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3543B1 - 표시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표시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3543B1
KR101983543B1 KR1020180097236A KR20180097236A KR101983543B1 KR 101983543 B1 KR101983543 B1 KR 101983543B1 KR 1020180097236 A KR1020180097236 A KR 1020180097236A KR 20180097236 A KR20180097236 A KR 20180097236A KR 101983543 B1 KR101983543 B1 KR 1019835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focus
unit
enlargement
r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7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8491A (ko
Inventor
토모히로 오타
소우시 타키타
코이치 오카다
마사아키 카노
히데타카 우에무라
사토시 이시마루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5077209A external-priority patent/JP652568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5077207A external-priority patent/JP656669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5077206A external-priority patent/JP653732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5077208A external-priority patent/JP652931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5077210A external-priority patent/JP6604736B2/ja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984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84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35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35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relating to control or operation of the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 H04N5/2321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relating to control or operation of the camera
    • H04N23/635Region indicators; Field of view indic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 H04N23/61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where the recognised objects include parts of the human bod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4Computer-aided capture of images, e.g. transfer from script file into camera, check of taken image quality, advice or proposal for image composition or decision on when to take im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7Camera operation mode switching, e.g. between still and video, sport and normal or high- and low-resolution m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 H04N23/675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comprising setting of focusing regions
    • H04N5/23219
    • H04N5/23293
    • H04N5/2329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8Alteration of picture size, shape, position or orientation, e.g. zooming, rotation, rolling, perspective, translation

Abstract

촬상유닛으로 촬상되어 있는 라이브 뷰 화상을 표시하고, 상기 라이브 뷰 화상에 중첩하여, 인 포커스 정도를 나타내는 표시 항목을 표시하도록 구성된 표시 제어유닛과, 초점 검출 영역에 있어서의 인 포커스의 정도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도록 구성된 취득유닛과, 상기 취득유닛으로 취득한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표시 항목에 포함되는, 서로의 표시 위치의 관계에 의해 인 포커스의 정도를 나타내는 제1 지표 및 제2 지표와, 포커스 위치를 나타내는 제3 지표의, 표시 위치 및 표시 형태를 변경하도록 구성된 변경유닛이 구비되어 있다.

Description

표시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표시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포커스에 관한 정보의 표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측거 센서와 복수의 촬상 센서에 의해 피사체의 포커스 평가 값을 산출하고, 이 평가 값에 의거하여 촬상되는 피사체의 전 포커스/후 포커스 상태와 오프 포커스의 정도를 표시하는 표시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2-365710에는, 포커스 상태 검출유닛에 의해 검출된 포커스 상태에 의거하여 상기 촬영 렌즈의 포커스 상태가 전 포커스, 후 포커스 또는 인 포커스인지에 관한 포커스 정보를 표시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7-279334에는, 수동으로 포커싱할 때에 인 포커스 위치로부터의 포커스 위치의 편차(deviation)에 대응하는 양만큼 오프셋시킨 마커(marker)를 회전 대칭의 위치 관계로 표시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11-039206에는, 검출한 얼굴의 범위 내에서 측거하는 얼굴 AF(auto-focus)를 행할 수 있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또한, AF 모드 시에 있어서도, 소정의 조작 부재의 단 하나의 조작에 의해 MF(manual focus) 모드로 간편하게 변경하고, 포커스 위치 조정의 상황(어느 위치에 포커스 위치가 이동했는지)을 나타내는 다이얼로그(dialogue)를 표시해서, 포커스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촬상 센서 중 유효 화소의 모두가 아니고, 일부 영역의 화소로부터 판독한 신호에 근거해 화상을 기록하는 크롭(crop) 촬영 모드가 알려져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5-175683에는, 크롭 기능을 사용하는 크롭 촬영 모드, 및 크롭 기능을 사용하지 않는 통상 촬영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또한, 크롭 촬영 모드에 있어서, 복수의 크롭 영역의 크기 및 위치를 설정함으로써, 촬상한 화상 내에서 복수개의 영역의 화상을 동시에 취득할 수 있는 디지털 카메라가 제안되어 있다.
라이브 뷰(live view) 화상을 확대해서 표시함으로써 라이브 뷰의 일부분을 상세하게 확인할 수 있게 한 촬상장치도 알려져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13-201527에는, 라이브 뷰 화상을, 5배 혹은 10배로 확대할 수 있고, AF 프레임의 위치를 변경하면, 그 위치에 따라 확대 위치를 변경하고, 확대 위치를 변경해도 AF 프레임의 위치는 변경하지 않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포커스를 맞추고 싶은 피사체는 반드시 영상의 중앙에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동영상 촬영에 있어서는, 포커스를 맞추고 싶은 피사체가 영상 내를 이동하거나, 어떤 피사체로부터 다른 피사체로 포커스를 변경하거나 하는 것이 있다. 그 때문에, 포커싱에 관한 가이드 표시("포커스 어시스트(focus-assist)"라고 칭한다)의 대상영역은, 영상 내의 임의의 위치에서 설정될 수 있고, 이동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2-365710에서는, 포커스 정보는 표시 영역 내에서 영상 영역 밖에 표시된다. 그 때문에, 포커스를 맞추고 싶은 피사체와 포커스 정보의 표시 위치가 서로 떨어져서, 쌍방을 시인하면서 포커스 조정을 행할 때에 시선의 이동이 증가하기 때문에, 편리한 사용에 어려움이 있었다. 한편,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7-279334에 있어서는, 오프 포커스의 정도에 관계없이 일정 면적의 마커가 영상 위에 중첩 표시되기 때문에, 피사체의 시인성을 손상시킨다.
AF 모드에 있어서도, AF의 동작 상태에 따라 포커스의 정도를 표시하는 데에 유용한 경우가 있지만, 상기의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11-039206 및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7-279334에서는, 그러한 경우에 대해서 충분한 검토가 이루어질 수 없었다. 즉, 상기의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11-039206 및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7-279334에서는, AF 모드에 있어서의 AF 동작 상태에 따라 적합한 인 포커스 정도의 가이드 표시를 행할 수 없었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2-365710 및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7-279334과 같은, 초점 검출 영역에 관한 포커스 정보를 표시하는 기능을,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5-175683과 같은 통상 촬영 모드와 크롭 촬영 모드의 쌍방에서 행하는 경우에는, 이하의 문제가 있다. 즉, 보통 촬영 모드 시에, 초점 검출 영역이 크롭 촬영 모드에서 사용하는 영역의 외측에 설정되어 있으면, 크롭 촬영 모드로 전환되었을 경우에는, 초점 검출 영역이 크롭 촬영 모드에서 촬영되는 화상과는 관계가 없는 위치에 표시될 것이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2-365710 및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7-279334과 같은 포커스에 관한 정보 표시에서는, 라이브 뷰에서의 포커스에 관한 정보를 취득한 영역의 위치에 포커스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면, 라이브 뷰 화상의 어느 부분의 포커스의 정보인지를 알기 쉽다. 이것을,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13-201527과 같이, 라이브 뷰 화상을 확대했을 경우에 적용하면, 라이브 뷰의 표시 범위에 차지하는 포커스에 관한 정보를 취득한 영역도 커지므로, 이 영역에 맞춰서 포커스에 관한 정보 표시를 행하면, 정보 표시도 커진다. 이렇게, 포커스에 관한 정보 표시를 라이브 뷰 화상의 확대에 맞춰서 크게 할 경우, 라이브 뷰 화상의 확대 배율이 커지면, 확대해서 표시된 라이브 뷰 화상의 범위에, 포커스에 관한 정보를 취득한 영역이 맞지 않게 된다. 그러면, 포커스에 관한 정보 표시를 적절하게 표시할 수 없게 되기 때문에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13-201527과 같이 라이브 뷰 화상의 일부를 확대 표시할 때, 어느 부분을 확대하는 것이 바람직한지는 상황에 따라 다르다. 예를 들면,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2-365710 및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7-279334과 같은 포커스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고 있는 경우에는, 포커스 정보를 취득하고 있는 초점 검출 위치를 확대하는 것이 바람직할지도 모른다. 그러나, 항상 초점 검출 위치를 확대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고, 설정되어 있는 초점 검출 위치와는 다른 피사체의 상태를 확대해서 확인하고 싶은 경우도 있을 것이다. 또한, 설정되어 있는 초점 검출 위치를 유저가 중요시하지 않고, 확대해서 확인하고 싶은 피사체와 설정된 초점 검출 위치와의 관계를 유저가 의식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본 발명은 피사체의 시인의 방해를 저감한 인 포커스 정도의 가이드 표시를 행하는 것이 가능한 표시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AF의 동작 상태에 따라, 더 적합하게 인 포커스 정도의 가이드 표시를 행하는 것이 가능한 표시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크롭 모드가 아닌 동작 모드로부터 크롭 모드로 전환했을 경우에, 보다 적합한 위치에 포커스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표시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라이브 뷰를 확대 표시했을 경우에, 포커스에 관한 정보를 더 적합하게 표시시키는 것이 가능한 표시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포커스에 관한 정보를 표시 가능한 기기에 있어서 라이브 뷰 화상을 확대 표시할 때에, 상황에 따라 유저에 있어서 더 적합한 확대 범위를 확대 표시할 수 있는 표시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표시 제어장치는, 촬상유닛으로 촬상되어 있는 라이브 뷰 화상을 표시하고, 상기 라이브 뷰 화상에 중첩하여, 인 포커스의 정도를 나타내는 표시 항목을 표시하도록 구성된 표시 제어유닛과, 초점 검출 영역에 있어서의 인 포커스의 정도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도록 구성된 취득유닛과, 상기 취득유닛으로 취득한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표시 항목에 포함되는, 서로의 표시 위치의 관계에 의해 인 포커스의 정도를 나타내는 제1 지표 및 제2 지표와, 포커스 위치를 나타내는 제3 지표의, 표시 위치 및 표시 형태를 변경하도록 구성된 변경유닛을 구비한다.
표시 제어장치는, 콘티뉴어스 오토포커스(AF) 동작을 행하는 제1 AF 모드를 설정하도록 구성된 AF 모드 설정유닛과, 상기 제1 AF 모드가 설정되어 콘티뉴어스 AF를 행하고 있는 경우에, AF로 초점을 맞추는 대상의 위치인 AF 위치를 나타내는 제1 표시 항목을 라이브 뷰 화상 위에 표시하도록 구성된 표시 제어유닛과, 상기 제1 AF 모드가 설정되어 콘티뉴어스 AF를 행하고 있는 경우에, 상기 콘티뉴어스 AF를 정지시키는 정지 지시를 접수하도록 구성된 접수유닛과, 상기 접수유닛으로 상기 정지 지시를 접수해서 상기 콘티뉴어스 AF를 정지한 것에 응답해서, 상기 제1 표시 항목 대신에, 상기 AF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관해 인 포커스의 정도를 나타내는 제2 표시 항목을 표시하도록 구성된 제어유닛을 구비한다.
표시 제어장치는, 유저로부터의 오토포커스(AF) 실행 지시에 따라 AF 동작을 행하는 특정의 동작 모드를 설정하도록 구성된 모드 설정유닛과, 상기 특정의 동작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AF 실행 지시를 접수하도록 구성된 접수유닛과, 상기 특정의 동작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접수유닛이 상기 AF 실행 지시를 접수하기 전에, AF로 초점을 맞추는 대상의 위치인 AF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의 인 포커스의 정도를 나타내는 제2 표시 항목을 라이브 뷰 화상 위에 표시하고, 상기 접수유닛이 상기 AF 실행 지시를 접수한 것에 따라, 상기 제2 표시 항목 대신에 상기 AF 위치를 나타내는 제1 표시 항목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유닛을 구비한다.
표시 제어유닛은, 유저로부터의 AF 실행 지시에 따라 AF 동작을 행하는 특정의 동작 모드를 설정하도록 구성된 모드 설정유닛과, 상기 특정의 동작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AF 실행 지시를 접수하도록 구성된 접수유닛과, 상기 특정의 동작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접수유닛이 상기 AF 실행 지시를 접수하기 전에, AF를 실행하지 않고 AF로 초점을 맞추는 대상의 위치인 AF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의 인 포커스의 정도를 나타내는 제2 표시 항목을 라이브 뷰 화상 위에 표시하고, 상기 접수유닛이 상기 AF 실행 지시를 접수한 것에 따라, 상기 AF 위치에 의거하여 AF를 실행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유닛을 구비한다.
표시 제어장치는 촬상유닛의 제1 범위를 이용해서 촬영을 행하는 제1 동작 모드와, 상기 촬상유닛의 상기 제1 범위보다 좁은 제2 범위를 이용해서 촬영을 행하는 제2 동작 모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동작 모드 중의 하나를 설정하도록 구성된 설정유닛과, 상기 촬상유닛으로 촬상되고 있는 라이브 뷰 화상을 표시하고, 또한 초점 검출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라이브 뷰 화상 위의 위치에 포커스에 관한 표시 항목을 표시하도록 구성된 표시 제어유닛과, 상기 제1 동작 모드가 설정되어 있고 상기 초점 검출 영역이 상기 제2 범위의 내측에 설정되어 있는 상태로부터 상기 제2 동작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에는, 상기 초점 검출 영역의 위치를 변경하지 않고, 상기 제1 동작 모드가 설정되어 있고 상기 초점 검출 영역이 상기 제2 범위의 외측에 설정되어 있는 상태로부터 상기 제2 동작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에는, 상기 초점 검출 영역의 위치를 상기 제2 범위의 내측으로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구비한다.
표시 제어장치는, 촬상유닛으로 촬상한 라이브 뷰 화상을 표시하고, 상기 라이브 뷰 화상에 중첩해서 초점 검출 영역에 있어서의 포커스에 관한 표시 항목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유닛과, 상기 라이브 뷰 화상을, 보통 배율보다도 큰 제1 배율과, 상기 제1 배율보다도 큰 제2 배율을 포함하는 복수의 배율 중의 하나로 확대해서 표시하도록 구성된 확대유닛과, 상기 제1 배율로 라이브 뷰 화상을 표시할 경우와, 상기 제2 배율로 상기 라이브 뷰 화상을 표시할 경우에 의존해서, 상기 표시 항목의 표시 형태를 다르게 하도록 구성된 제어유닛을 구비한다.
표시 제어장치는, 촬상유닛으로 촬상한 라이브 뷰 화상을 보통 배율보다도 큰 제1 배율과, 상기 제1 배율보다도 큰 제2 배율을 포함하는 복수의 배율 중의 하나로 표시하도록 구성된 확대유닛과, 상기 확대유닛에 의해 상기 제1 배율로 상기 라이브 뷰 화상을 표시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배율로 확대된 상기 라이브 뷰 화상에 중첩하여, 초점 검출 영역에 있어서의 포커스에 관한 표시 항목을 표시하고, 상기 확대유닛에 의해 상기 제2 배율로 상기 라이브 뷰 화상을 표시하는 경우에는, 상기 표시 항목을 표시하지 않고 상기 제2 배율로 확대된 상기 라이브 뷰 화상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구비한다.
표시 제어장치는, 촬상유닛으로 촬상한 라이브 뷰 화상을 표시하고, 또한 상기 라이브 뷰 화상에 중첩해서 초점 검출 영역에 있어서의 포커스에 관한 표시 항목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유닛과, 상기 표시 항목을 표시할 것인지 아닌지를 설정하도록 구성된 설정유닛과, 상기 라이브 뷰 화상을, 보통 배율보다도 큰 제1 배율과, 상기 제1 배율보다도 큰 제2 배율을 포함하는 복수의 배율 중의 하나로 표시하도록 구성된 확대유닛과, 상기 설정유닛이 상기 표시 항목을 표시하지 않는 설정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확대유닛에 의한 상기 제2 배율로의 확대를 행할 수 있도록 제어하고, 상기 설정유닛이 상기 표시 항목을 표시하는 설정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확대유닛에 의한 상기 제2 배율로의 확대를 행할 수 없도록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구비한다.
표시 제어장치는, 초점 검출 위치에 관한 포커스의 정보를 나타내는 표시 항목을 촬상유닛으로 촬상된 라이브 뷰 화상에 중첩해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유닛과, 상기 표시 항목을 표시할 것인지 아닌지를 설정하도록 구성된 표시 설정유닛과, 상기 라이브 뷰 화상을 보통 배율보다도 더 확대해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확대유닛과, 상기 표시 설정유닛이 상기 표시 항목을 표시하도록 설정되어 있을 때 상기 확대유닛에 의한 확대를 행하는 경우에는, 확대 전의 상기 초점 검출 위치에 근거하여 확대 범위를 확대해서 표시하고, 상기 표시 설정유닛이 상기 표시 항목을 표시하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고 특정의 동작 모드일 때 상기 확대유닛에 의한 확대를 행하는 경우에는, 확대 전의 상기 초점 검출 위치에 근거하지 않는 확대 범위를 확대해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추가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이하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밝혀질 것이다.
도 1은 디지털 카메라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a 및 2b는 촬상소자의 수광면의 설명도이다.
도 3a 내지 3d는 촬영 모드 처리의 플로차트이다.
도 4a 내지 4c는 화면 종별 결정 처리의 플로차트이다.
도 5는 포커스 어시스트 표시 처리의 플로차트이다.
도 6은 화면 사이즈 설정 전환 처리의 플로차트이다.
도 7a 및 7b는 확대 처리의 플로차트이다.
도 8a 내지 8d는 포커스 어시스트의 표시 예이다.
도 9a 및 9b는 포커스 어시스트 표시 중의 화면 표시 예이다.
도 10a 내지 10c는 포커스 어시스트의 다른 표시 예이다.
도 11a 내지 11g는 화면 종별 결정 후의 화면 표시 예이다.
도 12a 내지 12h는 최대 사이즈의 화면 표시 예와 크롭 모드에서의 화면 표시 예이다.
도 13a 내지 13e는 포커스 어시스트 기능의 설정에 따른 확대 처리 전후의 화면 표시 예이다.
도 14a 내지 14c는 Display 레벨에 따른 확대 처리 전후의 화면 표시 예이다.
도 15a 내지 15d는 확대 배율마다의 제1 화면 표시 예이다.
도 16a 내지 16d는 확대 배율마다의 제2 화면 표시 예이다.
도 17a 내지 17d는 확대 배율마다의 제3 화면 표시 예이다.
<하드웨어 구성>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제어장치의 일례로서의 디지털 카메라(10)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다.
하우징(100)은, 디지털 카메라(10)의 구성요소를 많이 내포하는 외부 포장이다. 각종의 조작부나 표시부(107), 외부 출력부(121)는 하우징(100)의 표면에 노출되어 있다.
교환 렌즈(101)는, 복수의 렌즈 군으로 이루어진 촬영 렌즈이며, 포커싱 렌즈, 줌 렌즈, 및 쉬프트 렌즈를 내부에 구비하는 것 이외에, 조리개를 포함한다.
촬상소자(102)는, 광전변환소자를 갖는 화소가 복수, 이차원 모양으로 배열된 구성을 갖는다. 촬상소자(102)는, 교환 렌즈(101)에 의해 결상된 피사체의 광학상을 각 화소로 광전 변환하고, 한층 더 A/D 변환 회로에 의해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하여, 화소 단위의 화상 신호(RAW 화상 데이터)를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 사용하는 촬상소자(102)와 관련된 측거부(ranging unit)(108)의 상세한 것은, 도 2과 함께 후술한다.
ND(neutral density) 필터(103)는 렌즈에 설치된 조리개와는 별도로 입사광량을 조정하기 위해서 디지털 카메라(10)에 설치되어 있다.
화상 처리부(118)는, 촬상소자(102)에 기인하는 레벨 차를 보정한다. OB(optical black) 영역의 화소를 사용하여, 유효 영역의 화소의 레벨을 보정하는 것 이외에, 결함 화소에 대하여 주위 화소를 사용한 보정을 행한다. 수행된 처리의 다른 예로서는 주변 광량 감소에 대한 보정, 색 보정, 윤곽 강조, 노이즈 제거, 감마 보정, 디베이어(debayering), 압축 등이 있다. 화상 처리부(118)는, 촬상소자(102)로부터 입력된 RAW 화상에 대하여 상기 처리를 행하면, 그 밖의 제어부에 보정한 화상 데이터를 출력한다.
기록매체 인터페이스부(104)는, 기록매체(105)와 디지털 카메라(10)와의 인터페이스이며, 기록매체(105)에 대하여, 화상 처리부(118)로부터 입력된 화상 데이터의 기록과 기록매체(105)로부터 기록한 화상 데이터의 판독을 제어한다.
기록매체(105)는, 촬영된 영상 및 화상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반도체 메모리 등으로 구성되는 기록매체이다. 기록매체 인터페이스부(104)의 제어 하에 화상 데이터의 기록과 기록된 화상 데이터의 판독을 실행한다. 기록매체(105)는, 착탈가능한 메모리 카드 등이지만, 내장의 기록매체여도 된다.
GPU(graphics processing unit)(115)는, 비디오 카메라의 각종 정보 표시와 메뉴 화면을 VRAM(video random access memory)에 묘화하는 렌더링 엔진(rendering engine)이다. 문자열 및 도형의 묘화 기능 이외, GPU(115)는 확대/축소 묘화 기능, 회전 묘화 기능, 및 레이어(layer) 합성 기능을 갖는다. VRAM은 투과도를 나타내는 알파 채널(alpha channel)을 구비하고 있어, VRAM에 묘화된 표시물을, 표시용 인터페이스부(106)에 의해 촬상 화상 및 재생 화상 위에 온 스크린(on-screen) 표시할 수 있다.
표시용 인터페이스부(106)는, 화상 처리부(118)로부터의 영상 데이터(촬상 화상 및 재생 화상) 및 GPU(115)에 의해 VRAM에 렌더링된 표시물에 대하여, 중첩 합성 및 리사이즈(resizing) 처리를 행하고, 표시부(107)에 출력한다(표시한다). 확대 표시 모드 시에는, 표시용 인터페이스부(106)는 영상 데이터의 부분 영역에 대하여 중첩 합성 및 리사이즈 처리를 행한다. 그 결과, 확대 표시 모드에서는, 보통 시보다도 확대된 영상이 표시부(107)에 표시되기 때문에, 촬영자가 메뉴얼 포커스 (MF)에서의 초점 조정 조작을 더 정확하게 행할 수 있다.
표시부(107)는, 표시용 인터페이스부(106)로부터 출력된 화상 데이터를 화각 확인용에 표시하는 하우징(100)의 측으로부터 시인 가능한 외부 모니터나, 뷰파인더(viewfinder) 내의 표시부다. 표시부(107)는, 액정 디스플레이, 유기 EL 다이오드 디스플레이(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 등으로 구성 가능하다.
본체 마이크로컨트롤러(119)는, 디지털 카메라(10) 전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이며, 마이크로컴퓨터 등으로 구성된다. 본체 마이크로컨트롤러(119)는, CPU(119a), 및 ROM(read-only memory)(119b), RAM(random access memory)(119c)을 구비한다. CPU(119a)는, ROM(119b)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RAM(119c)에 전개해서 그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후술의 플로차트의 동작을 실행한다.
이하에 설명하는 게인 제어부(109), 셔터 제어부(110), ND 제어부(111) 및 조리개 제어부(112)는, 모두 노출 제어를 위한 블록이다. 이들은, 각각 화상 처리부(118)로부터 출력된 화상 데이터의 휘도 레벨을 본체 마이크로컨트롤러(119)로 산출한 결과에 의거하여 혹은 촬영자가 수동으로 설정한 동작 파라미터에 의거하여 본체 마이크로컨트롤러(119)에 의해 제어된다. 게인 제어부(109)는, 촬상소자(102)의 게인을 제어한다.
셔터 제어부(110)는, 촬상소자(102)의 셔터 스피드를 제어한다. ND 제어부(111)는, ND 필터(103)를 통해서 촬상소자(102)에 입사하는 광량을 제어한다. 조리개 제어부(112)는, 교환 렌즈(101)의 조리개를 제어한다.
포커스 제어부(113)는, 본체 마이크로컨트롤러(119)에 유지된 포커스 구동 상태가 AF인지 MF인지에 따라 다른 동작을 수행한다. AF 시에, 화상 처리부(118)로부터 출력된 화상 데이터를 참조해서 본체 마이크로컨트롤러(119)에서 포커스 정보를 산출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포커스 제어부(113)가 교환 렌즈(101) 내부의 포커스 렌즈를 제어한다. 또는, 촬상면 위상차 검출에 의해 취득된 측거부(108)로부터 출력된 디포커스(defocus)량에 근거해서 포커스 제어부(113)가 교환 렌즈(101) 내부의 포커스 렌즈를 제어한다.
화상 데이터의 부분 영역에 AF 프레임을 설정하고, AF 프레임 내의 피사체에만 의거하여 포커스 정보를 산출할 수도 있다. AF 모드 아래에는, 본체 마이크로컨트롤러(119)의 행동에 의존해, 2개의 동작 모드가 있다. 하나는 원 샷 AF 모드이며, 원 샷 AF 키(129)가 눌러졌을 때만 AF 제어를 행하고, 포커스 성공 또는 포커스 실패가 판정된 후에는, 포커스 제어부(113)의 제어를 정지한다. 또 하나는 콘티뉴어스(continuous) AF 모드(servo AF)이며, 항상 AF 제어를 행한다. 다만, 콘티뉴어스 AF 모드라도, AF 록 키(130)의 눌러짐에 의해 AF 록 상태로 되어 있을 때는, 포커스 제어부(113)의 제어를 정지한다. 2개의 모드의 전환은 메뉴 화면 내의 설정 변경에 의해 행해진다.
MF 모드 시에는, 포커스 제어부(113)는 AF 제어를 정지한다. 이 경우, 촬영자가 교환 렌즈(101)에 조립된 포커스 링(134)을 회전시킴으로써 임의의 포커스 조정을 행할 수 있다.
이미지 안정화 제어부(114)는, 화상 처리부(118)로부터 출력된 화상 데이터를 참조해서 본체 마이크로컨트롤러(119)로 산출한 피사체의 움직임 벡터를 이용하여, 산출한 움직임 벡터에 근거해 카메라를 쥐고 있는 손떨림에 의한 화상의 흔들림을 상쇄하도록 교환 렌즈(101) 내부의 쉬프트 렌즈를 제어한다. 또는, 이미지 안정화 제어부(114)는 카메라를 쥐고 있는 손떨림에 의한 화상의 흔들림을 상쇄하는 방향으로 동영상의 각 프레임에서 화상을 컷 아웃(cut out)하는 전자식 이미지 안정화 제어 처리를 행한다.
메모리 인터페이스부(116)는, 촬상소자(102)로부터 출력된 전체 화소분의 RAW 화상 데이터를 메모리(117)에 기록하고, 또한 메모리(117)에 보유된 RAW 화상 데이터를 판독해서 화상 처리부(118)에 출력한다. 메모리(117)는, 수 프레임의 전체 화소분의 RAW 화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휘발성의 기록매체이다.
화상 처리부(118)는, 메모리 인터페이스부(116)로부터 전달된 전체 화소분의 RAW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제어에 필요한 화상 처리를 행한다.
외부 출력용 인터페이스부(120)는, 화상 처리부(118)로부터의 영상 데이터에 리사이즈 처리(resizing)를 행한다. 또한, 외부 출력용 인터페이스부(120)는 외부 출력부(121)의 규격에 적합한 신호 변환 및 제어 신호의 부여를 행하고, 외부 출력부(121)에 출력한다.
외부 출력부(121)는, 영상 데이터를 외부로 출력하는 단자이며, 예를 들면 SDI(Serial Digital Interface) 단자나 HDMI(등록상표)(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다. 외부기기인 모니터 디스플레이와 외부 기록 장치가 접속 가능하다.
외부 조작용 인터페이스부(122)는, 외부 조작부(123)로부터의 제어 지시를 수신하고, 본체 마이크로컨트롤러(119)에 통지한다. 예를 들면, 적외선 리모트 컨트롤 수광부, 무선 LAN(Local Area Network) 인터페이스, 및 LANC(등록상표)(Local Application Control Bus system)이 해당한다.
외부 조작부(123)는, 외부 조작용 인터페이스부(122)에 제어 신호(제어 코멘드)를 송신한다. 하우징(100) 및 교환 렌즈(101)에 포함된 조작부 124~135의 각 부의 조작에 해당하는 지시(코멘드)를 송신할 수 있고, 또 표시부(107)에 표시하는 메뉴 화면에 있어서의 설정 변경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조작부 124~135는 키(버튼), 다이얼, 택타일(tactile) 스위치, 링, 터치 패널 등의 부재로 이루어진다. 이들 모두는 촬영자가 행한 조작을 접수하고, 본체 마이크로컨트롤러(119)에 대하여 제어 지시를 통지하는 역할을 한다. 조작부 124~133은 하우징(100)에 조립되어 있는 본체측의 조작부다. 조작부 134 및 135는, 교환 렌즈(101)에 어셈블리되어 있는 렌즈측의 조작부다. 이들 조작부의 일부는, 메뉴 화면 내의 설정에 의해, 키의 역할을 교환하거나, 별도의 기능에 할당하거나 하는 것도 가능하다.
메뉴 키(124)는, 표시부(107)에 메뉴 화면을 표시하는 지시, 또는 이미 열려 있는 메뉴 화면을 닫는 지시를 한다.
십자 키(125) 및 다이얼(126)은, 모두 메뉴 화면 내에서 항목을 선택하기 위한 커서를 이동하거나, 포커스에 관한 프레임 표시를 촬영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하는 지시를 한다. 십자 키(125)는, 상 키, 하 키, 좌 키, 우 키로 이루어지는 방향 키이다. 4개의 키의 각각은 별도의 조작 부재여도 되고, 또는 눌러지는 위치에 따라 4개의 방향 중의 하나를 지시할 수 있는 싱글 부재로서 구성되어도 된다. 다이얼(126)은, 시계회전의 조작과 반시계 회전의 조작을 행할 수 있는 회전 조작부재다.
세트 키(127)는, 메뉴 화면 내에서 커서가 위치되어 있는 항목을 선택하고, 각종의 설정 조작을 확정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캔슬 키(128)는, 메뉴 화면의 현재 선택된 계층 레벨 전의 하나의 계층 레벨로 되돌아오고, 또 각종의 설정 조작을 파기하는 지시를 행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원 샷 AF 키(129)는, AF 모드가 원 샷 AF일 때에, 포커스 제어부(113)에 의해 AF를 구동하는 지시를 한다.
AF 록 키(130)는, AF 모드가 콘티뉴어스 AF 모드일 때에, 포커스 제어부(113)에 의한 제어를 정지시키는 지시와, 제어 정지 상태를 해제하는 지시를 한다.
확대 키(131)는, 표시부(107)에 표시되는 영상을 확대하고, 또 원래의 사이즈로 되돌리는 지시를 한다.
디스플레이 키(132)는, 본체 마이크로컨트롤러(119)에 보유되는 Display 레벨을 변경하는 지시를 한다. 선택된 Display 레벨에 의거하여 표시부(107)에 표시되는 각종 정보 표시가 제한되어, 보다 상세한 정보를 표시하거나, 영상을 보다 클리어하게 표시하거나 할 수 있다.
스타트/스톱(start/stop) 키(133)는, 기록매체 인터페이스부(104)에 의한 기록의 시작과 정지의 지시를 한다.
포커스 링(134)은, 포커스 구동 상태가 MF일 때에, 교환 렌즈(101) 내의 포커스 렌즈를 이동시켜, 포커스 조정을 행할 수 있도록 사용된다.
AF/MF 스위치(135)는, 포커스 구동 상태를 AF와 MF 사이에서 전환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촬상면 위상차 검출>
도 2a 및 2b는, 이미지 센서로서의 역할을 하는 촬상소자(102)의 수광면의 일부를 나타낸다. 촬상소자(102)는, 촬상면 위상차 AF를 실현하기 위해서, 각 마이크로렌즈에 대하여, 광전 변환기로서 기능하는 수광부인 2개의 포토다이오드를 가지고 있는 화소부의 어레이를 갖는다. 이에 따라 각 화소부는, 교환 렌즈(101)의 사출 동공으로부터 광속을 수광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a은, 참고로서, 빨강(R), 파랑(B), 초록(Gb, Gr)을 갖는 베이어 배열 예의 이미지 센서의 표면의 일부의 모식도다. 도 2b는, 도 2a에 나타낸 컬러 필터의 배열에 대응시켜서, 모든 마이크로렌즈에 대하여 광전 변환기로서의 2개의 포토다이오드를 가지고 있는 화소부 예를 나타낸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이미지 센서는, 각 화소부로부터, 위상차 검출용의 2개의 신호(이하, "A상 신호" 및 "B상 신호"라고도 한다)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2개의 포토다이오드의 신호를 가산해서 얻은 화상을 기록하는 신호(A상 + B상)도 출력할 수 있다. 이 가산한 신호의 경우에는, 도 2a에서 개략 설명한 베이어 배열 예의 이미지 센서의 출력과 동등한 신호가 출력된다.
이러한 촬상 센서로서의 촬상소자(102)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측거부(108)가 사용해서 2개의 신호의 상관 연산을 행하여, 디포커스량이나 각종 신뢰성 등의 정보를 산출한다. A상 신호와 B상 신호 간의 차에 근거하여, 상면에서의 디포커스량을 산출한다. 디포커스량은 포지티브/네거티브(positive/negative)의 값을 가지고 있어, 디포커스량이 포지티브의 값인지 네거티브의 값인지에 의해, 전 포커스인지 후 포커스인지를 알 수 있다. 또한, 디포커스량의 절대치에 의해, 인 포커스까지의 정도가 판명되고, 디포커스량이 0이면, 포커스 상태가 인 포커스다. 즉, 측거부(108)는, 측거 위치(측거 영역, 초점 검출 위치, 초점 검출 영역)에 관해서 산출한 디포커스량에 대하여 전 포커스인지 후 포커스인지에 관한 정보를 CPU(119a) 등에 출력한다. 또한, 측거부(108)는, 디포커스량의 절대치에 의거하여, 포커스의 정도(포커스의 차이의 정도)를 나타내는 포커스 정도 정보를 CPU(119a) 등에 출력한다. 전 포커스인지 후 포커스인지의 정보는, 디포커스량이 소정값을 초과할 경우에 출력되고, 디포커스량의 절대치가 소정값 이내일 경우에는, 인 포커스라고 하는 정보를 출력한다. 또한, 포커스 정도 정보는, 디포커스량을, 인 포커스시킬 때까지 포커스 링(134)을 회전시키는 조작량으로 환산한 값으로서 출력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촬상용의 신호와 위상차 검출용의 2개의 신호는, 3개의 신호의 합계로 구성되어, 촬상소자(102)로부터 출력된다. 그렇지만, 이러한 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촬상용의 신호와 위상차 AF용의 2개의 촬상 신호 중의 한 개는 2개의 신호의 합계로 구성되어, 출력되어도 된다. 이 경우, 2개의 위상차 검출용의 화상 신호 중의 다른 한 개의 신호는, 촬상소자(102)로부터의 2개의 출력 신호를 이용해서 산출되어도 된다.
도 2b는, 각 마이크로렌즈에 대하여, 광전 변환기로서 기능하는 수광기인 2개의 포토다이오드를 가지고 있는 화소부의 어레이의 예를 나타낸다. 그렇지만, 각 마이크로렌즈에 대하여, 광전 변환기로서 기능하는 3개 이상의 포토다이오드를 가지고 있는 화소부를 어레이 모양으로 배열해도 된다. 또한, 마이크로렌즈에 대하여 수광부의 개구 위치가 복수의 다른 화소부를 갖는 배열을 행해도 된다. 즉, 결과적으로 A상 신호와 B상 신호라고 하는 위상차 검출 가능한 위상차 검출용의 2개의 신호를 취득할 수 있게 되어 있으면 충분하다.
도 3a 내지 도 6은, 디지털 카메라(10)가 행하는 제어를 나타내는 플로차트다. 또한, 이들 플로차트의 동작은, 본체 마이크로컨트롤러(119)(보다 상세하게는 CPU(119a))가 ROM(119b)에 기억된 프로그램에 의거하여 디지털 카메라(10)의 각 부를 제어함으로써 실행된다.
<촬영 모드 처리>
도 3a 내지 도 3d는, 디지털 카메라(10)가 촬영 모드에 있을 때의 전체적인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다. 디지털 카메라(10)를 기동해서 촬영 모드로 설정하면, 도 3a의 처리를 시작한다.
S301에서는, CPU(119a)는, 표시부(107)에 표시하는 화면의 종별을 결정한다. 이 처리에서는, 얼굴 검출 기능의 ON/OFF, 포커스의 설정이 AF인지 MF인지, AF의 결과로서의 인 포커스인지 아닌지, 포커스 어시스트의 설정의 ON/OFF 등의 정보에 근거하여, AF 프레임, 얼굴 프레임, 및 포커스 어시스트 프레임의 표시 필요와 불필요, 및 표시 형태를 결정한다. 이 처리의 상세한 것은 도 4a 내지 4c를 참조해서 후술한다.
S302에서는, CPU(119a)는, S301에서 결정한 화면 종별이, 포커스 어시스트 표시 가능한 상태의 화면 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보다 자세한 것은, 후술하는 처리의 결과로서, 도 4a 내지 4c에 있어서는, "FOCUS-ASSIST:YES"가 참(true)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포커스 어시스트 표시 가능한 상태이면, 플로우는 S303로 진행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S305로 진행된다.
S303에서는, CPU(119a)는, Display 레벨의 정보가 비표시 상태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Display 레벨은, 촬상 화상에 중첩해서 표시된 각종 정보 표시를, 어느 정도 상세하게 표시할지, 어느 종별의 정보를 표시할지가 각각 다른 복수 단계의 정보 표시 레벨이다. Display 레벨이 비표시 상태로 설정되어 있을 경우에는, 촬상 화상에 대하여 어느 정보도 표시되지 않는다. Display 레벨의 설정에 대해서는, S336에서 후술한다. Display 레벨이 비표시 상태로 설정되어 있을 경우에는, 플로우가 S305로 진행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S304로 진행된다.
S304에서는, CPU(119a)는, 포커스 어시스트 표시 처리를 행한다. 이 처리는, 촬상 화상 중 특정한 위치(측거 위치, 초점 검출 위치)의 피사체에 대해서, 측거부(108)로부터 취득한 정보에 의거하여 인 포커스 정도와, 인 포커스 쪽으로의 조작 방향을 표시하는 표시 항목인 포커스 어시스트를 표시하는 처리다. 이 처리의 상세한 것은 도 5를 참조해서 후술한다.
S305에서는, CPU(119a)는, 포커스 어시스트 표시를 행하지 않고, 라이브 뷰 화상을 표시부(107)에 표시한다. 라이브 뷰 화상은, 촬상소자(102)로 촬상되어, 라이브 뷰 화상으로서 사용하기 위한 화상 처리부(118)에 의해 화상 처리된 촬상 화상이다. 라이브 뷰 화상은 소정의 프레임 레이트(frame rate)로 순차 갱신된다.
S306에서는, CPU(119a)는, 다이얼(126)이 조작되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이동 지시 접수). 다이얼(126)이 조작된 경우에는, 플로우는 S307로 진행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S308로 진행된다.
S307에서는, 다이얼(126)의 조작에 의거하여 측거 위치(측거 영역, 초점 검출 위치, 초점 검출 영역)를 점프(복수의 특정 장소 중 어느 하나로 이동)한다. 예를 들면, 영상을 종횡으로 황금 비(대충 5:8)로 분할한 경우에는, 4개의 교점이 있고, 직전의 측거 위치에 가장 가까운 교점으로부터 다이얼(126)의 회전 방향으로의 교점의 위치로 점프(측거 위치를 변경)한다. 이동한 측거 위치로 RAM(119c)에 유지된 측거 위치를 갱신한다. 측거 위치가 변하면, 포커스 어시스트의 표시 위치도 측거 위치와 관련해서 이동한다. 일반적으로, 영상 중에 있어서 주요한 피사체를 황금 비의 교점에 배치하면 구도가 안정하다고 말하고 있다. 그 때문에, 황금 비를 고려한 촬영을 행하고 있을 경우에는, 유저가 상기의 4개의 교점 중 어느 하나에 초점 조절을 행해야 할 피사체를 배치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 이렇게, 다이얼(126)의 조작에 따라 측거 위치를 황금 비의 교점으로 순차 점프하면, 황금 비의 교점에 배치한 초점 조절을 행하고 싶은 피사체의 위치로 재빠르게 측거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S306, S307에서의 처리는, 황금 비의 그리드 라인을 표시하고 있는 동작 모드의 경우에만 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유저가 황금비를 고려하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에, 다이얼(126)을 조작해도 측거 위치를 점프하지 않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이것은 황금비에 한정되지 않고, 영상을 3개로 종횡으로 분할하는 선의 교점과, 화면 중앙 등으로 점프하도록 해도 된다. 한층 더, 표시하고 있는 그리드 라인의 종별에 따라 다른 위치로 점프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면, 황금 비의 그리드 라인을 표시하고 있는 경우에는, 다이얼(126)의 조작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이 황금 비의 교점으로 순차 측거 위치를 이동시킨다. 한편, 영상을 3개로 종횡으로 분할하는 그리드 라인을 표시하고 있을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다이얼(126)의 조작에 따라 영상을 3개로 종횡으로 분할하는 선의 교점으로 순차 측거 위치를 이동시킨다.
S308에서는, CPU(119a)는, 십자 키(125)가 조작되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이동 지시 접수). 십자 키(125)가 조작되었을 경우에는, 플로우가 S309로 진행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S310로 진행된다.
S309에서는, CPU(119a)는, 십자 키(125) 중 조작된 키에 대응하는 방향(상하좌우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측거 위치를 일정량 이동한다. 이동한 측거 위치로, RAM(119c)에 보유된 측거 위치를 갱신한다. 측거 위치를 이동시키면, 포커스 어시스트의 위치도 연동해서 이동시킨다. 십자 키(125)가 계속해서 조작되었을 경우(소정시간 이상 계속해서 눌러졌을 경우)에는 눌러진 기간에 따라 측거 위치의 이동 속도를 가속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렇게 하면, 이동 전의 측거 위치부터 떨어진 위치에 있는 피사체로 재빠르게 측거 위치를 이동할 수 있다. 다이얼(126)의 조작에 따른 측거 위치의 이동은, 복수의 미리 정해진 위치 중으로 점프하고 있고, 십자 키(125)의 조작에 따른 측거 위치의 이동은, 유저 화면 위의 임의의 위치로 이동하고 있다. 또한, 화상 처리부(118)에서, 얼굴 검출 제어가 행해지고 있으면, 십자 키(125)의 조작 방향에 존재하는 검출된 얼굴의 위치로 측거 위치를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렇게 하면, 떨어져 있는 얼굴에 대해서도 바로 측거 위치를 댈 수 있다.
또한, S306~S309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유저의 조작에 따라 측거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은, S314에서 후술하는 얼굴 검출 기능이 OFF인 경우에 한정하는 것으로 한다. 얼굴 검출 기능이 ON인 경우에는, 검출된 얼굴 중, 메인 얼굴이라고 판정되어 있는 얼굴의 위치에 따라 측거 위치를 이동시킨다. 그 때문에, 얼굴 검출 기능이 ON인 경우에는, 다이얼(126)이나 십자 키(125)의 조작이 행해져도 측거 위치를 변경하지 않는다.
S310에서는, CPU(119a)는, 메뉴 키(124)가 눌러졌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메뉴 키(124)가 눌러진 경우에는, 플로우가 도 3b의 S311로 진행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도 3c의 S324로 진행된다.
S311에서는, CPU(119a)는, 표시부(107)에, 디지털 카메라(10)에 관한 설정 항목(메뉴 항목)을 일람한 메뉴 화면을 표시한다. 메뉴 화면 내에서는, 십자 키(125) 또는 다이얼(126)에 의해 메뉴 항목 중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세트 키(127)를 이용해서 선택 및 확정의 조작을 행함으로써, 디지털 카메라(10)의 각종기능의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S312에서는, CPU(119a)는, 포커스 어시스트 기능의 ON/OFF 설정을 바꾸는 메뉴 항목이 선택되고, 그 항목으로 포커스 어시스트 기능의 ON/OFF를 전환하는 전환 조작이 행해졌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포커스 어시스트 기능의 ON/OFF를 전환하는 전환 조작이 행해진 경우에는, 플로우가 S313로 진행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S314로 진행된다.
S313에서는, CPU(119a)는, 포커스 어시스트 기능의 ON/OFF 설정(어시스트 표시의 표시 설정)을 변경한다. 포커스 어시스트 기능이 ON으로 설정된 경우에는, ON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ROM(119b)에 기록한다. 포커스 어시스트 기능이 OFF로 설정된 경우에는, OFF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ROM(119b)에 기록한다. 이렇게 메뉴 설정 항목으로부터 포커스 어시스트 기능을 OFF로 설정한 경우에는, 어느 쪽의 경우에도 포커스 어시스트 표시를 행하지 않는다. 한편, 메뉴 설정 항목으로부터 포커스 어시스트 기능을 ON으로 설정했을 경우에는, 항상 포커스 어시스트가 표시되는 것은 아니고, AF 설정인지 MF 설정인지 등의 조건과, Display 레벨 등의 각종 조건에 근거하여, 상황에 따라 포커스 어시스트 표시를 행한다.
S314에서는, CPU(119a)는, 얼굴 검출 기능의 ON/OFF 설정을 바꾸는 메뉴 항목이 선택되고, 그 항목으로부터 얼굴 검출 기능의 ON/OFF를 전환하는 전환 조작이 행해졌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얼굴 검출 기능의 ON/OFF를 전환하는 전환 조작이 행해진 경우에는, 플로우가 S315로 진행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S316로 진행된다.
S315에서는, CPU(119a)는, 얼굴 검출 기능의 ON/OFF 설정을 변경하고, 설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ROM(119b)에 기록한다. 얼굴 검출 기능이 ON인 경우에는, 촬상되어 있는 라이브 뷰 화상(촬상 화상)으로부터 인물의 얼굴(특정의 피사체)의 영역을 검출한다. 검출된 얼굴의 영역에는 얼굴 프레임을 부착해서 표시한다. 또한, AF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검출된 복수의 얼굴 중, 사이즈가 크고, 화면 중앙에 가까우며, 등록되어 있는 특정 개인 등이라고 하는 조건에 의거하여 주요한 얼굴이라고 판정된 얼굴(메인 얼굴)에 AF(즉, 얼굴 AF)를 행한다. 얼굴 검출 기능이 ON으로 설정되고, 얼굴이 검출되었을 경우에는, 측거 위치를, 메인 얼굴의 위치에 덮어쓴다. 즉, 후술하는 포커스 어시스트를 행하는 위치를, 검출된 메인 얼굴의 위치와 연동시킨다.
S316에서는, CPU(119a)는 AF 모드 설정을 변경하는 메뉴 항목이 선택되어, AF 모드의 변경 조작이 행해졌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AF 모드로서 원 샷 AF와 콘티뉴어스 AF 2개가 있다. 원 샷 AF 모드는, 유저가 원 샷 AF 키(129)를 1회 누른 것에 따라 1회의 AF를 행하고, 그 이외의 경우에는 포커스 위치를 움직이지 않는 동작 모드다. 원 샷 AF 키(129)가 눌러질 때마다 AF를 행한다. 한편, 콘티뉴어스 AF는, 소정의 피사체에 대하여 인 포커스하도록 AF를 계속해서 행하는 동작 모드이다. 유저가 조작을 행하지 않더라도, 인 포커스시켜야 할 피사체가 움직였을 경우나 디지털 카메라(10)가 이동했을 경우에는 포커스 위치가 계속해서 조정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AF 모드로서 이 2종류를 예로 들지만, 이것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다른 AF 모드를 선택할 수도 있다. AF 모드의 변경 조작이 행해졌을 경우에는, 플로우가 S317로 진행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S318로 진행된다.
S317에서는, CPU(119a)는, AF 모드의 변경 조작에 따라, 유저에 의해 선택된 AF 모드(본 실시예에서는 원 샷 AF와 콘티뉴어스 AF 중의 하나 또는 다른 하나)로 설정한다. 설정된 AF 모드를 나타내는 정보를, ROM(119b)에 기록한다.
S318에서는, CPU(119a)는, 화상 사이즈를 설정하는 메뉴 항목이 선택되고, 화상 사이즈를 설정하는 변경 조작이 행해졌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화상 사이즈 설정의 변경이 행해진 경우에는, 플로우가 S319로 진행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S320로 진행된다.
S319에서는, CPU(119a)는, 유저의 조작에 따라 화상 사이즈 설정을 변경한다. 변경된 화상 사이즈 설정의 설정 값을 나타내는 정보를, ROM(119b)에 기록한다. 촬영 및 기록이 행해졌을 경우에는, 데이터가 여기에서 설정된 화상 사이즈로 기록된다. 또한, 이 처리의 상세한 것은 도 6을 참조해서 후술한다.
S320에서는, CPU(119a)는, 메뉴 화면에 있어서, 상기의 S312~S319에서 설명한 설정 항목 이외의 설정 항목에 관해서, 설정 변경 조작이 행해졌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설정 변경 조작이 있었던 경우에는, 플로우가 S321로 진행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S322로 진행된다. S321에서는, CPU(119a)는, S320에서 행해진 조작에 따라 설정을 변경한다.
S322에서는, CPU(119a)는, 메뉴 화면을 닫는 조작이 행해졌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메뉴 화면을 닫는 조작은, 메뉴 키(124)를 누를지, 메뉴 종료의 항목을 선택한 상태에서 세트 키(127)를 누를지의 어느 하나의 조작이다. 메뉴 화면을 닫는 조작이 행해진 경우에는, 플로우가 S323로 진행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플로우가 S312로 돌아가서 처리를 반복한다.
S323에서는, CPU(119a)는, 메뉴 화면 표시를 종료하고, 라이브 뷰 화면을 재표시하고, 도 3c의 S324로 진행된다.
도 3c의 S324에서는, CPU(119a)는, AF/MF 스위치(135)에 의해 AF와 MF 사이에서 전환 조작이 행해졌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AF와 MF의 전환이 행해진 경우에는, 플로우가 S325로 진행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S326로 진행된다.
S325에서는, CPU(119a)는, AF/MF 스위치(135)의 조작에 따라 AF와 MF 사이를 전환한다. AF로 전환된 경우에는, AF로 전환된 취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ROM(119b)에 기록하고, AF 설정에서의 동작을 시작한다. AF로 전환된 경우에는, 원 샷 AF 모드와 콘티뉴어스 AF 모드 중 어느 쪽이든 현재의 AF 모드로서 설정되는 모드의 동작을 행한다.
S326에서는, CPU(119a)는, AF/MF 스위치(135)가 AF로 설정되는지, AF 모드가 원 샷 AF 모드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것이 참이면 플로우가 S327로 진행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S329로 진행된다.
S327에서는, CPU(119a)는, 원 샷 AF 키(129)가 눌러졌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AF 실행 지시의 접수). 원 샷 AF 키(129)가 눌러진 경우에는, 플로우가 S328로 진행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S329로 진행된다.
S328에서는, CPU(119a)는, AF 프레임에 대응하는 측거 위치에 있는 피사체가 인 포커스하도록, 포커스 제어부(113)를 제어해서 AF를 행한다.
S329에서는, CPU(119a)는, AF/MF 스위치(135)가 AF 로 설정되어 있는지, 또, AF 모드가 콘티뉴어스 AF 모드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것이 참이면, 플로우는 S330로 진행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도 3d의 S335로 진행된다.
S330에서는, CPU(119a)는, AF 록 키(130)의 누름에 의해 AF 록 상태에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AF 록 상태이면, 플로우가 S331로 진행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S332로 진행된다. AF 록 상태는, 콘티뉴어스 AF를 행하는 동작 모드 중에, 일시적으로 AF를 행하지 않고 포커스 위치를 고정하고 있는 경우이다.
S331에서는, CPU(119a)는, AF 록 키(130)가 눌러졌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정지 지시 또는 해제 지시의 접수). AF 록 키(130)가 눌러진 경우에는, 플로우가 S332로 진행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S335로 진행된다.
S332에서는, CPU(119a)는, AF 록 상태를 해제하고, 콘티뉴어스 AF를 행하고, AF 프레임에 대응하는 피사체가 인 포커스하도록 포커스 제어부(113)를 계속해서 제어한다.
S333에서는, CPU(119a)는, AF 록 키(130)가 눌러졌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AF 록 키(130)가 눌러진 경우에는, 플로우가 S334로 진행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S335로 진행된다.
S334에서는, CPU(119a)는, 콘티뉴어스 AF를 정지하고, AF를 록한다(AF 록 상태로 한다). 즉, 포커스 제어부(113)에 의한 AF 제어를 정지한다. 이것에 의해, AF에 의한 포커스 위치의 변경은 정지되지만, 포커스 링(134)의 조작에 의한 메뉴얼 포커스는 가능하다.
S335에서는, CPU(119a)는, 디스플레이 키(132)가 눌러졌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디스플레이 키(132)가 눌러진 경우에는, 플로우가 S336로 진행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S337로 진행된다.
S336에서는, CPU(119a)는, 디스플레이 키(132)의 누름에 따라 Display 레벨을 바꾼다. 변경된 Display 레벨을 ROM(119b)에 기록하고, 변경된 Display 레벨에 따라 정보 표시를 행한다.
S337에서는, CPU(119a)는, 확대 키(131)가 눌러졌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확대 키(131)가 눌러진 경우에는, 플로우가 S338로 진행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S339로 진행된다.
S338에서는, CPU(119a)는, 확대 처리를 행한다. 이 처리의 상세한 것은 도 7a 및 7b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S339에서는, CPU(119a)는, 스타트/스톱 키(133)가 눌러졌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스타트/스톱 키(133)가 눌러진 경우에는, 플로우가 S340로 진행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S343로 진행된다.
S340에서는, CPU(119a)는, 동영상의 기록 동작 중(즉, 촬영 및 기록 중)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촬영 및 기록 동작 중이면, 플로우는 S342로 진행되고, 그렇지 않을 경우(촬영 대기 중일 경우)에는 S341로 진행된다.
S341에서는, CPU(119a)는, 동영상 기록을 시작한다. 즉, 촬상소자(102)로 촬상된 기록 영상은, 화상 처리부(118)에서 기록용으로 처리되어, 소정의 파일 포맷에 따라 기록매체(105)에 동영상 파일로서 기록된다.
S342에서는, CPU(119a)는, 동영상 기록을 정지한다. 동영상 기록을 정지하면, 기록되어 있었던 동영상 파일에 대하여 속성 부여를 행하거나, 파일을 클로즈하는 등의 동영상 종료 처리를 행한다.
S343에서는, CPU(119a)는, 상술한 스텝에서 열거되어 있는 이벤트 이외의 이벤트가 발생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또 다른 이벤트가 있었던 경우에는, 플로우가 S344로 진행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S345로 진행된다. S344에서는, CPU(119a)는, S343에서 발생한 이벤트에 대응하는 처리를 행한다.
S345에서는, CPU(119a)는, 촬영 모드 처리를 종료하는 이벤트가 있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종료 이벤트가 있었던 경우에는 촬영 모드를 종료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플로우가 S301로 돌아가서 처리를 반복한다. 종료 이벤트에는, 예를 들면 디지털 카메라(10)의 전원을 끄는 조작, 전원 전압 저하에 의한 전원 오프, 촬영 대기 상태에서 소정시간 무조작이었던 것에 따른 오토 파워 오프(auto power-off), 재생 모드나 통신 모드 등, 촬영 모드 이외의 동작 모드로 이행하는 조작 등이 있다.
또한, 유저의 조작에 따라 측거 위치를 이동할 수 있는 것은, S314에서 설정된 얼굴 검출 기능이 OFF가 되었을 경우에 한정하는 것으로 했지만, 얼굴 검출 기능이 ON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도 유저 조작에 따라 측거 위치를 이동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S306~S309에서 설명한 측거 위치를 이동시키는 유저 조작이 이루어질 때까지 검출된 메인 얼굴의 위치와 측거 위치를 연동시킨다. 측거 위치를 이동시키는 유저 조작이 행해진 경우에는, 측거 위치를 메인 얼굴의 위치와 연동하지 않고, 유저 조작에 따라 이동시킨다. 유저 조작에 따라 측거 위치를 이동시킨 후에는, 측거 위치는 메인 얼굴의 위치와는 연동하지 않는다. 그 후에, 측거 위치와 메인 얼굴의 위치를 연동시키는 상태로 복귀시키는 복귀 조작(리셋 조작)이 이루어지면, 다시 측거 위치가 메인 얼굴의 위치가 되고, 그 후에는 측거 위치를 메인 얼굴의 위치와 연동시킨다. 리셋 조작으로서는, 예를 들면 캔슬 키(128)를 누르는 것 등이 고려된다. 이 경우, 후술하는 S312에서 포커스 어시스트 기능을 ON으로 설정했고, 포커스 어시스트를 표시하는 경우에는, 측거 위치와 메인 얼굴의 위치가 연동하고 있는 경우에는 메인 얼굴을 나타내는 얼굴 프레임은 표시하지 않는다. 측거 위치를 이동시키는 유저 조작이 행해진 경우에는, 측거 위치를 메인 얼굴의 위치와 연동하지 않고, 유저의 조작에 따라 이동시키고, 포커스 어시스트의 위치도 그에 맞춰서 이동한다. 그것과 함께, 메인 얼굴의 위치를 나타내는 얼굴 프레임을 새롭게 표시시킨다. 그 후 복귀 조작에 의해 측거 위치를 메인 얼굴의 위치와 다시 연동시키면, 메인 얼굴을 나타내는 얼굴 프레임을 비표시로 한다.
<화상 종별 결정 처리>
도 3a의 S301에서 설명한 화면 종별 결정 처리의 상세에 관하여 설명한다. 우선, 각종 화면 종별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1a~11g는, 각종 표시 상태(각종 화면 종별)의 표시부(107)에의 표시 예를 나타낸다. 또한, 도 11a~11g에서는 생략하고 있지만, Display 레벨이, 포커스 어시스트, AF 프레임(AF 영역), 얼굴 프레임 이외의 비표시 정보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외에는, Display 레벨에 따라 라이브 뷰 화상에 중첩해서 표시된다. 얼굴 프레임 이외의, Display 레벨에 따른 정보에는, 그리드 라인, 전지 잔량, 나머지 촬영 가능 시간 등이 있다. 또한, 이하에서는, S314 및 S315에서 설명한 얼굴 검출 기능이 ON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를 간단히 얼굴 검출 ON이라고 칭하고, 얼굴 검출 기능이 OFF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를 간단히 얼굴 검출 OFF라고 칭한다.
도 11a는, 얼굴 검출이 오프이고 포커스 어시스트 기능이 오프로 설정된 경우, 및 얼굴 검출이 오프이고 AF, 원 샷 AF 모드, 및 포커스 어시스트의 기능이 오프로 설정된 경우의 표시 예다. 이때, 표시부(107)에는 라이브 뷰 화상이 표시되고, 포커스 어시스트, AF 프레임, 및 얼굴 프레임은 표시되지 않는다.
도 11b는, 얼굴 검출 오프 및 포커스 어시스트 기능의 설정 온이라고 하는 조건에 더해, 포커스 모드가 MF이고, 포커스 모드가 원 샷 AF 모드로서 AF 동작이 아직 수행되지 않았으며, 포커스 모드가 콘티뉴어스 AF 모드에 있어서의 AF 록 상태인 경우 중의 하나의 표시 예다. 표시부(107)에는, 라이브 뷰 화상에 중첩하여, 포커스 어시스트(1101)가 표시되어 있다. 포커스 어시스트(1101)는, 포커스 어시스트(1101)가 표시되어 있는 위치(측거 위치, 초점 검출 위치)의 피사체에 대해서 인 포커스인지, 전 포커스인지 후 포커스인지, 인 포커스의 정도(오프 포커스의 정도)를 나타내는 항목이다. 유저는 포커스 어시스트(1101)를 참고로 해서 MF의 포커스를 조정할 수 있다. 포커스 어시스트(1101)의 상세에 관해서는 도 8을 참조해서 후술한다.
도 11c는, 얼굴 검출 오프와 함께 원 샷 AF 모드 또는 콘티뉴어스 AF 모드에서 AF 동작을 행하고 있는 동안, 혹은 얼굴 검출 오프와 함께 원 샷 AF 모드에서 AF 동작을 행한 후의 표시부(107)의 표시 예다. AF 제어(AF 동작)의 대상이 되는 피사체 영역(측거 위치, AF 위치, 초점 검출 위치)과, AF 제어 상태를, AF 프레임(1102)을 표시하는 것으로 나타내고 있다. AF 프레임(1102)의 위치는, AF 제어의 대상이 되는 피사체 영역(측거 위치, AF 위치)을 나타내고 있다. AF 프레임(1102)의 색은, AF 동작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AF 프레임(1102)은 콘티뉴어스 AF를 실행하고 있는 경우(연속해서 AF가 동작하고 있는 상태)와 원 샷 AF의 시작으로부터 인 포커스까지 백색으로 표시되어 있다. 원 샷 AF에 의해 인 포커스가 달성되었을 경우에는, AF 프레임(1102)이 녹색으로 표시된다.
도 11d는, AF/MF 설정이 AF로 설정되어 있고, 콘티뉴어스 AF 모드에서 AF 록 상태가 발생했을 경우에 포커스 어시스트 기능이 OFF로 설정되어 있는 표시 예다. 라이브 뷰 화상에 중첩해서 AF 프레임(1103)이 회색으로 표시되어, AF 동작이 행해지지 않고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11e는, 얼굴 검출 온과 함께, 원 샷 AF 모드 또는 콘티뉴어스 AF 모드에 있어서 AF 동작을 수행하고 있는 경우, 또는 AF 동작을 행한 후의 표시 예다. 라이브 뷰 화상에 대하여 얼굴 프레임 1104, 1105, 1106이 중첩해서 표시되어 있다. 얼굴 프레임 1104~1106은, 촬상 화상에서 검출된 얼굴의 위치에 표시된다. 얼굴 프레임 1106은, 검출된 얼굴 중, 얼굴 AF의 대상이 되는 얼굴(메인 얼굴)을 나타내는 프레임이며, 얼굴 프레임 1104과 1105는 메인 얼굴 이외의 얼굴(서브 얼굴)을 나타내는 프레임이다. 메인 얼굴의 얼굴 프레임 1106과 서브 얼굴의 얼굴 프레임 1104, 1105는 표시 형태가 다르므로, 얼굴 프레임 1106이 메인 얼굴을 나타내는 얼굴 프레임인 것을 유저가 식별할 수 있다. 이러한 구별은 예를 들면, 색이나, 1겹 선인지 2겹 선인지 등으로 행해진다. 도 11e의 예에 있어서, 프레임의 사이드에 있는 삼각형은 이것이 메인 얼굴의 프레임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프레임의 사이드에 있는 삼각형은, 좌우 키의 누름에 의해(즉, 유저의 조작에 따라), 메인 얼굴을 다른 얼굴로 변경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즉, 이것은 본 실시예에서는 검출된 복수의 얼굴 중, 얼굴 AF의 대상이 되는 메인 얼굴을 유저가 지정하는 것도 가능(복수 검출된 특정한 피사체 영역 중에서, AF 영역으로서 기능하는 영역을 선택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AF의 동작 상황을 나타내기 위해서, 서브 얼굴의 얼굴 프레임 1104, 1105는 AF의 대상이 아니기 때문에 회색으로 표시된다. 메인 얼굴을 나타내는 얼굴 프레임 1106은, 원 샷 AF 또는 콘티뉴어스 AF에서의 AF 실행 중에는 백색으로 표시되고, 원 샷 AF에 의한 얼굴 AF에서 인 포커스가 달성될 경우에는 녹색으로 표시된다.
도 11f는, 얼굴 검출이 온인 것과 포커스 어시스트 기능의 설정이 OFF라고 하는 조건에 더해, 포커스 모드가 MF로 설정되고, 포커스 모드가 원 샷 AF 모드에서 AF를 실행하기 전의 상태이며, 포커스 모드가 콘티뉴어스 AF 모드에서 AF 록 상태인 경우 중의 하나의 표시 예다. 얼굴 프레임 1104, 1105는 서브 얼굴을 나타내는 얼굴 프레임이며, 얼굴 프레임 1107은 메인 얼굴을 나타내는 얼굴 프레임이다. 다만, 얼굴 프레임 1107에 대하여 AF 동작은 행해지지 않고 있다는 점에 유념한다. 이 경우, 메인 얼굴을 나타내는 얼굴 프레임 1107도 서브 얼굴을 나타내는 얼굴 프레임 1104, 1105도, AF 동작을 수행하지 않기 때문에 회색으로 표시된다. 다만, 얼굴 프레임 1107은 메인 얼굴이라는 것을 구별하는 표시 형태로 되어 있다 (얼굴 프레임 1107의 사이드의 삼각형이 메인 얼굴의 얼굴 프레임이라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11g는, 얼굴 검출이 ON이고 포커스 어시스트 기능의 설정이 온이라고 하는 조건에 더해, 포커스 모드가 MF로 설정되고, 포커스 모드가 원 샷 AF 모드에서 AF를 실행하기 전의 상태이며, 포커스 모드가 콘티뉴어스 AF 모드에서 AF 록 상태인 경우 중의 하나의 표시 예다. 이 경우, 메인 얼굴의 위치에는, 도 11e 및 11f와 같은 얼굴 프레임이 아니라, 포커스 어시스트(1101)가 표시된다. AF의 동작 상황을 나타내기 위해서, 서브 얼굴의 얼굴 프레임 1104 및 1105는 회색으로 표시되고, 포커스 어시스트(1101)는 백색으로 표시된다. 즉, 포커스 어시스트(1101)의 위치인 측거 위치는, 검출된 메인 얼굴의 위치와 연동한다. 라이브 뷰 화상 위의 포커스 어시스트(1101)의 표시 위치도 메인 얼굴의 위치와 연동한다.
다음에, 도 3a의 S301에서 설명한 화면 종별 결정 처리의 상세 플로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a 내지 4c는, 도 3a의 S301에서 설명한 화면 종별 결정 처리의 플로차트를 나타낸다.
도 4a의 S401에서는, CPU(119a)는, ROM(119b)에 기억된 설정 정보를 참조하여, 얼굴 검출 기능이 온으로 설정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전술의 S315에서 얼굴 검출 기능이 온으로 설정되어 있었던 경우에는, 여기에서 온이라고 판정한다. ON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플로우가 S430로 진행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S402로 진행된다.
S402에서는, CPU(119a)는, AF/MF 스위치(135)에 의해 AF로 설정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AF로 설정되어 있을 경우에는, 플로우가 S406로 진행되고, 그렇지 않을 경우(즉, MF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S403로 진행된다.
S403에서는, CPU(119a)는, ROM(119b)에 기억된 설정 정보를 참조하여, 포커스 어시스트 기능이 온으로 설정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전술의 S313에서 포커스 어시스트 기능이 온으로 설정되어 있었던 경우에는, 여기에서 온이라고 판정된다. 포커스 어시스트의 기능이 ON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플로우가 S404로 진행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S405로 진행된다.
S404에서는, CPU(119a)는, 얼굴 검출이 오프이고, 포커스 모드가 MF로 설정되며, 포커스 어시스트가 온인 경우의 표시 종별이라고 결정한다. 그리고, 화면을 다음과 같이 설정하고,
AF 프레임 표시:없음,
얼굴 프레임 표시:없음,
포커스 어시스트 표시:있음
설정된 내용을 RAM(119c)에 보유한다. 이 결과, 표시부(107)에는, 전술의 도 11b와 같은 화면이 표시된다.
S405에서는, CPU(119a)는, 얼굴 검출이 오프이고, 포커스 모드가 MF로 설정되며, 포커스 어시스트가 오프인 경우의 표시 종별이라고 결정한다. 그리고, 화면을 다음과 같이 설정하고,
AF 프레임 표시:없음,
얼굴 프레임 표시:없음,
포커스 어시스트 표시:없음
설정된 내용을 RAM(119c)에 보유한다. 이 결과, 표시부(107)에는, 전술의 도 11a과 같은 화면이 표시된다.
S406에서는, CPU(119a)는, ROM(119b)에 기억된 설정 정보를 참조하여, AF 모드가 원 샷 AF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AF 모드가 전술한 S317에서 원 샷 AF 모드로 설정되어 있었을 경우에는, 여기에서 AF 모드가 원 샷 AF로 설정되어 있다고 판정된다. 원 샷 AF로 설정되어 있을 경우에는, 플로우가 S407로 진행되고, 그렇지 않을 경우(즉, AF 모드가 콘티뉴어스 AF로 설정되어 있을 경우)에는 S415로 진행된다.
S407에서는, CPU(119a)는, 원 샷 AF에 의해 AF 동작을 실행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이것은 원 샷 AF 모드에 있어서 원 샷 AF 키(129)가 눌러졌는지 아닌지의 여부의 판정이다. 원 샷 AF가 이미 실행되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플로우가 S408로 진행되고, 그렇지 않을 경우(원 샷 AF 키(129)가 아직 눌러지지 않은 경우)에는 S411로 진행된다.
S408에서는, CPU(119a)는, 원 샷 AF에 의해 AF 대상에의 포커싱이 성공했는지 아닌지(인 포커스가 성공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인 포커스이면, 플로우가 S409로 진행되고, 그렇지 않을 경우(원 샷 AF의 동작을 시작했지만, 아직 인 포커스가 달성되지 않은 경우)에는 S410로 진행된다.
S409에서는, CPU(119a)는, 얼굴 검출이 오프이고, 포커스 모드가 원 샷 AF로 설정되며, 인 포커스가 성공한 상태의 표시 종별이라고 결정한다. 그리고, 화면을 다음과 같이 설정하고,
AF 프레임 표시:녹색(인 포커스를 나타낸다),
얼굴 프레임 표시:없음,
포커스 어시스트 표시:없음
설정된 내용을 RAM(119c)에 보유한다. 이 결과, 표시부(107)에는, 전술의 도 11c와 같은 화면이 표시되고, 또 AF 프레임는 녹색으로 표시된다.
S410에서는, CPU(119a)는, 얼굴 검출이 오프이고, 포커스 모드가 원 샷 AF로 설정되며, 인 포커스가 아직 성공되지 않은 상태(AF 동작 도중)의 표시 종별이라고 결정한다. 그리고, 화면을 다음과 같이 설정하고,
AF 프레임 표시:흰색(AF 동작 중인 것을 나타낸다),
얼굴 프레임 표시:없음,
포커스 어시스트 표시:없음
설정된 내용을 RAM(119c)에 보유한다. 이 결과, 표시부(107)에는, 전술의 도 11c과 같은 화면이 표시되고, 다만, AF 프레임은 흰색으로 표시된다.
S411에서는, CPU(119a)는, S403과 마찬가지로, 포커스 어시스트 기능이 온으로 설정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포커스 어시스트의 기능이 온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플로우가 S414로 진행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S412로 진행된다.
S412에서는, CPU(119a)는, AF 프레임의 이동 조작이 행해졌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AF 프레임을, 예를 들면 십자 키(125)의 누름에 따라, 눌러진 키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AF 프레임의 이동 조작이 있었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이동 조작에 따라 AF 프레임의 위치를 이동시키고, 플로우는 S410로 진행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S413로 진행된다. S410이 S412로부터 진행되면, AF 프레임의 이동 조작이 종료한 후는 소정 시간(몇 초 정도) 흰색으로 AF 프레임을 표시한 후, AF 프레임을 비표시로 설정한다.
S413에서는, CPU(119a)는, 얼굴 검출이 오프이고, 포커스 모드가 원 샷 AF로 설정되며, 원 샷 AF 동작이 아직 수행되지 않은 경우의 표시 종별이라고 결정한다. 그리고, 화면을 다음과 같이 설정한다.
AF 프레임 표시:없음,
얼굴 프레임 표시:없음,
포커스 어시스트 표시:없음
설정된 내용을 RAM(119c)에 보유한다. 이 결과, 표시부(107)에는, 전술의 도 11a와 같은 화면이 표시된다. 이 화면은, 원 샷 AF 키(129)를 조작하기 전의 AF 대기 상태이고, 포커스 어시스트 기능이 오프로 설정된 경우의 화면이다.
도 4c의 S414에서는, CPU(119a)는, 얼굴 검출이 오프이고, 포커스 어시스트 기능이 온이며, 포커스 모드가 원 샷 AF 모드이지만 원 샷 AF 동작이 아직 수행되지 않는 경우의 표시 종별이라고 결정한다. 그리고, 화면을 다음과 같이 설정한다.
AF 프레임 표시:없음,
얼굴 프레임 표시:없음,
포커스 어시스트 표시:있음
설정된 내용을 RAM(119c)에 보유한다. 이 결과, 표시부(107)에는, 전술의 도 11b과 같은 화면이 표시된다. 이 상태에서도, 포커스 링(134)의 조작에 의한 메뉴얼 포커싱이 가능하다. 그 때문에, 포커스 어시스트(1101)를 표시함으로써 유저의 MF 조작을 서포트할 수 있다. 포커스 어시스트(1101)의 위치는 도 3a의 S306~S309에서 설명한 것처럼 이동 가능하다. 포커스 어시스트(1101)의 위치를 이동하면, 측거 위치, AF 위치도 이동한다. 이 다음에, 원 샷 AF 키(129)가 눌러지면, S410의 표시 상태가 표시되고, 그 다음 S409의 표시 상태로 변화된다. 즉, 원 샷 AF 모드에 있어서 포커스 어시스트 기능이 온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원 샷 AF 키(129)가 눌러지기 전에 측거 위치에 포커스 어시스트를 표시한다. 원 샷 AF 키(129)를 누르면 그 위치에서 AF를 행하고, 포커스 어시스트의 표시를 AF 프레임으로 교체한다.
S415에서는, CPU(119a)는, AF 록 상태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전술의 S334에서 AF 록 상태가 설정되어 있을 경우에는, 여기에서 AF 록 상태라고 판정된다. AF 록 상태일 경우에는, 플로우가 S417로 진행되고,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S416로 진행된다.
S416에서는, CPU(119a)는, 얼굴 검출이 오프이고, 포커스 모드가 콘티뉴어스 AF 모드이며, AF 록이 실행되지 않은(콘티뉴어스 AF의 실행 중) 경우의 표시 종별이라고 결정한다. 그리고, 화면을 다음과 같이 설정한다.
AF 프레임 표시:흰색,
얼굴 프레임 표시:없음,
포커스 어시스트 표시:없음
설정된 내용을 RAM(119c)에 보유한다. 이 결과, 표시부(107)에는, 전술의 도 11c와 같은 화면이 표시되고, 다만 AF 프레임 1102는 흰색으로 표시된다.
S417에서는, CPU(119a)는, S403과 마찬가지로, 포커스 어시스트 기능이 온으로 설정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포커스 어시스트의 기능이 ON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플로우가 S419로 진행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S418로 진행된다.
S418에서는, CPU(119a)는, 얼굴 검출이 오프이고, 포커스 어시스트 기능이 오프로 설정되며, 상태가 콘티뉴어스 AF 모드에서 AF 록 상태인 경우의 표시 종별이라고 결정한다. 그리고, 화면을 다음과 같이 설정한다.
AF 프레임 표시:회색,
얼굴 프레임 표시:없음,
포커스 어시스트 표시:없음
설정된 내용을 RAM(119c)에 보유한다. 이 결과, 표시부(107)에는, 전술의 도 11d와 같은 화면이 표시된다.
S419에서는, CPU(119a)는, 얼굴 검출이 오프이고, 포커스 어시스트 기능이 온이며, 상태가 콘티뉴어스 AF 모드에서 AF 록 상태인 경우의 표시 종별이라고 결정한다. 그리고, 화면을 다음과 같이 설정한다.
AF 프레임 표시:없음,
얼굴 프레임 표시:없음,
포커스 어시스트 표시:있음
설정된 내용을 RAM(119c)에 보유한다. 이 결과, 표시부(107)에는, 전술의 도 11b와 같은 화면이 표시된다. 이 상태에서도, S334에서 설명한 것처럼, 포커스 링(134)의 조작에 의한 메뉴얼 포커싱이 가능하다. 이 때문에, 포커스 어시스트(1101)를 표시함으로써 유저의 MF 조작을 서포트할 수 있다. 이때, 포커스 어시스트(1101)의 위치는 도 3a의 S306~S309에서 설명한 것처럼 이동 가능하다. 포커스 어시스트(1101)의 위치를 이동하면, 측거 위치, AF 위치도 이동한다. 이 후에 AF 록 상태를 해제해서 콘티뉴어스 AF를 실행하면, S416의 표시 상태가 표시되고, 포커스 어시스트(1101)가 AF 프레임 1102로 교체된다.
S430에서는, CPU(119a)는, AF/MF 스위치(135)에 의해 AF가 설정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AF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플로우가 S434로 진행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S431로 진행된다.
S431에서는, CPU(119a)는, S403과 마찬가지로 포커스 어시스트 기능이 온으로 설정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온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플로우가 S432로 진행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S433로 진행된다.
S432에서는, CPU(119a)는, 얼굴 검출이 온이고, 포커스 모드가 MF로 설정되며, 포커스 어시스트가 ON인 경우의 표시 종별이라고 결정한다. 그리고, 화면을 다음과 같이 설정한다.
AF 프레임 표시:없음,
얼굴 프레임 표시:메인 얼굴은 없음, 서브 얼굴은 회색,
포커스 어시스트 표시:메인 얼굴의 위치에 있음
설정된 내용을 RAM(119c)에 보유한다. 이 결과, 표시부(107)에는, 전술의 도 11g와 같은 화면이 표시된다.
S433에서는, CPU(119a)는, 얼굴 검출이 온이고, 포커스 모드가 MF로 설정되며, 포커스 어시스트가 오프인 경우의 표시 종별이라고 결정한다. 그리고, 화면을 다음과 같이 설정한다.
AF 프레임 표시:없음,
얼굴 프레임 표시:메인 얼굴과 서브 얼굴이 회색,
포커스 어시스트 표시:없음
설정된 내용을 RAM(119c)에 보유한다. 이 결과, 표시부(107)에는, 전술의 도 11f와 같은 화면이 표시된다.
S434에서는, CPU(119a)는, S406과 마찬가지로, AF 모드가 원 샷 AF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원 샷 AF로 설정되어 있으면, 플로우가 S435로 진행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S442로 진행된다.
S435에서는, CPU(119a)는, S407과 마찬가지로, 원 샷 AF에 의한 AF 동작을 실행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원 샷 AF의 실행 후라고 판정한 경우에는, 플로우가 S436로 진행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S439로 진행된다.
S436에서는, CPU(119a)는, S408과 마찬가지로, 원 샷 AF에 의해 AF 대상에의 포커싱이 성공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인 포커스이면, 플로우가 S437로 진행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S438로 진행된다.
S437에서는, CPU(119a)는, 얼굴 검출이 온이고, 포커스 모드가 원 샷 AF 모드로 설정되며, 포커스 상태가 원 샷 AF를 행한 결과 인 포커스인 상태의 표시 종별이라고 결정한다. 그리고, 화면을 다음과 같이 설정한다.
AF 프레임 표시:없음,
얼굴 프레임 표시:메인 얼굴은 녹색, 서브 얼굴은 회색,
포커스 어시스트 표시:없음
설정된 내용을 RAM(119c)에 보유한다. 이 결과, 표시부(107)에는, 전술의 도 11e와 같은 화면이 표시되고, 다만, 얼굴 프레임 1106은 녹색으로 표시된다.
S438에서는, CPU(119a)는, 얼굴 검출이 온이고, 포커스 모드가 원 샷 AF로 설정되며, 인 포커스가 아직 성공하지 않은(AF 동작 도중) 경우의 표시 종별이라고 결정한다. 그리고, 화면을 다음과 같이 설정한다.
AF 프레임 표시:없음,
얼굴 프레임 표시:메인 얼굴은 흰색, 서브 얼굴은 회색,
포커스 어시스트 표시:없음
설정된 내용을 RAM(119c)에 보유한다. 이 결과, 표시부(107)에는, 전술의 도 11e와 같은 화면이 표시되고, 다만, 얼굴 프레임 1106은 흰색으로 표시된다.
S439에서는, CPU(119a)는, S403과 마찬가지로, 포커스 어시스트 기능이 온으로 설정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포커스 어시스트의 기능이 ON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플로우가 S441로 진행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S440로 진행된다.
S440에서는, CPU(119a)는, 얼굴 검출이 온이고, 포커스 어시스트의 기능이 오프이며, 포커스 모드가 원 샷 AF 모드이며, 원 샷 AF를 수행하지 않은 상태의 표시 종별이라고 결정한다. 그리고, 화면을 다음과 같이 설정한다.
AF 프레임 표시:없음,
얼굴 프레임 표시:메인 얼굴과 서브 얼굴은 회색,
포커스 어시스트 표시:없음
설정된 내용을 RAM(119c)에 보유한다. 이 결과, 표시부(107)에는, 전술의 도 11f와 같은 화면이 표시된다.
S441에서는, CPU(119a)는, 얼굴 검출이 온이고, 포커스 어시스트 기능이 온이며, 상태가 원 샷 AF 동작이 아직 수행되지 않은 원 샷 AF 모드인 경우의 표시 종별이라고 결정한다. 그리고, 화면을 다음과 같이 설정한다.
AF 프레임 표시:없음,
얼굴 프레임 표시:메인 얼굴은 없음, 서브 얼굴은 회색,
포커스 어시스트 표시:메인 얼굴의 위치에 있음
설정된 내용을 RAM(119c)에 보유한다. 이 결과, 표시부(107)에는, 전술의 도 11g와 같은 화면이 표시된다. 이 상태에서도, S334에서 설명한 것처럼, 포커스 링(134)의 조작에 의한 메뉴얼 포커싱이 가능하다. 그 때문에, 포커스 어시스트(1101)를 표시함으로써 유저의 MF 조작을 서포트할 수 있다. 그 후에, 원 샷 AF 키(129)가 눌러지면, S438의 표시 상태를 통해서 S437의 표시 상태로 변화하게 된다. 즉, 원 샷 AF 모드에 있어서 포커스 어시스트 기능이 온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원 샷 AF 키(129)를 누르기 전에 측거 위치에 포커스 어시스트를 표시한다. 원 샷 AF 키(129)가 눌러지면, 그 위치에서 얼굴 AF를 행하고, 포커스 어시스트가 인 포커스인 얼굴 프레임 표시로 교체된다.
S442에서는, CPU(119a)는, S415과 마찬가지로, AF 록 상태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AF 록 상태일 경우에는, 플로우가 S444로 진행되고,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S443로 진행된다.
S443에서는, CPU(119a)는, 얼굴 검출이 온이고, 콘티뉴어스 AF를 행하고 있는 경우의 표시 종별이라고 결정한다. 그리고, 화면을 다음과 같이 설정한다.
AF 프레임 표시:없음,
얼굴 프레임 표시:메인 얼굴은 흰색, 서브 얼굴은 회색,
포커스 어시스트 표시:없음
설정된 내용을 RAM(119c)에 보유한다. 이 결과, 표시부(107)에는, 전술의 도 11e와 같은 화면이 표시되고, 다만, 얼굴 프레임 1106은 흰색으로 표시된다.
S444에서는, CPU(119a)는, S403과 마찬가지로, 포커스 어시스트 기능이 온으로 설정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포커스 어시스트의 기능이 ON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플로우가 S446로 진행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S445로 진행된다.
S445에서는, CPU(119a)는, 얼굴 검출이 온이고, 포커스 어시스트 기능이 오프이며, 콘티뉴어스 AF 모드일 때에 AF 록 상태로 되어 있는 경우의 표시 종별이라고 결정한다. 그리고, 화면을 다음과 같이 설정한다.
AF 프레임 표시:없음,
얼굴 프레임 표시:메인 얼굴과 서브 얼굴이 회색,
포커스 어시스트 표시:없음
설정된 내용을 RAM(119c)에 보유한다. 이 결과, 표시부(107)에는, 전술의 도 11f와 같은 화면이 표시된다.
S446에서는, CPU(119a)는, 얼굴 검출이 온이고, 포커스 어시스트 기능이 온이며, 상태가 콘티뉴어스 AF 모드에서 AF 록 상태인 경우의 표시 종별이라고 결정한다. 그리고, 화면을 다음과 같이 설정한다.
AF 프레임 표시:없음,
얼굴 프레임 표시:메인 얼굴은 없음, 서브 얼굴은 회색,
포커스 어시스트 표시:메인 얼굴의 위치에 있음,
설정된 내용을 RAM(119c)에 보유한다. 이 결과, 표시부(107)에는, 전술의 도 11g와 같은 화면이 표시된다. 이 상태에서, S334에서 설명한 것처럼, 포커스 링(134)의 조작에 의한 메뉴얼 포커싱이 가능하다. 이 때문에, 포커스 어시스트(1101)를 표시함으로써 유저의 MF 조작을 서포트할 수 있다. 그 후에, AF 록 상태를 해제해서 콘티뉴어스 AF를 실행하면, S443의 표시 상태로 되고, 포커스 어시스트(1101)는 얼굴 프레임 1106으로 교체된다.
<포커스 어시스트 표시 처리>
도 5는, 도 3a의 S304에서 전술한 포커스 어시스트 표시 처리의 상세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S501에서는, CPU(119a)는, RAM(119c)에 보유된 측거 위치(초점 검출 위치)를 판독한다.
S502에서는, CPU(119a)는, S501에서 취득한 측거 위치에 대응하는 피사체에 대해서, 포커스 정보 및 측거가 성공했는지 아닌지에 관한 정보를, 측거부(108)로부터 취득한다. 포커스 정보는, 상기한 바와 같이, 디포커스량에 의해 산출된, 인 포커스/전 포커스/후 포커스 중의 어느 상태에 있는지에 관한 정보와 인 포커스의 정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S503에서는, CPU(119a)는, S501과 S502에서 취득한 정보에 근거해서, GPU(115)로 묘화하는 포커스 어시스트(어시스트 표시 또는 포커스 가이드 표시)의 프레임 표시 위치, 지표 각도, 및 표시 색을 결정한다. 프레임 표시 위치는, 측거 위치에 있는 것으로 결정된다. 지표 각도는, 인 포커스, 전 포커스, 또는 후 포커스 중의 어느 상태에 있는지의 정보와, 전 포커스 또는 후 포커스의 경우의 인 포커스 정도에 의거하여 결정된다. 표시 색은, 인 포커스, 전 포커스, 또는 후 포커스 중의 어느 상태에 있는지의 정보와, 측거가 성공했는지 아닌지의 정보에 의거하여 결정된다.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S504에서는, CPU(119a)는, S502에서 취득한 측거 성공 정보를 참조하여, 측거가 성공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성공하면, 플로우가 S505로 진행되고, 실패하면 S510로 진행된다.
S505에서는, CPU(119a)는, S502에서 취득한 정보에 의거해서, 피사체가 인 포커스 상태에 있는지 아웃 포커스(out-of-focus) 상태에 있는지를 판정한다. 인 포커스 상태이면, 플로우가 S507로 진행되고, 아웃 포커스 상태이면 S506로 진행된다.
S506에서는, CPU(119a)는, S502에서 취득한 정보에 의거해서, 피사체가 전 포커스 상태에 있는지 후 포커스 상태에 있는지를 판정한다. 전 포커스 상태에 있으면, 플로우가 S508로 진행되고, 후 포커스 상태에 있으면 S509로 진행된다.
S507에서는, CPU(119a)는, 지표 패턴 A, 즉 피사체가 인 포커스인 경우의 지표 표시 형태에 대응하는 포커스 어시스트의 데이터를 선택한다. 이 지표와 프레임의 데이터의 표시 예를 도 8a에 나타낸다. 지표 801은, 인 포커스 상태(초점 검출 영역의 피사체가 인 포커스인 상태)를 나타내고, 여기서 후술하는 지표 804와 지표 805가 서로 겹쳐서 일체화하고, 한층 더 지표 803과 인접한 위치(지표 803이 나타내는 위치)로 되어 있다. 또한, 색은 다른 상태와는 다른 녹색이다. 이러한 표현을 이용함으로써, 포커스 위치 및 그 부근에서는, 다른 형태와 비교해서, 지표의 표시 면적이 작기 때문에, 촬영자의 영상 시인에의 영향을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레임 802는, 라이브 뷰 화상에 있어서의 S501에서 취득한 측거 위치에 대응하는 영역을 나타낸다.
S508에서는, CPU(119a)는, 지표 패턴 B, 즉 피사체가 전 포커스 상태인 경우의 지표 표시 형태에 대응하는 포커스 어시스트의 데이터를 선택한다. 이 지표와 프레임의 데이터의 표시 예를 도 8b1 및 도 8b2에 나타낸다. 지표 803은 인 포커스 상태로 향하기 위한 지표 804와 지표 805의 목표 지점을 나타내고, 프레임 802로 향하는 백색의 삼각형으로 표현하고 있다. 지표 804과 지표 805는, 서로로부터의 거리에 의해, 측거 위치의 인 포커스 정도를 나타내고, 프레임 802로부터 벗어나는 측을 향한 삼각형으로 표현하고 있다. 피사체와 디지털 카메라(10) 간의 거리가 변동하면, 인 포커스 정도가 변화되기 때문에, 지표 804와 지표 805의 표시 위치 간의 간격이 좁아지거나 넓어지도록 동적으로 변화한다. 지표 804와 지표 805 간의 거리(각도)는, 인 포커스 정도 정보에 근거하여, 포커스 검출 영역에서 오프 포커스의 정도가 큰 경우에 비해서 오프 포커스의 정도가 작은 경우에 표시 거리가 작아지도록(좁아지도록, 각도가 작아지도록) 변화한다. 즉, 도 8b1은 피사체가 작은 아웃 포커스(out-of-focus) 상태인(오프 포커스의 정도가 작은) 경우를 나타내고, 도 8b2는 피사체가 큰 아웃 포커스 상태인(오프 포커스 정도가 큰) 경우를 나타낸다. 지표 803과 지표 804 및 지표 805가, 인 포커스 근방에 있어서 서로 정점이 마주보는 삼각형을 이루고 있는 구성에 의해, 미묘한 오프 포커스 상태도 시인하기 쉽게 되어 있다. 각 지표는 프레임 802의 근방에 표시되기 때문에, 촬영자는 피사체로부터 시선을 크게 돌리지 않고 인 포커스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포커스 어시스트 표시를 복수의 위치에 대해서 가능한 경우에도, 각각의 프레임과 지표 간의 상관관계를 쉽게 이해할 수 있다.
S509에서는, CPU(119a)는, 지표 패턴 C, 즉 피사체가 후 포커스 상태인 경우의 지표 표시 형태에 대응하는 포커스 어시스트의 데이터를 선택한다. 이 지표와 프레임의 데이터의 표시 예를 도 8c1 및 도 8c2에 나타낸다. 도 8b1 및 도 8b2와 달리, 지표 803은 프레임 802로부터 벗어나는 측을 향한 흰색의 삼각형으로 표현되어 있고, 지표 804 및 지표 805는 프레임 802를 향하는 삼각형으로 표현되어 있다. 따라서, 한눈에 상태가 전 포커스인지 후 포커스인지를 구별할 수 있다. 도 8c1은 피사체가 작은 아웃 포커스 상태에 있는 (오프 포커스의 정도가 작은) 경우를 나타내고, 도 8c2은 피사체가 큰 아웃 포커스 상태에 있는 (오프 포커스의 정도가 큰)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S510에서는, CPU(119a)는, 지표 패턴 D, 즉 피사체가 웨이 아웃 포커스(way-out-of-focus) 상태인 경우의 지표 표시 형태에 대응하는 포커스 어시스트의 데이터를 선택한다. 이 지표와 프레임의 데이터의 표시 예를 도 8d에 나타낸다. 지표 803 및 지표 804와 지표 805는 각각 정사각형으로 표현되어 있고, 도 8a 내지 도 8c2에 나타낸 지표와는 형상이 다르다. 이들 지표의 표시 색도 회색이다. 이것에 의해, 전 포커스/후 포커스의 판정에 실패했고(즉, 측거에 실패했고) 상태가 웨이 아웃 포커스(way-out-of-foucs) 상태인 것을 시각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S511에서는, CPU(119a)는, S507 내지 S510 중의 하나에서 선택된 지표와 프레임 데이터를, S503에서 결정한 표시 위치, 지표 각도, 및 표시 색으로, GPU(115)에 의해 프레임 표시용의 VRAM에 묘화한다.
S512에서는, CPU(119a)는, OSD(on-screen display) VRAM에, 포커스 어시스트 표시 이외의 각종 표시 요소를 묘화한다.
S513에서는, CPU(119a)는, S511에서 묘화한 프레임 표시용의 VRAM 위에, S512에서 묘화한 OSD VRAM을, GPU(115)을 이용해서 합성한다.
S514에서는, CPU(119a)는, S513에서 합성한 VRAM을, 표시용 인터페이스부(106)에서 영상(라이브 뷰 화상)과 중첩하여, 표시부(107)에 표시한다. 이때, 표시부(107)에 표시되는 화면의 구성을 도 9a 및 도 9b에 나타낸다. 포커스 어시스트 901a 및 포커스 어시스트 90lb은, 모두 도 8a 내지 8d에서 나타낸 프레임과 지표를이용해서 구성되어 있다. 아이콘 902는 AF/MF 스위치(135)에 의해 포커스 모드가 MF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피사체 903 및 피사체 904는 촬상소자(102)에 의해 결상된 피사체(라이브 뷰 화상의 일부)이다. 또한, 화면 내에는 본 발명과 관계가 적은 그 밖의 정보 표시 요소도 표시되어 있다. 이들은 S512에서 묘화된 것이지만, 참조번호는 부여하지 않고 있다. 도 9a에서는, S501에서 취득한 측거 위치가 피사체 903에 대응하고, 피사체 903이 인 포커스 상태에 있다. 한편, 도 9b는, 도 9a로부터 십자 키(125)나 다이얼(126)을 이용해서 측거 위치를 이동했을 경우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측거 위치는 피사체 904의 위치에 있고, 피사체 904는 전 포커스의 상태에 있다. S513에서 합성의 영향으로, 포커스 어시스트 90lb의 지표의 일부가 다른 표시 요소 밑에 숨겨져 있다(즉, 다른 표시 요소가 위가 되도록 중첩 표시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가 되어도, 지표를 3개의 모양으로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다른 노출되어 있는 지표에 의해 포커스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렇게, 포커스 어시스트는, 측거 위치(초점 검출 위치)의 피사체가 인 포커스일 때까지, 포커스 링(134)을 어느 측으로 어느 정도 조작하면 좋을지를 나타내고 있다. 바꿔 말하면, 포커스 어시스트는, 측거 위치의 인 포커스 정도(오프 포커스의 정도)를 나타내고 있다. 더 바꿔 말하면, 포커스 어시스트는, 측거 위치의 피사체가 인 포커스인 경우의 초점 거리와 현재의 초점 거리와의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한층 더 바꿔 말하면, 포커스 어시스트는, 포커스 위치(디지털 카메라(10)와 현재 인 포커스인 위치)와 피사체 거리(디지털 카메라(10)와 피사체와의 거리)와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포커스 어시스트의 표시 형태의 변형 예>
도 8a 내지 8d에서 나타낸 프레임과 지표의 다른 표시 형태의 예를, 도 10a 내지 10c에 나타낸다. 도 10a는 도 8a에 대응하는 인 포커스 상태를 나타낸다. 지표 1001은 지표 801에 해당하고, 프레임 1002는 프레임 802에 해당한다. 지표 1001은, 후술하는 지표 1003 및 지표 1004 및 지표 1005의 3개가 겹쳐서 일체화된 표현이다. 도 8a와 마찬가지로, 촬영자의 영상 시인에의 영향을 작게 하고 있다.
도 10b는 도 8b2에 해당하는 전 포커스 상태다. 지표 1003은 지표 803에 해당하고, 지표 1004는 지표 804에 해당하며, 지표 1005는 지표 805에 해당한다. 또한, 화살표 1006은, 인 포커스로 향하기 위해서 포커스 링(134)을 회전하는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이것에 의해, 촬영자가 포커스 링(134)의 조작에 익숙하지 않은 경우에도, 회전 방향을 고려하지 않고 인 포커스 방향으로 포커스 링(134)을 조작할 수 있다. 표시부(107)가 펴져서, 회전되어, 플립(flipped)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방향에 관해서 변경될 수 있는 경우에는, 이것은 포커스 링(134)에 대한 표시부(107)의 위치 및 방향에 관해서 화살표가 표시되어야 하는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그 방향의 상태를 검출하고, 화살표 1006을 적절히 묘화해서 이것을 반영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도 10c는 도 8c2에 해당하는 후 포커스 상태다. 지표 1004 및 지표 1005는, 도 10b와 서로의 위치가 역전하고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촬영자가 한눈에 전 포커스인지 후 포커스인지를 구별할 수 있다. 또한, 화살표 1006도 도 10b과는 반대의 방향을 가리키고 있어, 인 포커스 방향으로 조작하기 위한 포커스 링(134)의 회전 방향이 다른 것을 나타내고 있다.
<화상 사이즈 설정 전환 처리(크롭 설정)>
도 3의 S318, S319에서 전술한 화상 사이즈 설정 전환 처리에 관하여 설명한다. 디지털 카메라(10)는 메뉴 화면의 메뉴 항목에 있어서 화상 사이즈 설정(해상도의 설정)에 관한 항목을 가지고 있다. 유저가 화상 사이즈 설정의 메뉴 항목을 선택하면, 이하의 선택 사항을 갖는 서브 메뉴가 표시되어, 유저는 선택사항 중의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설정 1…4K: 4096 화소×2160 화소
설정 2…4K:3840 화소×2160 화소
설정 3…2K:2048 화소×1080 화소
설정 4…2K:1920 화소×1080 화소
설정 5…2K 크롭: 2048 화소×1080 화소
설정 6…2K 크롭: 1920 화소×1080 화소
설정 1은, 디지털 카메라(10)로 설정 가능한 최대 사이즈이다. 촬상소자(102)의 최대 화소 수는 4096 화소×2160 화소보다 약간 크지만, 화상 사이즈(기록 화소 수)로서 설정 가능한 최대 사이즈(유효 화소)는, 4096 화소×2160 화소이다.
설정 3, 4는, 각각, 촬상소자(102) 중, 설정 1, 2와 같은 범위 및 같은 화소 수의 화소로부터 판독을 행한 화상을, 리사이즈해서 축소한 사이즈다. 따라서, 각각, 설정 1, 2의 경우와 같은 화각을 갖는 영상이 있다.
설정 5,6은, 촬상소자(102) 중, 중앙을 포함하는 일부 범위(설정 5는 촬상소자(102)의 중앙에서 2048 화소×1080 화소의 범위이고, 설정 6은 촬상소자(102)의 중앙에서 1920 화소×1080 화소의 범위이다)의 화소로부터만 판독을 행하는 설정이다. 즉, 이들은 설정 1~4보다도 좁은 범위의 화소만 사용해서, 설정 1~4보다도 좁은 화각의 영상이 된다. 즉, 이들은 촬상소자(102)의 중앙을 포함하는 일부 범위를 자른 사이즈다. 설정 5, 6을 이용하는 촬영을 총칭해서 "크롭 모드"라고 칭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크롭 모드는 설정 1~6과 같은 계층의 메뉴 항목이 아니라, 오히려 화상 사이즈 설정의 제1 계층에서 "크롭 모드"라고 칭하는 선택사항이며, 선택된 후에, 크롭 모드의 서브 메뉴로부터 2048 화소×1080 화소 혹은 1920 화소×1080 화소를 선택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크롭 모드가 설정되었을 경우에, 측거 위치가 크롭 모드에서의 촬영 범위 내에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측거 위치를 중앙으로 변경한다. 이 처리의 개념에 대해서, 도 12a 내지 12h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2a는, 최대 사이즈(설정 1)로 촬상된 화상의 예다. 촬상소자(102) 중, 최대 사이즈에 해당하는 범위의 화소를 사용해서 촬영이 행해져, 촬영 범위 1201의 화상이 촬상된다. 또한, 크롭 범위 1202는, 크롭 촬영으로 잘라 낸 범위를 나타내고 있다.
도 12b는, 촬상소자(102) 중, 도 12a에서의 크롭 범위 1202에 해당하는 범위의 화소로 촬상된 화상의 예다.
도 12c는, 최대 사이즈(설정 1)가 설정되어 있고, 또한, 측거 위치가 크롭 범위 1202의 외측의 영역에 있는 경우의 포커스 어시스트 1203과 라이브 뷰 화상의 표시 예다.
도 12d는, 화상 사이즈 설정을 도 12c의 상태로부터 크롭 모드로 바꾸었을 경우(즉, 화상 사이즈를 설정 5 및 6중의 하나로 설정했을 경우)의 라이브 뷰 화상과 포커스 어시스트 1203의 표시 예다. 도 12c에서 측거 위치가 크롭 범위 1202의 외측의 영역에 있기 때문에, 크롭 모드로 변경된 것에 따라, 측거 위치를 크롭 모드에서의 촬영 범위의 중앙(촬상소자(102)의 중앙)으로 변경하고 있다. 또한, 크롭 모드에서도, 촬상소자(102) 위에 있어서, 측거하는 영역의 사이즈 자체는 바뀌지 않는다. 즉, 크롭 모드에 있어서, 촬상소자(102)에 대한 라이브 뷰 화상의 사이즈가 작아지기(촬영 범위가 좁아진다) 때문에, 라이브 뷰 화상에 대한 측거 범위(초점 검출 범위)는 상대적으로 커진다. 따라서, 라이브 뷰 화상 위에 중첩해서 표시되는 포커스 어시스트 1203도, 도 12c에 비해서 도 12d 쪽이 커진다.
도 12e은, 최대 사이즈(설정 1)가 설정되어 있고, 측거 위치가 크롭 범위 1202의 내측의 영역에 있는 경우의 포커스 어시스트 1203과 라이브 뷰 화상의 표시 예다.
도 12f는, 화상 사이즈 설정을 도 12e의 상태로부터 크롭 모드로 전환했을 경우(화상 사이즈를 설정 5 혹은 6으로 설정했을 경우)의 라이브 뷰 화상과 포커스 어시스트 1203의 표시 예다. 도 12e에 있어서는 측거 위치가 크롭 범위 1202의 내측에 있기 때문에, 크롭 모드로 변경되어도, 측거 위치는 변경되지 않는다. 즉, 디지털 카메라(10) 혹은 피사체가 움직이지 않으면, 포커스 어시스트 1203은 크롭 모드에 전환하기 전후에 같은 피사체의 위치(도시한 예에서는 개의 머리 부분)로 설정된다.
또한, 도 12g에 나타낸 것과 같이, 최대 사이즈(설정 1)로 측거 위치를 나타내는 포커스 어시스트 1203의 프레임이, 크롭 범위 1202의 내측과 외측의 쌍방에 일부 겹쳐 있을 경우, 크롭 모드로 전환한 후의 측거 위치(측거 범위)는 도 12h에 나타낸 것과 같다. 즉, 측거 범위의 전체가 크롭 모드에서의 촬영 범위 내에 들어가도록, 측거 위치를 이동한다. 이 경우, 중앙에까지는 측거 위치가 이동하지 않는다.
크롭 모드를 해제했을 경우(설정 5 및 6중의 하나로부터 설정 1~4중의 하나로 전환할 경우)에, 측거 위치는 변경되지 않는다(유지된다). 즉, 화상 사이즈의 설정을 도 12f의 상태로부터 설정 1로 변경하면, 도 12e에 나타낸 위치에 포커스 어시스트 1203이 표시된다.
도 6은, 화상 사이즈 설정 전환 처리의 플로차트를 나타낸다. 이 처리는, 도 3의 S319의 처리의 상세이다.
S601에서는, CPU(119a)는, 크롭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즉, 상기의 설정 1~6중에서, 설정 5 및 설정 6중의 하나가 설정되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크롭 모드로 설정되었을(설정 5 또는 6으로 설정되었을) 경우에는, 플로우가 S602로 진행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S607로 진행된다.
S602에서는, CPU(119a)는, 센서(촬상소자 102)로부터의 판독 영역을, 설정된 크롭 모드에 대응하는 크롭 범위로 변경한다. 즉, 설정 5가 설정되었을 경우에는, 촬상소자(102)의 중앙을 중앙으로 하는 2048 화소×1080 화소의 범위를 판독 영역으로 설정한다. 설정 6이 설정되었을 경우에는, 촬상소자(102)의 중앙을 중앙으로 하는 1920 화소×1080 화소의 범위를 판독 영역으로 한다.
S603에서는, CPU(119a)는, 현재의 측거 위치 및 측거 범위의 전체가, S602에서 설정된 판독 범위(크롭 범위)의 외측에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측거 범위 전체가 크롭 범위의 외측에 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플로우가 S604로 진행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S605로 진행된다.
S604에서는, CPU(119a)는, 측거 위치를 촬상소자(102)의 중앙(촬영 범위의 중앙)으로 변경한다. 이것에 의해, 전술의 도 12c 및 도 12d와 같이 측거 위치가 변경되고, 포커스 어시스트 1203의 표시 위치도 갱신된다.
S605에서는, CPU(119a)는, 현재의 측거 범위의 일부가 크롭 범위 밖에 (일부는 크롭 범위 내부에)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측거 범위의 전체가 아니라 일부가 크롭 범위 밖에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플로우가 S606로 진행된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즉, 측거 범위의 전체가 크롭 범위 내에 있는 경우에는, 측거 위치를 변경하는 않고 플로우가 S608로 진행된다.
S606에서는, CPU(119a)는, 측거 위치를, 측거 범위 전체가 크롭 범위 내에 들어가는 위치로 변경한다. 보다 자세한 것은, 측거 위치의 변경 전에, 측거 범위의 일부가 크롭 범위로부터 X방향(횡방향)으로만 비어져 나온 경우에는, Y방향(종방향)의 위치는 이동하지 않고, 밖으로 향해 비어져 나온 거리분만, 측거 위치를 X축과 평행하게 크롭 범위의 내측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측거 위치의 변경 전에, 측거 범위의 일부가 크롭 범위로부터 Y방향(종방향)으로만 비어져 나온 경우에는, X방향(횡방향)의 위치는 이동하지 않고, 밖으로 향해 비어져 나온 거리분만, 측거 위치를 Y축과 평행하게 크롭 범위의 내측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측거 위치의 변경 전에, 측거 범위의 일부가 크롭 범위로부터 X방향과 Y방향의 양쪽으로 비어져 나온 경우에는, 변경 전의 측거 위치에 가장 가까운 크롭 범위의 정점과, 변경 후의 측거 범위의 정점이 일치해서 측거 범위가 크롭 범위 내에 들어가도록 측거 위치를 이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전술의 도 12g 내지 도 12h의 상태로부터 측거 위치가 변경되고, 포커스 어시스트 1203의 표시 위치도 갱신된다. 또한, S605 및 S606의 처리를 행하지 않고, 측거 범위가 클립 범위의 외측에 일부라도 있을 경우에는, 플로우가 S604로 진행되어서 측거 위치를 중앙으로 설정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S607에서는, 화상 사이즈 설정을, 유저에 의해 설정된 크롭 모드 이외의 설정(상술한 설정 1~4)으로 설정하고, 설정 값을 나타내는 정보를 ROM(119b)에 기록한다.
전술한 S604 및 S606의 처리는, 포커스 어시스트 기능의 설정이 온인지 오프인지에 관계없이 행해진다. 즉, 포커스 어시스트 기능의 설정이 오프여도, 크롭 모드로 설정되었을 경우에 측거 범위의 전부 또는 일부가 크롭 범위의 외측에 있을 경우에는 S604 및 S606의 처리가 행해진다.
이렇게, 도 6에서 설명한 처리에 의해 크롭 모드가 설정된 후, 메뉴를 닫아서 라이브 뷰 화면으로 되돌렸을 경우에, 도 12c~12h로 설명한 것 같은 화면 천이가 발생한다.
<확대 처리>
확대 처리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10)에서는, 라이브 뷰를 보통 배율(기록 사이즈에 대응한 촬영 범위의 라이브 뷰 전체가 표시부(107) 내에 들어가는 배율)로 표시 중에 확대 키(131)(확대 버튼)를 누르면 확대 모드로 천이한다. 확대 모드에서는, 표시부(107)에 라이브 뷰 화상을 확대 표시한다. 확대 키(131)를 눌러서 확대 모드로 천이하면, 처음에는, 이전의 확대 모드에 있어서 최후에 표시되어 있던 확대 배율(2배, 4배, 8배 중 하나)로 확대 표시한다. 또한, 디폴트 값은 2배이며, 전원 투입 후 최초로 확대 모드로 천이한 경우에는, 2배로 확대 표시한다. 확대 모드에서는, 세트 키(127)를 누를 때마다, 확대 배율을 2배→4배→8배→2배→…로 순차 바꿀 수 있다. 확대 모드에 있어서 확대 키(131)가 눌러지면, 배율에 관계없이 확대 모드를 빠져나와서, 보통 배율에서의 라이브 뷰 표시로 돌아간다.
도 3의 313에서 설정한 포커스 어시스트 기능이 ON인 경우와, AF/MF 스위치(135)에 의해서 포커스 모드가 AF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측거 위치(AF의 경우에는 AF 위치와 동등)를 중심으로 해서 확대한다. 즉, 확대 전에 포커스 어시스트가 표시되어 있었던 경우에는, 포커스 어시스트의 프레임이 중심에 있도록 확대 범위를 결정한다. 또한, 측거 위치가 촬영 범위의 끝 부근에 있을 경우에는, 반드시 측거 위치가 확대 범위의 중심이 되는 것은 아니다. 측거 위치를 포함하지만, 촬영 범위의 외측으로 비어져 나오지 않는 범위를 확대한다. 즉, 확대 표시했을 때에 화상이 누락된 블랭크 부분이 생기지 않도록 확대 표시한다. 어떻든 간에, 확대 전에 설정되어 있던 측거 위치에 근거하여, 측거 위치(측거 범위의 중심)가 확대 범위에 포함되도록 확대 표시한다.
한편, 확대 모드에 있어서, 도 3의 313에서 설정한 포커스 어시스트 기능이 오프이고, 또한 AF/MF 스위치(135)에 의해 포커스 모드가 MF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측거 위치에 관계없이, 촬영 범위의 중앙을 중심으로 해서 확대한다.
확대 표시에 관한 화면 천이를, 도 13a~도 13e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3a는, 도 3의 313에서 설정한 포커스 어시스트 기능이 온인 경우와, AF/MF 스위치(135)에 의해 포커스 모드가 MF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의 표시부(107)에서의 표시 예다. 라이브 뷰 화상에 중첩하여, 포커스 어시스트 1301이 표시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확대 키(131)가 눌러지면, 도 13b에 나타낸 것과 같이, 측거 위치(포커스 어시스트 1301가 표시되어 있던 위치)가 중심이 되도록 라이브 뷰 화상이 확대 표시된다. 또한, 촬영 범위 전체 중 어느 범위를 확대 표시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확대 범위 가이드 1302가 표시된다.
도 13a의 상태로부터, 도 3a 및 3b의 S310~S31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메뉴 화면을 열어 포커스 어시스트 기능의 설정을 오프로 한 후에, 메뉴 화면을 닫으면, 표시부(107)에는, 도 13c에 나타낸 것과 같은 표시가 이루어진다. 포커스 어시스트 기능을 오프로 설정했기 때문에, 라이브 뷰 화상에는 포커스 어시스트 1301이 표시되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 확대 키(131)가 눌러지면, 도 13d에 나타낸 것과 같이, 측거 위치가 아니라, 촬영 범위의 중앙을 중심으로 해서 라이브 뷰 화상이 확대 표시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때, RAM(119c)에 보유된 측거 위치를, 확대 중심 위치로 갱신한다. 즉, 측거 위치를 촬영 범위의 중앙으로 변경해서 기억한다. 이 도 13d의 상태에서 다시 확대 키(131)가 눌러지면 확대 모드를 해제한다. 또, 도 3a 및 3b의 S310~S31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메뉴 화면을 열어 포커스 어시스트 기능을 온으로 설정하면, 도 13e의 표시가 된다. 이때, 측거 위치가 촬영 범위의 중앙으로 변경되어 있기 때문에, 포커스 어시스트 1301의 위치는, 도 13a와는 달리, 촬영 범위의 중앙이 된다. 이렇게, 본 실시예에서는 포커스 어시스트 기능이 오프로 설정되고 포커스 모드가 MF로 설정된 채로 라이브 뷰 화상의 확대 표시를 행하는 경우에는, 포커스 어시스트 1301에 의해 포커스에 대하여 어시스트해야 할 측거 위치를, 확대 범위에 의거하여 변경한다. 한편, Display 레벨을, 정보의 비표시로 설정함으로써 포커스 어시스트를 표시하지 않는 경우에도, 포커스 어시스트 기능이 온이면, 측거 위치는 확대 표시가 행해질 때의 확대 범위와 연동하지 않는다.
도 14a~14c를 참조하여, Display 레벨의 전환에 의한 화면 천이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4a는, 도 13a에 나타낸 것과 같이, 도 3의 S313에서 설정한 포커스 어시스트 기능이 온인 경우와, AF/MF 스위치(135)에 의해 포커스 모드가 MF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의 표시부(107)에서의 표시 예다. 이 상태로부터 확대 키(131)가 눌러지면, 도 14b과 같이 표시되고, 그 후 확대를 해제하면, 도 14a의 표시로 돌아간다. 이 화면 천이는 도 13a로부터 도 13b로, 도 13b로부터 도 13a로와 같다. 한편, 도 14a의 상태로부터, Display 레벨을 바꿔서, 정보 비표시의 상태로 하면, 도 14c과 같은 표시가 되고, 포커스 어시스트 1301은 표시되지 않는다. 이 상태로부터 확대 표시를 수행했을 경우에는, RAM(119c)에 보유된 측거 위치에 근거하여, 측거 위치를 중심으로 한 범위를 확대하기 때문에, 도 14b와 같은 표시가 된다. 그 후 확대를 해제하면, 도 14c과 같이 표시되고, 그 후에 포커스 어시스트 기능의 설정을 온으로 변경하면, 도 14a의 표시가 된다. 즉, 정보 비표시로 설정함으로써 포커스 어시스트를 표시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 확대 표시를 행해도, 포커스 어시스트 기능이 온이면, 측거 위치는 확대 표시가 행해질 때의 확대 범위와 연동하지 않는다.
도 7a 및 7b는, 상기의 확대 표시 처리의 플로차트를 나타낸다. 이 처리는, 전술한 도 3d의 S338의 처리의 상세이다.
S701에서는, CPU(119a)는, RAM(119c)에 기억되는 이전의 확대 모드로부터의 확대 배율을 판독한다.
S702에서는, CPU(119a)는, 판독한 확대 배율이 2배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2배일 경우에는, 플로우가 S703로 진행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S722로 진행된다.
S703에서는, CPU(119a)는, ROM(119b)에 기억된 설정 정보를 참조하여, 포커스 어시스트 기능이 온으로 설정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포커스 어시스트 기능이 ON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여기에서 포커스 어시스트 기능이 ON이라고 판정된다. 포커스 어시스트의 기능이 ON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플로우가 S704로 진행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S705로 진행된다.
S704에서는, CPU(119a)는, RAM(119c)에 보유된 현재의 측거 위치에 의거하여 확대 범위를 결정하고, 라이브 뷰 화상을, 보통 배율보다도 2배로 확대해서 표시부(107)에 표시한다. 기본적으로는, 측거 위치가 확대 범위의 중심이 되도록 확대 범위를 결정한다. 측거 위치를 확대 범위의 중심으로서 사용하여 확대 범위가 촬영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측거 위치를 포함하지만, 촬영 범위의 외측으로 비어져 나오지 않는 범위를 확대 범위로서 결정한다. 어떻든 간에, 측거 위치에 근거하여, 측거 위치(측거 범위의 중심)가 확대 범위에 포함되도록 확대 표시한다. 이때의 표시 예가, 전술한 도 13b이다. 확대 모드(확대 처리)에 있어서의 확대된 라이브 뷰 화상에서는, 포커스 어시스트 기능이 온으로 설정되어도 포커스 어시스트는 표시되지 않는다. 이렇게 함으로써, 확대해서 포커스를 상세하게 확인하고 싶은 경우에, 포커스 어시스트가 확대된 라이브 뷰 화상의 시인의 방해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S705에서는, CPU(119a)는, AF/MF 스위치(135)에 의해 포커스 모드가 MF로 설정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MF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플로우가 S706로 진행되고,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즉 AF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플로우가 S704로 진행된다.
S706에서는, CPU(119a)는, 촬영 범위의 중앙(보통 배율에서의 라이브 뷰 화상의 중앙)을 중심으로 하는 확대 범위를 결정하고, 라이브 뷰 화상을, 보통 배율보다도 2배로 확대해서 표시부(107)에 표시한다. 이때의 표시 예가, 전술한 도 13d이다.
S707에서는, CPU(119a)는, RAM(119c)에 보유된 측거 위치를 확대 위치에 따라 갱신한다. 즉, 측거 위치를 촬영 범위의 중앙(보통 배율에서의 라이브 뷰 화상의 중앙)으로 한다(측거 위치를, 촬영 범위의 중앙을 중심으로 하는 범위로 설정한다). 이 결과, 이후에 확대 모드를 해제해서 포커스 어시스트를 표시하는 경우에, 포커스 어시스트가 표시되는 위치는, 도 13e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확대 처리가 이루어지기 전의 도 13a과는 다른 위치가 된다.
도 7b의 S708에서는, CPU(119a)는, 십자 키(125)의 조작이 행해졌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확대 범위 이동 지시 접수). 십자 키(125)의 조작이 행해졌을 경우에는, 플로우가 S709로 진행되고,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S712로 진행된다.
S709에서는, CPU(119a)는, 십자 키(125) 중 조작된 키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확대 중심 위치를 이동한다. 즉, 촬영 범위 중, 표시부(107)에 확대 표시되는 범위를, 확대 표시 중에 행해진 십자 키(125)의 조작에 따라 변경한다.
S710에서는, CPU(119a)는, AF/MF 스위치(135)에 의해 포커스 모드가 MF로 설정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MF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플로우가 S711로 진행되고,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즉 AF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S712로 진행된다.
S711에서는, CPU(119a)는, S709에서 이동한 확대 중심 위치에 따라 RAM(119c)에 보유된 측거 위치를 갱신한다. 즉, 측거 위치를, 이동 후의 확대 범위의 중심으로서 설정한다(측거 범위를, 이동 후의 확대 범위의 중앙을 중심으로 한 범위로 변경한다).
S712에서는, CPU(119a)는, 또 다른 이벤트가 발생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또 다른 이벤트로서는 예를 들면 메뉴 키(124)의 누름, 스타트/스톱 키(133)의 누름, 각종 촬영 파라미터의 설정 조작 등이 있다. 또 다른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에는, 플로우가 S713로 진행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S714로 진행된다.
S713에서는, 발생한 다른 이벤트에 따른 처리를 행한다. 예를 들면, 스타트/스톱 키(133)가 눌러졌을 경우에는, 동영상의 기록을 시작한다. 즉, 확대 표시 상태 중이어도 동영상의 기록을 행할 수 있다.
S714에서는, CPU(119a)는, 세트 키(127)가 눌러졌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세트 키(127)가 눌러졌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플로우가 S716로 진행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S715로 진행된다.
S715에서는, CPU(119a)는, 확대 키(131)가 눌러졌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확대 키(131)가 눌러진 경우에는, 플로우가 S717로 진행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S708로 돌아가서 처리를 반복한다.
S717에서는, 현재의 확대 배율을 RAM(119c)에 기억하고, 확대를 해제(보통 배율로 되돌린다)해서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현재의 확대 배율은 RAM(119c)이 아니라, 불휘발성 메모리인 ROM(119b)에 기록되어도 된다. 이렇게 하면 파워 사이클링(power cycling) 후라도 전번에 사용한 확대 배율로부터 확대 모드를 시작할 수 있다.
S716에서는, CPU(119a)는, 현재의 확대 위치를 기준으로 해서, 확대 배율을 2배로부터 4배로 변경해서 라이브 뷰 화상을 표시부(107)에 표시한다.
S722에서는, CPU(119a)는, S701에서 판독한 확대 배율이 4배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확대 배율이 4배일 경우에는, 플로우가 S723로 진행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즉, 확대 배율이 8배인 경우)에는 S743으로 진행된다.
S723~S735은, 확대 배율이 2배가 아니라 4배인 것 이외는 S703~S715와 같은 처리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S736에서는, CPU(119a)는, 현재의 확대 위치를 기준으로 해서, 확대 배율을 4배로부터 8배로 변경해서 라이브 뷰 화상을 표시부(107)에 표시한다.
S743~S755은, 확대 배율이 2배가 아니라 8배인 것 이외는 S703~S715와 같은 처리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S756에서는, CPU(119a)는, 현재의 확대 위치를 기준으로 해서, 확대 배율을 8배로부터 2배로 변경해서 라이브 뷰 화상을 표시부(107)에 표시한다.
<확대 모드에 있어서의 포커스 어시스트 표시 처리(변형 예)>
도 7a, 7b, 및 13a 내지 14c를 참조하여 설명한 확대 모드(확대 처리)에 있어서의 확대된 라이브 뷰 화상에는, 포커스 어시스트는 표시하지 않는 예를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확대 모드에 있어서도 포커스 어시스트를 표시해도 된다. 이하에, 라이브 뷰 화상의 확대 표시에 있어서 포커스 어시스트를 표시하는 경우의 처리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1 변형 예]
도 15a~15d를 참조하여 확대 모드에 있어서의 포커스 어시스트의 표시에 관한 제1 변형 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5a는 보통 배율(보통 화각)에서의 라이브 뷰 표시에 있어서, 포커스 어시스트 기능을 ON으로 해서 포커스 어시스트 1501을 표시했을 경우의 표시부(107)에 있어서의 표시 예다. 포커스 어시스트 1501중에서, 정사각형 프레임 부분은 측거 위치(측거 범위)를 나타내고, 링 상부에 있는 삼각형은 디포커스량과 포커스 이동에 따른 포커스 상태의 변화를 나타낸다. 또한, 링 하부에 있는 화살표 표시는 포커스 링(134)의 조작 방향을 나타낸다.
도 15b는, 확대 모드에 있어서, 확대 배율을 2배로 해서 확대 라이브 뷰 표시를 행하고 있을 때의 표시 예이며, 전술한 도 7a에서의 S704에 있어서의 표시의 변형 예다. 보통 배율에 비해서 피사체(라이브 뷰 화상)는 2배의 사이즈가 되고, 포커스 어시스트 1501도 2배의 사이즈로 표시된다. 포커스 어시스트 1501의 표시 사이즈가 2배가 되어도, 라이브 뷰 화상도 2배의 사이즈가 되기 때문에, 포커스 어시스트 1501의 직사각형 부분이 나타내는 측거 위치의 촬상소자(102)에 차지하는 영역은, 보통 배율일 때와 같다.
도 15c는 확대 모드에 있어서 확대 배율을 4배로 해서 확대 라이브 뷰 표시를 행하고 있을 때의 표시 예이며, 전술한 도 7a에서의 S724에 있어서의 표시의 변형 예다. 피사체(라이브 뷰 화상)는 4배의 사이즈가 되고, 포커스 어시스트 1501은 비표시가 된다.
도 15d는 확대 모드에 있어서 확대 배율을 8배로 해서 확대 라이브 뷰 표시를 행하고 있을 때의 표시 예이며, 전술한 도 7a에서의 S744에 있어서의 표시의 변형 예다. 피사체(라이브 뷰 화상)가 8배이며, 포커스 어시스트 1501은 비표시가 된다.
이와 같이, 제1 변형 예에서는, 확대 배율이 2배 이하인 경우에는 포커스 어시스트를 표시하고, 확대 배율이 2배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포커스 어시스트를 비표시로 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라이브 뷰 화상을 확대했을 경우, 라이브 뷰 화상 위의 포커스 어시스트의 사이즈도 커진다. 그 때문에, 포커스 어시스트의 표시를 측거 범위에 대응시키면, 포커스 어시스트의 표시 사이즈도 라이브 뷰 화상의 확대 배율에 따라 확대해야만 한다. 그러나, 이렇게 하면, 포커스 어시스트의 삼각형과 링 부분이 표시부(107)의 표시 영역 밖에 있다. 또, 확대하면 포커스 어시스트의 직사각형 프레임도 표시 영역 밖이 되어 버린다. 그렇게 하면 포커스 어시스트를 적절히 표시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삼각형과 링의 사이즈가 변화하여, 유저의 메뉴얼 포커스의 조작 시에 위화감을 발생시킬 가능성도 있다. 제1 변형 예에서는, 확대 배율이 2배를 초과하는 경우에 포커스 어시스트를 비표시로 함으로써 이러한 상황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2배를 임계값으로 해서 포커스 어시스트의 표시/비표시를 전환하는 것으로 했지만, 이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배율을, 2배, 4배, 8배보다 더 미세한 설정으로 설정할 수 있는 경우에는, 이하에 설명하는 계산식을 사용해서 표시/비표시를 전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포커스 어시스트의 프레임 부분의 직사각형 영역의 좌상(upper-left) 좌표의 수평 어드레스를 x1로 하고, 수직 어드레스를 y1로 하며, 수평 사이즈를 Width1로 하고, 수직 사이즈를 Height1로 하며, 확대 배율을 N로 하여, 확대 후의 좌상 좌표(x2, y2) 및 사이즈(Width2, Height2)를 아래와 같이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x2 = x1 - (Width1 × N - Width1)/ N
y2 = y1 - (Height1 × N - Height1)/ N
Width2 = Width1 × N
Height2 = Height1 × N
여기서, x2 및 y2 중의 하나, 혹은 x2 + Width2 및 y2 + Height2 중의 하나가 표시 영역 밖이 되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표시가 표시 영역 밖이 되는 경우에 비표시로 함으로써 임의의 배율이 설정된 경우라도 대응이 가능하게 된다.
[제2 변형 예]
도 16a~16d를 참조하여, 확대 모드에 있어서의 포커스 어시스트의 표시에 관한 제2 변형 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6a는 보통 배율(보통 화각)에서의 라이브 뷰 표시에 있어서, 포커스 어시스트 기능을 온으로 해서 포커스 어시스트 1601을 표시했을 경우의 표시부(107)에 있어서의 표시 예다.
도 16b는, 확대 모드에 있어서, 확대 배율을 2배로 해서 확대 라이브 뷰 표시를 행하고 있을 때의 표시 예이며, 전술한 도 7a에서의 S704에 있어서의 표시의 변형 예다. 보통 배율에 비해서 피사체(라이브 뷰 화상)는 2배의 사이즈가 되고, 포커스 어시스트 1601의 직사각형 프레임 부분 1601a(측거 범위를 나타낸다)도 2배 사이즈로 표시된다. 디포커스량과 포커스 이동에 의한 포커스 상태의 변화를 나타내는 링, 포커스 링(134)의 조작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 및 삼각형 부분 160lb은, 보통 배율에서와 같은 사이즈로 표시되고, 배경의 라이브 뷰 화상이 시인할 수 있도록 반투과 색으로 표시된다.
도 16c는 확대 모드에 있어서, 확대 배율을 4배로 해서 확대 라이브 뷰 표시를 행하고 있을 때의 표시 예이며, 전술한 도 7a에서의 S724에 있어서의 표시의 변형 예다. 피사체(라이브 뷰 화상)는 4배의 사이즈가 되고, 포커스 어시스트 160l의 직사각형 프레임 부분 1601a만 4배의 사이즈로 표시된다. 링, 화살표, 및 삼각형 부분 160lb은, 보통 배율에서와 같은 사이즈로 표시되고, 배경의 라이브 뷰 화상이 시인할 수 있도록 반투과 색으로 표시된다.
도 16d는 확대 모드에 있어서, 확대 배율을 8배로 해서 확대 라이브 뷰 표시를 행하고 있을 때의 표시 예이며, 전술한 도 7a에서의 S744에 있어서의 표시의 변형 예다. 피사체(라이브 뷰 화상)는 8배의 사이즈가 되고, 포커스 어시스트 1601의 직사각형 프레임 부분 1601a만 비표시가 된다. 링, 화살표, 및 삼각형 부분 160lb는, 보통 배율에서와 같은 사이즈로 표시되고, 배경의 라이브 뷰 화상이 시인할 수 있도록 반투과 색으로 표시된다.
제2 변형 예에 의하면, 라이브 뷰 화상에 있어서의 측거 범위의 사이즈가 표시부(107)의 표시 영역을 넘지 않는 한은, 직사각형 프레임 부분 1601a를 확대 배율에 따라 확대해서 표시하기 때문에, 측거 범위를 정확하게 유저에게 인식시킬 수 있다. 한편, 그 밖의 부분 160lb은 라이브 뷰 화상을 확대해도 같은 표시 사이즈로 표시되고, 또 반투과 색으로 표시된다. 그 때문에, 라이브 뷰 표시의 시인을 방해하지 않고, 인 포커스 정도, 전 포커스인지 후 포커스인지 여부, 포커스 링(134)을 회전시켜야 하는 방향 등을, 유저에게 인식시킬 수 있어, 유저의 메뉴얼 포커스 조작을 어시스트할 수 있다. 확대 표시는, 포커스를 엄밀히 조정하고 싶을 경우에 이용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제2 변형 예와 같이, 확대 표시 시에도 메뉴얼 포커스 조작의 어시스트가 이루어지는 것은, 유저에 있어서 유용한다.
[제3 변형 예]
도 17a~17d을 참조하여, 확대 모드에 있어서의 포커스 어시스트의 표시에 관한 제3 변형 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7a는 보통 배율(통상 화각)에서의 라이브 뷰 표시에 있어서, 포커스 어시스트 기능을 ON으로 해서 포커스 어시스트 1701을 표시했을 경우의 표시부(107)에 있어서의 표시 예다.
도 17b는, 확대 모드에 있어서, 확대 배율을 2배로 해서 확대 라이브 뷰 표시를 행하고 있을 때의 표시 예이며, 전술한 도 7a에서의 S704에 있어서의 표시의 변형 예다. 보통 배율에 비해서 피사체(라이브 뷰 화상)는 2배의 사이즈가 되고, 포커스 어시스트 1701의 직사각형 프레임 부분 1701a(측거 범위를 나타낸다)는 2배 사이즈로 표시된다. 직사각형 프레임 부분 1701a 이외의 부분, 즉, 링, 화살표, 및 삼각형의 부분 170lb은, 보통 배율에서와 같은 사이즈로 표시되고, 또 표시 위치를 측거 위치와 관계없는 표시부(107)의 표시 영역의 좌하(lower left) 코너로 변경하고 있다. 이렇게 측거 범위를 나타내는 직사각형 프레임 부분 1701a 이외의 부분 170lb의 표시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라이브 뷰 표시의 중심부분(특히 측거 범위의 중심부분)의 시인의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도 17c는 확대 모드에 있어서, 확대 배율을 4배로 해서 확대 라이브 뷰 표시를 행하고 있을 때의 표시 예이며, 전술한 도 7a에서의 S724에 있어서의 표시의 변형 예다. 피사체(라이브 뷰 화상)는 4배의 사이즈가 되고, 포커스 어시스트 170l의 직사각형 프레임 부분 1701a도 4배 사이즈로 표시된다. 링, 화살표, 및 삼각형의 부분 170lb은, 보통 배율에서와 같은 사이즈로 표시되고, 또 표시 위치를 측거 위치와 관계없는 표시부(107)의 표시 영역의 좌하 코너로 변경하고 있다
도 17d는 확대 모드에 있어서, 확대 배율을 8배로 해서 확대 라이브 뷰 표시를 행하고 있을 때의 표시 예이며, 전술한 도 7a에서의 S744에 있어서의 표시의 변형 예다. 피사체(라이브 뷰 화상)는 8배의 사이즈가 되고, 포커스 어시스트 1701의 직사각형 프레임 부분 1701a만 비표시가 된다. 링, 화살표, 및 삼각형의 부분 170lb은, 보통 배율에서와 같은 사이즈로 표시되고, 표시 위치를 측거 위치와 관계없는 표시부(107)의 표시 영역의 좌하 코너로 변경하고 있다.
제3 변형 예에 의하면, 라이브 뷰 화상에 있어서의 측거 범위의 사이즈가 표시부(107)의 표시 영역을 넘지 않는 한은, 직사각형 프레임 부분 1701a를 확대 배율에 따라 확대해서 표시하기 때문에, 측거 범위를 정확하게 유저에게 인식시킬 수 있다. 한편, 그 밖의 부분 170lb은 라이브 뷰 화상을 확대해도 같은 표시 사이즈로 표시되고, 또 그것의 표시 위치를 측거 범위를 겹쳐 놓지 않는 위치로 이동시켜 표시한다. 그 때문에, 라이브 뷰 표시의 시인을 방해하지 않고, 인 포커스 정도, 전 포커스인지 후 포커스인지 여부, 포커스 링(134)을 회전시켜야 하는 방향 등을, 유저에게 인식시킬 수 있어, 유저의 메뉴얼 포커스 조작을 어시스트할 수 있다. 제2 변형 예와 비교하여, 위치를 이동하고 있기 때문에 반투과 색으로 부분 1701b를 표시할 필요가 없어, 부분 170lb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확대 표시는, 포커스를 엄밀히 조정하고 싶은 경우에 이용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제3 변형 예와 같이, 확대 표시 시에도 메뉴얼 포커스 조작의 어시스트가 이루어지는 것은, 유저에 있어서 유용하다.
또한, 제1 내지 제3 변형 예에서 설명한 포커스 어시스트의 표시 형태는 이것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도 8a ~ 10c에서 설명한 표시 형태 중의 어느 것이든 사용해도 된다. 제1 내지 제3 변형 예 외에, 전술의 포커스 어시스트 기능이 온으로 설정되었는지 오프로 설정되었는지 여부에 의거하여 확대할 수 있는 배율에 대해서 제한을 설정해도 된다. 예를 들면, 포커스 어시스트 기능이 오프인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2배, 4배, 및 8배를 이용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한편, 포커스 어시스트 기능이 오프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4배 및 8배로 설정할 수 없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세트 키(127)의 누름과 같은 배율 변경의 조작이 행해져도, 4배 혹은 8배로 리사이즈하는 것은 행해지지 않는다).
<그 밖의 실시예>
CPU(119a)가 수행하는 것으로서 상기 설명한 각종 제어는 1개의 하드웨어가 행해도 되고, 또는 복수의 하드웨어가 처리를 분담함으로써 장치 전체의 제어를 행해도 된다.
본 발명을 그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해 왔지만, 본 발명은 이들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의 다양한 형태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또, 전술한 각 실시예는 본 실시예를 수행하는 것을 나타내는 것에 지나지 않고, 각 실시예를 적절히 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본 발명을 디지털 카메라(10)에 적용했을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이것은 이 예에 한정되지 않고, 측거 위치에 관해서 포커스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어떤 표시 제어장치에든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촬상소자를 본체에 갖는 디지털 카메라에 한정하지 않고, 촬상 센서 자체를 본체에 가지고 있지 않지만, 외부의 촬상장치에서 촬상한 라이브 뷰 화상을 리모트로 수신하고, 측거 위치에 관해서 포커스의 상태를 표시하는 것이 가능한 장치에도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은 촬상장치와 무선 또는 유선으로 접속된 스마트 폰 혹은 태블릿 PC 등을 이용해서 리모트 촬영 시의 표시 제어에 적용 가능하다. 이렇게, 본 발명은 퍼스널 컴퓨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휴대 전화 단말 및 휴대형의 화상 뷰어, 음악 플레이어, 게임기, 전자 북 리더 등에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의 1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을, 네트워크 또는 기억매체를 통해서 시스템 또는 장치에 공급하고, 그 시스템 또는 장치의 1개 이상의 프로세서가 프로그램을 판독해 실행하는 처리라도 실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1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회로(예를 들면,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에 의해서도 실현가능하다.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피사체의 시인의 방해를 저감한 인 포커스 정도의 가이드 표시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AF의 동작 상태에 따라, 더 적합하게 인 포커스 정도의 가이드 표시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크롭 모드가 아닌 동작 모드로부터 크롭 모드로 전환했을 경우에, 크롭 모드에 있어서 적합한 위치에 관해서 포커스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라이브 뷰 화상을 확대 표시했을 경우에도, 포커스에 관한 정보를 적합하게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포커스에 관한 정보를 표시 가능한 기기에 있어서 라이브 뷰 화상을 확대 표시할 때에, 상황에 따라 유저에게 더 적합한 확대 범위를 확대 표시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들)는, 상술한 실시 예(들) 중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행하도록 기억매체(예를 들면, '비일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매체') 상에 기록된 컴퓨터 실행 가능한 명령들(예를 들면, 1개 이상의 프로그램)을 판독 및 실행하고, 상술한 실시 예(들) 중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1개 이상의 회로(예를 들면,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를 포함하는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서 실현될 수 있고, 또 예를 들면, 상술한 실시예(들) 중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행하도록 기억매체로부터 컴퓨터 실행 가능한 명령들을 판독 및 실행함으로써 및/또는 상술한 실시 예(들) 중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1개 이상의 회로를 제어함으로써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행해진 방법에 의해서도 실현될 수 있다. 이 컴퓨터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MPU(Micro Processing Unit), 또는 다른 회로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구비할 수도 있고, 독립된 컴퓨터 또는 독립된 컴퓨터 프로세서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들은 예를 들면, 네트워크 또는 기억매체로부터 컴퓨터에 제공될 수도 있다. 이 기억매체는 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 RAM(random-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분산 컴퓨팅 시스템의 스토리지, 광디스크(컴팩트 디스크(CD), DVD(digital versatile disc), Blue-ray Disc(BD)TM 등),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 메모리 카드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예시적인 실시 예를 참조하면서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범주는 모든 변형 및 균등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가장 넓게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5)

  1. 초점 검출 위치에 관한 포커스의 정보를 나타내는 표시 항목을 촬상유닛으로 촬상된 라이브 뷰 화상에 중첩해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유닛과,
    상기 표시 항목을 표시할 것인지 아닌지를 설정하는 표시 설정유닛과,
    상기 라이브 뷰 화상을 보통 배율보다도 더 확대해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확대유닛과,
    상기 표시 설정유닛이 상기 표시 항목을 표시하도록 설정되었는지 아닌지에 근거하여, 상기 라이브 뷰 화상이 상기 초점 검출 위치에 대응하는 확대 범위에 근거하여 표시되거나 또는 상기 초점 검출 위치에 대응하지 않는 확대 범위에 근거하여 표시되는 방식으로 상기 확대유닛이 상기 라이브 뷰 화상의 표시를 다르게 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표시 설정유닛이 상기 표시 항목을 표시하도록 설정되어 있을 때 상기 확대유닛에 의한 확대를 행하는 경우에는, 확대 전의 상기 초점 검출 위치에 대응하는 확대 범위를 확대해서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표시 설정유닛이 상기 표시 항목을 표시하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고 특정의 동작 모드일 때 상기 확대유닛에 의한 확대를 행하는 경우에는, 확대 전의 상기 초점 검출 위치에 대응하지 않는 확대 범위를 확대해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표시 설정유닛이 상기 표시 항목을 표시하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고 상기 특정의 동작 모드일 때 상기 확대유닛에 의한 확대를 행하는 경우에는, 확대 전의 상기 초점 검출 위치에 대응하지 않는 확대 범위를 확대해서 표시하고, 상기 확대 범위에 근거하여 상기 초점 검출 위치를 갱신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표시 설정유닛이 상기 표시 항목을 표시하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고 상기 특정의 동작 모드일 때 상기 확대유닛에 의한 확대를 행한 후에,
    확대를 해제하고, 또 상기 표시 설정유닛이 상기 표시 항목을 표시하도록 설정을 변경했을 경우에는,
    확대 전의 초점 검출 위치가 아니라, 확대를 행했을 때의 확대 범위에 근거하여 상기 초점 검출 위치에 관한 표시 항목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표시 설정유닛이 상기 표시 항목을 표시하도록 설정되어 있을 때 상기 확대유닛에 의한 확대를 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초점 검출 위치를 확대 전의 상태로부터 갱신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초점 검출 위치를 기억하도록 구성된 기억유닛을 더 구비하는, 표시 제어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보통 배율로 상기 라이브 뷰 화상과 상기 표시 항목을 표시하고 있을 때, 유저의 조작에 따라 상기 초점 검출 위치와 상기 표시 항목을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제1 이동유닛을 더 구비하는, 표시 제어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보통 배율로 상기 라이브 뷰 화상과 함께, 촬상 화상으로부터 검출된 특정의 피사체의 위치에 상기 표시 항목을 표시하고 있을 때에, 특정의 피사체 위치 이동에 따라 상기 초점 검출 위치와 상기 표시 항목을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제2 이동유닛을 더 구비하는, 표시 제어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항목과, 정보를 나타내는 다른 표시 요소를 포함하는, 복수의 정보 표시 요소 중의 어느 것을 표시할지가 각각 다른 복수의 정보 표시 레벨 중의 하나로 전환하도록 구성된 전환유닛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표시 설정유닛이 상기 표시 항목을 표시하도록 설정되어 있고, 상기 전환유닛이 상기 표시 항목을 표시하지 않는 정보 표시 레벨로 전환될 때 상기 확대유닛에 의한 확대를 행하는 경우에는,
    확대 전의 상기 초점 검출 위치에 대응하는 확대 범위를 확대해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확대유닛에 의한 확대 표시 중에, 확대 범위를 유저의 조작에 따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확대 범위 이동유닛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특정의 동작 모드와 다른 제2 동작 모드일 경우에는 상기 확대 범위 이동유닛에 의한 이동이 행해져도 상기 초점 검출 위치를 갱신하지 않고,
    상기 특정의 동작 모드일 경우에는 상기 확대 범위 이동유닛에 의한 이동이 이루어지면 상기 초점 검출 위치를 갱신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AF를 행하는 동작 모드와 MF를 행하는 동작 모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동작 모드 중의 하나를 설정하는 모드 설정유닛을 더 구비하고,
    상기 특정의 동작 모드는 상기 MF를 행하는 동작 모드인, 표시 제어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의 동작 모드는 MF를 행하는 동작 모드이며, 상기 제2 동작 모드는 AF를 행하는 모드인, 표시 제어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설정유닛이 상기 표시 항목을 표시하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고 상기 특정의 동작 모드일 때 상기 확대유닛에 의한 확대를 행하는 경우에 표시되는, 상기 초점 검출 위치에 대응하지 않는 확대 범위는, 보통 배율로 표시되는 라이브 뷰 화상에 있어서의 중앙의 범위인, 표시 제어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항목은, 상기 초점 검출 위치와, 상기 초점 검출 위치에서의 피사체의 인 포커스의 정도를 나타내는 표시 항목인, 표시 제어장치.
  14. 초점 검출 위치에 관한 포커스의 정보를 나타내는 표시 항목을, 촬상유닛으로 촬상된 라이브 뷰 화상에 중첩해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 단계와,
    상기 표시 항목을 표시할 것인지 아닌지를 설정하는 표시 설정 단계와,
    라이브 뷰 화상을 보통 배율보다도 더 확대해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확대 단계와,
    상기 표시 설정 단계에서 상기 표시 항목을 표시하도록 설정되었는지 아닌지에 근거하여, 상기 라이브 뷰 화상이 상기 초점 검출 위치에 대응하는 확대 범위에 근거하여 표시되거나 또는 상기 초점 검출 위치에 대응하지 않는 확대 범위에 근거하여 표시되는 방식으로 상기 확대 단계에서 상기 라이브 뷰 화상의 표시를 다르게 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단계에서는, 상기 표시 설정 단계에서 상기 표시 항목을 표시하도록 설정되어 있을 때 상기 확대 단계에서 확대를 행하는 경우에는, 확대 전의 초점 검출 위치에 대응하는 확대 범위를 확대해서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어 단계에서는, 상기 표시 설정 단계에서 상기 표시 항목을 표시하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고 특정의 동작 모드일 때 상기 확대 단계에서 확대를 행하는 경우에는, 확대 전의 초점 검출 위치에 대응하지 않는 확대 범위를 확대해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장치의 제어방법.
  15. 컴퓨터를, 청구항 1에 기재된 표시 제어장치의 각 유닛으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비일시 기억매체.
KR1020180097236A 2015-04-03 2018-08-21 표시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9835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077209 2015-04-03
JP2015077209A JP6525688B2 (ja) 2015-04-03 2015-04-03 表示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JP-P-2015-077206 2015-04-03
JP2015077207A JP6566695B2 (ja) 2015-04-03 2015-04-03 表示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JP-P-2015-077207 2015-04-03
JPJP-P-2015-077208 2015-04-03
JP2015077206A JP6537325B2 (ja) 2015-04-03 2015-04-03 表示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JP-P-2015-077210 2015-04-03
JP2015077208A JP6529312B2 (ja) 2015-04-03 2015-04-03 表示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15077210A JP6604736B2 (ja) 2015-04-03 2015-04-03 表示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9956A Division KR101955987B1 (ko) 2015-04-03 2016-04-01 표시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8491A KR20180098491A (ko) 2018-09-04
KR101983543B1 true KR101983543B1 (ko) 2019-05-29

Family

ID=5693754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9956A KR101955987B1 (ko) 2015-04-03 2016-04-01 표시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0180097236A KR101983543B1 (ko) 2015-04-03 2018-08-21 표시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9956A KR101955987B1 (ko) 2015-04-03 2016-04-01 표시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10491828B2 (ko)
KR (2) KR101955987B1 (ko)
CN (3) CN110012228B (ko)
DE (1) DE102016105879B4 (ko)
GB (3) GB257271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15735B2 (en) * 2015-06-10 2020-07-14 Sony Interactive Entertainment Inc. Head-mounted display, display control method, and program
WO2016203282A1 (en) * 2015-06-18 2016-12-22 The Nielsen Company (Us), Llc Methods and apparatus to capture photographs using mobile devices
JP6562773B2 (ja) * 2015-08-26 2019-08-21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JP6611614B2 (ja) * 2016-01-06 2019-11-27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ならびに記憶媒体
JP6774233B2 (ja) * 2016-06-21 2020-10-21 キヤノン株式会社 焦点検出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752681B2 (ja) * 2016-10-19 2020-09-09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JP6833498B2 (ja) * 2016-12-21 2021-02-24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撮像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のプログラム
JP6806572B2 (ja) * 2017-01-16 2021-01-06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制御装置、撮像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US11039067B2 (en) 2017-03-15 2021-06-15 Sony Corporation Image pickup apparatus, vide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nd video signal processing method
JP6625093B2 (ja) * 2017-05-24 2019-12-25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および撮像装置
WO2019113746A1 (zh) * 2017-12-11 2019-06-20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手动对焦的提示方法、控制装置、拍摄设备及控制器
JP7062455B2 (ja) * 2018-02-07 2022-05-06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
JP7027205B2 (ja) * 2018-03-19 2022-03-01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制御装置、撮像制御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7027207B2 (ja) * 2018-03-19 2022-03-01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7049163B2 (ja) * 2018-04-09 2022-04-06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およ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JP7079161B2 (ja) * 2018-06-29 2022-06-01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6641572B1 (ja) * 2018-08-24 2020-02-05 エスゼット ディージェイアイ テクノロジー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Sz Dji Technology Co.,Ltd 決定装置、制御装置、撮像装置、決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121612B2 (ja) * 2018-09-14 2022-08-18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制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JP2020118764A (ja) * 2019-01-21 2020-08-06 オリンパス株式会社 フォーカス制御装置およびフォーカス制御方法
WO2020189058A1 (ja) 2019-03-20 2020-09-24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
US11245851B2 (en) * 2019-07-31 2022-02-08 Canon Kabushiki Kaisha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10719403A (zh) * 2019-09-27 2020-01-21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图像处理方法、装置及存储介质
JP7423325B2 (ja) * 2020-01-29 2024-01-29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22156874A (ja) * 2021-03-31 2022-10-14 キヤノン株式会社 フォーカス制御装置、フォーカス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09134A (ja) * 2001-01-11 2002-07-26 Minolta Co Ltd デジタルカメラ
US20120314116A1 (en) 2006-11-20 2012-12-13 Red.Com, Inc. Focus assist system and method
JP2013201527A (ja) * 2012-03-23 2013-10-03 Canon Inc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08961A (ja) 2000-01-26 2001-08-03 Nikon Corp カメラ
JP2001309210A (ja) 2000-04-27 2001-11-02 Minolta Co Ltd デジタルカメラ
JP2002365710A (ja) 2001-06-04 2002-12-18 Fuji Photo Optical Co Ltd ピント表示装置
JP2003140247A (ja) 2001-11-06 2003-05-14 Kyocera Corp フォーカスモード切換方式
KR100945617B1 (ko) * 2002-05-30 2010-03-04 소니 주식회사 촬영 장치, 신호 처리 방법 및 기록 매체
JP4325384B2 (ja) 2003-12-09 2009-09-02 株式会社ニコン デジタルカメラ
JP4344299B2 (ja) 2004-09-16 2009-10-14 富士通マイクロ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オートフォーカス合焦時間報知方法
JP4367955B2 (ja) 2005-04-21 2009-11-18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7248507A (ja) 2006-03-13 2007-09-27 Fujinon Corp ピント情報表示システム
JP2007279334A (ja) 2006-04-06 2007-10-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撮像装置
JP4724890B2 (ja) * 2006-04-24 2011-07-1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画像再生装置、画像再生方法、画像再生プログラム及び撮像装置
JP2008009340A (ja) 2006-06-30 2008-01-17 Sony Corp オートフォーカス装置、撮像装置及びオートフォーカス方法
JP4717766B2 (ja) * 2006-09-14 2011-07-0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撮像装置、画像表示方法、記憶媒体、及び、プログラム
JP4712661B2 (ja) 2006-09-22 2011-06-29 オリンパス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撮像装置
JP2008276115A (ja) * 2007-05-07 2008-11-13 Olympus Imaging Corp デジタルカメラ及びフォーカス制御プログラム
JP5046788B2 (ja) 2007-08-10 2012-10-10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9048125A (ja) * 2007-08-22 2009-03-05 Olympus Imaging Corp 撮影装置および撮影装置の制御方法
JP2009055160A (ja) 2007-08-24 2009-03-12 Sony Corp 撮像装置、および撮像方法
JP2009118083A (ja) 2007-11-05 2009-05-28 Olympus Imaging Corp デジタルカメラ
JP5043626B2 (ja) 2007-12-13 2012-10-10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JP5464816B2 (ja) 2008-03-27 2014-04-09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5582743B2 (ja) 2009-08-07 2014-09-03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撮像装置の制御方法
JP2011248181A (ja) * 2010-05-28 2011-12-08 Hitachi Ltd 撮像装置
KR101817650B1 (ko) * 2010-09-08 2018-01-11 삼성전자주식회사 초점 조절 장치
JP5748436B2 (ja) 2010-09-10 2015-07-15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6097280B2 (ja) 2011-05-06 2017-03-15 レッド.コム,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焦点合わせ支援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6286668B2 (ja) 2013-05-22 2018-03-0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撮像画像の表示方法
JP6102558B2 (ja) * 2013-06-20 2017-03-29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情報表示方法、ならびに情報処理装置
US9066005B2 (en) * 2013-10-15 2015-06-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Photographing device for displaying a manual focus guide and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09134A (ja) * 2001-01-11 2002-07-26 Minolta Co Ltd デジタルカメラ
US20120314116A1 (en) 2006-11-20 2012-12-13 Red.Com, Inc. Focus assist system and method
JP2013201527A (ja) * 2012-03-23 2013-10-03 Canon Inc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124268A1 (en) 2019-04-25
CN111756994B (zh) 2022-03-22
DE102016105879A1 (de) 2016-10-06
GB201909526D0 (en) 2019-08-14
KR101955987B1 (ko) 2019-03-08
GB201816881D0 (en) 2018-11-28
KR20180098491A (ko) 2018-09-04
CN106060377A (zh) 2016-10-26
CN106060377B (zh) 2020-06-30
CN111756994A (zh) 2020-10-09
US10491828B2 (en) 2019-11-26
KR20160118969A (ko) 2016-10-12
GB2572718B (en) 2019-12-04
US10812725B2 (en) 2020-10-20
GB2539308B (en) 2019-05-22
CN110012228B (zh) 2021-01-29
GB2569429B (en) 2019-12-04
CN110012228A (zh) 2019-07-12
DE102016105879B4 (de) 2021-11-11
US20160295120A1 (en) 2016-10-06
GB2572718A (en) 2019-10-09
GB2569429A (en) 2019-06-19
GB2539308A (en) 2016-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3543B1 (ko) 표시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6819768B2 (ja) 表示装置および撮像装置
JP6537325B2 (ja) 表示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6659148B2 (ja) 表示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CN107968913B (zh) 显示控制设备、显示控制设备的控制方法和存储介质
JP7049163B2 (ja) 電子機器およ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JP6703164B2 (ja) 表示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6525688B2 (ja) 表示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6566695B2 (ja) 表示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6971824B2 (ja) 表示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6529312B2 (ja) 表示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6604736B2 (ja) 表示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6882417B2 (ja) 表示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