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2958B1 - 시분할 이중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시분할 이중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2958B1
KR101982958B1 KR1020177024194A KR20177024194A KR101982958B1 KR 101982958 B1 KR101982958 B1 KR 101982958B1 KR 1020177024194 A KR1020177024194 A KR 1020177024194A KR 20177024194 A KR20177024194 A KR 20177024194A KR 101982958 B1 KR101982958 B1 KR 1019829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modulation
time
user equipment
time length
carrier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41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9022A (ko
Inventor
얀핑 싱
주캉 센
야난 린
Original Assignee
차이나 아카데미 오브 텔레커뮤니케이션즈 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이나 아카데미 오브 텔레커뮤니케이션즈 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차이나 아카데미 오브 텔레커뮤니케이션즈 테크놀로지
Publication of KR201701090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90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29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29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 H04L5/1469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using time-sha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0014Carrier reg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04L5/0012Hopping in multicarrier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0014Carrier regulation
    • H04L2027/0024Carrier regulation at the receiver end
    • H04L2027/0026Correction of carrier offs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AREA)

Abstract

시분할 이중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여, 유저 기기의 주파수 호핑 회수를 줄이고, 주파수 변조시간을 줄이며, 데이터 전송의 유효 시간을 늘림으로써, 데이터 전송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키고, 소비전력을 줄인다. 상기 시분할 이중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은, 미리 설정된 주파수 변조 시작 시점에 도달했을 때, 유저 기기는 미리 설정된 주파수 변조 시간 길이내에서 데이터 수신 및 송신의 반송 주파수를 조정하여, 조정 후의 반송 주파수를 얻는 단계; 및 상기 유저 기기가 상기 조정 후의 반송 주파수상에서, 현재 주파수 변조 종료 시점과 다음번 주파수 변조 시작 시점사이의 시간 길이인 연속 시간 길이내에서 시분할 이중 업링크/다운링크 설정에 따라 네트워크 기기와 업링크 데이터 송신 및 다운링크 데이터 수신을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시분할 이중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관련 출원]
본 출원은 2015년 02월 16일 중국특허청에 제출된 출원번호 201510084635.9, 발명명칭 "시분할 이중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인 중국특허출원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전체 내용을 본 출원에 원용한다.
본 발명은 통신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TDD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TD-LTE (Time Division Long Term Evolution)은 TDD(Time Division Duplex) 시스템으로서, TD-LTE의 업링크 데이터와 다운링크 데이터의 반송 주파수(carrier frequency)는 동일하나, 업링크 데이터와 다운링크 데이터는 시간상 분리되어 있다. TD-LTE의 무선프레임 구조는 도 1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매 하나의 무선프레임은 10개의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되고, 그중에는 일반 서브프레임 0, 2~5, 7~9 및 두개의 특수 서브프레임이 포함되는데, 그중, 특수 서브프레임은 다운링크 파일롯 타임 슬롯(Downlink Pilot Time Slot, DwPTS), 보호 구간(Guard Period, GP) 및 업링크 파일롯 타임 슬롯(Uplink Pilot Time Slot, UpPTS)으로 구성된다.
GP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이 업링크 서브프레임으로 전환되는 시각에 위치하여, 그 주요 작용으로는, 다운링크 신호가 업링크 신호에 대한 간섭을 피하도록 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2가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지국과의 거리가 서로 다른 유저 기기(User Equipment, UE)의 전달 지연시간은 각자 다르다. 제1 UE가 기지국과 가까이 떨어져 있어 다운링크 데이터의 전송 지연시간이 Tp1이라고 가정하면, 제1 UE가 수신한 다운링크 데이터는 뒤로 Tp1만큼 지연됨을 의미한다. 한편, 서로 다른 UE 업링크 데이터가 기지국에 도달하는 시간의 동기화를 확보하기 위해, 즉 기지국이 정의한 시각에 따라 도달하도록 확보하기 위해서는, 제1 UE가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할 때의 시간 어드밴스(advance)도 Tp1이어야 한다. 유저와 기지국간의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전달 지연도 상응하게 증가한다. 예컨대, 제2 UE가 기지국과 멀리 떨어진 유저로서, 임계의 Tp2=GP/2인 상태에 달할 경우, 제2 UE에 있어서, GP는 다운링크 데이터의 지연과 업링크 데이터의 시간 어드밴스의 합과 같고, 제2 UE와 기지국간의 거리도 이 GP 설정하에 기지국이 지원가능한 최대 셀 반경이다.
TD-LTE 특수 서브프레임에는 여러가지 다양한 설정이 있는데, 타임 슬롯(Ts)을 단위로 할 경우, 표 1이 나타내는 바와 같다.
[표 1]
Figure 112017083566055-pct00001
부호를 단위로 할 경우, 표 2가 나타내는 바와 같다.
[표 2]
Figure 112017083566055-pct00002
TD-LTE는 다양한 업링크/다운링크 설정을 지지하는바, 표3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D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을 나타내고, S는 특수 서브프레임을 나타내며, U는 업링크 서브프레임을 나타낸다.
[표 3]
Figure 112017083566055-pct00003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의 시스템 대역폭은 표 4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기와 같은 6가지로 나뉜다.
[표 4]
Figure 112017083566055-pct00004
버전12(Rel-12) 및 그 전의 버전은 유저 기기가 20 MHz(Mega Hertz) 시스템 대역폭을 지원할 것을 요구하여, 서로 다른 시스템 대역폭내에서 작업가능하도록 한다. 버전13(Rel-13)은 현재 LTE 기반의 eMTC(enhanced Machine Type Communication) UE를 연구 중인 것으로, 1.4MHz 대역폭만 지원하는 UE 타입을 정의할 것을 제안하여, UE의 복잡성과 원가를 저하시키도록 한다. 따라서, 이러한 타입의 UE가 1.4MHz보다 큰 대역폭의 시스템에서 작업 시, 시스템 대역폭 중의 부분 대역폭에서만 작업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타입의 UE는 지하실 등 심층 쇠락 시나리오에 놓여 있을 수 있어, 커버리지가 크게 한정된다. 기지국과의 통신을 진행하기 위해, UE는 반복의 방식을 적용하여 데이터 송수신을 진행해야 하는바, 즉 한 패킷의 데이터에 대해 복수의 서브프레임 송신 및 수신을 연속적으로 진행해야 한다. 데이터 전송의 반복회수를 줄이기 위해, UE가 주파수 호핑(frequency-hopping)을 진행하는 것을 고려함으로써, 일정한 주파수 다이버시티 이득(frequency diversity gain)을 얻는다. UE의 주파수 조정시간을 고려하여, UE가 한 주파수에서 다른 한 주파수로 조정되기 위해서는 일정한 주파수 변조시간(retuning time)을 미리 남겨둬야 하는데, 이 기간내에서 UE는 데이터의 송신 및 수신을 진행할 수 없다.
종래 기술에 있어서, TD-LTE의 구조에 따라, UE의 주파수 변조시간이 1ms라고 가정하면, TD-LTE 업링크/다운링크 타임 슬롯 설정 1을 예로, 업링크/다운링크의 주파수 호핑 패턴은 독립 설계되는 것으로, 도 3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매번 주파수 호핑 조작 시 업링크 데이터 전송 또는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만 진행가능한바, 즉 업링크/다운링크의 주파수 호핑 패턴은 독립 설계되는 것으로, 물리적 자원의 낭비를 초래하고, UE의 데이터 송수신 시간을 연장시키며, UE의 소비전력을 늘린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의 업링크 데이터와 다운링크 데이터의 주파수 호핑 패턴의 독립 설계에 있어서, 매번 업링크 데이터 송신에서 다운링크 데이터 수신으로 전환 시 또는 다운링크 데이터 수신에서 업링크 데이터 송신으로 전환 시, 모두 주파수 호핑을 진행해야 함에 따라, 주파수 호핑 회수가 많아지고, 전체 주파수 변조시간이 길어지며, 대량의 물리 전송 자원 낭비를 초래하고, UE 데이터 전송에 소요되는 시간이 증가하고, UE의 소비전력이 증가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TDD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여, 유저 기기의 주파수 호핑 회수를 줄이고, 주파수 변조시간을 줄이며, 데이터 전송의 유효 시간을 늘림으로써, 데이터 전송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키고, 소비전력을 줄인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TDD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을 제공하는데, 상기 방법은,
미리 설정된 주파수 변조 시작 시점에 도달했을 때, 유저 기기는 미리 설정된 주파수 변조 시간 길이내에서 데이터 송수신의 반송 주파수를 조정하여, 조정 후의 반송 주파수를 얻는 단계; 및
상기 유저 기기가 상기 조정 후의 반송 주파수상에서, 현재 주파수 변조 종료 시점과 다음번 주파수 변조 시작 시점사이의 시간 길이인 연속 시간 길이내에서, TDD 업링크/다운링크 설정에 따라 네트워크 기기와 업링크 데이터 송신 및 다운링크 데이터 수신을 진행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상기 방법에서, 미리 설정된 주파수 변조 시작 시점에 도달했을 때, 유저 기기는 미리 설정된 주파수 변조 시간 길이내에서 데이터 송수신의 반송 주파수를 조정하여, 조정 후의 반송 주파수를 얻고, 유저 기기는 조정 후의 반송 주파수상에서, 연속 시간 길이내에서 TDD 업링크/다운링크 설정에 따라 네트워크 기기와 업링크 데이터 송신 및 다운링크 데이터 수신을 진행하는바, 즉 매번 반송 주파수를 조정한 후, 유저 기기는 연속 시간 길이내에서 TDD 업링크/다운링크 설정에 따라 네트워크 기기와 업링크 데이터 송신 및 다운링크 데이터 수신을 진행한다. 종래 기술에서 업링크 데이터와 다운링크 데이터의 주파수 호핑 패턴이 독립 설계되어, 매번 업링크 데이터 송신에서 다운링크 데이터 수신으로 전환 시 또는 다운링크 데이터 수신에서 업링크 데이터 송신으로 전환 시, 모두 주파수 호핑을 진행해야 하는 것에 비해, 매번 업링크 데이터 송신에서 다운링크 데이터 수신으로 전환 및 다운링크 데이터 수신에서 업링크 데이터 송신으로 전환할 때마다 주파수 호핑을 진행할 필요가 없게 되고, 매번 반송 주파수 조정 후의 연속 시간 길이내에서, 유저 기기는 TDD 업링크/다운링크 설정에 따라 네트워크 기기와 업링크 데이터 송신 및 다운링크 데이터 수신을 진행할 수 있게 되어, 주파수 호핑 회수를 줄이고, 주파수 변조시간을 절약하며, 데이터 전송의 유효 시간을 늘림으로써, 데이터 전송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키고, 소비전력을 줄인다.
가능한 일 실시방식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상기 방법에서, 상기 연속 시간 길이는 복수의 연속 서브프레임을 포함한다.
가능한 일 실시방식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상기 방법에서, 상기 주파수 변조 시간 길이는, 상기 유저 기기가 반송 주파수 조정을 진행하는데 소요되는 시간보다 크거나 같다.
가능한 일 실시방식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상기 방법에서, 상기 주파수 변조 시간 길이는, 서브프레임, 타임 슬롯 또는 부호를 단위로 하는 시간 길이이다.
가능한 일 실시방식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상기 방법에서, 매번의 주파수 변조의 주파수 변조 시작 시점은 업링크 서브프레임에 위치하고, 주파수 변조 종료 시점은 업링크 서브프레임과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의 전환 시점에 위치하거나, 또는, 매번의 주파수 변조의 주파수 변조 시작 시점은 업링크 서브프레임과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의 전환 시점에 위치하고, 주파수 변조 종료 시점은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에 위치한다.
가능한 일 실시방식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상기 방법에서, 상기 유저 기기가 반송 주파수 조정을 진행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특수 서브프레임 중 다운링크 파일롯 타임 슬롯(Downlink Pilot Timeslot,DwPTS)과 업링크 파일롯 타임 슬롯(Uplink Pilot Timeslot ,UpPTS)의 시간 길이 합보다 작거나 같을 경우, 주파수 변조 시작 시점은 특수 서브프레임의 시작 시점에 위치하고, 주파수 변조 종료 시점은 특수 서브프레임의 종료 시점에 위치한다.
가능한 일 실시방식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상기 방법에서, 상기 유저 기기가 반송 주파수 조정을 진행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특수 서브프레임 중 보호 구간(Guard Period, GP) 타임 슬롯의 시간 길이보다 작거나 같을 경우, 주파수 변조 시간은 특수 서브프레임 중 GP 타임 슬롯내에 위치한다.
가능한 일 실시방식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상기 방법에서, 상기 유저 기기가 데이터 송수신의 반송 주파수를 조정하기 전에, 상기 방법은,상기 유저 기기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확정한 특수 서브프레임 설정을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특수 서브프레임 설정 중 보호 간격의 시간 길이는 두배의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서 상기 유저 기기로의 신호 전송 시간 지연과 상기 유저 기기가 반송 주파수 조정을 진행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의 합보다 크거나 같고, 또는, 상기 특수 서브프레임 설정 중 보호간격의 시간 길이는 두배의 상기 유저 기기의 타이밍 어드밴스(timing advance)와 상기 유저 기기가 반송 주파수 조정을 진행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의 합보다 크거나 같다.
가능한 일 실시방식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상기 방법에서, 상기 유저 기기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확정한 특수 서브프레임 설정을 획득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 상기 유저 기기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송신한 시스템 브로드캐스트 메시지 또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송신한 고층 및 물리층 시그널링을 포함하는 유저 전문용 시그널링으로부터 특수 서브프레임 설정을 획득하는 단계이다.
가능한 일 실시방식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상기 방법에서, 상기 매번의 주파수 변조의 주파수 변조 시작 시점과 주파수 변조 시간 길이는, 상기 유저 기기에 미리 설정된 것이거나, 또는 네트워크측 기기가 상기 유저 기기에게 통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TDD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장치는,
미리 설정된 주파수 변조 시작 시점에 도달했을 때, 미리 설정된 주파수 변조 시간 길이내에서 데이터 송수신의 반송 주파수를 조정하여, 조정 후의 반송 주파수를 얻기 위한 처리 유닛; 및
상기 처리 유닛과 연결되여, 상기 조정 후의 반송 주파수상에서, 현재 주파수 변조 종료 시점과 다음번 주파수 변조 시작 시점사이의 시간 길이인 연속 시간 길이내에서, TDD 업링크/다운링크 설정에 따라 네트워크 기기와 업링크 데이터 송신 및 다운링크 데이터 수신을 진행하기 위한 인터랙션(interaction) 유닛;
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상기 장치에서, 미리 설정된 주파수 변조 시작 시점에 도달했을 때, 상기 장치가 위치하는 유저 기기는 미리 설정된 주파수 변조 시간 길이내에서 데이터 수신 및 송신의 반송 주파수를 조정하여, 조정 후의 반송 주파수를 얻고, 조정 후의 반송 주파수상에서, 연속 시간 길이내에서 TDD 업링크/다운링크 설정에 따라 네트워크 기기와의 업링크 데이터 송신 및 다운링크 데이터 수신을 진행하는바, 즉 매번 반송 주파수를 조정한 후, 상기 장치가 소재하는 유저 기기는 연속 시간 길이내에서 TDD 업링크/다운링크 설정에 따라 네트워크 기기와 업링크 데이터 송신 및 다운링크 데이터 수신을 진행한다. 종래 기술에서 업링크 데이터와 다운링크 데이터의 주파수 호핑 패턴이 독립 설계되어, 매번 업링크 데이터 송신에서 다운링크 데이터 수신으로 전환 시 또는 다운링크 데이터 수신에서 업링크 데이터 송신으로 전환 시, 모두 주파수 호핑을 진행해야 하는 것에 비해, 매번 업링크 데이터 송신에서 다운링크 데이터 수신으로 전환 및 다운링크 데이터 수신에서 업링크 데이터 송신으로 전환할 때마다 주파수 호핑을 진행할 필요가 없게 되고, 매번 반송 주파수 조정 후의 연속 시간 길이내에서, 상기 장치가 소재하는 유저 기기는 TDD 업링크/다운링크 설정에 따라 네트워크 기기와의 업링크 데이터 송신 및 다운링크 데이터 수신을 진행할 수 있게 되어, 주파수 호핑 회수를 줄이고, 주파수 변조시간을 절약하며, 데이터 전송의 유효 시간을 늘림으로써, 데이터 전송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키고, 소비전력을 줄인다.
가능한 일 실시방식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상기 장치에서, 상기 연속 시간 길이는 복수의 연속 서브프레임을 포함한다.
가능한 일 실시방식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상기 장치에서, 상기 주파수 변조 시간 길이는, 상기 처리 유닛이 반송 주파수 조정을 진행하는데 소요되는 시간보다 크거나 같다.
가능한 일 실시방식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상기 장치에서, 상기 주파수 변조 시간 길이는, 서브프레임, 타임 슬롯 또는 부호를 단위로 하는 시간 길이이다.
가능한 일 실시방식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상기 장치에서, 매번의 주파수 변조의 주파수 변조 시작 시점은 업링크 서브프레임에 위치하고, 주파수 변조 종료 시점은 업링크 서브프레임과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의 전환 시점에 위치하거나, 또는, 매번의 주파수 변조의 주파수 변조 시작 시점은 업링크 서브프레임과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의 전환 시점에 위치하고, 주파수 변조 종료 시점은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에 위치한다.
가능한 일 실시방식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상기 장치에서, 상기 처리 유닛이 반송 주파수 조정을 진행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특수 서브프레임 중 다운링크 파일롯 타임 슬롯과 업링크 파일롯 타임 슬롯의 시간 길이 합보다 작거나 같을 경우, 주파수 변조 시작 시점은 특수 서브프레임의 시작 시점에 위치하고, 주파수 변조 종료 시점은 특수 서브프레임의 종료 시점에 위치한다.
가능한 일 실시방식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상기 장치에서, 상기 처리 유닛이 반송 주파수 조정을 진행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특수 서브프레임 중 GP 타임 슬롯의 시간 길이보다 작거나 같을 경우, 주파수 변조 시간은 특수 서브프레임 중 GP 타임 슬롯내에 위치한다.
가능한 일 실시방식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상기 장치에서, 상기 처리 유닛이 데이터 송수신의 반송 주파수를 조정하기 전에, 상기 인터랙션 유닛은, 또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확정한 특수 서브프레임 설정을 획득하기 위한 것이고, 여기서, 상기 특수 서브프레임 설정 중 보호간격의 시간 길이는 두배의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서 상기 기기가 위치하는 유저 기기로의 신호 전송 시간 지연과 상기 처리 유닛이 반송 주파수 조정을 진행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의 합보다 크거나 같고, 또는, 상기 특수 서브프레임 설정 중 보호간격의 시간 길이는 두배의 상기 기기가 위치하는 유저 기기의 타이밍 어드밴스와 상기 처리 유닛이 반송 주파수 조정을 진행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의 합보다 크거나 같다.
가능한 일 실시방식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상기 장치에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송신한 시스템 브로드캐스트 메시지 또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송신한 고층 및 물리층 시그널링을 포함하는 유저 전문용 시그널링으로부터 특수 서브프레임 설정을 획득하기 위한 것이다.
가능한 일 실시방식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상기 장치에서, 상기 매번의 주파수 변조의 주파수 변조 시작 시점과 주파수 변조 시간 길이는, 상기 처리 유닛에 미리 설정된 것이거나, 또는 네트워크측 기기가 상기 기기가 위치하는 유저 기기에게 통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서 TDD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무선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서 무선프레임 구조 중 특수 서브프레임에서의 보호 간격 역할의 원리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은 종래 기술에서 업링크/다운링크 주파수 호핑이 독립 설계되는 주파수 호핑 패턴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TDD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서브프레임을 단위로 하는 주파수 호핑 패턴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타임 슬롯을 단위로 하는 주파수 호핑 패턴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다른 한 타임 슬롯을 단위로 하는 주파수 호핑 패턴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부호를 단위로 하는 주파수 호핑 패턴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다른 한 부호를 단위로 하는 주파수 호핑 패턴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서브프레임을 단위로 하여 업링크 서브프레임에서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으로 전환 시 반송 주파수를 조정하는 주파수 호핑 패턴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서브프레임을 단위로 하여 특수 서브프레임에서 반송 주파수를 조정하는 주파수 호핑 패턴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부호를 단위로 하여 보호 간격내에서 반송 주파수를 조정하는 주파수 호핑 패턴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TDD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다른 한 TDD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결부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시분할 이중 TDD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의 구체적인 실시방식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TDD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은, 도 4가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기와 같은 단계 402와 단계 404를 포함한다.
단계 402: 미리 설정된 주파수 변조 시작 시점에 도달했을 때, 유저 기기는 미리 설정된 주파수 변조 시간 길이내에서 데이터 송수신의 반송 주파수를 조정하여, 조정 후의 반송 주파수를 얻는다.
단계 404: 유저 기기는 조정 후의 반송 주파수상에서, 현재 주파수 변조 종료 시점과 다음번 주파수 변조 시작 시점사이의 시간 길이인 연속 시간 길이내에서 TDD 업링크/다운링크 설정에 따라 네트워크 기기와 업링크 데이터 송신 및 다운링크 데이터 수신을 진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주파수 변조 시작 시점에 도달했을 때, 유저 기기는 미리 설정된 주파수 변조 시간 길이내에서 데이터 수신 및 송신의 반송 주파수를 조정하여, 조정 후의 반송 주파수를 얻고, 유저 기기는 조정 후의 반송 주파수상에서, 연속 시간 길이내에서 TDD 업링크/다운링크 설정에 따라 네트워크 기기와 업링크 데이터 송신 및 다운링크 데이터 수신을 진행한다. 즉 매번 반송 주파수를 조정한 후, 유저 기기는 연속 시간 길이내에서 TDD 업링크/다운링크 설정에 따라 네트워크 기기와 업링크 데이터 송신 및 다운링크 데이터 수신을 진행하는 것으로, 종래 기술에서 업링크 데이터와 다운링크 데이터의 주파수 호핑 패턴이 독립 설계되어, 매번 업링크 데이터 송신에서 다운링크 데이터 수신으로 전환 시 또는 다운링크 데이터 수신에서 업링크 데이터 송신으로 전환 시, 모두 주파수 호핑을 진행해야 하는 것에 비해, 매번 업링크 데이터 송신에서 다운링크 데이터 수신으로 전환 및 다운링크 데이터 수신에서 업링크 데이터 송신으로 전환할 때마다 주파수 호핑을 진행할 필요가 없게 되고, 매번 반송 주파수 조정 후의 연속 시간 길이내에서, 유저 기기는 TDD 업링크/다운링크 설정에 따라 네트워크 기기와 업링크 데이터 송신 및 다운링크 데이터 수신을 진행할 수 있게 되어, 주파수 호핑 회수를 줄이고, 주파수 변조시간을 절약하며, 데이터 전송의 유효 시간을 늘림으로써, 데이터 전송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키고, 소비전력을 줄인다.
물론, 당업자들은 반송 주파수 조정 후의 연속 시간 길이내에서, 업링크 데이터 송신 및 다운링크 데이터 수신을 진행하는 무선프레임에는 특수 서브프레임이 더 포함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가능한 일 실시방식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연속 시간 길이는 복수의 연속 서브프레임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실시될 때, 연속 시간 길이는 복수의 연속 서브프레임을 포함하는데, 상기 복수의 연속 서브프레임에서 업링크 데이터의 송신 및 다운링크 데이터의 수신을 진행할 수 있고, 상기 연속 서브프레임의 개수는 유저 기기에 의해 미리 정의되거나, 또는 네트워크 기기가 유저 기기에게 통지하는 것일 수 있다.
가능한 일 실시방식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주파수 변조 시간 길이는, 유저 기기가 반송 주파수 조정을 진행하는데 소요되는 시간보다 크거나 같다.
여기서 설명해야 할 것은, 주파수 변조 시간 길이가 유저 기기가 반송 주파수 조정을 진행하는데 소요되는 시간보다 크거나 같음을 확보하는 전제하에, 가능한 주파수 변조시간을 단축시켜, 데이터 전송의 유효 시간을 늘림으로써, 데이터 전송의 실제 소모 시간을 단축시키고, 소비전력을 줄여야 한다.
가능한 일 실시방식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주파수 변조 시간 길이는, 서브프레임, 타임 슬롯 또는 부호를 단위로 하는 시간 길이다.
구체적으로 실시될 때, 주파수 변조 시간 길이 단위를 선택 시, 유저 기기가 반송 주파수를 조정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에 따라 탄력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바, 아래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결부하여 주파수 변조 시간 길이가 서브프레임, 타임 슬롯 또는 부호를 단위로 하는 경우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1: 서브프레임을 단위로 하여 UE를 위해 주파수 변조 시간 길이를 미리 남겨둔다. UE는 N1개의 연속된 서브프레임내에서 반송 주파수를 조정하고, 두개의 연속된 반송 주파수 조정시간사이에서, 즉, 현재 주파수 변조 종료 시점과 다음번 주파수 변조 시작 시점사이에서, UE는 동일한 주파수상에서 TDD 업링크/다운링크 설정에 따라 업링크 데이터와 다운링크 데이터의 전송을 진행한다. 반송 주파수 조정에 따른 자원 낭비와 UE 소비전력 및 송수신 시간의 증가를 줄이기 위해, N1의 값은 UE가 반송 주파수를 조정하는데 소요되는 시간보다 크거나 같음을 확보하는 전제하에 가능한 작게 취해야 한다.
구체적인 실시 과정에서, UE가 반송 주파수를 조정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1ms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는바, UE를 위해 하나의 일반 서브프레임을 미리 남겨두어 주파수 변조 시간 길이로 한다. TD-LTE 업링크/다운링크 타임 슬롯 설정 1 을 예로, 주파수 호핑 패턴은 도 5가 도시하는 바와 같은바, 무선프레임의 첫번째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을 UE의 주파수 변조 시간 길이로서 미리 남겨두고, UE는 하나의 무선프레임 중 동일한 반송 주파수상에서 작업하고, TDD 업링크/다운링크 설정에 따라 네트워크 기기와 데이터 송신 및 수신을 진행한다.
실시예 2: 타임 슬롯을 단위로 하여 UE를 위해 주파수 변조 시간 길이를 미리 남겨둔다. UE는 N2개의 연속된 타임 슬롯내에서 반송 주파수를 조정하고, 두개의 연속된 반송 주파수 조정 시간사이에서, UE는 동일한 반송 주파수상에서 TDD 업링크/다운링크 설정에 따라 데이터 송수신을 진행한다. 반송 주파수 주파수 변조에 따른 자원 낭비와 UE 소비전력 및 송수신 시간 증가를 줄이기 위해, N2의 값은 UE가 반송 주파수를 조정하는데 소요되는 시간보다 크거나 같음을 확보하는 전제하에 가능한 작게 취해야 한다.
실시 과정에서, UE가 반송 주파수를 조정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0.4ms일 경우, UE를 위해 하나의 타임 슬롯, 즉, 0.5ms의 주파수 변조시간을 미리 남겨둔다. 상기 하나의 타임 슬롯의 주파수 변조시간은 하나의 서브프레임의 전(前)반개의 타임 슬롯에 미리 남겨둘 수도 있고, 하나의 서브프레임의 후반개의 타임 슬롯에 미리 남겨둘 수도 있다. TD-LTE 업링크/다운링크 타임 슬롯 설정 1을 예로, 주파수 호핑 패턴은 도 6이 도시하는 바와 같은바, 무선프레임 중 마지막 하나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의 후반개의 타임 슬롯을 UE의 주파수 변조 시간 길이로 하고, UE는 다음 하나의 무선프레임 중 조정 후의 반송 주파수상에서 작업하고, TDD 업링크/다운링크 설정에 따라 데이터의 수신 및 송신을 진행한다. UE는 주파수 호핑 패턴에 따라 반송 주파수 조정을 진행하는데, 반송 주파수 조정 시간 길이내에서는 데이터 수신 또는 송신을 진행할 수 없다.
다른 한 실시 과정에서, UE가 소요되는 주파수 변조시간이 1.4ms일 경우, UE를 위해 세개의 타임 슬롯, 즉 1.5ms의 주파수 변조시간을 미리 남겨둔다. TD-LTE 업링크/다운링크 타임 슬롯 설정 1을 예로, 주파수 호핑 패턴은 도 7이 도시하는 바와 같은바, 무선프레임 중 세개의 타임 슬롯을 주파수 변조 시간 길이로 하고, UE는 주파수 호핑 패턴에 따라 반송 주파수를 조정하는데, 반송 주파수를 조정하는 시간 길이내에서는 데이터 수신 또는 송신을 진행할 수 없다. 반송 주파수를 조정한 후, UE는, 그다음의 주파수 변조 시작 시점이 될 때까지, 조정 후의 반송 주파수상에서 TDD 업링크/다운링크 설정에 따라 데이터의 수신 및 송신을 진행한다.
실시예 3: 부호를 단위로 하여, UE를 위해 주파수 변조 시간 길이를 미리 남겨둔다. UE는 N3개의 부호내에서 주파수를 조정하고, 두개의 연속된 반송 주파수 조정시간사이에서, UE는 동일한 반송 주파수상에서 TDD 업링크/다운링크 설정에 따라 데이터 송수신을 진행한다.
반송 주파수 조정에 따른 자원 낭비와 UE 소비전력 및 송수신 시간의 증가를가능한 줄이기 위해, N3의 값은 UE가 반송 주파수를 조정하는데 소요되는 시간보다 크거나 같음을 확보하는 전제하에 가능한 작게 취해야 한다.
업링크 서브프레임 중 매 하나의 단일 반송파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Single-carrier Frequency-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 부호의 시간 길이는
Figure 112017083566055-pct00005
ms이다. 일반 순환 전치에 대해,
Figure 112017083566055-pct00006
는 7이고; 확장 순환 전치에 대해,
Figure 112017083566055-pct00007
는 6이다.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중 매 하나의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 OFDM) 부호의 시간은
Figure 112017083566055-pct00008
ms이다. 일반 순환 전치에 대해,
Figure 112017083566055-pct00009
는 7이고; 확장 순환 전치에 대해, 주파수 간격은 15kHz,
Figure 112017083566055-pct00010
는 6이고; 주파수 간격은 7.5kHz,
Figure 112017083566055-pct00011
는 3이다.
비교적 구체적인 일 실시예로서, 일반 순환 전치를 예로, 예컨대, UE가 소요되는 주파수 변조시간이 0.2ms일 경우, UE를 위해 세개의 부호의 주파수 변조 시간 길이를 미리 남겨둔다. 상기 세개의 부호의 주파수 변조 시간 길이는 하나의 서브프레임 중 임의의 연속된 부호를 선택할 수 있다. 하나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중 앞의 세개의 부호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대역폭이 작은 UE는 종래의 제어 지역을 수신하지 못하고, 종래의 제어 지역은 하나의 서브프레임의 앞의 몇개의 부호를 점용하기 때문이다. TD-LTE 업링크/다운링크 타임 슬롯 설정 1을 예로, 주파수 호핑 패턴은 도 8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무선프레임 중 첫번째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의 앞의 세개의 OFDM 부호를 반송 주파수를 조정하는 시간으로 한다.
실시 과정에서, 일반 순환 전치를 예로, UE가 소요되는 주파수 변조시간이 0.7ms일 경우, UE를 위해 10개의 부호의 주파수 변조 시간 길이를 미리 남겨둔다. 상기 10개의 부호의 주파수 변조 시간 길이는 하나의 서브프레임 중 임의의 10개의 연속된 부호를 선택할 수 있다. TD-LTE 업링크/다운링크 타임 슬롯 설정 1을 예로, 주파수 호핑 패턴은 도 9가 도시하는 바와 같이, 무선프레임 중 첫번째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의 앞의 10개의 OFDM 부호를 반송 주파수를 조정하는 시간으로 한다.
다른 한 실시 과정에서, 매번의 주파수 변조의 주파수 변조 시작 시점은 업링크 서브프레임에 위치하고, 주파수 변조 종료 시점은 업링크 서브프레임과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의 전환 시점에 위치하거나, 또는, 매번의 주파수 변조의 주파수 변조 시작 시점은 업링크 서브프레임과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의 전환 시점에 위치하고, 주파수 변조 종료 시점은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에 위치한다.
구체적으로 실시될 때, 업링크 신호의 사전 송신 및 다운링크 신호의 전달 지연 시, 매번의 주파수 변조의 주파수 변조 시작 시점은 업링크 서브프레임에 위치하고, 주파수 변조 종료 시점은 업링크 서브프레임과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의 전환 시점에 위치하거나, 또는, 매번의 주파수 변조의 주파수 변조 시작 시점은 업링크 서브프레임과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의 전환 시점에 위치하고, 주파수 변조 종료 시점은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에 위치하기 때문에, 유저 기기는 보다 긴 반송 주파수조정 시간을 획득할 수 있다.
실시 과정에서, 주파수 변조 시간 길이는 서브프레임을 단위로 하는 경우를 예로, 예컨대, UE가 소요되는 주파수 변조 시간 길이가 1ms보다 작거나 같을 경우, UE를 위해 하나의 일반 서브프레임을 미리 남겨 두어 반송 주파수를 조정하는 시간으로 하고, TD-LTE 업링크/다운링크 타임 슬롯 설정 1을 예로, 주파수 호핑 패턴은 도 10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업링크 서브프레임이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으로 전환 시의 첫번째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을 UE의 주파수 변조 시간 길이로 한다. 물론, 본 발명의 기타 실시예에 있어서, 업링크 서브프레임이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으로 전환 시의 마지막 업링크 서브프레임을 UE의 주파수 변조 시간 길이로 할 수도 있다.
다른 한 실시 과정에서, 유저 기기가 반송 주파수 조정을 진행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특수 서브프레임 중 다운링크 파일롯 타임 슬롯과 업링크 파일롯 타임 슬롯의 시간 길이 합보다 작거나 같으면, 주파수 변조 시작 시점은 특수 서브프레임의 시작 시점에 위치하고, 주파수 변조 종료 시점은 특수 서브프레임의 종료 시점에 위치한다.
실시 과정에서, UE가 반송 주파수를 조정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특수 서브프레임 중 DwPTS와 UpPTS 시간 길이 합보다 작거나 같을 경우, UE를 위해 하나의 특수 서브프레임을 미리 남겨 두어 주파수 변조 시간 길이로 할 수 있다. TD-LTE 업링크/다운링크 타임 슬롯 설정 1을 예로, 주파수 호핑 패턴은 도 11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특수 서브프레임을 UE의 주파수 변조 시간 길이로서 남겨 두어, UE는 주파수 변조 시간 길이로서 미리 남겨 둔 특수 서브프레임에서 주파수 호핑 패턴에 따라 반송 주파수를 조정하는데, 반송 주파수를 조정하는 시간 길이내에서는 데이터의 수신 또는 송신을 진행할 수 없다. 반송 주파수를 조정한 후, UE는, 그다음의 반송 주파수를 조정하는 특수 서브프레임이 될 때 까지, 조정 후의 반송 주파수상에서 TDD 업링크/다운링크 설정에 따라 데이터의 수신 및 송신을 진행한다.
실시 과정에서, 만약 유저 기기가 반송 주파수 조정을 진행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특수 서브프레임 중 GP 타임 슬롯의 시간 길이보다 작거나 같으면, 주파수 변조시간은 특수 서브프레임 중 GP 타임 슬롯내에 위치한다.
실시 과정에서, 유저 기기가 데이터 수신 및 송신의 반송 주파수를 조정하기 전에, 상기 방법은, 유저 기기는 네트워크 기기가 확정한 특수 서브프레임 설정을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데, 여기서, 상기 특수 서브프레임 설정 중 보호간격의 시간 길이는 두배의 네트워크 기기에서 유저 기기로의 신호 전송 시간 지연과 유저 기기가 반송 주파수 조정을 진행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의 합보다 크거나 같고, 또는, 상기 특수 서브프레임 설정 중 보호간격의 시간 길이는 두배의 유저 기기의 타이밍 어드밴스와 유저 기기가 반송 주파수 조정을 진행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의 합보다 크거나 같다.
구체적으로 실시될 때, 유저 기기의 주파수 변조 시간 길이가 GP 타임 슬롯의 시간 길이보다 길거나 같을 경우, 유저 기기가 특수 서브프레임의 GP 타임 슬롯에서 주파수 호핑을 진행하도록 배치가능한데, 여기서, 특수 서브프레임 설정의 GP 타임 슬롯 시간 길이는 두배의 네트워크 기기에서 유저 기기로의 신호 전송 지연시간(또는 두배의 타이밍 어드밴스)와 유저 기기가 반송 주파수를 조정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의 합보다 크거나 같다. 여기서 설명해야 할 것은, GP 타임 슬롯이 크면 클수록, 특수 서브프레임 중 사용 불가능한 비율이 커져, 전송 효율이 낮아지게 되므로, 상기 특수 설정은 유저 기기가 특수 서브프레임의 GP 타임 슬롯 부분에서 주파수를 변조해야 할 때에만 사용된다.
실시 과정에서, 일반 순환 전치를 예로, UE가 반송 주파수를 조정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6개의 부호라고 가정한다. 다운링크 신호가 업링크 신호에 대한 간섭을 피하기 위해, 셀 반경에 근거하여 에지 유저 GP 타임 슬롯을 확정하는데는 4개의 부호가 필요하다. 종래 기술에서 특수 서브프레임의 설정은 하기 표 5가 도시하는 바와 같은데, 이 경우, 네트워크 기기는, GP 타임 슬롯에서 주파수 호핑할 필요가 없는 UE를 위해 특수 서브프레임 설정 1(GP 타임 슬롯 길이는 4개의 부호)을 배치하고, GP 타임 슬롯에서 주파수 호핑을 진행해야 하는 UE를 위해 특수 서브프레임 설정 0(GP 타임 슬롯의 길이는 10개의 부호)을 배치한다.
[표 5]
Figure 112017083566055-pct00012
UE가 특수 서브프레임의 GP 타임 슬롯에서 주파수 변조를 해야 할 경우, 특수 서브프레임 설정 0에 따라 특수 서브프레임 중 DwPTS, GP 및 UpPTS를 확정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 특수 서브프레임 설정 1에 따라 특수 서브프레임 중 DwPTS, GP 및 UpPTS를 확정하는바, 도 12가 도시하는 바와 같이, 무선프레임 #n을 예로, 상기 무선프레임 중 특수 서브프레임 1202는 특수 서브프레임 설정 0으로 배치되고, GP 타임 슬롯 길이는 10개의 부호이고, UE는 GP 타임 슬롯 시간 길이내에서 반송 주파수를 조정하는 반면, 특수 서브프레임 1204는 여전히 특수 서브프레임 설정 1로 배치되고, GP 타임 슬롯 길이는 4개의 부호이고, UE는 GP 타임 슬롯 시간 길이내에서 반송 주파수를 조정하지 않는다. 이에 상응하게, 네트워크측 설비(예를 들어, 기지국)는 UE가 반송 주파수 조정을 진행하는 특수 서브프레임 1202에서, 주파수 변조 UE DwPTS에 대해 3개의 부호만 사용하도록 스케줄링하고, 기타 특수 서브프레임에서 DwPTS는 9개의 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
다른 한 실시 과정에서, 여전히 일반 순환 전치를 예로, UE가 반송 주파수를 조정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길이가 3개의 부호라고 가정한다. UE의 위치에 근거하여 상기 UE의 GP 타임 슬롯이 필요한 부호 개수를 확정하여 다운링크 신호가 업링크 신호에 대한 간섭을 피하도록 한다. 예컨대, 다운링크 신호가 업링크 신호에 대한 간섭을 피하기 위해 제1 UE는 한개의 부호의 GP 타임 슬롯이 필요하고, 다운링크 신호가 업링크 신호에 대한 간섭을 피하기 위해 제2 UE는 셀 에지에 위치하여 4개의 부호의 GP 타임 슬롯이 필요하다고 가정하면, 제1 UE는 특수 서브프레임 설정 1을 배치하고, 제2 UE는 특수 서브프레임 설정 0을 배치한다. 제1 UE는 항상 특수 서브프레임 설정 1에 따라 특수 서브프레임 중 DwPTS, GP및 UpPTS를 확정한다. 제2 UE가 특수 서브프레임의 GP 타임 슬롯에서 주파수 변조를 진행해야 할 경우, 특수 서브프레임 설정 0에 따라 특수 서브프레임 중 DwPTS, GP 및 UpPTS를 확정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특수 서브프레임 설정 1에 따라 특수 서브프레임 중 DwPTS, GP 및 UpPTS를 확정한다.
실시 과정에서, 유저 기기는 네트워크 기기가 확정한 특수 서브프레임 설정을 획득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 유저 기기는 네트워크 기기가 송신한 시스템 브로드캐스트 메시지 또는 네트워크 기기가 송신한 고층 및 물리층 시그널링을 포함하는 유저 전문용 시그널링으로부터 특수 서브프레임 설정을 획득하는 단계이다.
실시 과정에서, 매번의 주파수 변조의 주파수 변조 시작 시점 및 주파수 변조 시간 길이는 미리 상기 유저 기기내에 배치된 것, 또는 네트워크측 설비가 상기 유저 기기에게 통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시분할 이중 TDD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장치는, 도 13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미리 설정된 주파수 변조 시작 시점에 도달했을 때, 미리 설정된 주파수 변조 시간 길이내에서 데이터 수신 및 송신의 반송 주파수를 조정하여, 조정 후의 반송 주파수를 얻기 위한 처리 유닛(1302); 및
처리 유닛(1302) 과 연결되여, 상기 조정 후의 반송 주파수상에서 현재 주파수 변조 종료 시점과 다음번 주파수 변조 시작 시점사이의 시간 길이인 연속 시간 길이내에서 TDD 업링크/다운링크 설정에 따라 네트워크 기기와 업링크 데이터 송신 및 다운링크 데이터 수신을 진행하기 위한 인터랙션 유닛(1304);
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장치에서, 미리 설정된 주파수 변조 시작 시점에 도달했을 때, 상기 장치가 소재하는 유저 기기는 미리 설정된 주파수 변조 시간 길이내에서 데이터 수신 및 송신의 반송 주파수를 조정하여, 조정 후의 반송 주파수를 얻고, 조정 후의 반송 주파수상에서, 연속 시간 길이내에서 TDD 업링크/다운링크 설정에 따라 네트워크 기기와의 업링크 데이터 송신 및 다운링크 데이터 수신을 진행하는바, 즉 매번 반송 주파수를 조정한 후, 상기 장치가 소재하는 유저 기기는 연속 시간 길이내에서 TDD 업링크/다운링크 설정에 따라 네트워크 기기와의 업링크 데이터 송신 및 다운링크 데이터 수신을 진행하는 것으로, 종래 기술에서 업링크 데이터와 다운링크 데이터의 주파수 호핑 패턴이 독립 설계되어, 매번 업링크 데이터 송신에서 다운링크 데이터 수신으로 전환 시 또는 다운링크 데이터 수신에서 업링크 데이터 송신으로 전환 시, 모두 주파수 호핑을 진행해야 하는 것에 비해, 매번 업링크 데이터 송신에서 다운링크 데이터 수신으로 전환 및 다운링크 데이터 수신에서 업링크 데이터 송신으로 전환할 때마다 주파수 호핑을 진행할 필요가 없게 되고, 매번 반송 주파수 조정 후의 연속 시간 길이내에서, 상기 장치가 소재하는 유저 기기는 TDD 업링크/다운링크 설정에 따라 네트워크 기기와의 업링크 데이터 송신 및 다운링크 데이터 수신을 진행할 수 있게 되어, 주파수 호핑 회수를 줄이고, 주파수 변조시간을 절약하며, 데이터 전송의 유효 시간을 늘림으로써, 데이터 전송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키고, 소비전력을 줄인다.
가능한 일 실시방식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장치에서, 상기 연속 시간 길이는 복수의 연속 서브프레임을 포함한다.
가능한 일 실시방식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장치에서, 상기 주파수 변조 시간 길이는, 처리 유닛(1302)이 반송 주파수 조정을 진행하는데 소요되는 시간보다 크길거나 같다.
가능한 일 실시방식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장치에서, 상기 주파수 변조 시간 길이는, 서브프레임, 타임 슬롯 또는 부호를 단위로 하는 시간 길이이다.
가능한 일 실시방식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장치에서, 매번의 주파수 변조의 주파수 변조 시작 시점은 업링크 서브프레임에 위치하고, 주파수 변조 종료 시점은 업링크 서브프레임과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의 전환 시점에 위치하거나, 또는, 매번의 주파수 변조의 주파수 변조 시작 시점은 업링크 서브프레임과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의 전환 시점에 위치하고, 주파수 변조 종료 시점은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에 위치한다.
가능한 일 실시방식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장치에서, 처리 유닛(1302)이 반송 주파수 조정을 진행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특수 서브프레임 중 다운링크 파일롯 타임 슬롯과 업링크 파일롯 타임 슬롯의 시간 길이 합보다 작거나 같으면, 주파수 변조 시작 시점은 특수 서브프레임의 시작 시점에 위치하고, 주파수 변조 종료 시점은 특수 서브프레임의 종료 시점에 위치한다.
가능한 일 실시방식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장치에서, 처리 유닛(1302)이 반송 주파수 조정을 진행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특수 서브프레임 중 GP 타임 슬롯의 시간 길이보다 작거나 같으면, 주파수 변조시간은 특수 서브프레임 중 GP 타임 슬롯내에 위치한다.
가능한 일 실시방식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장치에서, 처리 유닛(1302)이 데이터 수신 및 송신의 반송 주파수를 조정하기 전에, 인터랙션 유닛(1304)은,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확정한 특수 서브프레임 설정을 획득하기 위한 것이고, 여기서, 상기 특수 서브프레임 설정 중 보호간격의 시간 길이는 두배의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서 상기 장치가 소재하는 유저 기기의 신호 전송 시간 지연과 상기 처리 유닛이 반송 주파수 조정을 진행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의 합보다 그거나 같고, 또는, 상기 특수 서브프레임 설정 중 보호간격의 시간 길이는 두배의 상기 장치가 소재하는 유저 기기의 타이밍 어드밴스와 상기 처리 유닛이 반송 주파수 조정을 진행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의 합보다 크거나 같다.
가능한 일 실시방식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장치에서, 인터랙션 유닛(1304)은, 구체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송신한 시스템 브로드캐스트 메시지 또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송신한 고층 및 물리층 시그널링을 포함하는 유저 전문용 시그널링으로부터 특수 서브프레임 설정을 획득하기 위한 것이다.
가능한 일 실시방식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장치에서, 상기 매번의 주파수 변조의 주파수 변조 시작 시점 및 주파수 변조 시간 길이는, 미리 처리 유닛(1302)에 배치된 것, 또는 네트워크측 설비가 상기 장치가 소재하는 유저 기기에게 통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시분할 이중 TDD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장치는 유저 기기의 일부분으로서 유저 기기에 집적될 수 있는데, 여기서, 처리 유닛(1302)은 CPU 프로세서 등을 적용할 수 있고, 인터랙션 유닛(1304)은 송수신기를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다른 한 시분할 이중 TDD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장치는, 도 14가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로세서(141), 메모리(142), 송수신기(143) 및 유저 인터페이스(144)를 포함하는바, 구체적으로는 하기와 같다.
프로세서(141)는 메모리(142)로부터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하기와 같은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즉,
미리 설정된 주파수 변조 시작 시점에 도달했을 때, 미리 설정된 주파수 변조 시간 길이내에서 데이터 수신 및 송신의 반송 주파수를 조정하고, 조정 후의 반송 주파수를 얻는다.
조정 후의 반송 주파수상에서, 연속 시간 길이내에서 TDD 업링크/다운링크 설정에 따라 송수신기(143)를 통하여 네트워크 기기와 업링크 데이터 송신 및 다운링크 데이터 수신을 진행한다. 여기서, 상기 연속 시간 길이는 현재 주파수 변조 종료 시점과 다음번 주파수 변조 시작 시점사이의 시간 길이이다.
송수신기(143)는, 프로세서(141)의 제어하에 데이터를 수신 및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도 14에서 버스 구성은 서로 연결된 임의의 수량의 버스와 브릿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41)에 의해 대표되는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세서와 메모리(142)에 의해 대표되는 메모리의 각종 회로는 서로 연결되어 있다. 버스 구성은 또한 주변 장치, 전압안정기 및 파워관리회로 등 각종 기타 회로를 하나로 연결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분야에서 공지된 것이으므로 본 명세서에서 추가 설명을 하지 않는다. 버스 인터페이스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송수신기(143)는 다수의 소자일 수 있고 다시 말해 송신기와 수신기를 포함하고 전송매체에서 기타 각종 장치와 통신하는 유닛을 제공할 수 있다. 서로 다른 유저 장치에 대해, 유저 인터페이스(144)는 또한 내부 연결에 필요한 장치를 외접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일 수 있으며, 연결되는 장치는 키패드, 디스플레이, 스피커, 마이크, 제어레버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프로세서(141)는 버스 구성의 관리 및 통상의 처리를 책임지며, 메모리(142)는 프로세서(141)의 작업 수행시 사용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시분할 이중 TDD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미리 설정된 주파수 변조 시작 시점에 도달했을 때, 유저 기기는 미리 설정된 주파수 변조 시간 길이내에서 데이터 수신 및 송신의 반송 주파수를 조정하여, 조정 후의 반송 주파수를 얻고, 유저 기기는 조정 후의 반송 주파수상에서, 연속 시간 길이내에서 TDD 업링크/다운링크 설정에 따라 네트워크 기기와의 업링크 데이터 송신 및 다운링크 데이터 수신을 진행하는 것으로, 매번 업링크 데이터 송신에서 다운링크 데이터 수신으로 전환 및 다운링크 데이터 수신에서 업링크 데이터 송신으로 전환할 때마다 주파수 호핑을 진행할 필요가 없게 되고, 매번 반송 주파수 조정 후의 연속 시간 길이내에서, 유저 기기는 TDD 업링크/다운링크 설정에 따라 네트워크 기기와의 업링크 데이터 송신 및 다운링크 데이터 수신을 진행할 수 있게 되어, 주파수 호핑 회수를 줄이고, 주파수 변조시간을 절약하며, 데이터 전송의 유효 시간을 늘림으로써, 데이터 전송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키고, 소비전력을 줄인다.
본 분야의 기술자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방법, 시스템,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 제공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완전한 하드웨어 실시예, 완전한 소프트웨어 실시예,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측면을 결합한 실시예의 형태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컴퓨터 사용가능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한 하나 또는 다수의 컴퓨터 사용가능 저장매체(디스크 메모리, 광학 메모리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에서 실시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형태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 장치(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를 참고하여 설명하였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을 이용하여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의 각 흐름 및/또는 블록, 그리고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 중 흐름 및/또는 블록의 결합을 구현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을 범용 컴퓨터, 전용 컴퓨터, 내장형 프로세서 또는 기타 프로그래머블 데이터 처리장치의 프로세서에 제공하여 하나의 기기를 형성함으로써,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래머블 데이터 처리장치의 프로세서가 수행하는 명령이 흐름도 중 하나의 흐름 또는 다수의 흐름 및/또는 블록도 중 하나의 블록 또는 다수의 블록에서 지정한 기능을 구현하는 장치를 형성할 수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또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래머블 데이터 처리장치로 하여금 특정 방식으로 작동하도록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메모리에 저장됨으로써,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으로 하여금 명령 장치를 포함한 제조품을 형성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명령 장치는 흐름도 중 하나의 흐름 또는 다수의 흐름 및/또는 블록도 중 하나의 블록 및/또는 다수의 블록에서 지정한 기능을 구현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또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래머블 데이터 처리장치에 로딩되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래머블 장치에서 일련의 작업 단계를 수행하여 컴퓨터가 구현하는 처리가 발생하도록 할 수도 있으며, 이로써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래머블 장치에서 수행되는 명령이, 흐름도 중 하나의 흐름 또는 다수의 흐름 및/또는 블록도 중 하나의 블록 및/또는 다수의 블록에서 지정한 기능을 구현하는 단계를 제공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분야의 기술자는 기본적인 창조적 컨셉을 파악한 후 이들 실시예를 추가로 변경 및 수정할 수 있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는 바람직한 실시예 및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Claims (20)

  1. 미리 설정된 주파수 변조 시작 시점에 도달했을 때, 유저 기기는 미리 설정된 주파수 변조 시간 길이 내에서 데이터 송수신의 반송 주파수를 조정하여, 조정 후의 반송 주파수를 얻는 단계; 및
    상기 유저 기기가 상기 조정 후의 반송 주파수상에서, 미리 설정된 주파수 변조 시간 길이 종료시의 현재 주파수 변조 종료 시점과 다음번 주파수 변조 시작 시점사이의 시간 길이인 연속 시간 길이 내에서, TDD 업링크/다운링크 설정에 따라 네트워크 기기와 업링크 데이터 송신 및 다운링크 데이터 수신을 진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신타입통신(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유저 기기의 주파수 변조 조정을 진행하기 위한 TDD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 시간 길이는 복수의 연속 서브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주파수 변조 시간 길이는, 상기 유저 기기가 반송 주파수 조정을 진행하는데 소요되는 시간보다 크거나 같으며,
    상기 주파수 변조 시간 길이는, 서브프레임, 타임 슬롯 또는 부호를 단위로 하는 시간 길이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TDD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매번의 주파수 변조의 주파수 변조 시작 시점은 업링크 서브프레임에 위치하고, 주파수 변조 종료 시점은 업링크 서브프레임과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의 전환 시점에 위치하거나, 또는,
    매번의 주파수 변조의 주파수 변조 시작 시점은 업링크 서브프레임과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의 전환 시점에 위치하고, 주파수 변조 종료 시점은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DD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기기가 반송 주파수 조정을 진행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특수 서브프레임 중 다운링크 파일롯 타임 슬롯(Downlink Pilot Timeslot,DwPTS)과 업링크 파일롯 타임 슬롯(Uplink Pilot Timeslot ,UpPTS)의 시간 길이 합보다 작거나 같을 경우, 주파수 변조 시작 시점은 특수 서브프레임의 시작 시점에 위치하고, 주파수 변조 종료 시점은 특수 서브프레임의 종료 시점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DD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기기가 반송 주파수 조정을 진행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특수 서브프레임 중 보호 구간(Guard Period, GP) 타임 슬롯의 시간 길이보다 작거나 같을 경우, 주파수 변조 시간은 특수 서브프레임 중 GP 타임 슬롯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DD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기기가 데이터 송수신의 반송 주파수를 조정하기 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유저 기기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확정한 특수 서브프레임 설정을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특수 서브프레임 설정 중 보호 간격의 시간 길이는 두배의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서 상기 유저 기기로의 신호 전송 시간 지연과 상기 유저 기기가 반송 주파수 조정을 진행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의 합보다 크거나 같고, 또는, 상기 특수 서브프레임 설정 중 보호간격의 시간 길이는 두배의 상기 유저 기기의 타이밍 어드밴스(timing advance)와 상기 유저 기기가 반송 주파수 조정을 진행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의 합보다 크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TDD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기기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확정한 특수 서브프레임 설정을 획득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
    상기 유저 기기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송신한 시스템 브로드캐스트 메시지 또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송신한 고층 및 물리층 시그널링을 포함하는 유저 전문용 시그널링으로부터 특수 서브프레임 설정을 획득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TDD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매번의 주파수 변조의 주파수 변조 시작 시점과 주파수 변조 시간 길이는, 상기 유저 기기에 미리 설정된 것이거나, 또는 네트워크측 기기가 상기 유저 기기에게 통지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TDD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
  9. 미리 설정된 주파수 변조 시작 시점에 도달했을 때, 미리 설정된 주파수 변조 시간 길이 내에서 데이터 송수신의 반송 주파수를 조정하여, 조정 후의 반송 주파수를 얻기 위한 처리 유닛; 및
    상기 처리 유닛과 연결되여, 상기 조정 후의 반송 주파수상에서, 미리 설정된 주파수 변조 시간 길이 종료시의 현재 주파수 변조 종료 시점과 다음번 주파수 변조 시작 시점사이의 시간 길이인 연속 시간 길이 내에서, TDD 업링크/다운링크 설정에 따라 네트워크 기기와 업링크 데이터 송신 및 다운링크 데이터 수신을 진행하기 위한 인터랙션(interaction) 유닛;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신타입통신(Machine Type Commumication; MTC) 유저 기기의 주파수 변조 조정을 진행하기 위한 TDD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 시간 길이는 복수의 연속 서브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주파수 변조 시간 길이는, 상기 처리 유닛이 반송 주파수 조정을 진행하는데 소요되는 시간보다 크거나 같으며,
    상기 주파수 변조 시간 길이는, 서브프레임, 타임 슬롯 또는 부호를 단위로 하는 시간 길이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TDD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매번의 주파수 변조의 주파수 변조 시작 시점은 업링크 서브프레임에 위치하고, 주파수 변조 종료 시점은 업링크 서브프레임과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의 전환 시점에 위치하거나, 또는,
    매번의 주파수 변조의 주파수 변조 시작 시점은 업링크 서브프레임과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의 전환 시점에 위치하고, 주파수 변조 종료 시점은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DD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유닛이 반송 주파수 조정을 진행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특수 서브프레임 중 다운링크 파일롯 타임 슬롯과 업링크 파일롯 타임 슬롯의 시간 길이 합보다 작거나 같을 경우, 주파수 변조 시작 시점은 특수 서브프레임의 시작 시점에 위치하고, 주파수 변조 종료 시점은 특수 서브프레임의 종료 시점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DD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유닛이 반송 주파수 조정을 진행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특수 서브프레임 중 GP 타임 슬롯의 시간 길이보다 작거나 같을 경우, 주파수 변조 시간은 특수 서브프레임 중 GP 타임 슬롯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DD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유닛이 데이터 송수신의 반송 주파수를 조정하기 전에, 상기 인터랙션 유닛은, 또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확정한 특수 서브프레임 설정을 획득하기 위한 것이고,
    여기서, 상기 특수 서브프레임 설정 중 보호간격의 시간 길이는 두배의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서 상기 기기가 위치하는 유저 기기로의 신호 전송 시간 지연과 상기 처리 유닛이 반송 주파수 조정을 진행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의 합보다 크거나 같고, 또는, 상기 특수 서브프레임 설정 중 보호간격의 시간 길이는 두배의 상기 기기가 위치하는 유저 기기의 타이밍 어드밴스와 상기 처리 유닛이 반송 주파수 조정을 진행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의 합보다 크거나 같으며,
    상기 인터랙션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송신한 시스템 브로드캐스트 메시지 또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송신한 고층 및 물리층 시그널링을 포함하는 유저 전문용 시그널링으로부터 특수 서브프레임 설정을 획득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TDD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장치.
  15. 제9항 내지 제1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매번의 주파수 변조의 주파수 변조 시작 시점과 주파수 변조 시간 길이는, 상기 처리 유닛에 미리 설정된 것이거나, 또는 네트워크측 기기가 상기 기기가 위치하는 유저 기기에게 통지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TDD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장치.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77024194A 2015-02-16 2016-01-11 시분할 이중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19829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510084635.9 2015-02-16
CN201510084635.9A CN105991229B (zh) 2015-02-16 2015-02-16 一种时分双工系统中的数据传输方法及装置
PCT/CN2016/070603 WO2016131352A1 (zh) 2015-02-16 2016-01-11 一种时分双工系统中的数据传输方法及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9022A KR20170109022A (ko) 2017-09-27
KR101982958B1 true KR101982958B1 (ko) 2019-05-27

Family

ID=56688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4194A KR101982958B1 (ko) 2015-02-16 2016-01-11 시분할 이중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574429B2 (ko)
EP (1) EP3261278B1 (ko)
JP (1) JP6479201B2 (ko)
KR (1) KR101982958B1 (ko)
CN (1) CN105991229B (ko)
WO (1) WO20161313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54875A1 (en) * 2015-03-31 2016-10-06 Nec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transmiss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0291753B (zh) * 2017-02-15 2022-02-18 Lg 电子株式会社 在支持窄带物联网的无线通信系统中的终端和基站之间的信号发送/接收方法和支持该方法的设备
WO2018227488A1 (zh) * 2017-06-15 2018-12-2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无线通信中时隙资源配置的方法及设备
EP3418701A1 (de) 2017-06-21 2018-12-26 VEGA Grieshaber KG Füllstandreflektometer mit veränderbarem messablauf
CN107483158B (zh) * 2017-09-13 2021-02-02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广州供电局 变电站二次设备以及二次设备的数据发送方法
CN110710234A (zh) * 2019-08-28 2020-01-1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无线信号的传输方法、装置和存储介质
US20220353888A1 (en) * 2021-04-28 2022-11-03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Dynamic cell range extension in a time division duplexing air interface
KR20240024305A (ko) * 2021-07-08 2024-02-23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주파수 호핑 방법, 장치, 사용자 기기, 기지국 및 저장 매체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94991B2 (ja) * 1996-07-03 2005-09-1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
JP3728810B2 (ja) * 1996-07-09 2005-12-2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通信装置
US6434183B1 (en) 1997-08-14 2002-08-13 Siemens Aktiengesellschaft Method and device for radio transmission of data by means of frequency hops
EP1261227A1 (en) 2001-05-21 2002-11-27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ncreased information transfer in a communication system
CN101102148A (zh) * 2007-08-08 2008-01-0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时分双工系统下行链路信号的发送方法
CN101183896A (zh) * 2007-10-31 2008-05-2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时分双工系统中上行控制信令的发射方法
CN104601215A (zh) 2008-01-02 2015-05-06 交互数字技术公司 中继节点、网络节点及在中继节点中使用的方法
US20100029282A1 (en) * 2008-07-31 2010-02-04 Qualcomm Incorporated Resource partitioning in heterogeneous access point networks
CN102231871A (zh) * 2011-06-24 2011-11-02 电信科学技术研究院 发送信息和判断是否接收mbms的方法、系统和设备
US9319916B2 (en) * 2013-03-15 2016-04-19 Isco International, Llc Method and appartus for signal interference processing
US20150085834A1 (en) * 2013-09-26 2015-03-26 Qualcomm Incorporated Time division long term evolution (td-lte) frame structure modification
EP3103301A1 (en) 2014-02-03 2016-12-1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daptive uplink-downlink switching time for half-duplex operation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NEC, "Frequency hopping schemes for LTE Rel-13 MTC", R1-150286, 3GPP TSG RAN WG1 Meeting#80 (2015.02.08.)*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262319A1 (en) 2018-09-13
US10574429B2 (en) 2020-02-25
JP6479201B2 (ja) 2019-03-06
EP3261278A4 (en) 2018-03-14
CN105991229B (zh) 2020-02-11
WO2016131352A1 (zh) 2016-08-25
JP2018511970A (ja) 2018-04-26
EP3261278A1 (en) 2017-12-27
EP3261278B1 (en) 2020-06-17
KR20170109022A (ko) 2017-09-27
CN105991229A (zh) 2016-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2958B1 (ko) 시분할 이중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CN110913489B (zh) 用于时分双工发送和接收切换的载波的带间配对的装置和方法
EP2406998B1 (en) System and method for assigning resources to a relay
US20240039684A1 (en) User equipment, base stations and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for ultra-reliable communications
CN102271418B (zh) 一种随机接入的方法及装置
EP3217582B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in unlicensed frequency band
CN103069899A (zh) 配置用于在蜂窝网络下的设备到设备通信的上行链路和下行链路划分模式
CN104272631B (zh) 用于增强覆盖范围的方法和装置
CN104205687A (zh) 用于在无线通信系统中聚合载波的方法和装置
US10945242B2 (en) Uplink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base station, and user equipment
KR20120091351A (ko) 사용자 장비의 듀플렉스 모드 정보의 획득 방법 및 장치
CN104904135A (zh) 用于半双工频分双工的方法、设备以及计算机程序
JP2020535713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prbグリッドを構成する方法及び装置
KR20190050847A (ko)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KR20210046869A (ko)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JP2016517673A (ja) 装置間通信における信号タイミング
KR102488698B1 (ko) 통신 네트워크에서 동기 신호를 전송하는 통신 노드의 동작 방법
KR102551191B1 (ko) Ran 슬라이싱 관련 정보를 전송하는 장치 및 방법
WO2018059356A1 (zh) 一种信息传输方法及装置
CN107800522B (zh) 一种无线通信中的方法和装置
KR20180018303A (ko) 통신 시스템에서 동기 신호의 송수신 방법
JP5178356B2 (ja) 基地局及び制御チャネル送受信タイミング維持方法
KR20200036644A (ko) 사이드링크를 위한 nr 시스템에서 동기화 신호 블록을 구성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613535B1 (ko) 네트워크 슬라이싱에 기반하여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
KR20230098549A (ko) Ran 슬라이싱 관련 정보를 전송하는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