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9481B1 - 일체형 다목적 보호복 - Google Patents

일체형 다목적 보호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9481B1
KR102169481B1 KR1020200048878A KR20200048878A KR102169481B1 KR 102169481 B1 KR102169481 B1 KR 102169481B1 KR 1020200048878 A KR1020200048878 A KR 1020200048878A KR 20200048878 A KR20200048878 A KR 20200048878A KR 102169481 B1 KR102169481 B1 KR 1021694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d
protective clothing
cover
integrally
wear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88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용필
박동민
Original Assignee
임용필
박동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용필, 박동민 filed Critical 임용필
Priority to KR10202000488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94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94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94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2Overalls, e.g. bodysuits or bib overall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07Garments with built-in harness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41D13/1153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with a hood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55Plastic or rubber gloves
    • A41D19/0082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08Trimmings; Ornam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0Pockets; Making or setting-in pock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404Details or parts
    • A61F5/4408Means for securing receptacles or bags to the body otherwise than by adhesives, e.g. belts, straps or harn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51Genital or anal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200/00Components of garments
    • A41D2200/10Bel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200/00Components of garments
    • A41D2200/20Hood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2Closures using hook and loop-type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22Closures using slide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24Closures using snap fasteners

Abstract

본 발명은 미세먼지(분진), 화학물 및 약품, 미생물, 세균, 바이러스 등과 같은 유해물질에 노출되는 산업현장이나 의료시설 등에서 작업자, 의료인 및 환자를 보호하기 위해 착용하는 방역복, 방호복 및 의료복 등을 포함하는 다목적 보호복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상의, 하의, 후드(모자), 장갑, 신발(양말/덧신), 안면커버(고글) 및 마스크 등이 일체형으로 이루어져 각 보호장구들을 독립적으로 착용하는 기존 보호복에 비해 착용과 탈의가 비교적 간편하고, 유해물질의 내부 침투와 외부 유출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산업현장의 작업자, 의료시설의 의료인, 구급대원 및 환자를 모두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일체형 다목적 보호복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일체형 다목적 보호복{ALL-IN-ONE TYPE MULTI-PURPOSE PROTECTIVE GARMENT}
본 발명은 미세먼지(분진), 화학물 및 약품, 미생물, 세균, 바이러스 등과 같은 유해물질에 노출되는 산업현장이나 의료시설 등에서 작업자, 의료인 및 환자를 보호하기 위해 착용하는 방역복, 방호복 및 의료복 등을 포함하는 다목적 보호복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상의, 하의, 후드(모자), 장갑, 신발(양말/덧신), 안면커버(고글) 및 마스크 등이 일체형으로 이루어져 각 보호장구들을 독립적으로 착용하는 기존 보호복에 비해 착용과 탈의가 비교적 간편하고, 유해물질의 내부 침투와 외부 유출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산업현장의 작업자, 의료시설의 의료인, 구급대원 및 환자를 모두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일체형 다목적 보호복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전세계적으로 우리가 알지 못하는 새로운 종(변이/변형/기형 등)의 바이러스가 출몰하고 있다. 이러한 바이러스들은 인체에 치명적인 영향을 주어 전세계적으로 수많은 사람들을 죽음으로 몰아가고 있다. 이와 같이, 전세계적으로 사회적인 대혼란을 가져올 수 있는 환경속에서 살아가고 있는 현대인들은 국가나 개인과 각 가정 내에서 신종 바이러스의 출현으로 인한 위험에 노출시 가장 효과적으로 신속하게 1차적으로 대응 및 대처할 수 있는 장치 마련이 시급한 실정에 있다.
이와 같이, 바이러스의 유입과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로는 보호복이 그 대안이 될 수 있다. 보호복은 연구실, 실험실, 화학공장, 폐기물 처리공장, 석면철거 해체 작업장, 탱크 청소 작업장, 바이오 시설, 의약품 제조시설 등과 같은 산업현장, 병원 등의 의료시설, 정부 및 지자체 전염병 대응 및 방역장, 과학 수사대 및 소방 작업장 등에서 발생하는 각종 미세먼지, 화학물, 화학약품, 미생물, 세균, 바이러스 등과 같은 유해물질로부터 작업자나 의료인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보호복은 바이러스 전염을 차단하기 위해 작업 현장에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보편적으로 바이러스 감염 의심환자나 바이러스 감염자를 이송 및 치료하는 의료인이나 구급대원들에 한정적으로 배급되기 때문에 바이러스 전염을 차단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을 수 있다. 즉, 바이러스 전염이 전국적으로 확산되는 시점에서는 의료인이나 구급대원 뿐만 아니라, 바이러스 감염 의심환자나 바이러스 감염자들 또한 보호복을 착용하는 것이 바이러스 전염을 차단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보호복은 그 사용장소 및 목적에 따라 방호복, 방역복 및 의료복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보호복은 신체에 착용하는 상의와 하의, 그리고 두부를 덮는 후드(모자)를 포함한다. 또한, 상의와 하의에 의해 보호되지 않고 노출되는 손과 발, 얼굴에는 상의 및 하의와 별도로 분리 제작된 장갑, 신발(양말/커버덧신), 안면커버(고글안경) 등의 보호장구를 각각 착용하여 이들을 보호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보호복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있었다.
첫째, 상의 및 하의를 착용한 후 별도로 장갑, 신발(양말) 및 안면커버 등 각각의 보호장구를 손, 발 및 얼굴에 착용해야 하기 때문에 착용 및 탈의가 불편하였다.
둘째, 각 보호장구들이 상의 및와 하의와 일체로 형성되지 않고 분리 제작됨에 따라 각 보호장구들을 상의 및 하의에 부착할 때 이들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어 유해물질의 차단 효과가 저하되고, 이로 인해 사용자 및 타인의 안전을 보장할 수 없다.
특히, 보호복 착용 후 작업 중에 신체의 움직임이나, 혹은 행동반경 내에 존재하는 물체에 걸려 각 보호장구들이 상의 및 하의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작업자의 행동을 제약하여 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하지 못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셋째, 종래기술에 따른 보호복에서는 소변과 같은 생리현상을 해결할 수 있는 부재가 마련되어 있지 않아 소변을 참거나 화장실을 방문해야 하는 등 불편함이있었다.
넷째, 종래기술에 따른 보호복에서는 착용자가 물과 같은 음료수를 음용하기 위해서는 착용한 마스크를 벗어야 하기 때문에 세균이나 바이러스에 노출될 수 있다.
KR 10-0843574 B1, 2008. 06. 27. KR 10-2009-0089760 A, 2009. 08. 24. KR 10-1587228 B1, 2016. 01. 14. KR 10-2016-0078347 A, 2016. 07. 04.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상의, 하의, 후드, 장갑, 신발(양말/덧신), 안면커버 및 마스크를 상호 일체형으로 제작하여 착용과 탈의가 간편하고 편리한 일체형 다목적 보호복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해물질의 내부 침투와 외부 유출을 차단하여 사용자와 타인을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일체형 다목적 보호복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비상시 화장실에 가지 않고도 현장에서 생리현상을 간편하게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일체형 다목적 보호복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마스크를 벗지 않고도 물이나 음료수와 같은 음료를 간편하게 마실 수 있도록 제공하는 일체형 다목적 보호복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현재 착용자가 의료인인지 아니면 환자인지를 누구나 쉽게 구별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일체형 다목적 보호복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은 상의, 하의 및 후드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본체; 상기 상의의 허리 부위를 감싸도록 구비된 허리밴드; 상기 후드의 개구부에 일체로 고정되어 유해물질의 유입 및 유출을 차단하는 마스크; 연질의 투명한 재질로 상기 후드에 일체로 고정되어 상기 후드의 개구부를 덮는 안면커버; 상기 상의의 상단에서 상기 하의의 상부까지 연장되어 상기 본체의 전면부를 개폐하는 지퍼; 및 상기 허리밴드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고, 착용자의 생리현상을 해결하기 위한 생리봉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다목적 보호복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의는 전면부에 펜 또는 메모리나 수첩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수납되는 수납 주머니가 구비되어 있고, 배면부에는 착용자의 정보가 기재된 명찰부가 탈부착되는 몸통부; 상기 몸통부와 박음질을 통해 일체로 연결된 팔부; 및 상기 팔부의 하단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엄지와 검지에는 이동 단말기를 조작할 수 있는 터치패드가 구비되어 있는 장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하의는 상기 몸통부의 하단부에 상기 몸통부와 동일 재질로 일체로 형성되고, 전면부 일측에는 착용자의 이동 단말기, 신분증, 지갑 또는 소독용품 및 물품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수납되는 보조 주머니가 구비되어 있는 바지부; 및 상기 바지부와 동일 재질로 상기 바지부의 하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신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후드에는 일측부에 비상시 물, 음료수 또는 산소를 착용자에게 공급하기 위해 빨대나 호스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삽입홀은 원형, 타원형, 다각형 또는 십자형으로 절단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후드에는 상기 삽입홀을 개폐하는 마개가 고정되어 있고, 상기 마개에는 상기 삽입홀을 덮은 상태로 상기 후드에 탈부착되기 위해 벨크로 부재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생리봉투는 생리 현상시 소변 등을 담을 수 있는 봉투본체; 상기 봉투본체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봉투본체의 개방된 입구를 덮어 밀폐하는 덮개; 상기 덮개를 상기 봉투본체에 고정하는 똑딱이; 및 상기 덮개를 상기 허리밴드에 착탈가능하게 장착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들을 얻을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은 상의, 하의, 후드, 장갑, 신발, 안면커버 및 마스크가 일체로 제작된 일체형 다목적 보호복을 제공함으로써 착용과 탈의가 편리하고, 유해물질의 내부 침투와 외부 유출을 차단하여 사용자와 타인을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은 본체의 허리밴드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생리봉투를 구비함으로써 비상시 화장실에 가지 않고도 현장에서 생리 현상을 간편하게 해결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은 후드의 일측부에 빨대가 삽입되는 빨대 삽입홀을 형성함으로써 후드나 마스크를 벗지 않고도 물이나 음료수와 같은 음료를 간편하게 마실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은 본체의 후면부에 착용자의 정보(인적정보 포함)가 기재된 명찰을 부착함으로써 현재 착용자가 의료인이나 구급대원인지 아니면 환자인지를 누구나 쉽게 구별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빠른 대응 및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다목적 보호복의 정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일체형 다목적 보호복의 배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일체형 다목적 보호복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다목적 보호복의 착용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후드에 형성된 삽입홀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과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다목적 보호복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들로서, 도 1은 정면도, 도 2는 배면도, 도 3은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다목적 보호복의 착용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다목적 보호복(1)은 상의(11), 하의(12) 및 후드(모자)(13)가 일체로 형성된 본체(10)를 포함한다.
본체(10)는 상의(11), 하의(12) 및 후드(13)가 동일 재질로 일체로 형성되거나, 혹은 박음질을 통해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의(11), 하의(12) 및 후드(13) 간의 연결부위에는 그 폭을 줄이기 위해 고무밴드와 같은 탄성밴드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상기 탄성밴드를 통해 연결부위를 탄성으로 조임할 수도 있다.
또한, 착용자 신체의 절곡부위, 예를 들면 상의(11)의 손목과 팔꿈치부위, 하의(12)의 발목부위 등에는 탄력을 갖도록 고무밴드와 같은 탄성밴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보호복(1)이 신체 사이즈보다 큰 경우 원하는 부피만큼 조여 사용함으로써 이동, 움직임 및 물품 사용시 간섭되어 마찰과 불편함을 주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결국, 신체 사이즈와 무관하게 편리성과 안정감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탄성밴드는 상의(11)와 하의(12)로부터 독립적으로 분리되거나, 혹은 일단부가 박음질이나 기타 다른 체결부재를 통해 상의(11)와 하의(12)에 고정되고, 타측부는 벨크로 부재나 똑딱이 부재를 통해 구비하여 상호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밴드는 상의(11)와 하의(12)로부터 독립적으로 분리된 경우, 양단부가 서로 일체로 연결된 링 구조로 이루어지거나, 양단부가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양단부가 서로 분리된 경우, 벨크로 부재나 똑딱이 부재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본체(10)는 각종 산업현장, 의료시설, 정부 및 지자체 전염병 대응 및 방역장, 과학 수사대 및 소방 작업장 등에서 발생하는 각종 미세먼지(분진), 화학물, 화학약품, 석면, 미생물, 세균, 바이러스 등과 같은 유해물질의 유입과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방수, 방유 및/또는 방진 등의 기능을 갖는 기능성 원단을 사용한다.
그리고, 본체(10)는 한 겹 또는 외피와 내피로 이루어진 두 겹, 혹은 그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외피는 방수, 방유, 방진 등의 기능을 갖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내피는 피부에 직접 접촉됨에 따라 촉감이 우수하고 피부에 자극을 주지 않으면서 땀 등을 흡수하기 위해 면 소재와 같은 섬유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의(11)는 몸통부(111), 팔부(112) 및 장갑부(113)를 포함한다. 이때, 몸통부(111), 팔부(112) 및 장갑부(113)는 서로 동일 재질로 일체로 이루어지거나, 혹은 서로 다른 재질로 이루어지고 박음질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몸통부(111)에는 전면부 일측에 펜 또는 메모지나 수첩 등을 수납하는 수납 주머니(111a)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후면부에는 현재 보호복을 착용한 착용자의 정보, 예를 들면 직업(환자/의사/간호사/구급대원 등)/나이/혈액형/증상(질병)/보호자 연락처/직위/기록(환자분류) 등의 정보가 기재된 명찰부(111b)가 구비되어 있다.
명찰부(111b)는 펜을 이용하여 착용자의 정보를 기재할 수 있도록 제공되거나, 혹은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벨크로(찍찍이) 부재를 이용하여 탈부착될 수 있다. 이외에도, 명찰부(111b)는 스티커로 이루어져 몸통부(111)에 부착될 수도 있다.
몸통부(111)와 팔부(112)는 서로 동일한 재질로 박음질을 통해 서로 일체로 형성되고, 장갑부(113)는 몸통부(111) 및 팔부(112)와 서로 동일한 재질로 일체로 이루어지거나, 혹은 몸통부(111) 및 팔부(112)와 서로 다른 재질, 예를 들면 고무나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고, 팔부(112)의 단부에 박음질을 통해 서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장갑부(113)는 사용자가 소지한 이동 단말기(휴대폰/스마트폰 등)를 장갑을 벗지 않고도 간편하게 터치하여 조작할 수 있도록 엄지와 검지에 각각 터치패드(113a)가 구비된다. 일례로, 터치패드(113a)는 상기 이동 단말기가 정전식인 경우 폴리에스터 소재의 실에 금속재질의 얇은 실을 혼합하여 제조된 전도성 실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의(12)는 바지부(121)와, 바지부(121)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신발부(122)를 포함한다. 이때, 바지부(121)와 신발부(122)는 서로 동일 재질로 일체로 형성되거나 혹은 서로 다른 재질로 박음질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바지부(121)는 착용자의 양 다리가 삽입되는 부위로서, 몸통부(111)의 하단부로부터 일체로 나란하게 연장된다. 그리고, 적어도 일측부에는 이동 단말기, 혹은 신분증, 지갑, 소독용품 및 물품 등을 수납하는 보조 주머니(121a)가 구비되어 있다.
신발부(122)는 양말이나 덧신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닥면에는 지면 등에서 움직일 시에 고르지 못한 부분으로 인하여 찢어지거나 미끄러짐 등을 방지하기 위해 고무재질이나 천 재질 등으로 이루어진 보호패드(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호패드는 신발 밑창의 바닥에 형성되어 있는 요철이나 홈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고, 신발부(122)의 바닥면에 덧 씌우거나, 혹은 코팅하는 방식으로 형성하여 미끄럼을 방지하는 한편, 신발부(122)의 마모 및 손상을 방지한다. 그리고, 완충성과 탄성을 제공하여 장시간 서서 작업하는 경우 발의 피로도를 줄일 수도 있다.
즉, 상기 보호패드는 신발부(122)의 외면에 구비되어 미끄럼 방지, 돌이나 유리 파편 등의 비교적 악조건 상태의 지면상태(환경)에서 신체의 하중을 가장 많이 받는 신발부(122)를 보호해주기 위한 것으로, 고무재질, 천 재질 또는 실리콘 재질 등으로 코팅, 접착, 박음질 등의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덧데어 가공 및 성형 등을 통해 제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특수한 상황이나 환경에서도 착용자의 상해를 최소화하도록 하는 기능을 추가하여 특수용으로 제작되어 사용할 수 있다.
본체(10)에는 몸통부(111)와 바지부(121) 사이의 경계부, 즉 착용자의 허리에 대응되는 부위를 조이기 위해 상기 경계부를 감싸도록 허리밴드(14)가 설치된다. 이때, 허리밴드(14)는 면 소재나 혹은 탄성력을 갖는 고무밴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과 같이, 본체(10)에는 본체(10)의 전면부를 개폐하기 위해 지퍼(15)가 구비되어 있다.
지퍼(15)는 사용자의 착용과 탈의가 용이하도록 몸통부(111)의 상단에서 바지부(121)의 상부 일부까지 연장된다. 그리고, 지퍼(15)는 각종 세균과 바이러스의 유입 및 유출을 더욱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이중 지퍼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몸통부(111)의 전면부에는 지퍼(15)와 나란하게 지퍼덮개(16)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지퍼덮개(16)는 내측면에 벨크로 부재가 구비되어 지퍼(15)를 덮은 상태에서 몸통부(111)의 전면부에 구비된 벨크로 부재에 부착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지퍼덮개(16)는 실링 테이프를 구비하여 몸통부(111)에 부착 고정될 수도 있다.
후드(13)는 상의(11)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의(11)의 상단부에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후드(13)의 전면부는 얼굴이 개방되도록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다.
후드(13)의 전면부에 형성된 개구부에는 마스크(17)가 후드(13)와 일체로 구비되고, 마스크(17)의 상측으로 후드(13)의 개구부에는 안면커버(18)가 일체로 구비된다.
마스크(17)는 박음질을 통해 후드(13)의 개구부 둘레에 일체로 고정되거나, 벨크로 방식으로 부착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후드(13)의 개구부의 둘레에 형성된 끼움홈에 마스크(17)의 둘레가 끼워져 결합되는 방식으로 후드(13)에 고정될 수도 있다.
이러한 마스크(17)는 미세먼지와 세균 및 바이러스의 유입과 유출을 차단하기 위해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인증한 KF80, KF94 또는 KF99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안면커버(18)는 후드(13)의 개구부를 밀폐하도록 일체로 고정된다. 일례로, 안면커버(18)는 박음질 또는 접착제를 통해 후드(13)에 고정되어 일체화될 수 있다. 그리고, 착용자의 시야 확보가 가능하도록 투명하고 연질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진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후드에 형성된 삽입홀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와 같이, 후드(13)에는 비상시 물이나 음료수를 착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빨대(미도시)가 삽입되는 삽입홀(13a)이 형성되어 있고, 후드(13)에는 삽입홀(13a)을 개폐하기 위해 삽입홀(13a)을 개폐하는 마개(131)가 고정되어 있다. 이때, 삽입홀(13a)은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삼각형, 사각형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마개(131)의 탈부착을 위해 후드(13)에는 삽입홀(13a)을 둘러싸도록 그 주변에 벨크로 부재(암 벨크로)(13b)가 구비되어 있다. 마개(131)에는 후드(13)의 벨크로 부재(13b)에 부착 고정되는 벨크로 부재(숫 벨크로)(131a)가 마련되어 있고, 중앙에는 삽입홀(13a)에 끼워져 삽입홀(13a)의 내부를 밀폐하는 돌부(131b)가 형성되어 있다.
마개(131)에는 분실을 방지하기 위해 후드(13)에 고정되는 연결끈(131c)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후드(13)에 형성된 빨대 삽입홀(13a)은 빨대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원형 구조로 아니라 십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마개(131)는 벨크로 부재(131a)만 구비되어 후드(13)의 벨크로 부재(13b)에 부착 고정되어 밀폐할 수도 있다.
또한, 빨대 삽입홀(13a)의 내부에는 십자형으로 절단 개구된 스폰지(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스폰지는 항균 및 소독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십자형으로 절단 개구된 스폰지에는 호스(미도시)가 삽입되어 산소 등을 내부로 공급할 수도 있다.
한편, 후드(13)와 몸체부(111)의 연결부위를 조이기 위해 탄성밴드(132)가 구비될 수 있다.
허리밴드(14)에는 생리 현상, 예컨대 소변을 해결하기 위해 생리봉투(19)가 장착된다.
생리봉투(19)는 도 1과 같이, 생리 현상시 소변 등을 담을 수 있는 봉투본체(19a)와, 봉투본체(19a)의 상단에 형성되어 봉투본체(19a)의 개방된 입구를 덮어 밀폐하는 덮개(19a)와, 덮개(19b)와 봉투본체(19a)에 암수가 구비되어 덮개(19b)를 봉투본체(19a)에 고정하는 똑딱이(19c)와, 덮개(19b)에 형성된 고리홀에 결합되어 봉투본체(19a)를 허리밴드(14)에 착탈가능하게 장착하는 고정부재(19d)를 포함한다.
고정부재(19d)는 링 구조로, 양단부가 똑딱이나 벨크로 부재를 통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다목적 보호복(1)은 본체(10)의 상의(11), 하의(12) 및 후드(13)를 박음질을 통해 상호 연결하기 위해 재봉선이 형성된다. 이러한 재봉선은 세균 및 바이러스가 유입 및 유출되는 경로가 될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재봉선 부위를 덮도록 원단과 동일한 재질 또는 세균 및 바이러스가 유출 및 유입되지 않는 재질의 테이프로 마감처리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다목적 보호복(1)은 본체(10)의 중앙에 지퍼(15)가 구비된 중앙 개폐식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1인이 타인의 도움없이도 간편하게 착용과 탈의가 가능하다. 이에 따라, 산업현장의 작업자나 의료시설의 의료인들뿐만 아니라, 각 가정 내에서 일반인들 또한 간편하게 착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다목적 보호복(1)은 바이러스 감염 의심자나 감염자가 착용하는 경우 1차적으로 바이러스의 유출 및 공기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보호복을 착용한 상태로 자가용을 타고 지정병원, 지정치료 센터로로 이동하거나, 혹은 휴대폰을 손 세정제 및 기타 세정제 종류로 소독 및 닦아 낸 후 치료센터의 담당의사나 관계자와 통화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바이러스 감염 의심자나 감염자의 증가로 인한 격리시설, 응급차량 및 구급대원의 부족 현상을 해소할 수 있고, 또한 의료인과 구급대원의 시간, 인력 및 경비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다목적 보호복(1)을 의료인들 뿐만 아니라 바이러스 감염자와 접촉한 바이러스 감염 의심자나 바이러스 감염자들에게 제공함으로써 바이러스 감염 의심자나 바이러스 감염자 들의 격리, 혹은 이송 과정에서 바이러스의 유입 및 유출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바이러스 전염을 예방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다목적 보호복(1)을 공공기관, 공공장소, 가정(자녀/부모), 회사, 모임 등에 항시 예비로 비치하여 놓고 사용할 경우, 만약의 증상 상태에 최적의 대응 및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첫째, 환자 본인의 바이러스를 더 이상 외부(사람 및 건물, 실내외 공기 중)로 유출시키지 않는다. 둘째, 치료장소에서도 감압병실을 직접 못 들어가고 대기할 때 타인(타환자, 의료진, 기타의 사람, 보호자, 내방객 등)에게 바이러스를 옮기지 않는다. 셋째, 응급차량, 구급대원, 기타의 시설(동선)에 1차 및 2차 소독, 방역작업의 큰 비용과 시간과 인력과 소독재료 등이 절감되는 사회적, 경제적, 국가적, 국민적으로 큰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다. 이처럼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결합을 통해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일체형 다목적 보호복 10 : 본체
11 : 상의 12 : 하의
13 : 후드(모자) 13a : 빨대 삽입홀
13b, 131a : 벨크로 부재 131b : 돌부
131c : 연결끈 14 : 허리밴드
15 : 지퍼 16 : 지퍼덮개
17 : 마스크 18 : 안면커버
19 : 생리봉투 19a : 봉투본체
19b : 덮개 19c : 똑딱이
19d : 고정부재 111 : 몸통부
111a : 수납 주머니 111b : 명찰부
112 : 팔부 113 : 장갑부
113a : 터치패드 121 : 바지부
122 : 보조 주머니 131 : 마개
132 : 탄성밴드

Claims (6)

  1. 상의, 하의 및 후드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본체;
    상기 상의의 허리 부위를 감싸도록 구비된 허리밴드;
    상기 후드의 개구부에 일체로 고정되어 유해물질의 유입 및 유출을 차단하는 마스크;
    연질의 투명한 재질로 상기 후드에 일체로 고정되어 상기 후드의 개구부를 덮는 안면커버;
    상기 상의의 상단에서 상기 하의의 상부까지 연장되어 상기 본체의 전면부를 개폐하는 지퍼; 및
    상기 허리밴드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고, 착용자의 생리현상을 해결하기 위한 생리봉투;를 포함하되,
    상기 상의는,
    전면부에 펜 또는 메모리나 수첩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수납되는 수납 주머니가 구비되어 있고, 배면부에는 착용자의 정보가 기재된 명찰부가 탈부착되는 몸통부;
    상기 몸통부와 박음질을 통해 일체로 연결된 팔부; 및
    상기 팔부의 하단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엄지와 검지에는 이동 단말기를 조작할 수 있는 터치패드가 구비되어 있는 장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다목적 보호복.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의는,
    상기 몸통부의 하단부에 상기 몸통부와 동일 재질로 일체로 형성되고, 전면부 일측에는 착용자의 이동 단말기, 신분증, 지갑 또는 소독용품 및 물품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수납되는 보조 주머니가 구비되어 있는 바지부; 및
    상기 바지부와 동일 재질로 상기 바지부의 하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신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다목적 보호복.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드에는 일측부에 비상시 물, 음료수 또는 산소를 착용자에게 공급하기 위해 빨대나 호스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삽입홀은 원형, 타원형, 다각형 또는 십자형으로 절단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다목적 보호복.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후드에는 상기 삽입홀을 개폐하는 마개가 고정되어 있고, 상기 마개에는 상기 삽입홀을 덮은 상태로 상기 후드에 탈부착되기 위해 벨크로 부재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다목적 보호복.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생리봉투는,
    생리 현상시 소변 등을 담을 수 있는 봉투본체;
    상기 봉투본체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봉투본체의 개방된 입구를 덮어 밀폐하는 덮개;
    상기 덮개를 상기 봉투본체에 고정하는 똑딱이; 및
    상기 덮개를 상기 허리밴드에 착탈가능하게 장착하는 고정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다목적 보호복.
KR1020200048878A 2020-04-22 2020-04-22 일체형 다목적 보호복 KR1021694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8878A KR102169481B1 (ko) 2020-04-22 2020-04-22 일체형 다목적 보호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8878A KR102169481B1 (ko) 2020-04-22 2020-04-22 일체형 다목적 보호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9481B1 true KR102169481B1 (ko) 2020-10-26

Family

ID=73006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8878A KR102169481B1 (ko) 2020-04-22 2020-04-22 일체형 다목적 보호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9481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1925B1 (ko) 2020-12-29 2021-07-26 주식회사 소프엔티 방역방호복
KR20220088268A (ko) 2020-12-18 2022-06-27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유해인자 차단용 양압 스마트 의류
KR20220088269A (ko) 2020-12-18 2022-06-27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살균 포켓이 구비된 스마트 의류
KR20220088270A (ko) 2020-12-18 2022-06-27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의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가 구비된 스마트 신발
WO2023108335A1 (zh) * 2021-12-13 2023-06-22 尹艺霖 一种便于穿脱的防护服
KR20230103317A (ko) 2021-12-31 2023-07-07 김광진 방호복용 후드 타입 커버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3574B1 (ko) 2007-10-15 2008-07-03 (주)한국원자력 엔지니어링 방호복
KR20090089760A (ko) 2008-02-19 2009-08-24 가부시키가이샤 노르메카 아시아 감염증 방호복
KR20100008436U (ko) * 2009-02-17 2010-08-26 이명진 약액전용 보호구
KR101587228B1 (ko) 2014-08-18 2016-01-21 엠텍에스티에스 주식회사 다목적 보호복
KR20160078347A (ko) 2013-10-29 2016-07-04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개선된 후드를 갖는 방호복
KR101982939B1 (ko) * 2017-11-29 2019-05-27 조성민 소변주머니 수용 기능을 구비한 하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3574B1 (ko) 2007-10-15 2008-07-03 (주)한국원자력 엔지니어링 방호복
KR20090089760A (ko) 2008-02-19 2009-08-24 가부시키가이샤 노르메카 아시아 감염증 방호복
KR20100008436U (ko) * 2009-02-17 2010-08-26 이명진 약액전용 보호구
KR20160078347A (ko) 2013-10-29 2016-07-04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개선된 후드를 갖는 방호복
KR101587228B1 (ko) 2014-08-18 2016-01-21 엠텍에스티에스 주식회사 다목적 보호복
KR101982939B1 (ko) * 2017-11-29 2019-05-27 조성민 소변주머니 수용 기능을 구비한 하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8268A (ko) 2020-12-18 2022-06-27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유해인자 차단용 양압 스마트 의류
KR20220088269A (ko) 2020-12-18 2022-06-27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살균 포켓이 구비된 스마트 의류
KR20220088270A (ko) 2020-12-18 2022-06-27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의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가 구비된 스마트 신발
KR102281925B1 (ko) 2020-12-29 2021-07-26 주식회사 소프엔티 방역방호복
WO2023108335A1 (zh) * 2021-12-13 2023-06-22 尹艺霖 一种便于穿脱的防护服
KR20230103317A (ko) 2021-12-31 2023-07-07 김광진 방호복용 후드 타입 커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9481B1 (ko) 일체형 다목적 보호복
US6516469B1 (en) Diarrhea mitten
US5636382A (en) Protective systems for sensitive skin
US5187815A (en) Needlestick protective glove
US7926120B2 (en) Isolation garment and foot ware
Baker et al. Guidelines for frontline health care staff safety for COVID-19
KR102225697B1 (ko) 일체형 다목적 보호복
World Health Organization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in the context of filovirus disease outbreak response rapid advice guideline: summary of the recommendations
JP2019031748A (ja) 防護服、およびシューカバー
US20050120464A1 (en) Utility garment with removable pockets
CN104544633B (zh) 一种医用一次性防护服
US20210392964A1 (en) Retractable Finger Barrier
CN211794493U (zh) 一种医用隔离防护用品
CN205456266U (zh) 一种多功能患者服长裤
CN211983977U (zh) 一种便于听诊的防护服
CN216875162U (zh) 一种新型防护服
CN215958487U (zh) 一种基于病毒感染用防控服
CN216088972U (zh) 一种抗菌隔离衣
CN208724961U (zh) 一种拼接式抗菌手术衣
AU2019101716A4 (en) Wearable safety item
CN212650428U (zh) 医用防护服
US20050050609A1 (en) Medical utility fitted thumb glove
CN1208103C (zh) 多功能防护服
CN212938093U (zh) 一种医用连体式防护服
CN218104986U (zh) 一种附有无菌手机袋的手术衣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