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2041Y1 - 기능성 바지 - Google Patents

기능성 바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2041Y1
KR200212041Y1 KR2020000019509U KR20000019509U KR200212041Y1 KR 200212041 Y1 KR200212041 Y1 KR 200212041Y1 KR 2020000019509 U KR2020000019509 U KR 2020000019509U KR 20000019509 U KR20000019509 U KR 20000019509U KR 200212041 Y1 KR200212041 Y1 KR 2002120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ttached
pants
pocket
waist
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95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순
Original Assignee
홍성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성순 filed Critical 홍성순
Priority to KR20200000195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204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20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2041Y1/ko

Links

Landscapes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Abstract

둔부 및 국부를 수용하는 몸통부, 양쪽 다리를 수용하는 다리수용부 및 복부에 적절한 압박감을 주는 허리부로 구성되어, 몸통부의 일측에 상부주머니가 외측으로 부착되고, 다리수용부의 무릎 하부에 하부주머니가 외측으로 부착되며, 하부주머니 내측의 다리수용부에는 하부주머니에 수용되는 소변주머니에 착탈되는 연결호스가 관통하는 관통슬릿이 형성된다.

Description

기능성 바지{Functional trousers}
본 고안은 기능성 바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바지의 전면외측 하부에 소변주머니 등을 수용하는 주머니를 부착하여 하반신을 사용하지 못하는 환자나 장애인들의 생리작용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한 바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지는 신체의 하반신을 수용하는 의복으로서 활동이 편안하고 간편하기 때문에 남녀노소가 착용하고 있다. 통상적인 바지는 둔부 및 국부를 수용하는 몸통부와, 다리를 수용하는 다리수용부 및 복부에 적절한 압박감을 주는 허리부로 구성된다. 또한, 바지의 전면에는 허리쪽으로 입구가 형성된 한 쌍의 옆주머니와 둔부 외측에 형성된 뒷주머니가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착용자는 지감, 손수건 또는 지폐 등의 각종 신변용품을 옆주머니와 뒷주머니에 적절하게 배치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바지에서 주머니의 배치는 하반신이 불편한 장애인들이나 환자들에게 큰 불편을 초래하는데, 이는 이들이 생활속의 대부분의 시간을 휠체어 등에서 앉아서 보내기 때문이며, 종래의 옆주머니와 뒷주머니의 형태로는 사용에 많은 제약을 가하고 있다.
또한, 이들 중 일부는 생리작용을 위한 별도의 소변주머니를 부착하고 다니는 바, 외부로 노출시키지 않기 위하여 휠체어의 용품비치대에 놓기도 하지만, 기본적으로 소변주머니에는 연결호스가 착탈되어 있기 때문에 취급에 상당한 불편이 따른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하반신이 불편한 장애인이나 환자들이 휠체어에 앉아서도 주머니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성 바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소변주머니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된 기능성 바지를 제공하는데 있다.
제 1 도는 본 고안에 의한 바지의 정면도이고,
제 2 도는 본 고안에 의한 바지에 있어서 하부주머니가 부착된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0: 상부주머니 20: 하부주머니
15: 상부주머니 덮개 25: 하부주머니 덮개
30: 관통슬릿
본 고안에 따르면, 둔부 및 국부를 수용하는 몸통부, 양쪽 다리를 수용하는 다리수용부 및 복부에 적절한 압박감을 주는 허리부로 구성되고, 몸통부의 일측에 상부주머니가 외측으로 부착되고, 다리수용부의 무릎 하부에 하부주머니가 외측으로 부착되며, 하부주머니 내측의 다리수용부에는 하부주머니에 수용되는 소변주머니에 착탈되는 연결호스가 관통하는 관통슬릿이 형성된다.
또한, 선택적으로, 상부 및 하부주머니의 개구를 덮도록 착탈 가능한 덮개가 상부 및 하부주머니의 상부에 부착된다.
또한, 바람직하게, 허리부에 있어서 등쪽이 배쪽보다 3 내지 5㎝ 정도 높게 형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바지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하부주머니를 보여주는 확대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기능성 바지는 둔부 및 국부를 수용하는 몸통부와, 양쪽 다리를 수용하는 다리수용부 및 복부에 적절한 압박감을 주는 허리부로 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몸통부의 일측에 상부주머니(10)가 외측으로 부착되고, 다리수용부의 무릎 하부에 하부주머니(20)가 외측으로 부착된다. 상부 및 하부주머니(10, 20)는 상부쪽으로 개구가 형성되며, 이 개구를 덮도록 상부 및 하부주머니(10, 20)의 상부에는 덮개(15, 25)가 각각 부착된다. 이때, 덮개(15, 25)와 주머니(10, 20)는 통상의 적절한 수단, 예를 들어, 매직 테이프, 똑딱이 단추 등을 이용하여 착탈 가능하게 서로 접착된다.
또한, 바지를 가지런히 펼쳐 놓았을 때, 허리부에 있어서 등쪽이 배쪽보다 3 내지 5㎝ 정도 높게 형성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하부주머니(20) 내측의 다리수용부에는 관통슬릿(30)이 형성되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연결호스가 관통하는 통로가 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부주머니(10)가 도면에서 보아 좌측에 위치하고 있으나, 이는 오른손잡이를 기준으로 배치한 것으로, 왼손잡이의 경우에는 그 반대로 배치할 수 있다.
여기서, 상부 및 하부주머니(10, 20)의 형태와 크기는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지만, 기본적으로 상부주머니는 몸통부에 하부주머니는 무릎 하부에 형성하는 것에 특징을 갖는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기능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반신이 불편하여 휠체어를 이용하는 장애인들의 경우를 예로 들면, 본 고안에 따른 바지를 착용한 상태에서 상부주머니(10)에는 지갑이나 기타 신변용품들을 넣게 되고, 하부주머니(20)에는, 예를 들어, 소변주머니를 넣는다.
그리고, 소변이 통과하는 연결호스를 다리와 바지 사이를 통하여 연장하고 관통슬릿(30)을 통하여 하부주머니(20)에 수용된 소변주머니와 연결한다.
이 상태에서 휠체어에 앉게 되면, 상부주머니(10)는 수직상태가 되어 수용된 용품을 용이하게 꺼내거나 넣을 수 있게 되며, 하부주머니(20)는 무릎 하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생리작용에 의해 배출되는 소변이 원활하게 소변주머니로 흘러 들어가게 된다.
한편, 소변주머니가 완전히 차게 되면, 연결호스를 분리하여 새 것으로 교체하면 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바지를 가지런히 펼쳐 놓았을 때, 허리부에 있어서 등쪽이 배쪽보다 3 내지 5㎝ 정도 높게 형성된다. 통상 휠체어 등에서 앉은 상태에서 신체구조상 등쪽의 허리부가 배쪽의 허리부보다 아래쪽으로 내려가게 된다. 이 상태에서 장시간을 보내는 경우, 착용자에게 상당한 불편을 준다. 그러나, 본 고안에서는 등쪽의 허리부가 배쪽의 허리부보다 3 내지 5㎝ 정도 높게 형성되어 있어 착용을 하게 되면 등족과 배쪽의 허리부가 동일한 레벨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기능성 바지에 따르면 여러 가지의 이점을 갖는다.
먼저, 종래의 바지와 달리 주머니들이 전면에 배치되고, 휠체어 등에 앉는 경우, 수직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서 장애인이나 환자가 편리하게 주머니를 이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하부주머니에서 생리작용을 위한 별도의 소변주머니를 수용하고, 이 하부주머니가 무릎 하부에 형성되므로서 배출되는 소변이 원활하게 소변주머니에 모일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더욱이, 소변주머니의 교체가 용이하고, 외부에 노출되지 않아 바지를 착용한 사람에게 심적 안정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등쪽과 배쪽의 허리부가 동일한 레벨을 이룰 수 있어 휠체어 등에 앉은 상태에서 장시간 있는 경우에도 착용자에게 불편함을 주지 않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둔부 및 국부를 수용하는 몸통부와, 양쪽 다리를 수용하는 다리수용부 및 복부에 적절한 압박감을 주는 허리부로 구성된 바지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의 일측에 상부주머니가 외측으로 부착되고, 상기 다리수용부의 무릎 하부에 하부주머니가 외측으로 부착되며, 상기 하부주머니 내측의 상기 다리수용부에는 상기 하부주머니에 수용되는 소변주머니에 착탈되는 연결호스가 관통하는 관통슬릿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바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및 하부주머니의 개구를 덮도록 착탈 가능한 덮개가 상기 상부 및 하부주머니의 상부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바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허리부에 있어서 등쪽이 배쪽보다 3 내지 5㎝ 정도 높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바지.
KR2020000019509U 2000-07-07 2000-07-07 기능성 바지 KR2002120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9509U KR200212041Y1 (ko) 2000-07-07 2000-07-07 기능성 바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9509U KR200212041Y1 (ko) 2000-07-07 2000-07-07 기능성 바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2041Y1 true KR200212041Y1 (ko) 2001-02-01

Family

ID=73053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9509U KR200212041Y1 (ko) 2000-07-07 2000-07-07 기능성 바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204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2939B1 (ko) * 2017-11-29 2019-05-27 조성민 소변주머니 수용 기능을 구비한 하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2939B1 (ko) * 2017-11-29 2019-05-27 조성민 소변주머니 수용 기능을 구비한 하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196667B1 (en) Underwear for men
US2842129A (en) Voiding shorts for incontinent people
US6859948B2 (en) Hip protector system
US4387726A (en) Disposable urine collection device for human males
EP1105008B1 (en) Adult-infant bonding garment
US20020053102A1 (en) Combined waist-worn men's clothes article
US4383335A (en) Robe adapted for incontinent individuals
US7100214B1 (en) Article of clothing with a crotch portion positionable between open and closed positions
US6719712B2 (en) Support device for supporting the back, hips, upper thighs and groin areas
US5241708A (en) Restraining device
US8100876B1 (en) Undergarments with sanitary absorbent device holder
KR200212041Y1 (ko) 기능성 바지
RU2163457C1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ый поясной предмет одежды для мужчин
WO1986005969A1 (en) Urine bag holder
CN208925296U (zh) 一种留置导尿裤
CN209300317U (zh) 一种泌尿外科术后护理服
KR200212042Y1 (ko) 기능성 바지
KR200278920Y1 (ko) 남성용 팬티
KR200395426Y1 (ko) 편리한 팬티
CN214103354U (zh) 一种病号裤
KR200342646Y1 (ko) 개량바지
CN212488630U (zh) 一种病号服
TWI715843B (zh) 尿袋褲
JP2001303302A (ja) 自津支援ならび看護用下ばき
CN212065714U (zh) 穿脱便利的轮椅使用者裤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