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1925B1 - 방역방호복 - Google Patents

방역방호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1925B1
KR102281925B1 KR1020200185659A KR20200185659A KR102281925B1 KR 102281925 B1 KR102281925 B1 KR 102281925B1 KR 1020200185659 A KR1020200185659 A KR 1020200185659A KR 20200185659 A KR20200185659 A KR 20200185659A KR 102281925 B1 KR102281925 B1 KR 1022819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zipper
quarantine
protective
opening
protective s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5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윤영
최진현
한설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소프엔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소프엔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소프엔티
Priority to KR10202001856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19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19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19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2Overalls, e.g. bodysuits or bib overall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16Oversho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200/00Components of garments
    • A41D2200/20Hood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22Closures using slide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28Closures using adhesiv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32Closures using elastic band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00Materials for garments
    • A41D2500/30Non-wove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방역방호복은 덧신과 후드가 일체로 구비된 방역방호복으로서, 상기 방역방호복을 입고 벗기 위한 개구부가 등쪽에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는 지퍼에 의해 개폐되며; 상기 지퍼에는 끈 형태의 지퍼풀러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지퍼풀러의 다른 측 일단은 목 또는 목 아래에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방역방호복 {Anti-Contamination Clothing}
본 발명은 방역방호복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바이러스 차단을 위한 방역방호복을 입고 벗을 때 바이러스의 감염을 최소화하고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역방호복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염력이 강하고 노인이나 기저질환자에게 치명률이 높은 코로나 바이러스 COVID-19가 전세계적으로 창궐하고 있다. 이와 같이 강한 전염력이 강한 바이러스 감염 환자를 돌보는 의료현장에서는 감염을 차단하기 위해 방역방호복을 착용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방역방호복은 장시간을 착용하여 함에도 불구하고 착용시 불편한 점이 많고 입고 벗을 때에 감염의 위험이 높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2169481호와 같은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지퍼가 전방에 위치한 통상의 방역방호복에 대하여는 여전히 많은 불편함이 보고되고 있다.
현재 의료현장에서 방역방호복을 입고 벗는 것은 규정으로 정해져 있고, 다음과 같은 순서로 이루어진다.
먼저 방역방호복은 1) 속장갑 착용, 2) 방역방호복 점검후 착의, 3) 지퍼 잠금, 4) 신발끈 묶기, 5) 마스크와 고글 착용, 6) 후드 착용, 7) 착의후 점검, 8) 겉장갑 착용 순으로 입고,
방역방호복을 벗을 때는 1) 겉장갑소독, 2) 오염물 제거, 3) 신발끈 풀기, 4) 겉장갑벗기, 5) 지퍼내리기, 6) 후드제거, 7) 팔쪽 뒤집어 오염부분 안쪽으로 감싸게 벗음. 8) 방역방호복을 말면서 하측으로 벗음, 9) 방역방호복 폐기, 10) 고글과 마스크 제거, 11) 속장갑 제거 순으로 이루어지도록 규정되어있다.
최근 경북대학교병원 IRB_KNUH 2020-06-054-001 승인에 따라 경북대학교병원 감염내과 병동 의료진 74명을 대상으로 수행한 설문조사에서, 의료진들이 방역방호복에 대하여 느끼고 있는 문제점들이 조사되었다. 그 중 대표적인 문제점들 중 일부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1) 전방의 지퍼가 자꾸 내려가며, 지퍼의 내려감을 방지하기 위해 붙인 테이프에 의해 방역방호보을 벗을 때 찢어지는 경우가 많다.
2) 겉장갑을 벗고 속장갑을 낀 채 지퍼를 내리게 되어 있는데, 지퍼도 외부에 노출되어 오염된 것이므로 바이러스 차단효율이 떨어진다.
3) 지퍼를 끝까지 올려도 얼굴과 목 사이가 노출된다.
4) 방역방호복의 사이즈가 다양하면 좋겠고, 보호복이 헐렁하여 각종 부위에 테이프를 감아 고정한다.
5) 덧신이 커서 의료기기의 바퀴 등에 밟히는 경우가 많다.
그 이외에도 여러가지 불편사항이 조사되었지만,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 이외의 것을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KR 10-2169481 B1, 2020.10.26., 도 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방역방호복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지퍼 및 착탈의에 따른 오염을 최소화하며, 다양한 체형에 적합하고, 덧신이 기기에 밟히지 않도록 한 방역방호복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덧신과 후드가 일체로 구비된 방역방호복으로서,
상기 방역방호복을 입고 벗기 위한 개구부가 등쪽에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는 지퍼에 의해 개폐되며;
상기 지퍼에는 끈 형태의 지퍼풀러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지퍼풀러의 다른 측 일단은 목 또는 목 아래에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구부는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슴둘레길이의 반을 A라 했을 때, 상기 개구부의 길이(L1)는 A + (10 ~ 15) cm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역방호복의 허리부의 후면에는 제 2 고무밴드 수축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드 연결지점에서부터 제 2 고무밴드 수축부까지의 거리를 Y라 할 때, 상기 개구부는 후드 연결지점으로부터 (0.35~0.45 )×Y cm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구부는 경사져 있으며, 지퍼를 하측으로 이동시키면 폐쇄되는 형태로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역방호복의 덧신 중 발목부위의 앞면에는 제 1 고무밴드 수축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노섬유층을 기준으로 부직포층, 접착제층, 외측필름층이 차례로 적층된 두께 0.45~0.6mm의원단으로 제작되며, 상기 원단의 공기투과도가 0.5~2 cfm, 투습도가 5000g/m2*24hr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종래 방호복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한편, 지퍼 및 착탈의에 따른 오염을 최소화하며, 다양한 체형에 적합하고, 덧신이 기기에 밟히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일 실시예 방역방호복의 전면을 나타낸 도.
도 2는 본 발명 일 실시예 방역방호복의 후면을 나타낸 도.
도 3은 본 발명 개구부의 위치 및 치수관계를 나타낸 도.
도 4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 방역방호복의 후면을 나타낸 도.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의 해결 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도면에는 설명에 필요한 구성만을 도시할 수 있으며, 도면에서 도시되지 않았다하여 그 구성이 제거된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형상은 실제 형상을 도시한 것이 아니고, 이해를 돕기위하여 길이, 폭, 높이, 두께 등을 크게 또는 작게 도시한 것일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그 실시예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방역방호복은 덧신(10)과 후드(20)가 일체로 구비되어 있는 방역방호복(1)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방역방호복(1)은 상하의가 일체로 이루어져 있다.
방역방호복은 흡한성. 통기성, 투습성 뿐만 아니라 바이러스 차단이 가능한 다층구조체 섬유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나노섬유층을 기준으로 부직포층, 접착제층, 외측필름층이 차례로 적층된 원단을 사용하였다. 나노섬유층은 폴리우레탄(PU)를 전기방사하여 직경이 0.1~1㎛ 섬유로 제작된다. 나노섬유층과 부직포층 역시 접착제로 접착되지만 별도의 접착제층이 형성되지는 않는다. 나노섬유층은 10~100 ㎛ 의 두께를 가지도록 하며, 합지되는 외측필름층은 PE필름으로 두께 25~35㎛인 것이 바람직하다.
외측필름층은 나노탄산칼륨(CaCO3)가 적용된 23.5㎛의 필름층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 사용된 원단은 두께가 0.45~0.6mm, 공기투과도가 0.5~2 cfm, 투습도가 5000g/m2*24hr 이상이 되도록 설계되었다.
방역방호복은 재단된 원단을 심 실링(Seam Sealing)에 의해 접합하여 제작된다. 방역방호복은 통기성PE필름이 외부로 드러나도록 제작된다. 도 1.2에서 청색 실선으로 표시된 부분이 심 실링된 부분이다.
본 실시예 방역방호복은 얼굴노출부(21), 손목부(30), 무릎부(40)는 전둘레를 거쳐 고무밴드가 결합되어 있다. 도면에서 고무밴드는 황색 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얼굴노출부(21)과 손목부(30)의 고무밴드는 얼굴과 손목을 통해 오염물이나 바이러스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게 위해 얼굴노출부(21)과 손목부(30) 부위를 조여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
또한 손목부(30)에는 손가락 걸이(31)가 설치되어 있어, 착용중 손목부(30)가 위로 말려 올라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해준다.
덧신(10)d의 발목부위의 앞면에는 제 1 고무밴드 수축부(11)가 구비되어 있다. 덧신(10)의 앞면 측에만 설치된 1 고무밴드 수축부(11)에 의해 덧신(10)으로 신발을 끼우기 쉽게 되고, 또한 제 1 고무밴드 수축부(11)는 덧신(10)의 나머지 부위를 제 1 고무밴드 수축부(11) 측으로 당기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에 따라, 덧신이 커서 의료장비의 바퀴 등에 깔리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덧신(10)은 입체적인 형상을 구비하도록 재단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덧신(10)의 바닥면에는 실리콘, 고무 등의 재질로 미끄럼 방지부(12)가 구비되어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방역방호복의 허리부(50)의 후면에는 제 2 고무밴드 수축부(51)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면으로 설치된 제 2 고무밴드 수축부(51)는 고무밴드가 허리부의 전둘레를 거쳐 설치된 것에 비해 다양한 사이즈의 허리둘레를 가진 사람들이 불편없이 방역방호복을 착용할 수 있게 해준다.
본 실시예 방역방호복의 후면에는 방역방호복을 입고 벗을 때 사용자의 몸통이 드나드는 개구부(60)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개구부(60)는 방역방호복의 등쪽에 수평으로 형성된다. 개구부(60)는 도 3과 같이 방역방호복 가슴둘레의 반에 해당하는 길이 A 보다 약 10-15cm 더 길게 절개되어 형성된다.
또한, 개구부는 후드 연결지점에서부터 제 2 고무밴드 수축부까지의 거리를 Y 라고 했을 때, 후드 연결지점으로부터 (0.35~0.45 )×cm 이격되어 설치된다.
개구부(60)는 지퍼(70)에 의해 개폐되게 된다. 사용자는 지퍼(70)를 열고 개구부를 통해 방역방호복을 착용하게 되며, 착용후 지퍼(70)에 달린 끈 형태의 지퍼풀러(80)를 당김으로써 지퍼(70)를 잠글 수 있게 된다.
지퍼(70)에 연결된 지퍼풀러(80)의 다른 일단은 목 또는 목 아래부분의 방역방호복 겉면에 고정시키게 되는데, 이때는 벨크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방역방호복 측에는 암 벨크로(81)를, 지퍼 풀러(80)측에는 수 벨크로(82)를 배치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방역방호복은 개구부(60)가 등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후드(20)는 전방으로 얼굴 노출부(21)를 구비하고 또한 얼굴노출부(21)를 고무밴드로 조여주고 있다. 이에 따라 지퍼가 전방에 위치하여 잠궜을 때 목이나 얼굴이 완전하게 차단되지 않는 종래 방역방호복의 문제점이 해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방역방호복(1)을 벗을 때는, 지퍼풀러(80)를 당겨서 개구부(60)를 개방한 후 겉장갑을 벗고, 후드에서 머리를 빼내고, 방역보호복의 안쪽면이 바깥을 향하도록 말면서 벗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팔 소매를 뒤집어 뺄 필요도 없고, 겉장갑을 낀 채로 지퍼를 당겨 개구부를 개방할 수 있기 때문에, 오염의 염려가 훨씬 적게 그리고 간편하게 방역방호복을 벗을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방역방호복 10 : 덧신 11 : 제 1 고무밴드 수축부
12 : 미끄럼 방지부 20 : 후드 30 : 손목부
31 : 손가락걸이 40 : 무릎부 50 : 허리부
51 : 제 2 고무밴드 수축부 60 : 개구부 70 : 지퍼
80 : 지퍼풀러

Claims (8)

  1. 덧신과 후드가 일체로 구비된 방역방호복으로서,
    상기 덧신의 바닥면에 구비된 실리콘 또는 고무 재질의 미끄럼 방지부;
    상기 방역방호복의 발목부위 앞면에만 구비된 제1 고무밴드 수축부;
    상기 방역방호복의 허리부 후면에만 구비된 제2 고무밴드 수축부;
    상기 방역방호복을 입고 벗기 위해 등쪽에 형성되고, 지퍼에 의해 개폐되는 개구부;
    일단이 상기 지퍼에 끈 형태로 연결된 지퍼풀러;
    상기 지퍼풀러의 다른 측 일단이 목 또는 목 아래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해당 지퍼풀리의 일단에 형성된 수 벨크로와 상기 방역방호복에 형성된 암 벨크로;
    상기 방역방호복의 얼굴노출부와 손목부에 형성된 고무밴드;
    상기 손목부에 형성된 손가락 걸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역방호복.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역방호복.
  3. 제 2 항에 있어서,
    가슴둘레 길이의 반을 A라 했을 때, 상기 개구부의 길이(L1)는 A + (10 ~ 15) c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역방호복.
  4. 삭제
  5. 제 3 항에 있어서,
    후드 연결지점에서부터 제 2 고무밴드 수축부까지의 거리를 Y라 할 때, 상기 개구부는 후드 연결지점으로부터 (0.35~0.45 )×Y cm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역방호복.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경사져 있으며, 지퍼를 하측으로 이동시키면 폐쇄되는 형태로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역방호복.
  7. 삭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역방호복은
    나노섬유층을 기준으로 부직포층, 접착제층, 외측필름층이 차례로 적층된 두께 0.45~0.6mm의원단으로 제작되며, 상기 원단의 공기투과도가 0.5~2 cfm, 투습도가 5000g/m2*24hr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역방호복
KR1020200185659A 2020-12-29 2020-12-29 방역방호복 KR1022819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5659A KR102281925B1 (ko) 2020-12-29 2020-12-29 방역방호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5659A KR102281925B1 (ko) 2020-12-29 2020-12-29 방역방호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1925B1 true KR102281925B1 (ko) 2021-07-26

Family

ID=77124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5659A KR102281925B1 (ko) 2020-12-29 2020-12-29 방역방호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19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3395A (ko) 2021-12-31 2023-07-07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동작성이 향상된 방호복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500882A (ja) * 2009-07-29 2013-01-10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エンバイロガード システム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通気性防護布及び防護服
KR101768804B1 (ko) * 2016-03-31 2017-08-17 박상욱 기능성 상의
JP2019031748A (ja) * 2017-08-04 2019-02-28 株式会社モレーンコーポレーション 防護服、およびシューカバー
KR102169481B1 (ko) 2020-04-22 2020-10-26 임용필 일체형 다목적 보호복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500882A (ja) * 2009-07-29 2013-01-10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エンバイロガード システム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通気性防護布及び防護服
KR101768804B1 (ko) * 2016-03-31 2017-08-17 박상욱 기능성 상의
JP2019031748A (ja) * 2017-08-04 2019-02-28 株式会社モレーンコーポレーション 防護服、およびシューカバー
KR102169481B1 (ko) 2020-04-22 2020-10-26 임용필 일체형 다목적 보호복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3395A (ko) 2021-12-31 2023-07-07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동작성이 향상된 방호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24525B2 (en) Suit designs and doffing methodologies for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to prevent the spread of infectious agents to healthcare workers
JP2005002545A (ja) 感染防護服
KR102281925B1 (ko) 방역방호복
JP2019031748A (ja) 防護服、およびシューカバー
KR102225697B1 (ko) 일체형 다목적 보호복
JP3143595U (ja) 感染症防護服
CN210299645U (zh) 一种医用防护服
KR102267758B1 (ko) 의료용 가운
US20080017196A1 (en) Respiratory hood system
IT202000013420A1 (it) Mascherina sanitaria a doppia protezione, preferibilmente per il filtraggio di polveri, smog, aerosol, agenti patogeni, virus e similari
CN111345524A (zh) 一种改进型安全防护服装
CN207322760U (zh) 一种新型无纺布隔离服
CN212280049U (zh) 一种简易全封闭式防护服
CN213961948U (zh) 防护面罩、护目镜和口罩一体化设置的轻型防护服装置
JP2003268610A (ja) 医療用防護具セット
JP2022007857A (ja) ウイルス防護スーツ
CN213908570U (zh) 一种儿童防护服
CN212233172U (zh) 一种便于清洗的冠状病毒治疗用防护服
US20240130448A1 (en) Reusable protective clothing
CN212280061U (zh) 全封闭自消毒医用防护服
KR102432636B1 (ko) 신속하게 탈착 가능한 간이 방호복
CN218127099U (zh) 一种有防护效果的精神卫生科用医疗服
CN220607444U (zh) 一种安全防护服
CN215189505U (zh) 一种具有吸汗排热功能的隔离防护服
CN211983989U (zh) 一种手术室专用防传染手术衣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