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5924B1 - 휴대용 세척 파우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세척 파우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5924B1
KR102165924B1 KR1020200005828A KR20200005828A KR102165924B1 KR 102165924 B1 KR102165924 B1 KR 102165924B1 KR 1020200005828 A KR1020200005828 A KR 1020200005828A KR 20200005828 A KR20200005828 A KR 20200005828A KR 102165924 B1 KR102165924 B1 KR 1021659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folded
fixing
opening
folded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58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순
Original Assignee
이현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현순 filed Critical 이현순
Priority to KR10202000058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59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59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59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1/00Cleaning flexible or delicate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기 본체(100)를 접힌 상태로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이 구비됨으로써, 부피를 줄여 휴대 및 보관을 용이하게 하는 휴대용 세척 파우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휴대용 세척 파우치는, 내부에 세척수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110)이 형성되고, 상단에 상기 수용공간(110)을 개폐하는 개폐수단(120)이 구비되며, 하단에는 바닥에 세워지도록 지지하는 스탠딩부(130)가 구비된 본체(100);상기 본체(100)의 외측에 구비되며, 상기 본체(100)를 접은 상태로 고정시키는 고정수단(200); 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휴대용 세척 파우치{Portable cleaning pouch}
본 발명은 휴대용 세척 파우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여성의 질 내에 삽입되어 생리혈을 수용하는 생리컵을 세척하기 위한 휴대용 세척 파우치에 관한 것이다.
생리혈을 흡수하는 종래의 생리용품은 속옷(팬티) 내측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패드식 생리대와 여성의 질 내부로 삽입하여 사용하는 삽입형 생리대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통상, 패드식 생리대의 경우 흡수력이 우수하고 두께가 얇다는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착용 후 활동시에 속옷에 견고하게 고정되지 않고 쉽게 움직이므로 자유로운 활동이나 운동 등에 제약이 따르며, 특히 수면 중에도 의식적으로 움직임을 자제해야 하는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패드식 생리대는 착용시 피부와 닿는 면이 화학 재질로 제작되기 때문에 피부질환이나 가려움증 등을 유발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삽입형 생리대는 패드형 생리대에 비하여 생리혈이 새어나오는 현상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생리 기간 중에도 착용한 상태에서 자유롭게 활동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화학성분으로 제작된 삽입형 생리대에서 발생되는 유해 물질이 각종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패드식 생리대와 삽입형 생리대의 경우 재사용이 불가능한 일회성 제품으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다량의 쓰레기 배출에 따른 처리 비용 등으로 인하여 경제적인 부담이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지니고 있는 기존의 패드식 생리대와 삽입형 생리대의 대안형 생리용품으로서, 여성의 질 내에 삽입된 상태로 착용되어 배출되는 생리혈을 수용하도록 이루어진 삽입형 생리컵이 개발되어 시판되고 있다.
이러한 생리대의 일 예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한국등록특허 10-0973524에 기재된 기술이 있는데, 그 기술적 특징은 벽이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그 내경이 작아지는 컵 형상을 가져 여성의 생리시 여성 질 내에 삽입되어 속이 빈 내부에 생리혈을 담아 저장하는 저장 영역을 형성하는 컵 형상 본체(100); 상기 컵 형상 본체(100)의 하부 외면으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손잡이; 및 상기 컵 형상 본체(100)의 저장 영역을 상부 및 하부 저장 영역으로 구분하도록 상기 컵 형상 본체(100)의 벽 내부에 가로방향으로 위치하여 상기 여성 질로부터 배출된 상기 생리혈을 상기 하부 저장 영역으로 안내하고 상기 하부 저장 영역에 담긴 상기 생리혈이 상기 여성 질 내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날개판을 포함하며, 상기 날개판에는 외주부가 상기 컵 형상 본체(100)의 내벽에 부착되고 상기 외주부에서 상기 날개판의 중심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경사를 갖고 상기 외주부로부터 상기 날개판의 중심 사이에 등 간격으로 다수의 절개부(23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런데, 한국등록특허 10-0973524에 기재된 기술과 같은 생리컵은 사용자의 건강 및 환경을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이를 휴대할 때 이물질이 묻지 않도록 잘 보관하여야 하며, 사용 후에도 생리혈의 처리를 포함하여 안정적으로 휴대할 수 있어야 하는데, 생리컵을 위생적으로 보관할 수 있는 케이스 등이 없어, 위생적으로 보관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본체(100)를 접힌 상태로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이 구비됨으로써, 부피를 줄여 휴대 및 보관을 용이하게 하며, 생리컵 비울시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 세척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세척 파우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본체(100)의 하단을 확장되게 하여 상기 본체가 스스로 서 있을 수 있도록 상기 스탠딩부를 구비됨으로써, 사용을 편리하게 하는 휴대용 세척 파우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휴대용 세척 파우치는, 내부에 세척수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110)이 형성되고, 상단에 상기 수용공간(110)을 개폐하는 개폐수단(120)이 구비되며, 하단에는 바닥에 세워지도록 지지하는 스탠딩부(130)가 구비된 본체(100);상기 본체(100)의 외측에 구비되며, 상기 본체(100)를 접은 상태로 고정시키는 고정수단(200); 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수단(200)은, 상기 본체(100)의 일면 상단에 구비되는 암밸크로(210); 상기 본체(100)의 일면 하단에 구비되는 수밸크로(220); 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수단(200)은, 상기 본체(100)의 상단에 형성된 절개부(230); 상기 본체(100)의 하단에 구비되며, 상기 절개부(230)에 삽입되는 고정돌기(240); 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수단(200)은, 양측이 상기 본체(100)의 일단 외측에 고정되며, 상기 본체(100)를 접을 때 상기 본체(100)와의 사이로 상기 본체(100)의 타단을 통과시켜 밀착 고정시키는 고정밴드(250); 를 포함한다.
상기 스탠딩부(130)는, 접힘 가능한 연성재질로 이루어지며, 접힘 상태로 배치되었다가 상기 수용공간(110)에 세척수가 담기면 상기 본체(100)의 하단 너비가 확장되도록 전개되어 상기 본체(100)를 세워지게 지지한다.
상기 개폐수단(120)은 지퍼부재로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휴대용 세척 파우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상기 본체(100)의 하단에 절첩 가능하도록 상기 스탠딩부(130)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본체(100)의 하단을 벌어지게 하여 스스로 세워질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사용을 편리하게 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 본체(100)를 1/3 크기로 접어 상기 고정수단(200)으로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본체(100)의 부피를 줄이고, 상기 본체(100)가 임의로 펼쳐지는 것을 방지하여 휴대 및 사용을 편리하게 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 고정돌기(240)의 탄성 복원력과 구조에 의해 상기 본체(100)가 접힘 상태로 결합됨으로써, 결합력을 향상시키고, 탈착을 좀더 용이하게 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띠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100)를 접은 상태로 감싸는 상기 고정밴드(250)가 구비됨으로써, 구성이 단순하여 상기 본체(100)를 좀더 쉽게 접고 펼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세척 파우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세척 파우치의 스탠드부가 전개된 상태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세척 파우치가 접힌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세척 파우치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세척 파우치가 접히는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세척 파우치가 완전히 접힌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세척 파우치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세척 파우치의 접힌 상태의 단면도,
도 9는 종래의 생리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세척 파우치는, 본체(100) 및 고정수단(20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100)는 비닐 재질로 이루어지며,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단이 개방되어 내부에 수용공간(110)이 형성된다.
상기 수용공간(110)은 세척수와 세척할 생리컵을 넣을 수 있도록 생리컵 보다 크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100)의 상단에는 상기 수용공간(110)을 개폐하는 개폐수단(120)이 구비된다.
상기 개폐수단(120)은 지퍼백에서 사용되는 지퍼부재로 이루어지며, 밀폐시 상기 수용공간(110)에 수용된 세척수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기밀성을 유지하게 된다.
경우에 따라 상기 개폐수단(120)은 지퍼부재가 아닌 집게나 클립 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를들어 상기 본체(100)의 상단을 접거나 돌돌 말은 후 집게나 클립으로 압착 고정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0)의 하단에는 바닥에 세워지도록 지지하는 스탠딩부(130)가 구비된다.
상기 스탠딩부(130)는, 접힘 가능한 연성재질로 이루어지며, 접힘시 가운데 부분이 반으로 접히면서 상기 본체(100)의 양면과 밀착된다.
상기 본체(100)의 내부, 즉 상기 수용공간(110)에 세척수가 담기면 세척수의 하중에 의해 상기 스탠딩부(130)는 바닥면과 평평해 지도록 펼쳐지고, 상기 본체(100)의 하단이 벌어지면서 상기 본체(100)가 세워지도록 지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본체(100)의 하단에 절첩 가능하도록 상기 스탠딩부(130)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본체(100)의 하단을 벌어지게 하여 스스로 세워질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사용을 편리하게 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한편, 상기 고정수단(200)은 상기 본체(100)의 외측에 구비되며, 휴대시 상기 본체(100)를 접은 상태로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수단(200)은 암밸크로(210)와 수밸크로(2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암밸크로(210)는 원형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100)의 일면 상단에 구비된다.
상기 수밸크로(220)는 상기 암밸크로(210)와 동일한 원형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100)의 일면 하단에 구비된다.
이러한 상기 고정수단(2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0)의 접힘시 서로 마주보게 되어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100)를 4등분 하여 상단과 하단을 먼저 일면 방향으로 접는다. 이후 상기 본체(100)의 상단과 하단이 상호 마주보게 접으면 상기 암밸크로(210)와 상기 수밸크로(220)가 마주보게 되어 결합된다.
이와 같이 상기 본체(100)를 1/4 크기로 접어 상기 고정수단(200)으로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본체(100)의 부피를 줄이고, 상기 본체(100)가 임의로 펼쳐지는 것을 방지하여 휴대 및 사용을 편리하게 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본체(100)를 접어 쉽게 휴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생리컵 세척시 외부 노출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한편,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수단(200)은 절개부(230)와 고정돌기(240)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절개부(230)는 상기 본체(100)의 상단 가운데에 배치되며, 가로 방향으로 일자 형태로 형성되고, 양면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절개부(230)에는 상기 본체(100)의 접힘시 상기 고정돌기(240)가 삽입 관통하여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절개부(230)는 일자 형태 뿐만 아니라, 하측 방향으로 볼록한 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절개부(230)가 호 형상으로 형성되면 상기 고정돌기(240)의 삽입시 상기 절개부(230)의 상하단 사이의 가압력이 향상되어 상기 고정돌기(240)와의 결합력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절개부(230)는 단순히 상기 본체(100)를 가공하여 형성할 수 있으므로, 상기 암밸크로(210) 및 수밸크로(220)와 달리 별도의 부재 추가로 인한 자재비 상승이 없고, 작업이 단순하므로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 고정돌기(240)는 상기 절개부(230)에 삽입 결합되는 것으로, 길이 방향으로 긴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100)의 일면 하단 가운데에 장착되며, 탄성력을 갖는 박판 또는 필름 재질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고정돌기(240)는 하단이 상기 본체(100)에 결합 고정되고, 상단은 상기 본체(100)와 분리되게 배치된다.
이러한 상기 고정돌기(240)의 상단은, 상기 본체(100)의 접힘시 상기 절개부(230)를 관통하여 배치되고, 상기 본체(100)의 상단을 상기 본체(100)의 하단 방향으로 가압하게 된다.
또한, 상기 본체(100)는 1/4 크기로 접을 수도 있지만, 1/3크기로 접을 수도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0)의 하단을 먼저 가운데 방향으로 접고, 이 후 상기 본체(100)의 상단을 가운데 방향으로 접으며, 이때 상기 고정돌기(240)를 살짝 들어올려 상기 절개부(230)에 삽입하여 통과시킨다.
이때 평평함으로 유지하려는 상기 고정돌기(24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본체(100)의 상단은 상기 본체(100)의 하단 방향으로 밀착되도록 가압된다.
이와 같이 상기 고정돌기(240)의 탄성 복원력과 구조에 의해 상기 본체(100)가 접힘 상태로 결합됨으로써, 결합력을 향상시키고, 탈착을 좀더 용이하게 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한편,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수단(200)은 접힘 상태의 상기 본체(100)를 감싸는 고정밴드(25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고정밴드(250)는 가로 방향으로 긴 띠 형상으로 형성되며, 양측이 상기 본체(100)의 상단 외측에 고정된다.
이러한 상기 고정밴드(250)는 상기 본체(100)를 접을 때 상기 본체(100)와의 사이로 상기 본체(100)의 접은 부분을 통과시켜 상기 본체(100)의 상,하단이 상호 밀착 고정되도록 한다.
여기에서 상기 고정밴드(250)는 상기 본체(100)와 동일한 비닐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탄성이 높은 고무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띠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100)를 접은 상태로 감싸는 상기 고정밴드(250)가 구비됨으로써, 구성이 단순하여 상기 본체(100)를 좀더 쉽게 접고 펼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부속 청구 범위의 사상 및 영역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여러 형태로 변형 실시될 수 있으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영역 내에 있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100 : 본체
110 : 수용공간
120 : 개폐수단
130 : 스탠딩부
200 : 고정수단
210 : 암밸크로
220 : 수밸크로
230 : 절개부
240 : 고정돌기
250 : 고정밴드

Claims (6)

  1. 내부에 세척수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110)이 형성되고, 상단에 상기 수용공간(110)을 개폐하는 개폐수단(120)이 구비되며, 하단에는 바닥에 세워지도록 지지하는 스탠딩부(130)가 구비된 본체(100);
    상기 본체(100)의 외측에 구비되며, 상기 본체(100)를 접힌 상태로 고정시키는 고정수단(200);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수단(200)은,
    상기 본체(100)의 일면 상단에 구비되는 암밸크로(210);
    상기 본체(100)의 일면 하단에 구비되며, 상기 본체(100)의 접힘 시 상기 암밸크(210)로와 마주보게 결합되는 수밸크로(220);를 포함하고,
    상기 스탠딩부(130)는 접힘 가능한 연성재질로 이루어지고, 접힘 상태로 배치되었다가 상기 수용공간(110)에 세척수가 담기면 상기 본체(100)의 하단 너비가 확장되도록 전개되어 상기 본체(100)를 세워지게 지지하며,
    상기 개폐수단(120)은 지퍼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세척 파우치.
  2. 삭제
  3. 내부에 세척수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110)이 형성되고, 상단에 상기 수용공간(110)을 개폐하는 개폐수단(120)이 구비되며, 하단에는 바닥에 세워지도록 지지하는 스탠딩부(130)가 구비된 본체(100);
    상기 본체(100)의 외측에 구비되며, 상기 본체(100)를 접힌 상태로 고정시키는 고정수단(200);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수단(200)은,
    상기 본체(100)의 상단에 형성된 절개부(230);
    상기 본체(100)의 하단에 탄성력을 갖는 박판 또는 필름 재질로 구비되며, 상기 본체(100)의 접힘 시 상기 절개부(230)에 삽입되는 고정돌기(240);를 포함하고,
    상기 절개부(230)는 하방으로 볼록한 호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스탠딩부(130)는 접힘 가능한 연성재질로 이루어지고, 접힘 상태로 배치되었다가 상기 수용공간(110)에 세척수가 담기면 상기 본체(100)의 하단 너비가 확장되도록 전개되어 상기 본체(100)를 세워지게 지지하며,
    상기 개폐수단(120)은 지퍼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세척 파우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200005828A 2020-01-16 2020-01-16 휴대용 세척 파우치 KR1021659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5828A KR102165924B1 (ko) 2020-01-16 2020-01-16 휴대용 세척 파우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5828A KR102165924B1 (ko) 2020-01-16 2020-01-16 휴대용 세척 파우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5924B1 true KR102165924B1 (ko) 2020-10-14

Family

ID=72847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5828A KR102165924B1 (ko) 2020-01-16 2020-01-16 휴대용 세척 파우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592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32095A (ko) * 2013-05-07 2014-11-17 주식회사 우성팩 냉장,냉동 식품 포장용 백 및 그 제조방법
KR101925763B1 (ko) * 2015-10-30 2018-12-05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흡수성 개인 위생 용품을 보관하기 위한 밴드-체결식 편의 패키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32095A (ko) * 2013-05-07 2014-11-17 주식회사 우성팩 냉장,냉동 식품 포장용 백 및 그 제조방법
KR101925763B1 (ko) * 2015-10-30 2018-12-05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흡수성 개인 위생 용품을 보관하기 위한 밴드-체결식 편의 패키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69851B1 (ko) 여성용 소변 장치(female urinary device)
US4815151A (en) Urinary guide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NL1039286C2 (en) Portable non-invasive urinary aids for women.
KR101915316B1 (ko) 삽입형 생리 컵
KR102501428B1 (ko) 생리혈 저장 및 배출 가능한 반영구 생리대
US20130110060A1 (en) Device and Method for Menstrual Blood Collection
JPS6244485B2 (ko)
KR20160109503A (ko) 삽입형 생리 컵
US20170165100A1 (en) Urinary Absorbent and Retention Pouch for Male Incontinence
JP2021522944A (ja) 痛症なしに取り出しが容易でありながら再使用が可能な生理カップ
WO2018087973A1 (ja) 生理用パンティ
KR101982939B1 (ko) 소변주머니 수용 기능을 구비한 하의
CA2668796A1 (en) Pants with pockets or bands for retaining diapers and diapers
US20210353473A1 (en) Menstrual cup
KR102165924B1 (ko) 휴대용 세척 파우치
US10080692B2 (en) Feminine needs container
US20220370238A1 (en) Menstrual cup
KR20190034976A (ko) 재습윤 저감형 개인위생용품
ES2265168T3 (es) Dispositivo para suministrar simultaneamente agentes beneficiosos a ambos lados, cervical y de canal vaginal, de una vagina.
JP3236796U (ja) 女性の生理用品
CN105287085A (zh) 一种月经杯
KR20230136240A (ko) 생리컵
GB2354172A (en) Nappy comprising a disposal bag and a moist wipe
CN217772637U (zh) 可形成自我夹持的月经杯
KR200486827Y1 (ko) 소변 흡수용 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