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5697B1 - 일체형 다목적 보호복 - Google Patents

일체형 다목적 보호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5697B1
KR102225697B1 KR1020200080849A KR20200080849A KR102225697B1 KR 102225697 B1 KR102225697 B1 KR 102225697B1 KR 1020200080849 A KR1020200080849 A KR 1020200080849A KR 20200080849 A KR20200080849 A KR 20200080849A KR 102225697 B1 KR102225697 B1 KR 1022256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d
housing
protective clothing
wearer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0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용필
박동민
Original Assignee
임용필
박동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용필, 박동민 filed Critical 임용필
Priority to KR10202000808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56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56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56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2Overalls, e.g. bodysuits or bib overall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6Trous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2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 A41D13/0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with controlled temperatur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34Retaining means
    • A41D19/0041Retaining means for connecting the glove to the garment or the arm of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02Lining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08Trimmings; Ornam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0Pockets; Making or setting-in pocke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0Impermeable to liquids, e.g. waterproof; Liquid-repellent
    • A41D31/102Waterproof and breathabl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2Hygroscopic; Water retaining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10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200/00Components of garments
    • A41D2200/10Bel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200/00Components of garments
    • A41D2200/20Hood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2Closures using hook and loop-type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22Closures using slide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24Closures using snap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32Closures using elastic band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10Heat retention or warm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46Storage or supply of water for drinking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Nursing (AREA)
  • Epidemi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세먼지(분진), 화학물 및 약품, 미생물, 세균, 바이러스 등과 같은 유해물질에 노출되는 산업현장이나 의료시설 등에서 작업자, 의료인 및 환자를 보호하기 위해 착용하는 방역복, 방호복 및 의료복 등을 포함하는 다목적 보호복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상의, 하의, 후드(모자), 장갑, 신발(양말/덧신), 안면커버(고글) 및 마스크 등이 일체형으로 이루어져 각 보호장구들을 독립적으로 착용하는 기존 보호복에 비해 착용과 탈의가 비교적 간편하고, 유해물질의 내부 침투와 외부 유출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산업현장의 작업자, 의료시설의 의료인, 구급대원 및 환자를 모두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일체형 다목적 보호복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일체형 다목적 보호복{ALL-IN-ONE TYPE MULTI-PURPOSE PROTECTIVE GARMENT}
본 발명은 미세먼지(분진), 화학물 및 약품, 미생물, 세균, 바이러스 등과 같은 유해물질에 노출되는 산업현장이나 의료시설 등에서 작업자, 의료인 및 환자를 보호하기 위해 착용하는 방역복, 방호복 및 의료복 등을 포함하는 다목적 보호복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상의, 하의, 후드(모자), 장갑, 신발(양말/덧신), 안면커버(고글) 및 마스크 등이 일체형으로 이루어져 각 보호장구들을 독립적으로 착용하는 기존 보호복에 비해 착용과 탈의가 비교적 간편하고, 유해물질의 내부 침투와 외부 유출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산업현장의 작업자, 의료시설의 의료인, 구급대원 및 환자를 모두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일체형 다목적 보호복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전세계적으로 우리가 알지 못하는 새로운 종(변이/변형/기형 등)의 바이러스가 출몰하고 있다. 이러한 바이러스들은 인체에 치명적인 영향을 주어 전세계적으로 수많은 사람들을 죽음으로 몰아가고 있다. 이와 같이, 전세계적으로 사회적인 대혼란을 가져올 수 있는 환경속에서 살아가고 있는 현대인들은 국가나 개인과 각 가정 내에서 신종 바이러스의 출현으로 인한 위험에 노출시 가장 효과적으로 신속하게 1차적으로 대응 및 대처할 수 있는 장치 마련이 시급한 실정에 있다.
이와 같이, 바이러스의 유입과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로는 보호복이 그 대안이 될 수 있다. 보호복은 연구실, 실험실, 화학공장, 폐기물 처리공장, 석면철거 해체 작업장, 탱크 청소 작업장, 바이오 시설, 의약품 제조시설 등과 같은 산업현장, 병원 등의 의료시설, 정부 및 지자체 전염병 대응 및 방역장, 과학 수사대 및 소방 작업장 등에서 발생하는 각종 미세먼지, 화학물, 화학약품, 미생물, 세균, 바이러스 등과 같은 유해물질로부터 작업자나 의료인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보호복은 바이러스 전염을 차단하기 위해 작업 현장에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보편적으로 바이러스 감염 의심환자나 바이러스 감염자를 이송 및 치료하는 의료인이나 구급대원들에 한정적으로 배급되기 때문에 바이러스 전염을 차단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을 수 있다. 즉, 바이러스 전염이 전국적으로 확산되는 시점에서는 의료인이나 구급대원 뿐만 아니라, 바이러스 감염 의심환자나 바이러스 감염자들 또한 보호복을 착용하는 것이 바이러스 전염을 차단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보호복은 그 사용장소 및 목적에 따라 방호복, 방역복 및 의료복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보호복은 신체에 착용하는 상의와 하의, 그리고 두부를 덮는 후드(모자)를 포함한다. 또한, 상의와 하의에 의해 보호되지 않고 노출되는 손과 발, 얼굴에는 상의 및 하의와 별도로 분리 제작된 장갑, 신발(양말/커버덧신), 안면커버(고글안경) 등의 보호장구를 각각 착용하여 이들을 보호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보호복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있었다.
첫째, 상의 및 하의를 착용한 후 별도로 장갑, 신발(양말) 및 안면커버 등 각각의 보호장구를 손, 발 및 얼굴에 착용해야 하기 때문에 착용 및 탈의가 불편하였다.
둘째, 각 보호장구들이 상의 및 하의와 일체로 형성되지 않고 분리 제작됨에 따라 각 보호장구들을 상의 및 하의에 부착할 때 이들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어 유해물질의 차단 효과가 낮아진다. 이로 인해 착용자 및 타인의 안전을 보장할 수 없다.
특히, 보호복 착용 후 작업 중에 신체의 움직임이나, 혹은 행동반경 내에 존재하는 물체에 걸려 각 보호장구들이 상의 및 하의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작업자의 행동을 제약하여 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하지 못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셋째, 종래기술에 따른 보호복에서는 소변과 같은 생리현상을 해결할 수 있는 부재가 마련되어 있지 않아 소변을 참거나 화장실을 방문해야 하는 등 불편함이있었다.
넷째, 종래기술에 따른 보호복에서는 착용자가 물과 같은 음료수를 음용하기 위해서는 착용한 마스크를 벗어야 하기 때문에 세균이나 바이러스에 노출될 수 있다.
다섯째, 종래기술에 따른 보호복에서는 고글과 같은 안면커버가 고정식(비개폐식)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통풍이 차단되어 습기가 발생되었고, 이로 인해 시야확보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착용자의 눈의 피로를 가중시키는 등의 문제점이 유발되었다.
KR 10-0843574 B1, 2008. 06. 27. KR 10-2009-0089760 A, 2009. 08. 24. KR 10-1587228 B1, 2016. 01. 14. KR 10-2016-0078347 A, 2016. 07. 04.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목적들을 제공한다.
먼저, 본 발명은 상의, 하의, 후드, 장갑, 신발, 안면커버 및 마스크가 일체로 제작되어 착용 및 탈의가 편리한 일체형 다목적 보호복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안면커버를 개폐가능하게 구성하여 통풍을 통한 습기제거 및 시야확보가 가능하고, 또한 휴식을 취하는 동안에는 개방시켜 착용자의 눈의 피로회복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일체형 다목적 보호복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도 안정적으로 호흡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한편, 안경이나 안면커버 등에 습기서림이나 김서림 등으로 인한 시야 확보의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는 일체형 다목적 보호복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신체 부위에서 땀이 자주 발생되는 부위에 흡수부재를 설치하여 착용자의 건강을 도모할 수 있는 일체형 다목적 보호복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얼굴이나 머리 크기에 무관하게 안정적으로 밀착시켜 착용할 수 있도록 하여 유해물질의 내부 침투와 외부 유출을 차단하여 착용자와 타인을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일체형 다목적 보호복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비상시 화장실에 가지 않고도 현장에서 생리현상을 간편하게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일체형 다목적 보호복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현재 착용자가 의료인인지 아니면 환자인지를 누구나 쉽게 구별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일체형 다목적 보호복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은 상의, 하의 및 후드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지고, 전면부를 개폐하도록 지퍼가 구비되고, 착용자의 목 부위에 대응하는 상기 상의와 상기 후드 사이의 연결 부위에는 착용자의 머리와 얼굴의 진출입이 용이하도록 신축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본체; 상기 후드의 개구부에 일체로 고정되어 유해물질의 유입 및 유출을 차단하는 마스크; 상기 후드에 일체로 고정되어 상기 후드의 개구부를 덮는 안면커버; 및 상기 상의의 상단에서 상기 하의의 상부까지 연장되어 상기 본체의 전면부를 개폐하는 지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다목적 보호복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의는 전면부에 상기 지퍼와 상의 주머니가 구비되어 있고, 배면부에는 착용자의 정보가 기재된 명찰부가 탈부착되는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와 박음질을 통해 일체로 연결된 팔부와, 상기 팔부의 하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장갑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의는 상기 몸통부의 하단부에 상기 몸통부와 동일 재질로 일체로 형성되고 전면부에는 상기 지퍼가 연장되며 하의 주머니가 구비되어 있는 바지부와, 상기 바지부와 동일 재질로 상기 바지부의 하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신발부를 포함하며, 상기 후드의 개구부의 양측부에 고정되어 상기 후드의 후면부를 감싸도록 탄성밴드가 구비되고, 일측부에는 비상시 물, 음료수 또는 산소를 착용자에게 공급하기 위해 빨대나 호스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어 있되, 상기 탄성밴드는 양단부가 분할되고 벨크로 부재를 통해 상호 탈부착되어 상기 후드의 둘레를 조여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마스크는 박음질을 통해 상기 후드의 개구부 둘레에 일체로 고정되거나 탈부착될 수도 있고, 외측에는 외부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나 각종 세균 및 바이러스를 여과 및 살균하여 정화하는 필터가 설치되고, 내측에는 상기 필터를 통해 정화된 깨끗한 공기를 상기 마스크의 내측으로 안내하는 흡입관과, 상기 흡입관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마우스피스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안면커버는 상기 후드에 고정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전면부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전면부를 개폐하는 개폐형 보호안경과, 상기 하우징의 양측부에 각각 고정되고 단부를 상호 부착시켜 상기 하우징을 착용자의 안면부에 밀착시키는 조임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개폐형 보호안경은 힌지부재를 매개로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고, 상기 힌지부재에 의해 상하로 회전하여 상기 하우징의 전면부를 개폐하고, 상기 하우징은 둘레부에 원터치 방식의 고정부재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고정부재에 걸림되도록 상기 개폐형 보호안경은 둘레가 후크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고정부재에 걸림 고정되며, 상기 하우징은 외측 둘레면과 상기 하우징과 대면하는 상기 개폐형 보호안경의 내측 둘레면에는 상기 개폐형 보호안경이 상기 하우징에 자력을 통해 긴밀하게 부착 고정되도록 자성체가 매립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의의 허리 부위를 감싸도록 구비된 허리밴드가 설치되고, 상기 허리밴드에는 착탈가능하게 착용자의 생리현상을 해결하기 위한 생리봉투가 설치되고, 상기 생리봉투는 생리 현상시 소변 등을 담을 수 있는 봉투본체와, 상기 봉투본체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봉투본체의 개방된 입구를 덮어 밀폐하는 덮개와, 상기 덮개를 상기 봉투본체에 고정하는 똑딱이와, 상기 덮개를 상기 허리밴드에 착탈가능하게 장착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본체는 외피와 내피로 이루어진 두 겹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피는 방수, 방유 및 방진 기능을 갖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피는 신체의 겨드랑이 부위, 목 부위, 등 부위 및 머리 부위 등에 대응하는 부위에 땀을 흡수하고 체온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기능성 소재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들을 얻을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은 상의, 하의, 후드, 장갑, 신발, 안면커버 및 마스크가 일체로 제작된 일체형 다목적 보호복을 제공함으로써 착용과 탈의가 편리하고, 유해물질의 내부 침투와 외부 유출을 차단하여 착용자와 타인을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안면커버를 개폐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휴식시 개방시켜 통풍을 통한 습기제거 및 시야확보가 가능하고, 착용자의 눈의 피로회복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도 안정적으로 호흡할 수 있도록 하고, 안경이나 고글 착용시 습기서림이나 김서림 등으로 인한 시야확보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신체 부위에서 땀이 자주 발생되는 부위에 땀 흡수부재나 내피를 사용하여 땀을 흡수하고, 체온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착용자의 건강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얼굴이나 머리 크기에 무관하게 밀착시켜 착용할 수 있도록 하여 유해물질의 내부 침투와 외부 유출을 차단하여 착용자와 타인을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의 허리밴드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생리봉투를 구비함으로써 비상시 화장실에 가지 않고도 현장에서 생리 현상을 간편하게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후드의 일측부에 빨대가 삽입되는 빨대 삽입홀을 형성함으로써 후드나 마스크를 벗지 않고도 물이나 음료수와 같은 음료를 간편하게 마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의 후면부에 착용자의 정보(인적정보 포함)가 기재된 명찰을 부착함으로써 현재 착용자가 의료인이나 구급대원인지 아니면 환자인지를 누구나 쉽게 구별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빠른 대응 및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일체형 다목적 보호복을 정면에서 바라본 정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일체형 다목적 보호복을 배면에서 바라본 배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를 설명하기 위해 마스크를 정면 일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마스크를 후면 일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안면커버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일체형 다목적 보호복을 정면에서 바라본 정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일체형 다목적 보호복을 배면에서 바라본 배면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과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일체형 다목적 보호복을 정면에서 바라본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일체형 다목적 보호복을 배면에서 바라본 배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일체형 다목적 보호복(1)은 상의(11), 하의(12) 및 후드(모자)(13)가 일체로 형성된 본체(10)를 포함한다.
본체(10)는 상의(11), 하의(12) 및 후드(13)가 동일 재질로 일체로 형성되거나, 혹은 박음질을 통해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의(11), 하의(12) 및 후드(13) 간의 연결부위에는 그 폭을 줄이기 위해 고무밴드와 같은 탄성밴드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상기 탄성밴드를 통해 연결부위를 탄성으로 조임할 수도 있다.
도 1과 같이, 본체(10)의 상의(11)와 후드(13)를 연결하는 목 부위에는 착용자가 일체형 구조로 이루어진 본체(10)를 착용하거나 탈의할 때 얼굴과 머리 부분이 부드럽게 진출입할 수 있도록 신축성을 갖고 볼륨을 잡아줄 수 있는 신축부재(13a)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신축부재(13a)는 실고무줄(밴딩)로 처리될 수 있다.
이러한 본체(10)는 각종 산업현장, 의료시설, 정부 및 지자체 전염병 대응 및 방역장, 과학 수사대 및 소방 작업장 등에서 발생하는 각종 미세먼지(분진), 화학물, 화학약품, 석면, 미생물, 세균, 바이러스 등과 같은 유해물질의 유입과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방수, 방유 및/또는 방진 등의 기능을 갖는 기능성 원단을 사용한다.
그리고, 본체(10)는 한 겹 또는 외피와 내피로 이루어진 두 겹, 혹은 그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외피는 방수, 방유, 방진 등의 기능을 갖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내피는 피부에 직접 접촉됨에 따라 촉감이 우수하고 피부에 자극을 주지 않으면서 땀 등을 흡수하기 위해 면 소재와 같은 섬유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의(11)는 몸통부(111), 팔부(112) 및 장갑부(113)를 포함한다. 이때, 몸통부(111), 팔부(112) 및 장갑부(113)는 서로 동일 재질로 일체로 이루어지거나, 혹은 서로 다른 재질로 이루어지고 박음질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몸통부(111)에는 전면부 일측에 펜 또는 메모지나 수첩 등을 수납하는 적어도 하나의 상의 주머니(111a)가 구비되고, 후면부에는 현재 보호복을 착용한 착용자의 정보, 예를 들면 직업(환자/의사/간호사/구급대원 등)/나이/혈액형/증상(질병)/보호자 연락처/직위/기록(환자분류) 등의 정보가 기재된 명찰부(111b)가 구비되어 있다.
명찰부(111b)는 펜을 이용하여 착용자의 정보를 기재할 수 있도록 제공되거나, 혹은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벨크로(찍찍이) 부재를 이용하여 탈부착될 수 있다. 이외에도, 명찰부(111b)는 스티커로 이루어져 몸통부(111)에 부착될 수도 있다.
몸통부(111)와 팔부(112)는 동일한 재질로 박음질을 통해 일체로 형성되고, 장갑부(113)는 몸통부(111) 및 팔부(112)와 서로 동일한 재질로 일체로 이루어지거나, 혹은 몸통부(111) 및 팔부(112)와 서로 다른 재질, 예를 들면 고무나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고, 팔부(112)의 단부에 박음질을 통해 서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장갑부(113)는 이동 단말기(휴대폰/스마트폰 등)를 장갑을 벗지 않고도 간편하게 터치하여 조작할 수 있도록 엄지와 검지에 각각 터치패드(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터치패드는 상기 이동 단말기가 정전식인 경우 폴리에스터 소재의 실에 금속재질의 얇은 실을 혼합하여 제조된 전도성 실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의(12)는 바지부(121)와, 바지부(121)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신발부(122)를 포함한다. 이때, 바지부(121)와 신발부(122)는 서로 동일한 재질로 일체로 형성되거나, 혹은 다른 재질로 박음질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바지부(121)는 착용자의 양 다리가 삽입되는 부위로서, 몸통부(111)의 하단부로부터 일체로 나란하게 연장된다. 그리고, 적어도 일측부에는 이동 단말기, 혹은 신분증, 지갑, 소독용품 및 물품 등을 수납하는 하의 주머니(121a)가 구비되어 있다.
신발부(122)는 양말이나 덧신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닥면에는 지면 등에서 움직일 시에 고르지 못한 부분으로 인하여 찢어지거나 미끄러짐 등을 방지하기 위해 고무재질이나 천 재질 등으로 이루어진 보호패드(122a)가 구비될 수 있다.
보호패드(122a)는 신발 밑창의 바닥에 형성되어 있는 요철이나 홈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고, 신발부(122)의 바닥면에 덧 씌우거나, 혹은 코팅하는 방식으로 형성하여 미끄럼을 방지하는 한편, 신발부(122)의 마모 및 손상을 방지한다. 그리고, 완충성과 탄성을 제공하여 장시간 서서 작업하는 경우 발의 피로도를 줄일 수도 있다.
즉, 보호패드(122a)는 신발부(122)의 외면에 구비되어 미끄럼 방지, 돌이나 유리 파편 등의 비교적 악조건 상태의 지면상태(환경)에서 신체의 하중을 가장 많이 받는 신발부(122)를 보호해주기 위한 것으로, 고무재질, 천 재질 또는 실리콘 재질 등으로 코팅, 접착, 박음질 등의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덧데어 가공 및 성형 등을 통해 제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특수한 상황이나 환경에서도 착용자의 상해를 최소화하도록 하는 기능을 추가하여 특수용으로 제작되어 사용할 수 있다.
본체(10)에는 몸통부(111)와 바지부(121) 사이의 경계부, 즉 착용자의 허리에 대응되는 부위를 조이기 위해 상기 경계부를 감싸도록 허리밴드(14)가 설치된다. 이때, 허리밴드(14)는 면 소재나 혹은 탄성력을 갖는 고무밴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체(10)에는 본체(10)의 전면부를 개폐하기 위해 지퍼(15)가 구비되어 있다.
지퍼(15)는 사용자의 착용과 탈의가 용이하도록 몸통부(111)의 상단에서 바지부(121)의 상부 일부까지 연장된다. 그리고, 지퍼(15)는 각종 세균과 바이러스의 유입 및 유출을 더욱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이중 지퍼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몸통부(111)의 전면부에는 지퍼(15)와 나란하게 지퍼덮개(16)가 형성될 수 있다.
지퍼덮개(16)는 내측면에 벨크로 부재가 구비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지퍼(15)를 덮은 상태에서 몸통부(111)의 전면부에 구비된 벨크로 부재에 부착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지퍼덮개(16)는 실링 테이프를 구비하여 몸통부(111)에 부착 고정될 수도 있다.
후드(13)는 상의(11)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의(11)의 상단부에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후드(13)의 전면부는 얼굴이 개방되도록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1 및 도 2와 같이, 후드(13)에는 전면부 측부에서 후드(13)의 후면부를 감싸도록 탄성밴드(131, 13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밴드(131, 132)는 예를 들어, 고무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그 양단부에는 벨크로 부재가 구비되어 탄성밴드(131, 132)의 양단부를 탈부착 방식으로 후드(13)의 둘레를 조여 고정한다.
이를 통해 착용자의 얼굴과 머리 사이즈보다 큰 경우 원하는 부피만큼 조여 사용함으로써 이동, 움직임 및 물품 사용시 간섭되어 마찰과 불편함을 주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결국, 신체 사이즈와 무관하게 편리성과 안정감을 제공할 수 있다.
탄성밴드(131, 132)는 후드(13)로부터 독립적으로 분리되거나, 혹은 일단부가 박음질이나 기타 다른 체결부재를 통해 후드(13)의 전면부 측부에 고정되고, 타측부는 벨크로 부재나, 똑딱이 부재를 구비하여 상호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1과 같이, 후드(13)의 전면부에 형성된 개구부에는 마스크(17)가 일체로 구비되고, 마스크(17)의 상측으로 후드(13)의 개구부에는 안면커버(18)가 일체로 구비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를 설명하기 위해 마스크를 정면 일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마스크를 후면 일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17)는 둘레부가 박음질을 통해 후드(13)의 개구부 둘레에 일체로 고정되거나, 혹은 벨크로 방식으로 탈부착될 수도 있다. 또한 후드(13)의 개구부 둘레에 끼움홈(미도시)을 형성한 후 상기 끼움홈에 마스크(17)의 둘레가 끼워져 결합되는 방식으로 후드(13)에 고정될 수도 있다.
마스크(17)는 미세먼지, 세균 및 바이러스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해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인증한 KF80, KF94 또는 KF99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외에도, 미세먼지, 세균 및 바이러스 차단 기능을 갖는 공지된 마스크는 모두 적용할 수 있다.
마스크(17)는 외측 중앙에 외부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나 각종 세균 및 바이러스 등을 여과 및 살균하여 정화하는 필터(171)가 설치된다. 그리고, 마스크(17)의 내측에는 필터(171)를 통해 정화된 깨끗한 공기를 마스크(17)의 내측으로 안내하는 흡입관(172)과, 흡입관(172)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마우스피스(173)가 설치된다.
필터(171)는 마스크(17)로부터 분리가 가능한 교체형 필터이다. 이러한 필터(171)는 단층 필터 또는 다층의 필터 보호막을 적층시켜 이루어진 복합필터로 구성될 수 있다.
흡입관(172)과 마우스피스(173)는 일체로 제조되고, 착용자가 안전하게 입으로 물고 호흡할 수 있도록 부드럽고 항균처리된 실리콘 또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아용 용품(젖병, 젖꼭지 등)에 사용되는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흡입관(172)은 단부가 필터(171)에 나사결합 또는 억지끼움방식으로 결합되어 필터(171)의 교체가 가능하다. 그리고, 도 4와 같이, 튜브의 공기 주입구와 같이, 화살표 방향으로 마스크(17)의 내측에 형성된 홈부에 인입 및 인출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안면커버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안면커버(18)는 착용자의 눈 부위를 덮어 보호하도록 후드(13)의 개구부에 일체로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면커버(18)는 둘레부가 박음질이나, 혹은 접착제를 통해 후드(13)에 일체로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착용자의 시야 확보가 가능하도록 투명하고 연질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진다.
안면커버(18)는 도 5와 같이, 후드(13)의 전면부에 박음질로 고정되는 하우징(181)과, 하우징(181)의 개방된 전면부에 설치되어 하우징(181)의 개방된 전면부를 개폐하는 개폐형 보호안경(182)과, 하우징(181)의 양측부에 각각 고정되고 단부를 상호 부착시켜 하우징(181)을 착용자의 안면부에 밀착시키는 조임밴드(183)를 포함한다.
개폐형 보호안경(182)은 상단부가 힌지부재(184)를 매개로 하우징(181)에 고정되고, 힌지부재(84)에 의해 상하로 회전하여 하우징(181)의 개방된 전면부를 개폐한다.
하우징(181)은 둘레부에 각종 세균 및 바이러스, 혹은 기타의 오염물질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하는 한편, 개폐용 보호안경(182)의 밀착시 안정성을 제공하기 위해 원터치 방식의 고정부재(185)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부재(185)에 걸림되도록 개폐형 보호안경(182)는 둘레가 후크 형태로 이루어져 고정부재(185)에 걸림 고정된다.
또한, 하우징(181)은 외측 둘레면과, 하우징(181)과 대면하는 개폐형 보호안경(182)의 내측 둘레면에는 개폐형 보호안경(182)이 하우징(181)에 자력을 통해 긴밀하게 부착 고정될 수 있도록 자성체(n1, n2)가 매립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자성체(n1, n2)는 암수결합될 수 있도록 암수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고, 그리고, 자성체(n1, n2)는 모두 자석부재이거나, 하나는 자석부재이고 나머지 하나는 금속부재일 수 있다.
하우징(181)의 내측에는 땀 등을 흡수할 수 있도록 땀 흡수부재(미도시)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이마나 눈 주위에 생기는 땀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땀 흡수부재는 섬유(면 소재 등)나 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과 같이, 후드(13)에는 비상시 물이나 음료수를 착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빨대(미도시)가 삽입되는 삽입홀(13b)이 형성되어 있고, 후드(13)에는 삽입홀(13b)을 개폐하기 위해 삽입홀(13b)을 개폐하는 마개(미도시)가 고정되어 있다. 이때, 삽입홀(13b)은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삼각형, 사각형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마개의 탈부착을 위해 후드(13)에는 삽입홀(13b)을 둘러싸도록 그 주변에 벨크로 부재(암 벨크로)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마개에는 후드(13)의 벨크로 부재에 부착 고정되는 벨크로 부재(숫 벨크로)가 마련되어 있고, 중앙에는 삽입홀(13b)에 끼워져 삽입홀(13b)의 내부를 밀폐하는 돌부(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마개에는 분실을 방지하기 위해 후드(13)에 고정되는 연결끈(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후드(13)에 형성된 빨대 삽입홀(13b)은 빨대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원형 구조로 아니라 십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마개는 벨크로 부재만 구비되어 후드(13)의 벨크로 부재에 부착 고정되어 밀폐할 수도 있다.
또한, 삽입홀(13b)의 내부에는 십자형으로 절단 개구된 스폰지(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스폰지는 항균 및 소독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십자형으로 절단 개구된 스폰지에는 호스(미도시)가 삽입되어 산소 등을 내부로 공급할 수도 있다.
한편, 후드(13)와 몸체부(111)의 연결부위를 조이기 위해 탄성밴드(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과 같이, 허리밴드(14)에는 생리 현상, 예컨대 소변을 해결하기 위해 생리봉투(19)가 장착된다. 생리봉투(19)는 생리 현상시 소변 등을 담을 수 있는 봉투본체(19a)와, 봉투본체(19a)의 상단에 형성되어 봉투본체(19a)의 개방된 입구를 덮어 밀폐하는 덮개(19a)와, 덮개(19b)와 봉투본체(19a)에 암수가 구비되어 덮개(19b)를 봉투본체(19a)에 고정하는 똑딱이(19c)와, 덮개(19b)에 형성된 고리홀에 결합되어 봉투본체(19a)를 허리밴드(14)에 착탈가능하게 장착하는 고정부재(19d)를 포함한다.
고정부재(19d)는 링 구조로, 양단부가 똑딱이나 벨크로 부재를 통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일체형 다목적 보호복(1)은 본체(10)의 상의(11), 하의(12) 및 후드(13)를 박음질을 통해 상호 연결하기 위해 재봉선이 형성된다.
이러한 재봉선은 각종 세균 및 바이러스나, 혹은 기타의 오염물질이 유입되는 경로가 될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재봉선 부위를 덮도록 원단과 동일한 재질 또는 세균 및 바이러스가 유출 및 유입되지 않는 재질의 테이프로 마감처리된다.
도 1과 같이, 상의(11), 하의(12) 및 후드(13) 간의 연결부위, 그리고 상의(11)의 소매부위와, 하의(12)의 발목부위에는 그 폭을 줄이기 위해 고무밴드와 같은 탄성밴드(112a, 121b)가 구비되어 탄성으로 조임할 수도 있다. 이때, 탄성밴드(112a, 121b)는 상의(11)와 하의(12)로부터 독립적으로 분리되거나, 혹은 일단부가 박음질이나 기타 다른 체결부재를 통해 상의(11)와 하의(12)에 고정되고, 타측부는 벨크로 부재나 똑딱이 부재를 통해 구비하여 상호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일체형 다목적 보호복을 정면에서 바라본 정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일체형 다목적 보호복을 배면에서 바라본 배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일체형 다목적 보호복(2)은 실시예1과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의(11) 및 후드(13)에는 땀을 흡수하는 동시에 착용자의 체온 상승을 방지하고 내려줄 수 있도록 신체의 특정 부위에 대응되는 부위에 기능성 소재로 이루어진 내피(11a~11b, 13c~13e)가 구비된다.
내피(11a~11b, 13c~13e)는 예를 들어, 땀이 주로 발생하는 신체 부위, 예를 들면 겨드랑이 부위, 목 부위, 등 부위, 머리 부위 등에 대응하는 상의(11) 및 후드(13)에 부분적으로 설치되어 땀 흡수 및 체온유지를 통해 착용자의 건강을 유지시킬 수 있다. 이때, 내피(11a~11b, 13c~13e)는 기능성 소재로서, 예를 들면, 코오롱사(한국)의 쿨론이나 듀퐁사(미국)의 쿨맥스 등과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일체형 다목적 보호복은 본체의 중앙에 지퍼가 구비된 중앙 개폐식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1인이 타인의 도움없이도 간편하게 착용과 탈의가 가능하다. 이에 따라, 산업현장의 작업자나 의료시설의 의료인들뿐만 아니라, 각 가정 내에서 일반인들 또한 간편하게 착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일체형 다목적 보호복은 바이러스 감염 의심자나 감염자가 착용하는 경우 1차적으로 바이러스의 유출 및 공기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보호복을 착용한 상태로 자가용을 타고 지정병원, 지정치료 센터로로 이동하거나, 혹은 휴대폰을 손 세정제 및 기타 세정제 종류로 소독 및 닦아 낸 후 치료센터의 담당의사나 관계자와 통화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바이러스 감염 의심자나 감염자의 증가로 인한 격리시설, 응급차량 및 구급대원의 부족 현상을 해소할 수 있고, 또한 의료인과 구급대원의 시간, 인력 및 경비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일체형 다목적 보호복을 의료인들 뿐만 아니라 바이러스 감염자와 접촉한 바이러스 감염 의심자나 바이러스 감염자들에게 제공함으로써 바이러스 감염 의심자나 바이러스 감염자 들의 격리, 혹은 이송 과정에서 바이러스의 유입 및 유출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바이러스 전염을 예방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일체형 다목적 보호복을 공공기관, 공공장소, 가정(자녀/부모), 회사, 모임 등에 항시 예비로 비치하여 놓고 사용할 경우, 만약의 증상 상태에 최적의 대응 및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첫째, 환자 본인의 바이러스를 더 이상 외부(사람 및 건물, 실내외 공기 중)로 유출시키지 않는다. 둘째, 치료장소에서도 감압병실을 직접 못 들어가고 대기할 때 타인(타환자, 의료진, 기타의 사람, 보호자, 내방객 등)에게 바이러스를 옮기지 않는다. 셋째, 응급차량, 구급대원, 기타의 시설(동선)에 1차 및 2차 소독, 방역작업의 큰 비용과 시간과 인력과 소독재료 등이 절감되는 사회적, 경제적, 국가적, 국민적으로 큰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다. 이처럼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결합을 통해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2 : 일체형 다목적 보호복 10 : 본체
11 : 상의 12 : 하의
13 : 후드(모자) 13a : 신축부재
13b : 삽입홀 11a, 11b, 13c, 13d, 13e : 내피
14 : 허리밴드 15 : 지퍼
16 : 지퍼덮개 17 : 마스크
18 : 안면커버 19 : 생리봉투
19a : 봉투본체 19b : 덮개
19c : 똑딱이 19d : 고정부재
111 : 몸통부 111a : 상의 주머니
111b : 명찰부 112 : 팔부
113 : 장갑부 121 : 바지부
121a : 하의 주머니 131, 132 : 탄성밴드
171 : 필터 172 : 흡입관
173c : 마우스피스 181 : 하우징
182 : 개폐형 보호안경 183 : 조임밴드
184 : 힌지부재 185 : 고정부재
n1, n2 : 자성체

Claims (7)

  1. 상의, 하의 및 후드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지고, 전면부를 개폐하도록 지퍼가 구비되고, 착용자의 목 부위에 대응하는 상기 상의와 상기 후드 사이의 연결 부위에는 착용자의 머리와 얼굴의 진출입이 용이하도록 신축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본체;
    상기 후드의 개구부에 일체로 고정되어 유해물질의 유입 및 유출을 차단하는 마스크;
    상기 후드에 일체로 고정되어 상기 후드의 개구부를 덮는 안면커버; 및
    상기 상의의 상단에서 상기 하의의 상부까지 연장되어 상기 본체의 전면부를 개폐하는 지퍼;를 포함하되,
    상기 상의는 전면부에 상기 지퍼와 상의 주머니가 구비되어 있고, 배면부에는 착용자의 정보가 기재된 명찰부가 탈부착되는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와 박음질을 통해 일체로 연결된 팔부와, 상기 팔부의 하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장갑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의는 상기 몸통부의 하단부에 상기 몸통부와 동일 재질로 일체로 형성되고 전면부에는 상기 지퍼가 연장되며 하의 주머니가 구비되어 있는 바지부와, 상기 바지부와 동일 재질로 상기 바지부의 하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신발부를 포함하며,
    상기 후드의 개구부의 양측부에 고정되어 상기 후드의 후면부를 감싸도록 탄성밴드가 구비되고, 일측부에는 비상시 물, 음료수 또는 산소를 착용자에게 공급하기 위해 빨대나 호스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어 있되, 상기 탄성밴드는 양단부가 분할되고 벨크로 부재를 통해 상호 탈부착되어 상기 후드의 둘레를 조여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다목적 보호복.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는 박음질을 통해 상기 후드의 개구부 둘레에 일체로 고정되거나 탈부착될 수도 있고, 외측에는 외부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나 각종 세균 및 바이러스를 여과 및 살균하여 정화하는 필터가 설치되고, 내측에는 상기 필터를 통해 정화된 깨끗한 공기를 상기 마스크의 내측으로 안내하는 흡입관과, 상기 흡입관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마우스피스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다목적 보호복.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면커버는 상기 후드에 고정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전면부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전면부를 개폐하는 개폐형 보호안경과, 상기 하우징의 양측부에 각각 고정되고 단부를 상호 부착시켜 상기 하우징을 착용자의 안면부에 밀착시키는 조임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다목적 보호복.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형 보호안경은 힌지부재를 매개로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고, 상기 힌지부재에 의해 상하로 회전하여 상기 하우징의 전면부를 개폐하고, 상기 하우징은 둘레부에 원터치 방식의 고정부재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고정부재에 걸림되도록 상기 개폐형 보호안경은 둘레가 후크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고정부재에 걸림 고정되며, 상기 하우징은 외측 둘레면과 상기 하우징과 대면하는 상기 개폐형 보호안경의 내측 둘레면에는 상기 개폐형 보호안경이 상기 하우징에 자력을 통해 긴밀하게 부착 고정되도록 자성체가 매립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다목적 보호복.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의의 허리 부위를 감싸도록 구비된 허리밴드가 설치되고, 상기 허리밴드에는 착탈가능하게 착용자의 생리현상을 해결하기 위한 생리봉투가 설치되고, 상기 생리봉투는 생리 현상시 소변 등을 담을 수 있는 봉투본체와, 상기 봉투본체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봉투본체의 개방된 입구를 덮어 밀폐하는 덮개와, 상기 덮개를 상기 봉투본체에 고정하는 똑딱이와, 상기 덮개를 상기 허리밴드에 착탈가능하게 장착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다목적 보호복.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외피와 내피로 이루어진 두 겹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피는 방수, 방유 및 방진 기능을 갖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피는 신체의 겨드랑이 부위, 목 부위, 등 부위 및 머리 부위 등에 대응하는 부위에 땀을 흡수하고 체온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기능성 소재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다목적 보호복.
KR1020200080849A 2020-07-01 2020-07-01 일체형 다목적 보호복 KR1022256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0849A KR102225697B1 (ko) 2020-07-01 2020-07-01 일체형 다목적 보호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0849A KR102225697B1 (ko) 2020-07-01 2020-07-01 일체형 다목적 보호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5697B1 true KR102225697B1 (ko) 2021-03-15

Family

ID=75134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0849A KR102225697B1 (ko) 2020-07-01 2020-07-01 일체형 다목적 보호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569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2455B1 (ko) * 2021-02-02 2021-12-01 박노원 무봉제 방호복 및 그 제작방법
KR102487915B1 (ko) 2022-01-25 2023-01-13 주식회사 피피 리사이클된 합성섬유의 방적사를 이용한 메디컬용 기능성 원단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비염색 기능성 메디컬 의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5516Y1 (ko) * 2006-09-29 2007-01-29 주식회사 엠텍이엔지 사용자 편의성을 갖는 작업복
KR100843574B1 (ko) 2007-10-15 2008-07-03 (주)한국원자력 엔지니어링 방호복
KR20090089760A (ko) 2008-02-19 2009-08-24 가부시키가이샤 노르메카 아시아 감염증 방호복
KR101030332B1 (ko) * 2011-01-10 2011-04-19 김진국 방제복
KR101587228B1 (ko) 2014-08-18 2016-01-21 엠텍에스티에스 주식회사 다목적 보호복
KR20160078347A (ko) 2013-10-29 2016-07-04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개선된 후드를 갖는 방호복
KR101982939B1 (ko) * 2017-11-29 2019-05-27 조성민 소변주머니 수용 기능을 구비한 하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5516Y1 (ko) * 2006-09-29 2007-01-29 주식회사 엠텍이엔지 사용자 편의성을 갖는 작업복
KR100843574B1 (ko) 2007-10-15 2008-07-03 (주)한국원자력 엔지니어링 방호복
KR20090089760A (ko) 2008-02-19 2009-08-24 가부시키가이샤 노르메카 아시아 감염증 방호복
KR101030332B1 (ko) * 2011-01-10 2011-04-19 김진국 방제복
KR20160078347A (ko) 2013-10-29 2016-07-04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개선된 후드를 갖는 방호복
KR101587228B1 (ko) 2014-08-18 2016-01-21 엠텍에스티에스 주식회사 다목적 보호복
KR101982939B1 (ko) * 2017-11-29 2019-05-27 조성민 소변주머니 수용 기능을 구비한 하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2455B1 (ko) * 2021-02-02 2021-12-01 박노원 무봉제 방호복 및 그 제작방법
KR102487915B1 (ko) 2022-01-25 2023-01-13 주식회사 피피 리사이클된 합성섬유의 방적사를 이용한 메디컬용 기능성 원단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비염색 기능성 메디컬 의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9481B1 (ko) 일체형 다목적 보호복
US5636382A (en) Protective systems for sensitive skin
US6687919B2 (en) Medical garment with fluid barrier
US4845779A (en) Protective hospital gown
JP3141379U (ja) 感染症防護服
KR102225697B1 (ko) 일체형 다목적 보호복
JPH05125606A (ja) 外科用フード
Baker et al. Guidelines for frontline health care staff safety for COVID-19
World Health Organization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in the context of filovirus disease outbreak response rapid advice guideline: summary of the recommendations
CA3013903A1 (en) Catheter protector
JP3143595U (ja) 感染症防護服
CN211631895U (zh) 医用防护服
KR102281925B1 (ko) 방역방호복
Gupta et al.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during COVID-19 epidemic
CN216088972U (zh) 一种抗菌隔离衣
KR102097761B1 (ko) 다목적 응급 두건
US20240130448A1 (en) Reusable protective clothing
CN211983977U (zh) 一种便于听诊的防护服
CN216875162U (zh) 一种新型防护服
CN213908570U (zh) 一种儿童防护服
JP3068551U (ja) 救急用感染防止衣
CN214414160U (zh) 一种医用双层隔离正压防护服
US11259578B2 (en) PPE with rotating assembly providing multiple face covers
CN215958487U (zh) 一种基于病毒感染用防控服
CN212938093U (zh) 一种医用连体式防护服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