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2939B1 - 소변주머니 수용 기능을 구비한 하의 - Google Patents

소변주머니 수용 기능을 구비한 하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2939B1
KR101982939B1 KR1020170162325A KR20170162325A KR101982939B1 KR 101982939 B1 KR101982939 B1 KR 101982939B1 KR 1020170162325 A KR1020170162325 A KR 1020170162325A KR 20170162325 A KR20170162325 A KR 20170162325A KR 101982939 B1 KR101982939 B1 KR 1019829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rine bag
urine
pants
bag receiv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23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민
박영은
Original Assignee
조성민
남진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성민, 남진우 filed Critical 조성민
Priority to KR10201701623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29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29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29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12Surgeons' or patients' gowns or dresses
    • A41D13/1236Patients' garments
    • A41D13/1254Patients' garments for the lower part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02Lining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0Pockets; Making or setting-in pockets
    • A41D27/201Pocket clos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404Details or parts
    • A61F5/4408Means for securing receptacles or bags to the body otherwise than by adhesives, e.g. belts, straps or harn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51Genital or anal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0Impermeable to liquids, e.g. waterproof; Liquid-repellent
    • A41D31/102Waterproof and breathab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소변주머니 수용 기능을 구비한 하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의에는 소변주머니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소변주머니 수용부가 구비되며, 이러한 소변주머니 수용부는 하의의 내측면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소변주머니 수용 기능을 구비한 하의{Bottoms having urine bag receiving function}
본 발명은 소변주머니 수용 기능을 구비한 하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소변주머니를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하의의 내측에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하의에 관한 것이다.
거동이 불편한 환자나 방광암 환자 등의 경우에는 소변처리를 위해 소변주머니를 신체에 장착한 상태로 생활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소변주머니를 장착한 상태로 생활하는 경우에는 소변주머니의 존재로 인해 일상생활을 수행하는데 불폄함이 초래되는 경우가 쉽게 발생한다. 예컨대, 이러한 환자들은 소변주머니를 손에 들거나 휠체어 등에 올려 놓은 상태로 이동을 해야하기 때문에 이동에 큰 제약이 있을 수 밖에 없고 미관상으로도 좋지 못해 자유로운 외출을 수행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변주머니(A)를 고무밴드(C) 등을 이용해 허벅지에 부착한 다음 그 위에 하의를 입어 소변주머니를 가린 상태로 외출을 수행하는 방법 등이 이용되고 있다. (예컨대, 특허문헌 1 등 참조)
그러나, 이와 같이 고무밴드(C) 등을 이용해 소변주머니(A)를 허벅지에 부착하는 경우에는 환자가 이동을 위해 다리를 움직이거나 소변주머니에 소변이 차서 소변주머니의 무게가 증가하게 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변주머니가 아래로 쉽게 흘러내려가 월활한 이동이 어렵게 된다.
또한, 고무밴드(C) 등을 통해 허벅지를 압박하는 형태로 소변주머니를 장착하게 되면 고무밴드의 압박력으로 인해 환자에게 통증이 가해지거나 고무밴드로 압박한 부분에서 혈액순환이 방해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소변주머니에 연결된 튜브(B)가 의도치 않게 꼬여버려 원활한 소변 배출이 이루어지지 않거나 튜브(B)가 환자의 피부에 직접 접촉해 환자에게 불쾌감을 주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특허문헌 1: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25424호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소변주머니를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하의의 내측에 수용해 소변주머니를 장착한 상태로 생활해야 하는 환자들이 안정적으로 일상생활을 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하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소변주머니 수용 기능을 구비한 하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의에는 소변주머니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소변주머니 수용부가 구비되며, 이러한 소변주머니 수용부는 하의의 내측면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소변주머니 수용부에 의해 형성된 수용공간을 외부와 연통시키는 절결부가 더 구비되며, 절결부를 통해 소변주머니 수용부에 수용된 소변주머니의 일부를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절결부는 개폐수단을 통해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소변주머니 수용부의 상측에는 소변주머니에 연결된 튜브를 지지하는 튜브 지지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소변주머니 수용부에는 소변주머니에 형성된 체결부에 결합되어 소변주머니를 지지하는 소변주머니 지지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소변주머니 수용부의 하부부분은 방수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소변주머니 수용부의 하부부분 상부에는 메쉬소재로 형성되는 몸통부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소변주머니 수용부의 몸통부 상부에는 소변주머니 수용부를 하의의 다른 부분에 연결하는 상부 연결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연결부에는 결합부재가 구비되며, 이러한 결합부재는 하의의 다른 부분에 형성된 대응 결합부재와 결합해 소변주머니 수용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의는 외측에 위치하는 외피 및 내측에 외치하는 내피를 포함하며, 소변주머니 수용부는 양측면에서 하의의 길이방향을 따라 내피에 재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소변주머니 수용부는 하의의 허리부에서 외피 및 내피와 함께 허리부의 둘레방향을 따라 함께 재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의의 허리부에는 허리부의 둘레방향을 따라 미끄럼방지 테이프가 부착될 수 있다.
이 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소변주머니 수용 기능을 구비한 하의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부가적인 구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주머니 수용 기능을 구비한 하의는 하의 내측에 형성된 소변주머니 수용부를 통해 소변주머니를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소변주머니를 장착하고 생활해야 하는 환자들이 소변주머니를 외부에서 보이지 않는 상태로 안정적으로 부착한 상태로 외출 등의 일상생활을 편안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주머니 수용 기능을 구비한 하의는 소변주머니를 보관하는 소변주머니 수용부의 상부에 소변주머니에 연결된 튜브를 지지하기 위한 튜브 지지부를 구비해, 튜브가 의도치 않게 꼬이거나 환자의 신체에 직접 접촉해 환자에게 불쾌감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주머니 수용 기능을 구비한 하의는 소변주머니가 수용되는 소변주머니 수용부의 수용공간을 외부와 연통시키는 절결부를 구비해 하의를 탈의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쉽게 소변주머니에 담긴 소변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공중화장실 등에서 간편하게 소변주머니를 비울 수 있게 되어, 장시간의 외출도 큰 문제없이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주머니 수용 기능을 구비한 하의는 소변주머니에 담긴 소변의 무게를 분산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구성(소변주머니 체결부재, 소변주머니 연결부재, 소변주머니 양측 및/또는 상부에 형성된 재봉선 등)을 구비해 소변주머니에 채워진 소변의 무게로 인해 소변주머니 수용부가 쳐지는 것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주머니 수용 기능을 구비한 하의는 소변주머니 수용부의 위치에 대응되는 외측 위치에 포켓부가 형성되어 있어, 소변주머니에 소변이 채워져 소변주머니가 팽창해도 소변주머니의 존재가 외부에 잘 드러나지 않게 된다.
도 1은 고무밴드 등을 이용해 소변주머니를 환자의 허벅지에 장착하는 모습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소변주머니가 소변주머니에 채워진 소변의 무게 등에 의해 하부로 흘러내린 모습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주머니 수용 기능을 구비한 하의의 외측 형상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소변주머니 수용 기능을 구비한 하의의 내측 형상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주머니 수용 기능을 구비한 하의에서 소변주머니가 수용되는 부분의 구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주머니 수용 기능을 구비한 하의에서 소변주머니 수용부와 연통된 절결부를 통해 소변주머니에 채워진 소변을 외부로 배출하는 모습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주머니 수용 기능을 구비한 하의에 소변주머니가 장착된 모습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9는 소변주머니의 형상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고,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여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각 구성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임의로 도시된 것이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형상 및 크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일 실시예로부터 다른 실시예로 변형되어 구현될 수 있으며,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도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 행하여지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들이 청구하는 범위 및 그와 균등한 모든 범위를 포괄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주머니 수용 기능을 구비한 하의(100)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주머니 수용 기능을 구비한 하의(100)는 소변주머니(A)를 하의 내측에 수용해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소변주머니를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하의에 장착한 상태로 편안하게 일상생활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주머니 수용 기능을 구비한 하의(100)의 전체적인 형상이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주머니 수용 기능을 구비한 하의(100)는 전체적으로는 통상의 하의와 유사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본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주머니 수용기능을 구비한 하의(10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둔부와 다리를 수용하는 통상의 바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소변주머니 수용 기능을 구비한 하의(10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에 외치하는 외피(110)에 내측에 위치하는 내피(120)를 재봉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의 착용시 착용자의 신체를 향하는 내측면 일부에 소변주머니(A)를 수용하는 소변주머니 수용부(200)를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만, 하의의 구체적인 형상은 도면에 도시된 구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주머니 수용 기능을 구비한 하의(100)는 통상의 하의와 같은 다양한 임의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와 달리 외피와 내피의 구분 없이 하나의 부재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소변주머니 수용부(200)의 하부부분은 소변주머니 수용부(200)에 수용된 소변주머니(A)에 채워진 소변이 누출될 경우에 대비해 방수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며, 소변주머니 수용부(200)의 몸통부는 소변주머니(200)에 채워진 소변의 양을 외부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내부를 들여다볼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는 바람직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주머니 수용 기능을 구비한 하의(100)는 방수재질로 형성된 하부부분(210)과 메쉬소재로 형성된 몸통부(220)가 포함되도록 소변주머니 수용부(200)를 구성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소변주머니 수용부(200)의 몸통부(220) 상부에는 소변주머니 수용부(200)를 하의의 다른 부분에 연결하기 위한 상부 연결부(23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부 연결부(230)는 소변주머니 수용부(200)를 하의의 다른 부분에 연결해 소변주머니(A)에 의해 소변주머니 수용부(200)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킴으로써 소변주머니 수용부(200)가 지나치게 쳐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컨대, 상부 연결부(230)에는 벨크로 테이프와 같은 결합부재(232)가 형성되어 하의의 다른 부분[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는, 후술하는 튜브 지지부(300)]에 형성된 대응 결합부재[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는, 튜브 지지부(300)에 형성된 대응 결합부재(310)]와 결합해 소변주머니 수용부(200)를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는 소변주머니 수용부(200)가 하부부분(210), 몸통부(220), 상부 연결부(230)의 결합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나, 소변주머니 수용부(200)는 이러한 구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체가 하나의 부재로 일체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소변주머니 수용부(200)의 상부에는 소변주머니(A)에 연결되어 소변이 이송되는 튜브(B)를 지지하는 튜브 지지부(3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튜브 지지부(300)는 소변주머니(A)에 연결된 튜브(B)를 하의(100)쪽으로 지지해 튜브(B)가 의도치 않게 꼬이거나 튜브(B)가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하는 것을 억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소변주머니 수용부(200)는 소변주머니 수용부(200) 양측면에서 하의의 길이방향(착용자의 다리길이 방향)을 따라 재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도 5에 도면부호 240으로 도시된 부분 참조). 이와 같이 소변주머니 수용부(200)를 양측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재봉하게 되면 소변주머니(A)에 의해 소변주머니 수용부(200)에 가해지는 하중이 적절히 분산되어 소변주머니(A)가 하의에 안정적으로 보유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소변주머니 수용부(200)는 상부(하의의 허리부: 착용자의 허리에 위치되는 부분)에서 하의의 허리부 둘레방향을 따라 외피(110) 및 내피(120)와 함께 재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도 5 및 도 6에 도면부호 250으로 도시된 부분 참조). 이와 같이, 소변주머니 수용부(200)를 상부에서 외피(110) 및 내피(120)와 함께 재봉하게 되면 소변주머니(A)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이 하의에 전체적으로 분산되어 소변주머니(A)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한편, 하의(100)의 허리부에는 미끄럼방지 테이프(400)가 소정의 두께로 부착되어, 소변주머니의 무게로 인한 하의의 흘러내림을 보다 안정적으로 방지하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소변주머니 수용부(200)에는 소변주머니(A)를 지지하기 위한 소변주머니 지지부재(26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소변주머니 지지부재(260)는 소변주머니(A)에 형성된 대응 체결부에 결합되어 소변주머니(A)를 지지함으로써 소변주머니(A)가 하의에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유지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는, 소변주머니 수용부(200)의 일측에 단추로 형성된 소변주머니 지지부재(260)를 형성해 이를 소변주머니(A)에 형성된 체결부[도 9에 도시된 체결구멍(D)]에 체결함으로써 소변주머니(A)를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만, 소변주머니 지지부재(260)는 도면에 도시된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공지의 다양한 체결구조를 이용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소변주머니 지지부재(260)는 소변주머니(A)의 하중이 보다 넓은 범위에 걸쳐 분산될 수 있도록 소변주머니(A)의 폭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소변주머니 수용 기능을 구비한 하의(100)는 소변주머니 수용부(200)에 의해 형성되는 수용공간을 외부로 연통시키는 절결부(5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절결부(50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의를 탈의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소변주머니 수용부(200)에 수용된 소변주머니(A)를 외부로 일부 노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절결부(500)는 소변주머니 수용부(200)의 하부단부 근방에 형성되어, 소변주머니 수용부(200)에 수용된 소변주머니(A)의 하부를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절결부(500)를 형성하게 되면, 착용자는 하의를 탈의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절결부(500)를 통해 소변주머니(A) 하부[예컨대, 소변주머니(A) 하부에 형성된 배출 튜브]를 외부로 꺼내 소변주머니(A)에 채워진 소변을 쉽게 배출할 수 있게 된다. (도 7 참조)
한편, 절결부(500)는 지퍼 등의 개폐수단을 통해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평상시에는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소변을 배출하고자 하는 경우에만 절결부를 개방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소변주머니 수용 기능을 구비한 하의(100)는 외부에 포켓부(6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포켓부(600)부는 하의(100)의 내측에 구비되는 소변주머니 수용부(200)에 대응되는 위치에 소변주머니 수용부(200)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포켓부(600)를 형성하게 되면, 소변주머니(A)에 소변이 채워져 소변주머니(A)가 불룩해 지더라도 외부에서는 포켓부(600)에 소지품이 삽입되어 하의(100)가 불룩해진 것으로 인식될 수 있어 소변주머니(A)의 존재를 가급적 드러내지 않을 수 있게 된다. 포켓부(600)는 통상의 하의에 구비되는 건빵주머니 등의 포켓부와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는바, 본 명세서에서는 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은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을 꾀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는 긴바지 형태의 하의 형태로 소변주머니 수용 기능을 구비한 하의가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소변주머니 수용 기능을 구비한 하의는 긴바지 뿐만 아니라 반바지, 치마 등 다양한 다른 형태의 하의도 구현되어도 무방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소변주머니 수용 기능을 구비한 하의
110: 외피
120: 내피
200: 소변주머니 수용부
210: (소변주머니 수용부의) 하부부분
220: (소변주머니 수용부의) 몸통부
230: (소변주머니 수용부의) 상부 연결부
232: 결합부재
260: 소변주머니 지지부재
300: 튜브 지지부
310: (튜브 지지부에 형성된) 결합부재
400: 미끄럼방지 테이프
500: 절결부
600: 포켓부

Claims (12)

  1. 소변주머니 수용 기능을 구비한 하의(100)이며,
    소변주머니(A)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소변주머니 수용부(200)가 구비되며,
    상기 소변주머니 수용부(200)는 하의의 내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소변주머니 수용부(200)에 의해 형성된 수용공간을 외부와 연통시키는 절결부(500)가 구비되어, 상기 절결부(500)를 통해 상기 소변주머니 수용부(200)에 수용된 소변주머니(A)의 하부를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하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결부(500)는 개폐수단을 통해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된,
    하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소변주머니 수용부(200)의 상측에는 소변주머니(A)에 연결된 튜브(B)를 지지하는 튜브 지지부(300)가 더 구비되는,
    하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소변주머니 수용부(200)에는 소변주머니(A)에 형성된 체결부에 결합되어 소변주머니(A)를 지지하는 소변주머니 지지부재(260)가 더 구비되는,
    하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소변주머니 수용부(200)의 하부부분(210)은 방수재질로 형성되는,
    하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소변주머니 수용부(200)의 하부부분(210) 상부에는 메쉬소재로 형성되는 몸통부(220)가 구비되는,
    하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소변주머니 수용부(200)의 몸통부(220) 상부에는 상기 소변주머니 수용부(200)를 상기 하의의 다른 부분에 연결하는 상부 연결부(230)가 더 구비되는,
    하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연결부(230)에는 결합부재(250)가 구비되며,
    상기 결합부재(250)는 상기 하의의 다른 부분에 형성된 대응 결합부재(310)와 결합해 상기 소변주머니 수용부(200)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하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의(100)는 외측에 위치하는 외피(110) 및 내측에 외치하는 내피(120)를 포함하며,
    상기 소변주머니 수용부(200)는 양측면에서 하의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내피(120)에 재봉되도록 구성된,
    하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소변주머니 수용부(200)는 하의의 허리부에서 상기 외피(110) 및 상기 내피(120)와 함께 허리부의 둘레방향을 따라 함께 재봉된,
    하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하의의 허리부에는 허리부의 둘레방향을 따라 미끄럼방지 테이프(400)가 부착된,
    하의.
KR1020170162325A 2017-11-29 2017-11-29 소변주머니 수용 기능을 구비한 하의 KR1019829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2325A KR101982939B1 (ko) 2017-11-29 2017-11-29 소변주머니 수용 기능을 구비한 하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2325A KR101982939B1 (ko) 2017-11-29 2017-11-29 소변주머니 수용 기능을 구비한 하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2939B1 true KR101982939B1 (ko) 2019-05-27

Family

ID=66679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2325A KR101982939B1 (ko) 2017-11-29 2017-11-29 소변주머니 수용 기능을 구비한 하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293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9481B1 (ko) * 2020-04-22 2020-10-26 임용필 일체형 다목적 보호복
KR20210009797A (ko) * 2019-07-18 2021-01-27 박찬호 팬티에 부착되는 환자용 소변기
KR102225697B1 (ko) * 2020-07-01 2021-03-15 임용필 일체형 다목적 보호복
US11583434B1 (en) 2022-05-27 2023-02-21 Carolyn Cimino Externally wearable female urinary collection and drainage device and related components, systems, kits and methods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2041Y1 (ko) * 2000-07-07 2001-02-01 홍성순 기능성 바지
US20050075615A1 (en) * 2003-10-07 2005-04-07 Bonham Celeste V. Convenient urology undergarment pant system for urine collection
KR20090025424A (ko) 2007-09-06 2009-03-11 이정숙 남성 소변 비닐 주머니 다리 부착용 기스모
US20090112171A1 (en) * 2007-10-29 2009-04-30 The Hong Kong Polytechnic University Urine bag pocket
US20100205720A1 (en) * 2009-02-13 2010-08-19 Zoila Ortega Astor Attachable, constraint-free external drainage device support structure for use with standard hospital garments and patients' own clothing
US20130289507A1 (en) * 2012-04-30 2013-10-31 Lloyd A. Carpenter Drainage Bag Garment Attachment and Process
JP2014227630A (ja) * 2013-05-24 2014-12-08 有限会社 マツハシ 病衣
US20160051395A1 (en) * 2013-05-02 2016-02-25 Roland Rene Ugarte M.D. Catheter collection and drainage device and system
US20160219951A1 (en) * 2015-02-02 2016-08-04 Allison Schickel Recovery garment
US20170128255A1 (en) * 2015-11-05 2017-05-11 Kenna DeShazer Foley catheter bag support sleeves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2041Y1 (ko) * 2000-07-07 2001-02-01 홍성순 기능성 바지
US20050075615A1 (en) * 2003-10-07 2005-04-07 Bonham Celeste V. Convenient urology undergarment pant system for urine collection
KR20090025424A (ko) 2007-09-06 2009-03-11 이정숙 남성 소변 비닐 주머니 다리 부착용 기스모
US20090112171A1 (en) * 2007-10-29 2009-04-30 The Hong Kong Polytechnic University Urine bag pocket
US20100205720A1 (en) * 2009-02-13 2010-08-19 Zoila Ortega Astor Attachable, constraint-free external drainage device support structure for use with standard hospital garments and patients' own clothing
US20130289507A1 (en) * 2012-04-30 2013-10-31 Lloyd A. Carpenter Drainage Bag Garment Attachment and Process
US20160051395A1 (en) * 2013-05-02 2016-02-25 Roland Rene Ugarte M.D. Catheter collection and drainage device and system
JP2014227630A (ja) * 2013-05-24 2014-12-08 有限会社 マツハシ 病衣
US20160219951A1 (en) * 2015-02-02 2016-08-04 Allison Schickel Recovery garment
US20170128255A1 (en) * 2015-11-05 2017-05-11 Kenna DeShazer Foley catheter bag support sleeves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9797A (ko) * 2019-07-18 2021-01-27 박찬호 팬티에 부착되는 환자용 소변기
KR102287819B1 (ko) * 2019-07-18 2021-08-09 박찬호 팬티에 부착되는 환자용 소변기
KR102169481B1 (ko) * 2020-04-22 2020-10-26 임용필 일체형 다목적 보호복
KR102225697B1 (ko) * 2020-07-01 2021-03-15 임용필 일체형 다목적 보호복
US11583434B1 (en) 2022-05-27 2023-02-21 Carolyn Cimino Externally wearable female urinary collection and drainage device and related components, systems, kits and method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2939B1 (ko) 소변주머니 수용 기능을 구비한 하의
JP2004506821A (ja) 男性用健康パンツ
US20170100276A1 (en) Disposable wearable urinary collection apparatus
KR200478360Y1 (ko) 남성용 기능성 팬티
KR200485573Y1 (ko) 남성용 기능성 팬티
JP2017123999A (ja) 男性用尿貯留具
KR20190084534A (ko) 남성용 팬티
JP4700747B2 (ja) 男性用下着
JP3175635U (ja) 少尿漏れ吸収パッド。
KR101961485B1 (ko) 성인 남성용 포켓 기저귀
KR200486827Y1 (ko) 소변 흡수용 팩
JP2007222583A (ja) 男性用尿取り具
KR200381565Y1 (ko) 환자용 기능성 팬티
KR102459435B1 (ko) 환자용 어깨 안정화 의복
KR102165924B1 (ko) 휴대용 세척 파우치
KR200212041Y1 (ko) 기능성 바지
CN216796754U (zh) 一种便于泌尿患者外出的收纳包
KR200493861Y1 (ko) 아기띠 고정끈이 구비된 육아용품 휴대 가방
KR101860420B1 (ko) 착용방식 전환이 가능한 의료용 팔걸이
CN218942303U (zh) 一种内裤
CN209594795U (zh) 病号服裤
CN106723525B (zh) 病人专用裤
JP3225186U (ja) 男性用尿漏れ処理具
JP2006006633A (ja) 男性用尿袋及び尿袋用ズボン
JP3195535U (ja) Dabパン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