성된 수직 체결공(710)이 형성되어 있고, 수직 체결공(710)는 나사산이 형성된 앵커 바(720) 및 너트의 체결에 의한 정착수단(700)에 의하여 결합된다. 또한 다른 체결수단으로 다월바, 프르스트레싱 방법 등이 있다.The
수직 체결공(710)의 상부 외주변과 내부면에는 그라우팅재(1000)로 충전되어 일체로 구축된다.
The upper outer periphery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본 발명에 따른 단위블록벽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 시공방법은 다음과 같다.The underground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unit block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S10) 단위블록벽체 설치(S10) Unit Block Wall Installation
지하구조물의 위치 및 지간이 결정되면 지간의 양쪽 끝에 단위블록벽체(100)를 설치한다. Once the location and the ground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is determined, the
단위블록벽체(100)는 H-pile, 강관파일 및 쉬트파일 등에 의해 지중에 지지될 수 있는 것이므로 상기 파일의 길이를 단위블록벽체보(100)보다 길게 형성하고 상기 파일과 단위블록벽체(100)의 상단부가 일치되도록 서로 고정한다. 따라서 파일의 하부가 단위블록벽체(100)의 하부보다 아래쪽으로 배치될 것이며, 파일의 일부분이 지중에 삽입될 때까지 단위블록벽체(100)를 매설한다.Since the
단위블록벽체(100)의 설치개소는 지간 및 통행공간 또는 경간에 따라 서로 다른 개수로 설치된다.Installation units of the
예를 들어 지하구조물의 지하공간이 2경간일 경우에는 단위블록벽체(100)는 서로마주보는 양쪽면에 각각 설치되고, 그 중간에 단위블록벽체(100)가 두개 더 설치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underground space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is two spans, the
단위블록벽체(100)의 시공시 단위블록벽체(100)의 밀림을 막기위하여 전단용 앞굽(23)을 형성할 수 있고, 다르게 단위블록벽체(100)를 복수열로 설치하여 강성을 확보할 수도 있다.For the construction of the
단위블록벽체(100)를 지반에 모두 연속적으로 매설한 경우 단위블록벽체(100)가 연속하도록 연결하기 위하여 수평 연결수단(800)을 통해 일체로 연결한다.In the case where the
단위블록벽체(100)가 단수 또는 복수열로 설계깊이까지 매설되면 단위블록벽체(100)의 두부를 정리하고, 탄성재(600) 설치홈에 탄성재 를 설치한다.
When the
(S20) 상부 덮개판 설치(S20) Top cover plate installation
단위블록벽체(100)들 사이에 상기 단위블록벽체 상단부에 대응되는 높이로 상부 덮개판(200)을 설치한다.The
상부 덮개판(200)을 단위블록벽체(100)에 설치한 후 단위블록벽체(100)와 일체화 하기 위해 단위블록벽체(100)와 상부 덮개판(200)에 미리 정착부를 설치하여, 해당 정착부에 긴장선 또는 나사산이 형성된 앵커볼트와 너트 또는 프리스트레싱법 등의 정착수단(700)으로 일체화 한다.
After the
(S30) 지반보강매트(400) 설치 및 복토(S30) Ground reinforcement mat (400) installation and cover
상부 덮개판(200)의 상부 및 측면에 지반보강매트(400)를 부착하고, 토사를 덮어 다짐하여 기존 지반면과 평행하게 복토하여 차량 및 사람이 통행가능토록 한다.The
지반보강매트(400)는 각 위치별로 단위블록벽체(100) 최 상단 또는 상부 덮개판(200)의 최하단, 중간단, 최상단부에 각각 설치되며, 각각의 위치에서 지반보강매트(400)를 설치하고 토사를 일정두께만큼 성토하고 다짐장비를 이용하여 반복다짐하여 밀실하게 한다.The
지반보강매트(400)의 종류로는 지오그리드(430), 와이어 매쉬(450), 복합재료를 이용한 매쉬(460) 등이 사용되고, 지반보강매트(400)는 구속 부재(440)를 이용하여 정착된다.
(S40) 지반굴착(S40) Ground Excavation
상부 지반이 복토된 후 상기 제1단계(S10)에서 지중에 일정간격으로 삽입 설치된 단위블록벽체(100)와 상부 덮개판(200) 사이의 토사를 차량 및 사람이 통행이 가능한 깊이까지 지반굴착(900)한다.After the upper ground is covered, the ground excavation between the
단위블록벽체(100)와 상부 덮개판(200) 사이의 지반을 굴착할 경우에는 각종 굴삭장비를 이용하여 굴착하고 구축한다.
When excavating the ground between the
(S50) 지반정지(S50) Ground stop
지반굴착(S40)단계에 의해 양측 단위블록벽체(100) 사이에 있던 토사가 제거된 후 단위블록벽체(100)의 일면에 부착된 토사 및 이물질을 제거하고, 지반을 정지한다.
After the soil was removed between the
(S60) 내부 보강재 변형(S60) Internal Stiffener Deformation
지반정지단계(S50)에 의해 토사가 제거된 단위블록벽체(100)의 일면에 부착된 내부 쉬트(150)의 절취부(151)를 따라 절취하고, 내부의 보강재(160)를 적정 각도로 절곡하여 하부 바닥판(500)과 중첩가능 하도록 한다.
Cut along the
(S70) 하부 바닥판(500) 시공(S70) lower bottom plate (500) construction
지반정지 되어진 지반에 버림 콘크리트 타설 후 내부 보강재 부착단계에서 절곡된 보강재(160)와 일체로 부착하여 하부 바닥판(500)을 시공한다.After placing concrete on the ground which has been ground ground, the
하부 바닥판(500)은 현장에서 철근 배근 후 콘크리트 타설하고 양생하는 현장타설 방법으로 제작할 수 있다.The
또한 상부 덮개판(200)과 동일하게 현장인근 제작장에서 별도로 제작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방법으로 제작된 하부 바닥판(500)을 제작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duce a
(S80) 마감(S80) finish
단위블록벽체(100) 및 상부 덮개판(200) 등의 이음부(1000)에 시일재(1100)를 부착하여 방수기능을 강화한다.100: 단위블록벽체The sealing material 1100 is attached to the
10 통행공간
100 단위블록벽체
110 연속지하 벽체부
120 요홈부
130 보강부재
140 보호 쉬트
150 내부 쉬트
160 보강재
170 외부 쉬트
200 상부 덮개판
210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220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300 하부 바닥판
310 연결부
400 지반보강매트
500 강재 지보공
510 파형절곡 강재판
600 탄성재
610 삽입홈
700 정착수단
710 수직 체결공
720 앵커 바
800 연결수단
810 수평 체결공
900 지반굴착
1000 그라우팅재10 passage spaces
100 unit block wall
110 continuous underground wall section
120 groove
130 reinforcing members
140 protective sheet
150 inner sheets
160 reinforcement
170 outer sheets
200 top cover plate
210 prestressed concrete
220 precast concrete
300 bottom plate
310 connection
400 Ground Reinforcement Mat
500 Steel Jibo
510 corrugated steel sheet
600 elastic
610 groove
700 Settlement Means
710 vertical fasteners
720 anchor bar
800 connections
810 Horizontal Fastener
900 Ground Excavation
1000 grouting material
Claims (11)
상기 단위블록벽체(100)의 상단에 상부 덮개판(200)이 구성되고;
상기 단위블록벽체(100)의 하단에 하부 바닥판(300)이 구성되며;
상부 덮개판(200)의 상면 및 측면에 부착되는 지반보강매트(400)가 설치되고;
상기 단위블록벽체(100)와 결합되고 지반에 근입되어 수평 및 수직 지지기능을 하는 강재 지보공(500)과 단위블록벽체(100) 상부면에는 삽입홈(610)이 형성되어 상기 삽입홈에는 탄성재(600)가 설치되고;
단위블록벽체(100)와 상부 덮개판(200) 및 탄성재(600)를 일체화하기 위해 수직체결공(710)을 형성하여 상호 결합하는 정착수단(700)이 구성되며;
서로 연속하게 밀착되어 지반에 근입된 단위블록벽체(100)를 상호 연결하고 일체시키기 위한 수평 체결공(810)이 형성된 연결수단(80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위블록벽체 지하구조물.
A unit block wall (100) installed to form a continuous underground wall portion (110) on both sides of the ground, and entering in a predetermined depth;
An upper cover plate 200 is formed on an upper end of the unit block wall 100;
A lower bottom plate 300 is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unit block wall 100;
A ground reinforcing mat 400 attached to the upper and side surfaces of the upper cover plate 200 is installed;
The steel support hole 500 coupled to the unit block wall 100 and inserted into the ground to support horizontal and vertical support functions and an insertion groove 610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nit block wall 100 are elastic members in the insertion groove. 600 is installed;
In order to integrate the unit block wall 100, the upper cover plate 200 and the elastic member 600, a fixing means 700 is formed to form a vertical fastening hole 710 to be coupled to each other;
Unit block wall underground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ng means 800 is formed with a horizontal fastening hole (810) for interconnecting and unifying the unit block wall 100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in continuous contact with each other.
상기 단위블록벽체(100)는 내부에는 강재 지보공(500)이 하나 이상 설치되고, 단위블록벽체(100)의 양 측면에는 인접한 단위블록벽체를 서로 연결하여 연속지하 벽체부(110)를 구성하기 위한 요홈부(120)와 요홈부(120)의 하부 끝단에는 단위블록벽체(100)의 수직 충격력을 완충하기 위한 충격완충재(125)가 구성되며, 단위블록벽체(100)하단에는 지반 근입을 용이하게 하고 단위블록벽체(100)를 보호하기 위한 보강부재(130)가 설치되고, 보강부재(130)와 서로 연결되며 단위블록벽체에 부착되는 보호쉬트(140)를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위블록벽체 지하구조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unit block wall 100 has at least one steel support hole 500 is installed therein, and on both sides of the unit block wall 100 to connect adjacent unit block walls to each other to form a continuous underground wall unit 110 The lower end of the groove portion 120 and the groove portion 120 is configured with a shock absorber 125 for buffering the vertical impact force of the unit block wall 100, the bottom of the unit block wall 100 is easy to enter the ground And a reinforcing member 130 for protecting the unit block wall 100 is installed, and is connected to the reinforcing member 130 and attached to the protection sheet 140 attached to the unit block wall. Underground structure.
상기 강재 지보공(500)의 일면에 구멍이 뚫린 파형절곡 강재판(510)과 같은 유도공이 강재 지보공(500) 또는 단위블록벽체(100)에 일체로 부착되어 유도공을 통해 연약지반에서의 지하수 유도배수 및 지반 그라우팅을 통해 연약지반의 개량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위블록벽체 지하구조물.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2,
An induction hole such as a corrugated bending steel plate 510 having a hole drilled in one surface of the steel support hole 500 is integrally attached to the steel support hole 500 or the unit block wall 100 to guide the groundwater induction drainage in the soft ground through the induction hole. And unit block wall underground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soft ground through ground grouting.
상기 상부 덮개판(200)은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210) 또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220) 형식으로 별도의 제작장에서 사전에 제작되고, 단위블록벽체(100)와 부착되는 상부 덮개판(200)에서 서로 대칭되는 양 단면에는 단위블록벽체(100)와 결합하기 위해 형성된 수직체결공(710)가 형성되어 있고, 수직체결공(710)은 나사산이 형성된 앵커 바(720) 또는 다월 바 등으로 구성된 정착수단(700)에 의하여 결합되며, 수직평체결공(710) 상부 외주변과 내부에는 정착수단(700)에 의해 고정 후 그라우팅재(1000)로 충진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위블록벽체 지하구조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upper cover plate 200 is pre-fabricated in a separate workshop in the form of prestressed concrete 210 or precast concrete 220, symmetrical with each other in the upper cover plate 200 and the unit block wall 100 is attached to Vertical fastening holes 710 are formed in both end surfaces to be coupled to the unit block wall 100, and the vertical fastening holes 710 are anchoring means composed of a threaded anchor bar 720 or a dowel bar. 700 is coupled to, the unit block wall underground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periphery and the inside of the vertical flat fastening hole 710 is fixed by the fixing means 700 and then filled with the grouting material (1000).
상기 단위블록벽체(100)에 부착되는 보호 쉬트(140)는 내부 쉬트(150) 및 외부 쉬트(170)로 구분되고, 내부 쉬트(150)과 외부 쉬트(170) 사이에는 로드 또는 그리드 형태의 보강재(160)가 구비되며, 내부 쉬트(150)의 일정 면에는 절취부(151)가 형성되어 절취가 가능하고, 상기 보강재(160)는 내부 쉬트(150)를 절취 후 상기 하부 바닥판(300)용 연결부(310)와 중첩되도록 절곡이 가능하고, 절곡 되어진 보강재(160)는 하부 바닥판(300)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위블록벽체 지하구조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protective sheet 140 attached to the unit block wall 100 is divided into an inner sheet 150 and an outer sheet 170, and a reinforcement member having a rod or grid shape between the inner sheet 150 and the outer sheet 170. 160 is provided, the cutting portion 151 is formed on a predetermined surface of the inner sheet 150 is possible to cut, the reinforcing material 160 is the lower bottom plate 300 after cutting the inner sheet 150 It is possible to be folded to overlap the connecting portion 310, the bent reinforcement 160 is a unit block wall underground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tegrally with the lower bottom plate (300).
단위블록벽체(100)를 지중에 일정간격으로 양측으로 상부가 지면과 같거나 지면보다 돌출되도록 지반에 삽입 설치하는 제1단계(S10);
상기 제1단계(S10)에 의해 설치된 단위블록벽체(100) 상단부에 대응되는 높이로 상부 덮개판(200)을 설치하는 제2단계(S20);
상기 제2단계(S20)에 의해 설치된 상부 덮개판(200)의 상부 및 측면에 지반보강매트(400)를 부착하고, 다시 토사를 덮어 다짐하여 기존 지반면과 평행하게 복토하여 차량 및 사람이 통행가능토록 하는 제3단계(S30);
상기 제3단계(S30)에 의해 상부 지반이 복토된 후 단위블록벽체(100)와 상부 덮개판(200) 사이의 토사를 차량 및 사람이 통행이 가능한 깊이까지 지반굴착(900)하는 제4단계(S40);
상기 제4단계(S40)에 의해 양측 단위블록벽체(100) 사이의 토사가 제거된 후 단위블록벽체(100)의 일면에 부착된 토사 및 이물질을 제거하고, 지반을 정지하는 제5단계(S50);
상기 제5단계(S50)에 의해 토사가 제거된 단위블록벽체(100)에 부착된 내부 쉬트(150)의 절취부(151)를 따라 절취하고, 보강재(160)를 적정 각도로 절곡하여 하부 바닥판(300)과 중첩가능 하도록 하는 제6단계(S60);
상기 제5단계(S50)에 의해 정지된 지반에 버림 콘크리트 타설 후 상기 제6단계(S60)에서 절곡된 보강재(160)와 일체로 부착하여 하부 바닥판(300)을 시공하는 제7단계(S70);
상기 제5단계(S50) 이후 단위블록벽체(100) 및 상부 덮개판(200)의 이음부에 시일재를 부착하여 방수기능을 강화하는 제8단계(S80)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위블록벽체 지하구조물의 시공방법.In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unit block wall underground structure of claim 1,
A first step (S10) of inserting the unit block wall 100 into the ground such that the upper portion is equal to the ground or protrudes from the ground at both sides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ground;
A second step (S20) of installing the upper cover plate 200 at a height corresponding to an upper end of the unit block wall 100 installed by the first step (S10);
The ground reinforcing mat 400 is attached to the upper and side surfaces of the upper cover plate 200 installed by the second step (S20), and the soil is covered again to cover the soil in parallel with the existing ground surface so that vehicles and people can pass. A third step S30 to be performed;
After the upper ground is covered by the third step S30, the fourth step of ground excavation 900 between the unit block wall 100 and the upper cover plate 200 to a depth at which a vehicle and a person can pass. (S40);
After the soil is removed between the unit block wall 100 on both sides by the fourth step S40, the soil and foreign substances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unit block wall 100 are removed, and the fifth step of stopping the ground (S50). );
Cut along the cutout 151 of the inner sheet 150 attached to the unit block wall 100 from which the soil is removed by the fifth step S50, and the reinforcement 160 is bent at an appropriate angle to lower the bottom. Sixth step (S60) to be overlapping with the plate 300;
The seventh step (S70) of constructing the lower bottom plate 300 by attaching integrally with the reinforcing material 160 bent in the sixth step (S60) after the discarded concrete in the ground suspended in the fifth step (S50) );
The unit block is installed in the eighth step (S80) to strengthen the waterproof function by attaching a sealing material to the joints of the unit block wall 100 and the upper cover plate 200 after the fifth step (S50). Construction method of wall underground structur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65289A KR101364805B1 (en) | 2012-06-18 | 2012-06-18 | Underground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with unit wall block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65289A KR101364805B1 (en) | 2012-06-18 | 2012-06-18 | Underground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with unit wall block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42045A KR20130142045A (en) | 2013-12-27 |
KR101364805B1 true KR101364805B1 (en) | 2014-02-19 |
Family
ID=49985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65289A Expired - Fee Related KR101364805B1 (en) | 2012-06-18 | 2012-06-18 | Underground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with unit wall block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64805B1 (en)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866790A (en) * | 2014-03-26 | 2014-06-18 | 中国能源建设集团广东省电力设计研究院 | Ground beam type ditch |
KR20150143952A (en) | 2014-06-13 | 2015-12-24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Top-Down Construction Method of Modular Underground Structures using PC Walls with Supported Beams, Modular Underground Structures Installed by the Construction Method, and Connection between PC Walls and PC Slabs |
KR20150143951A (en) | 2014-06-13 | 2015-12-24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Precast wall using h-pile, underground structure having precast wall using h-pile and method for connecting precast wall |
KR20160125671A (en) | 2015-04-22 | 2016-11-01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Precast wall using soil interception pile, underground structure having Precast wall and Method for connecting precast wall |
KR20170010881A (en) | 2017-01-19 | 2017-02-01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Method for connecting precast wall and slab, and underground structure constructed by the same |
KR20170013366A (en) | 2017-01-19 | 2017-02-06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Modular Underground Structures using PC Walls with Supported Steel Beams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10045B1 (en) * | 2014-12-29 | 2017-02-24 | 금호산업주식회사 | Underground Box Structure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
KR102202598B1 (en) * | 2018-04-02 | 2021-01-13 | 유병훈 | Double wall structure for top-down construction and top-down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therewith |
WO2021088279A1 (en) * | 2019-11-08 | 2021-05-14 | 南京联众工程技术有限公司 | Underground pipeline having two-in-one support pile and pipeline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
KR102431393B1 (en) * | 2020-06-12 | 2022-08-11 | 정하동 | Construction Method of Underground Structures |
CN115478563B (en) * | 2022-09-13 | 2024-03-01 | 西安市轨道交通集团有限公司 | Underground anti-seismic structure of subway statio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03579A (en) * | 2002-07-03 | 2004-01-13 | 한녹희 | Conduit using phc pile |
JP2006132219A (en) * | 2004-11-08 | 2006-05-25 | Toda Constr Co Ltd | Construction method of underground structure and underground structure, and precast concrete side wall or intermediate wall / column for the same |
KR20100113942A (en) * | 2009-04-14 | 2010-10-22 | (주)유니트엔지니어링 | Rahmen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
KR101118263B1 (en) | 2011-06-28 | 2012-03-20 | 주식회사 인우 | Rain retaining facility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using precast concrete block |
-
2012
- 2012-06-18 KR KR1020120065289A patent/KR101364805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03579A (en) * | 2002-07-03 | 2004-01-13 | 한녹희 | Conduit using phc pile |
JP2006132219A (en) * | 2004-11-08 | 2006-05-25 | Toda Constr Co Ltd | Construction method of underground structure and underground structure, and precast concrete side wall or intermediate wall / column for the same |
KR20100113942A (en) * | 2009-04-14 | 2010-10-22 | (주)유니트엔지니어링 | Rahmen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
KR101118263B1 (en) | 2011-06-28 | 2012-03-20 | 주식회사 인우 | Rain retaining facility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using precast concrete block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866790A (en) * | 2014-03-26 | 2014-06-18 | 中国能源建设集团广东省电力设计研究院 | Ground beam type ditch |
CN103866790B (en) * | 2014-03-26 | 2016-08-24 | 中国能源建设集团广东省电力设计研究院有限公司 | Ground beam type raceway groove |
KR20150143952A (en) | 2014-06-13 | 2015-12-24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Top-Down Construction Method of Modular Underground Structures using PC Walls with Supported Beams, Modular Underground Structures Installed by the Construction Method, and Connection between PC Walls and PC Slabs |
KR20150143951A (en) | 2014-06-13 | 2015-12-24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Precast wall using h-pile, underground structure having precast wall using h-pile and method for connecting precast wall |
KR20160125671A (en) | 2015-04-22 | 2016-11-01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Precast wall using soil interception pile, underground structure having Precast wall and Method for connecting precast wall |
KR20170010881A (en) | 2017-01-19 | 2017-02-01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Method for connecting precast wall and slab, and underground structure constructed by the same |
KR20170013366A (en) | 2017-01-19 | 2017-02-06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Modular Underground Structures using PC Walls with Supported Steel Beam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42045A (en) | 2013-12-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64805B1 (en) | Underground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with unit wall block | |
KR101630235B1 (en) | Precast truss wall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of underground structure using thereof | |
KR101274974B1 (en) | Earth retaining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101344063B1 (en) | The construction method of steel-concrete underpass | |
KR20090093556A (en) | Panel , Wall Structure with panels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
CN108103867A (en) | A kind of hangar tunnel formula antiskid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with roadnet | |
KR101118263B1 (en) | Rain retaining facility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using precast concrete block | |
JP3855198B2 (en) | Seismic reinforcement structure for pile foundation structures | |
KR20150102569A (en) | The noise barrier foundation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KR101167511B1 (en) | Underpass using precast concrete pile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 |
KR101210368B1 (en) | Uniting Method of Temporary earth wall with basement exterior Wall using Couplers and Bolts. | |
KR101696854B1 (en) | Various assembling construction methods of E shaped precast concrete block retainning wall | |
KR100603888B1 (en) | Alternating Construction Method of Reinforced Soil by Post Tension | |
JP2011094443A (en) | Method for constructing wall surface work by using bag body | |
KR101585652B1 (en) | Integral Abutment Bridge without Soil-Structure Interaction | |
KR100555433B1 (en) | Joint-free integral structure using concrete-filled fiber-reinforced composite piles | |
JP5773755B2 (en) | Pile foundation structure of exterior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of pile foundation structure of exterior structure | |
JP5021526B2 (en) | Construction method of underpass and connecting structure of superstructure girder and underground wall | |
JP5184393B2 (en) | Protective wall and protective wall forming method | |
CN209836706U (en) | Road extension structure | |
JP5860723B2 (en) | Floor slab bridge using square steel pip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KR100884391B1 (en) |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reinforced with drainage function at the top of retaining wall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KR101107784B1 (en) | Pile type protecting wall | |
KR101288602B1 (en) | Underpass using precast concrete pile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 |
JP3132876U (en) | Reinforcement foundation structure of buildin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61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8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12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2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02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212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2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212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2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209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20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312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31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31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1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