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7761B1 - 다목적 응급 두건 - Google Patents

다목적 응급 두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7761B1
KR102097761B1 KR1020190063692A KR20190063692A KR102097761B1 KR 102097761 B1 KR102097761 B1 KR 102097761B1 KR 1020190063692 A KR1020190063692 A KR 1020190063692A KR 20190063692 A KR20190063692 A KR 20190063692A KR 102097761 B1 KR102097761 B1 KR 1020977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d
cover
face
purpose emergency
fac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36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준
Original Assignee
김형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준 filed Critical 김형준
Priority to KR10201900636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77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77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77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18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ears or nape, e.g. sun or rain shields; with air-inflated pads or removable linings
    • A42B1/0181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ears or nape, e.g. sun or rain shields; with air-inflated pads or removable lining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 A42B1/0182Peaks or visors
    • A42B1/0184Peaks or visors detachable or movable, e.g. rotatable
    • A42B1/064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04Decorative arrangements or effec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4Soft caps; Hoods
    • A42B1/08Soft caps; Hoods with protection against blow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18Coverings for protecting hats, caps or hoods against dust, rain, or sunshine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206Transformable, convertible or reversible ha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24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attaching articles thereto, e.g. memorandum tablets or mirrors
    • A42B1/241Pockets therefor; Head coverings with pockets

Landscapes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목적 방재용 응급두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진과 핵폭발시 낙하물로부터 두견부를 보호하고, 화재의 열기로부터 두부를 보호하고, 화재가스/화생방오염으로부터 호흡기를 보호하고, 화생방오염으로부터 두부노출을 저감케 하기 위하여,
두견부에 대한 외부 충격을 저감토록 충격흡수층을 포함한 재질로서 전면부와 하면부가 개방된 두건을 충격흡수재질을 포함하여 제작하고, 탈착식으로 호흡기를 2중으로 덮는 부분을 여과재로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다목적 응급 두건{a multipurpose emergency hood}
본 발명은 지진, 핵폭발 및 방사능 오염, 화재, 화생방오염 상황에서 머리와 어깨 등 두견부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거나, 호흡기를 보호하거나, 필요시에는 보온의 목적으로도 사용이 가능한 다목적 응급두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진과 핵폭발시 낙하물로부터 두견부를 보호하고, 화재의 열기로부터 두부를 보호하고, 화재가스/화생방 물질에 의한 공기오염으로부터 호흡기를 보호하고, 화생방오염으로부터 두부노출을 저감케 하기 위하여 호흡기를 두겹으로 덮어 보호케 한 것이다.
지진, 핵폭발 및 방사능 오염, 화재, 화생방오염 상황에서 두견부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거나, 호흡기를 보호하는 수단으로서 방독면이나 두건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모든 위기상황에 범용으로 대응코자 하는 기술은 발전되지 못하고 있다.
이는 각각의 분야에서 수준 높은 기술력으로 완벽하게 보호코자 하기 때문일 수 있는데, 이로 인하여 방독면도 화생방용/화재용으로 구분하여 준비를 해야 하는 등으로, 실제 생활에서는 모두 준비를 갖추지 않는 방향으로 작용하고 있다.
아래와 같은 기술들은 다목적 응급대응을 가능케 하는 두건이 아니라는 점에서 본원발명과 대별되며, 본원의 다목적 응급 두건은, 각종 위기상황에 대한 지식과 융통성 있는 대응개념이 전제 되어야만 발명될 수 있는 것이다.
대한민국특허청 등록번호 1020050029480(2005.04.08) 방염 및 방연 두건은, 안면부(20)에서 착용자의 호흡기 부위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그물망 형태의 통기망(23)이 형성되어져 있으며; 상기 통기망(23)의 내측에는 방연마스크(30)의 안착이 가능하도록 마스크 수용부가 구비된 것으로서, 본원 발명처럼 다목적 응급대응을 위한 것이 아니다. 대한민국특허청 등록번호 1014550700000(2014.10.21) 탈착 가능한 마스크 패드가 구비된 두건은, 신축성 있는 직물의 호흡기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스크패드가 탈착가능토록 된 것으로서, 호흡기보호를 목적으로 한 두건이며, 본원 발명처럼 다목적 응급대응을 위한 것이 아니다. 대한민국특허청 공개특허 1020180061724 (2018.06.08) 조임 기능이 부가된 넥마스크는, 안면부(100) 반원형상 원주부분의 둘레를 따라 삽입 수용된 조임끈(130)을 조여서 안면부를 잘 감싸도록 된 것으로서, 본원 발명처럼 다목적 응급대응을 위한 것이 아니다. 대한민국특허청 등록번호 10-1665630 (2016.10.06) 화재대피용 방연마스크는 한쪽만 열린 두건과 그 두건의 안면부에 오염된 공기를 정화할 수 있 필터가 형성된 화재대피용 방연마스크로서, 본원 발명처럼 다목적 응급대응을 위한 것이 아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두견부를 외부의 충격저감이나, 화재열기의 노출 저감이나, 화생방물질의 노출저감이 가능토록 충격흡수재질을 포함하여 제작하고, 호흡기를 덮는 부분을 여과재로 제작함으로서 지진, 핵폭발 및 방사능 오염, 화재, 화생방오염 상황에서 오염된 공기로부터 호흡기를 보호하는 등 다목적으로 활용이 가능토록 한 것이다.
머리에 씌워서 머리와 어깨부분의 외부충격을 저감할 수 있도록 충격흡수층을 포함한 재질로서 두건몸체의 전면부와 하면부가 개방된 두건에 있어서, 상기 두건몸체는 후면부의 하면부에 구비된 가름부와, 전면부가 개방되어 형성된 제1전면부와 제2전면부 중 어느 한 곳에서 두겹으로 소정의 폭과 길이로 연장되거나 또는 제1전면부와 제2전면부에서 각각 소정의 폭과 길이로 연장된 안면부덮개와, 전면부의 안면부덮개 아래쪽 일측에서 개방된 양측을 연결하는 두건결속구를 구비하고, 상기 안면부덮개의 재질은 공기 여과재를 포함하며, 상기 안면부덮개가 연장된 끝부분 일측의 안면부덮개탈착부가 타측 전면부 또는 측면부에 구비된 안면부덮개탈착부에서 탈착되어 안면부덮개가 두겹으로 겹쳐진 상태로 호흡기를 덮어 보호할 수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응급 두건이다.
상기 제1전면부와 제2전면부 중 어느 한 곳에서 두겹으로 연장된 안면부덮개는 외측을 덮는 안면부덮개에 안면부덮개탈착부가 구비되거나 또는 두겹 모두의 안면부덮개에 안면부덮개탈착부가 구비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제1전면부와 제2전면부 중 어느 한 곳에서 두겹으로 연장된 안면부덮개는 내측의 안면부덮개가 외측의 안면부덮개보다 짧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제1전면부와 제2전면부 중 어느 한 곳에서 두겹으로 연장된 안면부덮개는 서로 연결되어 환형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환형으로 된 안면부덮개가 호흡기를 덮고 접혀지는 일측이 소정거리가 더 연장된 곳에 안면부덮개탈착부가 구비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제1전면부와 제2전면부 두 곳에서 연장된 안면부덮개는 각각 두건몸체의 전면부로부터 후면부 쪽으로 젖혀져서 측면부나 후면부에 구비된 안면부덮개측면탈착부에서 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제1전면부와 제2전면부 중 어느 한 곳에서 두겹으로 연장된 안면부덮개는 외측의 안면부덮개가 두건몸체의 전면부로부터 후면부 쪽으로 젖혀져서 두건몸체의 측면부나 후면부에 구비된 안면부덮개측면탈착부에서 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제1전면부와 제2전면부 중 어느 한 곳에서 두겹으로 연장된 안면부덮개는 두건몸체의 전면부로부터 후면부 쪽으로 젖혀져서 내측의 안면부덮개가 외측의 안면부덮개 및 안면부덮개측면탈착부 중 어느 한 곳에서 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안면부덮개는 두건몸체의 전면부로부터 후면부 쪽으로 젖혀져서 측면부나 후면부에 구비된 안면부덮개측면탈착부에서 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다목적 응급두건은 개방된 전면부의 상면부에서 소정거리가 연장된 차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차양은 두건몸체의 상후면부쪽으로 접기가 용이토록 된 차양접힘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다목적 응급 두건은 두건몸체의 일측에 두건수납부를 형성하거나 휴대주머니를 더 구비하여 넣는 것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다목적 응급 두건은 두건몸체의 일측에 두건수납부를 형성하거나 휴대주머니를 더 구비하여 넣는 것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안면부덮개는 여과재의 구성재로서 나노섬유, 극세사, 부직포, 실리콘, 활성탄소필터, 정전기필터, 친수성소재, 펄프 및 면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다목적 응급 두건은 측면부의 일측에 청각수신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두건수납부 및 휴대주머니 중 어느하나 이상에 보호물자로서 보호장갑, 물용기, 제독제용기, 물티슈, 건조티슈, 방재덮개, 보온덮개, 물포, 건조포 또는 마스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여 수납할 수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두건수납부 및 휴대주머니 중 어느하나 이상에 보호물자로서 보호장갑, 물용기, 제독제용기, 물티슈, 건조티슈, 방재덮개, 보온덮개, 물포, 건조포 또는 마스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여 수납할 수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다목적 응급 두건은 외피의 재질이 화재방호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다목적 응급 두건은 외피가 발수 및 발유 중 한 가지 이상의 처리가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다목적 응급 두건은 차양 및 안면부덮개 중 어느 하나 이상이 각각 분리되어 제작 후에 두건몸체에 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다목적 응급 두건은 두건몸체의 일측에 구비된 두건수납부로부터 안면부덮개 또는 안면부덮개의 여과재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잇는 물통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안면부덮개는 테두리부가 충격흡수층으로 된 두건몸체의 두께이거나 이보다 더 두껍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안면부덮개는 중앙부가 테두리부보다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안면부덮개는 중앙부가 돔형으로 외부쪽으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다목적 응급 두건은 일측에 두건휴대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1은 다목적 응급 두건의 안면부덮개가 양쪽 전면부에 형성된 좌측면부 쪽이다.
1측면부(20)쪽의 두건몸체에서 연장된 안면부덮개1(52)는 눈의 아래쪽으로부터 턱부분이나 약간 더 아래까지를 덮게 된 것이다. 안면부덮개1의 중앙부쪽에는 여과재부(53)가 형성되고, 안면부덮개측면탈착부(56)는 뒤쪽으로 젖혀져서 안면부덮개측면탈착부1(56-1)과 탈착되며, 안면부덮개의 안면부덮개탈착부(57)는 도3 두건몸체의 안면부덮개탈착부1(57-1)에서 탈착된다.
안면부덮개탈착부는 예로서 훼스너테이프를 적용한 사진이다. 도3을 같이 참고하여 보면 2측면부(21)쪽의 두건몸체에서 연장된 안면부덮개2(62)인 경우에도 이와 같은 방법으로 결착될 수 있다.
상면부(30)의 쪽의 두건수납부(80)와 하면부쪽의 두건수납부(80-1)가 형성되고, 후면부(60)의 아래쪽에 가름부(58)가 형성된 것이다.(도4, 도5 참조)
하면부(40)로 머리를 넣어 착용하면 목부분쯤에 위치한 두건결속구(51)가 다목적 응급 두건의 이탈을 저감케 한 것으로서, 두건결속구의 폭을 넓지 않게 한 것이며 가리는 가리는 면적을 넓게 하고자 할 때에는 넓게 형성할 수 있다.
2측면부(21)의 두건몸체에서 연장된 안면부덮개2(62)를 안쪽으로 위치시키고, 그 위를 1측면부(20)의 두건몸체에서 연장된 안면부덮개1(52)로 덮고,
도1의 안면부덮개탈착부(57)가 도3의 안면부덮개탈착부1(57-1)에 탈착케 된 것이며, 안면부덮개탈착부(57)는 훼스너테이프의 뒤쪽에 재봉선 만 보이는 것이다. 안면부덮개탈착부2(57-2)는 안면부덮개탈착부1(57-1)와 대응되는 곳에 구비하며, 안면부덮개의 덮는 윗쪽을 반대로 할 경우에도 결착이 가능케 된 것으로서, 이로서 당연히 두겹으로 호흡기를 덮을 수 있게 된 것이다.
안면부덮개가 호흡기를 덮고 타 전면부에서의 안면부덮개 끝부분의 위치는 다목적 응급 두건의 제작 사이즈와 안면부의 크기에 따라서 약간 상이할 수 있지만, 대략 호흡기를 덮는 내측의 안면부덮개는 외측 안면부덮개의 내측에 위치하되 타 전면부에 근접하여 위치케 되거나 두건몸체의 내측으로 일부 들어갈 수 있으며 이로서 안면부덮개가 호흡기에 더욱 잘 밀착되게 할 수 있다. 외측의 안면부덮개는 내측의 안면부덮개를 덮고 타 전면부나 전면부에서 가까운 측면부에서 결착되므로 호흡기 전체를 두겹으로 덮고, 그 두겹의 사이에 젖은 여과재 등을 넣어서 전체 호흡기에서 젖은 여과재의 여과력을 활용하여 호흡기를 방호할 수도 있게 한 것이다.
도2는 차양(54)이 형성되고, 안면부덮개가 두건몸체의 전면부로부터 후면부 쪽으로 젖혀져서 측면부에 구비된 안면부덮개측면탈착부에 결착된 모습이다.
1측면부(20)의 전면부(10) 이마쪽에 차양접힘선(55)을 기준으로 돌출된 차양(54)이 형성된 것이다. 다른 표현으로는 두건몸체 전면부의 상면부에서 연장되어 차양이 형성된 것이다.
또한, 1측면부(20)쪽의 두건몸체에서 연장된 안면부덮개(52)는 안면부덮개측면탈착부(56)가 도1의 안면부덮개측면탈착부1(56-1)에 결착된 것이며, 도3의 2측면부(21)쪽의 두건몸체에서 연장된 안면부덮개가 있다면 동일한 방법으로 결착될 수 있다.
도3은 좌측전면부에서 연장된 안면부덮개가 두건몸체의 후면부 쪽으로 젖혀져서 측면부에 구비된 안면부덮개측면탈착부에서 결착된 반대편의 모습이다.
2전면부(11)는 도1의 1전면부(10)와 대응되는 쪽이며, 2측면부(21)는 도1의 1측면부(20)과 대응되는 쪽이다.
안면부덮개탈착부1(57-1)에 도1 및 도2의 안면부덮개탈착부(57)가 결착될 수 있게 한 것이며, 두건결속구(51)가 구비된 것이다.
전면부는 개방되어 양측으로 갈라져서 도1, 도2의 1전면부(10)와 도3의 2전면부(11)이며, 차양의 2전면부(11)는 전체 형상의 전면부이고 두건결속구 아래쪽에 표시된 2전면부(11)는 두건 몸체의 2전면부이다.
도4는 좌측전면부(21)에서 연장된 안면부덮개(52)를 외측으로 하여 호흡기를 덮고 우측전면부에서 결착한 모습이다.
도5는 좌측전면부에서 연장된 두겹의 안면부덮개 중 내측 안면부덮개(52-1)의 안면부덮개탈착부(57)가 우측 두건몸체의 안면부덮개탈착부(57-1)에 결착되고 외측의 안면부덮개(52-2)는 펼쳐진 모습이다.
외측의 안면부덮개(52-2)에 형성된 안면부덮개탈착부(57)는 안면부덮개 외측으로 길게 더 연장시켜 형성하여 내측 안면부덮개의 길이에 상관없이 결착이 용이토록 할 수 있다.
두건몸체의 안면부덮개탈착부(57-1)는 두건몸체의 전면부에 형성할 수도 있지만 [도5],[도6]에서와 같이 측면부쪽에 형성할 수도 있고, 전면부에서 측면부에 이르도록 길게 형성하여 사용자의 두부 크기와 다목적 응급 두건의 크기에 상관이 적도록 활용할 수 있다.
내측의 안면부덮개(52-1)에 안면부덮개탈착부(57)는 형성하지 않을 수도 있는데, 외측의 안면부덮개(52-2)로 덮어서 결착하면 두겹으로 호흡기를 덮어 고정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만일 안면부덮개로 호흡기를 덮지 않고 미사용할 때 외측의 안면부덮개(52-2)를 안면부덮개측면탈착부(56-1)에 결착이 한 상태에서는 내측의 안면부덮개(52-1)가 걸리적거릴 수 있으므로 좌측 뺨과 두건몸체의 사이에 넣거나, 내측 안면부덮개의 외측과 외측 안면부덮개의 내측에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결착이 가능토록 안면부덮개탈착부를 형성하여 내외측의 안면부덮개를 결착한 후에 외측의 안면부덮개를 두건몸체 측면의 안면부덮개측면탈착부에 결착이 가능하다.
내측의 안면부덮개를 외측의 안면부덮개보다 짧게 형성하고 외측의 안면부덮개로 덮어 결착시킨다면 외측의 안면부덮개가 결착이 용이해지며, 이에 따라서 더욱 신속하고 용이하게 결착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내측 안면부덮개의 연장되는 길이는 착용했을 때 두부의 크기와 다목적 응급 두건의 크기에 관계없이 호흡기를 완전히 덮도록 타측 두견몸체의 전면부에 거의 닿는 정도의 길이가 바람직하며, 사용자의 안면부 크기와 제품의 크기에 따라서 내측의 안면부덮개는 타측 두건몸체와 뺨 사이에 들어가도록 착용이 될 수 있다.
도6은 우측전면부에서 연장된 두겹의 안면부덮개 끝부분이 서로 연결된 안면부덮개(62-1)의 안면부덮개탈착부(57)가 좌측 두건몸체의 안면부덮개탈착부(57-1)에 결착된 모습이다.
안면부덮개탈착부(57)는 훼스너테이프를 안면부덮개로부터 돌출되게 길게하여 안면부덮개의 길이에 상관이 적도록 결착력을 증가시키고 편의성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필요시 면적을 넓게 형성하거나 다른 결착수단을 적용하는 등 통상의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안면부덮개(62-1)에서 안면부덮개탈착부(57)가 형성되는 위치는 연장된 끝부분으로 표현하지만 세밀한 위치는 끝부분에서 약간 못미치는 부분에 안면부덮개와 안면부덮개탈착부가 떨어지는 부분으로 하면 둥글게 얼굴을 감싸 결착시킬 때 안면부덮개의 외측이 내측을 누르는 힘이 강하게 작용토록 할 수 있으며, 이정도 쯤의 위치변화는 끝부분에 형성한다고 표현한다.
다목적 응급 두건은 지진, 핵폭발 및 방사능 오염, 화재, 화생작용제 오염 등 다양한 위기상황에서 두견부를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고 호흡기를 오염된 공기로부터 보호코자 하는 것이며, 언제 어떻게 닥칠지 모르는 위기상황에 대하여 각각 완벽한 방호를 하기보다는 다양한 위기상황에서 범용으로 방호가 가능케 된 것이다.
여과재로 된 안면부덮개는 안면부를 외부충격으로부터 보호하거나, 피부노출을 저감시키거나, 화재시 안면부가 열기에 노출되는 것을 저감시키고 뜨거운 공기의 온도를 낮춰서 호흡기로 이송시킨다.
그리고 안면부덮개는 필요시에 보온의 효과도 증가시킨다.
안면부덮개가 필요하지 않은 상황에서는 뒤로 젖혀서 결착시키면 전면부가 개방되어 시야를 넓게 확보하면서, 호흡이 편해지고, 체온상승을 저감하고, 갑갑하지 않게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와 같이 충격흡수재를 포함하는 두건에서 안면부덮개를 매우 편리하게 사용이 가능토록 한 것이다.
또한, 두건의 차양은 두부의 노출을 저감하여 화생방오염 저감 및 화재열기로부터 두부가 노출되는 것을 저감시키며, 필요하지 않을 때 젖히면 두부의 충격저감효과를 상승시킨다.
도1은 다목적 응급 두건의 안면부덮개가 양쪽에 형성된 1측면부 쪽의 한 예이다.
도2는 차양(54)이 형성된 것이다.
도3은 좌측전면부에서 연장된 안면부덮개가 두건몸체의 후면부 쪽으로 젖혀져서 측면부에 구비된 안면부덮개측면탈착부에서 결착된 반대편의 모습의 예이다.
도4는 좌측전면부에서 연장된 안면부덮개를 외측으로하여 호흡기를 덮고 우측전면부에서 결착한 모습의 예이다.
도5는 좌측전면부에서 연장된 두겹의 안면부덮개 중 내측의 안면부덮개가 우측 안면부덮개탈착부에 결착된 모습이다.
도6은 우측전면부에서 연장된 두겹의 안면부덮개 끝부분이 서로 연결되어 환형으로 된 안면부덮개가 좌측의 안면부덮개탈착부에 결착된 모습이다.
지진 발생시 낙하물로부터 두견부 보호가 필요하다. 한편 원자력시설의 근처나 화학물질취급소 근처에서 지진이 발생된다면, 호흡기도 같이 보호해야 함은 자명하다.
핵폭발시에도 폭풍파의 비산물로부터 신체 특히 머리부분을 보호하고, 열기로부터 머리쪽의 피부를 보호하고, 방사능 오염공기로부터 호흡기보호가 필요하다.
화재시에도 낙하물로부터 두견부 보호가 필요할 뿐 아니라, 화재열기로부터 두부를 보호해야 하고, 무엇보다도 발생되는 유해가스로부터 호흡기를 보호해야 한다.
화생방오염시에는 오염물질로부터 두부의 노출을 저감하고, 호흡기를 보호해야 한다.
동계에 대피의 시간이 길어질 경우 등에는 두부의 보온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다양한 위기상황은 언제 어떻게 닥칠지 알 수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각종 위기상황에 대하여 각각 완벽한 방호를 하기보다는, 다양한 위기상황에 대응이 가능한 범용 보호물자로서 본원이 필요한 것이다.
두견부는 머리와 어깨부분을 말하는 것으로서, 지진 발생시 특히 건물 내에 있을 때 낙하물로부터 머리와 어깨부분의 충격피해를 저감시켜서 보호해야 할 때 통상 두건을 착용하게 된다. 기타 다른 상황에서도 머리를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고 노출을 저감시키기 위하여 사용될 뿐 아니라 어깨부분까지를 보호하는 것은 두부를 더 온전히 보호하는 것일 수 있다.
다목적 응급 두건은 충격흡수재를 사용하여 제작한다. 충격흡수재로 된 충격흡수층은 통상의 천, 솜, 실리콘, 부직포, 고무, 압축스펀지, 합성수지, 고분자화합물, 두꺼운 직물이거나, 플라스틱편, 나무편, 기타 충격완화제 및 이를 감싸는 재질들 중 2가지 이상이나 2개층 이상의 재료로 할 수 있는데, 같은 종류의 소재로 1개층으로 하더라도 일측면 만 압축하거나 표면을 처리하면 다층으로 된 재질로 볼 수 있으며, 이와 유사하게 공기를 많이 포함한 재질로 하거나, 발포재질로 하거나, 에어쿠션으로 하는 등 통상의 방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예를 들어서 천에 합성수지나 고무를 코팅하여 두개 층 이상이라도 내구성 유지, 방수 및 작용제침투 저감 등을 위한 얇고 편의성을 고려하여 제작하였다면 단일한 특수 목적을 위한 1개층으로 된 재질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재질보다는 두껍거나 각각의 목적을 위한 두개 층 이상으로 된 통상적인 충격 완충 효과가 있게 함으로서 지진대피 등 위에서 떨어지는 물건으로부터 두부를 보호 가능토록 된 것으로서, 일반적인 산업재들은 용도에 따라서 충격흡수층이 있는 것과 없는 것이 구분되어 사용하고 있으며, 굳이 표현하자면 충격흡수층은 압축되지 않은 상태로 약 2mm이상의 두께쯤이면 본원에서 충격흡수의 효과가 발생될 수 있다고 표현할 수 있고, 일부분을 플라스틱편이나 나무편이나 모자의 차양편과 같은 견고한 재료를 다수개를 내장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러한 형태도 본원에서 충격흡수층으로 표현한다.
본원의 다목적 응급 두건은 입체형상이거나 본원의 도면에서와 같이 두개층이 겹쳐진 형상으로 제작할 수 있으며, 입체형상일 때에도 좌우전후상하면부에 대한 표현도 두겹이 겹쳐진 형상일 때와 같이 표현할 수 있고, 모두 본원의 권리에 속함이 자명하다.
다목적 응급 두건은 소수성 재질보다는 친수성 재질로서 물을 흡수하거나 함수가 용이한 재질 또는 흡수성고분자재료층을 포함하면 특히 화재 상황에서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함수가 용이한 재질로 하면 활용이 번거로워지거나 활용 후에 보관이 제한되는 점 등을 고려해서 방호목적을 고려하여 재료를 선택한다.
범용방호재임을 고려하여 필요시 외피는 발수 및 발유 처리를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고, 내피는 함수가 용이한 재질로 하거나, 피부와 닿는 곳은 보온재 또는 시원한 재료로 하거나, 내피에 불투과성 재질을 사용하여 피부에 물이 접촉되지 않게 하는 등, 주요 방호목적에 따라서 융통성 있게 변형적용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화재상황에 대비하여 방염처리 뿐 아니라 난연재 또는 불연재 등 화재방호재를 사용할 수 있으며, 만일 적용한다면 외피부분에 우선적으로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염처리, 난연재 및 불연재도 보온재가 될 수 있으나, 제작비용 등을 고려하여 화재방호재가 아닌 재질 중에서 피부에 부드럽게 닿는 통상의 재질로 보온재를 적용할 수도 있다. 한편 화재시 인체피해는 열기에 노출되기 전에 연기흡입으로 먼저 피해를 입는 경우가 다반사이므로, 열기피해 저감을 위하여 화재방호재 재질을 사용하는 것 보다는 친수성재질, 착용감, 제작단가 등의 편의적/효율적인 요소를 우선적으로 적용해도 가능하다.
신체의 일부 또는 전부를 덮을 수 있는 적절한 크기의 방재덮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방재덮개는 예를 들어 사각모포 등을 뒤집어써서 입자나 액체의 오염을 저감시킬 수 있고, 화재방호재로 한다면 화재상황에서 대피에 용이할 수 있고, 매우 얇은 재질로도 화재열기의 저감효과를 기대할 수도 있으며, 긴급대피 및 우천 등의 상황에서 보온의 효과를 기대할 수도 있고, 이를 위하여 한 면은 피부에 닿아서 보온이 용이한 재질로 하고 다른 한 면은 화재방호재로 할 수도 있고, 발수성 발유성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방재두건이나 수납부를 형성하는 구성이나 수납부에 포함되는 것들도 필요시 전체, 외부, 또는 부분적으로 화재방호재로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방재덮개는 면의 일측에 끈을 내장하면 망토와 같이 손으로 잡고 있지 않아도 목이나 어깨에 걸쳐지게 할 수 있고, 중앙부에 통공을 형성하고 머리에 뒤집어 쓰게 하면 두건과 망토의 기능을 할 수도 있으며, 바닥깔개의 기능을 할 수도 있게 된다. 방재덮개의 외피를 화재방호재로 하고, 발수, 발유 중 한가지 이상으로 처리하고 내피를 보온재로 하여 단추, 훼스너테이프, 끈, 지퍼 등 통상의 수단으로 서로 결착하게 함으로서 다용도 및 온도별로 사용하거나, 방재덮개를 두개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수납부들에 수납되는 물품으로서 보호장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화재상황에서 문을 열고 탈출하거나 손잡이를 잡고 이동하거나 유리 등이 산재된 상황에서 손을 보호할 수 있다. 액체오염을 더욱 저감시키기 위해서는 예로서 고무재질을 사용하거나, 외부충격이나 험한 상황에서 피부를 보호하기 위하여 면을 포함한 고무재질 장갑을 사용하는 등으로 보호가 가능하고 이때 통상의 기술로서 한쪽 면 만 불투과성 재질로 코팅을 할 수 있다.
다목적 응급 두건을 착용했을 때 개방된 전면부의 일측을 서로 연결하는 두건결속구를 구비하며, 다목적 응급 두건을 착용 시 턱이나 목이 위치하는 쯤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탄성재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결착되어 있을 경우에 하면부에 머리를 넣어 뒤집어써서 시야를 확보할 수 있어야 한다. 두건몸체의 1전면부와 2전면부를 결착시켜서 두부로부터 다목적 응급 두건이 이탈/유동되는 것을 저감시키며 이를 위하여 두 곳 중 한곳이상을 탈착 또는 결합시키는 구성을 포함시킬 수 있고, 필요시 목 뒤로 한바뀌를 돌려감도록 내장하거나, 외측에서 감는 것도 가능하고, 끈 조임의 정도를 조정하는 끈스톱퍼를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적용하는 탄성재는 통상의 고무줄이나 탄성이 있는 섬유재나 이들을 감싼 섬유재 등을 포함하는 통상의 탄성재이다. 이와 같은 기능을 통칭하여 전면부의 양측을“연결”하는 것이라고 통칭한다.
다목적 응급 두건을 착용했을 때 귀와 서로 대응하는 부분에 청각수신구를 형성하면 음성인식과 통기를 잘 되게 할 수 있으나 피해를 증가시킬 수도 있으므로, 활용목적에 따라서 필요시 형성하거나, 크기를 조정하거나, 작은 구멍을 여러 개로 할 수 있다.
본원의 안면부덮개는 이중으로 호흡기를 덮을 수 있게 한 것이다. 두겹으로 호흡기를 덮어 충격완화뿐 아니라 공기오염으로부터 더 보호될 수 있게 한 것이며, 바람직한 방법은 두겹으로 호흡기를 덮는 안면부덮개와 안면부덮개 사이에 다른 여과재를 사용자가 넣어서 사용하는 것이며, 권장하는 것은 물에 젖은 여과재를 넣어 사용코자 하는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서 젖은 여과재가 여과의 효율을 증가시키며, 특히 화재의 상황에 더욱 유효하고, 피부에 직접 닿는 거부감을 줄일 수도 있고, 접촉된 안면부덮개를 일부 젖게 한다면 여과의 효율이 더 증가될 수도 있다.
안면부덮개는 이중으로 호흡기 전체를 두겹으로 덮고, 두겹 사이에 물수건 등 다른 여과재를 넣어 호흡기를 더 효율적으로 보호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사용자 두부의 크기와 다목적 응급 두건의 제공되는 사이즈 등에 따라서 짧은 안면부덮개가 호흡기를 두겹으로 모두 덮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될 수도 있다. 두겹으로 호흡기를 덮을 때 외측을 덮는 안면부덮개를 내측을 덮는 안면부덮개보다 면적을 넓게 할 수 있다.
안면부덮개 전체 면적을 여과재로 할 수도 있지만 테두리부분의 보강재, 재봉, 연결부나 내측에 망사형, 그물형 등등 통상의 보강재를 포함하여 여과재가 호흡기를 잘 덮어 밀착 고정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만일 제1전면부와 제2전면부 중 어느 한 곳에서 두겹으로 연장된 안면부덮개를 내측의 안면부덮개가 외측의 안면부덮개보다 짧게 형성하면 외측에서 덮을 때 안면부덮개탈착부의 기능이 용이하게 될 수 있는데, 이때 내측의 짧은 안면부덮개도 호흡기를 덮는 길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따라서 호흡기를 이중으로 두겹으로 덮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전면부와 제2전면부 중 어느 한 곳에서 두겹으로 연장된 안면부덮개의 끝부분이 서로 연결되어 환형으로 된 안면부덮개인 경우에는 덜렁거리지 않고 편리하고 신속하게 두겹의 안면부덮개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안면부덮개가 호흡기를 덮으면 접혀지는 쪽 일측에 안면부덮개탈착부를 형성하는 위치는 안면부덮개가 접혀지는 절반의 위치보다는 도6에서와 같이 외측에서 절반에 못미치는 위치에 형성하면, 호흡기를 둥글게 덮고 내외측의 안면부덮개가 밀착되게 하여 안면부덮개탈착부에 결착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때에도 환형으로 된 안면부덮개의 끝부분에 안면부덮개탈착부가 형성 구비된 것이라고 설명할 수 있다. 환형의 안면부덮개는 두개가 연장된 끝부분을 잇거나 처음부터 1개로 된 것을 두건몸체의 전면부에 잇는 등으로 제작이 가능하다.
환형으로 서로 연결되어 두겹으로 된 안면부덮개는 호흡기를 덮을 때 접혀지는 끝부분 일측이 더 연결시키고, 이렇게 더 연결된 부분에 안면부덮개탈착부를 형성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더 연결시키는 부분의 위치도 환형의 안면부덮개에 안면부덮개탈착부를 형성하는 위치와 동일유사하게 적용한다.
안면부덮개는 안면부를 외부충격으로부터 보호하거나 외부노출을 적게하여 오염을 저감시키거나 코와 입 등 호흡기를 덮어서 오염된 공기로부터 호흡기를 보호하는 기능을 하며, 1전면부쪽에서 2전면부쪽으로 덮어 안면부덮개탈착부로 탈착이 가능케 될 수 있다.
안면부덮개 및 여과재는 호흡기를 덮어 보호하며, 안면부에 대한 외부충격 저감, 화재시 열기노출 저감, 오염된 공기를 정화하여 호흡하는 것을 가능케 한다.
안면부덮개는 필요시 두건몸체의 후면부 쪽으로 접어서 두건몸체 측면부 쪽의 안면부덮개측면탈착부에 결착시키면 전면부가 개방되어 호흡이 편해지고 시야가 더욱 넓어져서 활동이 용이해지면서, 두건몸체 측면부의 충격저감효과가 상승되고, 두 손으로 잡고 있지 않아도 안면부덮개가 호흡기를 덮어 결착되게 된다. 안면부덮개를 후면부 쪽으로 접어서 두건몸체의 안면부덮개측면탈착부에 결착시킬 때 두건몸체의 안면부덮개측면탈착부의 위치는 두건몸체의 측면부쪽이 바람직하지만, 훼스너테이프나 끈으로 형성하는 등의 상황에서는 두건몸체의 후면부 쪽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각 탈착부의 구성은 단추, 훼스너테이프, 후크, 끈, 자석외에도 기타 통상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끈을 목뒤로 한바뀌 돌려 감거나, 끈스톱퍼를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안면부덮개 테두리는 두건몸체 충격흡수층의 두께로 할 수 있지만, 이보다 더 두껍게 형성하거나 테두리부보다 중앙부에 형성된 여과재부가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되면 테두리부가 호흡기의 주변에 잘 밀착되어 공기의 누설량이 적어지고, 안면부와 안면부덮개 사이에 공간이 형성될 가능성이 높아져서 착용감이 편할 뿐 아니라, 여과재의 더 넓은 부분으로 공기가 투과되어 공기흐름저항이 낮아지게 할 수 있다.
안면부덮개는 안면부덮개 테두리와 여과재부를 포함하며, 여과재부의 외피를 두건몸체의 외피와 동일한 재질로 할 수 있고, 안면부덮개 테두리는 여과재 테두리일 수 있으며 이때에도 안면부덮개 테두리라 칭한다.
안면부덮개는 양측면부 중에서 어느 한쪽에만 형성하거나, 양측에 모두 형성하는 경우에는 어느 쪽의 안면부덮개가 호흡기의 안쪽에 형성되더라도 관계가 없이 호흡기를 덮고 안면부덮개탈착부1(57-1) 또는 안면부덮개탈착부2(57-2) 중 한곳에 탈착이 가능하고, 양측에 형성된 안면부덮개는 호흡기에 더욱 밀착되어 공기누설량을 적게 할 수 있다.
여과재는 정전기필터재를 사용할 수도 있지만, 다수회 사용과 함습재를 사용하는 특성을 고려하면 나노필터, 나노섬유, 극세사섬유 등 중에서 친수성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부직포, 면, 솜, 합성섬유, 실리콘, 활성탄소섬유 및 활성탄소를 포함하는 여과재 및 마스크소재 등 통상의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흡습된 상태에서 여과력이 증가될 수 있는 점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함습이 용이한 재료를 사용하거나, 스스로 물을 붓거나 소방진압시 위쪽에서 물이 떨어지는 상황에 노출되는 등 과도한 물에 노출되어 공기흐름저항이 높아지는 것을 고려하여 소수성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으므로 용도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하거나, 여러 겹으로 할 때 일부 겹의 재료를 상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여과재의 재질을 선택하되, 제작관리의 용이성과 생산법 등을 고려하여 두건몸체와 같은 재질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필요에 따라서 여과재가 잘 젖도록 하기위해서는, 여과재나 그 테두리에 물이 담긴 유리앰플이나 합성수지 등 물포장재를 위치시키고 필요시 터트려서 활용할 수 있다. 물포장재를 안면부덮개의 위쪽에 위치시키면 물이 잘 흘러내려서 여과재가 신속히 젖게 될 수 있고, 필요시 물포장재를 안면부덮개의 아래쪽에 위치시키면 모세관현상으로 여과재가 천천히 젖게 되고 공기흡입저항이 급격히 증가하지 않게 할 수도 있으며, 이는 물포장재의 물의 용량이나 파손시켰을 때 일정시간 동안 흘러나오는 물의 양에 따라서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물포장재를 유리앰플로 하면 간단하게 적용이 가능하고 여과제층의 면적이 좁아지지 않게 될 수 있다. 합성수지 또는 은박증착 등의 봉지 용기에 물을 충만시키고 외부에서 압력을 가하거나, 뾰쪽한 것으로 압력을 가하거나 이를 위한 통상의 장치를 구비하거나, 찢거나, 물과 뾰쪽한 것을 충만시키고 압력을 가하는 등 통상의 방법으로 물이 흘러나오도록 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물포장재는 1개 내지 수개쯤으로 하여 여과재가 젖는 물의 양을 선택하거나, 증발되더라도 적절한 시간마다 파손시켜서 물이 흘러나오도록 하여 함습되는 정도를 적절한 수준으로 계속 유지할 수 있다.
여과재만 젖게 하고 안면부테두리는 젖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고, 여과재를 젖게 하기 위하여 물이 담긴 물용기를 별도로 휴대할 수 있다. 물용기가 없거나 물을 사용할 수 없는 상황에서는 물에 젖은 여과재를 안면부덮개와 호흡기의 사이 또는 두겹으로 된 안면부덮개의 사이에 넣어서 활용하거나 여과재팩을 안면부덮개의 내측에 삽입하거나 여과팩을 교환식으로 사용하거나 충전식으로 사용할 수 있고, 안면부덮개의 전체부분을 여과재부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두건수납부(80)는 충격완충 효과를 증가시키면서 부수품목들을 수납하여 즉응 사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두건의 상면부에 입구를 형성하거나 측면부/후면부/견부/상면부/내측/외측 등 어느 곳에도 형성할 수 있고, 외측에 부착하거나, 두건몸체 외피를 가르고 형성하여 주머니가 보이지 않게 형성할 수도 있으며, 두건몸체의 내측에 주머니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주머니의 위 또는 옆부분을 덮거나 단추, 훼스너테이프, 지퍼 등 통상의 주머니 마감방식을 적용하여 두건수납부에 보관된 물품이 이탈되는 것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1개 이상을 복합형으로 구비할 수 있다.
매우 용이한 동작으로 혼자서도 두건수납부에 물을 붓는 것이 가능하며, 다목적 응급 두건의 전체 또는 요망하는 부위를 용이하게 젖게 할 수도 있고 이를 위하여 상면부나 측면부의 위쪽에 두건수납부를 구비할 수 있고, 편이성을 위하여 견부에 형성할 수도 있다.
두건수납부2(80-1)에는 두건의 전체부분을 압착하거나 말아서 넣어 작게 보관/휴대할 수 있다. 다목적 응급 두건의 압착가능 부피, 포함부자재 및 두건수납부2 재질의 탄성을 정도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크기로 형성하거나 모서리에 삼각형으로 하는 등 통상의 기술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원하는 부분을 용이하게 젖게 하기 위하여 두건수납부의 하부 일측으로부터 두건몸체의 젖기를 원하는 부분까지 물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물통로는 재봉선을 따라서 이동하게 하거나, 함습부분이 신속하게 확산되는 재질로 된 끈을 매립하거나, 유연성이 있는 얇은 파이프를 매립하는 등 통상의 기술을 적용한다.
다목적 응급 두건과 부수품목들을 위한 휴대주머니를 활용하거나, 휴대주머니 내부에 또 다른 휴대낭을 더 포함하여 수납케 하거나, 휴대주머니를 가방의 형상이나 멜빵식 휴대낭, 배낭, 허리에 감는 형상 등 이와 유사한 통상의 기술을 적용하거나, 다목적 응급 두건에 다수개의 두건수납부을 내외측에 형성할 수 있고, 특히 물용기 등 일부품목을 별도로 외측에 수납토록 할 수 있다.
휴대주머니에 다목적 응급 두건과 보호장갑, 물용기, 제독제용기, 물티슈, 건조티슈, 방재덮개, 보온덮개, 물포, 건조포, 마스크 등을 넣어 보관 활용할 수 있으며, 이들 중에서 택일된 물품, 예를들면 물티슈와 같은 것은 두건수납부에 넣어서 보관할 수 있다. 물용기 제독제용기 등 용기는 용기만으로 구비하다가 충진하거나, 미리 충진된 형상일 수 있다. 본원의 두겹으로 호흡기를 덮어 여과력을 증진코자 하는 목적달성을 위하여, 건조티슈와 물용기, 물티슈, 물포, 건조포, 마스크 등을 활용할 수 있다. 물티슈와 물포는 같은 것으로 볼수 있는데, 물티슈에 대한 국내의 해석이 애매한 점을 고려하여 물티슈보다 좀 더 두껍고 큰 수건이나 천 등을 본원에서 물포라고 칭하며, 공기흡이저항과 여과력, 외부열기의 수준 등을 고려하여 물포나 물티슈를 여러겹을 겹쳐서 두겹의 안면부덮개 사이에 넣어 사용할 수 있고, 호흡기보호 외에도 노출된 눈과 두부를 덮어서 외부오염 및 열기를 저감토록 사용될 수 있다. 건조티슈와 건조포는 그 자체로도 방호력 여과력을 증진시키지만 물 용기를 활용하여 적셔서 활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휴대주머니에 다목적응급두건에 일부품목을 넣고 휴대주머니에 넣을 수도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휴대주머니와 다목적 응급 두건의 두건수납부를 활용할 수 있다.
마스크는 하네스식, 여과층 접이식, 컵형 등 다양한 형상을 적용할 수 있다.
다목적 응급 두건은 그 자체가 독립된 물품으로서 휴대운용이 될 수 있고 두건수납부에는 물용기를 넣고자 한다면 납작하게 형성하는 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두건휴대끈은 두건의 전후좌우상하 어느 곳에 형성해도 가능할 수 있지만, 전면부와 전면부를 잇는 곳을 제외한 부분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결착하는 두 곳의 거리를 멀리 또는 가까이 하거나, 끈의 길이를 길게 또는 짧게 하는 것에 특별한 제한사항이 없어도 가능하며, 통상적인 편의를 고려하여 구비한다. 만일 짧은 고리형으로 한다면 고리나 기둥 모서리 등에 걸고 손으로 휴대에도 용이할 수 있고, 길게 형성하면 의자의 뒷부분에 등받이나 방석으로 하거나 어깨에 메어 휴대하는 것도 용이해진다.
차양은 화재의 열기피해를 저감시키고 신체노출을 저감시키지만, 응급활동 및 이동 간에 시야를 좁게 할 수 있으므로, 두건몸체에서 통상의 모자차양의 길이나 이보다 길지 않은 길이로 돌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양접힘선은 두건몸체의 전면부에서 차양이 돌출되기 시작하는 부분으로서, 재봉선을 형성하거나 단추 등을 적절한 간격으로 결합시키면, 그 라인을 따라서 접어 올려서 뒤로 넘겨서 고정시키기가 용이하게 하며, 필요시 차양접힘선을 따라서 용이하게 접어 넘기면 두부의 충격저감효과를 증가시키고 시야를 넓게 할 수 있다.
다목적 응급 두건의 가름부는 다목적 응급 두건을 착용시에 양측면부 연결끈으로 인한 목조임 및 어깨부분의 확장으로 인해 유연성이 적은 재질로 인체공학적 제작을 하지 않는다면 편안한 착용을 위하여 후면하부에 1곳을 형성하거나 나누어서 수 곳에 형성하고, 필요시 두건몸체보다 얇은 재질을 덧대어 신체노출을 저감할 수 있다.
액체티슈는 물티슈와 제독티슈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건조티슈에 세정액을 투여하면 물티슈 또는 제독티슈가 될 수 있고, 수건도 건조티슈가 될 수 있다.
물티슈는 화생방, 황사 및 먼지 등 오염된 공기로부터 호흡기를 방호하기 위하여 사용하며, 호흡에 악영향을 주지 않는 물질로 한다. 물티슈로 피부와 개인장비물자 등을 닦는 등으로 제독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렇게 제독티슈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를 위하여 물과 인체에 유익한 바이오 무기물질 및 보존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물티슈가 호흡기방호용으로 사용되어지는 크기는 마스크와 안면부 사이에 넣어져서 호흡기를 막을 수 있는 크기로 하거나, 여과되지 않은 공기가 들어갈 가능성을 줄일 수 있는 더 큰 크기로 할 수 있고, 마스크를 다소 벗어나는 크기로 할 수도 있다.
호흡기방호를 위하여 물티슈만 안면부에 붙이면 얇은 경우에는 여과의 효율이 높지 않게 되거나 물이 많은 경우에는 공기흡입저항이 커지게 된다. 따라서 적절한 두께와 함습량으로 호흡이 가능한 공기흡입저항을 유지하면서 여과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두께로 활용케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티슈의 크기, 재질, 두께에 따라서 포함하는 액체의 양은 매우 다르며, 대체적으로 티슈 대비 물을 150~500%(W/W)쯤 되게 할 수도 있지만, 대체로 물의 양이 많은 티슈는 액체티슈수납부에서 인출하였을 때 액체가 많이 떨어지지 않는 정도쯤으로 하고, 액체량이 적은 액체티슈는 액체티슈를 뭉쳐서 손으로 압착하여 액체방울이 일부 제거된 상태쯤의 액체를 포함케 할 수 있다.
물티슈의 물 양이 많아서 물이 흘러내리는 정도쯤 되면 공기흡입저항이 높아서 호흡이 매우 어려운 상황이 될 것이므로 함습량이 높을 경우에는 건조티슈를 더 겹치거나, 함습량이 적을 경우에는 물티슈를 더 겹쳐서 사용하여 여과의 효율이 높아지도록 융통성있게 사용할 수 있고, 함습량이 적은 물티슈를 건조티슈와 유사한 목적으로 사용되거나 호흡기방호를 위하여도 사용될 수 있으며, 함습량이 많고 잉여의 물이 존재하는 것을 건조티슈에 부어서 물티슈로 활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피부세척을 위해서는 먼저 피부의 오염물질을 건조티슈로 제거하고 물티슈로 세척하거나 함습량이 비교적 적은 물티슈로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피부세척을 위하여 물티슈와 건조티슈를 적절한 수량으로 겹쳐서 사용목적에 맞도록 할 수 있다.
제독티슈는 피부, 개인장비물자, 주변의 생활용품 등에 묻은 화생방 물질과 황사 및 기름때 등 통상의 오염물들을 닦아 제거 제독하기 위하여 사용하며, 용제, 중화물질, 분해물질, 소독물질 등 액체를 포함할 수 있다. 물티슈 및 종류가 다른 제독티슈들을 각각의 수납부로 구성할 수 있으며, 서로 구분이 잘 되도록 표시한다.
피부세척 제독을 위하여 액체티슈 중 제독티슈는 닦아내는 오염물질이 오염되지 않은 손이나 오염인접 부위 등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독티슈를 꺼냈을 때 액체가 흘러 떨어지지 않는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양면 중 일면은 오염물질 등이 불투과되는 액체불투과성 재질로 만들고 이를 위하여 코팅 등 필요한 통상의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한면을 티슈로 하고 다른 한면을 액체불투과성 재질로 하여 목적달성이 가능하다.
액체티슈는 수회 접혀진 것을 넣을 수도 있으며 요망하는 크기로 신속하고 용이하게 펴질 수 있어야 하고, 이를 위하여 지그재그로 접힌 것을 좌우에서 잡아당기면 펴질 수 있게 하는 등으로 할 수 있다.
호흡기방호와 피부세척을 위한 용도로 함습량이 적은 물티슈와 함습량이 높은 물티슈를 구분하여 2개소의 수납부에 넣고 필요에 따라서 사용할 수 있다.
물티슈나 물티슈에 건조티슈를 겹친 티슈는 안면부에 잘 밀착되어 오염된 공기가 흡입될 가능성을 줄일 수 있고, 마스크로 덮으면 손으로 감싸야 하는 불편함이 감소될 수 있고 누설율을 줄일 수 있다. 만일 과도한 활동 등 오염된 공기가 흡입될 가능성을 더 줄이자면 손으로 마스크 위를 덮을 수 있으며, 물티슈가 안면부에 잘 밀착시키기 위해서 마스크는 부드러운 재질로 하거나 통상의 인체공학적으로 된 마스크들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재시에는 아황산가스(SO 2 ), 황화수소(H 2 S), 탄산가스(CO 2 ), 일산화탄소(CO), 다이옥신 및 연소 입자 등으로부터 여과의 효율을 높임과 더불어 흡입공기의 열감저하 및 안면부에 닿는 열감 저하를 위하여 젖은 수건이나 휴지로 호흡기를 가리는 것은 상식이며, 이에 따라 본원의 마스크, 물티슈, 건조티슈의 조합은 응급대체물자로서 유용함이 자명하다.
건조티슈는 만일 피부에 액체로 된 오염물질을 액체량이 많은 액체티슈로 닦게 되면 오염부위가 확산되어 질 수도 있으므로 건조티슈로 닦은 후 액체티슈로 닦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며, 액체티슈로 닦은 부위를 깔끔하게 닦아낼 필요가 있을 경우에도 건조티슈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건조티슈를 물티슈에 포개서 호흡기방호에 사용하면 잇점이 발생되는데, 함습의 양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고, 두껍게 사용해도 호흡시 물티슈보다 공기흡입저항이 높지 않게 설정할 수 있으며, 호흡기방호와 피부세척의 용도에 맞도록 융통성 있게 사용할 수 있다. 필요시 물티슈의 물의 양을 많게 하고 건조티슈의 겹치는 양으로 축축한 정도를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물티슈가 마스크에 닿았을 때 마스크가 젖는 것을 저감할 수도 있게 된다.
건조티슈의 크기도 물티슈와 유사하게 고려될 수 있다. 한편 물티슈를 건조티슈보다 다소 작게 한다면 물기가 얼굴피부에 닿는 차가운 느낌 등을 저감시킬 수 있고, 크게 한다면 안면부에 티슈들이 더 잘 밀착되게 할 수 있다.
건조티슈나 물티슈 중 어느하나 이상으로 호흡기방호가 가능하며, 위에 마스크를 덧대면 손을 사용하지 않고도 건조티슈나 물티슈를 지지하면서 방호력이 증가될 수 있고, 마스크 위에 건조티슈나 물티슈 중 어느하나 이상을 긴급히 덧대는 경우에는 손으로 막아서 건조티슈나 물티슈가 이탈하지 않도록 사용될 수 있다. 물티슈를 제외하고 건조티슈를 마스크 안쪽에 덧대어도 물티슈만큼은 안되더라도 공기여과의 기능을 발휘하게 되며, 본원의 바람직한 상태는 마스크에 안에 덧대는 물티슈 및 건조티슈 중 어느하나 이상으로 호흡기를 보호케 한 것이며, 이에 따라서, 물티슈 또는 건조티슈로 호흡기를 방호하고, 액체티슈, 제독티슈 및 건조티슈로 피부, 개인장비, 주변생활용품에 묻은 화생방 물질과 황사 및 기름때 등 통상의 오염물들을 효율적으로 제거 및 제독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물티슈만 안면부에 붙이면 얇은 경우에는 여과의 효율이 높지 않게 되거나 물이 많은 경우에는 공기흡입저항이 커질 수 있기 때문에, 본원에서는 물티슈에 건조티슈를 겹쳐서 적절한 두께와 함습량으로 호흡이 가능한 공기흡입저항을 유지하면서 여과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두께로 활용케 한 것이다.
마스크와 더불어 물티슈와 건조티슈 등을 두껍게 하는 등으로, 공기여과의 효율은 높아지지만 산소유입량이 저감될 수도 있으나, 단기간 사용으로 생명을 보존해야 하는 긴박한 상황에서는 일시적 활동에 제한이 없는 범위내에서 공기여과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즉 본원으로서 여과재의 여과수준, 호흡저항, 산소투과율 등의 개략적 수준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게 된다.
건조티슈, 물티슈, 제독티슈 등 본원의 재료들은 펄프, 천, 셀룰로오스, 부직포, 솜, 종이 및 이와 유사한 재료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치밀하게 또는 거즈와 같은 형상으로 조직의 밀도를 낮게 하거나 겹쳐서 사용함으로서 공기흡입저항 및 액체저장량을 조정토록 할 수도 있고, 얇거나 두껍게 형성할 수 있고, 상처소독용으로 소형으로 하거나, 대형수건과 같이 하거나, 통상의 상용품들 중 본원에 맞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는 티슈의 사전적 정의가 불명함에 따라 본원을 적용하기 위한 설명이다.
마스크는 귀나 머리의 뒤로 걸게 된 하니스를 포함하여 코와 입을 덮는 통상의 마스크로 하며 목부분까지 덮을 수도 있고 천, 종이, 부직포 등으로 할 수 있고, 목까지 가려지게 할 수 있으며, 연질의 금속 등을 코의 윗부분쯤에 대어서 코의 형상에 맞도록 눌러 오염공기의 흡입가능성을 저감시키는 등 통상의 마스크 형상과 같이 코지지대를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조밀한 천으로 제작할 수 있고, 물티슈와 건조티슈를 지지하는 기능만 수행토록 매쉬재질을 사용해도 가능하지만 오염공기를 여과하는 기능은 감소된다. 마스크의 하니스는 탄성재를 사용하여 마스크의 안면부 밀착도를 높이도록 귀나 머리뒤로 고정되게 할 수 있다.
마스크보다 물티슈가 호흡기방호에 더 효율적일 수 있으며, 화재시에는 흡입공기의 열감과 안면부에 닿는 열감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더욱 그러하다. 이러한 점에서 마스크는 물티슈를 지지해 주고 물티슈가 없을 때 보조적인 호흡기방호 기능을 하는 것이 될 수도 있고, 물티슈를 제외하고 건조티슈를 마스크 안쪽에 넣어도 물티슈만큼은 안되더라도 공기여과의 기능을 발휘하게 된다. 물티슈는 물수건을 포함하며, 물수건으로 안면부라도 덮을 수 있으면 유용함이 자명하다.
마스크가 착용되는 안면부쪽에 매쉬재질을 결합하면 호흡기에 밀착한 물티슈의 이탈을 저감시키면서 물티슈의 습기가 마스크에 직접 닿는 것을 저감시킬 수 있으며, 이렇게 하면 마스크에 먼지나 입자들이 직접 붙어서 미감을 해치는 것을 저감시킬 수 있고 세탁하지 않고도 물티슈를 반복 사용하기에도 유리하고, 물티슈에 여과된 이물질들이 마스크에 닿는 것도 저감시키고, 마스크가 축축해지는 현상도 저감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사용되는 물티슈의 함습량 등을 고려하여 매쉬재질의 밀도와 두께를 결정할 수 있다. 마스크와 매쉬재질 사이에 물티슈 등 여과재를 넣으면 물티슈 등이 마스크에 안정감있게 결착되게 할수 있다.
피부제독시 세척 시 오염물질이 주변의 피부로 확산되는 것을 저감시키기 위한 가장 유효한 민간의 절차는, 먼저 피부의 오염물질을 건조티슈로 제거하고, 다음은 제독티슈로 세척, 다음은 물티슈로 세척하며, 다음은 필요시 건조티슈로 다시 닦아내는 것이다. 본원으로서, 화생방오염물질 및 생활주변 독성물질에 대한 호흡기방호 및 피부제독을 위한 보편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저렴하고, 반복사용도 가능하고, 편리간편하고, 누설율도 적고, 대체재를 충당하여 융통성있게 현장즉응이 가능하고, 피부나 장비물자의 제독수단으로도 활용이 가능한 대체물자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케 한 것이다.
본원은 생활주변에서 위험할 때 즉시 활용이 매우 제한된 방독면을 대체한 방호재로서, 두건, 마스크, 물티슈, 건조티슈 등을 개별적 또는 상호보완적으로 사용할 때 매우 우수한 호흡기여과재를 개인이 일괄 관리하면서 편리하게 사용케 한 것으로서, 화생방방독면, 화학사고처리용방독면, 화재용방독면 등 특별한 호흡기여과재나 방법을 사용하지 않고도 호흡기를 간편하고 저비용으로 방호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방독면은 공기불투과성 재질로 호흡기를 덮거나 또는 안면부까지를 덮고 시야확보용 투명재질이 결합되며, 호흡기를 덮은 곳의 일측에 정화통이 구비된 것을 포함한다. 이에 반해 마스크는 호흡기를 덮는 여과제층이 공기투과성 재질인 것이 대표적이 차이점이다.
물티슈는 함습량이 적은 물티슈와 함습량이 높은 물티슈를 구분하여 호흡기방호와 피부세척을 위한 용도 등으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건조티슈에 물이나 제독제를 투여하면 물티슈 또는 제독티슈가 되게 할 수 있고, 물로 눈을 세정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물 용기를 활용할 수 있고, 물 용기를 PET병이나 금속을 포함한 불연재질로 할 수도 있고 멸균진공밀봉을 하거나 여러 개를 수납케 하거나 교체가 가능토록 할 수 있고, 물티슈를 대체하여 물 용기 또는 물용기와 건조티슈를 수납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독제 용기도 동일유사하다. 이와같이 본원의 구성물품들은 연습이나 훈련 등 미리 사용법을 확인하거나 점검하거나 숙달하거나, 필요시 교체는 것을 포함하여 훈련용이라고 칭한다. 훈련용마스크는 사용했던 마스크나 인증 규격마스크 중 시효가 지난 마스크나 저렴한 방한마스크 등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물티슈에 건조티슈를 겹치는 양이나 세정액에 포함된 물로 물티슈의 함습의 양을 사용자가 선택할 수도 있게 한 것이다.
물티슈에 건조티슈를 겹친 티슈는 안면부의 굴곡에 잘 밀착되어 오염된 공기가 흡입될 가능성을 줄일 수 있고, 마스크로 덮으면 손으로 감싸야 하는 불편함이 감소될 수 있게 한 것이다.
마스크가 착용되는 안면부 쪽에 매쉬재질을 결합하여 물티슈의 습기가 마스크에 직접 닿는 것을 저감시켜서 축축해지는 현상을 저감시키고, 젖은 마스크에 먼지나 입자들이 직접 붙어서 미감을 해치는 것을 저감시킬 수 있으며, 마스크를 세탁하지 않고도 물티슈를 반복 사용하기에도 유리하고, 마스크와 물티슈에 여과된 오염된 물질들이 서로 닿는 것도 저감시킬 수 있다. 매쉬재질을 마스크에 바느질 등으로 결합할 때 젖은 티슈의 물이 마스크로 이동되지 않도록 본딩, 테이핑, 테두리씌움, 보강제씌움 등 통상의 기술을 적용할 수 있고 필요시 마스크에 결합되는 부분을 너댓곳 쯤으로 할 수 있다.
마스크는 면,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등에 산성중합체, 무기향균제를 포함하는 정전필터층, 정전기발생 모듈, 세균여과용 필터 등을 포함하거나 다중으로 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공기여과의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건조티슈나 물티슈를 이러한 재질로 할 수도 있고, KF80 황사마스크 및 다양한 등급 및 기준으로 인증된 마스크를 용도별도 두 개 이상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마스크 내부에 주머니를 형성하고 이곳에 물티슈 등 여과재를 넣을 수도 있다. 한편 이렇게 할 경우에는 여과재가 뭉쳐서 면적이 좁아지고, 마스크가 두꺼워져서 안면부에 밀착되지 않고 호흡기와 마스크의 사이의 틈으로 오염된 공기가 흡입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뿐만 아니라, 오염공기가 흡입되는 마스크 면적 중 마스크에 내장된 여과재의 면적으로 마스크의 면적보다 작게 여과되는 곳이 한정되므로 여과되지 않은 공기가 투과되거나 여과의 효율성이 낮아지게 되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물티슈의 재질도 부드럽게 하면 마스크에 넣은 것이 제한되고, 경질로 하면 안면부에 밀착도가 제한되게 되는 점을 고려하여 재질을 선택해야 하는 한계가 발생된다.
장시간 호흡기를 보호해야 하는 경우에 마스크는 계속 사용하더라도 물티슈는 신속하고 용이하게 교체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독제는 에탄올 등 상처소독제, 비누, 물, 인공눈물 또는 보조눈물, 제독을 위한 용제, 분해물질이나 중화물질이나 군용제독제, 바이러스나 세균 및 곰팡이 등 생물과 독소물질을 세척 제균 살균하기 위한 통상의 손소독제 포함물질과 항미생물성조성물 등 사용대상과 목적에 따라서 통상의 제독제를 택일하여 한 가지 이상 넣을 수 있고, 제독티슈는 티슈에 이들을 적신 것이며, 필요시 이들을 소포장된 다수개를 내장할 수 있다.
세정액과 물티슈에는 필요시 소듐벤조에이트, 글리세릴카프릴레이트, 레불리닉애씨드, 프로필렌글라이콜 등 보존제, 방부제, 세정보조제, 유화제, 피부컨디셔닝제, 습윤제, 향 성분 등을 첨가할 수 있고, 화생물질 뿐 아니라 방사능입자 등 다양한 상황에서 닦아내기 위하여 물티슈와 같이 사용될 수 있고 장기보관을 위해서 필요한 물질을 포함하거나 살균소독의 과정을 거치는 등 필요한 통상의 기술을 적용할 수 있고, 호흡기보호를 위해서 유해 화학물질이 포함되지 않은 여과재를 사용할 수 있다.
세정액은 눈세척용, 피부제독용으로 구분하여 포함할 수 있고, 피부제독을 위하여 티슈에 적셔서 사용할 수도 있고, 물을 포함하여 활용하거나 물을 티슈에 적셔서 활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액체오염물질이 피부에 묻은 경우에 민간요법으로서 가장 유효한 피부제독의 한 예로서는 1차 건조티슈로 제거하여 오염물 확산 저감, 2차 제독티슈로 제독, 3차 물티슈로 세척, 4차 건조티슈로 닦아내도록 할 수 있으며, 본원의 목적 범위 내에서 활용의 융통성을 가질 수 있고, 긴급하거나 기타 필요시 절차를 단순화하여 적용할 수 있으며, 수납부에 액체티슈를 봉지 등의 형태로 넣어서 활용해도 액체티슈수납부로 칭하고 이때 액체티슈를 넣은 봉지 등에 재밀봉수단 즉, 인출개구부와 이를 덮는 인출개구부덮개 등 여러 형태의 재밀봉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측면인출구는 건조티슈 뿐 아니라 플라스틱에 소포장 된 일회용 눈물 등 별도로 밀봉된 세정액들을 수납부에 넣은 경우나 마스크수납부, 진공포장된 활성탄소필터가 수납된 활성탄소필터수납부 등에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측면인출구에 넣어진 건조티슈나 소포장물 등이 요망하지 않을 때 인출되지 않도록 훼스너테이프 암수를 측면인출구 중앙쯤에 대면하여 붙이거나, 여러차례 반복접착이 가능한 테이프로 측면인출구의 입구부분을 서로 붙여지게 하거나, 지퍼를 구비하거나, 단추나 끈으로 결착하는 등 통상의 기술을 사용할 수 있고, 낱개로 분리된 수납부에도 적용할 수 있다.
안면부덮개, 차양, 두건결속구, 접착부, 접이부, 여과재 및 두건의 각 구성품들은 열접착, 고주파접착, 초음파접착, 접착제, 재봉 등 통상의 기술로 접착이 되게 할 수 있고 밸브 편들을 서로 붙이거나 밸브를 고정시키기 위한 접착, 봉합, 재봉, 결착 등은 본원에서 혼용한다.
수납부의 내용물 용량은 1인 1회용이거나, 1인 수회용이거나, 마스크를 1개 내장한 경우에는 1인이 사용하고 마스크를 사용한 사람이 본인이 사용하는 액체티슈와 건조티슈를 제외한 량을 주변에 나눠주도록 할 수 있으며, 1인이 정상적인 활동을 하지 못하는 다수인에게 씌워줄 수 있도록 여러개의 방호재패키지를 1개로 포장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액체티슈 즉 제독티슈나 물티슈 중 하나이상만 여러 개로 하여 세트로 하는 등 포장의 효용성, 휴대 및 활용성, 제작비용 등을 고려하여 융통성있게 결정할 수 있고, 수납부를 등산용 배낭 등에서와 같이 물병의 위쪽을 끈으로 고정하게 하는 등 다양하게 변형적용 하는 것이 가능하다.
안면부덮개탈착부는 안면부덮개측면탈착부, 안면부덮개측면탈착부1, 안면부덮개탈착부, 안면부덮개탈착부1, 안면부덮개탈착부2를 포함한다.
본원의 설명에서 두건몸체의 1전면부와 2전면부 그리고 1측면부와 2측면부는 서로 위치를 바꿔서 융통성 있게 활용될 수 있고, 1전면부와 2전면부를 1측면부와 2측면부로 바꿔서 표기해도 구성품의 활용이 유사하고, 안면부덮개탈착부도 이와 같이 활용될 수 있고, 타 측면 쪽이나 타 전면 쪽에 탈착되는 통상의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본원의 안면부덮개는 양 전면부 중 어느 한곳 이상에 구비된 것을 설명하는 것이며, 예로서 1전면부에서 이어진 안면부덮개는 2전면부에서 이어진 안면부덮개로 표현하고 구성한다 해도 본원에서 차이가 없고, 착용했을 때 우측뺨쪽을 우측전면부, 우측면부, 반대쪽을 좌측전면부, 좌측면부 등 이와 유사하게 융통성 있게 표기/활용할 수 있다.
다목적 응급 두건의 안면부덮개와 차양 등이 두건몸체에서 연장된 형상으로 하는 것은 천으로 일체형으로 재단을 하여 두건몸체에서 돌출된 형상으로 하거나, 또는 재봉, 열접착, 초음파접착, 고주파접착 등 외에도 통상의 기술로 형성하거나 더 연결할 수도 있고, 안면부덮개탈착부의 탈착도 이와 같은 기술을 적용하거나 훼스너테이프, 단추, 후크, 끈 등을 사용하거나, 그 사용개소나 길이나 면적을 늘려서 사용하는 등 통상의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10 1전면부 11 2전면부
20 1측면부 21 2측면부
30 상면부 40 하면부
51 두건결속구 52 안면부덮개1
62 안면부덮개2 53 여과재부
54 차양 55 차양접힘선
56 안면부덮개측면탈착부 56-1 안면부덮개측면탈착부1
57 안면부덮개탈착부 57-1 안면부덮개탈착부1
57-2 안면부덮개탈착부2 58 가름부
60 후면부 70 두건몸체
80 두건수납부 80-1 두건수납부2
100 다목적 응급 두건

Claims (25)

  1. 두겹의 장방형으로 된 두건몸체의 앞쪽과 아래쪽이 개방되어 머리에 씌워서 앞쪽으로 시야를 확보할 수 있게 된 두건에 있어서,
    상기 두건몸체는 머리와 어깨부분의 외부충격을 저감할 수 있도록 충격흡수층;을 포함하고,
    상기 두건몸체는 뒤쪽의 아래쪽에 구비된 가름부; 및
    상기 두건몸체의 앞쪽이 개방되어 형성된 양측의 앞부분 중 어느 한 곳에서 두겹으로 소정의 폭과 길이로 연장되거나 또는 양측의 앞부분에서 각각 소정의 폭과 길이로 연장되어 두겹으로 호흡기를 덮을 수 있게 된 안면부덮개;와,
    상기 안면부덮개가 호흡기를 덮고 두건몸체에서 연장된 방향쪽 끝부분 일측과 이에 대응되는 두건몸체 타측이 서로 탈착되게 한 안면부덮개탈착부;를 구비하여,
    상기 두건몸체 양측의 앞부분에서 각각 연장된 안면부덮개의 안면부덮개탈착부는 어느 측의 안면부덮개가 외측에서 호흡기를 덮더라도 외측에서 호흡기를 덮은 안면부덮개가 두건몸체의 타측에서 서로 탈착되게 하고,
    상기 두건몸체 양측의 앞부분 중 어느 한 곳에서 두겹으로 연장된 안면부덮개의 안면부덮개탈착부는 호흡기를 덮은 외측의 안면부덮개 또는 두겹 모두의 안면부덮개에 안면부덮개탈착부를 형성하여 두건몸체의 타측에서 서로 탈착되게 하며,
    상기 두건몸체의 안면부덮개 아래쪽 일측에서 개방된 양측을 서로 연결하는 두건결속구;를 구비하고,
    상기 안면부덮개의 재질은 충격흡수층 및 공기 여과재;를 포함하며,
    상기 안면부덮개가 연장된 방향쪽 끝부분 일측과 안면부덮개를 뒤쪽으로 젖혔을 때 이에 대응되는 두건몸체의 측면이나 뒤쪽에서 서로 탈착되게 한 안면부덮개측면탈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두겹의 안면부덮개 사이에 여과재를 넣어 사용할 수도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응급 두건.
  2.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두건몸체 양측의 앞부분 중 어느 한 곳에서 두겹으로 연장된 안면부덮개는 내측의 안면부덮개가 외측의 안면부덮개보다 짧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응급 두건.
  3.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두건몸체 양측의 앞부분 중 어느 한 곳에서 두겹으로 연장된 안면부덮개는 서로 연결되어 환형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응급 두건.
  4. 청구항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으로 된 안면부덮개가 호흡기를 덮고 접혀지는 일측이 소정거리가 더 연장된 곳에 안면부덮개탈착부가 구비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응급 두건.
  5.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두건몸체 양측의 앞부분 중 어느 한 곳에서 두겹으로 연장된 안면부덮개는 내측의 안면부덮개의 외측과 외측 안면부덮개의 내측에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안면부덮개탈착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응급 두건.
  6. 청구항 제1항 내지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목적 응급두건은 두건몸체 앞쪽의 위쪽에서 소정거리가 앞쪽으로 연장된 차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응급 두건.
  7. 청구항 6항에 있어서,
    상기 차양은 두건몸체의 뒤쪽으로 접기가 용이토록 된 차양접힘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응급 두건.
  8. 청구항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목적 응급 두건은 두건몸체의 일측에 두건수납부를 형성하거나 휴대주머니를 더 구비하여 다목적 응급 두건을 넣는 것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응급 두건.
  9. 청구항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다목적 응급 두건은 두건몸체의 일측에 두건수납부를 형성하거나 휴대주머니를 더 구비하여 다목적 응급 두건을 넣는 것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응급 두건.
  10. 청구항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면부덮개는 여과재의 구성재로서 나노섬유, 극세사, 부직포, 실리콘, 활성탄소필터, 정전기필터, 친수성소재, 펄프 및 면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응급 두건.
  11. 청구항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목적 응급 두건은 측면부의 일측에 청각수신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응급 두건.
  12. 청구항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두건수납부 및 휴대주머니 중 어느하나 이상에 보호물자로서 보호장갑, 물용기, 제독제용기, 물티슈, 건조티슈, 방재덮개, 보온덮개, 물포, 건조포 또는 마스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여 수납할 수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응급 두건.
  13. 청구항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두건수납부 및 휴대주머니 중 어느하나 이상에 보호물자로서 보호장갑, 물용기, 제독제용기, 물티슈, 건조티슈, 방재덮개, 보온덮개, 물포, 건조포 또는 마스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여 수납할 수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응급 두건.
  14. 청구항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목적 응급 두건은 외피의 재질이 화재방호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응급 두건.
  15. 청구항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목적 응급 두건은 외피가 발수 및 발유 중 어느 한 가지 이상의 처리가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응급 두건.
  16. 청구항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목적 응급 두건은 안면부덮개가 분리되어 제작 후에 두건몸체에 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응급 두건.
  17. 청구항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목적 응급 두건은 두건몸체의 일측에서 안면부덮개를 잇는 물통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응급 두건.
  18. 청구항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면부덮개는 테두리부가 두건몸체의 두께이거나 이보다 더 두껍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응급 두건.
  19. 청구항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면부덮개는 중앙부가 테두리부보다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응급 두건.
  20. 청구항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면부덮개는 중앙부가 돔형으로 외부쪽으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응급 두건.
  21. 청구항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목적 응급 두건은 일측에 두건휴대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응급 두건.
  22.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목적 응급 두건은 입체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응급 두건.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KR1020190063692A 2019-05-30 2019-05-30 다목적 응급 두건 KR1020977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3692A KR102097761B1 (ko) 2019-05-30 2019-05-30 다목적 응급 두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3692A KR102097761B1 (ko) 2019-05-30 2019-05-30 다목적 응급 두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7761B1 true KR102097761B1 (ko) 2020-04-06

Family

ID=70281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3692A KR102097761B1 (ko) 2019-05-30 2019-05-30 다목적 응급 두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7761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17220A (ja) * 1996-02-05 1997-08-19 Yoshio Sunayama 防災頭巾
JPH11241214A (ja) * 1998-02-25 1999-09-07 Shinya Niizaki 防護頭巾
JP3079232U (ja) * 2000-12-27 2001-08-10 京浜ビル管理株式会社 防炎頭巾
KR200289239Y1 (ko) * 2002-06-25 2002-09-16 김창길 방진용 두건
KR20050029480A (ko) 2003-09-23 2005-03-28 김유찬 용접전압 조절이 가능한 고능률 마그용접용 토치
JP2013022039A (ja) * 2011-07-15 2013-02-04 Tamaki:Kk 防災頭巾
KR101455070B1 (ko) 2014-06-02 2014-10-27 주식회사 성도 탈착 가능한 마스크 패드가 구비된 두건
KR101501238B1 (ko) * 2013-09-13 2015-03-16 최용철 군사용 위장 마스크
KR101665630B1 (ko) 2016-04-20 2016-10-12 윤일호 화재대피용 방연마스크
KR20180061724A (ko) 2016-11-30 2018-06-08 주식회사 유니에어 조임 기능이 부가된 넥마스크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17220A (ja) * 1996-02-05 1997-08-19 Yoshio Sunayama 防災頭巾
JPH11241214A (ja) * 1998-02-25 1999-09-07 Shinya Niizaki 防護頭巾
JP3079232U (ja) * 2000-12-27 2001-08-10 京浜ビル管理株式会社 防炎頭巾
KR200289239Y1 (ko) * 2002-06-25 2002-09-16 김창길 방진용 두건
KR20050029480A (ko) 2003-09-23 2005-03-28 김유찬 용접전압 조절이 가능한 고능률 마그용접용 토치
JP2013022039A (ja) * 2011-07-15 2013-02-04 Tamaki:Kk 防災頭巾
KR101501238B1 (ko) * 2013-09-13 2015-03-16 최용철 군사용 위장 마스크
KR101455070B1 (ko) 2014-06-02 2014-10-27 주식회사 성도 탈착 가능한 마스크 패드가 구비된 두건
KR101665630B1 (ko) 2016-04-20 2016-10-12 윤일호 화재대피용 방연마스크
KR20180061724A (ko) 2016-11-30 2018-06-08 주식회사 유니에어 조임 기능이 부가된 넥마스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2341981B2 (en) Smoke escape mask
ES2226941T3 (es) Mascara filtrante.
KR100936050B1 (ko) 다용도 방진 마스크
US20080223371A1 (en) Nose guard mask
KR20170104196A (ko) 미세먼지제거용 마스크
JP2013172836A (ja) マスク
JP2001178837A (ja) 呼吸加湿具並びにマスク等の補助具
CN111700330A (zh) 体感舒适型口罩
KR200431568Y1 (ko) 진공포장 팩으로 포장된 포켓용 습식 구명 마스크
KR200482172Y1 (ko) 방호재패키지
JP4680598B2 (ja) 緊急脱出用マスク
KR102097761B1 (ko) 다목적 응급 두건
JP3150869U (ja) マスク用衛生フィルタ
KR102130647B1 (ko) 다목적 응급 두건
CN211983950U (zh) 一种全脸罩型口罩
KR20170107353A (ko) 방호재 패키지
KR200486540Y1 (ko) 방호재 패키지
KR102031764B1 (ko) 방연 마스크세트
CN205867334U (zh) 一种用于消防应急逃生的湿式火灾逃生口罩
CN215347164U (zh) 干爽舒适型口罩
JP2001218859A (ja) 手持ちマスク
RU2738184C1 (ru) Защитная маска с угольным фильтром
US20230109115A1 (en) Wash-durable and reusable respiratory face mask
CN214677671U (zh) 一种微胶囊香气口罩
CN214164263U (zh) 一种吸水透气面料及口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