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5617B1 - 촬영 장치, 신호 처리 방법 및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촬영 장치, 신호 처리 방법 및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5617B1
KR100945617B1 KR1020047019494A KR20047019494A KR100945617B1 KR 100945617 B1 KR100945617 B1 KR 100945617B1 KR 1020047019494 A KR1020047019494 A KR 1020047019494A KR 20047019494 A KR20047019494 A KR 20047019494A KR 100945617 B1 KR100945617 B1 KR 1009456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image
correction
control amount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94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04901A (ko
Inventor
진요 구마끼
사또시 다께모또
히데노리 구시다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2157027A external-priority patent/JP401672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2159340A external-priority patent/JP4016725B2/ja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500049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49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5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56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 H04N23/672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based on the phase differenc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Adjustment Of Camera Lenses (AREA)
  • Automatic Focus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조광 투사시의 피사체에 대응하는 자동 포커싱 기능의 정밀도가 향상될 수 있도록 한 촬영 장치, 신호 처리 방법, 기록 매체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마이크로 컴퓨터(13)는 보조광 제어부(15)를 감시하고, 보조광 투광 플래그가 ON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보조광 투광 플래그가 ON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마이크로 컴퓨터(13)는, 상 떨림 보정의 제어량 연산 처리를 실행하고, 상 떨림 보정의 제어량을 구하고, 또한 구해진 상 떨림 보정의 제어량을 검파부(121)에 출력한다. 검파부(121)는, 자동 포커싱하기 위한 검파 프레임의 위치를 구하는 줌 배율의 정보에 기초하여, 검파 프레임의 크기 또는 개수를 변경하고, 검파 프레임의 위치, 크기 또는 개수를 제어한다. 본 발명은 카메라 일체형 비디오 레코더에 적용할 수 있다.
Figure R1020047019494
상 떨림 보정, 보조광 제어부, 보조광 투광 플래그

Description

촬영 장치, 신호 처리 방법 및 기록 매체{IMAGING DEVICE, SIGNAL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촬영 장치, 신호 처리 방법, 기록 매체,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항상 자동 포커싱(focusing)의 정밀도를 향상할 수 있도록 한 촬영 장치, 신호 처리 방법, 기록 매체,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카메라 일체형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이하, '비디오 카메라'라 칭한다)나 디지털 스틸카메라 등의 촬영 장치에서는, 화상의 떨림을 보정하는 기능으로서, 시프트 렌즈를 상 떨림량에 따라 이동시키는「시프트 방진 렌즈 방식」또는 배리 앵글 프리즘을 상 떨림량에 따라 기울이는「VAP(배리 앵글 프리즘(Vary Angle Prism)) 방식」으로 대표되는 기계적 기구에 의한 광학계의 보정을 하는 것이 있다.
이러한 상 떨림 보정 기능에 있어서는, 각속도 센서 등에 의해 촬영 장치의 상 떨림의 신호가 검출되어, 그 신호에 적분 등의 연산이 실행됨으로써 상 떨림 보정의 목표값이 산출되어, 이 목표값에 기초하여, 화상의 떨림을 보정하도록, 광학계의 보정이 제어된다.
한편, 촬영 장치에서는, 피사체에의 초점을 자동적으로 맞추는 자동 포커싱 기능이 이용된다. 이 자동 포커싱 기능에 있어서는, 피사체로부터의 광에 기초하여 화상의 콘트라스트가 검출되어, 그 콘트라스트가 최대가 되도록 광학계의 렌즈가 보정된다. 따라서, 이러한 자동 포커싱 기능에서는, 피사체 자체의 콘트라스트가 낮은 경우 또는 저조도하에서는, 포커싱 제어가 곤란하게 된다. 그래서, 촬영 장치에 장착된 라이트 등으로 구성되는 보조광 투사 장치에 의해 투광 패턴이 피사체에 향해서 투사되어, 피사체에 투사된 투광 패턴의 콘트라스트가 최대가 되도록 자동 포커싱 기능의 제어가 행해진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상 떨림 보정 기능과, 보조광 투사 시의 자동 포커싱 기능이 동시에 이용된 경우, 상 떨림 보정 기능은 피사체에 대하여 상 떨림이 발생하지 않도록 제어하기 때문에, 촬영 장치에 장착된 보조광 투사 장치가 투사하는 투광 패턴에 촬영 장치의 광학계에 대한 상 떨림이 발생한다. 이 상 떨림에 의해, 보조광의 투광 패턴이, 자동 포커싱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콘트라스트 검출 범위인 검파 프레임 내에 들어왔다 나갔다 하게 되거나 혹은 검파 프레임 내에는 존재하지 않는 상황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또한, 줌 기능을 갖춘 촬영 장치에서는, 줌 저 배율인 경우, 보조광의 투광 패턴이 검파 프레임 내에 들어가 있었다고 해도, 줌 고 배율로 한 경우, 패턴과 패턴의 간격이 넓어지게 되어, 보조광의 투광 패턴이 검파 프레임 내에 완전히 들어 가지 않게 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경우를 방지하기 위해서, 제조 과정에서, 줌 최고 배율로 하여 보조광의 투광 패턴이 검파 프레임에 들어 가도록 보조광 조사 위치를 조정하는 공정이 설치되어 있지만, 상 떨림 보정 기능에 의해 화상의 떨림이 보정된 경우, 그 보정 에 의해 보조광의 투광 패턴도 동시에 흔들리기 때문에, 검파 프레임 내에 완전히 들어 가지 않게될 우려가 있다.
그것에 대하여, 투광 패턴의 패턴 밀도를 높히는, 투광 패턴의 밀도를 줌 배율에 따라 가변으로 하거나, 투광 패턴을 상 떨림 보정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등의 대응책이 생각되지만, 이 보조광 투사 장치에서, 강도 및 패턴 밀도 관리가 필요한 높은 에너지 밀도를 갖는 레이저광과 같은 광원이 이용되는 경우, 투광 패턴의 패턴 밀도를 올리거나, 패턴 밀도를 줌 위치에 따라 가변으로 하는 것은 안전상 곤란하며, 또한 투광 패턴을 상 떨림 보정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은, 촬영 장치의 구조상의 제약이 있거나, 별도 장치의 필요성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들을 해결하는 방법으로서, 보조광의 투사중에는 상 떨림 보정 기능을 정지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 방법에서는, 보조광의 투사중에는 상 떨림 보정이 완전히 행해지지 않고, 또한 촬영 장치에서, 상 떨림 보정 기능의 정지에 수반하는 소음 또는 진동이 발생한다. 또한, 상의 노광 시에 상 떨림 보정 효과를 얻기 위해서, 보조광의 투사 종료 후, 다시 상 떨림 보정 기능을 기동해도, 보정 효과가 발휘될 때까지 지연이 발생한다. 반대로, 지연이 생기지 않도록 제어하면, 소음 또는 진동이 발생하는 원인으로 된다.
이상과 같이, 상 떨림 보정 기능과, 보조광 투사 시의 자동 포커싱 기능이 동시에 이용된 경우, 자동 포커싱 기능의 정밀도 저하를 야기시킨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
또한, 보조광의 투사중에 있어, 보조광이 문제로 하는 피사체(보조광을 흡수하거나, 투과하는 피사체, 또는, 보조광이 닿지 않는 부분(화면단 등)에 있는 피사체등)에 대해서는, 보조광 투사를 하더라도 유효하게 자동 포커싱되지 않기 때문에, 투광 패턴 이외의 광에 의한 상으로부터 정보를 얻어, 자동 포커싱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 떨림 보정 기능을 정지하면, 상 떨림 보정 기능을 유효하게 활용하고 있는 투광 패턴 이외의 광에 의한 상으로부터 정보를 얻어 행하는 자동 포커싱 기능, 또한 색 제어 또는 노출 제어 등의 다른 기능의 정밀도가 저하한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상황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항상 자동 포커싱 기능의 정밀도를 향상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촬영 장치는, 투사 수단에 의해 투광 패턴이 투사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1 판단 수단과, 제1 판단 수단에 의해 투광 패턴이 투사되어 있다고 판단된 경우,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신호의 진폭에 따른 계수에 기초하여, 신호에 대응하는 상 떨림을 보정하는 제어량을 연산하는 연산 수단과, 연산 수단에 의해 연산된 제어량에 기초하여 검파 수단에 의해 투광 패턴이 검파되는 검파 프레임의 위치를 설정하는 프레임 설정 수단과, 연산 수단에 의해 연산된 제어량에 기초하여 보정 수단에 의한 상 떨림의 보정을 제어하는 보정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프레임 설정 수단에 의해 검파 프레임의 위치가 설정됨과 동시에, 줌 배율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검파 프레임의 크기 또는 개수를 변경하는 변경 수단을 더 구비하도록 할 수 있다.
기준값을 설정하는 기준값 설정 수단과, 제1 판단 수단에 의해 투광 패턴이 투사되어 있다고 판단된 경우,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신호의 주파수가, 기준값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된 기준값보다 낮은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2 판단 수단과, 제2 판단 수단에 의해 신호의 주파수가 기준값보다도 낮다고 판단된 경우, 보정 수단에 의한 상 떨림의 보정을 금지시키는 금지 수단을 더 구비하도록 할 수 있다.
제2 판단 수단에 의해 신호의 주파수가 기준값보다도 높다고 판단된 경우, 연산 수단은, 신호의 진폭에 따른 계수에 기초하여 신호에 대응하는 상 떨림을 보정하는 제어량을 연산하도록 할 수 있다.
제2 판단 수단에 의해 신호의 주파수가 기준값보다도 높다고 판단된 경우, 연산 수단은, 계수의 값을 1에 가깝게 되도록 하여, 신호에 대응하는 상 떨림을 보정하는 제어량을 연산하도록 할 수 있다.
제1 판단 수단에 의해 투광 패턴이 투사되어 있다고 판단된 경우,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신호의 주파수에 기초하여, 신호를 복수의 주파수 대역으로 분류하는 분류 수단과, 분류 수단에 의해 복수의 주파수 대역으로 분류된 신호에 대응하는 상 떨림을 보정하는 제어량을, 주파수 대역마다, 신호의 진폭에 따른 계수에 기초하여 연산하는 주파수별 연산 수단을 더 구비하고, 보정 제어 수단은 주파수별 연산 수단에 의해 연산된 제어량에 기초하여 보정 수단에 의한 상 떨림의 보정을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분류 수단은 신호를 3개의 주파수 대역으로 분류하고, 주파수별 연산 수단은 분류 수단에 의해 분류된 신호 중, 최저의 주파수 대역의 신호에 대한 상 떨림을 보정하는 제어량을, 계수의 값을 0에 가깝게 되도록 하여 연산하고, 분류 수단에 의해 분류된 신호 중, 중용의 주파수 대역의 신호에 대한 상 떨림을 보정하는 제어량을, 신호의 진폭에 따른 계수에 기초하여 연산하고, 분류 수단에 의해 분류된 신호 중, 최고의 주파수 대역의 신호에 대한 상 떨림을 보정하는 제어량을, 계수의 값을 1에 가깝게 되도록 하여 연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신호 처리 방법은, 투사 수단에 의해 투광 패턴이 투사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단계와, 판단 단계의 처리에 의해 투광 패턴이 투사되어 있다고 판단된 경우,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신호의 진폭에 따른 계수에 기초하여, 신호에 해당하는 상 떨림을 보정하는 제어량을 연산하는 연산 단계와, 연산 단계의 처리에 의해 연산된 제어량에 기초하여, 검파 수단에 의해 투광 패턴이 검파되는 검파 프레임의 위치를 설정하는 프레임 설정 단계와, 연산 단계의 처리에 의해 연산된 제어량에 기초하여, 보정 수단에 의한 상 떨림의 보정을 제어하는 보정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록 매체의 프로그램은, 투사 수단에 의해 투광 패턴이 투사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단계와, 판단 단계의 처리에 의해 투광 패턴이 투사되어 있다고 판단된 경우,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신호의 진폭에 따른 계수에 기초하여, 신호에 대응하는 상 떨림을 보정하는 제어량을 연산하는 연산 단계와, 연산 단계의 처리에 의해 연산된 제어량에 기초하여, 검파 수단에 의해 투광 패턴 이 검파되는 검파 프레임의 위치를 설정하는 프레임 설정 단계와, 연산 단계의 처리에 의해 연산된 제어량에 기초하여, 보정 수단에 의한 상 떨림의 보정을 제어하는 보정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프로그램은, 투사 수단에 의해 투광 패턴이 투사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단계와, 판단 단계의 처리에 의해 투광 패턴이 투사되어 있다고 판단된 경우,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신호의 진폭에 따른 계수에 기초하여, 신호에 해당하는 상 떨림을 보정하는 제어량을 연산하는 연산 단계와, 연산 단계의 처리에 의해 연산된 제어량에 기초하여, 검파 수단에 의해 투광 패턴이 검파되는 검파 프레임의 위치를 설정하는 프레임 설정 단계와, 연산 단계의 처리에 의해 연산된 제어량에 기초하여, 보정 수단에 의한 상 떨림의 보정을 제어하는 보정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투광 패턴이 투사되어 있다고 판단된 경우, 검출된 신호의 진폭에 따른 계수에 기초하여, 신호에 대응하는 상 떨림을 보정하는 제어량이 연산된다. 그리고, 연산된 제어량에 기초하여 투광 패턴이 검파되는 검파 프레임의 위치가 설정되고, 연산된 제어량에 기초하여 상 떨림의 보정이 제어된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촬영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마이크로 컴퓨터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적분 처리부의 상세한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계수 테이블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촬영 장치의 보조광의 투사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도 1의 촬영 장치의 상 떨림의 보정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도 6의 단계 S26의 보정의 제어량 연산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도 1의 마이크로 컴퓨터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는 도 8의 밴드 패스 필터의 주파수 대역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1의 촬영 장치의 상 떨림의 보정 처리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단계 S83의 주파수 대역별의 보정의 제어량 연산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2는 도 1의 촬영 장치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마이크로 컴퓨터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4는 도 12의 촬영 장치의 보조광의 투사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5는 도 12의 촬영 장치의 상 떨림의 보정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단계 S223의 상 떨림 보정의 제어량 연산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7은 도 15의 단계 S223의 상 떨림 보정의 제어량 연산 처리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8은 도 1의 촬영 장치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카메라 일체형 비디오 레코더(이하, 비디오 카메라라 칭한다)로 대표되는 촬영 장치(1)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에 있어서, 촬영 장치(1)는 떨림 검출부(11), 신호 처리부(12), 마이크로 컴퓨터(이하, 마이크로 컴퓨터라 칭한다)(13), 노출 제어부(14), 보조광 제어부(15), 보정 제어부(16), 및 떨림 보정부(17)에 의해 구성된다.
떨림 검출부(11)는, 예를 들면, 광학계(도시하지 않음)와 함께 진동하는 촬영 장치 1개체에 장착된 각속도 센서에 의해 구성되어 상 떨림을 검출한다.
신호 처리부(12)는, 떨림 검출부(11)에 의해 검출된 각속도 신호인 상 떨림 신호를 수신하여, 그 상 떨림 신호를 마이크로 컴퓨터(13)의 인터페이스에 맞춘 신호로 변환한다. 신호 처리부(12)는, 미리 설정된 컷오프 주파수보다 높은 주파수를 컷트하는 로우 패스 필터(31), 상 떨림 신호를 증폭시키는 증폭기(32) 및 미리 설정된 차단 주파수보다 낮은 주파수를 컷트하는 하이 패스 필터(33) 등으로 구성되는 아날로그 회로이다.
노출 제어부(14)는 피사체로부터의 광의 양을 측정하여, 조리개나 셔터 속도를 조정하여 노출 등의 제어를 한다. 보조광 제어부(15)는 노출 제어부(14)에 의해 계측된 광의 양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보조광 투광 플래그를 ON/OFF하여, 라이트 등으로 구성되는 보조광 투사부(도시하지 않음)을 제어하여, 보조광의 투광 패턴을 투사시킨다.
마이크로 컴퓨터(13)는, 보조광 제어부(15)의 보조광 투광 플래그에 기초하여 신호 처리부(12)로부터의 상 떨림 신호에 소정의 조정 처리를 하여, 그 상 떨림 신호에 대응하는 상 떨림을 보정하기 위해 필요한 상 떨림 보정의 제어량을 구한다.
보정 제어부(16)는 마이크로 컴퓨터(13)에 의해 산출된 상 떨림 보정의 제어량에 기초하여 모터 등으로 구성되는, 떨림 보정부(17)가 목표의 위치가 되도록 제어를 한다. 보정 제어부(16)는 상 떨림 신호와 상 떨림 보정의 제어량을 비교하는 비교부(34), 제어 신호 등의 가감산을 실행하는 가감산부(35), 미리 설정된 차단 주파수보다 높은 주파수를 컷트하는 로우 패스 필터(36), 신호를 증폭시키는 증폭기(37) 및 미리 설정된 차단 주파수보다 낮은 주파수를 컷트하는 하이 패스 필터(38) 등으로 구성된다.
또, 촬영 장치(1)는 촬영을 위한 구성이나 촬영한 영상 신호를 기록 또는 재생하기 위한 각종 구성을 갖지만, 도 1의 예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생략되어 있다.
도 2는 마이크로 컴퓨터(13)의 상세한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마이크로 컴퓨터(13)는 A/D(Analog/Digital) 변환부(51), 하이 패스 필터(52), 감도 조정부(53), 줌 조정부(54), 적분 처리부(55) 및 변조부(56)에 의해 구성되고, 촬영 장치(1) 전체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마이크로 컴퓨터(13)는 하이 패스 필터(52)의 미리 설정된 차단 주파수보다도 높은 주파수를 기준값α로서 설정한다.
A/D 변환부(51)는, 신호 처리부(12)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의 상 떨림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하이 패스 필터(52)에 출력한다. 하이 패스 필터(52)는, 미리 설정된 소정의 차단 주파수보다 낮은 주파수를 차단하거나, 또는 보조광 제어부(15)의 보조광 투광 플래그를 감시하고 있는 마이크로 컴퓨터(13)의 제어하 에서, 소정의 차단 주파수보다도 높은 주파수로서 설정되는 기준값α보다 낮은 주파수를 차단하여, 그 주파수의 상 떨림 신호에 대한 상 떨림 보정을 하지 않도록 시킨다.
감도 조정부(53)는, 하이 패스 필터(52)로부터의 상 떨림 신호를, 떨림 검출부(11)를 구성하는 각속도 센서의 감도의 변동을 흡수하기 위해, 각속도 센서의 감도에 따라 게인 조정한다. 줌 조정부(54)는 그 상 떨림 신호를 줌 위치에 대응하여 게인 조정한다.
적분 처리부(55)는, 감도 조정, 게인 조정된 상 떨림 신호를 적분하여, 그 상 떨림 신호에 대응하는, 상 떨림을 보정하기 위해 필요한 상 떨림 보정의 제어량을 산출한다. 변조부(56)는 산출된 제어량을 PWM(펄스 폭 변조: Pulse Width Modulation) 신호로 변환하여 보정 제어부(16)에 출력한다.
도 3은 적분 처리부(55)의 상세한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의 예에 있어서는, 지연기(72), 승산기(73) 및 가산기(74)에 의해 구성된다.
적분 처리부(55)는 줌 조정부(54)로부터 입력된 상 떨림 신호를 적분하여, 적분된 결과인 피드백 진폭 A를 지연기(72)에 출력한다. 지연기(72)는 그 피드백 진폭 A를 1 샘플링 지연시킨다. 승산기(73)는 지연기(72)에 의해 1 샘플링 지연된 피드백 진폭 A에,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계수 테이블에 기초하여 구해지는 피드백 계수 K를 승산한다.
이 피드백 계수 K는 0 내지 1의 사이의 값으로 된다. 이 피드백 계수 K가 1에 가까워 질수록, 상 떨림 보정의 효과는 크게(강하게) 된다. 그 반면, 이 보정 에 있어서의 유효 화소 수 또는 광학적인 제약, 또는 구조적인 (메카니컬 등) 제약에 의한 한계에 도달하여, 보정 화상이 부자연스런 움직임이 될 우려가 있다. 그 때문에, 도 4에 도시되는 것 같은 계수 테이블에 기초하여, 피드백 진폭 A에 따른 피드백 계수 K가 구해진다.
도 4의 예에 있어서, 횡축은 피드백 진폭 A의 값이며, 우측으로 갈수록 진폭이 큰 것이 도시된다. 세로축은 피드백 계수 K의 값이며, 피드백 계수 K는 0 내지 1의 사이의 값이 된다. 즉, 이 계수 테이블의 예에 있어서는, 피드백 진폭 A가 작아질수록, 피드백 계수 K가 1에 근접하고, 피드백 진폭 A가 커질수록 피드백 계수 K가 0에 근접하는 것이 도시된다.
이상에 의해, 피드백 진폭 A에 따른 피드백 계수 K가 구해지기 때문에, 피드백 진폭 A가 작을 수록, 상 떨림 보정의 효과가 강해지고, 피드백 진폭 A가 클 수록, 상 떨림 보정의 효과가 약해진다. 이에 의해, 보정 화상이 부자연스런 움직임으로 되는 것이 억제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구해진 피드백 계수 K를, 승산기(73)는 피드백 진폭 A에 승산한다. 가산부(74)는 이 승산된 값을 다음의 상 떨림 신호에 가산하여, 그것을 상 떨림 신호의 상 떨림 보정의 제어량으로 하여 변조부(56)에 출력한다. 즉, 환언하면, 가산부(74)는 1 샘플링 앞의 적분 출력(피드백 진폭 A)에 피드백 계수 K를 승산한 것을 현재의 상 떨림 신호에 가산한다. 그리고, 이 처리는 상 떨림 보정이 행해지고 있는 동안 반복된다.
다음에, 도 5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자동 포커싱 시에 있어서의 보조광의 투사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촬영 장치(1)에 있어서는, 전원 투입후, 이 보조광의 투사 처리가 실행된다. 단계 S1에 있어서, 보조광 제어부(15)는 노출 제어부(14)로부터 계측된 피사체로부터의 광에 관한 정보를 취득한다.
단계 S2에 있어서, 보조광 제어부(15)는 피사체로부터의 광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그 광이 저 콘트라스트 또는 저 조도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광이 저 콘트라스트 또는 저조도이다라고 판단한 경우, 단계 S3에 있어서, 보조광 제어부(15)는 보조광 투광 플래그를 ON으로 한다.
단계 S4에 있어서, 보조광 제어부(15)는 라이트 등으로 구성되는 보조광 투사부(도시하지 않음)을 제어하여, 보조광의 투광 패턴을 투사시킨다. 이에 의해, 촬영 장치(1)에 있어서, 보조광 투사 시의 자동 포커싱 처리가 실행된다. 이 자동 포커싱 처리는, 피사체로부터의 광에 기초하여 화상의 콘트라스트가 검출되어, 그 콘트라스트가 최대가 되도록 광학계의 렌즈가 보정됨으로써 실행된다. 이 보조광의 투광 패턴의 투사는, 단계 S5에 있어서, 보조광 제어부(15)에 의해, 촬영 장치(1)에 있어서 자동 포커싱 처리가 종료하였다고 판단될 때까지 반복하여 계속할 수있다.
단계 S5에 있어서, 촬영 장치(1)에 있어서 자동 포커싱 처리가 종료하였다고 판단된 경우, 보조광 제어부(15)는, 단계 S6에 있어서, 보조광 투광 플래그를 OFF로 하고, 단계 S7에 있어서, 보조광의 투광 패턴의 투사를 종료시킨다.
단계 S2에 있어서, 광이 저 콘트라스트, 또한 저조도이다라고 판단되지 않은 경우, 단계 S8에 있어서, 보조광 제어부(15)는 보조광 투광 플래그를 OFF로 하고, 처리를 종료시킨다.
이 보조광 제어부(15)의 보조광 투광 플래그의 ON/OFF를 감시하는 것에 의해, 마이크로 컴퓨터(13)는, 이하에 설명하는 상 떨림의 보정 처리에 있어서, 보조광의 투광 패턴이 투사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음에, 도 6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상 떨림의 보정 처리를 설명한다.
단계 S21에 있어서, A/D 변환부(51)는 아날로그 신호인 상 떨림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마이크로 컴퓨터(13)는, 단계 S22에 있어서, 보조광 제어부(15)를 감시하고, 보조광 투광 플래그가 ON 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보조광 투광 플래그가 ON이다라고 판단한 경우, 단계 S23에 있어서, 주파수의 기준값α를 설정한다. 이 주파수의 기준값α는 자동 포커싱 기능에 이용되는 콘트라스트 검출 범위인 검파 프레임 내에 들어왔다 나갔다 하는 것의 주된 원인이 되는, 저주파수의 상 떨림의 보정을 하지 않도록, 그 저주파를 차단하기 위해, 하이 패스 필터(52)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차단 주파수보다도 높게 설정된다.
단계 S24에 있어서, 마이크로 컴퓨터(13)는 상 떨림 신호가, 단계 S23에 있어서 설정된 기준값α보다도 낮은 주파수 성분을 포함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24에 있어서, 상 떨림 신호가 기준값α보다도 낮은 주파수 성분을 포함한다고 판단된 경우, 단계 S25에 있어서, 하이 패스 필터(52)는 상 떨림 신호의 기준값α보다도 낮은 주파수 성분을 차단한다. 즉, 이에 의해, 상 떨림 신호 중 기준값α보다도 낮은 주파수의 상 떨림 보정이 금지된다.
단계 S24에 있어서, 상 떨림 신호가 기준값보다도 낮은 주파수 성분을 포함하지 않는다라고 판단된 경우, 마이크로 컴퓨터(13)는 단계 S25의 처리를 스킵하고, 단계 S26에 있어서, 보정의 제어량 연산 처리를 실행한다. 즉, 단계 S26에 있어서는, 상 떨림 신호 중 기준값α보다도 높은 주파수만의 상 떨림의 보정의 제어량 연산 처리가 실행된다. 이 보정의 제어량 연산 처리를 도 7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단계 S41에 있어서, 감도 조정부(53)는 떨림 검출부(11)를 구성하는 각속도 센서에 따라 상 떨림 신호를 게인 조정하고, 줌 조정부(54)는 줌 위치에 따라 상 떨림 신호를 게인 조정한다.
단계 S42에 있어서, 적분 처리부(55)는 조정된 상 떨림 신호에, 1 샘플링 앞의 상 떨림 신호를 적분한 값(피드백 진폭 A)에, 계수 테이블(도 4)로부터 구해진 피드백 계수 K를 가산한 값을 더하여, 상 떨림을 보정하기 위해서 필요한 상 떨림 보정의 제어량을 구한다.
단계 S43에 있어서, 변조부(56)는 그 상 떨림 보정의 제어량을 PWM(펄스 폭 변조: Pu1se Width Modulation) 신호로 변환하여 보정 제어부(16)에 출력한다.
한편, 단계 S22에 있어서, 보조광 투광 플래그가 OFF이다라고 판단된 경우, 단계 S27에 있어서, 하이 패스 필터(52)는 상 떨림 신호 중, 미리 설정되어 있는 차단 주파수보다도 낮은 주파수의 신호를 차단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기준값α보다도 낮게, 차단 주파수보다도 높은 주파수 성분도, 단계 S28 이후의 처리가 실행된다.
단계 S28에 있어서, 마이크로 컴퓨터(13)는, 통상의 보정의 제어량 연산 처리를 실행한다. 이 보정의 제어량 연산 처리는, 도 7을 참조하여 상술한 처리와 기본적으로 마찬가지의 처리이며, 반복되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하지만, 이 처리에 의해, 상 떨림을 보정하기 위해 필요한 상 떨림 보정의 제어량이 구해진다.
단계 S26 또는 S28의 처리에 있어서, 상 떨림을 보정하기 위해 필요한 상 떨림 보정의 제어량이 구해진 뒤, 단계 S29에 있어서, 보정 제어부(16)는 구해진 상 떨림 보정의 제어량에 기초하여 목표의 위치가 되도록 떨림 보정부(17)의 보정을 제어한다.
또, 일반적으로, 고주파수의 상 떨림은 진폭이 작고, 보정 화상이 부자연스러운 움직임으로 되어 버리는 것 같은 한계(도 4를 참조하여 상술한)에 도달하기 어렵게 되기 때문에, 도 6의 단계 S26에 있어서의 보정의 제어량 연산 시에는, 피드백 계수를 1에 가까운 값으로 하여 연산하도록 해도 된다. 이에 의해, 보조광 투사 시에, 고주파수의 상 떨림에 대한 보정만을 강하게 할 수 있다.
이상으로부터, 보조광 투사 시에, 자동 포커싱 기능에 이용하는 콘트라스트 검출 범위인 검파 프레임 내에 들어왔다 나갔다 가는 것의 주된 원인이 되는, 저주파수의 상 떨림에 대한 보정을 금지하도록 했기 때문에, 자동 포커싱 기능의 정밀도가 향상된다. 또한, 줌의 배율에 상관없이, 보조광의 투광 패턴이 콘트라스트 검출 범위인 검파 프레임 내에 들어 가도록 할 수있다.
또한, 보조광 투사 시에도, 고주파수에 대한 상 떨림 보정을 하도록 했기 때문에, 보조광의 투광 패턴 이외의 광에 의한 통상의 피사체에 대한 자동 포커싱 기능이 가능하게 되어, 보조광이 문제가 되는 피사체(보조광을 흡수하거나, 투과하는 피사체, 또는 보조광이 닿지 않는 부분(화면단 등)에 있는 피사체등)에 대하여 유효하게 작용할 수 있으며, 또한 색 제어나 노출 제어 등의 그 밖의 제어에 대해서도 유효하게 기능된다.
또한, 보조광 투사 시에, 예를 들면, 상 떨림 보정 기능을 정지하는 동작과같이, 상 떨림 보정을 급격하게 변화시키는 일이 없기 때문에, 소음, 진동 또는 화면의 급격한 변화가 발생하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항상 상 떨림 보정 기능이 동작하고 있기 때문에, 상 떨림 보정의 지연이 발생하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보조광 투사 시에, 높은 주파수에 대해서만, 상 떨림 보정을 하기 때문에, 전력 절약화가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장치만으로 실현 가능하고, 저비용화가 도모될 수 있다.
또한, 레이저 광 등의 고에너지 밀도의 광원을 이용한 보조광 투사 장치를 갖는 촬영 장치에서, 줌 배율이 다른 렌즈로 바꾼 경우에도, 투광 패턴 변경 등의 리스크를 따르는 변경이 필요 없고, 유용성이 향상된다.
상기 설명에 있어서는, 떨림 검출부(11)에 각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상 떨림 신호로서, 각속도 신호를 이용하여 설명했지만, 다른 각도 센서, 각가속도 센서 또는 속도 센서를 이용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떨림 보정부(17)에는, 시프트 방진 렌즈를 이용하여 설명했지만, VAP(배리 앵글 프리즘) 등을 사용해도 된다.
또한, 상기 설명에 있어서는, 마이크로 컴퓨터(13) 내의 하이 패스 필터(52)에 기준값을 설치하고, 그것을 차단 주파수로서 높게 설정하도록 했지만, 예를 들면, 도 1의 신호 처리부(12) 내의 하이 패스 필터(33) 또는 보정 제어부(16)의 하이 패스 필터(38)에 기준값을 설치하고, 그것을 차단 주파수로서 높게 설정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떨림 검출부(11)의 각속도 센서 자체의 주파수 특성을 변화시키도록해도 된다. 또, 이상과 같이, 마이크로 컴퓨터(13)내 이외에 있어 주파수 특성을 제어하는 경우도, 마이크로 컴퓨터(13)의 제어에 기초하여, 상 떨림 신호의 상 떨림 보정 처리가 실행된다.
또한, 도 8은 마이크로 컴퓨터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또, 도 8의 마이크로 컴퓨터(91)에서는, 도 2의 하이 패스 필터(52)를 밴드 패스 필터(101 내지 103)로 치환한 다른 도 2의 마이크로 컴퓨터(13)와 마찬가지의 구성이며, 도 2에 있어서의 경우와 해당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반복되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그 설명은 생략한다.
밴드 패스 필터(101 내지 103)는, A/D 변환부(51)의 후단에, 병렬하여 설치되어 있고, A/D 변환부(51)로부터 출력된 상 떨림 신호 중, 각각, 설정된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만을 통과시켜, 감도 조정부(53)에 출력한다. 이 주파수 대역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설정되어 있지만, 마이크로 컴퓨터(91)에 의해 제어되도록 해도 된다.
도 9는 밴드 패스 필터(101 내지 103)가 해당하는 주파수 대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에 있어서, 횡축은 주파수 이며, 우측으로 갈수록 주파수가 높은 것을 도시한다. 종축은 각 밴드 패스 필터(101 내지 103)가 출력하는 신호의 비율을 도시한다.
도 9의 예의 경우, 주파수 a 내지 주파수 c인 최저의 주파수 대역(주파수 대역 E1 내지 E3 중, 가장 낮은 주파수의 주파수 대역) E1은 밴드 패스 필터(101)에 의해 통과시킬 수 있는 주파수 대역으로 되어, 주파수 b 내지 주파수 e인 중용의 주파수 대역 E2(주파수 대역 E1 내지 E3 중, 중용의 주파수의 주파수 대역)은, 밴드 패스 필터(102)에 의해 통과시킬 수 있는 주파수 대역으로 된다. 또한, 주파수 d 내지 주파수 f인 최고의 주파수 대역 E3(주파수 대역 E1 내지 E3 중, 가장 높은 주파수의 주파수 대역)은, 밴드 패스 필터(103)에 의해 통과시킬 수 있는 주파수 대역으로 된다 (0<a<b<c<d<e<f).
또, 주파수 b 내지 주파수 c의 주파수 대역은, 주파수 대역 E1 및 E2에 있어서 중첩되고 있지만, 그 주파수 대역은 좁기 때문에 문제로는 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주파수 d 내지 주파수 e의 주파수 대역은, 주파수 대역 E2 및 E3에 있어서 중첩되고 있지만, 그 주파수 대역은 좁아 문제가 되지는 않는다.
마이크로 컴퓨터(91)은, 밴드 패스 필터(101)를 통과한 최저의 주파수 대역 E1의 신호, 밴드 패스 필터(102)를 통과한 중용의 주파수 대역 E2의 신호, 및 밴드 패스 필터(103)를 통과한 최고의 주파수 대역 E3의 신호에 기초하여 적분 처리부(55)를 제어하고, 상 떨림 보정의 제어량을 산출시킨다.
다음에, 도 10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상 떨림의 보정 처리의 다른 예를 설명한다.
단계 S81에 있어서, A/D 변환부(51)는 아날로그 신호인 상 떨림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단계 S82에 있어서, 마이크로 컴퓨터(91)는 보조광 제어부(15)를 감시하고, 보조광 투광 플래그가 ON 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보조광 투광 플래그가 ON이다라고 판단한 경우, 단계 S83에 있어서, 주파수 대역별 보정의 제어량 연산 처리를 실행한다. 이 주파수 대역별 보정의 제어량 연산 처리를 도 11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단계 S101에 있어서, 밴드 패스 필터(101 내지 103)는, 도 9에 상술한 바와 같이, 각각 설정된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통과시키고, 그것 이외의 주파수를 차단한다. 지금의 경우, 밴드 패스 필터(101)는 최저의 주파수 대역 E1의 신호를 통과시키고, 밴드 패스 필터(102)는 중용의 주파수 대역 E2의 신호를 통과시키고, 또한 밴드 패스 필터(103)는 최고의 주파수 대역 E3의 신호를 통과시킨다.
단계 S102에 있어서, 감도 조정부(53)는, 떨림 검출부(11)를 구성하는 각속도 센서에 따라, 단계 S101에 있어서 통과한 상 떨림 신호를 게인 조정하고, 줌 조정부(54)는 줌 위치에 따라 상 떨림 신호를 게인 조정한다.
단계 S103에 있어서, 마이크로 컴퓨터(91)는, 그 상 떨림 신호의 주파수가, 밴드 패스 필터(101)을 통과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즉, 그 상 떨림 신호의 주파수가, 밴드 패스 필터(101)에 의해 통과시킬 수 있는 주파수 대역(주파수 a 내지 주파수 c인 최저의 주파수 대역 E1)의 주파수인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단계 S103에 있어서, 그 상 떨림 신호의 주파수가, 밴드 패스 필터(101)를 통과하였다고 판단된 경우, 단계 S104에 있어서, 적분 처리부(55)는 조정된 상 떨림 신호에, 1 샘플링 앞의 상 떨림 신호를 적분한 값(피드백 진폭 A)에, 0에 가까운 값의 피드백 계수 K를 가산한 값을 더하여 상 떨림을 보정하기 위해 필요한 상 떨림 보정의 제어량을 구한다. 이에 의해, 이후의 처리에 있어서, 최저의 주파수 대역 E1의 주파수의 신호에 대해서는, 상 떨림의 효과가 약해지도록 상 떨림 보정이 제어된다.
단계 S103에 있어서, 그 상 떨림 신호의 주파수가, 밴드 패스 필터(101)를 통과하지 않았다고 판단된 경우, 단계 S105에 있어서, 마이크로 컴퓨터(91)는 그 상 떨림 신호의 주파수가, 밴드 패스 필터(102)를 통과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즉, 그 상 떨림 신호의 주파수가 밴드 패스 필터(102)에 의해 통과시킬 수 있는 주파수 대역(주파수 b 내지 주파수 e인 중용의 주파수 대역 E2)의 주파수인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단계 S105에 있어서, 그 상 떨림 신호의 주파수가, 밴드 패스 필터(102)를 통과하였다고 판단된 경우, 단계 S106에 있어서, 적분 처리부(55)는 조정된 상 떨림 신호에, 1 샘플링 앞의 상 떨림 신호를 적분한 값(피드백 진폭 A)에, 계수 테이블(도 4)로부터 구해진 피드백 계수 K를 가산한 값을 더하여, 상 떨림을 보정하기 위해 필요한 상 떨림 보정의 제어량을 구한다. 이에 의해, 이후의 처리에 있어서, 중용의 주파수 대역 E2의 주파수의 신호에 대해서는, 통상의 상 떨림 보정이 실행되도록 제어된다.
단계 S105에 있어서, 그 상 떨림 신호의 주파수가, 밴드 패스 필터(102)를 통과하지 않았다고 판단된 경우, 단계 S107에 있어서, 마이크로 컴퓨터(91)는 그 상 떨림 신호의 주파수가, 밴드 패스 필터(103)를 통과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 다. 즉, 그 상 떨림 신호의 주파수가, 밴드 패스 필터(103)에 의해 통과시킬 수 있는 주파수 대역(주파수 d 내지 주파수 f인 최고의 주파수 대역 E3)의 주파수인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단계 S107에 있어서, 그 상 떨림 신호의 주파수가, 밴드 패스 필터(103)를 통과하였다고 판단된 경우, 단계 S108에 있어서, 적분 처리부(55)는 조정된 상 떨림 신호에, 1 샘플링 앞의 상 떨림 신호를 적분한 값(피드백 진폭 A)에, 1에 가까운 값의 피드백 계수 K를 가산한 값을 더하여, 상 떨림을 보정하기 위해 필요한 상 떨림 보정의 제어량을 구한다. 이에 의해, 이후의 처리에 있어서, 최고의 주파수 대역 E3의 주파수의 신호에 대해서는, 상 떨림 보정의 효과가 강해지도록 상 떨림 보정이 제어된다.
단계 S107에 있어서, 그 상 떨림 신호의 주파수가, 밴드 패스 필터(103)를 통과하지 않았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 떨림 신호의 주파수는, 밴드 패스 필터(101 내지 103) 중 어느 것도 차단되기 때문에, 아무것도 처리되지 않는다.
이상의 처리에 의해, 각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여 구해진 상 떨림의 제어량을, 단계 S109에 있어서, 변조부(56)는, PWM(펄스 폭 변조: Pulse Width Modulation) 신호로 변환하여, 보정 제어부(16)에 출력한다.
한편, 단계 S82에 있어서, 보조광 투광 플래그가 OFF이다라고 판단된 경우, 단계 S84에 있어서, 밴드 패스 필터(101 내지 103)는 각각 미리 설정된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통과시켜, 감도 조정부(53)에 출력한다.
단계 S85에 있어서, 마이크로 컴퓨터(13)는 밴드 패스 필터(101 내지 103) 중의 어느 하나를 통과한 신호 전부에 대하여, 통상의 보정의 제어량 연산 처리를 실행한다. 이 보정의 제어량 연산 처리는, 도 6의 단계 S26(즉, 도 7)의 처리와 마찬가지의 처리이며, 반복되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하지만, 이 처리에 의해 상 떨림을 보정하기 위해 필요한 상 떨림 보정의 제어량이 구해진다.
단계 S83 또는 S85의 처리에 있어서, 상 떨림을 보정하기 위해 필요한 상 떨림 보정의 제어량이 구해진 뒤, 단계 S86에 있어서, 보정 제어부(16)는 구해진 상 떨림 보정의 제어량에 기초하여 목표의 위치가 되도록 떨림 보정부(17)의 보정을 제어한다.
이상과 같이, 각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여 상 떨림의 제어량이 구해지기 때문에, 고주파수의 상 떨림에 대한 보정의 효과가 강해지도록, 상 떨림 보정할 수 있거나, 또는 보조광 투사 시에, 자동 포커싱 기능에 이용하는 콘트라스트 검출 범위인 검파 프레임 내에 들어왔다 나갔다 하는 것의 주된 원인이 되는, 저주파수의 상 떨림에 대한 보정의 효과가 약해지도록 보정할 수 있다. 그 경우, 떨림 보정을 완전히 행하지 않도록 하는 것보다도, 색 제어나 노출 제어 등의 그 밖의 제어에 대해서도 유효하게 기능된다.
또, 상기 설명에 있어서는, 3개의 밴드 패스 필터를 병렬시켜 구성했지만, 밴드 패스 필터의 개수는 한정되어 있지 않고, 주파수 대역을 나누기 위해 필요한 개수의 밴드 패스 필터를 병렬로 구성하도록 해도 된다.
이상과 같이, 보조광의 투사중에, 자동 포커싱 기능에 이용되는 콘트라스트 검출 범위인 검파 프레임 내에 들어왔다 나갔다 하는 것의 주된 원인이 되는, 저주파수의 상 떨림 신호에 대한 상 떨림 보정을 하지 않도록, 상 떨림 보정 기능을 제어했지만, 이 방법에 있어서도, 상 떨림 보정 기능을 정지하는 경우보다도 정도는 작지만, 상 떨림 보정 기능의 제어에 수반하는 소음 또는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고주파수의 화상의 떨림에 대하여, 상 떨림 보정이 행해지기 위해서, 보조광의 투광 패턴이 검파 프레임에 대하여 고주파수로 흔들려 버릴 우려가 있다. 그래서, 이것에 대응하여 실행되는 다른 상 떨림 보정 기능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을 적용한 촬영 장치(1)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또, 도 12에 있어서, 도 1에 있어서의 경우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대응하는 부호를 붙여 놓아, 그 설명은 반복되기 때문에 생략하지만, 도 12에 있어서, 촬영 장치(1)는 떨림 검출부(11), 신호 처리부(12), 마이크로 컴퓨터(13), 노출 제어부(14), 보조광 제어부(15), 보정 제어부(16) 및 떨림 보정부(17) 외에, 검파부(121) 및 포커싱 제어부(122)에 의해 구성된다.
검파부(121)는, 마이크로 컴퓨터(13)에 의해 구해진 상 떨림 보정의 제어량에 기초하여, 검파 프레임의 위치(좌표)를 구하거나, 줌 배율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검파 프레임의 크기 또는 개수를 구하여, 이들에 기초하여 그 검파 프레임의 위치, 크기 또는 개수를 제어하고, 그 검파 프레임 내에서, 자동 포커싱을 위한 검파를 실행한다. 이 검파 프레임은 자동 포커싱할 때에, 피사체로부터의 광에 기초하여, 화상의 콘트라스트를 검출하기 위해 이용되는 콘트라스트 검출 범위이다.
포커싱 제어부(122)는 검파부(121)에 의해 검파된 정보에 기초하여, 자동 포커싱 처리를 실행하거나, 자동 포커싱이 종료한 것을 도시하는 정보를 보조광 제어부(15)에 출력한다.
도 13은 마이크로 컴퓨터(13)의 상세한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또, 도 13에 있어서, 도 2에 있어서의 경우와 대응하는 부분에는 대응하는 부호를 붙여 놓아, 그 설명은 반복되기 때문에 적절하게 생략한다.
마이크로 컴퓨터(13)는 A/D(Analog/Digital) 변환부(51), 하이 패스 필터(52), 감도 조정부(53), 줌 조정부(54), 적분 처리부(55) 및 변조부(56)에 의해 구성되어, 촬영 장치(1) 전체의 동작을 제어한다.
A/D 변환부(51)는 신호 처리부(12)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의 상 떨림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하이 패스 필터(52)에 출력한다. 하이 패스 필터(52)는 미리 설정된 소정의 차단 주파수보다 낮은 주파수를 차단한다.
감도 조정부(53)는 떨림 검출부(11)를 구성하는 각속도 센서의 감도의 변동을 흡수하기 위해서, 각속도 센서의 감도를 검출하여, 하이 패스 필터(52)로부터의 상 떨림 신호를 각속도 센서의 감도에 따라 게인 조정한다. 줌 조정부(54)는 줌 배율을 검출하여, 그 상 떨림 신호를 줌 배율에 따라 게인 조정한다. 또한, 줌 조정부(54)는 검출한 줌 배율을 검파부(121)에 출력한다.
적분 처리부(55)는 감도 조정, 게인 조정된 상 떨림 신호를 적분하여, 그 상 떨림 신호에 대응하는 상 떨림을 보정하기 위해 필요한 상 떨림 보정의 제어량을 산출하여, 검파부(121)또는 변조부(56)에 출력한다. 변조부(56)는, 산출된 제어량을 PWM(펄스 폭 변조: Pulse Width Modulation) 신호로 변환하여, 보정 제어부(16)에 출력한다.
다음에, 도 14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자동 포커싱 시에 있어서의 보조광의 투사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촬영 장치(1)에 있어서는, 전원 투입후 이 보조광의 투사 처리가 실행된다. 단계 S201에서, 보조광 제어부(15)는 노출 제어부(14)보다 계측된 피사체로부터의 광에 관한 정보를 취득한다.
단계 S202에 있어서, 보조광 제어부(15)는 피사체로부터의 광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그 광이 저 콘트라스트 또는 저조도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광이 저 콘트라스트 또는 저조도이다고 판단한 경우, 단계 S203에 있어서, 보조광 제어부(15)는, 보조광 투광 플래그를 ON으로 한다.
단계 S204에 있어서, 보조광 제어부(15)는, 라이트 등으로 구성되는 보조광 투사부(도시하지 않음)을 제어하여, 보조광의 투광 패턴을 투사시킨다. 이에 의해, 단계 S205에 있어서, 검파부(121) 및 포커싱 제어부(122)는, 보조광 투사 시의 자동 포커싱 처리를 실행한다.
이 자동 포커싱 처리는, 검파부(121)에 의해, 상 떨림 보정의 제어량에 기초하여 설정된 검파 프레임 내에서, 투광 패턴에 의한 피사체로부터의 광에 기초하여, 화상의 콘트라스트가 검출되어, 포커싱 제어부(122)에 의해, 그 콘트라스트가 최대가 되도록 광학계의 렌즈가 보정됨으로써 실행된다. 또, 이 검파 프레임은 도 15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후술하는 상 떨림의 보정 처리에 있어서, 검파부(121)에 의해, 적분 처리부(55)로부터 공급된 상 떨림 보정의 제어량에 기초하여, 위치, 크기 또는 개수가 설정된다.
단계 S205에 있어서 자동 포커싱 처리가 종료하면, 포커싱 제어부(122)는 자동 포커싱 처리가 종료한 것을 도시하는 정보를 보조광 제어부(15)에 출력한다. 또한 그에 대응하여, 단계 S206에 있어서, 보조광 제어부(15)는 자동 포커싱 처리가 종료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자동 포커싱 처리가 아직 종료하지 않았다고 판단한 경우, 단계 S204에 되돌아가, 그 이후의 처리를 반복한다.
단계 S206에 있어서, 자동 포커싱 처리가 종료하였다고 판단된 경우, 보조광 제어부(15)는, 단계 S207에 있어서, 보조광 투광 플래그를 OFF로 하고, 단계 S208에서, 보조광의 투광 패턴의 투사를 종료시킨다.
단계 S202에 있어서, 광이 저 콘트라스트, 또한, 저조도라고 판단되지 않은 경우, 단계 S209에 있어서, 보조광 제어부(15)는 보조광 투광 플래그를 OFF로 하여, 처리를 종료시킨다.
이 보조광 제어부(15)의 보조광 투광 플래그의 ON/OFF를 감시하는 것에 의해, 마이크로 컴퓨터(13)는, 이하에 설명하는 상 떨림의 보정 처리에 있어서, 보조광의 투광 패턴이 투사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음에, 도 15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상 떨림의 보정 처리를 설명한다.
단계 S221에 있어서, A/D 변환부(51)는 아날로그 신호인 상 떨림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단계 S222에 있어서, 마이크로 컴퓨터(13)는, 보조광 제어부(15)를 감시하여, 보조광 투광 플래그가 ON 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보조광 투광 플래그가 ON이다라고 판단한 경우, 단계 S223에 있어서, 마이크로 컴퓨터(13)는 상 떨림 보정의 제어량 연산 처리를 실행한다. 이 상 떨림 보정의 제어량 연산 처리를 도 16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단계 S241에서, 하이 패스 필터(52)는 상 떨림 신호 중 미리 설정되어 있는 차단 주파수보다도 낮은 주파수의 신호를 차단한다.
단계 S242에 있어서, 감도 조정부(53)는, 떨림 검출부(11)를 구성하는 각속도 센서의 감도를 검출하여, 각도 센서의 감도에 따라, 상 떨림 신호를 게인 조정한다. 또한, 줌 조정부(54)는 줌 배율을 검출하고, 줌 배율에 따라 상 떨림 신호를 게인 조정한다.
단계 S243에 있어서, 적분 처리부(55)는 조정된 상 떨림 신호에, 1 샘플링 앞의 상 떨림 신호를 적분한 값(피드백 진폭 A)에, 계수 테이블(도 4)로부터 구해진 피드백 계수 K를 가산한 값을 더하여, 상 떨림을 보정하기 위해 필요한 상 떨림 보정의 제어량을 구한다.
이상과 같이하여, 상 떨림 보정의 제어량이 구해지기 때문에, 도 15의 단계 S224에 있어서, 적분 처리부(55)는 구해진 상 떨림 보정의 제어량을 검파부(121)에 출력한다. 또, 이 때, 줌 조정부(54)는 줌 배율의 정보를 검파부(121)에 출력한다.
단계 S225에 있어서, 검파부(121)는 적분 처리부(55)로부터의 상 떨림 보정의 제어량에 기초하여, 검파 프레임이 상 떨림 보정을 캔슬하는 방향으로 움직이 도록, 검파 프레임의 위치를 구한다. 단계 S226에 있어서, 검파부(121)는 줌 조정부(54)로부터의 줌 배율의 정보에 기초하여, 검파 프레임의 크기 또는 개수를 변경한다. 이 검파 프레임의 크기 또는 개수의 변경 처리는, 보조광의 투광 패턴이 검파 프레임을 나왔다 들어갔다 하는 확률, 혹은 보조광의 투광 패턴이 검파 프레임에 존재하지 않는 확률을 낮추기 위해서 실행된다.
단계 S227에 있어서, 검파부(121)는 단계 S225에 있어서 구해진 검파 프레임의 위치 및 단계 S226에 있어서 구해진 검파 프레임의 크기, 또는 개수에 기초하여 검파 프레임을 제어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상 떨림 보정의 제어량에 기초하여 제어된 검파 프레임 내에서, 투광 패턴에 의한 화상의 콘트라스트가 검파되므로 (상술한 도 14의 단계 S205의 자동 포커싱 처리), 상 떨림 보정된 경우에, 보조광의 투광 패턴이 검파 프레임 내에 들어왔다 나갔다 하는 것이 억제된다. 이에 의해, 자동 포커싱 기능의 정밀도가 향상된다.
한편, 단계 S222에 있어서, 보조광 투광 플래그가 OFF이다라고 판단된 경우, 단계 S228에 있어서, 마이크로 컴퓨터(13)는, 상 떨림 보정의 제어량 연산 처리를 실행한다. 이 보정의 제어량 연산 처리는, 단계 S223(즉, 도 16)의 처리와 마찬가지의 처리이며, 반복되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하지만, 이 처리에 의해, 상 떨림을 보정하기 위해 필요한 상 떨림 보정의 제어량이 구해진다.
그리고, 단계 S229에 있어서, 변조부(56)는, 단계 S223또는 단계 S228에 있어서 적분 처리부(55)에 의해 구해진 상 떨림 보정의 제어량을 PWM(펄스 폭 변조: Pu1se Width Modulation) 신호로 변환하여, 보정 제어부(16)에 출력한다.
단계 S230에 있어서, 보정 제어부(16)는 구해진 상 떨림 보정의 제어량에 기초하여, 목표의 위치가 되도록 떨림 보정부(17)의 보정을 제어한다.
이상과 같이, 보조광 투사 시에, 상 떨림에 대한 보정의 제어량에 기초하여, 자동 포커싱 기능에 이용되는 콘트라스트 검출 범위인 검파 프레임의 위치를 제어하도록 했기 때문에, 검파할 때에, 보조광의 투광 패턴이 검파 프레임 내에 들어왔다 나갔다 하는 것이 억제되어, 자동 포커싱 기능의 정밀도가 향상된다. 또한, 검파 프레임의 크기 또는 개수의 변경 처리에 의해, 줌의 배율에 상관없이, 보조광의 투광 패턴이 검파 프레임 내에 보다 들어가기 쉬워진다.
또, 이 검파 프레임의 크기 또는 개수의 변경 처리는, 상 떨림 보정의 제어량이 과대하고, 검파 프레임의 위치의 제어만으로는, 보조광의 투광 패턴이 검파 프레임을 나왔다 들어갔다 할 확률, 또는 보조광의 투광 패턴이 검파 프레임에 존재하지 않는 확률이 높아지는 경우에 보다 효과적이다.
또한, 보조광 투사 시에도, 상 떨림 보정을 할 수 있기 때문에, 보조광의 투광 패턴 이외의 광에 의한 통상의 피사체에 대한 자동 포커싱 기능이 가능하게 되어, 보조광이 문제가 되는 피사체(보조광을 흡수하거나, 투과하는 피사체 또는 보조광이 닿지 않는 부분(화면단등)에 있는 피사체 등)에 대하여 유효히 작용할 수 있으며, 또한 색 제어나 노출 제어 등의 그 밖의 제어에 대해서도 유효하게 기능된다.
또한, 보조광 투사 시에, 예를 들면, 상 떨림 보정 기능을 정지하거나, 보정 기능의 제어 방법을 변경하는 동작과 같이, 상 떨림 보정을 급격하게 변화시키는 일이 없기 때문에, 소음, 진동 또는 화면의 급격한 변화가 발생하는 것이 억제된다. 그리고, 항상 상 떨림 보정 기능이 동작하고 있기 때문에, 상 떨림 보정의 지연이 발생하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기존의 장치만으로 실현 가능하고, 저비용화 가 도모될 수 있다.
또한, 레이저광 등의 고에너지 밀도의 광원을 이용한 보조광 투사 장치를 갖는 촬영 장치에서, 줌 배율이 다른 렌즈로 바꾼 경우에도, 투광 패턴 변경 등의 리스크에 따른 변경이 필요없고, 유용성이 향상한다.
다음에, 도 12의 촬영 장치(1)에서, 도 1의 촬영 장치(1)에 의해 실행된 보조광의 투사중에, 저주파수의 상 떨림 신호를 행하지 않도록, 상 떨림 보정 기능의 제어 처리를 적용한 경우의 상 떨림 보정의 제어량 연산 처리의 예에 대하여, 도 17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 이 상 떨림 보정의 제어량 연산 처리는, 도 15의 단계 S222에 있어서, 마이크로 컴퓨터(13)에 의해 보조광 투광 플래그가 ON이다라고 판단된 경우에, 단계 S223에 있어서 실행되는 상 떨림 보정의 제어량 연산 처리의 다른 예이다.
단계 S261에 있어서, 마이크로 컴퓨터(13)는, 주파수의 기준값α를 설정한다. 이 주파수의 기준값α는, 자동 포커싱 기능에 이용되는 콘트라스트 검출 범위인 검파 프레임 내에 들어왔다 나갔다 하는 것의 주된 원인이 되는, 저주파수의 상 떨림의 보정을 하지 않도록, 그 저주파를 차단하기 위해서, 하이 패스 필터(52)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차단 주파수보다도 높게 설정된다.
단계 S262에 있어서, 마이크로 컴퓨터(13)는, 상 떨림 신호가, 단계 S261에 있어서 설정된 기준값α보다도 낮은 주파수 성분을 포함하는지 아닌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262에 있어서, 상 떨림 신호가 기준값α보다도 낮은 주파수 성분을 포함한다고 판단된 경우, 단계 S263에 있어서, 하이 패스 필터(52)는, 상 떨림 신 호의, 기준값α보다도 낮은 주파수 성분을 차단한다. 즉, 이에 의해, 상 떨림 신호 중, 기준값α보다도 낮은 주파수의 상 떨림 보정의 제어량의 연산 처리가 금지된다.
단계 S262에 있어서, 상 떨림 신호가 기준값보다도 낮은 주파수 성분을 포함하지 않는다라고 판단된 경우, 마이크로 컴퓨터(13)는, 단계 S263의 처리를 스킵하여, 단계 S264에 있어서, 보정의 제어량 연산 처리를 실행한다. 즉, 단계 S264 이후의 처리에 있어서, 상 떨림 신호 중, 기준값α보다도 높은 주파수만의 상 떨림의 보정의 제어량 연산 처리가 실행된다.
단계 S264에 있어서, 감도 조정부(53)는, 떨림 검출부(11)를 구성하는 각속도 센서에 따라, 상 떨림 신호를 게인 조정하고, 줌 조정부(54)는 줌 위치에 따라 상 떨림 신호를 게인 조정한다.
단계 S265에 있어서, 적분 처리부(55)는, 조정된 상 떨림 신호에, 1 샘플링앞의 상 떨림 신호를 적분한 값(피드백 진폭 A)에, 계수 테이블(도 4)로부터 구해진 피드백 계수 K를 가산한 값을 더하여, 상 떨림을 보정하기 위해 필요한 상 떨림 보정의 제어량을 구한다.
그리고, 도 15의 단계 S224 이후에 있어서는, 이상과 같이 하여 구해진 상 떨림 보정의 제어량에 기초하여, 자동 포커싱 기능에 이용되는 콘트라스트 검출 범위인 검파 프레임의 위치가 제어되고, 또한 상 떨림의 보정이 제어된다. 즉, 저주파수의 상 떨림 보정의 제어량의 연산 처리가 금지됨으로써, 이것 이후의 검파 프레임의 제어 및 상 떨림 보정은, 그것 이외의 주파수(고주파수)의 상 떨림 보정의 제어량의 연산 처리에 의해 구해진 상 떨림 보정의 제어량에 기초하여 실행된다.
이상과 같이, 투광 패턴이 검파 프레임 내에 존재하지 않거나 또는 검파 프레임을 나왔다 들어갔다 할 가능성이 높은, 저주파수나 대 진폭의 손 떨림 보정을 하지 않도록 함과 함께, 검파 프레임을 제어하도록 했기 때문에, 예를 들면, 투사된 보조광 패턴의 검파 프레임을 넘어가게 되는 등과 같은 검파 프레임의 조작만으로는, 대응할 수 없는 제어량의 보정이 행해지지 않고, 이에 의해, 보조광의 투광 패턴이 검파 프레임 내에 들어왔다 나갔다 하는 것이 또한 억제되어, 자동 포커싱 기능의 정밀도가 향상된다.
상기 설명에 있어서는, 떨림 검출부(11)에 각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상 떨림 신호로서, 각속도 신호를 이용하여 설명했지만, 다른 각도 센서, 각가속도 센서 또는 속도 센서를 이용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떨림 보정부(17)에는, 시프트 방진 렌즈를 이용하여 설명했지만, VAP(배리 앵글 프리즘) 등을 사용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설명에 있어서는, 자동 포커싱 기능에 있어서의 검파 프레임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자동 포커싱 기능 이외의 기능을 위한 검파 프레임도, 상 떨림 보정의 제어량을 캔슬하도록 제어시키도록 해도 된다.
상기 설명에서는, 비디오 카메라에 관해서 설명했지만 디지털 스틸 카메라, 또는 그 밖의 동화상 혹은 정지 화상의 촬영 장치 등에도 본 발명이 적용된다.
상술한 일련의 처리는,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시킬 수도 있지만,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예를 들면, 도 1 및 도 12의 촬영 장치(1)는, 도 18에 도시되는 것 같은 촬영 장치(201)에 의해 구성된다.
도 18에 있어서, CPU(Central Processing Unit)(211)는, ROM(Read Only Memory)(212)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 또는 기억부(218)로부터 RAM(Random Access Memory)(213)에 로드된 프로그램에 따라서 각종의 처리를 실행한다. RAM(213)에는 또, CPU(211)가 각종의 처리를 실행하는 데에 있어 필요한 데이터 등이 적절하게 기억된다.
CPU(211), ROM(212) 및 RAM(213)은, 버스(214)를 개재하여 서로 접속되어 있다. 버스(214)에는 또, 입출력 인터페이스(215)도 접속되어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15)에는, 키보드, 마우스 등으로 이루어지는 입력부(216), CRT(Cathode Ray Tube), LCD(Liquid Crystal Display)등으로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 및 스피커 등으로 이루어지는 출력부(217), 하드디스크 등으로 구성되는 기억부(218), 모뎀, TA등으로 구성되는 통신부(219)가 접속되어 있다. 통신부(219)는, 도시된 네트워크를 통하여의 통신 처리를 한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15)에는 또, 필요에 따라서 드라이브(220)가 접속되어, 자기 디스크(221), 광 디스크(222), 광 자기 디스크(223), 혹은 반도체 메모리(224) 등이 적절하게 장착되고, 이로부터 판독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필요에 따라 기억부(218)에 인스톨된다.
일련의 처리를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시키는 경우에는, 그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는 프로그램이, 전용의 하드웨어에 조립되어 있는 컴퓨터 또는 각종의 프로그램을 인스톨함으로써, 각종의 기능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한, 예를 들면, 범용의 퍼스널 컴퓨터 등에, 네트워크나 기록 매체로부터 인스톨된다.
이 기록 매체는,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치 본체와는 별도로, 사용자 에게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해 배포되는,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자기 디스크(221)(플렉시블 디스크를 포함한다), 광 디스크(222)(CD-ROM(Compact Disk-Read Only Memory), DVD(Digital Versatile Disk)를 포함한다), 광 자기 디스크(223)(MD(Mini-Disk)(상표)를 포함한다), 혹은 반도체 메모리(224) 등으로 이루어지는 패키지 미디어에 의해 구성되는 것 뿐만 아니라, 장치 본체에 미리 조립된 상태에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ROM(212)이나, 기억부(218)에 포함되는 하드디스크 등으로 구성된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을 기술하는 단계는, 기재된 순서에 따라서 시계열적으로 행해지는 처리는 물론, 반드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지 않더라도, 병렬적 혹은 개별로 실행되는 처리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 시스템이란 복수의 장치에 의해 구성되는 장치 전체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항상 자동 포커싱 기능의 정밀도의 향상이 촉진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색 제어나 노출 제어 등의 그 밖의 제어의 정밀도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줌의 배율에 상관없이, 보조광의 투광 패턴이 검파 프레임 내에 들어가기 쉽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력 절약화가 도모되고, 저비용화가 도모할 수 있다.

Claims (10)

  1. 상 떨림의 신호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상기 상 떨림을 보정하는 보정 수단과, 포커싱 처리를 하기 위한 투광 패턴을 피사체에 향해서 투사하는 투사 수단과, 상기 투사 수단에 의해 투사된 상기 투광 패턴을 검파 프레임 내에서 검파하는 검파 수단을 구비하는 촬영 장치로서,
    상기 투사 수단에 의해 상기 투광 패턴이 투사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1 판단 수단과,
    상기 제1 판단 수단에 의해 상기 투광 패턴이 투사되어 있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상기 신호의 진폭에 따른 계수에 기초하여, 상기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상 떨림을 보정하는 제어량을 연산하는 연산 수단과,
    상기 연산 수단에 의해 연산된 상기 제어량에 기초하여, 상기 검파 수단에 의해 상기 투광 패턴이 검파되는 상기 검파 프레임이 상기 상 떨림 보정을 캔슬하는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상기 검파 프레임의 위치를 설정하는 프레임 설정 수단과,
    상기 연산 수단에 의해 연산된 상기 제어량에 기초하여, 상기 보정 수단에 의한 상기 상 떨림의 보정을 제어하는 보정 제어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설정 수단에 의해 상기 검파 프레임의 위치가 설정됨과 동시에, 줌 배율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검파 프레임의 크기, 또 는 개수를 변경하는 변경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기준값을 설정하는 기준값 설정 수단과,
    상기 제1 판단 수단에 의해 상기 투광 패턴이 투사되어 있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상기 신호의 주파수가, 상기 기준값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된 상기 기준값보다 낮은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2 판단 수단과,
    상기 제2 판단 수단에 의해 상기 신호의 주파수가 상기 기준값보다도 낮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보정 수단에 의한 상기 상 떨림의 보정을 금지시키는 금지 수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판단 수단에 의해 상기 신호의 주파수가 상기 기준값보다도 높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연산 수단은 상기 신호의 진폭에 따른 계수에 기초하여, 상기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상 떨림을 보정하는 제어량을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판단 수단에 의해 상기 신호의 주파수가 상기 기준값보다도 높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연산 수단은 상기 계수의 값을 1에 가깝게 되도록 하여, 상기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상 떨림을 보정하는 제어량을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판단 수단에 의해 상기 투광 패턴이 투사되어 있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상기 신호의 주파수에 기초하여, 상기 신호를 복수의 주파수 대역으로 분류하는 분류 수단과,
    상기 분류 수단에 의해 복수의 상기 주파수 대역으로 분류된 상기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상 떨림을 보정하는 제어량을, 상기 주파수 대역마다, 상기 신호의 진폭에 따른 계수에 기초하여 연산하는 주파수별 연산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보정 제어 수단은, 상기 주파수별 연산 수단에 의해 연산된 상기 제어량에 기초하여, 상기 보정 수단에 의한 상기 상 떨림의 보정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 수단은 상기 신호를 3개의 상기 주파수 대역으로 분류하고,
    상기 주파수별 연산 수단은,
    상기 분류 수단에 의해 분류된 상기 신호 중, 최저의 주파수 대역의 신호에 대한 상기 상 떨림을 보정하는 제어량을, 상기 계수의 값을 O에 가깝게 되도록 하여 연산하고,
    상기 분류 수단에 의해 분류된 상기 신호 중, 중용의 주파수 대역의 신호에 대한 상기 상 떨림을 보정하는 제어량을, 상기 신호의 진폭에 따른 계수에 기초하여 연산하고,
    상기 분류 수단에 의해 분류된 상기 신호 중, 최고의 주파수 대역의 신호에 대한 상기 상 떨림을 보정하는 제어량을, 상기 계수의 값을 1에 가깝게 되도록 하여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장치.
  8. 상 떨림의 신호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상기 상 떨림을 보정하는 보정 수단과, 포커싱 처리를 하기 위한 투광 패턴을 피사체에 향해서 투사하는 투사 수단과, 상기 투사 수단에 의해 투사된 상기 투광 패턴을 검파 프레임 내에서 검파하는 검파 수단을 구비하는 촬영 장치의 신호 처리 방법으로서,
    상기 투사 수단에 의해 상기 투광 패턴이 투사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단계와,
    상기 판단 단계의 처리에 의해 상기 투광 패턴이 투사되어 있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상기 신호의 진폭에 따른 계수에 기초하여, 상기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상 떨림을 보정하는 제어량을 연산하는 연산 단계와,
    상기 연산 단계의 처리에 의해 연산된 상기 제어량에 기초하여, 상기 검파 수단에 의해 상기 투광 패턴이 검파되는 상기 검파 프레임이 상기 상 떨림 보정을 캔슬하는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상기 검파 프레임의 위치를 설정하는 프레임 설정 단계와,
    상기 연산 단계의 처리에 의해 연산된 상기 제어량에 기초하여, 상기 보정 수단에 의한 상기 상 떨림의 보정을 제어하는 보정 제어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 방법.
  9. 상 떨림의 신호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상기 상 떨림을 보정하는 보정 수단과, 포커싱 처리를 하기 위한 투광 패턴을 피사체에 향해서 투사하는 투사 수단과, 상기 투사 수단에 의해 투사된 상기 투광 패턴을 검파 프레임 내에서 검파하는 검파 수단을 구비하는 촬영 장치용의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기록 매체로서,
    상기 투사 수단에 의해 상기 투광 패턴이 투사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단계와,
    상기 판단 단계의 처리에 의해 상기 투광 패턴이 투사되어 있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상기 신호의 진폭에 따른 계수에 기초하여, 상기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상 떨림을 보정하는 제어량을 연산하는 연산 단계와,
    상기 연산 단계의 처리에 의해 연산된 상기 제어량에 기초하여, 상기 검파 수단에 의해 상기 투광 패턴이 검파되는 상기 검파 프레임이 상기 상 떨림 보정을 캔슬하는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상기 검파 프레임의 위치를 설정하는 프레임 설정 단계와,
    상기 연산 단계의 처리에 의해 연산된 상기 제어량에 기초하여, 상기 보정 수단에 의한 상기 상 떨림의 보정을 제어하는 보정 제어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기록 매체.
  10. 삭제
KR1020047019494A 2002-05-30 2003-05-28 촬영 장치, 신호 처리 방법 및 기록 매체 KR1009456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157027 2002-05-30
JP2002157027A JP4016723B2 (ja) 2002-05-30 2002-05-30 撮影装置、信号処理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2159340A JP4016725B2 (ja) 2002-05-31 2002-05-31 撮影装置、信号処理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JPJP-P-2002-00159340 2002-05-31
PCT/JP2003/006633 WO2003102661A1 (fr) 2002-05-30 2003-05-28 Dispositif d'imagerie, procede de traitement de signaux, support d'enregistrement et program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4901A KR20050004901A (ko) 2005-01-12
KR100945617B1 true KR100945617B1 (ko) 2010-03-04

Family

ID=29714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9494A KR100945617B1 (ko) 2002-05-30 2003-05-28 촬영 장치, 신호 처리 방법 및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1508827A4 (ko)
KR (1) KR100945617B1 (ko)
CN (1) CN1325955C (ko)
WO (1) WO20031026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83252B2 (ja) * 2006-04-18 2011-09-28 富士通株式会社 手ぶれ補正機能付き撮像装置、手ぶれ補正方法、手ぶれ補正処理の前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保存画像決定プログラム
CN101237566B (zh) * 2007-02-02 2012-07-18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监控系统及监控方法
KR101488655B1 (ko) * 2007-09-14 2015-02-03 삼성전자 주식회사 자동 초점 조절 장치 및 방법
JP5941630B2 (ja) * 2011-07-14 2016-06-29 オリンパス株式会社 カメラ
US10491828B2 (en) * 2015-04-03 2019-11-26 Canon Kabushiki Kaisha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50719A1 (en) 2000-06-09 2001-12-13 Minolta Co., Ltd. Digital camera
JP2002006359A (ja) * 2000-06-23 2002-01-09 Asahi Optical Co Ltd 像振れ補正装置と撮影レンズとカメラ本体とカメラシステム
US20020027599A1 (en) 2000-08-31 2002-03-07 Tatsuya Yamazaki Blur correction apparatus, control apparatus to be used in a blur correction apparatus, image tak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o be used in these apparatus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to be used with these apparatuse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10563A (en) * 1989-11-29 1993-05-11 Minolta Camera Kabushiki Kaisha Camera capable of correcting blurring
JP3692566B2 (ja) * 1995-09-12 2005-09-07 株式会社ニコン ブレ補正カメラ
JP3740398B2 (ja) * 2000-08-31 2006-02-01 キヤノン株式会社 振れ補正装置、振れ補正装置に適用される制御装置、振れ補正装置に適用される制御方法、振れ補正装置に適用される制御プログラム、撮像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50719A1 (en) 2000-06-09 2001-12-13 Minolta Co., Ltd. Digital camera
JP2002006359A (ja) * 2000-06-23 2002-01-09 Asahi Optical Co Ltd 像振れ補正装置と撮影レンズとカメラ本体とカメラシステム
US20020027599A1 (en) 2000-08-31 2002-03-07 Tatsuya Yamazaki Blur correction apparatus, control apparatus to be used in a blur correction apparatus, image tak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o be used in these apparatus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to be used with these apparatus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08827A4 (en) 2007-09-19
CN1325955C (zh) 2007-07-11
WO2003102661A1 (fr) 2003-12-11
EP1508827A1 (en) 2005-02-23
CN1659467A (zh) 2005-08-24
KR20050004901A (ko) 2005-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55685A (en) Video camera exposure control apparatus for controlling iris diaphragm and automatic gain control operating speed
US7701484B2 (en) Digital still camera and image blur correction apparatus
US7496289B2 (en) Image pickup apparatus, image pickup method therefor, and computer-readable medium storing computer program with panning control
US20060177209A1 (en) Imaging apparatus
JP2008289032A (ja) 撮像装置
US7164853B2 (en) Vibration detection device and vibration correcting optical device
JPH05199449A (ja) 防振カメラ
JP2558174B2 (ja) カメラの手振れ検知装置
EP0757480B1 (en) Image sensing apparatus featured with vibration prevention function
US7636107B2 (en) Imaging device, signal processing method, recording medium, and program
KR100945617B1 (ko) 촬영 장치, 신호 처리 방법 및 기록 매체
US20090290859A1 (en) Image pickup device and method of correcting camera shake of the image pickup device
JPH03203473A (ja) 自動露出制御装置
US20070172219A1 (en) Photographic device with anti-shake function
JP4016725B2 (ja) 撮影装置、信号処理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JP2765642B2 (ja) ビデオカメラ用露出制御装置
JPH11289487A (ja) 撮像装置
JPH0951473A (ja) 撮像装置
US11789337B2 (en) Image stabilization control apparatus, image pickup apparatus, lens apparatus, imaging system,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with calculation overflow prevention
US20230224594A1 (en) Control method, control device, and imaging device
JP2558176B2 (ja) カメラの手振れ検知装置
JP3566387B2 (ja) 撮像装置
JP2558175B2 (ja) カメラの手振れ検知装置
JP2936824B2 (ja) ビデオカメラ用露出制御装置
JP2558177B2 (ja) カメラの手振れ検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